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관계법 이해

20
노노노노노 노노 노노노노노노노

Upload: logan-chandler

Post on 03-Jan-2016

49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DESCRIPTION

노동관계법 이해. 부산지방노동청. 자율점검 절차. 자율점검 실시. - 부산경영자총협회 - 한국공인노무사회 부울경지회. 자율점검표 개선계획서. 법위반 있음. 점검후 10 일 이내 노동청으로 제출. 시정지시. 법위반 없음. 노동청 → 사업장. 25 일 이내. 자율점검표 제출. 개선결과 보고. 사업장 → 노동청. 현장감독 실시. 자율점검표 ( 개선계획서 ) 미제출 또는 허위 제출한 경우 개선결과 미보고 또는 허위 보고한 경우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TRANSCRIPT

Page 1: 노동관계법  이해

노동관계법 이해

부산지방노동청

Page 2: 노동관계법  이해

자율점검 절차

시정지시시정지시

자율점검표 제출자율점검표 제출

자율점검 실시자율점검 실시

- 부산경영자총협회- 한국공인노무사회 부울경지회

노동청 → 사업장

자율점검표개선계획서자율점검표개선계획서

개선결과 보고개선결과 보고

점검후 10 일 이내

노동청으로 제출

법위반 없음법위반 없음

법위반 있음법위반 있음법위반 있음법위반 있음

사업장 → 노동청

25 일 이내

자율점검표 ( 개선계획서 ) 미제출 또는 허위 제출한 경우 개선결과 미보고 또는 허위 보고한 경우 자체 개선계획기간 중 법 위반 민원이 신고된 경우

현장감독 실시

Page 3: 노동관계법  이해

사업주 준수사항

퇴 직퇴 직

해고예고

퇴직금제도 운영

퇴직자 금품 청산

근로계약 체결근로계약 체결

근로조건 서면 명시

기간제 사용기간 제한

채용시 남녀 차별금지

고 용고 용

근로시간 준수

임금 정기 지급

휴일ㆍ휴가제도 운영

모성보호제도 준수

최저임금 준수

차별처우 금지

근로자명부 작성

취업규칙 신고

노사협의회 운영

직장내성희롱예방교육

Page 4: 노동관계법  이해

임금의 구성항목ㆍ계산방법ㆍ지급방법 , 소정근로시간 , 주휴일 ,

연차유급휴가관한 사항은 서면으로 명시하고 , 근로자 요구시 이를 교부해야 함

ㆍㆍㆍ 근로계약 관련서류는 3 년간 보존

임금의 구성항목ㆍ계산방법ㆍ지급방법 , 소정근로시간 , 주휴일 ,

연차유급휴가관한 사항은 서면으로 명시하고 , 근로자 요구시 이를 교부해야 함

ㆍㆍㆍ 근로계약 관련서류는 3 년간 보존

연소자증명서 ( 가족관계증명서 , 친권자 동의서 ) 비치 15 세 미만자 ( 또는 중학교 재학중인 연소자 ) 는 취직인허증 신청ㆍ발급

근로계약 체결 근로조건 서면 명시 근로조건 서면 명시

연소근로자

근로계약기간 , 휴게시간 , 취업장소 및 업무내용 등을 추가 명시 계속근로기간 2 년 초과시 무기계약으로 간주 ( 단 , 유기사업 , 고령자 , 결원대체 등은 제외 )

합리적 이유없는 차별적 처우 금지

기간제근로자

Page 5: 노동관계법  이해

법정 근로시간 : 1 일 8 시간 ( 연소자 1 일 7 시간 ), 1 주 40 시간 휴게시간 : 4 시간당 30 분 , 8 시간당 1 시간 이상 근로시간 중 부여

연장 근로시간 : 1 주 12 시간 ( 개정법 시행일로부터 3 년간 16 시간 ) 한도

법정 근로시간 : 1 일 8 시간 ( 연소자 1 일 7 시간 ), 1 주 40 시간 휴게시간 : 4 시간당 30 분 , 8 시간당 1 시간 이상 근로시간 중 부여

연장 근로시간 : 1 주 12 시간 ( 개정법 시행일로부터 3 년간 16 시간 ) 한도

근로시간근로시간 준수근로시간 준수

상시 근로자 20 인 이상 : 2008. 7. 1. (20 인 미만 : 2011 년까지 시행시기

결정 )

주 40 시간제 시행여부는 시행일 전 1 개월간 1 일 평균 근로자수를 기준으로 판단

→ 정규직 및 임시직 , 일용근로자 여부에 상관없이 직접 고용한 모든 근로자

개정법 적용 이후 구조조정 등으로 상시 근로자가 감소하더라도 계속 법 적용상시 근로자수 = 법적용 사유발생일 전 1 개월 중 사용한 근로자 연인원 법적용 사유발생일 전 1 개월 중 가동일수

주 40 시간제 시행시기

Page 6: 노동관계법  이해

근로시간의 제한 및 탄력적 운용

여성근로자 : 근로자 본인의 동의를 득한 후 실시 임산부 및 연소자 : 근로자 동의 ( 청구 ) 및 노동부장관의 인가를 득함

야간 및 휴일근로의 제한

임신중인 여성 : 연장근로 전면 금지 산후 1 년 미만 여성 : 1 일 2 시간 , 1 주 6 시간 , 1 년 150 시간 한도 연소근로자 : 1 일 1 시간 , 1 주 6 시간 한도

연장근로의 제한

2 주 또는 3 개월 이내 기간 동안 1 주 평균 40 시간을 초과하지 않을 경우 ,

1 일 8 시간 , 1 주 40 시간을 초과하여 근로 가능 ( 초과수당 지급의무 없음 )

탄력적 근로시간제탄력적 근로시간제

Page 7: 노동관계법  이해

정기ㆍ일률적으로 소정근로에 대해 지급하기로 정한 시급 , 일급 ,

월급액

→ 소정근로시간에 대한 기본급과 1 임금산정기간에 지급하기로 정한 고정급 ( 직무수당 , 조정수당 , 자격수당 등 포함 )

임금지급 : 매월 1 회 이상 정기불 , 통화불 , 직접불 , 전액불 원칙

→ 퇴직자인 경우 : 퇴직일로부터 14 일 이내 일체의 금품 청산 연장ㆍ야간ㆍ휴일근로 시 : 통상임금 50% 이상 가산 지급

임금지급 : 매월 1 회 이상 정기불 , 통화불 , 직접불 , 전액불 원칙

→ 퇴직자인 경우 : 퇴직일로부터 14 일 이내 일체의 금품 청산 연장ㆍ야간ㆍ휴일근로 시 : 통상임금 50% 이상 가산 지급

임금 지급임금 정기 지급임금 정기 지급

[ (1 주 근로시간 + ( 유급인정시간 ) + 주휴 ) x 365÷7 일 ) ÷ 12 월

< 예시 > 40 시간+ 8 시간 ( 주휴 )×365/7 일 /12 개월 = 209시간 44 시간+ 8 시간 ( 주휴 )×365/7 일 /12 개월 = 226 시간

< 월급제 근로자의 통상임금 산정을 위한 기준 근로시간 >

통상임금 이란

Page 8: 노동관계법  이해

법정 제수당 산정

주휴일 09:00 부터 23:00 까지 ( 실근로 13 시간 ) 근로시

* 유급휴일 ( 주차 ) 수당 : 8 시간 ( 월급제는 기본급에 포함 )

* 휴일근로수당 : 19.5 시간 (13 시간 ×150%)

* 연장가산수당 : 2.5 시간 (5 시간 ×50%)

* 야간가산수당 : 0.5 시간 (1 시간 ×50%) ▶ 총 30.5 시간

연장ㆍ야간ㆍ휴일근로수당 산정 예시

월급제인 경우 ( 기본급 월 100 만원 , 직책수당 월 5 만원 수령시 ) - 월급 105 만원 ÷ 209 시간 = 통상시급 5,024 원

시급제인 경우 ( 시급 5,000 원 , 반장수당 월 5 만원 수령시 ) - 시급 5,000 원 + 239 원 (5 만원 ÷209 시간 ) = 통상시급 5,239 원

통상임금 산정 예시

Page 9: 노동관계법  이해

주휴일 (1 주 개근시 부여 ) 근로자의 날 (5.1) 약정 휴일 : 공휴일 , 회사창립 기념일 등

법정 휴일법정 휴일

휴일 및 휴가제도

연차유급휴가 : 15~25 일 (1 년간 8 할 이상 출근시 15 일 ) 산전후 보호휴가 : 90 일 (16 주 이후 유사산시 30-90 일 ) 생리휴가 : 월 1 일 ( 무급 ) 배우자 출산휴가 : 3 일 ( 출산일로부터 30 일 이내 신청 ) 약정휴가 : 경조사휴가 , 병가 등

법정 휴가법정 휴가

태아검진시간 : 모자보건법에 따른 임산부 정기검진시간 허용 ( 임신 7 월까지 :2 월 /1 회 , 8~9 월 :1 월 /1 회 , 10월이후 :2 주 /1 회 )

육아시간 : 여성근로자 (1 년 미만 영아 ) 의 청구시 1 일 /2 회 /

각 30 분

육아휴직 : 남녀근로자 (3 년 미만 영아 ) 의 청구시 1 년 이내

부여( 육아기 근로시간단축 : 주 15~30 시간 이내 허용 )

기 타

Page 10: 노동관계법  이해

연차유급휴가 청구권은 전년도 (1 년간 ) 의 출근율에 따라 발생하며 , 발생일로 부터 1 년간 사용하지 아니하면 소멸됨 → 미사용 휴가수당청구권 발생

※ 휴가산정 기산일은 개별 입사일이 원칙이나 노무관리 편의상 취업규칙 등에 의하여 일률적으로 회계연도를 기준으로 산정 가능

연차유급휴가 청구권은 전년도 (1 년간 ) 의 출근율에 따라 발생하며 , 발생일로 부터 1 년간 사용하지 아니하면 소멸됨 → 미사용 휴가수당청구권 발생

※ 휴가산정 기산일은 개별 입사일이 원칙이나 노무관리 편의상 취업규칙 등에 의하여 일률적으로 회계연도를 기준으로 산정 가능

휴가사용 청구권 및 수당 청구권휴가사용 청구권 및 수당 청구권

1 년간 8 할 이상 출근시 15 일 (1 년 미만자는 1 월간 개근시 1 일 )

부여하고 , 3 년 이상 근속시 최초 1 년을 초과하는 매 2 년마다 1 일 가산 (→ 총 25 일

한도 )

1 년간 8 할 이상 출근시 15 일 (1 년 미만자는 1 월간 개근시 1 일 )

부여하고 , 3 년 이상 근속시 최초 1 년을 초과하는 매 2 년마다 1 일 가산 (→ 총 25 일

한도 )

휴가일수 산정방법휴가일수 산정방법

연차유급휴가제도 주요 변경내용

입사일

2007.1.1

휴가발생일

2008.1.1

수당청구권 ( 휴가청구권 소멸 )

2009.1.1

휴가사용기간

25 일

21 년

.....

.....

19 일

10 년

17 년

5 년

22 일

15 년

25 일16 일15 일15 일연차일수

30 년3 년2 년1 년근속년수

Page 11: 노동관계법  이해

입사일 기준입사일 기준

연차휴가일수 산정사례

2004 년 입사시 (4 년 근속 ) →

2008. 7. 1. 개정법 시행

2008

2007 ( 10 일 10 일 15 일

)

2009

3.1 7.1 9.1 3.1 7.1 9.1

3.1 7.1 9.1

( 13 일 13 일 17 일 )

회계년도 기준회계년도 기준

2008.1.1 ( 10 일 )

2007.1.1

2009.1.1 ( 15 일 )

2010.1.1 ( 16 일 )

2008. 7. 1. 개정법 시행

2004.1.1.(4 년 근속 ) 기준 → ( 13 일 ) ( 17 일 ) ( 17 일 )

Page 12: 노동관계법  이해

1 년 미만인 자1 년 미만인 자

연차휴가일수 산정사례

1 년 미만 ( 회계년도 기준 )1 년 미만 ( 회계년도 기준 )

2008. 7. 1. 개정법 시행

2008년

2009.1.1.입사

2010.1.1 ( 15 일 )

매월 개근시마다 1 일씩 발생 (11 일까지)

휴가 (7.5 일 ) 사용기간

2008.7.1.입사

2009.1.1

( 7.5 일 (6 일 포함 ) )

2010.1.1

( 15 일 (5 일 포함 ) )

6.1

Page 13: 노동관계법  이해

사용자의 적극적인 사용권유 (①,②) 에도 불구하고 , 근로자가 휴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 사용자의 금전보상의무를 면제하는 제도

① 휴가 사용기간 만료 3 월 전을 기준으로 10 일 이내에 근로자에게 미사용 휴가에 대한 사용 시기지정을 서면으로 요구하고 ,

- 근로자가 통보를 받은 날로부터 10 일 이내 사용시기를 지정하지 않을 경우

② 사용자가 휴가 사용기간 만료 2 월 전에 휴가사용시기를 지정하여 개인별로 서면으로 통보

사용자의 적극적인 사용권유 (①,②) 에도 불구하고 , 근로자가 휴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 사용자의 금전보상의무를 면제하는 제도

① 휴가 사용기간 만료 3 월 전을 기준으로 10 일 이내에 근로자에게 미사용 휴가에 대한 사용 시기지정을 서면으로 요구하고 ,

- 근로자가 통보를 받은 날로부터 10 일 이내 사용시기를 지정하지 않을 경우

② 사용자가 휴가 사용기간 만료 2 월 전에 휴가사용시기를 지정하여 개인별로 서면으로 통보

연차휴가 사용촉진제도 연차휴가 사용촉진제도

효율적인 휴가사용으로 실근로시간 단축

휴가사용 시기지정 요구 ( 회사 → 근로자 )

2009.10.1~10.10

휴가시기 지정 통보( 회사 → 근로자 )

~ 2009.10.31. 한

휴가사용기간 만료일

2009.12.31

Page 14: 노동관계법  이해

근로자 대표와 서면합의에 따라 연장 · 야간 · 휴일근로 가산수당에 갈음하여 대체 휴가를 부여하는 제도

※ 서면 합의내용 : 휴가부여방식 , 임금청구권 , 보상휴가 부여기준 등

< 예시 > 2 시간 휴일근로 시 → 총 3 시간 (2×1.5%) 분의 휴가 발생

근로자 대표와 서면합의에 따라 연장 · 야간 · 휴일근로 가산수당에 갈음하여 대체 휴가를 부여하는 제도

※ 서면 합의내용 : 휴가부여방식 , 임금청구권 , 보상휴가 부여기준 등

< 예시 > 2 시간 휴일근로 시 → 총 3 시간 (2×1.5%) 분의 휴가 발생

선택적 보상휴가제도선택적 보상휴가제도

근로자 대표와 서면합의에 따라 특정 근로일을 연차유급휴가로 대체 < 예시 > 하계휴가 , 설 연휴 전후 , 징검다리 휴일 등

근로자 대표와 서면합의에 따라 특정 근로일을 연차유급휴가로 대체 < 예시 > 하계휴가 , 설 연휴 전후 , 징검다리 휴일 등

유급휴가 대체유급휴가 대체

효율적인 휴가사용으로 실근로시간 단축

노동부 ( 정보마당 -정책정보자료실 ) 또는 부산지방노동청 홈페이지 ( 정보의 장 -부서별 자료실 ) (www.molab.go.kr) (http://busan.molab.go.kr)

개인별 연차휴가 캘린더 활용

Page 15: 노동관계법  이해

단시간근로자의 소정근로시간 수

: 4 주 동안의 소정근로시간 ÷ 통상 근로자의 총 소정근로일 수

< 예시 > 1 일 6 시간 , 주 3 일을 근로하는 단시간 근로자의 주차수당 계산방법 → 72 시간 (6 시간 ×3 일 ×4 주 ) ÷ 24 일 = 3 시간

연차휴가일수 = 통상 근로자 연차일수 × 단시간근로자 소정근로시간 × 8 시간 통상 근로자 소정근로시간

▶ 4 주간 평균하여 1 주간 소정근로시간이 15 시간 미만 근로자는 휴일ㆍ휴가 및 퇴직금 제도 미적용

단시간근로자의 소정근로시간 수

: 4 주 동안의 소정근로시간 ÷ 통상 근로자의 총 소정근로일 수

< 예시 > 1 일 6 시간 , 주 3 일을 근로하는 단시간 근로자의 주차수당 계산방법 → 72 시간 (6 시간 ×3 일 ×4 주 ) ÷ 24 일 = 3 시간

연차휴가일수 = 통상 근로자 연차일수 × 단시간근로자 소정근로시간 × 8 시간 통상 근로자 소정근로시간

▶ 4 주간 평균하여 1 주간 소정근로시간이 15 시간 미만 근로자는 휴일ㆍ휴가 및 퇴직금 제도 미적용

단시간근로자의 근로조건

단시간 근로자 의 임금계산 , 휴일 . 휴가의 적용단시간 근로자 의 임금계산 , 휴일 . 휴가의 적용

Page 16: 노동관계법  이해

사용자는 정당한 이유없이 해고할 수 없으며 , 해고사유 및 시기는 서면

통보 산재요양기간ㆍ산전후휴가기간과 그 후 각 30 일간은 해고 금지

→ 근로자는 해고일로부터 3 개월 이내 지방노동위원회에 구제신청

사용자는 정당한 이유없이 해고할 수 없으며 , 해고사유 및 시기는 서면

통보 산재요양기간ㆍ산전후휴가기간과 그 후 각 30 일간은 해고 금지

→ 근로자는 해고일로부터 3 개월 이내 지방노동위원회에 구제신청이행강제금 제도 : 노동위원회의 부당해고 구제명령 불이행시

→ 2 천만원 이하의 이행강제금 부과 (1 년에 2 회 범위안에서 최대 2 년까지

이행강제금 제도 : 노동위원회의 부당해고 구제명령 불이행시

→ 2 천만원 이하의 이행강제금 부과 (1 년에 2 회 범위안에서 최대 2 년까지

해고제도해고의 제한해고의 제한

해고시 30 일전 해고예고를 하거나 30 일분 이상의 통상임금을 지급해야 함

해고시 30 일전 해고예고를 하거나 30 일분 이상의 통상임금을 지급해야 함

해고 예고해고 예고

< 해고예고 적용 제외 >6 개월 미만 월급제 , 3 개월 미만 일용근로자 , 수습사용 중인 자 , 2 개월 미만

기간제근로자 근로자 고의로 사업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거나 재산상 손해를 끼친 경우 등

< 해고예고 적용 제외 >6 개월 미만 월급제 , 3 개월 미만 일용근로자 , 수습사용 중인 자 , 2 개월 미만

기간제근로자 근로자 고의로 사업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거나 재산상 손해를 끼친 경우 등

Page 17: 노동관계법  이해

계속근로기간 1 년에 대해 30 일분 이상의 평균임금 지급

퇴직금 = 평균임금 x 30 일 x 총재직일수 /365 일

퇴직후 퇴직금을 일시금 또는 연금 (55 세이상 ) 으로 수령

법정 퇴직금법정 퇴직금

확정급여형

확정급여형

사용자가 매년 확정 기여금 ( 연간 임금총액의 1/12) 을 개인별 계좌에 적립해주고 , 그 적립금 운용결과에 따라 연금급여 변동

임금 , 퇴직금 등 미지급 금품은 퇴직일로부터 14 일 이내 모두 청산( 다만 , 특별한 사정이 있을 경우 당사자간 합의에 의하여 지급기일 연장 가능 )

미지급 금품에 대해 지연이자제 ( 연 20%) 도입 (2005.7.1. 이후 )( 지연이자 = 체불금액 × 0.2 × 체불일수 /365 일 )

임금 , 퇴직금 등 미지급 금품은 퇴직일로부터 14 일 이내 모두 청산( 다만 , 특별한 사정이 있을 경우 당사자간 합의에 의하여 지급기일 연장 가능 )

미지급 금품에 대해 지연이자제 ( 연 20%) 도입 (2005.7.1. 이후 )( 지연이자 = 체불금액 × 0.2 × 체불일수 /365 일 )

근로자가 받을 연금급여가 사전 확정 ( 법정퇴직금 수준 ) 되어 있고 , 사용자가 매년 일정금액을 금융기관에 적립

퇴직금 제도

퇴 직 연 금퇴 직 연 금

확정기여형

확정기여형

퇴직시 금품 청산퇴직시 금품 청산

Page 18: 노동관계법  이해

2008 년 : 시급 3,770 원 , 일급 (8 시간 ) : 30,160 원 , 월급 (209 시간 기준 ) :

787,930 원 2009 년 : 시급 4,000 원 , 일급 (8 시간 ) : 32,000 원 , 월급 (209 시간 기준 ) : 836,000 원

2008 년 : 시급 3,770 원 , 일급 (8 시간 ) : 30,160 원 , 월급 (209 시간 기준 ) :

787,930 원 2009 년 : 시급 4,000 원 , 일급 (8 시간 ) : 32,000 원 , 월급 (209 시간 기준 ) : 836,000 원◀ 최저임금에 산입되지 않는 임금 ▶

상여금 , 정근수당 등 매월 1 회 이상 정기 지급하는 임금 외의 임금 연장 . 야간 . 휴일수당 , 연차수당 등 소정근로시간에 대해 지급하는 임금 외의 임금 식대 , 교통비 , 가족수당 등 기타 생활보조 , 복리후생을 위한 금품

◀ 최저임금에 산입되지 않는 임금 ▶ 상여금 , 정근수당 등 매월 1 회 이상 정기 지급하는 임금 외의 임금 연장 . 야간 . 휴일수당 , 연차수당 등 소정근로시간에 대해 지급하는 임금 외의 임금 식대 , 교통비 , 가족수당 등 기타 생활보조 , 복리후생을 위한 금품

◁ 최저임금 감액 적용 ▷ 수습사용중인 자 (3 개월 이내 ) : 최저임금 90% 적용 감시 . 단속근로종사자 ( 노동부 인가 ) : 최저임금 80% 적용

◁ 최저임금 감액 적용 ▷ 수습사용중인 자 (3 개월 이내 ) : 최저임금 90% 적용 감시 . 단속근로종사자 ( 노동부 인가 ) : 최저임금 80% 적용

최저임금 제도

개정법 시행으로 소정근로시간이 단축되는 경우 , 정당한 사유없이 최저임금

적용대상 임금을 단축 전 소정근로시간에 단축 당시 적용되는 시간급 최저임금액을 곱한 금액 보다 저하 금지

개정법 시행으로 소정근로시간이 단축되는 경우 , 정당한 사유없이 최저임금

적용대상 임금을 단축 전 소정근로시간에 단축 당시 적용되는 시간급 최저임금액을 곱한 금액 보다 저하 금지

근로시간 단축과 최저임금 근로시간 단축과 최저임금

최 저 임 금최 저 임 금

Page 19: 노동관계법  이해

대상 : 상시 10 인 이상 사업장

절차 : 근로자 과반수 이상 의견청취 ( 불이익 변경시 동의 ) 후 노동부 신고

법령 요지 등 게시 : 당해 취업규칙을 근로자에게 주지 의무 ( 게시 또는 비치 등 )

대상 : 상시 10 인 이상 사업장

절차 : 근로자 과반수 이상 의견청취 ( 불이익 변경시 동의 ) 후 노동부 신고

법령 요지 등 게시 : 당해 취업규칙을 근로자에게 주지 의무 ( 게시 또는 비치 등 )

취업규칙 신고 취업규칙 신고

설치대상 : 상시 30 인 이상 사업장

협의회 구성 : 노사를 대표하는 각 3~10 인 이내의 노사 동수로 구성 → 협의회규정 신고 (15

일이내 )

협의회 운영 : 분기 1 회 이상 정기적으로 회의 개최 ( 회의록 작성 . 보존 )

고충처리위원 선임 : 협의회 위원 중 3 인 이내로 구성

설치대상 : 상시 30 인 이상 사업장

협의회 구성 : 노사를 대표하는 각 3~10 인 이내의 노사 동수로 구성 → 협의회규정 신고 (15

일이내 )

협의회 운영 : 분기 1 회 이상 정기적으로 회의 개최 ( 회의록 작성 . 보존 )

고충처리위원 선임 : 협의회 위원 중 3 인 이내로 구성

노사협의회 정기 운영노사협의회 정기 운영

교육방법 : 전 직원에 대해 연 1 회 이상 대면교육을 실시하여야 함

교육내용 : 직장내 성희롱에 관한 법령 , 성희롱 발생시 처리절차 및 조치기준

피해근로자의 고충상담 및 구제절차 등

교육방법 : 전 직원에 대해 연 1 회 이상 대면교육을 실시하여야 함

교육내용 : 직장내 성희롱에 관한 법령 , 성희롱 발생시 처리절차 및 조치기준

피해근로자의 고충상담 및 구제절차 등

직장내 성희롱예방교육 직장내 성희롱예방교육

기타 준수사항

Page 20: 노동관계법  이해

감 사 합 니 다감 사 합 니 다

노사지원과 백순정(☎ 051-850-6374)노사지원과 백순정(☎ 051-850-6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