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 6월민주항쟁

30
6 월월월 월월월 월월월 월월

Upload: heeyoon-lee

Post on 13-Aug-2015

242 views

Category:

Education


0 download

TRANSCRIPT

6 월 민주항쟁

김윤환공태훈양혜림

류균

목차

1.들어가기 전에2.경과

1.항쟁 이전2.항쟁 기간3.항쟁 이후

3.항쟁의 의의4.논평5.Q&A

들어가기 전에

- Background & Preview

대한민국의 근 , 현대 주요 민주화 운동이라하면 ..

1. 4.19 혁명

2. 5.18 광주 민주화 운동

3. 6 월 민주항쟁

- 이승만 체제의 전복 , 최초의 근 , 현대 민주화 운동

- 군부 독재에 대한 반발 , 6 월 민주항쟁의 신호탄

4.19 혁명1960 3.15~4.26

• 3.15 부정선거에 대한 반발로 시작• 이승만 & 이기붕 정권 축출• 대한민국 최초의 민주화 운동

5.18 광주 민주화 운동1980.5.17 ~ 5.27

• 12·12 군사 반란과 5·17 쿠데타에 대한 반발로 시작• 체제전복에 성공하지 못하고 진압당함• 6 월 민주항쟁의 불씨 역할

그리고 ..

6 월 민주 항쟁 .

경과

1. 항쟁 이전- 박종철 , 이한열 , 4.13 호헌조치

2. 항쟁 기간- 국민평화대행진 , 6.29 민주화선언

3. 항쟁 이후- 김대중 , 김영삼 , 노태우 , 제 6 공화국

1. 항쟁 이전- 박종철 , 이한열 , 4.13 호헌조치

2. 항쟁 기간- 국민평화대행진 , 6.29 민주화선언

3. 항쟁 이후- 김대중 , 김영삼 , 노태우 , 제 6

공화국

1987 년 1 월 14 일서울대학교 언어학과 학생인 박종철 , 치안본부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경찰의 물고문으로 사망 .

경찰은 ' 책상을 탁 치니 억 하고 쓰러졌다 ' 라고 발표하였다 .

박종철< 출생 - 사망 > 1964 년 ( 부산광역시 ) – 1987 년 1 월 14 일

< 학력 > 서울대학교 언어학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학생회장이던 그는 제 5 공화국 말기에 공안당국에 붙잡혀 폭행과 전기고문 , 물고문 등을 받다가 죽임을 당했다 .

당시 이 사실을 은폐하려던 군사독재정권의 불의는 당연히 민중들의 군사독재정권에 대한 항의인 6 월 항쟁의 계기가 되어 , 시민들의 대대적인 저항에 부딪혔고 , 결국 6·29 선언을 발표함으로써 굴복할 수밖에 없었다 .

2 월 7 일 전국 주요 도시에서 " 박종철군 범국민추도식 " 및 도심 시위 .▶3 월 3 일 " 박종철군 49 재와 고문추방 국민대행진 " 및 시위 .

◀4 월 2 일 서울대학교 학생들의 학부모 130 여 명 , 건국대학교 사태 등 시국관련 구속학생의 징계철회 요구하며 철야 농성 .

4 월 13 일 개헌논의 유보를 내용으로 하는 전두환 대통령 특별담화 발표 (4·13 호헌 조치 )

4.13 호헌 조치1987 년 4 월 13 일 제 5 공화국 대통령 전두환 ( 全斗煥 ) 이 군부독재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국민들의 민주화 요구를 거부하고 일체의 개헌 논의를 중단시킨 조치 .

4 월 14 일 천주교 김수환 추기경 등 각계 인사 , 4·13

호헌 조치를 비판하는 시국 성명 발표 .

5 월 17 일노동자였던 황보영국은 부산상고 ( 현 개성고 )

앞에서 ' 독재타도 '

등을 외치며 분신했으며 , 일주일 뒤 사망하였다

5 월 18 일

박종철 사건이 경찰에 의해 은폐되었음이 폭로됨 .

5 월 23 일 " 박종철 고문살인 은폐조작 규탄 범국민대회 준비위원회 " 결성 및 6 월 10 일에 규탄대회 갖기로 결정 .

5 월 26 일 전두환 대통령 ,

고문치사사건에 대한 책임을 물어 노신영 국무총리를 경질하고 이한기 신임 총리로 교체 .

5 월 27 일 전국의 재야지도자 2200 여명이 함께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 " 결성 , 한국 기독교 장로회 향린교회에서 발기인 대회 "4·13 조치 철회 및 직선제개헌 공동쟁취 선언 " 발표 .

6 월 9 일 연세대학교 학생인 이한열 , 학교 앞 시위 중 경찰이 쏜 최루탄에 맞아 부상 (7 월 5 일 사망 ).

1. 항쟁 이전- 박종철 , 이한열 , 4.13 호헌조치

2. 항쟁 기간- 국민평화대행진 , 6.29 민주화선언

3. 항쟁 이후- 김대중 , 김영삼 , 노태우 , 제 6

공화국

6 월 10 일 "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 " 주최로 대한성공회 서울교구 서울주교좌대성당에서 " 박종철군 고문치사 조작 , 은폐 규탄 및 호헌철폐 국민대회 " 개최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는 오후 6 시를 기해 전두환 독재정권에 대한 민중항쟁의 뜻으로 차를 세워서 경적을 울려줄 것 또는 흰 손수건을 흔들어 달라고 지침을 내리어 택시운전수들의 경적소리와 시내버스에서 흰 손수건을 흔드는 시민들이 줄을 이었다 . 여고생들은 민중항쟁 참여자에게 마실 물과 도시락을 가져다 주는 등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원을 하여 서울도심에서 민중항쟁이 진행될 수 있었다 .

6 월 26 일 전국 37 개 도시에서 국민평화대행진 시위가 전개되었고 3,467 명이 경찰에 연행되었다 .

6 만명의 경찰 병력이 배치 되었지만 , 6.10 민주항쟁의 3배가 넘는 시민들이 국민평화대행진에 참여하여 시위를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 특히나 회사원들 , 넥타이 부대들의 시위 참여로 6 월 항쟁은 학생 항쟁에서 시민 항쟁으로 변화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

당시 사진

6 월 민주항쟁에서의 미국의 개입

6 월 29 일 노태우 민정당 대표위원이 8 개항의 시국수습 내용을 포함한 6·29 선언을 발표 .

• 대통령직선제 개헌을 통한 1988 년 2

월 평화적 정권이양• 대통령선거법 개정을 통한

공정한 경쟁 보장• 김대중의 사면복권과 시국관련사범들의 석방• 인간존엄성 존중 및 기본인권 신장• 자유언론의 창달• 지방자치 및 교육자치 실시• 정당의 건전한 활동 보장• 과감한 사회정화조치의 단행

1. 항쟁 이전- 박종철 , 이한열 , 4.13 호헌조치

2. 항쟁 기간- 국민평화대행진 , 6.29 민주화선언

3. 항쟁 이후- 김대중 , 김영삼 , 노태우 , 제 6

공화국

노태우 민주정의당 대표의 6·29 수습 선언 이후 직선제 개헌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었고 , 제 6 공화국 새 헌법 개정을 위한 국민투표를 거쳐 1987 년 10월 , 대통령 직선제로의 개헌이 이루어졌다 .

.

대통령 직선제 개헌으로 16 년 만에 대통령선거가 직접선거로 치러졌지만 , 정통 민주세력이자 당시 야당의 중심축이었던 김대중 당시 통일민주당 고문과 김영삼 당시 통일민주당 총재가 대통령후보 출마를 놓고 공식 선거전을 앞둔 1987 년 10 월에 분열을 일으키면서 독자 출마를 강행하게 되었다 .

결국 6 월 항쟁의 중심 역할을 했던 민주세력의 통합이 불발되면서 ,

제 13 대 대통령선거에서는 민주정의당의 노태우 후보가 당선되었다 .

그리고 .. 제 6 공화국의 시작 .

<13 대 대통령선거 득표율>

노태우 37% 김영삼 28%김대중 27%김종필 7%

항쟁의 의의- 우리는 6 월 민주항쟁을 통해 무엇을 얻었을까 ?

1. 6 월 항쟁으로 군사적 독재정치가 종식을 고하는 계기가 되었다 .

형식적으로는 노태우 정권의 연장으로 귀결돼 군사주의가 완전히 종언을 고했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정치 내용적으로나 사회 , 문화적으로 민주주의 이념과 제도가 뿌리내리는 결정적 계기가 된 것은 확실하다

2. 자주 , 민주 , 통일이라는 현대사의 좌표가 자리잡게 되었다 .

3. 6 월 항쟁으로 각계각층의 민주적인 시민운동 , 민중운동 등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

항쟁은 노동자 , 학생 , 시민 ,빈민 ,

농민 등이 사회 전반에 걸쳐 전지역적으로 전개한 투쟁이었고 항쟁의 전과정은 바로 이렇게 참여한 모든 사람들이 각성하고 조직적 힘을 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

특히 , 노조를 통해 조직화되어 나타난 7,8,9 월의 노동자 대투쟁은 향후 노동자의 사회적 위상을 급격하게 드높이는 결과를 가져왔고 사회적으로 주목할만한 현상이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