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2,.3.4$- 5&1&-&.$(0,-,2/&(&.0,.$(&*6-*)%(.0$7.&$ 8,9)%&*,-:$;,...

15
- 23 -

Upload: others

Post on 11-Ju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01-2,.3.4$- 5&1&-&.$(0,-,2/&(&.0,.$(&*6-*)%(.0$7.&$ 8,9)%&*,-:$;, ……¸후산업... · 2019-03-04 · - 24 - 929?@ABCDE FGHIJKLM @CNOPQR STUVE WXE YEZ[\]^ S_ I`aIb\cd%"1 "$ $ $"

- 23 -

노후산업지구재생을 위한 가로디자인 사례연구- 시애틀 아마존 캠퍼스를 중심으로 -

최 강 림

경성대학교 공과대학 건축디자인학부

A Case Study on Street Design for UrbanRegeneration of Deteriorated Industrial Area- Focused on Amazon Campus in Seattle -

Choi, Kang-Rim

School of Architecture & Design, Kyungsung University

ABSTRACT

Vitalized streets take an important role in urban regeneration, and regeneration of a

deteriorated industrial area have an important meaning in urban regene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street design for urban regeneration of deteriorated

industrial area with a case study to analyze the street design of Amazon campus at the South

Lake Union Urban Center in Seattle, one of the most active cities in urban regeneration in US,

and to provide suggestions from the analysis. In the theoretical review, I made an analysis

frame and reviewes literatures and materials for this study. In the case study, I visited the case

study site, collected the materials for the study, and analyzed the existing conditions of the site.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spatial composition, street furnitures, and 1st floor

use of streetside buildings need to contain user oriented walking and various activities. Second,

these factors are needed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1) conservation of existing blocks and

streets framework, 2) development with consideration of existing buildings, 3) an improvement

of sense of place through using historical resources. Third, integrated street design guideline

system is needed to be planed in the whole level of city, district, and blocks.

Key Word : Street Design, Urban Regeneration, Industrial Area, Amazon Campus, South

Lake Union, Seattle

Page 2: 01-2,.3.4$- 5&1&-&.$(0,-,2/&(&.0,.$(&*6-*)%(.0$7.&$ 8,9)%&*,-:$;, ……¸후산업... · 2019-03-04 · - 24 - 929?@ABCDE FGHIJKLM @CNOPQR STUVE WXE YEZ[\]^ S_ I`aIb\cd%"1 "$ $ $"

2 최 강 림

- 24 -

1. 서 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쇠퇴한 도심지역에 인구 및 산업을 유치

하여 물리적, 사회적, 경제적으로 재활성화

하고자 도입된 도시재생(urban regeneration

)에 대한 노력은 국내에서도 활발히 진행되

고 있다. 특히, 지난 2013년 6월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도시재생특

별법)’1)이 제정되고, 현재 중앙정부에 의해

서 ‘도시재생 뉴딜’이 주요 정책으로 추진됨

으로써 사회적으로 더 관심을 받게 되었다.

과거 국내의 도시재활성화는 도시개발사업,

재개발 및 재건축사업 위주로 진행되었으

나, 현재는 기존 환경과 커뮤니티를 고려하

는 방식의 도시재생으로 전환하고 있다. 이

런 관점에서 사람들의 활동과 의미를 담는

장소로서의 도시의 공공공간에 대한 중요성

이 증대되고 있다.

가로는 도시의 대표적인 공공공간이자 삶

의 질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이룰 수 있는

대상이므로, 가로활성화는 도시재생에서 중

요한 역할을 한다. 사람들이 좋아하고 많이

찾는 가로는 커뮤니티의 장이자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기 때문이다. 가로가 활

성화하기 위해서는 쾌적하고 안전한 보행과

더불어 이용자들의 다양한 활동을 담을 수

있는 공간 및 시설, 그리고 가로변 건물용

도 및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대상지인 미국 시애틀(Seattle)

의 ‘아마존 캠퍼스(Amazon Campus)’2)가

입지한 사우스 레이크 유니언(South Lake

Union) 지역은 과거 시애틀 산업의 중심지

였으나 기존 산업의 퇴조로 인하여 노후・쇠퇴하여 우범지대로 전락함으로써 도시재

생이 가장 시급하던 지역이었다. 이를 해결

하기 위하여 아마존 등의 기업들을 유치하

는 등의 노력을 기울여서, 지금은 도시재생

1) 이하 ‘도시재정비 특별법’으로 기재한다.2) ‘아마존 캠퍼스’는 공식적인 시설이나 공간의

명칭은 아니다. 아마존 관련 공간 및 시설이 캠퍼스와 같이 일정 지역에서 서로 연계를 맺고 있음으로 인하여 지칭하는 명칭이다.

이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는 지역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활발한 노후산업지구

도시재생이 이루어지고 있는 미국 시애틀의

아마존 캠퍼스가 입지한 ‘사우스 레이크 유

니언’ 지역을 대상으로 가로디자인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향후

도시재생을 위한 가로디자인에 있어서의 기

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미국 시애틀의

아마존 캠퍼스(사우스 레이크 유니언 지역)

일대의 가로를 대상으로 하고, 내용적 범위

는 [표 1]과 같이 가로디자인 관련 지침과

가로공간 구성, 가로변 건물용도 및 이용,

가로시설물 및 조경, 가로경관 및 광장, 장

소성 보전 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과 사례분석을 통

하여 진행하였다. 이론적 고찰에서는 도시

재생과 가로디자인 관련 문헌 및 자료를 통

하여 기본사고를 정립하고, 조사 및 분석

항목을 도출하였다. 사례분석에서는 사례대

상지를 직접 방문하여 관련 자료를 수집하

고 현황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항목 내용

가로디자인 관련 지침관련 가이드라인의 종류,

내용, 체계

로디자

현황

가로공간 구성가로공간 구성 요소 및

배치 현황가로변

건물용도및 이용

건물 저층부 용도 및 이용

현황

가로시설물 및

조경

가로시설물 종류 및 이용현황조경공간 및 식재 내용현황

가로경관 및

광장

건물입면,간판・옥외광고물 현황광장・공개공지 내용 및이용현황

장소성 보전역사문화환경 등의 활용현황

표 1. 조사 및 분석 항목과 내용

Page 3: 01-2,.3.4$- 5&1&-&.$(0,-,2/&(&.0,.$(&*6-*)%(.0$7.&$ 8,9)%&*,-:$;, ……¸후산업... · 2019-03-04 · - 24 - 929?@ABCDE FGHIJKLM @CNOPQR STUVE WXE YEZ[\]^ S_ I`aIb\cd%"1 "$ $ $"

노후산업지구재생을 위한 가로디자인 사례연구 -시애틀 아마존 캠퍼스를 중심으로 3

- 25 -

2. 이론적 고찰

2.1 도시재생과 가로재생

도시재생은 오늘날 국내외적으로 가장 관

심을 갖는 분야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도시재생 특별법’의 정의에 의하면 ‘도시재

생이란 인구의 감소, 산업구조의 변화, 도시

의 무분별한 확장, 주거환경의 노후화 등으

로 쇠퇴하는 도시를 지역역량의 강화, 새로

운 기능의 도입・ 창출 및 지역자원의 활용

을 토하여 경제적・사회적・물리적・환경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을 말하며, 도로・공원 등 도시기반 정비, 건축물 리모델링, 첨

단산업단지 조성, 역사적 경관 보전・복원등 다양한 방법3)을 포함한다.

국내에서는 과거 대규모 도심재개발사업

등의 도시개발사업, 재개발・재건축・주거환경개선사업・도시환경정비사업 등의 도

시・주거환경정비사업 및 도시재정비 촉진

사업 등 (최강림, 2011)을 시행하였으나,

‘도시재생특별법’ 제정 이후에는 각종 도시

재생 관련 사업이 시행 중이다.

도시재생을 위한 과거의 개발사업이 기존

의 노후・쇠퇴한 환경을 철거하고 새로운

공간 및 시설을 조성하는 것에 주력한 반

면, 최근 추진되는 도시재생은 그 도시가

가지고 있는 독특한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하

여 도시의 정체성을 정립하는 것과 동시에

경제적으로 침체된 도시를 활성화시키기 위

한 계획전략으로 활용한 (최강림, 이승환,

2009) 것과 같이 최대한 기존의 환경을 철

거하지 않고 리모델링 등의 방법을 통하여

개선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도시재생에 있어서 일자리 창출 및 유치

등 산업재생은 도시경제 활성화 측면에서

중요한 요소이므로, 쇠퇴한 도시 내의 노후

산업지구의 재생은 많은 도시들이 추구하고

는 있지만 모든 도시가 그 기회를 가지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가로(street)는 도시공간의 일부로서 걷는

3)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다는 동적 행태와 거리 양편에 정적인 건축

구조물과의 관계에서 상호간의 양상이 복합

화 된 실체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즉 가로

는 단순한 길이 아닌 건물과 거리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개념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재원, 2003). 이와 같이, 가로는 그냥 이

동하는 장소 이상의 것이고, 공공영역의 중

요한 부분이다. 가로는 대표적인 공공공간

으로서 가로의 활성화는 그 지역 및 도시의

활성화라고 할 수 있다. 쇠퇴한 도시지역에

사람들을 다시 모이게 하는 것이 도시재생

에 있어서 중요함을 고려할 때 가로의 활성

화는 도시재생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도시의 가로는 보행자에 대한 통행의 안

전성과 보행의 쾌적성을 요구받고 있으며

(최강림, 2008), 가로디자인은 단순한 교통

기능의 목적보다는 복합적인 용도 및 공간

적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다 (Bain 외 2,

2012). 그러므로 가로활성화를 위해서는 차

량통행 이외에도 보행공간, 자전거 도로, 휴

게공간 및 시설 등 가로활동을 위한 공간과

시설이 필요하다. 즉, 사람들의 다양한 활동

을 담을 수 있는 공간 및 환경이 제공되어

야 한다. 특히, 도시재생을 통하여 새롭게

조성되는 가로는 이러한 가로활성화를 위한

요소가 확보되어야 한다.

2.2 시애틀의 노후산업지구재생

시애틀은 현재 미국 내에서 가장 활발히

도시재생이 이루어지는 도시 중의 하나4)이

4) 1970년대만 해도 시애틀은 항공사 보잉의 도시였다. 1960년대 보잉은 인구 35만 명에 불과한 시애틀에서 10만 명 이상을 고용했다. 하지만 불황을 겪으면서 보잉은 시애틀 직원의 3분의 2를 감원했고 결국 2001년 시카고로 본사를 이전했다. 보잉 위기에서 벗어난 시애틀은 새로운 첨단 첨단기술 기업들이 성공하는 도시가 됐다. 마이크로소프트, 코스트코, 스타벅스, 어도비 등 세계적 기업을 다수 배출했다. 이후 시애틀에는 미국에서 가장 일자리를 찾기 쉬운 도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대도시 등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에는 토지용도제한 등 각종 규제를 풀어 첨단 IT기업을 유치하면서 인구가 및 신규일자리가 증가하였다 (MK뉴스, 2015).

Page 4: 01-2,.3.4$- 5&1&-&.$(0,-,2/&(&.0,.$(&*6-*)%(.0$7.&$ 8,9)%&*,-:$;, ……¸후산업... · 2019-03-04 · - 24 - 929?@ABCDE FGHIJKLM @CNOPQR STUVE WXE YEZ[\]^ S_ I`aIb\cd%"1 "$ $ $"

4 최 강 림

- 26 -

다. 현재 도심 곳곳에서는 노후산업지구를

중심으로 각종 개발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시애틀 시당국은 각종 제도 등을 통하여

기업들을 유치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쇠

퇴한 노후산업지구를 민간이 개발하는 사업

에 있어서는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

여 도시재생의 효과를 추구하고 있다. 또한

기업유치로 인한 도시경제 활성화로 발생한

이익을 수변공간, 공원 및 녹지 재정비 등

의 오픈스페이스 활성화를 위한 도시재생사

업에 투입하고 있다. 이러한 도시환경 개선

과 도시공공공간에 대한 도시재생사업을 통

하여 쾌적한 도시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삶

의 질을 증진시키고 더 많은 투자를 유치하

여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는 선순환의 도시

재생을 추구하고 있다.

노후산업지구 재생사업은 비록 철거 후

신축에 의한 방법이 주로 사용되지만, 기존

의 가로망은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또한

블록단위로 사업을 시행하는데 있어서 모든

블록이 일시에 개발되는 것이 아니라, 점진

적인 개발에 의해서 진행된다.

가로디자인 관련 지침은 ‘시애틀 디자인

가이드라인(Seattle Design Guideline)’에서

제시하고 있다. 주요내용은 [표 2]와 같이

맥락 및 대상지에 관한 내용, 공공생활을

위해 고려해야 할 내용, 디자인 개념에 관

한 방향 등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된다.

항목 내용

맥 락

대상지

∙자연계 및 대상지 특징

∙도시유형 및 형태

∙건축적 맥락 및 성격

공공생활

∙오픈스페이스 접속성

∙보행적합성∙가로 레벨 교차점

∙활발한 교통

디자인

개 념

∙사업 이용 및 활동

∙건축적 개념

∙오픈스페이스 개념∙재료

표 2. 시애틀 도시디자인 가이드라인 내용

가로디자인에서 고려해야 할 방향은 디자

인 개념 중 오픈스페이스 개념에서 제시하

고 있다. 건물과 오픈스페이스의 통합적인

디자인을 추구하여 서로를 보완하도록 한다

는 것이다. 고려해야 할 디자인 접근과 방

안은 [표 3]과 같이 건물과 오픈스페이스

간의 관계, 오픈스페이스 이용 및 활동, 디

자인에 관한 지침 등이다.

항목 내용

건물과 오픈스페이스

관계∙내부와 외부의 어울림

오픈스페이스 이용

및 활동

∙이용자 요구 파악∙이용을 상황에 적용

∙오픈 스페이스간의 연계

∙공용의 오픈 스페이스

디자인

∙현재 외부 공간의 강화

∙쾌적성과 특징∙자연공간의 지원

표 3. 도시디자인 가이드라인 중 오픈스페이스개념

2.3 선행연구 고찰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연구로는 [표 4]와

같이 도시재생과 가로활성화 관련 연구, 도

시재생과 도시디자인 및 가로디자인 관련

연구, 사례대상지인 시애틀 사우스 레이크

유니언 지역 관련 연구가 있다.

Page 5: 01-2,.3.4$- 5&1&-&.$(0,-,2/&(&.0,.$(&*6-*)%(.0$7.&$ 8,9)%&*,-:$;, ……¸후산업... · 2019-03-04 · - 24 - 929?@ABCDE FGHIJKLM @CNOPQR STUVE WXE YEZ[\]^ S_ I`aIb\cd%"1 "$ $ $"

노후산업지구재생을 위한 가로디자인 사례연구 -시애틀 아마존 캠퍼스를 중심으로 5

- 27 -

구분 주요내용

도시

생과

가로

활성

이승필,김도년

(2006)

∙도심재개발이 가로활성화에

끼친 영향을 분석하고, 가로의활성화를 평가하여 도심재개발에

있어서 가로활성화 계획요소를

분석함.

최강림

(2008)

∙인천시 주요 도시상업가로의

보행현황을 보행자 공간의 확보,가로미관의 충족, 보행자의

안전성이라는 측면에서 분석하여

개선방향을 제시함.

이기석

(2010)

∙쇠퇴하고 있는 천안시

상업가로를 대상으로물리・환경적, 역사・문화적,사회・경제적 측면에서 현황을분석하고 도심재생 차원에서의가로활성화 방안을 모색함.

재생

・가

디자인

구자훈,

신예철

(2013)

∙국외도시의 도시재생 활성화수단으로서 도시디자인의

정책사례를 고찰하여 도시재생

전략으로서의 도시디자인정책방향 및 개선과제를 제시함.

최강림(2013)

∙공공디자인사업을 계기로도시재생에 성공한 국내 구도심

상업가로의 공공디자인사업의

내용, 주체, 과정 및 재활성화계기 등에 대하여 분석함.

이재원

(2003)

∙국내 번화가로의 가로경관요소를 분석하고 비교를 통하여

현재 우리나라 번화가로의

문제점을 파악한 후 향후보행자를 위한 가로공간을 위한

가로디자인 안을 제시함.

시애

도시

생수

이정형

외 2인(2012)

∙미국 시애틀시의 어반빌리지

전략 수법을 정리하고, 이에

근거해 도시재생사업과 도시설계컨트롤수법 등 도시설계수법의

적용 실태와 특성을 도출함.

표 4. 선행연구

도시재생과 가로활성화 관련 연구로는 이

승필, 김도년(2006), 최강림(2008), 이기석

(2010) 등이 있는데, 가로활성화를 통한 도

시재생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방향을 제안하

고 있다. 도시재생과 도시디자인 관련 연구

로는 구자훈, 신예철(2013), 최강림(2013),

이재원(2003) 등이 있는데 도시재생에 있어

서의 도시디자인 및 가로디자인의 중요성과

가능성을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의 사례대

상지인 아마존 캠퍼스(시애틀 사우스 레이

크 유니언 지역)와 관련된 연구로는 이정형

외 2인(2012)이 있다.

이와 같이 도시재생과 가로활성화에 관한

연구, 도시디자인과 도시재생에 관한 연구,

가로디자인에 관한 연구들이 개별적으로 시

도되었다. 그러나 가로디자인을 통한 도시

재생에 관한 연구는 아직 본격적으로 이루

어지 않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시점

에서 본 연구는 기존의 개별적인 연구들을

바탕으로 가로활성화를 위한 가로디자인에

대한 방법론과 이를 통한 도시재생에 대한

연구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3. 사례대상지 분석

3.1 사례대상지 개요

레이크 호수(Lake Union)의 남쪽에 위치

한 아마존 캠퍼스(사우스 레이크 유니언 지

역)5)은 [그림 1]과 같이 시애틀의 중심지

(urban center)인 데니삼각지(Denny

Triangle) 및 도심(downtown)의 북측에 인

접해 있다.

도시기본계획(Seattle2035 Comprehensive

Plan)상 토지이용에 있어서 [그림 1]과 같이

데니삼각지 및 도심과 더불어 도심(urban

center)에 속한다.

과거에는 시애틀의 대표적인 산업지역으

로서 무역, 목재, 알래스카 금 채굴 등 세계

적인 항구도시로서 호황을 누렸으나6), 도심

과밀규제 지역으로 지정되어 자동차 정비공

5) 사우스 레이크 유니언이란 지명은 유니언 호의 남쪽 끝에 위치함으로서 불리게 되었다. (출처: http://en/wikipedia.org)

6) 지금도 예전의 공장 및 창고건물 들의 일부는 남아있다.

Page 6: 01-2,.3.4$- 5&1&-&.$(0,-,2/&(&.0,.$(&*6-*)%(.0$7.&$ 8,9)%&*,-:$;, ……¸후산업... · 2019-03-04 · - 24 - 929?@ABCDE FGHIJKLM @CNOPQR STUVE WXE YEZ[\]^ S_ I`aIb\cd%"1 "$ $ $"

6 최 강 림

- 28 -

장, 타이어 가게, 부품 판매점 등 소규모 공

장이 난립하던 지역이다(MK뉴스, 2015). 이

지역에 대한 활용방안7)이 논의되던 중

2007년 세계적인 기업인 아마존 본사

(Amazon)가 이주하면서 새로운 업무용 건

물이 필요하게 되었고, 도시계획상의 용도

지역이 업무용도로 전환되면서 현재는 가장

활발한 업무지구 개발이 진행8) 중이다.

그림 1. 사우스 레이크 유니언 위치 및 시애틀토지이용계획

(출처: en/wikipedia.org 및 Seattle 2035 ComprehensivePlan)

본 연구에서는 [그림 2]와 같이 현재 도

시재생 관련 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사우스 레이크 유니언 지역의 아마존 캠퍼

스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7) 1990년대 중반 시애틀 시당국은 이 지역을 거대한 공원으로 재개발하려 했지만 주민 투표 2번 끝에 부결되고 시애틀시 당국과 협의 끝에 아마존이 들어오고 또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는 과정을 시청에서 조직적으로 지원하면서 아마존 타운으로 거듭나게 되었다고 한다 (MK뉴스, 2015).

8) 현재는 아마존을 비롯한 새로운 첨단기술산업 기업 및 연구소 등이 입지한 업무지구로서의 개발사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림 2. 사우스 레이크 유니언 지역 가로망 및 현황

사례대상지의 가로망은 [그림 2]와 같이

페어뷰가(Fairview AVE N), 웨스트레이크

가(West Lake AVE N), 머서로 (Mercer

ST)9), 데니로(Denny WAY) 가 중심부를

외부와 연결하고 있다. 중심부 내부에서는

보렌가(Boren AVE N)와 테리가(Terry

AVE N)가 남북을 연결하고 있으며, 리퍼

블릭칸로(Republican ST), 해리슨로

(Harrison ST), 토마스로(Thomas ST), 존

로(John ST)가 동서를 연결하고 있다. 페어

뷰, 머서로, 데니로는 간선로에 해당하고,

머서로는 보조간선로에 해당하며, 나머지

가로들은 집산로의 기능을 담당한다.

9) 도시의 중앙을 관통하는 5번 고속도로(freeway)에서 본 지역으로 진입하는 도로로서 중앙분리대가 있는 왕복8차로의 광로에 해당한다.

Page 7: 01-2,.3.4$- 5&1&-&.$(0,-,2/&(&.0,.$(&*6-*)%(.0$7.&$ 8,9)%&*,-:$;, ……¸후산업... · 2019-03-04 · - 24 - 929?@ABCDE FGHIJKLM @CNOPQR STUVE WXE YEZ[\]^ S_ I`aIb\cd%"1 "$ $ $"

노후산업지구재생을 위한 가로디자인 사례연구 -시애틀 아마존 캠퍼스를 중심으로 7

- 29 -

a) 페어뷰가 b) 웨스트레이크가

c) 머서로 d) 데니로

e) 보렌가 f) 테리가

g) 리퍼블릭칸로 h) 해리슨로

I) 토마스로 j) 존로

그림 3. 가로 전경

본 사례대상지 내의 블록 중 개발사업이

시행되지 않은 기존 블록의 경우는 [그림

4]와 같이 기존의 가로공간 및 환경을 가지

고 있다. 개발사업 시행 이후의 가로와 비

교해 보았을 때 가로 활동 및 휴식 등을 위

한 공간 및 가로시설물과 조경식재 등이 설

치되지 않았다. 가로변 건물의 저층부 용도

는 창고, 정비소 등 가로와의 접촉에 제한

이 있어 활성화된 가로를 기대하기 어렵다.

그림 4. 개발사업 미시행 블록의 가로현황

3.2 사례대상지 가로공간조성 지침 고찰

사례대상지의 가로디자인과 관련해서는

앞서 살펴본 시애틀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비롯하여 [그림 5]의 사우스 레이크 유니언

디자인 가이드라인(South Lake Union

Neighborhood Design Guideline)10), [그림

6]의 개별 개발사업 계획안에서 지침 관련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a) 2005년 초안 b) 2013년 개정안

그림 5. 사우스 레이크 유니언 디자인 가이드라인

사우스 레이크 유니언 디자인 가이드라인

은 시애틀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내용을 기

초로 작성되었으므로 항목은 동일하며, 내

용은 [표 5]와 같다. 가로디자인에 관련한

내용으로는 공공생활과 디자인 개념 중 오

픈스페이스 개념11)에 해당하는 내용을 들

수 있다.

10) 2005년에 초판이 작성되었고, 2013년에 개정안이 작성되어 현재 적용되고 있다.

11) 오픈스페이스 개념의 내용에 있어서 공공생활 중 활발한 교통, 디자인 개념 중 재료가 제외되었다. 이는 도시 전체 차원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이므로 구역차원에서는 제외한 것으로 보인다.

Page 8: 01-2,.3.4$- 5&1&-&.$(0,-,2/&(&.0,.$(&*6-*)%(.0$7.&$ 8,9)%&*,-:$;, ……¸후산업... · 2019-03-04 · - 24 - 929?@ABCDE FGHIJKLM @CNOPQR STUVE WXE YEZ[\]^ S_ I`aIb\cd%"1 "$ $ $"

8 최 강 림

- 30 -

항목 내용

맥락 및 대상지∙자연계 및 대상지 특징∙도시유형 및 형태∙건축적 맥락 및 성격

공공생활∙오픈스페이스 접속성∙보행적합성∙가로 레벨 교차점

디자인 개념∙사업 이용 및 활동∙건축적 개념∙오픈스페이스 개념

표 5. 사우스 레이크 유니언 도시디자인가이드라인 내용

[표 6]은 공공생활에 해당하는 오픈스페

이스 접속성, 보행 적합성, 가로레벨 교차점

등의 내용을 다루고 있다. [표 7]은 오픈스

페이스 디자인 개념에 해당하는 내용이다.

항목 내용 참고사진

오픈

스페이스접속성

∙사람의 활동∙인접 대상지와의

디자인 연속성을

강화하는 조경∙보행

오픈스페이스와

출입구

보행

적합성

∙가로경관 적합성

∙개인안전과 보안

가로

레벨교차점

∙가로경관 적합성∙사람의 활동

∙보행과 가로의

전이

표 6. 사우스 레이크 유니언 디자인 가이드라인 중공공생활

구분 내용

인접 대상지와의

디자인 연속성을강화하는 조경

∙LEED 기준의 강화

∙미관과 서식처를 위한 식재∙기존식재의 보존

∙수자원 특성의 고양

∙시애틀 식재안내서와 가로등기준 교본서 적용 강화

건물과(또는)

대상지를 강화하는

조경

∙지역의 예전 이용과 연관된

장소성을 환기시키는 건물과경관이 있는 공공접근지역으로

통합시키는 작업을 고려

특별한 대상지의상태에 초점을

맞추는

조경디자인

∙수변공간 및 도심의 조망

이점을 살리는 조경

표 7. 사우스 레이크 유니언 디자인 가이드라인 중오픈스페이스 디자인 개념

개발사업계획안에서는 [표 8] 과 같이 조

경 및 단지계획 구상, 단지계획, 조경상세,

조경식재, 식재디자인, 가로시설물, 가로레

벨 디자인, 건물전면부 상세, 외부공간 마감

재, 조명디자인, 사인디자인 등이 가로디자

인 관련 내용을 담고 있다.

그림 6. 개발사업 계획안 (머서로 25블록)

Page 9: 01-2,.3.4$- 5&1&-&.$(0,-,2/&(&.0,.$(&*6-*)%(.0$7.&$ 8,9)%&*,-:$;, ……¸후산업... · 2019-03-04 · - 24 - 929?@ABCDE FGHIJKLM @CNOPQR STUVE WXE YEZ[\]^ S_ I`aIb\cd%"1 "$ $ $"

노후산업지구재생을 위한 가로디자인 사례연구 -시애틀 아마존 캠퍼스를 중심으로 9

- 31 -

내용

∙사업목표

∙용도지역 지도

∙현황 항공사진∙주변여건 (현황 / 미래)

∙전체블록 종합계획

∙단지계획 현황∙위원회 지적사항

∙디자인 개념

∙조경 및 단지계획 구상∙단지계획

∙조경상세

∙조경식재∙식재디자인

∙건물 마감재

∙가로시설물

∙지붕테라스계획∙매스계획

∙가로레벨 디자인

∙건물전면부 상세∙외부공간 마감재

∙조명디자인

∙사인디자인∙디자인 수정방침

∙평면도

∙입면도

표 8. 개발사업 계획안 상의 가로디자인가이드라인

3.3. 사례대상지 가로공간 현황 분석

사례대상지 가로공간 현황은 이론적 고찰

과 시애틀 관련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내용

을 바탕으로 가로공간 구성, 가로변 건물용

도 및 이용, 가로시설물 및 조경, 가로경관

및 광장, 장소성 보전 측면에서 실제 현장

조사 및 관련 사업계획서를 바탕으로 조사

및 분석하였다.

3.3.1 가로공간 구성

토지용도 측면에서는 [그림 7]과 같이 보

행공간, 휴게공간, 조경공간 등으로 구성되

어 있다. 사업시행이전의 가로공간이 [그림

4]와 같이 보도공간만 설치되어 있을 뿐 별

도 시설이 없는 것과 비교해 보았을 때, 사

업시행 이후의 가로공간은 [그림 8], [그림

9], [그림 10]과 같이 보행공간 외에도 사람

들의 활동을 고려한 휴게공간 및 조경공간

이 추가적으로 조성되어 있다.

그림 7. 가로공간 구성(테리가)

보행공간은 [그림 8]과 같이 보행자를 위

한 보행공간을 확보하였으며, 보행의 안전

성을 위한 바닥포장과 가각부 및 주요 접근

구간에는 장애물이 없는 (barrier free) 디자

인을 도입하였다.

그림 8. 보행공간 (페어웨이가, 테리가)

휴게공간은 보행공간의 측면에 [그림 9]

와 같이 휴식을 위한 공간과 가로시설물을

설치하였다.

그림 9. 휴게공간 (테리가, 보렌가)

조경공간은 가로경관 및 보행의 쾌적성을

위하여 [그림 10]과 같이 보행공간의 측면

에 공간을 확보하여 조경수목 및 화초와 가

로수를 식재하였다.

그림 10. 조경공간 (바론가, 웨스트레이크가)

가로공간 구성은 [그림 11]과 같이 개별

사업계획안에서 수립되어 시행된다.

소유권 측면에서 가로공간은 공공소유와

민간소유로 이루어진다. 즉, [그림 12]와 같

이 도로용지에 속하는 공공소유의 토지와

공개공지 성격의 민간소유의 토지로 구성된

다.

Page 10: 01-2,.3.4$- 5&1&-&.$(0,-,2/&(&.0,.$(&*6-*)%(.0$7.&$ 8,9)%&*,-:$;, ……¸후산업... · 2019-03-04 · - 24 - 929?@ABCDE FGHIJKLM @CNOPQR STUVE WXE YEZ[\]^ S_ I`aIb\cd%"1 "$ $ $"

10 최 강 림

- 32 -

그림 11. 가로공간 구성 계획안 (머서로)

그림 12. 공공소유 및 민간소유 토지 단면도(머서로)

3.3.2 가로변 건물용도 및 이용

가로변 건물용도는 업무용도가 주를 이루

고 있다. 특히 아마존 본사에서 사례대상지

건물 다수를 사용하고 있다. 머서로에 신축

중인 건물의 경우는 업무용도를 지원하는

주거용으로 현재 공사중이다. 저층부는 사

람들이 이용할 수 있는 카페, 레스토랑, 상

점 등의 상업시설이 [그림 13]과 같이 입지

하고 있다. 특히 페어뷰가 변의 건물의 경

우 저층부 전체가 주변 업무시설 종사자를

위한 상업시설이 설치되어 있는 건물이 있

다.

그림 13. 상업용도의 저층부 (페어뷰가, 테리가)

가로의 이용은 보행 이외에도 [그림 14]

와 같이 휴식 및 만남 등이 이루어지고 있

다.12) 평일에는 아마존 등 기업에 근무하는

사람들의 이용이 활발하고 주말에는 일반

시민들의 이용하고 있다.

12) 일부 건물의 전면가로는 노천카페 및 레스토랑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그림 15]와 같이 사례대상지 가로 및 광

장에서는 지역 특산품 등을 전시 및 판매하

는 가로시장 등의 행사가 개최되기도 한다.

그림 14. 가로에서의 만남 및 휴식 (테리가)

그림 15. 가로에서의 행사 (테리가)

3.3.3 가로시설물 및 조경

사례대상지 가로에는 [그림 16]과 같이

벤치, 가로등, 버스표지판, 환경조형물, 안내

판, 휴지통, 자전거 보관대, 버스・전차정류장, 반려동물 시설물, 보행자를 위한 건물

캐노피, 소화전 등의 가로시설물과 화단, 조

경 식재 등이 설치되어 있다. 가로시설물은

이용자의 요구에 의해 편의를 위해 설치되

었는데, 최근 반려동물과의 산책시 반려동

물 용변 처리를 위한 시설이 새로 설치된

것과 자전거 이용활성화를 위한 자전거용

시설이 설치된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사업계획 상의 조경 식재 계획안([그림

17] 참조)에 의해 설치된 화단에 각종 식물

및 가로수가 식재되어 있다. 기존 가로의

경우 가로수가 식재된 것이 전부인 것에 비

하여 새로 조성되는 가로의 경우에는 가로

수 외에도 화단을 조성하여 이용자들의 관

상용 및 휴게용 공간으로 기능을 하고 있

다.

Page 11: 01-2,.3.4$- 5&1&-&.$(0,-,2/&(&.0,.$(&*6-*)%(.0$7.&$ 8,9)%&*,-:$;, ……¸후산업... · 2019-03-04 · - 24 - 929?@ABCDE FGHIJKLM @CNOPQR STUVE WXE YEZ[\]^ S_ I`aIb\cd%"1 "$ $ $"

노후산업지구재생을 위한 가로디자인 사례연구 -시애틀 아마존 캠퍼스를 중심으로 11

- 33 -

a) 벤치 (페어뷰로) b) 소화전 (토마스로)

c) 가로등 d) 버스표지판

e) 안내판 (테리가) f) 환경조형물 (테리가)

g) 반려동물시설물(토마스로)

h) 건물 캐노피 (테리가)

i) 휴지통 (페어뷰가) j) 자전거보관대 (테리가)

l) 버스정류장 (페어뷰가) m) 노면전차정류장(테리가)

그림 16. 가로시설물

그림 17. 가로시설물 및 식재 계획안 (머서로)

3.3.4 가로경관 및 광장

건물입면은 사업계획의 건물입면(facade)

디자인에 의하여 조성된다. [그림 3]의 가로

전경와 같이 유리가 건물입면 마감재로 많

이 사용되고 있다.

간판 및 옥외광고물은 [그림 18]과 같이

사업계획에 의하여 설치된다.13) 건물 저층

부의 일부를 제외하고는 건물 벽면에 간판

을 설치하지 않는다.

사업계획의 가로경관디자인에서는 가로의

가각부에 대하여도 조경 등을 통하여 가로

경관을 제고하고자 하여, 가로경관을 위한

식재계획을 수립하였다.

그림 18. 가로경관 식재, 간판 및 옥외광고물계획안(머서로)

간판 및 옥외광고물 설치현황은 [그림

19]와 같이 상업용도의 건물 저층부에 한하

여 제한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13) [그림 18]은 간판 및 옥외광고물에 관한 사업계획 내용을 보여주고 있다.

Page 12: 01-2,.3.4$- 5&1&-&.$(0,-,2/&(&.0,.$(&*6-*)%(.0$7.&$ 8,9)%&*,-:$;, ……¸후산업... · 2019-03-04 · - 24 - 929?@ABCDE FGHIJKLM @CNOPQR STUVE WXE YEZ[\]^ S_ I`aIb\cd%"1 "$ $ $"

12 최 강 림

- 34 -

그림 19. 간판 및 옥외광고물 설치 현황(페어뷰가, 데리가)

광장의 경우 [그림 20]과 같이 사례대상

지 내부에 2곳이 조성되어 있다. 사람들의

식사, 만남, 휴식 등의 장소로 이용하고 있

으며, 이를 위한 가로시설물이 설치되어 있

다.

일부건물의 경우 [그림 12] 및 [그림 21]

과 같이 가로변에 공개공지를 조성하여 휴

식 등에 이용할 수 있도록 공공에 제공하고

가로시설물을 설치하였다.

그림 20. 광장 (테리가)

그림 21. 공개공지 (페어뷰로, 해리슨로)

3.3.5 장소성 보전

사례대상지의 개발사업들은 기존의 블록

을 유지하고 블록단위로 사업을 시행함으로

써 [그림 2]와 같이 기존의 가로가 폐지되

거나 변경되지 않았다. 또한 사우스 레이크

유니언 지역 전체가 아마존 캠퍼스 등 최첨

단 산업 기업의 업무용도 및 아파트 등으로

개발되고 있음에도 전체 지역에 대한 일시

적인 개발이 아니라 블록단위별로의 점진적

인 개발이 기존의 가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페어뷰가 변에는 시애틀 시당국에서 역사

문화자원인 시애틀 랜드마크(Seattle

Landmark)로 지정한 트로이 론드리 건물

(Troy Laundry Building)과 시애틀 타임즈

건물(Seattle Times Building)이 있다. 이

건물들은 그 지역이 개발되더라도 건물의

일부 특히 가로변의 일부를 남겨서 기존의

가로경관 및 장소성을 유지하고자 한다.14)

a) 가로변 건물 전경 b) 내부 공간 활용

그림 22. 트로이 론드리 건물

트로이 론드리 건물의 경우는 페어뷰가와

토마스로에 면하는 벽면을 남기고 2007년

철거되었으나, [그림 22]와 같이 건물의 남

겨진 벽면과 일부 내부공간은 역사문화자원

으로서 지역의 장소성 보전측면에서 활용되

고 있다.

시애틀 타임즈 건물의 경우 [그림 23]과

같이 페어뷰가와 존로에 면하는 벽면만 남

기고 현재 철거중인데 향후 남겨진 벽면을

역사문화자원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a) 내부측 b) 외부측

그림 23. 시애틀 타임즈 건물

그 외에도 대상지 내부에는 [그림 24]와

같이 옛 건물을 철거하지 않고 카페, 레스

토랑, 판매점 등의 용도로 리모델링하여 사

용하기도 하며, 예전부터 사용하던 소화전

14) [그림 2] 역사문화자원 위치 참조

Page 13: 01-2,.3.4$- 5&1&-&.$(0,-,2/&(&.0,.$(&*6-*)%(.0$7.&$ 8,9)%&*,-:$;, ……¸후산업... · 2019-03-04 · - 24 - 929?@ABCDE FGHIJKLM @CNOPQR STUVE WXE YEZ[\]^ S_ I`aIb\cd%"1 "$ $ $"

노후산업지구재생을 위한 가로디자인 사례연구 -시애틀 아마존 캠퍼스를 중심으로 13

- 35 -

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그림 24. 리모델링한 건물과 재활용하고 있는소화전 (테리가)

4. 종합 및 시사점

4.1 보행 및 가로활동 활성화

본 연구의 사례대상지는 이용자 중심의

보행 및 가로활동 활성화를 위한 가로공간

을 구성하였고, 가로시설물을 설치하였으며,

가로변 건물의 저층부 용도를 도입하였다.

가로공간은 보행공간, 휴식공간, 조경공간

으로 구성되었다. 기존의 사례대상지의 가

로가 보행공간 위주인 것에 비하면 새로 조

성된 가로는 휴식공간 및 조경공간이 추가

적으로 확보되었다. 보행공간은 보행공간

확보와 보행 장애물 배제 및 안전한 보행을

위한 바닥포장 등이 시행되었다. 휴식공간

과 보행공간은 사람들의 쾌적한 보행과 휴

식 및 만남이 이루어지도록 조성되었다.

가로시설물로는 단순히 보행만을 위한 가

로가 아니라 휴식, 산책, 만남, 대중교통 이

용 등을 위한 각종 시설물들이 설치되었다.

특히 반려동물과 함께 산책하는데 필요한

시설 등은 새로운 필요에 대응하는 가로시

설물의 설치라고 할 수 있다.

그림 25. 가로공간 구성

가로활동 활성화를 위하여 가로변 건물의

저층부 용도는 업무용 건물의 저층부에 레

스토랑, 카페, 판매점 등 사람들이 많이 이

용하는 상업용도가 도입되었다.

4.2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장소성 제고

본 연구의 사례대상지는 업무지구 개발사

업의 단위가 기존의 블록단위로 진행되고

있기에 기존의 가로망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가로가 도시형태 및 조직을 구성하는

기본요소임을 고려할 때 기존의 가로를 보

전하는 것은 지역의 장소성을 제고하는 방

안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의 대상지에는 시애틀 시당

국에서 랜드마크로 지정한 트로이 론드리

건물 및 시애틀 타임즈 건물과 같은 기존의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하여 가로입면을 조성

하였다. 이는 과거 시애틀의 산업중심지였

던 장소의 기억을 보전하기 위한 물리적 장

치들은 가로를 통해서 지역특성을 반영한

가로경관 및 장소성을 인식시켜주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사례대상지와 같이 철거 후

신축에 의한 개발사업을 통하여 도시재생을

시행할 경우에 있어서도, 기존의 블록과 가

로망을 유지하고 기존건물을 고려한 개발사

업과 그 대상지가 가지고 있는 역사문화자

원을 활용하여 가로경관을 조성함으로써 지

역의 정체성 및 가로의 장소성을 제고할 수

있다.

그림 26.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장소성 제고

4.3 통합적인 가로디자인 지침 체계

본 연구의 사례대상지의 가로디자인은 시

애틀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기본 방향을 바

탕으로 사우스 레이크 유니언 디자인 가이

드라인의 디자인 지침에 따라서 개별 사업

단위별로 개발계획 수립시 가로디자인에 대

Page 14: 01-2,.3.4$- 5&1&-&.$(0,-,2/&(&.0,.$(&*6-*)%(.0$7.&$ 8,9)%&*,-:$;, ……¸후산업... · 2019-03-04 · - 24 - 929?@ABCDE FGHIJKLM @CNOPQR STUVE WXE YEZ[\]^ S_ I`aIb\cd%"1 "$ $ $"

14 최 강 림

- 36 -

한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시행하고 있다.

시애틀 및 사우스 레이크 유니언 지역에

대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은 공공인 시애틀

시당국에서 작성하였으며, 개별 사업단위별

개발계획은 민간사업자들이 작성한다.

즉, 공공이 작성한 가로디자인에 관한 디

자인 방향을 바탕으로 민간이 개별 블록별

개발사업 계획안을 작성하여 통합디자인 차

원에서의 가로디자인에 대한 내용을 수립하

고 시행한다.

이와 같이, 도시차원에서부터 지역차원을

거쳐서 개별 개발사업에 이르는 통합적인

가로디자인 지침체계가 공공과 민간의 협력

에 의하여 필요하다.

그림 27. 통합적인 가로디자인 지침 체계

5. 결 론

본 연구는 도시재생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하는 시점에서, 노후산업지구를 재생하

기 위한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도시

인 미국 시애틀의 아마존 캠퍼스가 입지하

고 있는 사우스 레이크 유니언 지역을 사례

로 가로디자인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가로활성화는 도시재생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가로디자인은 도시재생에 있

어서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활성화

된 가로를 위한 가로디자인을 위해서는 첫

째, 이용자 중심의 보행 및 다양한 가로의

활동을 담을 수 있는 공간구성, 가로시설물,

가로변 용도가 조성되어야 하고, 둘째, 기존

의 블록과 가로망을 유지하고 기존건물을

고려한 개발사업과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가로경관 및 장소성이 제고되어야 하며, 셋

째, 도시차원, 지역차원, 개별 개발사업 단

위에 이르는 통합적인 가로디자인 지침체계

가 수립되어야 한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하

여 알 수 있었다.

향후 가로활성화를 통한 도시재생에 관

한 많은 논의와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

한다.

참 고 문 헌

[1] 구자훈, 신예철, “도시재생 전략으로서

도시디자인 정책방망향 및 개선과제 고

찰”, 국토계획, 제48권 6호, 2013.11,

pp.269~282

[2] 이승필, 김도년, “도심재개발에 있어서

가로활성화 계획요소에 대한 연구”, 도

시설계, 제7권 2호, 2006.6, pp.76~86

[3] 이재원, “도시특성화를 위한 가로디자인

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제16권 2

호6, 2003.5, pp.311~322

[4] 이정형, 이여경, 황소영. “미국 시애틀시

어반빌리지(Urban Village) 전략에 의

한 도시설계수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

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제28권 6호,

2012.6, pp.207~218

[5] 최강림, “공공디자인 사업을 통한 구도

심 상업가로 도시재생”, 디자인학연구,

제26권 1호, 2013.2, pp.231~265

[6] 최강림, “도시상업가로 보행환경의 현황

분석과 개선방향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제24권 12호, 2008.12,

pp.237~248

[7] Bain, L., Gary, B., & Rodgers, D.,

『Living Streets : Strategies for

Crafting Public Space』, John Willey

& Sons, Inc., 2012

[8] City of Seattle, 「Seattle 2035

Comprehensive Plan」, 2016. 11

[9] City of Seattle Department of

Planning & Development, 「Seattle

Design Guideline」, 2013

[10] City of Seattle Department of

Planning & Development, 「South

Lake Union Design Guideline」, 2005

Page 15: 01-2,.3.4$- 5&1&-&.$(0,-,2/&(&.0,.$(&*6-*)%(.0$7.&$ 8,9)%&*,-:$;, ……¸후산업... · 2019-03-04 · - 24 - 929?@ABCDE FGHIJKLM @CNOPQR STUVE WXE YEZ[\]^ S_ I`aIb\cd%"1 "$ $ $"

노후산업지구재생을 위한 가로디자인 사례연구 -시애틀 아마존 캠퍼스를 중심으로 15

- 37 -

[11] City of Seattle Department of

Planning & Development, 「South

Lake Union Neighborhood Design

Guideline」, 2013

[12] http://en.wikipedia.org

[13] MK 뉴스, ‘미국 시애틀, 퇴락한 공장

지대에 아마존 입성... 첨단도시 화려한

부활’, 2015.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