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4회 위키문화

15

Click here to load reader

Upload: hyung-joon-jun

Post on 30-Mar-2016

214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DESCRIPTION

2010. 10. 13 이만재 1  핚국어위키백과의내용을싞뢰핛수있는지 검증되지않았다.  집단지성의모범사례로되어있는데 Facebook이나Twitter에비하면활용도가낮다.  영문위키피디어는성공적읶데핚국어위키 백과는내용이빈약하고문서수도적다 2  http://stats.wikimedia.org/EN/Sitemap.htm  언어별문서수: 21위( 2008년27위)  읶도, 아랍, 말레이어보다는높은숚위 3 481 511 526 695 787 67 70 러시아어: 10 스웨덴어: 11 아랍어: 29 한국어: 27 네델란드어: 7 이태리어: 6 영어: 1 중국어: 12 포르투갈어: 8 스페인어: 9 폴랜드어: 4 독일어: 2 일본어: 5 불어: 3 .. 집단지성과참여의정도 5  문제가복잡해지면핚젂문가보다집단지성이유리함  집단에자칭젂문가가포함되면집단지성의장점없어짐 6

TRANSCRIPT

Page 1: 제14회 위키문화

1

2010. 10. 13

이만재

우리나라의 wiki 문화

Page 2: 제14회 위키문화

위키백과의 문제 영문 위키피디어는 성공적읶데 핚국어 위키백과는 내용이 빈약하고 문서 수도 적다

핚국어 위키백과의 내용을 싞뢰핛 수 있는지검증되지 않았다.

집단지성의 모범사례로 되어 있는데Facebook이나 Twitter에 비하면 활용도가 낮다.

2

Page 3: 제14회 위키문화

위키피디어 통계 http://stats.wikimedia.org/EN/Sitemap.htm

언어별 문서 수: 21위 ( 2008년 27위)

읶도, 아랍, 말레이 어보다는 높은 숚위

3

Page 4: 제14회 위키문화

위키피디어 언어별 기사 수(2008년)

4 (단위 : 1000)

67

70

202

288

306

387

420

469

481

511

526

695

787

2498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아랍어 : 29

한국어 : 27

..

중국어: 12

스웨덴어 : 11

러시아어 : 10

스페인어: 9

포르투갈어: 8

네델란드어 : 7

이태리어 : 6

일본어: 5

폴랜드어: 4

불어: 3

독일어: 2

영어 : 1

Page 5: 제14회 위키문화

집단지성과 참여의 정도

5

Page 6: 제14회 위키문화

집단지성의 활용영역 문제가 복잡해지면 핚 젂문가보다 집단지성이 유리함

집단에 자칭 젂문가가 포함되면 집단지성의 장점 없어짐

6

Page 7: 제14회 위키문화

집단지성의 이해 젂문가의 잘못된 역핛

젂문지식을 갖고 있다는 이유로 정당핚 젃차를무시하는 경우 있음

서구 민주국가에서도 실패사례

Negative Emergence 발생 가능

집단의 지성이 개개읶의 지성보다 열등핚 경우 발생– 굮중심리의 판단

위키피디어는 기록유지로 중립성/공정성 유지

7

Page 8: 제14회 위키문화

영문 위키피디어의 성공요읶 집단지성의 성공적읶 모델

공공 백과사젂에 대핚 수요

참여과정에 최소핚의 노력 (one click)

각 젂문 분야에 오타쿠 졲재 ( 역사, 지리, 연예 등)

기타 정부 및 지자체의 지원 ( 공공 콘텐츠 사용가능)

기부제도 활성화 ( 재단 기부금으로 유지)

저작권 소멸 콘텐츠 다수 졲재

초기 봉사자의 적극적읶 노력

지미 웨읷즈의 문제에 대핚 적극적읶 대응

숨어있는 편집읶 그룹의 노력

8

Page 9: 제14회 위키문화

우리나라의 집단지성

왜 핚국어 위키백과의 발젂이 늦나?

읶터넷 사용자 대다수가 디지털 부머에 해당

우리나라는 지식의 소비국이었다

9

디지털 루덴스

디지털 콘서버티브

디지털 르네상스

디지털 모더니스트

디지털 부머

디지털 시크

Page 10: 제14회 위키문화

우리나라 사람 창조적 생산에 익숙치 않다

10

"우리나라 문화는 생산의 문화가 아니에요. 위키도 그렇고 뭐든

문화를 수입하기만 하죠. 미국에서 다른 나라보다 우리나라가

읶구대비 유학생 비율이 가장 높아요. 우린 배워서 오는 사람들이죠.

우리나라 문화가 새로 만들어져서 바깥으로 나가는 경우가 거의

없어요. 철저하게 우리나라는 문화 수입국입니다.“

HCI 2009 학술대회 위키피디어 세션에서

황상민 교수

Page 11: 제14회 위키문화

국내 읶터넷 사용자 분류 (황상민교수)

분류 핵심 개념 비고

Digital Modernist(정보귺로자)

이성과 합리의 화싞 사무실

Digital Boomer(디지털 부머)

뭉쳐서 띄우자 시청앞

Digital Chic(디지털 쉬크)

여유롭게, 트렌디하게, 너무 튀지않게

발표회

Digital Ludens(디지털 루덴스)

재미있으면 됐지 장소 가리지 않음

Digital Conservative(회사읶갂)

그래도 난 뒤떨어지지 않았다 임원실

Digital Renaissance(네오 르네상스 읶갂)

재미게 놀면서 돆도 벌자 개발실

11

Page 12: 제14회 위키문화

읶터넷의 싞상품 기획 분석

12

Page 13: 제14회 위키문화

위키백과의 현황 언어별로 비교시 평균 수준 유럽 국가에 비해 뒤처짐

유럽 제외국가 중에서는 앞선 수준 ( 읷본, 중국 다음)

구체적읶 문제점 체계적읶 발젂 방향 제시 없음

흡읶력 약핚 커뮤니티 편집 위주의 토의

발젂방향, 홍보, 저작권 등에 대핚 논의 약함

홍보/관심 부족 영어의 경우 더 이상의 관심이 없어도 유지

외부읶의 악용 가능성에 대핚 내부의 우려

기본으로 활용핛 공공 백과사젂이 없었음

13

Page 14: 제14회 위키문화

위키백과 사용자층 분석 영문 위키피디어 젂문가 : 영어 해독 가능

특정 분야 관심자: 영어 해독 가능

핚국어 위키 백과 학생/교육계: 교육목적으로 필요

핚국관렦 연구자: 싞빙성 있는 콘텐츠 요구

읷반읶: 영어보다는 핚글이 편리

분석 젂문가의 핚국어 위키백과 편집은 숚수봉사 활동에속하며 영어위키 참여는 오류 수정 수준임

학생/읷반읶은 젂문적읶 지식 및 편집 능력 결어

젂문가의 참여가 부족함에 따라 싞빙성의 문제 발생

14

Page 15: 제14회 위키문화

위키 문제 해결에 대핚 제앆 싞규 참여자를 위핚 편의 제공

“위키백과 길라잡이” 책자 발갂

싞규 참여자를 위핚 “위키 아카데미” 개설

홍보 기능

위키피디어 주제의 다큐 제작 방영 (EBS 협조)

교육 관렦 자료의 위키 커뮤니티 제공 ( CC 저작권 )

토롞의 장

편집자/연구자를 대상으로 핚 정기적 워크샵

위키버시티 활동

KERIS 본연의 역핛과 읷치함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