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 .10.24 木(2002 -제82호) c/ o/ n/ t/ e/ n/ t/ s · 양희석, 박인성, 유장곤...

40
대표전화 (338 )3344 부속실 (338)1131 중역실 (338)3344 편집국 (338)1132 FAX(338)3380 업무국 (338)3341 FAX(334)8633 광고국 (338)3342 FAX(338)4842 구독신청 (338)3341 서울지부 (338)3344 야간직통 (338)3344 크로바서비스 080-338-0032 본지는 한국간행물 윤리위원회의 윤리강 령 및 실천요강을 준 수합니다. 2002.10.24 (2002- 82) C/ O/ N/T/ E/ N/T/ S 인사 [ 국세청] 부이사관 , 과장급 전보인사 (200 2 . 10 . 2 1 ) 2 [ 국세청] 사무관 전보인사 (200 2 . 10 . 2 1 ) 4 [ 국세청] 승진인사 명단 (200 2 . 10 . 2 1 ) 5 [ 서울지방청] 승진인사 명단 (200 2 . 10 . 2 1) 7 [ 중부지방청] 승진인사 (200 2 . 10 . 2 1 ) 10 [ 광주지방청] 승진인사 명단 (200 2 . 10 . 2 1) 12 [ 대구지방청] 승진인사 명단 - 세무직 - (200 2 . 10 . 2 1) 13 [ 부산지방청] 승진인사 명단 (200 2 . 10 . 2 1) 14 [ 대전지방청] 승진인사 명단 (200 2 . 10 . 2 1) 15 [ 관세청] 국장급 전보인사 (200 2 . 10 . 2 1 ) 16 [ 국세청] 과장급 인사 (20 0 2 . 10 . 22) 17 참고자료 [ 행자부] 2002년 지방세법개정안 국무회의 의결 18 [ 한국회계연구원] 재고자산 에 관한 기업회계기준서 제정 20 최신예규 서이 460 12-11889, 2002-10-16 1 35 금주의 개정법률 , 생산자물가상승률 , 생산자물가총지수 39 대고객외환매매율 , 매매기준율 40 세무회계자료 회원이 되시면 매주 月·木 발행되는 조세속보 및 매월 발행 되는 최신예규판례정보 (TXAWORLD) 세훈령집, 기타 한국세정신문사에서 발간되는 단행본 책자를 저렴한 가격으로 받아보실 있습니다. 〈月會費 50,000 원〉 稅務會計資料 회원이 되십시오 ◆ 농협 038- 17- 00350 1 ◆ 국민은행 032- 01- 0001- 118 ◆ 예금주 : 한국세정신문사 온라인 송금

Upload: lykhanh

Post on 06-Apr-2018

225 views

Category:

Documents


6 download

TRANSCRIPT

Page 1: 2002 .10.24 木(2002 -제82호) C/ O/ N/ T/ E/ N/ T/ S · 양희석, 박인성, 유장곤 김오곤,

대표전화 (338)3344

부 속 실 (338) 113 1

중 역 실 (338) 3344

편 집 국 (338) 1132FAX(338) 3380

업 무 국 (338) 334 1

FAX(334) 8633

광 고 국 (338) 3342FAX(338) 4842

구독신청 (338) 334 1

서울지부 (338) 3344

야간직통 (338) 3344

크로바서비스

080- 338- 0032

본지는 한국간행물

윤리위원회의 윤리강

령 및 실천요강을 준

수합니다.

20 02 . 10 .24 木(2 002 -제8 2호) C/ O/ N/ T/ E/ N/ T/ S

인 사

[국세청] 부이사관 , 과장급 전보인사 (2002 . 10 . 2 1字) 2

[국세청] 사무관 전보인사 (2002 . 10 . 2 1字) 4

[국세청] 승진인사 명단 (2002 . 10 . 2 1字) 5

[서울지방청] 승진인사 명단 (2002 . 10 . 2 1字) 7

[중부지방청] 승진인사 (200 2 . 10 . 2 1字) 10

[광주지방청] 승진인사 명단 (2002 . 10 . 2 1字) 12

[대구지방청] 승진인사 명단 -세무직 - (2002 . 10 . 2 1字) 13

[부산지방청] 승진인사 명단 (2002 . 10 . 2 1字) 14

[대전지방청] 승진인사 명단 (2002 . 10 . 2 1字) 15

[관세청] 국장급 전보인사 (2002 . 10 . 2 1字) 16

[국세청] 과장급 인사 (2002 . 10 . 22字) 17

참 고 자 료

[행자부] 2002년 지방세법개정안 국무회의 의결 18

[한국회계연구원] 재고자산 에 관한 기업회계기준서 제정 20

최 신 예 규

서이 460 12- 11889 , 2002- 10 - 16 外 1건 35

금주의 개정법률 , 생산자물가상승률 , 생산자물가총지수 39

대고객외환매매율 , 매매기준율 40

세 무 회 계 자 료 회 원 이 되 시 면

매주 月·木 발행되는 조세속보 및 매월 발행되는 최신예규판례정보 (TXAW O R L D ) 와 국세훈령집 , 기타 한국세정신문사에서 발간되는단행본 책자를 저렴한 가격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 〈月會費 5 0 ,0 0 0 원〉

稅務會計資料 회원이 되십시오

◆ 농협0 38- 17- 0 0 350 1

◆ 국민은행0 32- 0 1- 0 00 1- 118

◆ 예금주 :한국세정신문사

온 라 인 송 금

Page 2: 2002 .10.24 木(2002 -제82호) C/ O/ N/ T/ E/ N/ T/ S · 양희석, 박인성, 유장곤 김오곤,

▣ 인 사

□ 부 이 사 관 전 보

부산지방국세청 조사1국장 정 시영 (부산청 조사3)

□ 과 장 급 공 무 원 전 보 (30명 )

국세청 비서관 조 성규 (국세청 행정관리)국세청 행정관리담당관 홍 성욱 (국세청 심사2)국세청 국제협력담당관 강 성태 (국세청 비서관)국세청 납세자보호과장 허 병익 (서울청 감사)국세청 납세홍보과장 김 창환 (영등포)국세청 소득세과장 김 재천 (국세청 납세자보호)국세청 재산세과장 신 현우 (마포)서울청 감사관 홍 성근 (서울청 조사4-3)서울청 조사1국4과장 왕 기현 (전주)서울청 조사2국 1과장 김 연근 (서부산)서울청 조사3국 3과장 조 현관 (서울청 법무2)서울청 조사4국 3과장 김 영주 (수영)종로세무서장 최 인섭 (대전청조사2)용산세무서장 김 재수 (성동)마포세무서장 경 창성 (교육원 서무)영등포세무서장 김 연중 (금천)금천세무서장 전 상수 (서울청 조사1-4)성동세무서장 조 진환 (평택)강동세무서장 이 현동 (서울청 조사2-1)중부청 감사관 조 성근 (중부청 법무)중부청 법무과장 안 광조 (국세청)평택세무서장 이 태구 (중부청 감사)

[국세청] 부이사관, 과장급 전보인사(2002 .10 .21字)

조세속보2

인 사

Page 3: 2002 .10.24 木(2002 -제82호) C/ O/ N/ T/ E/ N/ T/ S · 양희석, 박인성, 유장곤 김오곤,

인 사 ▣

대전청 조사2국장 김 보현 (국세청 재산)전주세무서장 이 명희 (익산)부산청 조사3국장 나 상수 (용산)중부산세무서장 이 재욱 (통영)서부산세무서장 이 향조 (김해)수영세무서장 이 전환 (중부산)김해세무서장 정 채돈 (거창)국세공무원교육원 서무과장 유 연근 (종로)

□ 세 무 서 장 직 무 대 리 (3명 )

익산세무서장 이 순기 (서울청 조사3-2)통영세무서장 이 재후 (국세청 심사1)거창세무서장 이 상위 (서울청 법무2)

□ 재 정 경 제 부 전 출 (3명 )

김영 로 (중부세무서) 이 호섭 (양천세무서) 변 광욱 (역삼세무서)

□ 국 세 청 전 입 (5명 )

심정 석 (국세심판원) 류 정복 (국세심판원) 정 희상 (국세심판원)박노 길 (국세심판원) 박 영동 (국세심판원)

※ 일간세정통신을 발행하고 있습니다. FAX서비스 보다 더 빠르게 보실수 있습니다. 이메일주소와 성명,회사명, 직급, 전화번호, FAX를 info @taxt imes .co .kr 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조세속보 3

Page 4: 2002 .10.24 木(2002 -제82호) C/ O/ N/ T/ E/ N/ T/ S · 양희석, 박인성, 유장곤 김오곤,

▣ 인 사

* 재 정 경 제 부 전 출

김영 도 (중부세무서) 이 호섭 (양천세무서) 변 광욱 (역삼세무서)

* 국 세 청 전 입

심정 석 (국세심판원) 류 정복 (국세심판원) 정 희상 (국세심판원)

박노 길 (국세심판원) 박 영동 (국세심판원)

[국세청] 사무관 전보인사(2002 .10 .21字)

조세속보4

법인 세 해 설 (상 세 해 설 과 세 무 조 정 계 산 서 작 성 사 례 )

※ http://www.taxtimes .co.kr 문 의 : info @taxtimes .co.kr 전화 : 02) 338- 3344 가 격 : 80,000원

◈ 조문별 법·령·규칙 등의 연결해설

◈ 주제위주 해설과 핵심내용 요약 적출

실무자 교육교재적합

◈ 문단마다 핵심내용의 대표제목 제시

◈ 주제어·개념어 색인화(2천단어)하여

찾아보기 편리성 제고

◈ 사례·그림표·비교표·도표 설명

◈ 각 해설단락마다 주제어·중심구 제시

공 인 회 계 사 朴 允 宗 著

· 현재 안건조세정보 대표이사(718-1655)· 공인회계사, 세무사, 경영학박사· 서울대학교 경영학과·同 대학원 졸업(석사)· 안건회계법인소속 공인회계사(10년)· 싱가폴국제회계법인에서 국제조세연구(2년)· 성균관대학교 경영대학원 강사(현)· 안건조세총서 저자 및 대표상담위원· 우량은행, 보험회사 등의 금융세무 강사

Page 5: 2002 .10.24 木(2002 -제82호) C/ O/ N/ T/ E/ N/ T/ S · 양희석, 박인성, 유장곤 김오곤,

인 사 ▣

□ 세 무 직 (7→ 6급 ) 25명

□ 전 산 직 13명

□ 건 축 직 (7→ 6급 ) 1명 : 총 무 (청 사 관 리 ) 이 명 섭

□ 통 신 직 (7→ 6급 ) 1명 : 총 무 (서 무 ) 권 오 현

[국세청] 승진인사 명단(2002 .10 .21字)

(단위 : 명)

국 실별 인원 명 단

직 속 2 권봉국(국세청), 노원경(서무)

기 획 2 심상철(기획예산), 女김은미(기획예산)

전 산 3 김성호(전산기획), 이병오(정보1), 박영선(정보1)

감 사 1 이성훈(감사)

국제조세 4 최청흠(협력), 김병만(세원), 김시현(세원), 송임석(조사)

납세지원 2 이삼문(납세홍보), 김용진(납세자보호)

법무심사 2 유종환(심사1), 강창식(심사2)

개인납세 4 박일규(소득), 이상철(소득), 권오준(부가), 최호재(부가)

법인납세 1 조영탁(법인)

조 사 4 이은규(조사1), 김보석(조사1), 김태우(조사1), 송영관(조사2),

(단위 : 명)

직급별 인원 명 단

7 → 6급 5최영호(운영), 송종권(정보1), 女권남숙(정보1),정동재(정보2), 김영수(정보2)

8 → 7급 6女배인순(운영), 女김숙희(기획), 김길동(정보1)女한미영(정보1), 김용우(정보2), 女권현옥(정보2)

9 → 8급 2 강선홍(운영), 임화춘(정보2)

조세속보 5

Page 6: 2002 .10.24 木(2002 -제82호) C/ O/ N/ T/ E/ N/ T/ S · 양희석, 박인성, 유장곤 김오곤,

▣ 인 사

□ 국 세 청 기 술 연 구 소

□ 국 세 공 무 원 교 육 원

□ 국 세 청 전 화 세 무 상 담 센 터

(단위 : 명)

직급별 인원 명 단

세무직

8 → 7급1 권태윤(총무)

화공직

8 → 7급1 임필구(수율)

(단위 : 명)

직급별 인원 명 단

세무직

8 → 7급3

이정섭(국세교육1), 서동선(국세교육1),김영철(국세교육1)

(단위 : 명)

직급별 인원 명 단

세무직

7 → 6급10

조헌일(업무지원), 김성배(전화1), 박신철(전화1),강인자(전화1), 노영애(전화2), 김동현(전화2),김승규(전화2), 김상오(서면1), 김희성(서면2),이윤형(서면3)

세무직

8 → 7급2 김은자(업무지원), 안재인(서면2)

조세속보6

Page 7: 2002 .10.24 木(2002 -제82호) C/ O/ N/ T/ E/ N/ T/ S · 양희석, 박인성, 유장곤 김오곤,

인 사 ▣

구분 6급승진자 7급승진자 8급승진자

총무과 박송근

감사관실 김금식

납세지원국

윤일호, 나재섭, 권기혁.김원욱, 박민후, 김영통.이진영

홍용진박영미, 김영오, 박은진

이종신

세원관리국 이은준, 김재환 문영한, 고승욱 김우정

조사1국

조성민, 박광종, 이승환.심상동, 이세환, 이종득.김상규, 양한철, 공병규.신연철, 황인준

최은경, 오승준, 김춘경

조사2국

이진우, 김승원, 최경묵.조구영, 황태건, 김남선.신석균, 이극범, 김만영.이준희, 곽정안

김광대, 임동각, 강성기

조사3국

윤재정, 변정식, 김평호.김용태, 박영록, 김규승.남창현, 박영기, 강백근.정하덕, 전승배

김연수, 노원철, 고주석

최순학이응선

조사4국

오철환, 유상화, 김시영.이재규, 윤진우, 문승욱.정정제, 한재현, 김학관.김종복, 박성진

고승표, 최창경, 오성열

문경근윤재혁

종로

윤여상, 이진호, 변상천

김동연, 조정원, 홍영안

주효종, 최광임

김철우,박철완,정창근

김성묵, 김재희, 황은주

김은숙, 박상준, 장은정

이동일, 위주안

중부

전재권, 김영관, 송준호

양희석, 박인성, 유장곤

김오곤, 정찬

임형수강춘희, 정유경, 강석종

이창준, 양현숙

[서울지방청] 승진인사 명단(2002 .10 .21字)

조세속보 7

Page 8: 2002 .10.24 木(2002 -제82호) C/ O/ N/ T/ E/ N/ T/ S · 양희석, 박인성, 유장곤 김오곤,

▣ 인 사

남대문

김중헌, 윤광원, 곽양숙

권영진, 김정수, 김진영

손기옥

강장환, 이해장김성덕, 최영은, 이선우

조정화

용산 최동균, 김희택, 박윤숙 김유군, 이창한, 이병로전병천, 김미숙, 최동수

최형식, 서은정

성북 박양희, 김중화 이기영허비은, 하진호, 민현순

김지원, 성기동, 이대영

서대문

강현숙, 송민섭, 권승욱

김남호, 전병두, 김기숙

권윤선, 김익수

강현주, 이정걸, 최선숙정현식, 구태형, 박형민

오임순, 김종현, 박명하

마포

조성철, 송기철, 한예환

장재수, 김정삼, 조대회

김승식

김시욱, 최백용김규성, 이승호, 김성연

김광미, 김현정

영등포이경호, 황미자, 정창수

이은룡, 오병욱백성기, 태보현, 홍성인

조광래, 이영옥, 이정희

조형석, 윤경주, 박영희

김혜란, 변동석

강서 윤중호, 노동승, 이영태민철기, 한승훈, 이철수

장성기

김영웅, 유기무, 김헌규

서한성

양천 이선훈, 원삼호, 박종태 정태영, 장상우강흥수, 석영일, 이승훈

임영아

구로이승래, 고정선, 한석진

이용선, 송용의

김종명, 김동원, 이신규

이찬희, 김영남

황대근, 정진영, 김숙경

함석광, 김미연, 김영미

최향성

동작 박주범 신재완, 정준모, 이병준

강정화, 범수만, 장대완

김미원, 장 선, 유영복

전만기, 구현철, 이준규

금천장엽환, 허 범, 정창근

정용수, 방동식윤영호, 이재상, 박인국

김인숙, 박기범, 서민자

백영선, 신연준, 옹주현

진인수, 임수봉, 임창섭

이남형, 최병석, 조병만

강남박래신, 강인경, 김희수

박충근, 김창호이상훈, 이봉숙

윤재헌, 이세주, 김소영

박희정, 신경식, 은지현

임후정, 강수미, 김대현

김혜영, 이원정

조세속보8

Page 9: 2002 .10.24 木(2002 -제82호) C/ O/ N/ T/ E/ N/ T/ S · 양희석, 박인성, 유장곤 김오곤,

인 사 ▣

삼성 이완주, 이창균, 오성환김효상, 김규호, 김성호

홍정은, 유명옥

김인수, 정상근, 정주연

서병식, 안연숙

반포이종순, 김재경, 임지순

조광석이병철, 이범석

김영숙, 진훈미, 안성진

최유진, 이재원, 이서구

서초이종현, 강대석, 윤춘식

김삼용

주경탁, 김도협, 장두일

오주영, 김선화

윤명희, 윤미경, 박상을

장 민, 박정민

역삼

김형일, 이성호, 이장우

윤기성, 조현문, 장민수

최양임, 문종명

김정근, 류종성, 심철수

김현수

이수안, 김정연, 김현아

천선경, 천영현, 김병일

노현정

성동 신승찬, 정재은권오현, 김원호, 홍경표

황규홍

백성태, 이봉림, 김영환

김태환, 김지연, 김신우

유후양, 정완수, 이임순

서정연, 김주영

동대문박광준, 이형재, 이윤순

이기영

정오현, 이기연, 김동우

노성환, 천주석, 이미녀

남궁재옥, 김재현, 영명동

윤지수, 곽영미, 조용만

동철호, 이세정, 노일호

양인영

조세속보 9

Page 10: 2002 .10.24 木(2002 -제82호) C/ O/ N/ T/ E/ N/ T/ S · 양희석, 박인성, 유장곤 김오곤,

▣ 인 사

구 분 6급승진(101명) 7급승진(66명) 8급승진(112명)직 속 김덕흠, 조병호, 허성원

납세지원김영철, 박정근, 이충일

정영진마동진

세원관리 김진만, 신동기, 정부용 유정삼, 이준표

조사 1국구희호, 이용안, 이재락

이희용, 조계환, 함민규노승진, 조성수, 허상엽

조사 2국강태구, 권재칠, 김성주

김진원, 임진정, 양응석

차희규, 최동근, 황철웅

정승태, 최환영

조사 3국김동제, 박준섭, 배상진

임승제, 전석중, 정규협

권순락, 석명용, 이경일

이동현, 최병열

인 천 김영선, 백홍인곽용균, 신민철, 이영환

이용팔

김용석, 민경삼, 안형선, 이영길

이창현, 최윤회

북인천권순환, 박주진, 송영기

이왕재, 최근식강수건

구수정, 김태기, 배인수, 송영우

송은영, 이순모, 이영숙, 장남식

장재원, 최경초

서인천배홍록, 소태식, 유종미

정순천, 정재곤, 정연주김남주, 류창훈, 한덕우

김광복, 김동현, 김재석, 김 진

남형주, 서위숙, 정경돈, 허은성

남인천 김진갑, 문희선, 정해숙강경렬, 강재근, 안말순, 유인식

이경원, 이영재

부 천 김종섭, 양희욱, 이영만

김경필, 김봉섭, 김주섭

박경용, 정석현, 최명상

최종일

김기식, 김화정, 박성열, 배현우

신영섭, 이정식, 정규환

안 양 김영선, 이용수, 홍성표김태형, 박행복, 윤영진

최병구, 함영수

곽혜정, 김대혁, 김춘동, 남숙경

박양희, 송춘희, 유재연, 이현균

임선희, 정선아, *강지용

수 원 신인수, 이성훈, 지승남 장진준, 정재덕, 천명일박수진, 박한준, 오현정, 윤호연

이문영, 정경화, *최재성

[중부지방청] 승진인사 명단(2002 .10 .21字)

조세속보1 0

Page 11: 2002 .10.24 木(2002 -제82호) C/ O/ N/ T/ E/ N/ T/ S · 양희석, 박인성, 유장곤 김오곤,

인 사 ▣

동수원오병수, 오상환, 전 원

하남용강시창, 이종업, 정해을

문전안, 박윤석, 유정은, 이길녀

조성덕, *고양숙

평 택 김돈중, 김종학 강부덕, 김분희, 김종수김 유, 김진수, 성수미, 이계동

임병일

성 남 정진성, 조영택 김형우, 최연구 김보균, 이용범, 지상수, 홍성수

이 천김보식, 신상문, 신영철,이영후, 조경희

강 표 김보성, 김진경, 박종현, 이승재

의정부

고평일, 김병래, 서상훈

윤영복, 이상준, 이홍중

정태수, 조기완, 지영찬

이기성, 이희진김진섭, 동남일, 박종환, 양재호

최명선

남양주 김창근, 김필환, 황성훈 이재성 이주영, 임병석

고 양김영주, 김익태, 성봉진

양해운, 이율배, 조원섭

김지아, 문종식, 이제희

전관종

박종규, 심재현, 오병태, 유은주

이기정, 정원영

춘 천 양종천, 임일영 안응석김경숙, 김두수, 김연실, 이창호

전우철, *최근호홍 천 정철규 하창균 김진수, 김화완

원 주 이종관 김선재, 양정주, 연제열 이창희, 한승일

영 월 김형곤 이호근 김선아, 최윤기

삼 척 강용태, 이환재, 홍종목 장익순김영숙, 김원명, 김정희, 박선미

변영시

강 릉 김종칠 손영균 김동윤

속 초 이동화, 임현수 *최학규

조세속보 1 1

Page 12: 2002 .10.24 木(2002 -제82호) C/ O/ N/ T/ E/ N/ T/ S · 양희석, 박인성, 유장곤 김오곤,

▣ 인 사

※ 여직원 : ( )내서, 진한글씨

구분

청서별

일 반 직

7급 → 6급 8급 → 7급 9급 →8급계 45(10) 37(3) 52(20)

지방청

마동운, 김태열, 이순 복

손재명, 한은기, 김재휘

박동근, 심종보, 김계호

모계완

유태정, 문경준, 강신웅

민준기, 문 미선 , 서한원

군 산 김근석 안광수, 김 현 이재희, 박 성란

전 주

김규완, 이강길, 조숙 현

오영철, 조성균, 신갑철

이석진

조기정, 김 홍, 한병민

손명 수

조준식, 강 원, 김 연수

김재영, 정흥엽, 박인 숙

익 산 조교환, 신명신김성근, 조중길, 오명석

박효찬노도영, 이명준, 김정 은

정 읍 이무 선 최원규, 문 기조이태훈, 김우중, 김한민

정만영, 권춘오

남 원 강미 화

광 주김복 희 , 김영복, 김희 중

양정 임송만수, 조희성, 임성렬

서미 순 , 신동용, 박 선영

김은 정 , 윤여찬, 고 부경

백남중, 김성렬

북광주 조연상, 김종천신갑상, 차지훈, 이용철

오금홍, 김광섭

홍형 숙 , 이 호, 이 숙정

강지만, 김승진

서광주조애 순 , 백 인숙 , 이수기

정 호, 김낙중박정국

채혜 숙 , 우재만, 오금선

이정민, 김 미선

목 포 양길호, 김 순덕 강석제, 조종필, 김동일김아 란 , 김규표, 최 연희

박경 란 , 장용준

나 주 손도종, 전해철정영천, 정성의, 문해 연

오성실

해 남남왕주, 강상춘, 서갑이

정희창, 박태훈장민석, 박연서 윤유선, 김 남희

순 천 정정 희 , 이행종윤권욱, 김원섭, 김경민

이시형

김학수, 유관식, 문정흠

박춘 매 , 나윤 미

여 수 박순웅, 이인갑 위 석 김진수

[광주지방청] 승진인사 명단(2002 .10 .21字)

조세속보1 2

Page 13: 2002 .10.24 木(2002 -제82호) C/ O/ N/ T/ E/ N/ T/ S · 양희석, 박인성, 유장곤 김오곤,

인 사 ▣

※ 여직원 : 19명(7→6 김정국,하순주,최강희,김귀희,정정숙 8→7 이춘희,김진숙,권진록,박진선,양필희,김수정,변정안 9→8 우명주,최경애,최성실,김도숙,마명희,유영숙,최지숙)

[대구지방청] 승진인사 명단 -세무직(2002 .10 .21字)

구 분 7급 → 6급 8급 → 7급 9급 → 8급총 계 46명 37명 44명지방청계 (11) (6)

직 속 김상현 이성효

납세지원 김상률, 박덕하 이춘희

세원관리 정교원 김상훈, 이종수

조 사 1백희태, 이동찬, 이상락

정규호

조 사 2 김중규, 조성래, 손원태 유종호, 최원수

서 계 (35) (31) (44)

동대구권혁원, 이설규, 이수용

이학렬, 최연석, 황동률

김진숙, 이상걸, 이종익

장진식, 황윤수권성구, 김하수, 문효상

서대구김정국, 박재진, 백종찬

천성묵, 하순주강전일, 권진록, 김종욱

김성대, 박상희, 우명주

최경애

남대구구충모, 김석수, 박동락

정운섭, 최강희

김시근, 민영기, 박진선

손 권, 손병환

김재섭, 도락길, 박만룡

박명우, 서대영, 정환주

조범제, 최성실

북대구김귀희, 김기무, 박규철

이범락, 이상무김정수, 이재철

김도숙, 마명희, 서기석

안영길, 유영숙, 최지숙경 주 이광수 권도균, 문성찬 김삼규, 김찬태, 정수연

포 항박시호, 배영모, 이유조

정정숙이태규

김관태, 김종근, 박준철

유성만, 이동욱, 이은희

이정훈

구 미 김교룡, 이교길 노진철, 윤재철, 정석철 김민국, 이영우

경 산 조상래, 최병달 김경식, 양필희 양병렬, 장현우

안 동 전익상 김수정, 장동은, 허노환금대호, 김성하, 박철순

이선호, 조수길

김 천 김영균, 변월수 변정안 김용기, 정석호

상 주 박성규, 임광혁 장병호

영 주 옥 승, 김부한 권오형, 오조섭 송윤선

영 덕

조세속보 1 3

Page 14: 2002 .10.24 木(2002 -제82호) C/ O/ N/ T/ E/ N/ T/ S · 양희석, 박인성, 유장곤 김오곤,

▣ 인 사

□ 6급승진자(이상 74명) □ 7급승진자(이상 50명) □ 7급승진자(이상 69명)

총 무 과 문판국 선우일남 조성용

감사관실 이용규

납세지원국이준홍 정동진 공춘석

이영우최만석 조명익 진일현

세원관리국 이민수 윤원묵 권영규 조민래

조사 1국지정호 장재선 서봉구

박상훈이성호 채춘석

조사 2국 조덕승 박홍식 이종현 조용택 박상규

조사 3국고현우 장태식 임창경

하두섭손태성 김진원

중부산세무서김유신 박순희 지윤대

차규상 최정술김미영 김동건 유민자 한창림

서부산세무서김대규 이덕룡 전인수

정창규이진우 이현기

김성기 김인숙 류현철

장명화 진영숙

부산진세무서권영록 이원호 이재영

정철규강상식 김종배 박종헌

예종옥 윤태우 임종진

장원대 최명길

수영세무서김길호 김진희 손진호

안용희 최영욱임영빈 정상봉 진광남 박웅종 손연숙 이지하

북부산세무서김천수 옥영조 윤한인

정석조김동업 이정훈 정경주

강종근 김일한 심우용

윤형철 제상훈 조석주

주광수

동래세무서 김두기 김현준 이평엽 고영수 정인택 최인식장인철 정명환 조재화

최채민 한면기

금정세무서 남석현 이화범 최장호 윤종문 이명용

김윤경 김은영 송창언

신미정 최재호 허영금

홍원의

울산세무서박영구 박정님 이지형

장호철 최영철박승호 박윤범 정상우

권윤호 김숙례 김종요

김형걸 신현우 엄지명

[부산지방청] 승진인사 명단(2002 .10 .21字)

조세속보1 4

Page 15: 2002 .10.24 木(2002 -제82호) C/ O/ N/ T/ E/ N/ T/ S · 양희석, 박인성, 유장곤 김오곤,

인 사 ▣

※ 여직원 진한글씨

[대전지방청] 승진인사 명단(2002 .10 .21字)

구분

서별

113명7급→6급(36명) 8급→7급(33명) 9급→8급(44명)

합 계 남32, 여4 남29, 여4 남29, 여15

대전청

위덕환 임우현 김상민

김인규 김재천 김학선

편무학 양철현 정성훈

유은 영 이철효 배효창

대 전

김종관 김종문 나교석

서원구 윤주봉 전성 례

최창원

권지 은 민준식 배재철

이승희 최길상

금영송 라기정 윤상호

이경 숙 이기활 이영재

서대전신용봉 오승훈 오태근

이기현 이 효선 한구환

국태선 권영조 김정호

서병권 이재일

김현 숙 박 찬희 오 영희

유장현 이 미영 이성희

홍창표 황 은희

청 주 정진하김상면 류우곤 유달근

최진 숙

노기 주 신 혜선 안 상임

최병권

영 동 유병민 한 수이

충 주 엄희권 윤재학 심종호 윤영준 이영락

제 천 윤인섭 이권상 이전희 최한진 유성돈

공 주 윤인 옥 권병길 서문석 박승원 안제윤 최승식

논 산 이연 범 김은 경 문상균 윤명한

보 령 남일리 성호경 최병기 이영중 엄태성 유경열 이주한

홍 성 김종성 조덕휘 이충인

서 산 장병혁 권석룡 주정권 홍성도

예 산 이종석 임석훈 박영민 심주석 하상진 강희석 석 혜숙 이상 범

천 안 윤영현 이관수 이항규서혜 숙 유철 윤건

이한성

김은 하 윤 선영 윤태경

이영호

조세속보 1 5

Page 16: 2002 .10.24 木(2002 -제82호) C/ O/ N/ T/ E/ N/ T/ S · 양희석, 박인성, 유장곤 김오곤,

▣ 인 사

■ 국 장 급 전 보 인 사

관세청 심사정책국장 이사관 이홍 로 (李 泓魯 ) - 前 인천공항세관장

관세청 조사감시국장 이사관 안치 성 (安 致聲 ) - 前 관세청 심사정책국장

인천공항세관장 이사관 김 진영 (金鎭 泳 ) - 前 관세청 조사감시국장

■ 국 세 공 무 원 승 진 명 단

서 동선 (7급승진) 이정 섭 (7급승진) 김 영철 (7급승진)

[관세청] 국장급 전보인사(2002 .10 .21字)

[국세공무원 교육원] 승진인사 명단(2002 .10 .21字)

조세속보1 6

본 사 출 판 국 발 간 도 서

서정민著/신국판/448쪽/12,000원

법률·경영·세무회계·창업컨설턴트와 벤처 창업가·경영기획실 요

원 , 벤처동아리 대학생들의 필독 실

무지침서 .

중소기업관련법 요해

중소기업가 및 중소기업 관련업무에종사하는 관계자들을 위한 중소기업

관련법의 체계적인 분석과 쉽게 이

해할수 있는 내용 .

김진영著/4×6배판/568쪽/20,000원

창 업 과 경 영 을 위 한

사업계획서

Page 17: 2002 .10.24 木(2002 -제82호) C/ O/ N/ T/ E/ N/ T/ S · 양희석, 박인성, 유장곤 김오곤,

인 사 ▣

□ 과 장 급 공 무 원 전 보 (3명 )

□ 세 무 서 장 직 무 대 리 (3명 )

[국세청] 과장급 인사(2002 .10 .22字)

서울지방국세청 법무1과장 蘇 亮 燮 (중부청 징세)

동대문세무서장 韓 昌 熙 (서울청 법무1)

중부지방국세청 징세과장 趙 明 衍 (구 미)

강릉세무서장 (직무대리) 金 長 壽 (국세청 감찰)

목포세무서장 ( 〃 ) 魯 且 根 (중부청)

구미세무서장 ( 〃 ) 朴 塡 根 (서울청 조사2-4)

조세속보 1 7

회 사 분 할 과 세 무

임대순著/신국판/364쪽/30,000원

회사분할 세무 실무서 최초출간 !기업체 담당자 , 세무공무원 , 세무회

계 컨설턴트 관심 집중

연말 개정 예정 분할관련 세법 내용반영 해설 !

조 세 측 면 에 서 본회 사 정 리 와 구 조 조 정

세무공무원의 실무지첨서 .회사정리사건의 정석 해법의 길잡이위기관리의 기업재건의 훌륭한 자문

조춘연著/크라운판/624쪽/25,000원

Page 18: 2002 .10.24 木(2002 -제82호) C/ O/ N/ T/ E/ N/ T/ S · 양희석, 박인성, 유장곤 김오곤,

▣ 참고자료

□ 지 방 세 법 개 정 추 진 개 요

행정자치부에서 마련한 금년도 지방세법개

정 (안 )이 2002년 10월 15일 국무회의에

의결되어 정기국회에 제출된다 .

지방세법개정안은 앞으로 국회의결을 거쳐

2003년 1월 1일부터 시행될 계획이다 .

□ 지 방 세 법 개 정 (안 ) 주 요 내 용

1. 지 방 세 구 제 제 도 에 준 사 법 적 절 차 도 입

지방세 부과처분에 대하여 불복이 있을 경

우 제출하는 이의신청 과 심사청구 등 구제

절차상의 공정성 및 객관성을 높이기 위하

여 불복청구자에게 그 신청 또는 청구에 관

계되는 서류의 열람권과 관련 위원회에 출

석하여 의견을 진술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

하고 ,

행정심판법에서 적용하고 있는 ①다수의

청구인이 공동으로 심판청구를 하는 때에

청구인중 3인 이하의 대표자를 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청구인의 대표자 선정 , ②청구

인의 사망 또는 청구인인 법인 등이 합병한

때 그 승계자가 청구인의 지위를 승계하도

록 하는 청구인의 지위승계 , ③이해관계가

있는 제3자도 사건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

는 이해관계인의 심판참가 , ④청구의 취지

또는 이유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청구의

변경 , ⑤당사자의 청구에 의한 구술심리도

가능하게 하는 심리의 방식 보완 등 준사법

적 절차를 도입하여 납세자의 권익보호를

보다 강화하도록 하였다 .

2. 재 산 할 사 업 소 세 신 고 납 부 기 간 연 장

현재 재산할 사업소세는 매년 7 .1부터

7 .10까지 (10일간 )의 납기중에 신고납부 하

도록 규정되어 있으나 , 여러 시·군에 사업

장이 있는 경우에는 사업장별 세액을 계산

하여 신고납부하는 데에 10일간의 기간이

너무 짧다는 중소기업의 경영애로사항 건의

가 있어

사업장이 여러곳에 있는 중소기업의 납세

편의를 위해 신고납부기간을 7월 1일부터 7

월 31일까지(1개월간)로 연장하기로 하였다 .

[행자부] 2002년 지방세법개정안 국무회의 의결

행자부

조세속보1 8

참 / 고 / 자 / 료

Page 19: 2002 .10.24 木(2002 -제82호) C/ O/ N/ T/ E/ N/ T/ S · 양희석, 박인성, 유장곤 김오곤,

참고자료 ▣

※ 2000년도 재산할 사업소세 징수실적 : 15만

건, 804억원

3. 자 동 차 변 경 등 록 또 는 이 전 등 록 시 제 출 서 류 간 소 화

전자정부 구현을 위한 민원혁신사업(G4C)

의 성과를 국민들의 지방세 민원처리에 대

한 편익으로 연계시키기 위하여

현재는 자동차의 변경등록 또는 이전등록

을 할 경우 자동차세를 납부한 증명서를 제

출하여야 하나 , 행정정보의 공동이용에 따라

전산시스템으로 자동차세 납세여부의 확인

이 가능한 시·군에서는 그 확인만으로 증

명서의 제출에 갈음하도록 하였다 .

4. 소 형 선 박 으 로 등 록 되 는 부 선 을 등 록 세 과 세 대 상 에 추 가

현재 선박 취득·등록에 대한 세율은 지방

세법에 1 ,000분의 10이며 20톤미만의 소

형선박은 1 ,000분의 0 .2로 되어 있으나 ,

20톤이상 100톤미만의 부선은 선박등기

법 등에서 소형선박으로 분류하고 있으므로

20톤이상 100톤미만의 부선에 대한 등록

세과세는 소형선박의 세율을 적용하여 과세

하게 함으로써 20톤미만의 소형선박과의 과

세불형평 문제를 해소하도록 하였다 .

5. 소 득 세 할 주 민 세 납 세 지 개 선

현재 이자소득 , 배당소득 등에 대한 소득

세할 주민세는 당해 소득의 지급지를 관할

하는 시·군에서 징수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

국민연금관리공단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지급하는 연금급여나 요양급여에 대한 소득

세할 주민세의 납세지는 당해 공단소재지 (원

천징수지)가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어

연금소득과 사업소득에 대한 소득세할 주

민세의 경우에도 납세지를 그 소득을 지급

받는 자의 주소지나 사업장 소재지 (사실상

발생지 )를 관할하는 시·군이 되도록 개선

하기로 하였다 .

※ 사 례

- 국민건강보험관리공단이 전국의 각 병원에

서 청구하는 요양급여비용을 지급하고 그

소득에 대한 소득세 및 소득세할 주민세를

원천징수하는 경우 공단 소재지인 서울 마

포구에 모두 납부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납세

의무관련 행위가 발생하는 사업장 관할

시·군에서는 주민세를 징수하지 못하는 문

제점이 있어서 이를 시정하는 것임

6. 법 인 ·공 장 의 지 방 이 전 에 따 른 감 면 시 한 연 장 등

지 역 균 형 발 전 지 원

수도권정비계획법에 의한 과밀억제권역 (서

울 , 인천·경기도 일원 ) 내의 법인 및 공장

을 지방으로 이전하는 경우 2002 .12 .31 .까

지 취득세와 등록세를 감면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그 감면시한을 2005 .12 .3 1까지로

3년간 연장하기로 하였으며 ,

산업단지 (국가산업단지 , 지방산업단지 , 농

공단지 )내의 공장에 대해서는 공장신설 후

5년간 재산세와 종합토지세를 50 % 경감해

주고 있으나 , 수도권외의 지방에 소재하는

산업단지에 입주하는 공장 등에 대해서는

재산세와 종합토지세를 5년간“전액면제”

하도록 하여 지방소재 산업단지의 활성화를

통한 지역균형발전을 도모하기로 하였다 .

조세속보 1 9

Page 20: 2002 .10.24 木(2002 -제82호) C/ O/ N/ T/ E/ N/ T/ S · 양희석, 박인성, 유장곤 김오곤,

▣ 참고자료

1 . 제 정 이 유

○ 기업회계기준의 국제적 정합성을 높이기

위하여 재고자산의 회계처리와 공시에 관련

된 사항을 정한다 .

2 . 주 요 골 자

○ 재고자산의 평가 : 재고자산은 취득원가를

대차대조표가액으로 한다 . 다만 , 시가가 취

득원가보다 낮은 경우에는 시가를 대차대조

표가액으로 한다 (저가법 ) .

○ 재고자산의 취득원가 : 재고자산의 취득원

가는 매입원가 또는 제조원가를 말한다 . 재

고자산의 매입원가는 매입가액에 매입운임 ,

하역료 및 보험료 등 취득과정에서 정상적

으로 발생한 부대비용을 가산한 금액이다 .

제품 , 반제품 및 재공품 등 재고자산의 제조

원가는 대차대조표일까지 제조과정에서 발

생한 직접재료비 , 직접노무비 , 제조와 관련

된 변동 및 고정 제조간접비의 체계적인 배

부액을 포함한다 . 고정제조간접비는 생산설

비의 정상조업도에 기초하여 제품에 배부하

며 , 실제 생산수준이 정상조업도와 유사한

경우에는 실제조업도를 사용할 수 있다 .

○ 취득단가의 결정방법 : 통상적으로 상호 교

환될 수 없는 재고항목이나 특정 프로젝트

별로 생산되는 제품 또는 서비스의 원가는

개별법을 사용하여 결정한다 . 개별법으로 원

가를 결정할 수 없는 재고자산의 원가는 선

입선출법 , 평균법 및 후입선출법을 사용하여

결정한다 .

○ 시가의 결정 : 재고자산을 저가법으로 평가

하는 경우 제품 , 상품 및 재공품의 시가는

순실현가능가액을 말하며 , 생산과정에 투입

될 원재료의 시가는 현행대체원가를 말한

다 .

○ 평가손실의 환입 : 저가법의 적용에 따른

평가손실을 초래했던 상황이 해소되어 새로

운 시가가 장부가액보다 상승한 경우에는

최초의 장부가액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

에서 평가손실을 환입한다 . 재고자산평가손

실의 환입은 매출원가에서 차감한다 .

○ 시행일 : 이 기준서는 시행일인 2003년

[한국회계연구원] 재고자산 에 관한 기업회계기준

서 제정

한국회계연국원

조세속보2 0

참 / 고 / 자 / 료 Ⅱ

Page 21: 2002 .10.24 木(2002 -제82호) C/ O/ N/ T/ E/ N/ T/ S · 양희석, 박인성, 유장곤 김오곤,

참고자료 ▣

12월 3 1일 이후 최초로 개시하는 회계연도

부터 적용하되 , 이 기준서 시행일이 속하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호 -재고자산 (2002 .8 .9 )

《 요 약 》

이 기준서는 재고자산의 회계처리와 공시

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는 데 목적이 있다 .

재고자산은 취득원가를 대차대조표가액으

로 한다 . 다만 , 시가가 취득원가보다 낮은 경

우에는 시가를 대차대조표가액으로 한다(저가법) .

재고자산의 취득원가는 매입원가 또는 제

조원가를 말한다 .

회계연도에도 적용할 수 있다 .

재고자산의 매입원가는 매입가액에 매입운

임 , 하역료 및 보험료 등 취득과정에서 정상

적으로 발생한 부대비용을 가산한 금액이다 .

제품 , 반제품 및 재공품 등 재고자산의 제

조원가는 대차대조표일까지 제조과정에서 발

생한 직접재료비 , 직접노무비 , 제조와 관련된

변동 및 고정 제조간접비의 체계적인 배부액

을 포함한다 . 고정제조간접비는 생산설비의

정상조업도에 기초하여 제품에 배부하며 , 실

제 생산수준이 정상조업도와 유사한 경우에는

《 재 고 자 산 기 준 서 와 현 행 기 업 회 계 기 준 의 비 교》

구 분 제 정 안 현행기업회계기준형 식 기준서(statement)식 법조문식

제정기관 한국회계연구원의회계기준위원회 금융감독위원회

재고자산의정의

정상적인영업과정에서판매목적을위해보유

하는자산또는판매를목적으로한생산과정에

있는자산, 그리고생산또는서비스제공과정

에투입될원재료나소모품의형태로존재하는

자산을말한다.

제15조에서 재고자산의 과목에 포함되는 항목

을나열함

취득원가의측정

고정제조간접비는생산설비의정상조업도에기

초하여 제품에배부하며, 실제생산수준이정

상조업도와 유사한경우에는 실제조업도를 사

용할수있다.

특별한규정없음

취득단가결정방법

특정프로젝트를위해분리된재고는우선적으

로개별법으로하고 그이외의경우에는 여러

방법중에서선택하도록나열함

여러가지방법중에서선택하도록나열함

저가법적용시시가의결정제품, 상품및재공품은순실현가능가액으로하

고원재료는현행대체원가로함모든재고자산의시가는순실현가능가액으로함

저가법의적용방법종목별및조별기준을사용하도록하고총계기

준은배제모든방법중선택가능함

평가손실의환입여부평가손실의환입을최초장부가액한도내에서허

용함특별한규정없음

조세속보 2 1

Page 22: 2002 .10.24 木(2002 -제82호) C/ O/ N/ T/ E/ N/ T/ S · 양희석, 박인성, 유장곤 김오곤,

▣ 참고자료

실제조업도를 사용할 수 있다 .

통상적으로 상호 교환될 수 없는 재고항목

이나 특정 프로젝트별로 생산되는 제품 또는

서비스의 원가는 개별법을 사용하여 결정한

다 . 개별법으로 원가를 결정할 수 없는 재고

자산의 원가는 선입선출법 , 평균법 또는 후입

선출법을 사용하여 결정한다 .

표준원가제도를 채택하고 있는 경우에도

재고자산의 대차대조표가액은 실제원가로 보

고하여야 한다 .

매출가격환원법은 실제원가가 아닌 추정에

의한 원가결정방법이므로 원칙적으로 많은 종

류의 상품을 취급하여 실제원가에 기초한 원

가결정방법의 사용이 곤란한 유통업종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

재고자산을 저가법으로 평가하는 경우 제

품 , 상품 및 재공품의 시가는 순실현가능가액

을 말하며 , 생산과정에 투입될 원재료의 시가

는 현행대체원가를 말한다 .

재고자산 평가를 위한 저가법은 종목별로

적용한다 . 그러나 재고항목들이 서로 유사하

거나 관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저가법을 조별

로 적용할 수 있다 . 조별로 저가법을 적용하

는 경우에는 계속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 저가

법은 총액기준으로 적용할 수 없다 .

재고자산은 이를 판매하여 수익을 인식한

기간에 매출원가로 인식한다 . 재고자산의 시

가가 장부가액 이하로 하락하여 발생한 평가

손실은 재고자산의 차감계정으로 표시하고 매

출원가에 가산한다 . 저가법의 적용에 따른 평

가손실을 초래했던 상황이 해소되어 새로운

시가가 장부가액보다 상승한 경우에는 최초의

장부가액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평가

손실을 환입하고 매출원가에서 차감한다 .

재고자산의 장부상 수량과 실제 수량과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감모손실의 경우 정상적으

로 발생한 감모손실은 매출원가에 가산하고

비정상적으로 발생한 감모손실은 영업외비용

으로 분류한다 .

재고자산은 총액으로 보고하거나 또는 상

품 , 제품 , 재공품 , 원재료 및 소모품 등으로

분류하여 대차대조표에 표시하고 , 재고자산의

원가결정방법 , 재고자산을 총액으로 보고한

경우 그 내용 , 재고자산의 저가법 적용기준

및 평가 내용 , 담보로 제공한 재고자산의 종

류와 금액 등을 재무제표의 주석으로 기재한다 .

이 기준서는 시행일인 2003년 12월 31일

이후 최초로 개시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하

되 , 이 기준서 시행일이 속하는 회계연도에도

적용할 수 있다 .

《 내 용》

◎ 목 적

1 . 이 기준서는 재고자산의 회계처리와 공시

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는 데 목적이 있다 .

재고자산 회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과제

는 회계기간 말 현재 재고자산의 대차대조

표가액을 적절하게 결정하는 것이다 .

◎ 적 용 범 위

2 . 이 기준서는 주식회사의외부감사에관한법

률의 적용대상이 아닌 기업의 회계처리에

준용할 수 있다 . 중요하지 않은 금액의 재고

자산에 대하여는 이 기준서를 적용하지 아

니할 수 있다 .

3 . 이 기준서는 다음을 제외한 모든 재고자

산의 회계에 적용된다 .

㈎ 건설형공사계약에서 발생하는 진행중인

조세속보2 2

Page 23: 2002 .10.24 木(2002 -제82호) C/ O/ N/ T/ E/ N/ T/ S · 양희석, 박인성, 유장곤 김오곤,

참고자료 ▣

건설공사

㈏ 금융상품

㈐ 농업 , 임업 , 축산업 및 광업의 재고자산

◎ 용 어 의 정 의

4 . 이 기준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

㈎“ 재고자산 은 정상적인 영업과정에서 판

매를 위하여 보유하거나 생산과정에 있는

자산 및 생산 또는 서비스 제공과정에 투

입될 원재료나 소모품의 형태로 존재하는

자산을 말한다 .

㈏“ 순실현가능가액 은 제품이나 상품의 정

상적인 영업과정에서의 추정 판매가액에서

제품을 완성하는 데 소요되는 추가적인 원

가와 판매비용의 추정액을 차감한 금액을

말한다 .

㈐“ 현행대체원가 는 재고자산을 현재 시점

에서 매입하거나 재생산하는 데 소요되는

금액을 말한다 .

㈑ 정상조업도 는 정상적인 유지 및 보수

활동에 따른 조업중단을 감안한 상황 하에

서 평균적으로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

대하는 생산수준을 말한다 .

㈒ 고정제조간접비 는 공장건물 또는 공장

설비의 감가상각비나 공장관리비와 같이

생산량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하게 발생하

는 제조간접비를 말한다 .

㈓ 변동제조간접비 는 간접재료비 또는 간

접노무비와 같이 생산량에 비례하여 발생

하는 제조간접비를 말한다 .

◎ 재 고 자 산 의 대 차 대 조 표 가 액 결 정

5 . 재고자산은 취득원가를 대차대조표가액으

로 한다 . 다만 , 시가가 취득원가보다 낮은

경우에는 시가를 대차대조표가액으로 한다

(이하 저가법 이라 한다) .

◎ 취 득 원 가 의 측 정

6 . 재고자산의 취득원가는 매입원가 또는 제

조원가를 말한다 .

◎ 매 입 원 가

7 . 재고자산의 매입원가는 매입가액에 매입

운임 , 하역료 및 보험료 등 취득과정에서 정

상적으로 발생한 부대비용을 가산한 금액이

다 . 매입과 관련된 할인 , 에누리 및 기타 유

사한 항목은 매입원가에서 차감한다 . 성격이

상이한 재고자산을 일괄하여 구입한 경우에

는 총매입원가를 각 재고자산의 공정가액

비율에 따라 배분하여 개별 재고자산의 매

입원가를 결정한다 .

◎ 제 조 원 가

8 . 제품 , 반제품 및 재공품 등 재고자산의 제

조원가는 대차대조표일까지 제조과정에서

발생한 직접재료비 , 직접노무비 , 제조와 관

련된 변동 및 고정 제조간접비의 체계적인

배부액을 포함한다 .

9 . 고정제조간접비는 생산설비의 정상조업도

에 기초하여 제품에 배부하며 , 실제 생산수

준이 정상조업도와 유사한 경우에는 실제조

업도를 사용할 수 있다 . 단위당 고정제조간

접비 배부액은 비정상적으로 낮은 조업도나

유휴설비로 인하여 증가하여서는 아니된다 .

그러나 , 실제조업도가 정상조업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실제조업도에 기초하여 고정제조

간접비를 배부함으로써 재고자산이 실제원

가를 반영하도록 한다 . 변동제조간접비는 실

제 생산량에 기초한 합리적인 배부기준에

조세속보 2 3

Page 24: 2002 .10.24 木(2002 -제82호) C/ O/ N/ T/ E/ N/ T/ S · 양희석, 박인성, 유장곤 김오곤,

▣ 참고자료

따라 각 생산단위에 배부한다 .

10 . 단일 생산공정을 통하여 여러 가지 제품

을 생산하거나 주산물과 부산물을 동시에

생산하는 경우에 발생한 공통원가는 각 제

품을 분리하여 식별할 수 있는 시점이나 완

성한 시점에서 개별 제품의 상대적 판매가

치를 기준으로 하여 배부한다 . 다만 , 경우에

따라 생산량기준 등을 적용하는 것이 더 합

리적이라고 판단될 때에는 그 방법을 적용

할 수 있다 . 중요하지 않은 부산물은 순실현

가능가액을 측정하여 동 금액을 주요 제품

의 원가에서 차감하여 처리할 수 있다 .

11 . 재고자산 원가에 포함할 수 없으며 발생

기간의 비용으로 인식하여야 하는 원가의

예는 다음과 같다 .

㈎ 재료비 , 노무비 및 기타의 제조원가 중

비정상적으로 낭비된 부분

㈏ 추가 생산단계에 투입하기 전에 보관이

필요한 경우 외의 보관비용

㈐ 판매비와 관리비

12 . 재고자산의 구입 및 제조에 장기간이 소

요되는 경우 , 취득과정에서 발생한 금융비용

의 원가 포함 여부는 기업회계기준서 제7호

금융비용자본화 에 따른다 .

13 . 서비스기업의 재고자산 원가는 서비스의

제공에 직접 종사하는 인력의 인건비와 기

타 직접 관련된 재료비와 경비로 구성된다 .

서비스 제공과 직접 관련이 없는 , 판매 및

일반관리 업무에 종사하는 인력의 인건비와

기타 관련 경비는 재고자산 원가에 포함되

지 않으며 발생한 기간의 비용으로 인식한다 .

◎ 재 고 자 산 의 원 가 결 정 방 법

14 . 통상적으로 상호 교환될 수 없는 재고항

목이나 특정 프로젝트별로 생산되는 제품

또는 서비스의 원가는 개별법을 사용하여

결정한다 . 개별법은 각 재고자산별로 매입원

가 또는 제조원가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 예

를 들면 , 특수기계를 주문 생산하는 경우와

같이 제품별로 원가를 식별할 수 있는 때에

는 개별법을 사용하여 원가를 결정한다 . 그

러나 이 방법을 상호교환 가능한 대량의 동

질적인 제품에 대해서 적용하는 것은 적절

하지 아니하다 .

15 . 문단 14의 방법에 의하여 원가를 결정할

수 없는 재고자산의 원가는 선입선출법 , 평

균법 또는 후입선출법을 사용하여 결정한다 .

16 . 선입선출법은 먼저 매입 또는 생산한 재

고항목이 먼저 판매 또는 사용된다고 원가

흐름을 가정하는 방법이다 . 따라서 기말에

재고로 남아 있는 항목은 가장 최근에 매입

또는 생산한 항목이라고 본다 .

17 . 평균법은 기초에 보유하고 있는 재고항

목과 회계기간 중에 매입하거나 생산한 재

고항목이 구별없이 판매 또는 사용된다고

원가흐름을 가정하여 평균원가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 평균원가는 기초 재고자산의 원가

와 회계기간 중에 매입 또는 생산한 재고자

산의 원가를 가중평균하여 산정한다 . 평균법

은 기업의 상황에 따라서 주기적으로 적용

(총평균법 )하거나 매입 또는 생산할 때마다

적용 (이동평균법 )할 수 있으나 적용방법의

일관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

18 . 후입선출법은 가장 최근에 매입 또는 생

산한 재고항목이 가장 먼저 판매된다고 원

가흐름을 가정하는 방법이다 . 따라서 기말에

재고로 남아 있는 항목은 가장 먼저 매입

조세속보2 4

Page 25: 2002 .10.24 木(2002 -제82호) C/ O/ N/ T/ E/ N/ T/ S · 양희석, 박인성, 유장곤 김오곤,

참고자료 ▣

또는 생산한 항목이라고 본다 .

19 . 성격 또는 용도 면에서 차이가 있는 재

고자산에 대하여는 서로 다른 취득단가 결

정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나 일단 특정 방법

을 선택하면 정당한 사유없이 이를 변경할

수 없다 .

◎ 표 준 원 가 와 매 출 가 격 환 원 법 에 의 한 취 득 원 가 결 정

20 . 표준원가제도를 채택하고 있는 경우에도

재고자산의 대차대조표가액은 실제원가로

보고하여야 한다 .

2 1 . 매출가격환원법은 판매가기준으로 평가

한 기말재고금액에 구입원가 , 판매가 및 판

매가변동액에 근거하여 산정한 원가율을 적

용하여 기말재고자산의 원가를 결정하는 방

법이다 . 이 방법은 실제원가가 아닌 추정에

의한 원가결정방법이므로 원칙적으로 많은

종류의 상품을 취급하여 실제원가에 기초한

원가결정방법의 사용이 곤란한 유통업종에

서만 사용할 수 있다 . 다만 , 유통업 이외의

업종에 속한 기업이 매출가격환원법을 사용

하는 예외적인 경우에는 매출가격환원법의

사용이 실제원가에 기초한 다른 원가결정방

법을 적용하는 것보다 합리적이라는 정당한

이유와 매출가격환원법의 원가율 추정이 합

리적이라는 근거를 주석으로 기재하여야 한다 .

22 . 매출가격환원법은 이익률이 유사한 동질

적인 상품군별로 적용한다 . 따라서 이익률이

서로 다른 상품군을 통합하여 평균원가율을

계산해서는 아니된다 .

◎ 저 가 법 의 적 용

23 . 재고자산의 시가가 취득원가보다 하락한

경우에는 저가법을 사용하여 재고자산의 대

차대조표가액을 결정한다 . 다음과 같은 사유

가 발생하면 재고자산 시가가 원가이하로

하락할 수 있다 .

㈎ 손상을 입은 경우

㈏ 대차대조표일로부터 1년 또는 정상영업

주기 내에 판매되지 않았거나 생산에 투입

할 수 없어 장기체화된 경우

㈐ 진부화하여 정상적인 판매시장이 사라지

거나 기술 및 시장 여건 등의 변화에 의

해서 판매가치가 하락한 경우

㈑ 완성하거나 판매하는 데 필요한 원가가

상승하는 경우

24 . 재고자산을 저가법으로 평가하는 경우

제품 , 상품 및 재공품의 시가는 순실현가능

가액을 말하며 , 생산과정에 투입될 원재료의

시가는 현행대체원가를 말한다 . 다만 , 원재

료를 투입하여 완성할 제품의 시가가 원가

보다 높을 때는 원재료에 대하여 저가법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

25 . 재고자산 평가를 위한 저가법은 종목별

로 적용한다 . 그러나 재고항목들이 서로 유

사하거나 관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저가법을

조별로 적용할 수 있다 . 이러한 경우는 재고

항목이 유사한 목적 또는 용도를 갖는 동일

한 제품군으로 분류되고 , 동일한 지역에서

생산되어 판매되며 , 그리고 그 제품군에 속

하는 다른 항목과 구분하여 평가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경우를 말한다 . 재고자산의

평가에 있어서 저가법을 조별로 적용하는

경우에는 계속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 저가법

은 총액기준으로 적용할 수 없다 .

26 . 저가기준을 적용하여 매출가격환원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원가율을 계산할 때 가

조세속보 2 5

Page 26: 2002 .10.24 木(2002 -제82호) C/ O/ N/ T/ E/ N/ T/ S · 양희석, 박인성, 유장곤 김오곤,

▣ 참고자료

격인하를 매출가격에 의한 판매가능액에서

차감하지 아니한다 .

27 . 시가를 추정하는 경우에는 재고자산의

보유 목적을 고려하여야 한다 . 예를 들면 ,

수량과 가격이 확정되어 있는 판매계약을

이행하기 위하여 보유하는 재고자산의 순실

현가능가액은 계약가격에 기초한다 . 만일 보

유하고 있는 재고자산의 수량이 확정판매계

약의 이행에 필요한 수량을 초과하는 경우

에는 그 초과 수량의 순실현가능가액은 일

반 판매가격을 기초로 한다 .

28 . 시가는 매 회계기간말에 추정한다 . 저가

법의 적용에 따른 평가손실을 초래했던 상

황이 해소되어 새로운 시가가 장부가액보다

상승한 경우에는 최초의 장부가액을 초과하

지 않는 범위 내에서 평가손실을 환입한다 .

재고자산평가손실의 환입은 매출원가에서

차감한다 .

◎ 비 용 의 인 식

29 . 재고자산은 이를 판매하여 수익을 인식

한 기간에 매출원가로 인식한다 . 재고자산의

시가가 장부가액 이하로 하락하여 발생한

평가손실은 재고자산의 차감계정으로 표시

하고 매출원가에 가산한다 . 재고자산의 장부

상 수량과 실제 수량과의 차이에서 발생하

는 감모손실의 경우 정상적으로 발생한 감

모손실은 매출원가에 가산하고 비정상적으

로 발생한 감모손실은 영업외비용으로 분류

한다 .

◎ 분 류 와 공 시

30 . 재고자산은 총액으로 보고하거나 상품 ,

제품 , 재공품 , 원재료 및 소모품 등으로 분

류하여 대차대조표에 표시한다 . 서비스업의

재고는 재공품으로 분류할 수 있다 .

31 . 재고자산과 관련된 다음의 사항은 재무

제표의 주석으로 기재한다 .

㈎ 재고자산의 원가결정방법

㈏ 재고자산을 총액으로 보고한 경우 그 내용

㈐ 재고자산의 저가법 적용기준 및 평가 내용

㈑ 담보로 제공한 재고자산의 종류와 금액

32 . 후입선출법을 사용하여 재고자산의 원가

를 결정한 경우에는 대차대조표가액과 , 선입

선출법 또는 평균법에 저가법을 적용하여

계산한 재고자산평가액과의 차이를 주석으

로 기재한다 .

33 . 후입선출법을 사용하여 재고자산의 원가

를 결정할 때 기초재고의 전부 또는 일부가

판매된 경우 (기초재고청산 )에는 판매된 기

초재고자산의 수량에 당 회계기간 중 평균

취득단가를 곱한 금액과 판매된 기초재고자

산의 장부상 원가와의 차액을 주석으로 기

재한다 .

◎ 시 행 일

34 . 이 기준서는 2003년 12월 31일부터 시

행한다 .

35 . 이 기준서는 이 기준서 시행일 이후 최

초로 개시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한다 . 다

만 , 이 기준서 시행일이 속하는 회계연도에

도 적용할 수 있다 .

◎ 경 과 조 치

36 . 이 기준서를 처음으로 적용하는 재무제

표를 비교표시하는 경우 , 비교표시되는 재무

제표는 이 기준서를 적용하여 재작성하지

아니할 수 있다 .

조세속보2 6

Page 27: 2002 .10.24 木(2002 -제82호) C/ O/ N/ T/ E/ N/ T/ S · 양희석, 박인성, 유장곤 김오곤,

참고자료 ▣

37 . 다음의 기업회계기준은 이 기준서에 의

하여 대체된다 .

㈎ 기업회계기준 제 15조 (재고자산 )와 제58

조 (재고자산의 평가 )

㈏ 기업회계기준 제39조 (매출원가 ) 제3항과

제5항

38 . 이 기준서의 내용과 이 기준서를 최초로

적용하는 회계연도의 개시일 현재 유효한

다른 기업회계기준의 내용이 상충되는 경우

에는 이 기준서를 적용한다 . 이러한 기업회

계기준의 예는 다음과 같다 .

㈎ 기업회계기준 제4 7조 (영업외손익 ) 제2항

㈏ 원가계산준칙

㈐ 기업회계기준등에관한해석 16- 55 (수입

원자재 관련 회계처리 )

㈑ 기업회계기준등에관한해석 5 1- 62 (유형

자산 감가상각비의 회계처리 )

이 기준서는 회계기준위원회 위원 7인 전원의

찬성에 의하여 채택되었다.

회계기준위원회 위원 : 정기영(위원장) , 김경호

(상임위원) , 김 혁, 서윤석, 이남주, 이동호,정운오

《 부 록》

1 . 결 론 도 출 근 거

다음의 결론도출근거는 이 기준서를 적용

함에 있어서 규정의 의미를 보다 분명히 함으

로써 이용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하

였으나 이 기준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은 아

니다 .

A 1 . 본 기준서는 건설공사 , 금융상품 및 농

업 , 임업 , 축산업 및 광업의 재고자산에 관

한 회계처리에 대해서는 적용되지 않는다 .

그 이유는 이러한 업종에 대해서는 별도의

회계기준서에서 다루어야 하기 때문이다 .

A2 . 재고자산의 취득원가에는 부대비용이 포

함된다 . 이 경우 부대비용의 범위를 어떻게

정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 부대비

용의 범위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두 가지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 . 첫째는 나열식으

로 원가에 포함시켜야 하는 부대비용과 원

가에 포함시킬 수 없어 기간비용으로 인식

되어야 하는 항목을 구체적으로 나열하는

방법이다 . 둘째는 취득원가의 정의를 명확히

기준서에 포함시키는 방법을 통해 전반적인

지침을 제공하는 방법이다 . (문단6과 7)

A3 . 이와 같은 두 가지 방안 중에서 두 번째

방안과 같이 취득원가를 포괄적으로 정의하

는 것이 부대비용 항목을 구체적으로 나열

하는 방안보다 효율적이라고 판단된다 . 그

이유는 다양한 업종에 속하는 기업마다 발

생하는 부대비용이 매우 다르기 때문이다 .

따라서 미국의 재무회계기준 (ARB) 제43호

나 국제회계기준 (IAS ) 제2호도 두 번째 접

근방법을 채택하여 취득원가에 포함될 원가

를 당해 항목을 현재의 장소에 현재의 상태

로 준비하는 데 직·간접적으로 발생한 지

출금액으로 정의하고 있다 . (문단6과 7)

A4 . 그러나 위의 정의를 따르는 경우 재고자

산의 보유에 따른 비용도 취득원가에 포함

되어야 하는 것처럼 해석될 수 있다 . 그러나

보관비용은 기간비용으로 취급되는 것이 일

반적이다 . 또한 위의 정의에 따르면 비정상

적인 사건 (예 : 자원의 낭비나 비효율적인

사용)에 따른 지출도 취득원가의 일부로 포

함되는 것처럼 해석될 수 있다 . 따라서 본

기준서에서는 부대비용을 재고자산의 취득

조세속보 2 7

Page 28: 2002 .10.24 木(2002 -제82호) C/ O/ N/ T/ E/ N/ T/ S · 양희석, 박인성, 유장곤 김오곤,

▣ 참고자료

과정에서 정상적으로 발생한 지출로 정의하

고 이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 전형적인 부대

비용을 예시하였다 . (문단6과 7 )

A5 . 재고자산을 제조하여 취득한 경우 제조

원가에 포함되어야 할 비용에 관하여 현행

기업회계기준에서는 규정하고 있지 않다 . 취

득원가에 포함될 제조원가 개념에 대한 중

요성에 비추어 본 기준서에 제조원가에 포

함될 구성항목 , 제조원가의 계산원칙 (예 : 실

제 전부원가계산 )이나 재공품의 평가원칙

등을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하

였다 . (문단8 , 9와 10 )

A6 . 미국의 재무회계기준 (ARB ) 제43호나

국제회계기준 (IAS ) 제2호에서도 재무보고

목적으로 보고되는 제조업의 제조원가로 실

제 전부원가를 포함한다고 명시적으로 규정

하고 있으며 , 변동 (직접)원가계산을 재무보

고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고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다 . 특히 국제회계기준 (IAS ) 제

2호는 제조간접비 및 결합원가의 배분 원

칙 , 표준원가 및 매출가격환원법의 사용이

허용되는 경우까지도 규정하고 있다 .(문단8 ,

9와 10)

A7 . 본 기준서에서는 국제회계기준과의 정합

성을 고려하여 재고자산의 제조원가는 직접

재료비 , 직접노무비 , 변동 및 고정제조간접

비를 포괄하는 것으로 하되 , 고정제조간접비

의 배부는 생산설비의 정상조업도에 기초하

는 것으로 규정하여 비효율적인 제조활동으

로 인하여 취득원가가 과대계상될 가능성을

배제하였다 . 또한 본 기준서에서는 재고자산

원가로부터 제외하여 기간비용으로 인식하

여야 할 항목을 나열하여 정상적으로 발생

한 제조간접비만 제조원가에 포함될 수 있

도록 하였다 . (문단9와 11)

A8 . 동일한 재고자산 항목을 각각 다른 가격

으로 취득한 경우 판매시에 적용할 수 있는

단위원가에 관하여 현행 기업회계기준은 개

별법 , 선입선출법 , 후입선출법 , 이동평균법 ,

총평균법 및 매출가격환원법을 나열하고 있

다 . 그러나 이 방법들의 적용에 있어서 재고

자산의 항목별 , 영업종류별 및 영업장소별로

통일된 방법을 사용하여야 하는지의 여부에

대하여 명시적 규정이 없다 . 한편 현행 세법

에서는 앞의 다양한 방법을 자유롭게 선택

하여 사용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 (문단14

와 15 )

A9 . 그러나 현행 기업회계기준처럼 개별법과

다른 원가흐름의 가정을 계층적으로 규정하

지 않는 것은 기업간 비교 가능성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다 . 따라서 본 기준서에서는 실

물 흐름에 입각하여 개별법을 적용하여야

하는 상황을 먼저 나열하고 , 개별법의 적용

이 부적합한 경우에는 다양한 원가 흐름 가

정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계층

적인 단위원가 결정방법을 규정하였다 . 또한

국제회계기준과 미국의 재무회계기준의 규

정을 원용하여 상이한 상품 집단에 대해 상

이한 원가흐름의 적용을 허용하되 정보의

비교가능성을 위해서 일관성 있는 적용을

요구하였다 . (문단 14와 15)

A10 . 기업회계기준에서는 재고자산 평가방법

중에서 매출가격환원법이 당해 회사의 업종

이나 재고자산의 특성에 비추어 다른 방법

보다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경우에 한하여

적용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 매출가격

조세속보2 8

Page 29: 2002 .10.24 木(2002 -제82호) C/ O/ N/ T/ E/ N/ T/ S · 양희석, 박인성, 유장곤 김오곤,

참고자료 ▣

환원법은 실사를 하지 않거나 실사시에도

원가를 추적할 필요가 없이 재고자산을 용

이하게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

추정에 의한 평가방법이기 때문에 그 정확

성에 대해서 신뢰할 수 없으며 남용될 가능

성이 있다 . 따라서 본 기준서에서는 적용 가

능한 산업을 많은 종류의 상품을 취급하는

유통업종으로 한정하되 , 유통업종 이외의 업

종에 속한 기업이 이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에는 실제원가에 기초한 다른 원가방법을

사용하는 것보다 합리적이라는 정당한 사유

를 공시하도록 하였다 . 또한 국제회계기준과

같이 매출가격환원법을 동질적인 재화군별

로 적용하도록 제한하여 이익의 조작을 방

지하도록 하였다 . (문단2 1과 22)

A 11 . 기업회계기준과 국제회계기준에서는 재

고자산에 대한 저가법의 적용에 있어 시가

로서 순실현가능가액을 사용하고 있다 . 미국

의 재무회계기준에서는 현행대체원가를 시

가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다 . 저가법에 사용될

순실현가능가액의 경우 판매가격과 판매비

용을 추정하여야 하므로 주관성이 개입될

여지가 많다 . 특히 판매목적으로 보유하고

있지 않은 원재료의 경우 판매가격의 추정

에 대한 객관성이 의문시된다 . 물론 현행대

체원가의 경우에도 추정과정에서 주관성이

개입될 가능성이 순실현가능가액에 비해 낮

다고 할 수 없다 . 재고자산의 보유 목적은

판매를 통해서 이익을 실현하려는 것이 주

된 것이므로 대차대조표가액이 순실현가능

가액을 초과해서 표시될 수 없을 것이다 . 따

라서 현행대체원가보다는 순실현가능가액이

상품이나 완제품 등 단기간내에 판매목적으

로 보유하고 있는 재고자산의 대차대조표에

표시될 상한액으로 사용되는 것이 논리적으

로 타당하다 . (문단24 )

A12 . 현행 기업회계기준에서는 저가법의 적

용 대상인 재고자산에 상품 , 제품 및 원재료

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 판매목적으로 보유

하고 있는 상품에 대한 저가법의 적용 취지

와 제조에 사용 (투입 )될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원재료에 대한 저가법의 적용 취지는

구분된다 . 즉 , 원재료가 투입되어 사용되는

완제품의 시가가 변동이 없다면 원재료의

시가가 원가 이하로 하락하더라도 평가손실

을 인식할 필요가 없다는 관점도 있을 수

있다 . 또한 , 원재료 등 판매시장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재고자산의 경우 이들의 순실현

가능가액을 객관적으로 추정하기가 어렵다 .

(문단24 )

A13 . 판매가능한 재고자산의 경우 순실현가

능가액의 추정이 어느 정도 용이할 수 있으

나 원재료와 같이 판매 단계에 도달하지 않

은 재고자산의 경우 완제품의 순실현가능가

액을 통해 다시 추정되어야 하므로 측정오

차의 폭이 커질 수 있다 . 따라서 판매가능한

재고자산과 판매 단계에 도달하지 않은 재

고자산 두 집단에 대해 별도의 시가 결정방

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

그러므로 판매가능한 재고자산의 경우 추정

판매가격에 근거한 순실현가능가액을 기준

으로 하고 , 판매 목적이 아닌 원재료에 대해

서는 현행대체원가에 의한 시가 결정이 바

람직할 것이다 . 또한 , 저가법의 적용 여부도

단순히 현행대체원가가 원가를 하회하는 경

우가 아니라 당해 재고자산이 투입되어 생

조세속보 2 9

Page 30: 2002 .10.24 木(2002 -제82호) C/ O/ N/ T/ E/ N/ T/ S · 양희석, 박인성, 유장곤 김오곤,

▣ 참고자료

산될 완제품의 순실현가능가액이 원가를 하

회하는 경우로 한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판단하였다 . (문단24 )

A 14 . 현행 기업회계기준은 재고자산에 대한

저가법을 종목별로 적용할 것인지 , 유사한

재고자산끼리 묶어서 적용할 것인지 (조별기

준) 또는 전체 재고자산에 대하여 총액기준

으로 적용할 것인지에 대한 언급이 없다 . 종

목별기준은 재고자산을 가장 보수적으로 평

가하는 방법이고 , 총액기준은 평가손실을 가

장 적게 보고하는 방법이다 . 저가법의 적용

방법은 종목기준이 이론적으로나 저가법 적

용의 취지로 보나 가장 타당해 보이지만 재

고자산의 동질성 여부와 성격 및 기록비용

을 고려하여 각 기업이 합리적인 판단에 의

해 조별 기준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도 실무적인 편의상 타당하다고 판단하였

다 . 동질성이 낮은 재고자산의 여러 집단이

존재하는 경우 이를 총액기준으로 평가하는

것은 저가기준의 근본취지와 배치된다고 판

단하여 배제하였다 . 아울러 일단 특정한 적

용방법을 선택하면 계속적으로 적용하고 정

당한 사유 없이 그 적용방법을 변경하는 것

을 금지하도록 하여 정보의 비교가능성을

제고하도록 하였다 . (문단25 )

A 15 . 현행 기업회계기준은 재고자산에 대하

여 저가법을 적용하여 평가손실을 당해연도

의 영업외비용으로 계상한 이후 연도에 시

가가 회복하였을 때 그에 따른 평가손실의

환입을 허용할 것인가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지 않다 . 그러나 다른 자산의 경우 영구적

인 하락에 대해 감액손실을 기록하고 이후

에 시가가 회복하면 감액손실의 환입을 허

용하고 있다 . (문단28)

A16 . 재고자산의 경우 회전율이 높기 때문에

평가손실의 환입을 추적하는 것이 쉽지 않

은 경우가 많을 것이다 . 이에 본 기준서에서

는 관련 기록비용이 그 효익을 초과하지 않

는 범위내에서 평가손실을 환입하도록 하였

다 . 특히 자산평가의 일반기준에서 정하고

있는 시가의 중대한 하락에 따른 감액손실

인식과 감액손실의 환입을 허용하는 규정과

의 일관성을 갖기 위해서는 재고자산평가손

실 환입을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

단하였다 . 미국의 재무회계기준에서는 이에

관하여 구체적인 규정이 없으나 국제회계기

준에서는 재고자산평가손실의 환입을 최초

의 장부가액까지 허용하고 있는 점을 감안

하여 환입금액은 최초의 장부가액을 초과하

지 않는 범위내로 제한하여 저가법의 근본

취지에 부합하도록 하였다 . (문단28 )

A17 . 현행 기업회계기준에서 허용하고 있는

후입선출법은 손익계산서의 매출원가가 비

교적 현행가격을 반영하여 수익과 적절하게

대응된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 대차대조표에

표시되는 재고자산이 오래 전에 취득한 단

가를 반영함으로서 불건전한 구매관습이나

후입선출청산을 유발시킬 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 따라서 후입선출법은 선입선출

법 등 다른 방법에 비하여 재무제표상에 기

업가치와 영업성과를 왜곡시킬 가능성이 더

큰 방법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 현행 기준도

후입선출법을 사용한 경우에는 대차대조표

에 표시되는 재고가액과 순실현가능가액의

차이를 주석에 추가로 공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 국제회계기준 (IAS ) 제2호에서는 후입

조세속보3 0

Page 31: 2002 .10.24 木(2002 -제82호) C/ O/ N/ T/ E/ N/ T/ S · 양희석, 박인성, 유장곤 김오곤,

참고자료 ▣

선출법을 선택하는 경우 대차대조표가액과

다음 금액의 차이에 대해 추가적인 공시를

요구하고 있다 .

㈎ 다른 방법을 사용한 경우의 원가와 순실

현가능가액 중 낮은 금액 , 혹은

㈏ 현행대체원가와 순실현가능가액 중 낮은

금액 뿐만 아니라 , 미국의 경우 세법에서

세무목적으로 후입선출법을 사용하는 기업

은 재무보고 목적으로도 후입선출법을 택

하도록 강제하고 있다 .(문단32)

A 18 . 본 기준서에서는 후입선출법의 적용시

발생할 수 있는 이익조작의 문제점 등을 완

화하기 위해 후입선출법을 적용하는 재고자

산에 대해서는 대차대조표기말가액과 선입

선출법 또는 평균법에 저가법을 적용하여

계산한 재고자산평가액과의 차이를 공시할

것을 규정하였다 . 또한 기초재고의 전부 또

는 일부가 판매된 경우에도 판매된 기초재

고자산의 수량에 당 회계기간 중 평균취득

단가를 곱한 금액과 판매된 기초재고자산의

장부상 원가와의 차액을 추가로 공시하도록

하였다 . (문단32와 33)

2 . 실 무 지 침 과 적 용 사 례

다음의 실무지침과 적용사례는 이 기준서

를 적용함에 있어서 규정의 의미를 보다 분명

히 함으로써 이용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하였으나 이 기준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

A 19 . 재고자산에는 외부로부터 매입하여 재

판매를 위해 보유하는 상품 , 미착상품 , 적송

품 및 토지와 기타 자산을 포함한다 . 또한

재고자산은 판매목적으로 제조한 제품과 반

제품 및 생산 중에 있는 재공품을 포함하며 ,

생산과정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투입될

원재료와 부분품 , 소모품 , 소모공구기구 , 비

품 및 수선용 부분품 등의 저장품을 포함한다 .

A20 . 재고자산에 포함되는 공구 및 비품은

당기 생산과정에 소비 또는 투입될 품목에

한하며 , 1년 이상 보유할 품목이면 고정자

산으로 분류한다 .

A2 1 . 재고자산의 취득원가에는 취득에 직접

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며 , 정상적으로 발생되

는 부대비용을 포함한다 . 부대비용에는 수입

과 관련한 수입관세 및 제세금 (기업이 세무

당국으로부터 나중에 환급받을 수 있는 것

은 제외 ) 등이 포함된다 .

A22 . U sa n ce Bill 또는 D/ A Bill과 같이

연불조건으로 원자재를 수입하는 경우에 발

생하는 이자는 금융비용으로 처리한다 .

A23 . 재고자산을 생산하기 위해서 때로는 디

자인이나 생산공학 및 기타 이와 유사한 기

술용역 등의 무형적인 노동의 산물이 소요

되는 경우가 있다 . 그러한 무형의 산물에 투

입된 원가는 그와 관련된 유형의 산출물이

형태를 갖출 때까지 상당한 금액이 상당한

기간동안 재고자산으로 분류될 수 있다 . 연

구용역 및 이와 유사한 무형의 산물 또는

용역의 계약금액은 재고자산으로 계상된다 .

A24 . 특정 수량의 재고자산을 기말 대차대조

표가액에 포함할 것인지의 여부는 기업회계

기준서 제4호 수익인식 에서 규정하고 있는

재화의 판매나 용역의 제공으로 인한 수익

인식기준에 의해서 결정한다 . 이에 관한 구

체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

㈎ 미착상품

- 운송 중에 있어 아직 도착하지 않은 미

조세속보 3 1

Page 32: 2002 .10.24 木(2002 -제82호) C/ O/ N/ T/ E/ N/ T/ S · 양희석, 박인성, 유장곤 김오곤,

▣ 참고자료

착상품은 법률적인 소유권의 유무에 따라

서 재고자산 포함여부를 결정한다 . 법률

적인 소유권 유무는 매매계약상의 거래조

건에 따라서 다르다 . 선적지인도조건인

경우에는 상품이 선적된 시점에 소유권

이 매입자에게 이전되기 때문에 미착상품

은 매입자의 재고자산에 포함된다 . 그러

나 목적지인도조건인 경우에는 상품이 목

적지에 도착하여 매입자가 인수한 시점에

소유권이 매입자에게 이전되기 때문에 매

입자의 재고자산에 포함되지 않는다 .

㈏ 시송품

- 시송품은 매입자로 하여금 일정기간 사

용한 후에 매입 여부를 결정하라는 조건

으로 판매한 상품을 말한다 . 시송품은 비

록 상품에 대한 점유는 이전되었으나 매

입자가 매입의사표시를 하기 전까지는 판

매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야 하기 때문에

판매자의 재고자산에 포함한다 .

㈐ 적송품

- 적송품은 위탁자가 수탁자에게 판매를

위탁하기 위하여 보낸 상품을 말한다 . 적

송품은 수탁자가 제3자에게 판매를 할

때까지 비록 수탁자가 점유하고 있으나

단순히 보관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므로

소유권이 이전된 것이 아니다 . 따라서 적

송품은 수탁자가 제3자에게 판매하기 전

까지는 위탁자의 재고자산에 포함한다 .

㈑ 저당상품

- 금융기관 등으로부터 자금을 차입하고

그 담보로 제공된 저당상품은 저당권이

실행되기 전까지는 담보제공자가 소유권

을 가지고 있다 . 따라서 저당권이 실행

되어 소유권이 이전되기 전에는 단순히

저당만 잡힌 상태이므로 담보제공자의 재

고자산에 속한다 .

㈒ 반품률이 높은 재고자산

- 반품률이 높은 상품의 판매에 있어서는

반품률의 합리적 추정가능성 여부에 의하

여 재고자산 포함여부를 결정한다 . 반품

률을 과거의 경험 등에 의하여 합리적으

로 추정가능한 경우에는 상품 인도시에

반품률을 적절히 반영하여 판매된 것으로

보아 판매자의 재고자산에서 제외한다 .

그러나 반품률을 합리적으로 추정할 수

없을 경우에는 구매자가 상품의 인수를

수락하거나 반품기간이 종료된 시점까지

는 판매자의 재고자산에 포함한다 .

㈓ 할부판매상품

- 재고자산을 고객에게 인도하고 대금의

회수는 미래에 분할하여 회수하기로 한

경우 대금이 모두 회수되지 않았다고 하

더라도 상품의 판매시점에서 판매자의 재

고자산에서 제외한다 .

A25 . 재공품은 반제품을 포함한다 . 반제품은

현재 상태로 판매가능한 재공품 을 말한다 .

A26 . 재고자산평가에 저가법을 적용할 때 순

실현가능가액의 추정은 재고자산의 판매로

실현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에 관하여 추

정하는 시점에 이용가능하고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증거에 기초하여야 한다 .

A27 . 재고자산평가에 저가법을 적용할 때 개

별적으로 구분하여 평가손익을 인식하고 환

입을 고려하여야 하는 경우가 있다 . 예를 들

면 , 어떤 개별제품이 손상을 입은 경우에는

다른 정상제품과 구별하여 저가법을 적용하

여야 한다 .

A28 . 문단 A27과 같이 구분할 필요가 없는

조세속보3 2

Page 33: 2002 .10.24 木(2002 -제82호) C/ O/ N/ T/ E/ N/ T/ S · 양희석, 박인성, 유장곤 김오곤,

참고자료 ▣

경우에는 종목별 또는 조별로 평가한다 . 예

를 들면 , 정유회사의 경우 제품의 동질성에

따라 무연휘발유 , 등유 , 경유 등으로 구분하

여 평가할 수 있다 .

3 . 핵 심 규 정

다음의 핵심규정은 이 기준서의 내용 중

회계처리와 공시에 관한 핵심규정만을 발췌

요약함으로써 이용자들이 이 기준서를 적용하

는 데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시하였으나

이 기준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

따라서 이 핵심규정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

하여는 기준서의 본문 내용을 모두 살펴보아

야 한다 .

B 1 . (재고자산의 대차대조표가액 결정 ) 재고

자산은 취득원가를 대차대조표가액으로 한

다 . 다만 , 시가가 취득원가보다 낮은 경우에

는 시가를 대차대조표가액으로 한다 .(문단5)

B2 . (취득원가의 측정) 재고자산의 매입원가

는 매입가액에 매입운임 , 하역료 및 보험료

등 취득과정에서 정상적으로 발생한 부대비

용을 가산한 금액이다 . (문단7 )

B3 . (취득원가의 측정 ) 제품 , 반제품 및 재

공품 등 재고자산의 제조원가는 대차대조표

일까지 제조과정에서 발생한 직접재료비 , 직

접노무비 , 제조와 관련된 변동 및 고정 제조

간접비의 체계적인 배부액을 포함한다 .(문단8)

B4 . (취득원가의 측정) 고정제조간접비는 생

산설비의 정상조업도에 기초하여 제품에 배

부하며 , 실제 생산수준이 정상조업도와 유사

한 경우에는 실제조업도를 사용할 수 있다 .

(문단 9 )

B5 . (재고자산의 원가결정방법 ) 통상적으로

상호 교환될 수 없는 재고항목이나 특정 프

로젝트별로 생산되는 제품 또는 서비스의

원가는 개별법을 사용하여 결정한다 . 개별법

으로 원가를 결정할 수 없는 재고자산의 원

가는 선입선출법 , 평균법 또는 후입선출법을

사용하여 결정한다 . (문단 14와 15 )

B6 . (매출가격환원법에 의한 취득원가 결정 )

매출가격환원법은 실제원가가 아닌 추정에

의한 원가결정 방법이므로 원칙적으로 많은

종류의 상품을 취급하여 실제원가에 기초한

원가결정방법의 사용이 곤란한 유통업종에

서만 사용할 수 있다 . (문단2 1)

B7 . (저가법의 적용 ) 재고자산을 저가법으로

평가하는 경우 제품 , 상품 및 재공품의 시가

는 순실현가능가액을 말하며 , 생산과정에 투

입될 원재료의 시가는 현행대체원가를 말한

다 . (문단24 )

B8 . (저가법의 적용 ) 재고자산 평가를 위한

저가법은 종목별로 적용한다 . 그러나 재고항

목들이 서로 유사하거나 관련되어 있는 경

우에는 저가법을 조별로 적용할 수 있다 . 재

고자산의 평가에 있어서 저가법을 조별로

적용하는 경우에는 계속성을 유지하여야 한

다 . 저가법은 총액기준으로 적용할 수 없다 .

(문단25 )

B9 . (비용의 인식 ) 재고자산은 그것을 판매

하여 수익을 인식한 기간에 매출원가로 인

식한다 . 재고자산의 시가가 장부가액 이하로

하락하여 발생한 평가손실은 재고자산의 차

감계정으로 표시하고 매출원가에 가산한다 .

시가가 장부가액보다 상승한 경우에는 최초

의 장부가액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평가손실을 환입하고 매출원가에서 차감한

다 . (문단28과 29)

조세속보 3 3

Page 34: 2002 .10.24 木(2002 -제82호) C/ O/ N/ T/ E/ N/ T/ S · 양희석, 박인성, 유장곤 김오곤,

▣ 참고자료

B 10 . (비용의 인식 ) 재고자산의 장부상 수량

과 실제 수량과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감모

손실의 경우 정상적으로 발생한 감모손실은

매출원가에 가산하고 비정상적으로 발생한

감모손실은 영업외비용으로 분류한다 . (문단

29 )

B 11 . (분류 ) 재고자산은 총액으로 보고하거

나 상품 , 제품 , 재공품 , 원재료 및 소모품

등으로 분류하여 대차대조표에 표시한다 . (문

단30 )

B12 . (주석 공시 ) 재고자산의 원가결정방법 ,

재고자산을 총액으로 보고한 경우 그 내용

및 저가법 적용기준 및 평가 내용 등은 주

석에 포함하여 공시한다 . (문단31)

최 신예규·판례자료 집

매월 정기발행 . 각종 세무정보와 예

규·법령자료 등을 정리하였습니다 .

자료회원이 되시면 한국세정신문

에서 발행하는 단행본 및 세정문고

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

자료회원가입안내 : 한국세정신문· 업무국 (0 2 ) 3 3 8 - 3 3 4 4

조세속보3 4

본 사 발 간 자 료 안 내

Page 35: 2002 .10.24 木(2002 -제82호) C/ O/ N/ T/ E/ N/ T/ S · 양희석, 박인성, 유장곤 김오곤,

최신예규 ▣

조세속보 3 5

조세속보에 게재된 예규는 본사 자료회원들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발간되고 있는 월간지 Taxworld에 법별 및 일자별로 체계적으로 정

리 수록하고있습니다. 많은 참고 바랍니다.

알 림

참 조 條 文기술개 발사업 관 련 정부지 원금의 손익 귀속시 기

〈서이 46012-11889, 2002-10-16 국세청장〉

귀 질의의 경우 법인이 산업자원부와 중기거점기술개발

산업 협약에 의하여 개발사업비 (이하 '지원금'이라 함)를

지원받으면서 당해 기술개발사업이 실패하면 지원금의

반환의무가 없고 , 성공하면 지원금 중 일부를 반환하는

조건으로 지원금을 수령한 경우

그 지원금의 손익귀속시기는 반환의무 여부에 불구하고

당해 기술개발사업의 성공여부가 확정되는 날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익금으로 하는 것임

【 회 신 】

기술개발을 위하여 산업자원부와 중기거점기술개발산업 협

약을 맺고 정부지원금을 수령하였는데 , 동 협약서에 "기술개

발이 사업화 성공시 보조금에 20%에 해당하는 금액을 산업

자원부에 상환하여야 한다 ."라는 내용에 의하여 사업화 성공

【 질 의 】

▶ 법 인 세 법 제 4 0조 【 손 익 의귀 속 사 업 년 도 】

① 내국법인의 각 사업년도의

익금과 손금의 귀속사업년도는 그 익금과 손금이 확정된

날이 속하는 사업년도로 한다.②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익금과 손금의 귀속사업년도의 범

위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

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 - - - - - - - - - - - - - - - - - - - - -

Page 36: 2002 .10.24 木(2002 -제82호) C/ O/ N/ T/ E/ N/ T/ S · 양희석, 박인성, 유장곤 김오곤,

▣ 최신예규

조세속보3 6

시에는 20%를 상환하고 , 실패하는 경우에는 상환의무가 없

으며 기술개발이 성공하면 당 법인이 특허권을 소유하게 되

는 경우에 정부지원금의 손익귀속시기는

【보충설명】

□ 손익의 귀속사업연도(법§40 )

법인의 각 사업연도의 익금과 손금의 귀속시기는 그 익금과

손금이 확정된 날이 속하는 사업연도로 함

- 여기서 "익금과 손금이 확정된 날"이라 함은

·익금의 경우는 수입할 권리 , 손금의 경우는 지급할 의무가

확정된 날을 의미함 즉 권리의무 확정주의

□ 특약이 있는 정부지원금의 손익귀속

법인이 협약에 의하여 정부지원금을 수령하는 경우

- 추후 사업의 성공하면 보조금의 20%는 반환하기로 한 경우

는 그 사업의 성공여부가 확정되는 날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익금으로 함 . 반환의무가 없는 것도 당초 수령일이 아닌 성공

여부확정일 기준임

주택사 업공제 조합 출자지 분의 손금처 리에 대 한 질 의 회

〈서이 46012-11895, 2002-10-16 국세청장〉

귀 질의의 경우 법인이 출자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주택

사업공제조합이 대한주택보증주식회사로 조직변경됨에

따라 출자지분을 주식으로 배정받은 경우 당초 출자금액

을 주식의 취득가액으로 계상하는 것이므로 출자금액과

주식배정금액과의 차액은 각 사업연도 소득금액 계산시

익금 또는 손금에 산입하지 아니하는 것임

【 회 신 】

1999년 주택사업공제조합이 대한주택보증 (주)로 전환함에

따라 건설회사가 주택사업공제조합에 대하여 출자한 출자금

【 질 의 】

참 조 條 文

▶ 법 인 세 법 제 4 2조 【 자 산 ·

부 채 의 평 가 】① 내국법인이 보유하는 자산

및 부채의 장부가액을 증액

또는 감액(감가상각을 제외하며, 이하 이 조에서 "평가"라한다)한 경우에는 그 평가일

이 속하는 사업년도 및 그 후의 각 사업년도의 소득금액계

산에 있어서 당해 자산 및 부

채의 장부가액은 그 평가하기전의 가액으로 한다. 다만, 다

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경우

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1. 삭제 <2001.12.3 1>2 . 보험업법 기타 법률에 의

한 고정자산의 평가(증액에한한다)3 . 재고자산등 대통령령이 정

하는 자산 및 부채의 평가② 제1항제3호의 규정에 의한

자산 및 부채는 당해 자산 및

부채별로 대통령령이 정하는방법에 의하여 이를 평가하여

야 한다.③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자산은 제1항 및 제2항의 규

정에 불구하고 대통령령이 정

하는 방법에 의하여 그 장부가액을 감액할 수 있다. <개정 200 1.12 .3 1>1. 재고자산으로서 파손·부패등의 사유로 인하여 정상가

격으로 판매할 수 없는 것

2 . 고정자산으로서 천재·지변·화재등 대통령령이 정하

는 사유로 인하여 파손 또는

멸실된 것3 . 대통령령이 정하는 주식등

으로서 그 발행법인이 부도가

발생한 경우의 당해 주식등4 . 주식등을 발행한 법인이

파산한 경우의 당해 주식등

④ 제2항 및 제3항의 규정에의하여 자산 및 부채를 평가

한 내국법인은 대통령령이 정

하는 바에 따라 당해 자산 및부채의 평가에 관한 명세서를

납세지 관할세무서장에게 제

출하여야 한다.

Page 37: 2002 .10.24 木(2002 -제82호) C/ O/ N/ T/ E/ N/ T/ S · 양희석, 박인성, 유장곤 김오곤,

최신예규 ▣

조세속보 3 7

중 순자산가액으로 평가하여 배정받은 주식의 가액과의 차액

을 손금에 산입하지 않았으나 국세심판소의 판례 (국심 2002

서1019 , 2002.5.31)에서 동 차액은 투자자산처분손실에 해

당되어 소득금액계산시 손금에 산입할 수 있다고 판결하였음

(질의사항)

1. 상기 판례에 의하여 1999사업연도에 기 손금불산입한 투자

유가증권감액손실을 손금산입하여 경정청구할 경우 2000사업

연도 법인세 신고시 결손금소급공제로 환급받은 세액을 납부

하게 되는 때에 가산세가 적용되는지 여부

2. 2002사업연도에 투자자산처분손실잔액을 추가로 손익계산

서에 계상하는 경우 손금산입이 가능한지 여부

3. 기존 국세청예규 (법인460 12- 3797, 1999 .10 .23)에 따라

상기 투자자산처분손실을 유가증권평가손실로 손금불산입한

법인의 손금귀속시기는

4. 2000년 결산시 주택공제조합 출자금전액을 투자유가증권

감액손실로 처리하고 세무조정시 이를 익금가산한 경우 주식

으로 배정받은 금액과의 차액을 경정청구할 수 있는지 여부

및 투자손실의 귀속연도는

참 조 條 文

⑤ 제2항 및 제3항의 규정에

의하여 자산 및 부채를 평가

함에 따라 발생하는 평가차익및 평가차손의 처리 등에 관

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

으로 정한다.- - - - - - - - - - - - - - - - - - - - - - -▶ 법 인 세 법 제 19조 【 손 금 의

범 위 】① 손금은 자본 또는 출자의

환급, 잉여금의 처분 및 이

법에서 규정하는 것을 제외하고 당해 법인의 순자산을 감

소시키는 거래로 인하여 발생

하는 손비의 금액으로 한다.②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손비

는 이 법 및 다른 법률에 달

리 정하고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그 법인의 사업과 관련

하여 발생하거나 지출된 손실

또는 비용으로서 일반적으로용인되는 통상적인 것이거나

수익과 직접 관련된 것으로

한다.③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한 손비의 범위 및 구분 등

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Page 38: 2002 .10.24 木(2002 -제82호) C/ O/ N/ T/ E/ N/ T/ S · 양희석, 박인성, 유장곤 김오곤,

▣ 최신예규

조세속보3 8

세무인명록 PDF 파일판매 실시

2 0 0 2 년 1 0 월 2 2 일 현 재

인 사 반 영 분 판 매 실 시

컴퓨터 정보시대를 맞이하여 전자세정에 앞서나가고자 회원여러

분들 요청으로 세무인명록 P DF서비스 (유료 ) 를 시행하고 있습

니다 . 원하시는 정보를 선택 , 결제하시면 등록하신 이메일로

해당 자료를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

전체내용을 선택하시면 도서정가의 45% 할인된 10 ,000

원에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

구입가격 : 廳 단위별 2,000원 / 전체 10,000원

※ 샘플과 주문은 인터넷홈페이지 (w w w .t a x t i m e s . c o .k r )을통해서 이용하실수 있습니다 .

문의 ) 편집국 출판팀 0 2- 3 38- 1134

E - m a il : i n fo @t a x t i m e s .c o .k r

Adobe PDF는 모든 문서의 모든 글꼴, 포맷 설정, 색상 및 그래픽

을 보존해 주는 일반적인 파일 형식입니다 . PDF파일은 모든 프린

터기에서 출력이 가능합니다 .

Page 39: 2002 .10.24 木(2002 -제82호) C/ O/ N/ T/ E/ N/ T/ S · 양희석, 박인성, 유장곤 김오곤,

◁▶ 금주의 개정법령 ◁▶

- 법 제 처 제 공 -

〈참고 表 1〉 ◐生 産 者 物 價 上 昇 率 (전월대비 )◑

〈참고 表2〉 ◐生 産 者 物 價 總 指 數 ◑

기준연도 19 9 5 = 1 0 0

◆ 참 전 군 인 등 지 원 에 관 한 법

률 시 행 규 칙 개 정 령 총 리

령 제 7 4 2 호 2 0 0 2 . 1 0 .1 6 . 공 포

참전군인등지원에관한법률이 개정 (2002 . 1.26 , 법률 제

6649호)되어 종전의 참전군인등의 명칭이 참전유공자로

변경되고 , 참전군인등에 대한 생계보조비 지급제도가 참전

유공자에 대한 참전명예수당 지급제도로 전환됨에 따라 관

련규정을 정비하고 , 그 밖에 현행 규정의 운영상 나타난

미비점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年 度 1月 2 月 3 月 4 月 5 月 6 月 7 月 8 月 9 月 1 0 月 1 1月 1 2 月 평 균

2 0 0 2 0.6 0.6 0.6 1.0 0.7 - 0.3 0.2 0.3 0.4

年 度 1月 2月 3月 4 月 5月 6月 7月 8月 9月 1 0月 1 1月 1 2月 평 균

19 9 4 94 .5 94 .7 94 .6 94 .7 94 .6 94 .9 9 5 .3 9 6 .3 9 6 .2 9 6 .6 9 6 .6 9 7 .2 9 5 .5

19 9 5 9 8 .2 9 8 .5 9 9 .2 9 9 .9 10 0 .2 10 0 .3 10 0 .4 10 0 .5 10 1. 1 10 0 .7 10 0 .4 10 0 .7 10 0 .0

19 9 6 10 2 .0 10 2 .4 10 2 . 1 10 2 .6 10 2 .7 10 3 .0 10 3 .7 10 3 .8 104 .0 104 . 1 104 . 1 104 .4 10 3 .2

19 9 7 10 5 .6 10 6 . 1 10 6 .0 10 6 .3 10 6 .4 10 6 .5 10 6 .5 10 6 .7 10 7 . 1 10 6 .9 10 7 .4 1 14 .4 10 7 .2

19 9 8 1 19 .3 12 2 .3 12 2 .0 12 2 . 1 12 0 .8 12 0 .7 12 0 . 1 1 19 .3 1 19 .3 1 19 .4 1 19 .2 1 18 .5 12 0 .3

19 9 9 1 17 .2 1 17 .0 1 16 .8 1 17 . 1 1 17 .6 1 16 .8 1 16 .6 1 17 .4 1 18 .0 1 19 .2 1 19 .9 1 19 .6 1 17 .8

2 0 0 0 1 19 .5 1 19 .5 1 19 .6 1 19 .3 1 19 .0 1 19 .8 12 0 .0 12 0 .3 12 1.0 12 1.3 12 1.4 12 1.6 120.2

2 0 0 1 122 .2 122 .4 122 .9 123 .2 123 .1 123 .1 123.2 122 .7 122 .5 122 .0 12 1.5 120 .8 122 .5

2 0 0 2 12 1.5 122 .2 122 .9 124 .1 125 .0 124 .6 124 .3 124 .7 125 .2

조세속보 3 9

Page 40: 2002 .10.24 木(2002 -제82호) C/ O/ N/ T/ E/ N/ T/ S · 양희석, 박인성, 유장곤 김오곤,

■외 국 환 은 행 대 고 객 외 환 매 매 율 〈 달러 , 1 0 0 엔당원〉

날 짜

구 분

1 0 / 1 7 (木 ) 1 0 / 1 8 (金 )U S ¥ U S ¥

현 찰 사 실 때 1 2 8 0 .0 1 10 2 7 . 25 12 6 7 .8 0 1 0 1 2 .0 9

현 찰 파 실 때 1 2 3 5 .9 9 9 9 1 .9 3 12 2 4 . 2 0 9 7 7 .2 9

송 금 보 내 실 때 1 2 7 0 .3 0 10 19 .4 8 12 5 8 . 2 0 1 0 0 4 .4 3

송 금 받 으 실 때 1 2 4 5 .7 0 9 9 9 . 7 0 12 3 3 .8 0 9 8 4 .9 5

수 표 파 실 때 1 2 28 .5 0 9 8 8 . 2 0 12 3 0 . 7 0 9 8 2 .9 2

(외 환 은 행 제 공 )

■매 매 기 준 율 (기 준 ·재 정 환 율 ) 〈당 , (원 ) , 당일최종고시〉

통 화 명 통 화 10 / 17 (木 ) 10 / 1 8 (金 )

미 국 달 러 125 8 . 0 0 1 24 6 .0 0

일 본 10 0 엔 10 0 9 .5 9 9 9 4 .6 9

독 일 마 르 크 - -

캐 나 다 달 러 7 9 4 . 24 7 9 3 .2 5

영 국 파 운 드 19 5 3 .3 6 19 3 0 .3 0

프 랑 스 프 랑 - -

이 탈 리 아 10 0 리 라 - -

스 위 스 프 랑 8 4 1 . 1 1 8 23 .5 3

홍 콩 달 러 16 1 . 29 15 9 .7 5

스 웨 덴 크 로 네 13 5 .8 8 13 2 .5 3

호 주 달 러 6 9 0 .3 3 6 8 5 .8 6

덴 마 크 크 로 네 16 6 . 19 16 2 .8 1

벨 기 에 프 랑 - -

오 스 트 리 아 실 링 - -

노 르 웨 이 크 로 네 16 7 .7 5 16 2 .8 5

네 덜 란 드 길 더 - -

사 우 디 리 얄 3 3 5 .4 4 3 3 2 .2 4

쿠 웨 이 트 디 나 르 4 16 2 . 12 4 1 19 .0 1

바 레 인 디 나 르 3 3 3 6 .4 3 3 3 04 .6 0

아 랍 에 미 리 트 연 합 국 디 르 함 3 4 2 .5 0 3 3 9 .2 3

싱 가 포 르 달 러 7 0 2 .6 0 6 9 7 .3 4

말 레 이 시 아 링 기 트 3 3 1 . 05 3 27 .8 9

뉴 질 랜 드 달 러 6 0 3 .5 9 6 0 0 .4 5

스 페 인 10 0 페 세 타 - -

핀 란 드 마 르 카 - -

중 국 위 안 15 1 .9 9 15 0 .5 4

태 국 바 트 2 8 .7 3 28 .5 5

인 도 네 시 아 10 0 루 피 아 13 .6 9 13 .5 4

유 로 유 로 화 123 3 .5 3 1 2 09 .4 3

조세속보4 0

外換賣買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