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2. 21. · 2019-02-21 · 2019년 3d프린팅산업 진흥 시행계획 2019. 2. 21....

27
2019년 3D프린팅산업 진흥 시행계획 2019. 2. 21. 관계부처 합동

Upload: others

Post on 15-Mar-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2019. 2. 21. · 2019-02-21 · 2019년 3d프린팅산업 진흥 시행계획 2019. 2. 21. 관계부처 합동

2019년 3D프린팅산업 진흥 시행계획

2019. 2. 21.

관계부처 합동

Page 2: 2019. 2. 21. · 2019-02-21 · 2019년 3d프린팅산업 진흥 시행계획 2019. 2. 21. 관계부처 합동

목 차

Ⅰ. 추진 배경 ···································································· 1

Ⅱ. 국내외 시장 환경 ······················································ 2

Ⅲ. 2018년 추진성과 ······················································ 6

1. 주요 성과 ·············································································· 6

2. 세부 추진실적 ······································································ 7

Ⅳ. 2019년 추진계획 ···················································· 11

1. 추진 방향 ··········································································· 11

2. 주요 추진계획 ··································································· 12

2-1. 수요창출을 통한 시장성장 지원 ···································· 12

2-2. 기술 경쟁력 강화 ······························································ 15

2-3. 3D프린팅 산업 확산 기반 강화 ····································· 19

2-4. 산업육성을 위한 제도적 기반 강화 ······························ 23

Ⅴ. 추진 일정 ································································· 25

Page 3: 2019. 2. 21. · 2019-02-21 · 2019년 3d프린팅산업 진흥 시행계획 2019. 2. 21. 관계부처 합동

- 1 -

Ⅰ. 추진 배경

□ 국내 3D프린팅산업 진흥을 위한 종합적인 실천전략으로써「3D프린팅

산업 진흥 기본계획(’17~’19)*」수립(’16. 12월, 정보통신전략위원회)

* ‘3D프린팅 글로벌 선도국가 도약’이라는 비전을 구현하기 위해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추진할 4대 추진전략과 12대 정책과제로 구성

ㅇ 기본계획의 충실한 이행을 위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세부 정책과제

및 추진내용을 마련하여 ‘2019년 3D프린팅산업 진흥 시행계획’ 수립

* (추진근거) ‘삼차원프린팅산업 진흥법’ 제5조 및 동법 시행령 제2조에 따라 3년

마다 기본계획을 마련하고 연도별 시행계획을 매년 수립

< 3D프린팅산업 진흥 기본계획 추진전략 및 정책과제 >

4대 추진전략 12개 추진과제 관계부처

1.수요창출을통한 시장성장 지원

▪융합형 비즈니스 모델 발굴 및 시범사업 추진 과기정통부

▪시장확산을 위한 선도사업 추진 과기정통부, 산업부

▪주력산업 제조분야의 수요창출 추진 산업부

2 .기술경쟁력강화

▪차세대 핵심분야 기술개발 지원 과기정통부, 산업부

▪제조혁신 기술개발 지원 산업부, 국토부

▪3D프린팅 기술표준 선도 과기정통부, 산업부

3 . 3 D 프 린팅산업 확산기반 강화

▪3D프린팅 산업인프라 고도화 과기정통부, 산업부, 중기부

▪3D프린팅 전문기업 육성 과기정통부

▪3D프린팅 전문인력 양성 및 현장형 교육강화과기정통부, 고용부, 산업부,국방부

4 .산업육성을위한 제도적기반강화

▪3D프린팅 장비 등 신뢰성 기반 마련 과기정통부, 산업부, 식약처

▪산업육성을 위한 정책기반 강화 과기정통부, 기재부, 중기부

▪안전한 이용환경 조성 과기정통부

Page 4: 2019. 2. 21. · 2019-02-21 · 2019년 3d프린팅산업 진흥 시행계획 2019. 2. 21. 관계부처 합동

- 2 -

Ⅱ. 국내외 시장 환경

1 세계시장 현황 및 전망

□ (시장규모) ’17년 3D프린팅 세계시장 규모는 전년대비 21% 증가한

73.4억 달러로서 ‘23년까지 273억 달러로 고성장*(CAGR 27.5%) 전망

* 맞춤제작 용이, 제작기간․비용 절감 등 3D프린팅 기술의 장점이 지속적인 산업 확산 유발

ㅇ (국가별 시장점유율) 3D프린터 제조 및 활용 기업과 신기술 등을

많이 보유한 미국이 1위(36.0%), 독일 2위(11.2%), 한국은 8위(4.1%) 수준

< 3D프린팅 세계시장 전망 > < 국가별 3D프린팅 시장 점유율 >

Wohlers Associates(‘18) Markets & markets(‘18)

ㅇ (부문별 시장) 3D프린팅 기술 활용 부품생산, 컨설팅, 교육 등의

‘서비스’ 시장 비중이 57.3%(42억 달러)를 차지하고 성장률(23.8%)도 높음

- 소재 및 보급형 3D프린터의 매출 증가 등으로 3D프린팅 장비와

소재 등의 ‘제품’ 시장은 31.3억 달러로 전년대비 17.4% 증가

< 제품시장 부문별 매출 추이 > < 서비스시장 부문별 매출 추이 >

Wohlers Associates(‘18) Wohlers Associates(‘18)

Page 5: 2019. 2. 21. · 2019-02-21 · 2019년 3d프린팅산업 진흥 시행계획 2019. 2. 21. 관계부처 합동

- 3 -

□ (산업 활용분야․용도) 기계(20.0%) 부문 비중이 가장 높고 항공⋅우주

(18.9%), 자동차(16.0%), 소비재․가전(11.7%), 의료․치과(11.3%) 순으로 활용

ㅇ 사용 용도는 부품제작, 조립․설치, 교육 및 연구개발 순< 3D프린팅 산업 활용분야 > < 3D프린팅 사용 용도 >

Wohlers Associates(‘18)

□ (기업동향) 시장지배를 위한 글로벌 기업 간 기술선점 경쟁이 가속되고

금속 등 산업용 3D프린터 제조사가 크게 증가(’17년 135개, 전년대비 39.2%↑)

ㅇ 3Dsystems社* 등 기존 기업은 M&A 등을 통한 시장 지배력 확대,

HP, GE 등 글로벌 기업**은 3D프린팅 장비․서비스 사업 진출

* 3Dsystems社 : Vertex社(소재), INUS社(韓, SW), Z corp.(장비) 등 40여개社 합병

** HP社(기존 3D프린터 대비 5~10배 이상 빠른 산업용 고분자 장비 출시), GE社

(LEAP엔진용 금속연료노즐, ‘20년까지 12만개 생산), Airbus社(’18년 A350用 티타늄

부품 생산), Lima社(최근 10년간 티타늄합금 정형외과기기 생산)

□ (기술동향) 3D프린팅 설계기술 진화로 일체화․경량화 등 제품혁신이

가속되고 소재 다변화, 장비성능 개선을 통해 활용분야 확대

ㅇ 3D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컨트롤러 등 SW와 HW(3D프린터)간 융합 가속

* 설계전문 SW기업(지멘스, 오토데스크등)과 장비기업(GE, 스타라타시스) 간 협업 증가

ㅇ 고속화․대형화 등 장비성능 개선과 수요자가 쉽게 사용하도록

시스템화․저가화 등을 통해 다양한 수요층과 산업 분야로 활용 확산

ㅇ 세계 특허는 998건으로 ‘16년보다 29.3% 증가하였으며, 이 중 산업

활용 분야 특허가 65%*, 장비⋅소재⋅SW가 35% 차지

* 항공⋅우주 15%, 의료 14%, 기계 11%, 교육 7%, 소비재⋅가전 5% 등

Page 6: 2019. 2. 21. · 2019-02-21 · 2019년 3d프린팅산업 진흥 시행계획 2019. 2. 21. 관계부처 합동

- 4 -

2 국내 시장 현황 및 전망

□ (시장규모) ‘18년 국내 3D프린팅 시장은 전년대비 16.3% 증가한

3,958억원으로 ‘23년까지 1조원 규모로 지속적 성장(CAGR 21.5%) 전망

< 국내 3D프린팅 시장규모 및 성장 전망 >(단위 : 억원)

’14년 ’15년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21년 ’22년 ’23년 CAGR(%)

1,815 2,230 2,971 3,404 3,958 4,810 5,845 7,103 8,631 10,489 21.5%

3D프린팅산업 실태조사(NIPA, ’14~’18)

ㅇ ‘18년부터 SW코딩 교육 의무화 등에 따라 학교 교육 등에 적합한

보급형 3D프린터 수요가 증가*하면서 국내 시장 성장을 주도* 보급형 3D프린터 시장 (‘17년) 419억원 → (‘18년) 575억원, 37.2%↑

□ (부문별 시장현황) 3D프린팅 장비⋅소재․SW의 제품 시장(79.9%)이

서비스 시장(20.1%)에 비해 다수를 차지

< 국내 3D프린팅 부문별 시장현황 > < 국내 3D프린팅 부문별 시장 연도별 추이 >

3D프린팅산업 실태조사(NIPA ‘18)

ㅇ (제품) 공공부문에 국산 보급형 3D프린터 공급 확대(377억원, 38.9%↑)로

장비 제조시장이 성장(443억원, 25.2%↑)하고, 국산 보급률(27%→45.8%)도 향상

- 보급형 장비에 사용되는 필라멘트 등 소재 시장*도 동반성장(32.3%↑)

* 필라멘트(60.7%), 레진(32.3%), 금속(2.4%), 분말(0.3%), 기타(4.4%) 등

ㅇ (서비스) 3D프린팅 교육(46.3%↑) 및 모델링 서비스 증가(20.7%↑), 장비·

유통기업의 서비스 사업 진출(12.7%↑) 등으로 시장* 규모 성장(17.0%↑)

* 컨설팅(30.7%), 3D모델링(30.5%), 출력서비스(25.6%), 교육(8.4%), 기타(4.8%) 등

Page 7: 2019. 2. 21. · 2019-02-21 · 2019년 3d프린팅산업 진흥 시행계획 2019. 2. 21. 관계부처 합동

- 5 -

□ (산업 활용분야 및 용도) 산업별로는 주로 교육(20.5%), 공공(17.1%),

자동차(14.5%) 등에서 시제품 및 완제품* 제작, 교육/연구 등으로 활용

* 수술용 가이드 등 의료기기와 핸드폰 케이스, 화장품 용기 등 생활소비재 등의 제작 증가

< 산업 활용분야 > < 사용 용도별 현황 >

3D프린팅산업 실태조사(NIPA ‘18)

□ (기업현황) ‘18년 3D프린팅 기업은 351개로 전년대비 16.2% 증가

ㅇ 장비(20.5%, 72개), 소재(4.6%, 16개), SW(2.6%, 9개), 서비스(40.2%, 141개), 유통

(32.2%, 113개) 분야로 최근 9년 이내 설립된 신생기업이 67%(235개) 차지

ㅇ 종사자 10인미만(68.1%, 239개) 및연매출 10억원미만(82.3%, 289개) 소기업이다수

< 국내 3D프린팅 부문별 기업 현황 > < 기업별 종사자 수 현황 >

3D프린팅산업 실태조사(NIPA ‘18)

□ (기술 수준) 최고 기술국인 미국의 78.3% 수준이며, 3.3년의 기술 격차

ㅇ 美, EU 등 기술 선진국에 비해 국내 3D프린팅 관련 기술 수준

(장비 및 설비 84.1%, 소재 및 가공 79.7%, 소프트웨어 69.2%)은 미흡한 실정임

< 국내 3D프린팅 기술수준 및 격차 > < 국내 3D프린팅 세부기술별 수준 >

기술수준 평가(안)(IITP ‘19)

Page 8: 2019. 2. 21. · 2019-02-21 · 2019년 3d프린팅산업 진흥 시행계획 2019. 2. 21. 관계부처 합동

- 6 -

Ⅲ. 2018년 추진 성과

1 주요 성과

ㅇ (시장확대) 다양한 산업 분야의 확산 및 적용을 통한 수요창출로

3D프린팅 시장 규모가 확대되고 기업 및 종사자 규모도 증가

<시장 규모> <기업 규모> <종사자 규모>

3D프린팅산업 실태조사(NIPA ‘17~‘18)

ㅇ (기술개발) 산업 발전이 예상되는 의료․바이오 등 전략기술 분야*의

장비․소재․SW 기술을 확보하고 3D프린팅 기술표준** 선도

* 의료․바이오 분야, 고부가가치 핵심 SW, DfAM 기술 및 지능형 소재 개발,

조선․건설 등 주력산업 고도화를 위한 제조혁신 분야

** 신규 표준 제안(1건) 및 표준규격 초안 채택(2건), 국가기술표준 제정(2건)

< 기술개발 주요사례 >

- 창의소재개발을 위한 3D콘텐츠 모델링 및 해석 SW 기술(’18.5, 광주과학기술원)

- 환자용 인공 고관절 제작용 티타늄 3D프린터 개발(‘18.7, 인스텍 社)

- 유해물질의 저감을 위한 3D프린팅 안전장치 개발(’18.12,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ㅇ (인프라․인력양성) 기술교육, 시제품 제작, 사업화 지원 등을 위한

인프라*를 운영하고 체험․교육** 등을 통해 인식제고 및 확산

* 3D프린팅 지역센터(9), 제조혁신지원센터(6), 인체맞춤형 치료물제작센터

** 강사․산업전문인력 양성(627명), 석․박사급 고급인력 양성(40명), 자유학기제

체험교육(7,480명), 해외진출․컨설팅 등 지원(25개사), 3D콘텐츠 확보(1,100건)

ㅇ (법․제도 개선) 국가기술자격제도 시행, 3D프린터의 중소기업자간

경쟁제품 지정, 3D프린팅 기업 육성을 위한 규제완화* 등 추진

* 사업자 신고 및 안전교육 부담 완화를 위한 법개정 추진, 집체․현장 안전교육의

부담 완화를 위한 온라인 교육과정 시행 준비

Page 9: 2019. 2. 21. · 2019-02-21 · 2019년 3d프린팅산업 진흥 시행계획 2019. 2. 21. 관계부처 합동

- 7 -

2 2018년 세부 추진실적

1 3D프린팅 수요창출 지원

□ 공공․산업분야 시범사업 추진 및 융합형 비즈니스 모델 발굴(과기정통부)

ㅇ 철도 및 승마 등 공공분야 조달애로부품 제작(45건) 및 현장적용

철도 부품(9건) 말발굽(36건)

ㅇ 드론 자동차․항공 등 산업분야 및 생활용품 시범제작(116건) 지원

드론부품(6건) 심장모형(8건) 항공기 조정간자동차부품(20건) 안경테(15건) 미드솔(6족) 기념품(60건)

ㅇ 실내장식 조명, 브레이크 캘리퍼 모듈, 3D조명 디자인, 주조품 제작

서비스, 3D 완구 모델링 SW 등 신규 서비스 수요(5건) 발굴

□ 의료기관 대상 환자 맞춤형 의료기기 제작 지원(과기정통부, 산업부)

ㅇ 두개골 및 경골 임플란트, 두상 교정 등 의료기기(6종 130건), 부착형

및 체내삽입형 맞춤형 의료기기(6종 136건) 제작 지원

경골임플란트 임플란트 상완골 상지

보조기 부목 수술가이드

척추케이지

골절합용판 인공턱뼈 조직재생용

지지체

□ 주력산업 제조분야에 대한 수요확산 프로젝트 추진(산업부)

ㅇ 수요가 높은 6개 산업(국방․발전․의료․항공․금형․주얼리)에 대한 3D

프린팅 제조․생산 기술개발 및 시범제작, 현장실증 지원

Page 10: 2019. 2. 21. · 2019-02-21 · 2019년 3d프린팅산업 진흥 시행계획 2019. 2. 21. 관계부처 합동

- 8 -

2 차세대 핵심분야 및 제조혁신기술 경쟁력 향상

□ 의료․바이오 등 차세대 핵심분야 기술개발 지원

ㅇ 4D융합소재 산업화 지원센터 조성 및 평가장비(30종) 구축(산업부),

의료용 3D프린팅 응용SW플랫폼․서비스 기술* 개발(과기정통부)

* 국내 특허 등록(6건) 및 출원(8건), SCI급 논문(9편), 기술이전(1건) 등

ㅇ 모바일 콘텐츠 생성․편집기술, 창의소재 형상관리 시뮬레이터, 디지털

저작권 보호기술, 유해물질 저감장치, 3D모델 획득 솔루션 개발(과기정통부)

ㅇ 차세대 기술 선점을 위한 DfAM(적층제조설계) 기술 R&D 로드맵 수립,

초경량․스마트․기능성 소재기술개발* 지속 지원(산업부)

* 고강도 금속 소재, 고투광성 고인성 세라믹 소재 기술개발 신규 2개 과제 착수

□ 조선, 자동차, 건축 등 주력산업 고도화를 위한 제조혁신 기술개발

ㅇ 사출성형 금형제작용, 스포츠․재활보조기구 제작용, 인공고관절

제작용* 3D프린터 및 공정기술 개발(산업부)

* ‘인공고관절제조를 위한 3D프린팅 기술’이 2018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우수성과 100선 선정

ㅇ 3D프린팅 재료 시험용 소형 장비, 콘크리트용 혼화제 시제품, 소형

건축물(10m⨯10m⨯3m) 시공지침, 건축 상품 시제품 등 제작(국토부)

□ 3D프린팅 분야의 기술표준 선도를 위한 표준화 활동 지원

ㅇ 국제표준화기구 ISO/IEC JTC1 신규 표준(NP) 제안(1건)*, ISO TC261

작업문서(WD) 채택(2건)** 및 제18차 총회 한국 유치(산업부)

* 적층제조서비스플랫폼 / ** 보급형 3D프린터 유해물질 측정방법, 메디컬 3D프린팅 파일포맷

ㅇ 국제표준(데이터 포맷, 시험방법)에 대한 국가기술표준 제정 및 3D프린팅

중소기업에 대한 유해물질 평가방법 등 표준기술 지도(산업부)

ㅇ 3D프린팅 기술 동향 공유 및 표준 제안을 위한 포럼 운영(과기정통부)

* 분과 회의(16회), 3D프린팅 기술표준 7건 제정

Page 11: 2019. 2. 21. · 2019-02-21 · 2019년 3d프린팅산업 진흥 시행계획 2019. 2. 21. 관계부처 합동

- 9 -

3 3D프린팅 시설ㆍ장비 확충 등 제작기반 조성

□ 3D프린팅 제품 제작기반 확충 등 인프라 고도화

ㅇ 지역센터 운영 내실화를 위한 경진대회 및 교육 프로그램* 지원(과기정통부)

* (9개 센터) 산업현장 맞춤형 전문교육 507명, 자유학기제 교육 7,480명

ㅇ 지역특화 산업 연계 3D프린팅 제조 R&D 인프라 확충(산업부․중기부)

* 제조혁신지원센터(기술지원 366건), 인체 맞춤형 치료물 제작센터(의료기기 품목 인허가 5건),

조선⋅에너지제조공정 연구센터(기술지원 25건), 벤처 집적 지식산업센터(실시설계)

ㅇ 3D상상포털 기능 고도화(교육강사 관리기능 추가) 및 안전교육 온라인

콘텐츠(교육 동영상) 제작(과기정통부)

□ 다양한 산업 분야로의 3D프린팅 기술 활용 확산 유도

ㅇ 3D프린팅 기술 활용 가이드(3종) 제작 및 2018 컨퍼런스* 개최(과기정통부)

* 우수제품 전시 13건, 3D프린팅 지역 경진대회 포상 6점, 컨퍼런스 220명 참가

ㅇ 교육 및 비즈니스용으로 활용도가 높은 디자인․문화재 등을 3D

콘텐츠(1,100건)로 제작․DB화(과기정통부, 문화재청)

□ 3D프린팅 전문기업 육성 및 역량 강화 지원

ㅇ 중기간 경쟁제품 지정(중기부) 및 해외전시회(5개사) 참여 지원(과기정통부)

ㅇ 3D프린팅 기술 활용 기업 컨설팅(20개사), 지식재산 컨설팅(3개사) 및

맞춤형 특허교육(264명), 공동 A/S센터 운영규정(안) 마련(과기정통부)

□ 3D프린팅 전문인력 양성 및 산업현장 맞춤형 교육 강화

ㅇ 국가기술자격(3D프린터개발산업기사, 3D프린팅운용기능사) 제도 시행(고용부, 12월)

ㅇ 제조⋅건설 등 산업 분야별 전문인력* 양성(과기정통부․산업부․고용부)

* 산업 맞춤형 전문교육(689명), 석․박사급 고급인력 양성(40명), 군부대 교육(364명)

ㅇ 초․중․고등학교시범교육(7개교) 및교사연구회(5개교) 운영(과기정통부⋅교육청)

Page 12: 2019. 2. 21. · 2019-02-21 · 2019년 3d프린팅산업 진흥 시행계획 2019. 2. 21. 관계부처 합동

- 10 -

4 3D프린팅 산업육성을 위한 제도개선

□ 3D프린팅 장비⋅소재⋅SW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품질관리체계 마련

ㅇ 3D프린팅 SW(슬라이서, 모델링, 호스트 SW 3종) 품질평가모델 및

장비․소재(재료압출, 광경화형 2종) 품질인증규격(안)* 개발(과기정통부․산업부)

* 신뢰성 확보 및 국제적인 품질평가 시스템 마련을 위해 KOLAS 공인시험기관 협력

ㅇ 분말 적층(SLS) 및 접착제 분사(BJ) 방식의 3D프린팅 장비⋅소재 및

출력물에 대한 품질평가 가이드라인 마련(산업부)

ㅇ 3D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의료기기의 제조 공정별* 품질관리

가이드라인 마련(식약처)

* 모델링·장비·소재·후처리·추적관리·제품적합성·작업환경 가이드라인 7종

□ 3D프린팅 산업육성을 위한 규제개선 및 산업통계 기능 강화

ㅇ 3D프린팅서비스사업자에 대한 신고 및 안전교육 등 부담 완화를

위한 법령 개정* 추진(과기정통부)

* 법령 개정안 마련 용역 시행(7~10월) 및 전문가·산업계 의견수렴(3회)

ㅇ 국내외 3D프린팅 관련 산업실태 및 동향 조사*(과기정통부)

* 2018년 3D프린팅산업 실태조사보고서 발간

□ 사업자신고제 운영 등 안전한 3D프린팅 이용환경 조성

ㅇ 3D프린팅 제품 및 서비스 거래에 대한 표준약관*(안) 마련(과기정통부)

* 장비공급, 소재공급, 소프트웨어 이용, 서비스 제공 4종

ㅇ 3D프린팅서비스사업 종사자에 대한 안전교육*(369명)을 실시하고

서비스사업자 신고제도(67건 신고서 접수) 운영(과기정통부)

Page 13: 2019. 2. 21. · 2019-02-21 · 2019년 3d프린팅산업 진흥 시행계획 2019. 2. 21. 관계부처 합동

- 11 -

Ⅴ. 2019년 추진계획

1 추진 방향

□ (비전 및 목표) 3D프린팅산업 진흥 기본․시행 계획을 차질 없이

수행하여 ‘2019년 3D프린팅 글로벌 선도국가’ 도약

Page 14: 2019. 2. 21. · 2019-02-21 · 2019년 3d프린팅산업 진흥 시행계획 2019. 2. 21. 관계부처 합동

- 12 -

2 주요 추진계획

1 수요창출을 통한 시장성장 지원

◇ 산업 파급력이 크고 시장 확대가 기대되는 의료․발전․자동차 분야등을 대상으로 3D프린팅 수요발굴 및 시범ㆍ선도사업 추진

가. 융합형 비즈니스 모델 발굴 및 시범사업 추진

□ 공공부문 수요창출을 위한 시범사업 추진(과기정통부, 1.8억원)

ㅇ 철도 분야에 대한 단종 및 조달애로 부품 등을 3D프린팅 기술을

활용하여 시범제작 및 현장적용 실시

- 3D프린팅 제작 전문 기업이 참여하고, 철도 분야의 전문성을 갖춘

부품제작 기업과 철도운영기관에서 기술자문 등 지원

< 철도 분야 시범제작 대상 품목(예시) >

공급밸브 차단기 레버 절연 너트 지그 내부 바퀴 기어 커플링

□ 3D프린팅 인프라를 활용한 지역별 제품화 지원(과기정통부, 13.5억원)

ㅇ 전국의 소상공인 등을 대상으로 3D프린팅 지역센터 시설 장비와

연계한 3D프린팅 활용 제품 개발 및 제작 지원

< 3D프린팅 지역센터 특화산업 현황 >

지역 경기 전북 대구 경북 부산 충북 대전 광주 경남

특화산업

스마트소재 탄소소재 스마트기기 금속․바이오 영상·스포츠 의료기기 스마트로봇 스마트가전 항공부품

기술지원

페션·가구제작 초경량고강도탄소부품제작

생활밀착형웨어러블기기

금속·바이오소재·부품

영상콘텐츠·스포츠 제품 재활·의료기기 무인스마트기계

부품·제품 가전완제품 항공연계부품

Page 15: 2019. 2. 21. · 2019-02-21 · 2019년 3d프린팅산업 진흥 시행계획 2019. 2. 21. 관계부처 합동

- 13 -

□ 3D프린팅 기술 활용 융합형 비즈니스 모델 발굴(과기정통부, 2.4억원)

ㅇ 3D프린팅 기술을 기존의 산업 모델에 접목하여 시장 확산 또는

경제적 효과 창출이 가능한 융합형 제품 및 서비스 개발 지원

* 3D프린팅 기술 도입이 가능한 신규 비즈니스 모델 발굴 및 실증 지원(3건)

나. 시장 확산을 위한 선도사업 추진

□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3D프린팅 기술 활용 선도사업 추진

ㅇ 의료기기 실증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고, 병원 수요와 연계하여 환자

맞춤형 의료기기(보형물, 수술기구 등) 제작 및 적용(과기정통부, 10억원)

* 의료기기 인증(GMP)에 필요한 멸균․세척․포장설비, 바이오 플로터 등

- 성형외과․이비인후과 분야 등에 진료과별 환자 맞춤형 3D스캐닝,

3D 디자인․설계 등을 통해 3D프린팅 의료기기 제작 지원

< 3D프린팅 의료기기 제작 및 적용 프로세스 >

①수요접수

②심의․승인

③의료기기 제작

④임상적용

∙맞춤형 의료기기적용 대상 모집

∙병원별 임상 적용심의/승인

∙3D프린팅 활용맞춤형 의료기기제작

∙만족도 조사 분석,교육 성과분석

ㅇ 3D프린팅 의료기기의 시장 창출을 위해 맞춤형 임플란트 등 전략

품목의 시생산 및 임상실증, 실증지원체계 구축 추진(산업부, 52억원)

- 의료기기 제조 인프라를 활용하여 기존의 규격화된 제품을 대체

할 수 있는 맞춤형 의료기기 위탁제조 및 기술지원

* 4등급 의료기기 제조시설 GMP인증 추진(~‘20), 제조위탁 의뢰기업 확보(3개사)

중소

의료기업➜

인체맞춤형 치료물 제작지원 센터 (GMP인증 시설)

➜3D프리팅

의료기기

제품화

설계 3D프린팅 후처리 시험검사 맞춤형 3D프린팅 의료기기 위탁제조 지원

Page 16: 2019. 2. 21. · 2019-02-21 · 2019년 3d프린팅산업 진흥 시행계획 2019. 2. 21. 관계부처 합동

- 14 -

다. 주력산업 제조분야의 수요창출 추진

□ 주력산업 제조분야의 3D프린팅 수요확산 프로젝트 추진(산업부, 69.8억원)

ㅇ 발전․항공․기계 등 국내 주력산업의 제조공정에 3D프린팅을

적용하기 위한 맞춤형 설계․장비․공정․소재 등 기술개발

- 수요가 많은 6개 산업(국방․발전․의료․항공․금형․주얼리)에 필요한

3D프린팅 기술개발 및 실증사업 계속 지원(51.8억원)

연구개발 과제 추진 내용

국방 수요부품국군(육․해․공)의 수요가 높은 국방부품(노후, 단종, 해외

조달애로품 등) 3D프린팅 제조기술 개발 및 현장적용

발전 수요부품국내 발전 6사의 수요가 높은 금속부품(노후, 단종, 해외

조달애로품 등) 3D프린팅 제조기술 개발 및 현장적용

의료 임플란트환자 맞춤형 복합형상 임플란트 제조 및 임상(10건 이상)을

통한 3D프린팅 의료 제조시스템 구축

항공․조선 열교환기극한환경(100bar, -160℃/720℃)에서 표면적 극대화를

통해 성능 개선된 3D프린팅 열교환기 제조기술 개발

전단․핫스탬핑 금형인장강도 1.5GPa 이상의 초고강도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저비용․고효율 3D프린팅 금형 제조기술 개발

주얼리광경화 기반 전도성/무전해 도금용 고정밀 3D프린팅

장비 및 소재와 주얼리 제조기술 개발

- 난이도가 높은 3개 산업(자동차․기계․주물)에 특화된 3D프린팅 기술

개발 착수(18억원)

Page 17: 2019. 2. 21. · 2019-02-21 · 2019년 3d프린팅산업 진흥 시행계획 2019. 2. 21. 관계부처 합동

- 15 -

2 기술 경쟁력 강화

◇ 의료⋅바이오․생활용품 등 시장 성장성이 높은 분야와 주력산업분야의 제조공정혁신기술 등 고부가가치 핵심기술 개발 추진

가. 차세대 핵심분야 기술개발 지원

□ 시장 수요가 많고 미래 고부가가치 산업인 의료․바이오 분야 기술개발

ㅇ ‘4D* 바이오 융합소재’ 기반 기능성 제품개발을 위한 사업화 지원

센터 조성 및 평가장비** 구축, 시제품 개발 지원(산업부, 17.3억원)

* 3D + 환경 적응성(Dynamic)으로 자가 기능을 갖는 기능성 바이오 소재

** 클림프 캠핑기, 정제수제조시스템 등 11종의 시험평가 장비 도입

ㅇ 환자 맞춤형 3D프린팅 응용 SW솔루션 개발 및 의료용 3D프린팅

통합지원 서비스 플랫폼 개발(과기정통부, 10억원)

* 정형외과․재활의학과․치과․이비인후과 치료물제작 SW기술 및 서비스 플랫폼 등

ㅇ 작업자 및 사회적 약자 맞춤형 근골격 안전시스템 구현을 위한복합 3D프린팅 활용 창의기술개발(과기정통부)

* 자가진단 SW기술, 근골격 안전시스템용 부품 최적화 기술 등

ㅇ 바이오 3D프린팅을 이용한 동물실험 대체용 인공피부 모델 개발

및 상용화 추진(과기정통부)

* 전층 피부모델 제작 공정 확립 및 인공피부 제조기술 최적화, 인공피부 모델 시제품 제작

ㅇ 유연동작 감지 및 제어용 센서 모듈 구현을 위한 다중 소재 3D

프린팅 기술 개발(과기정통부, 7.8억원)

* 다중 소재를 이용한 다기능 움직임 측정 가능 센서 어레이 시스템 개발

ㅇ 3D프린팅을 이용한 호흡기 점막 조직 생체모사칩 개발 및 화학

물질 유해성 평가 활용(과기정통부, 6.8억원)

* DNA 잔류량 5% 미만으로 균․바이러스 등이 없는 호흡기 점막 유래 바이오잉크 개발

Page 18: 2019. 2. 21. · 2019-02-21 · 2019년 3d프린팅산업 진흥 시행계획 2019. 2. 21. 관계부처 합동

- 16 -

ㅇ 세라믹 3D프린팅 기반 맞춤형 인공발목관절 제작 융합 SW 기술

개발(과기정통부, 6억원, 신규)

* 바이오세라믹 3D프린팅 기술 및 의료영상 데이터 기반 인공발목관절 설계 프로세스 개발

ㅇ 난치성 암의 치료 방향 예측성 증대를 위한 바이오프린팅 기반

체외 암 모델 제작 기술개발(과기정통부, 4.5억원, 신규)

* 난치성 암의 바이오칩 제작을 통한 약물 스크리닝 기술 개발

□ 고부가가치 SW기술 개발

ㅇ 3D프린팅 기반 탄소 융․복합 유연소재 공정플랫폼 개발(과기정통부)

* 탄소 융․복합 소재 및 3D프린팅 공정플랫폼을 활용하여 시제품 제작

ㅇ 다종 소재 융복합 적층 3D프린팅 솔루션 기술개발(과기정통부)

* 금속⨯금속⨯세라믹 3종 복합 프린팅 기술 개발, 복합소재 물성 50%이상 향상

및 정밀도 300㎛의 정밀 프린팅 기술 등 확보

ㅇ 3D프린팅의 네트워크 상호 연결 서비스를 위한 3D프린팅 분산

클라우드 및 공유 플랫폼 개발(과기정통부, 7.1억원)

* 3D프린팅 제작상황을 스트리밍하고 3D프린터를 자동으로 매칭시켜주는 모바일 앱 개발

□ 3D프린팅 생활혁신 및 융합기술 개발

ㅇ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소비재 등 생활혁신형 제품 분야의

3D프린팅 융합 기술 개발 및 응용 서비스 창출(과기정통부, 12억원, 신규)

* UVLED 광원엔진 기술, 3D프린팅 생활착용형 응용기술, 맞춤형 서비스 기술 3건

ㅇ 주력산업 분야에 3D프린팅 기술 확산을 위해 부처 협력을 통해

3D프린팅 HW에 적합한 SW 융합기술 개발(과기정통부, 9억원, 신규)

* 발전․조선용 적층해석 SW 기술, 3D프린팅 모니터링 SW 기술 2건

Page 19: 2019. 2. 21. · 2019-02-21 · 2019년 3d프린팅산업 진흥 시행계획 2019. 2. 21. 관계부처 합동

- 17 -

□ 차세대 시장선점을 위한 적층제조설계(DfAM) 기술 및 지능형 소재 개발

ㅇ 3D프린팅 특화 제품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해 적층제조설계(DfAM)

기반 스마트제조기술의 신규 사업화 추진(산업부)

ㅇ Fe계 금속분말, 친환경 고강도 고분자, 바이오 세라믹 등 초경량

스마트 기능성 3D프린터 소재기술 개발(산업부, 66억원)

나. 제조혁신 기술개발 지원

□ 주력 산업 고도화를 위한 제조혁신 기술개발

ㅇ 조선, 자동차, 의료 등 주력 산업에 필요한 3D프린팅 장비․소재

원천 기술개발(7개 과제) 지속 추진(산업부, 95.2억원)

세부과제 추진 내용

광중합 3D프린터(자동차 내장재)

․대형조형물 출력이 가능한 광중합 3D프린터 기술개발(‘17~’19)

초정밀 대형 3D프린터(산업용 부품)

․표면정밀도 7μm급 초대형부품(2m급) 제작용 금속 3D프린터 개발(‘15~’19)

코발트크롬 3D프린터(환자용 인공슬관절)

․인공슬관절 제작용 초고속 코발트크롬 3D프린터 개발(‘17~’19)

주물사 3D프린터(중대형 선박부품)

․차세대 조선부품 제조에 적합한 주물사 3D프린팅 제조공정 기술개발 추진(‘16~20)

와이어 3D프린터(대형 프로펠러)

․아크웰딩 방식으로 와이어를 초고속 적층하는 3D프린터기술개발(‘18~’20)

고에너지 3D프린터(발전용 부품)

․에너지 발전용 터빈엔진 부품 제조용 3D프린팅 공정기술개발(‘17~’20)

특화 3D 스캐너(의료․수송기기․소재)

․3D휴대용 스캐너 개발 기반구축 및 애로기술 지원(‘16~’21)

ㅇ 3D프린팅 건축 상품 설계 플랫폼, 비정형 거푸집 자동형 장비 등

건설 분야 3D프린팅 기술개발 추진(국토부, 32.3억원)

* 현장배합설계기술 및 다기능성 특수 혼화제 개발, 소형 건축물(10m⨯10m⨯3m)3D프린팅 장비 제작 및 건축 3D프린팅 분야 국제포럼(5월), 연구성과 전시회(6월) 개최 등

Page 20: 2019. 2. 21. · 2019-02-21 · 2019년 3d프린팅산업 진흥 시행계획 2019. 2. 21. 관계부처 합동

- 18 -

다. 3D프린팅 기술표준 선도

□ 3D프린팅 기술의 국제 표준화 선도

ㅇ 국제표준화기구(ISO/IEC JTC 1*)의 3D프린팅 스캐닝 분야 워킹그룹 회의

주재(2회), 신규 표준항목 발굴 및 국제표준화(3건**) 추진(과기정통부)

* 국제표준화기구(ISO)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의 정보통신분야 국제표준화 공동기술위원회

** 적층제조서비스플랫폼, 3D모델링(두개골 임플란트) 요구사항, 업무영역 규정

ㅇ 국제표준화기구 적층제조기술위원회(ISO TC261*) 총회 참가(2회) 및

국제표준(2건**) 추진, 표준화 기반(세미나․워크숍) 구축(산업부, 2.1억원)

* 적층제조분야(3D프린팅 장비·소재 등) 국제표준화를 총괄하는 기술위원회

** 보급형 3D프린터(ME방식) 유해물질 측정방법, 메디컬 3D프린팅 파일포맷

□ 3D프린팅 분야 국가기술표준(KS) 추진(산업부, 0.9억원)

ㅇ 3D프린팅 분야 국제표준(ISO)*을 반영하여 국가기술표준 2종 제정

* ISO/ASTM 17296-4(데이터 처리 개요), ISO/ASTM 52921(좌표계 및 시험방법 용어)

ㅇ 3D프린팅 장비․소재에 대한 품질평가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국가기술표준 제정(안)*을 개발

* 3D프린팅 장비(ME, PP) 및 소재(ABS, PLA 및 광경화성 수지 등)에 대한 품질평가 방법 등

□ 3D프린팅 SW․메디컬 분야 표준화 포럼 운영(과기정통부, 0.3억원)

ㅇ ‘3D프린팅 창의․융합 표준화 포럼’ 운영을 통해 3D프린팅 분야

국제표준화기구(ISO TC261 및 ISO/IEC JTC1) 표준화 동향 공유

ㅇ 3D프린팅 메디컬 분야 SW 국제표준 제안(2건*) 및 산업 활성화를

위한 표준 활용 가이드북 제작․배포, 기술 세미나 개최 등 추진

* 의료영상 데이터 표준화, gcode 등 의료 용어

Page 21: 2019. 2. 21. · 2019-02-21 · 2019년 3d프린팅산업 진흥 시행계획 2019. 2. 21. 관계부처 합동

- 19 -

3 3D프린팅 산업 확산 기반 강화

◇ 3D프린팅 제품 제작 및 품질인증, 전문기업 육성을 위한 인프라를확대하고, 인력양성 등을 통해 지속적인 산업 활성화 기반 조성

가. 3D프린팅 산업 인프라 고도화

□ 3D프린팅 공공 인프라 기능 고도화

ㅇ 3D프린팅 활용 저변․인식 확산을 위한 복합교육 및 제품제작을

지원하는 3D프린팅 이노베이션 센터(가칭) 구축(과기정통부, 12.6억원)

* 산업용․교육용 3D프린터를 구축하고,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핵심

기술과 3D프린팅을 융합하여 제품 제작 및 기술교육, 컨설팅 등 지원

ㅇ 3D프린팅 지역 인프라*의 운영 내실화를 위해 산업현장 맞춤형 교육,

자유학기제 교육, 지역특화 산업별 제품화 등 연계 지원(과기정통부)

* (‘15년) 경기, 전북, 대구, 경북, (‘16년) 부산, 충북, 대전, 광주, (’17) 경남

ㅇ 중소․중견 제조기업의 전주기 생산기술 지원을 위한 권역별 ‘3D

프린팅 기술기반 제조혁신지원센터’ 구축․운영(산업부, 25.4억원)

* 전국 6개 권역(수도권․충청권․강원권․대경권․동남권․호남권)별로 시설 확충

(3D프린팅 및 전후처리 장비 등 5종), 시제품 제작 및 제조기술 지원(230건)

ㅇ 3D프린팅 응용 고난이도 조선․에너지 핵심부품 개발을 위한 ‘조선․

에너지 3D프린팅 공정연구센터’ 구축․운영(산업부, 27.1억원)

* 센터 건축 준공(’19.12월, 울산), 기업지원(30건) 및 세미나(1회)

ㅇ 3D프린팅 벤처․창업기업의 입주 공간 제공 및 집적화를 위해

‘3D프린팅 벤처 집적 지식산업센터’ 구축(중기부, 44.2억원)

* 건축공사 추진(’19.2 ~ ‘20.12, 울산)

Page 22: 2019. 2. 21. · 2019-02-21 · 2019년 3d프린팅산업 진흥 시행계획 2019. 2. 21. 관계부처 합동

- 20 -

□ 3D프린팅 산업 종합정보 포털 서비스 제공

ㅇ 3D프린팅 수요자(기업․일반인)에게 다양한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포털*의 기능개선 및 유지관리, 홍보 등 지원(과기정통부, 0.8억원)

* 3D상상포털(종합정보포털), 3D안전교육서비스, 기업지원서비스(신고접수)

ㅇ 3D프린팅산업 안전교육에 대한 온라인 교육과정(보수교육)의 신설을

위해 교육 동영상 콘텐츠 제작 및 시범운영(과기정통부)

* ’19년 신규 12차시 과정 제작 및 온라인 교육 시스템 시범 운영(한국표준협회)

□ 3D프린팅 기술 활용사례 확산

ㅇ 3D프린팅 활용 우수 아이디어 발굴 및 ICT 기술 등과의 융합형

창작문화 확산을 위한 창작 경진대회* 개최(과기정통부, 1억원)

* 권역별 참가자 모집을 통해 지역예선․본선, 왕중왕전 순으로 진행

ㅇ 3D프린팅 대국민 저변확대를 위해 장비․제품․서비스 우수사례 전시

및 세미나 개최 등 ‘3D프린팅 컨퍼런스 2019’ 개최(과기정통부, 1억원)

* 관련 분야 기술․국내외 시장 동향 등 주제발표 및 유공자 포상 등 행사 개최

< 3D프린팅 컨퍼런스 주요내용 >유공자 포상 우수사례 전시 성공사례 공유 세미나

ㅇ 교육․비즈니스용으로 활용도가 높은 디자인*을 선정하여 3D프린팅

콘텐츠로 제작하고 상상포털 등을 통해 공유․확산(과기정통부, 2.3억원)

* 게임콘텐츠, 인테리어 소품, 역사 유물 유적 등에 대하여 수요를 파악하여 추진

< 3D프린팅 콘텐츠 DB 구축 예시 >기린 블록 나비 미아방지 팔찌 서대문 형무소 디오라마 까치와 호랑이 명함꽃이

Page 23: 2019. 2. 21. · 2019-02-21 · 2019년 3d프린팅산업 진흥 시행계획 2019. 2. 21. 관계부처 합동

- 21 -

나. 3D프린팅 전문기업 육성

□ 기업역량 향상을 위한 맞춤형 컨설팅 및 국내외 판로확대 지원

ㅇ 3D프린팅 기술을 도입하여 제품을 제작․사업화 하려는 중소기업의

기술역량 확충을 위해 3D프린팅 기술컨설팅 지원(과기정통부, 1억원)

* 3D프린팅 기술을 활용하여 제품을 제작하고자 하는 기업 10개사 내외 선정

ㅇ 국내 3D프린팅 중소기업(장비․소재․SW 분야)의 해외 판로개척을

위한 전문전시회(Formnext 2019*) 참가 지원(과기정통부, 1.3억원)

* 3D프린팅 최대 전시회중 하나로 국내 기업․제품 홍보 ‘한국 공동관’ 운영(11월)

□ 중소기업의 출력서비스 지원 바우처 서비스 추진

ㅇ 중소기업이 3D프린팅 출력 전문기업의 디자인 및 시제품 제작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바우처 서비스 지원(과기정통부, 1.8억원)

* 정부가 제공하는 바우처를 활용하여 전문인력 및 장비를 보유한 3D프린팅 출력서비스 전문기업을 통해 중소기업에 제품 제작 지원

< 바우처 지원 개념 및 절차 >

운영

기관

①바우처신청 ④서비스제공 공급기업 A수요기업 A

공급기업 B수요기업 B

②바우처발급 ③바우처사용 공급기업 C

⑤ 바우처 정산

다. 3D프린팅 전문인력 양성 및 현장형 교육 강화

□ 3D프린팅 분야의 국가기술자격 제도 시행(과기정통부․산업부․고용부)

ㅇ 3D프린팅 산업의 전문 기술인력 양성 지원을 위한 국가기술자격(3D프린터개발산업기사 및 3D프린터운용기능사) 검정시험* 시행․관리

* 수탁기관인 산업인력공단이 필기시험(9월 예정) 및 실기시험(11월~12월 예정) 시행

Page 24: 2019. 2. 21. · 2019-02-21 · 2019년 3d프린팅산업 진흥 시행계획 2019. 2. 21. 관계부처 합동

- 22 -

□ 산업 분야별 재직자 등을 대상으로 전문인력 양성

ㅇ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직업능력개발훈련) ‘3D산업응용 및 3D프린팅

전략분야’ 교육과정* 운영을 통한 인력양성 추진(고용부, 3.6억원)

* 제조 산업에서의 3D프린터를 활용한 시제품 제작, 산업용(SLA&SLS) 3D프린팅

활용 기본/심화 등 17개 과정

ㅇ 지역특화 산업에 적합한 3D프린팅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재직자․

구직자를 대상을 산업현장 맞춤형 전문교육* 실시(과기정통부, 2.9억원)

* 3D프린팅 지역 인프라 활용을 통해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운영

ㅇ 군 장병의 신기술 활용 능력 향상 및 제대 후 취업역량 강화를 위해

3D프린팅 국방 전문교육 실시(과기정통부․국방부, 1.1억원)

* 3D프린팅 국가기술자격 대비를 위한 NCS 기반의 교육과정 운영

ㅇ 3D프린팅 교육강사, 예비창업자, 메이커숍 운영인력 등을 대상으로

3D프린팅 장비 및 활용방법 등 전문교육 실시(과기정통부, 0.5억원)

* ICT 디바이스랩(판교 등 6개) 및 3D프린팅 지역센터(경기 등 9개) 인프라 등 활용

□ 제조현장에 필요한 현장 중심형 3D프린팅 고급인력 양성

ㅇ 산업 현장 수요를 반영한 신소재 기반 3D프린팅 석·박사급 R&D

전문인력 양성 및 전문성 강화를 위한 단기교육 추진(산업부, 26.8억원)

* 6개 대학 석⋅박사급 전문 인력 양성 60명, 단기 전문성 강화교육 운영

□ 3D프린팅 창의융합교육 기반 조성(과기정통부, 2.9억원)

ㅇ 중학생의 진로체험 및 적성탐색을 위해 3D프린팅 지역 인프라와

중학교의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을 연계한 현장 체험형 교육* 실시

* 3D모델링 설계 S/W 및 3D프린터를 활용한 출력 및 후가공 실습

Page 25: 2019. 2. 21. · 2019-02-21 · 2019년 3d프린팅산업 진흥 시행계획 2019. 2. 21. 관계부처 합동

- 23 -

4 산업육성을 위한 제도적 기반 강화

◇ 3D프린팅 장비․소재․SW제품에 대한 신뢰성 기반 마련 및 3D

프린팅서비스산업 활성화를 위한 규제개선 등 제도적 기반 확보

가. 3D프린팅 장비 등 신뢰성 기반 마련

□ 3D프린팅 장비⋅소재⋅SW 품질관리체계 운영

ㅇ 3D프린팅 SW분야의 제품군*별 품질평가모델을 활용도가 높은

분야의 SW에 시범 적용하여 유효성 검증(과기정통부, 1억원)

* 3D시뮬레이션 / 3D모델링 / 슬라이싱 / 호스트 SW 4종

ㅇ 3D프린팅(분말소결, 접착제 분사 방식) 장비․소재 및 출력물 품질인증

가이드라인* 배포 및 운영(산업부)

* 장비규격․성능․안전성, 대표소재 및 출력물 평가 지원

ㅇ 3D프린팅·맞춤형 의료기기 제조공정별 가이드라인 배포 및 교육

실시로 품질관리 체계 기반 지속 구축(식약처)

* 제조공정별(모델링·장비·소재·후처리·추적관리·제품적합성·작업환경) 가이드라인 7종

□ 3D프린팅 소재 품질평가센터 구축⋅운영(산업부, 6억원)

ㅇ 3D프린팅 소재 평가모델 개발 및 상용화 지원을 위한 3D프린팅

소재 품질평가센터 건축(‘19~’20) 및 장비 구축*

* ‘19년 건축 실시설계를 추진하고, 평가 장비 3종 구축(울산)

ㅇ 금속 3D프린팅 장비․소재의 품질인증규격(안)*을 개발하고, 광경화형

3D프린팅 장비․소재에 대한 품질평가 지원

* 소재 물성, 치수 안정성, 작업자 환경 등 안정성 평가 분야

Page 26: 2019. 2. 21. · 2019-02-21 · 2019년 3d프린팅산업 진흥 시행계획 2019. 2. 21. 관계부처 합동

- 24 -

나.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기반 강화

□ 3D프린팅 산업 활성화를 위한 규제 개선(과기정통부)

ㅇ 3D프린팅서비스사업자에 대한 신고 및 관련 처벌규정, 안전교육

의무를 완화하기 위해 ‘삼차원프린팅산업 진흥법’ 개정 추진

□ 3D프린팅 산업 통계기반 강화(과기정통부, 1억원)

ㅇ 3D프린팅 산업육성 정책수립 및 제도 마련 등의 기초자료 활용을

위한 ‘2019년 3D프린팅산업 실태조사’ 실시

□ 기업육성을 위한 판로 확대 및 세제 지원

ㅇ 3D프린팅 기술의 R&D 비용 및 사업화 시설 투자비용 세액공제 지속

운영, 산업용 3D프린터 설비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 지원 추진(기재부)

* 대기업(1%), 중견기업(3%), 중소기업(7%) 공제율 적용

ㅇ 3D프린터 제조 중소기업의 공공 조달시장 판로확대 지원을 위한

‘중소기업자 간 경쟁제품*’ 지정․운영(중기부)

* 재료압출방식(FDM)에 한해 전체 입찰분야의 50% 이상을 중소기업 제품을 구매하도록 설정

다. 안전한 이용환경 조성

□ 3D프린팅 산업안전교육 실시(과기정통부, 1.4억원)

ㅇ 3D프린팅 산업안전교육기관(한국안전보건협회, 한국표준협회)을 통해 3D

프린팅서비스사업자를 대상으로 산업안전교육*(집체․방문) 실시

* (대표자) 신규 8시간, 보수 2년마다 6시간 / (종업원) 신규 16시간, 보수 1년마다 6시간

□ 3D프린팅서비스사업자 신고제도 운영(과기정통부, 0.2억원)

ㅇ 3D프린팅서비스사업자 신고서(신규, 변경, 폐업)의 접수 및 처리

Page 27: 2019. 2. 21. · 2019-02-21 · 2019년 3d프린팅산업 진흥 시행계획 2019. 2. 21. 관계부처 합동

- 25 -

Ⅵ. 추진 일정

추진전략 및 과제 소관부처 추진시기1. 수요창출을 통한 시장성장 지원

가. 융합형 비즈니스모델 발굴 및시범사업 추진

① 공공부문 수요창출을 위한 시범사업 추진 과기정통부 ‘19.3월

② 3D프린팅 인프라를 활용한 지역별 제품화 지원 과기정통부 ‘19.3월

③ 3D프린팅 기술 활용 융합형 비즈니스 모델 발굴 과기정통부 ‘19.3월

나. 시장 확산을 위한선도사업 추진 ① 의료기관 대상으로 3D프린팅 기술 활용 선도사업 추진 과기정통부, 산업부 ‘19.1월

다. 주력산업 제조분야의수요창출 추진 ① 3D프린팅 수요확산 프로젝트 추진 산업부 ‘19.1월

2. 기술 경쟁력 강화

가. 차세대 핵심 분야기술개발 지원

① 시장수요가많고미래고부가가치산업인의료·바이오분야기술개발 과기정통부, 산업부 ‘19.1월

② 고부가가치 핵심 SW 개발 과기정통부 ‘19.1월

③ 3D프린팅 생활혁신 및 융합기술 개발 과기정통부 ‘19.3월

④ 차세대 시장 선점을 위한 DfAM 기술 및 지능형 소재개발산업부 ‘19.1월

나. 제조혁신 기술개발 지원 ① 주력 산업 고도화를 위한 제조혁신기술 개발 산업부, 국토부 ‘19.1월

다. 3D프린팅 기술표준 선도

① 3D프린팅 기술의 국제 표준화 선도 과기정통부, 산업부 ‘19.1월

② 3D프린팅 분야 국가기술표준(KS) 추진 산업부 ‘19.1월

③ 3D프린팅 SW․메디컬 분야 표준화 포럼 운영 과기정통부 ‘19.1월

3. 3D프린팅산업 확산 기반 강화

가. 3D프린팅 산업인프라 고도화

① 3D프린팅 공공 인프라 기능 고도화 과기정통부, 산업부, 중기부 ‘19.1월

② 3D프린팅 산업 종합정보포털 서비스 제공 과기정통부 ‘19.1월

③ 3D프린팅 기술 활용사례 확산 과기정통부 ‘19.3월

나. 3D프린팅 전문기업 육성

① 기업역량 향상을 위한 맞춤형 컨설팅 및 해외진출 지원 과기정통부 ‘19.3월

② 중소기업의 출력서비스 지원 바우처 서비스 추진 과기정통부 ‘19.3월

다. 3D프린팅 전문인력 양성 및현장형 교육강화

① 3D프린팅 분야의 국가기술자격 제도 시행 과기정통부, 고용부 ‘19.1월

② 산업분야별 재직자 등을 대상으로 전문인력 양성 과기정통부, 고용부, 국방부 ‘19.1월

③ 현장 중심형 3D프린팅 고급인력 양성 산업부 ‘19.1월

④ 3D프린팅 창의융합교육 기반조성 과기정통부 ‘19.3월

4. 산업육성을 위한 제도적 기반 강화

가. 3D프린팅 장비 등신뢰성기반마련

① 3D프린팅 장비·소재·SW 품질관리체계 운영 과기정통부, 산업부, 식약처 ‘19.1월

② 3D프린팅 품질평가센터 구축⋅운영 산업부 ‘19.1월

나. 산업 육성을 위한정책기반 강화

① 3D프린팅 산업 활성화를 위한 규제 개선 과기정통부 ‘19.9월

② 3D프린팅산업 통계기반 강화 및 기업지원 확대 과기정통부, 기재부, 중기부 ‘19.1월

다. 안전한 이용 환경조성

① 3D프린팅 산업안전교육 실시 과기정통부 ‘19.1월

② 3D프린팅서비스사업자 신고제도 운영 과기정통부 ‘19.1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