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쉬업 개발을 위한 활용 사례 공공도서관의 을...

3
“경기도 사이버도서관은 2001년에 문을 연 ‘전국 광역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최초로 설립된 사이버 도서관’입니다. 요즘 같은 전문적인 사이버도서관을 기획했던 건 아니고요. 경기도에 있는 3,000개가 넘는 도서관들이 정책적으로 함께 협력할 수 있는 방안을 찾던 중에, 협력할 수 있는 물리적 공간을 만들기 어렵다면 사이버 상에서라도 협력을 강화하자는 뜻에서 사이버도서관을 만들게 됐습니다.” 사이버도서관을 오픈 한 뒤 중점적으로 추진한 것은 경기도내 도서관들이 보유한 장서를 모아 종합목록 을 만들고 상호대차서비스를 하는 것이었다. 상호대 차란 이용자가 원하는 자료가 해당 도서관에 없을 경우 협약을 맺은 다른 도서관에 신청해 소장 자료를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자료 공동 활용 서비스 로, 경기도 사이버도서관은 2001년부터 무료로 이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지 금은 국가차원에서 ‘책바다’라는 이름으로 상호대차가 이뤄지고 있지만, 당시로 서는 상당히 획기적인 서비스였다고 한다. “그러던 중에 6년 전 광역자치단체별로 대표도서관이라는 것이 생겨났고, 경기도 에서는 여기 파주에 있는 교하도서관이 대표로 선정이 됐습니다. 그런데 도서관간 협력사업 등 대표도서관이 해야 하는 일을 이미 경기도 사이버도서관에서 해왔었기 때문에, 사이버도서관과 교하도서관이 현재는 기능적 결합을 한 상태입니다.” 6년 전 광역자치단체별로 대표도서관이라는 것이 생겨났고, 경기도에서는 여기 파주에 있는 교하도서관이 대표로 선정이 됐습니다. 매쉬업 개발을 위한 NDSL Open Service 활용 사례 / 19 공공도서관전문성높인다! 경기도를 대표하는 공공도서관 경기도 사이버도서관을 인터넷으로 찾으면 엉뚱하게도 경기도대표도서관이 검색된다. 그런데 위치는 경기도 파주에 있는 교하 도서관이라고 되어있다. 경기도 사이버도서관 신정아 사서를 만나 가장 먼저 물었던 것도 좀처럼 감이 잡히지 않는 명칭이었다. 경기도 사이버도서관 (http://www.library.kr) 경기지역 도서관들의 사이버 운영을 지원하고, 이용자들이 인터넷을 통해 도서관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온라인 기반을 구축해온 도서관이다. 전국 광역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최초로 설립한 사이버 도서관이며, 경기문화 재단이 운영·관리하고 있다. 공공기관에서 발간한 자료를 디지털 자료로 변환하여 제공하고 있으며, 다문화 도서관과 어린이 도서관, <책수리 마수리>, 소리신문 등의 운영을 지원하고 있다. 도서관 주요 사업으로는 통합정보 네트워크 구축과 경기도 도서관 협력사업, 도서관 독서문화 저변확대, 도서관 전문인력 역량강화,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 등이 있다. 위치 : 경기도 파주시 교하동 숲속노을로 256 경기도 사이버도서관 18 경기도 사이버도서관

Upload: phunghanh

Post on 27-Jul-2018

216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매쉬업 개발을 위한 활용 사례 공공도서관의 을 높인다!nos.ndsl.kr/common/file/caseInterview/... · 매쉬업 개발을 위한 활용 사례 / 19 ... 모바일

“경기도 사이버도서관은 2001년에 문을 연 ‘전국 광역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최초로

설립된 사이버 도서관’입니다. 요즘 같은 전문적인 사이버도서관을 기획했던 건

아니고요. 경기도에 있는 3,000개가 넘는 도서관들이 정책적으로 함께 협력할 수

있는 방안을 찾던 중에, 협력할 수 있는 물리적 공간을 만들기 어렵다면 사이버

상에서라도 협력을 강화하자는 뜻에서 사이버도서관을 만들게 됐습니다.”

사이버도서관을 오픈 한 뒤 중점적으로 추진한 것은

경기도내 도서관들이 보유한 장서를 모아 종합목록

을 만들고 상호대차서비스를 하는 것이었다. 상호대

차란 이용자가 원하는 자료가 해당 도서관에 없을

경우 협약을 맺은 다른 도서관에 신청해 소장 자료를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자료 공동 활용 서비스

로, 경기도 사이버도서관은 2001년부터 무료로 이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지

금은 국가차원에서 ‘책바다’라는 이름으로 상호대차가 이뤄지고 있지만, 당시로

서는 상당히 획기적인 서비스였다고 한다.

“그러던 중에 6년 전 광역자치단체별로 대표도서관이라는 것이 생겨났고, 경기도

에서는 여기 파주에 있는 교하도서관이 대표로 선정이 됐습니다. 그런데 도서관간

협력사업 등 대표도서관이 해야 하는 일을 이미 경기도 사이버도서관에서 해왔었기

때문에, 사이버도서관과 교하도서관이 현재는 기능적 결합을 한 상태입니다.”

6년 전 광역자치단체별로 대표도서관이라는 것이 생겨났고,

경기도에서는 여기 파주에 있는 교하도서관이 대표로 선정이

됐습니다.

매쉬업 개발을 위한 NDSL Open Service 활용 사례 / 19

공공도서관의전문성을 높인다!

경기도를 대표하는 공공도서관

경기도 사이버도서관을 인터넷으로 찾으면

엉뚱하게도 경기도대표도서관이 검색된다.

그런데 위치는 경기도 파주에 있는 교하

도서관이라고 되어있다. 경기도 사이버도서관

신정아 사서를 만나 가장 먼저 물었던 것도

좀처럼 감이 잡히지 않는 명칭이었다.

경기도 사이버도서관(http://www.library.kr)

경기지역 도서관들의 사이버 운영을 지원하고, 이용자들이 인터넷을 통해

도서관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온라인 기반을 구축해온 도서관이다. 전국

광역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최초로 설립한 사이버 도서관이며, 경기문화

재단이 운영·관리하고 있다. 공공기관에서 발간한 자료를 디지털 자료로

변환하여 제공하고 있으며, 다문화 도서관과 어린이 도서관, <책수리 마수리>,

소리신문 등의 운영을 지원하고 있다. 도서관 주요 사업으로는 통합정보

네트워크 구축과 경기도 도서관 협력사업, 도서관 독서문화 저변확대,

도서관 전문인력 역량강화,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 등이 있다.

위치 : 경기도 파주시 교하동 숲속노을로 256

경기도 사이버도서관

18경기도 사이버도서관

Page 2: 매쉬업 개발을 위한 활용 사례 공공도서관의 을 높인다!nos.ndsl.kr/common/file/caseInterview/... · 매쉬업 개발을 위한 활용 사례 / 19 ... 모바일

이러한 도서관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디지털

콘텐츠를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추진

됐고 그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NDSL와의

연계였다고 신정아 사서는 말했다.

“공공도서관의 디지털콘텐츠 확대에는 출판

사와의 복잡한 계약문제라든가 경험의 부족 등

여러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고객

들의 요구는 소장 콘텐츠를 넘어선 그 이상

입니다. 특히 전문적이고 학습이 가능한 디지털

콘텐츠, 그 중에서도 과학기술 콘텐츠에 관한

요구가 있을 때는 대응하기가 무척 어려운데요.

이 부분에서 NOS가 큰 도움을 줬습니다.”

점차적인 도서관 패러다임의 변화

12년차 사이버도서관답게 경기도 사이버도서관은 전자책, 모바일

책, 오디오책 등 디지털콘텐츠 서비스도 상당히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다. 2013년 현재 2만4천여 종의 디지털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으며 34만 명에 달하는 온라인 회원수를 보유하고 있다. 또 문화

자료나 행정자료 등 공공기관에서 발간한 자료를 디지털화하는

작업도 수행하고 있다.

“스마트폰으로 뉴스와 TV를 보고 쇼핑과 은행업무, 열차예약 등

일상생활의 많은 부분을 해결하는 세상이 됐습니다. 독서도 마찬

가지고요. 아직까지는 공공도서관의 디지털콘텐츠 이용이 그다지

많지 않지만, 도서관 이용 패러다임이 물리적인 도서 형태에서

디지털콘텐츠로 조금씩 바뀌어가는 건 자연스러운 흐름인 것

같습니다.”

NOS로 콘텐츠 규모 대폭 확대

2012년 여름, 경기도 사이버도서관은 도서관 사이트에 NOS

서비스를 적용하기 시작했다.

“NOS 덕분에 이제 경기도 사이버도서관 사이트에서도 NDSL의

디지털콘텐츠들을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됐습니다. 요즘엔 전문

과학기술 정보도 포털사이트를 통해 어마어마하게 유통되고 있습

니다. 하지만 포털에서는 모든 정보를 망라해서 보여주기 때문에,

그것이 신뢰할 수 있는 고품질의 정보인지 아닌지 정확히 판단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어요. 그러나 NDSL의 정보는 51년 역사의 과

학기술정보연구기관인 KISTI에서 제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믿을 수

있습니다. 도서관 고객들이 과학기술 정보와의 접점을 쉽게 찾을

수 있게 된 점, 그리고 그 정보가 매우 신뢰할 수 있는 것이라는

점이 NOS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공공도서관 사이트에서 전문적인 과학기술 정보를 찾으려는 사람은

사실 그리 많지 않다. 그러나 단 한 사람의 고객이라도 NOS를 통해

이전보다 훨씬 더 폭넓고 전문적인 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면 그것

만으로도 매우 가치 있는 일이라고 신 사서는 강조했다.

“아직까지는 메타데이터(서지정보)만 연계

하고 있지만, 점차 도서관사이트에서 곧바

로 NDSL의 원문정보까지 검색해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형태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입

니다. 또 KISTI가 중심이 돼서 추진하고 있는

OAK(Open Access Korea, 오픈액세스 지식

협의체)의 리포지터리(repository, 저장소)

기관으로 참여하게 되면서, 이제 16개의 리포지

터리 기관에서 수집한 252,004여건의 콘텐츠를

공동활용할 수 있는 길도 열렸는데요. 이러한

시도를 통해 KISTI와 함께 끊임없이 디지털콘

텐츠를 확보해 나갈 계획입니다.”

“도서관 고객들이 과학기술 정보와의 접점을

쉽게 찾을 수 있게 된 점, 그리고 그 정보가

매우 신뢰할 수 있는 것이라는 점이 NOS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매쉬업 개발을 위한 NDSL Open Service 활용 사례 / 2120경기도 사이버도서관

Page 3: 매쉬업 개발을 위한 활용 사례 공공도서관의 을 높인다!nos.ndsl.kr/common/file/caseInterview/... · 매쉬업 개발을 위한 활용 사례 / 19 ... 모바일

NOS를 통해 국가경쟁력 강화에도 도움

끝으로 신정아 사서는 NOS나 OAK를 기반으로 KISTI라는 이름을 도서관 이용자들에게

지속적으로 노출시키고, 각인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말을 덧붙였다. KISTI처럼

방대한 양의 고품질 지식정보를 보유한 기관이 홍보가 잘 돼서 사용자가 많아지면,

그만큼 지식국력도 향상되기 때문이란다.

“KISTI의 NDSL는 1억 건이 넘는 고품질의 정보를 확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는

사람들만 주로 사용합니다. 특히 연구자들이 주로 사용하죠. 그러나 공공도서관은

국민이라면 누구나, 언제나, 아무 제약 없이 활용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NOS를 통해

공공도서관에서도 쉽게 NDSL의 정보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면 국가경쟁력 강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매쉬업 개발을 위한 NDSL Open Service 활용 사례 / 2322

ExLibris

NOS, 한 발 앞서가는

첨단 도서관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