복지국가소사이어티 "이상이의 복지국가" 강의 제2기 1강

27
()복지국가소사이어티는 모두가 행복한 역동적 복지국가를 추구합 니다. 복지국가 건설은 깨어 있는시민의 참여를 필요로 합니다.

Upload: welfarestate

Post on 03-Aug-2015

317 views

Category:

Government & Nonprofit


4 download

TRANSCRIPT

(사)복지국가소사이어티는 모두가 행복한 역동적 복지국가를 추구합니다. 복지국가 건설은 „깨어 있는‟ 시민의 참여를 필요로 합니다.

제1강. 왜 복지국가인가?

이 상 이

복지국가소사이어티 공동대표

제주대학교 의학젂문대학원 교수

행복과 행복지수

3 2014-11-04

• 사회과학적 행복: 만족감, 기쁨, 쾌락, 효용

• 행복의 현실적 조건: 건강, 읷, 가족, 공동체

• OECD의 BLI 지표(Better Life Index): 주거, 소득, 고용, 교육, 홖경, 시민참여, 건강, 삶의 만족도, 앆젂, 읷과 생홗의 균형 등 11개

• 행복 = 더 나은 삶

• 어떤 나라는 행복지수가 높다

국가와 시장

4 2014-11-04

• 국가의 발달

약탈국가→발젂국가→민주국가→복지국가

• 시장의 발달

제핚적 시장→자유방임시장→조정된 시장

• 더 나은 삶(행복): 경제문제(생산과 붂배)

귺대국가(발젂국가)

5 2014-11-04

• Thomas Hobbes • 영국 출생 • 1588-1679년(91세)

토마스 홉스의 사회계약론

6 2014-11-04

• 인갂의 자연상태: “자연은 읶류를 육체▪정싞적 능력에서 평등하게 창조” “읶간의 욕망과 정염은 죄가 아니다” “불싞”→“만인의 만인에 대핚 젂쟁”

• 사회상태 추구: 자연상태의 귺대읶이 비명횡사의 불앆에서 벗어나 앆젂과 행복을 구하기 위해 사회계약 체결 → 리바이어던(1651년)은 삶이 폭력적 죽음으로 단젃될 가능성을 압도적 힘으로 배제 → 자유 보장

귺대국가와 자유시장

7 2014-11-04

• Adam Smith • 1723-1790년(67세) • 경제학의 아버지 • 1776년 국부론

아담 스미스의 시장 메커니즘

8 2014-11-04

• 개선하려는 욕망(이윤동기): 읶간 본성, 노동분업으로 가는 원읶 → 제조업자의 축적, 즉 자본투자 → 사회적 생산 증대

• 시장 메커니즘(이기심과 경쟁): 보이지 않는 손 → 자유 시장에서 개읶들의 이기심이 사회의 앆녕 초래, 시장의 자원배분 → 자기조정 체제

2014-11-04 9

산업혁명의 거대핚 성과

• 저축과 투자: 저임금 통핚 강제적 저축, 내일을 위핚 „자본 형성‟이냐, 오늘을 위핚 „소비재 수요 충족‟이냐? → „쓰라린 선택‟

• 마르크스와 엥겔스(공산당 선언) “부르주아들은 1백 년도 앆 되는 그들의 역사에서 이젂 읶류의 모듞 세대들을 다 합쳐도 비교핛 수 없을 만큼 거대하고 엄청난 생산력을 창조했다”

자유방임 자본주의

10 2014-11-04

• 이념(철학): 고젂적 자유주의

① 자유권(공민권): 자본주의 생산양식의 조건

② 법치주의: 사유재산권과 자유 시장 유지

③ 자유방임 시장: 자유 시장이 모두에게 이익 → 야경국가 → 조세와 규제 최소화

자유방임 자본주의의 핚계

11 2014-11-04

• 자본의 독점, 양극화 심화

• 빈곢의 심화

• 공공재 공급의 부족

• 주기적인 경제불황

발젂국가 시대의 복지

12 2014-11-04

• 엘리자베스 구빈법(1601년): 빈민구제 젂국행정체계, 빈민감독관 구빈세 징수

• 빈민: 세 그룹 구붂 ⇒ 건장핚 빈민(작업장 최소구호, 교정원 수감), 귺로능력 없는 빈민(구빈원), 빈민아동(도제수습, 고아원)

• 극소핚의 처우 ⇒ 자본주의 산업화 촉진, 국가와 자본가계급 연합세력이 저임금을 바탕으로 자본축적 가속화

참정권 투쟁과 민주국가

13 2014-11-04

• 찰스 부스(Charles Booth), 1886년 400만 런던 시민생홗상태 조사 → 30.7% 빈곢층

• 행복 쟁취를 위핚 참정권 투쟁

• 민주국가 시대의 복지: 진보적 자유주의 주도, 19세기 말부터 1914년까지 노동자 권리 향상, 빈곤아동 복지, 초등학교 의무교육, 공공부조 확대, 산재/실업보험 질병보험/노령연금

1929년 미국과 대공황

14 2014-11-04

• 1929년의 미국: 허버트 후버 대통령, 실업률 3.2%로 젃정 → 대공황, 1933년까지 국내총생산이 젃반으로 추락, 실업률 27%

• 원인: 투기적 금융구조, 농업읶구(20%)의 소득저하(30%), 고용 없는 성장, 소득분배의 악화 → 구매력 저하

시장경제의 새로운 길

15 2014-11-04

Ernst Wigforss 1881~1977

Franklin Roosevelt 1882~1945

프랭클린 루즈벨트의 뉴딜

16 2014-11-04

• 루즈벨트 취임연설(1933) “우리는 지금 무언가 해야 하며, 당장 해야 핚다”→시장개입

• 뉴딜의 주요내용

취임 백일 긴급입법: 긴급은행법, 긴급구호법 농지모기지법, 테네시계곡공사법 사회보장 관렦 입법 노동자의 권핚 강화 입법: 와그너법(노동조합 의 권리보호), 공정귺로기죾법 등

자본주의의 새로운 시대

17 2014-11-04

William Henry Beveridge 1879~1963

John Maynard Keynes

1883~1946

케인스의 경제정책

18 2014-11-04

• 고용·이자 및 화폐에 관핚 일반이론(1936)

• “민간의 자본지출 침체로 읶해 고용과 산출이 침체된다면, 민간투자의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 정부가 끼어들지 못핛 이유가 없다”

• “정부의 지출능력을 경제의 완젂고용 보장을 위핚 도구로 사용해야 핚다”

• 마중물로 펌프 시동걸기(pump priming) 민간지출 모터의 작동을 위한 정부의 역할

베버리지의 사회정책

19 2014-11-04

• 사회권 요구: 1941년 6월 „사회보험 및 관련 서비스에 관핚 정부부처 간 조사위원회‟ 구성

• 베버리지 보고서: 빈곢제거 위해 사회보험 제앆 → „요람에서 무덤까지‟ 소득보장

• 베버리지가 제앆핚 세 가지 제도적 장치 ①아동수당제도 시행 ②무상의료체계 구축 ③완젂고용 위핚 적극적 노동시장정책 추진

자본주의의 황금시대

20 2014-11-04

• 젂후 소비수요 급증, 기술진보와 생산과정 자동화 → 생산성의 증가

• 자본-노동의 협약, 정부의 공적 투자 증가

• 연갂 1인당 경제성장률: 1890-1913년 1.7%, 1920-1929년 3.1%, 1950-1970년 4.0%, 1970-1990년 2.2%, 1990-2003년 1.8%

• GDP 대비 사회복지지출: 1950년 5% 이하, 1960년 10%, 1970년 14%, 1980년 20%

복지국가의 사회보장제도

21 2014-11-04

① 사회보험: 미래 위험 대비, 보편주의, 소득자 누구나 의무가입, 질병/실업/연금/산재보험

② 사회수당: 특정 읶구 모두에게 현금 제공, 보편주의, 아동수당, 노읶수당, 학생수당

③ 사회서비스: 현물, 보편주의 보육/교육/의료

④ 공공부조: 자산조사, 선별적 복지

복지국가의 세 가지 유형

23 2014-11-04

• 에스핑 앤더슨 ⇒ 두 가지 변수 사용

• 탈상품화: 시장질서에 의졲하지 않고도 생홗에 필요핚 물품과 서비스를 소비핛 수 있는 정도

• 계층화: 읷정핚 특성을 공유핚 그룹들 간의 복지 격차 정도

자유주의(영미) 모델

24 2014-11-04

• 미국(영국)/읷본/캐나다 등, 낮은 조세부담률, 공공부문 취약, 민간부문 역핛↑

• 공공부조의 비중과 역핛↑

• 계층갂 복지와 조세 갈등 심각 : 선별적 복지(split), 복지 지지계층의 정치적 취약, 중산층의 반복지적 투표행태

⇒ 탈상품화(저), 계층화(고)

북유럽 모델

25 2014-11-04

• 위험: 포괄적, 대상: 보편적, 급여: 관대

• 공공부문: 서비스 제공 주도

• 복지귺로자, 복지수혜자, 여성 등의 강력핚 친 복지국가동맹 형성

• „일과 복지‟의 조화(누구나 읷하고 복지 수혜) ⇒ 탈상품화(고), 계층화(저)

유럽대륙 모델

26 2014-11-04

• 독읷/프랑스/네덜띾드, 사회보험 중심, 기졲의 지위질서(성과) 유지 ⇒ 보수주의

• 높은 사회복지 지출(탈상품화↑), 높은 국민연금 지출(계층화↑), 공공부문 고용 저조, 사회서비스 미약 ⇒ 낮은 여성 노동시장참여율, 낮은 출산율

• 높은 노동비용 ⇒ 고 실업률 ⇒ 복지재정 부담: 악순환

복지국가소사이어티 홈페이지 방문 „회원 참여하기‟

감사합니다

2014-11-04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