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정책연구의 산실 kdi(개관)

25
번영을 향한 경제 설계 _ 1970년대 주요 연구성과 개발연대의 경제정책과 개발계획 1970년대 초의 개발정책과 장기비전 김적교 _ 61 유도계획적 5개년개발계획 사공일 _ 71 경제안정정책 1970년대 안정정책의 회고 송희연 _ 73 1980년대 초의 안정화 시책 남상우 _ 90 1970년대 양정과 정책건의 문팔용 _ 102 산업구조 고도화정책과 부문계획의 계량화 김윤형 _ 117 인적자원과 노사관계 김수곤 _ 129 중화학공업화시대의 산업정책연구 김영봉 _ 144 사회복지정책의 연구와 제도도입 민재성·박재용 _ 161 2부 정책연구 사례 지난 40년간의 KDI 기능확대와 업적 김광석 _ 16 1부 개관 경제위기의 극복과 구조개혁 _ 1990년대 주요 연구성과 금리자유화와 금융실명제 도입 남상우 _ 267 북한경제 연구 고일동 _ 305 1997년 경제위기 극복 김준경·조동철 _ 319 정부개혁 이계식 _ 342 재정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조사체계 확립과 공공투자관리센터 설립 김재형 _ 361 KDI의 과거역할과 발전방향 사공일 _ 379 정책연구의 세계적 추세와 KDI의 역할 모종린 _ 385 국립 싱크탱크의 바람직한 미래상 박세일 _ 400 변화에의 끝없는 도전 _ 1980년대 주요 연구성과 공기업 관리제도 개혁 사공일·송대희 _ 187 경쟁정책의 도입 이규억 _ 198 경제개발경험의 對개도국 전수 황인정 _ 216 1980년대 수입자유화정책 양수길 _ 238 21세기 선진경제를 향하여 _ 2000년대 주요 연구성과 한국경제의 비전 작업 김주훈 _ 413 재정개혁과 공공개혁 고영선 _ 445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기 위한 연구 서중해 _ 470 고령화 및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연구 문형표 _ 491 양극화 해소를 위한 소득분배 개선과 고용정책 기여 유경준 _ 522 국제개발 의제 설정과 지식 공유 임원혁 _ 535 북한 경제 연구 고일동 _ 558 서비스산업 선진화 관련 연구 차문중 _ 572 부록 _ 594 발간사 _ 4

Upload: k-developedia

Post on 12-Jul-2015

281 views

Category:

Documents


3 download

TRANSCRIPT

Page 1: 대한민국 정책연구의 산실 Kdi(개관)

번영을 향한 경제 설계_ 1970년대 주요 연구성과

개발연대의 경제정책과 개발계획

1970년대 초의 개발정책과 장기비전•김적교 _ 61

유도계획적 5개년개발계획•사공일 _ 71

경제안정정책

1970년대 안정정책의 회고•송희연 _ 73

1980년대 초의 안정화 시책•남상우 _ 90

1970년대 양정과 정책건의•문팔용 _ 102

산업구조 고도화정책과 부문계획의 계량화•김윤형 _ 117

인적자원과 노사관계•김수곤 _ 129

중화학공업화시대의 산업정책연구•김영봉 _ 144

사회복지정책의 연구와 제도도입•민재성·박재용 _ 161

2부 정책연구 사례

지난 40년간의 KDI 기능확대와 업적•김광석 _ 161부 개관

경제위기의 극복과 구조개혁_ 1990년대 주요 연구성과

금리자유화와 금융실명제 도입•남상우 _ 267

북한경제 연구•고일동 _ 305

1997년 경제위기 극복•김준경·조동철 _ 319

정부개혁•이계식 _ 342

재정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조사체계 확립과 공공투자관리센터 설립•김재형 _ 361

KDI의 과거역할과 발전방향•사공일 _ 379

정책연구의 세계적 추세와 KDI의 역할•모종린 _ 385

국립 싱크탱크의 바람직한 미래상•박세일 _ 400

변화에의 끝없는 도전_ 1980년대 주요 연구성과

공기업 관리제도 개혁•사공일·송대희 _ 187

경쟁정책의 도입•이규억 _ 198

경제개발경험의 對개도국 전수•황인정 _ 216

1980년대 수입자유화정책•양수길 _ 238

21세기 선진경제를 향하여_ 2000년대 주요 연구성과

한국경제의 비전 작업•김주훈 _ 413

재정개혁과 공공개혁•고영선 _ 445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기 위한 연구•서중해 _ 470

고령화 및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연구•문형표 _ 491

양극화 해소를 위한 소득분배 개선과 고용정책 기여•유경준 _ 522

국제개발 의제 설정과 지식 공유•임원혁 _ 535

북한 경제 연구•고일동 _ 558

서비스산업 선진화 관련 연구•차문중 _ 572

부록 _ 594

발간사 _ 4

Page 2: 대한민국 정책연구의 산실 Kdi(개관)

개관

Page 3: 대한민국 정책연구의 산실 Kdi(개관)

1970년대

본관 개관 기념식에 참석한

박정희 대통령

창립 기념 리셉션(1972. 7. 4)

개관 기념식에서

조감도를 둘러보는

박정희 대통령

1 본관 개관식(1972. 7. 4)

2 박정희 대통령 개관 기념 휘호(1972. 7. 4)

3 본관 진입로 초입의 자연석 간판

4 개관 직후 본관 모습

1

2

3 4

Page 4: 대한민국 정책연구의 산실 Kdi(개관)

1970년대

제1차 국제심포지움(1972. 7. 5)

제3차 국제심포지움(1974. 6. 25)

제2차 국제 심포지움(KDI-DAS Conference)(1973.10.10)

제2차 국제 심포지움(KDI-DAS Conference)(1973.10.10)

Page 5: 대한민국 정책연구의 산실 Kdi(개관)

1970년대

1 Walter Falcon 교수 강연회(Stanford 대학)(1973. 6. 5)

2 장기경제사회발전 대구 설명회(1978)”

1 제3차 경제정책협의회(1975)

2 비크리 교수 초청 강연(1972. 8. 11)

3 헬리 교수 초청 강연(1972. 7. 25)

4 충남 천안시 부대동 직원농촌현장교육(1972. 8. 2)

5 허만 칸 세미나(1976. 9. 7)

1

2

1

2

4

3

5

Page 6: 대한민국 정책연구의 산실 Kdi(개관)

17

16

지난

년간의

기능

확대와

업적

40

KDI

를 주 업무로 하는 공공투자관리센터가 연구원 내에 설치되었다. 2005년 1월에는 공공

투자관리센터가 부설기관으로 확대 개편되고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 제23조

에 의거 국토연구원 부설기관이었던 민간투자지원센터가 공공투자관리센터로 이관되

었다. 이에 따라 공공투자관리센터는 기존의 대규모 재정투자사업 지원업무에 더하여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사업계획의 검토·평가 및 실시협약체결 등 민간투자사업

시행자 지정과 관련된 민간투자사업 지원업무, 그리고 공공투자관련제도개선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또한 2004년에는 국제교류협력센터가 국제정책대학원으로 이관되면서 재정경제부

(현 기획재정부) 후원 경제발전경험 공유사업(Knowledge Sharing Program; KSP)을 시행하

기 시작하였다. 한편 국제사회에서 대한민국의 위상이 제고되어 이에 상응하는 역할

을 수행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KSP 사업이 급속히 확대되고 국제개발협력의 중요

성이 부각됨에 따라 2010년에는 부설기관으로 국제개발협력센터(Center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ID)를 설치하고 다시 국제교류협력업무 일체를 대학원으로부터 이관하였다.

이것은 KDI의 기능이 초창기의 설립목적의 범위를 넘어서 크게 확대·진화되어온 것

을 의미한다. 창립 40주년을 맞게 된 KDI는 이제 경제사회 현상에 관한 종합적 연구

를 수행하고 내외 국민의 이해를 증진시키며, 국제화를 위한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공

공투자사업 관리를 담당함과 동시에 한국의 경제발전경험과 지식을 개발도상국과 공

유함으로써 국가의 경제정책 수립과 경제발전에 직접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는 종합적

인 싱크탱크 겸 고등교육기관으로 변모되었다.

지난 40년간 KDI는 정부의 5개년계획 작성 지원기능과 연구업무 이외의 추가된 네

가지 주요기능과 관련된 업무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연구과제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

해왔다. 각 연구과제별로 그 내용과 깊이가 다르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수량적으로 이

야기한다는 것은 문제가 있을지 모른다. 그러나 2012년 5월 현재의 『KDI간행물 Data

Base』에 의하면 개원 이래 KDI가 발간한 간행물은 총계 6,695종에 이른다. 이러한 간

행물 중에는 연구결과의 깊이와 정책적 및 학문적 기여도를 평가하여 연구보고서 형

식으로 333종, 정책연구보고서로 490종, 그리고 『한국개발연구』(누적 논문 수 728종) 등의

각종 정기간행물도 포함된다.

이러한 연구원 간행물로 나타난 연구실적은 모두 정도의 차이는 있을 것이나 우리나

라 경제계획의 작성과 경제·사회발전정책의 수립을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되었

을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연구실적은 대학에서의 경제교육과 일반국민의 경제문제의

지난 40년간의 KDI 기능 확대와 업적

김 광 석*

머리말

한국개발연구원(KDI) 창립 40주년이 지났다. 1971년 3월에 우리나라 경제전반에 관한 정책

과제를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국가의 5개년계획 수립 및 정책입안을 돕기 위한 연구기관으로

설립된 KDI는 그 후 우리나라 경제발전과정에서 많은 기능면의 확대·변화를 경험하면서 진화

되어왔다.

1981년에는 우리나라의 개발경험을 다른 개발도상국들과 공유하기 위한 국제개발교환계획

(IDEP)을 주축으로 한 경제연구 분야에서의 국제교류협력센터의 기능이 KDI에 추가되었다.

1991년에는 하나의 독립적인 출연연구기관으로 존재하던 국민경제제도 연구원을 흡수·통합함

으로써 국민경제교육 또는 연수와 경제정책홍보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경제정보센터를 부설

기관으로 두게 되었다. 90년대 후반에 와서는 우리나라가 제7차 5개년계획(1992~96)과 新경제

5개년계획(1993~97)을 끝으로 더 이상 중장기 계획에 의존한 경제운영을 하지 않게 됨에 따라

5개년계획 수립을 돕기 위한 KDI 기능은 없어지게 되었다.

한편 KDI는 1997년 12월에 국제대학원대학 설립인가를 받아 국제정책대학원대학교를 운영

하게 되었다. 또한 2000년 1월에는 대규모 재정투자 사업의 사전평가, 중간관리 및 사후평가

* 전경희대학교교수,KDI선임연구위원,부원장/재직기간:1972~82년.본고는김광석교수가30년사발간에즈음하여요약한내용을

전홍택선임연구위원과조병구선임연구위원이2000년대의10년을추가하여수정·보완하였다.

Page 7: 대한민국 정책연구의 산실 Kdi(개관)

19

18

지난

년간의

기능

확대와

업적

40

KDI

용하도록 합의했다. 여기에 더해서 USAID는 약 170만 달러의 원조자금을 연구에 필요

한 외국학술도서 및 사무용 기계의 구입과 연구원의 해외연수를 위해서 제공했다. 한

국정부에서는 토지구입, 연구원건물건설 및 책임급 연구원의 아파트 건설비 등을 위해

서 약 5억 원의 자금을 제공했다. 이것은 KDI 설립에 필요한 시설비와 기타 기본적인

비용이 전적으로 한국정부와 미국원조당국에 의해서 지원되었음을 의미한다. 설립 당

시의 KDI 기금은 13억 원(당시의 환율로 약 420만 달러)밖에 안 되었지만 정부의 지속적인

기금증액으로 KDI가 기금의 운용수입만 갖고도 경상비를 충분히 조달할 수 있게 함으

로써 연구원 활동 면에서 독립성을 보장해줄 것이라는 정책당국의 약속도 있었다. 그

러나 KDI는 초기 약 3년 정도는 기금의 이자수입으로 운영비를 조달할 수 있었으나 그

후는 인플레이션에 의한 기금실질가치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기금증액이 이루어지지 못

했기 때문에 KDI 예산의 정부 의존도는 계속 증가되어 왔다. 결과적으로 KDI 창립 40

년이 지난 지금도 연구원 운영은 정부출연금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연구원의 기초가 거의 확립된 1973년의 KDI 총예산규모는 경상가격기준으로 약 17

억 원이었는데 1981년에는 30억 원, 1991년에는 82억 원, 2001년(대학원 제외)에는 223억

원, 그리고 2011년(대학원제외)에는 843억 원으로 계속적인 증가세를 나타냈다. 그러나

연구원 예산 중 최근에 큰 증가를 보인 일반사업 예산(공공투자관리사업 등) 및 수탁용역

사업(KSP사업 등) 예산을 공제한 기관고유연구사업의 예산은 82억 원에 머물고 있어 최

근 10여년의 예산 증가가 고유 연구기능보다는 공공투자관리, 국제개발협력, 경제정보·

교육 등 부설기관 기능의 확대에 기인한 것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KDI는 법률에 기초한 특별법인의 성격을 띠고 있으므로 설립 이후 1998년까지는 이

사장과 원장을 포함한 9인의 이사로 구성된 이사회가 연구원의 연간운영계획, 연간예

산 및 회계결산 등을 포함하는 원 운영에 관한 중요한 결정을 해왔다. 9인의 이사 중

원장을 제외한 이사는 모두 비상근직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그중 네 개 경제부처 차

관으로 구성된 당연직 이사를 제외한 나머지 4인의이사는 대부분 전·현직 대학교수 중

에서 임명되었다. 이사회는 주무부처(문민정부 이전에는 경제기획원 그리고 그 후는 재정경제부)의

승인을 얻어 감사를 임명할 수 있는데 1980년대 초까지는 상임감사의 임명이 가능했으

나 그 후는 비상임으로 대치되었다.

연구원 원장은 최고경영자로서 원 운영에 관한 전적인 책임을 지도록 되어 있다. 한

국개발연구원법에 의하면 초대 원장은 경제기획원 장관에 의해서 임명되도록 되어 있

었으나 그 후의 원장은 이사회에서 선임하도록 했다. 그러나 현실에 있어서는 주무부처

이해를 돕기 위한 경제교재로도 유용하게 활용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중에서 일부는 경제

계획 및 정책수립에 직접적으로 기여한 것도 있을 것이나 대부분의 연구결과는 우리나라의 경

제·사회개발정책 문제에 대한 이해를 넓힘으로써 간접적으로 기여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

책자에 실린 정책수립에 직접적으로 기여한 25개의 사례는 연구원 업적 가운데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이 글은 지난 40년간 KDI가 무엇을 했는가 하는 것을 되돌아보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

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이 글에서는 연구원의 설립목적에 따라 주어진 주요 기능, 즉 연구·

국제개발협력·홍보·교육 및 공공투자관리 등의 활동실적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하기로 한다.

물론 KDI의 주요 기능 수행을 지원하는 사무국, 전산실과 도서실 등의 업무도 중요함을 충분

히 인식하나 그들의 성과는 KDI 주요 기능 관련실적에 반영되었을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본 서론에 뒤이은 제2절에서는 먼저 개원 이래 연구원의 조직과 재정의 변천을 논의하고 있

다. 그 다음 제3절부터 제6절에서는 지난 40년간의 연구활동을 10년 간격으로 구분하여 검토

함으로써 각 기간별 연구활동의 특징과 그 변화패턴을 찾아보고자 한다. 제7절에서는 연구관

련 기능, 즉 KDI부설 국제개발협력센터, 공공투자관리센터와 경제정보센터 및 국제정책대학

원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끝으로 제8절에서는 앞에서 논의한 내용에 기초해서 결론을 도출하

고자 한다.

조직과 재정의 변천

우리나라에서 경제개발문제연구소 설립의 필요성은 제2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1967~71)을 작

성하고 있던 1966년에 처음 제기되었으며 그러한 사실은 동 계획문서에도 기록되어 있다. 당시

계획작성 과정에서 주요정책문제에 관한 결정은 국가이익의 장기적 관점에서 이루어진 포괄적

이고도 깊이 있는 실증적 분석결과에 기초해야 할 것이 요구되었으나 60년대 후반에는 정부

에 필요한 정책관련 실증적 연구를 담당할 능력과 의사가 있는 조직체가 없었다. 국내 대학이

나 민간경제연구소도당시에는 그러한 역할을 담당할 능력이 없었으며 따라서 제2차계획 작성

을 위해서는 미국원조자금에 의한 많은 외국전문가의 초청이 불가피했다. 이러한 당시의 사정

을 반영하여 경제개발문제연구소의 설립은 주로 경제계획 작성과 주요 정책문제를 다루는 데

투입되어야 했던 외국 자문인력을 대체할 필요성에서 제기되었던 것이다.

1970년 말경에 한국개발연구원법이 공포되었는데, 이미 그 이전에 한국정부와 주한 미국원

조당국(USAID)은 당시에 對充資金計定에 남아 있던 약 13억 원 전액을 KDI 설립기금으로 사

Page 8: 대한민국 정책연구의 산실 Kdi(개관)

21

20

지난

년간의

기능

확대와

업적

40

KDI

명의 지원인력이 필요했으나 1998년 이후 2004년까지는 3명 정도만이 필요하게 되었으

며, 다시 최근에는 5, 6명 정도로 늘어났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2005년 이후 지

원인력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는 것은 부설 기관의 기능상 비책임급 전문인력이 증가

하였기 때문이다. 또 하나 재미있는 사실은 책임급 연구원 1인당 연구원(전문연구원1 포함)

및 연구행정2원수는 1973년의 3.4명 수준에서 1986년에는 4.6명까지 증가했다가 그 후

점감되어 1994년에는 3.0명에 이르고 그 후 급속히 감소하여 1998년 이후에는 1명으로

축소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책임급 연구원 1인당 전체적 지원인력과 직접적 연구지

원인력의 감축은 그간 연구원 내의 자체 전산시설(main frame computer)의 확충, 성능이

개량된 PC의 확대보급, 각종 소프트웨어와 각종 자료를 정리해서 입력한 데이터 뱅크

의 확충 등에 의해서 가능해졌다고 볼 수 있겠다. 그리고 1998년 이후 연구원 지원업

무의 상당한 부분을 외주활동으로 대체한 것도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후 공

공투자관리 및 국제개발협력 사업이 급속히 확대됨에 따라 책임급 연구원 1인당 직접

적 연구지원인력(연구원 및 연구행정원) 수는 2005년에는 다시 3.7명 수준으로 증가하게 되

고, 2011년 현재에는 그 수가 4.5명에 이르게 되었다. 이는 앞서 언급한대로 최근 KDI

기능이 고유연구사업보다 부설기관의 기능 중심으로 확대되었는데 부설기관의 사업은

고유연구사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책임급 연구원 인력을 더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이

다. 부설기관을 제외한 연구부서의 책임급 연구원 1인당 직접적 연구지원인력은 설립

초 3.4명에서 현재 2.6명으로 감소하였다. 한편 부설기관을 제외한 본원의 총 인원(연구

지원 인력포함)은 2011년 현재 207명인데 연구지원인력에 부설기관 지원인력이 상당수 포

함되어 있으므로 사실상 1973년의 재직인원 171명과 거의 비슷한 수준이다. 지난 40년

간 KDI 기능이 부설 기관을 중심으로 크게 확대되어 전체 재직인원수가 배증하였으나

연구부서의 인원수는 큰 변화 없이 유지되고 있는 것은 결과적으로 위에서 지적한 여

러 가지 요인의 작용으로 가능해졌을 것이다. 그러나 근본적으로는 초기 10년간의 운영

책임을 맡았던 김만제 원장에 의한 소수정예 중심의 연구원 인력운영원칙이 하나의 전

통처럼 그 후에도 지켜졌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보겠다. 사실 KDI 초기 10년간에는 연

구인력을 확충하여 여러 정부부처에서 필요로 하는 정책과제의 연구도 모두 담당해달

라는 요구가 많았다. 그러나 KDI는 연구원의 인원수가 너무 많아지면 거기에 상응하는

기구확대가 있어야 되고 그러다 보면 연구원조직의 관료화로 인해서 효율적인 연구활

동이 불가능할 것임을 설득했다. 당시에 KDI 원장은 미국의 Brookings Institution에

서와 같이 연구원의 정식직원은 소수정예 중심으로 유지하되 연구업무의 일시적인 증

장관 또는 보다 고위층에서 지명한자를 이사회 의결이라는 요식행위를 통해서 확정하는 것이

문민정부 시까지는 관례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김대중 정부에 들어와서는 1999년 1월에 제정

공포된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 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설립된 경제사회연구

회(2005년에 경제·인문사회연구회로 개정) 이사회에서 원장과 감사를 선출하도록 변경되었다. 그런데

경제·인문사회연구회는 이사장을 포함한 17인의 이사로 구성되는데 그중의 8인은 정부의 차

관급인사로 채워지는 당연직 이사이고 나머지 8인은선출직인데 주로 전·현직 대학교수와 컨

설팅 대표 등의 인사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는 이 이사회가 종전의 각 연구기관별 이사회의 기

능을 승계하여 연구원의 예산, 결산 및 주요 사업계획 등의 승인권도 갖고 있다.

KDI의 연구원과 연구지원인력을 포함한 전체 직원 수는 홍릉에 새로 건립된 청사에 입주

후 기본적인 연구원의 기틀이 마련되었다고 판단되는 1973년에 171명에 달했는데 그 후 17년

이 경과한 1990년 4월에는 270명 수준으로 완만한 증가패턴을 보였다. 그러나 1990년 말경의

북한경제연구센터의 설치와 또한 그 다음해 말경에 국민경제제도연구원의 흡수·통합 등으로

연구원 인원수는 1992년 10월에는 359명으로 일시적인 증가를 나타내기도 했다. 그러나 그

후의 지속적인 인원감축으로 1997년 9월 현재 전체 직원 수는 263명으로 줄었고 또한 1998

년의 대대적인 경영혁신의 추진결과로 부설 국제대학원의 설립으로 인한 약간의 인원증가에도

불구하고 2001년 현재 직원 수는 오히려 204명으로 감소되었다. 특히 국제대학원의 소속인원

만을 공제하고 경제정보센터(국민경제제도연구원의 후신)와 본원의 인원을 통합한 수치는 공교롭게

도 개원초기인 1973년의 인원수와 같았다.

이후 지속적으로 220여명의 직원 수를 유지하다가 2005년에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

자법의 개정으로 국토연구원의 산하기관이었던 민간투자지원센터가 우리 연구원의 부설기관

으로 흡수되어 공공투자관리센터가 설치됨에 따라 직원 수가 260여 명으로 증가하게 되고,

2009년 9월에는 경제협력 대상국가와의 경제발전 경험 및 지식공유, 국제개발·원조정책의 연

구·자문을 위하여 국제개발협력센터가 설립되어 2011년 말 현재의 직원 수는 360여 명에 이

르고 있다.

KDI의 국제대학원을 제외한 전체 직원 수에 대한 책임급 연구원의 비중은 1973년에서

1990년대 전반까지는 대체로 15% 내외에서 변동하는 안정적인 추세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그

후 완만한 증가세를 보이다가 1998년 이후에는 연구원의 구조조정효과를 반영하여 동 비중

은 25% 내외를 유지하였으나 2005년 이후 부설 기관 기능 확대에 따라 동 비중은 다시 점진

적으로 하락하여 2005년에는 18%, 2011년 현재에는 책임급 연구원의 비중이 16% 내외를 유

지하고 있다. 이것은 1990년대 전반기 이전에는 한 사람의 책임급 연구원 활동을 위해서 5, 6

Page 9: 대한민국 정책연구의 산실 Kdi(개관)

23

22

지난

년간의

기능

확대와

업적

40

KDI

서 세계은행과 UNDP 등의 협조하에 많은 외국의 계획관련 전문가를 초청하여 그들의

자문을 받도록 했는데 KDI는 그들을 위해서 부문별 정책과제의 토의자료를 준비하고

또 그들의 자문활동의 성과가 극대화되도록 조정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이러한 5개년

계획의 작성을 위한 지원뿐만 아니라 연구원의 많은 책임급 연구원은 경제기획원에서

주관하는 3개년 연동계획과 연차별 경제운영계획의 작성과정에도적극 협력했다.

이러한 정부의 공식적인 5개년계획 작성과정에서 기여한 것 이외에도 KDI는 1976∼

77년간에 『장기경제사회발전 1977∼91년』이라는 소위 15개년계획을 작성하여 정부에

제출했다. 이 계획은 우리나라 경제사회발전에 대한 장기적인 전망을 통해서 장기적인

정책과제를 부각시키고 대책방향을 모색함으로써 장래의 5개년계획의 방향설정을 위

한 비전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 장기계획은 책임급 연구원이 중심이 되어

작성하였지만 경제기획원을 비롯한 여러 정부부처 담당자와 민간인 전문가들도 작업위

원회에 참여시킴으로써 그들의 의견도 수렴하였다.

한국경제의 근대화과정 연구

이 연구는 1975∼78년간에 KDI와 미국 하버드대학교 부설 국제개발연구소(HIID)가

공동으로 추진하여 국·영문 각각 10권씩의 연구총서를 출간토록 한 대규모 사업의 하

나였다. 이 연구를 위해서 김만제 원장과 Edward Mason 교수가 총편집책임을 맡고

분야별로 한국 측 20명과 미국 측 14명의 전문가가 공동연구형식으로 참여했다. 그런

데 당시에 이러한 연구를 추진한 것은 우리 경제의성공적인 시련극복과 그 후의 지속적

인 고도성장과정에 대한 국내외의 관심은 높아지고 있었으나 우리 경제발전을 종합적

으로 다룬 출판물은 아주 희귀했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연구는 장래의 우리나라 개

발계획작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해 줄뿐만 아니라 관심 있는 국내외 여러 학자, 개

발정책수립자 및 국제원조기관 등에는 성공적인 경제발전사례로 제시될 것으로 기대되

었다. 이 연구를 위한 소요예산 중 외화소요액 약 46만 달러는 USAID에서 지원했으

며, 연구결과의 영문본은 하버드대학교 출판부에서 발간하고 국문본은 연구원의 연구

총서로 발간하여 보급했다.

보건기획단 사업과 인구사무국 운영

보건기획단 사업은 1975년 9월에 한·미 정부 간에 체결된 차관협정에 따라 진행될

보건의료시범사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1976년 4월에서 1980년 말까지 연구

대로 인원이 필요한 경우 초청연구원제도와 외부용역제도를 확대함으로써 대처하고자 했다.

사실 1980년대 초경에 국가보위대책위원회에 의해 출연연구기관의 통폐합이 시도될 때 사회과

학분야의 모든 연구원을 KDI 산하에 통합하고자 하는 안이 유력하게 제시된 바도 있었으나

KDI 경영진은 그러한 통합의 불합리성을 적극 개진하여 통합을 피했던 경험도 있다.

연구원의 개원초기에는 외국에서 유치된 박사학위소지 연구원을 모두 똑같이 수석연구원으

로 호칭하고 그들을 각 연구팀의 책임자로 하고 그 밑에 주임연구원, 연구원, 연구원보와 연구

조원이 보좌토록 했을 뿐 수석연구원 간의 어떤 계층조직도 없었다. 그러나 1973년 초에는 부

원장제도도 처음생기고 연구부를 제1, 2부로 나누고 각 부의 부장을 임명하여 각기 자기 부의

연구업무를 총괄·조정하도록 했다. 그 후에 연구 제3부도 생기고 또 각 부 밑에는 3개 내지 5

개 정도의 연구실을 두고 수석연구원이 자기전문분야에 맞는 각 연구실의 책임자가 되도록 했

다. 그러나 이러한 계층적 연구원조직은 오래가지 못했다. 연구원 내에서 연구실 간 업무관장

에 관한 의견충돌이 일어나고 또한 원조직의 관료화경향에 대한 비판도 있어 1978년 초에는

부·실별 계층조직제도를 철폐했다. 그 대신종래의 부장급에 해당하는 비교적 경력이 많은 수

석연구원을 새로이 도입된 연구위원이라는 직명에 임명하고 선임자 또는 팀장으로서 수석연구

원들의 연구활동을 조정하는 역할을 맡도록 했다. 이러한 조치로 책임급 연구원의 계층이 두

개로 나누어지게 되었는데 1982년 8월에 와서는 연구위원을 선임연구위원으로, 그리고 종래

의 수석연구원을 연구위원으로 하고 그 밑에 부연구위원이라는 직명을 두도록 함으로써 책임

급 연구원을 경력에 따라 더욱 세분하는 제도를 도입했는데 그러한 제도가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연구부의 조직을 팀 또는 부별로 하거나 업무의 성격상 센터로 하고 그러한 조직의 팀장,

부장 또는 센터장을 원칙적으로 선임연구위원 중에서 임명하는 관례도 80년대 초반 이후 계

속 유지되고 있다.

초기 10년간(1971∼80)의 중점연구과제와 그 실적

경제개발 5개년계획의 작성 지원

이 기간 중에 제4차계획(1977∼81)과 제5차계획(1982∼86)이 작성되었으며 따라서 KDI의 일부

책임급 연구원은 거시계량모형과 부문계획모형을 포함하는 계획모형을 개발·발전시키는 한편

다른 책임급 연구원은 모두 이 두 계획작성과정에서 실무계획반의 구성원으로 참여하여 계획

수립을 적극 지원했다. 또한 KDI는 두 계획작성과정에서 많은 횟수의 정책협의회를 개최하여

정책문제에 대한 각계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계획작성에 반영토록 했다. 계획작성을 위해

Page 10: 대한민국 정책연구의 산실 Kdi(개관)

25

24

지난

년간의

기능

확대와

업적

40

KDI

적 내용이 되었다. 이러한 산업부문 연구결과는 보고서로 출간하여 정부와 기업 차원

에서의 계획 및 정책 수립을 위한 참고자료로서 널리 활용되도록 했다.

사회보장제도 개선을 위한 연구

고도성장으로 1인당 국민소득은 급속히 증가되고 있었으나 1970년대의 우리나라 근

로자복지 및 사회취약계층에 대한 사회보장체계는 매우 낙후된 상태에 있었다. 따라서

KDI는 우리 사회보장체계의 현황과 문제점을 외국, 특히 선진국의 경험을 거울삼아 면

밀히 분석·검토함으로써 사회적 욕구에 부응하는 사회보장체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

였다. 우선 1979∼80년간에 추진된 연구에서 KDI 연구진은 보건사회부를 비롯한 여러

정부부처의 협조를 얻어 사회보장과 관련된 우리나라의 경제·사회적 제반요인을 분석

하고 또한 선진국과 개도국을 방문하여 수집한 자료에 기초하여 각국 사회보장제도의

장단점을 비교·분석했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하여 의료보험제도, 산업재해보상보험제

도, 연금제도와 퇴직금제도, 고용보험제도, 공적부조사업, 사회복지서비스 등의 제반

사회보장제도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소득분배문제에 관한 연구

분배문제의 중요성에 비추어 KDI는 1978∼79년간에 계층별 소득분포의 추계와 분

석, 부문별 분배의 결정요인분석, 조세와 보조금의 재분배효과, 임금구조와 소득분배,

교육투자와 분배, 절대빈곤문제 등 소득분배문제의 다각적 실증연구를 통해서 분배개

선을 위한 효과적인 정책수단을 발전시키고자 했다. 그리고 1980년에는 부족한 기초자

료상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서 별도의 소득조사를 실시하는 한편 기본생활요건과 경

제개발정책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또한 자산·출산력·재정 등 분배의 전략적 변수에 관

한 연구도 수행했다.

사회지표에 관한 연구

1975년부터 2년간 유엔 인구활동기금의 지원으로 경제기획원과 공동으로 인구통계

개선과 개발계획작성에 필요한 사회경제지표의 개발을 위한 연구사업을 진행했다. 이

연구과정에서 국제기관과선진제국의 사회지표체계를 우리나라 실정에 맞도록 조정하여

체계화했으며 각 지표의 정의와 측정방법도 정하도록 했다. 또 각 지표를 계량화하기

위해서 기존통계를 재분류했으며 미비한 자료는 사회통계 특별조사 결과에 따라 보완

원 내에 보건기획단을 설치·운영한 사업을 말한다. 여기에 비해서 인구사무국 사업은 유엔 인

구활동기금(UNFPA), 캐나다국제개발연구센터(IDRC)와 미국 인구협회(PC) 등의 자금지원을 받

아 운영될 인구사무국을 1975∼79년간 원내에 설치·운영한 것을 말한다. 양 사업은 성격상 정

부기관에서 직접 담당해야 했으나 당시로서는 정부에서 담당하기 곤란하고 또한 일부 정책연

구기능도 포함되어 있어 연구원에서 직접 담당토록 했다. 보건기획단 사업과 관련하여 수행된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즉, (1) 한국보건개발연구원에 의해 수행

되는 보건의료시범사업을 평가·분석하고 (2) 보건통계자료를 수집·분석하여 보건부문 정책과

제에 대한 연구를 하고 (3) 시범사업평가와 보건관계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보건정책협의회와

관계 정부부처에 정책건의를 했다. 인구사무국 운영과 관련된 주요 실적으로는 (1) 인구백서의

발간을 비롯해서 다수의 인구정책과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한편 (2) 미국 동서문화센터

인구문제연구소와 아시아정책연구소 등과 공동으로 수회에 걸친 인구문제 세미나를 개최한

것을 들 수 있다.

사우디 인력개발계획 용역

사우디 정부의 요청으로 수행한 주베일과 얀부 공업단지 인력개발계획 작성을 위한 용역사

업은 1978년부터 18개월간에 걸쳐서 이루어졌다. 이 연구를 위해서는 KDI의 인력전문가의 책

임하에 정부와 국내 민간단체에 속해 있는 인력문제 전문가뿐만 아니라 미국의 인력전문가까

지도 참여시킨 사우디 주재 용역팀의 구성이 필요했다. 본 사업은 주베일과 얀부의 공업단지

계획에 따른 직종별인력수요를 예측하고, 전 사우디 인구구조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노동공급

가능성을 진단하고 또한 필요인력의 공급확보방안으로서 직업훈련계획과 직업안정제도를 확

립하도록 건의하는 것을 주 내용으로 했다. 이 밖에도 공단의 필요인력을 사우디인으로 채울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그렇게 될 수 있도록 사우디인에 대한 동기부여방안에 대해서도 건

의했다. 이 연구의 결과로 6권의 영문보고서가 작성되어 사우디 정부에 제출되었다.

산업부문 연구

이 기간 중 산업부문 연구에도 연구원의 상당한 인적 및 물적 자원이 투입되었는데, 이 당시

에는 철강, 조선, 자동차, 기계, 섬유, 전자와 석유화학공업부문에 대한 연구가 추진되었다. 이

러한 연구에 있어서는 제조업 각 부문의 특성과 우리나라 생산요소시장조건에 비추어 본 비교

우위의 분석, 국내외 산업환경과 외부경제 등을 감안한 산업별 발전가능성과 필요성 분석, 그

리고 당면 과제와 전망을 기초로 한 발전방향의 선택과 정책제시 등이 산업부문 연구의 핵심

Page 11: 대한민국 정책연구의 산실 Kdi(개관)

27

26

지난

년간의

기능

확대와

업적

40

KDI

1981∼91년간의 중점연구과제와 그 실적

5개년계획의 작성지원(계속사업)

이 기간에도 정부의 5개년계획 작성을 지원하는 업무가 중요했다. 제5차 5개년계획

의 작성이 1980년 중에 마무리되지 못하고 1981년까지 계속됨에 따라 우선 각 실무작

업반에서 마련한 5차계획안에 대한 정책협의회를 개최하여 계획안에 대한 각계 전문가

의 의견을 수렴하도록 했다. 그리고 제6차계획(1987∼91)의 작성과정에서도 KDI는 그전

계획의 작성 때와 비슷하게 계획모형을 개발·발전시키고 또한 계획수립 실무작업반에

모두 참여하여 계획작성을 적극 돕도록 했다. 이 과정에서 책임급 연구원들은 각 부문

별 계획작성을 위해서 필요한 정책연구를 담당하기도 했으며, 수많은 정책협의회와 전

문가간담회를 개최하여 계획안에 대한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하는 역할도 담당했다.

사회지표체계의 개선을 위한 연구

1970년대 후반에 이미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과 공동으로 경제사회지표에 관한 제1

차 연구를 수행한 바 있는데, 1987년부터는 우리나라 사회지표의 체계개선을 위한 연

구를 추진했다. 우리나라사회발전단계 및 추세를 감안하고 국민적 관심과 여망에 걸맞

은 새로운 사회지표체계를 마련하기위해서 KDI는 인구·고용·노사·교육·보건·주택·

환경·문화·여가·사회·공안·여성·아동 등 부문별로 사회개발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

통계정비 문제를 면밀히 검토·연구했다. 이 사업의결과로 조사통계국은 1979년부터 발

간하고 있던 『한국의 사회지표』를 크게 확대 개선한 새로운 지표를 1989년부터 발표할

수 있게 되었다.

국민연금제도 연구

1982년부터 기존의 각종 복지연금제도에 관한 분석에서부터 출발해서 새로운 국민

연금제도의 도입을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했다. 특히 새로운 국민연금제도의 도입과 관

련해서는 그러한 제도도입의 기본시각, 적용대상, 재원조달방법, 급여내용, 기금운용방

법, 행정체계 등을 상세히 제시함과 아울러 제도도입에 따르는 사회경제적인 파급효과

까지도 분석함으로써 후일 국민연금제도 도입의 시발점을 마련해 주었다. 1989년에는

한국전쟁 이후 40여 년간 실시되어온 국가보훈보상제도를 재평가함으로써 제도개선방

안을 모색하기 위한 국가보훈보상제도의 개편방안이라는 연구과제도 수행했다.

토록 했다. 이 사업의 결과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은 1979년부터 『한국의 사회지표』를 매년 발

간할 수 있게 되었다.

투자심사업무 지원

1977년부터 연구원에서는 투자심사단을 설치·운영하여 정부와 민간부문의 주요 투자사업

의 경제적 타당성을 평가하는 데 참여했다. 다른 한편 경제기획원에 설립된 투자심사국을 위

해서 기초자료의 수집, 타당성분석 편람의 작성, 투자심사업무 관련자들에 대한 교육훈련 등

을 담당했다. 경제기획원의 투자심사업무의 기초가 확립된 후에는 KDI의 활동은 주요 산업의

경제적 특성과 장래전망을 위한 기초연구와 투자사업의 비용·편익분석에 필요한 부문별 잠재

가격계수의 추정 등을 담당함으로써 투자심사업무를 간접적으로 지원하는 형태로 전환했다.

정부부처 및 공기업의 용역사업

이 기간 중 KDI는 여러 정부부처, 지방자치단체와 공기업 등으로부터 受託한 연구사업도 많

이 수행했다. 그중에서 규모가 크고 중요한 사업으로서는 동력자원부를 위한 종합에너지정책

수립(1976∼78), 한국전력의 장기종합 경영개선방안(1977∼78), 포항제철을 위한 철강경기의 측정

분석과 예측모형 개발(1974∼75)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자체연구에 기초한 정책건의 또는 자문활동을 하는 데 그치지 않고 KDI는 국내

외적으로 주요 정책과제에 대한 토론의 광장을 마련함과 동시에 국제적 유대관계를 증진시키

기 위해서 노력했다. 우선 국내적으로는 5개년계획 작성과정과 관련하여 이미 언급한 바와 같

은 정책협의회를 개최하여 정부·학계·경제계·언론계 등 각계각층의 의견을 집약하도록 했다.

물론 이런 정책협의회는 중장기 계획작성 문제에 한정되지 않고 경제안정화 시책, 경기대책 등

특정 정책과제에 대한 경우도 많았다. 국제적으로는 국제기구와 외국의 대학 및 연구기관들과

공동으로 심포지엄 및 세미나를 자주 개최함으로써 연구결과의 상호교류를 촉진하고 외국학

자들과의 유대관계를 돈독히 유지하려고 했다.

이 기간부터 KDI는 연구결과를 연구총서·연구보고서·Working Paper 등의 형식으로 출간

하여 연구성과의 광범한 배포에도 힘썼다. 그리고 1979년 봄부터는 『한국개발연구』(1995년부터

『KDI정책연구』로 제호 변경)라는 계간지를 발행함으로써 연구결과를 신속하고도 광범위하게 소개

되도록 했다.

Page 12: 대한민국 정책연구의 산실 Kdi(개관)

29

28

지난

년간의

기능

확대와

업적

40

KDI

구를 개시했다. 우선 초기의 연구목적은 우리나라 경제력집중의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

고 그런 경제력집중의원인과 그에 따르는 문제점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경제력

집중 억제대책을 마련하는 데 있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경제력집중 억제를 위해

서 공정거래법의 개정을 포함한 다각적인 대책이 필요함을 역설했으며 그렇게 함으로써

1986년 공정거래법 개정 시에 경제력집중 억제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데 기

여할 수 있었다.

2000년을 향한 국가장기발전구상 연구

2000년을 18년이나 앞두고 1982년에 착수하여 1985년에 완료된 이 연구는 국내외

환경과 여건의 변화전망과 우리나라의 발전잠재력 평가 등을 통해서 2000년의 국가

발전의 모습을 도출하고 이의실현을 위한 여러 정책과제에 대한 기본시각과 대응방향

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여기에서 고려한 정책과제에는 사회제도 발전, 사회

구성원의 기능개발, 경제적 기반의 확충, 국민복지 증진, 지역개발, 국제기반의 확대 등

의 문제를 포함했다. 이 연구결과는 정부의 5개년계획을 포함한 중장기계획 수립과 각

부문의 정책입안 시에 필요한 참고지침을 제시해 주는 것과 동시에 민간기업의경영전략

수립과 일반국민의 장기적인 생활계획 수립을 위해서도 도움이 될 것을 기대했다. 이

연구를 위해서 11개 정부출연 연구기관의 협찬연구가 있었으며 또한 연구 진행과정에

서 학계·산업계·정부부처 등 각계 전문가의 토의참여가 있었다. KDI는 이 연구의 총

괄보고서를 발간하고 부문별 보고서는 협찬연구기관들에 의해서 발간되었다.

미래산업에 관한 연구

이 연구는 1980년대 후반에 이루어졌는데 이것은 국내외 여건변화에 따른 산업발전

의 미래상을 제시함으로써 이에 대비한 기본적인 정책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또한 이 연구 진행과정에 관련 기업체, 연구기관, 생산자단체, 전문

가 등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함으로서 우리나라 산업발전의 미래에 대한 각 부문의

이해와 공감대를 넓히는 데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 국내외 여건

변화에 부응한 산업정책의 기본방향이 제시되었는데 그 핵심적인내용은 그때까지 수출

지원과 특정산업 지원에 치중되었던 산업정책의 방향을 인력양성 및 기술개발을 중요

시하는 쪽으로 방향전환 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수입자유화 및 관세개편 연구

1982년에는 산업정책 연구를 통해서 우리나라의 수입규제와 고관세에 의한 수입장벽이 국

내산업의 경쟁력제고에 장애가 됨을 지적함과 아울러 수입장벽의 완화방안을 제시했다. 이러

한 연구결과는 그 후의 우리나라의 수입자유화와 세율균등화 방향으로의 관세개편안이 1984

∼88년간에 단계적으로 실시되도록 하는 데 기여했다고 보겠다. 이러한 산업정책 연구과정에

서 농업부문의 단계적 시장개방도 불가피하므로 전향적으로 농산물수입개방을 추진하되 이에

대비한 농촌경제의 현대화를 위한 대책이 필요함을 주장했다.

농외소득 증대를 위한 연구

1982∼83년에 실시된 이 연구는 농가의 소득향상을 위해서 농촌에 중소규모의 농공단지를

조성하고 농민으로 하여금 이 단지 내 입주공장에 취업토록 함으로써 농외소득을 증대케 하

자는 안을 제시했다. 이러한 안은 그간에 농가소득 증대방안으로 이중곡가제를 통한 가격보

조정책을 실시해왔으나 영농규모의 영세성으로 그 효과가 제한될 뿐만 아니라 이중곡가제의

실시에 수반된 인플레이션의 부작용이 심각해짐에 따라 새로운 농가소득 증대방안으로 제시

된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입각한 연구원의 1983년 정책건의는 농어촌개발촉진법의 제정

을 유도하고 결과적으로 농공단지조성이 전국적으로 확대되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공기업 경영개선방안 연구

한국 공기업부문의 효율성 제고와 민영화를 위한 KDI의 연구는 원래 1974년에 캐나다

IDRC의 용역사업으로 착수된 동남아 8개국과의 네트워크 프로젝트(network project)로부터 시

작되었는데 1980년대에 들어와서는 정부투자기관 책임경영제도의 개발과 그 도입을 위한 법제

화 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연구결과로 발간된 『정부투자기관제도의 개선방안』, 『한국의

공기업관리정책』, 『정부투자기관 이사회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지방공기업의 과제와 발

전방안』등의 보고서는 모두 우리나라 공기업 운영개선을 위한 중요한 지침서로 활용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연구원의 건의에 따라 개선된 한국의 공기업경영제도는 국제적인 모델로서 관

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경제력집중 문제에 대한 연구

소수 대기업집단에의 경제력집중이 1980년대 들어와서 더욱 심화되어 하나의 정치·사회적

인 문제로까지 확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KDI는 이때부터 경제력집중 문제와 관련된 연

Page 13: 대한민국 정책연구의 산실 Kdi(개관)

31

30

지난

년간의

기능

확대와

업적

40

KDI

슷하게 거의 모든 책임급 연구원이 동원되었다. 특히 KDI는 동 5개년계획을 위한 거시

경제모형과 부문별 계획모형을 개발·발전시키는 데 적극 참여했으며 또한 주요 부문별

계획을 작성하는 데에도 참여했다. 그리고 5개년계획상의 주요 과제들을 선정하여 관

계기관, 관련 민간부문 및 전문가들이 참석하는 정책협의회를 통해서 대응방안을 제시

토록 했다. 그런데 이 7차계획의 작성이 완료된 지 약 1년 후 등장한 문민정부는 동 정

부의 집권기간(1993∼97)을 대상으로 한 「신경제 5개년계획」을 새로이 작성토록 했으며

따라서 KDI는 이 계획작성에도 참여해야 했다. 그러나 이 신경제 5개년계획은 심각한

집행계획이 뒤따르지 않는 Paper Plan에 그치고 말았으며 결과적으로 우리나라의 5개

년계획 제도의 종말을 장식하는 문서로서만 남게 되었다.

1970~80년대 한국경제의 ‘성숙화’ 과정 연구

1970년대에 KDI와 HIID(하버드大 국제개발연구소, 현 Center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의 전신)의 공동연구를 통해 출간된 ‘한국경제의 근대화과정 연구’ 시리즈의 연구총

서 10권은 경제발전분야의 연구자 및 개도국 정책당국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자료로

국내외에서 높이 평가받은 바 있다. 그로부터 약 10년이 지난 1987년 5월 박영철 당

시 KDI 원장과 HIID의 D. Perkins 소장은 두 연구소가 다시 한 번 공동연구를 통

해 그 후속 시리즈를 만들기로 합의하였다. 연구대상 기간은 국제유가 급등 및 중화

학공업화 정책 등 대내외의 큰 경제 변화가 있었던 1970년대 중반 이후로 잡고, 연

구주제로는 거시경제, 산업정책과 노동문제를 중심으로 한 사회정책문제 등 세 가

지를 선정했다. 그 결과물로 Macroeconomic Policy and Adjustment in Korea

1970-1990, Industrialization and the State: The Korean Heavy and Chemical

Industry Drive, The Strains of Economic Growth: Labor Unrest and Social

Dissatisfaction in Korea 등 3권의 연구총서가 완성되어 하버드大 출판부에 의해 배

포되었다. 이 연구는 80년대 후반에 착수되어 한·미학자 공저형식으로 진행되었고 그

결과의 최종 출간은 1997년에야 실현될 수 있었다.

한국경제 반세기의 역사적 평가

1995년에 KDI는 광복 5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지난 반세기간의 우리 경제의 발

전과정을 종합적으로 분석·평가하고 또한 장래 우리 경제의 비전을 제시하고자 하는

대규모사업을 전개했다. 과거의 여러 연구가 제한된 기간에 관한 것이거나 또는 경제의

「경제선진화를 위한 기본구상」을 위한 연구지원

1988년에 KDI는 한시적 대통령자문기구인 경제구조조정 자문회의(위원장 : 유창순)의 사무국

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했는데, 이 자문회의는 경제개방화, 산업구조조정 추진과 국민생활 안정

화를 위한 중장기 경제사회정책의 개편방안을 수립하고 그 결과를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KDI

는 1988∼89년간에 『경제선진화를 위한 기본구상』 보고서의 국·영문판을 발간·보급했으며 또

한 국내외 주요도시에서 동 보고서에 대한 수차례의 설명회를 가진 바도 있다.

남북한 경제협력 및 통합방안 연구

1980년대 들어와서 KDI는 북한의 산업 및 무역구조와 경제제도 등 북한의 경제실상 분석에

서부터 출발해서 북한의 개방전망과 대북한 경제·기술협력, 교역 및 직·간접적인 투자전략에

관해서 연구하고 또한 민족공동체의 기본구상과 실천방안을 포함하는 남북한 경제협력방안에

관한 정부의 기본정책 수립을 지원해왔다. 특히 1984∼85년간에는 5차에 걸친 남북경제회담

을 위한 정책자료를 마련하는 데 기여했으며 또한 1990년의 남북 고위급회담에서의 남북 경제

교류협력 추진과 관련된 정책자료를 준비하는 데도 기여했다. 이와 같이 북한경제에 관한 연구

의 필요성이 증대함에 따라 1990년 11월에는 KDI 내에 북한경제연구센터(1998년에 연구팀으로 축

소)를 설치하여 북한경제 연구를 본격화하기 시작했다.

위와 같은 많은 경제사회정책과제에 대한 연구를 담당함과 동시에 KDI는 초기 10년의 경우

와 비슷하게 국내외적으로 주요 정책과제에 대한 토론의 광장을 마련하고 동시에 국제유대관

계의 증진에도 기여하도록 했다. 국내적으로는 5개년계획 관련 정책협의회와 당면정책과제에

대한 협의회가 많이 개최되었으며 또한 국제적 차원에서도 많은 심포지엄과 세미나가 개최되었

다. 이 외에도 KDI는 1982∼89년간 태평양경제협력회의(PECC)와 관련된 국제회의를 수차 주관

함으로써 정부의태평양외교전략 수립에 적극 기여하고자 했다. 이 기간에도 많은 연구결과가

각종 형식의 간행물로 발간되어 배포되었다. 그런데 이 기간에는 『한국개발연구』라는 계간지에

추가해서 『KDI 분기별 경제전망』이 1982년 2/4분기부터 발행되기 시작했음을 기록해 둔다.

1991∼2001년간의 중점연구과제와 그 실적

5개년계획 작성 지원(계속사업)

1990년 하반기부터 준비해온 제7차 5개년계획(1992∼96)의 작성을 위해서 지난 20년간과 비

Page 14: 대한민국 정책연구의 산실 Kdi(개관)

33

32

지난

년간의

기능

확대와

업적

40

KDI

에 이 연구와 관련하여 연구개발,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분업관계, 생산성증대를 위한

인력개발 문제 등을 포괄적으로 다루었다. 이와는 별도로 1992년 봄에 경제기획원 경

제기획국과 공동으로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종합대책(속칭 신산업정책)의 수립에 착수

했다. 이 종합대책 수립을 위해서 국가경쟁 우위의 변화와 대응, 부실기업의 정리, 산업

과 금융 간 관계의 재정립, 기술혁신의 촉진, 기업 간 분업의 확대를 통한생산성 증대,

새로운 산업정책 수행을 위한 정부역할의 재정립 등의 과제를 연구했으나 대책수립은

중도에 포기해야 했다. 세간에 재벌해체작업이라고 와전되어 재벌의 극심한 반발에 부

딪혔기 때문이다.

우리 경제의 장기적 발전진로 연구

외환위기 이후 우리 경제의 성장원천 강화와 장기적 발전진로를 모색하기 위한 여러

가지 연구를 진행했다. 이러한 연구는 기존의 산업·무역·노동팀을 개편하여 발족한 ‘장

기비전팀’에서 담당했는데 교육, 과학기술, 세계화 및 FDI 등으로 연구영역을 확대함으

로써 21세기 지식경제화시대에 대비한 우리 경제의 지식기반요소의 확충을 위한 연구

에 중점을 두도록 했다.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 1999년에는 재정경제부 경제정책국 및

10여개의 외부 전문연구기관들과 공동으로 지식기반경제 발전전략에 관한 종합연구를

수행하여, 국민의 정부가 역점과제로 추진한 ‘지식기반경제발전 3개년계획’의 밑그림을

제공하였다(『새천년의 패러다임 : 지식기반경제 발전전략』 참조). 이와는 별도로 동북아지역의 급

속한 경제성장과 역내분업 심화에 대응하여 한국이 동북아의 거점국가로서 지역 내 주

도적 위치를 선점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을 위해서 동북아경제권 연구를 북한경제팀과

공동으로 수행하였다. 외환위기가 어느 정도 수습단계에 돌입한 2001년에는 위기극복

성과를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위기 이후 우리 경제의 새로운 장기 좌표를 설정하기 위

한 연구를 16개 연구기관과 공동으로 수행했다. 이 연구에서는 개방적 시장경제를 정착

시키고, 기술혁신, 인적자원과 정보통신에서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인프라 공급

에 시장기능을 활성화하며, 또한 삶의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한국경제를 동북아경제의

거점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있다 (『2011비전과 과제 : 열린 세상, 유연한 경

제』참조). 이러한 국가 차원의 비전 작업과 병행하여, 교육인적자원부 및 다수의 연구기

관·대학들과 공동으로 ‘국가인적자원개발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종합연구를 수행하였

으며, 산업자원부 및 기획예산처 등과의 협력하에 지역산업육성 및 지역혁신역량강화

에 관한 정책연구를 수행하였는바, 이를 통해 새로운 지식·혁신기반형 발전패러다임을

특정부문에 관한 것이었던 데 비해서 이 연구는 해방 후 50년간을 대상으로 하면서 동시에 우

리 경제의 모든 주요 부문의 발전과정을 망라해서 다루고 또한 북한경제까지도 다루었다는 데

그 특징이 있었다. 이 연구결과는 국문판뿐만 아니라 해외배포를 위한 영문판으로도 발간되었

다. 국문판의 작성을 위해서는 KDI와 KDI 외의 전문가를 포함해서 25명이 참여했으며 또한

영문판의 작성을 위해서는 4명의 저명한 미국인 교수도 참여했다.

북한경제 및 대북 경제정책에 관한 연구

1990년에 북한경제연구센터가 설치된 이후 북한경제와 대북 경제정책에 관한 많은 연구를

수행해 왔는데 그 중요한 내용을 기간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1991년 중 KDI의 책임하에 14개 관련기관들과의 공동연구를 통해서 『남북한 경제발전을

위한기본구상』을 작성·발간했다.

(2) 1991∼94년간에는 한국경제신문사와 공동으로 4회에 걸쳐 북한경제에 관한 국제학술회

의를 개최함으로써 북한경제에 관한 연구저변을 확대하고자 했다.

(3) 1992∼93년간에는 국가안전기획부(현 국가정보원)의 협조를 받아 북한경제 현황을 파악

하고 남북경협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종합적인 연구를 실시했는데, 그 결과는 정부의

대북경제정책의 기초자료로 제출되었다.

(4) 1997년에는 연세대학교 부설 통일연구원과 공동으로 통일시 예상되는 경제 각 부문의

주요과제를 파악하고 대응전략을 모색코자 한 『한반도 통일시의 경제통합전략』이라는 연구보

고서를 작성·발간했다.

(5) 1999년에는 통일부의 의뢰로 현 단계에서부터 미래의 남북공동체 형성 시까지 단계별로

제기될 정책과제를 연구하여 그 결과를 『민족경제공동체 형성 종합계획』이라는 보고서로 제출

하였다.

(6) 2002년에는 ‘제3국 컨설턴트’의 시각에서 북한이 처한 정치적·경제적 제약요인을 충분히

감안하여 북한이 수용가능한 경제정책방안인 북한경제발전전략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산업의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연구

1990년대 초 이후 외환위기 발생 이전까지 당시 팽배했던 경제위기론에 대응하여 국가경쟁

력 회복을 위한 새로운 산업정책적 접근방안을 집중적으로 연구했다. 이러한 연구는 당시의

‘산업·무역·노동팀’에서 담당했는데, 주 내용은 한국이 고부가가치형 산업에서 선진국의 전반

적인 경쟁우위 속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안을 연구하는 것이었다. 당시

Page 15: 대한민국 정책연구의 산실 Kdi(개관)

35

34

지난

년간의

기능

확대와

업적

40

KDI

공정거래법 제도 및 정책에 관한 연구

1991년 이후의 이 분야에 관한 연구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는데, 그 하나는

공정거래질서의 확립을 위한 법제도 및 정책에 관한 연구이며, 다른 하나는 소비자정책

관련 연구였다. 그중 공정거래질서의 확립을 위한 법제도 및 정책연구 분야에서는 다음

과 같은 네 가지 과제의 연구에 중점을 두었다. 즉 (1) 카르텔 규제의 강화를 위한 담합

규제의 효율화 및 규제의 실효성 제고방안 (2) 경쟁정책이 경제효율을 중시하는 방향으

로 운영되도록 하기 위한 시장거래의 규제와 경쟁정책, 재판매가격유지행위 규제의 개

선방안 등 (3) 급진전되고 있는 경쟁정책의 국제화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방안, 그리고

(4) 2001년 공정거래법 시행 20주년을 맞아 공정거래관련 법령들의 개정방안을 연구하

였다. 특히 공정거래법령의 개정방안 연구는 위법성 판단기준을 명확히 하고, 법률간

중복 또는 사각지대를 해소하며 피해구제의 실효성을 제고하는 데 주안점을 둠으로써

기존의개별 법령별 연구들이 제시하지 못하였던 영역을 망라하는 포괄적인 대규모 연

구사업이었다.

소비자정책 관련분야에서는 소비자정책의 법제 정비·확충과 정책활성화를 위해서

소비자정책의 방향정립 및 정책체제 구축, 표시·광고 등의 공정화를 위한 법률제정, 그

리고 제조물책임법 제정등과 관련된 여러 과제를 연구했다.

기업정책에 관한 연구

기업정책에 관한 연구에서는 주로 공기업 경영개선 및 민영화, 부실기업정리제도의

개선과 유통 및 조달시장의 효율화 등을 위한 대책방안을 다루었다. 좀더 세부적으로

제시하면 우선 공기업 경영개선 및 민영화 촉진과 관련해서는, 관련 없는 부문으로의

사업다각화 억제책과 상업적 공기업의 민영화 및 경영효율성 제고를 위한 방안에 초점

을 맞추도록 했다. 그리고 ‘국민의 정부’의 민영화정책 수립에도 직접 참여하는 한편 통

신·전력 요금에 대한 규제제도의 선진화를 위한 방안도 연구했다. 둘째, 부실기업정리

제도의 개선을 위해서는 舊회사정리법의 문제점을 분석함으로써 개선방안을 모색토록

했으며 또한 외환위기 직후에 부실대기업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패스트 트랙(fast-

track) 방식을 제시하기도 했다. 셋째, 유통 및 조달시장의 효율 제고를 위해서는 유통단

지 건립에 관한 규제완화책, 家電유통시장의 경쟁촉진 대책과 조달시장의 효율화 및 개

방화방안 등의 연구를 수행했다.

정착시키기 위한 제도개혁과제를 구체화하는 한편 산학연협력, 지역화·분권화 등 주요 현안

에 관한 구체적인 정책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금융의 자율화·개방화 관련 대응책 연구

1990년대 들어 세계적인 금융 자유화·개방화·국제화의 물결이 우리나라에도 파급되기 시

작했는데, 이러한 정책전환기를 맞이해서 KDI의 금융팀은 금융의 자율화 및 개방화에 관한

연구를 비롯해서 많은 연구를 수행했다. 우선 1991∼93년간에는 금리자유화의 과제 및 대책

방안과 채권시장개방의 추진방향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1994∼95년간에는 선진 금융시스

템을 구축하기 위한 하부구조 개선작업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자본시장의 효율성 제고방

안 연구를 수행하고 또한 정책결정과정에도 참여했다. 1996∼97년간에는 금융산업의 효율성

제고 차원에서 각종 규제를 완화하는 문제를 비롯해서 신종 금융산업 및 시장의 탄생에 따른

제도구축 관련 연구를 수행했다. 특히 1997년에는 대통령 직속 금융개혁위원회에 KDI 금융

팀이 실무적으로 참여하여 금융산업의 경쟁력 제고, 금융시장의 효율성 제고 및 금융하부구

조의 건전한 기반 확립을 위한 각종 개혁안을 마련하였다. 이는 동년 연말에 발생한 경제위기

에 대응하여 금융시스템 재건과 위기의 조기 극복방안을 KDI가 마련하고 제안하는 데 큰 도

움을 주었다. 또한 외환위기 이후, 즉 1998∼2001년간에는 상업·한일은행의 합병, 대한·한국

보증보험의 합병, 대한생명 구조조정, 국민·주택은행의 합병 등 금융산업의 재건 및 제도개혁

을 위한 구조조정작업에도 금융팀이 실무적으로 참여하였다.

외환위기 이후 경제정책의 대전환을 위한 정책개발 연구

1998년 4월에 KDI는 위기극복을 위한 종합대책방안을 최초로 입안·제시하고, 경제정책의

기본골격과 구조조정의 핵심과제 및 실천방안까지 제시함으로써 4대 개혁의 기본 틀을 마련하

였다. 당시 KDI는 1998년 말 현재 금융기관의 부실채권규모가 100조원(정부는 50조 원으로 주장)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여 이를 근거로 64조 원의 공적자금 투입을 건의했다. 1998년 8월에는 경기

급락을 방지하기 위한 확장적 통화정책안을 건의하기도 했는데, 이러한 건의는 외환위기 후 고

금리로 인한 지나친 경기침체와 그에 따른 성장잠재력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구조조정과

동시에 적절한 시기에 실시되어야 함을 주장한 것으로 당시의 거시경제정책 변화의 전기를 마

련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KDI는 당시에 신속한 기업구조조정을 촉진하기 위해서 패스트 트랙

(fast-track) 제도 도입안도 건의했으나 그 건의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정부는 워크아웃제도를 도입).

Page 16: 대한민국 정책연구의 산실 Kdi(개관)

37

36

지난

년간의

기능

확대와

업적

40

KDI

2002∼2011년간의 중점연구과제와 그 실적

한국경제의 비전 작업

1997년의 경제위기가 성공적으로 수습되고 새로운 경제질서가 자리를 잡게 되면서 새

롭게 개편된 경제구조와 그 운영원리에 대한 이해가 우리 사회 구성원들 간에 널리 확

산될 필요가 있다는 인식이 정책당국자와 경제전문가들 사이에 조성되기 시작하였다.

그에 따라 2001년 초 재정경제부와 KDI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작업화가 거론되기 시작

하였으며 이번에는 「비전」작업의 형태로 추진하는 것이 적합하다는 합의에 도달하였다.

과거의 경제개발계획은 정부가 실현하고자 하는 경제의 모습을 우리 사회구성원들에

게 펼쳐 보이는 top-down의 방식을 취하며, 작성과정에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정부주도가 원칙이었다. 그러나 2001년에 추진한 비전작업에서는 정부

의 일방적 주도로 추진되기 어렵게 시장경제화가 확산되었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따라 「비전 2011」에 관한 작업의 기획은 물론 추진이 과거 경제개발계획과 전혀 다

르게 시행되었다.

우선 비전작업의 보고서 명칭을 「비전 2011」로 정하였다. 이는 2001년부터 10년 후인

2011년에 실현되기를 바라는 우리 경제의 모습을 그리는 비전작업임을 명시적으로 나

타내기 위함이었다. 둘째, 부제로서 ‘열린 세상, 유연한 경제’를 붙이기로 하였다. 이 부

제는 당시 박병원 경제정책국장의 제안이었는데 비전작업의 내용을 함축적으로 요약

한 것이었다. 셋째, 비전작업은 전적으로 민간 전문가들에 의해 추진되도록 하였다. 이

원칙에 따라 비전작업의 총괄은 KDI에서 담당하기로 하였고 각 작업반은 연구기관과

학계, 관련업계 등 민간 전문가들로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작업에서는 목표지향적

성격의 계량화 작업은 배제하기로 하였다.

2002년 2월 14일 「비전 2011」이 김대중 대통령께 보고되었는데, 김 대통령이 가장 높

은 관심을 보인 것은 비공식적으로 준비된 2011년 우리 경제의 모습이었다. 김 대통령

은 「비전 2011」의 당초취지인 사회적 합의과정에 대한 중시를 높이 평가하고 민주화가

정착된 현실에 비추어 볼 때 정부주도로는 더 이상 정책추진이 작동되기 어려움에 깊

은 공감을 표하였다. 「비전 2011」에서 제기되었던 주요한 정책과제들의 상당부분은 여

전히 현재진행형이다. 당시가장 큰 관심사였던 글로벌 스탠더드의 시장경제 정착은 그

동안 큰 진전을 보이기도 하였지만 2008년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더 이상 정책적 의

제가 되지 못하는 처지가 되었다. 대외개방은 가장 큰 진전을 보였으나 고용문제와 경

외환위기 이전의 재정부문 연구

첫째로, 해방 이후 1990년대 초까지의 우리나라의 재정정책의 변천과정을 종합적으로 분

석·평가한 『한국재정 40년사』(전 7권)를 편찬·발간했다. 둘째, 1990년대 중반에는 정부개혁에

관한 선진국 사례를 수집·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에의 적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

어졌는데, 그러한 연구결과는 『정부혁신 : 선진국의 전략과 교훈』, 그리고 『아래로부터의 정부

개혁 : 선진국 9대 베스트 지방정부의 경영혁신 사례분석』 등의 보고서로 발간되었다. 셋째로,

예산회계제도의 개혁과 발전을 위한 방안제시를 위해서 선진 외국의 재정제도 연구를 수행했

다. 넷째로, 이 외에도 정부의 재정현안과제에 대한 정책건의를 위해서 한국재정의 주요 과제

와 정책방향, 21세기에 대비한 재정정책방향과 정부 생산성의 제고, 그리고 안정성장기의 재정

운영방향 등의 과제가 연구되었다. 끝으로, 각종 공적연금 및 의료보험 등 사회보장제도의 재

정적 안정과 구조적 개선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외환위기 이후의 재정부문 연구

외환위기 이후에는 중장기 재정건전성의 회복과 그 유지를 위한 연구에 중점을 두었으며,

세부연구과제로는 재정적자와 국민경제, 재정운영의 현안과제와 개선방향, 경제사회 여건변화

와 재정의 역할, 재정개혁, 중기재정계획(1998∼2002)의 주요 정책과제 등이 포함되었다. 이 외에

도 위기 이후실업·빈곤층의 증대와 소득분배 악화 등 경제·사회적 여건변화에 대응하여 사회

안전망의 확충 및 분배구조개선을 위한 연구도 중점적으로 추진되었다.

위와 같은 주요 연구과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함과 동시에 KDI는 지난 20년간의 경우와 비

슷하게 국내외적으로 주요 경제정책과제와 학술적 과제에 대한 정책협의회 또는 심포지엄 등

을 많이 개최함으로써 주요 현안과제 및 학술적 과제에 대한 의견수렴을 위해서 노력했다. 특

히 이 기간에는 5개년계획 관련 정책협의회가 크게 축소된 반면에 외환위기 이후의 주요 구조

조정과제에 대한 협의회가 많이 개최된 것이 특이했다. 주요 장기연구과제에 추가해서 단기 정

책과제연구도 여전히 많았는데 이 기간에는 위기 이후의 금융 및 기업구조조정 문제에 대한

단기과제연구가 특히 많았다.

Page 17: 대한민국 정책연구의 산실 Kdi(개관)

39

38

지난

년간의

기능

확대와

업적

40

KDI

야별 현황을 파악하고 정책방향을 고민하며 관련 전문가들과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

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특별회계 및 기금의 정비를 위해 기획재정부는 작업반을 구성하여 구체적인 정비방

안을 마련하였는데, 여기에도 KDI가 참여하였다. 그 결과는 2004년에 KDI가 주최한

공청회를 통해 발표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획재정부는 특별회계 및 기금의 정비를

추진하였다.

재정사업 심층평가제도와 관련해서도 KDI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당초 사업

평가(program evaluation)의 개념이 국내에 소개되지 않은 상태에서 KDI는 2004년도에

기초연구를 수행하고 도입 필요성을 지적하였다. 이에 따라 2006년에 심층평가제도가

도입되었는데, 기획재정부는 그 업무를 공공투자관리센터에 위탁하여 관리하도록 하였

다. 이후 매년 약 10건의 심층평가를 수행하면서 공공투자관리센터는 건설사업뿐 아니

라 여타 재정사업도 평가영역에 포함시키게 되었다. KDI 박사들은 심층평가에 참여함

으로써 관련 정책과 제도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었으며, 평가과정에서 관련 데이터

를 수집하여 연구에 활용할 수 있었다.

공공투자관리센터는 2005년에 국토연구원 민간투자지원센터를 이관 받음에 따라

기존의 재정사업뿐 아니라 민자사업까지 담당하게 되었다. 또 같은 해에 BTL 사업이

도입되는 과정에서 기존의 예비타당성조사 방법론을 바탕으로 적격성조사 방법론을 개

발하는 등 많은 역할을 수행하였다. 공공투자관리센터는 국제기구 및 외국정부와의 협

력사업도 활발하게 펼쳤다. 각종 국제회의를 조직하여 국내의 사례를 전파하는 데 앞

장섰는데, 그 결과 특히 민자사업 분야에서 우리나라는 모범적 사례로 인정받고 있다.

이처럼 공공투자관리센터가 발전하는 과정에서 김재형 전임소장과 박현 현 소장의 헌

신적인 노력이 돋보였다.

공공개혁 분야에서도 KDI는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공운법」 제정을 위해 정

부는 2005년에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는데, 설광언 박사를 비롯한 여러 KDI 박사가 여

기에 참여하였다. 해외사례를 조사하고 우리 실정에 맞는 제도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이들의 기여가 매우 컸다. 「공운법」 시행이후에는 보다 체계적인 연구 및 관리의 필요

성이 제기되었다. 기획재정부는 이를 담당해줄 조직을 KDI에 설치하기를 원하였으나,

KDI는 이미 부설조직이 많았기 때문에 이 요청을 거절하였다.

이처럼 재정개혁과 공공개혁에 있어 KDI는 밀접한 파트너 관계를 유지하면서 많은

업무를 수행하였다. 향후에도 KDI는 이 분야의 연구를 선도하면서 국내외 네트워크를

제구조의 양극화가 전개될 점은 예견하지 못하였다. 산업계에서 혁신이 어떻게 전개될 것이란

그림을 충분히 그리지 못한 점도 지적되어야 한다.

재정개혁과 공공개혁

외환위기 이후 정부재정은 큰 고비를 맞게 되었다. 정부채무는 빠르게 증가하였는데, 이는 한

편으로 경기침체로 인해 세수증가율이 급락하고 다른 한편으로 금융구조조정 및 경기부양을

위해 재정지출이 크게 늘어났기 때문이었다. 이처럼 재정건전성이 위협받게 됨에 따라 정부는

보다 중장기적인 시각에서 재정을 관리해야 할 필요성을 절감하였다. 이와 더불어 건국 이후 오

랜 기간 동안 큰 변화 없이 유지되어 온 재정제도를 전반적으로 손질할 필요성도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외환위기 직후 중기재정계획을 수립하고 성과관리제도를 도입하는 한편

대규모 재정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조사제도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노력은 2000년대에 보다

본격화되었다. 노무현 정부는 2003년 출범 직후 4대 재정혁신과제로서 국가재정운용계획, 예

산 총액배분자율편성제도, 성과관리시스템, 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을 제시하며 재정의 효율성·

건전성·투명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이에 따라 2004년부터 매년도에

5년 시계(視界)의 국가재정운용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총액배분자율편성제도를 도입하였다. 또

특별회계와 기금의 정비방안을 발표하여 연차별로 추진하였다. 이와 함께 기존의 성과목표관

리제도를 강화하는 한편 2005년과 2006년에 각각 재정사업 자율평가제도와 심층평가제도를

새로 도입하였다. 또 2005년부터 임대형 민간투자사업(BTL)을 본격 시행하였다.

공공개혁을 위한 노력도 지속하였는데, 2004년에 「정부산하기관 관리기본법」을 제정하여 산

하기관 관리체계를 재정비하였으며 2007년에는 이를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이하 「공운

법」)로 대체하였다. 2008년 집권한 이명박 정부는 여러 차례에 걸쳐 공공기관 선진화 계획을

수립하여 공공기관 민영화 및 통폐합 등의 구조조정과 더불어 대졸초임 인하, 보수수준 조정,

노사관계 합리화, 과도한 복리후생 축소, 평가제도 개선 등의 제도개선을 추진하였다.

정부가 재정개혁과 공공개혁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KDI는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고영

선 박사는 4대 재정혁신과제를 추진하기 위해 정부가 설치한 디지털예산회계기획단에 자문위

원으로 참여하여 계획의 수립과 집행과정에 깊이 관여하였다. 또 KDI는 정부의 국가재정운용

계획 수립을 지원하기 위한 사업을 의뢰받아 매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13개 내외의 재정

지출 분야별로 관련전문가들을 모아서 작업반을 구성하였으며, 주요 정책방향을 정리하여 공

개토론회를 개최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참고하여 정부는 매년 국가재정운용계획을 작성·발표

하였다. 한편으로 이는 상당한 행정부담을 초래하였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KDI 박사들이 분

Page 18: 대한민국 정책연구의 산실 Kdi(개관)

41

40

지난

년간의

기능

확대와

업적

40

KDI

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따라서 글로벌 금융위기를 유발한 구조적 요인들을 파

악하고 이를 개선하여 경제의 안정성을 회복시키는 동시에, 세계경제가 진화해 가는 경

로를 조망하고 우리경제의 구조를 그에 맞게 개편해가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인

식에서 출발하였다.

고령화 및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연구

새로운 세기에 접어들면서 우리 경제는 과거 발전과정에서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도전과제들에 당면하게 되었다. 그 중 대표적인 두 가지 사회현상은 소위 ‘양극화’라고

일컬어지는 소득분배구조의 악화현상과, ‘고령화’로 지칭되는 급속한 인구구조의 변화

현상이다. 그러나 불행히도 당시까지는 이러한 새로운 사회현상의 원인과 효과, 그리고

정책대응방안 등에 대한 선제적인 연구는 제대로 축적되지 못한 실정이었는바, 이에 대

한 체계적인 분석 및 연구가 시급히 요구되는 상황이었다.

이러한 취지에서 한국개발연구원은 지난 2003년 말에 국무총리실 산하의 경제·인

문사회연구회에 인구고령화를 위한 종합연구의 시급성을 역설하였으며, 연구회가 이를

수용함으로서 본격적인연구에 착수하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는 한국개발연구원이 주관하고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조세연구원

등을 비롯한 여러 국책연구기관과 많은 학계전문가들이 참여하는 ‘고령화 사회 대비 협

동연구’를 3개년(2004∼06)에 걸쳐 본격적으로 진행하였다. 3년의 기간 동안 각 기관의

연구진은 상호 긴밀한 협조하에 폭넓은 시각으로 고령화를 조명한 종합적 연구를 추진

하였으며, 이러한 협동연구결과를 다수의 보고서를 통해 발표하였다.

1차년도인 2004년에는 고령화연구의 첫 해인 만큼 우선 향후 우리나라의 인구고령

화가 민간시장 및 정부재정 등 각 경제 분야에 과연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을 하는 데에 그 초점을 맞추었다. 1차년도의 연구 결과 우리나라의 급

속한 인구고령화는 향후 경제성장의필수 요소인 노동의 양과 질을 감소시키고 생산적

자본축적을 저해하여 성장잠재력을 지속적으로 약화시킬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심각

한 것은 인구고령화로 인한 재정건전성의 약화나 국민연금, 건강보험을 비롯한 사회보

장제도의 재정불안 등 제도적 요인들로 인해 고령화의 영향이 실제 생활의 각 영역으로

전파되고 확대될 것이라는 점이었다. 2차년도 연구에 있어서는 인구고령화의 부정적 영

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책대응과제의 발굴에 그 초점을 맞추었다.

2006년 중 수행해 온 제3차년도 협동연구는 새로이 시행된 추가연구결과의 발표와

확장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기 위한 연구

경제가 선진화되면서 급격한 산업화 시기의 고도성장이 그대로 이어지지 않는 것은 자연스

러운 현상일 수 있겠으나, 외환위기 이후에 일어난 성장둔화의 요인을 분석하고 변화된 대내

외 여건에 따른 새로운 성장동력을 육성하려는 노력이 한국 경제의 정책방향을 결정하는 데에

중요하다고 판단되었다.

2006년 발간된 「경제위기 이후 한국경제의 성장둔화에 대한 실증적 평가」는 한국경제 성장

둔화의 특징적 사실을 분석하고, 국제비교적 관점에서 성장성과를 평가하고 있다. 한국경제의

성장둔화를 자본축적 속도 둔화에 기인한 것으로 본 연구 결과와 관련하여, 2006년 발간된

「성장동력으로서의 설비투자: 국제비교 및 미시실증분석」은 설비투자가 총요소생산성의 증가

를 통해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설비투자와 기술진보가 상호 보완적으로 경제성

장에 기여하고 있다는 점을 밝혔다.

2006년 발간된 「한국경제의 중장기 경제전망: 잠재성장 전망을 중심으로」는 인구고령화 등

으로 한국이 겪게 될 성장둔화에 대한 예측과 함께 생산함수의 요소별 전망치를 근거로 한국

경제의 잠재성장률을 전망하였다. 2008년 발간된 「한국경제의 새로운 성장 패러다임과 정책

과제 모색」은 1990년대 이후 한국의경제성장률이 둔화되면서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의 필요성

이 대두되고 있는 현상을 외환위기를 전후로 나타난 국제 분업구조의 확대, 중국 등 BRICs의

부상, 세계화를 매개로 한 국제규범의 확산, 저출산·고령화, 탈공업화와 경제의 서비스화, 고

용창출력 둔화와 소득분배 악화 등 급격한 구조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보았다. 2010년 발간된

「미래 사회경제 구조 변화와 국가발전 전략」은 세계 경제 환경의 변화에 대응한 우리의 장기 국

가발전 비전 및 전략을 수립하고 사회경제 주요 부문별 정책과제를 구체화하며 정부정책의 기

본 틀을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출발했다. 한국은 전쟁의 폐허 속에 정부재정의 절반을 해외로

부터의 원조에 의존하던 처지였으나, 한 세대 안에 산업화와 민주화를 동시에 달성하는 성과

를 이루었다. 앞으로는 인구구조 등 사회적 변화, 과학기술, 경제, 환경, 정치 등의 글로벌 메가

트렌드에 따른 변화를 수용하고 이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근본적인 시스템 개혁이 요

구된다.

2010년 발간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국경제의 발전방향」은 2008년 미국발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세계경제는 국제공조체제로 회복단계에 접어들었으나, 금융질서와 성장모형에 변화

가 나타나고 신흥국들의 에너지 수요 증가에 기인한 에너지 체계의 변혁 등 성장경로에 큰 변

Page 19: 대한민국 정책연구의 산실 Kdi(개관)

43

42

지난

년간의

기능

확대와

업적

40

KDI

이명박 정부는 감세와 투자활성화, 규제 완화 등을 통해 7%의 경제성장률을 달성하

고 연간 60만개(총 30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해 양극화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또한 MB

정부는 양극화 대책으로, 계층별, 연령별 맞춤형 복지제도를 통해 빈곤이 대물림되지

않도록 하는 사회안전망 체계를 갖추고 감세정책 등을 통해 서민부담을 경감시키고자

하였다.

KDI는 「휴먼뉴딜 정책의 기본방향과 정책과제」(2009, 문형표 총괄) 보고서를 통해 정부

가 제시한 휴먼뉴딜 정책의 기본개념 및 추진전략에 대해 종합적인 청사진을 제시하였

다. 휴먼뉴딜을 위한사회복지정책으로 1) 선제적이고 예방적인 투자(차상위층에 대한 지원)

2) 미래 중산층 인적역량강화(저소득층 아동의 교육 및 보육에 대한 조기 개입) 3) 사회안전망 강

화와 적극적 빈곤탈출 지원(근로연계복지제도, 사회보험 사각지대 해소)을 휴먼뉴딜을 위한 노

동정책으로 1) 고용창출여건의 개선 2) 근로자 역량의 지속적 개발 3) 기혼여성의 고용

촉진(단시간 근로) 4) 취업계층의 근로능력 배양이 포함되었다.

「국가고용전략수립을 위한 기초연구」(2010, 유경준)에서는 성장을 통한 지속가능한 일자

리 창출과 시장 수요에 부합하는 인재의 육성과 공급, 일자리 창출을 위한 기반조성을

위해 투자활성화정책과 서비스사업 선진화, 고용친화적 재정지원사업, 다양한 형태의

고용창출 정책들을 제안해 국가고용전략 수립의 방향 설정에 기여를 하였다. 여기에서

제안되었던 많은 사항들은 정부의 일자리 및 분배정책의 기초가 되었다.

KDI는 「비정규직문제 종합연구, 유경준 편」(2009)와 「비정규직법 시행 2년 평가 및 향

후정책과제, 유경준 편」(2009) 보고서를 통해 비정규직의 현황과 비정규직법의 고용효

과 및 기업의 인사노무관리에 미친 영향을 분석해 논쟁이 첨예한 비정규직문제의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위에서 제시한 부작용고 더불어 올바른 정책방향을 설정하는 데 기여

하였다고 볼 수 있다. KDI는 취약계층에 대한 사회보험료 지원에 대하여 「고용친화적

경제·산업·재정·노동시장정책연구」(2010, 유경준 편)를 통하여 도입의 필요성을 제기하였

다. 2011년 초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에서는 각각 KDI에 취약계층에 대한 사회보험

료 지원방안에 대한 검토와 설계를 의뢰하였으며, 이에 따라 KDI에서는 「취약계층 고

용안전망 강화방안 연구」(2011, 유경준 편) 등을 통해 우선적으로 임금근로자에 대한 사회

보험료 지원제도 도입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면서 사회보험료 감면 정책도입과 관련된

다양한 쟁점에 대한 방향을 제시해 주었다. 또한 실증분석을 통해 사회보험료 미가입

실태와 원인, 지원 시 효과, 근로장려세제(EITC)와의 연계 및 실업보험저축계좌제 도입

등에 대한 정책방향을 모색하였다.

함께 지난 3년간의 주요 연구결과를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제시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

다. 한국개발연구원 주관으로 2004년부터 3개년에 걸쳐 진행된 인구고령화 연구의 가장 큰

의의는 인구고령화의 경제적 영향에 대해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시도된 대규모의 학제 간 종합

연구라는 점에 있을 것이다. 물론 본 연구가 수행되기 이전에도 인구고령화에 대한 국내 연구

들이 각 분야별로 부분적으로 진행되어 왔으나, 당시까지만 해도 인구고령화의 우리 경제 전반

에 대한 다양한 영향들을 보다 넓은 시각에서 전체적으로 조망해 보려는 연구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야별 연구들을 보다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게 발전시키고, 보다 체계적

인 정책과제들을 발굴하고자 노력하였다.

양극화 해소를 위한 소득분배 개선과 고용정책 기여

KDI는 경제위기극복을 위하여 다양한 기여를 하였으며 분배와 고용문제의 해결을 위한 정

책적 제언 역시 적극적으로 개진하였다. KDI는 유경준 박사를 중심으로 「소득분배 개선을 위

한 정책토론회」(2000)와 「IMF 이후 분배구조 및 빈곤의 변화와 외국의 정책방향」(2000), 「분배

구조의 변화와 대응과제」(2001, 경제사회여건변화와 재정의 역할), 「외환위기 이후 소득분배구조변화

와 재분배정책효과 분석」(2002) 등을 통해, 외환위기 이후 상류층과 빈곤층은 증가하고 중산

층이 감소하는 등 소득분포의 양극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보였으며, 경제구조조정과 노동시장

유연화로 고용의 질적 저하와 지식기반 경제로의 이행에 따른 임금격차 확대 등 구조적인 요

인의 영향이 커지고 있으므로 소득불평등 개선을 위해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한 대책의 마련을

위한 장기적인 계획의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참여정부의 복지정책은 이전의 생산적 복지 정책을 계승하면서, 참여복지와 삶의 질 향상

을 국정과제로 제시해 사회안전망 및 복지의 확충과 분배구조 개선을 위한 정책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참여정부의 정책수립에 대해, KDI(고영선 편)는 「재정지출의 생산성 제고를 위한 연구」

(2004), 「중장기 정책우선순위와 재정운영방향」(2005), 「우리 경제의 선진화를 위한 정부역할의 재

정립」(2007) 등의 보고서를 통해 복지정책과 일자리창출정책의 투자 우선순위와 개선과제, 분배

와 성장의 선순환을 위한 정책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유경준 박사는 「취약계층 보호정책

의 방향과 과제」(2004) 보고서를 통해, 외환위기 이후 급증한 취약계층의 실태를 분석하여 근로

연계 복지제도활성화 방안과 고용보험과 건강보험 제도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경제의 구조변

화와 관련해서는 「한국경제 구조변화와 고용창출」(2004, 유경준 편), 「경제위기 이후 한국경제 구

조변화의 분석과 정책방향」(2006, 신인석·한진희 편) 보고서를 통해 산업구조의 변화와 고용구조의

변화 추이와 원인을 분석해 참여정부의 일자리창출 정책에 대한 정책적 방향성을 제공하였다.

Page 20: 대한민국 정책연구의 산실 Kdi(개관)

45

44

지난

년간의

기능

확대와

업적

40

KDI

제학의 주요 영역을 기준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이러한 기준에서 볼 때 북한이라는 특

정지역을 다루는 분야는 다소 예외적인 영역으로 간주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지역

학적 특성에 더하여 북한경제 분야의 연구주제는 남북한 간 정치적 관계나 우리 정부

의 대북정책 등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점도 지적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처럼 연

구 주제나 연구 방향이 남북한 간의 정치적 관계에 의존적이라는 점은 북한경제에 관

한 연구 방법론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분야의 연구는 불가피하게 정치

경제학적 속성을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북한경제에 관한

연구가 향후 극복해야 할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2000년대를 통해서 KDI 북한경제 연구팀이 나름대로 이 분야의 연구에 커다란 기여

를 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는 사업은 월간지 「북한경제리뷰」의 발간이라고 하겠다. 매월

발간되는 정기간행물은 누가 담당하더라도 커다란 부담이 될 수밖에 없는 것이지만 극

히 제한된 인원과 예산으로 북한경제와 같이 연구 축적의 정도가 얇고 또 국내외적으

로 연구 성과물이 별로 많지 않는 분야에서 이루어낸 결과이기 때문에 그 의미는 더욱

값진 것이라 할 수 있다.

「북한경제리뷰」는 연구기관의 일반적인 학술잡지와는 달리 북한 혹은 남북관계에 관

한 연구성과의 수집·확산이라는 기초적인 기능 외에 외국 주요 연구물들을 연구자료

형태로 요약·가공하여 전달하는 동시에 북한관련 각종 사건 및 동향 등에 대한 시사

분석, 보도 매체들이 제공하는 북한관련 각종 뉴스들을 선별하여 정리·소개하는 다양

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다.

또한 「북한경제리뷰」가 추구한 편집방식은 이 분야의 다른 기관이 발간하는 간행물

(대부분 계산 혹은 부정기간행물)의 모델이 되었다3.

1998년 11월 금강산 관광의 개시, 그리고 2000년 6월 역사적인 남북정상회담을 계기

로 남북경협과 대북경제지원이 급격히 팽창하였는데, 이러한 교역규모의 확대를 계기로

남북경협에 관한 정책적 연구수요도 급격히 팽창하였다. 이때 본원에서 이루어진 남북

경협관련 연구는 기본적으로 남북 간 경제적 교류나 협력의 범위를 어떻게 확대할 것

인가 하는 점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서는 경제교류나

협력의 안정적 추진을 위한 제도적 장치의 마련, 그리고 가능한 경협분야의 발굴 및 효

과적인 경제협력 방안의 강구 등으로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4

또한 KDI는 정부의 시급한 대책 마련에 직접 참가하여 이론적 혹은 실무적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이와 관련된 대표적인 사례는 제2차 남북정상회담이 추진된 2007년

국제개발 의제 설정과 지식 공유

KDI의 설립 목적은 다분히 국내 지향적이었지만, KDI는 설립 초기부터 하버드대와 공동으

로 한국 경제 근대화 30년(1945~1975)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한국의 개발 경험을 전파함으

로써 국제개발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었다. 1982년에는 개도국의 주요 인사를 초청하여 한

국의 개발경험을 전수하는 국제개발연찬사업(International Development Exchange Program; IDEP)

을 출범시켜 국제개발 관련 협력사업을 직접 수행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한국의 개발 경험을

집대성하고 개도국의 주요 인사를 한국으로 초청하여 개발 경험을 일방적으로 전수하는 방식

만으로는 국제개발협력사업의 효과를 충분히 거둘 수 없다는 것이 점차 분명해지기 시작했다.

즉, 일방적인 경험 전수가아니라 양방향의 지식공유를 통해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기를 원했던

것이다.

학술적으로도 실제 개발경험에 기초하여 새로운 개발 패러다임을 정립하려는 노력이 활

발히 전개되었다. 워싱턴 컨센서스의 대안으로 부상한 국제연합(United Nations; UN)의 새천

년개발목표(Millennium Development Goals; MDGs)의 경우 지나치게 교육·보건 등 인간개발

(humandevelopment)에 치중하고 기반시설(infrastructure)이나 무역 및 산업화의 중요성은 간과하

고 있으므로, 인간개발과 경제성장 간의 선순환 관계에 초점을 맞춘 패러다임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대두되었다. 이러한 국제개발 부문의 변화 추세를 반영하면서 개도국의 수요와 기존

사업 방식에 대한 반성을 바탕으로 KDI는 2000년대에 들어 국제개발 분야의 활동을 네 가지

방향으로 발전시켰다. 첫째, 한국의 개발경험을 학술적으로 집대성하는 차원을 넘어 개도국에

대한 정책자문에 활용될 수 있도록 주요 사례별로 체계화하고, 주요 회고록의 영문 번역 작업

등을 통해 정책 담당자들의 고민과 선택을 부각시켰다. 둘째, 협력대상국의 제도 구축과 역량

배양을 목표로 한국과 협력대상국의 정책담당자와 전문가들이 지식을 공유하는 국가정책자

문 사업을 추진했다. 셋째, 국제개발협력을 수행함에 있어 국제비교적인 시각을 반영하고 파

급효과를 제고하기 위해 세계은행 등 국제기구와의 공동 사업을 출범시켰다. 넷째, 기존 국제

개발·원조 의제의 한계를 지적하며 G20 정상회의 등 글로벌 협력 포럼에서 개발·원조 의제를

설정하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북한경제연구

북한경제에 관한 연구는 KDI의 다른 분야와는 몇 가지 점에서 커다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우선북한이라는 연구 대상의 특성상 지역학적인 요소를 배제하기 어렵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전통적으로 KDI의 연구조직은 거시·금융, 산업·경쟁조직 그리고 재정·사회정책 등과 같이 경

Page 21: 대한민국 정책연구의 산실 Kdi(개관)

47

46

지난

년간의

기능

확대와

업적

40

KDI

있었지만, 처음부터 체계적이고 선도적으로 서비스산업의 선진화를 유인하였던 것은

아니다. 2000년대 들어 KDI의 서비스산업 관련 연구가 활성화되기 시작하였고, 2011

년까지 용역과제, 기본과제, 심층평가 등을 포함하여 약 50여개의 연구가 진행되었던

것으로 나타난다. 2000년에는 조달서비스에 관해, 그리고 2001년에는 장기비전과제에

서 서비스산업의 성장 및 고용전망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는 등 일정 수준의 연구가 수

행되었지만, 2000년대 초반 이미 서비스산업의 중요성이 부각되기 시작하였음을 고려

한다면 KDI의 체계적인 연구는 그 시작이 다소 늦은 감이 있었다. 그러나 2004년부터

수행된 연구들은 그 질과 양에 있어서 뛰어난 성과를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8

이 시기 KDI에서 수행된 가장 본격적이고 체계적인 서비스산업 관련 연구는 2001

년 재정경제부용역으로 수행된 ‘서비스산업의 전환과 중장기 발전방안’, 그리고 2004년

부터 2005년까지 수행된 감사원의 용역에서 시작하였다고 해도 될 것이다. 2005년 제

출된 ‘서비스산업의 구조혁신 전략에 관한 연구’는 우천식 박사가 책임자로, 김주훈, 안

상훈 박사와 김종일 교수(당시 위촉연구위원) 등이 참여하였으며, 서비스산업 관련 총론과

주요 서비스산업의 현황분석 및 발전방향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비스산업 연구의 태동기를 전후한 특징 중 하나는 연구를 위해 OECD와의 직간접

적 교류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는 것이다. OECD는 1990년대에 서비스산업의 중요성

을 직시하고 있었고, 다양한 분석을 통해 서비스산업 생산성의 향상 방안을 제시하고

있었다. 규제와 차별적 제도를 척결하고 생산요소와 재화의 자유로운 이동을 통해 경

쟁을 제고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은 시장의 왜곡을 교정하여 우리가 고민하

던 문제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한 당시 KDI 박사들의 철학과 부합하는 부분이

매우 많았다. OECD의 연구진들이 KDI의 연구에 집필진으로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빈

번히 개최된 국제회의에는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서비스산업의 규제개혁과 생산성 제

고를 위한 KDI의 노력에 힘을 실어 주었다.

2000년대 중반부터 서비스산업의 중요성이 명확히 인식되기 시작하였다는 것은

2006년 재정경제부의 의뢰로 KDI가 수행한 ‘전략적 서비스산업 선정과 성과지표 개발

에 관한 연구’라는 대형 용역, 그리고 KDI의 자체 연구과제로 수행한 ‘서비스산업의 생

산성 향상을 위한 정책과제’라는 연구의 수행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2005년과 2006년 계속된 서비스산업 관련 연구를 통해, 서비스산업에 대한 원내외

의 주의도 환기되었고, ‘생산성 향상’이라는 화두는 이후 서비스산업 관련 정책의 가장

중요한 정책 목표로 자리 잡게 된다. 이러한 내부 연구역량의 축적과 외부로부터의 연

여름, 정부의 대북협상 전략 수립에 대한 지원을 들 수 있을 것이다. KDI는 산업연구원과 공

동으로 남북 간 공동추진이 가능한 경협사업들을 선정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

안을 제시하였는데, 당시 제안된 대부분의 내용들이 남북정상회담에서 검토되거나 합의된 의

제들이었다.

이러한 남북경협의 확대방안 이외에 본원에서는 남북 간 호혜적인 관계가 무르익어 갈 즈음

에 북한경제개발 방안에 관한 보고서를 발간하였다.5 물론 이 연구는 연초부터 계획된 것이었

지만, 이연구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시기는 북한이 파견한 경제시찰단의 남한 방문(2002년 1

월 26일~11월 3일) 시기와 대체로 일치함으로써 그 의미가 더욱 컸다고 하겠다.

남북한 경제통합이나 통일비용에 관한 연구는 1990년대 중반 경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학자

들에 의해서도 폭넓게 이루어진 적이 있다. 당시에 이 분야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

었던 것은 연구수요와 함께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사 사례나 적용 가능한 이론적 개발

에 힘입은 바가 크다.

또한 KDI의 북한경제 연구팀은 북한관련 기초 자료나 통계의 체계적인 구축을 위해서 나름

대로 상당한 노력을 경주해 왔다. 북한 통계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1990년대 중반에 시도된 적

이 있으며,6 2000년대 후반에 와서는 기초통계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에 보다 체계적인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7 우선 북한의 경제통계는 가용통계가 있다 하더라도 오류의 수정 혹은 통계의

진위여부를 판단하기 이전에는 함부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이 북한관련 통계의 문제이며, 이처

럼 통계의 검정과정 혹은 오류의 수정방법이 북한경제 실태파악에 있어 중요한 연구주제가 되

고 있다.

서비스산업 선진화 관련 연구

KDI는 때로는 엄밀한 연구분석과 정책자문을 통해, 때로는 적극적인 대외발표를 통해

2000년대에 지속적으로 진행된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정책적 노력의 중요한 한 축을 담

당해 왔다. 그러나 우리 사회에서 서비스산업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이미 그 이전부터 발아

하였고, 이런 의미에서 서비스산업 분야에서 국가적 어젠다의 선도적 제시라는 KDI 본연의 임

무를 충분히 다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반면 그 중요성에 대한 내부적 공감대가 형성된 이후

에는 어느 기관도 비견할 수없는 추진력과 응집력으로 관련 논의를 주도한 것 역시 주지의 사

실이다.

서비스산업이 하나의 산업으로서 주목받고 정책적 중요성에 대한 환기가 시작된 것은 2000

년대 들어서라고 할 수 있다. 2000년대 이전 KDI에서 서비스산업과 관련된 산발적인 연구는

Page 22: 대한민국 정책연구의 산실 Kdi(개관)

49

48

지난

년간의

기능

확대와

업적

40

KDI

연구활동 이외의 주요 기능 및 관련업무 실적

KDI 부설 국제개발협력센터

세계 최빈국에서 단기간에 원조 공여국으로 변모한 한국의 발전 경험은 국제적인

롤모델로 크게 주목받고 있다. 국제개발협력센터는 경제발전 경험 및 지식공유사업

(Knowledge Sharing Program; KSP)을 통해 우리나라가 축적한 정책 노하우를 협력대상

국과 공유함으로써 국제사회의 공동 번영과 균형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한

국의 발전 경험을 체계화하고 주요 글로벌 개발 이슈를 발굴하는 정책연구사업을 통해

지식공유에 기반한 협력사업의 내실화를 다지고, 협력대상국의 실질적 발전을 위한 정

책자문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정책자문 사업에는 공동연구, 워크숍, 현장학습, 세미나,

고위급 대화 등 개발도상국 정책담당자들의 역량 배양을 위한 정책연수사업과 자문 효

과극대화를 위한 다양한 협력 방안을 포함하는 등, 포괄적이고 선도적인 지식공유사업

을 창출해 나가고 있다. 최근에는 정량적 평가방식으로는 달성하기 어려운 지식공유사

업 성과 평가방식 개선을 위해 국제기구의 역량개발 및 성과분석체계 분석 틀을 도입·

적용함으로써 사업의 실질적 가치를 제고하고 있으며, ODA 및 KSP 동향 분석, 국가선

정방법 체계화, KSP 중장기 운용계획 수립 등 분석평가사업도 수행하고 있다.

국제개발협력센터는 그 뿌리를 우리의 경제개발 경험을 개발도상국에 전파하는 국

제교류협력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1982년 KDI에 설치된 IDEP(International Development

Exchange Program)에 두고 있다. IDEP는 개발도상국 및 체제전환국가의 고위관리와 경

제계의 지도급 인사들을 대상으로 우리의 경제개발 및 그 성과와 관련된 경제정책에

관해 토론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이들 국가들의 경제발전과 개혁에 도움을 주는 한

편, 우리 경제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증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IDEP의 기능은

2005년 잠시 KDI 국제정책대학원으로 이관되었으나, 2007년 본원에 개발협력실(Office

for Development Cooperation)이 설치되며 정책연구 및 자문사업 부분은 다시 본원으로 이

관되었다. 2010년에는 개발협력실이 발전적으로 해체되고 부설기관으로 국제개발협력

센터(CID)가 확대 설치되면서 대학원에 있던 정책연수사업까지 흡수하여, 정책자문실,

개발연구실, 정책연수실의 3실 체제가 갖추어졌다. 이후 개발협력사업의 급속한 확대

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2011년 본원과 대학원의 비교우위에 입각하여 업무 조정

이 이루어졌고, 그 결과 정책연수실은 다시 대학원으로 이관되어, 대학원은 연수 및 교

육에 전문화하고, 본원의 국제개발협력센터는 연구 및 자문에 전문화하여 업무의 효율

구 수요가 결합되어 본격적이고 대규모의 원내 연구과제(대표공동과제)로 기획된 과제가 2007년

의 “서비스부문의 선진화를 위한 정책과제”이다.

2008년부터 정부는 강한 서비스산업 드라이브를 시작하였고, 이에 따라 KDI도 좀 더 깊숙

이 정책과 연계된 연구 및 분석을 활발하게 수행하게 되었다. 특히 이 기간에는 정책 개발 및

수립 과정에서 정부와 긴밀히 협조관계를 유지하며, 관련 공청회 및 국제회의 등도 개최하는

등 4, 5년간 축적된 연구역량과 네트워크가 시너지를 발휘하고 각종 정책에도 연구결과가 반

영되는 등 서비스산업 관련 연구 및 활동이 만개했다. 새 정부의 서비스산업 선진화 드라이브

가 KDI의 역량과 맞물려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진행된 예가 2008~2009년의 “서비스산업

선진화 TF”의 운용이었다.

2009년에는 지식기반 서비스 산업의 대표적 경우라고 할 수 있는 법률, 회계, 세무, 보건의

료 서비스 분야에 존재하는 자격사 제도가 필요 이상의 진입규제로서 경쟁을 저해하고 소비자

의 후생을 감소시킨다는 문제의식으로, 전문 자격사 제도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고영선

박사가 PM을 담당하고 산업기업경제연구부의 김두얼, 이시욱, 윤경수 박사와 재정사회정책연

구부의 윤희숙, 정완교 박사가 참여한 이 연구는, 정부가 소비자들을 보호하고 서비스의 품질

을 높이기 위해 오래 전부터 유지해 온 전문자격사 분야의 면허제도와, 영업활동이나 영업조직

에 대한 규제가 실제로는 소비자를 보호하는 역할보다 공급자들 간의 경쟁을 약화시키고 이들

의 경제적 지대(economic rent)를 보장하는 역할에 치중하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곧이어 발간된 “서비스산업 중장기 선진화 방안”에는 KDI의 이시욱, 유경준, 김두얼, 윤희

숙, 이수일, 이재준, 황수경, 이재형 박사와 외부 연구진이 참여하여 서비스산업 선진화에 관

련된 다양한 주제의 기초연구를 추진하였다.

KDI의 서비스산업 관련 연구결과는 단발적이고 대증적인 연구가 아니고, 우리 경제의 강하

고 지속적 성장을 위해 새로운 패러다임을 준비하는 일련의 작업 중 하나이며, 그 하나하나가

후속 연구를 위한 시작의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시장원리를 적절하게 도입

하여 경쟁에 기반을 둔 생산성 향상과 이를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추구하는 일관성이 전

체 연구를 꿰뚫는 ‘일이관지(一以貫之)’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KDI만의 독특한 동

료평가 및 레프리 시스템을 거치며 보다 정교화 되고 과학화 되었고, 정책 당국과의 협업을 통

해 그 현실성과 정책적 기여도가 제고되어왔다.

Page 23: 대한민국 정책연구의 산실 Kdi(개관)

51

50

지난

년간의

기능

확대와

업적

40

KDI

관련 대내외 홍보 및 교육프로그램 운영 (6) 세계은행, OECD, IMF 등 국제기구와의

협력강화 (7) 공공투자사업 전 단계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공공투자사업 데이터베이스

구축·보완 (8) 글로벌 정책이슈를 공유하고 개발도상국가와 국가 간 경제협력을 강화함

으로써 우리 기업의 해외 민간투자시장 진출에도 기여하는 것이다.

이 센터의 업무실적을 보면 2000년부터 2011년 말까지 총 527건의 예비타당성 조사,

총 159건의 타당성재조사, 총12건의 공공기관 투자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총 2,099건

의 민간투자적격성조사 및 각종 민간투자 지원업무를 수행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KDI 부설 경제정보센터

경제정보센터는 1989년에 설립된 국민경제제도연구원이라는 독립된 정부출연 연구기

관의 후신이다. 당초 이 출연연구기관의 설립 목적은 동서로 대립하던 냉전시대에 시장

경제의 우월성을 연구하여 우리 경제에 시장경제원리를 확산시킴과 동시에 일반국민의

경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는 데 있었다.

그러나 그 후 2년 만에 구소련을 포함한 사회주의국가들의 붕괴와 자본주의 경제체

제로의 전환에 따라 설립목적의 근거가 소멸되게 되었다. 따라서 동 연구기관은 정부의

연구기관 통폐합조치에 따라 1991년 12월에 KDI 부설연구기관으로 흡수·통합되고 그

명칭도 국민경제교육연구소로 개명하여 운영되었다. 국민경제연구소는 별도의 청사에

있다가 1998년 9월 말에 홍릉 본원으로 완전 이전함으로써 물리적으로도 완전한 통합

이 이루어졌고, 1998년에는 그 명칭도 KDI 경제정보센터로 한 번 더 바뀌어 오늘에 이

르고 있다. 이러한 조직상의 변동은 물론 외환위기 이후 추진된 정부의 공공부문 구조

개혁조치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KDI 경제정보센터의 업무는 크게 다섯 가지로

분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시장경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경제교육연수 관련 사업을 수행하

고 있다. 이사업은 초중고 교사 경제교육 직무연수, 공무원 경제교육(고위공무원 포함), 7

천여 명이 응시하는 전국 고교생 경제한마당 개최, 청소년 경제아카데미 운영, 시민사

회 경제교실 운영, 미래한국 대학생 논문공모전 개최, 전국 중고등학교 교사 대상 경제

커뮤니티 운용, 각종 경제교육정보가 집적된 ‘click 경제교육 사이트’ 운용, 지역 경제교

육기관들과의 경제교육 협력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둘째, 국민들의 경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경제정책해설 자료를 제작하여 배

포하고 있다. 이 사업은 경제정책 정보지인 월간 『나라경제』, 영문 경제동향지 월간

적 수행과 협업을 도모하게 되었다. 현재 국제개발협력센터는 협력사업실, 분석평가실, 개발연

구실, 글로벌경제연구실 등 4실 체제로 이루어져 있다.

국제개발협력센터의 역할과 기능은 계속 진화하고 있다. KSP 사업의 경우 2011년까지 약 30

여개 국가에 대해 300여 주제로 정책자문을 수행하였고, 2012년에는 33개국에 대해 140여 주

제에 대해 자문을 수행 중이다. 또한 글로벌 개발협력 리더 양성을 위해 Young KSPians 제

도를 도입하여 청년들의 참여와 이해를 제고하고, 각 대륙별로 워크숍을 개최하여 KSP 협력

대상국 공무원, 연구자, 학자들의 정책 수립 및 수행 역량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최근에는 지

식공유 추세에 대한 연구와,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고, 이에 더해 국제개발협력센터

를 경제개발연구의 허브로 자리 잡게 하기 위해 우리 경제발전의 재해석, 국제적 비교, 원조의

효과성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G20와 글로벌 경제에 대한 연구도 수행 중이다.

KDI 부설 공공투자관리센터

이 센터는 재정투자사업의 사전평가, 중간관리 및 사후평가를 효율적으로 총괄 관리하고

D/B를 구축하는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전문기관으로 2000년 1월에 KDI 내에 설립되었다. 이

후 2005년 1월 『사회기반시설에대한민간투자법』 개정 법률에 따라 KDI 부설기관으로 공공투

자관리센터가 발족함과 동시에 ‘국토연구원 민간투자지원센터’가 KDI 공공투자관리센터로 이

관되어 지금까지 민간투자사업 업무도 수행하고 있다. 2011년 1월에는 공공기관이 수행하는

일정 규모이상의 투자 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조사 전문기관으로 지정되어 정부, 민간 및 공기

업 등의 공공기관이 추진하는 대규모 투자사업의 타당성을 평가하는 전문기관으로서 그 책임

감이 커지고 있다.

이로써 2012년 현재 공공투자관리센터는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공공투자사업(재정투자사업, 민

간투자사업, 재정성과평가사업, 공공기관 투자사업)의 수행과정에서 중요한 수문장(Gatekeeper)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것은 종래의 주요 국책사업(재정투자사업, 민간투자사업, 공공기관투자사업)이 충분한 사전적 평가

없이 추진되어 비효율을 초래했을 뿐만 아니라 사업 추진 중간과정의 예산낭비문제도 제기되

고 또한 공공사업의 파급효과에 대한 사후평가도 미흡하다는 비판에 따라 정부가 할 수 없었

던 공공투자사업 관리기능을 KDI에 부여한 것이다.

이 센터의 주요 기능은 (1) 공공투자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2) 공공투자사업의 타당성재조

사 (3) 사회기반시설 민간투자사업에 대한 타당성 및 적격성조사, 사업제안서 평가, 협상지원

(4) 공공기관이 수행하는 대규모 투자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조사 (5) 공공투자 제도 및 정책

Page 24: 대한민국 정책연구의 산실 Kdi(개관)

53

52

지난

년간의

기능

확대와

업적

40

KDI

는 외국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원 초기 대학원 교육생은 내·외국인을 포함하여 석사

학위과정 55명, Diploma과정 2명이 전부였으나, 그 후 교육생수가 급속도로 증가하여

2012년 현재 석사학위과정 572명, 박사학위과정 12명으로 총 584명에 달하고 있다. 이

러한 교육생 중에는 외국인이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그 비중은 50%에 달하고 있다.

맺는 말

정부의 5개년계획 수립과 정책입안을 돕기 위한 연구기관으로 출발한 KDI는 40년이

지난 오늘에 와서는 국제적인 경제발전경험 및 지식 교류협력 기능, 경제정보·교육센터

기능, 국제정책대학원 기능과 공공투자관리 기능까지도 갖게 된 반면에 5개년계획 작

성 지원기능은 소멸된 종합 싱크탱크 겸 고등교육기관으로 변모되었다. 이와 같은 기능

다원화 과정에서도 KDI의 핵심적 기능은 정부의 5개년계획 수립지원(1990년대 전반까지)

과 주요 경제 및 사회정책과제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었다.

그런 면에서 이 약사에서 연구실적의 기술에 높은 비중을 두도록 노력했으나 여의치

못했다. 1990년까지의 연구실적 기록이 중점연구과제 중심으로 정리되어 있었기 때문

에 미정리상태에 있었던 그 후의 것도 그 방식을 따라야 했다. 연구실적의 기술이 중점

과제별로 된 관계로 중점과제에 포함되지 않은 많은 연구실적, 특히 단기 정책과제에

대한 많은 연구실적이 사실상 누락되었음을 인식했으나 자료부족으로 불가피했다.

지난 40년간의 연구실적을 약 10년 간격으로 구분하여 각 기간별 연구활동의 특징을

고찰해 보면, 우선 5개년계획 작성 지원연구와 5개년을 초과하는 장기간에 대한 경제

전망 또는 비전 제시를 위한 연구가 네 기간에서 계속 일관되게 추진되었음을 알 수 있

다. 이것은 당초의 KDI 설립목적에 충실하게 연구원활동이 이루어진 특징을 반영한다.

또 하나의 특징은 KDI 설립초기인 1970년대에는 당시의 정부정책기조와는 대조적으

로 사회보장제도 등 사회개발 측면에 대한 연구실적이 상대적으로 많은 대신에 동 연대

의 경제정책 운영과 직접 관련된 과제에 대한 연구는 적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1980년

대에 들어와서는 그전 기간에서보다 동 연대 경제정책 운영과 직접 관련된 과제의 비중

이 점차 증가되고 그 후 기간에는 더욱 크게 증가되는 패턴을 보였다. 즉, 1970년대에

는 총 10개 중점과제 중 5개년계획 작성 지원연구를 포함한 4개 정도가 동 기간의 정책

운영과 직접 관련된 것이라고 한다면 1980년대에는 총 11개 과제 중 7개 과제, 그리고

1990년대 초 이후에는 총 11개 과제 중 9개 정도가 그런 과제에 속했다. 이것은 KDI 설

‘Economic Bulletin’ 등 정기 간행물을 발간하고, 경제정책과 관련한 멀티미디어 영상자료를

제작·배포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 경제사회 발전의 중심 역할을 맡아온 원로들의 생생한 경

험들을 기록하는 ‘『한국경제ㆍ사회발전 60년』-원로들의 증언-’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셋째, 국내외 언론보도동향을 분석·정리하여 정책당국자 및 일반국민들에게 제공하고 있

다. 주요 중앙일간지의 경제관련 사설 및 칼럼 내용을 정리하여 매일 KDI 이메일 회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또한 파이낸셜 타임스 등 세계 25개 유력 언론들이 보도하는 한국경제 및 세계

경제의 주요현안 기사를 번역하여 분석·정리한 일일 및 주간 단위의 자료를 서비스하고 있다.

넷째, 주요 경제현안 및 경제정책에 대한 경제전문가 및 일반국민의 의견을 수시로 수렴하여

분석한 자료를 정책당국에 전달함으로써 정책 입안 및 추진에 도움을 주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연간 40~50회의 정책여론조사를 수행하고 있다.

다섯째, 학교 경제교육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경제교육 자료를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다. 초

중고학생 및 교사들이 경제에 좀 더 흥미를 갖게 하기 위한 월간 『click 경제교육』발간을 비롯

해 학교 경제교육에 필요한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다.

KDI 부설 국제정책대학원

연구원에 부설 대학원을 설치하는 문제는 장기간 원내·외에서 논의되어 왔으나 그것의 실현

을 보게 된 것은 1998년 3월부터이다. 1997년 12월에 교육부의 설립인가를 받아 이듬해 3월,

개원 및 입학식을 가짐으로써 KDI 부설 국제정책대학원이 탄생한 것이다. 설립 당시, 대학원

은 21세기 공공 및 민간부문을 선도할 차세대 지도자, 한국의 경제발전경험을 바탕으로 세계

경제 발전에 기여할 개발경제 전문가, 민주적 절차를 존중하고 시장기능의 창달을 주도할 공

공 및 민간부문의 중견간부, 그리고 국제관계 전문지식과 세계경제 환경변화에 대한 대응능력

을 갖춘 고급 국제전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설립되었으나, 2010 서울G20 정상회의를 통해 제

기된 서울개발컨센서스를 계승·발전시키고, 한국의 개발경험을 포함한 다양한 개발경험을 체

계적으로 연구·교육·자문하는 국제적 수준의교육기관으로 개편함으로써 현재는 “개발 및 공

공정책 분야의 국제전문인력 양성 및 개발정책교육관련 연구와 자문을 체계적으로 수행”을 설

립목적으로 삼고 있다.

대학원은 본래 석사학위과정과 비학위과정만을 설치·운영하였는데, 2001년부터는 박사학

위과정도 설치·운영하고 있다. 현재는 석·박사학위과정만을 운영하고 있으며, 각각의 전공으

로 개발정책학과정책학 2개 분야를 두고 있다. 이러한 교육과정은 모두 영어로 진행되고 있

다. 대학원의 교수진은 이론과 실무경험을 겸비한 전문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중의 23% 정도

Page 25: 대한민국 정책연구의 산실 Kdi(개관)

55

54

지난

년간의

기능

확대와

업적

40

KDI

끝으로, 1980년대 초 이후 국내 대학교원의 상대적 보수수준의 급속한 상승으로 연

구원과 대학 간의 보수격차가 계속 축소되는 결과를 가져왔는데, 이 과정에서 1970년

대에 유치했던 경험 많은 책임급 연구원들은 거의 모두 대학으로 이직하거나 다른 국책

연구기관이나 민간연구소의 관리자급으로 전직했다. 경험 있는 유능한 책임급 연구원

들의 이직은 KDI 내에서 일시적으로 연구원 충원의 문제를 야기했을 수도 있으나 국가

적인 차원에서는 전반적인 실증적 경제연구 및 경제학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밑거름

을 마련해 주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참 고 문 헌 】

한국개발연구원,『KDI10년실적보고,1971∼80』,1981.

______,『한국개발연구원20년,1971∼91』,1991.

______,1990∼2011년간의경우는각년의대국회업무보고자료와각부와센터또는팀에서작성한주요업

무또는연구실적보고자료(미발간).

______,「KDI정책연구사례:지난30년의회고」,2003.KDI국제정책대학원,『KDI국제정책대학원』,2001.

【 필 자 주 】

1 직제규정을개정(2010.6.30)하며주임연구원의명칭을전문연구원으로변경하였으며,2010.9.2전문직

의책임전문원직급을연구직의전문연구원직급으로통합.

2 직제규정을개정(2010.9.2)하여연구조원의명칭을연구행정원으로변경함.

3 예를들면농촌경제연구원의「북한농업동향」이나수출입은행의「수은북한경제」등을들수있다.

4 예를들면,조동호,「남북경협추진전략및부문별주요과제」(2001),「북한경제정책의변화전망과남

북경협의역할」(2002),고일동,「남북관계의변화에따른대북경협의추진방향」(2005),고일동외,「대북

경제정책의전략과추진방안」(2006)등을들수있다.

5 조동호외,「북한경제발전전략의모색」(2002)

6 「북한경제통계자료집」(1995)

7 고일동,이재호, 「동북아경협환경의변화와한·중·일무역구조분석」(2003),고일동·이석·김상기·

이재호,「북한의무역구조분석과남북경협에대한시사점」(2008),고일동외,「남북한교역구조의변

화와정책적시사점」(2009),이석, 「남북교역의변화와남북관계경색의경제적배경」(2009),이석외

「1990~2008년북한무역통계의분석과재구성」(2010),이재호,「동북아분업구조하에서의북중경제협

력:현황과전망,그리고정책적시사점」(2010),이석,「북한무역통계,얼마나믿을수있을까?」(2011)

8 2012년서비스산업관련연구를기획하던한민간경제연구소연구원은필자와의연구기획과정에서

‘KDI가기수행한서비스산업관련연구가방대하고질이높아,이를피하거나극복하는보고서를어떻게

써야할지걱정된다’라고실토하였다.또한이시기KDI의서비스산업관련연구는정책적기여도가대단

히높았던것으로평가받고있다.

립 후 초기에는 연구원의 연구과제 선정이 정부의 예산지원에도 불구하고 장기적 관점에서거

의 자율적으로 결정되어 왔으나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연구과제 선정에 대한 정부의 관여가

점차 증대되어 온 것을 반영한다. 이러한 변화는 1970년대에 상대적으로 높았던 연구원의 자

체자금의존도가 그 후 기간에 급격하게 하락하여 거의 영(零)이 된 것과도 무관하지 않을지 모

른다. 그러나 사실은 정부와 KDI 자체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 경험을 통해서 연구원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한국 현실에 맞게 변화시켜 온 것을 나타낸다고 보겠다.

다음으로는 1970년대 초 KDI 설립 이후 당초의 설립목적에 없었던 새로운 목적이 계속 추

가되고 그에 따라 기능면의 확대가 지속되어 온 것도 특이했다. 설립 40주년이 지난 오늘 현재

설립당시에 없었던 4개의 새로운 기능이 추가된 상태이다. 지금까지 확대만 되어오던 KDI의

제 기능을 재검토하고 연구원이 비교우위를 갖는다고 보는 경제·사회정책연구 및 교육 측면에

역량을 집중할 수 있도록 기능조정이 필요한 단계가 되지 않았나 생각된다.

끝으로, KDI의 공식적인 약사에 기록될 수 없는 사회적 기여에 대해서 언급해 둔다. 지난

40년간 KDI는 국내외적으로 저명한 싱크탱크로서 명성을 얻게 되었는데 그러한 명성은 주로

KDI가 한국의 경제정책관련 연구업무를 거의 독점하고 있던 1970년대와 1980년대 초반에 형

성된 것으로 보인다. 초기에 KDI가 영향력 있는 싱크탱크로 명성을 얻는 데 성공한 것은 이

연구원이 우리나라사회과학분야에서는 최초로 유능한 책임급 연구원들을 해외에서 유치하여

수준 높은 연구활동을 가능케 했다는 데 있었다. 당시에 미국과 유럽소재 대학에서 박사학위

를 취득하고 그곳 대학이나 연구소에서 근무하던 인재들을 국내 대학교수들의 보수보다 월등

히 높은 대우를 약속하여 유치했던 것이다. 이러한 초창기 KDI 명성은 연구원의 공식적인 활

동결과에 따른 기여에 추가해서 우리사회에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보겠다.

첫째, KDI의 책임급 연구원을 선망하여 경제학박사학위 취득을 위한 해외유학이 1970년

대 초반이후 급격히 증가한 관계로 우리나라의 경제학박사학위 소지자의 공급을 크게 증가시

키는 결과를 가져옴으로써 잠재적인 경제연구 및 교육인력의 확대를 가능케 했을 뿐만 아니라

국내대학 교수요원의 질적 향상도 가능케 했다. 여기에는 USAID 자금지원에 의한 KDI직원

교육계획에 따라 약 40여명을 주로 저명한 미국대학에 경제학석사 또는 박사학위 취득을 위해

서 파견했던 것도 크게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둘째, KDI와 같은 경제정책연구소 기능의 유용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증대로 1970년대 후반

부터다수의 국책연구소가 여러 정부부처 산하에 설립되기 시작했고, 또한 1980년대 중반 이후

에는 민간연구소도 많이 설립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