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의대 예방의학교실 안연순 - ksoem.or.kr

95
직업성 원주의대 예방의학교실 안연순

Upload: others

Post on 07-Apr-2022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직업성 암

원주의대 예방의학교실 안연순

목차 • 우리나라 암 역학

• IARC 발암성분류와 주요발암 요인

• 직업성 암 (IARC 최근 개정 내용)

- 역학, 특성, 분류기준 등

- 유해인자

- 직업 또는 산업

• 우리나라 직업성 암 발생 현황

- 업무상질병 인정 현황

- 석면피해구제법 운영현황

• 우리나라 직업성 암 예측

주요 발암 요인

국제암연구소(IARC) 발암 요인 분류

암으로 인한 사망에서 각 요인이 차지하는 분율 (Doll & Peto, 1981)

Factor or class of factor Best estimation Range

Tobacco Alcohol Diet Food additive Reproductive and sexual behavior Occupation Pollution Industrial products Medicines and medical procedures Geophysical factors Infection Unknown

30 3 35 <1 7 4 2 < 1 1 3 10? ?

25-40 2-4 10-70 -5 – 2 1-13 2-8 < 1 – 5 <1-2 0.5-3 2-4 1-? ?

Cancer and Infection: Estimated Attributable Fraction, by Region or Country, 2008

최근 IARC 발암성 분류 근거

- 근거의 채택 변화(사람에서 기전으로) - 시대성과 전문가의 성향

IARC Classification (2020.06.26)

Type of evidence • Human • Animal • Others(Mechanical) - Mutagenicity - Genotoxicity - Metabolism - Etc.

Classifications (1,020) 1 Carcinogenic to humans: 120 2A Probably carcinogenic to H: 88 2B Possibly carcinogenic to H: 313 3 Not classifiable: 499 4 Not carcinogenic to H: 0

Combinations which fit in this class Class Human evidence Animal evidence

Other evidence

1 Definite Sufficient Strong(less than suff)

Any Sufficient

2A Probable Limited Inadequate

Sufficient Sufficient

Strong

2B Possible Limited Inadequate Inadequate

< Sufficient Sufficient < Sufficient

Supporting

3 Not classifiable

Inadequate Inadequate

Limited or Inadequate Sufficient (not operate in human) Not elsewhere classified

4 Not Suggesting lack of C Inadequate

Suggesting lack of C Suggesting lack of C

* Consistently

strongly supportive

Classes and criteria used by IARC in evaluating human carcinogenicity

직업성 암

직업성암 정의

• 직업적으로 발암물질에 노출되고 일정한 잠복기가 지난 후 발생하였거나, 현재까지 뚜렷한 발암물질을 확인하지는 못하였더라도 특정 직업군이나 산업, 직무에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업무에 상당기간 종사하고 발생한 암

직업성 암의 특징 • 연령

– 젊은 연령에서 발생 • 성별

– 남자에 많음 • 호발 부위

– 발암 물질의 작용을 받는 부위

• 잠복기 – 직업적 노출과 잠복기 존재 – 방사선:백혈병 4-6년, 석면: 중피종,40년

• 유병률과 사망률 – 일반 주민의 동일 부위 암보다 높다.

• 병리 소견 – 일반 암과 차이 없음

직업성 암의 발생 규모

• 미국(NIOSH, 2006)

- 직업성 암: 20,000명(암 사망자 중),

40,000명(암 발생자 중)

- 전체 암 4%, 폐암 10%, 방광암 21-27%, 악성중피종 100%가 직업성 암

- 발암성 물질 노출 근로자: 100만 명

-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화학물질의 2% 미만에서 발암성 검사

암으로 인한 사망에서 각 요인이 차지하는 분율 (Doll & Peto, 1981)

Factor or class of factor Best estimation Range

Tobacco Alcohol Diet Food additive Reproductive and sexual behavior Occupation Pollution Industrial products Medicines and medical procedures Geophysical factors Infection Unknown

30 3 35 <1 7 4 2 < 1 1 3 10? ?

25-40 2-4 10-70 -5 – 2 1-13 2-8 < 1 – 5 <1-2 0.5-3 2-4 1-? ?

남성에서 암의 직업 기여 위험도

Reference Population Method Indicator All ca AF Lung ca AF

Doll & Peto (1981) USA Review M 7% 15%

Dreyer (1997) Nordic c RR, exp I 3% 13%

Nurminen & Karjalainen (2001)

Finland I & M 13.8% 29.0% 18%(남성백혈병) 2%(여성백혈병)

Imbernon (2002) France Review I NA 21%

Steenland (2003) USA Review M NA 6.1-17.3% 0.8-2.8%(백혈병)

Driscoll (2005) W Europe RR, exp M NA 10%

Fritschi (2006) Australia Review I 10.8% 29%

Boffetta (2007) France RR, exp M 3% 8%

Ruston (2010) U. Kingdom Review M I

8.2% 5.7%

21.1%

우리나라 직업성 암 추정

• 보건복지부 우리나라 직업성 암 부담연구(손미아 등, 2010)

• 우리나라 직업성 암 부담 (김은아 등, 2010)

암 사망 암 발생

계 남성 여성 계 남성 여성

전체암 수 6,224 4,943 798 7,991 6,341 1,099

AF(%) 9.27 11.62 3.25 5.13 7.72 1.49

석면폐암 10.89 12.38 6.71

9개발암물질, 7개암부위

AF(%) 1.7 1.1

우리나라의 직업성 암 추정

2017년 우리나라 암 발생자수: 232,255명

4,645 명 ~ 18,580명

2% ~ 8%

직업성암과 업무상 질병으로 승인된 암

• 과거 (1960-1990년대 초반)

- 직업성 암 = 산업재해로 승인된 암

• 1990년대 초반 – 2010년대 중반

- 직업성 암 ≒ 산업재해로 승인된 암

• 최근 (2015?-현재)

- 직업성 암 < 산업재해로 승인된 암

• 미래 (2020년 이후)

- 직업성 암 감소. 산재로 승인되는 암??

직업성암? 업무상질병으로 승인되는 암? 직업적 노출 기여도?

직업성 암 < 산업재해로 승인된 암

과거 사례

• 진폐의증,폐암 (불승인)

• 벤젠 10 ppm 미만 타이어 공장 근로자 백혈병 불승인 (거의 10ppm, 넘을 수도 있음)

• 암의 종류 (선암 유리), 노출 물질(크롬, 니켈, 카드뮴 등), 노출기간 (20년쯤)

현재 사례

• 진폐증 없는 10년 이상 탄광부의 폐암 무조건 승인

• 2003년 이전 10년 근무한 도장공 림프조혈기계 암 승인 (노출 높다고 추정)

• 용접공 10년 이상이면 대부분 승인

• 반도체, LCD 림프조혈기계암, 뇌암, 폐암, 유방암 등 역학조사 수행 안함

한국의 직업성 암

• 공식통계 없음 (2011년까지)

• 산업재해 현황에서 2012년 부터 직업성 암 분류 통계 생성 (2012-2018(98+116=214명)

• 2011년 이전 추정

- 산업재해 승인자료 분석 논문

- 안전보건공단 심의자료 분석

- 진폐증의 폐암 합병증 (2000년-)

- 석면피해구제특별법 (2011년 -)

2006-2011년 직업성 암 (데이터베이스 분석자료)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계

인정 39 31 30 28 41 39 208

불인정 116 179 126 116 125 103 765

155 210 156 144 166 142 973

39 31 30 28 41 39

208

0

200

400

600

800

1000

1200

직업성 암 승인 현황

2006-2011년 직업성 암 종류

9

89

38 35

17

3 2 4 4 1 1 1 1 1 1 1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직업성 암의 종류

Compensated lung ca by the KCOMWEL (1994-2011, 179 cases)

73.20%

93.60% 88.10%

48.60%

Germany France Belgium Korea

The fraction of asbestos-related lung ca among compensated lung ca

(Eurogip, modified by Ahn)

Asbestos 87(49%)

Silica 42(23%)

Cr6+ 26(15%)

Welding fume

14(8%)

DEE 4(2%)

Rubber dust

2(1%)

PAH,CTPV,COE

4(2%)

The characteristics of mesothelioma (50 cases, 1993-2011)

Men 42(84%)

Women 8(16%)

Gender distribution

30-39 yr 1(2%)

40-49 yr 10(20%)

50-59 yr 23(46%)

60-69 yr 12(24%)

70≤ 4(8%)

Age at diagnosis (Mean=56.3 yrs)

The kinds of disease

Myeloid L44%

Lymphoid L12%

Aplastic A12%

MDS12%

NHL12%

MM4%

Others4%

Compensated lymphatic and hematologic cancers (1996-2005, 50건)

MDS: Myelo Displastic Sysdrome NHL: Non-Hodgkin’s Lymphoma MM: multiple myeolma

42, 84%

4, 8%

1, 2% 3, 6%

Causing agents

benzene

ionizing radiation

drugs

unknown

2006-2011년 악성림프조혈기계질환(30건)

9

1 2 3

6

9

30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계

악성 림프조혈기계 질환

건수

18

3 2 4 3

30

악성 림프조혈기계질환 종류

비공식 통계

• 1993년 중피종 사례 부터 2011년까지

- 중피종 약 50건

- 폐암 179건

- 림프조혈계암 80건

- 간암 (2003년 이전) – 수백 건?

- 기타 암 – 비인두암, 방광암 등 20건 미만

- 진폐합병증 폐암 ?

* 진폐합병증 폐암과 간암 제외 – 약 400건(연평균 약 20건 정도)

The number of compensated occupational cancer (2006-2010, KCOMWEL, 114건)

Total Lung ca Lympho- hematopoietic ca

Others

2006 24 15 6 3 (liver 2, breast 1) 2007 21 16 4 1 (Sinus) 2008 21 16 3 2 (liver1, larynx 1) 2009 17 7 4 6 (liver 3, thyroid

1, mesothelioma) 2010 31 21 4 6 (liver 1,

mesothelioma 5)

업무상질병 인정 현황 (노동부 회의자료)

전체질병 뇌심혈관 근골격계 직업성암 정신질환 감염 간질환 기타 승인율(%)

전체 암

2015 4387 462 3155 92 46 36 18 578 60 48.9

2016 4182 421 2885 134 70 56 25 591 58.6 58.8

2017 4607 589 3199 190 104 50 3 472 61.7 62.7

2018 6306 925 4461 220 166 52 4 479 68.6 72.8

2019 9173 1265 6844 286 225 52 3 498 68.3 74.1

직업성 암 승인 건수

54 66 76 88 123 134

186 216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2012 2013 2014 2015 2016 2016 2017 2018

연도별 암 승인, 불승인 건수

(노동부 회의자료, 근로복지공단 요청자료)

승인 불승인

승인 불승인 승인률 2012 54 114 32.1 2013 66 119 35.7 2014 76 142 34.9 2015 88 92 48.9 2016 123 97 55.9 2016 134 94 58.8 2017 186 113 62.7 2018 216 82 72.8 2019 310 117 72.6

308, 76%

30, 7%

12, 3% 57, 14%

승인된 암의 종류(전체 407건, 2012-2016)

폐암 백혈병 림프종 기타

석면피해구제법 (2011-2020.2)

The kinds of diseases relieved under ARL

• Primary mesothelioma (중피종) • Asbestos-related lung cancer (폐암) • Asbestosis (석면폐증) • Diffuse pleural thickening (2014-) (미만성

흉막비후)

석면노출 통계 산출 및 특성 분석

석면피해 특별유족

인정 2,668 (69.9%) 743 (67.2%)

불인정 934 (24.5%) 322 (29.1%)

보류 7 (0.2%) -

반려 208 (5.4%) 40 (3.6%)

총계 3,817 (100.0%) 1,105 (100.0%)

• 분석자료: 석면피해자 관리용 DB • 대상: 2011년부터 2018년까지 석면피해구제법

에 의해 석면피해를 신청한 사람, 총 4,922명 명 (%)

Occupational exposure history of relieved cases by the Asbestos Relief Law (2011)

Total Env.exp Occup.exp Env+occup Unknown Occup.Ex.HxMesothelioma 279 27 155 17 80 172Lung ca 22 3 8 11 0 19Asbestosis 158 45 22 90 1 112Total 459 75 185 118 81 303

279(60.8%)

27

155

17

80

172 (61.6%)

22(4.8%) 3 8 11 0

19(86.4%)

158(34.4%)

45 22

90

1

112 (70.9%)

459

75

185

118 81

303(66.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500

• 중피종 예측 (곽경민 등, 2017) – Age-period-cohort(APC) model – 2014~2033년 악성중피종 발생 예측 – 남성과 여성의 악성중피종이 각각 2,380 건과 1,199 건으로 향후 20 년에 걸쳐 발생할 것이라고 예측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IARC Working Group Evaluation (최근 검토된 발암인자) Vol.100 2008-2009 이후 and.…

IARC Working Group Evaluation Vol. 100 A. Pharmaceuticals (14-21 October 2008) B. Biological Agents (24 February-3 March 2009) C. Metals, Arsenic, Dusts and Fibers (17-24 March 2009) D. Radiation (2-9 June 2009) E. Lifestyle Factors (29 September-6 October 2009) F. Chemical Agents and Related Occupations (20-27 October 2009) Vol. 99 Some Industrial and Cosmetic Dyes & Related Exposures (5-12 February 2008) Vol. 98 Shift-work, Painting and Fire-fighting (2-9 October 2007) Vol. 97 (5-12 June 2007) 1,3-Butadiene, Ethylene Oxide and Vinyl Halides (Vinyl Fluoride, Vinyl Chloride and Vinyl Bromide)

IARC Working Group Evaluation Recently evaluated carcinogen (2011-2020) Vol. 124 Night Shift Work Vol. 123 Some Nitrobenzenes and Other Industrial Chemicals Vol. 122 Isobutyl Nitrite, β-Picoline, and Some Acrylates Vol. 121 Styrene, Styrene-7,8-oxide, and Quinoline Vol. 120 Benzene Vol. 118 Welding, welding Fumes(S-lung, L-Kidney), and Some Related Chemicals Vol. 117 Pentachlorophenol and some related chemicals Vol. 115 Some industrial chemicals including DMF (2A) Vol. 113 2,4-Dichlorophenoxyacetic acid (2,4-D) and Some Organochlorine Insecticides Vol. 112 Some Organophosphate Insecticides and Herbicides: Diazinon, Glyphosate, Malathion, Parathion, and Tetrachlorvinphos Vol. 111 Some Nanomaterials and Some Fibres Acheson process, occupational exposure associated with (Group 1) Vol. 110 Perfluorooctanoic Acid, Tetrafluoroethylene, Dichloromethane, 1,2-Dichloropropane, and 1,3-Propane Sultone Vol. 109 Outdoor Air Pollution Vol. 107 Polychlorinated Biphenyls and Polybrominated Biphenyls Vol. 106 Trichloroethylene, Tetrachloroethylene, and Some Other Chlorinated Agents Vol. 105 Diesel and Gasoline Engine Exhausts and Some Nitroarenes Vol. 103 Bitumens and Bitumen Emissions, and Some N- and S-Heterocyclic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Vol. 102 Radiofrequency electromagnetic fields (2B, 2013) Vol. 101 Some Chemicals Present in Industrial and Consumer Products, Food and Drinking-water (104, 108, 114, 116)

Cholangiocarcinoma among offset colour proof-printing workers exposed to 1,2-dichloropropane and/or dichloromethane

(Kumagi et al, 2013, OEM)

•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chemical exposure and incidence of cholangiocarcinoma among workers in the offset colour proof-printing section of a small printing company in Osaka, Japan.

• METHODS: We identified 51 men who had worked in the proof-printing room, and 11 men who had worked in the front room for at least 1 year between 1991 and 2006. We interviewed them about the chemicals they used, and estimated their levels of exposure to chemicals. We also investigated the medical records of 11 cholangiocarcinoma patients, and calculated the standardised mortality ratio (SMR) from 1991 to 2011.

• RESULTS: Workers used 1,2-dichloropropane (1,2-DCP) from approximately 1985 to 2006, and dichloromethane (DCM) from approximately 1985 to 1997/1998. Exposure concentrations were estimated to be 100-670 ppm for 1,2-DCP and 80-540 ppm for DCM among the proof-printing workers. All 11 patients were pathologically diagnosed with cholangiocarcinoma. Ages at diagnosis were 25-45 years, and ages at death were 27-46 years among the six deceased individuals. The primary cancer site was the intrahepatic bile duct for five patients, and the extrahepatic bile ducts for six. All patients were exposed to 1,2-DCP for 7-17 years and diagnosed with cholangiocarcinoma 7-20 years after their first exposure. Ten patients were also exposed to DCM for 1-13 years. The SMR for cholangiocarcinoma was 2900 (expected deaths: 0.00204, 95% CI 1100 to 6400) for all workers combined.

•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1,2-DCP and/or DCM may cause cholangiocarcinoma in humans.

Welding Fume

Shift-work with circadian disruption(2007) • Nurses' Health Study (prospective cohort s) - Schernhammer et al. Rotating night shifts and risk of breast cancer in women participating in the nurses' health study. J Natl Cancer Inst. 2001 : Over 30yrs on the night shift (RR = 1.36; 95% CI = 1.04 to 1.78) - Schernhammer et al. Night work and risk of breast cancer. Epidemiology. 2006 : Over 30yrs on the night shift(multivariate RR = 1.79; 95% CI = 1.06-3.01). • Meta analysis

- Megdal et al. Night work and breast cancer risk: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ur J Cancer. 2005

: Based on 13 studies, including seven studies of airline cabin crew and six studies of other night shift workers, the aggregate estimate for all studies combined was 1.48 (95% CI, 1.36-1.61), with a similar significant elevation of breast cancer risk among female airline cabin crew (standardised incidence ratio (SIR), 1.44; 95% CI, 1.26-1.65), and female night workers (relative risk (RR), 1.51; 95% CI, 1.36-1.68) separately.

Carcinogen or occupation Bladder Breast Larynx Lung Mesothelioma NMSC NHL Sino-

nasal STS Stomach Total

Asbestos 8 2223 1937 47 4216

Shift work 1969 1969

Mineral oils 296 470 902 63 1730

Solar radiation 1541 1541

Silica 907 907

Diesel Engine Exhaust 106 695 801

PAHs from coal tars & pitches 545 545

Painters 71 282 5 359

TCDD(dioxine) 215 74 27 316

ETS 284 284

Radon 209 209

Cancer registration in 2004 attributable to occupation by exposure & cancer sites

IARC Classification -1989-2B : Testicular ca cluster -1999-3 : Negative animal s -2014-2A : Positive animal s

1군 발암요인 발암 증거가 충분한 종양1 발암 증거가 제한적인 종양2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BV)

비인두암, 버킷 림프종, 면역 억제 관련 비호지킨 림프

종, 결절외 NK/T-세포 림프종(nasal type), 호지킨 림

프종

위암, 림프상피종양(樣)암

B형 간염 바이러스(HBV) 간세포암 담관암, 비호지킨 림프종

C형 간염 바이러스(HCV) 간세포암, 비호지킨 림프종 담관암

카포시 육종 헤르페스 바이러스 (KSHV) 카포시육종, 원발성 삼출성 림프종 다중심성 캐슬만병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1형(HIV-1) 카포시육종, 비호지킨 림프종, 호지킨 림프종, 자궁경부

암, 항문암, 결막암

외음부암, 질암, 음경암,

비흑색종 피부암, 간세포암

인유두종 바이러스 16번(HPV-16)* 자궁경부암, 외음부암, 질암, 음경암, 항문암, 구강암, 구강인두암, 편도암

후두암

인유두종 바이러스 18번, 31번, 33번, 35번, 39번, 45번, 51번, 52번, 56번,

58번, 59번 (HPV-18, 31, 33, 35, 39,

45, 51, 52, 56, 58, 59)*

자궁경부암

인간 T세포 바이러스 1형(HTLV-1) 성인 T세포 백혈병과 림프종

헬리코박터균(Helicobacter Pylori) 비분문 위암, 저등급 B세포 점막 연관 림프 조직(MALT)

위 림프종

간흡충(Clonorchis sinensis) 담관암

타이간흡충(Opisthorchis viverrini) 담관암

방광주혈흡충 방광암

국제암연구소가 1군 발암요인으로 평가한 생물학적 요인

1군 발암요인 발암 증거가 충분한 종양

부위 혹은 유형1

발암 증거가 제한적인

종양 부위 혹은 유형2 환경적 노출

비소 및 무기 비소 화합물

폐, 피부, 방광

신장, 간, 전립선

대기(바람에 날린 먼지, 식물 분비물, 비소 기반 농약 사용, 비철금속 제련, 석탄 연소 발전소 주변 대기), 수질(해수, 지하수, 담수,

화산 바위와 황화물 광상, 음용수), 토양 및 침전물(황화물 광석, 미네랄 퇴적물)

베릴륨과 베릴륨 화합물

폐 대기(석탄 및 중유 연소, 생활 폐기물 소각, 베릴륨 합금, 화학물질 사용 및 연소), 수질(강물, 음용수, 산업 폐수)

카드뮴과

카드뮴 화합물 폐 전립선, 신장

대기(폐기물 소각, 카드뮴 함유 바위의 침식 및 풍화, 화산, 바다

비말[sea spray], 산불), 수질(광산 배수, 폐수, 매립지, 유해 폐기물), 토양 및 침전물

6가 크롬 화합물 폐 비강 및 부비동 대기, 수질(침출 폐수, 음용수), 토양, 음식, 흡연

니 켈 화합물

폐, 비강 및 부비동 대기(화석 연료의 연소, 자동차), 수질(산업 폐수 및 매립 침출수, 풍화, 지하수 및 지표수, 산성비), 토양 및 침전물

석면 폐, 중피종, 후두, 난소

대장, 인두, 위

대기(석면 함유 물질 수송, 제조, 건물 철거 등의 인위적 활동), 수질(석면 함유 바위 및 폐기물 침식, 파이프 부식), 토양(매립지)

에 리 오 나 이 트

(erionite) 중피종 바위(유문암, 응회암), 퇴적물

석영이나 크리스토발

라이트 형태의 결정형

실리카 분진

폐 모래와 자갈, 석영 결정(보석, 전자 및 광학 부품 산업, 전자 회로), 규조토(충전제, 여과에 사용되는 분말)

불화-이데나이트 섬유상 각섬석

중피종 불화 이데나이트가 매장되어 있는 지역에서 생산된 채석 생산품, 화산 폭발

가죽 분진 비강 및 부비동

나무 분진 비강 및 부비동 비인두

국제암연구소가 1군 발암요인으로 평가한 비소, 금속, 분진, 석면

발암 증거가 충분한 종양 부위 혹은 유형1 발암 증거가 제한적인 종양 부위

혹은 유형2

흡연

구강, 구강인두, 비인두, 하인두, 식도(선암 및

편평상피세포암), 위, 대장, 간, 췌장, 비강 및 부

비동, 후두, 폐, 자궁경부, 난소(점액성), 방광,

신장(본체 및 신우), 요관, 골수(골수성 백혈병)

여성 유방

부모의 흡연(자녀의 암 발생) 간모세포종 소아백혈병

(특히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간접흡연 폐 후두, 인두

무연 담배 구강, 식도 췌장

빈랑자(areca nut)

담배를 첨가한 베틀 퀴드 구강, 인두, 식도

담배를 첨가하지 않은 베틀 퀴드 구강, 식도 간

4-(메틸니트로소아미노)-1-(3-피리딜)-1-부

탄온(NNK), N-니트로소노르니코틴(NNN) 폐

알코올 섭취 구강, 인두, 후두, 식도, 간, 대장, 여성 유방 췌장

알코올 섭취와 관련된 아세트알데히드 식도, 두경부

소금에 절인 생선 비인두 위

가공육 대장암

가정 석탄 연료 연소로 인한 실내 배출물 폐

국제암연구소가 1군 발암요인으로 평가한 담배, 음주, 생활환경, 식습관

방사선 종류 발암 증거가 충분한 종양 부위 혹은 유형1 환경적 노출원

알파 입자와 베타 입자 방사체

라돈-222와 붕괴 생성물 폐 화강암, 인산염 바위,

방사성 혈암과 토양

라듐-224와 붕괴 생성물 뼈 우라늄, 토륨 광석이나

광물에 노출된 지하수, 해수, 토양

라듐-226, 라듐-228과 붕괴 생성

물 뼈, 부비동, 유양돌기(라듐-226만),

우라늄, 토륨 광석이나

광물에 노출된 지하수, 해수, 토양

토륨-232 와 붕괴 생성물 간, 간외 담도, 담낭,

백혈병(만성 림프모구 백혈병 제외) 모나자이트 광석 및 이에 노출된 토양

플루토늄 폐, 간, 뼈

인-32 급성 백혈병

핵분열 생성물(스트론튬-90 포함) 고형암, 백혈병 핵분열 사고

방사성 요오드(요오드-131 포함) 갑상선 원자력 산업, 핵분열 사고

엑스선 또는 감마선

침샘, 식도, 위, 대장, 폐, 뼈, 피부(기저세포

암), 여성 유방, 방광, 뇌 및 중추 신경계, 백혈병

(만성 림프모구 백혈병 제외), 갑상선, 신장(원자

폭탄 생존자, 환자), 복합 부위(자궁 내 노출)

핵 폐기물 방출, 사고(체르노빌), 생산과

핵무기 전송 사고, 의료 사용(검사 및

치료), 항공 여행

태양 복사선 피부(기저세포암, 편평상피세포암, 흑색종) 계절, 지리적 위도 및 고도

자외선 방출 태닝 기구 피부(흑색종), 눈(흑색종, 특히 맥락막,모양체)

국제암연구소가 1군 발암요인으로 평가한 방사선 노출

1군 발암요인 발암 증거가 충분한 종양 부위

혹은 유형1

발암 증거가 제한적인 종양 부

위 혹은 유형2 환경적 노출원

방향족 아민

4-아미노비페닐 방광

담배 연소, 요리 기름 연기, 약물 및

화장품 색상 첨가제, 머리 염색제, 식품

착색제, 살균제

벤지딘 방광 벤지딘을 포함하는 소비재(가죽 제품)

접촉

벤지딘으로 대사되는

염료

염료 함유 소비재(가죽 제품, 의류, 장난감,

가구 및 비품, 플라스틱 제품, 사진 및

광학 제품, 치과)

4,4’-메틸렌비스(2-

클로로아닐린)

물질에 오염된 토양

2-나프틸아민 방광 열분해 가스

(간접흡연, 가열 조리 오일)

오르토-톨루이딘 방광 헤어 염료, 국소 마취제, 담배 연기, 산업

폐수

아우라민 생산 방광 가죽, 페인트, 볼펜의 염료, 오일 및 왁스

마젠타 생산 방광

국제암연구소가 1군 발암요인으로 분류한 화학물질

1군 발암요인 발암 증거가 충분한 종양 부

위 혹은 유형1

발암 증거가 제한적인 종양 부위 혹은 유형2

환경적 노출원

다환방향족탄화수소 관련 노출

벤조(a)피렌

공기, 물, 토양, 퇴적물, 식품, 의약품,

요리와 담배 연기, 자동차 배기 가스, 산불, 난방 연료

그을음(굴뚝 청소) 피부, 폐 방광

석탄 가스화 폐 대기

콜타르 증류 피부

코크스 생산 폐 공장 지역의 대기

콜타르 피치(포장,

방수 처리) 폐 방광

알루미늄 생산 폐, 방광

국제암연구소가 1군 발암요인으로 분류한 화학물질

1군 발암요인 발암 증거가 충분한

종양 부위 혹은 유형1

발암 증거가 제한적인

종양 부위 혹은 유형2 환경적 노출원

기타 화학물질

아플라톡신 간세포암 동물 사료, 농산물(오염된 옥수수, 땅콩, 견과류)

벤젠 ANLL CLL, NHL, MM

Lung, CML, AML(Child) 자동차 배기가스 연료, 가솔린 충전소,담배 연기

비스(클로로메틸)에테르/

클로로메틸 메틸에테르 폐 주변 공기 또는 물

1,3-부타디엔 림프조혈기관 도시 안 구조물 화재, 나무 화재, 흡연, 차량 배출,

가솔린 휘발

다이옥신(2,3,7,8-TCDD) 다중원발암 폐, STS, NHL 대기, 지표수, 지하수, 토양과 침전물, 제초제,

폐기물, 디젤 차량,석탄(화장터), 산불

2,3,4,7,8-

펜타클로로디벤조퓨란

대기, 지표수, 지하수, 토양과 침전물, 오염,

식품(유제품, 계란, 동물성 지방), 소각, 연소

3,3’,4,4’,5-

타클로로비페닐(PCB-126)

공기(폐기물 연소), 토양, 물, 퇴적물, 생물군 포함한

거의 모든 환경 구역

에틸렌 옥사이드 림프성 종양(NHL, MM, CLL),

유방 담배 연기, 식품 및 피부 관리 제품, 화석연료 연소

포름알데히드 비인두

백혈병 비부비동암

과일, 일부 식품, 자동차, 발전소, 소각로, 정유, 난로,

소독제, 담배 연기

설파머스터드 폐 후두 설파머스터드 함유 수류탄, 포탄, 수질 오염, 대기 오염

염화비닐 간혈관 육종

간세포암

오염된 공기(매립 가스, 지하수), 식수와 음식,

소비자 제품의 피부 접촉(주방용품, 식품 자재, 벽지,

장난감), 담배 연기, 사고

폴리염화비페닐 흑색종 비호지킨 림프종, 유방 오염된 음식 및 공기

트리클로로에틸렌 신장 비호지킨 림프종, 간 식품을 포함한 소비재, 오염된 물

국제암연구소가 1군 발암요인으로 분류한 화학물질

1군 발암요인 발암 증거가 충분한

종양 부위 혹은 유형1

발암 증거가 제한적인

종양 부위 혹은 유형2 환경적 노출원

기타 복합 노출

철 및 강철 주조 폐 대기(일산화탄소 노출)

강산을 이용한

이소프로필알콜제조 비강

미네랄 오일 피부 오염된 식품, 동물 사료, 식품 원료

추출물

페인트공으로서

직업적 노출 폐, 방광, 흉막 중피종 자녀에서의 소아 백혈병 대기

고무 제조 산업 백혈병, 림프종,

방광, 폐, 위 전립선, 후두, 식도 연기, 먼지

셰일유(혈암유) 피부 합성 원유, 정유 제품

강한 무기산 미스트 후두 폐 산화 공장 주변 공기

애치슨 공정 폐

디젤 엔진 배출물 폐

대기오염 및

대기오염 내 먼지 폐

용접흄 폐 신장

ANLL=급성 비림프구성 백혈병. ALL=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CLL=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MM=다발성 골수종. NHL=비호지킨 림프종. STS=연부조직 육종

국제암연구소가 1군 발암요인으로 분류한 화학물질

직업성 암의 미래

- 연구동향 예측 및 직업 관련성 평가시 고려사항 -

주목해야 할 연구분야 • 신물질의 발암성: 인디움, 나노입자...

• 비직업적 유해인자와의 상호작용 - 유전자(Biomarker : DNA methylation, miRNA……)

- 흡연, 음주, 비만 등 생활습관

- 감염

- 스트레스, 좌식작업

• 2개 이상 발암물질 상호작용(특히 동일 표적장기)

• 저농도 노출

• 우리나라 업무관련성 평가시 고려사항: 흔한 암 - 소화기계 암

- 유방암

- 전립선암.....

List of Classifications by cancer sites with sufficient or limited evidence in humans, Volumes 1 to 118*

Cancer site Carcinogenic agents with sufficient in humans

Agents with limited evidence in humans

Salivery gls X-radiation, gamma-radiation Radioiodines, including Iodine-131

Pharynx

Asbestos (all forms) Printing processes

Nasopharynx Formaldehyde Wood dust

Esophagus X-radiation, gamma-radiation Dry cleaning Rubber production industry

Stomach Rubber production industry X-radiation, gamma-radiation

Asbestos (all forms) Lead compounds, inorganic

Colon and rectum

X-radiation, gamma-radiation Asbestos (all forms) Night Shift Work

Liver & bile duct 1,2-Dichloropropane Hepatitis B virus Hepatitis C virus Plutonium Thorium-232 and its decay products Vinyl chloride

Arsenic and inorganic arsenic compounds DDT Dichloromethane(Methylene chloride) Polychlorinated biphenyls Trichloroethylene X-radiation, gamma-radiation

List of Classifications by cancer sites with sufficient or limited evidence in humans, Volumes 1 to 116*

Cancer site Carcinogenic agents with sufficient in humans

Agents with limited evidence in humans

Breast X-radiation, gamma-radiation Ethylene oxide Polychlorinated biphenyls Night Shift Work

Ovary Asbestos (all forms) X-radiation, gamma-radiation Talc-based body powder(perineal use)

Prostate Arsenic and inorganic arsenic compounds Cadmium and cadmium compounds Malathion Rubber production industry Thorium-232 and its decay X-radiation, gamma-radiation Night Shift Work Firefighters, occupational exposure

Testis DDT N,N-dimethylformamide Firefighters, occupational exposure Perfluorooctanoic acid

Kidney X-radiation, gamma-radiation Trichloroethylene

Arsenic and inorganic arsenic compounds Cadmium and cadmium compounds Perfluorooctanoic acid Printing processes Welding fume

검토 발암인자의 근거들

• Physical inactivity and sedentary work - PA: Suff. epi.evidence for colon & breast. Lim. Evid. for prostate & endometrial cancer - SW: Lim. Evid. for endometrial ca. • Shift work - Control confounding factors, disease subtype, diurnal preference,

genetic variation - Many mechanical data • Job Stress - Asso. with individual unhealthy life style factors: smoking, alcohol, physical inactivity - 12 EU cohort study: no asso. with overall ca, colon, lung, breast and prostate • Methanol - three animal S: Osteosarcoma, ear duct, LHC…

Firefighters’ cancer • Firefighters are exposed to many toxic combustion products, including many

known, probable or possible carcinogens such as benzene, benzo[a]pyrene, 1,3-butadiene, and formaldehyde.

• Various cancers in firefighters compared with the general population have been noted in several studies.

• The Working Group (LeMasters et al, 2006) of IARC updated a recent meta-analysis of cancer in firefighters.

• : the relative risks of testicular cancer, prostate cancer, multiple myeloma and non-Hodgkin’s lymphoma were increased (probable).

• The Working Group of IARC classified occupational exposure as a “firefighters” as possibly carcinogenic to humans (Group 2B) in 2008.

• The Working Group of IARC classified “shift work with circadian disruption” as probably carcinogenic to humans (Group 2A)

• The Korea Government Employees Pension Service (GEPS) approved the lung cancer and leukemia (each 3 cases) as work-related disease.

88

Meta analysis for 32 cancer mortality and morbidity studies in firefighters (LeMasters et al, JOEM 2006;48(11))

89

Meta analysis for 32 cancer mortality and morbidity studies in firefighters (LeMasters et al, JOEM 2006;48(11))

90

Emergency responders Firefighters Non-firefighters

10> 10≤ Total 10> 10≤ Total 10> 10≤ Total Person-years 50,838 262,827 313,666 115,318 166,510 281,829 7,666 24,171 31,837 All cancers N 54 432 486 122 324 446 4 36 40

SIR 1.57 0.94 0.97 1.00 0.96 0.97 0.91 1.26 1.22 95%CI 1.18-2.05 0.85-1.03 0.90-1.08 0.83-1.19 0.86-1.07 0.88-1.06 0.24-2.32 0.89-1.75 0.87-1.66

Colon & rectum

N 5 77 82 20 52 72 2 8 10 SIR 1.26 1.35 1.35 1.35 1.25 1.27 3.98 2.30 2.51 95%CI 0.40-2.92 1.07-1.69 1.07-1.67 0.82-2.08 0.95-1.63 1.01-1.59 0.45-14.38 0.99-4.52 1.20-4.61

Stomach N 15 99 114 29 77 106 0 8 8 SIR 1.99 0.87 0.94 0.98 0.92 0.93 - 1.14 1.01 95%CI 1.11-3.27 0.71-1.06 0.77-1.33 0.66-1.41 0.72-1.14 0.76-1.13 - 0.49-2.25 0.44-1.99

Larynx N 0 3 3 0 3 3 0 0 0 SIR - 0.56 0.54 - 0.72 0.57 - - - 95%CI - 0.11-1.65 0.11-1.58 - 0.15-2.11 0.11-1.67 - - -

Bronchus & lung

N 4 35 39 7 29 36 0 3 3 SIR 1.84 0.75 0.80 0.69 0.81 0.78 - 1.26 1.14 95%CI 0.50-4.72 0.53-1.05 0.57-1.08 0.28-1.43 0.54-1.16 0.55-1.09 - 0.25-3.68 0.23-3.34

Table II. Cancer morbidity (SIR) in ERS by job duration (Reference: Korean general population)

91

Emergency responders Firefighters Non-firefighters 10> 10≤ Total 10> 10≤ Total 10> 10≤ Total

non-Hodgkin's lymphoma

N 2 19 21 6 12 18 1 2 3 SIR 1.41 1.86 1.81 1.68 1.69 1.69 4.78 2.64 3.11 95%CI 0.16-5.08 1.12-2.91 1.12-2.76 0.62-3.67 0.87-2.96 1.01-2.67 0.06-26.61 0.30-9.55 0.62-9.08

Bone & articular cartilage

N 0 6 6 1 3 4 0 2 2 SIR - 3.10 2.69 1.33 2.37 1.98 - 11.98 9.53 95%CI - 1.13-6.75 0.98-5.86 0.02-7.40 0.48-6.92 0.53-5.07 - 1.35-43.26 1.07-34.41

Prostate N 0 11 11 1 8 9 0 2 2 SIR - 1.60 1.54 0.75 1.47 1.32 - 6.60 6.01 95%CI - 0.80-2.86 0.77-2.76 0.01-4.16 0.63-2.89 0.60-2.51 - 0.74-23.83 0.68-21.70

Kidney N 3 19 22 6 14 20 0 2 2 SIR 2.49 1.51 1.59 1.62 1.54 1.56 - 2.39 1.99 95%CI 0.50-7.28 0.91-2.35 1.00-2.41 0.59-3.52 0.84-2.58 1.01-2.41 - 0.27-8.61 0.22-7.19

Bladder N 0 20 20 1 16 17 0 3 3 SIR - 1.87 1.77 0.39 1.98 1.60 - 4.91 4.40 95%CI - 1.14-2.89 1.08-2.73 0.01-2.18 1.13-3.22 1.01-2.56 - 0.99-14.34 0.88-12.85

Table II. Cancer morbidity (SIR) in ERS by job duration (Reference: Korean general population)

92

우리나라 직업성 암 예측 • 직업성암: 감소

• 업무상질병으로 승인되는 암 : 약 3년 정도 증가. 이후 ?

• 주목해야 할 암

-스트레스 등 면역 약화와 관련된 암

-감염관련 암

-나노, 비석면성 분진에 의한 암

-비전리방사선 (전자파, 휴대전화 등)

-피부암

직업성 암의 관리 (예방과 보상)

??? 직업성암 의심하고 요양신청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