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미래전략센터 뉴스레터 vol.2

14
아프리카미래전략센터 뉴스레터 제 2호 아프리카미래전략센터 뉴스레터 Vol.2 April 1, 2015 | 아프리카미래전략센터 정책연구부 제작

Upload: koafex

Post on 21-Jul-2016

221 views

Category:

Documents


1 download

DESCRIPTION

 

TRANSCRIPT

Page 1: 아프리카미래전략센터 뉴스레터 Vol.2

아프리카미래전략센터 뉴스레터 제 2호

아프리카미래전략센터

뉴스레터

Vo

l.2 A

pri

l 1, 2

015

| 아

프리카미래전략센터

정책연구부

제작

Page 2: 아프리카미래전략센터 뉴스레터 Vol.2
Page 3: 아프리카미래전략센터 뉴스레터 Vol.2

• 마키 살 세네갈 대통령, 세네갈 입국비자 폐지 의지 표명

• 중국, 세계 제3위의 무기 수출국

• 카메룬 정부, 10개 카카오 가공공장 신설 계획 발표

• 남아공 국영전력회사 에스콤 이사회, 초치 회장에 대한 불신임 결의안 통과

•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 4G 서비스 제공 시작

뉴스브리프

센터소식 • 제 1차 BeFA포럼-아프리카라운드테이블 개최

: 2015년 3월 19일, 제 1차 BeFA포럼-아프리카라운드테이블이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GL Room에서 진행되었습니다.

• 제 8차 BeFA포럼 개최

: Be Familiar with Africa! 제 8차 BeFA포럼이 이슬람국가(IS)와

북아프리카 정세를 주제로 지난 3월 26일 진행되었습니다.

• 제 3회 Unaweza Film Festival 개최

: 2015년 3월 27일, Unaweza Film Festival이 진행되었습니다.

• 제 9차 BeFA포럼 안내

: 북아프리카 환경과 남수단 정치 안보를 주제로 4월 9일 목요일

오후 5시, 동국대학교 동국관 310호에서 개최됩니다.

Page 4: 아프리카미래전략센터 뉴스레터 Vol.2

Macky Sall prêt à supprimer le visa d'entrée au Sénégal

Mar 17, 2015, Jeune Afrique

• 3월 17일 마키 살(Macky Sall) 세네갈 대통령은 외신과의 기자회견에서 2013년 7

월 도입된 입국비자제도를 폐지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함. 현재 세네갈은 자국민에게

입국비자를 요구하는 국가로부터의 입국자에 대해 1인당 52유로의 생체인식비자

발급을 요구함.

• 현행 비자 제도는 도입 당시 세네갈 국가 명예 유지와 국가 재정 수입 증대를 목적으

로 함. 그러나 해당조치는 2008년 금융위기와 아프리카 대륙 내 최고 수준의 공항세

등으로 세네갈 관광업이 이미 받은 타격을 더욱 가중시켰으며, 비즈니스 여행자의 입

국 절차 또한 이전 대비 까다롭게 함.

• 관광업 부흥을 공언해온 마키 살 대통령은 "행정 제약이 세네갈 입국을 방해해서는

안된다"고 천명.

마키 살 세네갈 대통령, 세네갈 입국비자 폐지 의지 표명

By MONUSCO Photos (President Macky Sall of Senegal) [CC BY-SA 2.0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sa/2.0)], via Wikimedia Commons

African Continent Countries Map - Africa maps (http://mapsof.net/map/african-continent-countries-map)

Page 5: 아프리카미래전략센터 뉴스레터 Vol.2

Le Cameroun veut construire dix nouvelles unités de transformation de cacaol

Mar 17, 2015, Jeune Afrique

• 카메룬 정부는 국내 카카오 가공 능력을 향상시켜 현재 카카오 총 생산량의 30%에

해당하는 약 7만 톤에 대한 국내 가공 계획을 발표함. 현재 카메룬 정부는 연간 21만

여 톤의 카카오를 생산하고 있으나, 이 중 3만 2천여 톤만이 국내에서 가공됨.

• 브뤼노 은타케우(Bruno Ntakeu) 카메룬 공업발전부 부국장은 해당 계획을 실행하

기 위해 가공공장 10개를 신설, 하루 15톤의 처리능력을 갖추게 할 계획이라고 발표

함. 본 조치는 카메룬 카카오 생산지역에 공업 설비를 신축함으로써 지역사회의 공업

화를 도모하기 위함임.

• 공장 설립 소요 예산은 32억 세파프랑(약 520만 달러)으로, 이는 코트디부아르의 산

페드로에 위치한 카카오 가공공장 설립 예산(75억 세파프랑)에 비해 훨씬 낮은 수준

임. 카메룬 카카오 가공공장 신축 사업의 예상 완공일과 자금조달 방식은 발표된 바

없음.

카메룬 정부, 10개 카카오가공공장 신설 계획 발표

Cocoa beans in a cocoa pod. By Keith Weller, USDA ARS [Public domain], via Wikimedia Commons

African Continent Countries Map - Africa maps (http://mapsof.net/map/african-continent-countries-map)

Page 6: 아프리카미래전략센터 뉴스레터 Vol.2

•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SIPRI)는 중국이 미국과 러시아에 이어 아프리카에 가장 많은 무기를 수출한다고 발표

함. 해당 연구소는 중국이 수단, 모로코, 알제리에 가장 많은 무기를 수출한다고 밝힘.

• 피터 베제만(Pieter Wezemann) SIPRI 선임연구원은 도이체벨레 지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은 아프리카 전역에 장갑차, 탱크, 구형 전투기 등 저가의 재래 무기를 수출한다고

밝힘. 수단과 나이지리아는 상당 기간 중국으로부터 무기를 수입해 왔고, 최근에는 탄

자니아도 중국 무기에 대한 투자를 시작함. 또한, 카메룬과 나미비아 역시 중국으로부

터 소량의 무기를 수입하고 있어 중국은 대부분의 아프리카 국가에 무기를 수출함.

특히, 다른 아프리카 국가보다 국방 예산 규모가 큰 모로코와 알제리는 아프리카 내에

서 중국의 가장 중요한 파트너임.

중국, 세계 제3위의 무기 수출국

By NATIONAL WAR COLLEGE MILITARY IMAGE COLLECTION [Attribution], via Wikimedia Commons

SIPRI: 'China’s arms trade with Africa at times questionable'Mar 16, 2015, Deutsche Welle

Page 7: 아프리카미래전략센터 뉴스레터 Vol.2

SIPRI: 'China’s arms trade with Africa at times questionable'

• 중국이 무기 수출 관련 UN 결의를 준수하고 있다는 중국 외교부의 주장에 대해 베제

만은 중국이 UN에서 결정된 무기금수조치는 준수하고 있다고 인정함. 그러나 중국이

안보리 상임 이사국으로서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어 중국이 원치 않을 경우 무기 수

출이 가능하다고 지적함.

• 베제만은 중국이 남수단 평화협정을 중재하는 동시에 지속적으로 무기를 공급하려

한다고 설명함. 중국은 수단으로 수출된 무기가 즉시 다르푸르로 이송되며, 이는 유

엔 결의안에 반하는 행위임을 알면서도 수단에 지속적으로 무기를 수출하려고 함.

• 중국산 저가 무기 공급과 지속되는 아프리카 분쟁과의 관련성에 대한 질문에 베제만

은 중국 무기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서유럽국가들과 러시아, 벨

라루스, 우크라이나 또한 아프리카에 무기를 공급해 분쟁 지속의 원인이 된다고 설명

함.

• 베제만은 중국이 전반적으로 아프리카 무기교역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특히

유럽연합 등 다른 무기수출국이 교역을 꺼리는 아프리카 국가들에 무기를 공급하려

한다고 지적함.

Mar 16, 2015, Deutsche Welle

Page 8: 아프리카미래전략센터 뉴스레터 Vol.2

Eskom board members passes a motion of no confidence in Chairman Tsotsi

Mar 22, 2015, Times LIVE

• 3월 19일 남아공 국영 전력회사 에스콤(Eskom) 이사회는 회장인 졸라 초치(Zola

Tsotsi)에 대한 불신임을 결의함. 다음 날 아침 초치 회장과 이사진의 팽팽한 논쟁 결과,

초치 회장에 대한 불신임안이 통과됨.

• 현지 언론 시티프레스(City Press)는 익명의 취재원을 인용, “초치 회장은 기업 경영에

대해 이해가 부족하며, 이사진 전원이 그의 사임을 원한다”고 보도함. 초치 회장의 경영

능력 부족과 다른 경영진의 권위를 손상시킨 행위가 불신임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됨.

• 이사회는 이후 린 브라운(Lynne Brown) 국영기업부 장관과의 면담을 요청함. 브라운

장관은 이사진과의 회동은 인정했으나 초치 회장의 해임에 대해서는 들은 바 없다고

주장함.

남아공 국영전력회사에스콤 이사회, 초치 회장에 대한불신임 결의안 통과

Zola Tsotsi, Chairman, Eskom Holdings, South Africa; Mentor of the Annual Meeting of the New Champions 2013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ew Champions 2013 in Dalian, China 12 September 2013. Photo by World Economic Forum (https://www.flickr.com/photos/worldeconomicforum/10167997076/)

African Continent Countries Map - Africa maps (http://mapsof.net/map/african-continent-countries-map)

Page 9: 아프리카미래전략센터 뉴스레터 Vol.2

Ethiopia launches 4G mobile service in the capitalMar 21, 2015, Reuters

• 에티오피아의 국영이동통신사인 에티오텔레콤(Ethio Telecom)이 수도 아디스 아바바

에 4G 서비스를 개시함. 아프리카의 이동통신 산업은 이용자수가 2001년 250만명에

서 2013년 6,500만명으로 증가할만큼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나, 이러한 성장세를 지

속시키기 위해서는 고속통신망 서비스가 필수적이라고 지적됨.

• 이동통신 산업을 국가가 독점하고 있는 에티오피아는 다른 국가들에 비해 4G 도입이

지연되어 옴. 신규 4G 서비스는 에티오텔레콤이 2년 전 중국 기업인 화웨이, ZTE와 체

결한 16억 달러 규모 협약의 일부로, 초기단계 서비스는 40만명의 이용자에게 제공될

예정임. 해당 프로젝트는 3G 서비스 이용자수를 현재 6천만명에서 연말까지 9천만명

으로 확대하는 것도 포함함.

•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비용을 두고 ZTE와의 분쟁으로 4G 서비스 도입은 당초보다 지

연되었음.

• 에티오텔레콤에 따르면 새로이 선보이는 4G 서비스에는 월 2기가바이트(GB)당 420

비르(birr, 약 21달러)에서 30GB 당 3천 600비르(약 180$) 등 다양한 패키지가 있음.

에티오피아 정부는 이동통신 분야 민영화 가능성을 일축하면서 해당 분야에서 생기는

수익은 2020년까지 5,000킬로미터 규모의 철도를 건설하는 데 사용할 것이라고 밝힘.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

4G 서비스 제공 시작

Source: http://www.ethiotelecom.et/

Page 10: 아프리카미래전략센터 뉴스레터 Vol.2

제 1차 BeFA포럼-아프리카라운드테이블개최

2015년 3월 19일

센터소식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GL Room에서 제1차 BeFA포럼-아프리카 라운드테이블

이 진행되었습니다. 아프리카 라운드테이블은 한국에서 석박사과정을 밟고 있는

아프리카 출신 학생들의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고 한국 학생들과의 교류 협력을

증진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김종섭 원장님과 한아프리카교류협회 양재택 이사장님께

서도 참석하셔서 아프리카 라운드테이블의 출발을 축하해주셨습니다.

첫 세션에서는 아프리카미래전략센터 황종욱 연구원이 "A short introduction

to Korea-Africa Relationship"이라는 제목으로 한국과 아프리카의 관계에 대해

발표하고 토론을 진행했습니다.

자세한내용은아프리카미래전략센터홈페이지와 Facebook에서도확인하실수있습니다.

www.africacenter.krhttp://facebook.com/kafscenter

Page 11: 아프리카미래전략센터 뉴스레터 Vol.2

센터소식

아프리카미래전략센터는 3월 26일 제 8차 BeFA포럼을 센터 대회의실에서

개최하였습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서정민 교수님이 '이슬람국가(IS)와

북아프리카 정세'를 주제로 발표하였습니다. 8차 포럼은 IS의 설립과정과

활동, 중동테러리즘의 이해, 북아프리카 지역의 정치변동과 향후 전망에 대해

논의하였습니다.

자세한내용은아프리카미래전략센터홈페이지와 Facebook에서도확인하실수있습니다.

www.africacenter.krhttp://facebook.com/kafscenter

제 8차 BeFA포럼개최

2015년 3월 26일

Page 12: 아프리카미래전략센터 뉴스레터 Vol.2

제 3회 Unaweza Film Festival 개최

2015년 3월 27일

센터소식

제 3회 “UNAWEZA” 영화제는 3월 27일 오후 3시, 센터 내 자료실

“Toumai”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영화 상영 후, 패널 토의에서는 영화 소개,

인물, 배경 및 작품 속 코트디부아르와 현재의 모습들에 대한 내용을 논의

하였습니다.

• 영화 제목 : “아야의 밤엔 사랑이 필요해”

• 국 가 : 코트디부아르, 프랑스

• 장 르 : 애니메이션(2013년 88분)

• 내 용 : 서아프리카, 코트디부아르 수도 아비장의 작은 마을인 요푸공

의 1970년대를 배경으로 춤추고 마시고 노래하는 요푸공 3명의

여주인공을 중심으로 벌어지는 연애이야기입니다.

자세한내용은아프리카미래전략센터홈페이지와 Facebook에서도확인하실수있습니다.

www.africacenter.krhttp://facebook.com/kafscenter

Page 13: 아프리카미래전략센터 뉴스레터 Vol.2

센터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