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구리지역자활센터 팸플릿

20
자 활 경기구리지역자활센터

Upload: jongwon-kim

Post on 07-Apr-2016

221 views

Category:

Documents


5 download

DESCRIPTION

구리지역자활센터의 가치인 ‘노동’, ‘협동’, ‘나눔’을 이용자, 직원, 주민으로 표현했습니다. 사람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일’, ‘×’, ‘÷’ 수식으로 표현해 각 가치가 어떤 관계인지를 보여줬습니다.

TRANSCRIPT

Page 1: 2014 구리지역자활센터 팸플릿

자 활

경기구리지역자활센터

자 활

경기구리지역자활센터

Page 2: 2014 구리지역자활센터 팸플릿

자 활!

Page 3: 2014 구리지역자활센터 팸플릿

노동 협동 나눔

박동서 공장장

조각나무 사업단

허성우 팀장

경기구리지역자활센터

이정희 사무총장

구리YMCA

- 3 -

Page 4: 2014 구리지역자활센터 팸플릿

자활!노동이다

Page 5: 2014 구리지역자활센터 팸플릿

내 인생

이모작의

든든한 후원자

지역자활센터!

- 박동서 공장장 -

10년 전 어느 겨울날

새벽에 일을 나가다가 불의의 교통사고를 당했고 그 후로 삶이 일그러지기 시작하였습니다.

죽고 싶은 마음에 3년 동안 술 먹고 미친 듯이 살았습니다. 아이들은 그전처럼 따뜻한 말동

무가 되어주기를 바랬고, 아내는 여전히 삶의 동력자이기를 원했습니다. 하지만 저에게서

그런 모습은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었습니다. 막내가 4살이었을 어느 날, 새벽 재활운동

을 하다가 눈물을 왈칵 쏟았고, ‘내가 다른 사람을 너무 힘들게 하고 있구나!’라고 깨닳았

습니다. 그 순간 모든 것을 내려 놓아야겠다고 결심했습니다.

그렇게 결심을 하고 나서 만나게 된 '경기구리지역자활센터'

몸이 불편해지니 사람들이 저를 달리 봤습니다. 남들과 똑같이 일 해도 능력을 전부 인정해

주지 않으니 사회에 적응하기가 어려웠습니다. 하지만, 경기지역구리자활센터에서는 저를

모두 인정해 주었습니다. 내가 노동의 주인이라고 생각하면 당당해집니다. 자활은 그런 곳

입니다. 차별이 없는, 스스로 주인이 될 수 있는 곳이 바로 자활센터입니다.

자활에서 인생을 이모작할 수 있다는 희망으로 살고 있습니다.

자활에서 인생을 이모작할 수 있다는 도전과 희망을 품고 살고 있습니다. 자활은 내가 주인

인 사업체입니다. 누구에게 고용되지 않은 일터, 그곳에서는 도전하며 새롭게 도전할 수 있

다고 생각했습니다. 내가 하고 싶은 대로, 일한 만큼의 인정을 해주는 곳! 노동의 의미를 다

시 생각하는 곳! 인생을 이모작할 수 있다는 희망을 품을 수 있는 곳! 그곳이 바로 자활센터

입니다.

자활센터에 온 후, 다시 일하게 되었다는 것을 가족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몸이

불편하지만 열심히 일을 하려고 하는 모습에 기뻐합니다. 다시 예전처럼 아이들과 아내에게

좋은 친구가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 5 -

내 인생의 텃밭입니다.

인생 이모작 도약의 발판입니다.

나에게 힘이 될 수 있는 곳입니다.

노동경기구리지역자활센터의

노동

Page 6: 2014 구리지역자활센터 팸플릿

1,000센터를 함께 만든 사람 수

든든한 자활

건강한 노동

을 하다

당신이 배를 만들고 싶다면, 사람들을 모아 목재를 가져오게 하고 일을 지시하고 일감을

나눠주는 일들을 하지 말라. 대신 그들에게 저 넓고 끝없는 바다를 절절히 그리워하라.

- 생텍쥐베리 -

경기구리지역자활센터를 2000년에 설립한

후, 무려 1,000명이 경기구리지역자활센터

와 지금까지 함께 했습니다. 1,000명의 꿈과

희망을 모아 일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고 더

불어 일하는 즐거움을 통해 ‘자립과 자활의

꿈'을 만들어 삶의 기운을 찾아가고 있습니

다.

경기구리지역자활센터는 주민 스스로 자신의

삶을 설계하고 행동하는 책임성, 그리고 자

율적인 삶을 추구하며 나아가 자율성을 바탕

으로 한 건강한 노동을 실현해 갑니다.

- 6 -

Page 7: 2014 구리지역자활센터 팸플릿

노동을 통해

나의 꿈을

키우는 일

맛깔스러운 엄마의 손맛이 느껴집니다.

엄마가 자녀에게 따뜻한 밥상을 차려주는 마음으로

열심히 일하는 사람들에게 음식을 배달합니다. 새벽

부터 깨끗한 먹거리 재료로 도시락을 쌉니다. 사무

실, 공장 노동자 점심도시락 배달, 아동급식지원 등

으로 따뜻한 엄마의 손맛을 전달합니다.

버려진 것에서 새로운 가치가 창출됩니다.

버려진 원목가구는 재활용가구소품으로, 버려진 생

활 소품은 구리, 알루니늄, 철, 플라스틱 등 원료로

재활용합니다. 장인의 손길로 리사이클, 업사이클

합니다. 재활용 물품을 만들어 판매합니다.

도시인의 마음에 농심(農心)을 심어드립니다.

우리 주변 삶터에 생각보다 많은 텃밭이 있습니다.

텃밭을 가꾸어 보신 적 있나요? 스스로 먹거리를 가

꾸어 이웃과 나누어 먹는 즐거움을 느껴보셨나요?

도시농업을 통해서 농사의 즐거움을 함께 느끼며 일

자리를 함께 만들어 갑니다.

사람들의 희망을 배달해 드립니다.

지역주민이 필요한 생활물품을 가가호호 배달해 드

립니다. 생필품에서부터 지인에게 줄 선물, 가족에

게 줄 물품을 들고, 오늘도 골몰골목을 달립니다.

주민의 희망을 들고 집집마다 초인종을 누릅니다.

작은 것들이 모여 큰 것을 만듭니다.

값비싼 자동차도 부품 하나가 불량이 나면 어김없이

멈추어 버립니다. 부품 하나하나에 정성과 신뢰를

담아내는 장인의 손길. 서로 배려하고 협력하는 모

습으로 사회서비스의 기본을 지킵니다.

- 7 -

Page 8: 2014 구리지역자활센터 팸플릿

자활!협동이다

Page 9: 2014 구리지역자활센터 팸플릿

협동!

자활의

실마리를

풀다

- 허성우 팀장 -

지역자활센터는 생산공동체운동을 기반으로 시작됐습니다. 생산공동체운동의 역사의 본질

은 바로 '협동'입니다.

자활에는 사람이 있습니다.

자활은 저마다 다양한 경험을 가지고 살아온 사람들이 있는 곳입니다. 개성이 넘쳐나는 사

람들이 힘을 모아 하나로 만들어가는 것이 바로 '협동'입니다. 협동하는 사람들이 모여 있는

곳! 그곳이 바로 자활입니다.

자활에는 생활이 배여 있습니다.

자활센터에서의 자활근로는 전통적으로 ‘노동’이라는 의미가 크지만, 지금은 ‘생활’로서의

의미가 더 크지 않을까요? 돈을 벌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기 위한

‘생활’의 한 영역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생활의 의미로 확장된 자활근로. 그렇기에 단지

구호로만 외치는 '협동'이 아니라, 구체적인 생활 속에서 어떻게 만들어 가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합니다. 우리의 일터이자 삶터이며, 협동의 일치를 이루어 가는 곳이 '자활센터입'니다.

자활은 생활공동체를 지향합니다.

서로 다른 인생을 살아온 각양각색의 사람들이 모여 있는 자활!

다른 삶의 배경, 꿈꾸는 것이 달라도 한 몸에서 출발했다는 공감 속에서 만들어 가는 협동.

생각과 마음이 맞지 않아 때로는 관계가 멀어져도, 이어주는 무언가가 있음을 공감하는 협동.

이런 협동을 꿈꿉니다.

생활공동체로서의 자활센터! 그곳에 진정한 협동의 모습이 있습니다.

- 9 -

일터이며 삶터입니다.

사람다움, 노동다움, 사회다움을 일구는 일입니다.

협동사회를 만듭니다.

협동경기구리지역자활센터의

×노동 협동 노동

Page 10: 2014 구리지역자활센터 팸플릿

함께

일하면

행복이

커진다경기구리지역자활센터는 협동의 필요성을 느

끼는 지역주민과 협력합니다. 지역주민이 스

스로의 필요에 의해서 만든 조직과 협력합니

다. 혼자서는 엄두가 나질 않지만 여럿이라

면 가능합니다. 협동조합, 사회적기업, 마을

기업, 시민단체, 공공기관이 100가지의 일을

100개의 단체와 함께 우리가 원하는 일을 만

듭니다.

경기구리지역자활센터는 협동을 통해 사회적

약자가 자신의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이익

과 권리를 호혜적이고 생태적인 방식으로 지

역사회에 새로운 질서와 대안을 만들고자 합

니다.

사회적 경제 조직 간 연대를 통해 서로의 필

요로 네트워크를 만들어갑니다.

100협동하는 단체 수

- 10 -

공동으로 소유하고 민주적으로 운영되는 사업체를 통하여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필요와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결성한 자율적인 조직이 협동조합이다.

- 국제협동조합연맹(ICA) -

Page 11: 2014 구리지역자활센터 팸플릿

협동을 통해

우리의 꿈을

키우는 일

경쟁이 아닌 협동으로, 서로의 손을 맞잡는

경제조직을 만들어 갑니다.

경쟁과 효율이 아닌 협동과 나눔으로 함께 만들어가는

일터를 협동조합, 사회적기업, 마을기업을 통해 만듭

니다. 너와 나, 그리고 우리 모두가 주인이 되는 따뜻

한 일터를 만듭니다.

어려움을 스스로 극복하도록 거드는

활동을 전개합니다.

긴급한 도움이 필요할 때 지역 내 저소득 주민이 십시

일반 힘을 모아 자조조직인 공제협동조합을 만들어 운

영합니다. 협동으로 힘을 모아 공동체을 이루고 스스

로 자치하는 의지를 키워나갑니다.

사회적 약자에게 희망을 주는

협력을 합니다.

지역 내 저소득층, 장애인, 이주민, 아동, 청소년에게

삶의 희망을 줄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역복지

기관과 협력을 통해서 기획·실천합니다.

- 11 -

Page 12: 2014 구리지역자활센터 팸플릿

자활!나눔이다

Page 13: 2014 구리지역자활센터 팸플릿

나눔의

가치를

생각한다

- 이정희 사무총장 -

× ÷노동 협력 노동 나눔 주민

- 13 -

서로의 것을 공유하는 것입니다.

평화적인 관계이며,

서로를 살리는 생활입니다.

나눔경기구리지역자활센터의

우리의 모든 생활은 생명이고 평화입니다.

물질이 만능이라는 인식과 이기적인 욕심이 가득한 현대사회이지만 ‘사람’은 나눔의 공동체

를 그리워 합니다. 나눔의 관계는 즐겁고, 평온하고, 따뜻하며, 사람들의 정을 느낍니다.

나눔의 공동체에서는 생명을 소중히 여기고, 평화적으로 관계를 맺으며, 서로를 소중히 생

각합니다.

‘나눔’은 ‘공동체’라는 토양에 ‘협동’이라는 자양분으로 자라는 생명입니다.

종교에서 ‘나눔’은 예수의 사랑, 부처의 자비를 세상에 실현하는 맨 첫 번째 덕목입니다. 서

로를 섬기고, 가진 것을 나누고, 배려하는 삶이 인간에 대한 하늘의 뜻을 이루는 길입니다.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운 공존을 씨줄로, 서로를 존중하며 살아가는 인간다운 삶을 날줄로

엮어야 합니다. 물질에 지배되지 않고 서로를 소외시키지 않는 세상을 촘촘하게 만들어 가는

것이 바로 생명과 평화를 실천하는 방법입니다.

자활은 나눔의 공동체를 만들어가는 시작입니다.

자활은 따뜻한 이웃 사람들의 나눔의 공동체이기에 즐겁고 평온합니다. 서로가 함께할 수

있는 일을 통해 생활을 공유하고, 희노애락을 함께하는 공동체를 만듭니다. 힘을 모아 일을

하고, 벌어들인 수익을 공동으로 분배하는 나눔의 공동체를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자활은

나눔의 공동체를 통해 더 많은 이웃이 참여하는 지역공동체를 만듭니다.

물질, 뜻, 그리고 희노애락을 함께 나눕니다.

일에서뿐 아니라 삶에서까지 협동하며 나누는 사람을 만나고 싶나요?

협동하며 나누는 사람들의 만남! 바로 이곳에 '자활센터'에 있습니다.

Page 14: 2014 구리지역자활센터 팸플릿

아낌 없이

주는 자활

경기구리지역자활센터가 생각하는 나눔은 내

게 필요없는 것을 남에게 일방적으로 주는 도

움의 관계가 아닙니다. 우리가 가진 것을 함

께 나누어 가지는 공동체적 관계입니다. 지

역사회에서 함께 일하며 마음과 뜻을 나누고

살아가는 삶의 만족도, 나눔을 통해서 너와

내가 우리가 되는 나눔 공동체의 즐거움은 '

무한대'입니다.

경기구리지역자활센터는 나눔과 협동의 가치

로 일과 삶을 함께 일구어 가며, 나아가 사회

적 나눔과 협동으로 이어지는 상생의 공동체

를 지향합니다.

- 14 -

∞나눔을 통해 느끼는 만족도

주위 아무 데도 디딜 곳 하나 없어 보일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때는 옆과 곁을 살피세요. 사

람과 마주하게 될 것입니다. 이 사람에게 다가가 자신을 보이세요. 그리고 알리세요. 상대

를 알게 되는 것, 알아주는 것은 곧 지지하는 것입니다. 옆 사람의 지지가 모여서 당신 주위

의 땅을 든든하게 다져줄 것입니다. - 건축가 강예린 -

Page 15: 2014 구리지역자활센터 팸플릿

나눔을 통해

우리의 즐거움을

찾는 일

우리가 함께 나누는

지역공동체를 만듭니다.

우리에게 마주하고 있는 시련을

혼자 극복하기에는 너무 힘듭니

다. 백지장도 맞들면 낫듯이 세

상살이의 어려움을 함께 헤쳐갑니

다. 서로에게 힘이 되어주는 지역

공동체를 만들기 위한 활동을 전

개합니다. 협동조합,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자활기업, 시민단체,

지역커뮤니티 등 이윤추구를 목적

으로 하는 기업이 아닌 우리 모두

의 이익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들

이 모여서 협동사회네트워크를 만

듭니다.

- 15 -

나눔의 가치가 생활인

환경을 조성합니다.

나눔은 너와 나, 그리고 우리가

가진 것을 공유하는 것을 의미합

니다. 내가 가지고 있는 것을 이

웃과 나눔으로써 공동체를 만듭

니다. 나눔의 공동체를 만들기 위

해서는 나눔이 생활이 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일이 매우 중요합

니다. 나눔의 공동체를 실현하고

있는 다른 지역의 사례를 살펴보

고, 지역주민들과 함께하는 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합니다.

협동과 나눔의 공동체를

지원하는 조직을 만듭니다.

우리가 협동과 나눔을 통해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너와 나의 힘

을 모을 수 있는 조직이 필요합니

다. 우리는 이 조직을 “협동사회경

제지원센터”라 부르고 이 조직을

통해 나눔의 가치를 실현될 수 있

도록 지원합니다.

Page 16: 2014 구리지역자활센터 팸플릿

자활프로그램 제공

자활근로 (근로기회)참여

취업 알선 등 취업 지원

개인 창업 지원

직업훈련 지원

05 자활사례관리·GateWay 업무흐름도

신규

참여자

의뢰·배치

초기상담

진단·평가

기초교육

IAP·ISP

수립,

교육훈련

자활

성공

타 자활프로그램 참여 의뢰,

지역사회복지서비스 연계

상담 및 IAS·ISP재수립 후

자활프로그램 제공

자활실패(실패 원인

분석 등 평가)

사후

관리

GateWay(2+1개월)

자 활 사 례 관 리

03 참여대상

01 경기구리지역자활센터는?

2000년 8월 개관한 경기구리지역자활센터

는 한국YMCA 목적문에 입각한 민중의 복

지향상에 기여하고자 설립했으며, 지역주

민의 복지욕구 및 저소득층에게 전문적 자

활 및 자립 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사

회 자활지원센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설립했습니다.

표어 일하는 기쁨, 함께하는 공동체

법인 구리YMCA

04 참여절차

02 자활사업이란?

자활사업은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해 생

활이 어려운 사람들의 사회 경제적인 자활

자립을 지원하는 사업으로서, 일자리 창출

과 소득증대, 지역 및 사회에 공익서비스

제공, 사회공동체 실현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자활사업안내

신청

(개인)

가구조사

(동사무소)

시군구

자료통합

의뢰

사업참여

경과통보

상담

자활센터

자활근로

사업자활기업

사업

- 16 -

1) 조건부수급자

자활사업 참여를 조건으로 생

계급여를 지급받는 수급자입니

다.

4) 특례수급가구의 가구원

의료급여특례, 교육급여특례

가구의 근로능력 있는 가구원

중 자활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분입니다.

2) 자활급여특례자

수급자가 자활근로, 자활기

업, 성과관리형 자활시범사업

등에 참가하여 발생한 소득으

로 인하여 소득인정액이 선정

기준을 초과한 분입니다.

5) 차상위

근로능력이 있고, 소득인정액이

최저생계비의 120%이하인 자,

근로능력이 없는 차상위자가 자

활사업을 원할 경우 시·군·구의

자활사업 및 지원예산·자원의

여건을 감안하여 시군구청장 결

정에 따라 참여가능합니다.

3) 일반수급자

참여희망자(근로무능력자도

희망시 참여 가능)입니다.

6) 근로능력이 있는

시설수급자

기초생활보장 시설수급자 : 행

복e음 보장결정 필수(조건부

수급자 전환 불필요)

일반시설생활자(기초생활보장

비수급) : 차상위자 참여 절차

준용)

Page 17: 2014 구리지역자활센터 팸플릿

자활근로

반찬 사업단

안전한 먹을거리를 만들고 판매함으로써 지역사회의 일자리 창출과 건

강한 음식문화를 만듭니다.

주요사업 지역아동센터 및 학교 단체 급식, 도시락 조리 및 배달, 단체

아유회, 회의등 맞춤형 도시락 및 간식 주문 판매

조각나무 사업단

폐가구 및 목재를 재사용하여 자원재활용과 환경보호를 통해 지역의 일

자리를 만드는 사업입니다.

주요사업 폐가구 수거 및 리폼, 가구 주문제작 및 판매, DIY 공방 운영

자원되살림 사업단

폐소형가전의 분해를 통해 자원을 되살리며, 이를 통한 지역사회의 일자

리 창출과 환경보호라는 사회적 가치를 실현합니다.

주요사업 폐소형가전 분해, 재활용품 처리

도시농업 사업단

모종과 친환경유기농산물 생산, 판매하는 농업 사업입니다.

주요사업 텃밭상자 제작 및 판매, 도시텃밭 조성 사업, 도시농부 양성

배송 사업단

택배배송으로 안적적인 수익 창출이 가능하게 하며, 지역의 일자리를

만드는 사업입니다.

주요사업 택배 배송서비스, 물류 집하

부품 사업단

소규모 일거리와 제조업체의 수작업 공정과정을 위탁받아 운영하고 있

는 사업입니다.

주요사업 자동차 및 전자제품 부품조립

희망키움통장 사업

가입대상 일반시장에서 근로소득이 최저생계비 60%

이상인 수급자

지원조건 3년 지원후 탈수급시 적립금을 전액 지급, 탈

수급 못할 시 본인저축 및 이자만 지급

적립용도 주택구입·임대, 본인·자녀의 고등교육 및 기

술훈련, 사업의 창업·운영자금

희망·내일 키움통장사업실업·빈곤·건강·직업·능력·가구문제 등 복합적 문제를 지닌 주민들의 근본적 문제 해결을 위해 복지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내일키움통장 사업

가입대상 자활근로 사업단 3개월 이상 성실참여자

지원조건 3년이내 최저임금이상 급여를 받는 고용

보험 가입 사업장 취업·창업으로 인한 탈수급시 적

립금 전액 지급

적립용도 주택구입·임대, 본인·자녀의 고등교육 및

기술훈련, 사업의 창업·운영자금

사례관리 자산형성지원사업과 관련된 교육진행 및

위기·집중 사례관리, 최저생계비·가구수 변경에 따

른 사례관리

- 17 -

Page 18: 2014 구리지역자활센터 팸플릿

온케어구리 031)569-6697

전생애에 걸친 돌봄(교육·발달지원서비스 포함)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

회적 기업입니다.

주요사업 방문요양, 개인(공동)간병, 아동발달지원사업

에코그린 031)571-9380

폐기물을 친환경적으로 재활용하여 저소득층에 안정적인 일자리를 제공

합니다.

주요사업 폐가전제품 재활용, 플라스틱 재활용,

맛들식품 031)569-9919

오랜 경험과 풍부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최고의 맛과 품질을 인정받아

공공급식 프렌차이즈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주요품목 갈비탕, 내장탕, 육개장, 뚝배기 불고기

맑은누리 - Healing Story 031)564-2879

경기도 깨끗한 학교 만들기 사업, 클린케어사업 등을 통해 학교환경개

선사업과 저소득층 주거위생증진사업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주요사업 상업건물(사무실) 건물소독 및 위생관리, 가정 토털생활서비스

그린택배 031)565-9919

택배배송을 하며 물류서비스 및 유통사업과 연계를 하고, 안정적인 수

익 창출이 가능하게 하며, 지역의 일자리를 만드는 사업입니다.

주요사업 택배 배송서비스, 물류 집하

세움건축 031)566-0704

구리지역 내에 저소득층 가구의 주거환경 개선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주요사업 주아파트 및 상가 리모델링

서로좋은 밥상 031)553-6668

지역에 건강한 식생활 문화를 확산시키고, 반찬 나눔을 통해 지역복지

를 실천하고 있습니다.

주요사업 한식 판매 및 배달, 지역아동센터 급식배달, 결식아동 도시락

배달

자활기업

- 18 -

일자리지원센터 일자리를 희망하는 구리시민의 취업을 무료로 지원하고 있으며 안정된 근로를 할 수 있도록 근로여건 조성과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지원대상 저소득층을 비롯하여 취업과 복지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구리시 주민

지원업무

· 1:1 상담을 통해 흥미와 적성에 맞는 일자리 연계 · 취업을 위한 이력서, 자기소개서 작성과 동행면접 지원

· 미취업자와 취업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 · 직업흥미검사, MBTI를 통해 직업흥미와 성격유형 탐색

· 안정적인 직장생활을 위한 채무(신용회복) · 재무상담 및 지역내 자원연계

· 기초생활 수급권 등의 상담 서비스 제공 연락처 031)554-1919

Page 19: 2014 구리지역자활센터 팸플릿

구리지역자활센터 사무실

대중교통 구리역에서 6번 버스, 농수산물도매시장 내 하차 후, 도보2분

(교문동 방향) 1번, 88번, 92번 버스, 농수산물 사거리 하차 후, 도보 10분

(수택동 방향) 96번 버스, 동구동주민센터(농수산물도매시장 사거리) 하차 후, 도보2분

주소 구리시 동구릉로136번길 90 농수산물도매시장 청과물동 2층 52121호

전화 031)569-1919, 031)557-6668, 031)567-6668

FAX 031)567-4130

홈페이지 http://grspa.org

이메일 [email protected]

자활사업단

배송사업단 구리시 동구릉로 301-28 / 031)529-6469

자원되살림, 도시농업, 부품 사업단 구리시 동구릉로 389번길 80 / 031)563-6668

조각나무 사업단 구리시 동구릉로 389번길 80 / 031)529-9915

반찬사업단 구리시 검배로 124 정민빌딩 1층 / 031)553-6668

약도

- 19 -

구리역

인창1단지아파트

동구동주민센터

롯데마트

구리지역 자활센터(구리도매시장

청과물동 3번 입구 2층)

←서울 남양주→

서울

외곽

순환

도로

퇴계원

Page 20: 2014 구리지역자활센터 팸플릿

자활

×÷ =

경기구리지역자활센터는 보건복지부가 지정한 사회복지시설로 구리YMCA에서 운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