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으로 현실세계의 문제 해결

5
Source: http://www.nytimes.com/2013/12/30/technology/solving-problems-for-real-world-using-design.html 1 현실세계의 문제 해결, 디자인으로! Figure 1 스탠포드 핫소 플래트너 디자인 대학(D.school)학생들을 위한 공용 공간 (Photo Credit: Jason Henry for The New York Times) 디스쿨(D.school)에서 악샤이 코타리(Akshay Kothari)받은 과제는 사람들의 라면 법을 재고하는 것이었습니다. D.school탠포드대학교 핫소 플래트너 디자인 대학 (Hasso Plattner Institute of Design at Stanford University)이름입니다. 코타리의 마지막 D.school 과제는 뉴스 읽기용 개발로 이어 졌고 결국 링크드인(LinkedIn)9천만 달러를 주고 사들였습니다. 이처럼 프로젝트의 산출물이 천차만별이지만 모두가 출발점은 유사합니다. 사람의 삶을 편안하게 하는 초점을 두고 있죠. 학교 주된 교훈이 바로 그것입니다. 학생들로 여금 다양한 산업의 경계를 다시 생각하도록 밀어 붙이는 거죠. 학교 교과과정의 핵심은, 창립자 데이빗 켈리(David Kelley)말하는, 공감 근육(empathy muscle)발전시키는 일입니다. 실리콘 밸리 스타트업 문화의 대명사인 차고를 연상 시키는 학교의 동굴 같은 공간에서 생들은 컴퓨터 화면과 스프레드시트는 버리고 사람에 집중하도록 배웁니다.

Upload: adam-park

Post on 29-Jun-2015

589 views

Category:

Business


2 download

DESCRIPTION

Solving Problems for Real World, Using Design - The New York Times

TRANSCRIPT

Page 1: 디자인으로 현실세계의 문제 해결

Source: http://www.nytimes.com/2013/12/30/technology/solving-problems-for-real-world-using-design.html

1

현실세계의 문제 해결, 디자인으로!

Figure 1 스탠포드 핫소 플래트너 디자인 대학(D.school)의 학생들을 위한 공용 공간

(Photo Credit: Jason Henry for The New York Times)

디스쿨(D.school)에서 악샤이 코타리(Akshay

Kothari)가 받은 첫 과제는 사람들의 라면 먹

는 법을 재고하는 것이었습니다. D.school은 스

탠포드대학교 핫소 플래트너 디자인 대학

(Hasso Plattner Institute of Design at Stanford

University)의 새 이름입니다. 코타리의 마지막

D.school 과제는 뉴스 읽기용 앱 개발로 이어

졌고 결국 링크드인(LinkedIn)이 9천만 달러를

주고 사들였습니다.

이처럼 프로젝트의 산출물이 천차만별이지만

모두가 출발점은 유사합니다. 사람의 삶을 더

편안하게 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죠. 이 학교

의 주된 교훈이 바로 그것입니다. 학생들로 하

여금 다양한 산업의 경계를 다시 생각하도록

밀어 붙이는 거죠.

이 학교 교과과정의 핵심은, 창립자 중 한 명

인 데이빗 켈리(David Kelley)가 말하는, 공감

근육(empathy muscle)을 발전시키는 일입니다.

실리콘 밸리 스타트업 문화의 대명사인 차고를

연상 시키는 이 학교의 동굴 같은 공간에서 학

생들은 컴퓨터 화면과 스프레드시트는 버리고

사람에 집중하도록 배웁니다.

Page 2: 디자인으로 현실세계의 문제 해결

Source: http://www.nytimes.com/2013/12/30/technology/solving-problems-for-real-world-using-design.html

2

Figure 2 D.school 디자인씽킹 부트캠프 수업 중 의견조사 장면

(Photo Credit: Jason Henry for The New York Times)

현재까지 이 방식은 효과를 내고 있습니다. 디

자인 학교 설립 후 8년 동안 학생들은 수십

가지 혁신 제품과 스타트업을 배출했습니다.

제3세계 국가의 유아사망률, 불안정한 전력수

급, 영양실조 등의 문제는 물론 발이 안쪽으로

굽어서 태어나는 내반족(clubfoot)이라는 선천

성 기형 문제를 해결할 독창적인 방안을 개발

해 왔습니다.

이러한 성공 덕분에 D.school은 세계 대학들이

선망하는 대상 중 하나로 자리합니다. 인기 강

좌의 경우 정원보다 4배나 많은 수강신청이

쇄도합니다.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D.school은

정규 과정은 물론 보다 협소한 문제에 집중하

는 팝업 강좌 등을 계속 추가 개설하고 있습니

다. “올림피아 스노우, 어디로 갔나?”는 최근

개설한 팝업 강좌로, 가장 고치기 어려워 보이

는 초당파적 협력의 불씨를 되살리는 문제를

학생들에게 제시합니다. 과거 메인주를 대표했

던 올림피아 스노우(Olympia J. Snowe) 온건파

공화당 상원의원이 깜짝 출연을 한 적도 있습

니다.

디자인 회사 IDEO 설립자이기도 한 D.school

창립자 켈리는 대체로 분석 지향적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삶을 바꿀 도구를 쥐어 주는 것이 이

학교 교과과정의 목표라고 전합니다.

Page 3: 디자인으로 현실세계의 문제 해결

Source: http://www.nytimes.com/2013/12/30/technology/solving-problems-for-real-world-using-design.html

3

한 가지 강조하는 분야는 바로 학생들이 캠퍼

스를 떠나서 사람들이 복잡한 문제를 어떻게

대하는지 관찰하도록 하는 일입니다.

기계공학 대학원생 코타리가 라면 프로젝트를

시작한 과정도 마찬가지입니다. 여러 시간을

가까운 라면 가게에서 손님들과 얘기하며 관찰

하다 보면 언젠가는 국물과 면을 흘리는 모습

을 보게 되었습니다. 다른 D.school 학생들과

함께 코타리는 아주 통통한 빨대 시제품을 만

들어 손님들이 라면과 국물을 폭풍 흡입할 수

있게 했습니다.

학교는 학생들로 하여금 가능한 해결책을 끊임

없이 만들고 개선하면서 사용자들에게 시험하

도록 촉구합니다. 사람들이 실제로 사용할 대

안을 찾을 때까지 이 과정을 여러 차례 반복합

니다.

학교의 중요한 요소는 바로 학생들이 소규모로

시작해 성공하면서 “창의력 자신감”을 얻게 되

면 더 크고 고치기 어려워 보이는 문제를 향해

나아갈 수 있다는 점이라고 켈리는 전합니다.

피아노 치는 법을 가르치는 과정과 크게 다르

지 않다고 합니다.

최근 열린 부트캠프 수업에서는 학생들을 가까

운 미용실에 보내 오래된 문제를 해결하도록

했습니다. 바로 잘못 자른 머리 문제입니다.

한 그룹은 많은 미용사가 머리를 잘못 자르는

가장 큰 이유가 바로 바닥의 머리카락을 쓸어

내야 하는 일이라는 사실을 알고 놀랐습니다.

이 그룹은 잘린 머리카락이 바닥에 닿기 전에

빨아들이는 장치의 시제품을 디자인했습니다.

몇몇 교과과정을 지내고 나서 이들 학생은 똑

같은 분석 과정을 적용해 장기기증자 부족 문

제를 해결하라는 과제를 받았습니다.

“이는 공감근육을 키우는 단계적인 접근법이며,

머지 않아 학생들이 스스로 이 과정을 수행한

다”고 켈리는 밝힙니다.

D.school에서 가장 인기 있는 과정 중 하나는

“익스트림 경제성 디자인(Design for Extreme

Affordability)”입니다. 지난 6개월 동안 학생들

은 전세계 각지의 파트너와 팀을 이뤄 현실 세

계의 문제를 해결해 왔습니다. 지금까지 “익스

트림” 학생들로 불리는 이들은 19개국 27개

파트너와 90개 프로젝트를 완료했습니다. 올해

학생들은 캄보디아, 인도, 네팔, 니카라과, 세

네갈,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의 파트너들과 함께

합니다.

익스트림 과정의 성공적인 프로젝트 중 하나는

임브레이스(Embrace)입니다. 슬리핑백처럼 생

긴 저비용 미니어처 파우치로서 신생아가 저체

온증에 걸리지 않도록 돕습니다. 임브레이스

개발진은 22,000명의 유아 사망을 예방했다고

밝힙니다.

올해에는 D.school 학생 이안 코널리(Ian

Connolly)와 제프리 양(Jeffrey Yang)이 노스캐

롤라이나주 비영리단체 미라클피트(Miraclefeet)

와 손을 잡고 내반족(clubfoot) 아동을 위한

$20 미만의 교정기를 디자인했습니다.

Page 4: 디자인으로 현실세계의 문제 해결

Source: http://www.nytimes.com/2013/12/30/technology/solving-problems-for-real-world-using-design.html

4

Figure 3 시제품 디자인실 벽을 채운 공구들

(Photo Credit: Jason Henry for The New York Times)

코널리와 양은 내안족 아동의 엄마들과 얘기를

나누던 중 기존의 교정기가 지나치게 비싸고

제대로 착용하기가 어려우며 보기에도 흉해서

착용률이 떨어진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그래서 두 사람은 두 가지 화려한 색상의 교정

기에 바로 끼울 수 있어 훨씬 신기 쉬운 탈부

착 가능한 신발을 만들었습니다. 지난 8월 양

과 코널리는 브라질에 가서 30개 시제품을 시

험했고 마침내 최선의 대안을 찾았습니다. 소

량이지만 이미 생산이 시작되었고 오는 2015

년이면 15,000개의 교정기를 생산할 것으로

두 사람은 희망합니다.

양은 이 프로젝트로 인해 “제 진로 계획에서

완전히 벗어났다”고 말합니다. 학문 연구 분야

에서 일할 계획이었지만, 이제는 제품 디자인

분야의 일을 얻었으면 합니다.

코타리 역시 계획이 새로운 길로 들어섰다고

말합니다. 지난 2008년 첫 D.school 강의를 듣

기 전에는 여가 시간을 대부분 컴퓨터 앞에 앉

아 보내면서 웹사이트와 모바일 앱에 관한 아

이디어를 브레인스토밍 했지만 실질적인 성과

는 없었습니다. 디자인은 항상 나중에야 생각

했죠.

“제가 디자이너라고 생각해 본 적이 없다”고

회상합니다. “통계 분석이 필요하다면 제가 바

로 적임자죠.”

Page 5: 디자인으로 현실세계의 문제 해결

Source: http://www.nytimes.com/2013/12/30/technology/solving-problems-for-real-world-using-design.html

5

하지만 처음 받은 라면 과제로 사람들과 시간

을 보내면서 사람들이 어떻게 살고 있는지 이

해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는 혁신적인 새로운

방법을 찾게 된 서막이 열렸다고 합니다.

D.school 마지막 3개월에 코타리는 론치패드

(Launchpad)에 등록했습니다. 이 수업에 참가

하는 학생은 10주 이내에 제품이나 서비스를

출시하겠다는 서약서에 서명해야 합니다.

코타리와 파트너 안킷 굽타(Ankit Gupta)는 팔

로알토(Palo Alto) 커피숍에 온 사람들과 담소

를 나누면서 혹시 필요한 게 없을까 타진했습

니다. 사람들의 공통된 불만 중 하나는 광범위

한 소스에서 전해오는 끊임 없는 뉴스의 홍수

였습니다. 그래서 펄스(Pulse)를 개발해 큰 영

향을 줄 수 있겠다고 결심했습니다. 펄스는 사

용자가 뉴스 피드를 맞춤화 할 수 있는 뉴스

리더 앱입니다.

앱을 조기에 완성해 론치패드 과정 중 5주만

에 출시했습니다. 바로 이 타이밍이 애플의

2010년도 세계 개발자 컨퍼런스(WWDC)와 절

묘하게 맞아 떨어졌습니다.

정작 행사장에 입장하지는 못하게 된 코타리와

굽타는 컴퓨터로 행사를 스트리밍하던 중 당시

애플 회장 스티브 잡스(Steven P. Jobs)가 기조

연설에서 펄스를 “멋진(wonderful)” 앱이라며

칭찬하는 모습을 보게 됩니다. 곧 펄스는 아이

폰(iPhone)용 앱 중 최고 다운로드 앱으로 자

리했습니다.

올 4월 링크드인(LinkedIn)은 코타리와 굽타가

세운 회사를 9천만 달러에 인수했습니다.

D.school 덕분에 “전혀 활용해 본 적 없는 뇌

의 일부분을 사용해야만 했다”고 코타리는 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