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착 g 단백질 연결 수용체(adhesion-gpcr)인 bai 단백질과 …에서야 bai, cirl 등이...

9
1 분자세포1생물학뉴스레터 논/단 서 론 모든 세포의 막에 존재하는 G protein coupled receptor(GPCR) 단백질은 세포 외부로부터 다양한 신호를 인식하여 세포 내의 heterotrimeric GDP/GTP-binding protein(G protein)을 통해서 이러한 자극을 전달하여 생명 체가 주위 환경을 인식하거나 세포 간의 신호전달을 가능하 게 한다[1]. 이러한 GPCR 단백질은 포유류에 약 800여 개 가 존재하며, 생체 내 가장 큰 family를 형성하고 있고, 구 조적으로 일곱 개의 transmembrane domain(7TM)을 공 통으로 갖고 있다[1, 2]. 또한 GPCR 단백질은 중추신경계 질환, 내분비 질환, 심장질환, 염증, 대사 이상 등의 다양한 질환에 사용되는 약물들의 타겟물질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으며, 현재 개발 중인 신약의 절반 가까이가 GPCR 단백 질을 표적물질로 맞추고 있을 만큼 임상적으로도 그 중요성 이 각광받고 있다[3]. 2012년 노벨위원회에서 미국 듀크대 학의 로버트 레프코위츠(Robert Lefkowitz) 교수와 스탠포 드 대학의 브라이언 코빌카(Brian Kobilka) 교수를 노벨화 학상 수상자로 선정한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놀라운 일은 아니다. 본 논단에서는 GPCR family의 한 부류인 접착 GPCR(adhesion-GPCR) 단백질에 관하여 논하고자 한다. 접착 GPCR 단백질은 대부분 리간드(ligand)가 알려지지 않 은 고아(orphan) GPCR 단백질로서 구조적으로 일반적인 접착 단백질(adhesion protein)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접착 도메인을 가지고 있다[4]. 최근에야 X-레이 결정학(X-ray crystallography) 등의 구조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접착 GPCR 단백질의 자세한 분자기전이 밝혀지고 있으나 아직 까지도 대부분 그 정확한 기능은 알려지지 않고 있다[4]. 본 논단에서는 뇌 기본기능을 제어하는 가장 기본적 단위인 시 냅스(synapse)에서 최근 그 기능이 일부 알려진 2개의 접착 GPCR 단백질 family인 BAI(brain-specific angiogenesis 접착 G 단백질 연결 수용체(Adhesion-GPCR)인 BAI 단백질과 CIRL 단백질: 뇌질환 치료제 타겟으로의 가능성 고지승 연세대학교 생명시스템대학 생화학과 E-mail: [email protected] 고재원 연세대학교 생명시스템대학 생화학과 E-mail: : [email protected]

Upload: others

Post on 30-Dec-2019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접착 G 단백질 연결 수용체(Adhesion-GPCR)인 BAI 단백질과 …에서야 BAI, CIRL 등이 시냅스의 구조 및 기능을 직접적으 로 조절한다는 연구결과들이

1 ● ● 분 자 세 포 1 생 물 학 뉴 스 레 터

논/단

서 론

모든 세포의 막에 존재하는 G protein coupled

receptor(GPCR) 단백질은 세포 외부로부터 다양한 신호를

인식하여 세포 내의 heterotrimeric GDP/GTP-binding

protein(G protein)을 통해서 이러한 자극을 전달하여 생명

체가 주위 환경을 인식하거나 세포 간의 신호전달을 가능하

게 한다[1]. 이러한 GPCR 단백질은 포유류에 약 800여 개

가 존재하며, 생체 내 가장 큰 family를 형성하고 있고, 구

조적으로 일곱 개의 transmembrane domain(7TM)을 공

통으로 갖고 있다[1, 2]. 또한 GPCR 단백질은 중추신경계

질환, 내분비 질환, 심장질환, 염증, 대사 이상 등의 다양한

질환에 사용되는 약물들의 타겟물질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으며, 현재 개발 중인 신약의 절반 가까이가 GPCR 단백

질을 표적물질로 맞추고 있을 만큼 임상적으로도 그 중요성

이 각광받고 있다[3]. 2012년 노벨위원회에서 미국 듀크대

학의 로버트 레프코위츠(Robert Lefkowitz) 교수와 스탠포

드 대학의 브라이언 코빌카(Brian Kobilka) 교수를 노벨화

학상 수상자로 선정한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놀라운

일은 아니다.

본 논단에서는 GPCR family의 한 부류인 접착

GPCR(adhesion-GPCR) 단백질에 관하여 논하고자 한다.

접착 GPCR 단백질은 대부분 리간드(ligand)가 알려지지 않

은 고아(orphan) GPCR 단백질로서 구조적으로 일반적인

접착 단백질(adhesion protein)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접착

도메인을 가지고 있다[4]. 최근에야 X-레이 결정학(X-ray

crystallography) 등의 구조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접착

GPCR 단백질의 자세한 분자기전이 밝혀지고 있으나 아직

까지도 대부분 그 정확한 기능은 알려지지 않고 있다[4]. 본

논단에서는 뇌 기본기능을 제어하는 가장 기본적 단위인 시

냅스(synapse)에서 최근 그 기능이 일부 알려진 2개의 접착

GPCR 단백질 family인 BAI(brain-specific angiogenesis

접착 G 단백질 연결 수용체(Adhesion-GPCR)인 BAI 단백질과 CIRL 단백질: 뇌질환 치료제 타겟으로의 가능성

고 지 승

연세대학교 생명시스템대학 생화학과

E-mail: [email protected]

고 재 원

연세대학교 생명시스템대학 생화학과

E-mail: : [email protected]

Page 2: 접착 G 단백질 연결 수용체(Adhesion-GPCR)인 BAI 단백질과 …에서야 BAI, CIRL 등이 시냅스의 구조 및 기능을 직접적으 로 조절한다는 연구결과들이

웹 진 2014ㅣ07 ● ● 2

inhibitor) 단백질과 CIRL(calcium-independent receptor

of α-latrotoxin) 단백질을 중심으로 최신 연구결과를 소개

하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연구방향 및 관련 뇌질환의 치

료제로서의 가능성에 관하여 논하고자 한다.

본 론

접착 G 단백질 연결 수용체의 특징

접착 GPCR 단백질은 인간의 경우 33개, 설치류의 경우

30개가 존재하며 1980년대에 처음 발견되었다. 단백질의

N-terminal 부위의 도메인 구조에 따라서 세부적으로 9개

의 subfamily로 구분하지만(Family I부터 Family IX), 모

든 접착 GPCR 단백질은 GAIN(GPCR autoproteolysis-

inducing domain)과 7TM을 갖고 있다는 점이 공통적인 특

징이다[4] (그림 1). 2개의 subfamily는 척추동물뿐 아니라

비척추동물에서도 발견되며, 그 중 하나는 이번 논단에서 주

로 소개할 CIRL 단백질이다. 접착 GPCR 단백질의 기본적

그림 1. BAI 단백질의 도메인 구조 및 시냅스 신호전달 체계

인 생화학적 특징 및 생리학적 기능에 관해서는 지난 20여

년간 꾸준히 연구가 진행되어 왔고,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바

탕으로 일부 접착 GPCR 단백질이 면역반응, 신경세포의 발

달, 그리고 척수(bone marrow) 및 줄기세포의 발달 등에

관여함이 알려져 왔다. 하지만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대부분

리간드가 알려져 있지 않으며, 심지어 GPCR 단백질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인 G protein과의 기능적 연계성도 명

확하지 않다[4].

절반 이상(17개)의 접착 GPCR 단백질이 중추신경계

(central nervous system)에서 발현하고 있음이 이미 잘

알려져 있지만 GPR56, GPR124 등의 단백질이 신경세포

의 초기 발달과정에서 중요하다는 점을 제외하곤 다른 접착

GPCR 단백질들의 뇌기능은 거의 연구된 바가 없었다. 최근

에서야 BAI, CIRL 등이 시냅스의 구조 및 기능을 직접적으

로 조절한다는 연구결과들이 발표되고 있으며, 정신질환 등

뇌질환 발병과도 연관성이 있음이 알려지고 있다[5, 6].

molecular and cellular Biology Newsletter

Page 3: 접착 G 단백질 연결 수용체(Adhesion-GPCR)인 BAI 단백질과 …에서야 BAI, CIRL 등이 시냅스의 구조 및 기능을 직접적으 로 조절한다는 연구결과들이

논/단

3 ● ● 분 자 세 포 생 물 학 뉴 스 레 터

BAI 단백질의 뇌 시냅스 기능

BAI subfamily는 3개의 단백질들로 구성되어 있으

며(BAI1, BAI2 and BAI3), N-terminal 부위에 4-5

개의 TSR(thrombospondin type I repeats)과 1개의

HBD(hormone-binding domain), 그리고 GAIN 도메인을

갖고 있다[6] (그림 1A). 다른 GPCR 단백질과 마찬가지로

7TM을 갖고 있으며, C-terminal 부위는 PDZ(PSD-95,

discs-large and ZO-1) 도메인에 결합하는 sequence

motif인 QTEV(Gln-Thr-Glu-Val)로 끝나 다양한 PDZ

도메인을 갖고 있는 scaffold 단백질과 결합한다[6]. 모든

BAI 단백질은 fetal 및 adult brain의 다양한 brain 부위

에서 발현한다[6]. 특이적으로 BAI2의 경우 brain 이외에

다른 tissue에서도 발현하나, 발달과정이 진행되면서 대개

brain에서 주로 발현하게 된다[7]. 이와는 달리 BAI3의 경

우 모든 발달단계에서 중추신경계에서만 발현이 국한되며,

신경세포 이외에 다양한 교세포(astrocyte, microglia and

macrophage)에서도 발현한다[7, 8].

BAI subfamily도 대부분의 접착 GPCR 단백질과 마찬가

지로 ~320개의 amino acid로 구성된 GAIN 도메인을 갖고

있으며, 그 중 ~40개의 amino acid로 구성된 GPS(GPCR

proteolytic site)가 존재하여 autoproteolysis가 일어난다

(그림 1). 이렇게 잘린 BAI 단백질의 N-terminal 부위는

실제로 뇌조직에서 7TM 부위와 비공유결합(noncovalent

association)으로 결합되어 있다. 하지만 뇌조직이 아닌

일반 heterologous cell line에서는 BAI1과 BAI3의 경우

autoproteolysis가 잘 일어나지 않는데, 이 경우에도 세포

표면에서 잘 발현되는 것으로 미루어볼 때 GPS motif에서

의 proteolysis 과정이 BAI 단백질의 surface trafficking

에는 필요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9]. 이러한 사실은 대부

분의 접착 GPCR 단백질의 GAIN 도메인에 돌연변이가 생

길 경우 단백질 misfolding이 생기고 일부의 경우 human

disease를 야기하는 점을 고려해 볼 때 흥미롭다 말할 수 있

다.

TSR 부위를 통해서 BAI1 단백질은 CD36, integrin,

phosphatidylserine 등과 결합하여 angiogenesis를 저

해하거나 혹은 endothelial cell의 proliferation을 방해

하는 기능이 처음 보고되었다[10, 11] (표 1). 하지만 최

근에는 시냅스 생성과정 (synaptogenesis)에도 관여함

이 보고되었다[12, 13, 14]. BAI1 단백질의 경우 PSD-

95 단백질 및 MAGI-1 단백질과 직접 결합하여 흥분성

시냅스(excitatory synapse)가 형성되는 스파인(spine)

의 구조 조절에 관여한다[13, 14]. BAI1 단백질과 결합하

는 대부분의 PDZ 도메인 scaffold 단백질들의 경우 후

시냅스(postsynaptic neuron)에 위치하며 BAI1 단백질

도 postsynaptic density(PSD) 부위에 집중되어 있다

[13]. BAI1 단백질과 결합하는 다른 scaffold 단백질 중 하

나인 IRsp53(다른 이름은 ‘BAI-associated protein 2 or

BAIAP2’임) 단백질도 PSD 부위에 집중되어 있으며 흥분성

시냅스의 구조 및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이 최근

보고되었다[15, 16]. BAI1 단백질은 신경세포의 구조물을 직

접적으로 조절하는 중요한 인자 중 하나인 Rac 단백질의 조

절자 중 하나인 Tiam1(Rac guanine nucleotide exchange

factor; RacGEF)과도 직접 결합하여 BAI1 단백질이 Rac

신호전달 기전과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기반을 제공

한다[12]. BAI1 단백질은 신경세포의 구조물을 직접적으로

조절하는 중요한 인자인 Tiam1(Rac guanine nucleotide

exchange factor; RacGEF)과 직접 결합하여 Rac 신호전

달 기전과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BAI1을 신경배양세

포에서 낙다운(knockdown)할 경우 스파인의 숫자가 감소

되며 남아있는 스파인들도 보다 덜 성숙한 형태로 변형된다

[12].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BAI1 단백질이 스파인의 성숙화

(maturation) 및 흥분성 시냅스의 발달에 관여함을 시사한

다.

BAI2 단백질의 경우 뇌 해마(hippocampus)의 이랑

(dentate gyrus)에서 일어나는 신경발생 (neurogenesis)에

관여함이 낙아웃(knockout) 연구를 통해서 알려졌다[17].

BAI2 낙아웃의 경우 neurogenesis가 증가하며 이 낙아웃

이 우울증 (depression)이 잘 유발되지 않는 점과 연관성

이 있다[17]. 아마도 BAI2 단백질은 GA-binding protein

gamma와 직접 결합하여 성체 해마(adult hippocampus)

의 신경발생을 촉진하는 주요 물질인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여 이러

Page 4: 접착 G 단백질 연결 수용체(Adhesion-GPCR)인 BAI 단백질과 …에서야 BAI, CIRL 등이 시냅스의 구조 및 기능을 직접적으 로 조절한다는 연구결과들이

molecular and cellular Biology Newsletter

웹 진 2014ㅣ07 ● ● 4

표 1. 중추신경계에서 발현하는 주요 접착 GPCR 단백질의 특성

한 현상을 유도할 것으로 예상된다[18].

BAI3 단백질의 경우 ELMO1 단백질과 결합하여

dendritic arborization 혹은 branching을 조절하며, BAI3

단백질을 낙다운 시킬 경우 스파인 성숙화에 영향을 준다

[12]. 흥미롭게도 BAI3 단백질은 C1q-like 단백질과 TSR

부위를 통해서 결합하게 되는데, 이 상호작용은 흥분성 시

냅스의 구조 유지에 중요함이 최근 보고되었다[19]. 하지만

Cq1-like 단백질들과 BAI3 단백질의 상호작용의 생리학적

중요성이나 보다 자세한 분자기전은 후속연구들을 통해서

더 규명되어야 할 것이다.

CIRL 단백질의 뇌 시냅스 기능

CIRL 단백질은 black widow spider venom 중 하

나인 α-latrotoxin의 수용체로 1996년 처음 클로닝되

Page 5: 접착 G 단백질 연결 수용체(Adhesion-GPCR)인 BAI 단백질과 …에서야 BAI, CIRL 등이 시냅스의 구조 및 기능을 직접적으 로 조절한다는 연구결과들이

논/단

5 ● ● 분 자 세 포 생 물 학 뉴 스 레 터

었다[20]. α-latrotoxin은 세포 외부에 존재하는 칼슘 이

온 없이도 척추동물의 신경세포 말단에서 신경전달물질

(neurotransmitter)의 대규모 방출을 유도하며 exocytosis

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21, 22]. CIRL 단백질은 α

-latrotoxin의 수용체를 찾기 위해서 많은 연구실들이 동시

다발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latrophilin, LEC(lectomedin)

등의 다른 이름으로도 명명되었다. CIRL subfamily는

BAI subfamily와 마찬가지로 3개의 단백질들로 구성되

어 있다(CIRL1, CIRL2 and CIRL3) [23]. CIRL 단백질은

N-terminal 부위에 GBL(galactose-binding lectin) 도메

인, ~260개의 amino acid로 구성된 OLF(olfactomedin)

도메인, ~70개의 amino acid로 구성된 HRM(hormone

receptor motif) 도메인, 그리고 GAIN 도메인으로 구성

되어 있다[23] (그림 2A). α-latrotoxin은 HRM을 포함한

N-terminal 부위에 결합하며, CIRL의 기생선충(parasitic

nematode)에서의 상동유전자(ortholog)인 HC110-R 단백

질은 neuropeptide인 AF1, AF10, PF2와 결합한다[4]. 최

근에는 다양한 접착 단백질과 직접 결합하여 시냅스 발달을

조절함이 알려졌다[4]. C-terminal 부위는 BAI 단백질과

마찬가지로 PDZ 도메인에 결합하는 sequence motif를 갖

고 있으며 흥분성 시냅스의 구조와 기능을 PDZ scaffold 단

백질인 Shank 단백질과 결합한다[24]. 또한 clathrin 단백

질과 ATP에 결합하는 TRIP8b 단백질과도 상호작용함이 알

려졌으나 아직 그 기능에 대해선 알려져 있지 않다[25].

CIRL1과 CIRL3 단백질은 뇌에서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반면, CIRL2 단백질은 많은 조직에서 ubiquitous하게 발현

한다[23]. CIRL 단백질도 다른 접착 GPCR 단백질과 마찬

가지로 GPS motif에서 autoproteolysis가 일어나게 되나,

BAI 단백질과는 달리 세포 표면에 발현하는데 있어 이 과정

이 필수적이다[9].

CIRL 단백질의 리간드가 최근 밝혀지면서 시냅스에서의

기능도 최근 알려지게 되었다. CIRL1 낙아웃과 neurexin-1

α 낙아웃 연구를 통해서 두 단백질이 α-latrotoxin의 주

요 수용체이며 서로 기능적으로 연관되어 있음이 증명되

었다[26]. 두 단백질은 상호작용하여 세포 간의 접착과정

(intercellular adhesion)을 매개한다(그림 2). 흥미롭게

도 neurexin 단백질의 alternative splicing event에 의해

서 두 단백질의 상호작용이 조절되는데, splice site 4(SS4)

에 alternative splicing insert가 없는 neurexin splicing

variants만 CIRL1 단백질의 extracellular region 중 OLF

도메인에 특이적으로 결합한다[27]. 또한 CIRL1 단백질은

teneurin 막단백질과 상호작용하는데 alternative splicing

에 의해서 조절된다[28]. Teneurin 단백질은 초파리 발생

과정에 관여하는 pair-rule 유전자인 ten-m의 상동유전자

로서 헤파린 결합 단백질로 처음 동정되었다[29]. 초파리에

서 ten-m 유전자는 파트너로서 ten-a 유전자와 함께 각각

project neuron과 olfactory receptor neuron에서 발현하

여 hemophilic adhesion을 매개한다[30]. 또한 동일 접착

단백질체가 신경근연접(neuromuscular junction)에서 시

냅스 조직 및 타겟 선택에 관여함도 밝혀졌다[31]. 전자현미

경 연구를 통해서 CIRL1 단백질은 주로 전시냅스에 존재하

며 teneurin 단백질은 후시냅스에 존재함이 밝혀졌는데, 이

는 neurexin/CIRL1 단백질의 상호작용에서 CIRL1 단백질

이 주로 후시냅스에 존재할 것이라는 기존 보고와는 상이한

결과이다[27]. CIRL 단백질의 시냅스 기능의 가장 직접적

인 증거는 leucine-rich repeat(LRR) 도메인을 갖고 있는

FLRT(fibronectin leucine-rich repeat transmembrane)

단백질과의 상호작용이 흥분성 시냅스 발달에 관여한다는

최근 보고인데, 이들 단백질을 낙다운 시킬 경우 흥분성 시

냅스의 구조 및 기능이 저해된다[32]. 최근에는 이들 단백질

의 상호작용이 전시냅스 신경세포에서 CIRL3 단백질을 낙

다운 시킬 경우 후시냅스 신경세포와의 시냅스 형성이 관

여됨이 밝혀졌다[33]. 세포 안쪽으로 CIRL1 단백질은 Gα0

과 Gαq/11 등 다양한 G protein과 결합하여 세포 내 cyclic

AMP(cAMP) 및 Inositol triphosphate(IP3) level을 증

가시키고, phospholipase C(PLC) 효소를 촉진하여 세포

내 칼슘 이온의 농도를 증가시킨다[4]. 하지만 CIRL2 및

CIRL3 단백질의 경우 아직까지 자세한 신호전달기전 체계

가 알려져 있지 않다.

뇌질환과의 연관성 BAI/CIRL; 약물개발 전망

BAI 및 LHPN 접착 GPCR 단백질은 모두 시냅스의 구

Page 6: 접착 G 단백질 연결 수용체(Adhesion-GPCR)인 BAI 단백질과 …에서야 BAI, CIRL 등이 시냅스의 구조 및 기능을 직접적으 로 조절한다는 연구결과들이

웹 진 2014ㅣ07 ● ● 6

조 및 기능을 조절하는 직접적인 증거들이 최근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고, 많은 뇌정신질환들이 시냅스 유전자의 기

능이상으로 초래된다는 ‘시냅스질환(synaptopathy)’ 가설

이 신경생물학자들에게 큰 주목을 받고 있으므로 앞으로 이

들 단백질이 관련 뇌질환의 주요 타겟으로 주목 받게 될 것

으로 예상된다. BAI1 유전자의 경우 자폐(autism) 환자들

이 주로 germline mutation이 발생하는 hotspot에 위치

하고 있기 때문에 아마도 자폐질환과 연관성이 있을 것으

로 예상된다[34]. BAI3 유전자의 단일 핵산염기 다형현상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및 유전자 복제 수 변

이(copy number variation)가 정신분열(schizophrenia)

과 연관 있음이 보고되었고, BAI3 단백질 발현 수준이 조울

증(bipolar disorder) 및 일부 정신분열증 환자들에게 치료

제로 흔히 사용되는 리튬(lithium)에 의해서 변화한다[35].

CIRL3 유전자의 경우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와 연관성이 있

음이 보고되었다[36]. 따라서 이들 단백질이 앞으로 관련 뇌

정신질환 치료제의 직접적 타겟으로 활용될 가능성은 충분

molecular and cellular Biology Newsletter

Page 7: 접착 G 단백질 연결 수용체(Adhesion-GPCR)인 BAI 단백질과 …에서야 BAI, CIRL 등이 시냅스의 구조 및 기능을 직접적으 로 조절한다는 연구결과들이

논/단

7 ● ● 분 자 세 포 생 물 학 뉴 스 레 터

하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치료제 개발이 가속화되려면 우

선 1) 이들 단백질들의 리간드가 완전히 밝혀져야 하며, 2)

downstream 신호전달과정이 완전하게 규명되어야 한다.

이러한 기초연구과정이 선행되어야 이후 high-throughput

screening을 통해서 저분자 agonist, antagonist 그리고

modulator 등의 물질개발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또한 리

간드가 밝혀지고 BAI/CIRL 단백질과의 복합체 구조연구도

진행되어야 약물개발 시 side effect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

이다. 다른 GPCR 단백질과는 차별화된 접착 GPCR 단백질

의 특징을 최대한 활용하여 최근 약리학(pharmacology) 분

야에서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biased ligand’ 개념을 적용

하여 특정 신호전달체계만을 활성화시켜 약물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결 론

접착 GPCR 단백질은 접착단백질과 GPCR 단백질의 구조

적 특징을 모두 갖고 있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빠르고 정확한

신호전달체계가 필수적인 뇌시냅스의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가능성이 높다. 본 논단에서 논의한 BAI 및 CIRL 단

백질도 아직까지 초기단계의 연구에 머물러 있다. 이들 단백

질과 함께 아직까지도 중추신경계에서 그 기능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다른 접착 GPCR 단백질에 관한 연구도 활발

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예측된다. 이와 함께 인간유전학 기술

등의 발달과 함께 접착 GPCR 단백질의 다양한 뇌질환과의

연관성도 보다 더 굳건히 확립될 것이다.

[ 참고문헌 ]1. Venkatakrishnan AJ, Deupi X, Lebon G, Tate CG,

Schertler GF, Babu MM. Molecular signatures

of G-protein-coupled receptors. Nature 2013;

494:185-194.

2. Rosenbaum DM, Rasmussen SG, Kobilka BK.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G-protein-coupled

receptors. Nature 2009; 459:356-363.

3. Carrieri A, Perez-Nueno VI, Lentini G, Ritchie

DW. Recent trends and future prospects in

computational GPCR drug discovery: from virtual

screening to polypharmacology. Curr Top Med

Chem 2013; 13:1069-1097.

4. Langenhan T, Aust G, Hamann J. Sticky signaling

—adhesion class G protein-coupled receptors take

the stage. Sci Signal 2013; 6:re3.

5. Haitina T, Olsson F, Stephansson O, Alsio J,

Roman E, Ebendal T, Schioth HB, Fredriksson R.

Expression profile of the entire family of Adhesion

G protein-coupled receptors in mouse and rat.

BMC Neurosci 2008; 9:43.

6. Stephenson JR, Purcell RH, Hall RA. The BAI

subfamily of adhesion GPCRs: synaptic regulation

and beyond. Trends Pharmacol Sci 2014; 35:208-

215.

7. Shiratsuchi T, Nishimori H, Ichise H, Nakamura

Y, Tokino T.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BAI2

and BAI3, novel genes homologos to brain-specific

angiogenesis inhibitor 1 (BAI1). Cytogenet Cell

Genet 1997; 79:103-108.

8. Kee HJ, Koh JT, Kim MM, Ahn KY, Kim JK, Bae

CS, Park SS, Kim KK. Expression of brain-specific

angiogenesis inhibitor 3 (BAI3) in normal brain and

implications for BAI3 in ischemia-induced brain

angiogenesis and malignant glioma. FEBS Lett

2004; 569:307-316.

9. Arac D, Boucard AA, Bolliger MF, Nguyen J, Soltis

SM, Sudhof TC, Brunger AT. A novel evolutionarily

conserved domain of cell-adhesion GPCRs

mediates autoproteolysis. EMBO J 2012; 31:1364-

1378.

10. Koh JT, Kook H, Kee HJ, Seo YW, Jeong

BC, Lee JH, Kim MY, Yoon KC, Jung S, Kim

Page 8: 접착 G 단백질 연결 수용체(Adhesion-GPCR)인 BAI 단백질과 …에서야 BAI, CIRL 등이 시냅스의 구조 및 기능을 직접적으 로 조절한다는 연구결과들이

웹 진 2014ㅣ07 ● ● 8

KK. Extracellular fragment of brain-specific

angiogenesis inhibitor 1 suppresses endothelial cell

proliferation by blocking alphavbeta5 integrin. Exp

Cell Res 2004; 294:172-184.

11. Kaur B, Cork SM, Sandberg EM, Devi NS, Zhang

Z, Klenotic PA, Febbraio M, Shim H, Mao H,

Tucker-Burden C, Silverstein RL, Brad DJ,

Olson JJ, Van Meir EG. Vasculostatin inhibits

intracranial gloma growth and negatively regulates

in vivo angiogenesis through a CD36-dependent

mechanism. Cancer Res 2009; 69:1212-1220.

12. Duman JG, Tzeng CP, Tu YK, Munjal T,

Schwechter B, Ho TS, Tolias KF. The adhesion-

GPCR BAI1 regulates synaptogenesis by controlling

the recruitment of the Par3/Tiam1 polarity complex

to synaptic sites. J Neurosci 2013; 33:6964-6978.

13. Stephenson JR, Paavola KJ, Schaefer SA, Kaur B,

Van Meir EG, Hall RA. Brain-specific angiogenesis

inhibitor-1 signaling, regulation, and enrichment

in the postsynaptic density. J Biol Chem 2013;

288:22248-22256.

14. Lim IA, Hall DD, Hell JW. Selectivity and

promiscuity of the first and second PDZ domains

of PSD-95 and synapse-associated protein 102. J

Biol Chem 2002; 277:21697-21711.

15. Choi J, Ko J, Racz B, Burette A, Lee JR, Kim

S, Na M, Lee HW, Kim K, Weinberg RJ, Kim

E. Regulation of dendritic spine morphogenesis

by insulin receptor substrate 53, a downstream

effector of Rac1 and Cdc42 small GTPases. J

Neurosci 2005; 25:869-879.

16. Kim M, Choi J, Yang J, Chung W, Kim JH,

Paik SK, Kim K, Han S, Won H, Bae YS, Cho

SH, Seo J, Bae YC, Choi SY, Kim E. Enhanced

NMDA receptor-mediated synaptic transmission,

enhanced long-term potentiation, impaired

learning and memory in mice lacking IRSp53. J

Neurosci 2009; 29:1586-1595.

17. Okajima D, Kudo G, Yokota H. Antidepressant-

like behavior in brain-specific angiogenesis

inhibitor 2-deficitn mice. J Physiol Sci 2011;

61;47-54.

18. Jeong BC, Kim MM, Lee JH, Kee HJ, Koh DH, Han

KE, Qian YR, Kim JK, Kim KK. Brain-specific

angiogenesis inhibitor 2 regulates VEGF through

GABP that acts as a transcriptional repressor.

FEBS Lett 2006; 580:669-676.

19. Bolliger MF, Martinelli DC, Sudhof TC. The cell-

adhesion G protein-coupled receptor BAI3 is a

high-affinity receptor for C1q-like proteins. Proc

Natl Acad Sci USA 2011; 108:2534-2539.

20. Davletov BA, Shamotienko OG, Lelianova

VG, Grishin EV, Ushkaryov YA. Isolation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a Ca2+-

independent alpha-latrotoxin-binding protein. J

Biol Chem 1996; 271:23239-23245.

21. Scheer H, Madeddu L, Dozio N, Gatti G, Vecentini

LM, Meldolesi J. Alpha latrotoxin of black widow

spider venom: an interesting neurotoxin and a tool

for investigating the process of neurotransmitter

release. J Physiol 1984; 79:216-221.

22. Ushkaryov YA, Rohou A, Sugita S. Alpha-

Latrotoxin and its receptors. Handb Exp Pharmacol

2008; 184:171-206.

23. Sudhof TC. Alpha-Latrotoxin and its receptors:

neurexins and CIRL/latrophilins. Annu Rev

Neurosci 2001; 24:933-962.

24. Tobaben S, Sudhof TC, Stahl B. The G protein-

coupled receptor CL1 interacts directly with

proteins of the Shank family. J Biol Chem 2000;

275:36204-36210.

25. Popova NV, Plotnikov AN, Ziganshin Rkh, Derev

molecular and cellular Biology Newsletter

Page 9: 접착 G 단백질 연결 수용체(Adhesion-GPCR)인 BAI 단백질과 …에서야 BAI, CIRL 등이 시냅스의 구조 및 기능을 직접적으 로 조절한다는 연구결과들이

논/단

9 ● ● 분 자 세 포 생 물 학 뉴 스 레 터

IE, Petrenko AG. Analysis of proteins interacting

with TRIP8b adaptor. Biochemistry 2008; 73:644-

651.

26. Tobaben S, Sudhof TC, Stahl B. Genetic analysis

of alpha-latrotoxin receptors reveals functional

interdependence of CIRL/latrophilin 1 and neurexin

1 alpha. J Biol Chem 2002; 277:6359-6365.

27. Boucard AA, Ko J, Sudhof TC. High affinity

neurexin binding to cell adhesion G-protein

coupled receptor CIRL1/latrophilin-1 produces an

intercellular adhesion complex. J Biol Chem 2012;

287:9399-9413.

28. Boucard AA, Maxeiner S, Sudhof TC. Latrophilins

function as heterophilic cell-adhesion molecules

by binding to teneurins: regulation by alternative

splicing. J Biol Chem 2014; 289:387-402.

29. Minet AD, Rubin BP, Tucker RP, Baumgartner S,

Chiquet-Ehrismann R. Teneurin-1, a vertebrate

homologue of the Drosophila pair-rule gene

ten-m, is a neuronal protein with a novel type of

heparin-binding domain. J Cell Sci 112:2019-2032.

30. Hong W, Mosca TJ, Luo L. Teneurins instruct

synaptic partner matching in an olfactory map.

Nature 2012; 484:201-207.

31. Mosca TJ, Hong W, Dani VS, Favaloro V,

Luo L. Trans-synaptic Teneurin signaling in

neuromuscular synapse organization and target

choice. Nature 2012; 484:237-241.

32. O’Sullivan ML, de Wit J, Savas JN, Comoletti

D, Otto-Hitt S, Yates JR 3rd, Ghosh A. FLRT

proteins are endogenous latrophilin ligands and

regulate excitatory synapse development. Neuron

2012; 73:903-910.

33. O’Sullivan ML, Martini F, von Daake S, Comoletti

D, Ghosh A. LPHN3, a presynaptic adhesion-

GPCR implicated in ADHD, regulates the strength

of neocortical layer 2/3 synaptic input to layer 5.

Neural Dev 2014; 9:7.

34. Michaelson JJ et al. Whole-gene sequencing in

autism identifies hot spots for de novo germline

mutation. Cell 2012; 151: 1431-1442.

35. McCarthy MJ et al. A survey of genomic studies

supports association of circadian clock genes with

bipolar disorder spectrum illnesses and lithium

response. PLoS ONE 2012; 7:e32091.

36. Arcos-Burgos M et al. A common variant of the

latrophilin 3 gene, LPHN3, confers susceptibility

to ADHD and predicts effectiveness of stimulant

medication. Mol Psychiatry 2010; 15:1053-1066.

고 지 승

저 | 자 | 약 | 력

2007-2011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생명공학과, 공학사

2011-2013연세대학교 생명시스템대학 생명공학과, 공학석사

2014-현재 연세대학교 생명시스템대학 생화학과, 박사과정

고 재 원

1996-2000 한국과학기술원 생물학과, 이학사

2000-2002 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 이학석사

2002-2005 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 이학박사

2005-2007 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 연수연구원

2007-2008Univ. of Texas Southwestern Medical Center, 박사후연구원

2008-2011Stanford Univ. of School of Medicine, 박사후연구원

2011-현재 연세대학교 생명시스템대학 생화학과, 조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