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151
교육학석사 학위논문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중학교 음악 감상 지도 방안 20182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Upload: others

Post on 13-Mar-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교육학석사 학위논문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중학교 음악 감상 지도 방안

2018년 2월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고 나 희

Page 2: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중학교 음악 감상 지도 방안

지도교수 서 정 은, 민 경 훈

이 논문을 교육학석사 학위논문으로 제출함

2017년 12월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고 나 희

고나희의 교육학석사 학위논문을 인준함

2018년 1월

위 원 장 김 규 동 (인)

부위원장 서 정 은 (인)

위 원 민 경 훈 (인)

Page 3: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국 문 초 록

많은 학교 음악 감상 수업에서는 음악과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음악

의 구성 요소를 이해하며 감상하는 수업이 이루어지기 보다는, 음악에

대한 자유로운 반응을 존중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음악을 듣는 것에 그치

거나 음악과 개념이 분리된 감상 수업으로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이

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 음악과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바와 같이 음악

의 구성 요소를 이해하며 감상할 수 있도록 지도하기 위한 직접적인 방

법으로 음악적 기억을 활용하였다. 명확하게 음악을 기억한다는 것은 주

요 가락을 기억하고 이를 바탕으로 형식에 기반하여 음악의 흐름을 따라

들을 수 있으며, 리듬, 셈여림, 음색 등을 지각하며 감상할 수 있음을 말

한다. 더불어 명확한 음악적 기억을 형성하는 조직화, 심상, 정교화 등의

인지적 전략은 음악의 구조 및 특징에 대한 이해와 함께한다. 이러한 점

에서 중학생들의 음악적 기억 형성을 돕는 것은 2015 개정 음악과 교육

과정에서 추구하는 음악 감상교육의 방향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음악적 기억의 정도를 결정하는 6가지 인지적 전

략을 정리 및 고찰 후 음악 감상 수업모형 및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여

중학생들이 지각적으로 감상할 수 있는 음악 감상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

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먼저, 2015 개정 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을 고찰하여 개괄적인 지

도 방향과 평가 방향을 설정하였다. 예술적인 음향 조직인 음악을 깊이

이해하기 위해서는 ‘역사와 문화적 맥락’, ‘음악의 배경’에 대한 학습 또

한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감상 수업이라는 점에서

평가는 실음 지필 평가를 중심으로 내용 평가와 자기 평가로 구성하고자

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교수학습 방법의 근간이 되는 음악적 기억에 대

하여 문헌 고찰 후 감상교육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음악적

기억을 형성하는 인지적 전략을 승윤희(2005)의 연구를 참고하여 주의,

Page 4: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ii

시연, 반복, 조직화, 정교화, 심상(시각적 심상, 청각적 심상)으로 총 6

가지로 정리하였으며, 이들의 특성을 반영하여 음악 감상 수업에서의 활

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조직화, 심상, 정교화는 음색, 리듬, 셈여림, 형

식 등을 학습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으로, 주의, 시연, 반복은 수업의

전 과정에서 교사가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제안하였다.

셋째, 구체적인 지도의 실제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교수학습 방법으

로 활용되는 인지적 전략들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곡을 중학교 교과서 내

에서 절대음악과 표제음악 한 곡씩 선정하여 분석 후 지도 요소를 추출

하였다.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545’ 중 1악장은 절대음악으로 소

나타 형식을 갖춰 명확한 형식미가 돋보이며 대조적인 셈여림과 명확한

박자감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표제음악 중 오케스트라 편성 드뷔시 ‘달

빛’은 다양한 악기가 등장하고 일정박 안에서 연주자의 템포 재량이 돋

보이는 tempo rubato을 성격을 보이며 ABA형식을 갖추고 있다. 이러

한 특징은 본 연구의 교수학습 방법으로 활용될 조직화, 심상, 정교화를

적용하기에 적합한 곡이라 할 수 있다. 선정한 두 곡을 분석하여 지도

요소를 확인 및 추출하였다.

넷째,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과 음악적 기억을 형성하는 인지

적 전략을 바탕으로 음악 감상 수업모형과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고

안하였다. 또한 선정한 두 곡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음악을 심도 있게 감

상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하여 구체적인 지도의 실제를 각각 2차시로 구

성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하나의 음악 작품을 기억하게 되고 음악이

갖는 구성 요소들을 이해하며 감상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본 연구는 서양 조성음악이라면 대체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장점

을 가진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를 토대로 다른 음악에 확장 및 적용

하여 학생들의 감상능력을 증진시키는 연구가 나오길 기대한다.

주요어 : 음악 감상 지도, 음악적 기억, 인지적 전략, 청각적 심상, 시각

적 심상

학 번 : 2016-21637

Page 5: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iii

목 차

제1장 서 론 ..............................................................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제2절 연구 방법 .................................................................................... 3

제3절 선행연구 고찰 ............................................................................. 4

제4절 연구의 범위 및 제한점 ................................................................ 8

제2장 연구의 기초 ........................................................ 9

제1절 음악 감상의 의미 ........................................................................ 9

제2절 중학교 음악 감상 관련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고찰 ....... 11

1. 목표 ...................................................................................... 12

2. 내용 체계 및 성취 기준 ........................................................ 13

3.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 ........................................................ 15

제3장 음악 감상에서의 음악적 기억 ........................... 18

제1절 음악적 기억(Musical Memory)의 이해 ................................... 18

1. 음악적 기억의 의미 ............................................................... 18

2. 음악정보의 처리과정 ............................................................. 20

1) 감각기억(Sensory memory) ........................................ 21

2) 단기기억(Short-term memory) .................................. 23

3) 장기기억(Long-term memory) ................................... 24

제2절 음악적 기억을 형성하는 인지적 전략 ....................................... 26

1. 주의(attention) ..................................................................... 27

2. 시연(rehearsal) .................................................................... 28

3. 반복 ...................................................................................... 29

4. 부호화 ................................................................................... 30

Page 6: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iv

1) 조직화(organization) .................................................... 31

2) 심상(imagery) .............................................................. 34

3) 정교화(elaboration) .................................................... 40

제3절 음악 감상 수업에서 음악적 기억 활용 가능성 및 수업 설계

방향..... ................................................................................................. 41

제4장 음악 감상곡 선정 및 악곡 분석을 통한 지도 요소

선정 ............................................................................ 47

제1절 음악 감상곡 선정 ...................................................................... 47

1.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 545’ 중 1악장 ......................... 47

2. 드뷔시 ‘달빛’ ........................................................................ 48

제2절 음악 감상곡 분석 및 지도 요소 선정 ........................................ 49

1.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 545’ 중 1악장 ......................... 49

1) 작품 소개 및 작곡 배경 ................................................ 49

2) 작품 분석 ...................................................................... 51

3) 지도 요소 선정 .............................................................. 58

2. 드뷔시 ‘달빛’ ........................................................................ 61

1) 곡 소개 및 작곡 배경.................................................... 61

2) 작품 분석 ...................................................................... 62

3) 지도 요소 선정 .............................................................. 71

제5장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중학교 음악 감상 지도

방안 ............................................................................ 74

제1절 음악 감상 수업모형 및 교수학습 방법 ...................................... 74

1. 수업모형 및 단계설정 근거 ................................................... 75

2. 수업 시 고려 사항 및 음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 76

1) 수업 시 고려사항 .......................................................... 77

2)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음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 ...... 79

제2절 지도의 실제 ............................................................................... 87

Page 7: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v

1. 지도의 실제 1 :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 545’ 중 1악장 .... 87

1) 1차시 ............................................................................. 88

2) 2차시 ............................................................................. 94

2.지도의 실제 2 : 드뷔시 ‘달빛’ ............................................. 103

1) 1차시 ........................................................................... 103

2) 2차시 ........................................................................... 111

제6장 결론 및 제언 .................................................. 120

참고 문헌.................................................................. 123

부 록 ........................................................................ 130

Abstract .................................................................. 135

Page 8: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vi

표 목 차

<표Ⅱ-1>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음악교과의 목표 12

<표Ⅱ-2>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내 중학교 감상 영역의 내용체계 13

<표Ⅱ-3>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중학교 감상 영역 성취 기준

..................................................................................................... 14

<표Ⅱ-4>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중학교 감상 영역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 ................................................................................. 15

<표Ⅱ-5>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고찰을 통해 설정한 지도 방향

..................................................................................................... 16

<표Ⅱ-6>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고찰을 통해 설정한 평가 방향

..................................................................................................... 17

<표Ⅳ- 1>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 .545’ 중 1악장 악곡 분석 정리표 .. 51

<표Ⅳ-2>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545’ 중 1악장의 주요 선율

..................................................................................................... 59

<표Ⅳ-3> 드뷔시 ‘달빛’ 분석 정리표 ............................................. 62

<표Ⅳ-4> 드뷔시 ‘달빛’에서 선정한 주요 선율 .............................. 71

<표Ⅴ-1> 음악 감상 수업모형 ......................................................... 75

<표Ⅴ-2> 판스워즈의 헤브너 형용사 서클(adjectives cirle) 수정안

..................................................................................................... 82

<표Ⅴ-3> 지도의 실제 1 : 제재곡 및 지도 대상 ............................. 87

<표Ⅴ-4>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 545’ 중 1악장 차시별 학습

목표 .............................................................................................. 87

<표Ⅴ-5>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545’ 중 1악장 1차시 주요 활

동 .................................................................................................. 88

<표Ⅴ-6> 모차르트와 그의 작품세계 ............................................... 88

<표Ⅴ-7>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545’ 중 1악장 프레이즈 인지

Page 9: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vii

및 반복 등장하는 음형 파악을 위한 신체동작 예시 ..................... 91

<표Ⅴ-8>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545’ 중 1악장 시각적 심상 활

동을 위한 판스워즈의 형용사표 .................................................... 93

<표Ⅴ-9> 형용사표를 활용한 시각적 심상 활동 예시 ..................... 94

<표Ⅴ-10>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 545’중 1악장 2차시 주요활

동 .................................................................................................. 94

<표Ⅴ-11>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545’ 중 1악장 청각적 심상

활동을 위한 교수 자료 .................................................................. 96

<표Ⅴ-12> 피아노 악기 음색의 특징 설명을 위한 교수 자료 ......... 98

<표Ⅴ-13> 소나타 형식 이해를 위한 문제 .................................... 102

<표Ⅴ-14> 드뷔시 ‘달빛’ 제재곡 소개 및 지도 대상 선정 ............ 103

<표Ⅴ-15> 지도의 실제 : 드뷔시 ‘달빛’ 차시별 학습 목표 ........... 103

<표Ⅴ-16> 지도의 실제 : 드뷔시 ‘달빛’ 1차시 주요 활동 ............. 103

<표Ⅴ-17> 드뷔시와 그의 작품세계 .............................................. 104

<표Ⅴ-18> 드뷔시 ‘달빛’ 수업을 위한 신체동작 예시................... 108

<표Ⅴ-19> 드뷔시 ‘달빛’ 시각적 심상 활동을 위한 형용사표 ....... 110

<표Ⅴ-20> 드뷔시 ‘달빛’ 시각적 심상 활동 수행의 예시 ............. 111

<표Ⅴ-21> 지도의 실제 : 드뷔시 ‘달빛’ 2차시 주요 활동 ............ 112

<표Ⅴ-22> 드뷔시 ‘달빛’ 노래부르기 활동을 위한 교수 자료 ....... 113

<표Ⅴ-23> 오케스트라 편성의 드뷔시 ‘달빛’의 선율 악기설명 자료

................................................................................................... 115

<표Ⅴ-24> 드뷔시 ‘달빛’ 도식악보를 활용한 학습 활동 ............... 119

Page 10: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viii

그 림 목 차

<그림Ⅲ-1> 음악정보의 처리과정 ................................................... 21

<그림Ⅲ-2> 음악적 기억을 형성하는 인지적 전략 .......................... 26

<그림Ⅴ-1> 두 개의 주제와 코다 이해를 위한 활동 수행의 예시 ... 99

<그림Ⅴ-2> 소나타 형식 이해를 위한 도식악보 만들기 ................ 101

<그림Ⅴ-3> 소나타 형식 이해를 위한 도식악보 만들기 ................ 101

<그림Ⅴ-4> 클로드 모네 ................................................................ 105

<그림Ⅴ-5> 반 고흐 ‘별이 빛나는 밤’ ........................................... 105

<그림Ⅴ-6> 드뷔시 ‘달빛’ 음색 구별을 위한 학습활동 ................. 116

<그림Ⅴ-7> 드뷔시 ‘달빛’ 음색 구별을 위한 학습활동 수행의 예시

................................................................................................... 117

<그림Ⅴ-8> 드뷔시 ‘달빛’ 완성된 도식 악보 작성의 예 ................ 118

Page 11: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ix

악 보 목 차

<악보 1> 다울링(Dowling)과 하우드(Harwood)의 실험 : ............. 28

<악보 2>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545’ 중 1악장 마디1-12 ... 52

<악보 3>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 545’ 중 1악장 마디13-25 53

<악보 4>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545’ 중 1악장 마디26-28 . 54

<악보 5>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 545’ 중 1악장 마디29-41 55

<악보 6> 모차르트‘피아노 소나타 K.545 중 1악장 마디42-57 .... 56

<악보 7>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545’ 중 1악장 마디58-70 . 57

<악보 8>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545’ 중 1악장 마디71-73 . 58

<악보 9> 드뷔시 ‘달빛’ 마디1-14 ................................................. 63

<악보 10> 드뷔시 ‘달빛’ 마디15-26 ............................................. 64

<악보 11> 드뷔시 ‘달빛’ 마디27-36 ............................................. 66

<악보 12> 드뷔시 ‘달빛’ 마디37-42 ............................................. 67

<악보 13> 드뷔시 ‘달빛’ 마디43-50 ............................................. 68

<악보 14> 드뷔시 ‘달빛’ 마디51-65 ............................................. 69

<악보 15> 드뷔시 ‘달빛’ 마디66-72 ............................................. 70

Page 12: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x

Page 13: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xi

Page 14: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기억은 학습의 성패를 결정한다. 학생들이 학습 내용을 잘 기억한다

면, 그 내용을 잘 이해하고 습득하였음을 의미하는 것이며 만일 기억하

는 데 어려움이 있다면 이해가 부족했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무엇을

얼마나 기억하는지는 학습의 성취도를 가른다. 지엽적인 내용보다 요지

를 기억하는 것이 효과적인 학습이라 할 수 있다.

기억은 음악에서도 중요하다. 한 음악 작품에 대하여 얼마나 많이

알고 기억하고 있는지는 음악 감상 수준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아는 만

큼 보인다.’는 말이 있듯 기억하는 만큼 들릴 것이다. 한 음악을 명확하

게 기억한다면 음악을 이루는 주선율을 떠올릴 수 있고, 이 주선율이 어

떠한 형식 속에서 흘러가고 어떤 악기로 연주되는지, 어떠한 박자를 갖

추었는지 등 음악을 이루는 총체적인 구성 요소를 기억했다고 말할 수

있다. 이처럼 한 작품에 대한 명확한 음악적 기억은 음악의 특징을 이해

하고 음악을 이루는 구성 요소들을 감득하여 이에 반응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음악 구성 요소에 감응하며 감상하는 것은 우리나라 음악과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감상 영역의 방향과 상당한 교집합을 갖는다. 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부터 ‘음악 개념과 요소 체계표’가 감상 영역에 들

어오면서, 음악을 이루는 개념과 요소를 이해하고 이를 지각하며 들어야

함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더불어 2018년부터 중학교에

적용될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감상 영역의 성취 기준 중 하

나로 음악의 특징을 이해하며 들을 수 있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교육과정의 흐름에서, 학생들에게 음악적 기억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도

하는 것은 학교 음악교육이 추구하는 감상에 도달할 수 있는 지름길이

될 수 있겠다.

Page 15: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2

한 작품에 대한 음악적 기억(musical memory)은 어떻게 형성될까?

일반적인 생각과는 다르게 성공적인 음악적 기억은 단순 반복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명확한 음악적 기억은 여러 가지 인지적

전략이 작용되었을 때 형성된다. 반복 또한 기억 형성에 중요한 작용이

되지만, 체계적인 부호화(조직화, 심상, 정교화)가 중심이 되어 시연

(rehearsal), 주의(attention) 등 여러 가지 인지적 전략들이 복합적으

로 작용될 때 명확해진다. 인지적 전략들이 머릿 속에서 잘 작용되었다

면 음악의 흐름을 이해하며 들을 수 있게 되고, 이 흐름 내에서 음악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더욱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음악적 기억 형성을 돕는 인지적 전략들은 음악적 기억 형성의 의미를

넘어 음악을 면밀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전략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인지적 전략의 활용 능력은 사람마다 차이가 있다. 음악에 대한 지

식과 경험이 풍부한 음악 전문가의 경우 인지적 전략의 활용에 능숙하

여 음악을 잘 파악하게 되고 이는 기억까지 이어진다. 그러나 일반 학생

들은 이와 같은 능력이 부족하여 음악을 구조적이고 위계적으로 파악하

는 데 어려움이 생기고 이는 음악적 기억 형성이 어려워진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음악 지식과 경험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중학생들에게 이와

같은 인지적 전략들을 활성화하여 한 작품의 음악적 기억 형성을 돕는다

면 음악을 기억하는 것뿐만 아니라 소리 조직으로서의 음악의 구조를 잘

파악하고 음악의 구성 요소들에 잘 감응할 수 있도록 함을 기대해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음악적 기억을 형성하는 인지적 전략들을 정리 및

고찰한 후 음악 감상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여 음악의

특징을 지각하며 감상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 및 수업모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일반적으로 음악적 경험과 지식이 부족한 중학생들에게

한 작품에 대한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해 음악을 심도 있게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하고 음악의 구성 요소들을 이해하며 감상할 수 있게

되어 그 속에서 음악의 아름다움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의의가 있

다.

Page 16: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3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인 지도의 실제를 제공하기 위하여 중학교 교

과서 내에서 적합한 절대음악과 표제음악 각각 한 곡씩 선정하였다. 모

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545’ 중 1악장의 경우 소나타 형식을 갖췄으

며, 명료한 피아노 음색, 대조적인 셈여림, 일정한 박자 등 중학교 수준

에서 학습할 내용들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오케스트라

편성의 드뷔시 ‘달빛’은 ABA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주제선율 뿐만 아니

라 주요 선율이 반복적으로 여러 악기와 함께 다양한 음역에서 등장한다

는 점에서 음악의 흐름을 읽기에 적합한 곡이다. 이 곡은 원래 피아노

독주곡이지만 여러 악기 음색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오케스트

라 편성의 곡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이 두 곡을 바탕으로 음악적

기억을 형성하는 인지적 전략들을 활용하여 음악 감상 지도안을 설계함

으로써 중학생들이 음악을 지각적으로 감상하고 그 속에서 음악의 아름

다움을 느낄 수 있는 지도 방안을 제시하는 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제2절 연구 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음악 감상교육이라는 점에서 2015 개정 음악과 교육

과정이 제시하는 음악 감상의 목적, 내용 체계 및 성취 기준,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을 고찰하여 개괄적인 지도 방향과 평가 방향을 설정한다.

둘째, 음악적 기억에 대하여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 음악적

기억의 정의 및 성격을 살펴보고, 이 연구의 교수학습 방법의 근간이 될

음악적 기억을 형성하는 인지적 전략들을 정리 및 탐색한다. 이를 토대

로 음악 감상교육에 활용 가능성을 모색한다.

셋째, 구체적인 지도의 실제를 제공하기 위하여 기준을 제시하고 이

Page 17: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4

를 토대로 두 악곡을 선정한다. 선정한 두 악곡을 면밀히 분석하여 음악

에서 중요한 음악적 특징을 추출하여 지도 요소를 제시하도록 한다.

넷째, 음악적 기억을 형성하는 인지적 전략을 활용하여 수업모형과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법과 제시한다. 선정한 두 곡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지도의 실제를 제공하여,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해 음악 구성 요소에 감

응하며 들을 수 있는 감상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제3절 선행연구 고찰

본 연구와 관련된 기존의 선행된 연구를 살펴 보고자 한다.

먼저, 본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이루는 승윤희1의 연구를 살펴보겠

다. 그는 음악적 기억 형성에서 강조되는 인지적 전략을 교수학습 방법

으로 내세워 이를 효과적으로 활성화시킨다면 음악을 질서를 파악하고

음악의 구성 요소에 이해하며 감상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본 연구에

서는 그의 연구를 참고하여 인지적 전략을 주의, 시연, 반복과 부호화

유형을 조직화, 정교화, 심상(청각적 심상, 시각적 심상)으로 구분하였으

며, 이를 바탕으로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의 연구는 모든 영역

과 학년군을 고려한 개괄적인 교수학습 원리를 제시하였다면 본 연구에

서는 중학교 음악 감상 영역으로 한정하였으며, 여러 문헌 고찰을 통해

중학교 수준에 적합한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여 차별을 두었

다.

다음은 본 연구에서 교수학습 방법으로 활용될 인지적 전략들을 활

용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겠다.

시각적 심상 형성이 음악 요소의 파악을 도우며 음악적 정서를 형성

1 승윤희. “정보처리이론에 기초한 음악 교수 학습 방법 연구”. 『음악교육연구』,

29, 2005.

Page 18: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5

하여 음악적 기억에 긍정적 효과를 가짐을 박은희와 하주현2의 연구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그들은 시각적 심상 형성을 위한 자기주도적인 그

림 그리기 활동이 일반 감상 수업에 비하여 음악적 요소 파악 및 정서를

형성하여 음악적 기억에 긍정적 영향을 끼침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그림 그리기 활동이 음악적 기억 및 정서 형성에 유의미했다는 결과를

참고하여 본 연구의 취지에 맞게 학습활동을 고안하였다.

섬세한 청각 경험이 요구되는 청각적 심상에 관한 연구는 홍승연3의

연구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그는 교사가 직접 준비한 중성음절로 셈여

림, 리듬, 다이내믹 등을 고려하여 노래를 부르고 신체 동작을 할 때 학

생들이 악곡의 주제선율을 구분하고, 음악의 구성 요소를 이해하며 감상

하게 될 수 있다고 말하였다. 그가 실제 수업을 통해 확인한 이러한 교

수학습 방법은 정교한 청각 기억이 요구되는 청각적 심상 형성과 상당한

교집합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교수학습 설계에 있어 참고하

였다.

그의 연구에 이어서 주제선율을 불러보는 활동이 청각적 자극을 활

성화하여 주제선율을 기억하고 지각적으로 감상하는 데 도움이 됨을 이

유진 외4의 연구를 통해 다시 한번 확인해 볼 수 있다. 그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기악곡의 주제선율에 가사를 붙여 노래를 부르는 감상 수업이

주제선율 인지와 음악 수업만족도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고

전 기악음악에 가사를 붙여 노래를 부르게 할 때 주제선율에 대한 기억

이 높아졌으며 청각적 자극이 활성화되었다고 밝혔으며 이는 청각적 심

상의 형성에 노래 부르기가 유의함을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그의

연구를 참고하여 본 연구의 청각적 심상을 유발하기 위한 학습 방법으로

2 박은희, 하주현. “심상활용 창의적 교수법이 음악기억에 미치는 효과”. 『창의

력교육연구』, 15(4), 2015.

3 홍승연. “움직임이 있는 음악 감상 교수 학습 방안 모색”. 『음악교육공학』, 17,

2013. 4 이유진 외. “초등학생의 고전음악에 대한 주제선율 인지, 선호 및 음악수업 만

족도에 미치는 노래와 음악감상의 영향”. 『예술심리치료연구』, 7(1), 2011.

Page 19: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6

구성하였다.

인지적 전략 중 주의를 감상교육에 활용함은 오아람5의 연구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그는 “인지심리학의 ‘주의’ 개념과 다성음악 감상 지도

방법 연구”에서 음악적 기억 형성에 있어 인지적 전략 중 하나인 ‘주의’

를 활용하여 푸가, 인벤션 등을 중심으로 다성음악 감상 지도안을 고안

하였다. 그의 연구는 본 연구와 비슷하게 학생들이 보다 더 주선율에 집

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고민했다는 점에서 일부 같은 방향을 지닌

다. 그는 학생들이 다성음악 특성상 동시적으로 등장하는 주선율에 집중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반복적인 청취, 배경 지식 제공, 악곡의 구성

원리 파악, 청취의 시각화를 수업 방법으로 제시하였는데, 그 중 청취의

시각화 단계에서는 캐논을 제외한 모든 음악에서 실제 악보를 보면서 감

상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모든 학생들이 실제 악보를 읽기에 어려움이

있다는 현실적인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악보를

주요 학습 도구로 활용하지 않고 보조수단으로 활용하였으며 다른 활동

과 함께 제시하여 부담을 줄이도록 하였다.

다음은 앞선 연구보다 교수학습 설계에 있어 비중 있게 반영하지는

않았으나 인지적 전략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외현적 활동이 도움이 됨을

살펴볼 수 있었던 문헌들을 제시하겠다.

문혜령6은 심상이 음악적 기억의 증진을 돕는다고 주장하면서 자신

의 연구의 실제 적용을 통하여 학생들을 관찰하였다. 그에 의하면 학생

들은 심상 유도 후 음악적 요소의 변화에 민감하게 감응하게 되었으며

음악에 대한 긍정적 정서를 갖게 되는 변화를 가졌다고 하였다. 이러한

긍정적 결과를 갖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심상 형성을 유도한 후 이를 외

현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음악에 대한

심상을 마음 속에서 그치는 것이 아닌 직접 표현할 수 있도록 학습활동

5 오아람. “인지심리학의 ‘주의’ 개념과 다성음악 감상 지도방법 연구”. (석사학

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6 문혜령. “심상을 활용한 음악 학습”.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

원, 2013).

Page 20: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7

을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생각할 수 있는 연구였으며, 본 연구 설계

시 이를 고려하였다.

황은영과 김영신7도 다양한 활동을 통한 음악감상이 주제선율의 인

식과 음악에 대한 이해와 지각적 감상에 효과적임을 실험을 통해 밝혔다.

그는 음악 감상 시 구조와 흐름을 파악하며 들을 수 있어야 함을 강조하

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는 12곡의 고전 기악음

악을 바탕으로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 신체동작 등을 놀이와 표현활동

을 활용하고 통제집단에는 일반적인 감상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다양한 놀이 활동을 통한 음악 감상 수업을 한 실험집단이 주제선율 인

지와 함께 음악적 이해와 선호도가 훨씬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학

생들에게 다양한 활동을 제공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주제선율에 대한 기

억을 높여 음악에 대한 흥미를 증진하고 또한 음악의 구조를 파악하며

들을 수 있는 지각적 감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살펴볼 수 있는 의미

있는 연구이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의 이론적 근간이 되는 음악적 기억과 음악적

기억을 형성하는 인지적 전략에 관한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한 선행문헌

을 살펴보았다. 앞서 제시한 선행문헌들을 포함하여 다양한 문헌들에서

는 음악적 기억은 음악을 감상하는 데 기본이 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

었으나, 이를 활용한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는 연구는 굉장히

적었다. 또한 음악적 기억을 형성하는 인지적 전략들을 복합적으로 활용

하기 보다는 하나의 전략에 집중하여 제시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그러

나 음악적 기억은 다양한 인지적 전략이 활용될수록 명확해지기 때문에

인지적 전략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본 연구가 의미가 있음을 생각해 볼

수 있다.

7 황은영. 김영신. “놀이적 음악감상이 유아들의 고전음악 선호, 주제 선율 인식

및 음악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음악치료학회지』, 11(2), 2009.

Page 21: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8

제4절 연구의 범위 및 제한점

이 연구에서는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음악 감상 지도 방안을 제

시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다음과 같은 연구의 범위와 제한점을 갖는다.

첫째,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 545’ 중 1악장과 오케스트라 편

성의 드뷔시 ‘달빛’을 중심으로 지도의 실제를 제공하였다.

둘째, 본 연구의 이론적 토대가 되는 음악적 기억은 학생들마다 가

지고 있는 사전 지식과 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밖에 없다. 본 연구

에서는 학생 개개인이 작품에 대한 기억의 정도를 모두 고려하지 않았다.

셋째, 본 연구는 음악적 능력이 뛰어난 전공자나 학생들보다는 음악

적 경험이 부족하고 소양이 깊지 않은 중학생들의 감상 수업을 위하여

고안하였다.

Page 22: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9

제2장 연구의 기초

제1절 음악 감상의 의미

감상은 모든 음악활동의 기본과 기초가 되는 활동이다. 가창, 기악,

창작 활동 모두 음악 감상과 함께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학교

음악교육에서도 자연스럽게 중요한 영역이라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음악

교육에서 감상은 일반적으로 음악 활동 중에서 가장 고민이 많은 영역이

라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많은 학교현장에서는 음악을 듣는 데에 그치는 감상교육의 방

식을 취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8 이처럼 음악을 들려주고 작곡가, 곡

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에 그치는 감상 수업방식은 학생들의 음악 흥미를

오히려 떨어뜨리게 하며, 음악 자체에 대한 깊은 이해를 저해한다.

둘째, 음악 감상 활동은 학생들에게 자유로운 음악적 반응을 추구하

도록 해야 하므로 교육으로 성립할 수 없다는 생각 때문이다.9 이와 같

은 생각을 가진 사람들에 의하면, 음악에 대한 정서적 반응은 자유롭게

이루어져야 하는 데 감상이 ‘교육’으로 이어지면 학생들의 음악에 대한

감정과 반응을 억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벌어지는 이유는 학교교육에서 추구하는 음악 감상의

의미와 중요성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함에서 나오는 것이다. 실제로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음악 요소와 개념을 이해하며 감상하

는 것을 하나의 방향으로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앞서 살펴본 감상교육

방식은 학교교육이 추구하는 음악 감상의 방향과 거리가 멀다고 할 수

8 정재은, 최미영. “음악감상 수업모형의 이론적 탐색”. 『교사교육연구』, 55(1),

2016, p.47. 9 이연경, 정주희. “미학 이론 기반 초등학교 음악감상 수업방안”. 『음악교수법

연구』, 7(0), 2011, p.76.

Page 23: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0

있겠다.

여러 학자들은 감상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19세기 음

악미학자 한슬릭(Hanslick)10은 음악의 형식과 내적 구조에 대한 이해를

강조하면서 “형식미의 본질은 음악 자체가 지니고 있는 객관적 구조 ”

(p.64)라고 주장하였다. 이의 중요성을 받아들인 음악교육학자 리머

(Reimer)11는 음악 감상은 “소리의 심미적 질에 대한 지각과 이러한 질

의 표현 형식에 대한 반응이 이루어질 때 가치 있는 음악적 경험 ”

(p.64)을 가질 수 있다고 말하며, 음악의 구성 요소와 특정한 형식 구조

에 대한 지각적 반응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국내에서는 이홍수 12가 감상에 대해서 그와 비슷한 정의를 내리고

있다. 그에 의하면 음악 감상은 “음향에 대한 예민한 청감각과 악곡의

구조에 대한 논리적 파악력, 악곡에 투영된 음악 미적 요소 및 예술적

의미 요소에 대한 통찰력”(p.80)이 요구되는 활동이라고 말한다. 또한

그는 진정한 음악 감상은 음악을 흘려 듣는 것이 아니라 작품에 나타나

는 특징 있는 반복과 변화, 형식, 리듬 등과 같은 음악적 특징을 이해하

고 분석적, 종합적으로 이해하며 듣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연경13은 음악 감상은 리듬, 가락, 화성, 구조, 셈여림, 빠르기, 음

색과 같은 음악 요소에 대한 특징과 그들의 원리를 이해하고 지각적으로

감응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따라서 음악 감상교육은 음악의 요소와

원리에 대한 지각 능력을 기르는 것으로 시작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정재은과 최미영14은 현 학교 현장의 수동적인 음악 감상교육의 실태를

비판하며, 음악 감상은 음악적 요소에 대한 특징을 이해 및 집중하고,

10

민경훈 외. 『음악교육학 총론』 제2판. (서울 : 학지사, 2016), p.65에서 재인

용. 11

위의 책, p.65에서 재인용. 12

이홍수. 『느낌과 통찰의 음악교육』. 1992, p.80. 13

이연경. “감상능력 육성을 위한 음악과 학습지도방법에 대한 연구”.『음악교육

연구』.15, 1996, p.4. 14

정재은, 최미영. 앞의 논문, p.48.

Page 24: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1

이를 인지적으로 느끼며 듣는 것이라고 말하였다.

여러 학자들은 공통적으로 음악 감상에서의 음악을 논리적이고 분석

적으로 접근하고 있으며 감상을 일반적으로 감상이라고 불리는 음악을

흘려 듣는 청취 행위보다 높은 수준으로 바라보고 있다. 또한 그들이 제

시한 음악 감상의 정의를 종합해본 바, 음악 감상은 음악의 흐름을 파악

하고 작곡가가 의도적으로 만들어 낸 구성 요소를 이해 및 지각하면서

듣는 행위라고 정리할 수 있다. 이처럼 음악 그 자체가 가지는 음향적

표현 요소를 느끼고 이 속에서 음악의 아름다움을 체험할 수 있는 것이

진정한 감상이 됨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진정한 음악

감상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음악 구성 요소에 대한 파악, 조직

원리를 내면화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을 우선 순위로 두어야 하겠다.

제2절 중학교 음악 감상 관련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

정 고찰

교육과정은 학교교육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필수 지침서

이다. 본 연구는 중학교 대상의 음악 감상 지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므

로 교육과정은 반드시 고려해야 할 문서라 할 수 있다.

본 절에서는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중학교의 감상

영역에 속하는 목표, 내용 체계 및 성취 기준,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을

고찰한 후 본 연구에 대한 구체적인 설계에 앞서 개괄적인 지도 방향과

평가 방향을 설정하고자 한다.

Page 25: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2

1. 목표15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음악교과의 목표를 다음과 같이

두고 있다.

<표Ⅱ-1>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음악교과의 목표

가 음악의 구성 및 표현 방법을 이해하고, 연주 기능을 익혀 창의적

으로 표현한다.

나 역사와 문화적 맥락 속에서 악곡의 특징을 이해하며 감상한다.

다 음악의 가치를 인식하고, 음악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음악을

활용하는 태도를 갖는다.

<표Ⅱ-1>에서 제시된 3개의 목표 중 ‘나’항은 중학교 음악 감상 영

역의 목표라 할 수 있다.16 이와 같은 감상 영역의 목표를 충족하는 연

구가 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 교사는 악곡 분석을 통해 음악의 특징되는 요소들을 살펴보고

지도 요소를 선정해야 한다. 학생들이 다양한 음악의 특징 중에서 감상

곡에서 비중이 있는 음악적 특징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둘째, 음악 감상 수업에서는 음악을 둘러싸고 있는 배경에 대한 이

해가 선행된 후 본격적으로 지각적인 감상 수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음

악을 이루는 표현적 요소에 이해하고 감상하는 수업 전에 역사와 문화적

배경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수업모형의 도입 단계에서

음악에 대한 맥락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5

교육과학기술부. 음악과 교육과정. (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2015), p.4,

제2015-74호 [별책 12]. 16

음악 교과의 목표가 영역별로 구분되어 있지 않으나, 전반적인 맥락을 살펴

보면 ‘가’항은 표현 영역,’ 나’항은 감상 영역, ‘다’항은 생활화 영역의 목표에 해

당할 것으로 해석된다.

Page 26: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3

2. 내용 체계 및 성취 기준17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감상 영역의 목표에 도달하기

위하여 내용 체계18 및 성취 기준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감상 영역의

내용 체계는 다음 <표Ⅱ-2>와 같다.

<표Ⅱ-2>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내 중학교 감상 영역의 내용체계

영역 핵심 개념 일반화된 지식 내용 요소 기능

감상

음악 요소

와 개념

음악의 종

음악의 배

다양한 음악을 듣고

음악 요소와 개념,

음악의 종류와 배경

을 파악하여 음악을

이해하고 비평한다.

중학교 1~3

학년 수준의

음악 요소와

개념 구별하기

표현하기

설명하기 다양한 연주

형태의 음악

음악의 역사

문화적 배경

목표항에서의 ‘악곡의 특징’은 내용 체계에서 ‘음악 요소와 개념’을

의미하며 ‘중학교 1~3학년 수준의 음악 요소와 개념 ’을 파악하며 감상

할 수 있어야 함을 명시하고 있다. 이는 음악 감상이 중학교 수준에 적

합한 음악 요소와 개념을 제시해야 하며 학생들이 이를 이해하며 감상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함을 나타낸다.

또한 목표항에서 나타난 ‘음악의 역사와 문화적 맥락’을 ‘음악의 배

경’으로 다시 설명되면서 음악의 둘러 싸고 있는 배경을 이해할 수 있어

17

교육과학기술부. “음악과 교육과정”. (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2015), p.5&15,

제2015-74호 [별책 12]. 18

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까지는 내용 체계를 활동, 이해, 생활화 영역으로

두었으나 09 개정 교육과정 이후부터 표현, 감상, 생활화 영역으로 구분하

였으며 이는 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는 감상 영역이 독립적

으로 분리되어 음악 교과에서 비중 있는 영역으로서 자리매김하게 되었음을

보여주는 흐름이다.

Page 27: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4

야 함을 보여준다. 이는 음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소리로서의 음악적

특징뿐만 아니라 음악을 둘러 싸고 있는 배경을 함께 지도해야 함을 보

여준다고 할 수 있겠다.

이와 같은 내용 체계를 바탕으로 구체화하여 실제 수업과 가장 가깝

게 적용되는 것은 성취 기준이다. 성취 기준은 교사가 수업 설계 시 학

습 목표를 설정할 때 반영하는 것으로 <표Ⅱ-3>과 같다. 성취 기준을

탐색하고 지도 방향을 더욱 구체화시켜보겠다.

<표Ⅱ-3>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중학교 감상 영역 성취 기준

[9음02-01] 중학교 1~3학년 수준의 음악 요소와 개념을 구별하여 표현한다.

[9음02-02] 다양한 연주 형태의 음악을 듣고 음악의 특징을 구별하여 설명한다.

[9음02-03] 음악을 듣고 역사 문화적 배경 속에서 음악의 특징을 설명한다.

먼저, 음악 내의 ‘음악 요소와 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9음02-01]를 살펴본 바, 감상 수업에서 학습한 음악적 특징을 음악을

통해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둘째, 경우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음악을 들려줄 수 있도록 한다.

[9음02-2]에서 의미하는 다양한 연주 형태의 음악은 다양한 음악적 경

험을 제공해야 함을 내포한다. 이는 학생들에게 감상곡 외에도 수업 과

정에서 관련된 다른 음악을 들려줄 수 있는 것은 학생들에게 다양한 음

악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음악에 대한 이해를 높이게 된다.

셋째, 음악에 대한 깊은 이해를 위해서는 역사와 문화적 배경에 대

한 이해가 함께해야 한다. 이는 감상 영역의 목표항에서 제시된 내용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주고 있다.

Page 28: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5

3.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19

중학교 감상 영역에서 권장하는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은 다음 <

표Ⅱ-4>와 같다.

<표Ⅱ-4>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중학교 감상 영역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

평가의 내용에 따라 실음 지필 평가, 관찰, 포트폴리오, 보고서 등 다양

한 유형의 방법을 적절하게 활용한다.

교사의 평가뿐만 아니라 상호 평가, 자기 평가 등 학생의 평가를 병행하

여 실시할 수 있다.

음악에 관한 포괄적 이해의 정도와 태도 등을 평가 한다.

음악과 교육과정이 음악 감상 수업의 평가 방법은 실음 지필 평가,

관찰, 포트폴리오, 자기 평가, 상호 평가 등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다.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수업 방식에 따라 평가 방식을 선택

해야 함을 권장하고 있다. 지각적 감상을 추구하는 본 연구의 목적을 생

각해 볼 때 필요한 평가 방향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실음 지필 평가이다. 실음 지필 평가를 통하여 학생들이 음악

을 음악 개념과 분리되지 않고 그 자체로 이해하였는지 평가하는 방식은

감상 영역에서 가장 필요한 평가 방식이라고 판단된다.

둘째, 자기 평가이다. 자기 평가를 통하여 음악 감상 수업에서 학습

한 음악과 및 학습 내용을 되돌아 볼 수 있는 시간을 갖도록 하여 음악

을 깊게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야 한다. 더불어 학생들이 일방적

인 피평가자 입장에서 머무는 것이 아닌 자기 주도적으로 자신의 학습

과정을 되돌아 볼 수 있는 성찰의 시간을 갖도록 하는 것은 학습의 성취

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다.

19

교육과학기술부. “음악과 교육과정”. (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2015), p.16,

제2015-74호 [별책 12].

Page 29: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6

셋째, 음악에 대한 포괄적 이해의 정도이다. 음악 감상 수업을 통하

여 배운 학습 내용들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는 내용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 때 ‘음악 개념과 요소’에 대한 내용 뿐만 아

니라 음악의 배경에 대한 내용 또한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음악 감상에서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3가지 평가 방식을

도입하여 수업의 마무리 단계에서 실음 평가, 자기 평가, 내용 평가 방

식을 진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음악 감상 지도 방안을 설계

시에 반영하고자 하는 개괄적인 지도 방향과 평가 방향을 정리한 것은

다음 <표Ⅱ-5>와 <표Ⅱ-6>과 같다.

<표Ⅱ-5>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고찰을 통해 설정한 지도 방향

2015 개정 교육과정

목표 내용 체계 및 성취 기준

지도 방향

음악 감상 수업에서

는 음악의 배경에 대

한 학습을 선행한다.

음악 내의 ‘음악 요소와 개념’

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경우에 따라 감상곡 외에도 관

련된 음악을 들려 줄 수 있도록

한다.

음악에 대한 깊은 이해를 위해

역사와 문화적 배경에 대한 이해

가 함께한다.

악곡 분석을 통하여

대표적인 음악의 특

징을 살펴보고 지도

요소로 선정한다.

Page 30: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7

<표Ⅱ-6>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고찰을 통해 설정한 평가 방향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

평가

방향

실음 평가 실제 음악을 통해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 여부를 평가한다.

자기 평가

학생들이 음악 및 학습내용 성취

도에 대하여 자기 성찰의 시간을

갖도록 한다.

내용 평가

음악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가졌

는지 학습 내용에 대하여 평가한

다.

Page 31: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8

제3장 음악 감상에서의 음악적 기억20

제1절 음악적 기억(Musical Memory)의 이해

기억(memory)은 인간의 과거 경험을 다시 재생해내는 복잡한 정신

과정으로서, 모든 인간의 활동에 있어 기초가 된다는 점은 누구도 부인

하기 어려울 것이다.

음악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오히려 음악은 시간예술이라는 점에서

인간의 다양한 활동 중에서 기억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축에 속한다고

말할 수 있다. 본 절에서는 음악 감상에서 중심이 되는 음악적 기억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음악적 기억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 음악적 기억의

근간 이론인 앳킨슨(Atkinson)과 쉬프린(Shiffrin)의 기억 이론21을 바

탕으로 음악적 기억의 형성 과정이라 할 수 있는 음악정보의 처리과정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1. 음악적 기억의 의미

인지심리학의 기억 이론에서는 기억(memory)을 정보를 저장하고

인출하는 일련의 처리과정으로 바라본다.22 음악적 기억도 이와 같은 기

억 이론이 적용된다.23 음악적 기억은 기억 이론을 따라 음악을 정보로

간주하게 되어, 음악정보를 저장하고 다시 꺼내오는 총체적인 정보 처리

과정의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20

‘음악적 기억’이라는 용어는 감상 뿐만 아니라 연주에서도 혼용되어 사용되

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감상이 중심이 되는 연구이므로 ‘음악 감상’에 관한 음

악적 기억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21

J. W. Atkinson & R. M. Shiffrin. “Human memory : A proposed system

and its control processes”. Psychology of learning and motivation, 2,1968. 22

A. Baddeley. 『Memory』. (NY : Psychology Press, 2009), p.9. 23

권덕원 외. 『음악교육의 기초』제3판. (파주 : 교육과학사, 2015), p.117.

Page 32: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9

몇몇의 학자는 음악적 기억에 대한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스나이더

(Snyder)24는 음악적 기억은 청각정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기억으로

음악을 마음 속으로 떠올릴 수 있을 때 기억하는 것이라고 하였으며, 음

악 구성 요소를 기억하는 것임을 문헌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정현주25

는 음악적 기억을 음악지식과 정보가 구조적이고 체계적으로 축적된 형

태라고 정의하며 머릿 속에 음악정보를 조직적으로 저장한 상태라고 말

하였다. 권덕원 외26는 음악적 기억은 일반적인 기억 이론에 부합한다고

언급하며, 소리를 개념화하여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말하였다. 음

악적 기억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정의를 살펴본 바, 음악적 기억은 음악

의 청각정보를 조직적으로 저장하고 음악적 이해와 함께할 때 형성되는

것이라고 정리해볼 수 있다.

앞서 말했듯이 음악은 시간적 한계를 가진다는 점에서 기억에 많은

의존을 하지만, 인간의 기억 능력 또한 무한하지 않다. 제한된 기억 능

력을 보완하기 위하여 기억의 과정에서 효율성을 추구한다.27 예를 들어,

모든 음을 저장하는 비효율적인 방법보다는 개개의 음들을 덩어리지어

그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에 집중하거나,28 주선율에 집중하게 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음악심리학자 다울링(Dowling)과 하우

드(Harwood) 29는 음악의 일부분을 듣는 것과 전체를 듣는 것에 있어

기억의 역할은 크게 차이가 없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기억에 대한 효율적인 운용 능력은 그 음악의 주요 특징을 파악하는

24

B. Snyder. “Chapter 11 : Memory for music”. The Oxford handbook of

music psychology 2nd edi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p.167. 25

정현주. “학습부진아의 청각정보처리와 단기기억력 향상을 위한 치료적, 교육

적 접근”. 『한국음악치료교육학』, 1(1), 2004, p.4. 26

권덕원 외. 앞의 책, p.117-118. 27

B. Snyder. Music and Memory : An Introduction. (Cambridge, MA : The

MIT Press, 2000), p.3. 28

위의 책, p.3. 29

W. J. Dowling & D. L. Harwood. Music Cognition. (NY : Academic Press,

Inc, 1986), p.163.

Page 33: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20

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라지(Large)와 그의 동료들은 음악 속에

의미 있는 특징들을 잘 파악해야 기억 형성의 지름길로 갈 수 있다고 말

한다. 30 이와 같은 음악에서 요지를 잘 잡아내는 능력은 음악 지식 및

경험과 관련 된다. 여기서 전공자와 비전공자 간 음악적 기억 능력의 차

이가 나타나게 된다. 음악적 경험과 지식이 풍부한 전공자의 경우, 음악

이 담고 있는 특징에 대한 파악이 빠르며, 음악 지식이 많아 음악에 대

한 의미 파악에 수월하다. 그러나 비전공자의 경우, 음악 지식과 경험이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음악에서 중요한 특징을 잡아내는 데 어려움이 있

으며, 이는 주요 음들에 대한 선택 능력이 떨어지게 된다. 이는 비전공

자들의 음악적 기억 형성은 음악의 특징을 찾아낼 수 있도록 하는 도움

이 필요함을 생각 가능하다.

다음은 음악적 기억을 형성하는 과정을 음악정보의 처리과정을 통해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기억장치의 유형별로 어떤 성격을 갖고 어떠한 인

지적 전략들이 활용되는지 탐색하고자 한다.

2. 음악정보의 처리과정

앞서 음악적 기억은 일반적인 기억 이론을 따르기 때문에 음악 또한

하나의 정보로 간주하게 됨을 언급했다. 일반적으로 음악적 기억의 과정

은 앳킨슨과 쉬프린 31이 제시한 기억 이론을 바탕으로 설명되고 있다.

그들이 제시한 기억저장 구조의 흐름대로 음악정보는 3개의 기억장치

(감각기억, 단기기억, 장기기억)에서 부호화(encoding), 저장(storage),

인출(retrieval)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32 부호화는 단기기억의 정보를

30

E. W. Large et al., “Reduced Memory Representations for Music”

Cognitive Science, 19(1), 1995, p.57. 31

J. W. Atkinson & R. M. Shiffrin., 앞의 논문. 32

박유미. 『음악 심리학의 이해』. (서울 : 음악춘추사, 2009), p.113.

Page 34: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21

영구적으로 저장하기 위하여 정보를 유의미하게 변형하는 것이다.33 저

장은 우리 외부의 정보가 부호화나 주의 등을 통해 기억 내에 머물게 되

는 것을 의미하며, 인출은 장기기억에 저장한 정보를 다시 꺼내오는 것

을 말한다. 감각기억, 단기기억, 장기기억의 3가지 기억장치 속에서 부호

화, 저장, 인출의 작용을 통해 음악을 기억하게 된다.

앳킨슨과 쉬프린의 기억저장고 구조를 바탕으로 두되 음악정보의 특

징을 더해 이를 재구성하여 도식화한 모형은 <그림Ⅲ-1>을 통해 살펴

볼 수 있다. 본 항에서는 음악정보가 저장되는 기억장치 순서대로 음악

정보의 처리과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그림Ⅲ-1> 음악정보의 처리과정34

1) 감각기억(Sensory memory)

<그림 Ⅲ-1>을 보면 음악정보의 입력과 저장은 감각기억, 단기기억,

33

부호화는 본 연구에 비중 있는 내용이므로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겠다. 34

J. W. Atkinson & R M. Shiffrin. 앞의 논문, p.94에 제시된 기억저장 구조

모델을 활용하되 음악정보라는 점에서 승윤희(2005)의 연구를 참고하여 부호화

유형을 조직화, 정교화, 심상(청각적 심상, 시각적 심상)으로 구분하였다.

Page 35: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22

장기기억의 상호작용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살펴 볼 수 있다. 인간

은 정보를 저장하기에 앞서 감각을 통해 무수한 자극을 경험하게 된다.

이 때 인간의 주의(attention)을 통해 선택된 정보만이 선별하여 감각기

억으로 수용된다. 이러한 점에서 감각기억은 음악정보가 수용되는 최초

의 기억체제이라 할 수 있다.

감각기억 내의 정보는 감각 기관을 통해 수용되기 때문에 감각 그

자체로 파지한다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에 비하여

굉장히 짧은 순간 동안 유지되며 상대적으로 불안정하다.

감각기억은 기억 이론에서 구분되어 설명되는 영사기억(iconic

memory)과 반향기억(echoic memory)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 영사

기억은 시각 그 자체로 감각기억에 수용된 정보를 말하는 것으로 스펄링

(Sperling)35에 의하여 입증되었다. 시각적 자극을 받았을 때 우리 머릿

속에 잠시 동안 잔상이 남게 되는데 이는 정보가 변형되지 않고 시각 그

자체로 수용된 영사기억이라고 할 수 있다.

음악적 기억은 청감각 성격을 가지는 반향기억으로 시작된다.36 반

향기억은 음악정보가 수용되는 첫 번째 과정이 된다. 크라우더

(Crowder)와 몰튼(Morton)은 우리는 방금 들었던 소리를 잠깐 동안

떠올릴 수 있게 되는데 이는 반향기억이라고 하였다. 그들에 의하면 반

향기억 역시 청감각 자체의 성격을 띄며 그 어떠한 변형이 일어나지 않

는 상태이다. 또한 지속 시간이 굉장히 짧아 특별한 주의가 없으면 1-2

초 이후에 소실된다.37

이러한 감각기억의 특징을 살펴본 바, 감각기억은 굉장히 짧고 불안

정한 기억의 성격을 가짐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감각기억에 등록된 정보

만이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으로 전이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음악 감상에 있

어 반향기억은 음악적 기억의 시작이 된다. 또한 변형되지 않은 청감각

35

G. Sperling. “The information available in brief visual presentations.”

Psychological Monographs, 74, 1960, 1-29. 36

B. Snyder. 앞의 책. 2016, p.168. 37

위의 책, p.168.

Page 36: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23

자체로 등록되는 유일한 기억이라는 점이기 때문에 감각 경험의 생생함

이 심상 형성의 정도를 결정한다는 점에서 장기기억으로의 저장 및 인출

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38

2) 단기기억(Short-term memory)

감각기억에서 주의, 시연, 조직화(organization)를 통하여 살아남은

정보는 단기기억에 저장된다. 단기기억 내 정보는 감각기억보다는 유지

기간이 길지만 여전히 일시적으로 5~30초 정도 저장되고 이후에는 소

실된다는 성격을 갖는다.39

용량의 제한으로 쉽게 망각되는 단기기억은 때때로 30초 이상의 정

보보존 연장 및 더 많은 용량의 정보를 수용해야 할 경우가 있다. 이 때

감각기억에서 단기기억으로 전이할 때 활용되었던 주의, 되뇌이는 시연

(rehearsal), 청킹(chunking)을 하거나 범주화하는 조직화는 유지 시간

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40 또한 이처럼 단기기억의 효율적 활용은

많은 정보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음악 감상에 있어 단기기억은 순간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단기기

억은 머릿 속으로 재생해내는 것 뿐만 아니라 순간에도 파지할 수 있기

는 성격때문이다.41 음악 감상의 경우 잠깐 전에 들었던 주선율을 다시

듣고 있음에도 이를 알아챌 수 있으려면 단기기억에서 잠깐 동안 이를

붙들고 있어야 한다.42 순간적인 단기기억의 예는 이석원43이 베토벤 운

명교향곡을 통해 제시하고 있다. 베토벤 운명교향곡 1악장 첫 4음(G-

38

위의 책, p.23. 39

J. E. Ormrod (김인규 외 공역). 『인간의 학습』. (서울 : 시그마프레스, 2009),

p.255. 40

B. Snyder. 앞의 책. 2000, p.55. 41

A. Baddeley. “Working Memory”. Science, 255, 1974, p.556. 42

이석원.『음악인지과학』. (서울 : 심설당, 2013),p.411. 43

위의 책, p.411.

Page 37: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24

G-G-E♭)이 등장하고 나서 다음 나오는 4음(F-F-F-D)을 들을 수

있는 것은 단기기억 속에 처음 4음이 순간적으로 저장되었으며 30초를

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처럼 단기기억에 저장되는 음악정보는 적은 용

량의 정보이며, 순간적으로 짧은 시간 동안 기억할 수 있게 된다.

3) 장기기억(Long-term memory)44

인간이 일반적으로 기억한다는 의미에서 사용되는 기억은 대부분 장

기기억에서 꺼내오는 정보를 의미한다. 장기기억은 정보를 영속적으로

저장 가능하며 용량 또한 무한하여 정보 저장의 제한이 없다는 특징을

갖는다.45

일반 기억 이론과 동일하게 부호화(encoding), 주의, 시연 등의 과

정을 거친 단기기억의 음악정보는 장기기억으로 전이된다. 무엇보다 부

호화 과정을 거쳐야만이 장기기억 내로 전이될 수 있으며, 이 때 충분한

반복과 시연의 과정이 함께 요구된다.

기억의 성패 여부는 인출이다. 음악정보가 장기기억 내 저장 되었음

에도 인출되지 않으면 음악을 기억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장기기억 속

의 정보를 꺼내와 인출하기 위해서는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장기기억 내

의 정보를 활성화를 시켜야 단기기억으로 보내야 한다.46 즉 음악을 기

억한다는 의미는 장기기억 속에서 저장된 음악정보를 활성화시켜 꺼내왔

다는 의미가 된다.

44

음악적 기억의 장기기억에 관한 내용은 B. Snyder. Music and Memory : An

Introduction. (Cambridge, MA : The MIT Press, 2000), p. 70-71; W. J.

Dowling. & D.L. Harwood. Music Cognition. (NY : Academic express. Inc.

1986), p.139; B. Snyder. “Chapter 11 : Memory for music”. The Oxford handbook of music psychology 2nd edi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p.170를 정리하여 작성하였다. 45

R. M. Shiffrin. & R. C. Atkinson. “Storage and retrieval processes in long

term memory” Psychological Review, 76(2), 1969, p.185. 46

위의 논문, p.182.

Page 38: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25

장기기억 내의 정보는 독립적이지 않고 관계 속에 저장된다. 이는

음악정보에도 해당되어 장기기억 내의 음악정보는 서로 관계를 갖고 있

다. 따라서 음악정보들은 서로가 인출의 근거가 된다. 스나이더는 우리

가 음악 내 특정 구간을 기억하는 것은 하나의 신호가 되고 다른 구간에

대한 기억을 돕는다고 하였다. 즉 악곡 내 하나의 선율이 다른 선율과

서로 연관되어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를 기억하는 것은 다른 선율에

대한 기억 가능성을 높임을 나타낸다.

음악정보에 대한 활성화 능력은 사람마다 차이가 있다. 그러나 정보

에 대한 활성화 능력이 낮다고 하더라도 최소한의 음악정보를 꺼내려고

하는 의식적인 행동은 정보의 활성화를 조금이라도 증진시키게 된다. 의

식적으로 음악을 기억하려는 노력 또한 인출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다.

물론 인출이 실패하는 경우도 있다. 이는 부호화 과정에 있어 오류

가 있었거나 저장 시에 오류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인출의 수월함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부호화 과정이 요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불어 한

가지의 부호화 방법이 아닌 여러 가지의 부호화 방법을 활용하여 저장되

면 인출의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여러 방법으로 저장할수록 음악적 기

억이 명확해진다.

Page 39: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26

제2절 음악적 기억을 형성하는 인지적 전략47

이전 절에서 음악은 감각기억, 단기기억, 장기기억 사이에서 일련의

저장과 인출의 과정을 거쳐 음악을 기억할 수 있음을 살펴봤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주의, 시연, 반복, 부호화가 음악정보를 저장하는 데 활용됨

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적 기억을 형성하는 데 활용되는

인지적 전략들을 정리하여 다음 <그림Ⅲ-2>과 같이 제시하였다. 본 절

에서는 음악적 기억을 형성하는 인지적 전략인 주의, 시연, 반복과 부호

화 유형인 조직화, 심상, 정교화의 성격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그림Ⅲ-2> 음악적 기억을 형성하는 인지적 전략

47인지적 전략이란 교육심리학에서 자주 활용하는 용어로, 학습자가 학습과정에

서 정보 저장, 인출, 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기억 전략을 의미한다. (Dansereau,

D.F., “Learning strategy research.” In J. Segal, S. Chipman, & R. Glaser

(Eds.), Thinking and learning skills: Relating instruction to research Vol.1.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1985)). 이러한 인지적 전

략을 음악교육에 가장 먼저 적용한 것은 승윤희(2005)의 연구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그는 음악정보의 저장 및 인출을 촉진한다는 점을 주목하여 이를 주의,

시연, 정교화, 청각적 심상, 시각적 심상 등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음악 교수학

습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그의 연구를 반영하여 인지적 전략을 구분하였으며

이를 반영하여 ‘음악적 기억을 형성하는 인지적 전략’이라고 칭한다.

Page 40: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27

1. 주의(attention)

음악을 들을 때 수많은 화음과 음들이 복합적으로 등장하지만 중심

이 되는 특정한 음들을 선택하고, 이를 지각할 수 있어야 한다. 이처럼

어디에, 얼마나 선택적 주의를 가지는지는 우리가 음악적 기억 형성에

있어 결정적인 요인이 된다.48

우리는 음악 내의 물리적 차이를 이해하고 선율에 친숙해졌을 때 음

악적 주의를 갖게 된다. 특히 물리적 특성은 주의를 가짐에 가장 큰 영

향을 미친다. 인간은 보통 작은 음량보다 강한 음량에, 낮은 음보다 높

은 음에 주의를 갖게 된다. 특히 음역이나 음량의 차이는 고음에 대한

주의를 높인다.

다울링과 하우드49는 연구를 통해 음역의 차이가 음악적 주의에 영

향을 끼침을 밝혔다. 그들은 모든 피험자들에게 익숙한 곡인 <반짝반짝

작은별>과 <Frere Jacque>를 바탕으로 실시하였으며, 음역대의 차이를

준 A선율과, 동일한 음역에서 연주된 B선율을 차례대로 들려주었다. 대

부분의 피험자들은 다른 음역대에서 연주된 선율(A)을 들을 때, 한 곡

에 집중하여 듣는 모습을 보였으며, B로 연주된 것은 무슨 곡인지 알 맞

추지 못하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음역대의 차이가 클수록 음악에 대

한 주의가 높아짐을 나타낸다.

48

W. J. Dowling & D. L. Harwood. 앞의 책, p.124. 49

위의 책, p.125.

Page 41: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28

<악보 1> 다울링(Dowling)과 하우드(Harwood)의 실험 :

음역대의 차이를 준 선율(A),동일한 음역대에서 연주한 선율(B)

검은 음표는 <Frere Jacque>, 흰색 음표는 <반짝반짝 작은별>

앞서 제시된 실험은 음색과 음량이 동일하다는 전제하에 이루어진

것이다. 그들은 나아가 B의 두 선율에 악기를 차별을 두어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동일한 음역대에서 연주되더라도 악기 음색이 다르다면 피험

자들은 두 선율 중 하나에 주의를 가지며 들을 수 있었다. 이처럼 악기

음색의 구분을 통해서도 음악적 주의를 가질 수 있다.

두 번째로, 귀에 익숙한 멜로디에 주의를 기울이게 된다.50 앞서 제

시한 음역의 차이, 음색, 음량과 같은 물리적 특성에 대한 이해가 존재

하지 않더라도, 친숙한 음악이라면 그 음악에 주의를 갖기가 수월해진다.

음악 작품에 대한 반복적인 경험은 음악을 친숙하게 만들어 음악의 선율

에 주의를 가짐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생각 가능하다.

2. 시연(rehearsal)

인지심리학에서 시연이란 기억해야 할 정보를 되뇌이는 행위를 의미

한다.51 스나이더52는 시연은 단기기억의 일시적 저장과 장기기억에 영

속적인 저장에 있어 모두 요구되는 인지적 작용이라는 점에서 음악적 기

50

박유미. 앞의 책, p.109. 51

J. R. Anderson. Cognitive Pyschology of and Its Implications. (NY :

Freeman,1990), p.151-153. 52

B. Snyder. 앞의 책, 2000, p.53.

Page 42: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29

억 형성에서 필수적이라고 말한다. 음악적 기억에서의 시연이란 시간의

한계를 갖는 청각정보를 유지하기 위하여 의식적으로 되뇌이는 것을 말

하는 것으로 복잡한 음악 패턴들을 기억할 수 있는 이유 중 하나도 역시

시연 행위를 꼽을 수 있다.53 이러한 시연은 반복적으로 수행될 때 더욱

빛을 발한다는 점에서 인지적 전략 중 하나인 반복과 함께한다.

시연의 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가네(Gagne)가 제시한 외현적 시연

과 내현적 시연으로 구분하는데,54 이는 음악정보에서도 동일하게 적용

된다. 전자는 직접 소리를 내며 반복적으로 되풀이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후자의 경우, 의식적으로 되뇌이는 능동적 성격을 갖는 것은 외현적 시

연과 동일하지만, 직접적인 소리 없이 마음 속으로 음악을 되뇌이는 활

동을 의미한다.55 외현적 시연과 내현적 시연은 음악을 의식적으로 떠올

리게 하여 음악을 기억하는 데 중요한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음악 감상에서의 시연은 스나이더56가 제시한 예를 통해 다시 한번

설명할 수 있다. 30초마다 동일한 선율이 등장한다고 생각했을 때 이를

기억하는 것은 연속적인 선율을 기억하는 것보다 더 어렵다. 30초 후 다

시 등장할 그 선율을 기억하기 위해서는 보다 의식적인 되뇌임의 과정을

가져야만 한다는 것이다. 이는 선율을 머릿속으로 의식적으로 되뇌이는

시연의 과정을 가질 때 우리는 음악을 더욱 빨리 기억할 수 있음을 나타

낸다.

3. 반복

반복은 음악 뿐만 아니라 모든 분야에서 강조되는 인지적 전략임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음악 감상에서도 수많은 음악정보를 수

53

위의 책, p.53. 54

R. M. Gagne. (전성연, 김수동 공역). 『교수–학습이론』. (서울 : 학지사, 1999),

p.99. 55

승윤희. 앞의 논문. 2005, p.52. 56

B. Snyder. 위의 책. 2000, p.52

Page 43: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30

용해야 한다는 점에서 반복을 통해 어느 정도의 자동적 처리가 요구된다.

음악에 대한 자동적 처리는 충분한 반복이 이루어졌을 때 수월해진

다.57 일정 정도 이상의 반복적 경험은 부호화, 높은 주의, 시연 등과 같

은 인지적 전략이 작용하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처리하도록 돕는다. 자

동적 처리가 용이해질 경우 다른 음악정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

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는 용량의 제한이 있는 단기기억을 보완하여

더 많은 음악정보를 수용할 수 있음을 기대할 수 있으며 나아가 더욱 고

차원적인 음악 감상을 이끌어낼 수 있게 한다.

음악의 일정 부분만 들어도 그 다음에 등장할 선율에 예상할 수 있

게 된다.58 음악에 대한 반복적 경험은 다음에 나올 음악에 대한 예상감

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음악에 대한 예상감은 음악 자체에 대한

성취감을 높이고 친숙하게 하며 음악적 흥미를 높이게 된다.

4. 부호화

단기기억의 정보가 장기기억에 전이되기 위해서 변형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를 부호화라고 한다.59 우리가 듣는 음악은 머릿 속에 처음의

성질 그대로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부호화를 통해 변형 과정을 거치게

된다.

부호화의 체계 정도는 음악적 기억의 정도를 결정한다.60 인지심리

학자 크래이크(craik)와 록허트(Lockhart)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부호

화 과정을 거치고 확실한 부호화 과정을 거치는 것은 정보의 저장뿐만

아니라 인출의 가능성을 높인다고 하였다.61 음악정보도 마찬가지로 체

57

승윤희. 앞의 논문, 2005, p.64. 58

권덕원 외. 앞의 책, p. 115. 59

R. M. Shiffrin & R.C. Atkinson. “Storage and retrieval processes in long-

term memory”. Psychological Review , 76(2), 1969, p.182. 60

박유미. 앞의 책, p.126. 61

N. Segalowitz et al., “Musical recall memory : contributions of elaboration

Page 44: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31

계적이고 여러 방법으로 부호화 과정을 거치는 것은 음악적 기억을 명확

하게 한다. 이러한 점에서 조성기62는 부호화를 음악적 기억 형성에 있

어 기억 전략이라고 표현하였다.

다음은 음악정보를 장기기억으로 저장하는 과정에서 주요 역할을 하

는 부호화 유형들을 살펴보겠다. 본 연구에서는 승윤희의 연구를 참고하

여 부호화 유형을 조직화, 심상(청각적 심상, 시각적 심상), 정교화로 구

분하였다.63 이를 중심으로 음악적 기억의 부호화 유형을 살펴보고자 한

다.

1) 조직화(organization)

조직화된 음악정보는 효과적으로 저장된다. 일반적인 기억 이론에서

의 조직화란 관계된 정보들을 일정 기준이나 범주로 묶어 저장의 효율을

높이는 것을 의미한다.64 이는 음악적 기억에서도 적용되어 음악정보의

조직화가 이루어질 때 기억해야 할 용량이 줄어들게 된다.65 이러한 조

직화는 부호화 과정 뿐만 아니라 제한된 용량을 가지는 단기기억에서도

강조된다는 점에서 전체 기억의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비

전공자의 경우 음악적 기억을 형성할 때 전공자에 비하여 음악적 패턴과

형태에 중점을 두게 된다는 점에서 조직화는 비전공자들의 음악적 기억

형성에 중요한 인지적 전략이라 할 수 있다.

(1) 청킹

밀러(Miller)에 따르면 인간은 기억 능력의 한계로 각각의 정보를

and depth of processing”. Psychology of music and music education, 29(2),

2001, p.140에서 재인용. 62

조성기. “셴커식 분석이론과 음악적 인지”. 『음악교육공학』, 8, 2009, p.14. 63

승윤희. 앞의 논문. 2005, p.55. 64

A. E. Woolfolk.(김아영 외 공역).『교육심리학』. (서울 : 학문사, 2001), p.277 65

이석원. 앞의 책, p.414.

Page 45: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32

저장하는 것이 아닌 ‘청크 ’로 묶어 저장하여 기억의 효율성을 추구한

다.66 그가 제시한 청킹은 음악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67

악곡 내의 모든 음들을 독립적으로 기억하지 않고 음들의 연속(선

율)으로서 청킹하게 될 때, 효과적으로 저장된다. 청킹이란 유사하거나

비슷한 대상을 하나의 범주로 묶는 것을 의미한다. 음악에서의 청킹은

음들의 연속을 일정한 기준으로 덩어리화하는 것을 말한다.68 우리는 음

악적 기억의 과정에서 청킹을 통해 효율성을 추구하게 된다. 각각의 음

을 기억하는 것이 아닌 음들을 덩어리화하여 저장한다면 기억해야 할 덩

어리의 수는 줄어들게 되고 이는 음악을 기억하는 데 수월해진다.

이석원은 전공자들이 비전공자들에 비하여 음악적 기억 능력이 월등

히 높은 이유도 음들의 덩어리화 하는 방식을 터득하여 의미있게 청킹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69 더불어 그는 전공자들이 음악을 단위화하

여 프레이즈를 인지하는 데 능숙하다고 하였으며 이에 비하여 비전공자

들은 음덩어리를 하나의 정보로 보는 데 능숙하지 못하며 음을 독립적으

로 보려고 하는 경향이 높음을 말하였다.

음악에 대한 청킹 능력은 신체의 움직임(body movement)과도 밀

접한 관련이 있다. 젠세니우스와 그의 동료들(Jensenius et al.)70에 의

하면 음악적 청킹은 신체의 움직임을 동반하는데, 이는 연주자 뿐만 아

니라 청자에게도 해당된다. 그들의 연구에 따르면 연주자는 음악을 표현

하기 위하여 신체를 활용하지만 감상자는 음악을 수용하기 위하여 몸을

움직인다. 이 때 감상자의 신체 움직임은 단순한 움직임이 아니라 음악

적 특징 및 프레이즈를 반영한 움직임이며 이는 ‘청킹 ’에 기반한 것이

66

G. A. Miller. “The magical number seven, plus or minus two: Some limits

on our capacity for processing information”. Psychology Review, 63, 1956. 67

권덕원 외, 앞의 책, p.117; B. Snyder. 2000, p.36. 68

박유미. 앞의 책, p.121. 69

이석원. 앞의 책, p.400. 70

A. R. Jensenius. et al. “Chapter 2 : Musical Gestures : Concepts and

Methods in Research.” Musical Gestures : Sound, Movement, and Meaning.

(NY : Routledge, 2010), p.18.

Page 46: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33

다.71 다시 말하면, 인간은 음악을 감상할 때 음악의 덩어리, 즉 청크를

신체의 행위와 관련시키게 됨을 의미한다.

더불어 그들은72 전문적인 무용가의 경우, 청자로서 음악을 수용하

는 행위(sound-accompanying actions)에 능숙한 사람으로 말하고 있

다. 전문 무용가는 음악적 특징을 잘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신체 무용

을 하는 데 이 때 청킹을 능숙하게 한다는 것이다. 전문적인 무용가의

경우 신체를 통하여 음악의 프레이즈에 따라 청킹이 가능하며, 이에 비

해 반대로 비전문가인 일반 사람들은 전문가만큼 신체의 행위와 함께 청

킹하는 것이 어려움을 나타낸다.

(2)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선율 윤곽(melodic contour)

대부분의 음악에서는 반복적으로 일정 패턴의 음형이 등장한다. 선

율 윤곽을 기억하는 것은 음악 감상 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동일한 음

형을 동일한 범주로 바라보는 것은 기억의 효율성을 높인다. 73 이러한

선율 윤곽은 단기기억에 저장 뿐만 아니라 장기기억 저장에 있어서도 중

요할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음악적 기억에 있어 중요한 요소가 된다.74

선율 윤곽(melodic contour)은 절대 음고와의 관계에서 벗어난 독

립적인 음형을 의미한다.75 동일한 음형을 갖는 선율들을 하나의 범주로

보게 될 때 음악의 흐름을 읽는 데 용이해진다.76 이와 같이 음고와 음

정은 다르나 동일한 음형을 가진 선율을 하나의 범주로 인지할 수 있는

71

R. I. Godoy et al. “Chunking in Music by coarticulation”, Acta Acustica

united with Acustica, 96(4), 2010, p.690. 72

위의 책, p.13. 73

R. E. Radocy & J. D. Boyle.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Musical

Behavior, (Springfield : Charles C Thomas, 2012), p.231. 74

A. R. Halpern & J. C. Bartlett. “Chapter 8 : Memory for melodies.” In

Music Perceptions. M. R. Jones et al.(eds.), (NY : Springer Hnadbook of

Auditory Research. 2010), p.243. 75

위의 책, p.243. 76

박유미. 앞의 책, p.119 .

Page 47: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34

것은 선율 윤곽을 기억하기 때문이다.77 특히 음악적 경험이 적은 사람

들은 음악적 기억을 형성할 때 리듬과 패턴에 의존하는 경향이 높다. 이

러한 점에서 선율 윤곽에 대한 기억은 비전공자들이 음악의 흐름을 구조

적으로 읽는 데 결정적인 요소가 된다.

워커 외(Walker et al.)78는 선율 윤곽에 의존하여 음악적 기억을 형

성함에 대한 예를 ‘생일 축하곡’을 통해 들고 있다. 그는 피아노 반주가

어느 조에서, 어느 음에서 시작하던 간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생일 축하

곡 ’을 부를 수 있는 것은 선율 윤곽을 기억하기 때문이라고 말하였다.

이는 동일한 윤곽을 가진 선율이 다른 조성이나 음고에서 등장하더라도

하나의 범주로 보게 될 수 있음을 확인시켜 준 연구이다. 더불어 하나의

선율 윤곽을 기억하는 것은 새로운 윤곽이 등장할 때 새로운 주의를 기

울일 수 있음을 생각해 볼 수 있다.

2) 심상(imagery)

심상이란 이전의 감각 경험을 활용하여 마음 속에 무언가를 떠올리

는 것을 의미한다. 심상론자 핀케(Finke)는 심상은 감각에 대한 직접적

인 자극 여부를 떠나 이전의 어떤 경험에 대한 것을 실제와 비슷하게 떠

올리는 것이라고 정의하며 기억의 과정에서 중요한 방식이라고 언급하였

다. 79 우리는 이러한 심상을 통해 마음 속에 무언가를 떠올릴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심상은 음악을 기억하는 하나의 방식이 된다.

음악에서의 심상은 자신의 감각을 통해 경험했던 어떠한 대상과 함

께 음악을 떠올리는 것이다. 심상은 다른 인지적 전략과 다르게 음악적

77

R. E. Radocy. & J. D. Boyle. 앞의 책, p.231. 78

M. Walker et al. “The role of working memory in melodic perception”.

CogSci, 2015, p.2553.

79 R. A. Finke. Principles of Mental Imagery. (Cambridge, MA : The MIT

Press, 1989).

Page 48: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35

정서를 유발하게 하는 특성을 갖는다. 문혜령은 심상을 유도하는 우리의

경험과 생각은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정서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80 따라서 음악에서의 심상은 마음 속으로 음악을 기억하게 하는

것뿐만 아니라 정서를 갖도록 한다는 데 가치가 있다.

일반적으로 심상은 감각 경험의 정도에 따라 형성 정도가 달라진

다.81 구체적인 감각적 경험을 가질수록 더욱 심상이 생생해진다는 것이

다. 음악적 심상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섬세한 감각 경험이 갖춰야 함을

생각해볼 수 있다.

감각 자극의 다양함으로 심상의 종류도 일반적으로 오감, 운동감각,

공간감각 등을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겠다. 그러나 음악에서의 심상은

주로 청각적 심상을 중심으로 시각적 심상과 함께 설명되고 있다.82 따

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 심상과 청각적 심상, 두 종류의 심상을 중심

으로 살펴 보고자 한다.

(1) 시각적 심상(visual imagery)

시각적 심상이란 이전에 경험한 시각적 대상이나 사건을 떠올리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실제 경험한 대상이 가지는 형태와 성질을 반영하

여 떠올리게 된다.

음악에서의 시각적 심상은 자신이 이전에 경험했던 시각 대상을 음

악과 함께 떠올리는 것이다. 민경훈 외83는 시각적 심상의 예로 음악과

함께 악기 모양, 음악 관련 그림 등을 떠올리는 것을 들고 있다. 그러나

음악에서의 시각적 심상은 음악 관련 시각적 대상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

80

문혜령. “심상을 활용한 음악학습”.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

원, 2013), p.15 81

조주연, 이원영. “심상의 뇌과학적 이해와 초등 교수 학습의 방향”. 『초등교

육연구』. 18(2), 2005, p.78. 82

민경훈 외. 앞의 책, p.131. 83

위의 책, p.131.

Page 49: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36

니다. 음악을 어떠한 시각적 대상과 함께 떠올렸다면 그것은 시각적 심

상이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청각적 심상에 비하여 시각적 심상은 시

간적 제약이 적다는 점에서 음악을 구체적으로 기억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음악 감상 시 시각적 심상은 중요하다. 그 이유는 시각적 심상은 음

악이 갖는 청각적 이미지를 수용 및 음악적 분위기를 파악하도록 하여

음악적 기억을 형성함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된

연구는 다음울 통해 살펴 볼 수 있다.

박은희와 하주현84은 자기주도적인 그림 그리기 활동을 통한 시각적

심상 유도가 음악 요소 이해 및 정서를 형성하며 음악적 기억에 긍정적

영향을 끼침을 밝혔다. 그들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각적 심상, 토의, 강

의식 수업으로 집단을 분류하여 감상 수업을 실시하여 음악적 기억에 미

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봤다. 시각적 심상 중심의 수업을 진행하는 학생

들에게는 음악을 듣고 느껴지는 것을 연상해보고 그림을 통해 그려보도

록 하였으며 토의를 활용한 수업에서는 음악에 대해 느껴지는 심상을 글

로 적어보고 토의해보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 강의식 수업보다 시각적

심상이나 토의를 활용한 학생 주도적인 감상 수업이 음악적 기억에 효과

적임을 밝혔다. 그 과정에서 음악에 대한 정서를 형성하였으며 음악 구

성 요소를 감지하여 그림으로 나타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그림 그리기

활동을 통한 시각적 심상 형성이 음악의 개념을 읽어내고 음악에 대한

감정 형성 도움이 되어 음악적 기억에 긍정적 영향을 끼침을 보여주는

유의한 연구라 할 수 있다.

오지향85의 연구에서도 음악적 기억을 형성하는 시각적 심상의 활성

화가 청각적 이미지 및 분위기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됨을 알 수 있다.

그는 초등학생들에게 음악을 듣고 그림을 그려보도록 하였으며 뒷면에

이에 대한 설명을 적어보도록 하였다. 학생들이 음악의 흐름에 따라 그

림을 수정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그들은 템포, 박자, 리듬, 가

84

박은희, 하주현. 앞의 논문. 85

오지향. “어린이들의 음악 경험에 대한 실험적 연구: 음악의 정서적 반응에

대한 시각적 표현”. 『서양음악학』. 10(1), 2007.

Page 50: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37

락 등 청각적 이미지를 그림과 연결시킴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의 다른

연구 86에서도 역시 학생들이 음악을 들으며 그린 그림을 분석한 결과,

그림 속의 이미지가 음악의 구성 요소들을 연결지어 그린 것임을 보여준

다는 점에서 직접적인 시각적 표상화는 단순 연상을 통한 표상화를 넘어

서 음악 구성 요소를 파악하고 분위기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됨을 나타

낸다.

이 두 연구는 직접적인 시각적 심상 형성이 음악을 이해하도록 하여

음악적 기억까지 이어짐을 보여주는 연구이다. 그리고 두 연구에서는 심

상 유도 시 글을 써보거나 말을 하는 등의 언어를 활용하였는데, 이는

음악에서의 심상은 언어적 양식을 결합할 때 음악적 기억이 더욱 명확해

짐을 주장하는 승윤희87의 주장에 부합하기도 한다. 따라서 시각적 심상

과 언어적 양식을 결합한 음악 감상은 더욱 명확한 음악적 기억을 형성

할 수 있음을 생각해볼 수 있다.

(2) 청각적 심상(auditory imagery)

음악적 기억은 청각정보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청각적 심

상의 형성이 강조된다. 청각적 심상은 일반적으로 “우리 마음 속에 떠오

르는 음악적 소리에 대한 기억”(p.131) 88 을 의미하며 내청(inner

hearing)을 말하기도 한다. 청각적 심상은 청각정보를 많이 저장할 수

있게 하는 유용한 방법이 된다.89

학자들은 청각적 심상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인톤즈

86

오지향. “어린이들의 그림에 나타난 표제음악의 음악적 이미지 분석 연구”.

『예술교육연구』. 8(1), 2010. 87

승윤희. “지식표상이론과 음악지식의 표상”.『음악교육연구』,27, 2004,

p.145. 88

민경훈 외. 앞의 책, p.131. 89

F. A. Bailes. “Musical Imagery : Hearing and Imaging Music”. (PhD thesis,

University of Sheffield, 2002), p.1; 그는 청각적 심상에 대하여 설명하면서 고

든의 오디에이션을 함께 설명하였다.

Page 51: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38

-피터슨(Intons-Peterson)90은 청각적 심상을 “장기기억에 저장된 청

각적 경험에 대한 자기 성찰적인 잔상”(p.46)이라고 정의한다. 고든

(Gordon)은 이를 ‘오디에이션’(audiation)이라고 표현하였다.91 그는 현

재 듣지 않은 소리를 듣는 것이라고 정의하며 소리를 상상한다는 의미를

더해 ‘오디에이션’이라고 칭하였다.92 또한 음악의 특징과 흐름을 파악하

기 위해서는 오디에이션 능력을 발달시켜 한다고 주장하며, 박자와 리듬

을 중점을 둔 리듬 오디에이션과 조성적 맥락을 중점을 둔 음 오디에이

션으로 구분지어 설명한다. 민경훈 외93는 청각적 심상을 내청 능력이라

고 말하며, 악기 음색, 음악적 분위기 등과 같은 섬세한 청각 기억으로

정의한다. 여러 학자들의 정의를 살펴본 바, 청각적 심상은 음악을 구성

하는 청각적인 특징들을 마음 속으로 표상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청각적 심상은 시각적 심상과 동일하게 감상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표상된다. 그러나 시각적 심상은 시간의 제약이 없지만, 청각적 심상은

청각적 경험과 연관된다는 점에서 시간적 한계를 갖게 된다. 따라서 시

각적 심상에 비하여 청각적 심상은 음악정보의 저장 과정에 있어 더 높

은 집중이 요구된다.94

청각적 심상은 음악의 재료가 되는 리듬, 박자, 음색 등을 내포한

선율(melody)에 관한 기억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95 이 중 음색에 대

한 기억은 이 외의 요소를 담고 있는 선율에 대한 기억과는 독립적인 성

격을 가진다. 96 본 연구에서는 이를 반영하여 박자, 리듬, 셈여림 등을

90

M. J. Intons-Peterson. “Components of Auditory Imagery”. In D. Reisberg

(ed). Auditory Imagery,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14),

p.46. 91

위의 논문, p.4. 92

민경훈 외. 『음악교수학습방법』. (서울 :학지사, 2017), p.191에서 재인용. 93

민경훈 외. 위의 책. 2016, p.131에서 재인용. 94

A. R. Halpern. “Musical Aspects of Auditory Imagery”. In D. Reisberg (ed).

Auditory Imagery,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14), p.3 95

M. J. Intons-Peterson. 앞의 책, p.53. 96

K. Schulze & B. Tillmann. “Working memory for pitch, timbre, and words”.

Memory, 21(3), 2013, p.380.

Page 52: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39

포함하는 선율과 이와 독립적인 특징을 갖는 음색으로 구분하여 살펴보

겠다.

먼저, 음색을 제외한 선율에 관한 청각적 심상의 경우 외현적 시연

(rehearsal)할 때 더욱 촉진된다. 특히 언어와 신체를 활용하여 외현적

시연을 하는 것이 인간의 청각적 심상을 촉진한다. 이는 다음의 연구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홍승연97은 청각적 심상의 중요 요소인 다이내믹, 리듬, 박자, 음정

등을 반영하여 중성음절로 주제선율을 부르고 신체 활동과 함께 노래 부

르는 활동을 개발하고 이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수업에 적용하였다. 그

의 관찰 및 교사들의 의견에 따르면, 중성음절로 부르는 활동 그리고 중

성음절로 부르며 신체동작을 하는 활동이 음악을 이루는 구성 요소에 대

한 이해에 도움이 됨을 되었음을 밝혔다.

이유진 외98는 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고전 기악음악에 가사를

붙여 부르도록 하였다. 그들은 노래 부르기가 청각적 자극을 활성화한다

는 결론을 제시하였으며, 일반적인 감상 방식보다 주제선율에 대한 기억

을 지원하며 음악 전체를 지각적으로 감상하는 데 도움이 됨을 보여주었

다.

둘째, 음색 또한 청각적 심상을 형성하는 음악 재료 중 하나로, 음

색은 진동의 파형에 의해 생기는 음의 감각적 특징으로 정의할 수 있으

며, 청각적 심상 유발에서는 독립적인 성격을 보인다. 또한 음색은 동일

한 음고, 음량의 선율을 구분 지을 수 있다는 음악적 재료라는 점에서

독립적인 성격을 갖기도 한다.99 음색은 음량, 음고와 리듬과 같이 데시

벨, 빠르기, 헤르츠로 수치로 나타낼 수 없기 때문에 다른 음악적 재료

보다 감각에 의존하는 경향이 높다.100

97

홍승연. “움직임이 있는 능동적 음악 감상 교수 학습 방안 모색”.『음악교육

공학』, 13, 2013. 98

이유진 외. 앞의 논문. 99

R. E. Rodocy & J. D. Boyle. (최병철, 방금주 공역). 『음악심리학』. (서울:학

지사, 2001), p.125. 100

홍요섭. “음악의 구성요소로서 음색의 중요도에 대한 변천과정”.『음악교육

Page 53: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40

이러한 음색을 마음 속으로 떠올리기 위해서는 악기 음색에 관한 감

각 경험과 이해가 요구된다. 악보상의 동일한 음을 내더라도 두 개의 악

기를 구별할 수 있는 것은 음색의 차이를 인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

히 여러 악기가 등장하는 합주곡은 적절한 조합을 통해 음악을 이끌어

나간다. 일반적으로 작곡가는 작품 내에서 악기 음색의 차이를 둘 경우

선율 악기군과 반주 악기군으로 구분지어 음악의 주선율에 집중할 수 있

도록 한다. 독주곡은 한 악기로 연주되기 때문에 한 악기 음색을 통해

다양한 색채감을 형성한다. 따라서 악기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선행되

어야만 음색에 대한 청각적 심상을 형성을 가질 수 있다.

3) 정교화(elaboration)

정교화는 기존의 정보와 연결지어 새로운 정보를 저장하는 부호화

유형 중 하나로 정교화의 정도는 정보의 기억의 정도를 결정한다.101 이

와 같은 정교화는 음악에도 적용되어 새로운 음악정보 저장 시 기존의

정보와 관계지어 저장하게 됨을 의미한다.102 이러한 점에서 음악심리학

자 박유미는 정교화를 관계성을 획득하는 과정이라고 설명하며, 기존 지

식과 경험이 많을수록 정교화가 활성화된다고 말하였다.103

음악심리학자 슬로보다(Sloboda)는 우리가 이전에 어떤 지식을 가

지고 있는지는 음악 감상의 방식을 결정한다고 말하였다.104 그에 의하면

음악을 지각하는 것은 자신의 기존 지식과 관련시키는 것이다. 3부 형식

(ABA)의 음악을 듣는다고 가정해볼 때, ABA의 구조에 대한 기존 지식

공학』. 17, 2013, p.43. 101

M.W. Eysenck “Chapter 5 : Depth, Elaboration, and Distinctivenss”. In

Levels of Processing in Human Memory, (Oxford : Lawrence Erlbaum, 2015),

p.91. 102

승윤희. 앞의 논문, 2005, p.55. 103

박유미. 앞의 책, p.109. 104

J. A. Sloboda.(서우석 역). 『음악의 심리』. (서울 : 심설당, 1993), p.272.

Page 54: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41

이 있을 때 이 음악의 흐름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A

의 선율을 기억해야만 B와의 선율이 대조됨을 파악할 수 있겠다. 이처럼

음악이 가지는 개념에 대한 지식과 함께할 때 음악을 감상 시 음악의 흐

름과 특징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105 음악정보를 정교화하여 저장

하게 된다.

정교화에서 말하는 기존의 정보는 객관적 지식 뿐만 아니라 경험 또

한 중요한 정보가 된다. 린네 외(Rinne, et al.)에 따르면 음악을 포함하

여 다양한 예술활동에서 의식적으로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활용하도록

하는 것은 장기기억으로의 저장을 도우며 기억을 정교화한다.106 이는 음

악 감상 시 자신이 경험했던 생각과 사고를 음악과 연관 지어보려 하는

의식적인 활동은 음악을 이해하고 기억을 도울 수 있음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다른 인지적 전략도 마찬가지이나 정교화는 기존의 정보와 연관지어

새로운 정보를 수용한다는 점에서 음악적 경험과 지식이 많은 전공자들

이 월등하게 높을 수 밖에 없다. 음악적 경험과 지식이 많다는 것은 축

적된 기존의 정보가 많다는 의미이며 이는 새로운 음악을 들을 때 이해

를 높이기 때문이다. 이는 비전공자들에게는 지식과 경험을 함께 제공할

때 기억의 정교화가 촉진됨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제3절 음악 감상 수업에서 음악적 기억 활용 가능성 및

수업 설계 방향

우리가 음악 내 무엇을 얼마나 기억하는가는 음악 감상의 수준을 결

정한다. 음악심리학에 따르면 음악적 기억은 단순한 반복을 통해 형성되

105

박유미. 앞의 책, p.147. 106

L. Rinne et al., “Why arts intergration improves Long-term memory r

etention of content”. Mind, Brain, and Education. 5(2), 2011, p.91.

Page 55: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42

는 것이 아니다. 반복 또한 중요한 요인이 되지만 음악적 기억을 형성함

에 있어 부호화(조직화, 심상, 정교화)가 얼마나 체계적으로 이루어졌는

지, 주선율에 대한 주의를 제대로 가졌는지, 능동적으로 시연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쳤는지 등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질 때 명확한 음악적 기억

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인지적 전략은 그냥 암기를 위한 전략이 아니라

음악을 이해하는 과정이 함께함을 의미한다.

음악적 기억을 형성하는 인지적 전략은 음악적 지식과 경험이 풍부

해야만이 능숙하게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음악 전공자에 비하여 음악

적 경험과 지식이 부족한 일반 학생들은 음악적 기억을 형성하는 인지적

전략의 활용 능력이 부족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학생들의 인지적 전략

의 활용을 도와줌으로써 한 작품에 대한 음악적 기억을 형성할 수 있도

록 하여, 보다 더 높은 음악 감상 수준으로 끌어 올려주는 것은 음악교

육적 가치가 있을 것이다.

음악교육학자 승윤희는 음악적 기억을 형성하는 인지적 전략들의 촉

진을 고려한 음악 수업은 학생들에게 음악의 질서를 파악하고 개념을 습

득할 수 있도록 하여 음악을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는 수

업이 될 수 있다고 말한다.107 이는 음악적 기억을 형성하는 인지적 전략

을 활용하여 교수학습 방법을 고안하는 본 연구가 학생들이 음악의 구성

요소를 이해하며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지도 방안이 될 수 있음을 기대

가능케 한다.

본 연구에서 이와 같은 기대를 충족하기 위하여 앞서 제시한 6가지

인지적 전략에 대한 감상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먼저, 음악

의 구성 요소를 파악하며 감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교수학습 방법 가

능성을 갖는 조직화, 심상(청각적 심상, 시각적 심상), 정교화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조직화는 음악을 구조적으로 혹은 일련의 기준 속에서 음악정보를

범주화하는 부호화 유형 중 하나이다. 조직화는 학생들이 음악을 질서

107

승윤희. 앞의 논문. 2005, p.55-56.

Page 56: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43

있게 감상하는 데 기초가 되며, 단기기억과 장기기억 모두 영향을 끼친

다는 점에서 수업모형의 단계에서 우선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직화의 성격을 바탕으로 감상교육에 활용 가능성을 생각해보면 두 가

지로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음덩어리(청크)를 묶어 들을 수 있도록 하는 기회를 제공하여

음악의 프레이즈에 집중해볼 수 있도록 한다. 먼저, 학생 자신이 의식적

으로 나름의 규칙을 설정하여 들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음

악의 프레이즈 및 음악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 기초가 될 수 있다. 이에

그치지 않고 이후 교사가 의미있게 청킹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학습활동

을 제공하여 학생들에게 프레이즈에 대한 이해를 올바르게 이끌 수 있겠

다. 둘째, 작품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패턴이나 선율을 중심으로 학

습해야 한다. 대부분의 음악은 일정한 패턴의 반복을 가지고 있다. 반복

적으로 등장하는 패턴을 이해하고 기억할 수 있도록 학습활동을 제시하

는 것은 음악을 이해하는 데 기초가 된다.

심상은 자신의 경험과 함께 음악을 마음 속으로 떠올리는 것임을 하

는 인지적 전략임을 설명했다. 앞서 살펴본 바처럼 청각적 심상과 시각

적 심상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겠다.

시각적 심상은 음악을 마음 속에 이전에 경험한 시각적 대상과 연관

지어 떠올리는 것을 의미한다. 시각적 심상의 경우, 학생들마다 가지고

있는 생각과 경험이 다르기 때문에 이는 학생들이 각각 주도적으로 시각

적 심상을 떠올릴 수 있는 수행할 수 있는 유도하도록 해야 함이 바람직

하다. 무엇보다 시각적 심상은 음악의 구성 요소 이해와 함께 정서 형성

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점에서, 이를 고려한 수업을 제공하는

것은 더욱 의미 있을 것임을 생각 가능하다. 또한 음악이 언어적 양식과

함께 결합했을 때 심상 형성이 높아짐을 고려하여 학생들에게 언어를 적

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심상 형성을 촉진에 도움이 될 것

임을 기대해볼 수 있다.

청각적 심상은 음악에 대한 청각 경험을 바탕으로 마음 속으로 음악

을 떠올려보는 인지적 전략이며, 섬세한 청각 경험을 가질 때 정교한 청

Page 57: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44

각적 심상을 유발할 수 있다. 더불어 제3장∙2절에서는 청각적 심상이 듣

기만 하는 것보다 외현적 행위와 함께 할 때 청각적 심상을 잘 수용함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박자, 셈여림, 악기 음색 등 음악이 가지는 여러 청

각적 특징들과 함께 떠올려 볼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에게 외현적 행위를 통하여 음악을 이루는 박자, 리듬, 음색 등과

같은 청각적 특징에 대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하는 것이 청각

적 심상 형성에 효과적일 것이다.

정교화는 새로운 정보를 기존의 정보와 연관짓는 인지적 전략이다.

이를 바탕으로 활용 가능성을 두 가지를 생각해볼 수 있다. 첫째, 이전

단계에서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수업의 마지막 단계에서 학습한 음악

을 바탕으로 전체적인 음악의 구조에 대한 학습을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학생들은 기존 음악적 지식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수업의 과정에서 음악의 특징과 개념에 무엇인지 함께 설명과 함께 학습

되어야 하는 것이 적합할 것이다. 둘째, 시각적 심상과 연계하여 학습활

동을 제시한다. 기존의 경험을 의식적으로 활용할수록 기억이 정교화된

다는 점에서 심상과 교집합을 가진다. 이러한 공통점을 고려하여 수업

설계를 한다면 질서 있는 수업안이 될 것이다.

주의, 시연, 반복은 수업의 전 과정에서 요구되는 정신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조직화, 정교화, 심상을 활용한 교수학습 활동

과정에서 이 3가지 인지적 전략을 교사에게 수업 시 고려할 사항으로

제시한다면 음악을 기억하고 이해하며 감상하는 데 더욱 효과적인 수업

이 이루어질 것이다.

먼저, 주선율에 대한 음악적 주의는 음악을 감상하는 데 가장 기초가

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두 가지 고려 사항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먼

저, 주선율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활동을 마련해야 한다. 음악을 들

을 때, 주선율에 집중 할 수 있는 경험은 주선율에 대한 음악적 주의를

높일 것이다. 둘째, 집중할 수 있는 수업환경을 조성해야 함이다. 음악

자체에 집중할 수 있는 수업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음악 자체에 주의를

Page 58: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45

유도할 수 있는 기초가 된다.

시연은 음악을 되뇌이는 과정으로, 반복적인 시연은 음악을 익숙하

게 하여 기억을 돕는다. 중학생이 대상이라는 점에서 내현적인 시연보

다는 실제 말을 통해 음악을 되뇌여 보는 외현적 시연의 과정을 거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는 음악을 직접적으로 기억하도록

도우며 음악을 친숙하게 느껴지게 하여 더불어 음악에 대한 흥미도 증진

을 기대할 수 있다.

음악에 대한 반복적 감상은 음악정보 처리에 자동화를 활성화하여

더 고차원의 음악 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다음에 등장한 선율에

대한 기대감을 갖게 하고 음악을 친숙하게 함을 살펴봤다. 따라서 교사

는 수업의 전 과정에서 단 번의 감상이 아니라 반복적인 감상을 통해 음

악을 친숙하도록 도와 더 많은 음악 요소를 이해하고 명확한 음악적 기

억을 가질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이와 같이 음악적 기억을 형성하는 인지적 전략에 대한 활용 가능성

을 살펴본 바, 조직화, 정교화, 심상의 경우 프레이즈, 음색, 박자, 리듬

등 음악의 구성 요소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활동으로서 주의, 시

연, 반복은 수업 시 고려 사항으로 학습의 전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지

침으로 제시한다면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이 나올 것임을 살펴볼 수 있

었다. 이를 반영하여 제5장에서 제시할 지도 방안에 대한 설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음악과 개정 교육과정 고찰을 통해 제시한 개괄

적인 지도 방향과 평가 방향을 반영한다. 따라서 수업모형의 첫 단계에

서 음악의 배경에 대한 학습을 구성하며, 마지막 단계에서는 평가를 위

하여 실음 지필 평가를 중심으로 내용 평가와 자기 평가를 구성하도록

한다.

둘째, 인지적 전략을 활용하기에 적합한 악곡을 선정 및 분석 후 중

학생들이 학습하기에 적절한 지도 요소를 확인 및 추출한다.

셋째, 앞서 모색한 음악적 기억을 형성하는 인지적 전략들에 대한

Page 59: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46

이론적 탐색과 활용 가능성과 바탕으로 하여 이를 충족할 수 있는 수업

모형 및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여 학생들이 음악 작품을 기억하고 이

과정 속에서 음악의 구성 요소 및 개념을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

도록 한다.

Page 60: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47

제4장 음악 감상곡 선정 및 악곡 분석을 통한 지

도 요소 선정

제1절 음악 감상곡 선정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음악 감상 지도 방안을 제시하기에 앞서

지도의 실제가 될 감상곡을 선정하고자 한다.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먼저, 중학교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감상곡 중에서 선정한다. 중

학교를 대상으로 한 감상 지도방안이므로 교과서 내에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절대음악과 표제음악 한 곡씩 총 두 곡으로 선정한다. 절대음

악은 음 자체가 음악이 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형식미가 뚜렷한 곡으로

선정하도록 하며 표제음악의 경우, 표제의 대상이 확실한 작품으로 선정

하도록 한다.

셋째, 이전 절에서 모색한 청각적 심상의 활용 가능성을 고려하여

두 곡이 음악적 대비를 이루는 곡으로 선정한다. 음악을 이루는 청각적

심상은 박자, 셈여림, 음색 등 복합적인 요소가 포함됨을 앞서 살펴봤다.

이를 반영하여 일정한 박자와 대조적인 셈여림을 갖춘 곡과 상대적으로

유동적인 템포와 셈여림을 갖춘 곡으로 구분하여 두 곡을 선정한다.

1.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 545’ 중 1악장

선정 취지에 따라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 545 중 1악장을 선정

하였다. 이 곡은 중학교 18종 교과서 중 출판사 ㈜와이비엠, 두산동아,

성안당에 수록되어 있는 작품으로 중학교 학생들이 학습하기에 적합한

곡이라 할 수 있다.

Page 61: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48

이 곡은 명확한 소나타 형식을 갖췄다는 점에서 소나타 형식을 학습

하기가 적절한 곡이다. 소나타가 단순하고 짧으면서도 제시부, 발전부,

재현부의 구분이 뚜렷하다. 또한 제1주제와 제2주제가 명확하게 드러나

고 있으며, 각각의 주제가 선율 중심 진행의 선율과 화성 중심 진행의

선율이 조화롭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일정한 박자와 대조적인 셈여림을 갖고 있다. 음악의 시작부터

끝까지 일정한 박자로 진행되어 일관된 박자감을 느낄 수 있으며, p와 f

가 명확하게 구분되는 대조적인 셈여림이 제시된다는 점에서 이 음악에

대한 명료한 박자와 셈여림을 느끼는 데 적절한 곡이라 할 수 있다.

2. 드뷔시 ‘달빛’

표제음악으로 오케스트라 편성의 드뷔시 ‘달빛’으로 선정한다. 이 작

품은 중학교 18종 중에서 출판사 ㈜교학사, ㈜아침나라, 천재교과서, ㈜

금성출판사, ㈜박영사, 세광음악의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으므로 중학교

수준에 적합한 표제음악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곡은 원래 피아노 독주곡이지만 오케스트라 편성의 곡으로 선택

하였다. 그 이유는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545 ’는 한 가지 음색을

경험할 수 있다면, 여러 가지 악기 음색을 체험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 또한 의미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교과서 내 제시된 합주곡의 경

우, 20분 정도의 길이의 감상곡이 수록되었다는 점에서 2차시 수업 동안

이를 기억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오케스트

라 편성으로 많이 연주되는 드뷔시 ‘달빛’을 선정하였다.

이 곡은 3부 형식을 갖추고 있어서 일정한 구조를 갖추었다. 주제선

율 뿐만 아니라 주요 선율들이 여러 위치에서 등장하여 곡의 통일성을

부여하고 있다. tempo rubato 성격을 띄기 때문에 연주자의 박자 재량

이 허용되는 곡이며, 전체적으로 음악에 흐름(ABA)에 따라 셈여림이

Page 62: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49

표현되고 있다. 또한 바이올린, 플룻, 오보에를 중심으로 주선율이 진행

되어 여러 가지 음색을 체험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 가치가 높다.

제2절 음악 감상곡 분석 및 지도 요소 선정

본 절에서는 앞서 선정한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 545 중 1악장

과 오케스트라 편성의 드뷔시 ‘달빛’에 곡에 대하여 설명하고 형식을 분

석하여 지도 요소를 선정하고자 한다.

1.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 545’ 중 1악장

1) 작품 소개 및 작곡 배경

이 작품은 모차르트의 작곡 시기를 초반, 중반, 후반으로 구분했을

때,108 후반 소나타에 해당하는 작품이다. 후반기는 1784년도 이후 모차

르트가 오스트리아 빈에서 작곡된 피아노 소나타가 포함되는데 1788년

에 작곡된 ‘피아노 소나타 K.545’ 역시도 후반기에 해당된다. 이 시기

모차르트의 작곡기법은 보다 간결해지고 명확해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

다.109

이 작품은 1788년 6월 26일 교향곡 제39번이 작곡된 날에 카탈로

그에 추가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모차르트 생전에는 출판되지 않았으며

1805년에 출판되었다. 특히 1악장의 제2주제는 ‘플루트 협주곡 D장조

K.314’ 중 1악장의 제2주제와 거의 유사한 형태를 띄고 있다는 점이

108

김경임. 『피아노소나타』. (대구 : 경북대학교출판부, 2002), p.61-62. 109

박유미. 『피아노 문헌』. (서울 : 음악춘추사, 2010), p.83.

Page 63: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50

특징이다. 110

또한 이 곡은 모차르트가 연주자보다는 그의 제자들을 위해 교습용

으로 작곡한 초보자를 위한 작은 소나타이다.111 총 3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존의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에 비견하여 훨씬 단순하고 규모

가 작다. Allgero-Andante–Rondo 순서로 3개의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

으며 그 중 1악장은 소나타 형식, 2악장은 3부 형식, 3악장은 론도 형식

을 갖추고 있다. 1악장은 소나타 형식을 갖추고 있으나 발전부의 경우

대개 제시부에 등장했던 주제를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모차르트는

이 작품에서 제시부의 코데타 음형을 활용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는 동시대의 다른 작곡가들의 작품에서는 보기 힘든 모차르트만의 작

품 특성을 드러낸다.

또한 최상성부가 주선율을 담당하고 나머지 아래 성부가 화성적으로

반주하는 형태의 음악양식인 호모포니가 두드러진다. 단순 명료하고 알

베르티 베이스로 시작되는 이 작품은 마치 전고전주의 음악을 연상케 한

다. 본 작품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 곡의 주요 지도 요소인 소나타 형식

과 그 외의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110

세광음악출판사 편.『모차르트 3』.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1999), 부록 해

설. 111

위의 책, 부록 해설.

Page 64: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51

2) 작품 분석

<표Ⅳ- 1>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 .545’ 중 1악장 악곡 분석 정리표

구성 조성 마디

제시부

제1주제 C장조 1-12

제2주제 G장조 13-25

코데타(codetta) G장조 26-28

발전부

g단조 29-32

d단조 33-35

동형진행 36-41

재현부

제1주제 F장조 42-58

제2주제 C장조 59-70

코데타 C장조 71-73

본 작품은 소나타 형식을 갖춘 작품이다. 일반적인 소나타 형식은

주제선율을 바탕으로 발전부가 진행되지만 이 작품에서는 코데타

(codetta)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1) 제시부(마디1-28)

제1주제와 제2주제가 최상성부 중심의 멜로디 진행 후 화성변화에

초점을 두고 있다.

Page 65: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52

<악보 2>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545’ 중 1악장 마디1-12

마디1-12는 작품의 제1주제이다. 마디1-4는 고전주의 음악에서

자주 활용되는 알베르티베이스 반주를 통해 최상성부에서 등장하는 주제

선율이 돋보이고 있다. 마디5부터는 동형진행을 통한 화성진행에 무게를

두며 9마디로 향하고 있다. 마디11-12는 C장조의 V로 반종지 형태로

제1주제를 마무리한다.

Page 66: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53

<악보 3>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 545’ 중 1악장 마디13-25

마디13-25는 작품의 제2주제이다. 제1주제와 비슷한 진행으로 마

디14-17에서는 최상성부의 선율 중심으로 진행하다가 마디18-21에서

는 화성진행에 무게를 두며 진행한다.

마디13에서는 왼손 트릴 베이스(trill bass)를 통해 마디14에 등장

할 제2주제를 준비한다. 제2주제의 오른손 선율이 마디14부터 등장한다.

이 때 마디14-15의 모티브가 마디16-17에서 다시 한번 반복되어 모

티브를 강조한다. 또한 꾸밈음과 부점 리듬이 돋보이는 오른손과 왼손의

트릴 베이스와 제2주제의 선율 중심 진행은 곡에 밝은 분위기를 부여한

다.

마디18부터는 오른손의 하행하는 아르페지오 음형과 왼손의 상행하

는 아르페지오 음형이 서로 교차하며 진행한다. 동시에 마디별 첫 박에

Page 67: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54

서 순차하행하며 조적 동형진행과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마디22-23마

디는 ii6의 화성음을 장식음으로 꾸며 그 음을 강조하고 있으며 마디24

에서의 화성이 마디25의 V7을 꾸며주고 있다. 더불어 이후 나올 코데타

와 함께 종지를 지연시킴으로써 종지감을 더욱 증폭시키고 있다.

<악보 4>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545’ 중 1악장 마디26-28

마디26-28는 제시부를 마무리하는 코데타이다. 마디26의 16분음

표의 음형이 마디27에서 한 옥타브 아래에서 다시 반복 등장하며 음색

의 변화를 주었다. V7-I도의 진행을 통해 제시부를 마무리한다.

(2) 발전부(마디29-41)

발전부에서는 제1주제의 코데타(마디26-28)가 발전, 변형되어 진

행하고 있다.

Page 68: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55

<악보 5>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 545’ 중 1악장 마디29-41

마디29-30는 G장조인 제시부의 코데타 음형이 같은 으뜸음조인 g

단조로 전조하여 발전부를 시작한다. 제시부의 코데타와 마찬가지로 마

디29의 음형이 마디30에서 한 옥타브 아래에서 등장한다. 이후 마디

33-34에서도 d단조로 전조되어 제시부의 코데타 음형이 다시 한번 나

타나며 크게 다르지 않은 진행을 하고 있다. 마디29-36까지 두 번의

전조가 이루어지는데 그 전조는 딸림조로의 전조로서 동형진행 전까지

긴장감을 높이고 있다. 오른손의 상행하는 스케일과 왼손은 하행하는 스

케일이 교차로 진행 후 마디37-40에서는 나란한조 안에서 동형진행을

통해 마디41로 진행되고 있다. a단조의 N6과 F장조의 IV6을 공통화음을

통해 온음계적 전조를 통해 재현부의 조성인 F장조로 진행되고 있다.

Page 69: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56

(3) 재현부(마디42-73)

제시부의 제1주제와 제2주제가 재현부에서 다시 등장하며, 전반적

으로 제시부와 비슷한 형태로 진행하고 있다.

<악보 6> 모차르트‘피아노 소나타 K.545 중 1악장 마디42-57

마디42-57는 작품의 제1주제가 원조의 버금딸림조인 F장조에서

다시 등장한다. 제시부와 마찬가지로, 선율중심으로 진행하는 마디42-

45와 화성진행이 중심을 이루는 마디45-57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

Page 70: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57

다.

마디46-49는 오른손에서 상하행 스케일의 반복을 통해 동형진행을

하며, 동시에 마디별 오른손 첫 박에는 순차하행하며 왼손 베이스와도 3

도 병진행으로 이루며 하행한다. 마디50-51에서는 직전의 오른손과 왼

손을 역할을 바꾸어 왼손이 스케일 연주된다. 이전과 마찬가지로 마디별

오른손의 첫 박은 F로 시작하여 C,D,A로 순차 하행하고 있으며 오른손

의 첫 박과 3도 병진행 관계를 이루고 있다. 마디54부터는 앞선 왼손의

16분음형의 리듬적 특징을 확장하며 낮은 음역대에서 높은 음역대의 종

지로 진행하며 반종지이지만 경쾌하고도 단호한 마무리를 하고 있다. 또

한 마디56부터 V-I의 진행을 반복 후 마디57에서 4분음표의 음이 등

장하면서 보다 더 종지감을 높이고 있다.

<악보 7>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545’ 중 1악장 마디58-70

Page 71: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58

마디58-70은 제시부의 제2주제가 C장조에서 다시 등장한다. 제시

부와 마찬가지로 마디58에서는 마디59의 주제선율을 연결하기 위한 반

주부가 시작하고 있으며, 마디59부터 오른손에서 주제선율이 본격적으

로 등장한다. 이 때 왼손 반주부는 마디62까지 트릴 베이스를 유지한다.

마디63부터는 양손이 교차하며 아르페지오 음형이 등장한다. 제시

부처럼 마디의 첫 박은 1도씩 하행 동형진행하다 마디63-64에서는 한

옥타브 위에서 진행한다. 마디67부터는 꾸밈음과 트릴과 함께 밝은 분

위기를 자아내며 코데타로 자연스럽게 향하고 있다.

<악보 8>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545’ 중 1악장 마디71-73

마디71-73은 코데타로서, 마디71의 음형이 마디72에서 한 옥타브

아래에서 등장한다. 또한 V-I의 진행을 반복하다가 마디71에서 I도로

마무리한다.

3) 지도 요소 선정

악곡 분석을 통하여 선정한 지도 요소는 다음과 같다.

(1) 주요 선율

주요 선율들을 기억할 때 명확해지며 음악의 흐름을 잘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요 선율을 중심으로 학습을 시작하고자 한다. 이 곡은

일반적인 모차르트 소나타 규모에 비하여 작지만 소나타 형식이 뚜렷하

Page 72: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59

다. 이러한 형식적 특징을 바탕으로 주요 선율은 제1주제, 제2주제, 코

다가 되는 선율을 선정하였다.

<표Ⅳ-2>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545’ 중 1악장의 주요 선율

주요 선율

1

2

3

4

5

(2) 소나타 형식

이 곡은 고전주의의 소나타 형식을 갖춘 곡으로, 제시부 – 발전부 –

Page 73: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60

재현부의 구조가 뚜렷하게 보인다. 중학생들이 구간별로 구분지어 들을

수 있어 소나타 형식의 흐름을 읽을 수 있는 데 적합한 곡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재현부가 변형되어 등장하기보다는 제시부의 음형을 그대로

갖추어 진행되기 때문에 소나타 형식을 느끼며 감상하기에 적절하다.

일반적인 소나타형식에 맞게 두 개의 주제를 가진다. 또한 이 작품

에서의 주제들은 각각 선율 진행과 화성 진행으로 쉽게 구분지어 살펴볼

수 있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제1주제와 제2주제를 구분지어 들을 수

있도록 하는 것과 하나의 주제 안에서 선율 진행과 화성 진행으로 구분

하여 들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소나타 형식 이해의 기초가 될 뿐만 아

니라 이 곡을 이해하는 데 적절한 지도 요소가 된다.

(3) 일정한 박자감과 대조적인 셈여림

이 곡은 4/4박자의 곡으로, 일정한 박자로 곡 끝까지 진행되고 있어

박자감을 익히는 데 적절한 곡이다. 또한 p와 f의 대비가 명확하며,

cresc.와 dim. 또한 확실하게 보여 뚜렷한 셈여림이 제시된다. 이러한

특성은 이 곡의 특성이자 모차르트 소나타의 특징이 되는 것으로 이 곡

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된다.

(4) 피아노 악기 음색

학생들이 피아노 악기 음색의 특징을 이해하고 감상하는 것은 이 곡

을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학생들이 피아노 음색 표현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건반을 누르는 세기에 따라 악상이 음량이 달라지며

섬세한 악상 표현이 가능함과 같은 피아노 악기 음색의 특징을 알려주는

것은 피아노 소나타인 이 곡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Page 74: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61

2. 드뷔시 ‘달빛’

1) 곡 소개 및 작곡 배경

‘달빛’은 <<베르가마스크 모음곡>>의 4곡 중에서 3번째 곡이다. 이

이름은 이탈리아 지방의 베르가모 지방에서 유래되었다. 이 모음곡은

1890년에 작곡되었으나 15년 후인 1905년에 출판된 드뷔시의 대표적

인 작품이다. 112 ‘프렐류드(Prelude)’, ‘미뉴에트(Minuet)’, ‘달빛(Clair

de lune)’, ‘파스피에(Passepied)’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곡 마다 특

유의 분위기를 가진다. 제3곡인 ‘달빛’은 모음곡 중에서 표제가 붙은 유

일한 곡이며, 고요하고 아름다운 달빛에 대한 묘사를 한 곡이다.

<<베르가마스크 모음곡>>은 드뷔시의 이 전에 작곡한 <<2개의 아라

베스크>>에 비하여 화성적으로 풍부해졌다는 평가를 받는 작품이며, 드

뷔시의 초기 작품으로 드뷔시만의 화성적 모호함과 전통적 독일 중심의

형식미에서 탈피하고자 하는 시도가 보여진다.113

‘달빛’은 전체적이고 서정적이고 고요한 분위기를 자아내며, 종지 구

분이 모호하여 계속적으로 이어지는 선율은 긴 호흡을 유도하고 모호한

음색을 만들어내어 달빛을 연상케 한다. 현재 다양한 악기 편성으로 편

곡되고 있다.

‘달빛’은 드뷔시의 초기 작품으로 드뷔시만의 화성적 모호함과 전통

적 독일 중심의 형식미에서의 탈피의 시도가 보여지기 시작하는 곡이기

도 한다. 다양한 음색에 변화를 주었고 모호한 색채가 인상적이다.

이 곡은 피아노곡만큼 오케스트라 버전으로도 널리 활용되고 있는

곡이다. 그 중 오보에, 플룻, 바이올린 중심으로 선율을 진행하고 있는

편성을 선택하여 여러 가지 악기 음색 역시도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자

112

음악지우사 편(오지선 옮김)『작곡가별 명곡해설 라이브러리 18 ‘드뷔시’』.

(서울 : 도서출판 음악세계, 2001), p.106-107. 113

위의 책. p.106-107.

Page 75: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62

한다.

2) 작품 분석

드뷔시 ‘달빛’에 대한 형식 분석하여 정리한 것은 다음 <표Ⅳ-3>과

같다.

<표Ⅳ-3> 드뷔시 ‘달빛’ 분석 정리표

구성 조성 마디

I A a D♭장조 1-14

b D♭장조 15-26

II B

c D♭장조 27-36

c’ c #단조 37-42

c” D♭장조 43-50

III A’ a’ D♭장조 51-65

코다 D♭장조 66-72

드뷔시의 베르가마스크 모음곡 중 ‘달빛’은 3부 형식을 갖추고 있다.

제1부는 A(마디1-26), 제2부를 B(마디27-50), 제3부를 A’(마디51-

65)와 코다(마디66-72)으로 구성된다.

(1) 제1부(마디1-26)

제1부는 크게 a(마디1-14)와 b(마디15-26)로 구성되어 있다. 당

시 서양음악의 중심이었던 독일-오스트리아 중심의 전통적인 음악에서

흔히 사용하지 않는 조적진행, 화성진행, 형식 및 기법 등을 활용하였다.

Page 76: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63

음악의 진행에 있어서는 반복적인 음형을 활용하고 있다.

<악보 9> 드뷔시 ‘달빛’ 마디1-14

<악보 9>은 전체적으로 바이올린군의 중심으로 주제선율이 진행한

다. 더불어 전통적 화성 진행 방식을 벗어나 드뷔시의 새로운 시도와 조

성적 모호함이 곳곳에서 드러나고 있다. 고전주의 시대나 낭만주의 초기

시대의 작품을 비추어 볼 때 대개 마디1에서는 주로 tonic의 기본 위치

로 명확하게 시작한다. 하지만 드뷔시는 이 작품에서 1전위 형태로 화성

적으로 모호하게 시작하고 있다. 마디2의 왼손은 정종지적 해결인 vi나

위종지적 해결인 IV6로 해결되어야 하나 I6으로 진행한다. 마디9에서는

주제선율이 다시 제시되나 왼손 화음이 기본위치에서 시작되어 비로소

화음이 명확하게 드러난다. 마디10부터는 화성진행이 이전보다 명확해

졌는데, 동시에 내성이 추가되어 텍스쳐가 두터워짐으로 다음에 나올

b(<악보 10>)의 음형에 대하여 점진적으로 예고하고 있다.

Page 77: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64

<악보 10> 드뷔시 ‘달빛’ 마디15-26

<악보 10>은 <악보 9>와 병치 형태를 보이고 있다. b의 시작인 마

디15에서는 E♭dorian으로 구성된 새로운 음형이 등장하여 조금 다른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으며, 8도 병진행을 통한 하행을 보인다. 그리고

마디15-18에서는 바이올린 중심으로 진행하던 선율에 플룻이 한 옥타

브 위에서 등장하여 조금 다른 색채를 입혔다. 또한 마디17-18은 마디

15-16이 반복되어 진행되는데 부분적으로 약간 변화를 주었다.

마디19부터는 다시 바이올린이 중심이 되어 선율을 이끌어 가기

시작한다. 마디19-24는 6잇단음표의 음형과 기존의 박자에 부합한 음

형이 번갈아 나타나면서 대조적으로 음악이 진행되고 있으며 긴장감을

Page 78: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65

자아내고 있다. 마디19 위에 제시된 나타냄말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

다. 마디25-26에서는 오른손은 I로 지속음으로 진행되나 왼손은 V로

향하는 반음계적 변화가 나타나며 2부로 향하고 있다.

(2) 제2부(마디27-50)

제2부(마디27-50)는 동일한 선율이 반복적으로 등장한다. 크게

c(마디27-36), c’(마디37-42), c”(마디43-50)로 구성되어 있다. c(마

디27-36)는 새로운 선율이 제시되며, c’(마디37-42)와 c”(마디43-

50)은 이 음형을 활용하여 진행된다. c’의 경우 이명동음 전조를 통하

여 자연스러운 화성진행을 하며, c”(마디43-50)는 다시 D♭장조로 돌

아와 안정적이고 조용한 선율이 제시된다.

Page 79: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66

<악보 11> 드뷔시 ‘달빛’ 마디27-36

마디27부터 제2부인 B가 시작된다. B의 c(<악보 11>)에서는 음형

의 반복과 반주부의 변화가 나타난다. 마디27부터 마디34까지 선율 악

기로 오보에가 음악을 이끌어 나간다. 또한 마디27-28의 음형이 마디

31-32에서는 음고와 음형에 변화를 주어 등장하며, 마디35-36에서는

한 옥타브 위에서 바이올린을 중심으로 연주된다.

<악보 11>에서는 곳곳에서 이명동음 전조를 위한 조짐이 나타난다.

마디27의 제3박은 D♭dorian으로도 해석될 수 있고 D♭장조의 III6으로

Page 80: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67

볼 수도 있다. 또한 D♭장조의 이명동음조이자 같은 으뜸음조인 c#단조

의 III6로도 해석 될 수 있다. iii도는 V의 대리기능을 한다.

마디36에서는 D♭장조의 이명동음조이자 같은 으뜸음조인 c#단조

의 III를 통해 이명동음 전조로 마디37로 이어진다. c#단조의 III도는 V

의 대리기능을 하는 부3화음으로 c#단조의 마디37로 자연스럽게 전조

되 도록 한다.

<악보 12> 드뷔시 ‘달빛’ 마디37-42

이명동음 전조를 통해 D♭장조에서 c#단조로 전조하며, 바이올린군

의 중심으로 주선율이 연주된다. 또한 B의 c(<악보 11>)에서 반복적으

로 등장한 음형이 마디39-40에서 음역대와 반주 형태의 변화하여 진행

한다. 마디37-38은 앞서 나온 반복되는 선율보다 훨씬 더 짧은 호흡으

로 진행한다. 이와 같은 이질적인 부분을 중간에 둠으로서 다음에 나올

마디39-40 선율이 또 다시 반복될 때 지루하지 않도록 도와준다.

Page 81: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68

또한 곳곳에서 음색을 모호하게 표현하기 위한 드뷔시의 의도가 나

타나는데, 특히 마디37 첫 음과 마디38의 제3박, 마디39의 첫 박에 B

음을 덧붙여 음색을 모호하게 한다.

<악보 13> 드뷔시 ‘달빛’ 마디43-50

B’의 c’’(<악보 13>)에서도 c(<악보 11>)의 반복적인 음형이 계속

등장한다. 그러나 이 음형이 음고와 내성 구성에 있어 차이를 보이며 반

주부 역시도 트레몰로 형태로 변화하였다. 트레몰로 형태의 반주부는 조

용하고 고요하게 연주하라는 의미인 calmato의 분위기를 자아낸다. 45

마디부터는 트레몰로 반주부의 변화를 주어 다음에 등장할 A’의 V를 강

조하여 긴장감을 주고 있다. 이는 다음 섹션(A ’)이 자연스럽게 등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마디43-44의 오른손 내성에는

Page 82: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69

5음 음계가 나타나는데 이어서 마디47-48의 왼손 bass에서 5음 음계

가 다시 등장한다.

(3) 제3부(마디51-72)

제3부는 제1부와 동일한 조성으로, A가 반복되어 a’(마디51-65)

로 재현되고 그 뒤에 코다(마디66-72)가 나온다. 또한 A’의 주제선율

은 제1부와 달리, 한 옥타브 위에서 주제선율을 제시하고 왼손의 화음을

펼쳐 사용하여 음색의 다채로움을 높였다.

<악보 14> 드뷔시 ‘달빛’ 마디51-65

a’(마디51-65)에서는 바이올린이 중심이 되어 주제선율이 다시 등

Page 83: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70

장한다. 또한 조성적 모호함이 나타나며 a(마디1-14)에서처럼 주제선

율이 두 번 반복한다. 마디51-58에서는 A의 주제선율이 한 옥타브 위

에서, 반주부는 B의 반주부를 활용한 형태로 등장하여 주제선율의 멜로

디에 약간의 변화를 준다. 또한 왼손 첫 음은 3음으로 시작하여 a의 첫

음과 비슷한 방법을 활용했다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

<악보 15> 드뷔시 ‘달빛’ 마디66-72

코다(마디66-72)는 B의 반주부 음형을 활용하여 진행하며, I와 iii

이 반복적으로 등장한다. 마디67에서는 제2박에서는 마디36에서 나타난

모호한 화성이 다시 등장한다. 마디71부터는 I를 지속하며 마무리하고

있다.

Page 84: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71

3) 지도 요소 선정

(1) 주요 선율 선정

음악에서 주요 선율들을 기억할 때 명확해지며 음악의 흐름을 잘 파

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거나 특징이 되는 선율을 선정

하고자 한다.

악곡 분석을 통하여 드뷔시 ‘달빛’은 3부 형식을 갖춘 곡으로, 대체

적으로 주제선율이 곡을 이끌어 가고 있음을 살펴봤다. A는 a와 b로 구

분되는데, a는 A에서도 옥타브 위에서 주제선율이 반복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b에서는 a와의 병치 구조로 조금 다른 듯한 분위기의 변화를 보이

며 완전히 다른 음형을 갖춘 리듬 패턴이 제시된다. B에서는 또한 중심

선율이 반복, 변형되어 진행되고 있다. 이를 반영하여, 선정한 선율은 다

음 <표Ⅳ-4>와 같다.

<표Ⅳ-4> 드뷔시 ‘달빛’에서 선정한 주요 선율

주요 선율

Page 85: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72

(2) 3부 형식

이 곡은 3부 형식으로 ABA구조를 갖췄다. 드뷔시는 독일 중심의

소나타 형식과 같은 형식미에서 벗어나고자 좀 더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는 형식을 모색하였으며, 그래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ABA구조

를 자주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곡 역시도 ABA구조를 갖추고 있어 주제선율이 후반부에 다시

등장한다. 그리고 B는 A와 조금 다른 분위기를 자아내며 새로운 시작을

보인다. 이와 같은 감상곡의 흐름을 읽기 위해서는 ABA구조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Page 86: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73

(3) 선율 악기의 음색

이 곡은 선율악기의 음색 구분이 뚜렷한 곡으로서, 바이올린, 오보

에, 플룻이 중심이 되어 선율이 연주되고 있다. 이 곡의 주제선율인 a의

경우, 바이올린으로 주선율이 연주되고 있으며, b로 전환됨을 플룻으로의

음색 변화를 통해 알 수 있다. 또한 음형의 변화가 생기는 b의 후반부에

서는 다시 바이올린의 선율로 돌아온다.

B에서는, c는 오보에로 시작하여 바이올린으로 마무리, c’는 바이올

린, c”는 플룻으로 이어져 대체적으로 구간별로 음색의 변화를 주고 있

다. 이러한 악기 음색의 변화를 느껴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적절한 지

도 요소가 된다.

(4) tempo rubato와 유동적인 셈여림

이 곡은 형식미를 갖춘 모차르트의 ‘피아노 소나타 K. 545’ 중 1악

장과 다르게, 정확한 템포로 연주되지 않으며 tempo rubato의 성격을

갖는다. tempo rubato114는 이태리어인 rubàre(훔치다)의 의미에서 유

래된 용어로써 훔쳐진 시간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이는 제시된 일정한

박자 안에서 어느 정도의 자유로운 템포가 허용됨을 의미한다. 이는 악

보에 제시된 빠르기가 아니어도 연주자에 의한 해석이 가미되는 것이 허

용됨을 말하는 것이다. 또한 이 곡은 대조적인 tempo rubato와 함께 순

간순간 연주자의 표현에 따라 유동적으로 셈여림이 표현된다. 학생들이

정확한 박자 속에서 음악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 보다는 tempo

rubato를 느끼며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유동적인 셈여림에 감응

하며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114 “Tempo rubato”. Grove Music Online. Oxford Music 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11.29.22:51접속.

www.oxfordmusiconline.com/subscriber/article/grove/music/24039?q=temp

o+rubato&search=quick&pos=3&_start=1#firsthit

Page 87: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74

제5장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중학교 음악 감상

지도 방안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적인 음향 조직인 음악이 갖춘 구성 요소를

파악하고 그 안에서 아름다움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음악 감상 지도 방안을 제시하는 데 두었다. 이를 위

하여 음악적 기억의 과정이라 할 수 있는 음악정보 처리 과정을 탐색하

고 그 과정에서 음악적 기억을 형성하는 여러 인지적 전략에 대한 문헌

들을 고찰 및 정리하였으며 음악 감상 수업에 도입하기 위한 활용 가능

성을 모색하였다. 구체적인 지도의 실제를 제공하기 위해 선정 취지에

따라 절대음악은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 545’ 중 1악장과 표제음

악은 오케스트라 편성의 드뷔시 ‘달빛’을 감상곡으로 선정하였으며, 악곡

분석을 통해 작품의 주요한 음악적 특징을 지도 요소로 추출하였다. 이

를 바탕으로 제5장에서는 음악적 기억을 형성하는 인지적 전략을 활용

하여 학생들이 지각적으로 음악을 감상할 수 있는 수업모형 및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지도의 실제를 고안하고자 한다.

제1절 음악 감상 수업모형 및 교수학습 방법

본 절에서는 수업모형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법

에 대하여 설명한다. 인지적 전략 중 주의, 반복, 시연은 학습 과정 곳곳

에서 필요한 정신 활동이라는 점에서 교사가 지도 시 고려사항으로 제시

하였으며, 조직화, 심상, 정교화는 교수학습 방법으로 고안하였다.

Page 88: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75

1. 수업모형 및 단계설정 근거

<표Ⅴ-1> 음악 감상 수업모형

효과적인 감상 수업이 되기 위하여 제시한 수업모형의 단계설정 근

거는 다음과 같다. 먼저, 앞서 제2장∙2절에서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

정을 고찰을 통해 개괄적으로 설정한 지도 방향과 평가 방향을 고려하여,

모형의 첫 단계로 음악의 배경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단계에는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고찰을 통해 설정한 평가 방향을 토대로 실

음 평가를 중심으로 내용 평가와 자기 평가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적 기억을 형성하는 인지적 전략 중에서 교수학

Page 89: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76

습 방법으로 활용될 조직화, 청각적 심상, 시각적 심상, 정교화의 순서대

로 제시하였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정보의 처리과정을 살펴본 바, 단기기억과 장기기억 모두

조직화가 요구되므로 이를 첫 단계로 둔다. 두 기억장치 모두 청킹활동

과 윤곽에 대한 기억에 의존하며, 무엇보다 비전공자의 경우 음악을 기

억하는 데 패턴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음을 고려한 것이다. 또한 음을 단

위화하여 듣는 것(청킹)은 음악의 프레이즈를 이해하고 반복 등장하는

음형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 음악 감상 수업 시 우선적으

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단계별로 진행할수록 음악에 대한 인지적 전략의 비중을 높였

다. 조직화와 시각적 심상 단계는 음악의 전체적인 흐름과 청각적 이미

지를 수용하는 단계이며, 청각적 심상과 정교화 단계는 보다 인지적 전

략에 대한 비중을 높여 음악의 구성 요소에 집중하며 감상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셋째, 수업은 2차시로 구성한다. 1차시에서는 프레이즈 및 반복 등

장하는 음형 파악하는 조직화와 자기주도적인 청각적 이미지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적 심상 단계를 제시하며, 2차시에서는 청각적 이미

지를 수용하며 감상하는 청각적 심상 단계와 음악의 구조를 이해하며 감

상할 수 있도록 하는 정교화 단계로 구성하였다.

2. 수업 시 고려 사항 및 음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

본 항에서는 음악적 기억을 형성하는 인지적 전략을 바탕으로 교사

가 수업 시 고려할 사항과 음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겠

다. 수업 시 고려사항은 인지적 전략 중에서 주의, 시연, 반복을 바탕으

로 제시하였으며, 교수학습 방법은 조직화, 심상(시각적 심상, 청각적 심

상), 정교화를 기초로 하였다.

Page 90: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77

1) 수업 시 고려사항

(1) 주요 선율과 선율의 길이 설정

학습할 주요 선율과 선율의 길이를 정한다. 주요 선율은 대부분 반

복적으로 등장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를 기억한다면 음악의 흐름을

파악하며 감상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제3장에서의 이론적

탐색을 살펴보면, 일부 구간에 대한 기억은 전체적인 음악에 대한 기억

을 도우므로 주선율에 대한 기억은 전체적인 음악에 대한 기억을 기대할

수 있다.

선정한 주요 선율들을 바탕으로 적절한 선율의 길이를 정해야 한다.

선율의 길이는 교사의 판단 아래 적절한 설정하는 데 음악의 프레이즈를

고려하여 제시하도록 한다. 모티브만 제시하면 주요 선율을 인지하기에

너무 짧을 수 있으며 너무 길면 학생에게 부담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너무 교사는 길지 않되 학습자가 전체 감상할 때 음악을 파악하는 데 있

어 지장이 없는 길이로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주의와 반복

주의는 음악에 집중하는 능력은 음악 내 어디에 집중하느냐와 관련

된다. 먼저, 교사는 주요 선율로 유도하기 위해 청킹활동 시 피아노를

통하여 선율만 연주하여 들려주도록 한다. 음악의 주선율에 대한 주의를

갖도록 유도해야 한다. 제3장∙2절 1항에서 살펴본 다울링과 하우드의 실

험에서 나타난 음역대의 차이는 선율에 대한 음악적 주의가 높인다는 결

과를 통해,115 베이스 성부를 제외하고 곡의 중심이 되는 주선율 중심으

로 들려주는 것은 주요 선율에 대한 주의를 높이게 될 수 있음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활동은 학생들이 주선율에 더욱 집중할

115

W. J. Dowling & D. L. Harwood. 앞의 책, p.186.

Page 91: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78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둘째, 음악을 들을 때는 음악 소리 자체에 주의를 가질 수 있도록

동영상보다는 음원을 통해 소리에 주의를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동영

상을 보여준다면, 음악보다 영상에 집중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 때 학

생들의 음악 감상 자체에 주의를 높이기 위한 조용한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학생들이 음악에 친숙해지기 위하여 교사는 수업 과정 곳곳에서 충

분히 반복적으로 들려주도록 하며, 학습활동 수행 시 반복적으로 들려달

라고 요구할 수 있도록 한다. 단 번의 감상은 음악을 기억하고 학습활동

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

(3) 학생의 시연

교사는 수업 과정 곳곳에서 학생들이 직접 마음 속으로 음악을 되뇌

여 볼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음악의 셈여림, 박자, 리듬 등을 고려할 수

있도록 지도하여 음악이 가지는 특징을 내면화할 수 있도록 한다.

(4) 지도 목표에 따른 음악적 특징에 대한 설명

교사는 수업 단계에 제시한 활동을 진행하면서 이에 알맞은 음악적

특징에 대한 설명을 명확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학생들은 기존의 음악적

지식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설명과 함께하는 것이 음악 이해를 정교화한

다. 그러나 너무 많은 정보를 설명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부담이 될 수

있으므로 지도 목표에 따른 음악적 특징들을 중심으로 설명할 수 있도록

한다.

Page 92: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79

2)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음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

본 항에서는 수업모형의 단계별로 음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에 대하

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1) 음악의 배경 : 작곡가 및 음악의 배경 이해하기

제2장∙2절에서 살펴본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목표항을 고려

하여 모형의 첫 단계에서는 음악에 대한 소개, 음악을 둘러 싸고 있는

배경, 작곡가에 대한 이해 등 음악의 맥락에 대한 이해를 돕도록 한다.

이 때 교사는 작곡가의 일화나 그 곡과 연관된 이야기들을 풀어나갈 수

있도록 하여 학생들의 흥미 또한 고려할 수 있도록 한다.

(2) 조직화 : 청킹을 통한 프레이즈 및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음형 인지

조직화에서는 두 가지 활동을 구성한다. 먼저, 청킹하며 들어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나의 음덩어리라고 느끼는 부분에서 호흡을 하며

감상해보도록 한다. 이는 학생 자신이 프레이즈에 집중하여 음악을 단위

화하여 들어볼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때 학생들이 무작

정 호흡과 함께 감상하라고 지시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을 수 있기 때문

에 교사가 먼저 시범을 보여 이해를 돕도록 한다. 교사는 학생들이 호흡

을 통한 청킹 활동을 할 때, 피아노를 활용하여 주선율을 연주하여 음악

에 대한 주의와 집중력 향상을 유도한다.

두 번째로, 교사가 준비한 신체 동작을 통하여 청킹을 돕고 프레이

즈 및 반복적인 등장하는 음형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앞서 살펴본

Page 93: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80

고도이 외116의 연구에서 청킹은 신체의 움직임과 관련이 있으며 음악적

수준이 낮은 사람들의 경우 음악적 특징을 반영한 신체의 움직임과는 동

떨어져 있으며 음악적 표현에 능숙한 전문 무용가는 음악의 수용자로서

음악적 특징을 능숙하게 표현할 수 있음을 생각해볼 때, 전문가인 교사

가 작품의 음악적 특징과 청킹을 고려한 신체활동을 제시하도록 하는 것

이 프레이즈 인지 및 반복 패턴 파악에 바람직할 것이다.

박자감이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 545’ 중 1악장의 경우, 일정

한 박자감을 느낄 수 신체 동작을 제공한다. 그러나 일정박 안에서 어느

정도의 자율적 템포가 허용되는 tempo rubato 성격을 갖는 드뷔시 ‘달

빛’의 경우에는 일정한 박자감을 고려한 신체 동작은 곡을 이해하는 데

있어 오히려 부작용이 될 것이다. 이러한 경우 학생들이 일정박 안에서

자유롭게 신체 표현 해볼 수 있고, 달을 떠올려 볼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신체 동작을 제시한다.

신체 동작은 주요 선율을 바탕으로 시작하여 익숙해지면 전체 감상

과 함께 신체활동을 실시한다. 주요 선율이 등장할 때마다 신체동작을

실시하여 반복적인 패턴 및 프레이즈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3) 시각적 심상 : 자기 주도적으로 청각적 이미지 이해하기

시각적 심상 단계에서는 주요 선율마다 자기주도적으로 음악적 특징

및 느낌을 서술해보고 선율 기호를 시각적 표상화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짝과 함께 토론해보며 이전에 학습한 리듬, 가락, 박자, 셈여림 등을 포

함하는 청각적 이미지를 내면화하는 학습활동을 구성한다. 이와 같은 활

동을 제시하는 근거는 다음과 같다.

학생들의 음악을 듣고 그린 그림은 단순 연상의 결과가 아닌 작곡가

가 의도한 청각적 이미지와 분위기를 연관지어 나타내는 것이다. 오지향

116

R. I. Godoy et al. 앞의 논문, p.4.

Page 94: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81

117은 학생들이 음악 감상을 하며 그린 그림을 분석한 결과, 그림을 이루

는 점, 선, 도형 등은 음악과 연관된 것임을 보여주었다. 또한 그는 실험

을 통해 학생들이 음악의 흐름에 따라 그림을 수정하는 현상을 보임을

관찰할 수 있었는데, 이는 하나의 음악으로 하나의 그림보다는 주요 선

율마다 시각적 표상화하여 비교해 보는 것은 흐름과 분위기를 이해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음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 때 그의 연구에서는 공통

적으로 학생들에게 그림과 함께 글로 음악에 대하여 서술하도록 하였다.

심상 형성 시 언어의 활용과 함께 음악을 표상하는 것은 음악적 기억을

정교화한다는 것을 확인시켜주는 연구이다.

이를 반영하여 직접적인 언어적 양식을 제공하고자 판스워즈

(Farnsworth)가 인간은 다양한 특성을 가짐에도 크게 다르지 않은 음

악적 반응을 가진다고 주장하면서 제시한 형용사표118를 활용한다. 학생

들에게 판스워즈의 10개의 형용사군으로 분류된 표를 제시하는 것은 비

언어인 음악에 대한 반응과 음악적 특징을 명료하게 서술하는 데 도움이

된다.

117

오지향. “어린이들의 그림에 나타난 표제음악의 음악적 이미지 분석 연구”.

『예술교육연구』, 8(1), 2010. 118

D. J. Hargreaves.(나재용 역). 『음악발달심리학』. (서울 : ㈜교학사, 2010),

p.114; 판스워즈의 형용사표는 헤브너(Heavener)가 인간이 음악에 대해 느끼

는 반응을 8가지로 범주화하여 제시한 형용사표를 다시 재구성하여 10가지 범

주로 구분한 것이다.

Page 95: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82

<표Ⅴ-2> 판스워즈의 헤브너 형용사 서클(adjectives cirle) 수정안

(Hargreaves, 2010, p.114에서 재인용)

이와 같은 근거를 바탕으로 제시한 학습활동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에게 형용사표를 바탕으로 주요 선율마다 어울리는 음

악적 특징이나 분위기를 나타내는 형용사를 고르도록 한다. 선택한 형용

사를 바탕으로 주요 선율을 묘사 혹은 설명할 수 있는 문장을 만들도록

한다. 학생들에게 자기주도적으로 음악에 대한 특징을 묘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음악을 이해하고 기억하는 데 있어 효과적이다.

둘째, 학생들은 작성한 문장을 토대로 선율마다 이를 특징이나 상징

할 수 있는 기호를 그려보고, 짝과 함께 기호를 비교해보며 주요 선율을

중심으로 주요 선율을 비교해본다. 주선율마다 기호로 상징화 시키는 것

은 음악을 더욱 면밀하게 파악하는 데 기초가 되며, 의견을 나눠보는 것

A B C D E

쾌활한

즐거운

기쁜

밝은

명랑한

재미있는

위세가 좋은

공상적인

경쾌한

기묘한

변덕스러운

섬세한

우아한

서정적인

꿈과 같은

느긋한

감상적인

평온한

편안한

부드러운

차분한

조용한

공경하는

딱한

구슬픈

호소하는

갈망하는

F G H I J

어두운

침울한

서글픈

심히 고통스러운

우울한

애처러운

딱한

슬픈

엄숙한

신성한

숭고한

극적인

단호한

당당한

의기양양한

동요된

의기충전한

흥분한

자극적인

성급한

원기 왕성한

낙담한

Page 96: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83

은 자신이 미처 발견하지 못했던 음악적 정서나 특징을 공유하는 기회의

장을 제공하기 위함이며 정교화 단계에서 음악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 도

움이 됨을 기대할 수 있다.

(4) 청각적 심상 : 청각적 이미지 수용 및 음색 이해하기

청각적 심상은 셈여림, 박자, 음색 등에 대한 복합적인 청각적 이미

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앞서 문헌 고찰을 통해 살펴본 바,

홍승연 119은 중성음절을 활용한 노래 부르기 활동을 하며 신체동작을

하는 것이 주제선율에 대한 셈여림, 리듬, 박자 등에 대한 이해를 높이

고 익숙하게 한다고 하였다. 또한 주제선율마다 교사가 노래와 신체동

작을 소개하고 학생들이 모방하는 활동이 주제선율의 리듬, 박자, 다이

내믹에 대한 인지를 돕는다고 말하였다. 이는 언어를 활용한 노래 부르

기 활동을 하며 신체동작을 하는 것이 음악을 구성하는 청각적 심상 형

성을 촉진함을 살펴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그의 연구를 참고하여, 중성음절을 활용하여 노래 부르

기와 신체활동과 함께 한다. 먼저, 주제선율을 중심으로 노래 부르기를

한다. 노래 부르기를 할 때, 음악의 셈여림과 리듬, 박자 등를 살려 부

를 수 있도록 지도해야 음악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교사

는 이를 고려하여 실시하도록 한다.

둘째, 노래 부르기에 익숙해졌다면 신체활동과 함께한다. 조직화 단

계에서 실시한 신체동작을 연계하여 노래를 하며 음악을 표현하도록 한

다. 청킹 활동을 위한 신체 활동은 음악 내의 박자, 셈여림, 리듬 등을

고려하지 않았으나, 이 단계에서는 이를 고려한다.

셈여림을 표현할 때는 p의 부분에서는 신체동작과 가사창도 작게

119

홍승연. 움직임이 있는 능동적 음악 감상 교수 학습 방안 모색.『음악교육

공학』, 13, 2013.

Page 97: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84

실시하고, f의 부분은 크게 하도록 지도한다. 박자가 정확한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의 경우에는 정확한 박자 안에서 가사창과 신체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며. tempo rubato가 강조되는 드뷔시 ‘달빛’의 경

우는 학생들이 박자 안에서 자유롭게 불러 보고 동작을 표현해볼 수 있

도록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활동은 주요 선율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나서 전체 음

악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여 실시하도록 한다. 주요 선율이 나올 때마

다 그 순간에 맞는 곡의 분위기, 박자, 셈여림 등을 표현해볼 수 있도록

하여 마음 속으로 청각적 심상을 구체화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음색은 선율 속에 내포된 리듬, 박자 등과는 독립적인 성격을 갖기

때문에 따로 설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악기와 악기 소리

에 대한 이해가 충분히 이해하고 들어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학교 여

건 상 실제 악기를 보여주긴 어려우므로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도록 한다.

음악을 이끌어 나가는 주요 악기에 대한 설명을 한다. 합주곡인 오

케스트라 편성의 드뷔시 ‘달빛’은 바이올린, 오보에, 플룻에 대한 전반적

인 특징과 소리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해를 돕도록 한다. 독주곡인 모차

르트 ‘피아노 소나타 K.545’ 중 1악장은 피아노는 명료한 음색, 섬세한

셈여림 표현, 다층 구조의 표현 등을 교사가 직접 피아노를 쳐주면서 소

리를 표현 원리를 알려주며 음색에 대한 이해를 돕도록 한다.

(5) 정교화 : 도식악보 작성을 통한 음악의 구조 이해

정교화 단계에서는 이전 단계에서 학습한 내용을 확인하고, 시각적

심상에서 만든 선율기호를 활용하여 도식악보 만들어 봄으로서 전체적인

음악의 구조에 대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첫째, 음악의 구조 이해를 위하여 시각적 심상 단계에서 만든 선율

기호를 활용하여 도식악보를 만들어볼 수 있도록 한다. 도식악보는 음악

Page 98: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85

의 흐름 및 구조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음악의 내용을

파악하는 데 좋은 교육적 도구로 평가받는다.120 더불어 총보를 보기 힘

든 한국 음악교육의 현실을 보완해주는 좋은 학습 도구라는 점은 수업의

현실적인 한계도 극복할 수 있겠다.121

도식악보 활동지는 악곡의 구조와 특징에 적합하게 만들도록 한다.

구조적인 형식미가 강조되는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 545’ 중 1악

장의 경우, 소나타 형식을 파악할 수 있는 도식악보를 제공하도록 한다.

오케스트라 편성의 드뷔시 ‘달빛’은 ABA구조와 함께 여러 가지 악기의

음색을 구별할 수 있을 수 있는 목적을 갖춘 도식악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교사는 학생들이 자신이 만든 도식악보를 보면서 음악의 구조

를 파악하고 음고, 악기 음색 등이 어떻게 등장하는지 학생들 스스로 찾

아볼 수 있도록 활동지를 제공하여 학습을 돕는다. 그리고 도식악보와

함께 다시 한번 전체 감상을 통해 이전에 학습한 내용들을 떠올려보면서

음악을 감상해볼 수 있도록 한다.

(6) 평가 : 실음 평가, 내용 평가, 자기 평가

평가는 제2장∙2절에서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고찰을 통해 설

정한 평가 방향을 반영하여, 실음 평가, 내용 평가, 자기 평가로 구성 한

다.

첫째, 실음 평가는 음악을 통해 음악 지식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

는지 파악하기 위한 문항을 제시한다. 이 때 명료한 답이 나올 수 있는

객관적인 음악 지식과 개념에 대해 묻도록 한다.

둘째, 음악에 대해 포괄적 이해를 했는지 판단하기 위한 내용 평가

120

민경훈. “학교 음악교육에 있어서 도식악보의 활용”. 『한독교육학연구』,

4(1), 1999, p.174. 121

위의 논문, p.174.

Page 99: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86

를 제시한다. 학습한 내용 안에서 명료한 답을 얻을 수 있는 객관식이나

단답형 문항을 제시하도록 한다.

셋째, 학생들이 음악 및 수업에서 학습 활동을 잘 성취했고 이해하

였는지 판단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 문항을 제공한다. 교사는 체크리스트

문항은 음악을 얼마나 잘 이해하였는지 학업성취 여부를 물을 수 있는

방향으로 작성한다.

Page 100: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87

제2절 지도의 실제

본 절에서는 감상곡 분석을 통해 선정한 지도 요소와 제시한 수업모

형과 교수학습 방법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지도의 실제를 제안한다. 모차

르트 ‘피아노 소나타 K.545’ 중 1악장과 오케스트라 편성의 드뷔시 ‘달

빛’ 각각 2차시로 구성하였다.

1. 지도의 실제 1 :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 545’ 중 1악장

<표Ⅴ-3> 지도의 실제 1 : 제재곡 및 지도 대상

제재곡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 545’ 중 1악장 지도 대상 중학교

<표Ⅴ-4>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 545’ 중 1악장 차시별 학습 목표

차시 학습 목표

1

모차르트와 그의 작품세계를 이해하며 감상할 수 있다.

감상곡의 프레이즈에 감응하며 감상할 수 있으며, 주요 선

율을 파악할 수 있다.

음악의 분위기를 이해하고 청각적 이미지를 떠올리며 감상

할 수 있다.

2

감상곡의 대조적인 셈여림과 일정한 박자를 파악하며 감상

할 수 있다.

피아노 악기 음색의 특징을 이해한다.

두 개의 주제를 구분하며 감상할 수 있다.

소나타 형식을 이해하며 감상할 수 있다.

Page 101: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88

1) 1차시

<표Ⅴ-5>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545’ 중 1악장 1차시 주요 활동

주요 활동

호흡을 통한 청킹활동을 통한 프레이즈 이해

청킹활동 및 주요 선율 패턴 파악을 위한 신체활동

주요 선율마다 선율 기호 만들기

(1) 도입

도입은 본격적인 수업에 앞서 작품에 대한 배경에 대한 이해와 함께

음악 및 수업에 대한 흥미 유발을 위한 단계이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시각 자료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고려하며 설명하도록 한다.

교수 – 학습 내용 : 모차르트와 그의 작품세계 소개하기

모차르트와 그에 대한 전반적인 학생들의 흥미 유도를 위하여 모차

르트 관련한 시각 자료를 활용하여 그의 생애에 대하여 이야기하듯 설명

한다. 교수 자료는 다음 <표V-6>와 같다.

<표Ⅴ-6> 모차르트와 그의 작품세계

모차르트(W. A. Mozart) (1756-1791)122

모차르트는 하이든, 베토벤과 함께 고전주의 음악의 대표적인 음악

가로, 1756년 가톨릭 세력이 강한 잘츠부르크에서 출생하였다. 그는 교

육에 관심이 많던 아버지의 영향으로 어렸을 때부터 음악 뿐만 아니라,

언어, 문학, 수학, 춤 등 다양한 분야의 교육을 받았다고 전해져 온다.

122

모차르트와 그의 작품세계에 대한 교수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Mozart”.

Grove Music Online. Oxford Music 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11.10.11:40접속. www.oxfordmusiconline.com/subscriber/article/grove

/music/40258pg3#S40258.3; 박유미. 『피아노 문헌』. (서울 : 음악춘추사,

2010), p.77-79을 참고하였다.

Page 102: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89

그 중에서 어렸을 때부터 음악에 대한 재능이 남달라 4살 때부터 본격

적으로 음악교습을 받기 시작하여 두도막 형식이나 미뉴엣 형식을 갖춘

곡을 배우기 시작하였고 5살 때부터 작곡을 하기 시작했다. 그는 짧은

생을 살았음에도 일생 동안 다양한 작품을 만들었다. 11세부터는 오페

라, 교향곡 등 다양한 장르의 곡들을 작곡하였다. 모차르트는 일생동안

오페라 약 27곡, 교향곡 약 67곡, 실내악, 바이올린 협주곡 등을 포함하

여 약 600여 곡을 작곡하였다.

무엇보다 42개의 피아노 협주곡, 18개의 피아노 독주 소나타, 24개 변

주곡 등 작곡하였다는 점에서 피아노 음악에 상당히 많은 기여를 하였다

고 평가 받고 있다. 18세기 후반에는 클라비코드, 하프시코드, 피아노가

공존하였으나 이후 피아노가 주를 이루기 시작한 점은 그의 피아노곡 작

곡에 영향을 끼쳤다. 모차르트는 고른 톤과 강약 조절이 가능하고 댐퍼

페달이 사용이 가능한 피아노가 자신의 음악적 스타일에 부합하다고 하

였으며, 이러한 피아노 특징을 고려한 피아노 작품들을 많이 작곡하게

됐다.

교수 – 학습 내용 : 감상곡 소개 및 감상하기

모차르트는 이 곡은 전문 연주자보다는 자신의 제자들과 초급자를

위하여 작곡함을 설명한다. 이 곡의 구성과 음악적 특징을 소개 후 전체

감상을 한다(제4장∙2절 1항에 제시한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545’

중 1악장 곡 소개 및 작곡 배경을 활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보충자료]

제4장∙2절 1항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545’ 중 1악장 ‘곡 소개

및 작곡 배경’에서 제시하였듯이 ‘플루트 협주곡 D장조 K.314’ 중 1악

장 제2주제는 본 감상곡의 제2주제와 상당히 유사한 멜로디를 갖는다.

이 곡을 들려주는 것 또한 다양한 음악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학생

들의 흥미 유발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Page 103: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90

(2) 전개

전개에서는 감상곡에서 음악의 프레이즈를 이해하고 반복적으로 등장

하는 음형을 파악하고, 주요 선율에 대한 시각적 표상화를 통해 음악적

특징과 분위기를 이해볼 수 있도록 한다.

교수- 학습 내용 : 호흡을 통한 청킹 활동을 통한 프레이즈 이해 (조

직화1)

전체 감상 후 다시 감상하며 하나의 음덩어리(프레이즈)라고 느끼는

곳에서 호흡을 하며 음악을 덩어리화하여 들어볼 수 있도록 한다. 교사

는 이 때 먼저 시범을 통해 호흡을 통한 청킹하는 모습을 직접 보여주어

이해를 돕는다.

[지도 시 유의사항]

교사는 베이스 성부를 제외하고 선율만을 연주한다. 특히 한 프레

이즈가 마무리하는 구간이나 하나의 주제가 끝나는 부분에서 호흡해 볼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약간의 틈을 주어 연주한다. 이는 적절한 곳에 서

음을 덩어리지어보는 데 도움이 됨을 기대할 수 있다.

교수 – 학습 내용 : 신체활동을 통한 프레이즈 및 반복 등장하는 음

형 파악하기(조직화2)

교사는 주요 선율마다 신체 동작을 실시한다. 교사는 신체 동작을

먼저 보이고 학생들이 따라해 볼 수 있도록 한다. 주선율의 끝에서는 호

흡할 것을 강조하며, 프레이즈의 마무리를 느껴볼 수 있도록 한다.

Page 104: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91

신체의 움직임에 익숙해졌다면 처음부터 음악을 감상하면서, 신체 동

작을 실시하여 주요 선율에 대한 프레이즈 및 반복적인 패턴이 자주 나

옴을 몸으로 느껴볼 수 있도록 한다. 신체 동작은 다음 표를 통해 살펴

볼 수 있다.

<표Ⅴ-7>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545’ 중 1악장 프레이즈 인지 및

반복 등장하는 음형 파악을 위한 신체동작 예시

주요 선율

1

1,3마디 : 왼발구르기 – 무릎치기- 오른손 물결그리기

2,4마디 : 왼발구르기- 무릎치기 – 왼손 물결그리기

2

첫 박에는 왼발을 구르며, 음고에 따라 손을 올리고 내리고 반복한다.

3

3

1,3마디 : 오른손 ㅇ자 그리기 - 왼손 ㅇ자 그리기

2,4마디 : 양손 ㅇ자 2번 그리기 두 번 반복

Page 105: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92

4

마디마다 왼발을 구르며, 오른손과 왼손 교차하며 휘젓는다.

5

5

마디마다 : 왼발구르기-손으로 s자 그리기

[주요 선율의 근거]

앞서 제4장∙2절2항에서 선정한 주요 선율이다. 이 곡은 소나타 형식

구조가 명확한 곡이기 때문에 제1주제, 제2주제, 코다를 느낄 수 있는

충분한 길이로 선정하였으며, 프레이즈의 마무리를 고려하였다.

[신체동작의 근거]

이 곡은 처음부터 끝까지 일정한 박자로 진행되는 곡이라는 점에서

1-5번 선율 모두 박자감각을 체험할 수 있도록 마디마다 제1박에 발구

르기 동작을 포함하였다. 그 중 2,3번 선율은 음형을 반영하여 신체 동

작을 구성하였으나 마디별 제1박에 강조하며 신체동작을 하도록 한다.

교수 – 학습 내용 : 주요 선율에 대한 선율 기호 표상화(시각적 심

상)

교사는 학생들에게 주요 선율을 들려주며, 선율마다 느껴지는 특징

이나 감정을 제시된 형용사표 안에서 자유롭게 찾아보고 그것을 바탕으

Page 106: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93

로 문장을 구상한 후 기호로 표상화해 보도록 한다.

짝과 함께 자신이 수행한 활동지를 바탕으로 기호를 만든 이유, 음

악적 특징, 느낌 등에 대하여 자유롭게 이야기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이는 자신이 느끼지 못했던 느낌이나 음악적 특징을 공유해 볼 수 있다

는 점에서 음악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으며, 음악의 구조 및 흐름을

읽는 데 기초가 된다.

[활동 예시]

주어진 선율마다 어울리는 형용사를 활용하여 음악적 특징이나 느낌

을 서술해보고 이를 상징할 수 있는 기호를 만들어 봅시다.

<표Ⅴ-8>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545’ 중 1악장 시각적 심상 활동

을 위한 판스워즈의 형용사표

A B C D E

쾌활한

즐거운

기쁜

밝은

명랑한

재미있는

위세가 좋은

공상적인

경쾌한

기묘한

변덕스러운

섬세한

우아한

서정적인

꿈과 같은

느긋한

감상적인

평온한

편안한

부드러운

차분한

조용한

공경하는

딱한

구슬픈

호소하는

갈망하는

F G H I J

어두운

침울한

서글픈

심히고통스러운

우울한

애처로운

딱한

슬픈

엄숙한

신성한

숭고한

극적인

단호한

당당한

의기양양한

동요된

의기충전한

흥분한

자극적인

성급한

원기 왕성한

낙담한

Page 107: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94

<표Ⅴ-9> 형용사표를 활용한 시각적 심상 활동 예시123

선율 형용사 문장 기호

1 밝은 선율이 밝은 봄이 온 느낌을 자

아낸다.

2 성급한 멜로디가 올라갔다 내려갔다 등

산하는 느낌이다.

3 부드러운,우아한 왼손이 민첩하게 연주되고 선율

이 부드러우면서도 우아하다.

4 편안한 편안하게 집에 누워있는 듯

한 느낌으로 연주된다.

5 의기충전한 의기충전한 소년이 다시 도서관

으로 걸어가는 듯한 리듬감이다.

[지도 시 유의사항]

교사는 학생들이 형용사를 1개 이상을 활용해도 됨을 언급한다. 자

신만의 생각과 느낌을 반영하여 수행하는 활동인 만큼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이루어져야 하고, 반복적으로 들려주도록 한다.

2) 2차시

2차시에서는 1차시보다 인지적 전략의 비중을 높여 음악의 구성 요

소에 집중하며 들어볼 수 있도록 한다.

<표Ⅴ-10>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 545’중 1악장 2차시 주요활동

주요 활동 대조적인 셈여림과 일정한 박자 이해를 위한 노래 부르기

123

시각적 심상 예시 제공을 위하여 https://www.flaticon.com의 아이콘 사용

2017.11.08.20:37접속.(구체적인 출처는 참고문헌에 제시하였다.)

Page 108: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95

와 신체활동

피아노 악기 음색에 대해 이해하기

소나타 형식 이해를 위한 도식 악보 만들기

(1) 도입

교사는 학생들에게 음악의 선율을 기억하고 있는지, 음악적 특징은

어떤 것이 있었는지 질문하며 수업을 시작한다. 그리고 음악을 들어보며

1차시에 학습한 내용들을 복습하고, 오늘 학습할 내용과 주요 활동에 대

하여 소개한다.

(2) 전개

이 작품의 특징인 일정한 박자와 대조적인 셈여림을 파악하기 위하여

청각적 심상 단계에서는 노래 부르기와 신체활동을 실시하며, 피아노 소

리 발현의 원리를 이해하도록 하고, 소나타 형식 이해를 위하여 정교화

단계에서는 도식 악보를 만들어 보도록 한다.

교수 – 학습 내용 : 일정한 박자와 대조적인 셈여림 파악하기 위한

노래 부르기와 신체활동 (청각적 심상1)

먼저, 중성음절을 활용하여 주요 선율을 불러보도록 한다. 교사가

선창하고, 학생들이 따라서 부른다. 이 때 교사는 마디 별로 박수를 쳐

주며, 일정한 박자감을 익혀볼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이전에 학습한 신체동작과 함께 중성음절로 부를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이 곡은 명확한 셈여림과 정확한 박자가 표현된 곡이라고 설

Page 109: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96

명하며 셈여림과 박자를 표현하며 이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

어, p처럼 작은 소리가 들리면 목소리와 동작을 작게 하며, f와 같이 음

량이 클 경우 목소리와 동작을 크게 하도록 한다. 그리고 박자를 느끼기

위해서 마디의 첫 박에 악센트를 주어 노래를 부른다.

주요 선율을 중심으로 노래와 신체활동에 익숙해졌다면, 제시부, 발

전부, 재현부 순서로 구간을 나누어 이를 실시한다. 노래에 관한 교수

자료는 다음과 같다.

<표Ⅴ-11>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545’ 중 1악장 청각적 심상 활

동을 위한 교수 자료

주요 선율

1

예) 얌—빠밤/얌-다디담/얌—빠밤/얌—다 리리람

2

예) 얌--- (마디마다)

3

3

예) 빠라밤-라리라람-/빠-라람 두 번 반복

Page 110: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97

4

예) 마디마다 : 얌(람)-빠라라람-빠라라

5

5

예) 마디마다 : 얌-빠라바라빠라바라빠라바라

[지도 시 유의할 점]

이 곡은 박자감이 일정하다고 해서 첫 박에 악센트가 강한 곡은 아

니다. 학생들에게 박자감을 익히기 위하여 첫 박을 강조하며 부르도록

지도하지만 과도한 악센트를 주는 것은 지양하도록 한다.

교수 – 학습 내용 : 피아노 악기 음색 이해하기(청각적 심상2)

이 곡은 피아노 독주곡이므로 피아노에 대하여 설명을 해준다면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다. 학생들이 대부분 피아노 악기 음색 자체에는 익숙

하지만 악기의 소리의 특징에 대해서는 잘 모르기 때문에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교사는 음색의 특징을 느껴보기 위하여 직접 피아노 소리를 쳐주면

Page 111: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98

서 넓은 음역대, 섬세한 음고, 다층 구조의 표현을 보여주어 피아노 음

색의 특징을 직접적으로 느껴볼 수 있도록 돕는다.

<표Ⅴ-12> 피아노 악기 음색의 특징 설명을 위한 교수 자료

피아노

피아노는 88개의 건반으로 구성된 건반악기이자 해머로

현을 때려 소리를 내는 타현악기로 대중들에게 가장 널리 알려

진 악기이다. 모든 악기 중에서 가장 넓은 음역대를 표현할 수

있는 악기로 ‘악기의 왕’이라는 별명을 가진다.

피아노의 특징은 피아노(piano) 이름을 통해서도 파악할

수 있다. 피아노는 원래 피아노(piano)는 피아노포르테(p

ianoforte)의 약어로, 여리게 연주하라는 의미의 p와 세게 연

주하라는 의미의 f가 합쳐진 용어이다. 즉 여리게부터 세게까

지 다양하게 음량의 표현이 가능한 악기임을 의미한다. 피아노

악기의 전신인 하프시코드의 경우 현을 뜯어 소리를 내기 때문

에 음량의 차이가 크지 않아 셈여림 표현에 제한을 받았다. 그

러나 피아노가 등장하면서 건반을 누르는 세기에 따라 다양한

표현이 가능해진 것이다.

피아노는 다양한 화성 표현을 구사할 수 있다. 바이올린이

나 플룻 같은 경우 여러 화성을 동시에 연주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장점은 반주 악기로서의 역할을 돋보이게 하기도

한다.

(3) 마무리

교수 – 학습 내용 : 학습 내용 복습하기

처음부터 감상해보며, 학습한 내용들을 되새겨 보도록 한다. 교사는

음악의 프레이즈를 느끼고, 대조적인 셈여림, 피아노 음색의 특징, 명확

한 박자감 등을 이해하며 들어볼 것을 강조한다.

Page 112: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99

교수 – 학습 내용 : 두 개의 주제와 코다 이해하기(정교화1)

이 곡은 소나타 형식을 갖추고 있으며, 두 개의 주제와 코다를 중심

으로 진행되는 곡임을 설명한다. 우리가 학습한 선율 중에서 제1주제,

제2주제, 코다가 무엇이었는지 소리를 통해 소개하고 학생들에게 활동지

를 작성해 보도록 한다.

<그림Ⅴ-1> 두 개의 주제와 코다 이해를 위한 활동 수행의 예시124

교수 – 학습 내용 : 소나타 형식의 이해를 위한 도식악보 만들기(정

교화2)

이 곡이 소나타 형식에 대한 전체적인 구조에 대한 이해를 위해 도

124

시각적 표상화 예시 제공을 위하여 https://www.flaticon.com의 아이콘 사용

2017.11.08. 20:37접속. (구체적인 출처는 참고문헌에 제시하였다.)

Page 113: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00

식 악보를 작성한다.

먼저, 도식악보를 만들기 전에, 학생들에게 이 곡의 형식은 소나타

형식임을 언급하며, 주어진 도식악보 활동지에서 소나타 형식의 구조를

파악해 볼 수 있도록 한다. 학생들에게 찾아볼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한

후, 제시부, 발전부, 재현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 개의 주제와 코다 중

심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설명한다.

둘째, 교사는 학생들에게 부분적으로 음악을 들려주며, 자신이 만든

선율 기호를 활용하여 도식악보를 빈칸에 선율 기호를 그려 넣어 보도록

지도한다. 학생들이 잘 수행할 수 있도록 제시부–발전부–재현부로 구간

을 나누어 들려주도록 하며, 이에 어려울 경우, 제1주제, 제2주제, 코다

등으로 나누어 들려주도록 한다.

셋째, 자신이 만든 도식악보를 바탕으로 제시부와 재현부, 제시부

와 발전부를 비교해보는 발표의 시간을 갖는다. 그 후 교사는 제시부와

재현부의 주제가 동일하나 음고가 다르게 나오며, 발전부에서는 코다가

발전, 변형되고 있다는 설명을 덧붙인다. 또한 두 개의 주제를 발전시키

는 일반적인 소나타 형식과는 다르게, 이 곡은 코다를 활용 했다는 특징

을 가짐을 언급한다.

활동이 끝났다면 학생들은 각각 작성한 도식악보와 함께 음악 감상

을 하며 음악의 구조를 파악해볼 수 있도록 한다.

[지도 시 유의사항]

발전부는 코다가 발전, 변형되어 진행되고 있으므로 이에 유의하며

들어볼 것을 지도한다. 또한 도식악보에서도 이를 쉽게 판단할 수 있도

록 표시해두도록 한다.

Page 114: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01

[활동 예시]

선생님이 들려주는 부분을 듣고, 알맞은 선율 기호를 그려 넣어 보세요.

<그림Ⅴ-2> 소나타 형식 이해를 위한 도식악보 만들기

제시부 발전부 재현부

제1주제 제2주제 코다 제시부가 발전, 변

형 제1주제 제2주제 코다

<그림Ⅴ-3> 소나타 형식 이해를 위한 도식악보 만들기

학습활동 수행의 예시125

제시부 발전부 재현부

제1주제 제2주제 코다 제시부가

발전, 변형 제1주제 제2주제 코다

125

시각적 심상 예시 제공을 위하여 https://www.flaticon.com의 아이콘 사용

2017.11.08.20:37접속.(구체적인 출처는 참고문헌에 제시하였다.)

Page 115: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02

도식악보와 함께 다시 한번 감상하며 다음 <표V-14>과 같은 학습을

제시한다. 조직화, 청각적 심상, 시각적 심상에서 학습한 내용들을 되새

겨보며 감상할 것을 언급한다.

<표Ⅴ-13> 소나타 형식 이해를 위한 문제

1. 이 곡은 개의 주제가 있습니다.

2. 이 곡은 형식으로, 부, 부, 부로 구

성되어 있습니다.

3. 부의 두 개의 주제가 부에서 다시 등장합니다.

4. 부의 제1주제는 부의 ( 높은 / 낮은 ) 음역

대에서 다시 등장합니다.

(3) 마무리 : 실음 평가, 내용 평가, 자기 평가

마무리 단계는 평가 단계로써, 음악을 잘 기억하고 학습 내용을 잘

이해하였는지 판단하기 위하여 실음 평가를 중심으로 내용 평가와 자기

평가로 제시한다. (부록 참조)

Page 116: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03

2.지도의 실제 2 : 드뷔시 ‘달빛’

<표Ⅴ-14> 드뷔시 ‘달빛’ 제재곡 소개 및 지도 대상 선정

제재곡 드뷔시 ‘달빛’ 지도

대상 중학교

<표Ⅴ-15> 지도의 실제 : 드뷔시 ‘달빛’ 차시별 학습 목표

차시 학습목표

1

드뷔시와 그의 작품 세계를 이해하며 감상할 수 있다.

드뷔시 ‘달빛’의 주요 선율을 지각하고 프레이즈에 감응하며

감상할 수 있다.

음악의 분위기를 이해하고 청각적 이미지를 떠올리며 감상

할 수 있다.

2

tempo rubato와 유동적인 셈여림을 파악하며 감상할 수 있

다.

악기 음색을 이해하고 구별하며 감상할 수 있다.

ABA구조를 파악하며 감상할 수 있다.

1) 1차시

<표Ⅴ-16> 지도의 실제 : 드뷔시 ‘달빛’ 1차시 주요 활동

주요 활동

호흡을 통한 청킹활동을 통한 프레이즈 인지

신체활동을 통한 청킹 및 반복 패턴 파악하기

주요 선율마다 선율 기호 만들기

Page 117: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04

(1) 도입

도입 단계에서는 음악을 둘러 싸고 있는 역사와 문화적 맥락을 이해

하기 위한 단계로, 드뷔시와 그의 작품 세계에 관한 내용을 다양한 자료

와 함께 설명할 수 있도록 한다.

교수 – 학습 내용 : 드뷔시와 그의 작품 세계 소개하기

음악 감상에 앞서 드뷔시의 생애, 음악관, 인상주의 등에 대해 재미

있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야기하듯이 일화와 연관지어 설명한다. 또한 드

뷔시가 영향 받았던 인상주의에 대하여 설명할 때, 인상주의 대표 회화

작품인 모네 <해돋이>, 고흐 <별이 빛나는 밤> 등 다양한 시각자료를

활용하도록 한다. 인상주의 회화 작품을 활용하는 것은 모호하고 몽환적

인 분위기가 드뷔시 음악 속에서도 나타난다는 것을 설명하는 것은 음악

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표Ⅴ-17> 드뷔시와 그의 작품세계

드뷔시(C. Debussy) (1862-1918)126

드뷔시는 프랑스 출신의 작곡가로, 인상주의 대표 작곡가로 평가

받는다. 그는 어렸을 때부터 음악적 재능에 있어 두각을 나타냈다. 피

아노를 배우기 시작한 지 약 1년여 만에 10살의 나이로 파리 국립

음악원에 입학하게 된다.

그가 파리 국립 음악원을 재학하는 기간 동안을 보면 그의 개성

있는 성격을 엿볼 수 있다. 그는 그 시대에 전반적으로 사용하던 음악

어법을 따르려 하지 않았다. 이러한 드뷔시의 성격은 그의 작품에서도

126

드뷔시와 그의 작품세계에 대한 교수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Debussy”

Grove Music Online, Oxford Music 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www.

oxfordmusiconline.com/subscriber/article/grove/music/07353?source=omo_

gmo&search=quick&q=debussy&pos=1&_start=1#S07353.12

2017.11.08.16:50접속; 음악지우사 편(오지선 옮김). 『작곡가별 명곡해설 라이

브러리 : 드뷔시』. (서울 : 음악세계, 2002), p.10-18을 바탕으로 정리하였다.

Page 118: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05

나타난다. 기능 화성에서 벗어나고 자유롭게 음악을 쓰기 위하여 장

단조 체계보다 선법을 많이 차용하여 5음 음계, 교회선법 등을 많이

사용하였다.

그는 음악의 3요소로 불려지는 리듬, 가락, 화성에 음색을 더하였

다. 동아시아 음악은 드뷔시가 음색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 중 하나이

다. 그는 1889년 파리 만국박람회에서 인도네시아 전통악기인 가믈란

(gamelan)이 중심이 이루어진 전통음악을 듣게 되는데, 그들의 신선

한 음향, 형식의 자유로운 형식, 타악기의 효과 등을 경험하게 되고

이에 감명 받는다.

그는 인상주의 회화에 영향을 받아 순간적 인상을 음색을 통해

표현하려 했다. 인상주의는 1873년 클로드 모네의 <해돋이>를 시작

으로 프랑스 회화에서 사용된 용어이다. 모네 뿐만 아니라 르누아르,

고흐 등이 인상주의 대표 화가라고 불려진다. 그들은 사실적인 묘사보

다는 순간적인 인상을 그림으로 표현하려 했다. 음악도 인상주의 회화

기법에 영향을 받아 순간적인 인상을 음악의 아름다움으로 표현하려

했다. 드뷔시도 이에 영향을 받아 순간의 울림, 음색을 표현하고자 불

협화음이나 9화음이나 추가적인 코드 등을 자주 활용하였다.

<그림Ⅴ-4> 클로드 모네

‘해돋이’ 127 <그림Ⅴ-5> 반 고흐 ‘별이 빛나는 밤’128

127

https://ko.wikipedia.org/wiki/%EC%9D%B8%EC%83%81,_%ED%95%B

4%EB%8F%8B%EC%9D%B4 2017.11.08.17:33접속. 128

https://ko.wikipedia.org/wiki/%EB%B3%84%EC%9D%B4_%EB%B9%9B%

EB%82%98%EB%8A%94_%EB%B0%A4 2017.11.08.17:39접속.

Page 119: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06

[보충자료]

드뷔시 작품에서 나타나는 몽환적이고 모호한 분위기를 확실하게 느

낄 수 있도록 음색이 뚜렷한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 545’ 중 1악

장과 드뷔시 피아노 작품 중 하나인 Images book II, L. 111 비교하며

들려주는 것도 드뷔시 음향을 확실하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드뷔시가 영향을 받았다고 전해지는 인도네시아 전통 악기 ‘가믈

란’을 연주하는 영상을 주는 것은 드뷔시 음악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

교수 - 학습 내용 : ‘달빛’에 대한 소개 및 감상하기

오늘 배울 ‘달빛’ 또한 인상주의 음악으로서 달빛에 관한 순간적인

인상을 음악에 담아내려 했다는 설명과 함께 작품에 대해 전반적으로 설

명한다. 또한 원래 피아노 독주곡이지만 학습할 곡은 오케스트라 편성으

로 편곡된 곡임을 언급하며 다양한 악기에 대하여도 학습할 것임을 말하

며 전체 감상을 한다. (드뷔시 ‘달빛’에 관한 전반적인 소개는 제4장∙2절

2항에 제시된 곡 소개 및 작곡 배경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도록 한다.)

(2) 전개

전개에서는 감상곡에서 음악의 프레이즈를 이해하고 반복적으로 등장

하는 음형을 파악하고, 주요 선율에 대한 선율 기호 만들기 활동을 통해

음악적 특징과 분위기를 이해볼 수 있도록 한다.

Page 120: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07

교수 - 학습 내용 : 호흡을 통한 청킹활동을 통한 프레이즈 이해(조

직화1)

다시 한번 감상해보며 교사는 학생들에게 하나의 음덩어리라고 느

껴지는 부분에서 호흡을 하며 감상해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이 때 청

킹은 정확한 답이 있는 것은 아님을 언급하며 자율적인 분위기를 조성

하도록 한다. 이 때 교사가 먼저 호흡과 함께 시범을 보여 활동에 대한

직접적인 이해를 돕도록 한다.

[지도 시 유의사항]

학생들이 주선율에 주의를 가질 수 있도록 피아노를 통해 선율 중

심의 연주를 실시한다. 이는 주선율에 대한 주의를 높이고 향후 학습활

동에 있어 주선율을 친근하게 만드는 데 도움이 된다.

교수 – 학습 내용 : 신체활동을 통한 프레이즈 및 반복 등장하는 음

형 파악하기(조직화2)

이전의 학습활동에서 청킹에 답이 있는 것은 아니라고 설명했으나

주요 선율을 중심으로 의미있게 청킹을 하는 것이 프레이즈를 이해하고

음악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됨을 설명하며, 주요 선율을 바탕으로 한 신

체 동작을 소개한다. 주선율의 끝에서는 호흡할 것을 강조하며, 주선율

의 마무리를 느껴볼 수 있도록 한다.

1-4번 선율에 대한 신체의 움직임이 익숙해졌다면 구간별(A-B-

A ’)로 나누어 감상하며 반복적인 음형이 나올 경우 동일한 신체동작을

실시하며 프레이즈 및 반복 등장하는 음형을 이해하도록 한다. 신체 동

작은 다음 <표Ⅴ-18>과 같다.

Page 121: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08

<표Ⅴ-18> 드뷔시 ‘달빛’ 수업을 위한 신체동작 예시

1

1

마디1: 양손으로 보름달(O)을 그리며 들어 올린다.

마디2-4 : 손을 들어올리며 모양으로 달이 떠있는 형태를 표현한

다.

2

2

1마디 첫 음에서 보름달(O)을 둥글게 표현하고 저물듯이 음고에 따

라 내려오도록 한다.

3

마디마다 박자에 맞추어 양손으로 보름달(ㅇ)모양을 그린다.

Page 122: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09

4

4

왼손의 반주부의 느낌을 살리기 위하여 양손을 나풀거리며 모양을

그린다.

[신체 동작의 근거]

이 곡은 표제음악이라는 점을 반영하여 신체 동작은 달의 모양(O)

를 표현하는 것을 테마로 정하였다. 또한 이후 청각적 심상에서 학습할

tempo rubato를 고려하여 일정박 안에서 유동적인 템포를 표현할 수 있

도록하는 자유로운 동작으로 구성하였다.

[주요 선율의 근거]

앞서 제4장∙2절 2항에서 선정한 주요 선율을 바탕으로 선정하였다.

그 중 이 곡의 주제선율(마디1-8)은 드뷔시가 기존의 종지형태를 벗어

나고자 한 시도가 보여지며, 이는 하나의 긴 호흡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학생들에게 마디1-8를 모두 제시하는 것은 부담이 되기 때문에

마디1-4만 제시하였다.

교수 – 학습 내용 : 주요 선율에 대한 시각적 표상화(시각적 심상)

학생들에게 이 형용사표 안에서 주요 선율마다 어울리는 형용사를

자유롭게 찾아보도록 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장을 서술해보도록 한다.

그리고 학생들이 서술한 것을 바탕으로 간단한 기호로 시각적 표상화해

볼 것을 지도한다.

교사는 학생들은 짝과 함께 자신이 만든 기호들에 대하여 설명해보

며 의견을 공유해보도록 한다.

Page 123: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10

[활동 예시]

주어진 선율을 듣고 각 선율마다 어울리는 ‘형용사’를 골라 적어 보

세요. 그리고 형용사를 활용하여 문장을 만들어 보고, 이를 상징할 수

있는 간단한 ‘기호’를 만들어 봅시다.

<표Ⅴ-19> 드뷔시 ‘달빛’ 시각적 심상 활동을 위한 형용사표

A B C D E

쾌활한

즐거운

기쁜

밝은

명랑한

재미있는

위세가 좋은

공상적인

경쾌한

기묘한

변덕스러운

섬세한

우아한

서정적인

꿈과 같은

느긋한

감상적인

평온한

편안한

부드러운

차분한

조용한

공경하는

딱한

구슬픈

호소하는

갈망하는

F G H I J

어두운

침울한

서글픈

심히 고통스러운

우울한

애처로운

딱한

슬픈

엄숙한

신성한

숭고한

극적인

단호한

당당한

의기양양한

동요된

의기충전한

흥분한

자극적인

성급한

원기 왕성한

낙담한

Page 124: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11

<표Ⅴ-20> 드뷔시 ‘달빛’ 시각적 심상 활동 수행의 예시129

선율 형용사 문장 기호

1 우아한

우아한 백조 한 마리가

호수에서 유영하고 있

는 듯 하다.

2 애처로운 높은 음의 소리가 애처

로운 느낌이 든다.

3 편안한 편안한 아버지의 동그

란 미소가 떠오른다.

4 숭고한

여유있는 리듬감이 숭

고한 성당의 분위기를

만든다.

[지도 시 유의사항]

교사는 학생들에게 1개 이상의 형용사를 활용해도 되며, 표에 제시되

지 않은 다른 형용사를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하여 더 자유로운 생각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3) 마무리

교수 – 학습 내용 : 학습 내용 복습하기

처음부터 음악을 다시 들으면서 학습한 내용을 되짚어 본 후 1차시

수업을 마무리한다.

2) 2차시

129

시각적 심상 예시 제공을 위하여 https://www.flaticon.com의 아이콘 사용

2017.11.08.20:37접속. (구체적인 출처는 참고문헌에 제시하였다.)

Page 125: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12

2차시는 인지적 감상에 대한 집중해볼 수 있도록 한다.

<표Ⅴ-21> 지도의 실제 : 드뷔시 ‘달빛’ 2차시 주요 활동

주요 활동

음악의 다이내믹, tempo rubato 리듬 등 파악하기 위한 노

래 부르기와 신체활동

감상곡에 등장하는 주요 악기들 이해하기

음색 구별 및 음악의 구조 파악을 위한 도식 악보 만들기

(1) 도입

도입에서는 지난 시간에 학습한 드뷔시와 그의 작품세계, tempo

rubato, 악기 특징 등에 대한 복습과 함께 처음부터 다시 한번 들어보도

록 한다. 이 때 교사 주도로 설명하기 보다는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대답

할 수 있도록 질문을 던지며 수업을 이끌어 나가도록 한다.

(2) 전개

전개에서는 이 곡의 특징인 유동적인 셈여림과 tempo rubato, 선율

악기 음색을 이해하고, 형식 및 악기 음색 구별을 위한 도식악보 만들기

활동을 실시한다.

교수 – 학습 내용 : 음악의 분위기, 리듬, tempo rubato 파악하기

위한 노래부르기와 신체활동(청각적 심상1)

먼저, 교사는 준비한 가사와 함께 주요 선율을 중성음절로 불러보

도록 한다. 이 때 노래는 아름답고 고요한 달빛을 연상하며 불러보도록

지시한다.

Page 126: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13

둘째, 노래부르기와 앞서 활용한 이전에 학습한 신체 동작과 함께

한다. 앞서 실시한 신체 동작은 청각적 특징을 반영하지 않았다면 본

활동에서는 tempo rubato, 유동적인 셈여림, 곡의 분위기를 느끼며 노

래와 신체 동작을 하도록 한다. 특히 이 곡은 전반적으로 일정박 안에

서 연주자의 자유로운 재량이 허용되는 tempo rubato의 성격을 갖는다

고 설명하며, 이러한 드러나는 부분을 들려주며 느껴볼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확장 적용하여 A-B-A ’부분을 순서대로 들려주며 일정박

안에서 유동적인 템포와 악상을 느끼며 노래부르기와 신체동작을 실시

해 볼 수 있도록 한다.

<표Ⅴ-22> 드뷔시 ‘달빛’ 노래부르기 활동을 위한 교수 자료

주요 선율

1

1

예) 야-라람-/빠라밤---/빠라바바-밤-빠라밤-

2

예) 얌-빰빰빰빰빰/빰빰빰빰빰빰--

Page 127: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14

3

예) 빠라빠바밤/빰빰빰빰빠밤

4

예) 마디마다 : 빰---바밤

[보충 자료]

tempo rubato를 이해하기 위한 다른 버전의 연주 영상을 제공한다.

본 음원과 확실하게 비교할 수 음원으로 선정하였다. 특히 주제선율(a)

와 병치되는 b부분(1:16초~)과 B부분이 시작되는 2:08초부터는 tempo

rubato를 확실하게 표현하고 있어 중학생들에게 들려주기에 적합한 부

분이라 할 수 있다.

조성진의 드뷔시 ‘달빛’ 연주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U3u4pQ4WKOk

교수 – 학습 내용 : 악기 음색 이해하기(청각적 심상2)

이 곡은 바이올린이 중심이 되어, 오보에, 플룻과 함께 주 선율을

Page 128: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15

이끌어 나가므로 음색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악기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

다. 실제 악기를 보여주는 것은 여건 상 어려우므로 매체를 활용하여 소

리와 사진을 보여주도록 한다.

학생들에게 어떤 악기의 음색이 들렸는지 질문하고 대답을 유도한다.

그리고 학생들에게 바이올린, 오보에, 플룻이 주 선율을 연주했음을 설

명하며 악기에 대하여 설명하고 소리를 들려주도록 한다. 악기에 관한

교수 자료는 다음 표를 통해 제시한다.

<표Ⅴ-23> 오케스트라 편성의 드뷔시 ‘달빛’의 선율 악기설명 자료

악기 특징

바이올린

바이올린은 대표적인 찰현악기로 4개의 현으로 구성된 서양

악기이다. 바이올린은 악기의 여왕이라는 별명을 가질 정도

로 다양하고 풍부한 음색을 표현할 수 있으며 특히 4옥타브

이상을 표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지닌다. 이러한 바이올린

의 장점은 오케스트라 편성의 곡에서 주로 주요 선율을 담

당하여 음악의 중심을 꿰차도록 한다.

오보에

오보에 명칭은 프랑스어에서 ‘높다 ’라는 단어와 ‘나무 ’라는

단어가 합쳐서 탄생하였다. 여기서 오보에의 특징을 알 수

있다. 오보에는 나무로 만들어진 목관악기이며, 목관악기 중

에서 음역대가 높은 편에 속한다. 오보에는 오케스트라 편성

의 곡에서 쉽게 구별되는 음색을 가진다. 흔히들 ‘콧소리’와

같은 음색을 가진다고 말하며, 음정이 안정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바이올린과 같이 오보에는 선율 악기로서 많이 활용

된다. 오보에는 리드(reed)라는 떨림판을 활용하여 공기를

진동시켜 소리를 낸다는 특징을 갖는다.

플룻

플룻은 최고 음역의 목관악기로서 오케스트라 편성에서 선

율을 표현하거나 트릴 등 꾸밈음 등을 표현할 때 주로 활용

된다. 현재는 주로 금속으로 제작하지만 이전까지는 나무로

제작했기 때문에 현재도 목관악기에 포함하고 있다. 높고 화

려한 소리 뿐만 아니라 부드러운 저음역대의 음도 표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다. 또한 오보에와

다르게 직접 마우스피스에 입술을 대고 불어 공기를 진동시

Page 129: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16

켜 소리를 낸다.

바이올린 오보에 플룻

교수 - 학습 내용 : 선율 악기의 음색 구별하기(정교화1)

1차시에서 학습한 바이올린, 플룻, 오보에에 대한 특징과 소리를 다

시 마음 속으로 떠올려 볼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고 악기들의 특징을 발

표해보도록 한다.

교사는 선율 악기 음색이 변화하는 곳이자 음악의 구분이 지어지는

a-b-c-c’-c”-a’순서로 들려주며 빈칸에 알맞은 색깔을 칠해볼 수 있

도록 한다. 음색을 색칠한 도식 악보를 보면서, 악기가 어떻게 활용되었

는지 살펴볼 수 있도록 한다.

[지도 시 유의사항]

b의 앞부분은 플룻과 바이올린이 동시에 선율을 연주한다. 이 부분

을 들을 때 학생들에게 좀 더 유의하여 들어보도록 하며, 몇 번 더 반복

하여 들려준다.

[활동 예시]

선생님이 들려주는 부분을 듣고, 선율 악기에 부합하는 색을 골라 빈칸

을 칠해봅시다.(바이올린은 갈색, 플룻은 파란색, 오보에는 회색)

<그림Ⅴ-6> 드뷔시 ‘달빛’ 음색 구별을 위한 학습활동

Page 130: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17

[지도 상의 유

의사항]

교사는 학생들에게 어느 부분을 감상할 것인지 정확하게 알려주도록

하며, 학생들이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수행할 수 있도록 반복하여 들려

주도록 한다.

<그림Ⅴ-7> 드뷔시 ‘달빛’ 음색 구별을 위한 학습활동 수행의 예시

교수 – 학습 내용 : ABA 형식 파악하기(정교화2)

교사는 학생들과 함께 전체적인 구조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도식악보를 통하여 이 곡은 ABA구조로 앞의 주제선율이 뒤에서 다

바이올린 플룻 오보에

Page 131: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18

시 반복됨을 살펴볼 수 있도록 한다. B에서는 주제선율과 다른 멜로디와

분위기가 나옴을 설명한다. 앞에서 음색 파악하기 활동에서와 동일하게

구간별(a-b-c-c’-c”-a’)로 들려주며 선율 기호를 그려 넣어 보도록

한다. 이 때 교사는 동일한 선율이 다른 높이나 멜로디에서 나올 수 있

다고 이에 유의하며 감상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식 악보 제작 후 동일한 멜로디가 다시 나오는 부분을 찾아볼 수

있도록 지도하고 다시 부분적으로 감상한다. 특히 a와 b, A와 B 간의

변화에 유의하며 들어볼 수 있도록 한다.

[지도 시 유의사항]

교사는 학생에게 자신이 만든 선율 기호가 다른 음역대와 악기를 활

용하여 등장할 수 있음을 언급하고 시작하도록 한다.

<그림Ⅴ-8> 드뷔시 ‘달빛’ 완성된 도식 악보 작성의 예130

완성한 도식악보와 함께 다음과 같은 활동지를 제공한다. 교사는 학

생들에게 음악을 다시 들려주며 조직화, 청각적 심상, 시각적 심상에서

학습한 내용들을 되새겨보며 감상할 것을 언급한다.

130

도식 악보 예시 제공을 위하여 https://www.flaticon.com의 아이콘 사용

2017.11.08.20:37접속.(구체적인 출처는 참고문헌에 제시하였다.)

Page 132: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19

<표Ⅴ-24> 드뷔시 ‘달빛’ 도식악보를 활용한 학습 활동

1. 이 곡은 구조를 갖춘 곡입니다. A의 a의 선율이 A’의

에서 다시 나타납니다. B에서는 비슷한 멜로디가 여러 번

등장하는 데 악기는 - - 가 순서대로

활용되었습니다. 그 중 현악기인 이 가장 많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2. 이 곡의 주제선율은 A의 a입니다. A’의 에서는 주제선율

이 ( 높은 / 낮은 )음역에서 시작합니다.

3. 일정박 안에서 유동적인 템포가 허용되는 성격을 보이고

있습니다.

3) 마무리

마무리 단계에서는 수업을 통해 학습한 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평

가를 실시한다. 평가는 학습내용을 기반으로 실음 평가를 중심으로 내용

평가와 자기 평가로 구성한다. (부록 참조)

Page 133: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20

제6장 결론 및 제언

많은 학교현장에서는 음악과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음악의 개념과 요

소를 이해하며 감상하는 것에 대하여 소홀해왔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 음악의 구성 요소를 이해하며 감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직접적인 방법으로 음악적 기억을 활용하였다. 그 이유는 음악적

기억을 형성하는 인지적 전략은 음악을 기억하는 수단로서의 의미를 넘

어 음악의 구성 요소들에 대한 이해와 함께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문헌 고찰을 통해 살펴본 바, 조직화는 음악의 프레이즈와 반복 등장하

는 음형에 대한 파악을 도우며, 청각적 심상은 음악을 이루는 박자, 셈

여림, 리듬, 음색 등과 같은 청각적 이미지에 대한 이해를 함께한다. 시

각적 심상은 음악에 대한 이미지 표상을 통해 자기 주도적으로 음악적

특징을 이해하도록 하며 뿐만 아니라 음악적 분위기 파악을 돕는다. 정

교화는 기존의 정보와 관계지어 새로운 음악정보를 이해하도록 하며 음

악의 전체적인 구조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주의는 주선율에

대한 집중을 높이며, 시연과 반복은 음악을 보다 많이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점에서 음악적 기억을 형성하는 인지적 전략은 우리나라

음악과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음악의 구성 요소를 이해하며 감상하는 데

직접적인 도움이 되는 학습 전략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과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감상 수업이 되기 위하

여 이와 같은 인지적 전략들에 대한 정리 및 고찰한 후 수업모형 및 교

수학습 방법을 고안하여 학생들이 음악의 구성 요소를 이해하며 감상할

수 있는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과정을 거쳤다.

첫째, 음악 감상의 의미를 탐색하고 2015 개정 중학교 음악과 교육

과정을 바탕으로 개괄적인 지도 방향과 평가 방향을 설정하였다. 여러

선행문헌들에서는 진정한 음악 감상은 음악에 대한 지적 이해와 함께 음

악의 특징을 지각하며 감상하는 것임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2015

Page 134: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21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목표항, 내용 체계 및 성취 기준,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학교 감상 수업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지각적 감상과 함께 ‘음악의 배경’, ‘역사와 문화적 맥락’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함과 수업 방식에 따라 다양한 평가 방법을 활용해야 함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를 반영하여 지도 방향으로 수업모형의 첫 단계로

음악의 배경에 대한 학습을 내세웠으며, 평가 방향으로는 감상이라는 점

에서 실음 지필 평가를 중심으로 내용 평가와 자기 평가를 제시하였다.

둘째, 음악적 기억에 관한 이론적 탐색을 통해 음악적 기억을 형성

하는 인지적 전략을 주의, 시연, 반복, 조직화, 심상, 정교화로 정리하였

으며, 이를 음악 감상교육에 접목시킬 수 있는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였

다. 6가지 인지적 전략 중 조직화, 심상, 정교화는 각각 음악의 구성 요

소를 이해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밝혔

으며, 주의, 시연, 반복은 수업의 전 과정에서 교사가 학생들의 음악에

대한 이해와 기억을 위하여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서 제시하였다.

셋째, 구체적인 지도의 실제를 제공하기 위하여 선정 기준을 제시하

고 이에 따라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 545’ 중 1악장과 오케스트라

편성의 드뷔시 ‘달빛’으로 선정하였다.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 545’

중 1악장은 중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대표적인 절대음악으로, 형식미가

뚜렷하며, 대조적인 셈여림, 일정한 박자 등을 갖춘 곡이며, 오케스트라

편성의 드뷔시 ‘달빛’은 표제음악 중에서 ABA 구조를 갖추었으며 바이

올린, 오보에, 플룻 등 다양한 악기가 등장하고 tempo rubato, 유동적인

셈여림을 갖춘 곡이라는 점에서 음악적 특징이 뚜렷하다. 이 두 곡을 면

밀하게 분석하여 음악 내 중요한 음악적 특징을 지도 요소를 확인 및 추

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고찰을 통해 설정한 지

도 방향과 평가 방향, 음악적 기억을 형성하는 인지적 전략의 이론적 탐

색 및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바탕으로 지각적 감상 수업을 위한 교수학

습 방법과 수업모형을 고안하였다. 수업모형의 단계는 음악의 배경 -

Page 135: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22

조직화 – 시각적 심상 – 청각적 심상 – 정교화 – 평가로 구성하였다. 음

악의 배경 단계는 수업모형의 첫 단계로, 작곡가 및 작품의 배경에 대하

여 지도하는 단계이다. 조직화 단계는 청킹 활동을 통하여 프레이즈를

이해하고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음형을 이해하며 감상할 수 있도록 호흡

을 통한 감상활동과 신체활동으로 이루어지며, 시각적 심상은 교사 주도

가 아닌 자기주도적인 음악의 구성 요소 인지 및 분위기 이해를 위하여

그림 그리기를 통한 시각적 표상화하는 단계이다. 청각적 심상 단계는

음악을 이루는 정교한 청각적 이미지를 수용하기 위하여 셈여림, 박자,

리듬 등을 고려한 중성음절을 통한 노래 부르기 및 신체활동을 실시하며

악기 음색에 대한 이해를 함께한다. 정교화 단계는 시각적 심상에서 표

상화한 선율 기호를 활용하여 전체적인 음악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하여

도식악보를 만드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수업모형과 교수학습 방법을 바탕으로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545’ 중 1악장과 오케스트라 편성의 드뷔시 ‘달빛’을 각각 2

차시 구성의 구체적인 지도의 실제를 고안하였다. 1차시에서는 조직화와

TL각적 심상 단계를 구성하였으며 2차시에서는 청각적 심상과 정교화

단계를 중심으로 하여 학생 주도적인 학습의 비중이 높였다.

이 논문에서는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음악 감상 지도의 실제를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 545’ 중 1악장과 오케스트라 편성의 드뷔

시 ‘달빛’을 중심으로 고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수업모형 및 교수

학습 방법은 이 두 곡 뿐만 아니라 서양 조성음악이라면 적용 가능하다

고 생각된다. 따라서 다른 곡에도 확장 및 적용한 음악 감상 지도 방안

이 제시된다면 학생들이 더욱 다양한 곡을 기억하고 음악의 특징을 지각

하며 감상하는 것을 이끌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해본다.

Page 136: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23

참고 문헌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2015). 『음악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

호 [별책 12]

[국내 단행본]

권덕원 외. 『음악교육의 기초』. 파주 : 교육과학사, 2015.

김경임. 『피아노 소나타』. 대구 : 경북대학교 출판부, 2002.

문선모. 『교육심리학 - 학습∙발달 중심 접근 -』. 파주 : 양서원, 2004.

민경훈 외. 『음악교육학 총론』 제2판. 서울 : 학지사, 2016.

민경훈 외. 『음악 교수학습방법』. 서울 : 학지사, 2017.

박유미. 『음악 심리학의 이해』. 서울 : 음악춘추사, 2009.

박유미. 『피아노 문헌』. 서울 : 음악춘추사, 2010.

세광음악출판사 편. 『모차르트 3』. 서울 : 세광음악출판사, 1999.

음악지우사 편. 『작곡가별 명곡해설 라이브러리 18 ‘드뷔시 ’』. 오지선

옮김. 서울 : 도서출판 음악세계, 2001.

이석원. 『음악인지과학』. 서울 : 심설당, 2013.

이홍수. 『느낌과 통찰의 음악교육』. 서울 : 세광음악출판사, 1992.

Hargreaves, D. J. 나재용 역.『음악발달심리학』. 서울: ㈜교학사, 2010.

Gagne R. M. 전성연, 김수동 공역. 『교수–학습이론』. 서울 : 학지사,

1999.

Ormrod, J.E. 김인규 외 공역. 『인간의 학습』. 서울 : 시그마프레스,

2009.

Rodocy, R. E. & Boyle J. D. 최병철, 방금주 공역. 『음악심리학』. 서

울 : 학지사, 2001.

Page 137: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24

Sloboda, J. A. 서우석 역.『음악의 심리』. 서울:심설당, 1993.

Woolfolk, A.E. 김아영 외 공역. 『교육심리학』. 서울 : 학문사, 2001.

[해외 단행본]

Anderson, J. R. Cognitive Pyschology of and Its Implications. NY :

Freeman,1990.

Baddeley, A. Memory. NY : Psychology Press, 2009.

Dansereau, D. F. “Learning strategy research.”Segal, J., Chipman,

S. & Glaser, R. (eds.). Thinking and learning skills: Relating

instruction to research. Vol.1,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1985.

Dowling, J. D. & Harwood, D. L. Music Cognition. NY : Academic

Press, Inc., 1986.

Eysenck, M. W. “Chapter 5 : Depth, Elaboration, and Distinctivenss”

Cermak, L.S., Craik, F. L.(eds.), Levels of Processing in

Human Memory. Oxford : Lawrence Erlbaum, 2015.

Finke, R. A. Principles of mental imagery. Cambridge, MA : The

MIT Press, 1989.

Halpern, A. R. & Bartlett, J. C. “Chapter 8 : Memory for melodies”.

M.R. Jones et al.(eds.), Music Perceptions. NY : Springer

Handbook of Auditory Research, 2010.

Halpern, A. R. “Musical Aspects of Auditory Imagery”. D. Reisberg

(eds.). Auditory Imagery.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5-71, 2014.

Intons-Peterson, M. J. “Components of Auditory Imagery”. In D.

Reisberg (eds.). Auditory Imagery.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14.

Jensenius, A. R., Wanderley, M. M. et al., “Chapter 2: Musical

Gestures : Concepts and Methods in Research ” . Musical

Gestures : Sound, Movement, and Meaning. Godoy, R. I. &

Page 138: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25

Leman, M.(eds.) NY : Routledge, 2010.

Radocy, R. E. & Boyle, J. D.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Musi

cal Behavior. Springfield : Charles C Thomas, 2012.

Snyder, B. Music and Memory : An Introduction. Cambridge, MA :

The MIT Press, 2000.

Snyder, B. “Memory for Music”. The Oxford Handbook of music p

sychology 2nd edition. Hallam, S., Cross, I. & Thaut,

M(eds.). Oxford :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국내논문]

문혜령. “심상을 활용한 음악학습”.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민경훈. “학교 음악교육에 있어서 도식악보의 활용”. 『한독교육학연구』,

4(1), 165-190, 1999.

민경훈. “모더니즘 관점에서 본 음악의 특성 및 감상 지도 방법 -스트

라빈스키의 원시주의 음악 봄의 제전을 본보기로 –”. 『예술교육

연구』, 6(1), 29-43, 2008.

박은희, 하주현. “심상활용 창의적 교수법이 음악기억에 미치는 효과” .

『창의력교육연구』, 15(4), 61-75, 2015.

승윤희. “지식표상이론과 음악지식의 표상”. 『음악교육연구』, 27, 129-

154, 2004.

승윤희. “정보처리이론에 기초한 음악교수 학습방법 연구”. 『음악교육

연구』, 29, 45-73, 2005.

오아람. “인지심리학의‘주의’개념과 다성음악 감상 지도 방법 연구”. 한

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오지향. “음악과 인간의 상호작용 : 어린이들의 음악 경험에 대한 실험

적 연구 : 음악의 정서적 반응에 대한 시각적 표현” .『서양음악

학』, 13(0), 159-176, 2007.

Page 139: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26

오지향.“어린이들의 그림에 나타난 표제음악의 음악적 이미지 분석 연

구”. 『예술교육연구』, 8(1), 159-176, 2010.

이연경. “감상능력 육성을 위한 음악과 학습지도방법에 대한 연구”.『음

악교육연구』, 15, 1-52, 1996.

이연경, 정주희. “미학 이론 기반 초등학교 음악감상 수업방안”. 『음악

교수법연구』, 7(0), 73-102, 2011.

이유진, 김영신, 황은영. “초등학생의 고전음악에 대한 주제선율 인지,

선호 및 음악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노래와 음악감상의 영향 ” .

『예술심리치료연구』, 7(1), 101-116, 2011.

정재은, 최미영. “음악감상 수업모형의 이론적 탐색”. 『교사교육연구』,

55(1), 47-56, 2016.

정현주. “학습부진아의 청각정보처리와 단기기억력 향상을 위한 치료적,

교육적 접근”.『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지』, 11(1), 1-10, 2004.

조성기. “셴커식 분석이론과 음악적 인지”. 『음악교육공학』, 8, 1-18,

2009.

홍승연. “움직임이 있는 능동적 음악 감상 교수 학습 방안 모색”. 『음악

교육공학』, 17, 17-36, 2013.

홍요섭. “음악의 구성요소로서 음색의 중요도에 대한 변천과정”. 『음악

교육공학』, 17, 37-62, 2013.

황은영, 김영신. “놀이적 음악감상이 유아들의 고전음악 선호, 주제 선율

인식 및 음악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음악치료학회지』,

11(2), 100-113, 2009.

[해외논문]

Atkinson, J. W & Shiffrin, R. M., “Human memory : A proposed

system and its control processes”. Psychology of learning and

motivation, 2, 89-195, 1968.

Page 140: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27

Bailes, F. A. “Musical Imagery : Hearing and Imaging Music”. P

hD thesis, University of Sheffield, 2002.

Crowder, R. & Morton, J. “ Precategorical acoustic storage ” .

Perception and Psychophysics, 5, 365-373, 1969.

Godoy, R. I., Refsum, J. A. & Kristian, N. “Chunking in Music by

Coarticulation” . Acta Acustica united with Acustica, 96(4),

690-700, 2010.

Large, E. W., Palmer, C. E. & Pollack, J. B. “Reduced Memory

Representations for Music”. Cognitive Science, 19(1), 53-96,

1995.

Miller, G. A. “The magical number seven, plus or minus two: Some

limits on our capacity for processing information ” .

Psychological Review, 63, 81-97, 1956.

Rinne, L., Gregory, E., Yarmolinskava, J. & Hardiman, M. “Why

arts intergration improves Long- term retention of content”.

Mind, Brain, and Education. 5(2), 89-96, 2011.

Schulze, K. & Tillmann, B.“Working memory for pitch, timbre, and

words”, Memory, 21(3), 377-395, 2013.

Segalowitz, N. et al., “Musical recall memory : contributions of

elaboration and depth of processing” . Psychology of music

and music education, 29(2), 139-148, 2001.

Shiffrin, R. M. & Atkinson, R. C. “Storage and retrieval processes in

long-term memory”. Psychological Review ,76(2), 179-193,

1969.

Sperling, G. “The information available in brief visual presentation

s.” Psychological Monographs, 74, 1-29, 1960.

Walker, M., Lim, A. & Sinnett, S. “The role of working memory in

melodic perception”. CogSci, 2553-2558, 2015.

Page 141: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28

[사전]

Eisen, Cliff., Sadie, Stanley. “Mozart”. Grove Music Online. Oxford

Music 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11. 10. 11:40접속.

Hudson, Richard. “Tempo rubato”. Grove Music Online. Oxford

Music 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11.29.22:51접속.

Lesure, François. “Debussy” Grove Music Online. Oxford Music

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11.08.16:50접속.

[악보]

Mozart, Wolfgang Amadeus. Piano Sonata K. 545 1st mov. Leipzig :

Breitkopf & Härtel, 1878.

Debussy, Claude. Clair de Lune. NY : Dover Publications, 1974.

[영상 및 그림자료]

조성진의 드뷔시 ‘달빛’ 연주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U3u4pQ4WKOk

클로드 모네 <해돋이>

https://ko.wikipedia.org/wiki/%EC%9D%B8%EC%83%81,_%ED%95

%B4%EB%8F%8B%EC%9D%B4 2017.11.08.17:33접속

반 고흐 <별이 빛나는 밤>

https://ko.wikipedia.org/wiki/%EB%B3%84%EC%9D%B4_%EB%B9

%9B%EB%82%98%EB%8A%94_%EB%B0%A42017.11.08.17:39접속

바이올린 사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7809&cid=40942&cat

egoryId=33037 2017.11.08.19:28접속.

오보에 사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4989&cid=58160&cat

egoryId=58160 2017.11.08.19:37접속.

플룻 사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59850&cid=40942&cat

Page 142: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29

egoryId=33037 2017.11.08.19:58접속.

피아노 사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4173&cid=58160&cat

egoryId=58160 2017.11.08.22:25접속.

시각적 심상 예시 제공을 위한 아이콘

“church” “dad”, “flower”, “run” ,”sad face”, “swan”. designed by

“freepik” from www.flaticon.com.

“bed”. designed by “Pixel perfect” from www.flaticon.com.

“book”. designed by “Smashicons” from www.flaticon.com.

https://www.flaticon.com 2017.11.08.20:37접속.

Page 143: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30

부 록

1.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545’ 중 1악장 감상 수업 평가지

2. 드뷔시 ‘달빛’ 감상 수업 평가지

Page 144: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31

<부록1>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545’ 중 1악장 감상 수업 평가지

1. 실음 평가

1) 다음 들려주는 선율이 무엇(제1주제, 제2주제, 코다 중) 무엇인

지 적어 봅시다.

① _____________

② _____________

③ _____________

2) 다음 들려주는 1번 선율과 2번 선율은 어디에 해당하는 지 적어 보고

(발전부,재현부 중), 그것의 특징을 적어 봅시다.

( )부입니다.

2. 내용의 이해

오늘 배운 내용에 대해서 복습해 봅시다.

이 곡은 작곡가 의 작품입니다. 는 어렸을

때부터 음악에 대한 재능이 남달랐습니다.

피아노는 건반악기이자 해머를 통해 현를 때려 소리를 내는

악기입니다. 다양한 음색 표현이 가능하며 다양한 화음

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 곡은 형식을 갖춘 고전시대 대표적인 피아노곡입니

다. 형식은 부, 부, 부로 구성됩니다.

부와 부는 비슷한 형태의 선율이 등장합니다. 또한

개의 주제를 중심으로 음악을 꾸려 나갑니다.

Page 145: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32

3. 자기 평가

스스로 평가해 봅시다. 해랑란에 O 하세요.

평가 내용 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주요 선율들을 기억할 수 있나요?

제1주제와 제2주제를 구분하며 들을

수 있나요?

제시부, 발전부, 재현부를 구분하며 들

을 수 있나요?

소나타 형식을 이해하며 감상할 수 있

나요?

소나타 형식에 대해 설명할 수 있나

요?

Page 146: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33

<부록2> 드뷔시 ‘달빛’ 감상 수업 평가지

1. 실음 평가

1) 다음을 듣고, 주제선율이 몇 번 반복되었는지 적어 봅시다.

2) 다음 들려주는 음악은 드뷔시 ‘달빛’의 일부분입니다. 음악을 감

상하며 주선율을 연주하는 악기를 골라 봅시다.

바이올린 플룻 오보에 피아노

① ② ③ ④

3) 다음 들려주는 음악의 연주 순서를 찾아 봅시다.

① 바이올린 – 플룻 – 오보에

② 클라리넷 – 플룻 – 오보에

③ 바이올린 – 오보에 – 클라리넷

④ 바이올린 – 오보에 – 바이올린

2. 내용의 이해

① 이 곡의 제목은 입니다.

② 오늘 배운 곡은 작곡가 ( 모차르트 / 드뷔시 / 베버 )의 작

품입니다.

Page 147: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34

③ 이 곡은 형식을 갖추고 있습니다.

④ 이 곡의 작곡가는 ( 음색 / 박자 )을(를) 중요하게 생

각했습니다.

⑤ 이 곡은 일정 박안에서 어느정도 자유로운 템포가 허용되는

성격을 가집니다. 그래서 연주자만의 재량이 돋보일 수

있는 곡입니다.

⑥ 이 곡은 원래 독주곡입니다.

3. 스스로 평가해 봅시다(해당란에 O하세요.).

평가 내용 그렇다 보통이

다 아니다

주요 선율들을 기억했나요?

학습한 선율들에 대해 설명할 수 있

나요?

드뷔시만의 음색을 느끼며 감상할 수

있나요?

음악의 흐름을 느끼며 감상할 수 있

나요?

작품 내 음색의 변화를 느끼며 감상

할 수 있나요?

인상주의 음악에 대하여 이해했나요?

Page 148: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35

Abstract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of Music Appreciation

in Middle School

through Musical Memory

Formation

Nahee, Ko

Major in Music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ic appreciation classes in many schools have been carried out

by mere listening to music or by listening to music and concepts

separated by the idea of respecting free response to music, instead

of understanding the components of music that music curriculum

pursue. To address this issue, this study used musical memory as a

direct method to appreciate music classes and understand the

components of music that music and curriculum pursue. Clear music

Page 149: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36

memory is knowing a lot about music, remembering the main

melody, thereby, following the overall flow of the music and

appreciating the music with recognition of musical elements such

as rhythm, dynamics, and timbre. In addition, cognitive strategies

that form clear musical memories are not only a process of

repetition, but also an understanding of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music. In this regard, helping middle school

students to form musical memories is in line with the direction of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pursued in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of 2015.

Therefore, this study searched the six cognitive strategies that

determine the degree of musical memory, and the possibility of use

in music appreciation classes. On the basis of this, this study

suggested a guiding method of music appreci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appreciate music perceptually.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First, this study reviewed the music curriculum of the middle

school in 2015 and set out general direction and evaluation direction.

In order to deeply understand the music, which is an artistic sound

organization, it is necessary to learn about history and cultural

context and background of music. In the point of appreciation class,

the evaluation was composed of content evaluation and self-

evaluation based on the sound-based written test.

Second, this study, after a literature review, explored for possible

use of musical memory, which is the basi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appreciation education. The cognitive strategies for

forming musical memories are summarized in six categories as

attention, rehearsal, repetition, organization, elaboration, and

Page 150: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37

imagery by referring to the research of Yun-Hee Seung(2005). By

reflecting these characteristics, this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of use in music appreciation class. Organization, elaboration, and

imagery had shown the possibility of use i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t allows students to experience rhythm, dynamic, form,

timbre, etc. and attention, rehearsal, and repetition were suggested

for teachers consideration in the whole process of appreciation

class.

Third, this study selected absolute music and program music

respectively within the middle school textbook which are

appropriate to apply the cognitive strategies that are used a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chosen

pieces of music and drew elements of guidance. The first movement

of Mozart Piano Sonata K. 545 is absolute music with sonata form. It

is characterized by its distinctive form, contrasting dynamics, and

clear beat. Of the program music, Orchestrated Clair de Lune of

Debussy has a variety of musical instruments and has tempo rubato

style that shows the tempo discretion of the performer in a constant

beat. This characteristic is suitable for applying the organization,

the auditory imagery, and elaboration to be used as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this study. This study confirmed and identified

the guiding factors by analyzing the selected two pieces.

Fourth, this study devised concrete teaching methods and

teaching models based on the cognitive strategies that form the

musical memories of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of 2015. Also,

this study suggested the actual practice of specific guidance in the

2nd period, based on the two pieces of music, in order to help the

students to appreciate the music in depth.

Page 151: 2018년 2월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42086/1/000000149695.pdf · 2019-11-14 · 음악적 기억 형성을 통한

138

This study will help students remember a piece of music and

understand and appreciate the components of music. In addition, I

hope that students will be able to appreciate various music by

extending and applying the guidance method presented in this study

to various western tonal music.

Keywords : teaching method of music appreciation, musical memory,

cognitive strategy, auditory imagery, visual imagery

Student Number : 2016-216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