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교육과 아이들의 삶 · 2014-08-25 · 345 ={ t - c> t$kj t$k 5 3q, c={j< 63 8 q...

23

Upload: dangdan

Post on 27-Jan-2019

216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생태유아교육연구

2009. 제8권 제4호 , 33 - 55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 특성

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 Children's Playfulness and

Creative Characteristics in Half-day Program and Full-day Programs

전 일 우(Il-Woo Jun)*

요 약

본 연구의 목적은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 특성을 살펴보는데 있

다. 본 연구는 유아 286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이 중 반일제 유아는 133명, 종일제

유아는 153명이다.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유아 놀이성 척도

와 유아용 창의적 행동 특성 검사를 교사가 평정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반일제와 종

일제 유아의 놀이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반일제 유아의 놀이성의 평균이 종일제 유아

의 놀이성의 평균보다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

째, 반일제 유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의 평균이 종일제 유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의 평균보

다 높았고 이들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반일제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 특성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창의적 행동 특성

전체에 대해 놀이성의 하위변인 중 사회적 자발성과 유머감각이 창의적 행동 특성을 설명

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 특성 역시 높은 상

관을 나타냈다. 유아 놀이성의 하위변인 중 유머감각과 인지적 자발성은 유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 전체를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1)

주제어 유아(preschool children), 반일제(half-day program), 종일제(full-day program),

놀이성(playfulness), 창의적 행동 특성(creative characteristics)

※ 논문 접수 : 2009. 07. 30 / 수정본 접수 : 2009. 09. 04 / 게재 승인 : 2009. 09. 14

* 강원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email protected])

Ⅰ. 서 론

유아교육의 실제에서 놀이의 중요성과 그 가치에 대한 논의는 놀이 연구에 대한 당위성

을 제공하고, 유아놀이의 필요성과 그 교육적 의미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이러

한 놀이에 관한 연구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그 개념이 변화되어 왔으나, 그에 대한 중요

성과 가치에 대한 논의는 더욱 강조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유아놀이에 대한 관심이 놀이 개념의 다면화와 놀이를 연구하는 방법 등으로 다양

해짐에 따라 유아가 무엇을 하느냐 보다는 유아가 어떤 상황 또는 어떤 만남을 갖느냐 하

는 성향으로서의 놀이(유애열, 1995)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즉 놀이를 개념화하는 다

양한 접근들 중, 놀이를 심리적 성향이나 경향으로 정의하는 접근(Mattews & Mattews,

1982)이 이들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놀이성 자체에 대한 연구(Barnett, 1990,

1991), 놀이에 관련된 다른 변인과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놀이 자체에 대한 새로운 시각

을 제공하는 국내의 연구들(고소영, 2003; 한미현, 2002; 황윤세, 2006)이 있다.

성향으로서의 놀이성과 관련된 연구들(고소영, 2003; 한미현, 2002; Barnett, 1990,

1991; Roger, Meeks, Impara & Frary, 1991)을 살펴보면, 놀이성을 유아기의 독특한 특

성으로 보고 유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놀이성에 관심을 두어야 한다는 입장에서 놀이에

접근한다. Barnett(1990)는 Lieberman이 제안한 5가지 놀이성 변인에 기초하여 놀이성 척

도(Children's Playfulness Scale: CPS)를 개발하여 놀이성과 관련된 변인을 제시하였다.

그의 척도에 사용된 Lieberman(1965)의 연구는 놀이성을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과 유머감각의 다섯 가지 하위요소로 유아가 가진 놀이적인

특성을 설명하였다. 신체적 자발성은 신체 전체나 일부분을 활발히 움직이는 정도와 신체

협응력의 정도를 뜻하며, 사회적 자발성은 타인과 어울릴 줄 아는 능력, 집단 내에서의

리더쉽, 자연스런 놀이 참여 능력 등을 의미한다. 또한 인지적 자발성은 상상력, 창의력,

융통적 사고를 나타내며, 즐거움의 표현은 유아가 놀이 중에 어느 정도 열성, 만족감, 즐

거움, 소리를 표현하는지와 관련하여 행복과 즐거움을 표현하는 정도를 뜻한다. 유머감각

은 또래에게 재미있는 이야기를 만들어서 이야기 하는 등의 재미있는 사건들과 식별력,

즐거운 상황들의 인식력, 세련된 장난기로 설명할 수 있다. 즉 놀이성은 내적인 성격 특

성을 일컫는 심리학적인 구인으로서 행동을 일으키는 성향 내지 태도를 의미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한편 현대 사회의 특징으로 그 지식이 매우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특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 특성간의 관계 ․ 3

징으로 말미암아 최근 교육계 동향은 급변하는 지식에 대처하는 인재 양성을 위해 창의성

교육을 매우 강조하고 있다. 특히 유아교육계에서는 전통적으로 창의성 교육을 중요시 여

겨왔다. 이러한 창의성 교육과 관련하여 유아기는 창의성 발달의 결정적 시기라고 선행연

구(Amabile, 1996; Torrance, 1988)들은 밝히고 있다. 특히 유아의 창의성과 관련된 상상

력은 4세와 5세 사이에 그 발달 속도가 절정을 이루었다가 학교교육이 시작되는 5세 이

후부터 제도화된 교육 속에서 그 속도가 감퇴한다(Torrance, 1988).

유아기 창의성 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제기한 선행연구와 관련하여, 창의성 교육은 유아

교육의 매우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었고, 이에 힘입어 유아 창의성 평가 도구(노영희․김

경철․김 호, 2006; 이 영․김수연․신혜원, 2002)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평가도구

들은 창의성의 특성에 따라 그 구성요인을 다르게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창의성은 연구

자마다 창의성을 보는 관점과 강조점이 다르기 제시하므로, 다양한 창의성의 개념이 존재

한다. 연구자에 따라 다양한 창의성의 개념은 그 구성요소 역시 학자에 따라 다른데, 창

의성의 구성요소에 대해 Amabile(1996)은 내재적 동기, 독립심, 위험감수, 고정적인 틀에

서 벗어나기, 실패에 대한 인내 등으로 제안했다. Sternberg & Lubart(1996)은 독창성,

언어적 유창성, 상상력, 은유적으로 상상하는 능력, 내적 시각화 능력, 새로운 것에 대한

호기심 등을 창의적인 사람의 인지형태라고 보고, 크게 되고 싶은 욕망, 장애를 극복하는

의지 등을 창의적인 사람의 성격으로 보았다. 이와 같이 여러 연구자들의 창의성에 대한

요소를 정리하여, 임선하(1993)는 창의성의 인지적 측면으로서의 창의적 사고능력에는 민

감성,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 등의 요소와 정의적인 측면으로서의 사고성향 및

태도에는 자발성, 독자성, 집착성, 호기심 등을 포함하였다.

창의성에 대해 Guilford(1967)는 창의성을 주로 확산적 사고, 독창적 사고의 요소를 포

함하며, 현재 가장 폭넓게 받아들여진 창의성의 개념은 새롭고, 적절한 것을 생성해 내는

개인의 능력(최인수 외 2인, 2005; Ochse, 1990)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현대사회

는 지식기반사회라는 특징으로 인해 창의성 교육이 그 교육의 화두가 되었다. 이러한 교

육적 화두에 대해 학습자인 유아들에게 좀 더 유의미한 창의성 교육을 위해 학습자의 특

성을 고려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교육의 요소로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창의성 발달

을 돕는 놀이를 포함하여, 놀이는 교육의 주요한 매개체이다. 특히 선행연구(고소영,

2003; 한미현, 2002)에서는 놀이성을 창의성의 주요변인으로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

에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유아놀이와 창의성 교육의 근거를 더욱 공고히 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최근 가족의 기능과 구조의 변화에 따라 유아들의 사회화 경험의 시기는 더욱 빨라지고

있다. 이러한 최근의 사회적 변화는 사회화 경험의 시기가 빨라지는 것과 더불어 더 장시

간 유치원에 머물게 되었다. 실제로 2008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여성의 경제활동은 총

경제활동 참가율 중 50.2%를 차지하고 있다(통계청, 2008).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의 증가

는 자녀양육에 대한 부담으로 이어져 사회문제로 논의되고 있는 저출산 문제를 야기하고,

이는 우리나라의 국가 경쟁력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문제이다. 이러한 사회문제로 인

해 유치원의 종일제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과거에는 만 3-5세 유아를 대상으로 하루 3시간의 반일제

혹은 5시간에서 8시간미만의 연장제 프로그램만을 운영할 수 있었던 유치원의 운영시간이

‘지역 특성, 유치원의 실정, 교육적 필요’ 등에 따라 종일제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는 근

거가 마련되면서(교육부, 2000), 종일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유치원 수가 증가하고 있

다. 실제로 전국의 국․공․사립 유치원 중 종일제 학급을 운영하고 있는 유치원은 2004

년도에 전체 유치원의 46.2% 정도였던 것에 비해, 2006년도에는 총 8.290개소의 유치원

중 71.5%로 늘어났다(교육과학기술부, 2008). 이와 더불어 2004년에는 「유아교육법」

(2004년 1. 29, 법률 제 7129호)에서, ‘종일제 운영 등에 대한 경비지원 기준’을 공시하여

교육환경 개선비, 인건비 등을 지원하는 등 종일제 운영확대를 위한 구체적인 방향을 제

시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는 종일제 프로그램의 운영이 유치원 교육의 실제에서

필수불가결한 것으로 되었다. 그러므로 종일제 프로그램에 심도 깊은 논의가 필요한 시점

이라고 여겨진다.

종일제 프로그램이란 반일제 프로그램 이상의 교육활동과 보육서비스를 제공하여 유아

기 자녀가 있는 취업여성들의 사회적․교육적 욕구를 충복시키고, 유아들의 교육적 욕구

를 채울 수 있는 프로그램이며, 유아를 반나절이 아닌 종일동안 가정이 이외의 장소에서

교육하거나 보호하는 서비스를 총체적으로 일컫는 말이다(한국유아교육학회, 2008). 우리

나라의 교육법 제 2조에 따르면 유치원에서의 1일 3시간 이상 5시간미만의 교육과정을 반

일제, 1일 5시간 이상 8시간미만의 교육과정을 시간 연장제, 1일 8시간 이상의 교육과정

을 종일제라고 정의하고 있다(교육부, 2000). 유치원의 종일반의 유형은 학급구성 및 운

영에 따라 독립종일반과 오후 재편성 종일반으로 분류할 수 있고, 학급 집단 구성의 연령

에 따라 동일연령 종일반과 혼합연령 종일반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일반의 운영이 점점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유아들이 종일반 프로그램의

경험으로 인해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에 대해서는 매우 중요한 문제로 부각된다. 종일반

유아가 가지는 발달적인 특성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신체적인

발달과 관련하여, 저소득층 유아의 경우에 종일반의 경험으로 운동발달과 활동성을 증진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 특성간의 관계 ․ 5

시키고 신체적인 발달의 효과를 제공한다(Stewart, 1995)는 보고가 있다. 지적 발달의 측

면에서, 반일제와 종일제 프로그램의 효과를 연구한 결과, 종일반 유치원에 참여한 유아

들은 이후에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Cryan, et al., 1992; Ericker &

Mathur, 1997).

정서발달의 측면을 보면, 유아가 장시간 동안 유아교육기관에 머물면 유아는 어머니와

적절한 애착관계를 형성하지 못하고 이로 인해 정서적인 문제가 야기된다(Schwartz,

1983)는 보고가 있다. 그리고 국내의 연구로 박종숙(2001)은 종일반 프로그램이 가지는

문제점으로 오랜 시간 가정과 격리되어 유아의 정서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하지만, Egeland & Hiester(1995)는 불안정한 애착을 형성한 유아의

경우, 유아교육기관에 다님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으며, Hoewes & Hamilton

(1992)은 교사와 유아간의 안정적 관계는 부모와의 격리에서 느끼는 불안을 완충하고 부

모에 대한 안정된 애착의 결핍을 보상하는 경우도 있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므로 단순하게

유아교육기관에 머무는 시간이 정서적인 영향을 준다기보다는 질적으로 우수한 교육과 보

육의 기회는 유아의 정서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Sagi, Koren-Karie, Gini,

Ziv, & Joels, 2002)고 제안하였다.

사회성 관련발달의 측면을 살펴보면, Harman(1982)와 Stewart(1990)은 종일제 프로그

램의 유아는 좀 더 사교적이며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이라고 제안하였다. 그러나 국내의

연구를 살펴보면, 종일제 프로그램의 유아들이 반일제 프로그램의 유아들보다 친사회적

행동이 낮다(김희형, 2002)고 보고했다. 또한 유아가 사회적 문제 상황에서의 대처행동과

관련하여, 반일제의 유아들보다 종일제의 유아들이 수동적인 대처를 많이 한다(안지영․

한진원․김성숙․이은영, 2007)고 그 결과를 제시했다. 문제행동 및 스트레스 행동에서도

종일제 유아는 반일제 유아보다 문제행동과 스트레스 행동을 더 많이 보인다(고선희,

2005; 김희형, 2002; 오경미, 2002; 진성아, 2007)고 보고하였다. 문제행동과 관련하여,

고선희의 연구(2005)에서는 종일제 유아가 반일제 유아보다 불안행동, 위축행동, 공격행

동, 미성숙 행동을 많이 하며, 전체적으로 문제 행동을 더 많이 보이는 것으로 보고했다.

특히 서연금(2009)에 의하면, 종일제 프로그램의 긍정적인 효과를 증명하는 외국의 연구

와는 달리 국내에서 이루어진 연구들은 종일제 프로그램의 유아는 부정적인 행동 특성을

갖는다고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 분석결과에 비추어 본 연구에서는 논란의 여지

가 있는 반일제 및 종일제 프로그램 유아의 놀이성 및 창의적 행동 특성에 대한 분석을 실

시하고자 한다. 특히 놀이성은 유아의 제 발달과 관련된 주요한 변인이며, 창의성 역시

유아기 발달의 주요 발달 과업으로 제시되고 있다. 특히 유아기는 창의성 발달을 포함한

유아기 제 발달 영역의 결정적 시기가 모여 있으며, 이러한 유아의 발달을 돕는 주요 기

제는 유아의 놀이 활동임은 논란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따라서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반일제와 종일제 프로그램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 특성에서의

차이를 분석해 보고, 반일제와 종일제에 유아에게 있어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 특성이 어

떠한 관계를 나타내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유아에서의 놀이성및 창의성 교육

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최근의 사회문제와 관련하여, 선택의 문제가

아닌 필수의 문제가 된 유치원 종일제 프로그램 구성에서 놀이와 창의성 교육의 근거자료

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은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은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 특성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강원도, 경상도, 전라도에 위치한 유치원 12곳에 재원 중인 만 5세

학급의 유아 286명으로 이 중 반일제 유아는 133명과 종일제 유아는 153명이다. 이들의

평균 월령은 68.9개월(반일제=68.7개월, 종일제=69.1개월)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참가한 유아의 담임교사는 18명 이었으며, 교사의 학력은 평균 15.83년(SD=1.11)이고,

경력은 평균 7.00(SD=3.93)이었다. 본 연구에 참가한 유아의 담임교사는 모두 16명 이었

으며, 교사의 학력은 전문대 졸업 2명, 4년제 대학 졸업 9명, 대학원 졸업 5명이었다.

2. 연구도구

1) 유아의 놀이성 측정도구

유아의 놀이성 측정을 위한 도구는 Liberman(1977)의 놀이성의 5개 요소 척도에 기초하

여 개발된 Barnett(1990)의 유아 놀이성 척도(Children's Playfulness Scale)를 유애열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 특성간의 관계 ․ 7

(1994)이 번안한 도구이다. 이 도구는 신체적 자발성(4), 사회적 자발성(5), 인지적 자발

성(4), 즐거움의 표현(5), 유머감각(5)으로 구성되었으며 전체 23문항이 5점 척도로 이루

어진 교사평정척도이다. 신뢰도 Cronbach α는 .91-93이었다.

2) 유아의 창의적 행동특성 측정도구

유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이영 외(2002)가 개발한 ‘유아용 창의적 행동

특성 검사를 사용하였다. 총 47문항으로 독특성(15문항), 개방성(13문항), 민감성(9문

항), 놀이성(5문항), 과제집중성(5문항)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부모 혹은 교사용 평정척

도이며, 본 연구에서는 교사가 유아의 행동을 평정하였다.

이 도구는 각 문항별로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항상 그렇다(5점)까지의 5점 평정척

도이다.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 .89~91 사이 인 것으로 나타났다.

3. 연구절차

본 연구를 위해 연구자가 직접 유치원을 방문하여 학급의 담임교사들에게 해당 학급의

유아들에 대해 평정하도록 요청하였다. 특히 종일제 유아에 대한 평정은 종일제 교사가

담당하도록 하였으며,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특성에 대한 교사의 평정은 유아가 유치원에

서 일상적으로 나타내는 행동에 기초해서 객관적으로 이루어져 함을 강조하였다. 특히 종

일반 유아에 대한 평정은 종일반 교사가 평정하였다. 299부의 질문지가 교사들에게 배부

되었으며, 이 중 응답문항이 누락되었거나 잘못 표기된 불완전한 자료 13부를 제외하고

나머지 286부(95.7%)가 최종 연구 자료로 활용되었다.

4. 자료의 처리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문제 1과

2의 반일제와 종일제에 따른 유아의 놀이성 및 창의적 행동 특성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 3의 반일제 및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 특성

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반일제 및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과 유

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의 관계에 대한 보다 면밀한 분석을 위해 유아의 놀이성의 유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볼 수 있는 단계적 회귀분석(stepwis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및 해석

1.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 차이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이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반일제 유아와 종일

제 유아의 놀이성 간에 차이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t-test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표 1>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의 차이 분석 N=286

구 분

반일제

(n=133)

종일제

(n=153) t

M SD M SD

신체적 자발성 15.56 2.71 13.31 2.82 9.95***

사회적 자발성 18.22 2.49 15.54 2.56 8.95***

인지적 자발성 13.41 1.64 12.37 1.85 5.02***

즐거움의 표현 17.84 2.39 16.32 1.64 5.14***

유머감각 17.64 2.55 14.80 3.29 8.08***

전체 82.66 8.59 72.33 8.44 9.92***

***p<.001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에서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반일제 유아의 놀

이성의 평균이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의 평균보다 높아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 간

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9.92, p<.001).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신

체적 자발성(t=9.95, p<.001), 사회적 자발성(t=8.95, p<.001), 인지적 자발성(t=5.02,

p<.001), 즐거움의 표현(t=5.14, p<.001), 유머감각(t=8.08, p<.001)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반일제 프로그램에 다니는 유아가 종일제 프로그램에 다니는 유아보

다 높은 놀이성을 지니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2.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창의적 행동의 차이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리더십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반일제 유아와 종일제 유아간

의 창의적 행동 특성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t-test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 특성간의 관계 ․ 9

<표 2>와 같다.

<표 2>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창의적 행동의 차이 N=286

구 분

반일제

(n= 133)

종일제

(n= 153) t

M SD M SD

독특성 51.16 5.95 44.80 6.56 8.55***

개방성 43.50 4.81 38.33 5.40 8.51***

민감성 31.71 3.71 28.08 4.04 7.89***

놀이성 16.83 2.25 14.78 2.54 7.18***

과제집중성 16.66 2.15 15.00 2.19 6.52***

전체 159.86 16.13 140.97 17.61 9.41***

***p<.001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에서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반일제 유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의 평균이 종일제 유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 평균보다 높아 반일제와 종

일제 유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9.41,

p<.001).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독특성(t=8.55, p<.001), 개방성(t=8.51, p<.001), 민감

성(t=7.89, p<.001), 놀이성(t=7.18, p<.001), 과제집중성(t=6.52, p<.001) 모두에서 유의

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반일제 프로그램에 다니는 유아가 종일제 프로그램에 다니는

유아보다 높은 창의적 행동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3.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 특성 간의 관계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 특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반일

제와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 특성을 알아보았다.

1) 반일제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 특성의 관계

반일제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 특성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

였다.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표 3>에 나타나 있다.

반일제 유아의 놀이성과 유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놀이성과 유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은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461, p<.01).

유아 창의적 행동 특성의 하위변인 중 민감성은 유아의 놀이성의 전체점수와 유의미한 높

은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r=.492, p<.01). 또한 유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의 전체점수는

유아 놀이성의 하위변인 중 유머감각과 유미한 높은 정적 상관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

다(r=.368, p<.01).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유아의 놀이성과 유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이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표 3>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 간의 관계 N=133

놀이성 창의적 행동 특성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즐거움

표현

유머

감각전체 독특성 개방성 민감성

놀이

행동

과제

집중성전체

신체적

자발성1

사회적

자발성

.493

(**)1

인지적

자발성

.331

(**)

.396

(**)1

즐거움의

표현

.625

(**)

.527

(**)

.336

(**)1

유머

감각

.488

(**)

.262

(**)

.190

(*)

.324

(**)1

놀이성전체.840

(**)

.745

(**)

.560

(**)

.788

(**)

.653

(**)1

독특성.277

(**)

.399

(**)

.270

(**)

.214

(*)

.363

(**)

.422

(**)1

개방성.269

(**)

.283

(**)

.229

(**)

.171

(*)

.340

(**)

.359

(**)

.788

(**)1

민감성.371

(**)

.340

(**)

.281

(**)

.400

(**)

.376

(**)

.492

(**)

.725

(**)

.756

(**)1

놀이

행동

.268

(**)

.173

(*)

.307

(**)

.199

(*)

.248

(**)

.323

(**)

.592

(**)

.627

(**)

.513

(**)1

과제

집중성

.312

(**)

.310

(**).136

.238

(**).088

.306

(**)

.546

(**)

.498

(**)

.527

(**)

.410

(**)1

창의적

행동

특성 전체

.346

(**)

.375

(**)

.294

(**)

.281

(**)

.368

(**)

.461

(**)

.886

(**)

.885

(**)

.864

(**)

.717

(**)

.661

(**)1

*p<.05, **p<.01

반일제 유아의 놀이성과 유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의 관계에 대한 보다 면밀한 분석을

위해 유아의 놀이성의 유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볼 수 있는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 특성간의 관계 ․ 11

단계적 회귀분석(stepwis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사전단계로 중다회귀분석의 기본가

정이 되는 다중공선성이 존재하는지 살펴본 결과, 공차한계(tolerance)가 1이하이고 VIF값

이 10이하로 나타나 독립변수들 간에 다중공선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일제 유아의 놀이성이 유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의 크기를 살

펴본 결과는 <표 4>에 나타나 있다.

<표 4> 반일제 유아의 놀이성의 유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에 대한 회귀분석 N=133

종속변인 단계 독립변인 b β t F R2 △R2

독특성

1상수 33.813 9.615*** 24.775*** .159

사회적 자발성 .952 .399 4.977***

2

상수 255.38 6.189*** 19.528*** .231

.072사회적 자발성 .778 .326 4.090***

유머감각 .649 .278 3.488**

개방성

1상수 32.175 11.652*** 17.157*** .116

유머감각 .642 .340 4.142***

2

상수 26.664 7.634*** 12.042*** .156

.040유머감각 .539 .286 3.422**

사회적 자발성 .402 .209 2.489*

민감성

1상수 20.635 9.226*** 24.971*** .160

즐거움의 표현 .621 .400 4.997***

2

상수 16.032 6.296*** 19.206*** .228

.068즐거움의 표현 .482 .311 3.816***

유머감각 .401 .276 3.384**

놀이

특성

1상수 11.173 7.250*** 13.660*** .094

인지적 자발성 .422 .307 3.696***

2

상수 8.793 4.837*** 9.874*** .132

.038인지적 자발성 .370 .270 3.243**

유머감각 .422 .197 2.368*

과제

집중성

1상수 12.823 12.351*** 14.078*** .090

신체적 자발성 .247 .312 3.752***

2

상수 10.831 7.928*** 9.667*** .116

.026신체적 자발성 .166 .210 2.228*

사회적 자발성 .178 .207 2.201*

창의적

행동 특성

전체

1 상수 115.615 11.985*** 21.424***

.141사회적 자발성 2.428 .375 4.629

2

상수 92.207 8.171*** 18.203*** .219

.078사회적 자발성 1.937 .299 3.722***

유머감각 1.835 .290 3.608***

*p<.05, **p<.01, ***p<.001

<표 4>에 제시되 바와 같이 단계적 회귀분석결과, 유아의 놀이성의 하위변인 중 사회적

자발성과 유머감각은 유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 전체변량의 21.9%(F=18.203, p<.001)를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 전체에 대한 설명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회적 자발성(F=21.424, p<.001)은 14.1%로 가장 많은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유머감각이 첨가됨으로써 7.8%의 설명력이 증가되

어 총 21.9%를 나타냈다.

유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의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독특성은 사회적 자발성과 유머감

각 에 의해 전체변량의 23.1%(F=19.528, p<.001)가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자발성은 15.9%로 가장 많은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머감각이 첨가됨으로

써 7.2%의 설명력이 증가되었다. 개방성은 유머감각과 사회적 자발성에 의해 전체변량의

15.6%(F=12.042, p<.001)가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머감각이 11.6%로 가장 많은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머감각이 첨가됨으로써 4.0%의 설명력이 증가되었

다. 민감성은 즐거움의 표현과 유머감각에 의해 전체변량의 22.8%(F=19.206, p<.001)가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즐거움의 표현이 16.0%로 가장 많은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머감각이 첨가됨으로써 6.8%의 설명력이 증가되었다. 놀이특성은 인지적

자발성과 유머감각에 의해 전체변량의 13.2%(F=9.874, p<.001)가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인지적 자발성이 9.4%로 가장 많은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머감각이

첨가됨으로써 3.8%의 설명력이 증가되었다. 과제집중성은 신체적 자발성과 사회적 자발

성에 의해 전체변량의 11.6%(F=9.667, p<.001)가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자

발성이 9.0%로 가장 많은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머감각이 첨가됨으로써

2.6%의 설명력이 증가되었다.

2)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특성의 관계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 특성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

였으며, 각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 결과는 <표 5>에 제시되어 있다.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과 유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놀이성과 유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은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453, p<.01).

유아 창의적 행동 특성의 하위변인 중 민감성은 유아의 놀이성의 전체점수와 유의미한

높은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으나(r=.506, p<.01), 창의적 행동 특성 전체와 그 하위변인은

유아의 놀이성의 하위변인 중 신체적 자발성과는 음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지만, 통계적으

로 유의미한 상관 관계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 특성간의 관계 ․ 13

<표 5>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 특성의 상관관계 N=153

놀이성 창의적 행동 특성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즐거움

의 표현

유머

감각전체 독특성 개방성 민감성

놀이

특성

과제

집중성전체

신체적

자발성1

사회적

자발성

.395

(**)1

인지적

자발성.120

.274

(**)1

즐거움의

표현

.458

(**)

.491

(**)

.202

(*)1

유머감각 .155.406

(**)

.240

(**)

.431

(**)1

놀이성

전체

.642

(**)

.759

(**)

.469

(**)

.774

(**)

.707

(**)1

독특성 -.091.278

(**)

.370

(**)

.237

(**)

.394

(**)

.341

(**)1

개방성 -.070.295

(**)

.385

(**)

.245

(**)

.485

(**)

.391

(**)

.782

(**)1

민감성 .152.319

(**)

.221

(**)

.453

(**)

.517

(**)

.506

(**)

.636

(**)

.686

(**)1

놀이

특성-.012

.251

(**)

.346

(**)

.226

(**)

.308

(**)

.318

(**)

.650

(**)

.595

(**)

.475

(**)1

과제

집중성.029

.293

(**)

.216

(**)

.252

(**)

.404

(**)

.359

(**)

.566

(**)

.550

(**)

.550

(**)

.482

(**)1

창의적

행동 특성

전체

-.018.339

(**)

.383

(**)

.331

(**)

.509

(**)

.453

(**)

.921

(**)

.908

(**)

.812

(**)

.737

(**)

.699

(**)1

*p<.05, **p<.01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과 유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의 관계에 대한 보다 면밀한 분석을

위해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의 유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볼

수 있는 단계적 회귀분석(stepwis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이 유

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의 크기를 살펴본 결과는 <표 6>에 나타나

있다.

<표 6>에 제시된 바와 같이 단계적 회귀분석결과, 유아의 놀이성의 하위변인 중 사회적

자발성과 유머감각은 유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의 전체변량의 21.9%(F=18.203, p<.001)를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리더십 전체에 대한 설명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회적 자발성은 14.1%로 가장 많은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

음으로 즐거움의 표현이 첨가됨으로써 7.8%의 설명력이 증가되었다.

유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의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독특성은 사회적 유머감각, 인지적

자발성,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에 의해 전체변량의 15.0%(F=27.810, p<.001)가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머감각이 15.0%로 가장 많은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

으며, 인지적 자발성이 첨가됨으로써 22.6%, 신체적 자발성이 첨가됨으로써 2.4%, 사회

적 자발성이 첨가됨으로써 1.7%의 설명력이 증가되었다. 개방성은 유머감각, 인지적 자

발성, 그리고 신체적 자발성에 의해 전체변량의 32.8%(F=25.728, p<.001)가 설명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유머감각이 23.0%로 가장 많은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

적 자발성 첨가됨으로써 7.3%, 신체적 자발성이 첨가됨으로써 2.5%의 설명력이 증가되

었다. 그러나 신체적 자발성의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감성은 유머감각

과 즐거움의 표현에 의해 전체변량의 33.3%(F=37.426, p<.001)가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유머감각이 26.3%로 가장 많은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즐거움의 표현

이 첨가됨으로써 6.5%의 설명력이 증가되었다.

놀이특성은 인지적 자발성과 유머감각에 의해 전체변량의 17.4%(F=15.746, p<.001)가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자발성이 11.9%로 가장 많은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머감각이 첨가됨으로써 5.5%의 설명력이 증가되었다. 과제집중성은 유머

감각에 의해 전체변량의 16.4%(F=29.518, p<.001)가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 특성간의 관계 ․ 15

<표 6>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의 유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에 대한 회귀분석 N=155

종속변인 단계 독립변인 b β t F R2 △R2

독특성

1상수 33.162 14.674*** 27.810*** .150

유머감각 .786 .394 5.274***

2

상수 22.395 6.477*** 23.209*** .226

.076유머감각 .646 .324 4.412***

인지적 자발성 1.038 .293 3.984***

3

상수 26.598 7.049*** 18.215*** .254

.024유머감각 .695 .349 4.788***

인지적 자발성 1.094 .309 4.261***

신체적 자발성 -.422 -.182 -2.533*

4

상수 24.237 6.231*** 15.126*** .271

.017

유머감각 .583 .292 3.817***

인지적 자발성 .995 .281 3.855***

신체적 자발성 -.556 -.240 -3.178**

사회적 자발성 .453 .177 2.134*

개방성

1상수 26.543 14.995*** 46.483*** .230

유머감각 .796 .485 6.818***

2

상수 17.913 6.631** 34.008*** .303

.073유머감각 .684 .417 5.976***

인지적 자발성 .832 .285 4.087***

3

상수 21.221 7.200*** 25.728*** .328

.025유머감각 .722 .440 6.371***

인지적 자발성 .876 .300 4.368***

신체적 자발성 -.332 -.174 -2.573*

민감성

1상수 1.679 14.419*** 55.222*** .263

유머감각 .635 .517 7.431***

2

상수 13.679 7.612*** 37.426*** .333

.065유머감각 13.694 .396 5.354***

즐거움의 표현 .441 .283 3.826***

놀이성

1상수 8.912 6.801*** 20.491*** .119

인지적 자발성 .474 .346 4.527***

2

상수 1.151 5.136*** 15.746*** .174

.055인지적 자발성 .396 .288 3.771***

유머감각 .185 .239 3.131**

과제

집중성1

상수 11.009 14.681* 29.518*** .164

유머감각 .269 .404 5.433***

창의적

행동

전체

1 상수 100.648 17.689*** 52.675*** .259.126

유머감각 2.725 .509 7.258***

2

상수 73.266 8.426*** 37.107*** .331

.072유머감각 2.369 .422 6.428***

인지적 자발성 2.640 .277 4.028***

*p<.05, **p<.01, ***p<.001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 특성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유아의 놀이성 및 창의적 행동 특성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교

육의 실제에서 이러한 능력을 통합하는 데에 유용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반일제 유아의 놀이성과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에서 반일제 유아의 놀이성의 평균

이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의 평균보다 높았으며, 이들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와 관련하여,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일과길이에 따른 놀이성의 차이를 분

석한 선행연구는 아직 제시되지 않았으므로 관련 연구를 중심으로 결과를 유추하고자 한

다. 유치원의 종일반 현황을 분석한 박종숙(2001) 역시 놀이성에 대한 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룬 것은 아니지만, 종일제 유아의 제 문제를 다루고 있다. 즉 유아기 동안 유아교육기

관에 장시간 머무는 것은 애착형성의 문제를 야기하고 이로 인해 정서발달에 부정적인 영

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박종숙, 2001; Schwartz, 1983)들이 있다. 이러한 유아의 애착형

성의 문제는 일반적으로 유아의 정서발달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정서 발달의 문제는 놀

이성을 포함한 유아의 제 발달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황윤세, 2006)이다. 따라

서 이러한 선행연구의 결과는 본 연구의 결과와 일치하는 결과라고 유추할 수 있다. 그러

나 애착발달과 관련하여, 국외의 연구(Egeland & Hiester, 1995)에서는 가정에서 불안정

한 애착을 형성한 경우에는 유아가 교육기관에 다님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 보고와 더

불어 교사와 유아간의 안정적인 관계는 부모와의 불충분한 애창형성을 보상하는 완충역할

을 한다는 보고(Harman, 1982)도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는 단순히 기관에 머무는 시간

이라기보다는 양질의 교육과 보육의 문제(Sagi, Koren-Karie, Gini, Ziv, & Joels, 2002)

라고 지적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종일제 프로그램의 유아들에게 놀이교육을 통한 애착형

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선행연구의 한

계로 인해, 일과길이에 따른 유아의 놀이성을 단지 애착형성 및 정서발달의 차원에서만

논의한 것은 매우 제한적인 시각이라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후의 후속연구에서는 일과

길이에 따른 포괄적인 연구를 통해 종일제 프로그램의 발전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가 필요

하다고 본다.

둘째, 반일제 유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과 종일제 유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에서 반일제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 특성간의 관계 ․ 17

유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의 평균이 종일제 유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의 평균보다 높았으

며, 이들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와 관련하여,

창의적 행동 특성을 포함한 창의성과 유아교육기관의 일과길이와의 관련성을 직접적으로

다룬 선행연구는 아직 시도되지 않았으므로 이와 관련된 연구를 통해 유추해 보면 다음과

같다. 일과길이에 따른 종일제 반일제 유치원 프로그램의 스트레스 행동을 연구한 박화

윤․안라리․하양승(1998)에 의하면, 종일제 프로그램 유아의 오후활동에서 많이 나타나

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반일제 종일제 유아들은 일반적으로, 유아가 사회적 문제 상황에

서의 대처행동과 관련하여, 반일제의 유아들보다 종일제의 유아들이 수동적인 대처를 많

이 한다고 보고하였다(안지영․한진원․김성숙․이은영, 2007). 또한 김희형(2002)은 종

일제 프로그램의 유아들이 반일제 프로그램의 유아들보다 친사회적 행동이 낮다고 보고하

였는데, 이와 관련하여, 반일제 학급의 유아들이 좀더 능동적이라고 유추할 수 있다. 특

히 능동성은 주도성과 관련됨을 개념의 정의상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개념은 사회성

발달 영역과 관련된 용어이기도 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반일제 학급의 유아들이 창의적

행동 특성을 많이 보이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그러나 국외의 연구인 Harman(1982)과 Stewart(1990)는 종일제 프로그램의 유아는 좀

더 사교적이며,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이라고 제시하였다. 이러한 국내외 간의 연구 결과

의 차이에 대해, 서연금(2009)에 의하면, 종일제 프로그램의 긍정적인 효과를 증명하는

외국의 연구와는 달리 국내에서 이루어진 연구들은 종일제 프로그램의 유아는 부정적인

행동 특성을 갖는다고 제시한 바 있다. 국내외 간의 차이에 대해서는 그 원인으로 문화적

혹은 양육태도 간의 차이라고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좀 더 심도 깊은 연구가 요구된

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하여 종일제 유아들에게 사회성 발달 및 창의성 교육과

관련된 적절한 교육 프로그램의 제공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이러한 연구와 관련하여, 장영숙과 고선희(2005)의 연구에 의하면, 종일제 유아는 유치

원의 질이 좋을수록 과인행동과 불안행동, 위축행동, 미성숙 행동 등의 전체적인 문제행

동 점수가 낮게 나타난 반면, 반일제 유아는 교사-유아간의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

질수록 위축행동을 적게 한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질

의 중요성과 학급특성 밀과 길이에 따라 유아들의 특성이 달라짐을 시사받을 수 있다. 즉

본 연구에서의 제시한 유치원에서의 일과길이에 따라 유아의 창의성 발달 및 창의적 행동

특성 역시 달라질 수 있음 예측할 수 있다. 특히 유아의 창의적 성향과 놀이 행동 과련 변

인을 분석한 황윤세(2009)에 의하면 창의성 성향의 놀이 행동은 유아의 기질, 또래유능

성, 교사-유아관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는 창의성

과 교사, 유아 및 또래 관계의 관련성을 밝힌 연구이다. 따라서 유아들의 학급유형 혹은

일과길이에 따라 창의성 교육을 방법 및 그 주안점을 달리하여야 할 것이며, 특히 유아가

반일제 혹은 종일제 프로그램에 속하는지에 따라 교사와 유아 혹은 또래간의 상호작용 중

어느 유형에 더 주안점을 두어야할지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반일제와 종일제 유

아의 교사와 유아 혹은 유아들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심도 깊은 후속연구가 요망된다.

셋째,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 특성의 관계에서, 모두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 특성은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와 관련하여, 다음의 선행연

구의 결과들과 일치하는 것이다. 고소영(2003)의 연구에서는 유아의 창의성과 놀이성 사

회적 자발성과 관련성을 보고하였다. 유애열(1995)은 창의성은 놀이성의 총점과의 상관관

계를 밝힘과 동시에 신체적, 사회적, 인지적 자발성과의 상관관계를 제시했다. 송민영

(1998)은 놀이성의 모든 하위요소와 창의성과 관련성을 제시하였다. Lieberman(1965) 역

시 놀이성이 전반적으로 높은 유아일수록 창의성의 요소인 유창성, 독창성, 융통성이 높

고 놀이를 많이 하는 유아일수록 놀이성 평정 점수가 높고 놀이 활동에 자주 참여하는 유

아가 적게 참여하는 유아들 보다 창의성이 더 높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종일제 학급의 경우, 놀이성의 하위변인 중 신체적 자발성은 창

의적 행동 특성 전체 및 모든 하위변인들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으나, 음의 상

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와 관련하여, 반일제 학급과 종일제 학급의 유아들에게

놀이와 창의성교육은 일과의 길이를 고려한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일과길이를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다양한 영역의 기초조가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유치원 교육에서 이제 반일제와 종일제 프로그램은 선택이 아닌 필수의 문제이다. 즉

대부분의 유아들은 유치원에서 하루를 보내게 된다. 따라서 반일제 유아와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 특성의 분석을 통해, 종일제 유아교육 프로그램을 어떤 방향으로

보완해 나아가야할지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계속되기를 바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

거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

과 창의성을 포함한 제 발달영역에서의 차이에서 국외의 연구결과를 비교한 결과, 일관성

있는 연구결과를 제시하지 못하였고 단지, 문화적 차이 및 양육태도의 차이에 기인할 수

있다는 예측을 하였다. 따라서 이에 대한 후속연구가 요청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반

일제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 특성은 종일제 유아들의 놀이성의 창의성에 비해 전반

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해 단지 교육시간의 차이에 대한 결과인지를

명확하게 밝히기 위해,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관련 변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 특성간의 관계 ․ 19

인에 대한 심도깊은 연구가 요청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놀이

및 창의성 관련 변인으로 놀이성 및 창의적 행동 특성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

러나 종일제 교육프로그램이 교육 분야에서 더욱 중요하게 대두되는 이 시점에서 다양한

관련 변인을 통한 심도 깊은 연구가 계속 진행될 필요가 있다.

참 고 문 헌

고선희(2005). 종일제와 반일제 유아들의 문제행동 특성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고소영(2003). 유아의 창의성과 놀이성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교육과학기술부(2008).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Ⅰ)-총론.

교육부(2000).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 12「종일반」.

김희형(2002). 유아교육기관의 운영시간에 따른 유아들의 스트레스 및 친사회적 행동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노영희․김경철․김 호(2006) 교사용 유아 창의성 평정 척도 개발. 열린유아교육연구, 11(1),

23-44.

박종숙(2001). 유치원의 종일반 현황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하윤․안리리․하양승(1998). 종일제와 반일제 유치원 프로그램의 유아스트레스 행동. 유아교육

연구, 18(20), 135-155.

서연금(2009). 유치원 종일반에 대한 교사들의 담론분석.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송민영(1998). 유아의 창의성과 놀이성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오경미(2002). 유아의 연령, 성별 및 유치원의 운영시간에 따른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 이화여자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애열(1995). 유아의 상상놀이와 교사의 개입에 관한 관찰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 영․김수연․신혜원(2002). 유아용 창의적 행동특성 검사의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대한가정학

회지, 40(6), 85-97.

임선하(1993). 창의성에의 초대. 서울: 교보문고.

장영숙(2005). 종일제와 반일제 유치원 유아들의 문제행동 특성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9(10),

81-101.

지성애(2007). 유아놀이척도의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1(1), 65-84.

진성아(2007). 오후 재편성 혼합연령 종일제 유아들의 돕기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이화여자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미숙(1992). 유아 놀이행동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최인수․이현주․이화선(2005) 아동의 창의성과 성격 및 지능간의 관계: 창의성검사, Holland검사,

Raven검사를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19(1), 135-157.

통계청(2008).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한국유아교육학회(2008). 유아교육학사전: 용어편. 서울: 한국사전연구사.

한미현(2002). 유아의 창의성, 놀이성, 정서지능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황윤세(2006). 유아의 놀이성과 또래유능성과 교사-유아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1(2), 211-

228.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 특성간의 관계 ․ 21

황윤세(2009). 유아의 창의적 성향의 놀이행동 관련 변인의 구조분석: 기질, 또래유능성, 교사-유

아관계를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2), 243-267.

Amaile, T. M.(1996). Creative in Context: Up to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New York:

Westview Press, Inc.

Bernett, L. A.(1990). Developmental benefits of play for childre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2(2), 138-153.

Bernett, L. A.(1991). The Playful child: Measurement of a disposition to play. Play & Culture,

4, 51-74.

Cryan, J., Sheehan, R., Wiechel, J., & Bandy-hedden, I.(1992). Success outcomes of full-day

kindergarten: more positive behavior and increased achievement in years after.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7, 187-203.

Egeland, B., & Hiester, M.(1995). The long-term consequence of infant day-care and

mother-infant attachment. Child Development, 66, 474-485.

Ericker, J., & Mathur, S.(1997). What do they do al day? Comprehensive evaluation of a full-day

kindergarte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2(4), 459-480.

Guilford, J. P.(1967). Creativity: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

3-14.

Harman, D.(1982). Extend-day kindregarten vs. half-day kindergarten achievement difference.

Master's Thesis, Kean College of New Jersey.(ERIC Document R production Service. No

ED 215 784)

Hoewes, C., & Hamilton, C. E.(1992). Children's Relationships with caregivers: Mothers and

child care teachers. Child Development, 63, 859-866.

Lieberman, H. N.(1965). Playfulness and divergent thinking: An investigation of their relationship

at the kindergarten level.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07, 219-224.

Massey, S. L.(2004). Teacher-child conversation in the preschool classroom. Early Childhood

Journal, 31(4), 227-231.

Mattews, W. S., & Mattews, R. J.(1982). Eliminating operational definition: Aparadigm case

approach to the study of fantasy play. In D. J. Pepler & K. H. Rubin(eds), The play of

children: Current theory and research basel.(Eds.), Swizerland: Karger.

Mattews, W. S., & Mattews, R. J.(1982). Eliminating operational definition: Aparadigm case

approach to the study of fantasy play. In D. J. Pepler & K. H. Rubin(eds), The play of

children: Current theory and research basel.(Eds.), Swizerland: Karger.

Ochse, R.(1990). Before the gates of excellence: The determinant of creativity geniu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Roger, C. S., Meek, A. M., Impara, J. C., & Frary, R. B.(1991). Measuring playfulness:

Development of the child behaviors Inventory of Playfulness. Manuscript Submitted of

Publication.

Sagi, A., Koren-Karie, N., Gini, M., Ziv, Y., & Joels, T.(2000). Shedding further light on the

effects of various types and quality of early child care on infant-mother attachment

relationship: The half study of child care. Child Development, 73(4), 1166-1186.

Schwartz, S. L.(1983). Length of day-care attendance and attachment behavior in eighteen-

month-old infants, Child Development, 54, 1410-1413.

Singer, D. G., & Rummo, J.(1973). Ideational creativity and behavior style in kindergarten age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8, 154-161.

Sternberg, R. G., and Lubart, T. I.(1996). Creative giftedness: A multivariate investment approach.

Gifted Child Quarterly, 37(1), 7-15.

Stewart, A. C.(1995). 탁아. 서영숙 역. 서울: 교육과학사.

Tegano, D. W.(1990). Relationship of ambiguity and playfulness to creativity. Psychological Report,

66, 1047-1056.

Torrance, P.(1988). The Nature of creativity as manifest in its testing. In Sternberg, R. J.(Eds.).

The Natature of Creativity. N.Y.: Cambridge Univ. Press.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 특성간의 관계 ․ 23

Abstract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 Children's Playfulness

and Creative Characteristics in Half-day Program and

Full-day Programs

Il-Woo Ju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 children's

playfulness and their creative characteristics in half-day programs and full-day programs.

The subjects included 286 preschool children, composed of 133 half-day program children

and 153 full-day program childr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a

t-test,Pearson's-r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half-day program children

showed a higher level of playfulness than full-day program children. Second, half-day

program children showed higher creative characteristics than full-day program children.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hildren's playfulness and creative

characteristics in both the half-day and full-day programs. In the half-day program,

social spontaneity and children's humor were predictable variables of children's creative

characteristics. In the full-day program, children's humor and cognitive spontaneity were

predictors of children's leader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