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여신금리결정체계 - dgb ·...

37
46 ① 기준금리 ② 가산금리 ③ 손익분기금리 (①+②) ④ 목표수익률 ⑤ 산출금리 (③+④) ⑥ 금리조정 (±) ⑦ 적용금리 (⑤+⑥) 저희은행의 수신금리는 규제금리와 자율금리로 구분되는데“규제금리”란 관계법령 및 관계당국의 결정에 의하여 정해지는 금리로서 한국은행의“금융기관여수신 이율 등에 관한 규정”및“동 세칙”에 의해 결정되고 있으며, “자율 금리”는 금리 자유화에 따라 저희 은행이 자율적으로 정하는 금리를 말합니다. 현재 규제금리는 당좌예금, 가계당좌예금, 기업자유예금, 보통예금, 별단예금 등 일부예금에 대해서만 적용되고 있으며, 금리자유화에 따라 대부분의 수신금리는 각 은행에서 시중 실세금리 등을 감안하여 자율적으로 정하고 있 습니다. � 기준금리의 종류 1. 시장기준금리 : 시장금리가 반영된 내부이전가격(FTP)을 3,6,12개월로 구분하여 적용(아래기준금리 적용대상 이외의 대 출에 적용) 2. 당좌기준금리 : 당좌대출에 적용하며 1일 FTP와 12개월 FTP를 가중평균하여 매일 변경하여 고시하는 금리 적용 3. 한은차입기준금리 : 상업어음할인, 무역금융, 구매자금대출 등은 한국은행 차입비율을 감안하여 별도 고시하는 금리 적용 4. 대외기간차입기준금리 : 한국은행 이외의 대외기관과 약정에 의해 취급하는 대출은 대외기간차입금리에 따라 별도 금리 적용 5. 수신기준금리 : 예금, 양도성예금증서, 표지어음 등의 담보대출은 수신금리에 일정 SPREAD가산(1.5%~2.0%)하여 적용 6. 확 리: 학자금대출, 스피드간편대출, 스피드일수대출, 한사랑신혼대출 등은 별도로 정한 확정금리를 적용 2) 수신 금리 결정체계 시장금리를 반영한 대출과목별, 기간별 기준금리 여신업무 수행에 따르는 업무원가를 신용등급별로 구분 적용 신용보증기금출연료, 교육세 담보금액, 신용등급별 부실률을 반영한 예상손실 및 예상외 손실 은행의손익이“0”이되는금리 은행의 목표수익률(ROA) 손익분기금리 + 목표수익률 수익기여도 등을 감안하여 조정하는 금리 고객에게 적용되는 최종 금리 조달금리 업무원가 기타비용 Credit Premium 1) 여신 금리 결정체계

Upload: others

Post on 20-Oct-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46

    ① 기준금리�

    ② 가산금리

    ③ 손익분기금리 (①+②)

    ④ 목표수익률

    ⑤ 산출금리 (③+④)

    ⑥ 금리조정 (±)

    ⑦ 적용금리 (⑤+⑥)

    구 분 내 용

    저희은행의 수신금리는 규제금리와 자율금리로 구분되는데“규제금리”란 관계법령 및 관계당국의 결정에 의하여

    정해지는 금리로서 한국은행의“금융기관여수신 이율 등에 관한 규정”및“동 세칙”에 의해 결정되고 있으며, “자율

    금리”는 금리 자유화에 따라 저희 은행이 자율적으로 정하는 금리를 말합니다.

    현재 규제금리는 당좌예금, 가계당좌예금, 기업자유예금, 보통예금, 별단예금 등 일부예금에 대해서만 적용되고

    있으며, 금리자유화에 따라 대부분의 수신금리는 각 은행에서 시중 실세금리 등을 감안하여 자율적으로 정하고 있

    습니다.

    � 기준금리의 종류

    1. 시장기준금리 : 시장금리가 반영된 내부이전가격(FTP)을 3,6,12개월로 구분하여 적용(아래기준금리 적용대상 이외의 대출에 적용)

    2. 당좌기준금리 : 당좌대출에 적용하며 1일 FTP와 12개월 FTP를 가중평균하여 매일 변경하여 고시하는 금리 적용

    3. 한은차입기준금리 : 상업어음할인, 무역금융, 구매자금대출 등은 한국은행 차입비율을 감안하여 별도 고시하는 금리 적용

    4. 대외기간차입기준금리 : 한국은행 이외의 대외기관과 약정에 의해 취급하는 대출은 대외기간차입금리에 따라 별도 금리적용

    5. 수신기준금리 : 예금, 양도성예금증서, 표지어음 등의 담보대출은 수신금리에 일정 SPREAD가산(1.5%~2.0%)하여 적용

    6. 확 정 금 리 : 학자금대출, 스피드간편대출, 스피드일수대출, 한사랑신혼대출 등은 별도로 정한 확정금리를 적용

    2) 수신 금리 결정체계

    시장금리를 반영한 대출과목별, 기간별 기준금리

    여신업무 수행에 따르는 업무원가를 신용등급별로 구분 적용

    신용보증기금출연료, 교육세

    담보금액, 신용등급별 부실률을 반영한 예상손실 및 예상외 손실

    은행의 손익이“0”이 되는 금리

    은행의 목표수익률(ROA)

    손익분기금리 + 목표수익률

    수익기여도 등을 감안하여 조정하는 금리

    고객에게 적용되는 최종 금리

    조달금리

    업무원가

    기타비용

    Credit Premium

    1) 여신 금리 결정체계

  • The Best Leading Regional Bank|47

    개 인대 출

    신용대출

    (무보증,1년)

    등 급

    적용금리

    1

    기준금리+2.97

    4

    기준금리+4.95

    10

    기준금리+10.04

    기준금리(12. 31현재)3개월 : 5.2%, 6개월 : 5.4%, 12개월 : 5.7%

    ※ 변동주기 : 3, 6, 12개월

    구 분신용등급별1) 현황

    최상위 등급 최다 차주 해당등급 최하위 등급비 고

    아 파 트

    담보대출

    (1년)

    등 급

    적용금리

    1

    기준금리+2.0

    4

    기준금리+2.0

    10

    기준금리+2.5

    기준금리 : 이자납입일 2영업일전의 91일물

    CD유통수익률(12. 31 현재 4.9%)

    예금담보대출

    (정기예금 1년)

    등 급

    적용금리 예금금리+1.5 예금금리+1.5

    등 급

    적용금리

    1

    기준금리+1.81

    4

    기준금리+2.17

    10

    기준금리+3.09

    기준금리(12. 31 현재)3개월 : 5.2%, 6개월 : 5.4%, 12개월 : 5.7%

    ※ 변동주기 : 3, 6, 12개월

    기 업대 출 2)

    기업일반대출

    (1년)

    등 급

    적용금리

    1

    8.23

    6

    10.87

    6

    10.87

    당 좌 대 출등 급

    적용금리

    1

    8.13

    6

    10.77

    6

    10.77

    예금금리+1.5

    주) 1. 정상등급을 대상으로 함2. 무보증대출 기준

    주) 1. 기본고시금리 기준2. 일반우대금리 기준

    (2002년 12월 31일 현재, 단위 : %)

    (2002년 12월 31일 현재, 단위 : %)

    1) 여신 금리

    2) 수신 금리

    보 통 예 금

    저 축 예 금

    근 로 자 우 대 저 축

    장기주택마련저축

    정기적금

    정기예금

    1년

    1년

    6개월

    1년

    2년

    3년

    3개월

    6개월

    1년

    2년

    3년

    3년

    5년

    7년

    0.5

    0.5

    4.6

    4.8

    5.1

    5.3

    3.9

    4.1

    4.3

    5.1

    5.3

    6.0

    6.0

    0.5

    2.0

    4.6

    5.1

    5.4

    5.6

    3.9

    4.1

    4.3

    5.1

    5.3

    6.0

    6.0

    금액에 따라 차등

    만기지급식

    만기지급식

    만기지급식

    만기지급식

    만기지급식

    구 분 기 간 최저금리 1) 최고금리 2) 비 고

    - 3년까지:가입시점의 3년제금리- 3년초과 5년이하 : 3년초과시점의 정기적금

    (가계우대) 2년제 금리

  • 48

    ■ 모회사의 자회사에 대한 신용공여

    (단위 : 억원)

    대구신용정보(주)

    한국리스여신(주)

    24

    8,303

    20(15)

    -2,977(200)

    5

    223

    4

    201

    2002.12.31

    2002.03.31

    자 회 사 명결 산기 준 일당기순이익영 업 이 익자기자본(자본금)총 자 산

    재 무 상 황 손 익 상 황

    (단위 : 억원, %)

    대구신용정보(주)

    한국리스여신(주)

    -

    △1.8

    -

    △96

    -

    4.71

    -

    382

    -

    2.91

    -

    286

    회 사 명비 율신용공여액비 율신용공여액비 율신용공여액

    2002년 2001년 증 감

    ■ 자회사의 모회사에 대한 신용공여(단위 : 억원, %)

    대구신용정보(주)

    한국리스여신(주)

    회 사 명비 율신용공여액비 율신용공여액비 율신용공여액

    2002년 2001년 증 감

    해 당 사 항 없 음

  • The Best Leading Regional Bank|49

    1. 의의

    준법감시(Compliance)란 일반적으로 고객재산의 선량한 관리자로서 회사의 임직원 모두가 제반 법규 등

    을 철저하게 준수하도록 사전 또는 상시적으로 통제∙감독하는 것을 말한다.

    2. 준법감시인

    금융기관의 내부통제기준의 준수여부를 점검하고 내부통제기준에 위반하는 경우 이를 조사하여 감사위원

    회에 보고하는 자를 말함(은행법 제23조의3②)

    3. 우리은행에서의 기능

    은행업무 전반에 있어 관계법령 및 감독규정(이하“법규’라 한다)의 위반여부를 점검∙ 조사∙ 감시(이하

    “모니터링”이라 한다)함으로써 은행업무와 관련한 법규준수태세를 구축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한다.(내부

    통제규정 제3조)

    1. 내부통제규정 및 준법감시인직무규정 제정

    가. 내부통제규정 : 내부통제에 관한 기본총칙. 전 25조와 부칙2조로 구성

    나. 준법감시인직무규정 : 은행법상 기구로서 독립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직무규정으로서 전 29조와

    부칙1조로 구성되어 2000. 10.22 부터 시행함

    2. 준법감시인의 직무규정

    가. 내부통제규정 및 준법감시인직무규정의 제∙ 개정의 입안

    나. 법규준수 프로그램의 입안 관리

    다. 내부통제제도 운영실태에 대한 모니터링 및 조사

    라. 이사회, 경영진, 유관부점에 대한 지원 및 자문

    마. 일상업무에 대한 사전감시

    (1) 정관∙규정등의 제정 및 개페시 법규준수측면에서의 사전검토

    (2) 이사회, 이사회산하 각종 위원회의 부의사항에 대한 법규준수측면에서의 사전검토

    (3) 신상품개발 등 새로운 업무의 개발 및 추진시 법규준수 또는 내부통제 측면에서의 사전검토

    (4) 감독기관에 제출하는 중요한 자료나 문서에 대한 사전검토(감사조직에서 사전검토하는 회계 및 재

    무관련 보고서는 제외)등

    바. 내부통제 및 법규준수 등과 관련하여 정기적인 임직원 교육 실시 및 교육현황의 관리

    사. 임직원 윤리강령의 제정 및 세부실천방안 마련

    아. 소비자보호업무에 관한 민원처리 및 경영공시 내용의 적법성 점검 등

    자. 감독당국 및 감사조직과의 협조∙ 지원

    차. 준법감시결과의 주기적인 기록유지 및 준법감시인의 연간 활동계획∙결과에 대한 보고서 작성 및 은

    행장 보고

    3. 준법감시인의 임면

    가. 금융감독원 검사업무 편람 및 당행 내부통제규정 제20조에 의거 3년내에서 이사회에서 정하는 바에 따

    름(재선임 가능하고 현 임기는 1년임)

    나. 준법감시인의 지위는 상무로서 임원급으로 하고 있음(영업지원본부장겸임)

  • 50

    4. 준법감시 전담조직의 설치(준법감시인 직무규정 제4조)

    가. 준법감시부서

    준법감시인의 직무수행을 보좌하고 준법감시담당자 및 준법감시 관련부서(일반부서) 의 업무수행과

    관련한 협의∙ 자문을 총괄 지휘하기 위하여 준법감시팀 설치

    나. 준법감시담당자(준법감시인직무규정 제6조) : 188개부점

    준법감시인의 효율적인 준법감시업무를 수행을 위하여 각 부점에 준법감시인 및 준법감시부서의 업무

    를 보좌하는 담당자를 지정함

    (1) 본부부서 : 30개 부서

    (2) 개인영업점 : 151개 점포(소형 출장소 제외)

    (3) 기업영업센터 : 7개 센터

    다. 준법감시관련부점(일반부점)

    각 부점 및 직원은 법규준수매뉴얼 등을 숙지하고 내부통제제도 구축 및 총괄업무를 적극적으로 지원함

    5. 임직원 윤리강령 제정

    가. 깨끗한 은행으로서의 기업이념을 구현 임직원의 윤리적 가치관을 재정립하여 건전한 조직문화 창달하

    고져 함(전문 및 제4장으로 구성, 2000.12. 14)

    나. 임직원윤리강령 제1차개정(2002.4.15)■ 금융기관 임직원의 벤처기업 지원관련 비리 근절

    다. “은행윤리강령”제2차 개정(2002.10.10)■ 윤리규범의 구체화 및 실천(전직원 은행윤리강령 준수 서약서 징구)

    1. 법규준수 매뉴얼(업무 방법서)의 작성 및 배포

    가. 준법감시체제 구축을 위한 세부적인 실천지침서로써, 법규준수를 유지하기 위한 과정등을 기술한 업무

    방법서를 작성하여 전 부점에 배포

    나. 전직원들이 수시로 열람할 수 있도록“OASIS(전자문서) - 대은정보광장 - 요령/기타 - 준법감시”란

    에 게재함

    2. 임직원 교육실시

    가. 교육목적 및 대상

    (1) 교육목적

    - 준법감시체제의 이해를 통한 윤리관과 준법정신 함양

    - 법규준수 관련 절차 및 기준을 숙지하여 즉시 업무에 적용

    (2) 교육대상

    - 전 임직원 및 신입직원

    나. 전직원에 대한 준법교육 실시

    다. 신입직원, 신임대리 및 차장 교육 실시

    라. 감사통할책임자 및 준법감시담당자 교육 실시

    3. 소비자보호

    가. 민원

    (1) 각부점에서 민원 신청하면 민원 처리후 해당부점에 결과 통보

    (2) 준법감시팀 법적대응 관련 자문

    나. 경영공시

    적법성 여부 사전검토

  • The Best Leading Regional Bank|51

    다. 광고 등

    (1) 금융상품을 공시(광고, 안내장, 게시물 등)하는 경우 당해 부서장은 준법감시인에게 사전법적검토

    의뢰

    (2) 기타 홍보 업무(홍보팀)와 관련하여 준법감시인은 법적검토 의뢰 받은 경우 자문

    4. 모니터링 등

    가. 부점 법규준수 체크리스트에 의한 일일 점검

    준법감시담당자가 부점 직원의 법규준수 이행상황을“부점법규준수 체크리스트”에 의거 전산으로

    작성∙ 점검하고 있음

    나. 전직원 개인별“법규준수 자기 점검표”에 의한 점검

    전직원이 매주 1회(월요일) 전산으로 작성하고 있음

    다. 준법감시활동보고서

    부점별 준법감시담당자가 매월 1회 직원을 대상으로 상담 및 자문, 교육, 기타 활동사항을 전산 작성

    하여 준법감시팀으로 보고하고 있음

    5. 일상업무에 대한 사전감시

    가. 준법감시인 직무규정 제2조①항5호에 의거 최종결재자(본부장)에 앞서 준법감시인이 법규준수 측면에

    서 사전감시함

    나. 일상업무 사전감시 건별 주요내용

    ※ 정관, 규정, 지침 등 제∙개정에 대한 사전검토는 제외함

    (준법감시인 품의 得 : 준법감시팀장 합의로 사전감시로 갈음)

    (2002년 12월 31일 현재, 단위 : 건)

    이사회 및 이사회

    산하 각종 위원회

    부의안건 사전검토

    신상품(신제도) 개발 등에 대한 사전검토

    감독기관 앞 보고서 등 사전검토

    기타업무에 대한 사전검토

    합 계

    이 사 회

    감 사 위 원 회

    경영발전위원회

    리스크관리위원회

    소 계

    구 분 비 고연 누 계2002. 7. ~

    2002. 12. 312002. 1. ~2002. 6. 30

    2

    -

    -

    2

    4

    17

    14

    2

    37

    4

    -

    -

    4

    8

    13

    18

    2

    41

    6

    -

    -

    6

    12

    30

    32

    4

    78

  • 52

    1. 기능

    제법령, 규정 및 시달에 의하여 제반 업무를 처리하고 있는가를 조사 확인한다

    2. 역할

    업무지도와 개선을 기하는 동시에 부정행위 또는 과오, 해태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사고를

    적발 또는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은행업무의 원활한 발전을 도모하게 한다

    1. 기본방향

    금융사고 예방과 건전경영 정착을 위해 검사역량 집중

    2. 검사방침

    가. 금융사고 예방활동 강화

    -상시감사기능 강화

    -불시검사(Spot Check) 지속 실시

    -내부통제절차 이행 유도

    나. 금융자산의 건전성 제고

    -자산건전성 검사 강화

    -부실 예방시스템 강화

    다. 경영실태검사 강화

    -본부부서의 경영실태검사 강화

    -영업점의 경영실태검사 강화

    라. 검사업무 효율성 제고

    -검사인력의 전문성 강화

    -종합검사정보시스템 활용 확대

    -검사제도 지속 개선

    1. 일반검사- 본부 및 A그룹 : 종합검사 매년 1회

    - B그룹 : 종합검사와 부문검사 교대로 매년 1회

    - C그룹 : 종합검사 격년 1회

    2. 특별검사(시재, 사고예방 점검) : 연간 1회

    3. 기타 특별 및 테마검사 : 수시

    4. 조사 및 임점 : 수시

  • The Best Leading Regional Bank|53

    부여일

    부여주식총계주총결의 계 이사회결의 계

    0563,139563,139

    직 위

    은행장

    부행장

    前 상근감사위원

    前 상무

    상무

    상무

    상무

    前 상무

    상근감사위원

    상무대우

    상무대우

    상무대우

    2000.2.29.

    2002.3.8.

    김극년

    이화언

    이영무

    임병후

    임상녕

    백영태

    배달조

    김재성

    박영배

    박성동

    조성태

    이상배

    보통주 130,000

    70,000

    37,742

    8,439

    50,000

    50,000

    50,000

    26,958

    50,000

    30,000

    30,000

    30,000

    888

    888

    888

    888

    888

    888

    888

    888

    2,286

    2,286

    2,286

    2,286

    2003.3.1~2006.2.28

    2005.3.9~2008.3.8

    5,000

    5,000

    5,000

    5,000

    5,000

    5,000

    5,000

    5,000

    5,000

    5,000

    5,000

    5,000

    0

    0

    0

    0

    0

    0

    0

    0

    0

    0

    0

    0

    -

    -

    -

    -

    -

    -

    -

    -

    -

    -

    -

    -

    -

    -

    -

    -

    -

    -

    -

    -

    -

    -

    -

    -

    130,000

    70,000

    37,742

    8,439

    50,000

    50,000

    50,000

    26,958

    50,000

    30,000

    30,000

    30,000

    4,530

    (2월말

    종가)

    -61,100,000

    -32,900,000

    -17,738,740

    -3,966,330

    -23,500,000

    -23,500,000

    -23,500,000

    -12,670,260

    -23,500,000

    -14,100,000

    -14,100,000

    -14,100,000

    성 명주식의종 류

    부 여주식수

    부 여 시현재가치

    행사기간행 사가 격

    행 사주식수

    행 사일 자

    행 사이 익

    미행사주식수

    최 근주 가

    미행사주식평 가 가 치

    발행주식총수총부여 한도 이사회결의 부여한도

    1,321,25013,212,500132,125,000

    1) 행사가격 : 5,000원

    2) 행사수량 : 주식매수선택권 총부여현황 참조

    3) 기 타 : 성과와 연동하여 행사수량 조정토록 함.(총자산이익률(ROA), 자기자본이익률(ROE),

    BIS비율, 무수익여신비율, 당기순이익, 1인당 영업이익의 개선 여부를 비교하여 조정률을

    적용하고 행사가능 수량을 확정함.)

    (단위 : 주, 원)

  • 54

    1) 부 여

    ① 주주총회 특별결의(단위 : 주, 원)

    부 여 일 직 위

    은행장

    부행장

    前 상근감사위원

    前 상무

    상무

    상무

    상무

    前 상무

    상근감사위원

    상무대우

    상무대우

    상무대우

    2000.2.29.

    2002.3.8.

    김극년

    이화언

    이영무

    임병후

    임상녕

    백영태

    배달조

    김재성

    박영배

    박성동

    조성태

    이상배

    보통주 0

    0

    0

    0

    0

    0

    0

    0

    0

    0

    0

    0

    130,000

    70,000

    37,742

    8,439

    50,000

    50,000

    50,000

    26,958

    50,000

    30,000

    30,000

    30,000

    888

    888

    888

    888

    888

    888

    888

    888

    2,286

    2,286

    2,286

    2,286

    132,125,000 1,321,2502003.3.1~2006.2.28

    2005.3.9~2008.3.8

    5,000

    5,000

    5,000

    5,000

    5,000

    5,000

    5,000

    5,000

    5,000

    5,000

    5,000

    5,000

    -

    -

    -

    -

    -

    -

    -

    -

    -

    -

    -

    -

    성 명주식의종 류

    부 여주식수

    기부여주식수

    행사기간행 사가 격

    행 사조 건

    부 여 시현재가치

    발행주식총 수

    부여한도

    ② 이사회 결의

    2) 행 사

    3) 취 소

    부 여 일 직 위 성 명주식의종 류

    부 여주식수

    기부여주식수

    행사기간행 사가 격

    행 사조 건

    부 여 시현재가치

    발행주식총 수

    이사회결의부여한도

    해 당 사 항 없 음

    부 여 일 직 위 성 명주식의종 류

    부 여주식수

    행 사주식수

    잔 여주식수

    부 여 시행사가격

    최 종행사가격

    행사시주가 행사이익

    해 당 사 항 없 음

    취 소 일 직 위 성 명주식의종 류

    부 여주식수

    행 사주식수

    취 소주식수

    잔 여주식수

    취 소 사 유

    해 당 사 항 없 음

    (단위 : 억원)

    임직원 소액대출 잔액 404 406

    구 분 2002 년 도 2001 년 도

  • The Best Leading Regional Bank|55

    49,206

    2,831

    9,904

    -

    5,915

    -

    67,856

    -

    -

    -

    -

    800

    -

    300

    1,100

    11,368

    -

    6,838

    4,315

    3,244

    -

    25,765

    61,374

    33,347

    94,721

    48,781

    1,701

    7,991

    -

    4,665

    -

    63,138

    -

    -

    -

    -

    800

    -

    300

    1,100

    12,825

    -

    6,097

    3,499

    3,149

    -

    25,570

    62,406

    27,402

    89,808

    35,136

    -

    6,426

    -

    4,272

    -

    45,834

    -

    -

    -

    -

    800

    660

    300

    1,760

    13,796

    -

    5,897

    2,646

    -

    -

    22,339

    49,732

    20,201

    69,933

    -14,070

    -2,831

    -3,478

    -1,643

    -

    -22,022

    660

    660

    2,428

    -941

    -1,669

    -3,244

    -3,426

    -11,642

    -13,146

    -24,788

    (-28.6)

    (-100.0)

    (-35.1)

    -

    (-27.8)

    (-32.5)

    -

    -

    -

    -

    -

    -

    (60.0)

    (21.4)

    -

    (-13.8)

    (-38.7)

    (-100.0)

    -

    (-13.3)

    (-19.0)

    (-39.4)

    (-26.2)

    -13,645

    -1,701

    -1,565

    -393

    -17,304

    660

    660

    971

    -200

    -853

    -3,149

    -3,231

    -12,674

    -1,041

    -1,765

    (-28.0)

    (-100.0)

    (-19.6)

    -

    (-8.4)

    -

    (-27.4)

    -

    -

    -

    -

    -

    -

    (60.0)

    (7.6)

    -

    (-3.3)

    (-24.4)

    (-100.0)

    -

    (-12.6)

    (-20.3)

    (-26.3)

    (-22.1)

    동일산업ㄜ

    오 순 택

    (2002.03)

    박 연 구

    (2002.03)

    이 승 주

    (2002.03)

    ㄜ 성 안

    (2002.03)

    합 계

    본 인

    동 일 금 속 ㄜ

    제일연마공업ㄜ

    오 유 인

    ㄜ 세 명 기 업

    동일연마공업ㄜ

    소 계

    본 인

    삼 호 산 업 ㄜ

    ㄜ케이엠씨인터내셔널

    소 계

    본 인

    국제인더스트리ㄜ

    국 제 염 직 ㄜ

    소 계

    본 인

    박 상 완

    ㄜ 성 안 합 섬

    한 명 통 상 ㄜ

    ㄜ 우 영

    성안직물 박용관

    소 계

    본 인

    특 수 관 계 인

    소 계

    전년말대비(C-B)선임일대비(C-A)

    금 년 말신용공여(C)

    전 년 말신용공여(B)

    선임당시신용공여(A)

    주주(또는 임원) 및

    특수관계인명3)주주(또는 임원)명

    2) 증 감 (증 감 율)

    (단위 : 백만원, %)

    특수

    관계인

    특수

    관계인

    특수

    관계인

    특수

    관계인

  • 56

    -

    -

    -

    -

    -

    -

    111

    111

    29

    29

    -

    -

    -

    -

    -

    -

    -

    -

    -

    140

    140

    61,514

    33,347

    94,861

    -

    -

    -

    -

    -

    -

    95

    95

    -

    -

    -

    -

    -

    -

    -

    -

    -

    -

    -

    -

    95

    95

    62,501

    27,402

    89,903

    -

    -

    -

    -

    -

    -

    -

    -

    20

    20

    -

    -

    -

    -

    8

    8

    -

    -

    -

    -

    28

    28

    49,760

    20,201

    69,961

    -111

    -111

    -9

    -9

    8

    8

    -112

    -112

    -11,754

    -13,146

    -24,900

    -

    -

    -

    -

    -

    -

    (-100.0)

    (-100.0)

    (-)

    (-)

    -

    -

    -

    -

    (-)

    (-)

    -

    -

    -

    -

    (-80.0)

    (-80.0)

    (-19.1)

    (-39.4)

    (-26.2)

    -95

    -95

    20

    20

    8

    8

    -67

    -67

    -12,741

    -1,041

    -13,782

    -

    -

    -

    -

    -

    -

    (-100.0)

    (-100.0)

    (-)

    (-)

    -

    -

    -

    -

    (-)

    (-)

    -

    -

    -

    -

    (-70.5)

    (-70.5)

    (-20.4)

    (-26.3)

    (-22.2)

    김 극 년

    (은행장)

    (2002.03)

    이 화 언

    (부행장)

    (2000.03)

    박 영 배

    (상근감사위원)

    (2002.03)

    임 상 녕

    (상 무)

    (2002.03)

    백 영 태

    (상 무)

    (2002.03)

    배 달 조

    (상 무)

    (2002.03)

    이 경 재

    (사외이사)

    (2002.03)

    권 혁 주

    (사외이사)

    (2002.03)

    오 순 택

    (사외이사)

    (2002.03)

    허 노 목

    (사외이사)

    (2002.03)

    합 계

    본 인

    특수관계인

    소 계

    본 인

    특수관계인

    소 계

    본 인

    특수관계인

    소 계

    본 인

    특수관계인

    소 계

    본 인

    특수관계인

    소 계

    본 인

    특수관계인

    소 계

    본 인

    특수관계인

    소 계

    본 인

    특수관계인

    소 계

    본 인

    특수관계인

    소 계

    본 인

    특수관계인

    소 계

    본 인

    특수관계인

    소 계

    본 인

    특수관계인

    전년말대비(C-B)선임일대비(C-A)

    금 년 말신용공여(C)

    전 년 말신용공여(B)

    선임당시신용공여(A)

    주주(또는 임원) 및

    특수관계인명3)주주(또는 임원)명

    2) 증 감 (증 감 율)

    (단위 : 백만원, %)

    주) 1) 원칙적으로 은행업감독규정 별표2 “신용공여의 범위”에서 정한 기준에 따르되, 동 기준의 각주에 따라 제외되는 신용공여를 포함한 기준으로

    작성함

    2) 주주의 경우 당해 주주가 추천한 사외이사가 선임된 경우에 한하여 작성대상으로 하며 ( )에 선임연월을 명시함. 임원의 경우에는 ( )에 선임

    연월과 직위(은행장,부행장,사외이사 등)을 명시함. 신용공여가 없는 주주 및 임원의 경우에는 신용공여란에“해당사항없음”으로 명시함.

    3) 은행법시행령 제1조의 4에서 정하는 주주(또는 임원)의 특수관계인임.

    총 계

  • The Best Leading Regional Bank|57

    (단위 : 개)

    � 기업구조조정촉진법 및 채권은행 자율의 상시평가시스템에 의해 세부평가대상기업으로 선정된 기업을 모두 포함

    평가대상기업수�

    정 상

    평 가 결 과

    부실징후기업이 될가능성이 큰 기업

    부실징후기업경영정상화 가능성이

    없는 기업

    58 30 16 11 1

    (단위 : 개)

    �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없는 기업에 대한 법정관리 신청 또는 폐지, 청산∙파산 등의 향후 추진방안 표시

    평가대상 기업수경영정상화 가능성이 없는기업에 대한 향후 추진방안�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없는기업으로 평가된 기업수

    부실징후기업

    법정관리∙화의기업

    1 -

    -10

    (단위 : 개)

    관리중인정리대상기업수�

    정 리 완 료법원앞 법정관리폐지∙

    화의취소 등 신청담보물경매 등

    매각추진중기 타

    6 5 1

    � 상시신용위험평가시스템도입(2001년)이후 정리대상기업으로 분류한 기업을 모두 포함

  • 58

    ■ 고유번호나 납세번호가 있는 경우

    납세번호증(근거: 소득세법) 또는 고유번호증(근거: 부가가치세법)을 은행에 제출하면 단체명과 납세번호 또는 고유

    번호로예금거래를할수있습니다.

    ■ 고유번호나 납세번호가 없는 경우

    - 거래방법 : 단체의 대표자 (회장, 총무,간사등) 개인의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로 예금거래를 하되 단체명을 표시합니다.

    - 금융소득 관리

    ▶ 단체입증서류를 제출한 경우

    단체의 금융소득과 단체 대표자 개인의 금융소득을 구분하여 국세청에 통보하므로 금융소득종합 과세시 단체의

    금융소득 때문에 대표자가 손해를 볼 염려가 없습니다.

    ※ 제출서류(아래서류를 모두 제출해야 합니다)

    ∙ 단체의 정관 또는 조직과 운영에 관한 규정

    ∙ 대표자임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

    ∙ 조직구성원 명부

    ▶ 단체입증서류를 제출하지 않은 경우

    대표자 개인의 금융소득으로 관리하므로 금융소득종합 과세시 대표자가 손해를 볼 수도 있습니다.

    ■「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법률」에 의해 모든 예금거래는 반드시 본인의 실명으로 해야 합니다.

    ■ 은행은 실명을 확인하기 위하여 주민등록증, 사업자등록증 등 실명확인증표 또는 그 밖에 필요한 서류를 요구할

    수 있으며, 예금거래자는 이에 따라야 합니다.

    ■ 예금거래를 시작할 때 인감(또는 서명)과 비밀번호를 신고해야 합니다.

    다만, 적립식예금은 비밀번호를 신고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비밀번호를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등다른사람이알기쉬운숫자를사용하거나

    통장 등에 기재하면 타인에게 쉽게 노출되어 피해를 볼 수 있습니다.

    ■ 목도장 등 위조하기 쉬운 도장은 거래인감으로 사용하지 마십시오.

    1. 예금거래를 시작할 경우

    ■ 예금을 하는 경우에는 은행직원이 통장 및 예금청구서(또는 무통장입금신청서)와 현금(증권포함)을 받아 확인할

    때까지 창구를 떠나지 마시고 거래가 끝나면 통장이나 무통장입금증 등에 전산 인자된 입금금액이나 예금주 등

    을 확인하여 신청한 대로 처리되었는가를 확인하십시오.

    ■ 예금을 찾는 경우에는 현금 (증권포함)을 받는 즉시 청구한 금액과 맞는지를 확인한 후 통장에 전산 인자된 출금

    금액 등을 확인하여 신청한 대로 처리되었는지를 확인하십시오.

    ■ 공동명의로 예금한 경우에는 명의인 전원의 기명날인이 없으면 예금을 인출할 수 없습니다.

    ■ 현금자동지급기에서 카드로 현금을 찾을 경우에는 금액과 명세표를 상호 대조하기 바랍니다.

    ■ 모든 예금은 법령에서 금지했을 때 말고는 은행이 승낙해야 양도하거나 질권설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입출금이 자유로운 예금은 질권설정 할 수 없습니다.

    3. 예금을 하거나 찾을 경우

    2. 동창회나 종교단체등 임의단체가 예금 거래할 경우

    예 금 거 래

  • The Best Leading Regional Bank|59

    ■ 통장,도장,카드 또는 수표,어음이나 그 용지를 분실,도난,멸실,훼손했을 때는 가까운 은행점포에 서면으로 신고

    해야 합니다. 다만, 긴급하거나 부득이할 때는 영업시간 중에 전화 등으로 신고할 수 있습니다.

    ■ 유선이나 구두로 신고한 경우에는 반드시 다음 영업일까지 서면신고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 통장,도장,카드 또는 수표,어음이나 그 용지를 분실, 도난, 멸실,훼손했을 때는 가까운 은행점포에 서면으로 신고

    해야 합니다. 다만 긴급하거나 부득이할 때는 영업시간 중에 전화 등으로 신고할 수 있습니다.

    ■ 유선이나 구두로 신고한 경우에는 반드시 다음 영업일까지 서면신고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4. 예금통장 등을 분실(도난)하였을 경우

    ■ 수표∙어음을 발행할 경우에는 다른 사람이 위∙변조할 수 없도록 주의해서 금액을 적으십시오. 가급적 금액란

    에는 여백이 생기지 않도록 하십시오.

    ■ 가계수표는 장당발행한도(3종류 : 1백만원, 3백만원, 5백만원)가 있으므로 이를 초과하여 발행하면 부도처리 됩

    니다.

    1. 수표∙어음을 발행할 경우

    ■ 수표나 어음을 받을 경우에는 기재내용을 확인하고 수표번호, 발행금융기관, 금액 등을 기재하여 보관하십시오.

    은행에 분실신고 할 경우 등에 매우 편리합니다.

    ■ 수표는 발행일로부터 10일이 경과하여 금융기관에 지급제시되면「제시기간경과」를 부도사유로 반환될 수

    있으므로 수표도 가능하면 제시기일이 경과되기 전에 거래은행에 제시하십시오.

    2. 수표∙어음을 받을 경우

    ■ 수표∙어음을 분실(도난)하였을 경우에는 즉시 지급은행에 분실(도난)사실을 신고하십시오. 거래관계로 받은 수

    표∙어음을 분실한 경우에는 발행인에게 연락하여 함께 신고해야 합니다.

    ■ 분실(도난)수표∙어음에 대해서는 공시최고절차를 취한 후 법원으로부터 제권판결을 받으십시오.

    ■ 제권판결문으로 분실(도난)된 수표∙어음금액을 찾는 방법 (거래관계로 받은 수표∙어음을 분실 또는 도난 당한

    고객이 사고신고 후 제권 판결을 받은 경우)

    ▶ 지급은행에 사고신고담보금이 입금된 경우

    제권판결문을 해당은행에 제시하고 1개월이 지나면 사고신고담보금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권리보

    류부 제권판결문을 제출한 경우나 제권판결불복의 소가 제기되면 지급 받을 수 없습니다.

    ▶ 지급은행에 사고신고담보금이 입금되지 않은 경우

    수표∙어음 발행인에게 제권판결문을 제시하고 지급을 요청해야 합니다.

    3. 수표∙어음을 분실(도난)하였을 경우

    수 표 ∙ 어 음 거 래

  • 60

    ■ 거래관계로 수표∙어음을 받아 금융기관에 지급제시하였으나 부도처리된 경우에는 수표∙어음금 청구소송 등

    법적절차를 진행하기 전에 해당 금융기관에 사고신고담보금이 예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주십시오.

    ■ 사고신고담보금이 예치된 경우에는 별도의 압류절차를 취하지 않아도’사고신고담보금 처리를 위한 약정서’에서

    정한 방법으로 지급청구하면 사고신고담보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방법 - 수표(어음)금 지급청구소송에서 승소하고 그 판결확정증명을 제출하는 방법 등

    ■ 사고신고담보금이 예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소송이 오래 갈 것 같으면 법적절차 진행중임을 입증하는 서류를

    사고신고담보금 보관은행에 제출하십시오. 왜냐하면 사고신고담보금은 부도된 수표∙어음과 관련하여 이해

    관계인이 소송계류중임을 입증하는 서면을 해당 금융기관에 제출함이 없이 당해 수표∙어음의 지급제시일로

    부터 6개월이 경과하면 발행인에게 지급해야하기 때문입니다.

    4. 지급제시한 수표∙어음이 부도처리 되었을 경우

    ■ 신용카드 이용대금은 해당 결제일(결제일이 토요일 또는 공휴일인 경우 다음 영업일)에 지정하신 결제계좌에서

    자동이체 됩니다.

    ■ 은행업무 마감시간 이후 입금(인터넷,폰뱅킹,ARS입금이체 등)하여 저희은행 자동이체 작업이 종료된 경우 입금

    일 당일에는 처리되지 않고 다음 영업일에 자동 이체 됩니다.

    ■ 신용카드 회원의 결제일별 이용기간(신용공여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신용카드 이용대금의 결제방법

    ■ 회원은 카드를 분실하거나 도난당한 경우 즉시 비씨카드ㄜ 또는 은행에 신고하여야 합니다.

    이 경우 신고접수자,접수번호,신고시점 등 접수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사항을 회원에게 알려 드리며,

    회원은 이러한 사항을 확인하여야 합니다.

    ■ 위 절차를 이행한 경우 회원은 분실.도난신고 접수일로부터 60일 전 이후(현금 인출, 현금서비스, 비밀번호를 사

    용하기로 약정한 가맹점에서의 신용판매대금의 경 우는 신고시점 이후)에 발생한 제3자의 카드 부정사용금액에

    대하여는 다음 각 호의 사유를 제외하고 은행으로부터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1) 회원의 고의에 의한 부정사용의 경우

    (2) 카드의 미서명,관리소홀,대여,양도,보관,이용위임,담보제공,불법대출 등으로 인한 부정사용의 경우

    (3) 회원의 가족,동거인(사실상의 동거인 포함)에 의한 부정사용의 경우

    (4) 회원이 분실,도난 사실을 인지하고 정당한 사유없이 신고를 지연한 경우

    (5) 회원이 부정사용 조사를 위한 비씨카드ㄜ 또는 은행의 요청에 협조하지 아니한 경우

    (6) 카드 비밀번호 유출로 인한 부정사용의 경우

    ■ 회원이 서면으로 신용카드의 이용금액에 대하여 이의를 제기할 경우 은행은 이에 대한 조사를 완료할 때까지

    회원으로부터 해당 금액을 청구하지 않습니다.

    2. 신용카드 회원에 대한 책임

    1일

    5일, 8일

    12일, 15일

    23일, 25일

    27일

    전전월 5일 ~ 전월 4일

    전전월 13일 ~ 전월 12일

    전전월 20일~ 전월 19일

    전월 1일 ~ 전월 말일

    전월 5일 ~ 당월 4일

    결 제 일 자 이 용 기 간

    신 용 카 드 거 래

  • The Best Leading Regional Bank|61

    ■ 인터넷뱅킹 접속비밀번호, 폰뱅킹 비밀번호, 씨크리트카드암호, 인증서암호 등이 타인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주

    의(수첩,지갑,통장 등에 기록하지 말 것)하여야 하며, 비밀번호가 노출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즉시 비밀번호를

    변경하거나 사용정지 신고를 하시기 바랍니다.

    ■ 비밀번호는 이용고객께서 수시로 변경하여 사용하시면 비밀번호 노출을 막을 수 있으며, 특히 비밀번호 숫자조

    합을 주민등록번호, 일련된 숫자, 전화번호, 차번호, 일련번호, 연속된 동일숫자 등을 사용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1. 비밀번호의 관리

    다음의 경우에는 사용이 정지되고 영업점에 서면에 의해 재신청하여야 사용이 가능합니다.

    ■ 3회이상연속하여인터넷뱅킹접속비밀번호, 폰뱅킹비밀번호, 씨크리트카드암호,

    계좌비밀번호를 잘못 입력할 경우

    ■ 영업점 가입신청 후 3일(신청일 포함) 이내에 폰뱅킹 비밀번호, 인터넷뱅킹

    접속비밀번호를 등록하지 않은 경우

    2. 사용정지 사유

    ■ 이체(송금)도중 접속장애, 무응답, 에러 메시지 등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반드시 지시한 거래가 정상적으로 처리되었는지 잔액조회, 거래내역조회로

    확인하여야 합니다.

    ■ 인터넷뱅킹의 경우 반드시“인터넷뱅킹 종료”버튼을 눌러 접속을 종료하고,

    PC에 백신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으로 실행함으로써 해킹 등의 보안침해 사고에 대비하시기 바랍니다.

    ■ PC방 등 공공장소에서 컴퓨터, 디지털전화 등을 사용하여 전자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때는 비밀번호, 계좌번호 등

    의 개인정보가 저장될 우려가 있으니 가급적 사용을 자제하고, 사용후 관련정보의 삭제를 철저히 하시기 바랍니다.

    ■ 신용카드 매출전표, CD/ATM출금전표 등 금융거래 관련 영수증을 반드시 보관하시고 함부로 버리지 않습니다.

    ■ 1회 및 1일 이체한도 최고금액을 적절히 설정합니다.

    ■ 은행이 제공하는 휴대폰문자통지(SMS) 서비스에 가입하면 계좌출금 또는 신용카드 사용시 본인에게 메시지가

    통보되도록 함으로써 부정사용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사용시 유의사항

    신탁상품 가입시 - 신탁상품은 예금과는 아래와 같은 차이가 있습니다

    신 탁 거 래

    전 자 금 융 서 비 스

    ■ 예금과의 가장 큰 차이는 예금은 약정된 이자를 지급하는 반면 신탁상품은 실적에 따른 배당을 한다는 점입니다.

    ■ 즉 예금은 은행이 원리금을 보장하지만 신탁상품은 원칙적으로는 원리금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개인연금신탁, 노후생활연금신탁, 퇴직신탁, 신개인연금신탁, 신노후생활연금신탁, 연금신탁 등과 같은 상품은 원금만 보장해 드립니다)

    1. 실적배당

    ■ 예금상품은 저축성상품이라면 신탁상품은 투자형 상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신탁상품은 그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신탁에 가입하시는 고객께서는 투자성향 및 라이프사이클 등을

    잘 판단하시어 그 성격에 맞는 상품을 선택하시는 게 중요합니다.

    2. 상품의 성격

  • 62

    ■ 대출거래기본약관 및 해당여신거래부속약정서, 대출거래약정서의 내용을 면밀히 검토한 후 자필로 서명 날인하

    시고, 약관 및 약정서 사본을 수령하시기 바랍니다.

    ■ 대출거래기본약관 및 약정서 등의 모든 내용에 대하여 의문이 나는 사항에 대하여는 대출담당 직원에게 문의하

    여 설명을 들으십시오

    1. 대출신청시 확인내용

    ■ 담보,보증은 제공하는 담보(보증)의 종류에 따라 책임의 한계가 달라지기 때문에 향후 예기치 못한 피해를 입을

    수도 있으니 담보종류에 따른 책임범위를 확인하고 제공하셔야 합니다.

    ■ 담보제공자가 대출신청인과 다를 경우에는 연대보증 행위를 같이 할 수 없습니다

    ■ 계약체결 후에는 계약(보증)서 사본을 수령하시기 바랍니다.

    2. 담보제공이나 연대보증을 할 경우

    ■ 대출의 이용은 본인의 수입 등을 감안하여 무리없이 변제가 될 수 있도록 계획적으로 하여 주십시오.

    ■ 자금 사용은 반드시 정해진 용도에만 사용되어야 하며, 타용도로 사용시 신용불량보유자로 등록되어 대출금 회

    수는 물론 향후 금융기관 거래시 불이익을 당할 수 있습니다.

    ■ 대출수혜후 채무자명의, 상호, 대표자, 주소 및 인감 등의 사항이 변경될 시에는 은행에 통지하여 주십시오.

    3. 기 타

    여 신 거 래

  • The Best Leading Regional Bank|63

    가. 자금이체 기본수수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나. 인터넷뱅킹, 모바일, TV뱅킹, PC뱅킹 이용고객 중 네티즌 및 독도통장을 통하여 자금이체를 할 경우에는

    자금이체수수료를 면제합니다. 다만, 기업인터넷뱅킹의 대량지급이체 서비스 이용시에는 네티즌 및 독도

    통장 이용에 불구하고 자금이체수수료를 징구합니다.

    다. 폰뱅킹 상담원 접속을 통한 당행 및 타행 자금이체 거래시에는 매 이체 건당 400원의 수수료를 폰뱅킹자

    금이체 기본수수료에 추가합니다.

    라. 위‘가’에 불구하고 네티즌통장에 의한 인터넷뱅킹, 모바일뱅킹, TV뱅킹 자금이체시에는 다음과 같이 자

    금이체 수수료를 감면합니다.

    1) 네티즌 무통장 : 면제

    2) 네티즌 유통장 : 건당 300원

    마. 기업인터넷뱅킹의 대량수납이체에 대하여는 수수료를 면제합니다.

    가. 휴대폰 문자통지서비스수수료

    1) 문자통지서비스수수료는 매월말 현재 신청계좌에 대해 계좌당 입금통지, 출금통지별로 각각 정액

    1,000원을 신청익월부터 매월 10일 입금통지 지정계좌에서 자동이체 출금합니다.

    2) 이체일에 잔액부족 등으로 미처리된 경우에는 익월 청구분에 포함한다. 다만, 3개월분 연체시에는 이

    체처리 익영업일 서비스를 강제해지하고 미청구분을 삭제합니다.

    나. 거래내역 FAX통지서비스수수료

    타 행 간 100만원 이하

    자금이체 100만원 초과

    대 구 은 행 간

    자 금 이 체

    450원

    450원

    면 제

    면 제

    500원

    500원

    면 제

    면 제

    500원

    1,000원

    면 제

    면 제

    수 수 료 구 분 인터넷뱅킹, 모바일, TV뱅킹 PC뱅킹 폰 뱅 킹

    FAX 입출금 거래 내역

    FAX 입금 거래 내역

    FAX 출금 거래 내역

    건당 300원

    건당 300원

    건당 300원

    811

    812

    813

    폰 뱅 킹 서 비 스 코 드 서 비 스 내 용 금 액

    전자금융 이용수수료

  • 64

    카 드 구 분

    OK플러스 카드(개인, 기업)

    일 반

    우 량

    골 드

    골 드

    우 량

    골 드

    플래티늄

    골 드

    플래티늄

    개 인국 내

    전 용

    국내외

    겸 용

    기 업

    개 인

    기 업

    없 음

    2,000원

    5,000원

    5,000원

    5,000원

    10,000원

    10,000원

    120,000원

    본인 120,000원

    가족 50,000원

    연 회 비

    19~24개월10~18개월6~9개월5개월3~4개월할 부 기 간

    수 수 료 율 14.5% 15.0% 16.5% 16.5%

    구 분 수 수 료

    면 제

    건당 300원

    면 제

    건당 300원

    영업시간내

    영업시간외

    영업시간내

    영업시간외

    현 금 인 출

    계 좌 이 체

    CD/ATM기

    이용수수료

    구 분10만원이하

    수 수 료

    100만원이하 100만원초과

    현 금 인 출

    계 좌 이 체

    영업시간내

    영업시간외

    영업시간내

    영업시간외

    500원

    500원

    건당 700원

    건당 900원

    1,300원

    1,800원

    2,000원

    2,500원

    신용카드 관련 수수료

    16.0%

  • The Best Leading Regional Bank|65

    적 용 기 준해외현금서비스일 시 불 매 출

    수 수 료 율

    회전결제비율 5% 약정회원

    회전결제비율 10% 약정회원

    회전결제비율 20% 약정회원

    회전결제비율 30% 약정회원

    회전결제비율 100% 약정회원

    연 15.5%

    연 15.0%

    연 14.5%

    연 14.0%

    수 수 료 없 음

    연 19.5%

    연 19.0%

    연 18.5%

    연 18.0%

    연 율 (%)수수료율(%)사 용 일 수연 율 (%)수수료율(%)사 용 일 수

    57

    56

    55

    54

    53

    52

    51

    50

    49

    48

    47

    46

    45

    44

    43

    42

    41

    40

    39

    2.85

    2.85

    2.85

    2.85

    2.85

    2.85

    2.85

    2.85

    2.85

    2.85

    2.85

    2.76

    2.76

    2.66

    2.57

    2.47

    2.47

    2.28

    2.28

    18.25

    18.57

    18.91

    19.26

    19.63

    20.00

    20.40

    20.81

    21.23

    21.67

    22.13

    21.86

    22.35

    22.07

    21.77

    21.47

    21.99

    20.81

    21.34

    38

    37

    36

    35

    34

    33

    32

    31

    30

    29

    28

    27

    26

    25

    24

    23

    22

    21

    20 이하

    2.28

    2.19

    2.19

    2.09

    2.00

    2.00

    1.93

    1.93

    1.83

    1.71

    1.52

    1.22

    1.13

    0.93

    0.93

    0.84

    0.79

    0.74

    연 14.00

    21.90

    21.55

    22.15

    21.80

    21.42

    22.07

    21.97

    22.68

    22.26

    21.52

    19.81

    16.52

    15.84

    13.58

    14.14

    13.28

    13.11

    12.86

    14.00

  • 66

    신 탁 종 류 별 기 간 별 중도해지수수료중도해지수수료

    산 정 기 준중도해지수수료율

    가 계 금 전 신 탁

    기 업 금 전 신 탁

    적립식목적신탁(실적배당)

    노후생활연금신탁

    개 인 연 금 신 탁

    가 계 장 기 신 탁

    근 로 자 우 대 신 탁

    신 종 적 립 신 탁

    단 위 금 전 신 탁

    (분 리 과 세 신 탁)

    신 단 위 금 전 신 탁

    추가금전신탁(주3)

    신 추 가 금 전 신 탁

    퇴 직 신 탁

    신 개 인 연 금 신 탁

    신노후생활연금신탁

    신근로자우대신탁

    6개월미만

    6개월 � 1년미만

    1년이상

    2년미만

    2년이상 � 5년미만

    5년이상

    2년미만

    2년이상 � 3년미만

    3년이상

    6개월미만

    6개월이상 � 1년미만

    1년이상

    1년미만

    1년이상

    6개월미만

    6개월이상

    3개월미만

    6개월미만

    1년미만

    3개월미만

    1년미만

    2년미만

    3년미만

    1년 미만

    1년 이상 ~ 2년미만

    2년 이상 ~ 5년미만

    5년 이상

    3개월 미만

    3개월 이상 ~ 6개월 미만

    6개월 이상 ~ 1년미만

    1년 이상

    1년 미만

    1년 이상 ~ 2년미만

    2년 이상 ~ 3년미만

    3년 이상

    해지액 × 20/1,000

    해지액 × 15/1,000

    해지액 × 20/1,000

    해지액 × 10/1,000

    해지액 × 20/1,000

    해지액 × 10/1,000

    해지액 × 20/1,000

    해지액 × 15/1,000

    신탁이익 × 70%

    신탁이익 × 70%

    신탁이익 × 70%

    신탁이익 × 50%

    신탁이익 × 30%

    신탁이익 × 70%

    해지액 × 30/1,000

    해지액 × 20/1,000

    해지액 × 10/1,000

    신탁이익 × 50%

    신탁이익 × 30%

    신탁이익 × 10%

    신탁이익 × 70%

    신탁이익 × 50%

    신탁이익 × 30%

    신탁이익 × 50%

    신탁이익 × 30%

    신탁이익 × 10%

    20/1,000

    15/1,000

    20/1,000

    10/1,000

    20/1,000

    10/1,000

    20/1,000

    15/1,000

    70%

    70%

    70%

    50%

    30%

    70%

    30/1,000

    20/1,000

    10/1,000

    50%

    30%

    10%

    70%

    50%

    30%

    50%

    30%

    10%

    주 1) 노후생활연금신탁 적립식 및 개인연금신탁의 경우 최초적립일을 기준으로 하여 중도해지수수료를 적용한다.

    2) 상기 중도해지수수료에 불구하고 중도해지수수료 적용으로 인하여 중도해지 배당율이 1%이내가 되는 범위내에서 중도해지수

    수료를 감액할 수 있다.

    3) 펀드설정시 펀드별로 정할 수 있다.

    해지액

    해지액

    해지액

    해지액

    해지액

    해지액

    해지액

    해지액

    신탁이익

    신탁이익

    신탁이익

    신탁이익

    신탁이익

    신탁이익

    해지액

    해지액

    해지액

    신탁이익

    신탁이익

    신탁이익

    신탁이익

    신탁이익

    신탁이익

    신탁이익

    신탁이익

    신탁이익

    신탁상품별 중도해지 수수료

    면 제

    면 제

    면 제

    면 제

    면 제

    면 제

    면 제

    면 제

    면 제

  • The Best Leading Regional Bank|67

    적 용 대 상 수 수 료 율

    건당 80,000원

    건당 25,000원

    자체감정금액의 0.02%

    최저 : 30,000원

    최고 : 제한없음

    자체감정금액의 0.02%

    최저 : 30,000원

    최고 : 100,000원

    건당 100,000원

    건당 35,000원

    전행 : 15,000원

    본부승인 : 30,000원

    기업 : 80,000원

    가계 : 50,000원

    연 0.5%

    연 1.0%

    연 1.5%

    상기 수수료율에 연 1.0% 가산

    건당 50,000원

    연 0.15%

    대출취급금액의 2.0%

    대출취급금액의 0.5%

    중도상환대출금 × 1.0%

    중도상환대출금 × 0.5%

    0.5%

    0.25%

    건당 2,000원

    제증명서 발급

    1. 부채증명서 2. 거래상황확인서 3. 대출승낙확인서

    4. 연체대불 및 부도발생확인서 5. 기타 증명발행대장 또는 확인서

    발급대장에 기록하여 발급하는 여신관련 증명서, 확인서, 조회서 등

    기성고확인

    지급보증서 발급

    자체감정(담보조사)

    담보물 재평가 및 재감정 생략을 위한 심사시

    정밀 신용조사

    일반 신용조사

    담보물 및 보증인변경

    채무인수

    한도거래제 일반자금대출의 한도 미사용수수료

    기본업무 취급시

    기본업무에 부대업무 추가취급시

    상환청구권이 없는 채권의 경우

    유망중소기업 선정

    한도거래제 일반자금대출의 한도약정수수료

    대출취급수수료

    (한사랑신혼대출)

    (동아백화점카드론)

    잔여대출기간이 1년이상인 경우

    잔여대출기간이 1년미만인 경우

    약정일로부터 만기일까지의 잔여기간이 1년이상인 경우

    약정일로부터 만기일까지의 잔여기간이 1년이내인 경우

    신용조사

    (기업조사)

    중도상환

    수 수 료

    통화전환

    수 수 료

    팩토링수수료

    대출 관련 수수료

  • 68

    구 분자기앞수표추심수수료

    대금추심수 수 료

    타 행 환자 행 환

    10만원 이하

    50만원 이하

    100만원 이하

    300만원 이하

    500만원 이하

    700만원 이하

    1,000만원 이하

    1,000만원 초과

    500원

    900원

    900원

    1,300원

    1,300원

    1,300원

    1,500원

    1,500원

    1,000원

    2,000원

    2,000원

    3,000원

    3,000원

    3,000원

    3,500원

    3,500원

    2,000원

    3,000원

    4,000원

    5,500원

    7,000원

    7,500원

    10,000원

    11,000원

    1,000원

    1,500원

    2,000원

    3,000원

    4,000원

    5,000원

    6,000원

    6,000원

    ■ 수표∙어음용지 책대 : 권당 10,000원

    ■ 자기앞수표발행수수료 : 정액-매당 50원, 일반-매당 200원

    ■ 제증명서 발급수수료 : 장당(계좌당) 2,000원

    주) 지방은행에 대한 타행환 송금수수료는 자행환 환수수료율을 적용한다.

    종 류높 이

    규 격 ( ㎜ )

    폭 길 이임 차 보 증 금 수수료(1년)

    1종

    2종

    3종

    4종

    5종

    76.2

    127.0

    76.2

    127.0

    254.0

    127

    127

    254

    254

    254

    600

    600

    600

    600

    600

    60,000원

    120,000원

    230,000원

    340,000원

    450,000원

    9,000원

    18,000원

    27,000원

    36,000원

    45,000원

    ※ 위 수수료는 매1년 단위로 받는 금액이며 1년미만 단수는 월수(월미만 올림)로 계산합니다.

    구 분 징 수 기 준 비 고

    개봉예수품

    봉 함 예 수 품 매 1개마다 4,000원

    기 본 요 금

    추 가 요 금

    취급건당 액면합계금액

    100,000원까지 400원- 최고요금 45,000원

    - 100,000원 미만 단수는

    100,000원으로 올려 계산함취급건당 액면합계금액

    초과액 100,000원마다 90원

    ※ 위 수수료는 매6개월 단위로 받는 금액이며 6개월미만 단수는 6개월로 계산합니다.

    내 국 환 수 수 료

    대여금고 임차보증금 및 수수료

    보 호 예 수 수 수 료

    기 타 수 신 수 수 료

  • The Best Leading Regional Bank|69

    외국환 관련 수수료

    대체료(영업점장 감면권) 0.1%, RENEGO대체인 경우 0.05%■ 외국통화수납 : 외화현찰매입마진율■ 외국통화지급 : 외화현찰매도마진율■ 외화예금의 인출 :

    ○ 외화현찰입금. 외화대체출금--외화현찰매입마진율○ 외화현찰입금. 원화대가출금--(외화현찰매입마진율-전신환매입마진율)○ 외화대체입금. 외화현찰출금--외화현찰매도마진율○ 원화대가입금. 외화현찰출금--(외화현찰매도마진율-전신환매도마진율)

    ■ 전신환 : 0.99%, 현찰 : 1.99%, 여행자수표 매도율 : 1.2% ■ 현찰매매마진율

    ○ 주화 : 매입 50% 매도 0%○ 중국원화 : 5.0%(매도마진율), 9.0%(매입마진율)○ 쿠웨이트디나르,바레인디나르,아랍토후국디히람,인도네시아루피아 : 8.0%

    (KWD) (BHD) (AED) (IDR)

    현찰수수료

    (영업점장 감면권)

    매매마진율영업점장감면권-전신환,T/C:0.7%(서울:전면자율화)�현찰(미화, 엔화) :1.0%�현찰(기타) : 0.5%

    당발송금 송금수수료

    전신료건당 10,000원(영업점장 감면권)화환어음

    무화환어음

    화환 : 10,000원 ,무화환 : 0.1%(2,000원 - 5,000원)금액 × 매매기준율 × 여행자수표매도마진율(현찰수수료 징수시 면제)일반재 : 0.25%(0.2%감면권), 특수업체 : 0.23%(0.1%감면권), 수출재 : 0.15%(0.1%감면권)건당 7,000원,매3개월마다 0.4% , 최저 10,000원하자수수료 - 미화60불상당,전신료 - 결제대전이체시건당 10,000원연 3%, 최저 : 10,000원연1.0�3.5%(매3개월)(원화지보료준용) , 최저 10,000원건당 12,000원건당 4,000원전신 20,000원, 우편 20,000원, 부대업무 10,000원(영업점장 감면권)건당 15,000원, 증액양도 (15,000원),조건변경 10,000원

    건당 7,000원건당 20,000원

    건당 2,000원건당 30,000원(수건의 신용장을 동시에 분실신고 : 1건)일 람 불 : 1M LIBOR + 1.9% -1.4% 가산요율(수출환어음매입)30일이내 : 1M LIBOR + 1.9% -1.4% �L/C 방식 : 1년초과 0.5%90일이내 : 3M LIBOR + 2.8% -2.1% �무신용장방식180일이내 : 6M LIBOR + 3.2% -2.3% 180일이내 : 없음270일이내 : 9M LIBOR + 3.2% -2.0% 180일 초과 ~2년이내 : 1.5%360일이내 : 1Y LIBOR + 3.2% -1.8% 2년초과 : 2.5%360일초과 : 1Y LIBOR + 3.2% 기간연장 : 1.5%징수당시 해당환가요율에 가산율을 더한 요율.무신용장방식으로 매입일로부터 60일(현지법인을 포함한 본지사거래 : 30일)을 경과한 경우및 D/A로서 만기경과한 경우 매입당시 외화연체이율 적용외화여신연체이율 :18%매3개월마다 0.1%(0.05% 감면권) , 최저 : 10,000원건당 : 5,000원

    건당 : 5,000원(P+3.0%(6.0% 이내 영업점장 감면권)

    0.1%(10,000원~20,000원) 원화 : 매입당시의 이율,외화:징수당시 이율원화연체이율×(원화-매입당시 지급금액, 외화-회수시점의 TTS×매입금액)

    특별외대 : 수탁금리+0.75 일반외대 : 조달금리(LIBOR + 조달비용)+CRMS에 의한 가산금리.(3년이상 0.5% 가산)

    미화2천불 상당액 이하 : 5,000원미화2천불상당액초과-미화5천불상당액이하 : 10,000원미화5천불 상당액 초과 : 15,000원건당 7,000원

    건당 20,000원미화백불상당액이하 : 2,000원미화100불상당액초과 ~ 미화500불상당액이하 : 5,000원미화500불상당액초과 ~ 미화1,000불상당액이하 : 7,000원미화1,000불 상당액 초과 : 10,000원

    타발송금

    당발추심

    (FCS 미화 50불이상-75만불-U$20

    50불미만-U$3 )

    타발추심여행자수표 매도수수료

    발행(최저:10,000), 증액조건변경인수수수료기타수수료L/G발급수수료L/G보증료

    수출신용장 통지수출신용장 양도수출환어음매입 취급수수료구매확인서 발급 수수료수출실적확인서 발급 수수료신용장분실 신고 수수료

    환가료영업점장 가산금리 : 2% 범위내

    지연이자

    부도이자

    외화대출일반외대 : 0.5%범위내 영업점장감면권

    발행, 증액조건변경매입이자매입취급수수료추심수수료입금지연이자부도이자

    보증료발급수수료(대내외화표시)조건변경

    영업점장

    환가료감면권(L/C방식)

    SIGHT : 20,000원USANCE : 25,000원기타신용장 : 30,000원

    내국신용장

    외화지보

  • 70

    은행이 당해 회계년도말 현재 다른 회사의 발생주식에 대하여 아

    래와 같이 소유하고 있는 경우 그 다른 회사를 연결대상자회사라

    고 합니다.

    (1) 다른 회사에 대한 은행의 지분율이 50% 초과하는 경우

    (2) 다른 회사에 대한 은행의 지분율이 30% 초과하면서 최대주주인

    경우

    (3) 은행이 다른 회사의 최대주주이면서 그 회사에 대한 은행법시행

    령 제11조 제1항에 의한 대출금, 담보제공액 및 은행의 대차대조

    표 주석 지급보증액의 합계액이 은행 자본금의 30% 이상이거나

    다른 회사의 납입자본금 상당액을 초과하는 경우

    (4) 은행과 은행의 종속회사(종속회사의 종속회사 포함)가 합하여 위

    의 (1),(2),(3)에 규정된 방법으로 주식을 소유하거나 실질지배력

    을 보유함으로써 다른 회사를 지배하는 경우

    � 종속회사 : 위의 (1),(2),(3)에 해당하는 다른 회사를 종속회사

    라고 합니다.

    연결대상자회사(일반현황 8. 연결대상 자회사)

    은행의 지분율이 15% 초과하면서 연결대상이 아닌 다른 회사를

    비연결자회사라고 합니다.

    비연결자회사(일반현황 8. 비연결대상자회사)

    충당금적립전이익은 총수익에서 제경비 등을 차감한 이익으로서

    은행의 영업수익력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아래와 같이 산출합니다.

    o 충당금적립전이익 = 당기순이익 + 법인세비용 - 제충당금환입액 +

    제충당금(대손충당금, 지급보증충당금, 퇴직충

    당금, 대손보전기금) 전입액

    *대손보전기금은 농∙수∙축협 해당

    충당금적립전이익(경영실적 13. 개요)

    순고정이하분류여신비율이라 함은 고정이하분류여신비율의 총여

    신 및 고정이하 분류여신에서 고정이하충당금적립액을 차감한후

    의 (순)고정이하여신비율을 말한다.

    O 순고정이하분류여신비율 = (고정이하분류여신 - 고정이하여신충당

    금) / (총여신- 대손충당금) ×100

    순고정이하분류여신비율(경영실적 13. 개요)

    예대금리차는 은행의 자금부문이익 창출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서 원화대출금 수익률에서 원화예수금 비용률을 차감하여 표시되

    며, 대출운용의 적정수익력 및 저코스트자금 조달능력을 측정하는

    기준으로 사용됩니다.

    예대금리차(경영실적 13. 개요)

    명목순이자마진(NIM)은 이자수익자산에 대한 이자수익과 이자비

    용과의 차이를 말하며 매결산기말에 금융감독원앞 보고하는“업무

    보고서”상의 순이자마진 산출방식에 의거 산출하여 기재한다.

    o 명목순이자마진(NIM) = (이자수익 - 이자비용)/ 이자수익계산

    명목순이자마진(경영실적 13. 개요)

    원화 유동성 비율은 단기조달자금에 대한 단기자금운용을 표시하

    는 지표로 그 비율이 높을수록 유동성이 좋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금융감독원의 지도비율은 100% 이상입니다.

    원화유동성비율(경영실적 13. 개요)

    업무용고정자산 비율은 은행이 점포개설 등과 관련하여 취득한 토

    지 및 건물 투자액, 임차보증금 등의 적정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자기자본에 대한 동 투자액의 비율로 표시됩니다.

    업무용고정자산비율(경영실적 13. 개요)

    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은행 재무구조의 건전성을 나타내는 비

    율로 BIS 금융감독위원회(바젤위원회)에서 발표한 자산의 신용리

    스크에 따라 자기자본보유를 의무화하는“자기자본 측정과 적정자

    기자본 수준에 관한 국제적 합의”를 근거로 하여 금융감독원에서

    정한 경영지도비율의 하나로서 현재 지도비율은 8% 이상입니다.

    BIS기준자기자본비율(경영실적 13. 개요)

    배당률은 납입자본금에 대한 보통주배당금액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아래의 산식으로 산출합니다.

    O 보통주배당률 = 당해연도 결산후 보통주 배당누계액

    / 당해연도말 보통주 해당 납입자본금 × 100

    보통주배당률(일반현황 12. 배당)

    주당배당액은 당해연도 결산후 보통주1주당 배당금액을 나타내는

    것으로 아래의 산식으로 산출합니다.

    O 보통주 주당배당액 = 당해연도 결산후 보통주 배당누계액

    / 당해연도말 보통주 주식수

    보통주당배당액(일반현황 12. 배당)

    배당성향은 세후 당기순이익에 대한 배당금액의 비율로 아래의 산

    식을 적용하여 산출합니다.

    O 배당성향 = 당해연도 결산후 배당누계액

    / 당해연도 세후 당기순이익 × 100

    (세후 당기순이익은 연결전 은행계정 세후 당기순이익을 말함)

    배당성향(일반현황 12. 배당)

  • The Best Leading Regional Bank|71

    국제적인 신용평가 기관인 Moody’s, S & P, IBCA에 의한 신용평

    가등급을 의미하며, 평가등급으로는 채무의 상환능력을 평가한

    장∙단기신용등급 등이 있습니다. 장기신용등급은 장기채무 상환

    능력 및 상환불능위험, 투자자에 대한 법적인 보호정도 등을 나타

    내는 것이며, 단기신용등급은 1년 미만의 단기채무 상환능력 및 상

    환불능위험 등을 나타냅니다. 국내은행의 경우에는 은행에 따라 평

    가기관이 다를 수 있으며 평가를 받지 않은 은행도 있습니다. 각 신

    용평가기관별로 신용등급 구성체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신용평가등급(경영실적 13. 개요)

    평가기관별 장∙단기 신용평가등급 체계: 은행연합회 발간「국제 신용평가기관의 은행경영실태 평가 기준」인용하였습니다.

    Aaa ~ Baa3(10등급)

    Ba1 ~ C(9등급)

    P-1 ~ P-3(3등급)

    N P

    AAA ~ BBB-(10등급)

    BB+ ~ D(12등급)

    A-1 ~ A-3(3등급)

    B ~ D(3등급)

    AAA ~ BBB(4등급)

    BB ~ C(5등급)

    A1 ~ A3(3등급)

    B ~ C(2등급)

    투 자 적 격 등 급

    투자부적격등급

    투 자 적 격 등 급

    투자부적격등급

    장기

    단기

    구 분 Moody’s S & P I B C A

    단기 신용등급

    순위신용등급내용

    장기 신용등급

    순위신 용 등 급 내 용

    Aaa

    Aa1

    Aa2

    Aa3

    A1

    A2

    A3

    Baa1

    Baa2

    Baa3

    Ba1

    Ba2

    Ba3

    B1

    B2

    B3

    Caa

    Ca

    C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최상의 신용상태

    투 자

    적 격

    등 급

    투 자

    요주의

    부적격

    등 급

    전반적으로 신용상태가

    우수하나 Aaa에 비해서는

    약간의 투자위험 존재

    신용상태 양호

    P-1(Prime-1)

    P-2(Prime-2)

    P-3(Prime-3)

    Not Prime

    1

    2

    3

    4

    최상의 신용등급

    신용등급 양호

    신용등급 적절

    신용상태 적절 (현재 이자 지급

    및 원금 상환에 문제는 없으나

    미래에는 위험 존재)

    투자시 요주의 대상

    바람직한 투자대상이 아님

    신용상태 나쁨

    최악의 신용상태

  • 72

    단기 신용등급

    순위신 용 등 급 내 용

    장기 신용등급

    순위신 용 등 급 내 용

    AAA

    AA+

    AA

    AA-

    A+

    A

    A-

    BBB+

    BBB

    BBB-

    BB+

    BB

    BB-

    B+

    B

    B-

    CCC+

    CCC

    CCC-

    CC

    C

    D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최상의 신용상태(Extremely Strong)

    투 자

    적 격

    등 급

    투 자

    요주의

    부적격

    등 급

    신용상태 우수(Very Strong)

    신용상태 양호 (Strong)

    A-1

    A-2

    A-3

    1

    2

    3

    최상의 신용등급

    신용등급 양호

    신용등급 적절

    B

    C

    D

    4

    5

    6

    투자시 요주의 대상

    상환불능위험 상존

    상환불능 상태

    신용상태 적절(Adequate)

    투자시 요주의 대상(Less Vulnerable)

    투자시 요주의 대상(More Vulnerable)

    투자시 요주의 대상(currently Vulnerable)

    최악의 신용상태

  • The Best Leading Regional Bank|73

    장기 신용등급

    순위신 용 등 급 내 용

    AAA 1투자위험 발생가능성이 거의 없음(the lowest expectation ofinvestment risk)

    장기 신용등급

    순위신 용 등 급 내 용

    A1 1 최상의 신용등급

    투 자

    적 격

    등 급

    투 자

    요주의

    부적격

    등 급

    AA 2

    아주 약간의 투자위험 발생가능성 있음(very low expectation ofinvestment risk)

    A2 2 신용등급 양호

    A 3

    약간의 투자위험 발생가능성 있음(Currently low expectation ofinvestment risk)

    BBB 4

    약간의 투자위험 발생가능성 있음(Currently low expectation ofinvestment risk)

    A3 3 신용등급 적절

    BB 5

    투자위험 발생가능성 있음(possibility of investment riskdeveloping)

    B 6투자위험 상존(investment risk exist)

    CCC 7상환불능 가능성이 있음(currentlyperceived possibility of default)

    B 4 투자시 요주의 대상

    CC 8상환불능 가능성이 높음(high risk default)

    C 9상환불능 상태(currently default)

    C 5 상환불능 상태

  • 74

    (1) 특 별 유 보 금 : 특별유보금은 불특정금전신탁중 원본 또는

    이익의 보전 계약이있는 신탁의 보전을 위하

    여 적립하는 계정입니다.

    (2) 채권평가충당금 : 채권평가충당금은 불특정금전신탁을 대출금

    등으로 운용할 때에 대출금 등의 대손에 의한

    손실보전에 충당하기 위하여 적립하는 계정

    입니다.

    특별유보금과 채권평가충담금(경영실적 14. 요약재무제표)

    투자유가증권은 상품유가증권에 속하지 아니하는 유가증권을 말

    합니다.

    투자유가증권(재무상황 19. 유가증권투자 및 평가손익)

    유가증권평가손익은 회계결산일 현재 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유가

    증권의 장부가와 당해 회계연도말의 공정가액과의차이를 의미합

    니다.

    신탁재산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장부가평가방식과 시가평가방식이

    있습니다.

    이중 장부가평가방식이라 함은 보유자산을 해당 개별자산의 취득

    시점의 가격과 해당 금리에 의해 평가하는 평가방법을 의미하며,

    이 방식에 의해 평가한 결과는 기준복합수익률로서 표시됩니다.

    기준복합수익률은 신탁운용자산의 개별자산별 운용수익률을 가중

    평균하여 산출하며, 이렇게 산출된 매일의 기준복합수익률을 당해

    신탁기간동안 평균하여 평균기준복합수익률을 구하고 여기에서

    신탁보수를 차감한 수익률로서 신탁이익을 계산하여 배당하게 됩

    니다.

    장부가평가방식, 기준복합수익률(경영실적 15. 신탁계정 장부가 상품 월별 평균배당률)

    은행의 손익발생 원천에서 신탁부분이익은 은행의 신탁계정에서

    발생하는 순이익 개념으로서 다음과 같이 산출됩니다.

    � 신탁부문이익=신탁보수+중도해지수수료-신탁보전금

    신탁부문이익(경영실적 16. 부문별 수지상황)

    상품유가증권은 시장성이 있는 유가증권 중 단기적 자금운용을 목

    적으로 취득한 유가증권을 말합니다.

    상품유가증권(재무상황 19. 유가증권투자 및 평가손익)

    순외환익스포져는 외환거래에서 발생할수 있는 환투기 등 건전성

    을 위협하는 요인을 사전방지하기 위해 외국환관리규정에 의해 설

    정된 외국환은행의 외국환매입초과액과 매각초과액과의 차액에

    상당하는 금액을 말합니다.

    순외환익스포져(재무상황 21. 외화자산∙부채)

    무수익여신은 은행의 총여신 중 연체여신, 이자미계상여신(부도업

    체 등에 대한 여신, 채무상환능력악화여신, 채권재조정여신)을 합

    한 것을 말합니다.

    � 총여신 : 대출금(원화, 외화, 역외외화, 신탁계정 대출금 포함)+

    내국수입유산스+지급보증대지급금+확정지급보증+신

    용카드채권+직불카드채권+여신성가지급금+매입외환

    (내국신용장어음매입 및 관련 미수금 포함)+사모사채+

    기업어음+종합금융계정의 대출채권+금융리스채권+금

    융리스선급금 등

    무수익여신(재무상황 23. 무수익 및 고정이하분류여신)

    고정이하분류여신은 은행의 총여신 중 자산건전성분류 기준상 고

    정이하로 분류되는 여신으로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로 분류되는

    여신을 말합니다.

    (1) 고 정 : 총여신중 금융거래내용, 신용상태 및 경영내용이 불량한

    거래처에 대한 여신 중 회수예상가액 해당 여신액

    (2) 회수의문 : 총여신 중 손실발생이 예상되나 현재 그 손실액을 확정

    할 수 없는 회수예상가액 초과여신

    (3) 추정손실 : 총여신 중 회수불능이 확실하여 은행의 손실처리가 불가

    피한 회수예상가액 초과여신

    고정이하분류여신(재무상황 23. 무수익 및 고정이하분류여신)

    유가증권평가손익(재무상황 19. 유가증권투자 및 평가손익)

    은행이 거래자의 의뢰에 따라 동 거래자가 제3자에게 부담하고 있

    는 채무에 대한 지급을 보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1) 확정지급보증 : 융자담보지급보증, 사채발행지급보증, 화물선취보

    증서가 발급된 수입관계지급보증, 해외현지차입 및 입찰 보증, 계약

    이행 보증과 같이 은행이 행한 보증 행위중 일정한 이행조건이 구비

    된 지급보증을 확정지급보증이라고 합니다.

    (2) 미확정지급보증 : 화물선취 보증서가 발급되지 아니한 수입관계 지

    급보증 등과 같이 은행이 행한 보증행위 중 이행요건이 구비되기 전

    의 지급보증으로 이 지급보증은 이행요건이 구비되는 시점에서 확

    정지급보증으로 전환되거나 보증 의뢰인의 주채무 이행으로 소멸

    하게 됩니다.

    지급보증(재무상황 24. 우발채무 및 난외거래)

  • The Best Leading Regional Bank|75

    실적배당이라 함은 신탁재산의 운용 및 관리에 따라 발생하는 모든

    손익(제비용 차감후)은 모두 신탁재산에 귀속한다는 것을 의미합

    니다. 이는 당초 약정금리를 정하여 그 금리에 해당하는 이자(이익)

    를 지급하는 것이 아니라 사후에 신탁재산의 운용결과에 따라 이익

    을 배당한다는 의미입니다.

    실적배당(기타현황 40. 상품이용시 유의사항)

    통화, 채권, 주식 등 기초자산의 가격에 근거하여 그 가치가 결정되

    는 금융상품을 매매하거나 이로부터 발생하는 장래의 현금흐름을

    교환하기로 하는 거래 및 기타 이를 이용하는 거래입니다.

    1) 장내거래는 거래소가 정하는 방법 및 기준에 따라 행하여지는 파생

    상품거래입니다.

    2) 장외거래는 장내거래가 아닌 당사자간의 계약에 의한 파생상품거래

    입니다.

    3) 헷지거래는 기초자산의 손실을 감소 혹은 제거하기 위한 파생상품거

    래입니다.

    4) 트레이딩거래는 거래목적이 헷지거래에 해당되지 않는 모든 거래입

    니다.

    5) 잠재적신용익스포져는 리스크요인별, 잔존만기별로 신용환산율을

    계약금액에 곱하여 산출한 금액입니다.

    파생상품거래(재무상황 24. 우발채무 및 난외거래)

    대 상 산 정 기 준

    원리금이 3월이상 연체된 채권으로 이자미계상여신을 제외한 여신연 체 여 신

    부도업체등에 대한여신

    채무상환능력악화여신

    채 권 재 조 정 여 신

    최종부도업체, 파산∙청산절차 진행중인 업체, 폐업중인 업체,

    법정관리∙화의절차 진행중인 업체에 대한 여신으로 채권재조정

    여신을 제외한 여신

    경영내용, 재무상태 및 미래현금흐름 등을 감안할 때 채무상환능력이

    현저히 악화되어 채권회수에 심각한 위험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거나

    (회수의문거래처) 채무상환능력의 심각한 악화로 회수불능이 확실하여

    손실처리가 불가피한 것으로 판단되는 거래처(추정손실거래처)에 대한

    여신으로 부도업체 등에 대한 여신 및 채권재조정여신을 제외한 여신

    ① 채권재조정으로 인하여 실제 수익이 발생하지 않는 여신(이자를 원

    가, 유예하거나 면제한 여신)

    ② 3월이상 재조정된 조건에 따른 원리금 상환이 이루어지지 않은 여신

    ③ 원리금의 상환이 유예되거나 기준금리 이하로 재조정되었음에도 불

    구하고 향후 원리금 상환이 불확실한 거래처에 대한 여신(회수의문

    및 추정손실거래처에 대한 여신)

  • 76

    (2002년 12월 31일 현재)

    설 치 주 소점 포 명

    대구광역시 중구 대신동 115 378호

    경상북도 경주시 노동동 123-3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1921-9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어동 371

    대구광역시 북구 칠성2가 127

    대구광역시 수성구 파동 153

    경상북도 구미시 공단동 250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2동 97-4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구라리 1737-1

    대구광역시 중구 사일동 59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명곡리 102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천내리 472

    경상북도 영천시 야사동 335-1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물2동 670

    대구광역시 수성구 지산동 1259-10

    대구광역시 수성구 지산동 761-8

    대구광역시 수성구 만촌3동 860-1

    대구광역시 동구 지저동 772-10

    경상북도 구미시 구평동 449-3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 42

    365 서문시장 주차빌딩점

    365 구경주지점

    365 삼각로타리점

    365 우방궁전점

    365 성광우방점

    365 대자연아파트점

    365 순천향병원점

    365 보성황실아파트점

    365 지하철대곡역점

    365 동성프라자점

    365 화원명곡점

    365 화원C마트점

    365 영천야사점

    365 우방미진점

    365 지산무인점

    365 녹원맨션점

    365 만촌서한점

    365 지저동점

    365 구미구평종합상가점

    365 은하아파트점

  • The Best Leading Regional Bank|77

    주 소

    대구광역시 수성구 수성동2가 118

    대구광역시 수성구 수성동2가 118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3056-6

    대구광역시 남구 봉덕동 565-5

    대구광역시 남구 봉덕3동 1329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1동 784-2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5동 37-5

    대구광역시 남구 이천동 184-32

    대구광역시 남구 봉덕동 948-43

    대구광역시 남구 이천1동 439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3023-37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10동 1591-9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5동 317-1

    대구광역시 남구 봉덕동 1071

    대구광역시 달서구 신당동 1000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 282

    대구광역시 달서구 도원동 1436-2

    대구광역시 달서구 두류동 488-1

    대구광역시 달서구 파호동 89 명가타운상가 2층 204호

    대구광역시 달서구 본동 225-3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 1473-1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 1523 서한타운상가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 1511

    대구광역시 달서구 두류동 776-12

    대구광역시 달서구 감삼동 206-76

    대구광역시 달서구 이곡동 1194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암동 1-119

    대구광역시 달서구 이곡동 892-3

    대구광역시 달서구 송현동 207-3

    대구광역시 달서구 용산동 414-5

    대구광역시 달서구 용산동 930-3

    대구광역시 달서구 진천동 530-8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 275

    대구광역시 달서구 송현동 1944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 42 은하상가 2층

    대구광역시 달서구 감삼동 146-29

    (053) 756-2001

    (053) 756-2001

    (053) 653-8811

    (053) 475-7154

    (053) 472-7562

    (053) 627-1621

    (053) 621-6391

    (053) 476-6166

    (053) 471-6381

    (053) 475-3537

    (053) 622-3601

    (053) 621-5731

    (053) 625-8810

    (053) 471-0121

    (053) 581-1262

    (053) 636-0695

    (053) 642-8383

    (053) 621-7771

    (053) 591-1890

    (053) 622-0801

    (053) 642-0301

    (053) 637-9501

    (053) 631-2301

    (053) 652-2381

    (053) 559-7751

    (053) 582-8433

    (053) 585-9541

    (053) 583-1351

    (053) 651-0680

    (053) 584-6071

    (053) 521-2811

    (053) 636-0511

    (053) 635-1421

    (053) 625-2581

    (053) 638-0541

    (053) 554-5715

    본 점

    영업부

    가톨릭대학병원출장소

    남구청출장소

    대덕맨션지점

    대덕지점

    대명동지점

    대봉동지점

    봉덕동지점

    상수도사업본부출장소

    성당시장지점

    성명지점

    영대병원출장소

    효성타운지점

    계명대지점

    달서구청출장소

    대곡지점

    두류동지점

    명가타운지점

    본리동지점

    상인남지점

    상인지점

    상인역지점

    성당로지점

    성당주공지점

    성서3동지점

    성서남지점

    성서지점

    송현역지점

    와룡지점

    용산동지점

    월배지점

    월성동지점

    월촌역지점

    은하지점

    죽전지점

    전 화 번 호점 포 명소 재 지

    대 구

    (2002년 12월 31일 현재)

  • 78

    주 소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죽곡리 204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면 북리 1-101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천내리 415-4

    대구광역시 동구 방촌동 1120-39

    대구광역시 동구 지저동 400-1 공항청사 2층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동 36-1

    대구광역시 동구 검사동 991-103

    대구광역시 동구 방촌동 887-2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 1158-2

    대구광역시 동구 신천동 545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동 164-1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동 593-15

    대구광역시 동구 신천동 337-4

    대구광역시 동구 신천3동 268-4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5동 98-1

    대구광역시 동구 서호동 80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동 302-1 외래동 1층

    대구광역시 동구 효목동 464-1

    대구광역시 동구 효목동 141-6

    대구광역시 북구 노원동2가 133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 1330-1

    대구광역시 북구 고성3가 142

    대구광역시 북구 태전동 936-1

    대구광역시 북구 구암동 649-1

    대구광역시 북구 노원동3가 1205-1

    대구광역시 북구 고성동3가 1-1

    대구광역시 북구 대현3동 281-1

    대구광역시 북구 복현2동 340-30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3동 1261-1

    대구광역시 북구 침산동 447-16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 1433-10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 793-101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 1581

    대구광역시 북구 태전동 993-3

    대구광역시 북구 관음동 1402

    대구광역시 북구 칠성동1가 153-4

    (053) 588-6231

    (053) 615-4511

    (053) 634-2034

    (053) 984-8312

    (053) 984-1977

    (053) 958-2115

    (053) 982-2901

    (053) 982-1734

    (053) 984-0235

    (053) 425-3401

    (053) 943-6101

    (053) 955-6611

    (053) 742-8590

    (053) 753-1992

    (053) 958-1101

    (053) 962-6231

    (053) 951-3852

    (053) 753-1678

    (053) 943-9590

    (053) 354-5081

    (053) 944-1081

    (053) 358-5551

    (053) 322-0277

    (053) 322-4381

    (053) 354-5321

    (053) 351-0684

    (053) 943-1560

    (053) 956-1575

    (053) 955-2331

    (053) 355-6915

    (053) 942-2701

    (053) 943-3496

    (053) 382-1400

    (053) 321-8645

    (053) 323-7760

    (053) 421-6190

    다사지점

    달성공단지점

    화원지점

    강촌지점

    대구국제공항출장소

    동구청출장소

    동촌지점

    방촌지점

    불로동지점

    송라지점

    신암동지점

    신암육교지점

    신천4동지점

    신천동지점

    아양로지점

    안심지점

    파티마병원출장소

    효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