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회찬의 매니페스토

36
- 1 - “복지혁명! 그래 노회찬이야” 주요 공약 목록(매니페스토형) (단위 : 억원)

Upload: sangchul-kim

Post on 23-Mar-2016

217 views

Category:

Documents


1 download

DESCRIPTION

노회찬의 10대 공약 매니페스토

TRANSCRIPT

Page 1: 노회찬의 매니페스토

- 1 -

진보신당 노회찬 서울시장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복지혁명! 그래 노회찬이야”

주요 공약 목록(매니페스토형)

(단위 : 억원)

구 분2010

예산

2009예산 증 감

당 초 최 종 당초대비 최종대비% %

계 154,500 149,790 169,957 4,710 3.1 △15,457 △9.1

시세 115,957 122,273 112,165 △6,316 △5.2 3,792 3.4

세외수입 14,509 14,323 21,194 186 1.3 △6,685 △31.5

지방교부세 1,200 2,373 10,670 △1,173 △49.4 △9,470 △88.8

국고보조금 13,034 10,821 15,275 2,213 20.5 △2,241 △14.7

지 방 채 9,800 - 10,653 9,800 100.0 △853 △8.0

<공약 실현을 위한 재정계획>

1. 서울시 재정의 현주소

① 전반적인 감세 기조에 따른 세입예산 축소 경향 강화와 이에 따른 자

치구간 재정격차의 심화 지속

서울시 2010 일반회계 세입예산

○ 올해 지방교부세법 개정으로 광역분 교부세 지급이 중단될 예정임. 또한 정부의

감세정책으로 교부세의 세원인 일반세의 세수자체가 급격하게 줄어들 전망임. 이에

따라 내년 서울시는 지방교부세가 9,470억원 축소될 전망이고 국고보조금 역시

Page 2: 노회찬의 매니페스토

- 2 -

감소비율 상위 자치구 감소감소비율 하위 자치구

서울시

부동산교부세 감소액

서울시

부동산교부세 감소액

감소추정액2008년도

예산규모예산비중 감소추정액

2008년도

예산규모예산비중

도봉구 102 2,090 4.9% 서초구 41 3,346 1.2%

금천구 99 2,065 4.8% 강남구 64 4,992 1.3%

은평구 112 2,709 4.1% 중구 41 2,709 1.5%

강북구 102 2,516 4.0% 송파구 51 3,268 1.6%

중랑구 107 2,713 3.9% 영등포구 48 2,952 1.6%

특별시세 40%종부세 개편 후

특별시세 40% 특별시세 45% 특별시세 50%

재산세계 격차 재산세계 격차 재산세계 격차 재산세계 격차

도봉구 395 5.8 293 7.6 304 6.8 336 5.8

강남구 2,278 1.0 2,214 1.0 2,080 1.0 1,945 1.0

게다가 서울시는 강남-서초-송파-중구 등 공동과세에 따른 세수손실을 보전해주기 위해 재산세보

14.7%가 감소할 예정임.

- 이에 따르면 지방교부세와 국고보조금 감소 총액은 1조 1,711억원으로 2010년

도 전체세입의 7.6%에 해당하는 금액임. 전국적으로 재정자립도가 가장 높은

서울시의 재정구조에도 불구하고, 구조적인 감세의 영향은 지속적이고 장기적

으로 서울시 재정에 악영향을 줄 것이라 예상됨.

종부세 개편에 따른 부동산교부세 변동 현황

◯ 서울시가 야심차게 추진했던 재산세 공동과세 역시 부동산교부세의 축소에 따른

영향에서 자유롭지 못함. 진보신당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부동산교부세의 축소영향

은 현행 배분비율의 10% 축소에 해당될 만큼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 아래

의 표에서 보듯이 2008년 기준으로 공동과세 비율이 6:4로 했을 때 도봉구와 강

남구의 격차는 5.8배 였는데, 종부세가 개편됨으로써 7.6배로 늘어남.

종부세 개편 후 특별시세 비율별 자치구 격차 현황(단위: 억 / 배)

Page 3: 노회찬의 매니페스토

- 3 -

계 일반회계 기타특별회계 공기업특별회계

2 0 0 7 년 13,651 3,155 8,775 1,721

2 0 0 8 년 15,544 142 15,197 29,315

2 0 0 9 년 30,963 10,768 20,018 177

연도별

조성액 집행액

잔액 누계

계 출연금 이자수입국고보조

금계

고유목적

사업비

2003년 146,593 80000 66592 146592 146592

2004년 5,749 5749 5749 152341

2005년 5,107 5107 339 338 4769 157110

전금이라는 별도의 보전금을 지급하고 있음. 2008년 기준으로 4개의 자치구에 보전해준 보전금은

1,128억원에 달하며 강남구는 6백억원의 재산세보전금을 받았음. 다시 말해, 서울시에서 주장하는

공동과세의 효과는 사실상 재산세 보전금이라는 방식으로 실제면에서 과장되었다고 볼 수 있음.

② 지방채 발행의 증가 와 부채 증가에도 세입관리와 세외수입 관리가

제대로 되고 있지 않다

각년도 서울시 지방채 발행현황(본청 기준, 단위: 억원)

◯ 각년도 <지방채무현황>에 따르면, 서울시 본청의 지방채 발행 현황만 보더라도

2007년부터 2009년 사이에 2배가 넘게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목적성

을 띤 특별회계의 지방채 발행보다 일반회계의 지방채 발행이 눈에 띄게 증가한 것

을 알 수 있음.

- 서울시는 2009년에만 해도 잇따른 추경예산을 위해 1조 653억원의 지방채 발

행을 하였고, 2010년에도 9,800억원의 지방채를 발행할 계획을 가지고 있음.

◯ 거기에다 2010년 예산을 편성하면서, 기존의 신청사건립기금과 노들섬오페라하

우스 기금을 폐지하여, 5천억원 규모의 기금을 일반회계에 편성시켰음.

연도별 신청사 기금조성 현황(단위:백만원)

Page 4: 노회찬의 매니페스토

- 4 -

2006년 6,413 6413 931 930 5484 162594

2007년 7,418 7418 2067 2067 5352 167945

2008년 8,733 8733 9943 9943 1210 166735

2009년 8,158 7554 604000 70307 70307 62150 104586

합계 188,171 80000 107566 604000 83585 83585 104586

연도별

조성액 집행액

잔액 누계

계 출연금 이자수입 계고유목적

사업비물건비

2006년 100094 100,000 94 2262819 2041 222 97831 97831

2007년 104393 100,000 4393 172690 162 11 104220 202051

2008년 84016 74,400 9616 60000 60 83956 286007

2009년 36740 22,000 14740 16975 16975 19765 305773

합계 325,243 296400 28843 19474 19238 233 305772

연도별 노들섬기금 운용현황(단위 : 백만원)

- 이와 같은 기금 해소의 문제점은, 1. 두 개의 사업이 지속사업이라는 점과 본

격적인 예산 지출이 2011년부터 예정되어 있다는 사실(신청사의 경우 올해 실

시계획이 완료되고, 노들섬오페라하우스의 경우에는 올해 재단출범을 예정하고

있음)에서 비롯되는 장래 예산부담의 가중 문제이고 2. 지난 기간 동안 두 기

금에서 조성되었던 1,300억원 규모의 이자수입이 부당하게 사라지게 되었

다는 점이 지적될 수 있음.

◯ 뿐만 아니라 징수결정액대비 수납액비율이 매우 낮은 것도 재정건정성에 나쁜

영향을 주고 있음. 2008년 회계연도의 결산현황을 보면, 미수납액 규모가 세입결산

액의 6.2%를 차지하고, 미수납액 규모도 1조원을 넘고 있음. 특히 미수납액 중 결

손처분을 통해 사실상 미징수한 지방세의 규모만도 3천억원에 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Page 5: 노회찬의 매니페스토

- 5 -

(단위 : 백만원)

구 분 예산현액(가)

징수결정액(나)

수 납 액(다)

미수납액 처리 비율(%)

계 결 손처 분

다음연도이 월 액 (다/가) (다/나)

합 계 14,815,041 15,946,545 14,792,752 1,153,793 299,756 854,037 99.8 92.8

지 방 세 10,797,539 12,363,636 11,295,077 1,068,559 295,637 772,922 104.6 91.4

세 외 수 입 2,206,873 2,199,889 2,144,655 85,234 4,119 81,115 97.2 97.5

지방교부세 779,877 385,166 385,166 - - - 49.4 100.0

보 조 금 1,030,752 997,854 997,854 - - - 96.8 100.0

2008회계연도 일반회계 세입결산 현황

◯ 이와 같은 세수의 미흡한 관리는 경제적 상황에 따라 일시적인 체납이 증가했던

구조적인 원인도 있겠지만, 실제 시세세입 미수납액 중 이월액 사유를 보면, 사실상

고질적 체납이나 소송계류 등의 사유가 전체의 75%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음.

(단위 : 백만원, %)구 분 합 계 징수유예 거소불명 무재산 고질체납

소송계류 및

재산압류중기타

2008772,922

(100.0)

8,816

(1.1)

26,879

(3.5)

125,100

(16.2)

188,686

(24.4)

391,502

(50.7)

31,939

(4.1)

2007702,297

(100.0)

145

(0.0)

33,197

(4.7)

103,250

(14.7)

185,510

(26.4)

366,350

(52.2)

13,845

(2.0)

2006710,455

(100.0)

1,446

(0.2)

26,170

(3.7)

59,157

(8.3)

241,261

(34.0)

360,445

(50.7)

21,976

(3.1)

2005632,799

(100.0)

4,114

(0.7)

35,448

(5.6)

96,760

(15.3)

237,546

(37.5)

242,574

(38.3)

16,357

(2.6)

2004705,821

(100.0)

67

(0.0)

32,223

(4.6)

69,561

(9.9)

259,118

(36.7)

333,801

(47.3)

11,051

(1.6)

최근 5년간 시세세입 미수납액중 다음연도 이월액 발생사유

◯ 뿐만 아니라 일반회계 세입의 15%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세외수입의 관리에 있

어서도 적극적인 수익 창출에 큰 의지를 보이고 있지 않음. 특히 앞서 두 개의 기

금 손실로 기금원금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얻을 수 있었던 장래의 이자수입이 사라

졌던 것을 지적한 바와 같이, 서울시는 자체 재산의 운용을 통해서 적극적인 세외

수입 확충 노력을 보이고 있지 않음.

Page 6: 노회찬의 매니페스토

- 6 -

프로젝트명 계 2006 2007 2008 2009 2010

경제문화도시마케팅 프로젝트 8,243 80 643 2,194 2,004 3,321

- 중앙정부의 경우 자산관리공사 1.7%, 중앙정부전체 0.6%의 재산수입을 거두고

있으나, 서울시는 0.06%에 불과함.

◯ 특히 재산수입을 증대시키는데 있어 재산매각 등의 방식으로 수입을 늘리는 것

은 장기적으로 봤을 때 오히려 재정의 건전성을 해칠 수 있음.

- 현재 서울시에서 추진하는 대규모 택지개발은 대부분은 시유지 혹은 나대지 개

발을 통해서 진행되나, 기본적인 사업방향이 조성 후 매각수익을 거두어들이는

설계로 되어 있음(대표적으로 장지 문정지구, 마곡지구 개발등).

◯ 또한 연간 20조에 이르는 시재산을 관리하는 시금고 운영에 있어서도 이자수익

이 너무나 낮게 징수되는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음.

년도별 평잔 및 이자수입 현황(단위: 백만원)

구분 2005 2006 2007 2008 2009

년평잔 1,797,468 1,970,889 2,951,754 3,189,163 713,885

이자수입 45,977 67,226 122,758 154,844 18,389

- 이에 따르면, 연도별 평잔대비 이율이 2005년 2.5%, 2006년 3.4%, 2007년

4.1%, 2008년 4.8%, 2009년 2.5% 등으로 계산되는데 이율의 수준을 보면,

한국은행 정기예금 금리보다 적게는 0.73%(2009년), 많게는 1.11%(2005년)

까지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이는 서울시가 사실상 시금고 운영을

통한 이자수입 확대 노력을 얼마나 도외시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라 할 것임.

③ 불리한 재정여건에서도 타당성이 떨어지거나 낭비적인 시책사업이 지

속되고 있다.

5대프로젝트 연차별 투자수요(단위: 억원)

Page 7: 노회찬의 매니페스토

- 7 -

도시 균형발전 프로젝트 10,130 2 3,920 2,974 1,740 1,493

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 7,734 40 764 1,874 2,311 2,745

시민행복 업그레이드 프로젝트 25,500 1,211 5,238 5,684 6,428 6,940

맑고 푸른 서울 프로젝트 28,351 2,710 3,787 8,548 8,533 4,773

합계 79,958 4,043 14,352 21,274 21,016 19,272

* 위의 수치는 원래 백만원 단위로 정리된 자료를 억원 단위로 전환과정에서 사사오입을 하

였기에 합계에 약간 오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 현 서울시장의 5대 시책사업에 들어가는 1단계 사업비의 규모만 8조원에 달함.

이는 2010년 예산을 기준으로 경직성 경비 등을 제외하고 서울시가 순수 사업비로

가용할 수 있을 일년 치 예산에 해당하는 막대한 규모임.

[한강르네상스 사업]

- 그런데 이런 시책사업의 집행률이 저조함에도 반복적인 이월, 재편성이 나타나

고 있음. 한강르네상스 사업의 핵심 사업인 한강운하사업은 2009년 추경시 편

성한 152억원의 예산 집행률도 10%로 나타났음에도 별도 107억원을 2010년

예산에 반영하였음.

- 또한 ‘사업타당성 연구보고서’에 포함되지 않았던 지천뱃길 조성사업도 총

2,440억원의 예산이 투입되고 있는 실정임.

- 더군다나 한강르네상스 홍보비용으로만 내년 7억3천4백만원을 편성하여 올해

보다 2억원 넘게 증액을 한 것은, 실제 사업의 추진보다는 홍보효과를 극대화

하겠다는 의도로 보이는 부분임.

[디자인 서울 사업]

- 디자인기업펀드나 해외마케팅 지원예산은 전체 삭감되면서도 디자인마케팅센

터 운영비는 증액되고 서울디자인재단이 있는데도 별도의 디자인연구소 운영

비로 149억 4,700만원을 편성하는 것은 그야말로 옥상옥 예산편성에 내용없는

구조물에 불과하다고 할 것임.

Page 8: 노회찬의 매니페스토

- 8 -

설치형태 장소 예산내역

LED 입체글씨 방식 해치- 강변북로

- 올림픽대로

2억 5천

2억 5천

부표 위 해치캐릭터 - 여의도한강공원 노들나루 부근 3억원

크리스탈 해치 - 남산 N 서울타워 9억원

화강석 해치- 남산 3호 터널입구

- 한극은행 앞

1억 5천

1억 5천

광장명 2009년 예산 2010년 예산

서울광장 1억 5천만원(2008년) 4억 1천만원

청계천

프로젝트 19억 6천만원 19억 2천만원

시설유지관

리8억 5천만원 8억 4천만원

광화문광장 20억원 34억원

계 49억 6천만원 65억 7천만원

- 또한 전문가들로부터 역사적 근거에 대해 낮은 평가를 받고 있는 상징물 사업

의 경우에도, 비계획적이거나 타당성이 떨어지는 사업 편성을 하고 있으며 대

표적인 것이 2010년 예산에 반영된 해치 조형물 설치 사업임.

해치조형물 건립사업 및 예산내역

* 서울시 2010예산안 사업별설명서 8권, 13쪽.

[광장 및 광장조형물 관리]

- 현재 서울광장, 청계천광장, 광화문광장은 서울시를 대표하는 광장이나, 지나치

게 많은 조형물, 시설물로 인해 막대한 유지관리비가 소요되고 있음. 3개 광장

유지관리비의 총액을 비교해 보았을 때 2010년 예산에서는 최소 10억원 이상

의 유지관리비가 추가로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남.

서울시 3개 광장 관리비용 추이

* 09년, 10년 서울시예산안의 각 사업예산을 확인하여 표로 재구성. 단 서울광장의 경우 2010년부터

민간위탁이 시행되는 관계로 2009년 관리비 총액은 내년 결산이 되어서야 확인이 가능함.

Page 9: 노회찬의 매니페스토

- 9 -

2010년도:

한강르네상스, 남산르네상스, 신규재단설립 중단, 세운초록띠 사업 등

불필요한 시책사업 백지화 - 5,000억원 전용

건설비용(연간 5조 추산) 50% 절감 - 2조 5,000억원 절감

2011년 ~ : 건설비용 절감 지속 - 2조 5,000억원 절감

- 이런 추세는 광장에 조형물이 너무 많기 때문에 대규모 행사를 할때마다 발생

하는 부대비용이 매우 크다는 것을 보여줌. 작년 스노보드 대회를 위해 2억원

규모의 플라워카펫을 없애버린 광화문 광장의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음.

- 문제는 연간 60억원이 넘는 돈을 광장을 광장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만 사용되

는 예산이라는 것임.

◯ 서울시장의 시책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민선시장으로서의 자기완결성을 위해 매

우 중요한 일임. 하지만, 모든 시책사업이 용인되어야 하는 것은 아님. 무엇보다 시

책사업의 목적성에 맞게 선택과 집중이 적용되어 효율적으로 예산운영이 되어야지,

현재와 같이 저인망식-백화점 나열식 사업건수로 압도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효과

적인 예산집행 방식이 아님.

2. 재정운영 개편 방안 Ⅰ: 4조원의 신규재원마련 방안

① 건설예산의 축소 및 타당성 결여사업 전면 중단: 일차년도 3조 + 이후

연간 2조 5,000억원 절감

◯ 2010년 예산 기준으로 건설 및 보수비가 실제 집행예산 11조 9,407억원의 27%

인 3조 3,407억원에 달하며, 다른 사업의 내용 중에서도 상당수 건설비가 포함되어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건설비의 축소는 정당성이 있음. 특히 수의계약이나 다단계

도급계약의 건설구조 개선과 함께 필요불급한 사업을 제외한 사업에 대한 중장기적

보수계획에 따라 운용하면 현행 예산의 50%까지 절감할 수 있음.

Page 10: 노회찬의 매니페스토

- 10 -

사업부서 세부사업 예산액 비고

경영기획실 의정회 지원 2.3억원 법적지원근거없음

경쟁력강화본부

한류스타 서울 국제가요제 개최 5억원

타당성조사 등

미실시

B-BOY 챔피언쉽지원 2억원

문화국

국행수륙대재 재현 및 전시회 5.2억원

서울종교문화행사 0.5억원

염리 주차장내 체육시설 증축 23억원

푸른도시국 서서울호수공원 접근로 설치 11억원

도시교통본부

개인택시 영상기록장치 설치 17.9억원

구로동길 도로확장 10.5억원

도림로 확장 20억원

보국문길입구 교통광장 조성 25억원

디자인총괄본부 야간조명 경관사업 총 5개사업 38.9억원 신규사업

◯ 또한 예산편성과정에서의 타당성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은 사업은 중단하고 이를

다른 사업을 위해 전용하거나 불용처리하여 다음연도에 활용하는 것이 타당함.

- 일례로 2010년 예산심의 당시 타당성검토나 예산편성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은 사

업이 수십개로 이 중 기존사업의 단순 증액이 아닌 신규 사업임에도 타당성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은 예산 규모는 350억원 규모에 이름.

2010년 사업 중 문제성 사업 예시

Page 11: 노회찬의 매니페스토

- 11 -

푸른도시국

가로수 개선 및 녹지확충사업

총 7개사업33억원 기존사업 증액

등산로 정비 총5개 사업 54.4억원 기존사업 증액

근린공원조성 조성 총5개사업 32.8억원 신규사업

동네뒷산 공원화 사업 총 3개

사업65.5억원 기존사업 증액

매년: 700억원(불용액) + 100억원(아리수 제조 중단)

5년간: 매년 1,000억원(고도정수처리장 백지화에 따라)

- 여기에 난지공원에 대규모 엘리베이터를 설치한달지, 신재생에너지 랜드마크를

조성한다는 전시성 사업을 백지화하고, 마곡지구 워터프론트사업비 9,270억원

중 요트시설 설치 등에 소요되는 상당수를 불용할 수 있음.

- 또한 149억 4,700만원의 운영비가 편성된 서울디자인연구소는 서울디자인재단

이 운영하는데, 이 재단의 사업비로 63억 9,400만원이 편성되는 등 옥상옥의

조직체계도 확실히 개편할 필요가 있음(특히 현 시장의 임기기간동안 만들어지

는 각종 재단 및 출자회사에 대한 지속 지원에 대한 판단을 해야 됨.

② 수도사업특별회계의 불용예산분을 타 회계로 전출하여 활용: 연간 700억

원 + 고도정수처리장 설치 사업 백지화 5천억원 절감

◯ 2008회계연도 세출예산중 불용액은 1조 2,239억 1,800만원으로 예산현액대비 5.

6%로 전년대비 3,144억 6,400만원 증가한 것이나 최근 5년간 평균불용률(5.5%)과

비교하면 0.1%가량 높은 수준임.

- 예산절감으로 발생된 불용액(1,043억 4,100만원)의 66.5%(693억 7,900만원)가

상수도사업본부의 수도사업특별회계에서 발생하였고, 지난 ’07회계연도에도 예

산절감으로 발생된 불용액의 65.9%(510억 2,600만원), ’06회계연도에는

75.7%(252억 3,700만원)가 수도사업특별회계에서 발생한 바 있음.

Page 12: 노회찬의 매니페스토

- 12 -

사업명2010예산(A) 2009계산(B) 증감(A-B)

금액 구성(%) 금액 구성(%) 금액 비율(%)

인건비 3,514,123 55.6 3,433,533 54.4 80,590 2.3

기관운영비 37,276 0.6 38,592 0.6 △1,325 △3.6

학교운영비 452,435 7.2 453,443 7.2 △1,008 △0.2

사학재정지원 888,902 14.1 875,650 13.9 13,252 1.5

교육사업비 656,515 10.4 582,764 9.2 73,751 12.6

시설사업비 651,910 10.3 737,488 11.7 △85,578 △11.6

지방채 및 BTL상환 104,630 1.6 185,097 2.9 △80,467 △76.9

예비비및기타 10,035 0.2 9,250 0.1 785 8.5

합계 6,315,817 100.0 6,315,817 100.0 0 0

연간 4,000억원의 예산 축소

- 상수도사업본부의 업무가 상수도 관련 시설의 정비 보강 등과 관련되고, 연간

사업의 대부분도 기 진행된 사업과 유사하다는 점에서 매 회계연도마다 수 백

억원의 불용액을 “예산절감”의 유형으로 발생시킬 필요가 있는지 재고할 필요

가 있음

- 이와 별도로 서울시는 병입 수돗물의 판매를 위해 현재 한 곳의 정수처리장에

서 페트병을 제작하고 있으며, 향후 모든 정수처리장에서 병입 수돗물 판매를

위해 고도정수처리 설비를 설치하고자 4,972억원의 예산을 투입하고자 함.

③ 교육지원예산 중 사학재단 지원금과 시설사업비를 축소: 자율형/자립형

사학재단에 대한 지원 축소 및 사학재단에 대한 단계적 지원 축소 연간

1,000억원 + 시설사업비의 50% 절감을 통해 연간 3,000억원 = 4,000억원

2010년도 교육비 지원예산 세출별 항목(단위: 백만원)

◯ 자율적 학교운영을 표방하며 등장한 자율형 사립고나 자립형 사립고에 지속적으

로 재정지원을 하는 것은 기타 학교에 대한 역차별의 소지가 높음. 또한 대부분 조

Page 13: 노회찬의 매니페스토

- 13 -

경사업이나 공사비로 사용되는 시설사업비를 절감하는 대신 학생들과 부모의 실질

적인 교육비 부담을 줄이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타당함.

- 특히 2010년 밝혀진 서울시교육청의 비리를 보면, 대부분 시설사업비를 통한

뇌물 수수가 대부분이었던 바, 서울시교육청과 함께 표준시설사업비를 다시금

책정하고 발주방식을 독립적으로 관리하는 방식으로 50% 정도의 예산을 절감

할 수 있음(현재와 같이 일선 학교의 교장이 계약당사자가 되는 방식은 전면

금지).

④ 세외수입의 적극적인 관리: 시금고 평잔관리로 연간 1,200억원에서 1,500

억원의 이자수입 + 순세계잉여금의 50%를 사업비로 편성하여 연간 5,000억

원 + 공유재산 관리 철저로 연간 3,500억원 = 1조

◯ 불필요한 재정조기집행을 자제하고, 오히려 시금고의 평잔을 2~3조 수준으로 유

지하면 연간 1,200억원에서 1,500억원의 이자수입이 발생함. 이는 현 서울시의 무리

한 재정운용으로 2009년 이자수입이 180억원에 불과했던 것과 비교하면 9배에서 10

배까지의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것임.

◯ 또한 매년 반복적으로 남는 연간 3조∼1조 5천억원의 순세계잉여금을 적극적으

로 활용할 필요가 있음. 이중 5천억원을 할용, 나머지 1조원을 부채감소를 위해 사

용하는 것이 가능함. 이를 통해 채무의 원금을 갚음으로서 불필요하게 나가는 금융

이자를 점차적으로 줄여나갈 수 있음.

◯ 2008년 공유재산 102조에서 재산임대수입 634억원으로 수익률이 0.06%의 수익

률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남. 이는 자산관리공사 등의 위탁수익률 1.7%이고, 국유재

산 운용에 따른 수익이 2008년 결산기준으로 1조 8,125억원으로 0.6%를 보인 것과

비교하면 재산관리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것을 보여줌.

- 따라서 국유재산 관리수준인 0.6%의 실적만 올려도 현재의 10배인 6천억원의

수익이 확보 가능하다는 것이 됨. 단 행정용 재산이 80% 정도인 점을 감안하여, 초

기년도 0.3% 수준에서 장기적 목표치로 0.6%를 상정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임(특

히 시유지 중 정부나 공공기관에 대여한 토지 및 건물에 대해서는 적정한 임대료를

받아야 할 필요가 있음).

Page 14: 노회찬의 매니페스토

- 14 -

구분 결산액 비율

계 19,134 100

지방

세법

소계 14,712 76.8

비과세 3,662 19.1

감면 11,050 57.7

감면조례 2,908 15.3

조세특례제한법 1,513 7.9

○「지방세지출예산제도」: 지방세지출 내역을 예산(재정지출)처럼 의회에 제출하여 관리․통제

하는 제도

○「지방세지출」: 비과세․감면 등 세제상 특례에 의한 지방세입의 감소로서 재정지출(직접지

출)에 대응하여 세입 포기에 따른 간접지출을 의미

분 야 ‘07결산 구성비 ‘08결산 구성비 비교증감 증감율

총 계 14,149 100% 19,134 100% 4,985 35.2%

3. 중기적 재정운영 개편 방안 Ⅱ: 지방세 제도의 개편, 탄력세

의 적극 활용을 통한 조세형평성 제고

◯ 현행 지방세법에 따른 재산세 상한제도의 운영에 따라 미징수된 재산세수만 연

간 500억원에 달함. 이뿐만이 아니라 지방세법에 의해 이런 저런 이유로 감면되는

총액이 2008년만 하더라도 1조 4712억원에 달하고, 서울시시세감면조례에 따라 서

울시가 줄여준 감면액도 3천억원에 육박함.

서울시지방세지출현황(단위:억원, %)

- 이에 따르면, 연간 2조원에 가까운 세금이 감면제도에 의해 미징수되는 것임.

물론 현행 지방세 및 시세 감면제도가 저소득층 등에 대한 간접적인 지원의

효과가 있는 만큼 일률적인 정비는 힘들지만, 현재의 지방세지출 현황을 보면

원래의 취지와는 동떨어져 오히려 개발사업에 대한 지원 항목이 매우 비대해

져 있음을 알 수 있음.

지방세지출의 기능별 현황(단위:억원, %)

Page 15: 노회찬의 매니페스토

- 15 -

010일반공공행정 1,150 8.12 1,934 10.10 784 68.1

020공공질서및안전 119 0.84 5 0.02 -114 -95.8

050교육 547 3.87 657 3.43 110 20.1

060문화및 관광 426 3.01 424 2.21 -2 -0.47

070환경보호 - - 12 0.06 12 -

080사회복지 8,327 58.85 11,374 59.44 3,047 36.6

090보건 - - 38 0.19 38 -

100농림해양수산 3 0.02 18 0.09 15 500

110산업․중소기업 1,630 11.52 2,080 10.87 450 27.6

120수송및교통 1,009 7.13 1,011 5.28 2 0.2

140국토및 지역개발 112 0.79 432 2.25 320 285

150과학기술 - - - 0 - -

900기타 823 5.81 1,146 6.0 323 39.6

개인간 거래의 경우 당시 2.5%(취득세 1.5%, 등록세 1%)인 거래세를 2%(취-등록세 각각 1%)로

0.5%포인트 인하하고, 개인과 법인간 주택거래의 경우 현행 4%(취-등록세 각각 2%)를 절반인 2%

(취-등록세 각각 1%)로 인하하였음.

연도별 시세 시세지출 시세 세목별 지출액

◯ 위의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사회복지분야를 제외하고 국토 및 지역개발 항목의

지방세지출이 눈에 띄게 증가한 것을 볼 수 있고 단순 수치만으로도 2007년에 비해

2008년에 320억원의 추가 감면을 받았음을 알 수 있음.

◯ 이의 대표적인 경우가 바로 시세인 취등록세 감면 조치로, 이는 2006년 참여정

부가 종합부동산세를 도입하면서 반대급부로 취등록세를 줄여주었던 것에서 비롯

함. 참여정부는 취등록세 감면을 골자로 하는 지방세법과 이로 인해 감면되는 재정

을 종합부동산세로 보전해준다는 세제개편안을 마련함.

- 하지만, 종합부동산세가 사실상 무용화된 현 시점까지 당시에 적용되었던 취등

록세 감면조항이 유지되고 있음. 2009년 11월 현재 서울시의 지방세지출현황을

보면, 취등록세 감면 폭이 2007년에 1조 정도에서 2008년에는 5천억원이 증가

한 1조 5천억원 규모로 늘어남. 이는 현행 취등록세 감면 면제 조항이 실제로

서울시 세정에 얼마나 큰 영향을 주는 지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

2008년 시세 세목별 지출현황(단위:억원, %)

Page 16: 노회찬의 매니페스토

- 16 -

징수액

(A)

비율

(B/A+B)합계(B) 취득세 등록세

자동

차세

주민

도시

계획세

공동

시설세

2007 100,055 12.38 14,149 4,797 5,242 1,237 9 2,378 485

2008 103,102 15.65 19,134 8,396 7,128 1,040 8 2,452 110

증감 3,047 4,985 3,598 1,886 -197 -1 74 -375

사업자1. 주택재개발 혹은 주거환경개선사업시 취득하는 부동산 제21조 1항, 4항

2. 관리처분에 따라 취득하는 주택 제21조 2항

소유자

1. 주택재개발 혹은 주거환경개선사업에 있어 정비구역지

정고시일전 취득한 85제곱미터 이하 주택제21조 3항, 6항

2. 정비구역지정고시일전 주거환경개선사업을 위해 취득한

주택제21조 5항

○ 문제는 이런 구세뿐만 아니라 시세까지 재개발 사업에 대한 면세혜택이 주어진

다는 점임. 현행 서울시세감면조례에 따르면, 아래의 대상자는 취등록세를 전면 면

제받음.

시세감면조례 해당 내용

○ 이에 따라 지난 2005년부터 2008년까지 감면된 취득세가 226억원, 등록세가 145

억원 등 총 372억원에 달하는 시세가 감면된 것으로 나타남.r

주택재개발사업 감면 현황(백만원)

구분주택

소계 취득세 등록세

합계 37,252 22,698 14,554

○ 문제는 이와 같은 시세감면 기준인 정비구역지정일과 실제 사업이 가시화되는

사업시행인가일 사이에는 통상적으로 2년 정도의 시간이 걸리며 이때 원주민으로

구성되었던 조합원 중 적게는 30%, 많게는 60% 정도의 조합원들이 교체됨. 다시

말해 이는 투기적 수요자에게 감면을 하고 있는 것임.

○ 서울시 전체적으로 연도별 세 부담 상한제 수혜 인원, 개별 물건 수 및 이에 따

른 미징수액 내역을 보면, 지난 4년간 주택분 재산세가 1조1532억원, 토지분 재산세

가 323억원, 주택분 재산세가 8억원이 미징수된 것으로 나타남.

Page 17: 노회찬의 매니페스토

- 17 -

구 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수혜

인원

주택 718,927 1,280,698 2,208,137 2,213,576 1,358,642

토지 63,994 98,667 35,235 26,275 24,876

건축물 1,524 4,192 3,283 3,457 1,911

수혜

물건 수

주택 734,200 1,342,484 2,416,235 2,411,845 1,487,429

토지 97,195 138,650 56,181 44,634 35,382

건축물 3,974 6,972 4,570 4,928 2,521

미징수액

주택 81,689 75,474 453,619 487,535 54,943

토지 3,385 6,463 5,789 5,207 4,859

건축물 167 420 89 97 77

연도별 수혜인원 비율

2005 784,445 7.8%

2006 1,383,557 13.8%

2007 2,246,655 22.4%

2008 2,243,308 22.4%

2009 1,385,424 13.8%

연도별 세 부담 상한제 수혜 인원, 개별 물건 수 및 미징수액 현황(단위 : 명, 건,

백만원)

○ 이는 일부 납세자들의 세부담을 경감시킨다는 명목으로 연간 3천억원에 달하는

재산세가 감면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25개 자치구로 분배한다면 연간 120억

원정도가 지속적으로 유실되었음을 뜻하는 규모임.

◯ 서울통계에 따르면, 서울시민 중 납세의 의무를 지고 있는 수는 천만명(2008년

서울통계에 따르면, 납세자는 1천2십만명)을 약간 상회하는 수준임. 이를 기준으로

전체 납세자 대비 재산세 상한제 수혜인원을 살펴보면, 최소 8%정도에서 최대 22%

정도가 수혜 대상임을 알 수 있으며 년 평균적으로 전체 납세인구 중에서 15.8%가

재산세 상한제에 따른 혜택을 보고 있음을 알 수 있음.

연도별 수혜자 및 전체 답세인구수 대비 비율

○ 또한 재산제 상한제 수혜액을 기준으로 상위 5개 자치구와 하위 5개 자치구를

Page 18: 노회찬의 매니페스토

- 18 -

자치구 수혜액 수혜인원 1인당 수혜액

상위

1 강남구 222,368,578 472,424 471

2 송파구 120,243,746 500,101 240

3 서초구 101,071,416 343,594 294

4 양천구 68,664,910 401,010 171

5 영등포구 53,160,189 343,705 155

하위

1 금천구 7,761,334 156,397 50

2 종로구 8,501,441 110,069 77

3 중구 12,482,054 255,524 49

4 강북구 12,687,944 95,696 133

5 은평구 15,542,694 340,682 46

구분하여 살펴보면, 상위 자치구에는 강남, 서초, 송파 등 부동산 가격이 높은 자치

구가 하위 자치구에는 금천, 종로, 중구와 같이 별다른 개발지역이 없는 자치구가

포함된 것을 알 수 있음.

재산세 상한제 수혜 상위/하위 자치구(명/천원)

○ 특히 1인당 수혜액의 측면에서 보아도 강남구의 경우에는 1인당 47만원에 달하

지만 금천구나 은평구는 이의 10분의 1 수준인 5만원 수준으로 나타남. 토지분, 주

택분, 건축물분 재산세의 담세자가 대부분 겹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1인당 수혜

액은 위의 표에서 제시된 것보다 훨씬 더욱 클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음.

◯ 따라서 중장기적으로 서울시의 재정안정을 위해서는 불필요한 세금 감면제도를

없애는 것이 바람직함. 특히 앞서 살펴본 바대로 재산세 상한제 등의 세금 감면제

도의 효과가 극히 일부분에만 나타나고 있고 특히 부유층에게만 집중되는 경향이

있어 조세의 형평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

◯ 특히 주택의 나대지화를 부추기는 각종 재개발에 따른 세금감면혜택은 현재와

같이 개발이익의 환수가 불철저한 상황에서는 이중의 특혜 구조로 볼 수 밖에 없

음.

Page 19: 노회찬의 매니페스토

- 19 -

[지방세 제도 개편에 따른 세수 전망]

1. 재산세 상한제 폐지 : 연간 3천억원의 추가 세수입 증대

2. 다가구 소유자에 대한 재산세 탄력세율 적용: 연간 5천억원의 추가 세

수입 증대

(2005년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서울시 주택소유자의 37%가 다주택소유자이고 2008년

기준으로 서울시내 주택의 평균가가 2억 3천만원임을 감안하여, 과세표준 간 차등적으로

탄력세율을 적용하는 경우를 상정)

3. 재개발 사업에 대한 세감면 조치 폐지: 연간 100억원 + 연간 200억원

(최근 주택멸실 후 발생하는 나대지를 나대지로 재산세를 매기는 것이 아니라 기존 상한

제에 대한 혜택을 받았던 주택기준으로 징수하도록 하도록 법령이 개정됨)

연간 8천 300억원의 추가 세수입 확보

Page 20: 노회찬의 매니페스토

- 20 -

세부

공약“핀란드형 혁신학교로 창의적인 인재를!”

추진

방법

① 교육 및 소득 낙후 지역의 학교에 더 많은 행정적, 재정적 지원

② 학급 당 학생 수 감축, 교육여건 개선

③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운영, 맞춤형 개별학습, 교원의 전문성 향상

④ 학교 당 연 2억 원씩 지원금 보조

소요

예산

* 교육예산 중 시설개선비 및 사학지원예산 절감 4,000억원 중

연간 2,000억 원 (서울교육청과 매칭펀드 5:5 )

세부

공약‘행복한 돌봄 교실‘로 홀로 남겨진 아이에게 따뜻한 보살핌을!

추진

방법

① 맞벌이 또는 저소득층을 위한 초등학교 저학년 200개의 ‘돌봄

교실’ 확충

② 오후 1시부터 밤 9시까지 운영, 간식 및 석식 무상 제공

③ 특기적성교육, 부족한 공부 지도, 독서, 각종 문화체험 프로그

램 운영

소요

예산

* 교육예산 중 시설개선비 및 사학지원예산 절감 4,000억원 중

연간 160억원 (서울교육청과 매칭펀드 5:5 )

공약 1. 핀란드형 혁신학교/혁신대학으로 서울에서 교육걱

정을 없애겠습니다.

1-1. 핀란드형 혁신학교로 만들고 창의적 학력을 키우겠습니다.

Page 21: 노회찬의 매니페스토

- 21 -

세부

공약‘아이들의 책가방’을 가볍게! 준비물 걱정 없는 학교

추진

방법

① 초등학교 1인당 5만원까지 학습준비물 구입 비용 지원

② 교과서 및 개인 소모품 외 모든 학습준비물을 학교에 비치

소요

예산

* 교육예산 중 시설개선비 및 사학지원예산 절감 4,000억원 중

연간 37억 원 (서울교육청, 구청과 분담)

세부

공약저소득층 등록금대출 이자 지원 및 서울시립대를 혁신 대학으로

추진

방법

① ‘교육혁신 장학재단’을 설치하여 저소득층 대학등록금 무이자 대

출 제도를 시행

- 대상 : 기초생활수급권자, 차상위계층 대학생 3만여 명

- 방법 : 대학등록금 절반까지 무이자 대출, 취업 후 분할 상환

② 서울시립대를 세계적인 수준의 공교육 혁신대학으로 .

- 등록금 학기당 50만 원으로 인하

- 수능 성적을 자격고사화하고 이를 대체할 학생 선발 방식 도입

- 대학의 교육 및 연구 기능 향상을 위한 대대적인 투자

소요

예산

* 교육예산 중 시설개선비 및 사학지원예산 절감 4,000억원 중

① 저소득층 대학등록금 무이자 대출 : 연간 900억원

② 서울시립대 등록금 경감, 교육혁신 투자 등 : 연간 570억 원

1-2. 공교육 혁신대학과 대학등록금 경감으로 대학정상화 교육복지 확보

Page 22: 노회찬의 매니페스토

- 22 -

세부

공약안정적이고 꼭 필요한 일자리 50만개를 만들겠습니다

추진

방법

①안정적복지일자리 17만창출

- 국공립어린이집 확충, 보건(지)소, 보호자걱정없는병원, 작은 도서관 등

②녹색일자리 8만 일자리창출

- 주택∙건물 에너지 효율화 사업, 저소득층 주거 난방 개선 사업, 폐유수

거 등

③노동시간줄이기, 일자리 나누기 사업을 통해 25만 일자리창출

- 서울시 및 산하 공공기관 노동시간 상한제(연간 2,000시간) 실시

- 노동시간상한제, 일자리 나누기 참여기업에 대한 추가 고용지원금 또는

휴가지 지원

④전자도서관프로젝트등 IT산업, 재생에너지 산업 등 신성장 산업활성화

소요

예산

① 일자리 창출 : 복지, 녹색정책 및 시 정책 추진 결과임

* 세외수입 적극적 관리를 통한 1조원 중,

② 노동시간 단축 지원 소요 재원 : 4,500억 원 (1인당 60만원, 3개월)

세부

공약

비정규직 남용을 규제하고 공공분야에서부터 정규직 전환 정책

을 실시하겠습니다

추진 ① 공공부문 비정규직 사용 사유 제한 및 단체협약으로 비정규직

공약 2.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및 착한기업우

대제를 통해 일하기 좋은 서울을 만들겠습니다.

2-1. 복지, 녹색 일자리 창출 및 노동시간 단축으로 50만 일자리를

창출하겠습니다.

2-2. 고용안정기업우대제를 통해 노동친화적 계약관행을

정착시키겠습니다

Page 23: 노회찬의 매니페스토

- 23 -

방법

남용 및 차별 시정

② 고용안정기업우대제를 실시하여 서울시 및 산하 공기업 위탁

사업 입찰 심사 기준에 고용안정 지수 포함시켜 민간 기업의

고용안정을 유도

소요

예산

* 세외수입 적극적 관리를 통한 1조원 중,

공공부문 비정규직 5만 명 정규직 전환 : 2,550억 (4년 간 매해 637억)

세부

공약한강 수중보 철거로 한강 백사장과 습지를 복원하겠습니다

추진

방법

① 한강운하 조성, 지천 주운(마리나) 계획, 노들섬 오페라하우스 

추진 계획 백지화

② 한강르네상스 사업의 전면재검토와 한강복원 방안 수립을 위

한 시민위원회 구성

③ 잠실, 신곡 수중보 철거와 수변 생태 복원 마스터플랜 작성

④ 중앙정부 및 경기도, 인천시와 협조하여 한강 복원 사업 연차

추진

기대

효과

① 한강의 수심이 평균 0.5미터 이상 하강하고, 유속 상승

② 한강변에 모래톱, 여울, 습지, 버드나무 군락 등 다양한 자연

지형 형성

③ 빨라진 유속과 곡류지형, 수생식물로 인하여 한강 수질 개선

④ 한강 서식 어류, 조류 등 야생 동식물 다양화

⑤ 시민들의 친수공간 확대, 한강변 이용 패턴의 다변화

소요

예산

* 한강운하 및 지천운하 계획 백지화에 따른 5,355억원 전용

마스터플랜 작성을 위한 연구비와 수중보 및 호안철거: 2,000억원

공약 3. 수중보 철거로 한강의 자연복원을 통해 백사장과

강변숲을 조성하겠습니다

Page 24: 노회찬의 매니페스토

- 24 -

세부

공약

뉴타운 재개발 정책을 전면 재검토, 서울시의 책임을 100% 다하

겠습니다

추진

방법

①현행뉴타운 재개발 지역에 대한 전면 재평가

②주민참여, 공공관리를 통한 재개발 사업의책임행정으로 100% 비리 차단

- 도시계획배심원제 도입

- 재개발 관련공문서온라인 공개 의무화 등

세부

공약소득에 따른 반값주택공급, 사회주택 10만호로 서민 주거안정

추진

방법

① 공동지분형 매입주택을 소득수준에 따라 최대 반값까지 공급

[프로세스 개요]

- 전월세 세입자의 기존 주거지 인근 매매주택 선택 후 SH공사에 공동매입 신청

-> 심사 후 공동지분율 확정 -> 공동매입 후 주택거주

② 재개발 사업시 사회주택 비율 상향(자치구별 사회주택 최소기준

적용), 다주택 소유자의 분양주택에 대한 선매제도 도입

세부

공약

민간 임대시장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으로 주택의 사회적 관리체

계를 만들겠습니다

추진

방법

① 권역별 적정전세가 공시제도 도입(분기별로 조사 후 발표)

② 6년 이상 장기임대 계약자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세부

공약저층의 대안적인 ‘우리마을 가꾸기’ 프로젝트 실시

추진

방법

① 주민∙전문가 참여, 거주지 특성을 반영한 마스터 플랜 제출

② 서울시 공적자금 투자를 통한 ‘우리마을 가꾸기’ 프로젝트 실시

소요

예산

* 도시개발지원특별회계 수입금의 50%: 3천억원

주택개발지원특별회계 수입금의 100%: 2천억원

세외수입 적극적 관리를 통한 1조원 중: 3천억원

일반회계 전입금: 2천억원 = 1조원

공약 4. 소득에 따른 반값주택 공급, 공공이 100% 책임지

는 재개발 정책을 시행하겠습니다

Page 25: 노회찬의 매니페스토

- 25 -

세부

공약

0∼3살 어린이의 의(醫), 식(食), 주(住)를 서울시가 책임지는 사

회적 보육의 전면 실시

추진

방법

① 의(醫) : 만0세~3세 어린이의 건강보험 본인부담금 전액 지원

- 부모에게는 의료비 걱정 끝

- 경제적 이유로 치료 못받는 어린이 제로(Zero)

② 식(食) : 만0세~3세 모든 어린이에게 월 10만원씩 ‘맘마수당’(아

동수당) 지급

- 집에서도 안전한 먹을거리 제공하는 복지 실시

- 모든 어린이집에서 친환경무상급식 실시

③ 주(住) :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국공립어린이집을

현재보다 2배 확대

- 국공립어린이집 1,500개까지 확충

기대

효과

① 현재 국공립 어린이집 정원의 3배에 달하는 대기자들의 공공 보

육 시설 수요 충족

② 어머니들의 출산 및 양육 부담을 낮추고 사회 활동을 보장

소요

예산

* 건설비용 50% 절감에 따른 2조 5,000억원 중,

총 4,500억원

① 어린이 무상의료 : 597억원 ② 아동수당 : 2,065억원

③ 무상보육, : 1,060억원 ④ 국공립어린이집 : 789억원

공약 5. 틈새없는 보육지원으로 아이와 엄마가 행복한 서울

을 만들겠습니다.

Page 26: 노회찬의 매니페스토

- 26 -

세부

공약

초등학교, 중학교 학생들에게 친환경 무상급식(고등학교에 친환

경식재료 공급) 실시

추진

방법

① 서울지역 초등학생 60만 명과 중학생 35만 명 전원에게 무상급

식을 실시

② 서울지역 초등학교 586개, 중학교 379개, 고등학교 311개에 친환

경 식재료를 공급

③ 교육청, 기초자체단체 등과 협의하여 급식 예산을 공동 부담

기대

효과

① 학부모는 학생 1인당 연간 45만 원 가량 급식비 절감

② 급식비를 지원받는 학생들이 마음의 상처를 받는 일이 없어짐

③ 학교 급식에 친환경 식재료를 사용으로 학생들의 올바fms 식습

관과 건강을 지킴

④ 친환경 농업을 육성하는 효과

소요

예산

* 건설비용 50% 절감에 따른 2조 5,000억원 중,

① 무상급식 소요 재원 : 연 1,900억 원 분담 (교육청과 5:5 )

② 친환경급식 소요 재원 : 연 240억 원씩 분담 (교육청과 5:5)

세부

공약천만시민 오케스트라, 문화가 넘치는 서울을 만들겠습니다.

추진 ① 시민 누구나 악기 하나 다룰 줄 아는 ‘천만명의 오케스트라 프

공약 6. 초중학교 친환경무상급식과 고등학교의 친환경 식

재료 공급으로 우리 아이들에게 안전하고 질 좋은

먹거리를 제공하겠습니다.

공약 7. 문화와 예술이 숨쉬는 생활권 문화정책으로 일상

의 쉼표와 느낌표를 드리겠습니다.

Page 27: 노회찬의 매니페스토

- 27 -

방법

로젝트’ 실시

-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지역문화예술 공간 설치

- 중소기업 밀집지역 문화센터, 악기 지원센터 등 인프라 구축

- 전체 문화회관의 통합스케줄 관리, 동네별 작은음악회 지원 등

지원사업.

② 예술해서도 밥도 먹고, 아이도 키울 수 있도록 문화예술인 복지

프로젝트 실시

- 고용보험 지원 등 문화예술인의 소득안정 프로젝트

- 전문 문화예술인을 위한 ‘아름다운 작업실’ 사업 실시

③ 누구나 누리는 문화

- 카드하나로 모든 박물관, 미술관 등 문화시설과 공연을 즐길 수

있는 ‘서울문화로카드’운영

- 시민참여형 문화 축제, 동네 예술단(오케스트라, 연극 등) 축제

개최 및 지원 확대

세부

공약

일상의 곳곳에 살아 숨쉬는 '문화 민들레' 사업을 추진하겠습니

추진

방법

마을마다 도서관 천국, 지식·문화·정보에 자유로운 서울을 만들

겠습니다.

① 주민이 참여하는 마을마다 아름다운 작은 도서관 200개소 설치

② 도서관+전자북+대학도서관 개방 등 ‘뉴-직지(直指) 프로젝트’를

통한 문화의 질 향상과 함께 신성장동력 확보

③ 책과 문화의 홀씨를 퍼뜨리는 지하철 문화·도서관사업 추진

동네마다 공원과 녹지를 만들어 여가공간과 주거환경을 개선하

겠습니다.

① 저층 주택지 동네마다 공원을 만들고 골목과 연결하는 ‘골목마

실’ 프로젝트

② 생태와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한뼘 녹지’, ‘동네 흙길’ 사업 실

Page 28: 노회찬의 매니페스토

- 28 -

[세부 진행 프로세스]

① 주민 스스로 기획, 디자인, 운영에 참여하는 지역 '문화민들레' 위원회 구성

② 조성 공간 확보 및 서울시 재정투자 계획 수립

③ 건축가, 미술가, 환경전문가 등 전문가와 시민 활동가 중심의 사업단 구성

기대

효과

① 책·문화·공원을 매개로 하는 지역 공동체 활성화

② 지역별 특색 있는 공공문화 공간 및 문화 향유를 위한 인프라 구축

③ 1,600여명 이상의 안정적인 일자리 창출

④ 도서·출판·음반·영화 산업의 활성화

소요

예산

* 건설비용 50% 절감에 따른 2조 5,000억원 중,

총 1,000억원

① 천만시민 오케스트라: 1개소당 3,000만원 X 30개소(매년) = 9억원

② 동네 예술가 지원사업(문화예술인 지원사업) = 연간 100억원

③ 문화민들레 사업(작은도서관): 1개소당 2억원 X 200개소 = 400억

(매년 개소당 도서구입 및 기자재 비 3천만원 별도 지원)

④ 동네공원 만들기, 흙길 조성사업: 개소당 1억5천만원(기존의 한평공

원 사업 참조)

⑤ 뉴-직지 프로젝트: 100억원

세부

공약트램이 다니는 광화문 광장, 규장각터 복원을 통한 종로활성화

추진

방법

- 광화문 광장 개편

① 광화문 광장 전체를 광장화하여 광장 본연의 기능 회복

공약 8. 광화문 전역의 광장화, 종로에 역사문화축 복원으

로 서울 도심에 새로운 활력을 넣겠습니다.

Page 29: 노회찬의 매니페스토

- 29 -

② 시청 광장에 나무, 벤치, 분수 , 정원이 어우러진 광장으로 재조성

1단계 : 러시아워, 공휴일에 광화문 광장의 일반 차량 통행 제한

및 보행권 강화

2단계 : 세종로 전체 차량 진입 방지턱 설치, 및 우회도로 신설로

전체를 광장화

3단계 : 경복궁 및 광화문 복원 시점에 맞추어 도심 무가선 노면

전차(2층 트램) 도입

- 종로 역사문화축 복원

① 세운상가 부지를 공영 저층 문화예술 거리(corridor)로 조성하여 문화

예술의 허브 구축

② 국립현대미술관 예정지를 규장각/사간원 터 및 종친부 터로 복원

③ 서울 성곽 보존 및 복원

기대

효과

① 역사와 서울의 중심 거리로서 상징화

② 서울 중심광장과 가로로서의 걷고 싶은 거리 및 도심활력 창출

③ 시민들의 자유로운 회합, 발표, 놀이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넓

은 공공면적 확보

④ 대중교통 이용활성화와 도심 온실가스 저감효과

소요

예산

* 건설비용 50% 절감에 따른 2조 5,000억원 중,

① 광장 구조 개편 등 : 500억 원

② 트램시설 : 500억 원 (노면전차 건설비는 지하철이 1/10 수준임)

* 1차년도 시책사업 백지화에 따른 예산 전용 5,000억원으로

③ 문화예술 거리 조성 : 5,000억 원

Page 30: 노회찬의 매니페스토

- 30 -

세부

공약교통기본권 보장, 친환경 교통으로의 전환

추진

방법

- ‘모든 시민의 교통기본권 보장’을 위한 공공교통정책으로 전환

① 지하철과 버스를 통합하는 대중교통통합위원회 구성하여 통합 대중교통망

재정비

②중복투자 방지, 운영비용을절감을 통해 교통요금 인하 및 통근, 통학 등 정

기적인 대중교통 이용자를 위한 대중교통 통합정기권제도 운용

- 대기 오염, 석유 중심의 교통체계를 건강과 환경 중심의 교통체계로 전환

① 대중교통 서비스의 제고, 도심내 주차면의 축소, 자가용 운행 부제 실시 등

다양한 적극적인 교통수요관리정책시행

②도로 다이어트와자전거 우선 도로관리 정책추진

③ 수도권 주요 진입거점에 대중교통 환승센터 설치 및 지역거점 순환체계 구

축을 통한 교통량감축과 지역활성화프로그램실시

기대

효과

① 지하철 공사의 통합으로 비직접 경상비 축소 및 공동구매 등 예산 절감

② 스마트카드사 및 버스공영화로 발생하는 수익 및 재원 재투자

(연간 1,000억 원 추산)

③ 통합 정액정기권 발행으로 이용자의 교통요금 부담 20%~50% 경감

(가구당 년 150만원 추산)

④ 지역 거점 환승센터를 중심으로 지역중심 육성 및 일자리 창출

소요

예산

* 건설비용 50% 절감에 따른 2조 5,000억원 중,

통합공사 및버스공영제 : 2,000억

(스마트카드공사화 및버스공영화로 인한 수익연간 1,000억원 전액 재투자)

공약 9. 수도권 대중교통 통합, 교통카드 공공화로 대중교

통 교통비를 절반으로 낮추겠습니다.

Page 31: 노회찬의 매니페스토

- 31 -

세부

공약보건지소 100개소, 보호자필요없는 병원 5,000병상 마련

추진

방법

① 주민의 건강증진, 질병예방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건(지)소를 단계적

으로 100곳 확충

② 4세 미만 아동 무상의료 ‘희귀난치성 질환 지원’ 공약 추가

③ 건강 취약지역 및 지역 거점 병원 육성, 건강 상담과 의료 정보를 24

시간 제공하는 건강안심Call 센터 등을 우선 실시

④ 각 구별로 ‘보호자 필요 없는 병원’을 지정(각 구별로 200병상, 총

5,000병상)하고 지원

⑤ Save Life 1000 사업(응급의료 강화)을 실시

기대

효과

①건강 안심, 의료비걱정 없는 체계를 만들어 서울 시민의복지향상

② 일자리 창출 총 5,050명의 안정적인 신규 일자리 창출(건강지원센터 1,500

명, 방문 간호사 250명, 보호자 없는병원 3,300명)

③응급의료체계를 획기적으로 강화로매년 1,000명의심장마비 환자를 구조

소요

예산

* 건설비용 50% 절감에 따른 2조 5,000억원 중,

보건(지)소, 방문간호사, 보호자 없는 병원 등 2,200억 원

공약 10. 보건소 중심의 공공 의료체계의 확대를 통해 아파

도 돈 걱정없는 서울을 만들겠습니다.

Page 32: 노회찬의 매니페스토

- 32 -

[별첨] 노회찬의 서울 비전(목록)

‘행복한 복지혁명’ : 진보 서울 7대 비전

노회찬의 서울 비전 1 / 아이와 엄마가 행복한 서울

○ 만3세까지 월 10만원의 아동수당을 지급하겠습니다.

○ 모든 필수예방접종은 무상으로 지원하겠습니다.

○ 국공립산후조리원을 확충하고 방문 산후조리 서비스 등 다양한 산후조리 서비스를

제공하겠습니다.

○ 국공립 어린이집을 동마다 3개로 확대하여, 내 집 앞 국공립 어린이 집을 실현하겠

습니다.

○ 중소기업에 직장어린이집을설치할 시 서울시가 50%의 부담금을 지원하겠습니다

○ 일 하는엄마를 위한 보육시간연장 등직장인맞춤 보육을 확대하겠습니다.

○ 가족 내돌봄담당자에게 ‘한달 하루휴가 서비스’를 제공하겠습니다.

○ 장애영유아 맞춤보육을 위한 특수교사및치료사 확대, 통합보육을 실시하겠습니다.

○친환경 장난감 보급 등 친환경 보육을 실현하겠습니다.

○학교급식을 직영전환하고, 친환경 무상 급식을 실현하겠습니다.

○초·중학교마다 준비물 센터를설치, 준비물없는 학교를 만들겠습니다.

○학교 등 공공생활공간 실내공기질 개선으로 아토피·천식없는 서울을 만들겠습니다.

노회찬의 서울 비전 2 / 휴(休) 프로젝트, 888 서울

○ 공공부문 노동시간상한제를 도입하겠습니다.

○ 노동시간 단축, 일자리 나누기 모범 기업을선정해 임직원 휴가비를 지원하겠습니다.

○ 적절한 휴식이 보장되는 노동환경을 조성하겠습니다.

- 환경미화노동자에게샤워시설을 제공하겠습니다.

- 판매노동자의앉을권리를 보장하는 기업에게 의자를 지원하겠습니다.

Page 33: 노회찬의 매니페스토

- 33 -

- 건물청소 노동자의 식사와휴식을 위한 휴게 공간설치를 지원하겠습니다.

- 장기 이동 건설 노동자를 위한 노동자 전용 임시 주거 시설을마련하겠습니다.

- 식당밀집지역과 영세한봉세공장 밀집지역에 여성 노동자를 위한 전용쉼터를 설치

하겠습니다.

○누구나 악기 하나 다룰 줄 아는 ‘천만의 오케스트라프로젝트’를 실시하겠습니다.

○ 직장 동호회에 대해 강사 등 교육과 악기를 지원해 다양한 문화예술 활동이 가능한

‘직장인 문화의날개’ 프로젝트를 실시하겠습니다.

○ 우리 동네작은 도서관, 마을마다 공공 도서관을 확대하겠습니다.

○ 지하철 시설을 이용해 도서상호대차 서비스, 장난감 도서관, 재활용품 교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서울시 문화공연이나 시설물에 대한 정기관람권․이용권을 개발하여 운영하겠습니다.

노회찬의 서울 비전 3 / 근심 걱정 없는 서울

○ 더 좋은, 더 많은 일자리: 복지 서비스 확대, 녹색 일자리 창출, 노동시간 단축을 통

해 70만 개의괜찮은 일자리를 만들겠습니다.

○ 재래시장 공공개발, 대형마트규제를 통해 영세 자영업자의 일자리를 보호하겠습니다.

○ 공공부문부터 정규직 전환을 선도 하고, 차별시정센터를 설립해 각종 고용차별 실태

를 바로잡겠습니다.

○ 공공입찰 심사에 고용안정 노력 지수를 포함시키는 고용안정기업 우대제로 서울시민

의 고용을 보호하겠습니다.

○ 공공부문 발주 사업의 임금 하한을 최저임금의 150% 이상으로 하는 공정임금제를

실시하겠습니다.

○ 공공부문 신규 채용 시 연령제한을없애고 영어시험을필수직종에만 한정하겠습니다.

○ 사회주택을 20%까지 확대하겠습니다(2018년까지).

○ 소득에 따라 반값전세주택을 공급하겠습니다.

○뉴타운 개발을 전면 중단하고 주민참여형순환개발을 실시하겠습니다.

○ 보건(지)소를 100개 확장하여 주민의 건강증진, 질병예방, 운동치료 등을 실시하겠습

니다.

Page 34: 노회찬의 매니페스토

- 34 -

○ 노인주치의 제도를 도입하고, 시립 장기요양서비스 기관을설립하겠습니다.

○ 자치구별 1개 이상 서울형보호자걱정없는 병원을 지정 운영하겠습니다.

○저소득층 만성질환자에 대해 방문검진 서비스를 지원하겠습니다.

○저소득층 에너지복지를 확대해 단전 단수 단가스 없는 서울을 만들겠습니다.

○ 여성의 안전과 보호를 위해 여성경찰과 여성소방관을 늘리겠습니다.

○ 석면 없는 서울을 만들겠습니다.

○ 복지 부시장을 도입하고 각 구별로 고용복지나눔센터를 설립하여 일자리와 복지 서

비스를 통합하겠습니다.

노회찬의 서울 비전 4 / 태양과 바람의 도시, 서울

○ 한강 수중보를 걷어내 습지와 백사장을 복원하는 한강생태복원 프로젝트를 실시하겠

습니다.

○빗물 저금통 사업으로돈절약! 물절약! 환경을살리겠습니다.

○ 내 집앞 공원으로 주민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여가활용을 높이겠습니다.

○ 2020년까지탄소는절반으로 산소는 2배 많은 서울을 만들겠습니다.

○ 서울시 건물에너지효율 등급제를 도입하고 초고층건물을 제한하여 건물에너지 소비

를 줄이겠습니다.

○ 노후 건물 에너지 효율화 사업으로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고 녹색일자리를 창출하겠

습니다.

○ 폐식용유를 바이오디젤로 전환, 공공차량과마을버스 등에 사용하겠습니다.

○ 서울시 발전차액지원 제도 도입과 태양광 발전설비를 지원해 재생에너지 비율을 확

대하겠습니다.

○ 인조 잔디 대신 학교숲, 옥상녹화, 텃밭, 태양광 발전기로 조성된 생태학교를 만들겠

습니다.

○ 수도권 지역 지하철, 버스를 통합하는 대중교통통합공사를 설립하여 편리하고 저렴

한 대중교통을 만들겠습니다.

○ 대중교통 정기권을 도입하여저렴한 대중교통을 만들겠습니다.

Page 35: 노회찬의 매니페스토

- 35 -

○ 도로 다이어트를 추진하고, 자전거 중심의 도로교통 정책을 실시하겠습니다.

노회찬의 서울 비전 5 / 장벽 없는 소통과 공존의 서울

○ 서울광장조례 개정과 참여예산제 도입으로 광장과 예산을 시민의 품으로 돌려 드리

겠습니다.

○ 서울 도시계획위원회에 시민참여를 확대해 도시 계획을 민주화, 녹색화하겠습니다.

○ 서울시의 모든정보를투명하게 공개하겠습니다.

○ 서울도심부에 트램(tram)을 운용하고, 교통량을 줄이겠습니다.

○ 장애인의 주거, 고용, 생활안정을 보장하는 세 바퀴 정책으로 장애인 자립생활을 지

원하겠습니다.

○ 저상버스, 장애인콜택시의 도입을 확대하여 교통약자의 이동권을 보장하고, 이동권

평가 인증제를 도입하겠습니다.

○ 노숙인 쉼터를 확대하고 조건 없는 주거/일자리 지원 제도를 도입해 노숙인의 자활

을 돕겠습니다.

○ 여성참여예산제 도입, 여성고위공무원 30% 보장으로 보이지 않는 성별 장벽을 제거

하겠습니다.

○ 반차별조례를 제정하여 차별에근거한폭력과 범죄를 예방하고피해자를 지원하겠습니다.

노회찬의 서울 비전 6 / 역사와 문화의 도시, 서울

○ 남대문 화재와 같은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문화재 관리 시스템을강화하겠습니다.

○ 역사도시 정체성 강화를 위해 국립현대미술관 예정지를 규장각/사간원터 및 종친부

터로복원하겠습니다.

○ 국립현대미술관, 오페라하우스 등 문화예술시설 집중화를 통해 문화예술 지구를 조

성하겠습니다.

○ 서울 성곽 보존 및 복원 : 장충체육관에서 타워호텔 뒤쪽, 혜화문 성곽길 등의 파괴

되고 사라진 성곽을 보존/복원하겠습니다.

Page 36: 노회찬의 매니페스토

- 36 -

진보신당 노회찬 서울시장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아무래도 우리는 미래로 가야겠다”정책공약 문의: 노회찬 서울시장 후보 선대위 정책팀(02-735-0601)

○ 민간자본에 의한 고층개발이 아닌 저층화를 통해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문화유산인

종묘의 역사성및 아이텐티티보존을 통한 역사도시의생명력 유지시키겠습니다.

○ 서울형 문화의집을설립하겠습니다.

노회찬의 서울 비전 7 / 미래로, 미래로, 진보 서울

○ 서울 전역을 1중심 4권역벨트로 묶어 주는 공간산업 전략을 추진하겠습니다.

○ 공동연구센터 설립, 창업지원, 교육지원 등을 통해 IT, 녹색, 문화, 소규모 무역 분야

에서 중소기업과벤처기업을활성화하겠습니다.

○ 지역상권개발 프로젝트를 통해 대형마트, SSM 대신 동네 가게를 활성화하고, 재래

시장을 경제문화복지의 중심으로 만들겠습니다.

○ 사회적기업, 장애인 우선고용 기업 등 착한 기업의 생산물을 우선 구매함으로써 사

회적 경제를활성화하겠습니다.

○ 시립대 지원 확대, 시립직업훈련기관 확대 등을 통해 인적 자원에 대한 투자를 늘리

겠습니다.

○ 지하철, 버스, 학교, 공공기관 등 공공장소부터 인터넷을 무상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지식정보네트워크를 수립하겠습니다.

○ 서울, 평양, 북경, 동경 등 동북아 주요 4개 도시 평화 협정을 체결하고 국제 심포지

엄, 문화학술 스포츠교류를활성화해 아시아평화시대를 열어가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