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66
· 2 0 0 3

Upload: -

Post on 06-Jul-2015

548 views

Category:

Documents


11 download

TRANSCRIPT

Page 1: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학년도

박사학위 청구논문

주의력결팝 과잉행동장애 (ADHD)

아동에 대한 언지행동놀이치료 ·

부모훈련 병합치료의 효과

섬라학과 검도연

2 0 0 3

Page 2: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아동의 언지행동놀어치료 ·

부모훈련 병합치료의 효과

이 논문을 박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003년 6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장리학과

깅도연

Page 3: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검 도 연의 박사학위 논문을 언준함

지도교수 검 태 련

섬사위원 뿔펙 첼

갱 oþ영

김 ð{t청

{샤 장훈

찌 εH 깥f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Page 4: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二J..도즈 감사의

Q E프 어찌해야할지 대하고는 무엇을 심한 발달장애 아동을 처음 대학원 재학 시

고 。라 당황해하고 가슴아파했던 기억이 떠오릅니다. 그 후 11년 간 임상 장면에서

느껍니다. 힘을 주 부족한 점을 많이 부하고 일하고 있지만 제자신에 대해 여전히

도웅으로 작은 결실을 맺게 되었습니다. 신 많은 분들의

제가 나태해지려고 주시고 변함없이 지도와 격려를 대학원 시절부터 지금까지

진섬으로 감사드립 김태련 선생님께 노력할 수 있도록 이끌어주신 부단허 할때

소장님으로 계시면서 많은 니다. 제가 몸담고 있는 이화여대 발달장애 아동센터의

진심 이 자리를 벌어 이해와 배려에도 지원을 아끼지 않으셨던 김아영 선생님의

으로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습니다. 또한, 바쁘신 중에도 논문에 대한 관심과 조

선생님, 박량규 선생님, 김현정 선생님께 감사드립니 않으신 방희정 언을 아끼지

다. 임상 현장에서 치료자가 가져야할 자세가 무엇인지 가르쳐주신 한양대학병원

의 김재환 선생님께도 감사드립니다.

논문을 쓸 수 있도록 현장을 지원해주고 늘 힘이 되어준 이화여대 발달장애 아

선생님들께 감사드립니다 할애해서 세섬하게 시간을 또한,많은 여러 동 센터의

도와준 후배 현미와 희순에게도 고마움을 전합니다.

도움 덕분엽니다. 센 있었던 것을 사랑하는 가족들의 스 ’ 。

÷E 키

E 다 -λ

오랫동안 제

A‘ {

'--매주 오셔서 있도록 먼길 마다 않고 남아 논문을 완성할 수 터에 밤늦게까지

녀를 돌봐주선 아버님께 감사한 마음뿐입니다. 애정으로 지켜보신 어머님과 늘 기

아침 엄마를 그리워하며 도로 함께 해주선 시부모님께도 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말라고 울던 윤경이와 논문 완성하기에 바빠 태교에 전혀 신경 마다 학교에 가지

고마움과 사량을 전합 못했지만 건강하고 총명하게 태어난 윤빈이 두딸에게 쓰지

기쁨과 인내가 무엇인지 가르쳐줍니다. 삶의 딸은 c T 는

이X

니다. 예쁘게 자라고

남편에게 깊 변함없이 따뜻한 시선으로 저를 지켜보고 이해하고 도와준

은 감사와 사랑을 전합니다.

또환,늘

도 연 올림 2003년 7월 김

Page 5: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Page 6: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목 차

논 문 개 요 ....... . .. ‘ .....•...............•.............•..........•..........................................•.......... Vlll

x 。 서 론 ......................................................... ‘ ...................... ‘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 ................................... 1

B. 연구의 문제 ........... …… ............................................................................... 3

IL 이 론적 배 정 ....... "" .... " .. " ........ " ..... " .. " .. " ...... ‘ ••..•.••.•.•...•.••.....•....••••.•........•..••.•..•........ 5

A. ADHD 아동 아 겪 는 적 응의 문제 .............. " ............................... "" ........ " .......... ‘ ... 5

1. 핵 심 증상 ................................... …............................. ............................. 5

2. 행 동문제 및 심 리 사회 적 적 응문제 .... " .. " .. " .... " .... " .......... "" ... "" .... " ............. ‘.... 7

1) 대 언 관 계 ...... … ... " .. " .. " ....... " ................. " ..... " ............... " .... " ...................... "‘ •••••• 7

2) 가족관계 와 모-아 상호작용 ........................................................... ……… 8

3) 학업 영 역 및 지 적 결함 " ..... " ..................... " ..... "" ... ",," •• " ••• ". '" ••• 4 •••• ‘ •..... ‘ ..•• 10

4) 신 체 건 강의 문제 와 사고 4 •• '"." 4 ...... 4."" •• 4 •• " ••••••• "." ....... " ••• " •• 4 •• """ ............ … .... 11

5) 합병 정 신 장애 와 청 소년 및 성 인 기 ADI-ID ......................... …… .... 11

B. 치 료적 접 근 .. ~." ........ '" ..... " ....... " ..... " .. " .... 4 ............ " •• " ........ " ..... " .. "" ••• ".,o 4 •••••••••••••• ‘ ... ‘ 12

1. 약물 치 료 """ ....... " .... "".",o •••••••••• ‘ .......... "" .. " ....... " ... " ...... " ..... """"" .. ,o ........... " ..... "." ........ …… 12

2. 인지 행 동 놀 이 치 료 .................................................................................... 14

1) 인지 행 동치 료 ........................................................................................ 14

2) 인 지 행 동 놀 이 치 료 ... '"" ............. " ........ " ... """" .. "" ." ....... "" ...... "" .... " .. " .. " ... ,,.‘ ••••••••••••••••• 16

3. 부모훈 련을 통한 행 동수정 ....... " ............... " .... "" ......... " ............... ".… .................... 19

4. 병 합치 료 볍 ......... " ................... "" ....................................... '""." ........ " ........... ‘ .................. 22

III

Page 7: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m。 연 구 방법 … •• … ...................... ~O~_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 연구 대상 ............ ‘ .. ‘ ............................. ‘ ••••••. ι ........... ‘ •••••••• ‘ .. ‘ •••••• …… •• … ...... …… ... ……-“… ... …~“‘“…‘”…‘

B. 치 료컵 단과 통제 집 단 간 사전평 가 분석 ........ …",“ ‘ ••••• ‘… .. … ... …… ... …… 28

C 연구 절차 .... 0 ... 0 .. 0 .......... … 00'………… •.••••.•••••••••••••••• …… ... … ••••••• … ••• …… O~ .... …0.0'…잃

l. 대상아동억 선정 ••••••••• …… ....... 0 … •••••••••••••••• … ••.• …… ••• …~ ......... ……· ‘. ~ ... 0"'0"'" 앓

2. 언지행동놀이치료 및 부모훈련 프로그램의 실시 절차 ... ………… ...... 31

D‘ 측정 도구 ..... "' ............ ~ ................... * .......... ……… ...................... ~… ••••••••. …·…" .. ~"‘ ... … ••• ‘ •.••••• … .... 33

1. 자벼 의 문제 행 동평 7가}.“……‘“…….“…‘“‘ .. …… .. ….“.“…….“…… .. …….“….“…‘“…… •• …… •• ……’”…… .. …….“…….“…….“…-“…….… ... “…….‘…’“.“…g“‘ 。“…….“…... … .. ….“…… .. …… .. … .. ….“…‘ •• …-“….

1μ) 。아f동행동조사표 ...................................... ~ ....................... ~………… ·… ••• … .. …… ………… 33

2) 코너 스 부모용 i평행 ;쩡생 척 E도… .. …"…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

3잉) 가정 상황의 행 동평 자지 ...... ~'." ~ ... ‘'"…~ * ..... ……·…… ... … .......... …………0.""".… 34

4) 자거 통제 겸 사 -… ............... ‘ •• ~ .. ‘ ... ‘ ..... ’‘ ... ‘’ ..... ’‘ ...... .,. 40 ...... ‘’ ..... ~ ... "" ..... _ .. 0 ‘ ••••• ’.’

5딩) 코너 스 i교Eλ사f용 평 정 척 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i“…… .. … .. ……i“…….“……-“….“……‘“…‘9….“…'"…1

2. 어 머 니 평 7가} ....................... ……'.".0 ….~ .... … •••• ….“… .. …-“…"….,…… •• …… .. …… .. …… .. … •• … .. ……’”야….‘… •• …‘“……i“…-“… .. …‘ .. …‘“.“….“….

1) 벡 우울척 도 ·… .............. o'."~."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깅) 양육 스트레스 척 도 .. ……… ••••• … ........... ~""""""".'" -............ …… .. ……ν“…-“-“…‘…….……’

3잉) 부모효능감 척 도 •••• … .......... … ........ 00 •• …~ ..... " ~ ..... … ...... >……… •• ………‘”…… .. …….“…… .. …….“….“….“’…‘”….“…….“… .. …‘

4예) 애 머 l냐-1-자녀 상호행 동x평형 7가t ... … •• ~ •• > .... …. ~ ••• ~ ••• ………… … .. …… ... …------ 3§

5) 부모용 사용자 반족도 척 도 .. ~ > •• …. ~" ..... … •••• ~ ..... ……“ .. ,…… ...... ~ •• *…·“-37

E. 분석 방법 ........................................ ……… ........... … ••••• … •• ~ •• ………… .. ‘““‘“ ......... 37

F. 치 료 프로그램 ....... .

lV. 연구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짧

A. 치 료 프로그 램 의 효과 잡 증 ‘ ... … ................... …~ •• ~ ~. ~ ...... 0"…… .. ……… ... …… 48

1. 치료 프로그램야 ADIID 아흥의 문채 행동핵 며핵는 효꽤 ..... … ..... 48

2. 치료 프로그램이 어머니획 양육 스트꽤스, 부모 효능창

에 미 치 는 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짧

lV

Page 8: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3. 치료 프로그램이 어머니-자녀 상호행동에 미치는 효과 '" .... ‘ ..... 51

4. 치 료집 단의 사전평 가와 추후 평 가 비 교 ........................ … ................... 52

1) ADHD 아동의 문제 행 동의 사전-추후변화 .................................. 53

2)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부모효능감, 어머니~자녀 상호행동의

사전-추후 변 화 .................................................................................. 55

5. 치료칩단의 사후평가와 추후 평가의 비교 ·… ................................ 59

1) ADHD 아동의 문제행동의 사후 추후 변화 ................................ 59

2)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부모 효능감, 어머니-자녀 상호행동의

사후-추후 변화 '" ...................... … ..................................................... 60

6. 치 료집 단의 치 료과정 사례 별 분석 .................................... ….- ........ … ........ 62

7.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어 머 니들 만족도 ........................ … ................... 73

V. 논 의 및 제 언 ............................................. ‘ .......................•.................................•........ 75

A. 결론 .......................... …… .................................................................................... … ............. 75

1. 치료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문제 행동에 미치는 효과 ............ 75

2. 치료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부모역할 효능감에

미 치 는 효과 ...... -..................................................................................... ‘ ................ ‘ ....... 75

3. 치료 프로그램이 어머니-자녀 상호행동에 미치는 효과 ......... … ....... 77

4. 프로그램 수행 에 대 한 논의 ...................................................................... …… .. 78

B. 연 구의 의 의 .......... ‘ ..................... ‘ ....... ‘ ......................................................... 82

C. 연 구의 제 한점 과 후속 연 구를 위 한 제 언 ............................................... 83

참고문 헌 ........ … ................................................................................................................ ‘...... ..... . .. 85

부록 .... " .. … ............. . .. ‘ .. " ... … ..... … .... ~ ................. ‘ .•....................•...........•................•............. 100

영 문초 록 .................. … ............................................................................................... ~ ................................. 、 ........••••.....••.•.••.....•• 153

v

Page 9: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표 포2... •, 약

<표1> 교사에 게 배부한 ADHD 전단기준 ·… ð. ~ ..... ~‘ .... … ” … .. ……. ~ .......... … ... +4 .... … ... 27

<표2> 치 료집 단과 통채 집 단획 힐구통계 핵적 특성 ~ ...... ‘ .......... ‘~ ........ …… .. … … 28

<표3> 치료집단과 롱채집단의 사전평가점수와 집단 갚 쳐아검증 첩과 -‘·‘ .• 30

<표4> ADlID 아동에 대한 인지행동 놀여치료 프로그램 및 부모훈환 1행용46

<표5> 아동엌 문제행동에 대한 사전-사후 략아 검증 -… .. ’‘ .. ‘ .... ~ ... ‘”…… .. …….~ ... ~"짧

<표6>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부모 효능감에 대한 사전-샤후 양이 검증 .50

<표7> 어머니-자녀 상호행몽에 대환 사전-사후 차핵 캠증 . ~ ..... … ... ‘’‘ ........ ““ •• 52

<표8>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현 샤전-추후 차샘 겸증 …… .. …… ..... …… .. … .... …'"。짧

<표9> 어매나의 양육 스트헤스, 부모 효능감, 어빽나‘짜녀 상호행동빽

사전-추후 차이 검 증 ......... …… ........ … ....... … .................. ……"~ .... … .. ……… ... …짧

<표10> 아동의 푼채 행동에 대 향 사후-추후 차어 검 증 …~ ..... … .... ~‘ ·… .. '‘ .. ~ .. ~ .. ‘ 59

<표11> 어머니의 양육 스트헤스, 부모 효능참; 역머녀-자팩 상호행동의

사후-추후 차얘 검 증 ....... ' ~ ...... "". ~ .. … .. ~ .... …… ......... …………‘ ... " ......... …………… .... …없

v1

Page 10: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그렴목차

<그림 1> 연구의 진행절차 ...... ~ ............................... … ...................... … ....... …- ... …32

<그림2> 치료집단과 통제집단의 K-CBCL 총 문제 행동수 ............. … .......... 54

<그림3> 치료집단과 통제집단엠 코너스 부모용 평정척도 점수의 변화 ..... 54

<그림4> 치료집단과 통제집단확 자기통제력의 변화 ................................ '" .55

<그럼5> 치료집단과 통제집단 어머니의 부모역활 효능감의 변화 … ........... 57

<그림6> 치료집단과 통제집단 어머니의 부모역할 불안감의 변화 ............... 57

<그림7> 치료집단과 통제집단 어머니의 자녀기질과 관련된

스트레 스의 변화 .- ......................................... …… .................... -… ............ 58

<그림8> 치료집단 아동들의 K-CBCL 총문제 행동수의 변화 ................... 63

<그림9> 치료집단 아동들의 코너스 부모용 평정척도 점수의 변화 ............. 63

<그림 10> 치 료집 단 아동들의 자아통제 력 의 변화 .................. … .......................... … 64

<그림 11> 치료집단 어머나들의 자녀기질과 관련된 스트레스의 변화 ...... ‘ ... 64

<그렴 12> 치료집단 어머니들의 부모역할 유능감의 변화 … ............................ 65

<그렴 13> 치료집단 어머니들의 부모역할 불안감의 변화 .............................. 65

vu

Page 11: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표I二 표경L X一'\!... 책효

본 연구는 학령겨 ADI조D 아동들의 증상 잡소와 문제해곁처술 습득을 우}환

인지행동 놀이치료와 ADI묘〕 차1객에 대한 핵벼니엌 양융자숲 습득올 폭표료

하는 부모 훈련을 병합한 치료 프로그램윷 채발하여 二X 효파를 검증하고A} 하

였다. 프로그램은 ADI빠 아동에 대한 구조화된 단71 인쩌행홍 놀씩쳐료 프로

그램 (Kaudson & Schaefer, 2α)())을 틀로 하여 BarkJey(1987)혀 부모훈련 프로

그램과 Thi따<: Aloud 프로그램(C많np & Bash, 1981)을 참JL략햄 7생활댐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가 위해 10주에 결책 주좀 3회쩍 g명획 ADHD 아몽해

게 인지행동 놀이치료와 부모 훈련을 X시캄썩 설셔환 후 쳐료를 혈Al 않은 통

제집단 5명과 벼교하였다.

그 결과 인지행동 놀야치료와 부모훈련 행합치료 후 A효)1-짧 ó}흉확 충똥쟁,

과잉활용성, 부주의 등과 같은 주요 증양과 가쩡여다 총꽁잡소 몇 〉행긍궁여Q 책 웰

생하는 문채 행동 감소에 효과가 있읍여 확연확였다. 씩u1약플흔 양육 스트행

스가 감소되는 경향성을 나타냈요며, 부모역할확 효놓감온 증가햄표E, 쁨조표역할

불안감은 감소되었다.

인져행동 놀아치료약 부모훈환 병합치료 효과는 1년 후 추후평자에책도 유

지되었다。 즉l ADHD 아동의 충홍성, 과영활똥성, 부주의 풍파 같운 주요 증상

이 치료 전에 비해 참소되었으벼, 언지-행풍적 자자 통채력용 량짱획었다. 어

머니들은 자댁의 거잘과 관련하여 경험하는 양육 스트레스7l- 처료 청혜 1:31 ~책

감소되었다. 그러나 부포역할 효능캄은 다서 강소확고 불옆감은 층7r협는 결과

가 나타나고 있으벼 사후 평가얘 벼해 추후 펼 7} λ1 AD¥¥D 약흉확 결정흉 푼쩨

의 변화가 심각하고 후에도 꽤료 효과룰 지속사캘 방혈어 략련확핵야향율

보여주었다.

치료과정에 대한 사챔별 분석 결과는 ADHD 아동확 행통 문책7} 접작-Õ-}JL

¥m

Page 12: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자녀의 행동에 대한 부모의 통제력이 낮다고 지각할수록 부모의 양육 스트레

스가 커지며, 부모가 자녀의 행동 원언을 귀인하는 양식이 부모-자녀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시사되었다.

본 연구는 인지행동 놀이치료와 부모 훈련의 병합 치료를 실시하여 실제

ADIID 임상 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효과를 입증하고, 치료 효과를 1년간

장기 추적 연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즉, 약물치료의 제한점으로 인해

모든 ADHD 아동들에게 약물치료를 적용할 수 없다는 한계와 현실챔인 한국

상황 내 치료 관행을 고려해 볼 때 인지행동 놀이치료와 부모 훈련을 병합한

심리치료적 접근이 ADHD 아동때 대한 치료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

다.

lX

Page 13: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L 서 론

A. 연구의 펄요성 및 목적

최근 학령기 아동들 가운데 주의가 산만하고 과잉활동적인 ADHD 아동들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었다. 특히 우리나라는 대학입시와 관련하여 자녀의 학업

생취에 대한 부모의 관심이나 기대가 지대할 뿐 만 아니라, 최근에는 또래들의

집단 따돌림으로 인해 자살하는 극단적인 사례까지 등장하면서 ‘왕따 문제 f가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므로 학령기 아동들의 ADHD 문제는 학업성취

뿐 만 아니라, 사회적 적응의 측면에서 임상적으로 중요한 관심사이며 학교단

위 나아가 사회적으로 특별한 의미를 가진다.

ADHD는 주의집중력의 부족, 충동적인 행동, 과잉활동성을 주요 증상으로

하는 가장 유병율이 높은 아동기 정신과 장애 중의 하나로 학령기 아동유병율

은 3-5%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되고있다(American Psychia벼c Association,

1994). ADHD 아동들은 다양한 상황, 예를 들면, 가정, 학교, 또래 관계 등 다

양환 상황에서 어려움을 나타낸다. 또한, ADHD는 학업 성취, 직엽적인 성공,

그리고 사회-정서적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며 아동기에 ADHD로 진단

된 많은 아동들이 청소년기와 성인초기에도 이로 인한 여러 가지 문체를 경험

하게된다(Barkley, 1991).

학령기 ADHD 아동들의 경우, 상당수가 한자리에 가만히 앉아있지 못하고,

교실에서 주의를 기울어지 못하며 서툰 운동협응의 문제와 필기의 어려움을

가지며 19-26%는 읽기, 산수나 철자볍 등 특정 학습장애의 한 유형에 포함된

다(Barkley, 1990; Semrud-Clikernan, M, & Hynd, G. W., 1992). 대인관계 행

동은 적대적이며 반항적이고 따지기를 좋아하며 성질이 급하고 예측할 수 없

고 폭발적여다. 다른 아이들과의 사회적 상호교류의 특징인 공유, 주고받기, 협

동틀을 보이지 않는다(Milich & Landau. 1982; Pelharn & Bender. 1982;

Page 14: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2

Whalen & He뼈er, 1985, 1992). 철과적으로 여들은 3유포, 형째 J표착 그랴고

또래들과 자주 질등을 겪는다. 가정해서 ADHD 아동과 어벼나확 상호작용온

정 상아동의 모자상호작용보다 갈등여 많고, 청 소년기책져 *웹속환t:}(Mash &

]ohnston, 1982). ADHD 자녀의 부모들윤 양육 스트헤스가 표벼, 양육에 태환

유능갑야 낮고(Anastopoulos, Guevremont, Shelton, & Dupaul, 1992; Mash &

Johnston, 1983), 어머니들아 경험하는 우울증이 씹각확며 부부 간‘획 갈릉, 쩔

거? 아혼율아 높다CBarkley, 1996). 또핸, 아동의 충동성과 확험환 행흥은 다른

아동에 벼해 교통사고를 버롯한 각종 사고와 획상을 정혐활 위험을 높한다

(Cuffe, McCullough, & Pur없]‘iega, 1잃4). ADHD ó}통들획 상당수자 뺀항적

행동장애의 중복진단을 받는 등 받항적 품처I둘을 보아벼(Bar싫ey et al, 199잉),

반사회 적 행동의 약 20-30%는 품행캉해와 일칙항다(Barkley ε1; al, 1990).

01 와 같아 ADHD 따동들이 정혐하는 핵려움이 재얻 대적언 문저}로 끝냐져

않고 가정과 학교의 적응 문저}를 야껴하학 약와 탱행참핵 반향적 행종장혜, 풍

행장애애 돼한 위험성을 증가사컨다는 사설흘 ADHD 야통플쩍 증상을 경감사

켜주고, 적웅을 도와줄 수 았는 쩨업 방란융 마련앓는 것핵 째우 중요화다늪

것을 사사한다.

ADI뼈에 대한 여러가지 책료적 접근 겨운핵에얘 자짱 광햄워하꺼3 사용E강고

었고? 그 효과가 업증되어 었는 것은 ’약물치료이다. 닮지한, 약뿔척료윤 푼져f 행

동 전부툴 해결하자 못하며 약물치료 중앤 야-동여랴 활지흉포 쟁상아똥뜰해

바해서 문제행통어 많은 것으로 나타녔다. 또한 주요증상블의 호전야 없음액도

불구하고 학업, 사회적 기술얘서는 거의 호챙야 나탁나져 않았으며 20-30%협

아동은 약물치료가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냈다‘ 따라서 약뿔치료흘 보환확켜

나 대체할 수 있는 심리사회적 접근의 치료도 펼요하다.

그 가운데 대표적인 두 자얘는 차정얘책 쉽체 척용활 수 없는 행홍수청기밸

을 가르치는 부모훈련과 자가-통채 기숲g 풍제해결 야술올 훈련서짝는 얀쩌행

동치료이다. 하째만, 강화 보상 체계를 도입해사 약풍어 2샘용쩍 행동등올 뿔활시

키도록 하는 행풍주왜적 부모 훈련은 적응척 행동을 활달사혀력는 아용 차산

Page 15: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3

의 동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인지행동치료를 받는 아동들도 비록 자아-통제

훈련을 학습한다 할지라도 주변 환경이 새로운 행동의 사용을 강화하지 못한

다면 치료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 이처럼 한가지 접근 방법만으로 장기적인 향

상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최근에는 두 가지 또는 그 이상의 치료 방법을

조합한 병합치료법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ADHD 아동들의 증상 감소와 문제해결기술 습득을

위한 인지행동 놀이치료와 ADHD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기술 습득을 목

표로 하는 부모 훈련을 병합한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자하였다.

B. 연구의 문제

아동의 ADHD 행동문제로 담임교사에 의해 의뢰되었거나 치료센터에 내원한

사례들을 대상으로 인지행동 놀이치료와 부모훈련을 병합한 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ADHD 증상 감소와 어머니들의 양육 기술 증진 및 양육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 중재 효과의 유지 여부를 왈아보고

자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들은 다음과 같다.

1 병합 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ADHD 아동의 과활통성, 가정과 학급 및

공공장소에서의 문제 행동의 수, 심각도와 충동성, 외현화 문제 행동에

변화가 있는가 ?

Page 16: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4

2. 병향 치료 프로그램 실사후 핵머니의 양육 71술 중전에 효i작가 였늠자 ?

1) 치료집단은 사후 평가 사 통채 컵단에 바해 양육 스료핵스얘 변확

가 있는가 ?

2) 치료집단은 사후 평가 사 통채 집단어~ l:l1 해 뿜조g쩍활 유능짧어l

변화가 있는가 ?

3) 치료집단은 사후 평가 서 통져} 집단어} 비해 자벼와확 상호행동에

변화가 있는가 ?

3. 얀지행동놀얘치료 및 부모훈련 병합 치료 프로그햄쩍 효과는 1년 후

추후평가 사기에도 유지될 것인가 ?

1) ADHD 아동들은 사전 평 가어} 바 해 추후 평7¥ 작 교과활똥성, 가정과

학급 및 공공장소에셔의 문채 챙동의 수, 성각포약 충홍성, 싫혐확

문제 행동에 변화가 였는가 ?

2) 치료집단왜 어머니들은 양육 스트뼈스-향모혐활 효놓참, 차I잭싹확

긍정적 상호행동에 변화가 있는자 ?

Page 17: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ll. 이론적 배경

A. ADHD 아동이 겸는 적용의 문제

1. 핵점증상

ADHD는 3-5%의 학령기 아동들에게 발생하는 가장 흔한 아동기 장얘로, 주

요 증상은 부주의와 과영활동-충동행동(탈억제)이다(American Psychiatric

AssociatlOn, 1994). ADHD 아동들의 부주의 문제는 같은 나이의 다른 아동들만

큼 주의를 유지하지 못하거나, 과제나 놀이 활동에 반응하지 못하고, 규칙이나

지시를 따르지 못하는 데에서 나타난다. 과제로부터 더 잘 이탈하고, 다른 아이

들만큼 열을 마치지 못하고, 자선에게 요구된 활동에서 더 쉽게 한눈을 팔고,

지구력이 떨어지며, 일단 중단된 활동으로 돌아가는 것이 느럴 뿐 만 아니라 덜

돌아가는 특정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있다(Barkley & Ul1man, 1975). 특히 걸

고, 단조롭고, 그룹 지향적인 활동이나, 반복적언 과제에서 주의를 지속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Barkley, 1998, Frick & Laney, 1991). 이처럼

지속적인 주의력 (sustained attention)을 요구하는 과제에서 실패하는 것은

ADHD 아동들이 한가지 과제를 완수하기 전에 보다 흥미 있는 자극으로 주의

를 기울이기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Pennington, 1991).

과잉활동-충동 통제의 어려움이 나타나는 양상은 다른 아이들보다 더 돌아다

녀고, 더 달라고, 더 기어올라가고, 더 시끄럽게 놀고, 지나치게 말을 많이 하고,

다른 사람의 활동을 방해하고, 줄을 서서 기다리거나 순서대로 게임을 할 수 없

는 데에서 나타난다(미국 심리햄회, 1994). ADHD 아동들 가운데 절반 정도는

4세 이전에 핵심적인 ADHD 증상을 나타내는떼, 특히 과잉활동성이 어린 아동

들에게 흔히 나타난다. 과잉활동성은 착석을 유지해야하거나, 긴 사간동안 한

장소에 있어야하는 상황, 특허 구조화된 학교 환경에서 두드러지는 것으로 밝혀

Page 18: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6

졌다.

최근획 연구들은 ADHD의 말달과정어}서 탈역채 문채는 3-4채 2성여1 먼저 냥

타나고 주의의 문제는 5-7세 경에 나타나지만 주확확 문체팔액 주휠 어려움연

경우에는 초기와 중기 학령자에 나타난다고 보고확였다(Mas없 & Barkìéy,

1997). 진단기준인 DSM- N (American Psychiatric Assocîation, 1994)öll 샤는 부

주의 증상과 파잉활통-총흥행동 목흑 가운태 두 증상협 목록 EE푸얘잭 또는 핵

느 하다에서 가준아 충족되는지에 따라 ADHD 유형획 잔단융 부주와 우세형,

과잉활동-충동 우세형 그리고 복합형으포 결정한다.

열부 연구자들은 부주의, 충동성, 과활홍성야라는 AD훌ID의 주요 특정툴어 설

행기능(executive function)과 작성 (arousal)왜 쩔함을 반영하는 젖으로 보고하끊

있다(Barkley , 1997; Conners, 1995). Barkley(l당97)는 AD표잡 야통틀획 핵설척

인 특정들은 신경학적으로 차기통책의 쩔함과 탈억채( disinhibition)격 었가 g했푼

어라고 제사하였다. 그 결과 &묘£짧 아뽕들은 자신과 지-션협 E형통윷 표1-1 ε'1;;장,

계획, 조절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랴, 다른 사황을 방해확고, 차햄를 거

다리거나, 심사숙고해서 결정하는 일을 얘려워하고;;정핵잔 사양파 뺑E랩어1]후확

과제 를 완수하지 못하채 된다는 것 아 다(Bar없ey, 괜밝 Bro₩웠 & (경uaγ, 1997).

또한, 충통성은 아동들아 결과를 쟁각하고 행동웹략 할 α책냐 규칙자켜는 것을

어렵거} 함으로서 AD¥뼈 아동 자쟁과 다륜 사람에캐 우}혈에 될 수 았다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설 채 ADHD 야동틀온 채 햄 쩍 4료, 북

표 지향적언 행통과 관련훨 살행7]능을 요구하는 검사에서 종총 핵려옴을 보아

는 것 으로 나냥났다(Pennigton, 1991).

이와 갈이 ADHD 아동플핵 겪는 부주의와 콰영행동, 충통 행훔확 뿔처3는 학

령전거부터 나타나 발달단계 또는 애종 개개의 특성혜 따라서 두드웹째는 문혜

가 달라지더라도 다양한 상황에서 져속척언 어형움을 야가활 수 있다* 그혀묘풍

ADHD 증상 감소를 도와줄 수 었는 치료챔 중째는 많은 AD쪼ID 약풍틀생게 절

실히 요구된다.

Page 19: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7

2. 행동문제 및 섬리사회적 적응문제

1) 대안관계

ADHD는 아동들의 사회적 행동과 사회적 적응을 아주 어렵게 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특히 과잉활동-충동 우세형인 아동들에게 불복종, 공격성, 반사

회 적 행동들은 흔히 나타나며 (Battle & Lacey, 1972; Frick & L따ley, 1991) 이

러한 행동들은 지속적 주의력 부족, 충동성, 또는 ADHD 아동들에게 흔히 통반

되는 품행장애와 관련된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ADHD 아동들의 대인관계 양

상은 충동적이고, 무례하고, 지나치고, 무질서하고, 공격적이고, 격렬하고, 감정

적인 특징을 가지는 것으로 지적되었다. 이러한 특정들은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요구되는 매끄러움, 상호성, 그리고 협동성을 파괴한다(Whalen & Henker,

1992). 성인틀과의 상호작용은 종종 명령 볼복종 체벌이라는 부정적인 싸이클

을 나타내며 다른 아이들과도 자주 갈등을 겪게된다. 약물치료가 파괴적 행동을

감소시킬 수는 있으나 또래에 대한 친사회적 행동이나 사회적 수용을 위한 시

도를 증가시 키 지 는 않는 것 으로 냐타났다(Wallander et al. , 1987).

또래관계의 양상을 살펴보면, ADHD 아동들은 다른 아이들과의 사확책 상호

교류의 특쟁 연 공유, 주고받기 , 협 동을 보이 지 않으며 (Milich & Landau, 1982;

Pelham & Bender, 1982; Whalen & He따‘er, 1985, 1992) 종종 다른 아아들의

활동에 훼방을 놓고 부적절하며 질서가 없고 충동적이고 공격적이며 감정적이

고 버협동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나치게 말을 많이 하고, 진행되고 있는 활동

을 방해하며, 순서를 기다리지 않는 ADHD 아동들의 행동은 또래들을 성가시

게 하며<Barkley. 1991), 일부 경우에는 또래들의 거부가 ADHD 아동들의 분노

반웅을 일으켜 또래를 멀리하게 하고 반사회적 행동을 유도해서 다시 또래들로

부터 거부당하는 부정 적 인 싸이 클을 유발할 수 있다(Frick & C삶ley, 1991). 그

러므로 ADHD 아동들은 또래들에게 거절당하고, 또래들이 그들을 싫어하고, 친

Page 20: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8

구가 거의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Flicek & L없ldau, 1짧5; Johnston &

Pelham, 1985; Whalen & 묘enker, 1992).

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강아 Al표뼈 아동들은 AD앉홍〕 특성얘얘 자연휠 부2쩍절

한 대인관계 행동으로 사회적 적응획 어려융을 겪을 뽕 딴 약냐라 Eεi!il룹의 켜

부로 인해 좌절을 경험하고 또래를 멀리함으로쐐 다샤 ~돼들에책 꺼부당하는

이중의 어려움올 겪고 있다. 그러므로 ADHD 아동얘 때한 형료 중채헥사는 부

정적인 대인관계에서 경험하는 문채틀을 다루어주고 해쩔 량안을 찾도혹 도확

주며 사회적 겨술을 증진시킬 수 었도록 도와줄 뿐딴 아나라 혀들획 벌뺑학 좌

절 경험에서 야가되는 분노감을 표출하코, 손상된 자존양윷 종진잭쩔 수 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2) 가족관계와 모-아 짱호작용

ADHD는 부모와 아통간의 상호작용 및 부모가 자뎌얘챔 딴용하는 방식뼈 영

향을 며찬다. ADHD 야통들은 말야 많고 부정쩍이벼 반항적약고 벼협조2쩍어벼

다른 사람들의 도움을 쩍 많이 二퓨략Jl, 어머냐로부터 독립적으호 열하쩍다 놀쩌

못하는 것으로 보고되 고있다<Barkley, 1985; 압없lforth et al. , 19없Gomez 옳

Sanson, 1994; Mash & Johnston, 1982). 부정쩍안 분포-약풍간외 상호작용은

학령전거부터 나타나(α)heη Sullivan. Min강e. Noγ짧 & Keens, 1983), 청소쩍

기까지 계속된다고 알려쳐 었다(Mash & Johnston, 1짧2, 않§않.

ADHD 아동의 어머냐는 정상 아동의 어머냐보다 져샤적야고, 부정책야며, 약

동의 활동을 간섭하는 경향이 았으며 포-아 상호작용온 구쪼화환 팍책수행 양

황에서 더욱 악화퇴는 것으로 밟혀졌다. ADHD 어통플과 차쪽풀팩 쌓호작용은

부정적, 아동의 불복종, 부모확 지냐친 통책, 형채양확 찰풍i짱 같온 특;쟁핵 았다

(Mash & Johnston, 1982). 가족들은 양육 스트래스가 묘고 양육어~ "[챔환 효놓캅

Page 21: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9

이 낮으며 (Anastopoulos, Guevremont , Shelton, & Dupaul, 1992; Mash &

Johnston, 1983), 어 머 니 들은 심 각한 우울증을 많이 보고하며 , 부부간의 갈등과

별거, 이혼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Barkley , 1996).

특히, ADHD 아동과 청소년들이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에서 나타내는 대부분

의 갈등은 ADHD와 같이 나타나는 반항성 장애(ODD)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Barkley, Anastopoulos et al. , 1991; Barkley, Fischer et a1., 1992).

ADHD와 ODD를 같이 가지고 있는 아동의 어머니는 스트레스와 정신병리가

더 커지며 부부간의 갈등, 이혼과 같은 부부문제도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Barkley, Anstopoulos et al. , 1991; Barkley, Fischer et a1., 1992).

이처럼 부모와 ADHD 자녀의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대부분의 문제는 부모

가 아동에게 나타낸 행동의 결과라기보다는 아동들의 과도하고, 충동적얘며, 규

칙을 지커지 않고, 말을 듣지 않는 감정적인 행동이 부모들에게 미치는 결과때

문인 것으로 보고되고있다(Fischer, 1990; Mash & Johnston, 1990). ADHD 아

동이 약물치료를 받아 고분고분해지고, 부정적인 행동이 감소하고, 부모에 대한

응종 행동이 증가하게되면 부모들의 지시적이며 부정적인 행동 또한 감소된다

는 사실이 밝혀졌다(B따dey & Cunningharn, 1979b; B뼈ey et al. , 1983;

Danforth et al. ,1991; Humphries, Kinsboume, & Swanson, 1978).

이와 같이 ADHD 자녀와 부모의 부적응적인 관계에 작용하는 일차적 요인은

자녀들의 의도적인 불복종, 지시 따르지 않기, 반항성 등에서 기인된 것이라기

보다는 ADHD 증상이 가져오는 충동성, 규칙 따르지 않기 감정적인 행동 둥의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차적 요인으로는 부모들이 이러한 문제를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자녀가 가지고 있는 어려움으로 받아들여 적절히 대처하

지 못한 양육 기술의 부족 때문이라고 할 수 었다. 그러므로 ADHD 자녀가 겪

게되는 부적응 문제를 줄얼 수 있도록 도와주며, 자녀와의 관계에서 어머니가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줄이고, 악화된 부모-자녀관계를 회복하기 없해서는

ADHD에 대해서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어머니들이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양

육기술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즉, ADHD 아동들의 부주의-과활동성 감

Page 22: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0

소를 위한 치료적 기법을 채말라는 것과 흉사혜 ADHD 자1격혜 대한 부.2.확 양

육기술을 직접 다루어줄 때 ADHD 아동뜰의 적융 증잔이라는 처효 목표액; 보

다 효과적으로 도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댐펀다.

3) 학업영역 몇 언지적 컬함

많은 ADHD 아동은 학업수행ÒJl잭 뱀려움올 꺾고 었3즈핵, 성작 횟 성확검사

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ADHD 아동툴야 작흉치억1.햄쩔화펀 활하

기, 언어적 사고의 발달과 환련 있는 실f챙기능얘서 쩔함올 보아가 때문안 껏으

로 추정되는대, ADHD 아동들의 19-26%는 적어도 한 가;;<:1 유형확 학습장애롤

가질 가능성이 었는 것으로 보고되고었다. 저능쐐 1:l1-õll 얽껴, 쩔수냐 철자활얘

많이 뒤떨어지고(Barkley, 1990), ADI웰 아통확 53%는 져농i양 성휩 수준 간혜

심한 불일치를 나타낸다고 한다(L짧nbert & Sandoval, 1980) ‘ 어련 옐궁창해

ADHD 진단을 받은 아풍물회 청우얘는 얽겨짱얘7} 많다놈 연구 결콰도 보고짧

고있다(Wood & Felton. 1994). 또한 ADHD 약흉풀온 훈풍합옹의 문책차 많’약

필거가 서툴고, 운동조정/유창생해 푼쩨쳐 었음어 ;;<:1 쩍되었다.

ADHD 아동들의 30-64%는 활하기와 헐어 영역혜얘 컬향을 보C한용삶cer &

Cantwell, 1991; Beitchm없, 묘ood, Rochon, & Peterson, 1989; 양ross~Tsur,

Shalev, & Amir, 1991) 지나째제 표채 여야껴환다커냐 핵화 주J썩흘 :Ar주 뺑꾸

고 다른 사람의 야야기를 제대로 청취하지 뭇하고, 다흔 사람혈 여야71를 량해

하고, 부적절하체 대화를 시작하깨도 환다는 첫야 밝f쩍졌다.

이러한 결과플은 학령거 ADI짧 아동틀랩 적용펙 역짧용61 꽤-우 적용햄얽짧고

심각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Page 23: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1

4) 선체 건강의 문제와 사고

ADHD 아동들은 건강문제와 외상도 빈번하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DHD 아동들은 호흡기 감염, 천식, 알러지와 같은 만성적인 건강문제를 많이

보야 며 (Harsough & Lambert, 1985; Michell, Aman, Turbott, & Manku, 1987;

Szatmari et al., 1989) 잠들기 힘들고, 자주 깨고, 잠에서 캔 후에도 피곤해 하

는 등의 수변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Barkley, 1991). ADHD 아동

의 충동성과 위험한 행동은 다른 아동에 비해 외상과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경험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으며 (Cuffe, McCullough, & Pumariega, 1994), 10

-25%의 아동들은 보행자 교통사고나 자전거를 타다가 사고를 당하는 등 심각

한 사고를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밟고있다(Barkley , 1991).

5) 합병 정신 장애와 청소년 및 생인기 ADHD

치료가 의뢰된 ADHD 아동들의 35-60%는 7세 이후에 반항성 장얘의 진단

기준을 충족시키고, 30-50%는 품행장애의 기준을 충족시키며 (Barkley, 1않)();

Biderman et al. ,1992), 이 아동들 중 15-25%는 성인기에 반사회적 성격장애

로 진단받는 것으로 나타났다(Biderman et al. , 1992; Mannuzza & K1ein, 1992;

찌Teiss & Hechtman, 1993). ADHD는 반항성 장애, 품행장애, 그려고 반사회적

성격장애와 같은 반사회적 장애약 강하게 연합되며 이러한 장애들을 가장 잘

예언하는 요인 가운데 하냐로 밝혀졌다(Fischer et al. , 1993b; Loeber, 1990;

Mannuzza& K1ein, 1992; Taylor et al. , 1991). 또한 ADHD 아동들의 40%-

50%는 기분장애가 동반되는 등 정서장애에도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ADHD 아동들 중 30-50%는 청소년 및 성인기가 되어도 ADHD 증상아 지

속되는데(Biederman, 1991; Weiss & Hechtman, 1986) 충동성, 부주맴, 미성숙,

반항성, 사회적 기술 부족, 산만함과 같은 행동증상은 청소년기까지 영향을 미

Page 24: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2

차는 것으로 나타났다(Barkley et al 왜없; Hech않1an, 1991; Bied앉man, 1991).

학업실패, 반사회적 성격, 약물남용, 범확행동, 우울증 용은 야동71 II캡 ADHD

진단을 받은 청소년과 성앤플얘서 많아 보고확고 었다볍앓kley et al., 1991;

Biedeπnan, 1991).

이와 같어 ADlID가 동반한 다양한 행동푼체와 삼~사회챔 적웅획 문체율운

ADHD 아동들의 적응 문채7} 심화되지 않도록 하는 치료챔! 여1뺑쩍 7n 업 01 뼈

우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B. 차료적 접근

ADHD 아동에 대한 치료 방법 중 자장 보펠적인 치료 방법용 약풀차료, 행

동수정, 그리고 인지행동치료를 들 수 있다. 이를 치료법온 ADI題 약롱에 E뀌환

특정 증상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캠어나 이들 책료볍 중 단독으효 적용했을 때

ADHD 아동이 겪고있는 부적응 행동을 완벽하케 개산샤컬 수 없는 것은 없다.

1. 약물치료

ADlID는 일차적으로 생물학적 소연을 전쩨로 홉}는 중약훨영잉생 쩍현 창해로

ADlID 아동에 대한 치료적 접근 중 가장 별~ 잭용확 jI 영는 행볍온 중추선져생

각성채를 사용한 약물치료어다(Pe뼈am, 1없9; 聯삶en, 1989). 약불쳐료논

ADHD외 원얀을 중추신경계의 각성 수준이 맞은 첫씩1서 겨얀환 셨;형학적 철함

으로 가정하고 중추산경 각성채릎 이용하여 추억집중력올 촉챙확는 것윷 주목

적으로 하고 었다. 가장 흔히 처방”되는 zt성체는 않ethylphenidate(양명:짧없쉽n),

Dextroamphetamin(약명:Dexdrine) , Pemoline{약명 Cylεrt) 풍 01 였다, 머국확

경우 전체 학령기 아동와 2%얘장어 얘 약불틀을 책향 볕.ït 었는 것호호 보좌

Page 25: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3

되고 있다.

약물처방 아똥의 75%는 주의력 향상과 충동성 및 활동성 감소를 나타냈고

(Whalen & He빼er, 1998), ADHD에 흔히 동반되는 공격성, 불복종, 반항적 행

동들이 캄소하면서(Hinshaw et al., 1989), 부모와 교사에 대한 아동의 순종야

증가하고 모-자 상호작용이 향상되며(Barkley & Cunningham, 1980) 사회적 관

계가 향상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이 약물치료는 산만한 행동을 통제하는

떼에 있어서 가장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긍정적인 행동을 향상사키지는

못하며 아동이 청소년기에 접근함에 따라 효과가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antwell & Carson, 1987; Paternite & Loney, 1980).

게다가 약물치료 시 몇 가지 문제점이 지적되고 었다. 첫째, 약 20-30%의 아

동은 각성제를 복용해도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요증상들의 호

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업수행 사회적 기술에서는 거의 호전이 나타나지 않

았다(Barekly, 1990). 두 번째 문제는 부작용 가능성이다.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불면증과 식용부진증인데 복통, 두통, 짜증, 두드러기, 의도하지 않은 근육 움직

염 등이 나타난다(DuPaul et al. , 1998; Gadow & Pomeroy, 1991). 또한, 각성 제

가 운동성과 목소리 틱을 악화시키거나 심지어는 유발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약물의 효과를 인식하고 있는 전문가들도 오남용의 문제점을 경고하고 었다. 세

번째 문제는 장기적언 약물 치료를 한 경우에 청소년기나 성인거에 이르면 이

러한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인지, 행동 상의 주요 증상이 감소하거나 완전히 사

라진다 하더라도 부수적인 정서적인 문제나 대인 관계 등에서 어려움을 나타내

는 등 전반적인 심리 사회적인 적웅에 문제를 보이는 것으로 지적되고 었다

(Weiss & Hechtman, 1986). 그리고 단순히 약물을 싫어하는 아동야나 부모도

있기 때문에 모든 아동에게 약물 치료를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요약하면, 약물치료로 단기간애 효과를 볼 수 있기는 하지만 약물치료가 가지

고 있는 채한점으로 인해 모든 ADHD 아동들에게 약물치료만을 적용할 수는

없다. 따라서 심리사회적 치료를 통해 약물치료를 대체하거나, 약물치료와 병행

함으로서 약물의 양을 줄이면서 기능의 증진을 가져올 수 있도록 활용되는 것

Page 26: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4

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을 것여다.

2。 얀자행동 놀얘치료

1) 안^l 행동치료

연지행동지료는 부적웅적이며, 부적절한 행똥을 감소시커고, 보다 효율적여며

적응적인 반응을 확립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인지행동척 모웰어1잭눈 ADHD

아동과 일반 아동의 차여점은 문제 책결 행략올 유용하채 서용했는 능력애책

차어가 있다는 것을 가정하고 았으벼, 차거조절기술을 확륙혀고, 문째했철전략

의 사용 방법을 개선찮는 것에 초점을 두고 였다(Meiche갚b융um & As짧now,

1979).

자금까지 수행된 ADl뼈 아동에 해환 치료적 7홉엽을 설i핵보환g 요용죠월3약풍뜰

에거l 자기잔술(self-statement), 자71-모니터령 (self-mor쉰to엽ng) 二l짧고 풍채흥행

결 전략을 가르쳐서 주양력과 자지통채력을 증진하도록 확는 쳐료가 주룰 야루

어왔다. 묘inshaw(1996)는 ADHD 아동들에재 많atch Garn.e윷 아용핵샤 아아뜰

에계 션택된 목표행똥(예를 들떤 지속쩍으로 앉아있자)윷 모얘터핑하고 S행정하

도록 가르치며, 정확환 황정에는 치료짜앨 강화가 주어져도록 혀혔다. 특허 분

노조절을 위해 아어들은 분노단서를 안석확도록 교육받고 홉노활λ‘캅} 냥타나면

다른 집단성원들여 야를 모다터랭확고, 다}옹하도흑 훈련하는 자기{모다웹령 량

볍과 사회적 유능감을 강조한 연;q행동쳐료률 7~펠핵책 그 효3휴가 없용을 보여

주었다.

Fe많ngs, Roberts, Humphries, 그리고 Da장ve(1991)는 용D됐f갱 약풍뜰t쩍쳐} 표헬

링, 역할연습, 숙제, 장화와 같은 다양환 방볍을 사용해서 ‘훌책정 Sl, 복표 세우

지, 해결방안산출, 해결방법성택, 결과 i형 7¥하기’왜 품F채해쩔쩔차를 궁쿄육확였다。

부모들도 。1 와 같은 문채해결절차를 쾌워 ò}핵들어9 체 λ}흉하도혹 2행협확깨1 차

여 AD¥ID 문채 중장의 합소에 효팍를 나타내었다.

Page 27: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5

Horn, Ialongo, Greenberg , Pachard 그리 고 Smith-Winbeπy(1990)는 이 완훈

련과 함께 문제해결절차에 자기-모니터링을 첨가해서 적응적인 문제해결에 대

한 위협을 인식하고, 처리할 수 있는 아동의 능력을 증진시키도록 하였다. 이러

한 언져행동적 치료들은 ADHD와 관련하여 흔히 나타나는 분노조절의 어려움,

사회적 기술 부족, 반항적 행동 등에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I五nshaw,

1996; Hinshaw & Melnick, 1992).

우리나라에서는 장수정 (1998)이 자기교서 훈련을 통해 ADHD 아동들외 부주

의 행동과 충동적 행동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보고하였다. 이경임(1996)

은 인지적-행동적 자기통제 훈련은 특히 언어가 점차 내면화되는 시기인 초등

학생의 자기통제능력의 개선에 효과적이라고 보고하였으며, 자기통제 훈련을 통

해 ADHD 아동의 부적용 행동이 감소된 것(이영철, 안창식, 1999)으로 나타났

다.

그런데, ADHD 아동들에게 언지행동 치료프로그램을 적용하는 데에는 한계

가 많다. 단일한 인지행동치료는 약물 또는 행동치료보다 효과적이지 못한 것으

로 나타났으며 (Abikoff, 1987, 1991; Hinshaw & Melnick, 1992), 학령 전기와

학령기 초반 아동들에게는 인지행동치료를 적용할 수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있

다(Whalen & He따\:er, 1991). 또한, 인지행동치료 자체만으로는 ADHD 증상에

항상 효과적야지 않으며, 행동을 동기화시키기 위해 강화요인이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Abikoff, 1991; Baer & Nietzel, 1991; Bark1ey, 1991). 또한, 일

부 연구자들은 전통적인 언지-행동 치료프로그햄이 섬한 행동문제를 가진

ADHD 아동들에 게 덜 효과적 이 라고 지 적 한다(Bugental et al. , 1977; Sprafkin

& Rubenstein, 1982). 왜냐하면, ADHD 아동들은 다른 사람의 이 야기 를 주의 깊

게 청취하지 않으며, 과제와 관련된 자시를 따르지 않는 경우가 매우 흔한데

(Bark1ey, 1990), 이와 같은 문제들은 아동들이 지사에 주의를 기울이고, 지시에

따라야만 치료가 가능한 인지행동치료를 ADHD 아동에게 적용하는데 어려움을

가져오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이러한 어려웅과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ADHD 아동들이

Page 28: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6

재미있고, 비위협적인 놀이환경애서 자71조절기술을 훈련하도륙 챔핵 자뿔쩍언

동기를 높아고 적극적얀 참여률 유발하기 위해 놀아행료 장면0웹잭 연착행홍채

료를 활용하는 인지행동 놀아치료가 가존의 안지행풍쳐료확 해양‘으로 딴二r .5펴었

으며, 그 결과 많은 아점여 나타나고 었다.

2) 인지행동 불어치료

인지행동 놀이치료는 인지행동치료애 전통적안 놀여책효룹 룡협-향 쳐료방법

이다. 놀아치료란 훈련원 치료자가 샘학적 문쩨를 가켈 나f담X↓흘 J품7l 우}책 체

계적으로 놀이햄 치료적 힘을 적용서카는 대언판켜} 량청오로 영유아차혐 어련

아동들에 서 학령 기 아동들에 께 까지 광범 위 하채 활용되 어 왔다(Schaefer, 1995).

언지행동 놀어치료는 언째가법과 행통객협의 단순한 쩔합 얘짱으로 어론쩍 플

은 인지행동 원칙액 두고 놀이치료를 발달적으로 코려하여 홍합샤환 것이다

(Knell, 1993).

Schaefer(1993)는 놀아치료가 ADI-뼈 아동률얘재 빽차는 긍정적언 영향해 대

해서 다음과 같이 체서하였다. 첫쩌, 불야는 활동 x}책자 출해움을 주묘포 참C냉

에 대한 동거를 유발시킨다. ADHD 아동률은 충통적영 행똥으로 얀짧 학자척

과제를 지속하는 데 öJ i갱움을 가지고 었자딴, 자산아 훨핵서 혔쓴 활똥옳 책속

하는 것은 그렇지 못혈 활동에 참얘하는 첫 보다 환결 수월하깨 때푼에 불얘

를 통한 활통은 지속적언 창여를 도와준다고 강조한다. 풀째, 불혀는 결과다 챙

공보다는 활동 그 자체를 중요사하므로 ADHD 아동들윤 놓얘과;행윷 황한 학슐

과 문제해결과정엠 져부감 없이 참여활 수 았책 정책훈다, 셋쩨, 놓샘는 줄쩍훌

경협아므로 상생님나 부모를 벼롯한 자족, :g:: ~률혜거1 ‘:조뺀챔1:1-, 집중책양

행통해라’라는 부정쩍언 피1::빽얘 익숙쾌져 었눈 ADHD 약똥률헥책 즐거움책­

같은 긍정적언 감정을 갱험케 핵준다. 넷째 놀어 활똥형 환수는 성함짧옳 7}쩌

Page 29: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7

게 한다. ADHD 아동들은 한가지 과제를 완성하기 전에 다른 활동요로 쉽게

넘어가지만, 치료자의 도움을 받아서 완수한 놀이활동은 성취감을 경험하게 해

준다‘ 다섯째, 놀이는 “만약에"라는 가치를 가지고 있어 어떤 상황이나 관계를

다른 방법으로 재경험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놀이 치료는 살수가 잦은

ADHD 아동들이 즐겁게 한가지 일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며, 다른 사람들의

비판이나 질책을 경험하지 않고서도 문제 해결력을 기를 수 있도록 도와준다고

강조한다.

Kaudson(1997)은 ADHD 아동에 대해 놀이치료가 가질 수 있는 치료적 기제

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첫째, 의사소통(cornrnunication)으로 놀이를

통해 ADHD 아동들은 말로 표현하지 못했던 생각과 느낌들을 표현할 수 있게

되며, 둘째, 정서조절(emotional regulation)로 ADHD 아동들이 장난감이나 놀이

감을 통해 자신의 불쾌했던 과거 경험들을 다시 체험하고 성취갑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으며 인지행동적 방법을 통해 자기 통제력을 높일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셋째, 놀이는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용이하도록 해서 치료

자는 적절한 행동의 모델이 되고, 아동의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증진시켜줄 수

있으며, 넷째, 놀이 치료의 다양한 거법들을 활용해서 ADHD 아동들이 일상생

활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에 대처하고 대응하는 방법을 습득하기 용이하다고

강조한다. 다섯째, 게임이나 다른 자아기능을 증진시키는 놀이 방식을 통해 아

동들은 자기통제력을 기를 수 있고, 놀이를 통해 인지적 문제해결능력을 증진시

킬 수 있으며 역할놀이, 행동 시연 등의 놀이 방볍을 통해 생활에서 어떻게 행

동할 것인지 습득시켜줄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들은 놀이가 중요한 치료적 중재의 가치를 가지고 있음을 시사해

준다. 외국에서 지금까지 수행된 ADHD 아동에 대한 인지행동 놀이치료적 접

근은 첫째, 게임 도구나 놀이치료 가법을 개발하여 이러한 게임이나 놀이치료

기법을 활용해서 ADHD의 주요 증상의 개선을 시도한 것과 둘째, 종합적이고

구조화된 치료 프로그램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

다.

Page 30: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8

Shapiro(198D는 충동문제가 있는 ö}어들얘 자가 통체}력윷 7] 르고, 자선여 성

취한 일에 대해서 보상받모록 하여 한약지 과째를 활휴:할 수 있늪 À}거통째1 능

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시간에 맞춰 끝내가 (Beat the Clock)’랴는 켜볍을 7P,뿔

하였다. 이 게엄은 특히 학습 과제나 수업 서간예 주의흘 집증할 수 았는 능력

을 증진할 수 있도록 고얀되었다. Paniagua(1992)가 채뿔환 ‘스택경 블력

(Stacking Block) 게업’은 머리 계획된 의도와 행동야 일치할 수 있도롬 져치홍

제능력을 증진시키도록 고안된 게염이다- 이외에도 체염도구로 채활획핵 판해획

고 었는 도구 가운템 ADHD 략동들에채 널려 활용쩍고 있놓 ‘햄추고3 이완, 생

각하기 CStop, Relax and τhink)’ 계임은 충풍적언 약홍틀어 행풍하71 전어1 쟁각

할 수 있는 능력을 증잔할 수 었도흑 구성되어 었다. 여려환 재영따나 껴볍즐은

ADHD 아동들의 자가통제기술 증전에 매우 효과작안 했요로 냐밟났다

(Schaefer & Reid, 2001).

다음으로 구조화된 치료 프로그램을 살펙보면 다융과 같다. 표en갱aU(1992)용

‘stop and think game progr였야라는 구조화휩 얀책행풍채업을 풍챔 아똥들썩

통제하는 것올 배우고, 충동적 행통을 감소시켜는 폐 그 효과가 있흡슬 보여주

었다. 아이들은 5단계 문제해결절차를 꽤운 후 복첩항 서회적얀 풍쳐1。행 작용하

는 과정에서 ‘stop and thi뼈’를 통해 짜71-모1냉핵랭을 확쪼록 캉화앓윤 과정으

로 구성되어있다. Kaudson (1997; 2000) 은 다양한 치료쩍 황볍툴옳 조합형 단겨

언지행동 놀이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어 프포그햄은 빼주 15분갔획 부보

훈련, 많분의 개별 얀À1 행동 놀야치료를 실사환 월확깨획 탤-가 표로그램으로 7P'

별 아동들을 엉상적으로 판단해서 펼요한 경우혜는 약뿔치료, 향즙 햄임교사염

치료적 중채, 사화기술 훈련 퉁야 함째 병행되었다ι 야핵한 파;성올 통해 직접챔

으로 부모와 아동이 ADHD의 핵려움을 다풀 수 있는 껴출올 7P'방셔칼 수 았토

록 하였으며, 프로그램 후 부모와 아동들의 증상어i 대환 여해, AI갯짧D7} 야71 활

수 있는 어려움얘 대처하는 가술 풍이 채성펀 것으로 싹확왔다.

어처럼 놀야치료가 외국어}잭 암상적 가치를 행;생헬?헥황으로셔 우'2-11.추라얘1 잭

도 학령전기 몇 학령기 아동들을 때상으로 농얘치료룹 설쩌혁·는 71환과 쳐효소

Page 31: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9

가 상당히 많이 개원하였고, 대부분의 기관이나 치료소에서는 ADHD 아동을

대상으로 치료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구조화된 놀이치료 프로그램

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입증하는 연구가 시도된 경우는 극히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는 ADHD 아동에 적용할 수 있는 구조화된 인지행동 놀이치료 프로그램을

제작, 실시하였다

3. 부모훈련을 통한 행동수정

행동수정은 ADHD 아동을 치료하는데 약물치료 다음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

어왔으며, 행동수정 기법은 ADHD 아동의 학엽 수행을 향상시키는데 약물치료

보다 더 효파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Pollard, Ward & Barkley, 1983). 그러

나 ADHD에 대한 중재 프로그램에서 행동수정기볍들은 치료자에 의해서 사용

되기보다는 부모나 교사가 행동수정기볍들을 익혀서 아동의 적절한 행동을 강

화하도록 돕는데 활용되고 있다.

행동수정 원리에 바탕을 둔 부모훈련 프로그램은 ADHD에 대한 폭넓은 임상

적 접근의 한 부분이 되고 있다. 부모훈련은 아동의 문제행동을 교정하는데 전

통적인 아동중심의 치료관점에서 벗어나 부모를 보다 적극적인 보조치료자

(co-therapÍst)로 끌어들여 새로운 처료적 협력관계를 형성하려는 목적에서 설시

된다(하은혜, 2000). ADHD 아동의 부모훈련은 대개 행동수정 기볍을 부모에게

교육함으로서 부모가 행동수정 월리를 사용해서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고 아통의

긍정적인 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ADHD 아동이 상황에 적

절한 행동을 하고자하는 자발적언 동기가 부족한 점을 극복하도록 하기 위해서

아동의 행동에 대해 강화의 원리를 사용하여 일관적이고 지속적이며 즉각적인

수반관계 (contingency)를 부모가 습득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Barkley, 1987). 특히 최근 들어, ADHD가 전적으로 주의집중의 장애라기보다

Page 32: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20

7.--1 /、장해안 자가 통책 ( self-control)획 발달적 자기조절(self-regula칩on) 혹은 '--­

'-

같다는 새로운 판점이 태두됨애 따라 부모들에 의한 계속척연 확척홍가 부여찍

필요성이 한층 강조되고았다(Barkley, 1995) ‘ 그려묘로 루표들혜체 가정혜서 쉽

게 적용할 수 있는 행동관라까볍을 가르치는 부모훈련윤 ADHD 쩍료액 효과쩍

일 수 있다.

E 흉

해 。

활뽑종책연〕 랜항2썩쩍고 아통왜 。3 점은 일차적언 부모훈련맴 이러한

감소시킬 수 있으며, 부모는 자녀의 다루기 힘든 행동을 효과적으흥 다루는 법

을 익힐 수 있고, ADHD 자녀를 71르면서 렴째되는 정샤쩍언 역 E냉움을 핵결하

도록 도울 수 었다는 점이다.

그 L 챙동수;성쩍 휠확어i 도

Barkley(l987)는 이 차강화의 원 려 , 자가 -통져} 자 헬

문채흘 교 아동에게서 나타나는 벼순총과 행풍화획 거하여 2-11새 연령범위의

프로그햄얘서 부모는 자 정하도록 고안된 부모훈련 프로그램을 제작하였다. 01

약동의 벼순 녀에게 관심을 보이고 적절한 양호작용을 할 수 었도록 저사탑빽

종 행동을 다루는 방볍을 해운다. 행。m(1앓8)은 행몽수정완협해 차초한 12주간

기본적환 행똥수정획 원~확- 약람적환 행똥

헤 관심을 보아는 방법을 강확하고 타염-약웃, 순종훈련, 행풍계약렵과 학교애

부모훈련 프로그램을 채작하여 의

서 일어나는 문제행동을 뎌루는 뺑법들을 략루었다.B뼈omquist앉없6)는 짜족과

흥책혈)1;1 행흉윷 반항적이고, 자선염 강조한 행동수정가법으로 개입을 사회적

못하는 아동들을 위한 치료 프로그램융 7~발혀였요팩, 용elham과 꿨oza(19앉짧은

점수체계, 어른에 의한 명확한 명령, 타업-약웃, 부모행풍훈환과 찰은 챙풍수청

가술 훈환, 스포츠 맞 다플 구조확활 활폼핵 활 가법과 함께 집단치료, 사획적

등파 같은 쳐료 내용으로 P~주 5얼간 서행환 j용도휴양빽 여름 쳐효프로그 여하기

램을 제작하였다.

야처럼 여러 연구자를야 캐웰한 ADl짧 아동와 부포교육 프로그행에늠 공통

적 안 요소가 있다(Anastropoulos et al, 1996; Barkley, 1양97; B싫om앵집1St, 1996;

확립하고g 겨준여 형는 자능 수춤을 파

악하기 위 챔 ADHD 아통과 가족플올 자세확 평 7t한다. 풀짜, 부모어}깨11 ADHD

Kronenberger, 1999). 첫째, 치료폭표흘

Page 33: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21

의 증상, 원인, 특징, 유병률, 경과, 치료에 대해서 설명한다. 부모들은 ADHD

의 생물학적인 근거를 이해함으로써 장애에 대한 죄책감에서 벗어나게 된다. 그

후 강화 원칙, 강화 스케줄, 강화로써 주의주기, 처벌, 조작적 조건화 동 행동수

정기법을 설명하며 ADHD의 특정적언 행동을 다루는 방법을 가르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부모一자녀 관계와 갈등의 성격이 탐색된다. 부모들은 자동적으

로 나타나는 부정적인 행동을 감소하고, 긍정적인 수반(contingency)을 증가시

키는 방법을 배우게 된다 셋째 부모는 교정되어야하는 아동의 행동에 대한 치

료목표를 확립한다. 넷째, 특별놀이시간, 긍정적인 주의기울이기 등과 같은 방볍

들을 통해 부모와 아동이 서로를 수용하고, 관계를 향상시키도록 한다. 부모들

은 자녀의 적절한 행동에는 관심을 가지지만, 부적절한 행동은 무시하도록 한

다. 이처럼 아동의 긍정적인 행동에 관심을 가울이는 것은 아동여 미래에 긍정

적인 행동을 나타낼 가능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배운다. 다섯째, 목표로 세운

문제행동에 대혜서 강화 체계 (reinforcement system)를 적용한다. 강화는 아이

의 눈에 쉽게 띄는 구체적이며 의미 있는 것이어야 하며 문제 행동에 즉각적

으로 주어져야한다(Hersher, 1985). 1, 2주일 뒤에는 타임아웃이나 반응대가와

같은 부적 강화와 처벌을 적용하는 방법을 배우게 된다. 여섯째, 다른 행동과

상황으로 일반화시킬 수 있는 기볍들을 적용한다.

부모훈련에 참석한 후 아동의 행동에 의미 있는 향상이 야기되었음이 일관적

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외에도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해서 부모를 참여시켜 치

료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성과를 높이고자하는 시도는 모든 프

로그램에 일반화되어 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부모훈련프로그램을 통해 아동의 기능이 향상되고, 부모

의 양육 스트레스가 감소되고 자아존중감이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nastropoulos et 떠., 1998). 또한, 부모와 자녀 모두 서로 상대방의 행동이 증

진되는 것을 보기 때문에 긍정적언 상호작용을 이끌게 되며 (Danforth et al.,

1991), 아동의 반항적인 행동어 캅소되어(Kaz버n, 1993) 부모를 귀찮게 하고 괴

롭히는 ADHD 아동들의 경우 부모훈련은 특히 중요한 것으로 보고되고있다

Page 34: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22

(Biedennan, 1991). 아동들의 학엽수행도를 증가시커는 팩에도 효파척연 것으로

나타났다(Ayllon et al. , 1975). 어확 같은 행동적 부포훈련의 효과는 국L흉 연구

에서도 겸증되어 ADHD 아동들의 챙우 약율차료만 실사한 경우보뎌 부모훈련

을 병행한 경우 아흥확 행동변화 및 부모, 교사의 아똥얘! 대한 후챙쩍 얀잭획

개션, 부모의 양육 스트헤스 감소 퉁이 더 컸다는 결과략 채사획었으E변싼환섭

오경자, 홍강의, 1995; 김쩨설, 얀통현, 야양희, 1998), 표혀훨(1993)은 ADl깊3 자

뎌를 둔 어머니들에게 집단부모훈련 프로그램융 실서혀액 AD짧압 문채증상여

감소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아력한 결과들은 AD표B 아흉에 해한 쳐료에서 3휴3표훈훨을 i챙행하는 짧은

ADHD ö}동들의 문제증상 창소 뿐 딴 약녀라 부]묘빽 양육 스트쾌£ 강소확 양

육가술 습득에 매우 효과쩍업을 시사현다.

4. 병합차료볍

야론적 관점에서 볼 때, 한 장에에 r갱환 푸자져 다룡 치효적 ï~ 업은 여핵 차

지 방석으로 병합될 수 있다(Uhlenhuth, Liprnan, & Covi, 1없앓- 각 치효쩍 효

과가 특정 영역해서 서로 합산훨 수도 었으벼, 또는 각 차효가 젝효 사얘척 효

과를 냐타때벼, 합싼 여상의 때우 큰 효파흉 나타낼 수표 었다‘ 쩍육여 AD쪼ID

는 임상적으로 서로 다른 영역얘셔 두드러져는 푼채틀 자져고 었가 때푼책 Z¥

기 다른 치료적 방식은 서로 보완챔일 수 었다‘ 즉, 향략쳐 쩌료7¥ 특정 t영역해

영향을 미참다변, 다른 치료적 개엽은 다른 영역에 긍정챔힐 영향을 며철 수 었

다(Hinshaw, 1994).

임상쩍으로도 ADHD 쳐료 사 약물치료흘 흥책 활71 강해 효짝률 볼 수 었척

만, 약물 치료가 가자고 었는 제활장들은 모든 아동플쐐채 약붙을 잭용활 수 없

거l 만들가 때문에 1980년때 후반부터 ADHD혜 혜한 약물파 첩웹사햄챔 t영합

Page 35: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23

치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러한 병합 치료 방법은 약물 치료를 시행하는

경우 약의 복용량을 줄이면서도 기능의 증진을 가져올 가능성이 크다는 장점이

보고되고있다. Ia1ongo와 동료들(1993)은 치료 효과를 장기간 지속하는데 병합

치료법이 유리하다고 주장한다. 특히 섬한 반사회적 행동을 나타내는 ADHD

소년들의 경우에는 약물과 아동 섬리치료, 가족치료, 부부치료, 그리고 개인지도

를 포함한 종합치료방볍이 더 좋은 것으로 보고되었다(Satterfield, 1994;

Satterfield et al, 1987). 또한, 병합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고찰한 연구들은 병

합치료적 개업이 이루어진 아동들이 처치를 받지 않았거나 한가지 처치만 받았

던 아이들보다 더욱 잘 적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Satterfield, Satterfield &

Antwell. 1981). 미국 국립정신건강 연구소에서는 ADHD에 대한 치료에서는 어

느 한가지 치료법만으로 장기적안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종합적인 치료방

법만이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결과를 기초로, 장기적이고 집중적언 종합적

인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재 그 효과를 밝히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있

다(Fichters et al., 1995).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진 ADHD에 대한 병합치료 연구들을 살펴보변, 김미애

(1998)는 ADHD 아동에게 약물과 인지-행동치료를 병행한 후 ADHD의 주요

증상과 문제 해결에 있어서 약물치료만 사용한 경우보다 인지행동치료를 병행

할 때 충동성이 더 감소하고 사회적 문제해결에서도 다양한 문제해결 방안을

도출한다고 결론지었다. 약물과 부모훈련의 병합치료를 다룬 연구들(신민섭, 오

경자, 홍강의, 1995; 검세실, 1996)에서도 약물치료 단일의 효과보다 병합한 경

우 긍정적인 효과가 크다고 보고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아동들은 약물에 효과가 없으며 약물치료가 ADHD 아동의 여

러 가자 습관화된 충동적인 행동패턴이나 문제해결방식을 변화시키고, 바람직한

행동이나 자기조절 능력을 학습시키는데는 거의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채한점

(신민섭 외, 1995)이 있으며 단순히 약물을 싫어하는 아동이나 부모도 있기 때

문에 모든 아동에게 약물 치료를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다양한 심리

사회적 치료적 채업방법들을 병합하는 것은 약물치료를 대체하거나, 약물치료를

Page 36: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24

보완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활 수 었는더1, 업상작으로 심학사철햄

병합치료법의 효과를 입증한 연구는 많지 않다.

우리나라에셔 실시된 약물치료를 해제한 ADHD 약똥에 E써한 팽합쳐료 포로

그램에 대한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감옥정(1998)은 초등학생 I학년 아동풀어R 채

반응대가, 독서요법, 사회적 깨술훈련을 실시향 결와 부주획; 총옹생--파영행홍씩

줄었으며, 친사회적 행동, 학습기술, 져약존중감의 긍정적얀 뺨햄7} 냐타냥 청효

로 보고하였다. 조훈(2000)은 사회적 가술 훈련과 자싣갑융 높때주는f 쳤어} 중점

을 둔 심성계발훈련으로 구성휠 치료프로그램으로 충흉성-과영챙뽑혁 감소하31,

자기통제력이 향상되었으며, 자아채념억 긍정적으호 변화확였다고 보고행였다.

정션매 (2001)는 자기통제훈련, 자가관찰에 확한 반융햄7¥, 사혔잭 지술 훈휩율

적용한 훈련 프로그램을 통햄서 부주의, 충동성-과양행동획 처효쩨 효과거 았다

고 보고하고 있다.

그런데 이라한 병합치료 프로그램를 대부훈어 안-"1행동적 치효 거법옳을 쪼

합하거나 인지행동적 치료 기법에 사회적 가술 훈련올 t형합-환 것에 국한휩얘

였으므로 한계가 많다. 즉, 언지행통 치료거볍은 긍정척언 행홍울 때벌화확고

학습 수행의 호전과 자기통채방식해 있씩셔 효챔척억나 약풀쳐효냐 행통2생 척

료와는 달리 문제해결단계의 많은 부환핵 은헥되핵었고 직접 2썩 5즈로 챔겸확객

어려우며 치료 가간이 오래 갤라고, 열반화확카 액형옳다는 향챔7} 었다〈강경화,

1995). 또한 Hom, Ialongo, Popovich와 Perado양。(987)획 재 2석 태로 얀-"1 행흉쳐

료만으로는 ADHD 아홍여 자가통체 황볍윷 학숍할쩌라도 주변 환경야 아똥틀

의 새로운 행동을 강화하거나 촉잔할 수 있표홀 프로그램화확어 었)(1 풋하다는

한계가 있어 그 효과가 채한된다. 그려묘로 학령전얘나 확령 71 싹풍툴δ굉쩨는 쩍

합한 행동을 강화하고 효파적언 량향을 쩌시하핵 일판성었는 훈현을 활 수 였

도록 환경을 조성해줄 수 었는 부포 훈련을 통한 행풍수;성 뺑법여 t챙챙E갱어야

치료 프로그램어 더욱 효과쩍야 될 수 었올 것야다(황웹자, 강‘옥;쩡, 1998).

본 연구에서는 ADI짧에 대환 재벌치료볍에 f챔한 돼얀2쩍안 첩잠요로 부모훈

련과 언지행동 놀아쳐료 두 가지 방법올 병합한 쳐효볍율 활용확고짜 향다. 언

Page 37: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지행동 놀이치료를 통해 ADHD 아동들은 즐거운 놀이 환경 속에서 쉽게 치료

에 참여함으로써 자신의 감정을 적절히 의사소통하는 기술과 주의집중하는 것

올 배우고 자기통제력과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될 것이며,

부모훈련을 통해 부모들은 ADHD 아동에 대한 양육기술을 익히고 아동들이 익

힌 자기 통제전략을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강화해줌으로서 치료 효과와

유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Page 38: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m. 연 구 방 뀔톨

A. 연구대상

본 연구는 아동들의 행동문체 풍을 사유로 묘 대학교 뿔달장해싹흉챙턱를 얘}

원하여 심리학적 평가와 암상심려전문가획 소견애 따라 &묘끓D 정항을 밭은

아동들과 서울시내 초등학교의 담양 교사들어}게 DS짧-흉T(American

Psyduatry Associa따。n, 1994)의 ADlID 철단준거에서 6재 여상 향폭쐐 E행당휩

는 것으로 평정한 아동들을 일차적으로 섣정하였다(20없댐 6월~ 20021날 3월)‘

교사들에게 꽤부한 진단준거는 <표 1>에 채셔하였다. 얘들 아통 중 부포편짧

을 통하여 진단 준거에 해당략는 아동을 다셔 선쩡하였략. 교삭로부빽 의힐된

아동의 어벼니에채 ACRS와 K-CBCL을 실셔하여 아동에 해한 부7¥적인 ;생보

를 수집하고 ACRS의 경우 정상아동의 평균참수로부담 2SD(l용접》어장외 점수

를 보이는 아동을 선정하였다.

발달장애아동센타로 때원환 아동들과 표사얘 의해 앨휩쩔 ò}풍물 모두 약동

용 지능검사(KEDI-V\πSC)를 실사하여 주획접종 문쳐}률 i행 7¥확는 산준·푼채, 슛

자문제, 빠진곳 찾가 등에서 다른 소검샤햄 평균수춘 01확획 수행올 확얘 추획

집중에 문체가 었다고 밝혀잔 아동을 선정하였고, 우울장얘냐 한향장얘 풍 l휴

른 문채가 주원인연 경우는 연구대상에책 채확함었다. 또환 AD꿇D릎 충증상요

로 소아정신과에서 처방한 약물을 불용하고 었、는 략롱은 연구때쌍혜서 쳐1휘하

였다.

앞서 채사한 선정 가준올 만좀하는 것으로 판단퇴는 아홍용 총 14명얘였으

며, 이 중 7t청은 치료참여집단, 7명은 통채집단해 속하채 되었E후ι 책효 접활 ?

명중 1명은 아벼지의 외도로 심각향 결혼 위가를 맞겨3월 핵쩍1-1자 혐혀 포중

참여할 수 없다는 의사를 밝혐 최종적으로 6명의 자료가 사후 쳐효 효과분석

Page 39: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27

얘 사용되었으며, 치료 종료 후 1년이 지난 추후 평가에서는 1명이 이사 후 연

락이 불가능해져 추후 평가를 실시하지 않아서 치료 집단 6명 중 5명의 자료

만여 분석에 사용되었다. 통제집단에서는 사후 평가 거부 사전 평가를 실시한

후 다른 기관이나 병원에서 심리치료나 약물치료를 시작하게되는 등의 이유로

3명이 사후 평가를 받지 않아 최종적으로 4명의 자료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표 1> 교사에게 배부한 ADHD 진단기준

1. 자리에 앉아 있을 때에도 자주 손과 발을 만지작거리거나 조바심을 낸다.

2. 자리에 앉아있도록 할 때 앉아있는 것을 힘들어한다.

3 외부의 자극에 의해서 쉽게 산만해진다.

4. 친구들과 놀이를 할 때냐 집단활동을 할 때 차례를 기다리지 못한다.

5. 자주, 질문이 다 끝나기도 전에 성급하게 대답을 해버린다.

6. 다른 사람이 하는 지시를 끝까지 따라하기가 힘들고 집안 일도 다 끝마치지

못한다.

7. 과제 수행이나 놀이 등의 활동을 할 때에 차례를 기다리지 못한다.

8. 자주, 하던 일을 끝마치지도 않고 다른 일을 시작한다.

9. 조용하게 놀이를 하는 것이 어렵다.

10. 자주, 지나치게 이야기를 많이 한다.

11. 종종 다른 사람을 방해하거나 중간에 끼어든다. 예를 들어, 다른 아이가 하고

있는 놀이에 간섭을 한다.

12. 자주, 다른 사람(교사나 부모)이 하고 있는 말을 듣고 있지 않은 것처럼 보인다.

13. 자주, 집과 학교에서 과제를 수행하는 대에 필요한 물건들을 잃어버린다. (예를

들어, 장난감, 연필, 책, 과제물 등).

14. 자주, 결과를 생각하지도 않고 위험한 놀이를 한다(예를 들어 주의를 살피지도

않고 도로에 뛰어들거나 책상 위에 올라가서 뛰어내리는 행동).

Page 40: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28

치료 집단과 통제 집단의 인구 통계학적 요힐에 대한 장효자 <표 2>얘 쩨샤되

었다.

<표 2> 치료집단과 통채집단획 인구통계학적 특성

평가치

아동

연령

학년

KEDI-찌TISC 총정

KEDI-WISC 언 애 쟁 점수

KEDI-WISC 동작성접수

어머나

연령

교육년수

BDI

사회경제적 수준(범워 1-5)

직업 무

ìT

BDI : Beck Depression Inventory

연구 집약

(n==6)

Ka<SD}

8.73( .65)

3.oo( .63}

115.때(7‘31)

111.00(8.71)

116.83(7.33)

39.67(2.73)

15.330.63)

10.50(9.60)

3.17( .98)

g

x

B. 치료집단과 통쩨잡단 간 사청i흉?¥ 훌앵

통2형 젊딴

(n=4)

M(SD>

8.72( 1.17)

2.75( 1.26)

107.50 (웰.21)

f양6.50(11.68)

103‘75(11.87)

40.75(3‘ 30)

13.oo(강.00)

13.25(9.84)

3.75( 잃}

3

x a

사전평가에서 치료 집단파 통제 컵닫핵 통절적떤 집단연쩌 확혈짧깨 위략여

각 평가치에 대해 Mann-Whitney test 첨증하였고, 그 쩔i뽕는 〈표 3>얘 쩨잭

하였다. 치료 접단과 통채 집단 칸획 쳐능, K-CBε£확 총푼채 행흉1.쐐책짧

Page 41: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29

외현화 문제행동 증후군, ADHD의 주 증상인 과활동성, 가정상황 문제행동수와

심각도, 자기통제력 등 어머니가 평가한 자녀의 문제 행동의 모든 평가 영역에

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치료 집단과 통제 집단 간의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부모역할 효능감, 부모 역할 불안감이나 어머니의 우울감과 같

은 어머니의 자기 평가 영역에서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따라

두 집단은 인구통계학적 변인은 물론 모든 사전평가 변인에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각 점수들의 의미를 보면 어머니가 자녀의 행동을 평가한 K-CBCL에서 총

문제행동 증후군의 총 문제행동 증후군 T점수는 치료집단과 대기 집단 모두

63T점으로 염상집단의 선정기준으로 제시된 63T점(오경자, 홍강의, 아혜련, 하

은혜, 1995)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나 선정된 ADHD 아동들의 총 문제행동 점

수가 암상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수준이었다. ADHD 아동의 주증상의 하나인

과잉활동성을 측정하는 코너스 부모용 평정척도에서는 치료집단과 통제집단 모

두 ADHD를 분류하는 기준치언 16점을 상회하여 ADHD의 주요 증상언 과활동

성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 스트레스도 치료집단 93.33점 (SD=14.63) 통제집단 93점 (SD=12.58)으로

지역사회 여성을 대상으로 한 오경자와 김은정(1988)의 연구에서 조사대상의 평

균이 77.18(SD= 13.99)임을 감안할 때, 상위 10% 이내의 양육 스트레스가 상당

허 높은 집단이 선정되었음을 보여준다.

Page 42: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30

<표3> 치료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평가 점수양 집단 간 차야검증 절과

아동

K-CBCL

평가영역

총문제행동 증후군

내재화 문제

외현화 문제

코너스 쭈포용 평챙척도

가정장황의 행동평가(HSQ)

문제행동수

문제섭각도

자71 통쩨 력 (SCRS)

코너스 교사용 i행청척도

액머나

양육 스트댐스(Psn

양육 스트레스 총점

자녀의 거잘과 관련된 스트혜스

자녀와의 관계로 인한 스트례스

학습 기대와 관련된 스트래스

부모역 할효놓감(PSOC)

부포역할 불안감

어매냐-자녀 장호 행동

자녀왜견 존중

강업 및 처벌

정서적 애정 표현

활동공유를 통한 애정 표현

독립적 행동의 격려

벼 얼관적 행동

친릎월효띠三§j

Medmn

54.50

12‘50

17.00

16.50

15.00

57때

150.50

34.25

89.50

29.50

22.50

11.00

25.50

14.50

37.50

33.많

21.50

18.00

14많

12.50

울첼잖앞생표2

M삶mn

62.50

11.00

12.50

19‘50

14.00

66뼈

158.50

36‘00

93.00

23.50

25‘5젠

12.50

22.않

12.00

34.00

34.00

20없

18.00

묘.5엉

11없

Z

.64

-.43

-‘32

-‘65

-.22

.00

-.43

-.22

-업

-.96

-1.52

-1.30

~‘86

-‘65

-.87

‘짧 -.01 -.46

-‘강2

-용2

Page 43: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31

C. 연구 절차

1. 대상 아동의 선정

행동문제 등을 사유로 E 대학교 발달장애아동센터를 내원한 아동들의 경우

진단을 위해 심리검사 바테리를 사용하여 인지와 정서, 성격 특성에 대한 종합

적인 평가를 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ADHD 소견을 나타내는 아동의 어

머니에게 어머니용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서울시내 초등학교의 담임 교사들에

의해 ADHD 진단준거에서 6개 이상 항목에 해당되는 것으로 평정되어 의뢰 된

아동들의 경우에는 어머니와의 전화통화를 통해 프로그램의 내용을 설명하고

참여의사를 밝힌 어머니에게 어머니용 설문조사와 함께 아동에 대한 지능평가

를 실시하였다.

문제 행동에 대한 조속한 치료를 위해 발달장애아동센터를 직접 내원한

ADHD 아동의 어머니들의 경우 즉서 치료 프로그램이 시작되기를 원하고 희망

후 l개월 이상 경과되면 치료를 위해 다른 기관으로 내원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들 아동들과 담임교사의 권유로 참여하게된 ADHD 아동들에 대한 치료 집단

과 통제 집단 간의 무선 할당은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발달장애아동센터를 내원

한 아동들 4명은 바로 치료가 시작되었고 담임 교사에 의해 의함된 아동들 가

운데 3명의 아동들이 치료에 참가하였다. 통제집단은 어머니가 직업을 가지고

있어 아동을 데리고 주 1회씩 내원할 수 있는 현실적인 여건이 되지 않깨나 가

정 내 문제 등으로 당장 참여하기 어려운 어머니, 진단은 원하지만 치료얘 참여

하는 것에 대해 주저하거나 거부적인 어머니 등으로 구성되었다.

2. 인지행동놀이치료 및 부모훈련 프로그램의 실시 절차

치료는 본 연구자가 주관하여 실시하였으며 진행 보조자로 심리학과 학부생

1명이 함째 참석하여 치료 과정을 녹화하였다. 전체 치료 프로그램은 주 1회 1

Page 44: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32

시간 40분씩 총 10회에 걸쳐 E대학 발달장애아동샌터 해 처료살해서 질잭협었

다. 치료 집단 구성원 중 치료가 중단휠 p용획 어머니를 쳐1획혀고 다벼저 8명은

10회 모두 참석하는 100%의 참샘률을 보였다.

치료집단에게는 프로그램이 종결된 후 사후평가를 허-였으며, 쳐효거 꿀1난 후

9개월 후 추후평가를 실셔하였다. 부포용 설문지롤 어벼니해채 휩성용 홈투따

함께 동봉하여 우편으로 우송하고, 전화로 질문자왜 수잔 여부틀 확영하였으벼

다시 우편으로 회수하였다, 연구의 실시 절차는 〈그험 1>과 같다。

E 발달장애아동샌터 내원 아동: 종합섬려겸사 바테리와 부모 혈접

후 ADHD 진단 아동 션멸

교사얘 획해 의뭘훤 약홍:

코애스 부쪼용 i쟁정척도 16점

어상, K-CBCL KEDI-WISC, 부모면 접 후 AD옆D 전단 아동 선혈 i

S ι/

치료 프로그램해 대한 소개 및 참여확사 확언

사전 평가 설사

'" s

치료 집단:10주간 치료 실서 『융굉 좌단: 처료 잘싫곽권

사후 평가 실시 I [ 사후 i형자 실λ}

시E

-가 輔-

〈그렴 1 > 연구확 전행 절차

Page 45: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33

D. 측정도구

ADHD 아동에 대한 인지행동놀이치료 및 부모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

하겨 위한 절차로서 아동의 언지, 행동, 어머니의 정신건강과 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각 평얘도구가 사용된 사기는 <표 5>에 제시하였고

평가도구는 부록에 첨부되었다.

L 자녀의 문제행동 평가

1) 아동행동 조사표(Korean-Child Behavior Check1ist: K-CBCL)

아동의 적응 및 문제 행동을 교사나 부모가 3점 척도로 평가하는 것으로

Achenbach와 Edelbrock(1983)7} 제작한 것을 오경자, 이혜련, 홍강의(1990)가

번역하여 표준화하였다. K-CBCL은 사회능력척도와 문제행동 증후군 척도로

나뉘어져 있다@ 문제행동 증후군 척도는 1137R 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았으며 각

문항마다 아동의 행동문제를 0점(전혀 해당되지 않는다), 1점(가끔 보였거나 그

정도가 심하지 않다), 2점(자주 보였거나 그 정도가 심하다)으로 평정하도록 되

어있다. 사회능력 척도는 사회적 관계의 질을 평가하는 사회성 척도와 학령기

아동의 학업 수행 정도를 평가하는 학업수행 척도가 포함된다. 문제행동 증후군

척도에는 임상적 행동문제를 평가하는 하위척도인 위축, 신체증상, 우울/불안,

사회적 미성숙, 사고의 문제, 주의집중문제, 비행, 공격성 등 8개의 하위 척도와

내재화 문제 척도, 외현화 문제 척도가 포함된다. 분석에는 내재화 문제 점수,

외현화 문제 점수, 총 문채행동 증후군 점수가 이용되었다.

2) 란축형 Conners 부모용 평청척도(Abbreviated Conners Parent

Rating Sca1e-Revised: ACRS)

Page 46: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34

ADHD 아동의 주요한 행동푼체흘 부모양 i묘셔7} 평 7}화는 컸으효

Conners(1970)가 93문항으로 제작환 것을 Goyette, Conners확 u삶ch(1978)가

10문항으로 축약하여 재정하였고, 이률 국내해셔 오경자, ò1 혜련(l989}여 현양한

것을 사용하였다. 코버스 부모용 평정척도는 0-3까지외 4점 척도로챔 배들 점

수를 합산하여 총 점수를 산출하였으며 가능한 점수볍위눈 풍30점야고 점수차

클수록 문제행동이 심각함을 나타댄다 현안한 얘 척도획 산휩도는 Cronbach외

α 지 수가 .82로, ADI-뼈를 분류하는 껴 준치 는 평 균어i1 2SD률 r:-] 항 16첩 여 다. 야

척도는 부록 3에 제서되어 었다.

3) 가정상황악 행동평가.Ãl (Home Situation Que용;tionnar용: 훌훌§않}

가정과 공공장소 등 C냄려 가지 다양한 상황액서 아동펴 나확태는 과영활동성

과 주의 집 중 쩡 도를 아동의 부모가 평 정 하는 것 핵 다.B없꿇ey(1987)가 체l작혔으

며, 167}지 상황의 문제행동 유무를 우션 평정하고, 푼책가 었략병 야를 F'첩 (7}

볍다)에서 9점(매우 심하다)까져로 평정하도록 되어었다. 자능환 정수 햄우}는 g

점에서 144점까지이다. 분석애는 평챙휠 문체행풍획 수와 문채챙똥핵 짧각도률

모두 사용하였다. 여 척도는 부록 4에 채사팩어 었다.

4} 자가 통제 검 사(Self Control Rating Scales: SC월S)

Kendall과 Wilcox(1979 )가 채작했으며 책7] 교사 훈량형외 효과흘 측청효}71 없

해 개발하였다. 인지척 자기통쳐}와 행동쩍 자기통책률 측정혀한 337ß혐 훈형-요

로 구성되어 었으맥, 교사나 부포가 평청하는 것여다. 1첩〈약캐풍채양 높다)행책

7점(자가통제가 낮다)까지로 평정하도록 되애었으빽, 검사 째경λ훈 선웹도 는 .84

。l 며, 내적 합치도 Cronbach획 α지수가 .98얘다. 본 혈구얘서는 양명획〈않88}가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부록 5액 채셔 E꾀어 였다.

Page 47: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35

5) 코너스 교사용 평정척도(Conners ’ Teacher Rating Scales-28:

CTRS)

ADHD 아동의 주요한 행동문제를 교사가 평가하는 것으로 Conners(1969)가

제작하였으며 국내에서 김옥정(1993)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CTRS는 28문

항 4점 척도로서 이들 점수를 합산하여 총 점수를 산출하였으며 점수가 클수록

문제행동이 섬각함을 나타낸다. 번안한 이 척도의 신뢰도는 Cronbach의 α지수

가 .94어 며 , 행 동문제 (8문항), 과다활동(7문항), 주의 산만-수동성 (8문항), 기 타(5

문항)로 구성되어있다. 이 척도는 부록 6에 제시되어 있다.

2. 어머니 평가

1) 빽 우울척 도(Beck Depression Index: BDD

어머니왜 우울증상 여부와 그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최미례

(1987)가 번안한 BDI 수정판(Beck. 1979)을 사용했다. 총 21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문항 당 0-3점이 할당되므로 가능한 점수의 범위는 0점에서 63점까지

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 정도가 섬한 것을 나타낸다. 번안한 척도의 신뢰도

계수는 .83이다. 이 척도는 부록 7에 제시되어 있다.

2) 양육 스트래 스 척 도(Paren바19 Stress lndex/Short Form: PSI/SF‘)

Abidin(l990)이 제작한 것으로 선숙재 (1997)가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다.

PSl/SF는 부모-자녀 관계의 역기능적안 측면이나 부모에게 스트레스를 가져오

는 요인을 밝히고자 개발된 부모용 자기보고식 질문지인 PSI의 단축형으로 부

Page 48: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36

모영역과 자녀영역 두 가책 요언으로 구칭햄어 었다. 챔표 뺑햄은 3당흉향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산숙채 (1997)는 우혀나라 어머애를 때짱으로 행 사전 조사해서

적절하지 못한 문항과 중복되는 문항을 채외혀고 포두 30푼향으로 구성라였다.

하은혜 (2000)의 요인분석 결파 자팩힘 까다로운 깨쩔파 판현된 스토핵~6., 자벼

와의 관계로 인한 스트베스, 학습 가다}와 관련한 스트웹스풍 3쩌의 하위요언야

제시되었으며, 분석에는 세 가지 하위요언과 총점을 사용하였다. 당점 챙도로 구

성되어 있으므로 가능한 점수 범위는 30-150야벼 첨수가 높을수록 양육 스트

례스가 높은 것을 의마한다. 전숙채(1007)획 연구혜책 전채푼항에 해한 다}적합

치도는 α=.85였으며 하위요인들애 혜챔서논 .74- -81로 나E¥났다i 어 척표논 부

록 8에 제사되어 었다.

3) 부모효능감 척도(P잃'enting Sense of Com양etence: 뺨홉OC)

Gibaud-Wallston과 Wandersman(1978)아 채밸한 청으로 산숙Ä~ (1않6)7t 변역

한 것을 사용하였다. PSOε는 모두 16문향요로 연쩌쩍 차원으로책핵 효농감과

정서적 차원인 부모로서획 좌절갑과 불싼을 측정하는 짜거보고식 절흉^]얀빼 5

접 척도로 평가하채 확어 있으프로 가능환 접수의 댐워는 뼈-80청이다, 본 연

구에서는 두 가지 하위요언안 후모역할 효능땀과 불열검-zt각왜 걱행추툴 분쟁혜

사용하였다. 선숙채(1997)의 연구얘서 부모 효능강 척도확 1팎쩍합처포는 a:::.짧

로 나타났다. 야 척도는 부록 9에 쩌}사되어 었다.

4) 어머나-자녀 쌍호행동 i청자(Parent←Chlld 銀teτ용.dion: p(볕

Hetherington과 Cbngennpee쐐92)가 채 작한 것 으로 품청 주(19잃)자 빨 역 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 질문지는 6점 척도인 훈융행총 43푼향과 혜;챙표혈 확3ë. 22

문항으로 구성되어 었다. 훈융행동 몇 쐐;성표행 척도는 푼경주, 역은식과 오;성

Page 49: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37

자(2000)의 요인분석 결과 자녀의견 존중(Cronbach a = .87), 강압 및 처벌 행동

(Cronbach a =.82), 정서적 애정표현(Cronbach α=.86) , 활동 공유를 통한 애정

표현(Cronbach α=.84) , 독립적 행동의 격려 (Cronbach a =.83) , 비일관적 행동

(Cronbach a =.71) 등 모두 6개의 하위요인이 제시되었으며 분석에는 6개의 하

위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부록 10과 11에 제시되어 있다.

5) 부모용 사용자 만족도 척 도(Parent ’ s Consumer Satisfaction

Sc떠e: PCSS)

Forehand와 McM삶lOn(1981)가 부모 훈련에 대한 부모의 만족감 정도를 평가

하기 위하여 제작한 것으로 고려원(1993)이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 질문지

는 전반적안 프로그램과 강의의 형태, 강의된 양육 기법에 대한 난이도와 유용

성, 치료자에 대해서 ‘매우 유용하지 못했다’에서 ‘매우 유용하였다’의 7점 척도

로 평가하도록 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 시 비교를 용이하게 하기 우{해

포함되는 문항들을 1점에서 10점까지의 범위인 10점 척도로 통일하였다. 이 척

도는 부록 12에 제시되어 있다.

평가 영역별로 평가 도구들을 요약하면 <표 3>과 같다.

E. 분석방법

본 연구에서는 사례수가 적어 전체 표집의 정상성을 가정할 수 없기 때문에

비모수적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는데 독립된 두 집단을 비교하기 위해

Mann-Whitney test를 실시하였고, 동일한 집단을 반복 측정한 결과를 비교하

기 위해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실시하였다.

Page 50: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38

1‘ 사전평가 분석 : 사전 평가얘서 치료집단과 통채집달 간 차협자 없음을 확인

하기 위해 사전평가치에 대해서 Mann-Whitney test를 하였다-

2 사후 평가 분석 : 사후 평가에서 처료 조건간 차이틀 알아보가 휩해 아동의

문제행동평가와 어머니 자기평가에 대해 사전, 추후평카를 실셔라였다.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이용하여 집단 내 차야를 검증하였다‘

3. 추후평가 분석 : 치료집단 아동둘의 참여 효과를 검중하거 워했서 추-후 평가

를 실시하였으며, Wllcoxon signed ran효 test를 여용하여 사전평양약 추후 평자

및 사후평가와 추후 평가에 대한 집단 대 차어를 겸중하였다.

F. 치료 프폴二I랭

본 프로그램은 AI표핍 아동에 때환 구조화됨 단가 언책행황놓여 처료 프로그

램 CKaudson & Schaefer, 2000)의 이론적 틀을 거초로 하고, Barkley(1987)의 행

동적 부모훈련 프로그램과 Think Aloud 프로그램 (C없np & 월ash, 1981)을 참고

하여 연구자가 우리나라 실정에 맞도록 구체적언 프로그햄 대용을 채활하였다.

전체 프로그램은 매회 100분썩 10회기로 구성획었는퍼1 , 표로그햄온 자종획

ADHD 아통애 대한 심리치료의 내용을 보활하고, 학엽 성취가 중애되는 한국

적 상황의 특정을 고려하여 구성하였다.10회가댐 예벼적 프로그램을 E태학 발

달장애아동센터 내원 ADHD 아동 2병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i 핵웹한 과정해

서 각 회거별 내용을 구체화하였으며, 01전한 점들을 수청, 보완하였다. 야와 같

은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프로그램획 내용이 구성화였다.

치료 목표는 아동들이 어려움을 느껴고 있는 특정 형협혜서 ;::1-성참을 증전시

키고, 과제어j 초점을 맞춰 자속할 수 었도록 하며, 자자 흉채를 카찰 수 없도록

격댐하며, 행똥하거 전에 결과를 고려활 수 있도룩 차르쳐는 터} 충줬옳 두었다.

Page 51: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39

1. 아동의 언지 행동 놀이치료 프로그램

ADHD 아동에 대한 인지행동 놀이치료 각 회기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

다.

인지행동 놀이치료 1회기 :

첫 회기에서는 BGT, 사람-집-나무-가족화 등의 그림 검사를 실사해서 아동

의 정서적 특성이나 자아상, 가족 역동 동을 이해하며 문장완성검사를 실시해서

아동의 갈등과 관심 영역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한다. ADHD에 대한 설명을 통

해 ADHD가 무엇이며 ADHD 아동들이 흔히 경험하는 주의산만, 과활통성, 충

동성, 부주의를 비롯하여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이나 적응 문제가 무엇

인져 설명하도록 하며 아동들 스스로 ADHD 목록표를 평정하도록 하여

ADHD와 관련하여 아동이 느꺼는 자신의 문제점과 어려움을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아통과 치료자는 자유 놀이를 통해 놀이에 대한 아동의 태도와 접근

방법, 반웅패턴, 공격성, 반복되는 놀아 주제가 있는지 파악하도록 한다. 구조화

된 게임놀이도 실시해서 아동의 주의집중력이나 자아통제력 등에 대해서 파악

해도록 한다.

얀지행동 놀이치료 2회기

‘쓰레기 봉투(garbage bag)’기법을 활용해서 아동들이 스트레스를 겪고있는

사안들이 어떤 것들인지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주의집중력과 자기통제력을 증

진서키기 위한 치료 방볍인 ‘정해진 시간에 일을 끝내거 (beat the clock) ’ 가법

을 설명하고 단조로우면서도 간단한 블록쌓기 과제로 ‘정해진 시간에 일을 끝내

기’를 2분씩 3회 실시한다- 전략적인 판 게임 (Trouble)을 실시하고, 게임을 하는

동안 전략을 소리내어 말함으로써 치료자는 자기지시방법의 모델링 역할을 하

고 아동은 이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Page 52: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40

인지행동 놀이치료 3헥껴 :

‘쓰레기 봉투’에서 푼체가 적한 종얘 한장을 약옹악 뽑도록 하핵 핵 푼책릎

어떻깨 해결할 것인지 합째 해쩔방렵윷 모책하도록 한다- 아흉윤 핵핵한 파정올

통해 사회적 상황에서 자신이 경험하는 스트웹스를 표현하고, 쩍젤혁 E빽처하릎

방법을 학습할 수 있다. ‘정해진 사잔에 열을 끝때가’ 가볍을 당분쩍 3회 살사확

여 과채에 대한 주의집중사잔을 연장현다. 예단왜의 ^t얘 ^l 서절차흘 설명핵주고?

치료자는 모델링이 되어준다‘ 전략적열 판 게임 (Sorry)율 설샤하고, 체엄올 혀늪

동안 중요한 의사결정상황혜서 4닫채의 자기자책젤차흘 활용혜책 문책를 해경옳

할 수 있도록 유포한다.

인지행동 놀야치료 4행가 :

‘쓰레기 봉투’애서 문제가 쩍힌 종이 헌장을 아동야 뽑도록 략얘 동겠쩔향법을

함께 논의한다. ‘정해전 사간에 얼을 끝다}가? 거법을 ?훈쩍 3휩 설척혀C잭 양져1 쩍3

대한 주의집중시감을 연짱환다. 핵벼나가 작성챔온 ‘좋은 행용챙 1쏠 보여추고,

아동의 긍정적일 행동들핵 대해 칭찬하고, 강조하도록 한다. 부모샘콰확 ‘아동충

심 놀이시간’에 대해서 함께 야야기를 냐누벼 s。¥흉충섭 볼야 서칸’댐셔 아통어

경험하는 문제점과 부모와의 팔계에쩌 환화확길 원하는 것얘 무엇웰쩌 i양양홉

도록 한다.4단계의 자기지사절차를 활용해서 f막1:ll집가 (Pick-u양 g얹cks) , 재영

을 한다.

연지행동 놀어치료 g화깨 :

‘쓰래기 봉투’에서 문제가 적한 종여 한장을 아풍학 뽑도폭 확얘 헥결뺑볍윷

함께 논의한다. ‘정해참 사간에 웰을 끌벼 71'71 볍윷 12훈짝 3확 싫샤하여 파채액

대한 주의집중시칸을 연장환다. ’화야트보드목효(white board targets)’가볍옳

활용하여 아동들이 스트래스를 표출하고 카타르사소릎 ;생협확쪼혹 행줍략。

인져행동 놀이해료 g희꺼 :

Page 53: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41

‘쓰레기 봉투’에서 문제가 적힌 종이 한장을 아동이 뽑도록 하여 해결방법을

함께 논의한다. 학습 문제지를 가지고 와서 ‘정해진 시간에 일을 끝내기’기법을

12분씩 2회 실시하여 과제에 대한 주의를 집중하는 것을 연습하도록 하며, 틀린

문제에 대해서는 자기지시절차를 사용해서 틀린 부분을 교정하도록 한다. ‘비누

방울불기’기법을 통해 분노조절의 방볍으로 이완하는 방법을 교육시킨다.

언지행동 놀이치료 7회기 :

‘쓰레기 봉투’에서 문제가 적힌 종이를 한 장 아동이 뽑도록 하여 해결방법을

함께 논의한다. 학습 문제지를 가지고 와서 ‘정해진 시간에 일을 끝내기’기법을

15분씩 2회 실시하여 과제에 대한 주의를 집중하는 것을 연습하도록 한다. ‘분

노’를 설명한 차트를 제시하여 분노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나타나는 자기보호적

인 자연스러운 정서반응임을 설명해주고 분노 상황에서 대처할 수 있는 방법들

(상황에 자신을 변화시켜 적응하기, 상황에서 회펴하기, 대변하기)을 주지시킨

다 아동이 실제 분노반웅을 경험하는 실례를 들도록 하며 치료자는 아동과 함

께 어떠한 대처 방법이 적절한 것인지 역할 연기를 통해 모델링을 제시한다.

언지행동 놀이치료 8회기 :

‘쓰레기 봉투’에서 문제가 적힌 종이 한장을 아동이 뽑도록 하여 해결방법을

함께 논의한다. 학습 문제지를 얘지고 와서 ‘정해진 시간에 일을 끝내기’깨법을

20분간 1회 실시하여 과제에 대한 주의집중을 연습하며 주의력이 증진된 것에

대해 강화해준다. 전략적인 판 게임 (Sorry)과 ‘수술하기’(0야ration)와 같은 자기

통제력을 요구하는 게염을 실시하며 특히 이때는 아동이 승리해서 성공경험을

가질 수 있도록 게임을 응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얀지행동 놀이치료 9회기 :

‘정해진 시간에 일을 끝내기’ 기법을 통해 아동이 획득한 포커칩의 개수를 세

고, 보물상자에서 상품을 줌으로써 아동의 성공에 초점을 맞추도록 한다. ‘놀이

Page 54: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42

판게임 (play board game)’을 통해서 아동들야 집에서나 쳐료살예사 보-였던 모

돈 긍정적인 변화와 성공 경함, 칭찬 받았턴 상황을 ‘판채엽지’ 우}에 환성함-0 로

써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가질 수 었도흑 격려환다냐확 좋은 행동 목록표’릎

함께 작성하며, 완성된 ‘나외 좋은 행동 목록표’는 치료차가 휩드프효세스로 보

기에 좋도록 도안하여 10회기 α갱 어머나와 아동에계 채시하도확 한다.

얀져행동 놀어치료 및 푸포훈혈 lOj핵가 :

간단한 다과 파티의 형삭으로 잔행되며 ADHD ö}통과 핵쩍니착 함께 참¢펴

한다. 치료 기간 동안 보였던 아동획 ADI핍 증상의 강소1 추엠칩종력핵 종자,

교우 관계나 가정, 학교에서 나타난 긍정적안 뻔확어3 ε흡해 혁핵녀양 쳐료A}를

함께 여야기함으로서 약동획 행동 변화에 대해 강화행준다. 아풍파 핵마~, 치

료자가 함째 i수술하겨’ ‘막해칩가’ ‘정객’ 등과 갈은 체업혜 참t얘하는혜, 특칙 아

동의 승리를 유도하면서 아동아 ‘할 수 었다’는 션념과 작산감올 까철 수 있도

록 도와준다. 증서 형석으로 구성된 ‘나획 좋은 행똥 목록표’흘 치료자71- 채서하

여 치료에 참석한 어떠니는 물론 다른 가족들에게 보여주고 차랑활 수 었도록

해준다.

2. 부모 훈련 프로그램

부모 훈련에서는 아동의 행동문저j 에 1:Ji한 어며녀의 。}해륭 줍고? 행홍수청 껴

법을 활용하얘 ADHD 아동들의 행풍문제해 얘한 양육카술윷 풍천서쩍 포자감

의 상호작용 양상을 긍정적으로 변화사커고 어벼썩의 양육 스트핵스률 짧갔:서

키는 데 초점을 두었다.

부모 훈련 각 회기의 구체적언 내용은 다음파 같다-

부모 훈련 I화깨 :

첫 회기에셔는 프로그램의 기본 항향과 성격을 젤명하고, 전챈챔얻 목표에 찍}

Page 55: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43

해서 소개하였다. 특히 어머니들이 ADHD 행동 문제에 대해 아동의 잘못된 성

격이나 버릇, 고의적이며 의도적인 행동으로 잘못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으므로

ADHD 장애와 원인에 대해 설명하고, 아동의 문제 행동에 대한 이해를 돕는

A-B-C 모형을 소개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양육자인 어머니의 변화가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함으로써 어머니의 참여 동기를 촉진시킨다. 특히 양육의

중요한 부분인 가정 내에서 이루어지는 훈육 방볍을 탐색하고, 체별, 고함지르

기 등의 훈육 방법은 ADHD 아동들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데 적절하지 못

하다는 점을 주지시킨다.

부모 훈련 2회기 :

ADHD 자녀에 대한 적절한 양육 거술을 습득하기 위한 부모 훈련의 기본 목

표에 대해 다시 한번 주지시키도록 한다. 특히 부모-자녀 간의 상호작용 방식

과 부모의 훈육 방법이 아동의 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는 갯을 이해

시키며, 부모-자녀 간의 상호작용 방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부모

가 아동의 부정적인 행동을 무시하고 긍정적인 행동에 대해서 적극적인 관섭을

표현하도록 교육서 킨다.

이를 위해 일상 생활에서 무심코 지나쳤거나 당연한 행동쯤으로 여겼던 아동

의 긍정적인 행동에 대한 기록지를 작성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또한 비지샤적이

며, 아동 중심의 특별놀이사간을 가지도록 교육하고, 놀이의 내용을 기록하도록

과제로 제시한다.

부모훈련 3회기 :

아동의 불복종 행동을 감소시키고 어머니의 지시에 대해서 아동의 즉각적인

응종을 유도하기 위한 방법으로 ‘칭찬과 관심주기’를 응용하는 방법을 교육한다.

어머니들에게 ‘효과적으로 지시하는 방법’을 교육하며 지시 방법을 적절하 변화

시킴으로써 아동들의 응종행동이 달라질 수 있음을 설명한다. 아동 중심확 놀이

하기와 착한행동 기록지를 계속 작성하도록 격려하고 매일 일상 생활에서 지시

Page 56: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44

따르기 훈련을 2-3회씩 해보도록 과채로 채사한다‘

부모훈련 4회거 :

많은 ADHD 아동들은 자선팩 푼저}행동파 판환해 상당겨창 주현 사활플확 버

난이나 131 판과 같은 부정적얀 피드백에 노출되어 오변서 자총감여 낯온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로 언해 열등감이 높고, 좌철언때력여 낯으I팩, 푼책상황햄책 쉽쩨

포기할 뿐 만 아나라 다른 사량들에게 화를 찰 내는 포슐을 애차적으로 R.야

게 된다는 것을 설명해준다. 아동물의 자존강올 높핵기 얽짧서는 한청, 펙해, 쌀

정과 사고에 대한 존종 지자/격챔와 같은 긍정적연 짜쩌률 가져야향다는 젖을

강조하고, 아이들의 자존감을 얘1우는 혜 도움어 팩는 뺀흉이 3퓨엇말;<'1 교육잭켠

다. 구체적으로 창찬과 벼평은 반드시 아동확 구체쩍엔 행동핵냐 쩡챔확 쩔부휘

어야 하며 전란적인 성격과 관환짓는 열은 피해야완다는 점올 강조환양.

ADHD 아통과 부모가 긍쟁적인 훨계흉 형생하71 와해서 3휴조표자 7¥쳐야 할 태

도와 자셰에 대한 지첩서를 나누핵주고 구체적언 예를 틀어 쩔τ영한다.

부모훈련 5화가 :

학업 성취 7t 강조되는 우려다략 상황에져 많온 부포들은 얄합장 척어오7], 숙

제완성하기, 공부시간에 산만해지져 않고 주의껴울야가 동과 쩔은 확옆 영액과

관련해서 ADHD 자녀뜰과 갈등을 겪는다. 여 협 71해책는 X윤포플팩 AD꿇D 약

동틀어 경험하는 이러한 현실적얀 문제를 부쪼가 어떻채 다루고 E빽책할 갯혔져

그 방법을 교육하도록 한다. 얄렵장 적어오기양 축책 관려와 환점휠 지첩셔훌

나누어주고, 매일 알렴장을 점검하고 알렵창 쩍거를 연좁하5:.활 승용τ생, 효윷적으

로 숙채를 완성하거 얽해서 어떤 황삭으로 참독하고 도움을 줄 갯언자에 C해짧

설명한다.

부모훈련 6회기 :

알립장파 숙쩨 관리확기를 척용한 후 부모들어 경함한 혐푼청야나 푼채청 용

Page 57: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45

을 다루어주고, 아동들이 치료회기 동안 연습하고 있는 ‘정해진 시간에 일을 끝

내기(Beat the Clock)기법의 원리를 설명하고, 이 방법을 공부하거나 숙제하는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교육시킨다. 이와 함께 ADHD 아동들은 자신들

의 행동을 통제하는 것이 다른 아동들에 비해 힘들다는 점을 설명하고 문제 행

동을 바꾸기 위해 특별보상 체계방법을 도입할 것임을 설명하다. 즉, 스티커제

도와 점수제도 지침서를 나누어주고, 적용 방법을 설명해주며 아동의 연령 등을

고려해서 어떠한 방식을 활용할 것인지 설정하도록 도와준다. 부모들은 다음 시

간까지 집에서 아동과 상의해서 아동의 행동 중 교정하고 싶은 행동애 대한 목

록과 그 행동에 대한 값, 보상목록 등을 기록해오는 과제를 내어준다. 이번 회

거에는 1시간 동안 부모 훈련이 진행된다.

부모훈련 7회기 :

부모가 작성해 온 목표행동목록과 보상의 목록을 함께 검토하고, 스타커제도

와 점수제도 방법이 가정에서 쉽게 시행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특히 스티커제

도와 점수제도가 시행될 이번 주에는 이 방볍이 긍정적인 행동을 강화하는 데

만 활용되어야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부모들이 접수를 주는 것에 대해 인색해지

지 않도록 인식시킨다.

부모훈련 8회기 :

가정에서 실시한 스티커제도와 점수제도 방법을 함께 검토하고, 문제점여나

의문점을 논악한다. 하지만, 정적 강화만으로 아동의 문제 행동을 다루는 데에

는 한계가 있음을 인식시키고, 비응종과 수용될 수 없는 행동을 다루는 방법으

로 스티커제도와 점수제도에서 벌금을 사용하는 반응대가제도를 도입할 것임을

설명하고 지침서와 활용 방법을 교육한다.

부모교육 9회기 :

반응대가제도를 활용한 것에 대해서 검토하고, 문제점이나 의문점을 논의한

Page 58: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46

다. 이와 함째 부적용적인 아용들입 문채 행통에 rJ1해 협벌 E퓨신 J활용활 수 었

는 무사하기, 보상 없예 71, r:+‘삼 아웃 동의 방법을 설명한 7.1 첨까'Ì활 나누야주좌,

어떤 경우에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인자 설명챔준다. 후포들에깨 7.}t격 훈육얘 E꾀

한 자신감을 가칠 수 있도록 책쩌책준다.

본 프로그램의 전체 구성은 <표 4>에 재사되어었다‘

<표 4> ADHD 아동해 대한 언지행풍 놓여치료 표효품.::I햄 믿 부.:r..훈현 X해용

치료회기| 언쳐행동 놀야치효 내용 부포 훈활 1빼용

1핵가

2화깨

‘ BGτ, 사랑-집-나무-가족화| 。 치료자 소채양 쳐료 퓨책 소7~

등의 그립 검사와 문장완성 I • 프로그햄의 형식 소재 검사 I . 프로그램획 기본 방향파 전해적혐

’ ADHD에 대한 설명

·자유놀야

·구조화된 게임놓여

• 쓰레가봉투(garbage bag)엠

문제 적거

• 정해진 사간에 일올 끝내가

(beat the c1ock)

• 전략적인 판 게염 (Trouble)

목표 설명

. ADf묘〕릎 이해활 수 없도록 증상

과 원언 설명

• 아동의 문채 행풍에 대환 역챔률

돕는 A-B-C 모형 소재 • 가정 다}에셔 이루어져눈 훈육방법

탐색

• 긍정적인 양육 프로그램의 중요성

강쪼

- 자뎌해거} 관섭 71 옳억가확

긍정쩍언 표혔하거

· 착한 행흉 기록하꺼

Page 59: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47

· 쓰레기 봉투에서 문제 해결하기

3회기 • 정해진 시간에 일을 끝내기

• 응종행동에 관심 보이기 · 자기 지시 절차 설명

• 전략적인 판 게임 (Sorry)

• 쓰레기 봉투에서 문제 해결하기 . ADHD 아동의 자존감 증전시 키 기

· 정해진 시간에 일을 끝내기 4회기 • 긍정적인 관계 형성에 필요한 부모

· 긍정적인 행동 강화하기 의 태도

· 자기지시절차 활용

· 쓰레기 봉투에서 문제 해결하기

5회가 • 정해진 시간에 일을 끝내기 · 알립장 및 숙제 관리법

• 화이 E보드 목표

, 쓰레기 봉투에서 문제해결하기

。학습지를 활용해서 정해진 시간 • ‘정해진 시간에 일을 끝내기’ 설명

에 일을 끝내기 및 자기지시절차 6회기 • 스티커 /점수 제도 소개

활용해서 틀린 부분 교정하기

。 정해진 시간에 일을 끝내기

·비누방울불기 · 쓰레기 봉투에서 문제해결하기

·학습지를 활용해서 정해진 시간

7회기 에 일을 끝내기 및 자기지시절차

· 스티커/ 점수 제도의 활용볍 활용해서 틀린 부분 교정하기

· 분노 조절하기-분노 상황에서

대처하는 방법

• 쓰레기 봉투에서 문제해결하기

·학습지를 활용해서 정해진 시간

8확기 에 일을 끝내기 및 자기지사절차

• 반응대가제도 소개 활용해서 틀린 부분 교정하기

· 전략적인 판 게임-쏘리 (so여)

게임과 수술하기(()peration)게임

·상품주기

9회가 • 놀야 판게 임 (Play board game) • 부적응적인 행동에 대한 대응 방법

- ‘나의 좋은 행동 목록표’ 작성하기

· 아동의 긍정적인 변화에 대해 강화하기

10회기 • 함께 게임하기

• ‘나의 좋은 행동 목록표’ 수여

Page 60: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lV. 양홍 구 쩔 과

A. 치료 프로그램와 효i챔 검증

사후 평자 시 치료 집단파 통책 집단 캄해 쳐료 효과확 확핵훌 얄ot .!효 71 확

해 치료 집단과 통채집단별로 사전평가와 사후평가 빛 추후평가간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실사하였다. 연구가설 별로 뿔쩍황 결과는 약음과 찰다.

1. 쳐료 프로그햄팩 ADHD 략흉확 풍쳐I행흉흉댐 벼활똘E 효i흉

치료 참여 전, 후 ADI-짧아흉빽 문체 행동의 변화를 알략효가 협동R ;.접혈 혈

로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사용하였으며 치료 첩탤i똥 통;혜첩단 별로 정

리한 내용이 <표 5>에 채사돼어 었다-

어머니가 ADHD 아동획 행동혜 태핵 펼가한 없-CBCL에써 통챔첩단은 잭철

-사후 변화가 육의하지 않은 반면? 치료 집단은 치료 후 총문져1 햄홍수와 외현

화 행동 문제가 통계적으로 유획며하깨 감소확었약(Z=-2.20, z=얘.99, p< ‘ 05).

묘1콰스 부모용 평정척도에서도 통제접단은 사쩡-사후 혈화약 유의협^1 않은 환

면, 치료집단은 과영활풍성아 유빽벼하꺼1 감소핵었다(2=-2.20, p<'05).

가정 및 공공 장소에 £쾌한 평자에셔는 통채 집환은 사천-샤후 평각첨수혐 혈

화가 유의미하지 않은 반면 쟁료 집단은 치료 후 가정혀약 꽁공짱소뺑서 문짧

행동 수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2=-2.04, p<.05). 학혐i 푼웅챔 했종힐 접각표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차효 첩단온 통챔 첩당에 벼해 샤후 평 7} 잭

문제행동의 심각도가 감소회는 경향성어 었는 것요풍 나따났다.

자가통채력 영역에책는 통채집단꽉 쳐료첩활 3표E츄 책전-Àt후 E쩔짜S갱 쩔화양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치료집단확 경우 통쩨2샘요중 유혐 uì혀책릎 앓E.1-l- 사

Page 61: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49

후 평가 시 인지-행동적 자가통제력이 향상되는 경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담임 교사가 실시한 코너스 교사용 평정척도에서도 치료집단은 통제 집단에

비해 사후 평가 시 행동문제와 주의산만-과다활동등이 유의미하게 감소된 것으

로 나타났다(2=-2.20, p<.05).

요약하면, 치료 프로그램 실시 결과 ADHD 아동의 충동성, 과영활동성, 부주

의 등과 같은 주요 증상과 가정이나 공공장소 및 학급에서 발생하는 문제 행동

의 수가 감소되었다

<표 5>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사전-사후 차야 검증

사천평가 사후평가 + Tie 평가영역 Z

Median Median Rank Rank s K-CBCL 총문제행동증후군 54.50 27.50 6 0 o -2.20* 내재화문제 12.50 8.50 3 2 1 -1. 21

치 외현화문제 17.00 7.00 5 o -1.99* 료 코너스 부모용 평정척도 16.50 13.00 6 0 o -2.20* 가정상황의 행동평가

집 문제행동수 15.00 9.50 5 0 1 -2.04* 다~ 심각도 57.00 23.50 5 1 o -1.51 자겨통제력 150.50 121.00 4 2 o -1.57 코너스 교사용 평정척도 36.00 23.00 6 0 o -2.20' K-CBCL

총문제행동증후군 62.50 57.50 3 1 o -0.36 내채화문제 11.00 11.00 2 1 -0.53

통 외현화문제 12.50 14.00 0 3 1 -1.63 제 코너스 부모용 평정척도 19.50 18.00 3 1 o -0.73 집 가정상황의 행동평가

단 문제행동수 14.00 13.00 1 0 3 -1.00 심각도 66.00 66.50 1 2 1 -0.81 자기통채력 158.50 155.00 4 0 o -1.82

코너스 교사용 평정척도 38.50 40.00 1 3 o -0.75

*p<.05

Page 62: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50

2. 치료 프로그램이 어맥나의 양육 스트핵:쓰" 쁨뿔흉놓촬爛

며치는 효과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부모 효능감에 대해 차료 집딴i깡 통채집합 별로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사용하였으며 사첼, 사후평 가 접 수를 ;쩡 웹 환 촬과

는 <표 6>에 제시되어있다.

<표 6> 어머디의 양육 스트레스 부모 효능감애 대한 사천-사후 차학 검증

사천평7} 사후평가 + 평가영역 Ties Z

Medìan Me(섬an 묘ank Ra따£

양육스트혜스(Psn

양육 스E 래스 총점 38.50 80.50 4 1 x -죠.21

치 자녀의 기질과 29.50 22.50 4 } I -1.76

관련된 소E 레스

료 자녀와의 관겨}로

22.50 20.50 4 2 g -0.94 인한 스트레스

집 학습기대와 관련된

11.00 12.50 1 3 2 -1 ‘28 스트례A

단 부모역활 효능감 25.50 31‘잉IÜ g b 0 -2.21*

부모역할 불안감 14.50 10.50 g § g -2.22'

양육스E 돼스(Psn

양육 /L트쾌스 총점 93.00 95.50 i 3 g -0.36

통 자녀의 기질과 23.50 27.00 3 3 입 -1.없

관련된 λE 해스

체 자녀와의 관계로 25않 26.00 2 2 영 -0‘73

언한 스E 레A

집 학습기대와 관련원

스트레스 12.50 12.00 2 1 f 0.00

단 푸포역할 효능감 22.50 21.50 2 x -0.27

부모역할 불안감 12.00 14.00 l 3 o -1.13

*p<05

Page 63: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51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영역에서는 치료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양육 스트레

스 총점은 물론 자녀 기질과 관련한 스트레스, 자녀와의 관계로 인한 스트레스,

학습 기대와 관련된 스트레스의 변화가 유의하지 않았다. 다만, 눈에 띄는 부분

은 치료집단의 경우 통제집단과는 달리 학습기대와 관련된 스트레스를 제외하

고 양육 스트레스 총점 자녀의 기질과 관련한 스트레스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

의미하지는 않으나 스트레스가 감소되는 경향성을 나타냈다.

부모 효능감 영역에서는 통제 집단은 사전-사후 평가점수의 변화가 유의하지

않은 반면 치료 집단은 치료 후 부모역할 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

가되 었으며 (Z=-2.21, p<.05) ,부모역 할 불안감은 유의 며 하게 감소되 었다(Z=-2.22 ,

p<.05).

요약하면, 치료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양육 스트레스가 감소되는 경향성을

나타냈으며, 부모역할의 효능감은 증가되고, 부모역활 불안감은 감소되었다.

3. 치료 프로그램이 어머니-자녀 상호행동에 마치는 효과

어머니와 자녀간 상호 행동에 대해 치료집단과 통제집단 별로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실시하고 사전, 사후 평가치를 정리한 결과는 <표 7>에 제

시되어있다.

어머니와 자녀 간의 자녀의견 존중, 강압 및 처벌 행동, 정서적 애정표현 행

동, 활동 공유를 통한 애정 표현 행동, 독립적 행동의 격려, 비일관적 행동 등

어머니-자녀 상호행동의 모든 영역에서 치료집단과 통제집단은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Page 64: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52

<표 7> 어벼니- 자녀 상호행동에 대환 사전- 사후 차핵 접중

사천평가 사후i형자 + 평가영역 Ties g

Medain Medain Rank 엎a빼‘

자녀의견 존중 37‘50 40.00 2 4 g -1 ‘26

강압 및 처벌 33.50 19.50 4 2 g -0.73

치 정셔적 애정표현 21.50 21.00 3 2 1 -0‘40 료

집 활동공유를 통한

18.00 15.00 -1.36 애정표현

4 1 li:!

독립적 행동약 격려 14.50 16.많 3 2 X -0‘13

비일판적 행동 12.50 10.5앙 3 3 앙 -0.10

자녀의견 존중 34없 36‘50 g 3 t -1.60

강압 및 처벌 34.00 38.00 3 g ~0.36

제 정서적 애정표현 20.00 21.50 3 1 g -0.36

집 활동공유를 통한 18.00 16‘00 3 l g -1.00

단 애정표현

독립적 행동의 격려 11.50 12.00 x 2 0.00

벼일판적 행통 1 1.0。 11.50 x 3 g -0.92

4. 쳐료집단의 사전i청자와 추후평짜확 뺑i확

치료 집단에 대해 치료 프로그램융 사작하깨 첨과 그 후 11>효이 ;혈과향 후 추

후평가 사거획 변화 정도를 얄아보거 우{해 추후 평가률 마찬 총 51:챙획 λ}전? 추

후 평가치에 대해 Wilcoxon signed rar않 test를 설사환 꿇i휴7} 다홉과 감4.

Page 65: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53

1) ADIID 아동의 문채행동의 사전 추후변화

치료집단에 대해 치료전과 추후 아동의 문제행동 평가를 정리한 결과가 <표

8>에 제시되어 었다.

<표 8>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사전 - 추후 차이 검증

사척펴가 추후펴가 + 평가영역 Ties Z

Median Median Rank Rank

K-CBCL

총문제행동증후군 54.00 33.20 5 0 0 -2.02*

내재화문제 11.83 8.00 3 1 1 -1.46

외현화문제 14.33 6.00 5 0 0 -2.02*

코너스 부모용 평정척도 17.33 11 .40 5 0 0 -2.02'

가정상황평가지

문제행동수 13.66 7.2 4 0 1 -1.84

심각도 61.16 42.20 4 0 -1.21

자기통체력 153.00 123.60 5 0 0 -2.02*

코너스 교사용 평정척도 36.00 30.00 5 0 0 -2.03*

*p<.05

어머니가 평정한 K-CBCL에서 사후평가 시 변화가 유의미했던 총문제행동

과 외현화 행통문제의 변화가 여전히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Z""'-2.02, p<.05) ,

코너스 부모용 평정척도에서도 과잉활동성이 유의미하게 감소되었다(Z""'-2.02 , p

<‘05).

가정상황평가에서는 사후평가 시 변화가 유의미했던 문제행동 수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고, 문제행동의 심각도의 변화도 유의미하지 않았다. 자기통제력

영역에서는 사후평가 시 변화가 유의미하지 않았던 인지-행동적 자기통제력이

향상되었다(Z""'-2.02, p<.05). 교실에서의 행동문제와 주의산만-과다활동 등도

Page 66: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54

유의미하게 잡소되었다(Z=-2.03 , p<.05).

요약하면, 병합 치료 프로그램 실시 젤과 ADHD 아통약 충동성, 과양활동성,

부주의 등과 같은 주요 증상어 치료 전해 버해 강소되었으며, 씬쩌-행흉적 자기

결펴-를 그림으로 정려하연 〈그립 2> <::.2렬 3> <그 통제력은 향상되었다. 이

룡쩨집단 11

K-CBCL 총문채 행동츄:확 변확

립 4>와 같다.

60

50

추후 사후 사전

찌τ調똘 18

10

14

1

<그림 3> 치료집단과 홍체집단의 코너스 부포용척포 첩수의 변확

6

쳤f

사후 사전

」지건

헤애

통 템

치g

>

ili--!i

?“

때 $

m

‘ lj1

111lL

<

Page 67: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55

200

140

-←치료집단

-←통제집단

180

100

120

1∞ 사전 사후

현뉴

<그림 4> 치료집단과 통제집단의 자기통제력의 변화

2) 어머니의 양육 스트래스, 부모효능감, 어머니-자녀 상호행동의

사전 추후변화

치료 집단에 대해 사전평가와 추후평가 점수를 정리한 결과가 <표 9>에 정

리되어있다.

Page 68: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56

<표9> 어머니와 양육 스트레A, 부모효능잡, 핵머니-자뎌 상호행동쩍

사전-추후 차이검증

사전평가 추후평가 + 평가영역 Ties z

Median Median R없lk Ran1‘ 양육 스E 혜스

양육 스E 레스 총점 89.50 78‘。o 3 2 g • 0.67

자녀 가질과 관련된 λE래스 29.50 21.00 g g Q -2.03*

자녀와 관계로 인한 스E레스 22않 20.00 2 2 3 0.00

학습기대와 관련된 스E 레 A 11뼈 11.00 3 2 8 -0.많

부모역할 효능캄 25.많 26.00 4 8 -1.?.3

부모역할 불안감 14.많 15.00 2 2 -0.강3

어머니-자녀 상호행동i챙까 37.50 37.θg

자녀의견 존중 3 2 g -0.27

강암 및 처벌 33.많 31.00 4 8 -0.67

정서적 애정표현 21.50 25.00 4 @ -1.63

활동공유를 통한 얘정표현 18뻐 12.00 4 3 g -1.62

독립적 행동의 격려 14.50 17.00 4 @ -135

버일관적 행동 12많 9.00 3 i 1 -때.55

*p<.05

치료 전에 벼해 추후에 어매나가 자뎌빽 거질과 판련하여 정혐하는 양육 스

트레스자 유팩미하게 감소략였다않=경.03, p<.05) ‘ 사후 평가 사 용§확자 유얼핵

했던 부모 유능감과 부모역할 풀얀깜팩 변화는 나타나째 앓았고? 자캡싹획 쌍호

행동 영역에서의 변화도 유의며하져 않었다.

요약하면, 치료 프로그램 설사 결과 핵머녀가 자녀악 겨절과 환흉흉참C댁 ;정혐하

는 양육 스트레스가 치료 전에 려해 갑소되였다ι 0)햄엌 륙L.!픈협활 효놓쩔, 불앞

감어나 자녀와의 상호행동에서는 변화률 보어지 않았다. 여 촬과를 ::J.협.2..~풍 정

리하면 <그렴5> <그림6> <그렴7>과 같다.

Page 69: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35

31

27

23

19

15 사전 추후

단 단

료 제

치 통

+ +

사후

<그림 5> 치료집단과 통제집단 어머니의 부모역할 효능감의 변화

20

17

14

11

8

5 사전 사후 추후

단 단

료 제

치 통

+ +

<그림 6> 치료집단과 통제집단 어머니의 부모역할 불안감의 변화

57

Page 70: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58

27

23

19

15 사전 사후 추후

<그렴 7> 치료첩단과 통쩨접단 핵머니의 작썩기질확 훨혈휩

스트레스왜 변확

Page 71: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59

5. 치료집단의 사후평가와 추후 평가의 비교

치료집단에 대해 치료 프로그램이 종결된 직후 실시된 사후평가와 추후평가

시기의 변화 정도를 알아봄으로서 치료 효과가 어떻게 유지되고 있는지 살펴보

기 위해 추후 평가를 마친 총 5명의 사후, 추후 평가치에 대해 Wilcoxon

singed rank test를 실시 한 결과가 다음과 같다.

1) ADHD 아동의 문제행동의 사후-추후변화

치료 집단에 대해 사후와 추후 아동의 문제행동 평가 점수를 정리한 결과가

<표10>에 제시되어있다.

<표 10> 아동의 문제 행동에 대한 사후-추후 차이 검증

사후평가 추후평가 + 평가영역 Ties Z

Median M어mn Rank Rank

K-CBCL

총문제행동증후군 27.50 27.00 3 2 0 -0.67

내재화문제 8.50 7.00 2 2 1 0.00

외현화문제 7.00 5.00 3 0 2 -1.63

코너스 부모용 평정척도 13.00 9.00 3 1 1 -1.10

가청장황평가지

문제행동수 9.50 5.00 3 1 1 -1.28

심각도 23.50 28.00 2 3 0 0.00

자기통제력 121.00 118.00 4 0 1 -1.82

코너스 교사용 평정척도 23.00 30.00 1 4 0 2.03*

*p<.05

Page 72: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60

ADHD 아동에 대한 문채행동에 대한 홉정에잭 표조ì.:1 ::ξ 교착용 i형청착도흘

제외하고논 사후와 추후 팽가에서 모두 차야자 없는 것으로 냐확났다. 측, 추후

평가 시 학급에서 관찰되는 행똥문채와 주엌산만-과다활동 풍용 사전 평 1}에

비해서는 유의미하째 강소되었지딴(2=-2‘03, p<‘05) 사후 i챙 1}혜 빽효행 유협쩍하

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2=2.03, p<.05). 이는 7}청에샤는 훈웰윷 통책 부표

들이 아동의 문제 행동의 원언을 여해하고 아동뜰확 문책 챙동어11 t쟁 E생 책절힘

대처하고y 강화함으로서 주요 증상어 감소될 수 있는 팩활을 져}꽁해주는 받혈,

1인의 교사가 수십명의 학생플올 ji!.수하는 학표 상황헥쩍 AI갱표묘 략폼엌 푼처}

행동이 더욱 두드러질 수 있다는 현실 장황아 반영됨 것으i é생형도 었했져란, 사

례수가 적은 본 연구에색 연구 rn상 약똥 7}훌더11 1명 여 극단2샘요로 높은 챔수

를 뱉았고, 이의 영향으효 통계적으로 유획마한 결과를 야71 했、옳 가놓성도 합생져1

할 수 없는 것으로 생각획었다.

이를 제외하고 치료 프로그램 종철 직후 AD묘D 아똥펙 충동성, 략양활동성,

부주의와 같은 주요 증상과 가정에나 좋공장소에셔 뿔썽하는 푼책챙흉획 수차

유의미하찌 감소되었면 것이 추후i형자 잭에도 그태로 유져협고 었는 첫요포 나

타났다.

2) 애매냐팩 양육 스트래스, 쁨.!l.. 효능참1 액빽냐-,Ä홍1명 쌓호행흉확

사후-추후변화

치료 집단얘 대해 어머니의 양육 스트랩스, 부모 효능감, 얘핵 q-카녀 상호

행동에 대한 사후와 추후 평가 점수를 청려한 결파가 <표 11>액 책1잭뭘어있다.

어머냐의 양육 스트래스나 어머니-자껍 쌍호 행흉쩍i잭양 변화는 휴확팩하자 앓

았다. 반면, 부모 효능감 척도에꺼내 부모 역할혜 대활 볼양짧은 추후i행 7} 셔 유

의며하게 증가되었다(2=-2.03, p< ‘ 05). 즉, 치료 접량확 어쩍약뜰온 쳐효종 종결

직후 감소되었던 부모 역할혜 대한 불안감이 다사 증자E랴는 첫으로 나ε¥냈다

Page 73: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61

이러한 결과는 치료 프로그램이 종결된 후 시일이 경과할수록 어머니들은

ADHD 아동들을 양육하면서 부딪히는 문제들을 처리할 때 자신감이 적어져고

불안이 커지고 있음올 반증하며 10주간의 치료 프로그램의 한계를 반영하는 결

과로 보여친다. 따라서 치료 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이 개발되어야할 필요

성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표11> 어머니의 양육 스E 레스, 부모 효능감, 어머니-자녀 상호행동의

사후-추후 차이검증

사전평가 추후평가 + 평가영역 Ties Z

Median Median Rank Rank 양육 스E 혜 2L

2 3 0 -.40 양육 스트레스 총점 80.50 78.00

자녀 기칠과 관련된 스E 레스 22.50 21.00 3 2 0 -.68

자녀와 관계로 인한 스E 레스 20.50 20.00 2 3 0 -.81

학습기대와 관련된 스E 레스 12.50 11.00 4 0 1 -1.54

부모역할 효능감 31.00 26.00 2 2 - .27

부모역할 불안감 10.50 15.00 0 5 0 -2.03'

어머니-자녀 상호행동평가

자녀의견 존중 40.00 37.00 3 2 0 -.54

강압 및 처벌 29.50 31.00 2 3 0 -.67

정서적 애정표현 21.00 25.00 2 3 0 -.94

활동꽁유를 통한 애정표현 15.00 12.00 3 1 X -1.28

독립적 행동의 격려 16.50 17.00 1 3 1 -1.28

비일관적 행동 10.50 9.00 3 2 0 -.81

*p < 0.05

Page 74: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62

6. 치료집단왜 쳐료과짱 싹E햄 별 분석

ADHD 아동들의 사후 및 추후평가의 변화혜 E해한 첼란적인 £휴샤를 살펴보

면, 치료 종결 직후 실시된 사후 평가에서는 접수힐 참소7r 현;샘현 쟁조면, 추후

평가에셔는 사전 평가에 비해서는 감소되었으나 사후 평가 샤점예 닝}챔잭는 문

체행동과 과활동성이 다소 높아전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냥둘획 양육 스트헥스

와 부모역할 효능감 혈화에 C홉환 전받적안 추채흘 쌓핵홉면, 척료 종쩔 쩍후 실

시된 사후 평가에서는 부모역할 윤능감야 증가펀 반면p 추후 평양해책는 어려환

변화가 감소획었자만, 치료 전에 바핵 추후억3 애u1뎌 7} À}벼확 거질과 관련하여

경험하논 양육 스트레스가 휴왜꽤하체 캅소환 것으로 나다앓ε한 야려환 싹맥나

들의 평정은 단거쳐료의 저I환점을 반영해주는 첫효로 생각띈다。

한편, 치료혜 대한 전반적인 개관뿐만 아나라 채별 아똥 몇 어머1-1툴썩 평 7¥

사점에 따른 변화추여를 살펴보는 것은 아동맺 ADHD와 환현하핵 양져고 었는

주요한 어려움과 채인의 특정 아동과 어빽냐의 관챔 형성 역핵 l갱회 성격적 상

황적 스트레스가 치료에 며치는 영향력을 여해하는돼 표i움아 될 젓으로 보여진

다.

개별 아동억 K-CBCL과 코낙스 부 17용 평정척도, 작가홍채접팩해서 나타난

개 별 아동들의 변화 추야 를 보여 주는 그렴 어 <그럼 8> <고렴 9> <그렴 10>

에, 개별 아동 어머니들의 양육 스트레스와 부모역활 효능캅의 특혈화추여를 조용Cβl

주는 그림이 <그렴 11> <그렵 12><그혐 13>얘 채사되혁었다.

Page 75: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63

100

80 ‘、‘ ‘ I-+-A

60 /- \ 、γ~ 1 1-톨-t:) -을-c

40 ~ *‘~‘」 \ 、l ll~~ -훌-E

20 ’ -- -“- ’ I-+-F

O 사전 사후 숭흔;

-r-r

<그림 8> 치료집단 아동들의 K-CBCL 총문제 행동수의 변화

30

25 i융-A

20 ~ \\ 11-톨-8

15 \- 흥:::-:::::::는늦‘; II-'-~ ~D

、〈:f 、슴능jl 11-훌-E -+-F

5

o 사전 사후 i 승 .--r

<그렴 9> 치료집단 아동들의 코너스 부모용 평정척도 점수의 변화

Page 76: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64

200

180

160

14。

120

100 사전 사후 추후

<그렵 10> 치료집담 아동릎의 7.t아홍제력의 변화

50

42

34

26

18

10 사전 사후 추후

<그렴묘> 치료집단 어머얘들의 7.}-녁 71 절과 관환훨 스트헥스악 변확

Page 77: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65

1 •

「←AI ↑(+Bj 「1-*-c11 )→← D 」 J

j→←티 j 년느t」 J

21

17

13

9

25

R

υ

추후 사후 시전

부모역할 유능감의 변화 <그립 12> 치료집단 어머니의

획 %

쉰 쉰 한 카

50

30

20

10

40

0

쳐 뉴

사후 사전

부모 역할 불안감의 변화 13 > 치료집단 어머니의 <그렴

Page 78: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66

우선 K-CBCL 사전평가얘서 가장 문제 행동이 두드러져는 것으로 액머나가

평정한 A아동은 코너스 부모용 평정척도에서도 파활홍성아 칩한 것으효 나타났

다‘ A아동은 초등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인 아동으로 수엽 시간 충혜 산딴혀고

주의를 지속하지 못하며, 또래들과의 판계자 월활하지 못해 전학년 잠업 교샤들

에거} 수차래 자적을 받은 바 있었으며 치료률 권고 향가도 했었다. 자장에책도

부모에 대한 불복종, 통생과의 다툼, 얄혐장을 적어오껴 않고, 준밝불을 스스로

챙기지 못하고1 숙제나 공부를 할 때도 착석을 쩌속하쩌 봇하고 파채틀 완수하

자 못하는 등의 문제로 어머니와의 갈동아 높약져 았는 양El1였으다 경책적일

이유로 진단이나 치료에 택한 염두를 나}자 못하고 있었다. 따확서 담양획 원유

로 본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께환 어머니는 차료에 때환 봉쩌는 높았째만? 일

상생활에서 부딪히는 경제적인 어려움 때푼얘 자다플혜챔 사소환 푼채로 쩍증

도 많여 내고 심라적으로 지쳐있었다.

사후평가와 추후 평가에 대환 추세 분석을 한 첼과 쳐료률 싫샤한 척후

K-CBCL의 총문제행동수와 과영활동성은 현저혀 감소되았으t랙, 1년여 청과한

후에도 샤전 평가에 벼해서는 품제행통은 캄소띄어었었다. 하자반? 사후 몇 추;

후 평가 사에도 여전히 충동성, 과활동성1 주쩍산딴 등의 행동 푼책는 높계 평

정되었으며, 추후 평가시 담임 교사도 문체행통은 C랙따획 아흉융핵 벼해 왜우

높은 것으로 평정하였다. 자가통제력의 경우 사후 i챙 7웅해서 요히 E용 [각 낮약찬

것으로 평정되었다가 추후 평가뼈책 자71통쩌혁의 향상을 보고확고 았다. 자자

통제력의 평가 결과는 가정과 공공장소 등 다양한 상황쐐서 략동야 1추라L찍는

문채 행동와 정도가 치료가 진행휩얘 따라 높윤 것으풍 i정;용한 선행연구(고챔

원, 1993)와 유사한 결과로 푸모 훈련쓸 흉해 야짱획 목표 행풍윷 쩡혀눈 풍핵

과정을 통해 아동의 문채 영액을 관찰팩는 것핵 엄격책쩌고, 환씹야 71 챙 쳤회

영향어 있던 것으로 보언다‘ A아동때 태한 사웹분쟁 결파능 성려사형척 병합차

료 프로그램이 ADHD 아동혀 잘못된 행동을 표정하는 핵어i 효과적연 접근볍쩌

나 생물학적 원언에 획해책 발생되는 챙풍유향얘 빼해서는 그 효과가 열핵잔다

Page 79: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67

는 선행연구(고려원, 1993 재인용)들을 고려해 볼 때, 특히 아동의 경우 충동성

의 감소, 공격적인 행동과 품행문제의 감소에 효용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

는 중추신경계 약물 치료와 함께 본 치료 프로그램을 병행하여 실시한다면 인

지, 행동적인 영역의 문제에 대한 보다 통합적인 치료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

로 생각된다.

A아동의 어머니는 부모역할 효능감과 부모 역할 불안감, 아동의 기질과 관련

된 스트레스 수준이 치료 종결이나 추후평가에서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A아동의 행동에 긍정적언 변화가 있음을 보고하면서도 이를 일시적인 것

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었고, 아동과왜 관계에서 경험하는 심리적, 정서적 어

려웅을 치료 가간 내내 상당히 토로했으며, 부모 역할에 대한 불안감도 컸다.

야러한 결과는 심한 행동문제가 동반된 ADHD 아동의 경우 부모-아동 간의 갈

등여 심하고,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가 심하다는 션행연구 결과(H없TÏson &

Sofronoff, 2002)와 일치되는 것이었다.

B아동 역시 담임 교사에 의해 치료를 권유받은 아동으로 교사나 어머니 모두

과활동성은 두드러지지 않은 것으로 지각하고 있으나 자리에 앉아있을 때에도

자주 손과 발을 만지작거리고 조바심을 내며 외부 자극에 의해 쉽게 산만해지

고, 하던 일을 끝마치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지적되었다. 특히 성격이 활달하고

적극적인 B아동의 어머니는 본 아동이 늘 자신감이 없고, 교우 관계도 원활하

지 못한 컷에 대한 불만이 컸다.

B아동의 어머니는 부모 교육을 받으면서 아동의 행동 중 납득하지 못했던 면

들이 상당 부분 ADHD 증상과 연관된다는 것을 많이 이해하였고, 특학 치료

과정에 아버지와 형을 함께 참여시켰다. 놀이시간이다 칭찬하기 둥의 과제를 내

어주변 아버지도 함께 동참해서 어머니를 거들었고, 특히 점수제도를 활용할 때

는 형에게도 이를 적용해서 형제간의 션의의 경쟁도 북돋고, 이를 가족 내 작은

여벤트로 만들어 즐겁게 아동이 임할 수 있도록 했었다. 특히 추후 평가를 위해

전화 연락을 했을 때 B아동의 어머니는 아동이 자신감을 갖고, 무엇이든 주저

Page 80: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68

하지 않고 임하려는 자셰를 가지고 되었고, 주의접중을 챔야하는 파책혜서눈 스

스로 산만해져지 않으려고 신경쓴다는 점을 매우 긍정적요로 평가하혔다.

이려한 모의 보고와 다르재 사후 평가에서는 과‘할풍성야냐 문제 행홍으} 감소

정도는 크지 않았다. 하지딴 추후 평가에서는 K-CBε£상억 문처i 행똥어나 과

활동성과 같은 행동문제가 매우 적윤 껏으로 평정회였다- 자기똥책혁획 경우는

사후, 추후 평가에서 모두 셔일어 ;용과활수록 증가확는 양짱올 보C냥쭈그X 였다.

부부관계가 매우 원만하고, 쳐녀플과의 괜계가 긍정적억며, 철근극2석헥고 활닿활

모의 성격 유형아 반영되듯 B아동 얘학나회 부.2.역할 유능참은 사첼 i텅 7}혜서

도 다른 ADHD 아통들의 어머냐어j 버해서 월등협 높은 한면, 부보역할어1 꽤한

불안감은 낮았다. 그리고 이러한 경향윤 사전, 사후, 추후 평가얘 뺀영확효 었

다. 아동의 기질과 관련하여 경험하는 양육스트해스회 경우해논 부모훈렬을 통

해 아동의 ADHD 증상과 관련된 어려품올 양당부분 야해한 후 치효 후 장소훤

것으로 나타났다.

C아동은 유치원 재원 시와 초풍학교 1학현 때부터 산딴략다는 책적을 엽총씩

받기는 했지만, 초등학교 2학년어 되변서 부적절확고 산란한 웅캡압아 많약지

고, 다흔 아어를 방해하고, 전반적인 활통에 흉미를 앓고 학교 생활 적용협 어

려움어 커져서 어머냐와 합꺼} 발달장애따홍첼터에 냐}완활 애흉0] 다‘ g략봉용

어머다가 직장생활올 하고 있어 다니고 있떤 ‘방과후 져도반’해서s:. 숙책 서칸

에 다른 데 돌아다니고 창구들과 어울려지 못하눈 풍함 푼채훌좋 지적 뿔고 였었

다.

치료 초기 C아동은 치료자썩l 째 공쩍쩍이고 반향적힐 면윷 많얘 드핵냈었다.

하지만 치료자 져속될수록 쳐료자에거1 청서적으로 많혁 E씩짜혀-고 열짱쟁활혜서

부딪히는 문제를 자발적으로 여야가화고 특핵 학습'El1도확 판웰책책 자산확 푼

체를 극복하려는 노력을 많이 E려냈다. 어벼냐 역샤 치효 표로그행에 적극적으

로 임하고 익힌 내용을 활용확려는 E껴지가 컸으며 ADI쪼g 중쌍i향 환훨확ζ펴 ;;tr 녀가 겪는 어려움을 핵해하고 토확주합는 자책자 짧우 두드혀쳤다" 01활 한영확

Page 81: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69

듯 C아동은 사후 평가에서 K-CBCL의 총문제수나 과활동성이 유의미하게 감소

되었고, 자기통제력도 매우 증진된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긍정적인 변화는 추후

평가에서도 반영되고 있었다.

약사인 C아동 어머나 역시 긍정적이고 밝은 성격의 소유자로 부표 훈련 시

아동을 수용하고 아동의 한계를 이해하고 있는 면이 다른 어머니들에 비해 높

았었다.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듯 치료 종결 후 아동의 문제를 다루는데 자신감

이 많이 생겼다고 펴력했고 부모역할 유능감이 가장 높은 상승을 보였고, 부모

역할에 대한 불안감과 아동의 가질과 관련된 양육 스트레스의 감소포 큰 폭으

로 나타났다‘

D아동은 3학년 여아로 정리정돈을 하지 못하고, 물건을 잘 잊어버리고, 뒷마

무리를 못하고, 수업 시간애 옆 사람과 잡담을 많이 하고, 산만한 수업태도로

학교에서 지적을 많이 받아서 어머니가 발달장애아동센터로 내원한 경우이다.

특히 D아동의 어머니는 관절염이 심해서 건강문제가 있을 뿐 만 아니라 유학생

신분으로 자녀 양육얘 많은 부분 역할을 담당했던 아버지가 직장일로 바빠져

이를 소홀허 하면서 스트레스가 가중되어있던 차에 학교 담입 교사께 자녀 문

제로 부정적얀 피드백과 지적을 몇 차례 받은 후 매우 과민해져 있었다. 또한

귀가 시간에 아이들과 놀다가 늦어진다거나 반 아이들과의 사소한 말다툼과 같

이 또래 연령의 아동들이 흔히 보알 수 있는 행동들도 ‘우리애만 그렇다’는 삭

요로 받아들이고, 사소한 일에 대해서도 아동을 나무라고, 지적하는 일아 잦았

다.

부모 훈련 사 이러한 어머니의 부적인 양육 태도에 대해서 여러 변 의논했고,

아동에게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확립하고 행동 통제력올 증진시킬 수 있도록 도

와주는 방법에 대해서 교육했다. 또한 어머니의 요청으로 1회의 아버지 부모훈

련 회기를 진행하였다.

차료 종결 시 D아동은 K-CBCL의 총문제수나 과활동성이 유의미하게 감소

되었고, 자기통제력도 매우 증진된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긍정적인 변화가 추후

Page 82: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70

평가얘서도 져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D아동의 어머냐는 치료가 전행되면서 D아동해체 무조건척으로 휩용척억었현

아버지가 아동의 문제 행동에 점차 관심올 보아며} 져팩 훈육혜 흉참확꺼:1 E객:At

여러한 변화로 언해 정서적으로 상당혀 지지를 얻은 듯 보였고, 스스로는 아동

의 부정적인 번에 집중하기보다는 긍정적언 면헤 효4 주획룹 차옳여거1:양벌잭

아통과의 관껴도 상당히 호전되었다, 치료 종철 후 부모역할 유농캅혁 종7¥확고

자녀 거질과 관련된 스트레스의 감소가 나타났는데 여는 추후 i헝가 서첨에도

유지되고 었였다r

E아동은 유아가 때부탁 걸음여 급하고, 장해불어} 많어 부딪혐jZ, 쪽표촬애 그

냥 돌진해서 부상하는 얼어 잦는 통 ADHD화 혈관된 품처} 행흉야 두드려졌으

며 초둥학교 1 학년 때 정신과얘서 ADHD 잔단과 약물 처빵을 밭은 파 있는 아

동이다. 하지딴, 약벼지가 약물 복용에 꽤우 부;성챔 αi 없올 뽕 점조 깅}1.갱라 본혈어

ADHD 경향야 있어서 여동의 행통 푼채에 택했 '::J.. 다핵팩 ::J..럴 추 었는 일’쯤

으로 여겨며 아동의 행동 문책에 다}해 걱정하고 치료률 주장홉놈 혁벼녀 협첨

에 반대해서 당시 약물은 복용확지 않았다. 하져만 확펌억 용랴앓수록 수업 사

간에 수업과 무관한 딴 짓을 많이 하고, 얽거 사쐐도 마융어 급핵 천너펌거나

다르캐 읽는 경우자 많고, 째수확 양치쩔 같온 캘단행 차쪼생활혜셔또 채대로

하지 않고, 지서를 따르치 않는 일이 찾얘 어벼 y7} ó}빽책룹 켠 샤간 설득한

후에 치료를 위책 발딸장애아동젠터해 냐}원환 경우야다i

내원 당시 설시된 섬려검사 결과는 E략홍어 주획짧중하져 훗하는 동획 푼처}

이와에 아이들에계 따돌힘받고, 어린약어챔렴 행동확고, 우옳파 불얀 등 ;성서적

영역에 어려융올 경험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었였다. 액쩍다 역 λ1 :A}l객 양융역3

비협조적이고 가부장적안 아버지로 엔헥 장려적 스프래스률 많야 경험하고 었

었으며 우울강여 높았다. 어려한 양정 분워가와 아통확 ;썽 λi~영 흘2성택 싼ζ영짧돗

본 아동은 치료 초반에 과쩨 지향적여벼, 쩍극척엠 척효호 참여흘 양쪼확는 본 프

로그램에 적옹하는 것을 핵력워하고 어머니혜채 ‘웬웹혜 7t-^} 양았요형 좋겠다i

Page 83: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71

는 불평을 몇 차례 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하지만, 치료 회기가 진행되면서 점

차 빈번하게 자신이 바둑학원이나 학교에서 또래들에게 맞거나 왕따당한 이야

기를 하고, 이러한 부정적인 또래 경험에 대한 분노감을 표출하면서 차타르시스

를 경험하고 문제상황에 대한 대처방볍을 시연하고, 학습하면서 자신감이 많이

증잔되었다.

이러한 긍정적인 변화가 반영되듯 사후 평가 시 과활동성이 감소했을 뿐만

아냐라 특히 K-CBCL에서 우울과 불안 동의 내재화 점수의 감소가 두드러졌

고, 여러한 경향성은 추후평가 사에도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모가 지각한 아동의 자기통제력은 사후 평가 시에는 거의 변화가 없다

가 추후 평가 시 유의미하게 감소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이는 부모 평정척

도에서 부모의 동기와 성격 스트레스 등에 의해 평정이 영향받는다는 점도 고

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H따πson & Sofronoff, 2002). 치료시기 내내 E

아동의 어머니는 ‘쓸데없이 아이를 끌고 다닌다. 치료가 필요한 아어가 아니다’

는 아버지의 주장과 비협조 속에서 단독으로 치료를 강행했고 이혀한 과정에서

스트레스가 매우 컸었다 따라서 자가통제력 검사지에서 질문하고 있는 인지 및

행동 상의 자기 통제가 증가되었는지를 평정할 때 아동의 변화에 대해 여전혀

부정적인 인식과 어머니 자선의 우울 짜증 등과 같은 스트레스가 점수에 영향

을 마쳤을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주변 사람들의 정서적 져져가 전혀 없고 가부장적인 남편과의 관계로 인해

우울감도 높고 부모훈련 시간에도 자녀와의 관계뿐만 아니라, 부부관계에 대한

정서적 어려움을 많이 토로했던 E아동의 어머니는 치료 후에도 부모역할 유능

감의 변화, 스트레스의 감소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녀양육에는 가족

내 스트혜스, 어머니의 정신병리, 부부 관계가 큰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의 선행

연구(Hamson & Sofronoff, 2002)를 뒷받침하는 결과로 받아들여졌다.

F아동은 2학년 남아로 감정조절능력이 미숙하고 낮은 학업 성팎 수준 등을

주호소로 어머니와 함께 발달장애센터로 내원한 아동이었다. 어머니 면담과 심

Page 84: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72

라검사 철과에서 지능수준은 높융에도 불구하고 주의집중 문자}와 충풍적엎 행

동 특성이 두드러져 학업 성춰힘 부전여 샤사되었고 본 프로그램뺑 참여획-게

되었다 아동뿐 딴 아나라 부모념획 처료혜 돼한 동지객 핵우 놓았고? 톡혀 어

머니는 과제에 대한 성실도가 매우 우수했고 lJ~회 아동에거} 어루어진 쳐료 프

로그램의 내용을 숙지하고, 야완기볍이나 ‘사간에 맞춰 끝때가’ 등 언자행동 놀

이치료 회기에 서행된 방볍들을 7}정에서도 성설허 활용확형는 모습여 두드휩

졌다. 사전 평가에서 실샤된 K-εgεL어Q 서 어머니는 위축, 우윷/볼안, u1성숙 등

내재화 영역에 보고가 집중되었는데, 사후평가에책도 41 :x~확 영역획 어려움용

여전히 남아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었다. 하지만, 헐지적 챙통쩍 자쳐→풍Â~ 력온

상당히 증진된 것으로 기술하고 있으며 쳐효 종결 λ.1 F약흉쩍 어빽l-Ì논 F약통

의 학업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한 점에 C홉해서 매우 받족짧협고 있었다.

치료에 대한 참여 풍기가 높고, 것극챔으로 아동 문책어$ 뼈처하고, 양육 가술

을 익히려는 태도가 냥딸랐현 F아통억 어머다는 샤후 i챙가얀 사행핵깨는 했으

나 치료 종철 후 부모역할 유능캅이 큰 폭으로 상승했고, ADF..D와 관련휠 아

동의 어려움을 파악하고 대처 거술을 엮힘에 따랴 양육 스트혜스도 lJij 우 감소

한 젓으로 나타났다‘ 그라고 어해냐 자쟁의 높은 자약장도률 반t영하듯 사전i챙자

시에도 부모 역할을 수행하는헥 불안양은 낮온 것으로 펴력했고g 야핵한 ;정향흘

사후 평가 사에도 유저되고 있었다.

사례별 분석 결과는 아흉악 행롱 푼체가 심각하고 자뎌혈 행동혀i 다{환 부표

의 통제력이 낮다고 지각할수록 양육 스트월}스는 했쩌는 것〈표arrison & Sofronoff, 2002)으로 보고환 산행 연구 결과가 본 연구혜서포 척져되고 없음율

시사한다。 또한 부모가 자녀회 행동 원인올 귀언확는 양작펙 약통핵~tlì환 후.s:.

의 정서적, 행동적 반응을 설명할 수 있체 헥주며 뿜쪼-자썩관책혈 쩔광 아똥

발달을 머리 예측할 수 있도록 해준다(Bugental et al.,1989; 캅ix et al., 1986)쓸

보고들과 일치되게 치료 프로묘램을 통했 ADHD 차I격 푼채훌훌 획도척한 뿔복좋

에서 귀인된 것여 아니라 ‘하지 못하는 것’으로 할석확체된 ζ'1핵 L갱룹은 아동혐

Page 85: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73

부정적인 행동에 대한 내인력이 높아지고 양육 효능감이 증가하는 것므로 나타

났다. 그리고 이러한 어머니의 태도 변화는 아동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ADHD 아동들이 문제 상황에서 보다 유연하게 생각하고 대처할 수 있게 해주

며 자신감을 북돋아주고 어머니에 대한 순종적인 태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

되었다.

7.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어머니들의 만족도

부모용 사용자 만족도 척도를 실시한 후 평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사후 평가

에서는 프로그램에 참석하였던 6명의 어머니가 모두 질문지에 응해서 100%의

응답율을 나타냈고, 추후 평가에서는 주소지 변경으로 인해 연락이 불가능했던

1명을 제외하고 5병의 어머니에게 질문지를 수거하였다.

10주간의 치료 후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고치고자 했던 문제점들의 향상 여

부(평균 8점)와 프로그램 후의 아동의 행동 변화(평균 8점)에 대해서 응답자들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호전된 것으로 평정하였다.

프로그램에서 가장 활용도가 높은 것은 지시하기, 칭찬하기, 스티커/ 점수 제

도, 관심보얘기 순으로 평가되었다.

사전평가 실시 후 1년이 경과된 후 추후 평가를 실시하였을 때, 고치고자 했

던 문제점들의 향상 여부는 평균 6점으로, 프로그램 후의 아동의 행동 변화에

대해서는 평균 7.3점으로 사후평가에 비해서는 감소되었으나 치료효과에 대해서

는 긍정적으로 평정하였다.

추후 평가 시 인지행동놀이치료가 아동의 어떤 측면에 효과적이었는지를 10

점 척도로 평가한 결과 사회성증진(평균 7.5), 안내력 증가(평균 6.75), 자기통제

와 자신감 회복(평균 6.5), 한가지 과제를 지속하는 것(평균 6) 순으로 조사되었

다. 또한 80%의 응답자들은 추후 평가 시 회기가 짧았다는 점과 치료자의 펴

Page 86: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74

이드백을 받고, 당변하는 문제를 함께 논의할 수 었도록 프로그램 후액도 장기

적인 접촉의 필요성을 느깐다고 보고하혔다.

Page 87: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v. 논의 및 제언

A. 결론

1. 치료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문제행동에 마치는 효과

10주간의 치료 후 어머니가 자녀의 행동에 대해 평정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K-CBCL에서 총문제 행동 증후군과 외현화 행동 문체가 감소되었

으며, 가정 및 다양한 사회적 상황에서의 푼제 행동수가 감소하고 ADHD의 주

요 증상앤 과활동성이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후 평가에서는 증가 경

향만 보고되었던 아동의 인지적, 행동적 자기 통제력이 추후 평가에서는 유의미

하게 증가되어 결과적으로 10주간의 인지행동 놀어 치료 후 ADHD 아동들의

전반적인 문제행동과 ADHD의 주요 증상인 과활동성은 감소된 반면, 자거통제

력은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담임 교사가 평정한 결과에서도 행동문제와 주의

산만-과다활동등이 유의미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녔다.

이 같은 행동 개선은 ADHD 아동의 핵심증상을 다루어주는 인지행동놀이치

료와 적극적인 부모 개입을 수반하는 부모 훈련이 상호보완적인 치료 효과를

가져온 결과라고 생각된다.

2. 치료 프로그램여 어머냐의 양육 스트레스, 부모 역할

효능캄에 미치는 효과

10주간의 치료 후 치료 집단의 어머니는 통제집단의 어머니에 비해 부모역할

효능감은 유의하게 향상된 반면, 푸모역할 불안감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어머

Page 88: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76

니들은 10주간의 차료를 통해 다양한 양육 기술과 ADHD 증상에 대한 태응 밤

안을 습득하변서 어머니 역할혜 대한 효능캉의 향상을 차각하는 반혐, 아풍확

문제 행동이 감소하고 아동회 어려움을 이해하채 획면서 효D표D ^r l.,;갱를 킥우

변서 경혐했던 좌철감과 불안캄은 감소되었탤 것으로 용해샘훨략. 그웰터1, 추후

평가에서는 벼록 변화의 폭이 감소확긴 략였 ;;;1 만, 부모역할 효놓감확 향상 청향

성은 유지되고 있었지한, 부모역할애 대한 불안감은 다사 높아전 젖으로 y.타났

다. 이러한 갤과는 80%의 응답자들은 추후 평자 사 확거거 짧았다는 정과 쳐료

7.}의 피어드백을 받고, 당면하는 문체흘 합쩌} 논핵활 수 었도록 포훌그-랩 i향액

도 장기적얀 접촉의 필효성을 즈:껄다고 효고한 사설을 고려해 볼 g겪 어빼다툴

。1 ADHD 자녀를 양육하면잭 부딪히는 여 èi 가지 푼책1풀이IJ t책핵 쩌속적으로

조언을 받고 함께 논의활 수 있는 지속청얀 부모 훈환야나 iE육~윷 필요로 한다

는 점을 시사받을 수 있다

사후 평 7}에서 양육 스트랙스 총챔, 자녀 기쩔과 판헐된 스료헤스, 자셔확획

판계로 인한 스트레스 학습 가대와 판련된 스트려스의 변화자 유획하자 않였

다. 야와 곁은 결과는 주와력 끽불팝 과엉행동장얘 ö}동획 역혀다흘옳 때상으로

행동수정원라를 주로 다루는 부모훈련(산면섭, 오-경자, 홍장형, 1995; 챔쩨설, 활

동현, 이양희, 1998)아나 언쩌행풍적 부모훈련 후(박종규, 1999) 양융 스토헥ζ상

가 감소되었다는 것과는 상반된 결과아다- 다-딴, 착녀 71 쩔파 흑훈련환 스표헥스

나 자녀와의 관계로 연한 스트레스는 줬소 경향어 혔었요I냥, 특협 추후 평가애

서 자녀 지질과 관련한 스트해스는 유의머하자1 감소월 젖으로 나타났다1 야핵환

결과는 전술된 바와 같이 치료를 통해 ADHD 증상핵 C웹한 2춰광2핵뺀 ;성뾰룡 융

득함으로서 자녀의 행통 문채확 상당 황분올 의도쩍옆 훌윷복총 행홍역냐 빽롯없

음, 잘못된 습편 탓으로 이해하거 보다는 ADHD가 차져요는 쩍용씩 댁 E영홉으

로 이해하거1 된 것으로 설명할 수 었윷 것으로 보얀다.

Page 89: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77

3. 치료 프로그램이 어머나-자녀 상호행동에 미치는 효과

10주간의 치료 후 어머니와 자녀 간의 자녀의견 존중, 강압 및 처벌 행동, 정

서적 애정표현 행동; 활동 공유를 통한 애정 표현 행동, 독립적 행동의 격려, 비

일관적 행동 등 어머니-자녀 상호행동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

나지 않았다. 다만, 어머니의 우울증상 감소와 양육기술 증진을 위한 인지행동

집단치료 프로그램 후(하은혜 2000) 강압 몇 처별 행동아 감소되고 자녀의견

존중행통이 증가되었다는 결과와 유사하게 유의머하지는 않으나 자뎌의 의견

존중, 정서적 애정 표현 행동이 다소 증가되고, 강압 및 처벌 행동은 다소 감소

되는 경향이 시사되었지만 그 정도는 미미한 수준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특히

ADHD 아동들의 특성 상 어머니와의 갈등 수준이 높은 경우가 대다수임을 감

안할 때, 실제 어머니와 자녀 간의 상호 행동의 변화까지 이어지는데는 시간이

많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뿐만 아니라 치료 종결 후 9개월여 경과된 후 실시된 추후 평가에서는 사후

평가 시 변화 경향성이 나타났던 자녀의견 존중의 증가, 강압 및 처벌 행동의

감소 경향성 등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인지행동 집단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하은혜, 2000) 3개월이 경과한 시점에 설서한 추후 평가에서 사후 평가

에서 나타났던 변화들이 사라지고 채벌이나 강압적 양육방식이 다시 늘가 시작

하는 경향성이 보고되었음과 일치한다. 이는 강압적이고 처벌적인 양육 방식이

변화되기 쉽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치료 효과가 장기적으로 유지될 수 있

는 방안이 보완되어야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활동 공유를 통한 얘정표현은

오히려 사후, 추후 평가를 거치면서 감소되는 경향성이 나타나고 있는대, 이는

자녀와 함께 외출하거나, 운동경기, 놀이 등에 함꺼i 참여하는 등의 활동 공유는

학년이 증가할수록 학습과 관련된 부모의 관심과 통제가 증가하면서 더욱 감소

되는 현실적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보여진다.

하지만, 어머니들의 정서적 애정표현이 유의미하지는 않으나 사후평가, 추후

Page 90: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78

평가를 거치변서 증가되고 있음이 보고되었먼 점은 긍쟁책현 변화로 보딴다. 야

는 아동의 문제 행동아 감소하고, 특합 부3표에 I취한 순종 행동야 증가하면셔 야

애 대한 긍정적언 파드백여 정서적 애정표현으로 나랴남 쳤으효 보핵정다,

이상의 결과는 10주간의 치료 프로그램을 통책서 양육71 옳과 챙흉수정 휠핵

를 습득하는 젓이 어머니들의 설채 양육 행동의 변확률 01끄는 핵혜눈 채환여

따르며 치료 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아 펼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략.

4. 프로그햄 수행애 I훼향 논f갱

연구자에 외해 제작되어 ADHD 아동파 어벼냐률 tJi상요로 설 ^1휠 핸지행동

놀야차료와 부모훈련외 효과를 겹증하기 얽한 10회겨 단거 프로그햄아 켈행핵

었다. 먼저 프로그램 수행 셔 사용되였떤 자법블콰 설λ} 과정 장확 푼쳐3점야다

특이 사항들을 논의해보고자 한다i

ADHD 아동에 대한 인지행동 놀아쳐료 회거의 ‘쓰러~ 71 봉투 겨탤’ 알혈1로

아이들아 표현한 학교에서 알어냐는 일 7}운핵l 버확고 싫윤 혈뜰로는 ‘환 애틀

이 별명을 부르며 놀력는 것, 때려묘 사배거는 것, 본옆한 왕1따사했는 첫, 욕확

는 것’ 등야었으며, 집에서 얼어다는 일 7r운더} 버형도조 싶온 열로는 ‘얘빽니각

소리치고 야단쩌는 것 어머니 잔소려, 풍부사참, 다툼을 알으커는 형채’ 동얘었

다. 이처럼 쓰래겨 기법플에책 ADHD 아동들 스스호 보고향 때용들홉 첼행 멸

구들이 밝하고 있듯 ADHD 아통틀어 또?ll률확획 관챙7} 휠향화;잭 봇하고 왕따

를 당하거나 문체 상황액잭 적절한 샤화챔 가술을 자지고 ε해응하Ãl 웃하고 았

음을 보여주며, 가정에서는 아동들의 문책 행동에 대책 부정쩍언 치캡파 헥프팩

을 주캐 되는 어벼니와혐 판계애서 스트헤스를 많아 ξ:쩍고 었음을 보C욕주고

있다. 또한 많은 ADHD 아풍들아 학년여 높을수록 。}혜 벼헥해셔 켜져는 학죠표

숙제에 대한 부담이 크고, 하거 싫어하는 경향핵 높아져는 것으로 냐타냐고 었

Page 91: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79

어 아동들이 효율적으로 학교 숙제를 완수하거나 알림장을 써오도록 도약줄 수

었는 방법을 논의하는데 부모훈련 시간을 할애한 본 프로그램은 부모가 아동의

문제를 효율적으로 지도하고 도와줄 수 있는 시간으로 유익했던 것으로 나타났

다.

9회기에 실시한 ‘놀이판 게임’이 실시된 사례는 부록 13에 제시되어있다. 치료

종반에 실시하여 아동들 스스로에게 성공한 점, 변화한 점을 기술하게 한 ‘놀이

판 게임’에서는 ‘교사 말을 잘 듣게 되었다. 친구들에게 양보를 많이 한다. 학원

끝나고 바로 집에 온다.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위험하게 놀지 않는다. 너무 빨

리 하다 천천히 하게되었다. 친구가 생겼다. 정리쟁돈을 잘 하게 되었다. 학교

갔다와서 바로 숙제한다. 부모님과의 약속을 잘 지킨다, 스스로 숙제한다’ 등의

내용이 많이 있어서 아동블 스스로 생각하기에도 가정생활이나 학교생활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많이 경혐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함께 작성된 ‘나의 좋은 행동 목록표’의 사례는 부록 14에 제시하였는데,

치료회기를 통해서 그리고 부모들의 양육 태도의 변화에 따라 긍정적인 펴드백

을 많여 받고, 작은 성공에도 강화를 많이 받으면서 자아개념이 상당햄 호전되

었음을 반영하듯 사소한 성공의 예를 통해서도 자신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내

부 귀인하려는 경향이 발전된 것으로 시사되었다.

부모 훈련 2회기에서 실시한 아동중심놀이시간을 실시하고 놀이의 내용과 어

에 대한 어머니의 생각을 기록하여 오도록 하였다. 실시 예는 부록 15에 제시하

였다. 어머니들이 보고한 놀이의 내용은 ‘알까기, 오목, 핫케익 만들기, 카드놀

이, 주사위 던져 나온 숫자만큼 때리기, 씨름, 윷놀어, 가위바위보 하나빼기, 탑

블레이드 팽이게임, 팔씨름, 종이접기, 구슬치기, 젠가, I spy, 호텔왕 게엄’ 등

다양하였다. 아동중심놀이시간에 대한 어머니가 생각하는 좋은 점은 ‘아이가 즐

거워하니 함께 즐거웠고, 늘 야단만 치고, 부정적인 면만 지적하다가 긍정적으

로 상호 작용을 하는 시간을 가지게 되었다’는 의견이 많았고, 어머니와의 놀이

시간에 매우 적은 횟수이기는 하나 ‘아버지도 함께 동참하게 돼서 아이와 아버

Page 92: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80

지가 함께 즐저워했다’는 것을 보고향 어벼니포 있었다‘

반면에 학령기 여후 아통과 함쩨 놀여릎 한 철이 척어 어머 y차 약핵와 함쩨

노는 방법을 모르겠고, 아동의 놀아 빵식얘 익숙하;::1 않아 어벼나y. ò}ój 모두

함께 놀이하는 것을 흥미를 느까져 못하는 ;영우도 있었고3 왈부 약동률은 거}엽

에 이기가 위해 어머니블 속야합 하겨다 규척율 엽의로 벼꾸려 샤도활 볍11 t챔응

해야하는 방법에 태해 어렵다는 치적도 였었다- 또한 다룬 경영책카 있는 경우

ADHD 자녀와만 놀이 시간을 수행하는 것얘 핵협고 약씌똘씩 뺑-파 후혜쪼 학

원이나 과확 활동야 다양하71 펙문에 집에 포착한 늦은 샤칸핵 쩌행석사냐 숙

제하71 , TV 시청에도 서간이 빠듯하겨 때푼에1 :;정작 놀혀 잭양용 설쟁확는 것핵

어렵다는 지적도 있었다. 이려한 책쩍룹혜 대해서는 논의 ^ì ¥¥훌 총책λ1 ó¥홍종

심의 놀이 잭간획 춰지와 가본 향볍에 혜해 다서 설형확고, 또경생 연향으1 01-흉툴

아 할 수 있는 놀이의 내용을 예시하고, 다른 어u1 Y들역 놓이 λ1 {} 1-껴용 등율

참고활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아풍중셉의 놓야 잭간온 약: 15흘헥 짧은 셔쳤

만여라도 아이와 긍정적연 상호 작용힐 71 챔틀 갖도록 하는 젖염융 다책 설τ§

하고 숙제직후나 저녁 식사 후 사여 시감올 활용확는 방볍률얘 ℃꽤흠행 조언하였

다. 이러한 아동중심놀어 잭간애 대환 어머다을획 의견뜰온 은 우혁싹라획 벼활

리적언 교육 제도의 일벌올 한영화는 젖으로 생각쩍었략‘

토큰/점수 제도의 실잭 대용에 태한 사례는 부록 짧에 째사하였다. 형쩍다뜰

。} 수정하고자 하는 행동의 유형은 ‘학표 준벼물 챈날 준벼하켜y 삭사사양얘 물

아다니지 않겨, 숙제할 때 돌싹다나치 않71 , 방 불 11.71 , 얻£휩창 썩오71, 용하71

않가, 거짓말하지 않거, 쩌수하객, 양척철하기? 똥이 나왔다. 쩔수 책도를 활용활

때는 형제가 동참하처나 약벼책자 편성윷 가쩌고 용확 보항 사 약홍혀$거~ ~혹·뺑

상을 준다꺼나 격려핵춘 창우 약똥아나 혀찍나왜 참C댐 통71약 높o}책크l 었핵

아동 양육아나 훈육애는 어벼냐 뿐 싼 약다라 아썰져, 형책윷획 역합5ξ 3표략는

점이 시사확었다.

Page 93: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81

한편, 치료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수행 여부는 연구에 참가한 어머니들의 동기

수준과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 참여에 대한 어머니들의 동기 수

준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는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학교 담임교사들에 의해 의뢰

된 아동블의 경우 이전에 어미 다른 병원이나 치료 기관에서 ADHD 진단을 받

고, 치료를 권유받았지만, 아버지가 반대했거나 약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아

동의 연령이 증가하면 호전될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나 주변 사람들의 조언으로

치료받지 않았던 경우가 상당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어머니들의 경우 담임교

사의 권유가 있을 때 아동에 대한 자세한 평가 결과를 확인하고싶어 진단 과정

에는 참여하지만, 이전에 치료에 참여하지 못했던 동일한 사유로 언책 막상 치

료에 참여를 권유하면 치료에 거부적인 경우가 일부 있었다. 또한, 학교 담임

교사의 권유로 의뢰된 아동들의 경우 특히 저학년 학부모들은 자신의 자녀가

부정적언 아동으로 낙인찍혔다고 받아들여 불쾌해하고 진단 및 치료 과정에 참

여하는 것은 담임 교사의 생각을 입증시키는 것이라고 생각해서 진단 과정 자

체에 참여를 거부하는 경우들도 있었다.

따라서 어머니들이 과제 수행율이나 치료 과정에 관심을 가지고, 아동의 변화

를 면밀히 주의깊게 관찰하여 치료자에게 보고한다거나 치료에 적극적으로 참

여하는 모습 동을 간접적인 평가 준거로 사용했을 때 아동의 문제를 수용하고

직접 어머니가 아동을 데리고 치료 센터에 내원한 경우 가장 치료에 대한 동기

수준이 높아 치료 효과에 긍정적인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밖에 치료

자와 어머니, 아동 간의 라포 형성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Page 94: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82

B. 연구의 왜왜

본 연구의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잘다.

첫째, 아동의 인지 행동 놀이차료와 부포 홍련올 병황하혀 실처1 AD짧D 염상

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효과틀 입증하혔다는 점에서 획획 7} 3.,다. 많-흘 71

존 연구들은 ADHD 증상에 대한 딴가캉획 약물 처료확 효팩룹 뾰Jl하고 였으

나 약물치료의 제한점으로 언해 포륜 아풍툴혜거1 약불쳐료흘 2억용활 수 없다는

한겨1와 현실적인 한국 쌍황 내 차효 관행을 고려챔 볼 때, 본 혈구의 결과는 환

지행동 놀이쳐료냐 부모 훈련과 같용 삽리치료적 캡근딴으로도 흉D표흡 아통혈

행동문제가 감소될 수 있음을 보얘주고 잉어 어플 아통핵 t껴환 책홍초쩍힐 때안

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현재 임상철문가들은 A많ID 치효얘 핵해 다양한 혔창-을 햄향Jl 있다‘

약물 치료는 널리 사용획지만, 약떤 전문가플온 확도록 약풀차료훌 하?é] 양파l,

다른 대체 치료법을 적용하려하며, 다른 전푼7}플윤 Zf2t와 척료볍역 책로 다른

장애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종합책언 다중 처료가 아통얘체 7홍장 도움핵 훨다

고 주장한다. 또한 대채로 AD쪼ID 자L갱를 다루는 후표 훈햄획 중요성여 환정확

고 었다. 어처럼 개채 아동핵 처한 상황혜 따라 쳐효햄은 뿔라쩔 팔요7¥ 있화

최근 경향은 종합적인 다중 쳐료적 첩근으포 나아가고 였다는 첩윷 고E챔책 불

때, 본 치료 프로그램이 아똥얘 다}해서는 헬척행똥치료를, 0-1 벼니혜계는 3휴포

훈련을 병합하C낙 아동과 어며다흘 혜성-즈프로 환 2섭용 임장2적 용용 7}3i;ì훌 쩔총

하는 결과라 할 수 았다.

셋째, ADHD혜 대행 치료 효과를 합종해주는 많은 국1춰, 국휩형 선행혈구틀

도 추후 평가가 어루어진 사점은 단가로 최때 37뼈월로, 쳐효획 효파가 져속확는

Page 95: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83

지에 대한 장기 연구는 거의 실시되지 않고 있다(Nationa1 Institutes of Hea1th,

2000). 하지만, 아동기 정신과 장애역 치료 효과에 대한 정확한 평가는 치료 종

결 후 장기 추적 연구를 통해 학엽적, 사회적 기능에 대한 객관적 정보가 취합

되어야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다수의 ADHD 아동들의 충동성, 부주의, 사회적

기술의 어려움은 성인이 되어서도 지속된다는 장기추적 연구결과(Weiss, 1992)

는 1년이 지난 후 이루어진 추후 평가 결과가 연령에 따른 성숙에서 바롯된 것

만은 아님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록 실시 대상이 소수이고, 평가 도

구가 교사와 어머니 평정만으로 이루어지기는 했으나 ADHD 아동에 대한 치료

효과를 장기 추적 연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C.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프로그램은 총 10회의 단가치료 프로그램으로 추후 이루어전 부모의

평가에서 대다수의 부모들이 회기가 짧고 특히 부모 훈련의 내용들이 효과적으

로 시행되거 위해서는 장기적인 접촉의 필요성을 지적하고 았다. 반드시 주 1회

가 아냐더라도 2-3주, 4주 등의 간격을 가지면서 치료 프로그램을 보다 연장해

서 부모들이 부모 훈련에서 습득한 내용들을 충분히 적용하고 응용할 수 있도

록 도와주며, 아동의 경우에도 치료과정에서 익힌 다}용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해주며 당면하는 적응의 어려움을 감소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모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본 연구는 연구자 1인이 모든 치료 집단을 운영한 경우로서 치료 효과

및 기타 결과블이 치료자 변언에 따른 결과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본 연

Page 96: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84

구에서 실사된 치료 프로그램풀은 다륜 치료자뜰에 의해 실셔확어 그 효과자

반복 검증될 필요가 었다,

셋째, 본 연구얘 참자한 펴혐차 수자 치료 첩단 8명, 통채첩단 4t:청요효 2쩍온

수라는 점이다。 피험자 수가 적였으묘로 본 연구의 결과를 열받확하71얘는 채한

이 따른다。 보다 많은 수악 사핵로 확tìl하여 차효 효확흘 뺑봄 점총활 펼요7}

있다.

넷째, 평가 방법 상 다읍과 철은 한계카 었다. 우첼 척료 효3학확 1:'Il .:ï표촬 우1 한

평 7t치를 주로 교사양 어머냐의 보고에만 의존했다는 청으효 약흉빽 행풍 혈확

를 잭판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보다 다양환 방직생들이 삭용확역야 활 것핵다. 본

연구얘서는 연구자가 아동외 ADHD 증상의 ;썽도를 평거하껴 위혀얘 모든 아흉

들에게 TOVA를 사전검사단계돼서 설사하였으나 소프료햄혀 상E생 풍채로 자흉

를 사용할 수 없게 확었다" 01후 연구얘서는 τOVA다 산청샘혁컵사 용 아홍씌

언지기능평가와 학엽적 성취 수준의 변화릎 얄아활 수 었눈 학엽절획검사, 그력

고 아동용 자겨보고식 i형;생얘 함쩨 병행획어 아동햄 문책정꽉 차료. 후 환화 추

이에 대해서 보다 객관적언 정보를 열을 휠요가 았다.

다섯째, 부모 훈련이 얘 nì 다어8 국현-되였떤 2첩이다. 본 연우에 챔햄할 얼부 액

머니들은 아버지도 캉왜엑 참석혀거를 희망했지얀, 현싫2욕요로 아썩:xì틀획 셔짧

상 치료에 참여할 수 없었다. 또환 핵머나는 치훌햄 창얘혔려 혔.2.4 약빽:x17r

반대하여 셔작 적천에 달락한 사혜도 있었략; 그핵나 자X잭혐 치효파쩡례잭 o}썩

지의 협조도 중요하며, 부모 훈련빽 1챔용들어 열완쩍으로 책용확 7Î 월책셔플 약

버지의 참여를 유도하는 것어 필요하다.

Page 97: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85

참고문현

고려원 (1993). 부모훈련을 통한 주의결핍 과엉활동아의 치료효과 연구. 연

세 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김경희(1995). 자기통제훈련이 주의력결함 과잉행동아의 주의산만 행동수

정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며애(1998). 약물치료 중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아동에 대한 인지-행동 치

료의 효과.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검세실, 안동현, 이양희 (1998). 주의력 결핍/과다 활동장애(AÐHD) 아동에

대한 약물-부모 훈련 병합치료의 효과. 신경정신의학, 37, 683-699.

검옥정 (1998). 주의력 결함 과잉행동 장애 아동의 증후에 따른 치료 효과

비교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문경주 (1994). 어머니의 우울과 아동의 부적용칸의 관계: 모-자 상호행동

관찰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 청구논문.

문경주, 이은식, 오경자 (2000). 양육행동 척도의 신뢰도와 요인구조. 양상정

리학화 하계학줄대화 발표논문캅, 69-72.

박중규(1999). 아동의 방해적 문제행동에 대한 인지-행동적 푸포 훈련과

행동적 부모 훈련왜 치료효과 비교.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신민섭, 오경자, 홍강의 (1995). 주의 력 결핍 과잉활동장애 아동에서 약물 단

독치료와 부모훈련 병합치료의 효과 비표. 소아 청소년 정신의학,

6(1), 65-73.

신숙재 (1997). 어머니의 양육 스트래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효능감이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양명희 (1988). 주의산만 몇 충동적 아동얘 대한 인지적 자기통제 훈련의

효과. 대구대학교 석사 논문.

Page 98: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86

요경자, 김은정(1998). 껴혼 얘성왜 우옳증상과 심렉사협적 특성 3채월간 추

적연구. 성곡 학술푼화짧탤 연구파채 보고잭.

오경자, 야혜련 (1989). 주의력 결핍 파영활동증 평자도구풍서획 ε。nners !행

가척도의 활용. 활국상랩 학핵쩌: 영짱, 8(담, 135-142‘

오경자, 이혜련? 홍강의 (1991). 한국어판 CBCL확 째방 및 표준확릎 획한 연

구. 문교부싼하 혈국 학술 작홍째단 자유꽁쭈 확%짧 헬:폼 뾰Jl책-

오경자, 홍캉의, 이혜련, 하은혜 (1997). 흉-CBCL <:i홍홉j혈소1핵 행황i행 F훌 착

도. 서울: 중양적성 출판사.

이경엄(1996). 연져척-행동적 짜71통책 훈력약 얘흉훼 책쩍←폼X쩍쩔::;숍책수

행 및 연건 문채해쩔놓혁빽 째생얘 캅3쳐블 효i뺨;;영쌍r휴확i표 교육대

학원 박사 학맑 논문@

이연주 (1986). 결혼만쪽도 책도혐 타당황 혈구. 경회대학:ïi1. 석사학위 논문.

야명철, 안창식(1999). 차객 통책 훈력핵 주빽 i뽑 쩔;펼 i챙억양 禮똥아빽 호흙쩔

용 행 동해 며 치 는 효햄.http://ksed1남.taegu.ac.kr/jourτml/월않15-2-4. 월

tm.

장수쟁 (1998). 주의램 컬팝 과앵행동 싹흉확 자책j꿇책 훈뭘훌 샤짧3 연구‘ 핵구

대학교 교육대학원 색사학위 논푼‘

정선벼 (2001). 복합 훈뿔 프로그램햄핵 주확쩔 철활 3츄야상행흉흉&행(AÐ훌짧}

아동악 행동 수청액 벼책는 효과- 진주j효육확교 표흉다3햄원 석λ}략우}

노문

조훈(2002). 폭협치료 프로그쩔야 ADHD 아동혈 층똥쩔:;<:훌잭통흉행력, 짜작

재 1검에 며처는 효과. 부산대학교 표육대학월 석사햄휩 논문‘

최머펙 (1987). 대학생 J폼윷쩔단왜 청책 앨챔꺼흡 효i숍향 혈잭 2쩡으E료 육포훨

정책 상댐7} 쟁보처려얘 며채는 영향. 채울tll학교 쩍사 창구놈품-

하은혀ij (1991>. 주의결펼 콰〈양활똥야S앵 약물채릎t맴 빽륜 쪼-À¥ 쌓호행똥i갱

언착척, 행동작 증짱확 명화. 연쐐 E쐐학교 챙사 학확논푼。

Page 99: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87

하은혜 (2000). 문제행동 자녀를 둔 우울한 어머니에 대한 언지행동 집단

치료의 효과.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황혜자, 김옥정(1998). 주의력결함 과엉행동 아동의 문제행동 치료 사례1. 동

아대학생 연구, 26.

Abi버n, R. R. (1990). Parenting Stress lndex Short Form. Charlottesvile,

V A: Pematric Psychology 암ess.

Abikoff, H. (1987). An evaluation of cognitive-behavior therapy for

hyperactive children In B. L하ley & A. E. Kazmn (Eds.) , Advances in

clinical child psychology(Vol. 10, pp. 171-216). New York: Prenum.

Abikoff, H. (1991). Cognitive training in ADHD children: Less to it than

meets the eye. Joumal of Learning Disabilities, 24, 205-209.

Achenbach, T.M. & Edelbrock, C. (1983). Manual for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and Revised Behavior Profile. VT University of Vermont,

Department of PsychiatI}ζ

Anastropoulos, A. D., Smith, J. M. , & Wien, E. E, (1998). Counseling and

training parents. In R. A. Barkley, Attention-deficit hyperactiviη

disorder. New Y ork: Guilford Press.

Anastropoulos, A. D , Barkley, R.A., & Shelton, T. L. (1996).

Family-based treatment: Psychosocia1 intervention for children 때d

adolescen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bity Disorder. In E. D.

Hibbs & P. S. Jensen (Eds.) , PsychosociaZ treatmeηts for child and

adolescent disorders: Empiriα;úly based strategies fir clinical

practice.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1 Association.

Ayllon, T., Layman, D. & Kandel, H. J. (1975). A behaviora1-educationa1

a1temative to drug control; of hyperactive children. Joαmal of

Applied behavior Anaψsis, 8, 137-146.

Page 100: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88

Baer, R., & Nietzel, M. T. (1991). Cognitive 짧ld behaγioral tre용월nent of

impulsivity in children: A meta analytic review of the outcome

literature. ] ournal of Clinical Chil갱 Psycholo,웰J, 20, 400-412.

Baker, L. & Cant、rvell , D. P. (1991) ‘ The deγelopment of speech an갱

language. In M. Lewis (Ed.), Child αnd αdolescent p앓lcl경(atηi: ι옛

comprehensive textbook. Baltimore: 햄Tilli없ns & Wi짧ns‘

Bark1ey, R A. (1985). The social interactions of hy쟁eractive ch겹dren:

Developmental changes, drug effects, and si월:tational variation. In R

Mcm삶lOn & 묘 Peters CEds.), ε삶ildhood disorders:

Behavioral-developmental apprαlChes (PP. 218-243). Nev방 정ork.

Bark1ey, R. A. (1987). Defiant Children: A clinician's 1γ?짧없l for p영rent

training. New Y ork: Guilford Press ‘

Bark1ey, R A. (1990). ADHD adolescents: 원없빼y εg었짧찮S 없1뼈 their

treatment. Grant from Natioηal Instit성te of 1없ental 1정gαlt!킹

MH41않3‘

Bark1ey, R A. {199H 많agnosis and assessment 。¥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ε'omprehensive 폈eηtall포짧lt양 짧re. 1, 27-43.

Bark1ey, R. A. (1995). Takiηg chc양!ge ε햇 ADHÐ: The complete,

authoritative guide for parents. New York: Guilford.

Bark1ey, R. A. (1996). Attention-defici야lyperactivity 밟sorder. In E ‘ X.

Bark1ey, R A. (1997). D밟’αηt Children: 값 clinic없n, 's 업鋼밟1 for par,용짧

training(2nd EdιBark1ey, R. A. (1998). Attentiθn-D행εit/Hyperactivity 생ísorc썼r: 않 handbook for diagnosis and treatment 않ld Ed‘). 뼈g₩← York: (냈for였

Barkley, R. A., & Ullman, D. ε. (975). A comp짧son of objeεtive

measures of a다ivity level and distrac않i1it¥ 10 뺑peractive 짧뼈

Page 101: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89

nonhyperactive children. Journal 0/ Abnormal Child Psychology, 3,

213-244.

Barkey, R. A., & Cunningham, C. E. (1979b). The effects of

methylphenidate on the mother-chi1d interactions of hyperactive

children. Archives 하 General Psychiatry, 36, 201-208.

Barkley. R. A., & Cunningham, C. E. (980). The parent-child interactions

of hyperactive chi1dren and their modification by stimulant drug. In

R. Kights & D. Bakker(EDs.), Treatment 0/ Hyperactive α1,d

leaming disabled children(pp, 219-236). Baltimore: University Park

Press.

Barkley, R. A., Cunningham, C., & Karlsson, ]. (983). The speech of

hyperactive children from their mothers: comparisons with normal

children and stimulant drug effects. ] oun때 0/ Leaming

Disabilíties, 16, 105-110.

Barkley. R. A., Fischer, M., Edelbroch, C. S. (990). The adolescent out

come of hyperactive children diagnosed by research criteria: I.n 8

year prospective follow-up study. Journal 0/ the American

Academy 0/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Tγ, 29, 546-557

Barkley, R. A., Anastopoulos, A. D., Gurvremont, D. G., & Fletcher, K. F.

(1991). Adolescen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Pattem of behavioral adjustment, academic functioning, and treatment

utilization. ] ournal 0/ the Ameri,뼈1 Academy 0/ Child and

Adolescent Psych따try, 30, 752-761.

Battle, E. S., & Lacey, B. (1972). A context for Hyperactivity in children,

over time. Child Development, 43, 757-773.

Beck, A.T. (1979).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αzd theoretical

Page 102: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90

aspects. New Y ork: Harper & Row.

Beitchman, 1. 묘., Hoo샘, j., 앓ochon, J, & 합'eterson , 짧. <19흉9). 표mpirical

c1assification of speec없anguage disorders. ι(0μ爛l ζif the Ameri짧E

ι4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ro‘따까T, 28, 118-123.

Biderman. J., Faraone, S. V. & Lapey, K. (1992). Comor업1c쉽ty 0¥ diag웠081S

in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양der. In 융. Weiss (E강J, Ghil혀

and adolescent psychi,αtric εlinics c좋 North Ameriᣑ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θrder (pp. 335-360). Philadelphi용:

Saunders‘

Biederman, J. (1991). Attention 갑eficit Hyperactivi다r Diso짧.er (AD짧D).

Annals of Glinicα1 Psychiαtry, 3, 9-22.

B1oomquist, M. L. (1명않. Skills training for chil혀re갱 witβ be,짧vior

disorder: A parent and t,감erαrpist guidεbook. New ¥ork: G성i聽or,영,

Bugenta1 D. B., B1ue J., Cruzcosa, M. (1989). Perceived control 。γer caregiving

outcomes: implications for child abuse. Developmental P양'G월ology, 25,

532-539.

Bugental, D. B., Whalen, C. K., and 묘enker, B‘ (1977) ‘ Causal attributions

of hyperactive εhi밟en and motivational ass않nptions of t、"'0 b풍삼aV10r

change approached: evi’de애εe for αn inte1iαctive position. 짧짧

Development 48: 874-884.

Cantwell, D., & Carlson, G. (않78). S찮nulant. Jn J. ₩gπy(EdJ, Pù,앓α씁iε

psychopharmacology(pp. 강71-207) , New York: B업mner/Maεe1.

Conners, C.K (1970) , Symtom patterns in hyperkinetic, 효앙urotiεan용

normal children. α1ild Developη~ent, 41, 667-682.

Conners, C. K. (1995). Conners' Con찮ημous Pe핸g짧짧ce 갱èst Coηlpμtel‘

Program 3.0 user장 η없%없1. North Y,짧awa.η00, NY: M묘§‘

Page 103: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91

Danforth, ]. S., Barkley, R. A., & Stokes, T. F. (1991). Observations of

parent-chíld interactions with hyperactive children: Research and

c1inica1 implications. Clinical Psychology Review, 11, 703-727.

Dix, T., Ruble D. N., Grusec JE, Nixon S. (1986). Social cognitions in parents:

inferential and affective reaction to children of three age levels. Child

Development, 57, 879-894.

Dollinger, S. J (1979). Extnnsic rewards, reward-associated messages,

and intrinsic motivation.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3,

367-370.

Drabman, R., Spi떠lnik, R., and O'Le많γ, K. D. (1973). Teaching

self-control to disruptive children. ] ournal of Abnorrnal Psychology,

82, 110-116.

Dupaul, G. ]., Power, T. J., Anastopolos, A. D., & Reid, R. (1998). ADHD

Rating Scale- IV: Checklists, norms, αld clinical interpretation, New

Y ork: Guilford.

FeHings, D. L., Roberts, W., Humphries, T., & Dawe, G. (1991).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Does cognitive behaviora1 therapy

improve home behavior? ] oun때 of Developmental and Behavioral

Pediatrics, 12, 223-228.

Fischer, M. (1990). Parenting stress and the chi1d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8, 580-588.

Fischer, M., Barkley, R. A., Fletcher, K., & Sma1lish, L. 0993b). The

adolescent outcome of hyperactive children diagnosed by research

criteria, V: Predictors of outcome. J ournal of the American Acα: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따try, 32, 324-332.

Page 104: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92

Forehand, R.L. & McMahon, 묘.J, (1981). He빼ng the nonc당mp싫u짧 ε繼않:

A clinicîan's guide to parent Training. New ¥。rk: Guilf{)r생 Press。

Frick, P. L., & L삶ley, B. B‘ (1991). The n짧rre and charact짧stics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School 윈syc:처010뿔! 짧eview ,

20, 163-173.

Gadow, K. D., & Pomeroy, J. C. (Eds‘). (1991). An overview 댔

psychopharmachotherapy for c넓dren and adolesce빼S. In T. 묘.

Kratochwill & R. J. Morris , The praεtice ç¥ c쳐rild 짧era없J. Boston:

Allyn and Bacon.

Gíbaud-Wallston, J, & Wandersman, L.P. (978) ‘ De、rel행꼈le짧 and utîH행

of the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sc싫e. 합'aper presented αt t,없e

meeting of the Ameriα1n Jouη앓1 c¥ Psychiatry, 141, 223-229.

Gomez, R., & Sanson, A‘ 장. (1잃4). Mother‘ child interactions and

noncompliance in hyperac쉴ve boys with and ₩ithout con빼ct

problems. J ournal of εhild P앙,cholo앓’ t값u1 Psyε밟atry, 35, 477-잃O.

Goyette, C.H., Conners, c.K. & U1rich, RF. <197양). Normative data on

Revised conners Parent and Teacher 묘ating Sca1es. Joμη3αf ε*

ι4bnonγwl Chlld Psycholo,짧1, 6, 221-236.

Gross-Tsur, V., Shalev, R. S., & Amir, N. (1형191). Atte웠tion deficit

disorder: Association with farnilial-genetic factors. Pe빼'atric

Neurology, 7, 258-261.

Hartsough, C. S. & L없nbert, :r‘J. M. (985). Med녕ca1 faεtors on

hyperactivity and norrna1 children: Prena없 앓velo흉효len않1, an랩

health history findings. American “(0μmal of Ort,상opsy않鎭tη" 55,

190-210.

Harrison. C. Sogronoff, K. (2002), ADHD and Par없않1 Psychological Distress:

Page 105: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93

Role of Demographics, Child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Parental

Cognition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Tγ, 41(6), 703-711.

Hechtman, L. (991). Resilience and vulnerability in long term outcome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e Disorder. Cμnadian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34, 415-421.

Hersher, L. (985). The effectiveness of behavior modification on

hyperkinesis. Child Psychiatry and Human Development, 16, 87-97.

Hetherington, M., & Clingempeel, W.G. (992). Coping in a genera1

practice setting: Monographs of Socieη for Research in

development, 57, 1-238.

Hinshaw. S. P.(994). Attention D하cits and Hyperactivity in Children. Sage

Publition, Inc: Thousand Oak, Califomia.

Hinshaw, 5. P. (1996). Enhancing socia1 competence: Integrating

self-management strategies with behavioral procedures for children

wlth ADHD. In E. D. 돼bbs & P. 5. Jensen (Eds.), Psychosocial

treatments for child and adolescent disorders: Empirically based

strategies fir clinical practice.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1 Association.

Horn, W. (988). Parent traimng program. Unpublished manuscript.

Horn, W. F., Ialongo, N., Greenberg, G., Pachard, T. , & 5mith-Winberry,

C. (990). Additive effects of behavioral parent training and

self-control therapy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ed

Children. ] ournal of Clinii∞1 Child Psychology, 19, 98-110.

Horn, W. F., Ia1ongo, N., Propovich, 5., & Peradotto, D. (987). Behaviora1

Parent Training and Cognitive-Behaviora1 5elf-Control Therapy With

Page 106: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94

ADD-H Chi1dren: Comparative and εombined 표ffects. Jo잉갑wl of

Clinicαl Child Psyεhology, 16, 57-68.

Humphries, T., Kinsboume, M., & Swanson, J. (1978). S업mulant effects

on cooperation and social interaction betweea hyperac엽ve chH밟en

and their mothers. Joumal of Child 1정ychology 없d Psyc상tαt얘/y xg,

13-22.

lalongo, N. S , 묘orn, W. F., Pascoe, J. 짧., Greenberg, G., Packard, T.,

Lopez, M ‘, Wagner, A., & Putteler, L. (993). 옆le e¥feεts of a

multimodal intervention with attention-얘eficit hyperactivity children:

A 9-month follow-up. Journal of the Americ용n Academy of ε'hil뼈

αnd Adolescent psychi,αtry, 32, 182-189.

Kaudson. H. G. , Cangelosi. D., Schae¥er. ε‘ 효.(E강s.). (짧97). 짧e Pl,ayi엉g

Cure: lndividualized Play Therapy for Specific ε옳il뼈'Jwod Problems.

Kaudson. H. G. , Shaefer. C. E., (Eds.). (2002). ‘Short-Term 1그/,ay Therqβy

for Children.

Kazdin, A. E. (993). Treatment of conduct Dis。빼짤 Prαgress a,'1d

directions in psychotherapy researc셨1 업evelo행7lent and

Psychopathology, 5, 277-310.

Kendall, P. C. (1992). Cognitive-behaγioral th앉apy for i섭〕뼈;ùsive children,

treatment manuaVstop and think ₩orkbook(2nd). Temple University,

Department of Psychology, Phlladelphla.

Kendal, P.C., Wilcox, L. E. (979). Se1f-εontrol in children: 뀔evelopment

。f a rating sc삶e. Jouπml c햇 consulti쩔 απ뼈 clini짧 쩔ycholo.짧"

47(6), 1020-1029.

Kendall, P. C. & BrasweU, L. (2nd ED.). (1993). CQ왈1Jtive‘behavi앙ral

therapy for impulsive childre검 New york: G벼lfo협.

Page 107: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95

Kennedy, C.R., & Heimberg, R.G. (1986). Treatment credibility and client

outcome expectancy: An eva1uation of five treatment rationa1es ‘

Paper presented at the αlnual meeting of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Behavior Therapy, Chicago.

Knell, M. S. (1993). Cognitive-Behavioral Play Therapy.

Kronenberger, W. G. (1999). Parent-Delivered Behaviora1 Treatment for

ADHD(PDBT - A). Unpublished manuscript.

Lambert, N. M. & Sandoval, J. (1980). The prevalence of learning

disabilities in a sample of chi1dren considered hyperactive. J oum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8, 33-50.

Loeber, R. (1990). Developmenta1 and risk factors of juvenile antisocial

behavior and delinquency. Clinical Psychology Reviezι 10, 1-42.

Lovitt, T. c., and Curtis, K. A (1969). Academic response rate as a

function of teacher and self-imposed contingencies. J 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2:49-53.

Mannuzza, S., & Klein, R. (1992). Predictors of outcome of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G. Weiss CEdJ ,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Attention-dejicit

hyperactivity disorder (pp. 567-578). Philadelphia: Saunders.

Mash, E. ]., & Johnson. C. (1983). Sibling interactions of hyperactive and

nonna1 chi1dren and their relationship to reports of matema1

stress and self-esteem. ] oum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2,

91-99.

Mash, E. J.. & Johnson, C. (1990). Determinants of parenting stress:

Illustrations from families of hyperactive children 뻐d families of

physica11y abused children. Joum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9,

Page 108: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96

313-328

:\lash. E. ] .. & R. A. Barkley. (Eds.). (1997) ‘ Child psyctto짧짧010.뿔'. New

Y ork: Guildford Press.

:\1íchelL E. A .. Aman. Yl. G. , Turbott, S. H. , & Mar않U, M ‘ (1987). Clinica1

charactenstlcs and serum essentia1 fatty acid le찌rels 0앉 웰rperactivity

children Clinical Pediatrics, 26, 406-없1.

Nationa1 Institutes of Health. (2000). Nationa1 Institutes of 1용앓lth Consensus

Development Conference Statement: diagnosis 잃없 treatment of

attentl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ADHD). Jo짧짧 of 생e Ameri짧i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η1 , 39(2), 조82-193.

Ol1enruck, T. H. , and Cemey, J. A. (1981). Clinical Be짧υior Thera.행I with

Children New York: PIenum.

Paniagua, F. A. (992). Verba1-nonverba1 correspondence traîning with ADHD

chìldren ‘ BehaV lOr M odification, 16, 226-252.

Patemite, c., & Loney, }.(1980) ‘ Childhoo얘 hyperkinesis: Pelationships

between symptomatology and home environment. In ε.없‘ Wha1en &

B. Henker(EdsJ , Hyperactive children: The soιi.al ecology af

ident힘cation αnd treatment(pp ‘ 105-141). New ¥or값 Acad얹mc

Press.

Pelham, W. E. (1989). Behaγior therapy, be섰aγior assessment 없ld

psychostimulant medÏcation in the treatmξnt of att얹ltion deficit

æsorders: An interactive apprαach. In L. M. Bloo효꾀ngda1e & ].

Swanson (Eds ‘), Attention d,캠cit disorder; (꿇rre짧 εg영cepts a행d

emerging treηds in attentionα1 and behavioral disorders 빼

childhood(Vol. 5, pp、 169-195). Elmsford, New 렇ork: Plen앓n Press.

Pelh없n. W. E.. & Bender, M. E. (982). Peer relationships inhyperactive

Page 109: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97

chi1dren: Description and treatment. In K. D. Gadow & 1.

Ni머er(Eds.) , Advances in leaming and behavioral disabilities (Vol. 1,

pp.365-436). Greenwich, CT: JAI Press.

Pelh없n, W. E., & Hoza, B. (1996). Intensive treatment: A summer

treatment program for children with ADHD. In E. D. Hibbs & P. S.

]ensen (Eds.), Psychosocia! treatments for child and αdolescent

disorders: Empirically based strategies for clinical practice.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ennington, B. F. (1991). Diagnosing leaming disorders: A

neuropsychological framework. New York: Guilford

Satterfield, ]. H. (1994). prediction of an띠SOCl려 behavior ín ADHD.

Letters to the editor. ] ournal of the Ameri따n Academy of ε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34, 398-400.

Satterfield, ]. H., Satterfield, B. T., & Cantwell D. P. (1981). Three-year

muli-moda1ity treatment study of 100 hyperactive boys. Journal of

Pediatirics, 98, 650-655.

Satterfield, ]. H. , Satterfield, B. T., & Schell, A. M. (1987). Therapeutic

inteπentions to prevent delinquency in hyperactive boys. ] oumal of

the Ameri∞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26,

56-64.

Schaefer, C. E. (1993). What is play and why is it therapeutic? In The

Therapeutic Power of Play(pp. 1-15). Northva1ue, NJ: ]ason

Aronson.

Schaefer, C & Reid, S. E (2001). Gψne Play: Therapeutic Use 0/ Childhood

Games(2nd Ed.). Wiley & Sons, Inc: N].

Semrud-Clikeman, M., & Hynd, G. W. (1992). Developmenta1 Arithmetic

Page 110: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98

disorder. In S. 묘. Hooper, g. W. H짝ld, & R. E. 짧장1tison (표핵s.) ,

Developηlentiα1 disorders: Di,α'gnostic c1영teroa 짧'ld clinical

assessment, hi1lsda1e, NJ Er1baum.

Shapiro, L. E. (1981). 않mes to groω oη: Activities to help 찮lt짧ren 1짧양1

self-control. Engelwood Cliffs, 쨌J: Prentice-Ha없”

Sprafkin, ]., and Rubenstein, E ‘ A.(돼82). Usin용 television to ÌInprove the

socia1 behavior of institutionalized ch표dren. In “r. Spn때&5fX? £; Slij책

and R. H. Ross{ Ed)‘ Prevention in 끓um앓 Se짧ce: τ'elevision:

En뼈ncz검g the Prevel갱tive lmpαct of 1V(pp ‘ 5-16). New york:

Haworth.

Szatmari, P., Offord, D. R., & Boyel, M. 표 (1989). Correla않S~ associated

impairments, and pattems of sξηilce u때혈za-혈。n of ε뼈ldren ₩ith

attention deficit disorders: Findings frorn the (갖삶짧10 child 훌훌않1th

Study. J oumal of εhild Psyεholo짧/ αnd Psy삶za감까’, 30, 205-강17.

Taylor, E., Sandberg, S., Thorley, G., & (짧es, S. (1용91), The

epidemiology of childhood hypenαctivity. Ox¥or,생 u:용ζ; Oxford

University Press.

Ullmann, R. K., Sleator, K 1ζ , & Sprague, R. L. (969). C。뾰lb효X짧

pharmacotherapy and psychotherapy: Controlle해 S없생es. Jouηχ-.ll of

Abnormal αúld P앙Jcholo짧’, 13, 553-짧5。

WaU없lder, J. L., Schroeder, S. R., 않ichel표 1. A., & Gual없g캘, C. T ‘

(1987). classroorn socia1 interactions of a앓ntion 뼈e활cit diS01혀er 없않

hyperactivity children as 융 fuction of stimulant me짧cation. Jou깜@강

of Pedicatric Psycholo,없1, 12, 61-76.

Weiss, G., & Hechtman, L. (1993), Hyperac양‘U뺑 εf당I영F영n grow얘 짧. Ne₩

Y ork: Guilford Press。

Page 111: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99

Whalen, C. K. (1989). Attention deficit in hyperactivity disorder. In T. H.

Ollendick &Hersen(Eds.), Handbook 01 children psychil폐1(2ed. , pp.

131-169). New York: Plenim Press.

Whalen, C. K. & Henker, B. (1985). The social worlds of hyperactive

(ADHD) children. Clinical Psycfwlogy Review, 5, 447-448.

Whalen, C. K. & Henker, B. (1991). Therapies for hyperactive children:

Comparisons, combinations, and compromises. ] ournal 01 Consulting

and Psychology, 59(1), 126-137.

Whalen, C. K., & Henker, B. (992). The social profile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Five fundamental facets. In G. Weiss (EdJ ,

Child and adolescent psych따tric clinics 01 N orth America:

Attention-d핸cit hyperactivity disorder (pp. 395-410). Philadelphia:

Saunders.

wh머en, C. K., & He파ζer, B. (1998). Attention defici야1yperactivity

disorders. In T. H. 01len며ck & M. Hersen (Eds.) , Handbook 01 child

psycfwpatfwlogy. New Y ork: Plenum Press.

Wood, F. B. & Felton, R. H. (1994). Separate linguistic and attentional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reading. Topics in language

disorders. 14. 52-57.

Page 112: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00

업 T

부록 1. 치료 프로그램 실셔 요강

부록 2. 치료 프로그램에서 활용된 놀이치료 가법들

부록 3. 코너스 부모용 평정척도

부록 4. 가정상황 절문지

부록 5. 코너스 교사용 평정척도

부록 6. 자기통제력검사

부록 7. 어머니의 생활태도 평가자

부록 8. 양육 스트래스 척도

부룩 9‘ 부모 효능감 척도

부록 10. 부모-자녀 상호행풍척도: 훈육행동

부록 11. 부모-자녀 상호행동척도: 왜정행동

부록 12. 부모용 사용차 만족도 질문지

부록 13. ‘놀이판 가법’의 혜

부록 14. ‘나와 좋은 행 통목록표’획 §체

부록 15. 자녀와의 놀이 가록져왜 예

부록 16. 토큰/접수 체도의 여}

Page 113: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01

부록 1. 치료 프로그햄 질시 요강

인지행동 놀이치료

1회기

1. BGT, 사람-접-나무-가족화 등의 그렴 검사와 문장완성검사

· 아동의 정서적 특성이나 자아상, 가족 역동, 아동의 갈등 및 관심 영역에 대

해서 알아보도록 한다.

2. ADHD에 대한 절명

1) ADHD가 무엇이며, ADHD 아동들이 흔히 경험하는 주의산만, 과활동성, 충

동성, 부주의를 비롯하여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이나 적응 문제가 무엇

인지 설명한다.

2) ADHD 목록표 평 정 :

.ADHD 아동들 스스로 목록표를 평정하여 자신의 문제점과 어려움을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3. 짜유놀이

• 아동과 치료자는 자유 놀이를 통해 놀이에 대한 아동의 태도와 접근 방법,

반웅패턴, 공격성, 반복되는 놀이 주제가 있는지 파악한다.

4. 구조화된 게엄놀이

Page 114: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02

- 게임을 통해 시사되는 아동의 주의집중력야나 자략통채력 등어} 대해서 파약

한다.

「 2회 71

1. ‘쓰래가 봉투(garbage bag Y

“쓰레기적기’를 통해 아동들이 스트해스률 2뽑고었는 사얀틀해 혜확 얄약본뎌.

2. ‘쩡해진 사깐에 혈을 끝내쳐 (beat the clock)’

· 주의집중력과 자가통채력올 종전시치거 워한 쳐료 향볍혈 ‘정혜천 λ1 건-혜 젤

을 끝나3 지 (beat the clock) ’ 기법을 설명하고 2분썩 3획 살시현다.

3. 전략적언 환 게영 (Trouble)

e ’Trouble' 게업을 살사한다. 게염을 하는 동안 치료차는 전략을 소핵l뺑어 뿔

함으로서 자겨지사방법앵 모탤랭 역할을 하고 약풍은 억를 환활활 수 었도룩

한다.

3회기

1. ‘쓰래기 봉투(garbage bag)’

- ‘쓰렉기 봉투’에서 문채가 척함 종애률 한 창 략용핵 뽑토록 하핵 여 푼책훌

어떻게 해결할 것언책 함께 해곁항법을 모색한다. 사확정 상황혜서 아풍 착산

아 경험하는 스트빼스를 표현하고, 적절허 돼처하는 방볍윷 확숲할 수 었다。

Page 115: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2. ‘정해진 시간에 일을 끝내기 (beat the clock) ’

. 5분씩 3회 실시하여 과제에 대한 주의집중시간을 연장한다.

3. 자가지시절차

· 자기지시훈련의 원리와 적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 치료자가 모델령이 되며, 아동이 연습하도록 한다.

• 문제 정의 (내가 뼈O~활 일이 무엇이 ÃllJ

l 주의 집중하고 지시에 반응 {청청δ1, .....• 해야지!)

l 자기 강화 (잘했어f 좋아)

l 대처 기술에 대한 자기 평가와 오류 수정 (그해/ 비록 실수했지만

채속 청청δ1m명 될꺼야)

4. 전략적인 판 게임 (Sorry)

103

· 게임을 하는 옹안 4단계의 자기지시절차를 활용해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

록 유도한다.

g 게임에서 승리하기 위해서 자기통제능력을 습득하도록 도와준다.

4회가

L ‘쓰 혜 기 봉투 (garbage bag) ’

· ‘쓰례기 봉투’의 문제 한가지에 대한 해결방법을 모색한다.

2. ‘정 해 전 시 간애 일 을 끝내 기 (beat the clock)’

Page 116: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04

.7분씩 3회 실사하여 과제에 디f현 주혐집중잭깐을 연장한다。

3. 긍정적인 행동 강화하얘

, 어머니가 기록한 ‘착한 행동 기록지’를 보여주고, 아흉의 긍장쩍인 행통뜰뼈

대해 친창하고, 강조하도록 한다.

· 부모남과의 ‘아통중심 놀이사간’애 대해셔 함쩨 。1 랴7)를 냐누며 아풍어 경

험하는 문제점과 부모와의 판계에서 변화되결 훨하는 것이 무엇언자 어약71 한

다.

4. 자가지시절차 활용

. 4단계의 자가지시절차를 활용해서 ’막대집 71 (Pick-u압 StiεksY 계업올 환다‘

L ‘쓰례가 봉투(garbage bag)'

· ‘쓰레기 봉투’의 문제 한가자에 꽤환 해결방법을 모색환다.

2. ‘정 해 진 시 칸애 혈을 끝I챔 71 (beat 않le dock) ’

. 12분씩 3회 실시하여 과재핵 대한 주의집중셔간을 연장환다-

3.‘화이트보드 목표(white board targets)'

• ‘화이트보드 목표’를 통해 스트례스를 표출하고 카양르사스훌 꺼영혐하포혹 활

다.

Page 117: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05

6회기

1. ‘쓰레기 봉투(garbage bag)'

· ‘쓰레기 봉투’의 문제 한가지에 대한 해결방법을 모색한다.

2. ‘정 해 진 시 간에 엘을 끝내 기 {beat the clock}’

· 학습지나 학과 수엽과 관련된 문제지를 가지고 와서 12분씩 2회 실시한다.

· 틀린 문제(특히, 답은 알고 있으나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 실수한 문제)에 대

해서 자기지시절차를 사용해서 교정하도록 한다.

3. 비누방울불기

· 큰 비누방울 불기 게임을 통해 분노조절의 방법으로, 이완하는 방법으로 활

용할 수 있도록 한다.

7회기

1. ‘쓰레기 봉투(garbage bag)’

· ‘쓰레기 봉투’의 문제 한가져에 대한 해결방법을 모색한다.

2. ‘정 해 진 시 간에 일을 끝내 가 (beat the clock)’

· 학습지나 학과 수업과 관련된 문제지를 가지고 와서 15분씩 2회 실시한다.

• 틀린 문제에 대해 자기지시절차를 사용해서 교정하도록 한다.

3. 분노 조절하기

1) ‘분노’ 차트

Page 118: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06

• 분노를 설명한 차트를 제사하고, 분노는 스트해스 상황에샤 냐타냐는 자객

보호적언 자연스러운 정서 반응임을 설명해준다,

• 분노 상황에서 생각을 변화사컵으로써 자가조젤과 쁨노조철어 가능해절 수

있음을 설명한다

2) 분노 상황에서 대처할 수 있는 방볍

· 상황에 자선을 변화시켜 적웅하카

· 상황에새 회피하기

c 대변하기

등과 같은 대처 방법을 주지사컨다. 약풍이 실왜 분뇨二반용융 정혐하는 설혜흘

들도록 하며, 치료자는 아동과 함째 애 E썩한 혜처 방힘갱어 적철핸 첫한져 옆헬

연기를 통해 모델링을 채시한다.

8회거

L ‘쓰레기 봉투(garbage bag)'

• ‘쓰레기 봉투’핵 문제 한가지에 택한 해결방법을 표쩍환다.

2. ‘정해진 시간에 얼을 끝때가 (beat the 혀oc뼈?

• 학습지나 학과 수엽과 관련된 푼제지홀 가깨고 와셔 짧분양 I화 실사형찮다.

。 주의력이 증진된 것에 대해 강화책준다.

3. 전략적인 판 꺼!임-‘쏘핵 (sorry)’채헬과 ‘수술확쩍《했휠era뼈011)’책영

· 자기통제력을 요구하는 거l 엄을 실사하며 특휩 얘때는 아동핵 숭짧해쩍 성꽁

경험을 가질 수 었도록 게압을 응용하는 것핵 펼요하다,

Page 119: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07

9회기

1. 상품주기

@ ‘정해진 시간에 일을 끝내거’ 기법을 통해 아동이 획득한 포커칩의 개수를

셰고, 보물상자에서 상품을 줌으로서 아동의 성공에 초점을 맞추도록 한다.

2. ‘놀야판게임 (Play board game) ’

‘ 치료 가간 동안 아동이 집과 치료실에서 보였던 모든 긍정적인 변화와 성공

경험, 친창받았던 상황을 ‘판게엄지’ 위에 완성하도록 하며, 긍정적인 자아개념

을 가질 수 있도록 격려한다

3. ‘나의 좋온 행동 목록표’

· 치료자는 아동과 함께 ‘나의 좋은 행동 목록표’를 작성한다.

e 아동이 작성한 ‘나의 좋은 행동 목록표’를 치료자는 워드프로세스로 보기에

좋도록 도안하여 10회기 때 어머니와 아동에게 제시하도록 한다.

10회기

· 간단한 다과 파티의 형식으로 진행되며, ADHD 아동과 어머니가 함께 참여

한다.

1. 아동의 긍정적연 변화에 대해 강화

· 치료 기간 동안 보였던 아동의 ADHD 증상의 캄소, 주의집중력의 증가, 교

우 관계나 가정, 학교에서 나타난 긍정적인 변화에 대해 어머니와 치료자를 함

Page 120: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08

께 이야기함으로서 아동의 행동 변화에 대해 강화짧준다.

2. 재임하가

· 아동, 어머니, 치료자가 가 함께 ‘수술하거’ ‘악해집가 y ‘정거’ 풍과 갚은 꺼I 업

에 참여하는데, 특히 아동의 승리를 유도하면서 아동이 ‘할 수 었다’는 선냄팩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준다-

3. '나의 좋온 행동 목록표’ 수핵

· 증사형식으로 구성된 ‘나의 좋은 행동 목록표’를 치료‘자가 체서하여 차효에

참석한 어머니는 물론 다른 가족들어1 게 보여주고 :A}광할 수 었s:.륙 해준다.

Page 121: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09

부모훈련프로그램 l

1 회기

. program의 기본 방향과 성격을 설명하고, 기본목표와 전체적인 목표에 대해

서 소개한다. 프로그램의 성격에 대해서 밝힌다. 1회기에는 1시간이 소요된다.

1. 치료자 소개와 치료 규칙 소개

· 규칙 : 참석, 적극적 참여, 시간지키기

2. 프로그램의 형식 소개

· 매주 1회 10주간의 부모 훈련과 아동에 대한 인지행동놀이치료

- 1시간 : 아동 대상의 인지행동놀이치료

- 40분 : 부모 훈련

3. 프로그램의 가본 방향과 전채적인 목표 절명

1) 부모훈련의 목표 :

.ADHD 아동의 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해 구체적인 자녀 행동

- 통제 및 수정의 원리를 배우고, 바람직한 훈육 방법을 익히도록 한다.

• 자녀의 행동 문제를 효과적으로 다루게 됨으로서 부모-자녀 관계를

호전시킨다.

2) 아동치료의 목표 :

· 자신감을 증진시키도록 한다.

Page 122: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10

• 한가지 과채쐐 초점을 맞춰 자속활 수 있도록 환다.

· 자껴통제력을 증잔시킨다.

• 행동하기 전에 결과를 고려할 수 었도록 거르친다‘

4. ADHD를 어해할 수 있도록 증상과 원엔 절평

1) 주의산만, 과활동성, 충동성 등 ADHD 주요 증상파 야약 관현책책 얘차챙

으로 발생하는 또래관계를 버롯한 대인판계의 문책, 부모- 차1격 관껴}확 o.J:a갱용

과 학업성취의 어려움 동에 대해 설명한다.

2) 자녀가 문제의 원인이 아나라 ADHD가 문채를 만든다는 것윷 창조환다.

ADHD 증상의 원인은 일차적으로 겨질적언 것이며 아홍률의 활봇휠 습판, 의

도적여며, 고의적언 불혹종, 반항 동에서 깨얻된 첫아 야냐라는 챔훌 냥동λ1 컨

다. 또한, 문제 행동의 원인은 때우 복참하벼, 부모나 싹용의 얼방적언 책염으

로 돌릴 수 없음을 강조한다.

3) 특칙 ADHD 아동과 부모관계에서 발생하는 갈풍화 핵려융확 @행흘 틀어샤

설명해주며 ADHD 아동의 쩍응을 롭거 위해셔 부모냄외 치료 참여자 해우 중

요하다는 점을 설명한다

5. 아동의 문제 행동에 해한 액혜를 옳는 A-B-C 표활 소째

1) 모든 문제 행동(B)에는 야에 선행확는 사건(A)과 。1쐐 휩u:r묘는 후속 잭철

(C)이 관련되어있고 A와 C를 야해함으로서 푼채 행동야 뿔쩡확는 각채룹 알

수 있음율 설명한다.

2) 아동의 문제 행동어 나타나고, 유지화는 것얘논 훨언(후속사청〉야 었다는 찾

을 이해사켠다.

A : 샌행 λ반-냄똑꽤효가됨휩표〕

Page 123: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11

6. 가정 내얘서 이루어지는 훈육 방법 탐색

· 가정의 훈육 방법을 조사하고 이러한 방법들(주로, 지시, 감독, 처벌, 비난,

고함지르기 등)이 효과적이었는지 알아본다.

· 아동의 문제 행동이 일어나는 맥락을 이해하고 이전과는 다른 훈육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이해시킨다.

2회기

‘ 부모-자녀 간의 상호작용 방식과 부모의 훈육 방법이 아동의 행동에 머처는

영향을 이해하도록 하며 부모-자녀 관계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

는 방법을 설명한다.

1. 긍정적언 양육 프로그램의 중요성 강조

· 수년간 형성되어온 행동 방식은 긍정적인 것에 초점을 맞추어야만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긍정적인 양육 방식은 부정적인 행동보다는 사소하

더라도 긍정적인 행동과 정서적이며 밀접한 상호관계를 격려하는 긍정적인 강

화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라는 점을 설명한다.

2. 자녀에게 관심기울이가와 긍정적언 표현하기

· ‘놀이시간에 아동에게 관심 거울이기’ ‘자녀에게 긍정적인 표현하는 법’에 대

한 부모용 지침서를 나누어준다.

· 매일 일정한 놀이 시간을 정하여 지시가 배제된 아동중심의 놀이얘간을 갖

고 이를 시행하면서 자녀에게 관섬을 가지고 아동에게 긍정적인 피드백과 친

창을 나타내는 방법을 소개한다.

3. 착한행동기록지

Page 124: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12

• 일상 생활에서 무심코 지나쳤거나 당연한 행동 쯤으로 여겼탤 약동확 긍쟁

적인 긍정적인 행동에 초점을 맞춰 기록하는 빵협융 소채한다.

4. 과채

1) 매일 일정한 서간을 정해서 자녀와 아동충섭의 빽지사책옆 놓씩서작을 갖표

록 하고, 놀어의 내용과 놀이 시칸애 청험한 푼째점 통얘 태해책 가록한다.

놀이왜 내용과 아동댐 반용 경험하계환 문쩨정 풍도 가촉확돼향다”

2) 일상 생활에서 보여자는 아동의 착한행홍 치록책릎 작생한다n

3회거

1. 지난 주 과채에 I헤항 검토

1) 자녀와의 놀이기록치를 쌀펴보고, 불아사간에 부모가 경협한 확뿔;젊어냐 문

제점 등을 함째 논의한다.

2) 착한행동 기록지를 컴토한략. ‘풍쟁을 꽤~지 않았다’화 흩은 부정척열 표현

들은 ‘동생과 사야좋게 지댔다’와 같야 긍청적힐 표현으호 택꿔줍으풍써 자팩

에 대한 긍정적인 상을 가지토록 한다@

2 용종 행동얘 관성 보액깨

• 응종행동에 관심 기울핵기와 효과적으로 책서하겨해 E책한 째첩얘훌 다누해

주고 설명한다.

• 어머니의 쩌사에 대해서 아동의 즉각적안 응종을 융포하71 햄핵책 ‘효파적으

로 지사’하고 응종 행동에 대책서는 ‘찬창과 판심주껴’률 흉해 。$똥이 푸쪼핵

지사를 따르는 행동을 증가샤캠도록 하는 것이다. 또혈 쩌 λ1 S4 무관하거f 자활

적으로 행한 긍정적인 행동에 대해서도 친창과 콸샘주가훌 활용홉도혹 환다.

Page 125: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13

3. 파제 제시

1) 매일 일정한 시간을 정해서 자녀와 아동중심의 비지시적인 놀여시간을 갖도

록 하고, 놀이의 내용과 아동의 반응, 놀이 시간에 경험한 문제점 등에 대해서

가록한다.

2) 일상 생활에서 보여지는 아동의 착한 행동 기록지를 작성한다.

3) 매일 짧은 시간이라도 응종 훈련 시간을 갖도록 한다.

4회기

1. 지난 주 과계에 대한 검토

1) 자녀와의 놀이기록지를 살펴보고, 논의한다.

2) 착한행동 기록지를 검토한다.

3) 웅종 훈련에 대해 검토한다.

2 . ADHD 아동의 자존감 증진시키기

• 많은 ADHD 아동들은 자신의 문제행동과 관련해서 상당기간 주변 사람들

의 부정적인 피드백에 노출되어 오면서 자존감이 낮고 이로 인해 열등감이 높

고, 좌절인내력이 낮으며, 문제상황에서 쉽게 포거할 뿐 만 아니라 다른 사람

들에게 화를 잘 내는 모습을 보이게 된다는 것을 설명해준다.

· 자녀들의 자존감을 높이기 위해 가져야하는 인정 이해 감정과 사고에 대한

존중, 지지/격려와 같은 긍정적인 자세를 강조하고, 아이들의 자존감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되는 반웅어 무엇인지 교육시킨다.

3. 긍정적인 관계 형성을 펄요한 부모의 태도

'ADHD 아동과 부모가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 부모가 가져야 할

Page 126: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14

태도와 자세에 대한 지침잭를 나누어주고 구채쩍언 핵를 들어 설명환다.

4. 과체 제시

1) 매일 자녀와 아동중심의 비지사적인 놀어샤갚을 갖도록한다.

2) 매일 짧은 시간어라도 응종 훈련 시간을 갖도록 한다.

3) 아동의 자존감 증전파 긍정적안 관채형성을 우f해 빼운 다}용올 활용해보도확

한다.

5회겨

학업 성취가 강조댐는 우리나략에셔 많은 부5:.를용 얄렴장 쩍어오쩍, 슛

채완성하기, 공부시간에 산만해지져 않고 주왜 가윷어깨 풍i생 쩔윤 학업 C혈

역과 관련해서 ADI표〕 자녀들과 갤풍을 캡는다. 아 확 71액서는 부쪼뚫과

ADHD 아동들어 경햄하는 이러한 현설적얻 문책롤 부쪼가 어떻꺼l 다후jl 뺨

처할 것언지 그 방법을 교육환다.

1. 지단 주 과책에 대한 캠토

1) 자녀와의 놀이가록치를 살펴본다.

2) 아동의 자존감을 높아기 위해 부모가 사도한 방병 흉에 E책책 느젠 첩팩 푼

제점 등을 논의한다.

2. 알렴장 및 숙제 관리병

• 얄림장 적어오가와 숙제 관리에 대환 쩌청서훌훌 냐누야춘다‘

• 매일 얄렴장을 점검하고 얄립장챔거를 연읍합도록 하핵, 효율책요로 f용쳐1를

완성하기 위해서 어떤 방석으호 감독하고 포움을 풀 것언자어~"Cìl했 설명향다.

Page 127: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15

3。 과제

1) 알림정 적어오기와 숙제 관리법을 활용해보도록 한다.

6회기

· 이번 회기는 1시간에 걸쳐 진행된다.

1. 지난 주 과채에 대한 검토

g 알럼장과 숙제 관리하기를 활용하면서 느낀 점과 의문점 등을 논의한다.

2. ‘정해진 시간에 일을 끝내기 (Beat the Clock) ’

· 아동들이 놀이치료 시간에 연습하고 있는 ‘정해진 시간에 일을 물내기’ 기법

의 원리를 설명하고, 공부나 숙제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한다.

3. 스티커 /접수제도 소개

· 문제 행동을 가진 ADHD 아동들을 다루기 위해서는 상과 주의만으로 응종

을 동기화하기에 부족하므로 효과적인 동기 특별 보상체계 방볍을 도입할 것

염을 설명한다.

· 스티커/점수 제도 지침서를 나누어주고 적용방법을 설명한다.

· 스티커/점수 제도를 통해 명령, 규칙, 사회적 행동, 학습 행동에 대한 용종을

동기화하도록 격려하게 될 것임을 설명한다.

4. 과체

1) 아동중심놀이, 관심보이기 등을 계속하도록 한다.

2) 자녀와 함께 의논해서 자녀의 행동 중 교정하고 싶은 행동에 대한 목록과

그 행동에 대한 값, 보상목록 등을 결정해오도록 한다.

Page 128: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16

7회가

1. 지난 주 과쩨에 I혜한 겸토

1) 목표행동목록과 보상빽 목록을 검토환다.

2。 스티커/ 접수 채도의 활용법

• 스타커/점수 제도거 가정애서 쉽거1 사행될 수 었도록 복표 동썽통폼록i뿜 효흔쌓

의 양을 조정하는 등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한다.

· 시행 첫주애는 긍정적언 행풍을 창화하는해받 헬용E갱어야한다는 점을 강쪼

하고, 부모들은 접수를 주는 것얘 인색해지쩌 않도록 설 I영한다.

4. 과제

1) 스티커/ 점수채도를 실샤하도록 한다.

8회기

1. 지난 주 과체에 대한 챔토

· 가정에서 실시한 스티커/ 정수 제도를 황꺼I 검토하고i 푼채청야1훈 뺑푼점융

논의한다.

2. 반용대가제도 소재

• 반응대가채도 지침서를 나누어준다‘

• 정적 강화만으로 아통의 푼쩨 행동올 다루는 형1액는 현째가 양융올 연석시

키고, 비응종과 수용될 수 없는 행풍을 다루는 방볍으로 스탐화j;.염수 책도에서

Page 129: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17

벌금을 사용하는 반응대가제도를 도입할 것임을 설명하고 지침서와 활용 방법

을 교육한다.

3. 과제

1) 반응대가 제도를 도입한 스티커/점수 제도를 실시하도록 한다.

9회가

1. 지난 주 파제에 대한 검토

1) 반응대가 제도를 도입한 스티커/점수 제도를 실시하면서 경험한 문제점, 의

문점 등을 논의한다.

2. 부적응적언 행동에 대한 대응 방법

@ 부적응적인 행동에 대한 대응방법에 대한 지침서를 나누어준다.

• 아동들의 문제 행동에 처벌 대신 활용할 수 있는 무시하기, 보상없애기, 타

염 아웃 등의 방법과 어떠한 경우에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인지 설명해준다.

· 부모들에게 자녀 훈육에 대한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지지해준다.

10회기

· 인지행동 놀이치료와 동일하게 진행된다.

Page 130: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18

부록 2 ‘ 치료프로그램해서 활용환 놓아황효 객볍옳

나 제환 설융] ADHD 아동들은 명확한 제한야 없는 경우 불딴책하고 똥책감을 잃으빽 안

전감을 느끼져 못한다. 따라서 ADI묘그 아풍에 왜한 놀야쳐료혜쩍는 치료 초반

에 놀이치료 시작과 종결, 차료실얘책 해서는 안되는 행동 풍얘 대한 명확한

제한을 설정해야한다.

~ 의사소통 · 문장완성검사 : 치료자가 두 개의 손안형을 아동은 환재의 손합형윷 사용해

서 함깨 문장완성검사를 완성하도록 환다.

。 쓰레기 봉투 기법 (Garbage Bag Techn썩ue) 아통틀야 자쩌고 었는 문쩨를

표출하고, 해결책을 찾거 위해서 짜산의 문체를 잭연하도록 좁혀 웹책 7~ 혈됩

었다‘ 밤색 봉투를 나누어주고 치료자왜 아동핵 각각 자션의 봉투에 휠하는 그

림을 그려도록 핸다. 아동과 쓰례거가 무엇인지혜 돼핵 어얘가환 후 z¥자 자

신의 ‘쓰돼 7]'(나를 괴롭히고 잊고 싶지만 계속 생각다는 일뜰프료 3장용 학교표

상황과 관련된 것, 3장은 가정 생활파 관련된 것)를 작핵 봉루어8 넣는다‘ D>> 획

가마다 한 장의 ‘쓰래가’를 선택해서 역할 연거나 쩍다 모형뭉쏠 통해챔 푼채

를 사연하고 해결방안을 찾도록 환다.

Page 131: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3 정서 조절 (1) 차타르시스

119

· 화이트보드목표(white board targets) 화이트보드에 과녁을 그린다. 아동에

게 자신이 싫어하는 것(“나는 숙제가 싫어")이나 무서워하는 것(“나는 귀산이

무서워")을 이야기하면서 다트총을 쏘도록 한다.

(2) 이완/스트레스 관리

비누방울불기 기법 : 치료자는 비누방울 놀이를 통해 길고, 깊은 호흡을 통

해서만 비누방울이 커진다는 것을 보여주며 아동에게 심호흡하는 방법을 야해

서킨다. 놀여치료 시간에 치료자와 아동은 큰 비누방울 불기 게임을 한다. 아

동에게 비누방울완구를 집에 가져가서 취침 전/ 숙제하기 전에 연습하도록 해

서 여완하는 방법을 숙지할 수 있도록 과제로 내준다.

|4 자아 기능 증진’ (1) 자기통제

시간에 맞춰 끝내기(‘Beat the Clock’) : 충동문제가 있는 아이들이 자지 통

재력을 거르고, 자신이 성취한 일에 대해서 보상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다. 초시계, 포커칩, 그리가 재료, 블록, 쉽게 읽을 수 있는 책, 학교숙제나 문

제집을 준비한다. 아동에게 107H의 포커칩을 준다.10분을 주고 제한 시간 동

안 주변의 어떠한 자극에도 주의를 분산시키지 않고 과제(책읽기, 블록으로 탑

쌓기, 그림그리기, 문제집)를 완성하도록 한다. 지시된 일 이외에는 질문, 이야

가, 다른 일을 할 수 없고, 만약 이와 같은 일이 생기면 치료자가 포커칩을 박

Page 132: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20

탈한다. 성공적으로 과제를 완성하면 정해진 상을 주도록 하핵, 정해잔 7H수확

포커칩을 모으면 보물상자에게 원하는 상풍을 가져가도륙 한다 1J~ 단겨1마다 5

분씩 시간을 연장한다r

· 수술하기(‘Opera디on’) : 주의를 가울여 자기 홍쩨를 해야만 핵질 수 었는 체

임이다. 아동들이 자기통제를 연습해 볼 수 있다.

(2) 충동성

멈 추고, 이 완, 생 각라기 (‘Stop, 묘ela:x anà Thi빼’) : 야 깨l 엽 온 ADI월3 략풍

들의 취약한 부분안 감정표현하거, 야환하가, 서감에 맞-춰 하현 열을 중담하쩌,

문제해결력 증진하기를 포울 수 었도록 구성되어 있는 채열이다e

막대집기('Pick-up Sticks') : 치료자는 이 계염해 혜우 숙달뭘어 었핵 의잭

대로 이기고 지는 것을 조절할 수 있어야한다. 아동틀이 자거 풍채력을 카울

수 있는 게임이다.

· 전략적인 판 게암{‘Strategy Board Garnes’) : 천략적언 판재임률은 아동들햄

행동하기 전애 멈추고 생각하도록 도왜준다. 치효자는 따홍과 훨께염을 설셔

하면서 자산의 전략을 설명해서 문제 상행해 대한 모델령여 획 f역 아동들이 자

기통채력을 증전샤킬 수 었도록 도와춘다. ‘Trouble’, ‘So캅Y’, ‘Connect Four’,

‘Checkers’ 등의 게 임 이 었다.

Page 133: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21

부록 3. 코너스 부모용 평정척도

작성일 : 아동의 이름 : 평가지:

해당 정도에 O표 해주십시오.

정도 관찰된 행동

전혀없음 약간 상당혀 아주섬함

1 차분하지 못하고 너무 활동적어다

2. 쉽사려 홍분하고 충동적 이다

3. 다른 아이에게 방해가 된다

4. 한번 시작한 일을 끝내지 못한다. -주의집중기간이 짧다-

5. 늘 안절부절한다

6. 주의력이 없고 쉽게 주의분산이 된다

7. 요구하는 것이 있으면 금방 들어 주어야 한다 -쉽게 좌절이 된다

8. 자주 또 쉽게 울어버린다.

9. 금방 기분이 확 변한다

10. 화를 터뜨리거나 감정이 격하기 쉽고 행동을 예측하기 어렵다

Page 134: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22

부록 4. 가정상황 잘푼쩌

아동이름

작성자

연령 작2용열

좌죄쏘활: 자녀가 다음 상황에서 당신의 ){l^l l..풍 명령? 규척을 따료는헥 품g뺑자 없좁냐Z까? 딴

일 문채가 었다면 ‘예’에 동그라며를 천 다음? 그 문채가 열얘냐 성향 J얘협 쟁모릎 i흉흉l챔는

옆의 숫자혜 폼그랴ul 치삽시오- 환멸 。홍우란 문채도 없다면 ‘0홍얘쪼’얘 홍:호짧택흉 해강‘, 양

읍 상황으로 념애가업샤오.

만일 ‘빼’라펀, 열따냐 성 협1-j까?

양황 얘g ó}녀

요 7}1:혜풍 챔형풋

혼자 노는 동안에 2 3 ? 8 g

다른 아이들과 함께 놀 때 2 3 4 5 6 I 7 g g

식사시간에 2 3 4 5 5 7 8 1 9

옷올 업을 때 z 3 4 5 § ? 8 g

셰수하고 목욕할 때 1 2 3 4 5 g 7 8 g -

당산이 전화통화중일 때 1 2 3 4 5 6 7 8 g

TV를 보는 동안에 2 3 4 5 8 7 8 g

집에 손님에 계설 때 1 2 3 4 5 g 7 8 9

당신과 남의 집을 방푼했을1 x 2 8 9 때

공공장소(식당, 가제 동)해서 1 2 3 4 5 8 7 8 §

아버자가 집에 계살 때 1 2 3 4 5 § ‘ ?

g g

잔심부름을 시켰을 때 1 2 3 4 g § 7 8 g

숙제를 시켰을 때 1 g 3 I 4 5 8 ’? § §

잠 잘 사간에 i 2 3 4 5 g ? g g

차안에 없는 동안에 1 g 3 4 § g 7 ‘ 8;g

다른 사람이 돌봐 줄 때 2 3 4

문제 상황의 총 수 평균 성작성 점수

Page 135: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부록 5. 코너스 교사용 평정척도(CTRS : Conners ’ Teacher

Rating Scales-28)

。뚫: 할녕 보f 0뚫: 섯범(낚- 여)

펼갚좌; 잎스t 년 월 임

123

위 아동에 대하여 평소 학급에서 관찰할 때 다음과 같은 행동들이 어느 정도

나타나는 지 해당 숫자에 O 표를 해 주십시오.

전혀 약간 드I죠j 아주

없다 었다 많다 많다

1. 잠시도 가만 있지 못하고 불편한 듯 움직인다. 0 1 2 3

2. 분위기에 적절치 못한 소리를 낸다. 0 1 2 3

3. 자기가 요구하는 것은 당장 들어달라고 졸라댄다. 0 1 2 3

4. 조심성어 없고 뻔뻔A 럽다. 0 1 2 3

5. 쉽체 화를 내고 기분 나는 대로 행동을 바꾼다。 0 1 2 3

6. 비판을 받으면 과도하게 민감한 반응을 나타낸다. 0 1 2 3

7. 주의산만하여 집중시간에 문제가 있다. 0 l 2 3

8. 다른 아이들을 방해한다. 0 1 2 3

9. 혼자 꿈을 꾸는 듯이 멍청하게 있을 때가 많다. 0 1 2 3

10. 쉽게 뾰루퉁하고 새침해진다. 0 1 2 3

Page 136: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24

전혀다 1 약간 좀 아않주다 I 없 었다 많다

11. 가분이 쉽게 그라고 심하게 변한다. g i 2 3

12. 잘 싸운다. Q 1 2 3

13. 교사나 다른 어른들에채 아첨을 잘환다. g 홍 2 3

14. 잠시도 가만 앉아 있지 못한다. g 3

15. 쉽 게 흥분하고 충동적 이 다. g 1 2 3

16. 교사가 주의를 지나치게 요구한다‘ 8

17. 반 아이들얘게 인기가 없다. g 1 2 I 3

18. 다른 아이들이 하자는 대로 잘 얘끌련다. G x 2 3 기~

19. 놀어를 할 a웹 청직에 대한 채념이 없다. g i 2 3

20. 리더쉽얘 없다. g 3 2 3

21. 시작한 과제를 끝대지 못한다. g l 2 3

22. 유치 하고 덜 성 숙한다. g x 2 3

23. 잘봇했을 때 우기고 남에체 덮어 쩍운다. 8 X 2 3

24. 다른 학생들과 어울리지 못환다. g x 2 3

25. 다른 학생들액게 협조하지 않는다. g x 2 3

26. 별 노력없여 쉽게 실망환다. 8 x 2 3

27. 교사의 말올 찰 따르지 않는다。 o x 2 3

28. 공부를 잘 못한다. g , 2 ‘ 。J→£

Page 137: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25

부록 6. 자기 통채력 검사

( SCRS : Self Control Rating Sca1es ) 。많 : 할녘 발 얀릎 : 설뿔4료꾀j

펼간또i 일요」

아래에 기술된 문장은 아동들의 행동과 관련된 문항들입니다. 각 문항을 읽고

이 아동을 가장 잘 나타낸다고 생각되는 적절한 번호를 골라 그 번호에 v로 표

시해주시기 바랍니다. 각 문항의 중간에 표시된 밑줄 친 4번은 보통 아동을 나

타댐니다. 너무 오래 생각하지 마시고 문장을 읽으신 후 곧 떠오르는 대로 자연

스럽게 표시해 주십시오. 최대한 솔직하게 평가해 주시기 바랍니다.

번호 문항

이 아동이 무엇인가를 하겠다고 약속했을 때 1rzm41516r7 1 그것을 믿을 수 있습니까?

언제든지 절대로

그렇다 못믿는다

이 아동은 다른 아동들이 초대하지 않은 게임 1121 3l 4l 5~1 6T 7 2

이나 활동에 끼어듭니까? 전혀없다 자주었다

이 아동은 흥분했을 때, 스스로 자기를 진정시 11 2 1 3 1 4~T 5 r 6 1 7 3

킬 수 있습니까? 그렇다 아니다

이 아동의 활동은 지속적입니까? 아니면 자주 1 1 2 I 3 I 4 1 5 I 6 ’ 7 4

변하는 편입니까? 지속적이다 변화가

심하다

5 이 아동은 장기적인 목표를 세워 행동합니까? 1 I 2 1 3 1 4 I 5 I 6 I 7 그렇다 아니다

이 아동은 질문을 한 후 답변을 기다리는 펀업 1 1 2 1 3 I 4 I 5 I 6 I 7 6 니까? 아니면 기다리지 못하고 다른 새로운 질 기다린다 거다리지

문을 계속하거냐 행동하는 편입니까? 못한다

이 아동은 친구들과 이야깨할 때, 불쑥 상대방 1121314151617 의 말을 가로막는 편입니까? 아니면 기다리지

기다린다 기다리지

7 못한다 못하고 다른 새로운 질문을 계속하거나 다른

행동을 하는 펀입니까?

8 이 아동은 자신이 하던 일을 끝마칠 때까지 지 1121314151617 속적으로 그 일만 하는 편입니까? 그렇다 아니다

이 아동은 어른들의 지시얘항을 잘 따E는 편 il 21 31 4 I 5 I 6 17 9

입니까? 항상 잘 전혀 따르지

따른다 않는다

이 아동은 어른들의 지시사항을 잘 따르는 편 11 21 31 4 I 5 16T7 10

입니까? 항상 잘 전혀 따르지

따른다 않는다

Page 138: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26

번 문 항

11 아 아동이 갖고 싶은 모든 것을 즉셔 자져야 1 I 2 3 I 4 I 5 I 6 I 7 만 하는 편업니까? 아니다 그렇다

12 이 아동은 줄을 셔서 가다렬 경우, 자가 순 3 ’ 4 ‘ 5 161 7 책가 될 때까자 참을성 었계 기다립니까? 그렇다 아녀다

이 아동은 집단 활통에서 다흔 사람틀의 획

13 견을 따르는 편입니짜? 아나면 자섣획 의견 의견을 져기생각을

과 자기생각만을 고집하는 편입니까? 따른다- 고집한다

아 아동은 어떤 일을 하기 전에, 챔략촬 일 31 4

r 5 I 61 7 14 에 대해 몇 번이고 얼려주얘약딴 퇴는 환웹 결코 행끼&

니까? 그렇지 않다 그렇℃¥

이 아동은 꾸중을 들을 때, 부적절하체 떻대 1 I 2 ’ u 4 1 5 16j7 15 답을 하는 편입셔까?

결코 형ι&

그렇쩌 않다 그6 렇T수다7 16 이 아동은 자주 말썽을 피우는 편업나껴~? 1 2 I ~J 4 I 5 1

아니다 고황다

아 아동은 일상적언 일얘나 숙제훌 푸사라거 1)21 3 L 4 15j 영 1 7 17 나 잘 잊어벼라는 면입니짜?

결코 향짱

그렇져 않다 그렇다

18 어 아동은 어떤 일을 할 수 없을 정도로 안 1121314151617 정되지 못할 때가 있습니까? 전f혀없다 x}쭈없다

이 아동에게 오늘 량용 장난감을 가철 첫언 !J 213415\617 지 매일까지 기다혔다가 더 큰 장난감을 7¥ l햄얄깨7.1 오늘

19 질 것인지 선택하라 고 한다면 액떻쩨 할 것 가다합다 찢는다

이라고 생각하십니까?

lÎ213\415\617 20

이 아동은 다른 샤람률외 물캡을 빼앗는 일

이 었습냐까? 전핵없다- 차주었다

21 야 아동은 다른 서람들아 무슨 일을 하펴고 1 I 2 I 3 I 4 I 5 j ßLl 할 때 방해하는 훨업다까? 아약다 그렇다

야 아동온 기본적안 규척을 얘치는 면업냐 1 I 2 ’ 3~J4 1 획 g才¥-22 결코 향상

까? 그렇지않다 그렇다

여 아동은 자가가 자는 길을 추확해서 찰펴 112131415)61 7 23 경짧상 쩔코 보는 편업니까?

그렇다 그형7.1 않다

Page 139: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27

번 문항

이 아동은 질문에 답할 때 신중하게 생각 1 2 3 4 5 6 7 24 한 답안을 제시합니까? 아니면 한꺼번에 한가지 여러 가지

여러개의 답안을 불쑥 말합니까? 대답을 한다 을 한다

25 이 아동은 자신의 공부나 일을 할 때 쉽 ~_121314151617 게 주의가 승트러지는 편입니까? 아니다 그렇다

26 이 아동이 신중한 아동이라고 생각하십니 1121314151617 까? 신중하다 부주의하다

이 아동은 친구들과 잘 어울려 노는 편엽 1121314151617 니까? 그렇다 아니다 27 (규칙을 따르고 차례를 기다리며 협동하며

노는 편입니까?) 이 아동은 한 번에 한가지 일을 몰두하기 1 1_2 1_3 1 4 J 5] 6 1 7

28 보다는 이일 저 일 옮겨 다다는 편입니 한가지에 옮겨

까? 몰두한다 다닌다

이 아동은 주어전 일이 처음에 그에게 너 11213141516171 29 무 어려우면 그만두거나 좌절하는 편업니 도움을 그둔만다 I

까? 청한다

1 J~ 1_3 1 4 J 5 J 61 7 •

30 이 아동은 게임을 방해하는 편입니까? 결코 항상

그렇지 않다 그렇다

이 아동은 행동하기 전에 생각을 하는 펀 1 J_2 J _3 I 4 J 5 J 6 1 7 J 31

입니까? 항상 그렇지 결 않코다 I 그렇다

이 아동아 자기일에 좀 더 주의를 기울인 1 I~ 1_3 1 4 1 5 161 7 32 다면 지금보다 훨씬 더 잘 할 수 있다고 보십니까?

아니다 그렇다

이 아동은 한꺼번에 너무 많은 일을 하려 11213141516L~ 33 는 편입니까? 아니면 한 번에 한가지 일 한가지 일에 너무 많은 l

에만 전념하는 편입니까? 전념한다 일을한띄

Page 140: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28

부록 7. 애매나의 생활 flIs:. 평자자

어 질문지는 어머나께서 일상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는 대용으로 구성획어 있는

자녀맴 문체에 돼한 정확한 평자와 치료애 꼭 팔요환 것압낙다. 다용 사향을

얄고 한 푼항도 빠점없이 표시해 주십사오I

서}

@종합i표 졸업

2. 열령 :

@국민학교 졸업

e대학교 졸업 협

1‘「1

L

Jq

n

@

@

며。 도〈ν 려「

성 아 학

1J

?나 A4-

다음왜 내용은 모두 너l 채의 문향으로 구성되핵 었는데 야 댐 7~~객 푼향틀을

자셰히 읽고 그 중 자신에게 가장 젝합하다고 생각확는 잦융 하나딴 선택하C욕 해

당되는 ( )안에 표기해 주십시오.

그것을 떨쳐 벼렬 수 없다.

불행해책 도얘허 견댈 수 없다.

슬프지 않다.

슬프다.

항상 슐퍼서

너무냐 슬프고

) 나는

) 나는

) 나는

) 나는

(

(

<

(

대해서 별로 낙심하지 않는다‘

대해서 131광적연 느낌여 든다.

대해서 가대할 것이 아무것도 없다Jl 느껑다”

아주 절양적어고 다아질 가방성핵 없다고 느쩡다.

앞날에

앞날에

앞날에

앞날에

) 냐는

) 냐는

) 나는

) 나는

(

<

(

(

2.

) 나는 실패자라고 느깨져 않는다.

) 나는 보통 사람들보다 더 많여 설패한 것 갚다.

) 내가 살아온 과거를 뒤돌야보면 생각나는 것은 설팩뿐야다‘

) 냐는 인간으로쩌 완전챔 실패자언 것 잘다.

) 나는 전과같이 알상쟁활얘 만족하고 있다.

) 냐의 일상 생활은 전처럼 즐겁자 않다.

(

(

(

(

(

3.

4.

Page 141: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29

( ) 나는 더이상 어떤 것에서도 참된 만족을 얻지 못한다.

( ) 나는 모든 것이 다 불만스럽고 지겹다.

5. ( ) 나는 특별히 죄책감을 느끼지 않는다.

( ) 나는 죄책감을 느낄 때가 많다.

( ) 나는 거의 언제나 죄책감을 느낀다.

( 나는 항상 죄책감올 느낀다.

6. ( ) 나는 벌을 받고 있다고 느끼지 않는다.

( ) 나는 아마 벌을 받을 것 같다.

( ) 나는 벌을 받아야 한다고 느낀다.

( ) 나는 지금 별을 받고 었다고 느낀다.

7. ( ) 나는 나 자신에게 실망하지 않는다.

) 나는 나 자신에게 설망하고 있다.

( ) 나는 나 자신에게 혐오스렵다.

( ) 나는 나 자신을 증오한다.

8. ( ) 내가 다른 사람보다 못한 것 같지는 않다.

( ) 나는 나의 약점 이나 설수에 대해서 나 자신을 탓한다.

( ) 내가 한일이 잘못되었을 때는 언제나 나를 탓한다.

( ) 일어나는 모든 나쁜 일들은 모두 내탓이다.

9. ( ) 나는 자살 같은 것은 생각하지 않는다.

( ) 나는 자살할 생각은 하고 있으나, 실제로 하지는 않을 것이다.

( ) 나는 자살하고 싶다.

( ) 나는 기회만 있으면 자살하겠다.

10. ( ) 나는 평소보다 더 울지는 않는다.

( ) 나는 전보다 더 많이 운다.

Page 142: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30

11. (

12. (

13. (

14. (

15. (

) 나는 요즘 항상 운다.

) 나는 전에는 울고 싶을 n째 울 수 았었지만; 요즈음에눈

울래야 울 기력조차 없다,

) 나는 요즈음 평소보다 더 짜증을 내는 펀은 아니다.

) 나는 전보다 더 쉽채 짜증야 냐고 찍찮아 전다.

) 나는 요즈음 항상 짜증스럼다

) 전에는 짜증스럽던 일에 요즈용은 너무 지챔서 짜증조처 나져 않는다

) 나는 다른 사람들에 r:1i한 관심을 잃지 않고 있다.

) 나는 전보다 다른 사람들에 대한 관심이 졸였다.

) 냐는 다른 사름들에 대한 관실여 거의 없얘졌다.

) 나는 다른 사람들에 대환 관섭야 완전히 없어졌다

) 나는 평소처럼 결정을 잘 1-11휠다.

) 나는 결정을 마루는 때가 전보다 많다.

) 나는 전에 비해 결정을 1제려는 얼어1 쩍 큰 어 E갱융을 즈二깐다.

) 냐는 더 야상 아무 결정도 내휠수가 없따.

) 냐는 전보다 내포습이 나빠졌다고 느꺼쳐 않는다.

) 나는 냐어들어 보여캐나 매력없어 3호열깨 뺑 2갱;짤한E한

) 냐는 내 모습이 매력없제 변해벼렸다묘 생각학다.

) 나는 내가 추하게 보안다고 망는다.

전처럼 일을 할 수 있다

일을 시작하려변 특별혀 더 많은 노력이 든다,

) 나는

)야떤

) 무슨 열어픈 시작하려면 약 차-신을 왜무 심하;혐 채찍질챔야딴 한다

) 나는 점혀 아무일도 할 수각 없다-

Page 143: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6. (

17. (

18. (

19. (

20. (

21. (

) 나는 평소처럼 잠을 잘 수 었다.

) 나는 전처럼 잠을 자지 못한다.

) 나는

) 나는

전보다 한두 시간 일찍 깨고 다시 잠들기 어렵다.

평소보다 몇 시간이나 일찍 깨고 다시 잠들기 어렵다.

) 나는 평소보다 터 피곤하지는 않다.

) 나는

) 나는

) 나는

전보다 더 쉽게 피곤해진다.

무엇을 해도 언제나 피곤해진다

너무나 피곤해서 아무 일도 할 수가 없다.

) 내 식욕은 평소와 다름이 없다.

) 나는 요즈음 전보다 식욕이 좋지 않다.

) 나는 요즈음 전보다 식욕이 많이 떨어졌다.

) 요즈음에는 전혀 식욕이 없다.

) 요즈음 체중이 별로 줄지

) 전보다 몸무게가 2kg가량

) 전보다 폼무게가 5kg가량

) 전보다 몸무게가 7kg가량

않았다.

줄었다.

줄었다.

줄었다.

) 나는 건강에 대해 전보다 더 염려하고 있지는 않다.

131

) 나는 여러 가지 통증, 소화불량, 변비등과 같은 신체적인 문제로 걱정

하고 있다.

) 나는

) 나는

건강이 매우

건캉이 너무

염려되어

염려되어

다른 일은 생각하기 힘들다.

다른 일은 아무것도 생각할 수 없다.

) 나는 요즈음 전보다 성 (sex)에 대한 관심에 별다른 변화가 있는

같지는 않다.

) 나는 전보다 성 (sex)에 대한 관심이 줄었다.

) 냐는 전보다 성 (sex)에 대한 관심 이 상당히 줄었다.

) 나는 성 (sex)에 대한 관심을 완전히 잃었다.

켜 /、

Page 144: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32

부록 8. 양육 스트E쩨ξ 척도(Psn

다음 질문은 부모로서 자신올 of~량쩌 챙짤하는Ã/ 알고자 하는 것엽다다.

함께 내원환 자녀를 염두에 두고 문항을 얽어 7¥면서, 얘머얘로서 자선의

생각이나 느낌을 가장 잘 표현하는 변호에 。표확여 주시가 바짧다다‘

전혀 짧통 아주

그렇쩌 웰다 얘다 그형다

1. 나는 내가 일을 잘 처리한다고 느깐다1.. .. ‘ .... 2 ............ 3.…"b'…4 ...... …5

2. 나는 부모로서의 책임감에 얽매여 있지는 않다. L ..... ‘ .. 2 ... … ... “ 3 ‘." 0 ~ ••• ‘.4 ........ ‘5

3. 대 생활얘 방해가 돼는 일들아 꽤 많여 있다 1‘ .. ~.~…2.…,."… .3 ....... ….4.… ..... 5

4‘ 아이가 생기고 나서, 남편과댐 관계헤

예상외로 많은 푼체가 일어나고 있다.

5. 나는 외롭고 친구가 없다는 쟁각여 든다.

6. 이 아이를 가전 뒤에도 나는 하고 싶은 일을

하고있다.

7. 나는 세상 일에 관심도 었고 채며도 느꼈다.

8. 냐는 내 아이를 위해 내 삶왜 많은 부분융

생각보다 많이 포기하고 었다@

9. 나는 예전과는 달라 다흔 사람애 대해 관삼아 없다.

10. 모임에 참석할 때마다 나는 fi~ 며없을 거라는

생각을 한다.

11 나는 우려 아이한태 좋은 부모라고 쟁각한다i

1..…….2.… …….3………..4。’‘~... ‘.5

1. ........ 2 .... ‘·…‘ .. 3 .. ‘.".’‘”‘4 .. … .... 5

L ‘·… . .2 .... …·‘ ... 3" .. … .. ι4‘ ·ι ... …5

1 ......... 2 ........ ‘ ... 3 ........... 4 ....... 딩 .5

1 ..... ‘ ... 2. ‘ .......... 3 .. ‘ ........ 4‘ ........ 5

L .... …2 .. ‘ ... …”‘3……… .. 4.“‘ ..... 5

1 ...... ‘ . .2 ..... “’“。 .3.... ‘ ..... .4‘ ..... …g

1. .... ‘ ... 2 ............ 3 .. ‘ ”“ .. ‘.4 ...... ‘“5

12. 아이 는 다를 가 쁘게 하는 일을 찰한다1.“…….,…….“…….“…… .. …‘“…‘“ .. 용.2.“…….“…… .. … .. …….“……e“… .. …‘“… .. …’

1염3. 。아}이는 나를 좋아하며, 나와 가까이 었고 싶어한다.1..…….2‘ .. ………3 ..... ‘… .. 4 ......... 5

14. 아이는 내가 기대하는 것보다 냐를 보고

잘 웃지 않는다.

15. 아어는 때때로 나를 귀찮재 하려고 혈을

저지른다.

1. ...... “ 2 ..... ’‘ .. “ .3 ....... “ . .4 ....... “5

1.‘ ....... 2‘… ........ 3 ... “ .... ‘.4.“ ... ‘ .. 5

Page 145: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33

16. 아이는 내 기대보다 새로운 것을 배우는 속도가

느린 것 같다 1 ......... 2 ............ 3 .......... 4 ......... 5

17. 아이 는 내 기 대 만큼 공부를 잘하지 못한다 1 ......... 2 ............ 3 ........... 4 ........ .5

18. 나는 아이에 대해 좀 더 친밀하고 따뭇한 감정을 갖고

싶지만, 실제로 그러지 못하기 때문에 괴롭다. 1 ......... 2 ............ 3 ........ …4 ......... 5

19. 아이는 자기 일을 스스로 하는 편이 아니라서

결국은 내 가 관여 하게 만든다 1 ......... 2 ............ 3 .......... .4 ......... 5

20. 내가 아이를 위해 어떤 일을 해주면 아이는

나의 수고에 대 해 고마움을 아는 것 같다 1 ......... 2 ............ 3 ........ …4 ........ .5

21. 아이에게 규칙적인 취침과 식습관을 가르치는

일은 그렇게 힘들지 않았다 1 ......... 2 ............ 3 ........... 4 ........ .5

22. 아야에게 어떤 일을 시키거나 중지시키기는

어 렵 지 않다 1 ......... 2 ............ 3 .......... .4 ..... ….5

23. 아어는 아침에 잘 일어나며 기분도 괜찮아

보인다 1 ......... 2 ............ 3 ........ …4 ......... 5

24. 아이 는 성 가신 행 동(부산하고 산만하다, 운다,

싸운다, 빈둥거 린다 등)을 하는 편 이 다1. ........ 2.… ........ 3 ........ …4 ......... 5

25. 아이는 자가가 하기 싫어하는 일이 생기면

심 하게 반발한다 1 ......... 2 ............ 3 ........... 4 ......... 5

26. 아이는 고집이 세서 친구와 원만하게 지내는데

문제 가 있다 1 ........ .2 ............ 3 .......... .4 ......... 5

27. 아이는 변덕스럽고 기분이 쉽게 변한다 1 ......... 2 ............ 3 .......... .4 ...... …5

28. 아이 는 다른 아이 보다 자주 울고 징 징 거 린 다 1 ......... 2 ............ 3 .......... .4 ......... 5

29. 아이는 다른 아이보다 엄마에게 요구하는 것이 많다 .. 1. ........ 2 ............ 3 ........... 4 ... … ... 5

30. 아이는 아주 사소한 일에도 쉽게 기분이 상한다.1 ......... 2 ............ 3… ....... .4 ......... 5

Page 146: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34

부록 9. 부모 효능강 척 도(PSOC)

다음 질문은 부모로서 자칭을 애떻째 쟁캡if/는책 얄고7.r 하는 것업썩다.

함께 내원한 자녀를 염두에 두고 문항을 얽어가연서, 어머나로서 자선택

생각이나 느낌을 가장 잘 표현하는 번호에 。표하여 주시가 바랍녀다.

1. 나는 나의 행동이 아이에재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잘 알고 있다

2. 냐는 아이를 돌보는 데 있어 유능하다고

생각한다.

3. 나는 아이가 무엇을 힘들어하는지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다‘

전혀 보통 야주

그렇자 않다 아다 그렇다

L .... ….2 ..... …….3 .. ‘ .‘ ... .4 ........ .5

1.… ..... 2.…·… ... 3 ... “ ”“‘4 ....... ‘.5

1..“ ..... 2 ... “ ....... 3 ........ “.4 .. ‘ ..... .5

4. 나는 아이가 현재 보이고 있는 수준여 그 나어에는 1. .... …2 .. … ……3………

그럴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알면서고 짜증야 난다.

5. 내가 아어를 가프치고 이끌어 주려고 해도, 아이가 1. ........ 2 ... … ..... 3 ……….4 ... ‘ ... u5

내 뜻대로 잘 따라오지 않아 좌절감을 느낀다.

6 나는 좋은 부모가 될 수 없을 것 같아 걱정아다.

7. 냐는 다른 사람들이 나로부터 좋은 부묘역할을

배울 수 있는 팬찮은 모렐아 라고 생각한다.

8. 나는 아이와의 관계에서 생기는 문제를 찰 략룬다.

9. 나는 아야가 나를 좋은 부모랴고 보는지에 대해

자신이 없다.

1 ......... 2‘ ....... … .. 3‘… ·…..4… .. ….5

1. ........ 2 ........... ‘3. 。 ‘ , ••••• “ 4“ ....... 5

1. ‘’‘ ..... 2’‘ .......... 3….‘ .. …4。‘ ....... 5 1 ......... 2 ..... ‘ ...... 3 .. “ .. ‘ .... 4 ...... “’5

10. 나는 부모로서 아무것도 여룬 것이 없다고 느낀다.1 ......... 2 .. …

11. 나는 아이가 잘못했을 때, 아여 자신여 찰못한

점을 깨달을 수 있도록 잘 설명하고 져도환다,

12. 나는 부모로서 해야할 일을 잘하고 있다‘

1.…-….2 .. … ....... 3 .. ………4 ......... 5

1 ..... ‘ ... 2. ‘ .......... 3 ... ‘ ... ’“ .4 .. ‘·‘。…513. 나의 흥미와 관심을 부포역할며 아난 다른 분야에 1..““ ... 2. ‘ ......... .3… ....... .4 ... … ... 5

있다.

14. 내가 부모가 되는 것얘 조금이랴도 홍머가 었다면,1. ........ 2 ...... … .. 3 ... … ..... 4 ... ……5

나는 지금보다도 좀 댐 나은 부포가 될 수 있을 것여다,

15. 나는 좋은 부모가 되는데 필요한 지식과 방법을 L .. … .. 2… ......... 3.……….4 ..... ‘’‘5

잘 알고 있다.

16. 부모로서 나는 긴장하고 있으며 불안하다. 1.. ....... 2‘.".‘ .. ‘ .... 3 ... …·‘ .. .4.… ..... 5

Page 147: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35

부록 10. 부모-자녀 상호행동 척도 : 훈육행동(Pcn

다음의 질문들은 어머니와 자녀가 상호행동하는 방식에 관한 것들입니다. 지난 한

달 동안 어머나쩨서 각각의 문항에서 나타내는 방식으로 행동했었다면 “있다” 그

렇지 않다면 “없다”에 표시해 주십시오. 만약 한달 동안 그런 행동을 한 적이 “없

다”면 다음 문항으로 넘어가십시오. 만약 지난 한달 동안 각각의 문항에서 나타내

는 행동을 해서 “있다”에 표시 했으면 얼마나 자주 그런 행동을 했었는지 를 두 번

째 칸에 있는 해당번호에 V표시를 해 주십시오. 예를 들어 하루 두 번 이상 그렇

게 행동했었다변 l번에, 지난 일주일 동안 T4번 정도 그렇게 행동했었다면 4번에

표시하십시오.

문항 짜파 짧 닮월

엄마나 자주 하셨습니짜?

하루 매 1주 1주 1주 지난

1번 5,6 3,4 1,2 한달칸

이상 일 번 번 번 1번

1. 아야의 잘못에 대해 아이에게 얘기를했다.1 없다았다 11 ....... 2 ....... 3 ...... .4 ....... 5 ........ 6

2. 아이의 잘못에 대해 아이에게 소리질렀다.1없다있다 1 1. ...... 2 ....... 3 ...... .4 ....... 5 .. … ... 6

3. 아이가 잘못했을 때 하고싶어 하는 일을 |없다있다 11 ....... 2 ....... 3 ...... .4 ....... 5 ... … .. 6 못하게 했다.

4 별로 아이를 자기 방으로 보내거나 혼자 l없다있다 11 ....... 2 ....... 3 ...... .4 ....... 5 ........ 6 있도록 했다.

5. 아이를 때렸다.

6 말다툼 후에 사과를 했다.

없다있다 11 ....... 2 ....... 3 ...... .4 ....... 5 ........ 6

없다있다 11 ....... 2 ....... 3 ...... .4 ....... 5 .. '" ... 6

7 갈등이나 말다툼이 생기면 다소의 양보를 1없다있다 11 ....... 2 ....... 3 ...... 4 ....... 5 ........ 6 하여 타협하였다.

8 아이에 관련된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는 l없다있다 11 ....... 2 ....... 3 ...... .4 ...... .5 ........ 6

함께 의논하였다.

9 의견이 다를지라도 아이의 입장에서 l없다있다 11 ...... .2 ....... 3 ...... .4 ....... 5 ........ 6 아이의 말을 들어주었다.

10. 아이의 말이 합리적으로 보이면 아이의 |없다었다 1 1.. .. …2 ....... 3 ...... .4 ....... 5 ........ 6

의견을 들은 후 벌을 주려 했다가도

마음을 바꾸었다.

Page 148: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36

%

챈 썽 핸 ~

스g& ’:

’ t

τ3

-I

“μ 벼--…

적표 g얀 잃 버} {

X

g얀 짧 번 { n

‘샤

J갚 씨얘

얄 ~

「/“‘

P

협 째피 싹 --μ

사약 앓 아좌 -짧

‘짚 학 효 ‘다

Zr 해

를 찌

끼 쨌

하。

의 하

챈 다

가 을

스 없

딴 뜯

아 핸

n

12. 아이와 말다툼할 때 아이확 많은 없 다었다 ’L ... “ .2.… ... 3 .... …4.“‘’ .. 5 .... …‘§

잘못들을 끌어들였다.

13. 발다툼을 모두 아이의 탓으로 돌렸아. I없다있다 11‘… ... 킹… .. 3 .. … . .4… .... 5.…….6 14. 아이와 의견이 다를지라도 아이의 생각’없다였다냐.… ... 2 ....... 3 ... ….4 .. ‘ ... .5… ..... 6

을 이해한다고 말하였다.

15. 아이에게 자산의 나이액 맞계 없 략 있 다 얘 ....... 2 ....... 3.… .. .4 ... …5 … ..... 6

행동하기를 원한다고 말하였다.

16 아이가 따라야 할 규칙를어 왜 중요하고8없다었다U …2 ....... 3 ...... .4 ....... 5 ‘8

왜 따라야 하는지 설명쾌주려고 노력하였다

17. 아이 와 논쟁 을 할 때 아야 틀 버웃거 나 i없ε학+있 E다tl냥1 1.“…… .. ……’”…… .. ……’”… .. 2 .. “”…’.“…‘”‘

깎。아} 내렸E다t.

18. 아이가 어떤 일을 찰못했을 때 아여를’없다있다양 ....... 2 ... ….3 .... …4 .... …5 ........ 6 I 놀혔다

19. 아야의 실제 나이보다 더 액환애 취급올 i없다었다11‘”“ .. 2.…·“3 .. ‘.‘’‘4. ‘ ... “g““ .... 6 I 하였다.

20. 당신이 아이를 대하는 방식야 당선왜 없다았다 ’1. ...... 2 ... ….3.‘ ... ‘.4 .... …5.…….6

기분에 의해 좌우획는 것을 발견하였다‘

21. 아이를 과보호했다없다-었다떼“ .. ‘.2 ..... 、3…4‘“‘’‘ .5.. ……6

22. 아이 가 잘못했을 때 평 소보다 훨씬 더 | 없ε다4있E다'l- l나녀1.‘u……,.……‘“…‘”…….“…i“.2 .. …… .. … ... …… .. ….“.3 .. …‘”….

섬하게 별을 주었다.

23 단지 ‘내가 한 번 이야거했다’는 여유만i없다었다다‘ 2 ....... 3 ..... .4 ....... 5 ........ 6 으르 아이에게 얘떤 일을 라계끔 혔다。

24. 아이가 무엇을 잘못했는자를 알게 l없다았다 !1… .... 2 .. … .. 3.……때.ι ..... 5‘ ....... 6

하기 위해 노력했다. ’

25. 아이와 의견이 다를 때 아이의 생각을l 없다있다뼈‘.~ .. “‘2.… ... 3 ...... .4 ... ‘’‘.5… ..... 6 I 물어 보았다

26. 아야와 함께 보낼 시간이 없을 정도로 i없다었다 1 1. ... …2. ‘““3 ’‘““4 ...... ‘5 ........ 6

매우 바쨌다.

Page 149: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37

문항 뱉 빼혈 닮월

엄마나 자주 하쳤슴니까?

하루 매 1주 1주 1주 지 난

1번 5,6 3,4 1,2 한달간

이상 일 번 번 번 1번

27. 아이가 관심이나 도움을 요청할 때

그것을 무시하였다.

28 아이로 하여금 어떤 방식으로 일을 |없다있다 11 ....... 2 ....... 3 ...... .4 ....... 5 ........ 6 할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29. 아이에게 참을성 있게 대하지 않았다. 1 없다있t::J- 1 1.. ..... 2 ....... 3 ...... .4.… .. .5 ........ 6

30. 아이가 잘못된 행동을 하도록 |없다있다 11 ....... 2 ....... 3 ....... 4 ....... 5 ........ 6

내버려두었다.

31 아이가 하게끔 되어있는 일을 아이가 |없다있다 11 ....... 2 ....... 3 ...... .4 ....... 5 ........ 6

실제로 했는지 확인하지 못했다.

32 아이에게 말로만 혼내주겠다고 하고 |없다있다 11 ....... 2 ....... 3 ...... .4 ....... 5 ........ 6

혼내지 않았다.

33 아이가 어떻게 느끼는지를 이해하려고|없다있다 11 ....... 2 ....... 3 ...... .4 ....... 5 ........ 6

노력했다.

34. 아이가 규칙에 복종하도록 하였다없다있다11 ....... 2 ....... 3 ....... 4…….5 ........ 6

35. 어 떤 일을 해 달라는 아이의 요구에 |없다있다 11 ....... 2 ....... 3 ...... .4 ....... 5 ........ 6

쉽게 설득 당했다.

36 아이에게 무엇을 잘 지에 대한 선택의 {없다있다 11 ....... 2 ....... 3 ...... .4 ....... 5 ........ 6 기회를 주었다.

37. 좀 더 편해지기 위해서 아이에게 졌다. I없다었다 11 ....... 2 ....... 3 ...... .4 ...... .5 ........ 6

38. 아이가 이미 정해 놓은 규칙을 깨는 것 |없다있다 11 ....... 2 ....... 3 ....... 4 ....... 5 ........ 6 을 내버려두었다.

39. 아어와 의견이 다를지라도 아이의 생각 |없다있다 11 ....... 2 ....... 3 ...... .4 ....... 5 ........ 6

없 다 있 다 11 ....... 2 ....... 3 ....... 4 ....... 5 ........ 6

을 존중해 주었다.

40. 시키지 않아도 스스로 알아서 숙제, 방|없다있다 11 ....... 2 ....... 3 ...... .4 ••..... 5 ........ 6

청소 등을 할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4따1. 아이가 독립적으로 행동하도록 격려하였!없다있다메11μ1...“……….“….“. 다

42. 아이 의 의 견을 물었다 없다었다 11 ....... 2 ....... 3 ...... .4 ....... 5 ........ 6 43. 아이가 책임감을 지니도록 격려하였다. 1없다있다 1 1. ...... 2 ....... 3 ...... .4 ....... 5 ........ 6

Page 150: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38

쁨록 11. 부모-자1휴 양호행동 척포 : 뺑청훌형 훌흉폴짧CI)

다음의 문항들은 어머니와 자녀들의 애정표현에 판한 것플업나다. 각각획 푼항얘11 CJl핵

지난 한 달 동안 그련 방색으로 행동했였다면 “있다” 그렇지 앞옳다면 “없다”에 표서해

주십시오. 만약 한달 동얀 그런 행동올 한 캡이 “없다”면 다음 문항으로 1강핵 7}섭샤오‘

만약 지난 한 달 통안 각각의 문항에서 나타냐는 방삭대효 행몽해꺼~ “었다”에 표시하

면 얼마나 자주 그런 행동을 했었는자를 두 번째 칸에 었는 해당받호에 표사해 주섭샤

오. 예를 들어 하루 두 번 이상 그렇계 행통했다면 X변에, 자 1냥 얼추얼 동양 3-4변 정

도 그렇게 행동했다면 4번에 표샤하십시오,

좌앞 염~냥 으훌좋 확쳤 총해 킹앞?

문항 활쩔 하루 해 X주 X주 3주 지난

좋g& 1뺑 5,6 3,4 1,2 한닿싼

이상 일 현 벌 뺑 1현

1. 함께 시 간을 보냈다. ‘ 았다없ε다* 얘묘.“…… .. …… .. ….“.…2. ’”…e“….“…‘“….“.3 ’”….“…‘ .. …-“….“4앓4 .. ……’“……‘”‘”’ .. δ.5 .• …‘“….

2. 안。아}주기 , 뽀뽀해 주기 , 등 쓰c다+듬。얘f 도주츄7지1 , I 었E다*없E다tl뼈뼈1..…… .. …… .. …‘“… .. …”“.2 .. …… .. …… .. …… .. … .. …-“.3 .. …… .. ……-“‘…‘“…‘“… . .4 .. ““ .5 ... ‘ .... 6

그 외 다른 산체적인 애정표현을 했다.

3. 게임이나 운동을 함께 했다었다없다11.“ .... 2 .... …3.……4……5.… .... 6

4. 아이의 활동이나 취미, 유치원 생활 동에 l 었다없다.1 1..… .. 2.…·“3 ...... .4.…’“5 ...... ‘.6

대해 10분 이상 이야기했다I

5‘ 아이와 함째 친구나 친척을 방문했다. I 었다없다뼈 .. … .. 2 .... ‘ .. 3 .. …..4.‘ ..... 5.…….6

6. 삭 구 중 다른 사람을 위 한 선물을 항쩨 1 었다없다 11.. .. …2…….3.,.….4.… ... 5 ........ 6

만들거나 준벼했다.

7‘ 어 떤 일 에 대 해 아어 와 함째 웃고 즐겼E다후 i녔~r다*없E다tl냐1.“…… .. …‘‘“……‘이‘….“……‘ .. ’’,.2 .. “….‘….

8. 함께 유치원 i과4채를 했다었c다+없E다:t l얘때1.‘n…… .. …’샤… .. ……‘“…‘“.2 .. …… .. … .. …’“…‘“…‘ .. 3.“…‘”‘.“……、”…’”’A.‘“‘”…。.... “.5‘“…。”…’9. 우스개 소려를 해주거나 들었E다t.었ε다+없ε학i- I얘1.…‘”….“…。

10. 산j잭쩍, 자전거 타기, 수영’ 소풍1 등산, I었다없εtlL…。.2 .. ‘’ ... 3… .. “ 4. ‘”‘ .. 5.“ ..... 6

낚사, 해변에 가가, 조경, 운동 등을 함께

했다.

11. 함께 모임, 파티에 가거나 파티를

열어주었다.

12. 무엇언가를 함께 만들었다. (모형, 공작, 음식 만들기, 고차깨 릉)

대 띤

다써 ζ샤…

AA“

A

갱…

n

샤 객

總總

Page 151: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39

강놔 얼:'1나 &주 하셨습니 까?

하루 매 1주 1주 1주 지난 할달 문항

1번 5,6 3,4 1,2 한달간 동앞 이상 일 번 번 번 1번

13. 함께 악기를 연주하거나 노래를

부르거나 음악을 들었다.

14. 바위, 꽃, 조개, 새, 별, 등을 보러갔다.

15. 칭찬을 해주었다.

16. 외식, 영화, 박물관, 쇼핑 등을 함께

가거나 아이스크림이나 치칸과 같은

간식을 먹으러 외출했다.

17. 특별간식과 같은 특별대우를 해주었다. I 있다없다 11 ....... 2 ....... 3 ....... 4 .... …5 ........ 6

18. 기대치 않은 선물로써 용돈이나 특별한 l있다없다 11 ....... 2 ...... 3 ...... .4 ...... .5 ........ 6

것을 주었다.

19. 아이에게 사랑한다고 말하였다있다없다 11 ....... 2 ....... 3 ...... .4 ....... 5 ........ 6

20. 운동경기, 장기자랑, 놀이, 작품전 등에 |있다없다 11 ..... 2 ...... 3 ...... .4 ....... 5 ........ 6

아이의 작품이나 솜씨를 보러갔다.

21. 아이가 걱정하는 문제에 대해 함께 |있다없다 \ 1 ....... 2 ....... 3 ...... .4 ...... .5.…… .6

있다없다 \ 1 ...... .2 ....... 3 ...... .4 ....... 5 ........ 6

샤 샤 샤

샤 객 샤

샤 객 샤

샤 샤 샤

샤 샤 샤

1,i

1,i

1,4

다 다 다

쨌 爛爛

이야기했다.

22. 우표 모으기, 모형 만들기, 목공, 재봉, I있다없다 11 ....... 2 ....... 3 ...... .4 ....... 5.… .... 6

뜨개질 등과 같은 취미 활동을 함께

했다.

Page 152: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40

부록 12. 뽑모용 사용자 만족포 정푼얘

아래의 질문들은 이번에 받으신 교육 프로그램을 평차하거 획환 잦엽다다, 가능환

한 솔직한 대답올 해주삽시오. 웅답하선 사항들을 참고확여 자회 프효그랭을 평가

하고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자료를 얻고자 합녀다i

전반척인 프로그램에 대환 질문틀.

아래의 질문에 대하여 해당된다고 생각혀시는 사항들에 동J라벼흘 쳐주섭셔오‘

1. 처음 프로그램에 참가하계 된 고처고자 했던 푼재정뜰은 프효그램야 끝난 직후

에는 어떤 변화가 있었습니까?

1 2 3 4

상당히

나빠졌다

5 δ 7 。1 전과

변화 없다

8 9 10

해우

좋아졌다

2.프로그램을 통하여 다루어지지 않았던 자녀왜 푼X체청릎은 프로그램핵 끝1날 직후

에는 어떤 변화가 있었습니까?

1 2 3 4 상당히 나빠졌다

5 6 아전파 변화 없다

? 8 영 10 1J~우

좋아졌다

3. 프로그램을 마치고 난 후 자뎌가 얼마나 향상회였다고 생각하섭다짜?

1 2 3 4 상당히

나빠졌다

5 6 야전과 변화 없다

8 9 10 매우

좋아졌다

Page 153: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41

4. 프로그램에 참가하신 것이 자녀의 문제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은 가족 내의

다름 문제들에 대해서는 얼마나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

1 2 3 4 「「u 6 7 8 9 10

도움이

되기보다는 방해가 되었다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았다

매우 도움야 되었다

5. 프로그램에 참가한 후 얻은 결과에 대해서 어떻게 느끼십니까?

1 2

매우 회의적이다

3 4 5 6

잘모르겠다

7 8 9 10

매우 낙관적이다

6. 이와 같은 부모훈련 프로그램을 통하여 가정에서 아동의 행동문제를 고쳐 나가

도록 하는 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 2 매우 부적절 하다고

생각한다

3 4 5 6 잘모르겠다

7 8 9 10 매우

낙관적이다

7. 이 프로그램을 친구나 친척들에게 권유하시겠습니까?

1 2 적극적으로

권유하겠다

3 4 5 6 잘모르겠다

7 8 9 10 적극적으로

권유하지 않겠다

8.프로그램에서 다룬 문채들과 관련된 집안의 문제들을 다루는 데에 얼마나 자신

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1 2 3 4 5 6 7 8 9 10 매우

자신이 있다 잘모르겠다 매우

자신이 없다

Page 154: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42

9. 프로그램에서 배운 방법들을 사용하여 집안애셔 일어날 수 었는 앞으로 얼어날

자댁의 문제들을 얼마나 잘 다룰 수 있울 것이라고 생각하섭역까?

x 2 3 4 「h u 8 7 g g 10

매우

자신이 있다

잘요르겠다 꽤우 자신이 없다

10. 나의 자녀와 가족에 대해서 프로그램이 따친 전만적얻 영향에 태해서 핵떻채

생각하십니까?

1 2 3 4 5 8 7 8 g 10 도움이

되기보다는

방해가 되었다

아무런

영향도 며치지

않았다

해우 도옴핵 확였다

강악의 구성에 대한 질문툴

。1 부분에서는 아래의 여혀 가지 방법들이 여려분에체 얼마나 도움여 확었는지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여려분의 의견과 가장 일치하는 번호해 똥그라벼를 ;댐주씹시

오.

1. 강햄의 전받적인 내용들얘 돼책셔 얘떻거} 생각하섭나까?

1 2 3 4 5 6

중간 청도 수준어다

7 8 9 10

매우

유용챔다 매우 유용하지 못하다

2. 가정에서 실서하도록 한 자녀와의 놀여시간에 돼해서 핵떻채 생각하짧얘까?

1 2 3 4 5 6 7 8 g 10

uR우

유용확다 매우 유용하지 못하다

중갚 정도 수준어다

Page 155: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43

3, 가정에서 시도하도록 했던 다른 과제들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 2 3

매우 유용하지 못하다

4 5 6

중간 정도 수준이다

7

4. 읽도록 배부된 자료들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 2 3

매우 유용하지 못하다

양육가법에 대한 질문들

4 5 6

중간 정도

수준이다

7

8 9

8 9

10

매우 유용하다

10

매우 유용하다

이 부분에서는 아래의 방법들이 자녀와의 상호작용을 향상시키고 자뎌의 문제행

동을 감소시키는 데에 얼마나 유용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여러분의

의견과 가장 일치하는 부분에 동그라미를 쳐주십시오.

1. ‘관심보이기’ 방법이 자녀와의 상호작용에서 어느 정도 유용하다고 생각하십니

까?

X 2 3 4

매우 유용하지 못하다

5 6

중간 정도

수준이다

7 8 g 10

매우 유용하다

2. ‘상주기‘ 방법이 자녀와의 상호작용에서 어느 정도 유용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2 3 4

매우

유용하지 못하다

5 6

중간 정도

수준이다

7 8 9 10

매우 유용하다

Page 156: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44

3. 무시하기 방법이 자녀와의 상호작용에서 어느 정도 유용하다고 생각하섭 L갱짜?

1 2 3 4

매우

유용하지 못하다

5 6 중간 정도

수준아다

7 8 g 10

매우

육-용하다

4 칭찬하가 방법어 자뎌와의 상호작용에서 어느 정포 유용양다고 생각혀섭니짜?

1 2 3 4

매우 유용하지 못하다

5 6

중간 정도

수준어다

7 8 9 10

매우 유용하다

5 프로그햄액서 다룬 전반적인 방법들이 자녀와확 상호작용-얘서 핵느 정도 유용

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2 3 4

매우

유용하지 못하다

치료자에 대한 질문들

5 6

중간 정도

수준야다

7 8 g 10

왜우

유용하다

이 부분에서는 치료자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을 알아보고자 합뎌다. 각 질문애서

여러분의 생각을 가장 잘 나타왜고 있는 부분쐐 동그라며률 쳐주십시오.

1. 치료자의 강의에 대해서 얘떻게 생각하삽디까?

1 2

매우 빈약하다고

생각한다

3 4 5 6

중간 쩡도

수준이다

7 8 9 10

u~ 우

우수한 수준여랴고 생작한다

Page 157: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2. 치료자의 강의 준비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 2

매우

빈약하다고

생각한다

3 4 5 6

중간 정도

수준이다 생각한다

7 8

145

9 10

매우 우수한 수준이라고

3 나의 문제와 나의 자녀의 문제에 대한 치료자의 이해와 관심의 정도는 어느 정

도라고 생각하십니까?

2 3

매우 불만족스럽다

4 5 6

중간 정도 수준이다

7 8 9 10

매우

만족스렵다

4. 프로그램에서 치료자가 어느 정도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

1 2 3

매우

도움이 되지

못한다고 생각한다

4 5 6

중간 정도였다고

생각한다

7

5. 치료자에 대해서 개인적으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 2

매우

변약하다고

생각한다

3 4 5 6

중간 정도 수준이다

7

8

8

9 10

매우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9 10

매우 우수한 수준이다

Page 158: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46

여려쁨억 의견을 적얘 주씹셔오.

1. 프로그램의 어느 부분이 가장 도움야 되었숨니까?

2. 프로그램의 내용 중 가장 마음에 드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3. 프로그램에서 가장 마음에 들지 않는 부분은 무엇입나짜?

4. 프로그램의 어느 부분이 가장 도움이 되지 돗했습다짜?

5. 더욱 유용한 프로그램어 되기 위해서는 어떠활 점애 향상획핵야한다고 생작합

니까?

Page 159: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47

끼X 。 ζg

부톡 13. 놀이판 가볍

$t했t.

쳐야

Lμ시 L 니

요 E

괴내

「/

g •lL

」싸

m [)

센 펴셉〕 액 o l:' ?f o}

기수 l~ )( è 1:: • 、

까 。 • 쭈공/

과l많/ 짧}했

-? 강 ξY낀"、/ 깅 @λ ‘l)

ι~ 0 ( 。

짧 *짧

Page 160: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앉아:t-

다 o}폴로4 꺼I~J 얄;훗쐐 ?• 장-ð 1-7/\ 또J찢다

너부뿔l텀{랴 7텐& 딴↓ ~I-커I il 까Z~ ) ν

승F류 a}V RL강갇j I、H 늑 o ‘ ’/、 νv

날 L-\-- 껴,~ 끼 oγ 〔

ι --------'-7다첫π:::.-1-

엉&

Page 161: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부록 14. 냐의 좋은 행 동목록표

나의 좋은 점

1. 하려고 마음만 먹으면 뭐든지 할 수 있다.

2. 매일 모두 좋은 선생님을 만난다.

3 친구 사귀기를 잘 해서 외롭지 않다.

4. 하라는 건 뭐든지 노력을 해서

할 수 있는 건 거의 다 한다.

5. 집에서 좋은 아들이다

6 나이 많은 형보다 잘하는 것도 많다.

7. 지겨운 것도 잘 참고 이겨낼 수 있다-

2002. 4. 19

01

149

Page 162: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50 /:.• 。 o

부록 15. 자녀와의 놀아 가록지 짧랭§ * 자녀와의 놀01

---------•--••-••-----, 월 1 놀이시간 1~J~ l] 사 k 쉰 ~

1 , ‘ ’ k ’ 「-μ

ι

ο

o --r,í 뇨 c! """τ ’

@ 각자영증 추7~씌 7~ÂI 쇼

ηj 져 LP~ 냥 κfft 야 응랙 ‘

청Y았 ι

놀이내용 .2 : I 휴 νt~7~ 응 2-1 장-

문져i첩

젓|까| 석으강 윷껍껴 늪성;;Ln얘 f 꼼7t 장〕f

강덴정 σ~I 냉해산 )\7돼양었 gr깐한

fi적 이 Z

τ↓쨌 얘 L • 화 1놀아시간 냥F

.... ‘ 영 30

커 낙

/ νJ-~양윷 0않z,~찍 좋Kj tt뽕 흥애총 l 쩍ε 장!i 2.. 쨌액숲 효썩t. H쩍 縮앙|

/'./ 10 ‘ '::>-0

놀이내용(

νf짝 1강

착J)ιafg킹스ιF

IJri. 2. 짧 과 양까'1 - 짱ηPI늪

X옥ξ 3 ‘ 까2..1. tH_ 15- z’ -3 향〈얹 - ot-vfJ j-t ~ 한쩍갚 -3 1영

한얀七각쭉쪽효짧 - 흉쩌 냥용 c 1,1-).~쉬 향승 상Jr4r쥬t 츄적윷i칸 I -;중껴} 딱적

땅얘땅융 짝@껑£강 j 승 1f응g찮 갱F’ 1/- 송ι떠ht경상 ↑뺑웅 양아1 1. 닝꺼셔i 한 (;t~ 7) 천싹중 ε 」칭#ι 했) 깐찌f흥 창쩌 0애ν} 이l 거} 강냉 g휴 찌 ì-/- 합} I-Vj-kl

ι{? ”찌꺼, *략악짧←

總 짝않항網강쇄

융 L~εf ι~I

Page 163: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51

부록 16. 토큰/점수 제도

스티커따:JI 폐획표

·어른에게 존대말 쓰기 1 5

• 나쁜말 쓰지 않기 (변태/ 욕) 5 } -1 l 갇 ” 숙제/ 구몬y 일기쓰기/ 수 빨리하기 (정한시간 안에

• 공부 다하고 책상정리하기

• 책가방 싸기 (숙제/ 준비물}

·밥먹을 때 딴짓 안하기 책보기y 장난하기

• 아침에 학교갈 준비 빨리하기 11 5

·바른자세로 인사하기 :1 10 I • 얄림장 잘 써오기 (빠진 것 없이)11 5

• 가정통신문 잘챙겨오기 :1 5

• 칭찬 종이 받아오기

9

4 슴’ S 캠

Page 164: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52

점수 양깨 쳐1 확표

져수르 어으 수 있느- 행도 P ! '2. -c:츠 L- -0 0 접수 월 화 -/k「 모「 = -¥~ 일 tJ

외출에서 돌아오면 손 씻기 5 ε〉 〔며 〈강 110 홀j o 업 교복 정리하기 5 01ζ파 흔J 10 ζ~I 침대 정리 5 C그 o 영 01쩔 i 정 옆파 책상 정려 5 v' o D 껄엌 g v애 f었

생활수첩에 글씨 잘 써오거 10 ¢그 g잉 v 흥양 o 숙제할 책과 공책 잘 챙겨오가 10 o o v o &영

숙제, 영어, 구몬, 재능 빨려 하기 20 o ¢파 &밟 양강 v ¢파

밥그풋 썽크대에 갖다 넣기 5 o ViO g ξ3 g g

보나 /L 2

오늘 모은 점수왜 총합 bO b(양 혈 l 훌흥{뿔 tr; 짧효

어제 모은 점수와의 합 야o 행향 g형컵 1l홍 1,앓 짧g

오늘 사용한 점수 / 잃은 점수 t;"o '10 짧&

점수를 잃게 되는 행동 1:] τ /<‘- 월 화 기 -"•~ E-1L 二E=lL 토 얄

학원 갈 때 문 안 잠그면 10θ ‘카 나쁜 말 쓰면 (저질적인 말 포함) 20

학교에서 물건 안 챙겨오면 30 v v 학습지 숨기면 80

형이땅 싸우면 50 v 남은 점수의 합 (0 않o 찌양 t양호

gξ 1fJJ μJ..C

”하루하루 성설하게 알면 어느 째 ’나 1 는 최고카 확어있다”

Page 165: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53

ABSTRACT

Effects of the Combined Treatment of Cognitive-Behavioral

Play Therapy and Parent Training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 sorder (ADHD)

Doh-Yun Kim

Department of Psychology

The Graduate School

Ewha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combined trearment

program of Cognitive-Behavioral Play Therapy and Parent Training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and to

examine effects of the program.

The combined treatment consisted of 10 week program inc1uding meeting

with the child separately in the playroom for 60 minutes, and then meeting

with the parents separately for 40 minutes session. A booster session was

conducted at 12 months post treatment. 11 elemen떠η school-age children

Diagnosed as having ADHD and their mothers, 6 in the Treatment Group

and 5 in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he study. Both the Treat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given pre- and posttest on behavior

probl안ns of the ADHD children, matemal depressive symptoms, parenting

Page 166: 김도연 2003 adhd 인지행동놀이치료 박사논문

154

stress and mother-child interaction of mothers.

The results showed that at the post test of the AD묘갑 항없dren in

treatment group, the degree of ínattention, hyperac따vity, and non comp값ance

in home al1d school were significan뼈y reduced. In addit싫n, 해le m。양lers m

treatment group reported lower scores in parenting stress and ar없ety for

parenting than the control group. Also mothers in trea없le짧 group re윌orte양

higher competence for parenting.

At the 12month follow-up test, the ADHD children in treatment gr。뻐pdi혀

significant behavioral improvements in the home and scho삶. the mothers in

treatment group reported lower scores in parenting stress εompared to the

pretest. However the gains made during treatment were considerably reduced

at the follow-up test, suggestmg the need for a more extended progr없nto

maintain of change.

The case study supported that the increased child behaγioral problems and

a range of deficits in knowledge and copÌllg ski캔 X¥ith regar앓 to AD옆B

predisposed parents to higher levels of parenting stress.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combining Cognitive-월εhavioral Play

Therapy and Parent Training was associated with improvements ln problem

behavior of ADHD children 없d parenting sl밟 of their mot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