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130 한국sd학회16년동계 지역화폐_전

14
지역화폐도입에 따른 지역순환경제 구축동태적 효과 Dynamic Effects of Local Economic Circulation by Introduction of A Local Currency System in a Locality 2016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동계학술대회 Session I 2016. 1. 30 ·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오비스홀) 422전대욱 (Dae Uk JEON, [email protected] ) 經博 · 행정자치부 한국지역진흥재단 마을공동체발전센터장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방투자사업관리센터 수석연구원)

Upload: dae-uk-jeon-

Post on 21-Apr-2017

642 views

Category:

Government & Nonprofit


2 download

TRANSCRIPT

Page 1: 160130 한국sd학회16년동계 지역화폐_전

지역화폐의 도입에 따른 지역순환경제 구축의 동태적 효과

Dynamic Effects of Local Economic Circulation by Introduction

of A Local Currency System in a Locality

2016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동계학술대회 Session I

2016. 1. 30 ·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오비스홀) 422호

전대욱 (Dae Uk JEON, [email protected])

經博 · 행정자치부 한국지역진흥재단 마을공동체발전센터장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방투자사업관리센터 수석연구원)

Page 2: 160130 한국sd학회16년동계 지역화폐_전

Introduction

지역화폐(local currency) 운동에 대한 찬반론

2016년부터 강원도, 서울 은평구, 경기 성남시 등 다양한 지자체에서

지역화폐에 대한 실험이 시작되는 등 지역경제 활성화 대안으로 제기

최근의 저물가 조류 하에서 경제정책의 초점이 내수활성화 방안으로 전환

되며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적 관심이 고조됨

다만 지역화폐가 효과적인가에 대한 의구심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부재

국내에서도 민간주도적인 지역화폐나 정부주도적 상품권 등의 실험들이 최

근 활발히 추진되었으나, 유통의 한계 등으로 지속되기 어려웠고 그 효과에

대한 명시적이며 정략적인 분석이 부재

지역화폐의 활성화 효과를 위한 SD방법론의 적용 필요

연구 목적: 지역화폐에 대한 인과지도의 개발을 통해, 지역화폐 도입이

지역경제 순환효과(승수효과 등)에 미치는 동태적 효과를 측정

지역화폐의 순환구조를 분석하기 위해서 지역의 다양한 경제주체간의 상호

작용에 관한 시스템적 사고와 동태적 효과분석을 필요로 함

2

Page 3: 160130 한국sd학회16년동계 지역화폐_전

Conceptual Development

지역화폐의 개념과 특징

법정화폐가 아닌 임의·화폐, 지역내에서 만 통용(문진수, 2015):

목적성, 담보유무, 유통공간 및 방식(매개수단) 등 다양한 화폐 존재: 노동시

간 기준 vs 통화기준, 담보기준(Fiat), 공간기준(읍면동 근린생활권 vs 지역,

광역), 법적 인정여부, 종이 vs 전자결재 기준, 환전 가능여부 등

3

자료원: 이수연(2014: 19)

Page 4: 160130 한국sd학회16년동계 지역화폐_전

Empirical Findings

지역화폐의 운영현황

국내 지역통화는 2012년 기준 43개가 운영(Kang & Hong, 2015)

참여목적의 4가지 유형: 공동체 복원의 수단, 대안경제의 구축, 친환경적 삶

의 실천을 위한 동질감 형성 및 네크워크 구축, 생태적 대안사회 구축

지역화폐의 효과 및 지역경제로의 영향요인

(김혜진, 2010; 류기환, 2015; 조재욱, 2013; 한성일, 2013; 문진수, 2015 등)

소비 및 자원순환 촉진 : 지역내 구매력 및 거래량 증가

지역외 자본유출을 방지함으로써 지역경제 순환효과(multiplier effects) 확

대 및 지역의 내발적 발전(endogenous development)에 기여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 : 내수진작, 지역고용 및 산업생산 유발

고용증가와 연계되기 위해서는 연대경제(solidarity economy)의 정신 필요

지역공동체 활성화 및 지역내 네트워크 및 신뢰·규범 형성(사회적 자본

축적): 주민간 공통의 가치추구, 노동시장 탈락 소외계층 포용 등

네트워크 강화, 공동체적 가치 및 의제형성 등

4

Page 5: 160130 한국sd학회16년동계 지역화폐_전

Model Consideration

선행연구 분석방법론의 한계

사회학·문화인류학적 접근: 사례분석 및 유형분석 중심, 직접적인 경제

효과 외에 다양한 사회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한 정성적 분석

경제학적 접근: 실증효과 분석 부재, 지역화폐 발행량 만큼의 최종수요

증가를 전제한 산업연관분석 수행(과대추정 우려, 기회비용 감안X)

지역화폐 시스템(CCS)의 모델링 고려사항

지역화폐 발행액 만큼의 deposit(기회비용): 최종소비의 감소

기회비용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음: Deposit 없는 경우, 고정자산 담보 등

다만 지역화폐 시스템에 대한 자유로운 exit : 법정 통화와의 교환률(<100%)

의 적절한 설정을 통한 페널티 부여

보완화폐(contemporary currency)의 도입효과 (Groppa, 2013) : 한계

소비성향의 증가, 신용확장 및 거래활성화로 인한 경기확장 등

Inflation의 영향은 현재 경제상황에서 반영하지 않음

고용증가, 사회적자본 구축 및 공동체 형성 등 사회적 효과 고려 필요

5

Page 6: 160130 한국sd학회16년동계 지역화폐_전

A Simple Model

지역화폐 도입효과의 시스템 사고를 위한 간략한 모델

6

Page 7: 160130 한국sd학회16년동계 지역화폐_전

Simple System Thinking #1

외부유출로 인한 지역경제의 침체 (R1 → B1 → R2)

7

Page 8: 160130 한국sd학회16년동계 지역화폐_전

Simple System Thinking #2

지역화폐 도입에 따른 지역내 구매력 및 소비성향 증가

8

Page 9: 160130 한국sd학회16년동계 지역화폐_전

Simple System Thinking #3

지역화폐 도입의 제약요인

9

유통역량(문진수, 2015): (1) 가맹점 확보 (2) 사용자 확대 (3) 공공부문 및 제도적 기반 등

Page 10: 160130 한국sd학회16년동계 지역화폐_전

An Extensive Model

고용증대 및 공동체 활성화 효과를 위한 확장

10

Page 11: 160130 한국sd학회16년동계 지역화폐_전

Feedback Structure #1

법정 통화기반 전형적 지역경제 구조

11

Page 12: 160130 한국sd학회16년동계 지역화폐_전

Feedback Structure #2

지역화폐 도입에 따른 영향구조

12

Page 13: 160130 한국sd학회16년동계 지역화폐_전

Discussion

향후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분석의 방향

경제적 의사결정 과정 및 경제이론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모델링

개별 에이전트(가맹점 및 사용자)의 의사결정 과정에 대한 모델링 : 미시경

제학적 분석방법(거래비용 등 최적화의 1계조건)을 활용

거래수단 선택: 법정통화 vs 지역화폐

가맹점 및 이용자의 지역화폐 보유 및 법정통화와 환전

구매시 의사결정: 지역내 vs 지역외 생산품 중 무엇을 구매할지 등

관련이론 검토 및 시뮬레이션을 통한 시스템적 이해 필요

지역화폐 도입에 따른 소득(거래 및 신용확장) 승수효과의 계산 및 이론적

논의(Groppa, 2013), 시장이자율 변동(inflation 등)과 같은 경제적 환경변화

에 대한 영향 등 분석

특정 지역적 범위 및 경제규모에 따른 지역화폐 적정발행(유통)량 및 적정

가맹점 수, 법정통화로 환전시 적정할인률 등 해석적 분석 및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실제사례 분석 등

→ 실제 정책적 의사결정 필요: 발행량(담보금 및 부담금), 발행주기(유상

지급, 기본연금 등 무상지급 관련), 환전시 할인률 결정 등

13

Page 14: 160130 한국sd학회16년동계 지역화폐_전

Reference 김민정, 2012. 지역화폐운동의 성과와 한계: 한국사례를 중심으로, 『기억과 전망』, 26: 116-

148.

김혜진, 2010. 『지역화폐운동의 욕구만족도가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고려

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류기환, 2015. 지역화폐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 『국제지역연구』, 19(1): 103-126.

문진수, 2015. 『은평구 지역화폐 유통방안 연구』. 사회혁신공간 데어, 은평구청.

이수연, 문진수, 2014. 『[잇북] 지역화폐 A to Z 』.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조옥, 2012. 『지역화폐 운동 대안성에 관한 여성주의적 연구 : 한밭레츠 참여자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재욱, 2013. 새로운 화폐정치의 공간 만들기: 지역화폐제 도입을 통한 보완경제의 가능성

시탐, 『비교민주주의 연구』, 9(1):

한성일, 2013. 지역화폐운동과 지역경제, 『지역사회연구』, 21(4): 191-217.

Groppa, O., 2013. Complementary currency and its impact on the economy,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ty Currency Research, 17(A): 45–57.

Kang, J., B. Hong, 2015. Community Currency in Korea: How do we envision community

currency?,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ty Currency Research , 19(D): 72-80.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