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의 지속가능발전 체계 구축방안

27
지지지 지지지지지지 지지 지지지지 지지지지지 지지지지지지지지지 ‘ 한한한한한한한한한한 한한한’ (2007. 7. 3, 배배배배배배배배 ) 2007. 7. 3

Upload: ervin

Post on 26-Jan-2016

67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DESCRIPTION

‘ 한국지속가능발전센터 세미나 ’ (2007. 7. 3, 배재학술지원센터 ). 지방의 지속가능발전 체계 구축방안. 2007. 7. 3. 대통령자문 지속가능발전위원회. Ⅰ. 현 황. Ⅳ. 향후계획. 목 차. Ⅱ. 지방지속가능발전 로드맵 추진. Ⅲ. 지속가능발전 기본법 제정. Ⅰ. 현 황. 1. 2. 3. 지방지속가능발전 추진 경과. 지방의 지속가능성 현황. 지방지속가능발전 제약 요인. 국내 추진현황. 1. 지방지속가능발전 추진 경과. ’95.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TRANSCRIPT

Page 1: 지방의 지속가능발전 체계 구축방안

지방의 지속가능발전 체계 구축방안 지방의 지속가능발전 체계 구축방안

대통령자문 지속가능발전위원회대통령자문 지속가능발전위원회

‘ 한국지속가능발전센터 세미나’ (2007. 7. 3, 배재학술지원센터 )

2007. 7. 32007. 7. 3

Page 2: 지방의 지속가능발전 체계 구축방안

현 황 현 황 ⅠⅠ

목 차목 차

지방지속가능발전 로드맵 추진 지방지속가능발전 로드맵 추진ⅡⅡ

지속가능발전 기본법 제정지속가능발전 기본법 제정ⅢⅢ

향후계획향후계획ⅣⅣ

Page 3: 지방의 지속가능발전 체계 구축방안

현 황현 황ⅠⅠ

지방지속가능발전 추진 경과 지방지속가능발전 추진 경과 11

22

33

지방의 지속가능성 현황 지방의 지속가능성 현황

지방지속가능발전 제약 요인 지방지속가능발전 제약 요인

Page 4: 지방의 지속가능발전 체계 구축방안

지방지속가능발전 추진 경과지방지속가능발전 추진 경과 지방지속가능발전 추진 경과지방지속가능발전 추진 경과

부산시를 시작으로 지방의제 21 수립 추진 ( 현재 92%)

국가차원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기구 ( 지속위 ) 설치ᆞ운영’00’00

지속가능발전 기본법 제정 예정 ( 국회 계류중 )

지방기본전략 및 이행계획 수립 , 평가체계 , 지방지속위 운영 등

국가지속가능발전전략 및 이행계획 수립

’ 지방의 지속가능발전 기반강화’ 포함

11

지방지속위 설치 근거 ( 대통령령 ) 규정 마련 : 현재 4 곳 설치ᆞ운영

지방지속가능발전로드맵 수립

지방지속가능발전 진단 컨설팅 등 4 대분야 7 대 중점과제 추진

국내 추진현황국내 추진현황

’04’04

’06.10’06.10

’07.5’07.5

’07.7’07.7

’95’95

Page 5: 지방의 지속가능발전 체계 구축방안

지방의 지속가능성 현황22

도시지역

경제

GRDP( 지역내총생산 ) 도시 집중 : 수도권비중 47.4%

(’05)

도시근로자 소득 증가 : 가구 월평균소득 전년대비 5.9%

증가 (’05)

사회

도시근로자 계층간 소득격차 상존 : 상 · 하위 20% 소득격차

5.41 배 (’05)

수도권의 인구가 48.3% 로 과밀 ( 면적은 11.8%)(’05)

환경녹지공간 부족 : 서울 · 광주 등 자연환경보전지역 전무 (’05)

환경문제 심각 : 수도권 대기오염으로 연간 최대 10 조원 손실

지방의 지속가능성지방의 지속가능성구 분 현 황 과 실 태

Page 6: 지방의 지속가능발전 체계 구축방안

지방의 지속가능성 현황22

농촌지역

경제

농가소득 / 도시소득의 격차 심화 : 99.5%(’94)→78.2%(’05)

농가당 부채 증가 : 2,721 만원 (’05), 10 년동안 3 배 증가

사회

농촌인구의 노령화 심화 : 노인비율이 18.6% 로 도시의 2.6 배 (’05)

의료여건 열악 : 전체 의료기관중 농촌소재율 12.4%(’05)

환경

녹지 , 대기 , 수질 등의 자연환경은 도시에 비해 상대적 양호

상수도 보급률 취약 : 면지역 35.2%( 서울 100%, ’05)

지방의 지속가능성지방의 지속가능성구 분 현 황 과 실 태

Page 7: 지방의 지속가능발전 체계 구축방안

3. 지방지속가능발전의 제약 요인 3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법 · 제도적 기반 미흡

민 · 관 협력 및 민간의 실질적 지방정책 참여 기회 미흡

지자체장 공약이행결과 : 지역개발관련 44.7%, 사회 · 환경분야는 낮음지자체장 공약이행결과 : 지역개발관련 44.7%, 사회 · 환경분야는 낮음

산단개발로 소득증가 → 오염 등으로 비용증가 → 소득증가 효과반감산단개발로 소득증가 → 오염 등으로 비용증가 → 소득증가 효과반감

지자체장의 교체에 따라 지속가능발전 정책단절 우려 지자체장의 교체에 따라 지속가능발전 정책단절 우려

경제ᆞ사회ᆞ환경정책의 불균형 상존

통합성이 결여된 단편적 정책으로 정책효과 반감

Page 8: 지방의 지속가능발전 체계 구축방안

11

22

지방지속가능발전 로드맵 추진지방지속가능발전 로드맵 추진

배경 및 경과배경 및 경과

비전과 목표비전과 목표

ⅡⅡ

33 추진전략추진전략

44 중점추진과제중점추진과제

Page 9: 지방의 지속가능발전 체계 구축방안

배경 및 경과11

’06. 5. 대통령 , 지자체 단위의 지속가능발전 의제개발 관심당부

지방에서 발생하는 난개발 예방을 위한 시스템 필요

지방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로드맵 필요

로드맵 추진 TF 구성 및 운영 : ’06.5~12

지방지속가능발전 로드맵 공론화 진행 : ’06.8~’07.2

대통령보고 및 재가 : ’07.5.10

추진 배경추진 배경

추진 경과추진 경과

지자체 , 지역단체 , 시민단체 , 전문가 , 지방의제추진기구 , 지속위 위원 등

Page 10: 지방의 지속가능발전 체계 구축방안

비전과 목표22

분권과 자율에 기반한 지방의 지속가능발전 실현

분권과 자율에 기반한 지방의 지속가능발전 실현

지방의 경제ᆞ사회ᆞ환경의 지속가능성 제고 지방의 경제ᆞ사회ᆞ환경의 지속가능성 제고

실천역량 강화 실천역량 강화

비전 확립 비전 확립 추진체계 구축 추진체계 구축

평가체계 운영 평가체계 운영

광역광역 기초기초

일반 지자체일반 지자체

광역광역 기초기초

선도 지자체선도 지자체

Page 11: 지방의 지속가능발전 체계 구축방안

추진전략33

3 대 핵심 추진전략

전략 전략 11전략 전략 11지방 지속가능발전 비전과 전략 수립 유도

지속가능발전으로 정책기조 전환 및 각 부문정책의 유기적 연계 강화

지방 지속가능발전 비전과 전략 수립 유도 지속가능발전으로 정책기조 전환 및 각 부문정책의

유기적 연계 강화

전략 전략 22전략 전략 22

전략 전략 33전략 전략 33

지방 지속가능발전 추진 법ᆞ제도적 토대 마련

지속가능발전기본법 제정으로 지자체의 지속가능발전 추진근거 마련

지방 지속가능발전 추진 법ᆞ제도적 토대 마련

지속가능발전기본법 제정으로 지자체의 지속가능발전 추진근거 마련

선도지자체 육성ᆞ지원을 통한 성과의 단계적 확산

지속가능성 진단과 컨설팅을 통한 역량 강화 및 한국형

모델개발 확산

선도지자체 육성ᆞ지원을 통한 성과의 단계적 확산

지속가능성 진단과 컨설팅을 통한 역량 강화 및 한국형

모델개발 확산

Page 12: 지방의 지속가능발전 체계 구축방안

추진전략33

1. 비전 확립1. 비전 확립

2. 추진 체계 구축

2. 추진 체계 구축

3. 실천 역량 강화

3. 실천 역량 강화

4. 평가 체계 운영

4. 평가 체계 운영

지방지속가능발전 비전선언 및 협약체결

지방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수립

지방지속가능발전 비전선언 및 협약체결

지방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수립 2211

지속가능발전 기본조례 제정 및 지속위 설치 · 운영 강화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지방행정 혁신

지속가능발전 기본조례 제정 및 지속위 설치 · 운영 강화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지방행정 혁신

33

44

지속가능발전 선도지자체 선정 및 육성

지방의 지속가능발전 교육 내실화

지속가능발전 선도지자체 선정 및 육성

지방의 지속가능발전 교육 내실화 55

66

지방지속가능발전 지표개발 및 평가체계 구축 지방지속가능발전 지표개발 및 평가체계 구축 77

4 대 분야 7 대 중점 과제4 대 분야 7 대 중점 과제

4 대 분 야 7 대 중 점 과 제

Page 13: 지방의 지속가능발전 체계 구축방안

중점 추진과제44

지속가능발전을 지역발전 정책목표의 최우선순위로 선언

순천시 , 담양군 등 8 개 지자체 SD 협약 (’06) 16 개 광역시도

(’07~’08) 추진

지방기본전략 수립지침 작성 및 지자체 배포 , 지원 (’07.12)

경제 , 사회 , 환경분야를 통합하는 비전과 목표 , 기본방향 , 지표

제시

지방지속가능발전 비전 선언 및 협약체결 지방지속가능발전 비전 선언 및 협약체결 11

지방의 지속가능발전기본전략 수립 지방의 지속가능발전기본전략 수립 22

Page 14: 지방의 지속가능발전 체계 구축방안

기본조례 준칙안 마련 (’07. 11), 지자체의 조례 제정을 지원

지방지속위 구성 , 운영 매뉴얼 마련 지원 (’07. 11)

총괄부서의 주요과제로 지속가능발전 업무 부여 ( 현재 청주시 1

곳 )

지방도시계획위 등 개발 관련 심의기구에 민간참여 확대 ( 진행중 )

중점 추진과제44

지속가능발전 기본조례 제정 및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설치 지속가능발전 기본조례 제정 및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설치 3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지방행정 혁신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지방행정 혁신44

Page 15: 지방의 지속가능발전 체계 구축방안

선도지자체 선정을 위한 연구완료 (’07.6), 추진방안 마련

(’07.9)

지속가능한 지역발전 모델 개발 및 확산 (’08~)

지속가능발전 인식진단 매뉴얼 연구완료 (’07.6), 매뉴얼 개발

(’07.10)

인식제고를 위한 지자체 공무원 대상 지속가능발전 교육 실시

중점 추진과제44

지속가능발전 선도 [ 시범 ] 지자체 선정 및 육성 지속가능발전 선도 [ 시범 ] 지자체 선정 및 육성 55

지속가능발전 교육 내실화지속가능발전 교육 내실화66

Page 16: 지방의 지속가능발전 체계 구축방안

지방지속가능발전지표 개발 지침연구 완료 (’07.6)

공통지표와 특성화지표 개발 지침 마련 (’07.10) 및 시범적용

지방자치단체 성과평가 항목에 ’지속가능성’지표 반영 추진

지속가능발전지표에 의한 평가결과 공개 및 환류

중점 추진과제44

지방지속가능발전 지표개발 및 평가체계 구축 지방지속가능발전 지표개발 및 평가체계 구축 77

Page 17: 지방의 지속가능발전 체계 구축방안

향후 추진계획향후 추진계획

중점 추진과제44

중앙부처 , 지자체 , 학계 , 시민사회 등으로 구성

로드맵의 추진 점검과 지자체에 대한 컨설팅 지원예정

중앙부처 , 지자체 , 학계 , 시민사회 등으로 구성

로드맵의 추진 점검과 지자체에 대한 컨설팅 지원예정

지방지속가능발전 추진단 (TF) 구성 및 운영 방안 마련 (’07.7)

선도지자체 선정 및 육성방안 마련 (’07.9), 관계부처 협의 예정

지속가능발전 기본법 및 하위법령 제정과 연계하여 추진 예정

Page 18: 지방의 지속가능발전 체계 구축방안

추진경과추진경과11

22 법안내용 법안내용

지속가능발전 기본법 제정 지속가능발전 기본법 제정

33 향후 추진과제향후 추진과제

ⅢⅢ

Page 19: 지방의 지속가능발전 체계 구축방안

추진경과11

TF 구성 및 시안마련 (4 개월 )TF 구성 및 시안마련 (4 개월 )’06. 7’06. 7

시민단체 , 중앙부처 , 지자체 등 공론화 (6 개월 )시민단체 , 중앙부처 , 지자체 등 공론화 (6 개월 )

관계부처 협의 및 입법예고관계부처 협의 및 입법예고

법제처 심사 , 차관회의 의결법제처 심사 , 차관회의 의결

’07. 4’07. 4

’06. 10’06. 10

’07. 5’07. 5

국무회의 의결국무회의 의결’07. 6’07. 6

국회 제출 , 환노위 의결 , 법사위 의결 ( 예정 )국회 제출 , 환노위 의결 , 법사위 의결 ( 예정 )’07. 6’07. 6

국회 본회의 상정 및 의결 ( 예정 )국회 본회의 상정 및 의결 ( 예정 )’07. 7’07. 7

Page 20: 지방의 지속가능발전 체계 구축방안

구 성 : 5 장 22 조

성 격 : 기 본 법

주요내용

지속가능발전 정의와 기본원칙 제시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및 이행계획 수립

정부 중장기 계획 및 법령 지속가능성 검토

국가 및 지방 지속가능발전지표 설정 평가

국가 및 지방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설치

정보망 구축 , 교육ᆞ홍보 및 민간활동 지원

총 괄총 괄

법안내용 22

Page 21: 지방의 지속가능발전 체계 구축방안

정 의 : 경제성장 + 사회적 안정과 통합 + 환경보전 → 균형발전

8 대 원칙 : 정책결정 시민참여 , 경제제도 정비 , 사회제도 정비

환경보전 , 기술혁신 , 행정혁신 , 공정한 국제무역 , 국민협력

국가 및 지방은 기본전략 (20 년 ) 과 이행계획 (5 년 ) 수립

기본전략은 정부수립 , 위원회 심의 , 국무회의 심의 및 대통령 승인

이행계획은 부처수립 , 위원회 심의 , 지자체장 승인

정의와 기본원칙 ( 안 제 2 조 및 제 3조 )정의와 기본원칙 ( 안 제 2 조 및 제 3조 )

전략 및 이행계획 ( 안 제 4 조 내지 제 8조 )전략 및 이행계획 ( 안 제 4 조 내지 제 8조 )

법안내용 22

Page 22: 지방의 지속가능발전 체계 구축방안

국가 및 지방 지속위의 행정계획 및 법령 검토 기능지속가능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계획 및 법령

국가 지속위 정책의견 제시 기능 중앙 행정기관 장 및 지자체장에게 필요시 정책의견 제시

관계기관의 장은 반영 노력

국가 및 지방 지속가능발전지표 작성 보급

국가 : 빈곤률 , 온실가스 배출 , 물소비량 , ODA 비율 등 77 개 지표지방 : 조례에 의거 지역실정에 적합한 지표 설정

국가 및 지방 지속가능성 평가 ( 매 2년 )

종합보고서 작성 국회 및 지방의회 제출

중장기계획 및 법령검토 ( 안 제 11 조 )중장기계획 및 법령검토 ( 안 제 11 조 )

국가지속가능성 평가 등 ( 안 제 13 조 및 제 14조 )국가지속가능성 평가 등 ( 안 제 13 조 및 제 14조 )

법안내용 22

Page 23: 지방의 지속가능발전 체계 구축방안

국가위원회 : 대통령 소속 심의 자문기구 관계부처 장관 , 광역지자체 지속위원장 , 민간위원 참여

지방위원회 : 지자체장 소속 심의 자문기구명칭과 구성 , 운영을 조례로 위임 , 자율성과 유연성 보장

지속가능발전 정보망 구축 등 정보 보급

지속가능발전 교육 , 홍보 , 실천 노력

기업 , 시민단체 지원

국제사회 약속과 규범 성실 이행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설치 ( 안 제 15 조 내지 제 18 조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설치 ( 안 제 15 조 내지 제 18 조 )

교육ᆞ홍보 등 ( 안 제 20 조 내지 제 22 조 )교육ᆞ홍보 등 ( 안 제 20 조 내지 제 22 조 )

법안내용 22

Page 24: 지방의 지속가능발전 체계 구축방안

지속가능발전기본법 하위법령 제정

국가기본전략 및 이행계획 수립

법령 및 행정계획 검토 체계 마련

국가 SD 보고서 작성 체계 마련

국가지표 및 평가체계 구축

국가지속가능발전정보망 구축

지속가능발전추진체계 해설집 배포

교육홍보

지속가능발전 기본조례 준칙 마련

지방기본전략 및 이행계획 수립

행정계획 검토 체계 마련

지방 SD 보고서 작성 체계 마련

지방 SD 지표 및 평가체계 구축

교육홍보

향후 추진과제33

국가체계 구축국가체계 구축 지방체계 구축지방체계 구축

Page 25: 지방의 지속가능발전 체계 구축방안

감사합니다감사합니다

Page 26: 지방의 지속가능발전 체계 구축방안

목 표목 표 과 제과 제 중 앙 정 부 역 할중 앙 정 부 역 할 지 방 자 치 단 체 역 할지 방 자 치 단 체 역 할

비전확립

비전확립

추진체계구축

추진체계구축

실천역량강화

실천역량강화

평가체계구축

평가체계구축

비전선언비전선언

전략수립전략수립

국가비전 선언 및 이행계획 수립지속가능발전협약 지원

국가비전 선언 및 이행계획 수립지속가능발전협약 지원

지방비전 선언 및 이행계획 수립 지속가능발전협약 체결

지방비전 선언 및 이행계획 수립 지속가능발전협약 체결

진단매뉴얼 개발 및 진단 · 컨설팅지방기본전략 수립지침 개발

진단매뉴얼 개발 및 진단 · 컨설팅지방기본전략 수립지침 개발

공론화와 사회적 합의 토대 구축지방기본전략 수립 및 이행운영

공론화와 사회적 합의 토대 구축지방기본전략 수립 및 이행운영

제도적기반마련

제도적기반마련

행정조직혁신

행정조직혁신

지속가능발전기본법 제정지방지속위 설치 법적 근거 마련

지속가능발전기본법 제정지방지속위 설치 법적 근거 마련

지속가능발전기본조례 제정지방지속위 설치 및 행정계획 검토

지속가능발전기본조례 제정지방지속위 설치 및 행정계획 검토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행정조직의 혁신부처내 지속가능발전 담당관 지정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행정조직의 혁신부처내 지속가능발전 담당관 지정

지속가능발전 추진 행정 강화심의기구 등에 시민참여 확대

지속가능발전 추진 행정 강화심의기구 등에 시민참여 확대

선도지자체 육성

선도지자체 육성

교육강화교육강화

선도지자체 선정 및 육성 · 지원체계 마련

선도지자체 선정 및 육성 · 지원체계 마련

국가공무원 대상 SD 교육교육 프로그램 지원방안 마련

국가공무원 대상 SD 교육교육 프로그램 지원방안 마련

선도지자체 모델 개발 및 확산선도지자체 모델 개발 및 확산

지방공무원 대상 SD 교육지역간 경험 및 자료 , 정보의 공유

지방공무원 대상 SD 교육지역간 경험 및 자료 , 정보의 공유

지표개발 및 평가

지표개발 및 평가

국가지표 개발 및 평가체계 구축 국가의 지속가능성 평가

국가지표 개발 및 평가체계 구축 국가의 지속가능성 평가

지자체 단위 지속가능발전지표 개발 및 평가

평가 과정의 시민참여 기반조성

지자체 단위 지속가능발전지표 개발 및 평가

평가 과정의 시민참여 기반조성

< 참고 >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역할< 참고 >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역할

Page 27: 지방의 지속가능발전 체계 구축방안

< 참고 > 지방지속가능발전의 국내외 선진 사례< 참고 > 지방지속가능발전의 국내외 선진 사례

구분 지역 비전 확립

추진시스템구축

실천역량 강화 평가체계 구축 주요 성과

농촌형

담양

“국제적 위상의 생태도시 담양” 비전 제시

SD 위원회 및 지방의제 21협의회 설치조례 제정

생태도시 모델 구축친환경주거 /경관 ,에코투어리즘 , 친환경산업 /농업 ,지속가능사회정책

SD 지표개발 /평가생태도시정책의 경제적 효과 평가

그린시티 지정OECD 평가 및 사례 소개

예산

“자연과 사람이 조화로운 친환경 녹색도시”

지방의제 21 지원조례 제정

예산읍 녹지 · 생태축 복원 태양광발전 시설 도입 친환경농업의 확대추진 지속가능한 복지 · 사회정책추진

행정조직진단 및 직무분석지속가능행정 평가시스템 구축

환경행정 ISO 인증

도시형

청주

“주민참여형 도시계획”이라는 시정방침제시

주민참여도시만들기지원센터 창립

시민단체가 기초연구 직접실시 지리정보시스템의 적극 활용 현안과제별 시민단체 의견반영

입안결과에 대한 주민평가회

그린시티 지정 OECD 에 소개

순천지속가능한 친환경도시 구축

지방의제 21협의회 조례 제정기획감사실

지방의제 21 추진체계 개편지속가능 평가 및 실천중심 의제21 기구개편

지속가능도시추진 지표개발 /평가지표평가위원회 구성

그린시티 지정지속가능도시국제센터 가입 및 사례 소개

농촌형

덴마크콜링

친환경 지역발전 실현

실천적 환경교육프로그램 마련

각 학교가 관내 하천의 일정 구역을 선정하여 연구 및 복원사업

농민 영농형태 개선 하천 추가복원

일본아야정

녹색관광의 중심지

자치공민관유기농산물

인정 기관

숲과 생태계 보존 , 유기농업 , 역사문화자원보존을 연계시킨 녹색관광과 친환경지역개발 정책 추진

일본 제일의 녹색관광명소

도시형

핀란드헬싱키

“도시행정의 환경영향 감소”

30 개 부서중 19개 부서 참여하는 연락망 조직

지속가능성을 기준으로 각 부서 사업을 통합적으로 추진1,000 여개 구체적 사업 제안

약 300 여개의 사업이 직접실행

브라질꾸리찌바

친환경 대중교통과 삶의 질을 추구하는 생태도시 실현

토지이용과 교통계획의 통합꾸리찌바도시공사의 설립 재정적 위험 최소화

버스도로망 통합 · 경궤도버스단거리통행자가 빈민과 장거리통행자를 보조하는 사회적 요금제장애인 편의 특수교통 통합체계100km 의 자전거도로망 완비

승하차시간단축 장애인편의증진 승객수송량증가 대기오염 감소 보행자안전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