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체역학 chapter2 stress and strain

Upload: namsu-park

Post on 07-Jul-2018

214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8/18/2019 Chapter2 Stress and Strain

    1/20

     xσ 

     yσ 

     z σ 

     yxτ 

     yz τ   xyτ 

     xz τ 

     zxτ 

     zy

    τ 

    Chapter.2 Stress and Strain

    김 대 영

    E-mail: [email protected]

    HP: 010-9249-5551

    바이오시스템공학과2014년도 2학기 강의자료 (고체역학)

  • 8/18/2019 Chapter2 Stress and Strain

    2/20

    1. 응력(Stress)

    1F

    2F

    3FS 

    1F

    2F

    3F

    1F

    2F

    3F''S 

    '

    S   '

      Sample S - 평형상태- 무게는 다른 외력들에 비해 무사할만 하다

    •   고립된 면 S’에는 힘 F3를 제외한 F1과 F2가 작용함

    •   힘의 평형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S’’부분에 의한

    힘들이 평면 P에 가해져야 한다.

    -> 재료를 결합시키는 힘: 내력

    0321     F  F  F Spring

    element

    벡터를 사용한 각 결합력의표현 가능

  • 8/18/2019 Chapter2 Stress and Strain

    3/20

    2. 표면응력, 수직응력, 전단응력

    •   : 표면응력 (traction: 표면력, 응력벡터) – 벡터함수

    •   압력은 스칼라 함수이다.

    •   단면 A상의 힘들은 임의의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기에 벡터

    함수를 사용한다.

    •   단면 A상의 한점에서 표면응력의 값은 벡터이므로 단면 A에

    대한 수직 성분과 접선 성분으로 나눌 수 있다.

     

     

    : 수직응력 (normal stress)

    : 전단응력 (shear stress)

    t

    dAdAdA        ,,t : 힘의 개념

    각 응력의 단위: 힘/면적

  • 8/18/2019 Chapter2 Stress and Strain

    4/20

    2. 표면응력, 수직응력, 전단응력•   SI 단위: Pa, KPa, MPa, Gpa

    •   미국 상용 단위계: pis (pounds per square meter), psf (pounds per square foot), ksi (kips per square inch), ksf (kips

    per square foot)

    •  고체 재료의 응력: 원자들의 결합력을 제거하기 위한 내부 힘의 개념

    •   기체 속의 내력: 원자나 분자들 사이의 열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서로간의 충돌력

    •   고체, 유체, 열 등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내력들을 표현할 수 있다.

    •   수직응력은 인장시에 양의 값으로 정의되는데 반하여 압력은 압축시에 양의 값으로 정의된다.

     p 

  • 8/18/2019 Chapter2 Stress and Strain

    5/20

    3. 평균응력•   응력 성분들(수직응력, 전단응력)은 단면 A상의 위치의 함수로서 어떻게 결정할 수 있을까?

    •   응력해석: 어떤 재료 속의 주어진 평면 P에 대한 응력분포를 평가

    •   평행상태에서 단면 A에 작용하는 표면응력 t의 평균값

     A dA At

    1tav

    avt   평균표면응력(average traction)

    av    평균수직응력(average normal stress)

    av    평균전단응력(average shear stress)

  • 8/18/2019 Chapter2 Stress and Strain

    6/20

    4. 축하중을 받는 막대(봉) 속의 평균수직응력•   전 길이에 걸쳐서 단면이 일정한 직선 막대: 균일하다 (prismatic) – Ex.) 삼각형의 유리 프리즘

    •  평균수직응력은 축하중에 비례하고 막대의 단면적에 반비례

    •   막대의 축을 따르는 평면 P의 위치에 무관함

    0av    P  A 

     A

     P av 

  • 8/18/2019 Chapter2 Stress and Strain

    7/20

    5. 핀 속의 평균전단응력•  핀지지: 축하중 F 를 받는 막대 고정

    • A : 핀의 단면적

    02 av     A F       A

     F 

    2av   

  • 8/18/2019 Chapter2 Stress and Strain

    8/20

    6. Example 2-1•   어떤 트러스가 10kN의 하중을 지지하고 있다. 그 부재들은 반경이 40mm이고 중실 원통형 막대이다. 평면 P에 작용하는

    평균수직응력과 평균전단응력을 구하여라.

  • 8/18/2019 Chapter2 Stress and Strain

    9/20

    6. Example 2-1•   BC부재의 축력 결정 – 연결점(조인트) C의 자유물체도 작성

    •   평면 P의 좌측에 있는 부재 BC 일부분을 고립시키고, 평균 수직 및 전단 응력에 의해서 가해진 힘들을 표시하여 자유물체도

    작성

    •   평면 P에 수직 및 접선 방향으로의 좌표계 설정후 x,ㅛ 방향으로 힘들을 합합으로써 응력에 의한 힘들로 표시된 간단한

    평형방정식을 얻을 수 있음

    01030sin

    030cos

    CD y

    CD BC  x

     P  F 

     P  P  F 

    kN20

    kN3.17

    CD

     BC 

     P 

     P 

    030sin3.17

    030cos3.17

    av

    av

     A F 

     A F 

     y

     x

     

     

    kN66.8

    kN15

    av

    av

     A

     A

     

     

    2

    2

    m00580.0

    )04.0(30cos

     A

     A    

    MPa49.1

    MPa58.2

    av

    av

     

     

  • 8/18/2019 Chapter2 Stress and Strain

    10/20

    7. Example 2-2•   트러스의 연결점 C에 대한 세부도가 그려져 있고, 그 연결은 20mm 반경의 핀으로 되어 있다. 그 핀 속의

    평균전단응력은 얼마인가?

  • 8/18/2019 Chapter2 Stress and Strain

    11/20

    7. Example 2-2•   앞의 예제로부터 부재 BC의 축력은 17.3kN의 압축 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알고 있다.

    •   연결점 C의 핀 구조물과 BC 부재의 일부분에 대한 자유물체도 작성 – 17.3kN의 압축력은 핀 속의 평균 전단응력들에 의해

    지지됨

    •   부재 CD의 자유물체도를 사용하여 핀 속의 평균전단응력을 결정할 경우 – 앞의 예제로부터 부재 CD는 20kN의 인장력 작용

    단면적을 고려한 후 계산하면,

    MPa89.6

    m00126.0)02.0(

    kN66.8

    023.17

    av

    22

    av

    av

     

     

     

     

     A

     A

     A

    kN66.8

    01030sin20sin2

    030cos20cos2

    av  

     A

     A F 

     A F 

    av y

    av x

     

       

       

    MPa89.6av  

  • 8/18/2019 Chapter2 Stress and Strain

    12/20

    8. Example 2-3•   충분한 힘 F를 펀치에 가하여 평판으로부터 원형 블랭크를 따내기 위한 배치를 보여주고 있다. 평판의 두께는 t이고,

    펀치와 평판 밑의 원공의 지름은 D이다. 펀치에 힘 F를 가했을 때, 평판 속에 발생되는 평균전단응력의 크기는 얼마인가?

  • 8/18/2019 Chapter2 Stress and Strain

    13/20

    8. Example 2-3•   펀치를 통과하는 지름 D 의 평판 컷을 통해 자유물체도 작성

    •   자유물체도상의 힘 F는 원통 형상으로 잘려진 평판 요소의 표면에 작용하는 수직 방향의 전단응력에 의하여 지지됨

     D F 

     F  Dt 

     F  A

      

      

     

    av

    av

    av

    0))((

    0

  • 8/18/2019 Chapter2 Stress and Strain

    14/20

    9. Example 2-4•   직사각형 단면 A에는 수직응력 처럼 분포하고 있다. (a) 최대수직응력; (b) 총수직력; ©

    평균수직응력을 구하라.

    22lb/in200 y 

  • 8/18/2019 Chapter2 Stress and Strain

    15/20

    9. Example 2-4

    •   수직응력은 y 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므로, 최대치는 y =6in에서 발생

    •   수직응력은 y 에만 의존하므로, 총수직력은 수평띠 형상의 면적 요소 dA에 대한 적분을 통해 구할 수 있음

    •   평균응력은 총수직력을 면적 A로 나눈 것과 같다.

    •   최대수직응력이 평균수직응력의 3배

    •   평균응력만을 설계에 적용하기에 불충분한 이유임 -> 응력의 실제적인 분포를 알 필요가 있음

    22

    max   lb/in7200)6)(200(    

    최대 수직응력

    총수직응력

    lb000,57

    3800

    )4()200(

    6

    0

    3

    6

    0

    2

     y

    dy ydA A 

    총수직응력

    2lb/in400,2

    )600,57()6)(4(

    1

    1

     Aav   dA A  

  • 8/18/2019 Chapter2 Stress and Strain

    16/20

    10. 변형률 (Strain): 신장변형률

    •   물체는 외력을 받으면 변형한다(deform).

    •   주어진 물체의 형상과 그 형상 변화를 어떻게 이론적으로 묘사할 수 있을까?

    •   전체적인 형상 변화가 아닌 물체의 어떤 한 점 부근의 재료에 어떤 변화가 생길지를 생각!!

    •   신장변형률은 재료가 변형시 얼마나 많이 수축하는지 혹은 인장하는지를 측정

    - 수축 (-), 인장 (+)

    - 무차원 (non-dimensional) / 재료속의 위치에 따라 변화

    - 기준상태(reference state) 혹은 초기상태에 관해 압축과 신장

    dL

    dLdL 

    '

     

    : 미소길이

    : 변화된 미소길이

    : 신장변형률 (extensional strain: 수직변형률, 종방향변형률)

    dL

    'dL

     

  • 8/18/2019 Chapter2 Stress and Strain

    17/20

    10. 변형률 (Strain): 신장변형률

     L   ' L

    •   변형 전의 주어진 점과 방향에 해당되는 값을 안다면?

    •   유한 선분의 길이를 L 이라고 하면, 변형상태에 있는 선분의 길이 L’ 는?

    •   만약 의 값이 선분을 따라 균일하다면, 길이변화는?

     

    dLdL   )1('    

       L L dL LdL L     )1('

     L dL L L        ' 

     L L L          '

    : 유한 선분의 길이에 대한 변형량 

  • 8/18/2019 Chapter2 Stress and Strain

    18/20

    11. 전단변형률 (Shear strain)

    1dL2

    dL2

     

    '1dL

    '2

    dL    

    2

    •   미소 선분 과 사이의 각이 변형후 갖게 되는 각을 로 표현하면, 이 각은 양의 값, 음의 값을 가질 수 있다.

    •   : 전단변형률 (shear strain, 횡방향 변형률)

    - 기준상태에서 수직이었던 두 선분들 사이의 각도 변화에 대한 척도

    - 라디안 각도로서 무차원

    2dL1dL    

     

    1dL

    2dL

    2

     

      

    2

       2

    '1dL

    '2

    dL

  • 8/18/2019 Chapter2 Stress and Strain

    19/20

    12. Example 2-5

    •   하중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의 어떤 막대의 길이 L=2m이다.

    •   (a) 막대는 축하중을 받아 길이가 2.04m로 증가되었다. 만약 막대의 길이 방향으로의 신장변형률 이 막대 길이 전체에

    걸쳐서 일정하다면, 은 얼마인가?

    •   (b) 막대의 한쪽 끝을 매달아 길이가 2.01m로 증가되었다. X방향으로의 신장변형률 (a는 일정)으로

    주어진다면,, a의 값은 얼마인가?

     

     

     Lax / 

     P  P 

    2.04m

     x

     y

    2.01m

    (a) (b)

    02.0

    )2(04.0

    )2(204.2

    '

     

     

     

         L L L

    01.0

    22

    01.0

    2201.2

    '

    2

    0

    2

    2

    0

    a

    a xa

    dxax

    dL L L L  

  • 8/18/2019 Chapter2 Stress and Strain

    20/20

    12. Example 2-6

    •   기준상태에 있는 어떤 재료의 한 점에서의 미소 직사각형을 생각하자. 과 방향으로의 신장변형률을 , 라

    하고, 과 방향에 관한 전단변형률을 라 하자. 대각선 방향으로의 신장변형률은 얼마인가?

    1dL

    2dL   1  2 

     1dL 2dL   dL

    1dL

    2dL

     

    '1dL

    '2dLdL   'dL

       

       

    sin)1()1(

    cos)1()1(

    222

    '

    2

    111

    '

    1

    dLdLdL

    dLdLdL

      

    2

    'dL

    '2dL

    '1dL

     

      

         

     

    2cos''2)()()'( 21

    2

    2

    2

    1

    2 dLdLdLdLdL코사인 법칙으로부터

       

      

         

             

    2cossin)1(cos)1(2sin)1(cos)1()'( 21

    2

    2

    2

    1

    2 dLdLdLdLdL

    2

    21

    22

    2

    22

    12cossincos)1)(1(2sin)1(cos)1(   dL

     

     

     

     

        

            

    12

    cossincos)1)(1(2sin)1(cos)1('

    21

    22

    2

    22

    1    

      

     

       

              

    dL

    dLd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