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도시공학과 특성화방안

11
서경대학교 도시공학과 경쟁력 강화를 위핚 특성화 방안 2011 서경대학교 도시공학과

Upload: skuinc

Post on 14-Jul-2015

1.262 views

Category:

Documents


7 download

TRANSCRIPT

Page 1: 서경대학교 도시공학과 특성화방안

서경대학교 도시공학과

경쟁력 강화를 위핚 특성화 방안

2011

서경대학교 도시공학과

Page 2: 서경대학교 도시공학과 특성화방안

2서경대학교 경쟁력 강화를 위핚 특성화 방안

실용실무능력, 읶갂관계능력, 창조성을 갖춘 다학제적 기반의 도시공학 전문읶 양성

교육목표의 설정

1. 도시설계, 도시계획 개발, 홖경정보 분야에 특화된 공학도 양성(70%)

2. 21세기 융복합시대의 범산업분야에 홗동핛 미래지향적 인재양성(20%)

3. 젂문지식을 특화하고 심화발젂시키고자 하는 젂문인 양성(10%)

심화전공

1. 도시설계분야 : 도시설계, 공공디자인 분야에 홗동핛 도시디자이너 양성

2. 도시계획분야 : 도시계획, 도시관리 및 경영 분야에 종사핛 엔지니어 양성

3. 홖경정보분야 : 각종 홖경정보와 지리정보체계를 통합하여 응용하는 인재 양성

읶재양성 목표

도시공학 전공

Page 3: 서경대학교 도시공학과 특성화방안

3서경대학교 경쟁력 강화를 위핚 특성화 방안

도시문화 시대, 융복합 시대, 유비쿼터스 시대, 무핚경쟁시대의 도시공학도 양성

다학제적 전문지식을 응용하여 문제해결능력이 우수핚 융복합 엔지니어 양성

이해관계자 및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대안을 수립하고 의견조정을 이끌 수 있는 실무형 도시디자이너 양성

실용실무능력, 읶갂관계능력, 창조성을 갖춘

다학제적 기반의 도시공학 읶재 양성

다학제적(Multidisciplinary)

분석적(Analytical)

협업(Collaboration)

창조적(Creative)

교육목표

도시공학

건축

통계

디자인

교통

조경

GIS

환경

경제

Page 4: 서경대학교 도시공학과 특성화방안

4서경대학교 경쟁력 강화를 위핚 특성화 방안교육과정(로드맵)

도시공학 전공

1-1 1-2 2-1 2-2 3-1 3-2 4-1 4-2집중분야

도시계획

홖경정보

도시사례분석도시관리 및

경영평가방법 및

실습도시계획실무

도시경관분석 지리정보체계2 도시교통계획 도시생태계획

건축계획 도시사회학계획가의역핛/

도시특롞전공공통

공통기초

도시제도1/도시계획의

이해

도시제도2/도시조형연습

도시조사방법및실습

도시통계분석

토지이용계획/도시계획사

도시설계의이해

도시경제분석도시계획관렦법규/교통공학

공통전공

단지계획 도시설계 지구단위계획 도시종합설계도시설계

기초 /

전공

교과

과정

심화

교과

과정

도시계량분석 도시개발계획도시재개발

계획

도시계획

홖경정보

공공시설계획지리정보

체계1국토 및 지역

계획

졸업

작품

교과를 포함하여 총 60학점이상 취득 필요, 도시계획 및 홖경정보 전공중 반드시 1개 이상 전공 선택

Page 5: 서경대학교 도시공학과 특성화방안

5서경대학교 경쟁력 강화를 위핚 특성화 방안특성화 방향

전공특성화

다학제적 교육강화

전공이수체계 강화

설계교과 강화

자격증 취득

과제중심의 교육

물리적 계획능력강화

구술표현 능력강화

기획평가분석력 강화

프로젝트 참여 확대

문제해결 능력

의사소통능력강화

리더쉽 배양

계획가의 윤리

책임감 배양

직업 의식 고양

도전정싞 고양

실천과제

1. 다학제적 전문지식을 응용핛 수 있는 기술읶 : 다방면의 젂문지식을 이해 적용 응용핛 수 있는 기술인이 필요

2. 이론 현상 사고 개념을 표현핛 수 있는 디자이너 : 도면 구술을 통해 자유롭게 표현이 가능핚 디자이너가 필요

3. 현장감각이 있고 의사소통이 원홗핚 컨설턴트 : 이롞과 실제의 차이를 조율핛 수 있는 컨설턴트가 필요

4. 공익/사익의 균형을 생각하는 창조적 공학읶 : 도시공학의 사회적 책임을 인식하고 실천하는 창조인이 필요

취업특성화

Page 6: 서경대학교 도시공학과 특성화방안

6서경대학교 경쟁력 강화를 위핚 특성화 방안특성화 모델 - 도시공학과

자기짂단

연구실제 운영

자격증 취득

읶턴 학점제

공모전 참여

동문 네트워크

형성

C.B.P. 주요

관리 항목

Career Building Program 중점 관리 대상

• 최소 3학점 이상취득

취업률80% 이상 달성

취업역량강화

• 졸업젂 기사자격증취득 필수화

• 개인별 졸업생5인 선배 연결

• 매학기 자기짂단후 목표재설정

• 1인 1 프로젝트이상 수행

• 1인 1 공모젂이상 참여

Page 7: 서경대학교 도시공학과 특성화방안

7서경대학교 경쟁력 강화를 위핚 특성화 방안특성화 모델 - 도시공학과

• 실습실 홖경개선

• 노후 기자재 교체

• 행정지원시스템 개선

• 행정 및 실습조교 보완

• 공모젂 출품 장려

• 자격증 취득 필수화

• 성과 포트폴리오 작성

• 방학중 인턴쉽 장려

• 동문 네트워크 지원

• 우수 都工人 선발 표창

• 기업 연계프로그램 개발

• 산학 연구프로젝트 추짂

• 인턴쉽 프로그램 개발

• 채용관렦 워크샵

•현장 방문실습

Infra 지원

교과외 영역

산학 연계홗동

도시공학Career Building Program 추짂영역

• 우수 교원 충원

• 과제중심 교육실시

• 멘토링 강화

• 교수별 연구실제 추짂

• 산학 연구프로젝트 추짂

• 실용교과목 확충

• 설계교과 강화

• 젂공로드맵 설정

• 심화교과과정 설정

• 최처젂공학점 상향 조정

• 짂로탐색 및 목표설정

• 자기짂단 프로그램 수행

• 연구실제 적극 참여

• 공모젂 출품 노력

• 성과 포트폴리오 작성

교수영역

교과영역

학생영역

Page 8: 서경대학교 도시공학과 특성화방안

8서경대학교 경쟁력 강화를 위핚 특성화 방안특성화 영역별 접근방법 #1 – 도시공학과

교수영역 강화

• 과목별로 개인별 학습성과 포트폴리오에 담을 수 있는 최소 1 과제 부여

• 학생 스스로 보완이 가능하도록 과제에 대핚 적정핚 시기의 피드백

과제중심 교육 실시

• 젂공로드맵에 적정핚 교원 확충. 특히 도시설계 및 심화젂공교과에 적합핚 교원 확충 필요.

• 지속적인 멘토링을 책임감있게 수행핛 수 있는 교수 요원 필요

우수 교원 확충

교수별 연구실제 추짂 운영

• 짂로, 학기별 목표 및 성과짂단 등 자기짂단 프로그램 수행 결과 상담

• 멘토링 영역 확대: 공모젂 출품 지도, 연구실제 참여 독려, 성과 포트폴리오 짂행상황 점검 등

멘토링 강화

• 학부-대학원-교수를 연계하는 교수 연구실제 추짂 운영: 교과외 프로젝트를 수행하여 실무 및 연구능력 강화

• 학부-대학원-교수의 유대관계 증짂 및 젂공의 정체성 파악에 기여

• 산학연대강화로 연구 및 실무 프로젝트를 추짂함으로써 학생들의 실무경험 축적 및 지식 배양에 기여

• 교수별 연구실제의 안정적 운영에 기여

산학 연구 및 실무 프로젝트 추짂

Page 9: 서경대학교 도시공학과 특성화방안

9서경대학교 경쟁력 강화를 위핚 특성화 방안특성화 영역별 접근방법 #2 – 도시공학과

교과영역 강화

• 도시설계젂공을 필수젂공으로 규정

• 설계교과의 시수 상향 조정

설계교과 강화

• 젂공역량강화 및 실무형 인재 양성을 위해 2010년부터 건축계획, 도시계량분석, 도시사례분석, 도시관리 및 경영의 4개 교과 확충

• 기존교과의 실용실무내용 보완

실용교과 확충

자기짂단 프로그램 수행

• 젂공이수체계의 재정립: 3개 젂공 설정

• 계획인증에 대비핚 젂공 심화과정의 설정

• 기초역량 강화 및 최소 2개 젂공이상 이수 규정에 따른 최저 젂공이수학점 상향 조정

전공로드맵 및 심화교과과정 설정

• 대학 및 학과에서 개발핚 자기짂단 프로그램 수행: 매학기 학생 스스로 설정핚 목표와 성과를 스스로 측정 평가(교수의 독려 필요)

• 평가결과를 통해 동기부여 및 멘토링자료로 홗용

• 젂공강의마다 부여된 핵심과제의 결과물을 개인별 학습성과 포트폴리오로 작성

• 멘토교수의 점검 필요

개읶별 학습성과 포트폴리오 작성

학생영역 강화(설명회 필요)

Page 10: 서경대학교 도시공학과 특성화방안

10서경대학교 경쟁력 강화를 위핚 특성화 방안특성화 영역별 접근방법 #3 – 도시공학과

교과외 영역 강화

• 졸업작품젂시회 10주년 행사를 통핚 동문네트워크 홗성화 추짂

• 학기중 졸업생 특강실시, Home Coming Day행사 등을 통핚 긴밀핚 유대관계 증짂

동문네트워크 강화

• 연구실제를 이용핚 설계공모젂 출품 장려

• 4학년이젂에 참여가능하도록 독려, 1-2학년의 참여기회 확대마렦

공모전 출품 장려

• 성적이외의 홗동에 의해 귀감이 될만핚 학생을 선발하여 상장수여

• 교내 졸업작품젂의 자체평가 우수 작품을 선정하여 상장수여(총장상, 학장상, 학과장상 추짂)

자랑스러운 都ㆍ工ㆍ人 선발 및 표창

산학 연계홗동 강화

• 학과학생의 인턴쉽을 정례화핛 수 있는 기업체 탐색

• 인턴쉽이 정규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관리프로그램 개발

읶턴십 프로그램 강화

• 귺로현장 방문프로그램, CEO 특강, 기업 연계형 설계프로젝트 추짂 등 다양핚 프로그램 개발

• MOU 체곌과 실질적 홗용

• 산학 연구프로젝트 짂행: 교수별 연구실제와 연계하여 추짂

기업연계 프로그램 개발

Page 11: 서경대학교 도시공학과 특성화방안

11서경대학교 경쟁력 강화를 위핚 특성화 방안결론 및 향후과제

도시공학과는 다학제적 전문지식을 요구하는 기업체의 수요에 부응하여 다양핚 실무경력을 갖춘 읶재

양성을 특성화로 하여 학과의 CBP를 지속적으로 보완 향상시킬 계획임

교수 충원

CBP 시행

대학의 학과지원체계 개선

• 상기의 개선방안은 도시공학과 재학생의 Career Building Program (CBP)의 시행을 통하여

경쟁력확보와 취업율 제고를 위핚 도시공학과의 특성화 젂략임.

• 성공요읶 : 도시공학과의 특성화 젂략에 따라 일관성을 갖고 지속적으로 추짂하기 위해서는

교수 + 학생 + 학교의 3원 협력체제 필요

결 론

향후 과제

목표 : 2013년 수도권 5대 도시공학과 짂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