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106

Upload: dinhanh

Post on 12-Feb-2018

233 views

Category:

Documents


11 download

TRANSCRIPT

Page 1: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령(안)

2011. 8.

국 토 해 양 부

( 자 동 차 생 활 과 )

Page 2: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2 -

1. 개정이유

과속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최고속도

제한장치 의무장착 차종을 소형급으로 확대하고, 여성․노약자

등을 위해 제동력지원장치를 달아 긴급상황에서 제동력 향상을

도모하며, 국제기준과 조화는 물론, 부품자기인증제 시행에 따른

부품안전기준을 신설하고, 현행 규정의 운영상 일부 미비점을

개선하려는 것임.

2. 주요내용

가. 바퀴잠김방지식 주제동장치, 제동력지원장치, 최고속도제한

장치 장착대상 확대(안 제15조제5항 및 제11항, 안 제54조의2,

안 제110조의2)

1) 여성이나 노약자 등이 운전 중 긴급상황에서도 제동력을

향상시키는 신기술 첨단안전장치인 제동력지원장치 국제

기준이 마련되어 승용차․총중량 3.5톤이하 화물 및 특수

자동차에 의무장착과 함께 이 장치가 효과적인 발휘될 수

있도록 하는 바퀴잠김방지식 주제동장치를 동급차종에도

확대 적용시켜 국제기준과 조화할 필요가 있음

2) 과속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최고

속도제한장치를 모든 승합자동차, 총중량 3.5톤 초과 화물

Page 3: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3 -

및 특수자동차에도 확대 적용시켜 국제기준과 조화할

필요가 있음

3) 관련 안전장치의 의무장착 적용으로 정부 교통안전정책인

“교통사고 절반 줄이기”에 크게 기여함은 물론, 국제기준

도입으로 자동차 산업의 대외경쟁력 강화가 기대됨

나. 신기술이 적용된 주행빔/변환빔 전환장치 및 적외선투사장치

국제기준 도입(안 제38조제1항제5호 및 제9호)

1) 야간 시인성 향상을 위해 주위환경을 인지하여 자동으로 작동

하는 주행빔/변환빔 전환장치 및 운전자가 야간에 인지할

수 없는 거리의 도로상 장해물 및 보행자 등을 인지할 수 있는

적외선투사장치가 개발되어 국제적으로 통용됨에 따라 국내도

도입이 가능하도록 관련 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2) 신기술이 적용되고 보다 안전성 확보에 도움이 되는 등화

장치의 개발 및 보급이 가능해지고,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안전

기준 운영으로 자동차 산업에서도 대외경쟁력 강화가 기대됨

다. 국제기준과 상이하거나 명확성이 부족한 안전기준 정비(안

제9조, 제11조, 제15조, 제27조, 제40조, 제44조의2, 제46조,

제54조, 제63조의2, 제69조, 제70조, 제71조, 제75조, 제75조

Page 4: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4 -

의3, 제75조의4, 제76조, 제77조, 제77조의2, 제78조, 제79조,

제80조, 제93조, 제102조의2, 제106조, 제110조, 제110조의2,

제111조, 제114조)

1) 현행 안전기준에는 국제기준과 상이한 기준이 있어 자동차

이원화 제작 및 국제통상마찰 가능성 등의 문제가 있음.

2) 현행 승합자동차의 최소회전반경 안전기준과 현행 범퍼기준을

보행자보호에 유리한 국제기준 등으로 도입하여 조화함

3) 제동장치, 보행자보호, 원동기출력, 속도계, 좌석안전띠,

이륜자동차 전조등 및 등화장치 등에 대한 안전기준을 국제

기준과 조화하고, 이륜자동차 승차장치 등에 대한 안전도

확보를 위해 국제기준으로 안전기준을 개정함

4) 기타 군용화장치 설치 안전기준 면제와 장애인이 운전하는

자동차의 손조작 제동장치 허용 및 특례적용 등을 명확히

하여자동차제작상의불편을해소시키고 통상마찰발생우려를

해소하게 되어 자동차 산업의 대외경쟁력 강화가 기대됨.

라. 부품자기인증제 시행에 따른 부품안전기준 마련(안 제3장의2,

제112조의2, 제112조의3, 제112조의4, 제112조의5, 제112조

의6 신설)

1) 브레이크호스, 좌석안전띠, 등화장치, 후부반사기, 후부안전

Page 5: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5 -

판 등 5개 부품을 우선 선정하여 안전과 직결되고 국제기준

에서 적용하고 있는 수준의 부품안전기준을 마련함

3. 참고사항

가. 관계법령 : 생 략

나. 예산조치 : 별도조치 필요 없음

다. 합 의 : OOOO부 등과 합의되었음

라. 기 타 : (1) 신ㆍ구조문대비표, 별첨

(2) 입법예고(9999. 12. 31 ~ 12. 31) 결과, 특기할

사항 없음

(3) 규제심사 : 규제개혁위원회와 협의 결과, 이견

없음

- 규제 신설ㆍ폐지 등, 없음

Page 6: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6 -

국토해양부령 제 호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령안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조의 제25호의8을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25의8. “제동력지원장치”란 주행 중 긴급한 제동 상황임을 감지하여

최대제동효과가 발생토록 하거나 바퀴잠김방지식 주제동장치가 최

대로 작동되도록 지원하는 장치를 말한다.

제9조(최소회전반경)을 다음과 같이 한다.

제9조(최소회전반경) 자동차의 최소회전반경은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1. 바깥쪽 앞바퀴자국의 중심선을 따라 측정 시 12미터를 초과하지

아니할 것

2. 제1호에도 불구하고 승합자동차는 2개의 동심원(同心圓)(12.5미터

의 반경을 가진 외측 원형과 5.3미터의 반경을 가진 내측 원형)사

이에서 360도 회전 시 자동차의 최외측 어느 부분(너비 측정시 제

외되는 부분은 포함하지 않는다)도 2개의 동심원(同心圓)을 침범하

지 아니할 것

제11조제1항을 다음과 같이 한다.

제11조 (원동기 및 동력전달장치) ①원동기 각부의 작동에 이상이 없

Page 7: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7 -

어야 하며, 주시동장치 및 정지장치는 운전자의 좌석에서 원동기

를 시동 또는 정지시킬 수 있는 구조일 것

제15조제1항제1호 중 “작용할 수 있어야 하며”를 “갖추어야 하며”로

하고, 같은 항 제5호 중 단서를 삭제한다.

제15조제4항중 “제2항 및 제7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다음 각호의”를

“다음 각 호”로 하고 같은 항 제3호를 다음과 같이 하고 같은 항 제

8호를 삭제한다.

3. 관성제동장치는 모든 바퀴를 동시에 제동할 수 있는 구조일 것

제15조제5항을 다음과 같이 한다.

⑤ 승용자동차, 승합자동차(차량총중량 3.5톤 이하인 캠핑용트레일러

는 제외한다), 화물자동차(차량총중량 3.5톤 이하인 피견인자동차를

제외한다) 및 특수자동차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한 바퀴잠김방

지식 제동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제15조제11항 및 제12항을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⑪ 승용자동차와 차량총중량 3.5톤 이하인 화물자동차(모든 피견인자

동차를 제외한다) 및 특수자동차에는 별표4의3의 작동능력 기준에

적합한 제동력지원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⑫ 자동차에 장착되어 있는 브레이크호스는 제112조의2의 기준에 적

합하여야 한다.

제27조제1항제2호 중 “좌석”을 “승객좌석”이라 하고 같은 항 제3호를

삭제하며 같은 항 제2항 중 “3점식”을 “3점식 이상”으로 한다.

Page 8: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8 -

제38조제1항제5호의 후단에 단서를 다음과 하고, 각 목을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다만, 주위환경을 인지하여 주행빔과 변환빔이 자동으로 전환되는

장치를 설치한 자동차의 경우에는 다음 각 목의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가. 주위 밝기가 7,000룩스 이상일 경우 자동으로 소등될 것

나. 자동전환장치는 수동으로 동작을 중지시킬수 있는 구조일 것

다. 작동중임을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설치할 것

제38조제1항제9호를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9. 전조등 내부에 한 개 이상의 갯수로 야간운전시 운전자가 인지할

수 없는 거리의 도로상에 있는 장애물 및 보행자 등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적외선투사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다만, 전조등 점․

소등 조건과 동일하게 작동되어야 한다.

제40조제4호를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4. 차폭등 내부에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적외선투사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다만, 적외선 투사장치는 동일 측면의 전조등이

점등되어 자동차가 전방으로 진행시 작동되어야 하고, 동일측면의

전조등 또는 차폭등이 소등된 경우 자동으로 소등되어야 한다.

제44조의2를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제44조의2(옆면표시등) 길이 6미터 이상인 자동차에는 다음 각 호에

적합한 옆면표시등을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길이 6미터 미만인 자

Page 9: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9 -

동차의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할 수 있다.

1. 1등당 광도는 25칸델라 이하이어야하며, 별표5의5의 광도기준에

적합할 것

2. 등광색은 앞부분과 중간부분은 호박색이어야 하며, 뒷부분은 호

박색 또는 적색일 것

3. 등화의 발광면은 지상으로부터 25센티미터 이상 150센티미터 이

하의 높이가 되게 설치할 것. 다만, 차체 구조상 불가능한 경우에

는 210센티미터 이내이어야 한다.

4. 자동차의 가장 앞에서 300센티미터 이내, 후방 끝단에서 안쪽으

로 100센티미터 이내에 설치하여야 하며, 등화의 발광면간 거리는

300센티미터 이내일 것.

5. 방향지시등과 연동하여 점멸하는 구조를 갖출 수 있으며, 이 경

우 뒷부분 측면표시등의 등광색은 호박색이어야 한다.

제46조를 다음과 같이 한다.

최대 적재량 8톤 이상 9톤 이하의 일반형 화물자동차에는 핀틀후크

를 장착할 수 있도록 차대의 가장 뒷부분의 형상이 별표5의6의 기

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보강재를 설치하여야 한다.

제47조제3항제1호를 삭제한다.

제48조제3항 중 “별표 5의5”를 “별표 5의7”으로 한다.

제50조제1항제2호 중 “별표 5의6”를 “별표 5의8”으로 하고, 같은 호의

나목 중 “별표 5의7”를 “별표 5의9”로하며 “별표 5의8”을 “별표 5의

Page 10: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10 -

10”으로 하고 “별표 5의9”를 “별표 5의11”로 한다.

제54조제2항을 다음과 같이 하고, 제3항 및 제4항을 각각 삭제한다.

② 자동차에 설치한 속도계의 속도표시부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

합하여야 한다.

1. 속도표시부는 운전자의 직접시계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주·야간

에 속도 값을 명확히 읽을 수 있을 것

2. 속도표시범위는 자동차의 최고속도가 포함되도록 할 것

3. 눈금은 시속 1킬로미터·2킬로미터·5킬로미터 또는 10킬로미터 단

위로 구분되고, 다음 각 목의 값들이 숫자로 표시될 것. 다만, 속

도표시 값의 간격은 균등하지 아니하여도 된다.

가. 속도표시부의 최고속도 값이 시속 200킬로미터 이하인 경우 시

속 20킬로미터 이하 간격의 속도 값

나. 속도표시부의 최고속도 값이 시속 200킬로미터를 초과하는 경

우 시속 30킬로미터 이하 간격의 속도 값

제54조의2를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제54조의2(최고속도제한장치) ①승합자동차, 차량총중량이 3.5톤을 초

과하는 화물․특수자동차 및 저속전기자동차에는 다음 각 호의 제

한속도를 초과하지 아니하게 하는 최고속도제한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피견인자동차, 긴급자동차 및 당해 자동차의 최고속도가

다음 각 호에서 정한 속도를 초과하지 아니하는 구조의 자동차는

제외한다.

Page 11: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11 -

1. 승합자동차: 매시 110킬로미터

2. 차량총중량이 3.5톤을 초과하는 화물자동차 및 특수자동차: 매시

90킬로미터

3. 저속전기자동차: 매시 60킬로미터

②모든 자동차에는 운전자가 최고속도를 설정할 수 있는 최고속도제

한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항에 따른 제한속도를 초과하

지 아니하여야 한다.

③자동차의 최고속도제한장치는 별표5의12의 구조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제63조의2를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제63조의2(원동기출력) 이륜자동차의 전부하원동기(구동전동기를 포함

한다)출력 및 해당 회전수에 대한 오차는 다음 각 호의 기준을 초과

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1. 최고 출력이 11킬로와트 이하인 경우: ±10퍼센트

2. 최고 출력이 11킬로와트 초과한 경우: ±5퍼센트

3. 그 밖의 부분출력(구동전동기가 30분 동안 유지될 수 있는 최고

출력은 제외한다)의 경우: ±4퍼센트(구동전동기의 경우 ±5퍼센트)

4. 회전수 오차: ±1.5퍼센트(구동전동기의 경우 ±2퍼센트)

5. 구동전동기가 30분 동안 유지될 수 있는 최고출력의 경우: ±5퍼

센트

제64조제3항제3호 중 “별표 5의10”을 “별표 5의13”으로 한다.

Page 12: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12 -

제65조제2항 중 “별표 5의11”을 “별표 5의14”으로 하고, 제3항 중 “별

표 5의12”를 “별표 5의15”로 한다.

제67조제1항제4호 중 “별표 5의13”을 “별표 5의16”으로 하고, 같은항

제5호중 “발조작식”을 “발조작(장애인용으로서 손 조작식으로 제작

하여야 하는 경우는 제외한다)”로 하며, 같은항 제12호 중 “별표 5

의13”를 “별표 5의16”로 하며, 제2항제2호 중 “별표 5의13”을 “별표

5의16”으로 한다.

제69조제1항중 “한다”를 “하며, 연료장치 및 그 구성부품은 별표 5의

17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한다.

제70조제1항 중 “옆면으로”를 “외측면으로”으로 하고, 제2항을 다음과

같이 하며, “제2항”을 “제3항”으로 한다.

②제1항에 의한 돌출물 대상과 기계적 강성 등에 대해서는 국토해양

부장관이 별도로 정하여 고시한다.

제71조제1항제2호를 다음과 같이 한다.

2. 운전자의 좌석외의 좌석을 설치할 경우에는 운행 중 승차인의 이

탈방지를 위하여 손잡이와 발걸이를 설치하여야 하며, 손잡이는

별표 5의18의 설치기준에 적합할 것

제75조제1항 중 “전조등”을 “주행빔”으로 하고 같은 항 본문 외의 제1

호부터 제4호를 각각 다음과 같이 한다.

1. 1등당 광도는 2만칸델라 이상 15만칸델라 이하이어야 하며, 별표

5의19의 광도 기준에 적합할 것

Page 13: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13 -

2. 등광색은 백색이어야 하며, 별표 5의20의 색도 기준에 적합할 것

3. 등화의 발광면은 공차상태에서 지상 500밀리미터 이상 1,300밀리

미터 이하일 것

4. 2개의 주행빔을 설치하는 경우 주행빔간의 설치거리는 200밀리미

터 이내일 것

제75조제2항 및 제3항을 각각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② 이륜자동차(측차를 제외한다)의 앞면에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

합한 2개 이하의 변환빔을 설치하여야 한다.

1. 1등당 광도는 4만5천칸델라 이하이어야 하며, 별표 5의19의 광

도 기준에 적합할 것

2. 등광색은 백색이어야 하며, 별표 5의20의 색도 기준에 적합할 것

3. 등화의 발광면은 공차상태에서 지상 500밀리미터 이상 1,200밀

리미터 이하일 것

③ 전조등은 시동과 동시에 점등되어야 한다. 다만, 제75조의2에 따

른 주간주행등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75조의3을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제75조의3(앞면안개등) 이륜자동차에 앞면안개등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1.광도는 별표 5의21의 기준에 적합할 것

2. 등광색은 백색 또는 황색이어야 하며, 별표 5의20의 색도 기준에

적합할 것

Page 14: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14 -

3. 등화의 발광면은 공차상태에서 지상 25센티미터 이상이어야 하며,

전조등보다 낮은 높이에 설치할 것

4. 전조등과 별도로 점등 또는 소등할 수 있는 구조일 것

제75조의4를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제75조의4(뒷면안개등) 이륜자동차에 뒷면안개등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1.광도는 별표 5의22의 기준에 적합할 것

2. 등광색은적색이어야 하며, 별표 5의20의 색도 기준에 적합할 것

3. 2개 이하로 설치할 것

4. 등화의 발광면은 공차상태에서 지상 25센티미터 이상 100센티미

터 이하일 것

5. 제동등과 거리는 100밀리미터 이상 떨어져 있을 것

제76조 제1호를 다음과 같이 하고, 제3호 및 제4호를 다음과 같이 신

설한다.

1. 등록번호판 위의 각 측정점별 밝기는 2 칸델라/제곱미터 이상일

3. 번호등의 바로 뒤쪽에서 광원이 직접 보이지 아니하는 구조일 것

4. 등광색은 백색이어야 하며, 별표 5의20의 색도 기준에 적합할 것

제77조 본문 외의 각 호를 다음과 같이 한다.

1. 광도는 별표 5의23의 기준에 적합할 것

2. 등광색은 적색이어야 하며, 별표 5의20의 색도 기준에 적합할 것

Page 15: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15 -

3. 2개 이하로 설치할 것

4. 등화의 발광면은 공차상태에서 지상 25센티미터 이상 150센티미

터 이하일 것

5. 삼륜형의 경우 후미등 등화의 발광면은 차량 중심선에 대하여 대

칭일 것

제77조의2를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제77조의2(차폭등) 이륜자동차에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한 차폭

등을 앞면에 설치할 수 있다.

1. 광도는 별표 5의24의 기준에 적합할 것

2. 등광색은 백색이어야 하며, 별표 5의20의 색도 기준에 적합할 것

3. 2개 이하로 설치할 것

4. 등화의 발광면은 공차상태에서 지상 35센티미터 이상 120센티미

터 이하일 것

제78조 본문 외의 각 호를 다음과 같이 한다.

1. 광도는 별표 5의25의 기준에 적합할 것

2. 다른 등화와 겸용하는 제동등은 제동조작을 할 경우 그 광도가 3

배 이상으로 증가할 것

3. 등광색은 적색이어야 하며, 별표 5의20의 색도기준에 적합할 것

4. 2개 이하로 설치할 것

5. 등화의 발광면은 공차상태에서 지상 25센티미터 이상 150센티미

터 이하일 것

Page 16: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16 -

6. 기타형 이륜자동차의 경우 제동등의 등화 발광면은 차량중심선에

대하여 좌우 대칭일 것

제79조 본문 외의 각 호를 다음과 같이 한다.

1. 광도는 별표 5의26의 기준에 적합할 것

2. 등광색은 황색 또는 호박색이어야 하며, 별표 5의20의 색도 기준

에 적합할 것

3. 등화의 발광면은 공차상태에서 지상 35센티미터 이상 120센티미

터 이하일 것

4. 앞․뒤의 양쪽에 각각 1개씩 설치하되, 차량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가 대칭이 되도록 하고, 등화의 간격은 앞면 등화는 24센티미

터 이상, 뒷면 등화는 18센티미터(삼륜형의 경우에는 차체 너비의

50퍼센트) 이상일 것

5. 이륜자동차의 후방 끝단에서 안쪽으로 300밀리미터 이내에 설치

할 것

6. 매분 60회이상 120회이하의 일정한 주기로 점멸하거나 광도가 증

감하는 구조일 것

제80조를 다음과 같이 한다.

제80조(후부반사기 등) 이륜자동차의 뒷면 중앙 또는 양쪽(기타형의

경우에는 뒷면 양쪽)에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한 후부반사기를

설치하여야 하며, 옆면의 앞부분 또는 뒷부분에는 보조반사기를 설

치할 수 있다.

Page 17: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17 -

1. 2개 이하로 설치할 것

2. 반사광은 다음 각 목의 색상이어야 하며, 반사성능은 별표 5의27

의 기준에 적합할 것

가. 후부반사기 : 적색

나. 옆면 앞부분의 보조반사기 : 호박색

다. 옆면 뒷부분의 보조반사기 : 호박색 또는 적색

3. 반사기의 반사면은 공차상태에서 지상 25센티미터 이상 90센티미

터 이하일 것

제93조를 다음과 같이 한다.

제93조(범퍼) 승용자동차에는 별표 11의4의 기준에 적합한 범퍼를 설

치하여야 한다.

제102조의2를 다음과 같이 한다.

제102조의2(보행자 보호)①피견인 자동차를 제외한 다음 각 호의 자동

차는 보행자 보호에 적합한 구조이어야 한다.

1. 승용자동차

2. 차량총중량 4.5톤 이하인 승합자동차・화물자동차 및 특수자동차.

다만, 자동차의 앞바퀴 중심축에서 운전자 좌석의 착석기준점까지

의 거리가 1천1백밀리미터 이하인 경우에는 제외한다.

②제1항에 따른 자동차는 다음 각 호에 기준에 적합한 구조이어야

한다.

1. 보행자머리모형을 자동차길이방향의 수평선으로부터 아래방향(성

Page 18: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18 -

인머리모형의 경우 65도, 어린이머리모형의 경우 50도의 각도를

말한다)으로 시속 35킬로미터의 속도로 보행자머리모형충격부위에

충돌시킬 때 별표 14의6의 보행자머리모형 상해기준에 적합할 것

2. 보행자다리모형을 다음 각 목의 구분에 따라 보행자다리충격부위

에 충돌시킬 때 별표 14의6의 보행자다리모형 상해기준에 적합할

가. 범퍼하부기준선높이가 지면에서 425밀리미터 미만인 경우: 보

행자하부다리모형을 시속 40킬로미터의 속도로 보행자다리충격

부위에 충돌

나. 범퍼하부기준선높이가 지면에서 425밀리미터 이상 500밀리미터

미만인 경우: 보행자하부다리모형 또는 보행자상부다리모형을

시속 40킬로미터의 속도로 보행자다리충격부위에 충돌

다. 범퍼하부기준선높이가 지면에서 500밀리미터 이상인 경우: 보

행자상부다리모형을 시속 40킬로미터의 속도로 보행자다리충격

부위에 충돌

제106조제13호를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13. 옆면표시등은 별표 5의5의 기준에 적합할 것

제110조를 다음과 같이 한다.

제110조(속도계)자동차의 속도계는 별표 30의2의 성능기준에 적합하여

야 한다.

제110조를 다음과 같이 한다.

Page 19: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19 -

제110조의2(최고속도제한장치) 제54조의2의 제1항 및 제2항에 따른 최

고속도제한장치는 별표30의3의 성능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제111조제1호를 다음과 같이 한다.

1. 제11조제1항의 기준에 적합 할 것

제111조의2 중 “별표 30의3”을 “별표 30의4”로 한다.

제3장의2를 다음과 같이 장을 신설한다.

제3장의2 부품의 안전기준

제112조의2를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제112조의2(브레이크호스)자동차에 사용되는 브레이크호스 및 장착부

품은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1. 브레이크호스 및 장착부품은 영구적으로 체결되는 구조일 것. 다

만, 공기압 브레이크호스 및 장착부품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2. 브레이크호스 및 장착부품의 표기 및 성능 등은 별표30의5의 기

준에 적합할 것

제112조의3을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제112조의3(좌석안전띠장치) 자동차에 설치되는 좌석안전띠(구성부품

을 포함한다)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1. 자동차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좌석안전띠는 탑승자에게 상처를 줄

수 있는 예리한 돌출부나 모서리 등이 없을 것

2. 좌석안전띠의 각부는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어야 하며, 갈라지거

Page 20: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20 -

나 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식 등이 없을 것

3. 좌석안전띠장치는 별표16의 좌석안전띠 성능기준에 적합할 것

제112조의4를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제112조의4(등화장치)전조등은 별표19․별표19의2․별표19의3 내지 별

표19의6․별표19의9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제112조의5를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제112조의5(후부반사기 등) 반사기 등은 별표29(1호․4호에 한함)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제112조의6을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제112조의6(후부안전판)후부안전판은 별표13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

다.

제114조제2항 중 “제11조제1항제2호, 제13조제2항”을 “제11조제1항제2

호, 제12조의2, 제13조제2항”로 하고 같은 항 “제90조, 제91조”을

“제90조, 제90조의2, 제91조”로 하며 같은 항 “제108조 내지 제111조

및 제11조의3”을 “제108조 내지 제111조의3”으로 한다.

제114조제7항 중 “기준”을 “국가별 기준”로 하고 “시험성적서”를 “시

험성적서(어느 하나의 국가별 기준으로만 인정)”로 한다.

제114조제11항 중 “제89조제1항·제92조부터 제101조까지”를 “제89조제

1항·제90조의2·제92조부터 제101조까지”로 하고, 제13항 및 제14항

을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Page 21: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21 -

⑬ 도로관리청의 승인을 받아 제한적으로 운행하는 트랜스포터(선박

블록 등 초중량 구조물 운반용을 말한다)는 제35조, 제36조, 제38조,

제40조 내지 제44조, 별표32의2 이외의 규정은 적용하지 아니한다.

⑭ 제1항 및 제6항에 의한 특례를 인정받고자 하는 자는 관련 입증서류

를 첨부하여 성능시험대행자에게 신청할 수 있다.

별표2의 제동장치고장자동표시기란을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동장치고장

자동표시기

적색또는

황색제동, Brake -

주차제동장치고장

자동표시기

적색또는

황색주차, Parking -

별표2의 주 제8호 다음에 제9호를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9. 제동장치 또는 주차제동장치 고장 자동표시기의 경우 하나의 표

시장치로 2개이상 제동장치고장을 표시할 때에는 “제동장치고장자

동표시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별표4에 주)를 다음과 같이 신설 한다.

주) 관성제동장치를 갖춘 피견인자동차는 제외한다.

별표4의3을 별지와 같이 한다.

별표5의2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Page 22: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22 -

1. 자동차의 전조등용 전구형식 및 전력

순번

종류 형식전력(와트)

순번 종류 형식전력(와트)

12볼트계 24볼트계 12볼트계 24볼트계

1필라

멘트

전구

R2 45/40 55/50 27필라

멘트

전구

1A1 55 ×

2 H1 55 70 28 2A1 65/43 ×

3 H3 55 70 29 2B1 70/60 ×

4 H4 35/35 또 75/70 30 1C1 55 ×

긴급제동신호의 작동기준(제15조제9항 관련)

순번 자동차 구분 작동기준 신호주기

1 - 승용자동차

- 차량총중량 3.5톤

이하 화물자동차

및 특수자동차

- 속도 50km/h 초과에서 주제

동장치 작동 시 제동감속도

6.0m/s2 이상일 때 발생될 것

- 2.5m/s2 미만으로 감속되기

이전에 소멸 될 것

2 - 승합자동차

- 차량총중량 3.5톤

초과 화물자동차

및 특수자동차

- 속도 50km/h 초과에서 주제

동장치 작동 시 제동감속도

4.0m/s2이상일 때 발생될 것

- 2.5m/s2미만으로 감속되기

이전에 소멸 될 것

4.0±1.0Hz

(필라멘트 광원인

경우: 4.0+0Hz)-1.0

3 바퀴잠김방지식

주제동장치 장착

자동차

제1호 또는 제2호의 기준에 따

르거나, 바퀴잠김방지식 주제동

장치가 최대사이클로 작동하는

경우에 발생되고, 최대사이클을

종료하였을 때 소멸될 것

별표5의5를 별지와 같이 한다.

별표5의6을 별지와 같이 한다.

별표5의5를 별표5의7으로 한다.

별표 5의7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자동차의 등화별 전구형식 및 전력기준(제48조제3항 관련)

Page 23: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23 -

는 60/55

5 H7 55 70 31 2C1 65/43 ×

6 H8 35 × 32 2D1 65/55 ×

7 H8B 35 × 33 2E1 70/60 ×

8 H9 65 × 34 UF 70 ×

9 H9B 65 × 35 LF 60 ×

10 H10 45 × 36 1G1 55 ×

11 H11 55 70 37 2G1 43 또는 65 ×

12 H11B 55 70 38 2H1 70/60 ×

13 H12 53 × 39 HB1 70/50 ×

14 H13 60/55 × 40 HB2 72/65 ×

15 H14 60/55 × 41 HB3 70 ×

16 H15 55 × 42 HB4 60 ×

17 H16 19 × 43 HB5 70/60 ×

18 HB2 72/65 × 44

가스

방전식

전구

D1S 35 35

19 HB3 60 × 45 D2S 35 35

20 HB3A 60 × 46 D1R 35 35

21 HB4 51 × 47 D2R 35 35

22 HB4A 51 × 48 D3S 35 ×

23 HIR1 65 × 49 D3R 35 ×

24 HIR2 55 × 50 D4S 35 ×

25 H27W/1 27 × 51 D4R 35 ×

26 H27W/2 27 × 52 LED - - -

주) 1. 1A1부터 HB5까지 형식의 광원은 별표 19의3부터 별표 19의6까지의 광도기준을

적용하는 전조등을 말한다.

2. 전력란의 “00/00”은 이 중필라멘트 구조로 “주행빔/변환빔” 전력기준을 구분하여

적용하며, “00”는 주행빔 및 변환빔의 구분 없이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표

에서 같다.

3. 전력란의 “×”는 사용불가를 의미하며, “-”는 전력제한기준의 적용 예외를 의미한

다. 이하 표에서 같다.

4. 위 표 광원의 색상은 해당 등화장치에 적합한 색상을 사용하여야 한다. 이하 표

에서 같다.

Page 24: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24 -

2. 자동차의 앞면안개등용 전구형식 및 전력

순번 종류 형식전력(와트)

12볼트계 24볼트계

1

필라멘트 전구

H1 55 70

2 H2 55 70

3 H3 55 70

4 H7 55 70

5 H8 35 ×

6 H10 45 ×

7 H11 55 70

8 H11B 55 70

9 H12 53 ×

10 H16 19 ×

11 H27W/1 27 ×

12 H27W/2 27 ×

13 HB4 51 ×

14 HB4A 51 ×

15 PSX24W 24 ×

16

가스방전식 전구

D1S 35 35

17 D2S 35 35

18 D1R 35 35

19 D2R 35 35

20 D3S 35 ×

21 D3R 35 ×

22 D4S 35 ×

23 D4R 35 ×

24 LED - - -

3. 자동차의 후퇴등용 전구형식 및 전력

순번 종류 형식전력(와트)

12볼트계 24볼트계

1

필라멘트 전구

P21W 21, 27 또는 28 21, 27 또는 28

2 PY21W 21 21

3 W16W 16 16

Page 25: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25 -

4 W21W 21 21

5 LED - - -

4. 자동차의 주간주행등용 전구형식 및 전력

순번 종류 형식전력(와트)

12볼트계 24볼트계

1

필라멘트 전구

P13W 13 ×

2 PSX26W 24 24

3 H15 15 ×

4 P19W 19 ×

5 PS19W 19 ×

6 P21W 21 21

7 P21/5W 21/4 21/4

8 LED - - -

별표5의6을 별표5의8으로 한다.

별표5의7을 별표5의9로 한다.

별표5의8을 별표5의10으로 한다.

별표5의9를 별표5의11로 한다.

별표5의12를 별지와 같이 한다.

별표5의10을 별표5의13으로 한다.

별표5의11을 별표5의14로 한다.

별표5의12를 별표5의15로 한다.

별표5의13을 별표5의16으로 한다.

별표5의17을 별지와 같이 한다.

별표5의18을 별지와 같이 한다.

Page 26: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26 -

적응형 전조등의 광도기준(제106조제1호 관련)

1. 주행빔

측정점 수직각 수평각광도(칸델라)

최소 최대

H-V 0 0 최대광도 80% 이상 -

최대광도값 - - 30,000 150,000

H-5.2L 0 5.2L 3,750 -

H-2.6L 0 2.6L 15,000 -

H-2.6R 0 2.6R 15,000 -

H-5.2R 0 5.2R 3,750 -

별표5의19를 별지와 같이 한다.

별표5의20을 별지와 같이 한다.

별표5의21을 별지와 같이 한다.

별표5의22를 별지와 같이 한다.

별표5의23을 별지와 같이 한다.

별표5의24를 별지와 같이 한다.

별표5의25를 별지와 같이 한다.

별표5의26을 별지와 같이 한다.

별표5의27을 별지와 같이 한다.

별표5의28을 별지와 같이 한다.

별표7의7의 “4. 기능정지 식별표시”의 “3)”의 “다)” 중 “2) 및 3)”을

“3) 및 4)”로 각각 개정한다.

별표11의4를 별지와 같이 한다.

별표16을 별지와 같이 한다.

별표19의9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Page 27: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27 -

측정점 및 측정구역각도 기본 모드 시가지 모드 고속도로 모드 젖은도로 모드

수평각 수직각 최소 최대 최소 최대 최소 최대 최소 최대

1 B50L주4)

3.43L 0.57U 250 250 438 438

2 H-V주4)

V H 438 438

3 BR주4)

2.5R 1U 125 1,250 63 625 125 1,250 125 1,875

4 세부구역 BRR주4)

8R∼20R 0.57U 2,500 625 2,500 3,750

5 세부구역 BLL주4)

8L∼20L 0.57U 438 625 625 625

6 P 7L H 63 63

7 구역 A-1, 구역 A-2 438 438 625 625

8 S50, S50LL, S50RR주5) 4U 63주6) 63주6) 63주6)

9 S100, S100LL, S100RR주5) 2U 125주6) 1256) 125주6)

10 50R 1.72R 0.86D 3,750

11 75R 1.15R 0.57D 7,500 11,250 15,000

12 50V V 0.86D 3,750 3,750 7,500 7,500

13 50L 3.43L 0.86D 2,625 9,375주8)2,625 9,375

주8)5,000 5,000 18,750

주8)

14 25LL 16L 1.72D 875 625 875 2,500

15 25RR 11R 1.72D 875 625 875 2,500

16세부구역 20을 포함한

아랫부분 3.5L∼V 2D 12,500주2)

17 세부구역 10을 포함한아랫부분

4.5L∼2R 4D 8,750주1) 8,750주1) 8,750주1) 5,000주2)

18 최대광도값주3) 12,500 31,250 6,250 31,250 12,500 56,250주7) 21,875 50,000주2)

도로의 곡률조건 또는 조향조건에 따라 조명의 밝기나 방향이 조절되는 곡선로 조명이 적용된

경우 위 표 1, 2, 7, 13, 18의 광도기준은 아래와 같이 적용한다.1 B50L

주4)3.43L 0.57U 375 375 563

2 H-V주4) V H 625 625

7 구역A-1, 구역A-2 625 625 625 625

13 50L 3.43L 0.86D 1,250 1,250 2,500 2,500

18 최대광도값 7,500 31,250 3,750 31,250 7,500 56,250주7)15,000 50,000

주2)

2. 변환빔

가. 변환빔의 광도기준

주 1) 젖은도로 변환빔으로 설계된 경우 최대광도는 11,250칸델라 이하일 것

2) 마목의 요구사항을 추가적으로 만족할 것

3) 나목의 요구사항을 만족할 것

4) 좌 우측 전조등의 각 측정점별 광도값은 각각 63칸델라 이상일 것

5) 라목의 요구사항을 만족할 것

6) 바목의 요구사항을 추가적으로 만족할 것

7) 정전압장치를 가지는 경우, 최대광도값의 1.4배를 적용할 것

8) 차폭등이 적응형 전조등의 일부이거나 함께 장착된 경우, 제작자의 요청에 따라 작동

하여 광도를 측정할 수 있을 것

나. 변환빔 측정점의 추가 요구사항

Page 28: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28 -

각도 위치/범위 기본 모드 시가지 모드 고속도로 모드 젖은도로 모드

모드 명칭 및

요구사항수평 수직 수평 수직 수평 수직 수평 수직

최대광도값의 위치0.5L

∼3R

0.3D

∼1.72D

0.3D

∼1.72D

0.5L

∼3R

0.1D

∼1.72D

0.5L

∼3R

0.3D

∼1.72D

컷오프 꺽임점이 V-V에 위치할 것

컷오프선

수평부의 위치0.57D

0.57D

∼1.3D

0.23D

∼0.57D

0.23D

∼0.57D

주 : 바목의 요구사항을 추가적으로 만족할 것

다. 구역 A-1, 구역 A-2의 범위

범위 경계점 1 2 3 4 5 6 7 8

구역 A-1

(기본 모드,

시가지 모드)

수평 8L 8L 8R 8R 6R 1.5R V-V 4L

수직 1U 4U 4U 2U 1.5U 1.5U H-H H-H

구역 A-2

(젖은도로 모드,

고속도로 모드)

수평 8L 8L 8R 8R 6R 1.5R 0.5L 4L

수직 1U 4U 4U 2U 1.5U 1.5U 0.34U 0.34U

라. 측정점 및 측정구역의 측정 각도

측정점 및 측정구역 측정 각도

S50LL 4U-8L

S50 4U-V

S50RR 4U-8R

S100LL 2U-4L

S100 2U-V

S100RR 2U-4R

E 10U-20L~20R

F1 10U~60U-10L

F2 10U~60U-V

F3 10U~60U-10R

마. 젖은도로 모드의 추가 요구사항

각 측정구역 E, F1, F2의 광도는 125칸델라 이하일 것

변환빔 광도기준의 16, 17, 18번의 최대광도는 다음과 같다.

제작자가 제출한 서류에서 젖은도로 모드의 세부구역 20과 그 아랫부분은 6,250칸델라, 세부구역 10과

그 아랫부분은 2,500칸델라를 넘지 않도록 설계된 경우 최대광도는 62,500칸델라 이하일 것

바. 고속도로 모드의 추가 요구사항

Page 29: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29 -

자동차 고속도로 모드 제어하는 경우, 가목의 B50L의 광도값과 최대광도는 아래 표의 값으로 대체할

구분

컷오프선의 위치 변환빔의 광도(칸델라)

컷오프선의 수평면EB50L 최대광도값

최대 최대

E1 0.34D 이하 375 50,000

E2 0.45D 이하 313 43,750

E3 0.57D 이하 250 37,500

주 1. 시험스크린의 위치는 등화장치의 광원에서 25미터의 거리에 위치하여야 한다.

2. “V” 이라 함은 등화장치의 광원을 통과하고 시험스크린 및 지면에 동시에 수직인 면과

시험스크린과의 교차선을 말한다.

3. “H” 이라 함은 등화장치의 광원을 통과하는 지면에 수평인 면과 시험스크린과의 교차선

을 말한다.

4. “측정점” 이라 함은 시험스크린 상에서 광도가 측정되는 점들로서 H선과 V선을 기준으

로 한 각도(°)로 표시되는 점을 말한다. 측정점을 표시하는 U, D는 H선 위쪽과 아래쪽의

각도를 의미하고, L, R은 V선 왼쪽과 오른쪽의 각도를 의미한다.

5. 변환빔의 경우 선명한 컷오프선을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6. 측정빔ㆍ측정구역 및 컷오프선은 아래 그림과 같다.

7. 가스방전식 광원을 사용하는 경우, 30분 이상 소등한 상태에서 전조등의 최초 점등 4초

후에는 주행빔은 H-V에서 37,500칸델라 이상이어야 하고 변환빔은 기본모드의 50V에

서 6,250칸델라 이상이어야 한다.

8. 양산되고 있는 자동차의 광도기준은 위 표 기준의 ±20퍼센트 이내의 편차를 가질 수 있

다. 다만, H-V 및 구역 A-1, 구역 A-2, 세부구역 BLL에서는 최대광도값에 187칸델라,

B50L, 세부구역 E, F1, F2, F3에서는 최대광도값에 125칸델라를 합한 값이하이어야 하

고, BR, P, S50, S50LL, S50RR, S100, S100RR, B50L, H-V, BR, BRR, BLL에서는 위

Page 30: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30 -

표 최소광도값의 50퍼센트 이상이어야 한다. 주행빔의 H-V는 최대광도값의 75퍼센트

이상이어야 한다.

9. 제8호의 규정에 불구하고 4개의 시험품 중 1개 이상은 위 표 기준을 만족하여야 한다.

다만, H-V 및 구역 A-1, 구역 A-2, 세부구역 BLL에서는 최대광도값에 187칸델라,

B50L, 세부구역 E, F1, F2, F3에서는 최대광도값에 125칸델라를 합한 값이하이어야 하

고, BR, P, S50, S50LL, S50RR, S100, S100RR, B50L, H-V, BR, BRR, BLL에서는 위

표 최소광도값의 50퍼센트 이상이어야 한다.

10. 좌 우측 전조등의 각 측정점 및 측정구역별 광도측정값의 평균값으로 기준적합성을 판

정한다.

11. 발광소자 또는 가스방전식 광원 및 정전압장치를 사용한 경우, 측정광도값에 0.7을 곱하

여 기준적합성을 판정한다.

12. 적응형 전조등은 50,000회 이상 회전작동시험을 실시하여 이상이 없어야 한다.

13. 적응형 전조등 고장시, 기본모드 상태로 자동 변환되거나, 기타수단에 의하여 구역 A-2에

서는 938칸델라 이하이고, 최대광도구역에서는 2,500칸델라 이상이어야 한다.

별표30의2를 별지와 같이 한다.

별표30의2를 별표30의3으로 한다.

별표30의3을 별지와 같이 한다.

별표30의3을 별표30의4으로 한다.

별표30의5를 별지와 같이 한다.

별표30의6을 별지와 같이 한다.

Page 31: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31 -

부 칙

제1조(시행일) 이 규칙은 2011.11.25일부터 시행한다. 다만, 다음 각 항

의 개정규정은 각 항별로 정한 날에 시행한다.

① 제9조제2호, 제15조제5항 및 제11항, 제75조, 제75조의3, 제75조

의4, 제76조, 제77조, 제77조의2, 제78조, 제79조, 제80조, 제93조

(다목적형에 한함), 별표5의2, 별표19의9 : 2012년 5월 25일

② 제54조의2 제1항 및 제110조의2 개정규정

가. 차량총중량 5톤초과인 승합자동차 및 차량총중량 3.5톤초과

인 화물․특수자동차 : 2012년 5월 25일

나. 차량총중량 5톤이하인 승합자동차 : 2012년 11월 25일

③ 제63조의2 : 2013년 1월 1일

제2조(일반적 적용례) 이 규칙의 개정규정은 이 규칙 시행 후 최초로

제작되거나 수입되는 자동차부터 적용한다.

제3조(제동력지원장치에 관한 경과조치) 이 규칙 시행 전에 제작․조

립 또는 수입된 형식의 자동차에 대하여는 제15조제11항의 개정규

정에도 불구하고 2013년 12월 31일까지는 개정 이전의 규정에 적합

한 경우 이 규칙에 따른 안전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본다.

제4조(바퀴잠김방지식 주제동장치에 관한 경과조치) 이 규칙 시행 전

에 제작․조립 또는 수입된 형식의 경형승합자동차에 대하여는 제

15조제5항의 개정규정에도 불구하고 2013년 12월 31일까지는 개정

Page 32: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32 -

이전의 규정에 적합한 경우 이 규칙에 따른 안전기준에 적합한 것

으로 본다.

제5조(이륜자동차 관련규정에 관한 경과조치) 이 규칙 시행 전에 제

작․조립 또는 수입된 형식의 이륜자동차에 대하여는 제69조·제70조

․제71조의 개정규정에도 불구하고 2012년 5월 24일까지, 제75조·제

75조의3·제75조의4·제76조·제77조·제77조의2·제78조·제79조·제80조의

개정규정에도 불구하고 2012년 11월24일까지, 제63조의2의 개정규정

에도 불구하고 2013년 12월 31일까지 이 규칙에 따른 안전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본다.

Page 33: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33 -

[별표4의3]

제동력지원장치의 작동능력 기준(제15조제11항 관련)

1. 제동페달 답력 감지형 제동력지원장치

제동페달의 높은 답력으로 비상제동조건이 감지되었을 때

1) 바퀴잠김방지식 주제동장치를 최대사이클로 작동시키기 위한 추가 요구답력

은 제동력지원장치가 작동하지 않을 때의 추가 요구답력 보다 작을 것

2) FABS,min ≤ FABS ≤ FABS,max

여기서,

FABS,max = (FABS,extrapolated - FT)․ 0.6 + FT

FABS,min = (FABS,extrapolated - FT)․ 0.2 + FT

주 : 1)“제동페달 답력 감지형 제동력지원장치”라 함은 운전자에 의해 작동된 제동페달 답력

으로 비상제동조건을 감지하는 장치를 말한다.

2) FABS : 바퀴잠김방지식 주제동장치를 최대사이클로 작동시키기 위한 제동페달 답력

3) FABS,min : FABS의 최소값

4) FABS,max : FABS의 최대값

5) FABS,extrapolated : 원점에서 FT 및 aT의 교점을 통과하는 직선의 연장선이 aABS로 표

시되는 수평선과 만나는 점에서의 제동페달 답력

7) FT : 제동력지원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임계 답력

8) aT : 제동력지원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임계 감속도

9) PT : 제동력지원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임계 브레이크압력

Page 34: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34 -

10) aABS : 바퀴잠김방지식 주제동장치가 작동될 때의 감속도

11) PABS : 바퀴잠김방지식 주제동장치가 작동될 때의 브레이크압력

12) t0 : 제동시작 후 제동페달 답력이 20N에 도달하는 순간의 시간

2. 제동페달 행정속도 감지형 및 복합감지형 제동력지원장치

제동페달의 급격한 작동으로 비상제동조건이 감지되었을 때

1) 주제동장치를 최대 제동율로 작동케 하거나 바퀴잠김방지식 주제동장치를

최대사이클로 작동시키는 압력을 발생시킬 것

2) 평균감속도(aBAS)는 t(초)=t0+0.8초 이후 15km/h의 속도로 감속될 때까지

aABS ․ 0.85 이상 유지할 것

주 : 1) “제동페달 행정속도 감지형 제동력지원장치”라 함은 운전자에 의해 작동된 제동페달

행정속도로 비상제동조건을 감지하는 장치를 말한다.

2) “복합감지형 제동력지원장치”라 함은 제동페달이 작동될 때의 비율을 포함한 여러

가지 특성으로 비상제동조건을 감지하는 장치를 말한다.

3) aABS : 바퀴잠김방지식 주제동장치가 작동될 때의 감속도

4) aBAS : ?제동력지원장치가 작동될 때의 감속도

5) t0 : 제동시작 후 제동페달 답력이 20N에 도달하는 순간의 시간

6) FABS,upper : FABS ․ 0.7

7) FABS,lower : FABS ․ 0.5

Page 35: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35 -

[별표5의5〕

옆면표시등의 광도기준

(제44조의2제1호 및 제106조제13호 관련)

1. 최대광도

25칸델라 이하일 것

2. 각 측정점에서의 최소광도

가. 길이 6미터 미만인 자동차

측정점(도) 최소광도(칸델라)

10U~10D 30R~30L 0.6 이상

H V 0.6 이상

나. 길이 6미터 이상인 자동차

측정점(도) 최소광도(칸델라)

10U~10D 45R~45L 0.6 이상

H V 4.0 이상

주) 양산되고 있는 자동차의 광도기준은 ±20퍼센트 이내의 편차를 가질 수 있다. 다만, 4개의 시

험품 중 1개 이상은 상기 표의 규정에 만족하여야 한다.

[별표5의6〕

핀틀후크 부착구 형상 기준

(제46조제1항 관련)

(단위 : mm)

Page 36: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36 -

[별표5의12]

최고속도제한장치의 구조기준(제54조의2 관련)

1. 제한속도고정형 최고속도제한장치

1) 정상적으로 주행 중인 자동차에 발생되는 진동을 충분히 견뎌야 하고, 모든 관련부

품은 부식 및 노화를 견딜 것

2) 작동 중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제한속도를 증가시키거나 해제 시킬 수 없을 것

3) 최고속도제한장치와 그 장치의 작동에 필요한 연결장치(자동차운행에 필요한 것은

제외한다)를 봉인하거나 특수공구를 필요하게 하여 임의적인 변경 또는 에너지공급

이 차단되지 않도록 보호될 것

4) 주제동장치를 작동시키지 않을 것. 다만, 연료공급을 최소화 한 후에 리타더 등과

같은 보조제동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5) 자동차가 설정속도로 주행 시 가속제어장치를 최대로 작동시키더라도 자동차의 주

행속도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

6) 기어변속을 위한 정상적인 가속제어장치의 조작은 가능할 것

7) 기능고장 또는 간섭 등으로 가속제어장치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원동기의 출력을

증가시키지 않을 것

8) 운전석에서 조종이 가능한 2개 이상의 가속제어장치가 있는 경우에는 모든 가속제

어장치에 대하여 작동될 것

9) 자기장이나 전기장에 의하여 작동에 영향을 받지 아니할 것

10) 작동에 필요한 모든 부품은 자동차 운행 시마다 에너지가 공급될 것

2. 제한속도조절형 최고속도제한장치

1) 제1호의 “1)”, “7)” 및 “9)”의 기준에 적합할 것

2)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조절제한속도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

3) 주제동장치를 작동시키지 않을 것. 다만, 승용자동차와 차량총중량 3.5톤 이하 화물

자동차 및 특수자동차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4) 자동차속도를 조절제한속도로 제한시킬 것. 다만, 킥다운(Kick Down) 등과 같은 운

전자의 명확한 행위로 조절제한속도를 초과하는 것은 가능하며, 자동차속도가 조절

제한속도를 초과할 경우에는 항상 운전자에게 적절한 신호(속도계 제외) 또는 경고

신호로 이를 알려야 한다.

5) 시속 30킬로미터부터 당해자동차의 최고속도까지의 속도범위에서 조절제한속도를

시속 10킬로미터 이하의 간격으로 운전자가 직접 작동시키는 조종장치로 설정할 수

있을 것

6) 작동 또는 작동해제가 항상 가능할 것

7) 운전자가 자의로 원동기를 정지시킨 경우에는 작동이 해제될 것

8) 장치가 작동상태일 때 조절제한속도의 최초 설정은 조절제한속도가 주행 중인 자동

차속도 이상일 때 가능할 것

주) 킥다운 : 자동변속기를 갖춘 자동차에서 운전자가 급가속을 위해 가속페달을 힘껏 밟

을 때 변속단이 저단으로 내려가는 현상을 말한다.

Page 37: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37 -

1. 가죽 손잡이가 설치된 경우

1) 승차인이 손쉽게 이용 가능할 것

2) 손잡이는 진행방향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이어야 하며, 손잡이 중앙부위 하

단부에 2 MPa의 최대압력에서 정적으로 적용된 2 kN의 수직견인 하중을 가했

을 때 끊어지지 않을 것

2. 기타 손잡이가 설치된 경우

1) 제1호의 “1)”, “2)”의 기준에 적합할 것

2) 손잡이가 2개인 경우

손잡이는 진행방향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이어야 하며, 각각의 손잡이 중앙

부위 하단부에 1 MPa의 최대압력에서 정적으로 적용된 1 kN의 수직견인

하중을 가했을 때 끊어지지 않을 것

1. 연료장치 및 그 구성부품은 연료의 사용조건을 적합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열적, 기계적, 화학적 특성에 맞게 제작되어야 하며, 인접한 부속 등과 정전

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것

2. 부식에 견딜 수 있는 구조로 할 것

3. 연료장치는 정해진 압력에서 기밀시험을 통과해야 할 것. 이 때 정해진 압력

은 평상시의 압력의 2배이며, 최소 130kPa의 절대압력과 동등한 압력일 것.

4. 평상시 압력을 초과하는 과도한 압력은 자동적으로 압력을 조절하는 장치

(오리피스, 안전밸브 등)로 조절되어야 하며, 발화의 위험이 없을 것.

5. 연료장치를 거꾸로 뒤집은 경우에도 연료 누유량은 30g/min을 초과하지 않

을 것

6. 금속재질 이외의 연료장치의 경우에도 위 “1.”호 내지 “5.”호의 기준에 적합

하여야 하며, 국토해양부장관이 고시하는 세부기준에 적합할 것

[별표5의17]

이륜자동차의 연료장치 및 구성부품 기준

(제69조제1항 관련)

[별표5의18]

이륜자동차의 승차인 손잡이 설치기준

(제71조제1항제2호 관련)

Page 38: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38 -

[별표5의19〕

이륜자동차의 전조등 광도기준

(제75조제1항제1호 및 제2항제1호 관련)

1. 이륜자동차의 전조등 광도기준 Ⅰ

측정점 및 측정구역 (밀리미터) 광도(cd)

주행빔

H-V 최대광도의 90%이상H-1125L 10,000이상H-1125R 10,000이상H-2250L 2,500이상H-2250R 2,500이상

최대광도값 위치20,000이상112,500이하

변환빔

250U-1500L 250이하250D-500R 3,750이상375D-1500L 3,750이상

750D-3960L, 3960R 938이상구역 A 438이하구역 B 1,250이상

구역 C 12,500이하

주 : 1) R2 광원에 적용한다.

2) 시험스크린의 위치는 등화장치의 광원에서 25미터의 거리에 위치하여야 한다. 이

하 이 표에서 같다.

3) "V"라 함은 등화장치의 광원을 통과하고 시험스크린 및 지면에 동시에 수직인 면

과 시험스크린과의 교차선을 말한다. 이하 이 표에서 같다.

4) "H"라 함은 등화장치의 광원을 통과하는 지면에 수평인 면과 시험스크린과의 교

차선을 말한다. 이하 이 표에서 같다.

5) "측정점"이라 함은 시험스크린 상에서 광도가 측정되는 점들로서 H선과 V선을

기준한 거리(㎜)로 표시되는 점을 말한다. 측정점을 표시하는 U, D는 H선 위쪽과

아래쪽의 거리를 의미하고, L, R은 V선 왼쪽과 오른쪽의 거리를 의미한다. 이하

이 표에서 같다.

6) 중복된 측정구역의 경계선에는 두 광도 기준 중 강화된 기준을 적용한다. 이하 이

표에서 같다.

7) 변환빔의 경우 선명한 컷-오프선을 형성하여야 한다. 이하 이 표에서 같다.

8) 측정빔·측정구역 및 컷-오프선은 아래 그림과 같다. 이하 이 표에서 같다.

9) 양산되고 있는 자동차의 광도기준은 ±20퍼센트 이내의 편차를 가질 수 있다. 다만, 4개

의 시험품 중 1개 이상은 상기 표의 규정에 만족하여야 한다. 이하 이 표에서 같다.

Page 39: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39 -

9) 변환빔의 측정구역 A안에서 아래 측정점의 광도값은 다음의 광도범위 안에 있

어야 한다.

광도범위 : 62칸델라 ≦ 1, 2, 3, 7 ≦ 437칸델라

125칸델라 ≦ 4, 5, 6, 8 ≦ 437칸델라

2. 이륜자동차의 전조등 광도기준 Ⅱ

측정점 및 측정구역 (밀리미터) 광도(cd)

주행빔

H-V 최대광도의 80%이상H-1125L 15,000이상H-1125R 15,000이상H-2250L 3,750이상H-2250R 3,750이상

최대광도값 위치 30,000이상150,000이하

변환빔

250U-1500L 250이하250D-500R 7,500이상250D-1500L 7,500이상375D-1500L 9,375이하375D-750R 7,500이상375D-V 3,750이상

750D-3960L, 3960R 1,250이상구역 A 438이하구역 B 1,875이상

구역 C 375D-750R, 375D-1500L의 2배이하일 것

Page 40: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40 -

측정점 및 측정구역 (밀리미터) 광도(cd)

주행빔

H-V 최대광도의 90%이상

H-1125L 7,500이상

H-1125R 7,500이상

H-2250L 1,875이상

H-2250R 1,875이상

최대광도값 위치 20,000이상

변환빔

H-H선 윗부분 438이하

375D-2250L 938이상

375D-2250R 938이상

375D-V 1,875이상

750D-2250L, 2250R 1,875이상

구역 B 938이상

주 : 1) H1, H2, H3, H4, HB3, HB4, H7, H8, H9, HIR1, HIR2, H11광원에 적용한다.

2) 측정빔·측정구역 및 컷-오프선은 아래 그림과 같다.

3) 변환빔의 측정구역 A안에서 아래 측정점의 광도값은 다음의 광도범위 안에 있어

야 한다.

광도범위 : 1 + 2 + 3 ≦ 187칸델라

4 + 5 + 6 ≦ 375칸델라

62칸델라 ≦ 7 ≦ 437칸델라

125칸델라 ≦ 8 ≦ 437칸델라

3. 이륜자동차의 전조등 광도기준 Ⅲ

Page 41: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41 -

주 : 1) S1, S2 광원에 적용한다.

2) 측정빔·측정구역 및 컷-오프선은 아래 그림과 같다.

4. 이륜자동차의 전조등 광도기준 Ⅳ

측정점 및 측정구역 (밀리미터) 광도(cd)

주행빔

H-V 최대광도의 90%이상

H-1125L 10,000이상

H-1125R 10,000이상

H-2250L 2,500이상

H-2250R 2,500이상

최대광도값 위치 20,000이상150,000이하

변환빔

250U-1500L 188이하

250D-1500L 3,750이상

375D-1500L 3,750이상

750D-3960L, 3960R 938이상

구역 A 438이하

구역 B 1,250이상

구역 C 12,500이하

주 : 1) HS1 광원에 적용한다.

2) 측정빔·측정구역 및 컷-오프선은 아래 그림과 같다.

Page 42: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42 -

5. 이륜자동차의 전조등 광도기준 Ⅴ

측정점 및 측정구역 (밀리미터)광도(cd)

필라멘트 광원 할로겐 광원

주행빔

H-V 최대광도의 80%이상

H-1125L 10,000이상 15,000이상

H-1125R 10,000이상 15,000이상

H-2250L 2,500이상 3,750이상

H-2250R 2,500이상 3,750이상

최대광도값 위치 20,000이상150,000이하

30,000이상150,000이하

변환빔

250U-1500L 250이하 250이하

250D-500R 3,750이상 7,500이상

250D-1500L 7,500이하 7,500이하

375D-1500L 9,375이하 9,375이하

375D-750R 3,750이상 7,500이상

375D-V - 3,750이상

750D-3960L, 3960R 938이상 1,250이상

구역 A 438이하 438이하

구역 B 1,250이상 1,875이상

구역 C 12,000이하375D-750R,375D-1500L의2배 이하

주 : 1) 필라멘트 및 할로겐 광원에 적용한다.

2) 측정빔·측정구역 및 컷-오프선은 아래 그림과 같다.

3) 변환빔의 측정구역 A안에서 아래측정점의 광도값은 다음의 광도범위안에 있어야

한다.

Page 43: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43 -

광도범위 : 1 + 2 + 3 ≦ 187칸델라

4 + 5 + 6 ≦ 375칸델라

62칸델라 ≦ 7 ≦ 437칸델라

62칸델라 ≦ 8 ≦ 437칸델라

Page 44: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44 -

6. 이륜자동차의 전조등 광도기준 Ⅵ

측정점 및 측정구역(밀리미터)

광도(cd)

필라멘트광원

할로겐광원

Class C Class D125cc이하 125cc초과 125cc이하 125cc초과

주행빔

H-V 최대광도의 80%이상

H-1125L - 7,500이상 - - - -

H-1125R - 7,500이상 - - - -

H-2250L - 1,875이상 - - - -

H-2250R - 1,875이상 - - - -

H-131L, 131R - - 8,000이상 8,000이상 12,000이상 12,000이상

H-263L, 263R - - 2,600이상 2,600이상 4,000이상 4,000이상

H-396L, 396R - - 1,600이상 - 2,400이상 -

H-530L, 530R - - 500이상 - 800이상 -

87U-V - - 800이상 800이상 1,200이상 1,200이상

175D-V - - 최대광도의 30%이하

최대광도값 위치 - 20,000이상150,000이하

20,000이상112,500이하

32,000이상112,500이하

변환빔

H-H 윗부분 200이하 438이하 - -

375D-2250L, 2250R - 938이상 - -

375D-V - 1,875이상 - -

750D-2250L, 2250R 800이상 1,875이상 - -

1500D-2250L, 2250R 400이상 - - -

375D-1530L, 1530R - - 1,438이상 9,625이하

375D-V - - 1,813이상 3,625이상

218U-655L, 655R - - 675이하

873U-6700L, 6700R - - 400이상 800이상

1748U-9100L, 9100R - - 119이상 238이상

H-V - - 1,200이하

873D-4000L~4000R - - 1,000이상

3069U-4408L~4408R - - 188이하

4408U-4408L~4408R - - 94이하

V - - 94이하

1748U-3513L, 3513R - - 62.5이상 675이하

1748U-V - - 62.5이상 675이하

873U-1748L, 1748R - - 125이상 675이하

873U-V - - 125이상 675이하

H-3513L, 3513R - - 62.5이상

H-1748L, 1748R - - 125이상 675이하

구역 1 - 675이하

구역 2 - 187.5이하

구역 3 - 187.5이하

구역 4 - 938이상 - -

주 : 1) 필라멘트 및 할로겐 광원, 광속 및 엔진용량 구분에 의해 기준을 적용 한다. Class

C의 광속은 500~2,000 lm 미만이며, Class D의 광원의 광속은 1,000~2,000 lm 미만

Page 45: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45 -

이다.

2) 측정빔·측정구역 및 컷-오프선은 아래 그림과 같다.

Page 46: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46 -

[별표5의20〕

이륜자동차의 등화장치 색도기준

(제75조제1항제2호․제2항제2호, 제75조의3제2호, 제75조의4제2호,

제76조제4호, 제77조제2호, 제77조의2제2호, 제78조제3호 및

제79조제2호 관련)

측정방법 기 준

분광측색방법,

자극치 직독방법

․ 백색

x≥0.310(청색경계), y≤0.440(녹색경계)

x≤0.5(황색경계), y≤0.15+0.64x(녹색경계)

y≥0.05+0.75x(보라색경계), y≥0.382(적색경계)

․ 황색

y≥0.138+0.58x, y≥0.440, y≤1.29x-0.100

y≥-x+0.940, y≥0.440, y≤-x+0.992

․ 호박색

y≤x-0.120, y≥0.390, y≥0.790-0.670x

․ 적색

y≤0.335, y≥0.980-x

주 : 1) 분광측색방법 : 반사된 빛을 분광하여 파장별 반사율을 계산하여 3자극치를 구하

는 방법을 말한다.

2) 자극치 직독방법 : 분광측색기에 의해 수광기의 출력으로부터 3자극치를 직접 구

하는 방법을 말한다.

3) x, y, z는 색도좌표를 의미하며, 측정값은 기준이내이어야 한다.

[별표5의21〕

이륜자동차의 앞면안개등 광도기준(제75조의3 관련)

측 정 구 역 광 도(칸델라)

구역A(2250L~2250R과 H~750U) 95 이상 625 이하

구역B(구역A를 제외한 12500L~12500R과 H~1500U) 625 이하

구역C(12500L~12500R과 1500U 윗부분) 315 이하

구역D(4500L~4500R과 750D~1500D) 940 이상

구역E(구역D를 제외한 10000L~10000R과 750D~1500D) 315 이상

주: 1) 컷오프선은 H선으로부터 50센티미터 아래에 위치하여야 한다.

Page 47: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47 -

2) 측정구역은 다음 그림과 같다.

3) 양산되고 있는 자동차의 광도기준은 ±20퍼센트 이내의 편차를 가질 수 있다. 다만,

4개의 시험품 중 1개 이상은 상기 표의 규정에 만족하여야 한다.

Page 48: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48 -

[별표5의22〕

이륜자동차의 뒷면안개등 광도기준(제75조의4 관련)

1. 최대광도

300칸델라 이하일 것

2. 각 측정구역에서의 최소광도

측 정 구 역 광 도

H-10R~10L, V-5U~5D 150칸델라이상으로 후미등보다 밝을 것

주 : 1) 양산되고 있는 자동차의 광도기준은 ±20퍼센트 이내의 편차를 가질

수 있다. 다만, 4개의 시험품 중 1개 이상은 상기 표의 규정에

만족하여야 한다.

2) 시각 확인시 국부적인 광도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아래의 범위안에서

75칸델라 이상일 것

Page 49: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49 -

[별표5의23〕

이륜자동차 후미등 광도기준(제77조 관련)

1. 최대광도

4칸델라 이상 12칸델라 이하일 것

2. 각 측정점에서의 최소광도

측정점(도) 최소광도(칸델라)

20L5U 0.4 이상

5D 0.4 이상

5L10U 0.8 이상

10D 0.8 이상

10L

5U 0.8 이상

H 1.4 이상

5D 0.8 이상

V 5U 2.8 이상

5L

H

3.6 이상

V 4 이상

5R 3.6 이상

V 5D 2.8 이상

10R

5U 0.8 이상

H 1.4 이상

5D 0.8 이상

5R10U 0.8 이상

10D 0.8 이상

20R 5U 0.4 이상

5D 0.4 이상

주) 양산되고 있는 이륜자동차의 광도기준은 ±20퍼센트 이내의 편차를 가질 수 있다.

다만, 4개의 시험품 중 1개 이상은 상기 표의 규정에 만족하여야 한다.

Page 50: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50 -

[별표5의24]

이륜자동차의 차폭등 광도기준(제77조의2 관련)

1. 최대광도

4칸델라 이상 60칸델라 이하일 것. 다만, 전조등과 결합되어 사용하는

경우에는 100칸델라 이하일 것

2. 각 측정점에서의 최소광도

측정점(도) 최소광도(칸델라)

20L5U 0.4 이상

5D 0.4 이상

5L10U 0.8 이상

10D 0.8 이상

10L

5U 0.8 이상

H 1.4 이상

5D 0.8 이상

V 5U 2.8 이상

5L

H

3.6 이상

V 4 이상

5R 3.6 이상

V 5D 2.8 이상

10R

5U 0.8 이상

H 1.4 이상

5D 0.8 이상

5R10U 0.8 이상

10D 0.8 이상

20R5U 0.4 이상

5D 0.4 이상

주) 양산되고 있는 이륜자동차의 광도기준은 ±20퍼센트 이내의 편차를 가질 수 있다.

다만, 4개의 시험품 중 1개 이상은 상기 표의 규정에 만족하여야 한다.

Page 51: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51 -

[별표5의25〕

이륜자동차의 제동등 광도기준(제78조 관련)

1. 최대광도

40칸델라 이상 185칸델라 이하 일 것

2. 각 측정점에서의 최소광도

측정점(도) 최소광도(칸델라)

20L5U 4 이상

5D 4 이상

5L10U 8 이상

10D 8 이상

10L

5U 8 이상

H 14 이상

5D 8 이상

V 5U 28 이상

5L

H

36 이상

V 40 이상

5R 36 이상

V 5D 28 이상

10R

5U 8 이상

H 14 이상

5D 8 이상

5R10U 8 이상

10D 8 이상

20R5U 4 이상

5D 4 이상

주) 양산되고 있는 이륜자동차의 광도기준은 ±20퍼센트 이내의 편차를 가질 수 있다.

다만, 4개의 시험품 중 1개 이상은 상기 표의 규정에 만족하여야 한다.

Page 52: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52 -

[별표5의26〕

이륜자동차의 방향지시등 광도기준(제79조 관련)

1. 앞면방향지시등 최대광도

구 분 최대 광도 (칸델라)

형식 A 700 이하

형식 B 700 이하

형식 C 800 이하

형식 D 860 이하

2. 앞면방향지시등 최소광도

측정점(도)최소광도(칸델라)

형식 A 형식 B 형식 C 형식 D

20L5U 9 이상 17.5 이상 25 이상 40 이상

5D 9 이상 17.5 이상 25 이상 40 이상

5L10U 18 이상 35 이상 50 이상 80 이상

10D 18 이상 35 이상 50 이상 80 이상

10L

5U 18 이상 35 이상 50 이상 80 이상

H 32.4 이상 63 이상 90 이상 140 이상

5D 18 이상 35 이상 50 이상 80 이상

V 5U 63 이상 122.5 이상 175 이상 280 이상

5L

H

81 이상 157.5 이상 225 이상 360 이상

V 90 이상 175 이상 250 이상 400 이상

5R 81 이상 157.5 이상 225 이상 360 이상

V 5D 63 이상 122.5 이상 175 이상 280 이상

10R

5U 18 이상 35 이상 50 이상 80 이상

H 32.4이상 63 이상 90 이상 140 이상

5D 18 이상 35 이상 50 이상 80 이상

5R10U 18 이상 35 이상 50 이상 80 이상

10D 18 이상 35 이상 50 이상 80 이상

20R5U 9 이상 17.5 이상 25 이상 40 이상

5D 9 이상 17.5 이상 25 이상 40 이상

주 : 1) 형식 A : 전조등과의 거리가 75mm 이상인 경우

2) 형식 B : 전조등과의 거리가 40mm이상인 경우

3) 형식 C : 전조등과의 거리가 20mm이상인 경우

Page 53: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53 -

4) 형식 D : 전조등과의 거리가 20mm이하인 경우

3. 뒷면방향지시등 최대광도는 350칸델라 이하일 것

4. 뒷면방향지시등 최소광도

측정점(도) 최소광도(칸델라)

20L5U 5 이상

5D 5 이상

5L10U 10 이상

10D 10 이상

10L

5U 10 이상

H 18 이상

5D 10 이상

V 5U 35 이상

5L

H

45 이상

V 50 이상

5R 45 이상

V 5D 35 이상

10R

5U 10 이상

H 18 이상

5D 10 이상

5R10U 10 이상

10D 10 이상

20R5U 5 이상

5D 5 이상

주) 양산되고 있는 이륜자동차의 광도기준은 ±20퍼센트 이내의 편차를 가질 수 있다.

다만, 4개의 시험품 중 1개 이상은 상기 표의 규정에 만족하여야 한다.

Page 54: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54 -

1. 이륜자동차의 전조등용 전구형식 및 전력

[별표5의27〕

이륜자동차의 후부반사기 등 반사성능 기준(제80조 관련)

1. 후부반사기의 반사성능

관측각(도) 입사각(도) 최소 반사성능(mcd/lx)

0.33

H-V 300 이상

H-10U, 10D 200 이상

20R, 20L-5U 100 이상

20R, 20L-5D 100 이상

1.5

H-V 5 이상

H-10U, 10D 2.8 이상

20R, 20L-5U 2.5 이상

20R, 20L-5D 2.5 이상

2. 후부반사기 및 보조반사기의 반사성능(반사면적이 25㎠이상인 경우)

관측각(도) 입사각(도)최소 반사성능(mcd/lx)

적색 호박색

0.33

H-V 450 이상 1,125 이상

H-10U, 10D 300 이상 750 이상

20R, 20L-V 150 이상 380 이상

30R, 30L-V 135 이상 335 이상

40R, 40L-V 115 이상 290 이상

50R, 50L-V 100 이상 250 이상

1.5

H-V 9 이상 21 이상

H-10U, 10D 6 이상 15 이상

20R, 20L-V 4 이상 10 이상

30R, 30L-V 4 이상 10 이상

40R, 40L-V 4 이상 10 이상

50R, 50L-V 4 이상 10 이상

주) 반사성능기준은 ±20퍼센트 이내의 편차를 가질 수 있다. 다만, 4개의 시험품 중 1개

이상은 상기 표의 규정에 만족하여야 한다.

[별표5의28]

이륜자동차의 등화별 전구형식 및 전력기준(제82조제3항 관련)

Page 55: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55 -

번종류 형식

전력(와트) 순

번종류 형식

전력(와트)

6볼트계 12볼트계 6볼트계 12볼트계

1

필라

멘트

전구

R2 45/40 45/40 22

필라

멘트

전구

HB4A × 51

2 H1 55 55 23 HIR1 × 65

3 H3 55 55 24 HIR2 × 55

4 H4 35/3535/35 또는 60/55

25 H27W/1 × 27

5 H7 × 55 26 H27W/2 × 27

6 H8 × 35 27 HS1 35 35

7 H8B × 35 28 HS2 15 15

8 H9 × 65 29 HS5 × 35/30

9 H9B × 65 30 S1 25/25 25/25

10 H10 × 45 31 S2 35/35 35/35

11 H11 × 55 32 S3 15 15

12 H11B × 55 33

가스

방전식

전구

D1S × 35

13 H12 × 53 34 D2S × 35

14 H13 × 60/55 35 D1R × 35

15 H14 × 60/55 36 D2R × 35

16 H15 × 5537 D3S × 35

17 H16 × 19

18 HB2 × 65/42 39 D3R × 35

19 HB3 × 6040

D4S × 35

20 HB3A × 60 D4R × 35

21 HB4 × 51 41 LED - - -

주) 1. 전력란의 “00/00”은 이중필라멘트 구조로 “주행빔/변환빔” 전력기준을 구분하여

적용하며, “00”는 주행빔 및 변환빔 구분 없이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표

에서 같다.

2. 전력란의 “×”는 사용불가를 의미하며, “-”는 전력제한기준의 적용 예외를 의미한

다. 이하 표에서 같다.

3. 위 표 광원의 색상은 해당 등화장치에 적합한 색상을 사용하여야 한다. 이하 표

에서 같다.

Page 56: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56 -

4. 이륜자동차의 주간주행등용 전구형식 및 전력

순번 종류 형식전력(와트)

6볼트계 12볼트계

1

필라멘트 전구

P13W × 13

2 PSX26W × 24

3 H15 × 15

4 P19W × 19

5 PS19W × 19

6 P21W 21 21

7 P21/5W 21/4 21/4

8 LED - - -

2. 이륜자동차의 앞면안개등용 전구형식 및 전력

순번 종류 형식전력(와트)

6볼트계 12볼트계

1

필라멘트 전구

H1 55 55

2 H3 55 55

3 H7 × 55

4 H8 × 35

5 H10 × 42

6 H11 × 55

7 H12 × 53

8 H16 × 19

9 H27W/1 × 27

10 H27W/2 × 27

11 LED - - -

3. 이륜자동차의 후퇴등용 전구형식 및 전력

순번 종류 형식전력(와트)

6볼트계 12볼트계

1필라멘트전구

P21W 21, 27 또는 28 21, 27 또는 28

2 PY21W 21 21

3 LED - - -

Page 57: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57 -

[별표11의4]

범퍼 기준(제93조 관련)

구 분 정면 충격 모서리 충격

진자 속도 4(+0.25, -0)㎞/h 2.5(+0.1, -0)㎞/h

충격선 높이445㎜

(단 다목적자동차는 제작사가 제시한 충격선 높이)

진자의 중량 차량중량

충 격 전, 후 각 2회전, 후 각 2회

(좌 1회, 우1회)

판정기준

1) 전조등, 방향지시등, 제동등, 비상등, 후퇴등, 차폭등, 후미등 및

후부반사기는 정상적으로 작동될 것. 다만, 전구의 필라멘트 파

손은 적용하지 아니한다.

2) 시험 후 시험자동차의 후드, 트렁크, 옆문은 정상적으로 열 수

있어야 하며, 특히 옆문의 경우 충격시험도중 열려서는 아니 될 것.

3) 시험자동차의 연료장치 및 냉각장치는 새거나 정상적인 작동을

방해하는 변형이 있어서는 아니 되며, 각종 마개 및 캡은 정상

적으로 열 수 있을 것.

4) 배기장치는 손상이나 이탈이 있어서는 아니 될 것.

5) 동력장치, 현가장치(타이어를 포함한다), 조향 및 제동장치는

시험 전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며, 정상적으로 작동될 것.

Page 58: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58 -

구 분 항 목 성능기준

안전띠인장강도

․2개 시험품의 파단하중은 11,470N 이상이어야 하며, 그 파단

하중의 차이는 큰 값의 10%를 초과하지 않을 것

․2개의 파단하중은 2개 평균값의 75퍼센트 이상일 것

너비 ․인장하중 9,800N의 하중에서 안전띠 너비가 46mm 이상일 것

안전띠

조절장치

검사 ․좌석안전띠는 착용시 착용자의 몸에 맞고 쉽게 조절될 것

강도 ․인장하중 9,800N의 하중에서 분리되거나 파손되지 않을 것

마이크로

슬립시험

․시험시 2개의 안전띠 조절장치의 각 시험품마다 안전띠의 미

끄러짐은 25㎜를 초과하지 않아야 하며, 2개 안전띠 이동량

의 합은 40㎜를 초과하지 아니할 것

버클

검사

․부분적으로 잠기는 등 부정확하게 사용할 가능성이 없을 것

․착용자의 몸에 닿을 수 있는 경우의 버클은 넓이 20㎠이상,

너비 46㎜ 이상(2점식 및 3점식 좌석안전띠만 적용)

․버클의 잠금 해제를 위한 버튼은 적색, 다른 부분은 적색이

아닐 것

강도 ․인장하중 9,800N의 하중에서 분리되거나 파손되지 않을 것

내구성․버클은 5,000사이클의 체결과 비체결을 반복적으로 작동시

이상이 없을 것

성능

․버클의 체결된 상태에서는 항상 잠겨져 있어야 하며, 10N 이

하의 힘으로는 해제되지 않을 것

․동하중시험이 완료된 버클의 해리력은 60N을 초과하지 않을 것

리트랙터

강도․리트랙터는 14,700N의 인장하중 시험시 파손되거나 분리되어

서는 아니될 것

수동

잠금해제

리트랙터

․안전띠는 리트랙터의 잠금위치에서 이동량이 25㎜이하일 것

․14N~22N 사이의 장력에서 안전띠가 빠져나오는 길이는 6㎜

이하일 것

․리트랙터 작동을 10,000회 반복 후에도 정상 작동할 것

자동 잠금

리트랙터

․안전띠는 리트랙터의 잠금위치에서 이동량이 30㎜이하일 것

․골반을 구속하는 경우 복원력이 7N이상이어야 하며, 상체구

속장치의 일부인 경우 1N이상 7N이하일 것

․리트랙터 작동을 10,000회 반복 후에도 정상 작동할 것

[별표 16]좌석안전띠 성능기준(제103조제2항 및 제112조의3제3호 관련)

1. 정하중 기준

Page 59: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59 -

비상 잠금

리트랙터

․자동차의 감속도값이 0.45g(반응력이 높은 비상잠금 리트랙터

의 경우 0.85g) 이하에서 잠길 것

․안전띠의 가속도값이 0.8g(반응력이 높은 비상잠금 리트랙터

의 경우 1.0g) 이하에서 잠기지 아니할 것

․리트랙터가 잠기는 조건에서 리트랙터가 잠기기 전의 안전띠

이동량은 50mm를 초과하지 아니할 것

․설치 위치로부터 어느 방향이든 12도 이하로 기울어질 때는

잠기지 아니할 것

․설치 위치로부터 27도(반응력이 높은 비상잠금 리트랙터의 경

우 40도) 이상의 각도에서 잠길 것

․리트랙터 작동을 45,000회 반복 후에도 정상 작동할 것

부착구와

안전띠

높이

조절장치

강도 ․인장하중 11,470N의 하중에서 분리되거나 파손되지 아니할 것

항 목 성능기준

주) 1. “안전띠 조절장치”란 안전띠를 착용자에 맞게 조절하도록 설계된 단단한 부품이며, 버클,

부착구 또는 리트렉터 등을 조합하여 구성한 것을 말한다.

2. “마이크로슬립시험”이란 미세하게 미끄러짐량을 측정하는 시험을 말한다.

3. “버클”이란 탑승자를 구속하고 신속하게 해리하기 위한 좌석안전띠장치의 연결부를 말한다.

4. “해리력”이란 버클을 분리하는데 사용되는 힘을 말한다.

5. “리트랙터”이란 좌석안전띠 중 안전띠 일부 또는 전체를 수납하는 장치를 말한다.

가. “수동 잠금해제 리트랙터”란 안전띠를 원하는 길이로 끌어내기 위해서 착용자가 리트

랙터의 잠금을 풀려면 장치를 수동으로 작동시켜야 하고, 이 작동이 멈추면 자동적으

로 잠겨지는 리트랙터를 말한다.

나. “자동 잠금 리트랙터”란 안전띠를 원하는 길이로 끌어낼 수 있고 버클을 연결하면 자

동적으로 안전띠를 착용자의 몸에 맞추어 조절하는 리트랙터로 착용자의 자발적 개입

없이 안전띠를 더 끌어내는 것을 방지하는 리트랙터를 말한다.

다. “비상 잠금 리트랙터”란 정상적인 운전조건 동안 안전띠 착용자의 움직임을 제한하지

않는 리트랙터로 비상시 예로, 자동차의 충돌․추돌․전복 등에 의하여 자동차의 감속(단

일 감지기능) 또는 자동차의 감속과 다른 동작의 감지(다중 감지기능)를 통해 잠금

기구가 작동하여 잠기는 리트랙터를 말한다.

6. “부착구”란 안전띠부착장치에 좌석안전띠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금속 또는 단단

한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진 좌석안전띠의 일부를 말한다.

7. “안전띠 높이 조절장치”란 좌석안전띠의 자동차 상부 필라 루프 높이에 있는 위치를 개

별 좌석안전띠 착용자의 조건에 따라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말한다.

2. 동하중 기준

Page 60: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60 -

내하중성․중력가속도의 30배의 관성하중으로 시험하였을 때 손상이 없어야 하며,

버클 또는 잠금 장치가 풀리지 않을 것

인체모형의

이동량

․골반부는 80mm이상 200mm이하이며, 흉부는 100mm 이상 300mm 이

하일 것. 다만, 프리로딩 장치가 설치된 안전띠의 경우에는 골반부, 흉

부 모두 최소 이동량을 50퍼센트까지 허용한다.

․에어백이 있는 경우에는 흉부 최대 이동량이 300mm를 초과시의 흉부속

도는 300mm 시점에서 24km/h 이하일 것

시험후

확인

․시험후 변위장치와 잠금장치 등은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을 것

․시험후 좌석안전띠장치의 파손과 기능을 손상시킬 수 있는 변형 및 균열

이 없을 것

주) “프리로딩 장치”란 충돌순간 안전띠의 느슨함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안전띠를 감아주기

위해 추가하는 장치 또는 내부장치를 말한다.

Page 61: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61 -

[별표30의2]

속도계의 성능기준(제110조 관련)

1. 자동차의 속도계에 표시되는 지시속도는 실제속도 이상일 것

2. “제1호”와 관련한 속도계의 지시오차는 아래 표의 최고속도 구분에 따른 해

당 시험속도에서 측정 시 기준에 적합할 것

구 분최 고 속 도 (Vmax : km/h)

45 ≥ Vmax 45 < Vmax ≤ 100

100 < Vmax ≤ 150 150 < Vmax

시험속도

(km/h)80%Vmax 40, 80%Vmax 40, 80, 80%Vmax 40, 80, 120

기 준 O ≤ V₁-V₂≤ V₂/10 + 6(킬로미터/시간) V₁: 지시속도(킬로미터/시간) V₂: 실제속도(킬로미터/시간)

주) 시험속도는 10km/h 단위로 반올림할 것

Page 62: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62 -

가. 가속시험(그림 1 및 그림2 참조)

(1) 자동차의 안정속도(Vstab)는 아래 기준에 적합할 것

(가) 승합자동차의 안정속도(Vstab)는 설정속도(Vset)에 설정속도(Vset)의 5퍼센

트의 속도 또는 시속 5킬로미터 중 큰 값을 더한 속도값 및 시속 110킬로미

터를 초과하지 않을 것

(나) 차량총중량 3.5톤 초과 화물 및 특수자동차의 안정속도(Vstab)는 설정속도

(Vset)에 설정속도(Vset)의 5퍼센트의 속도 또는 시속 5킬로미터 중 큰 값을

더한 속도값 및 시속 90킬로미터를 초과하지 않을 것

(2) 자동차가 안정속도(Vstab)에 최초로 도달한 후에는 아래 기준에 적합할 것

(가) 최고속도(Vmax)는 안정속도(Vstab)의 105퍼센트 이하일 것

(나) 0.1초 이상의 간격으로 측정 시에 속도변화율은 ±0.5㎨ 이하일 것

(3) 자동차가 안정속도(Vstab)에 최초로 도달한 후 10초 이내에 아래 기준에 적합할 것

(가) 자동차속도의 변화량은 안정속도(Vstab)의 4퍼센트 또는 시속 2킬로미터의

속도 중 큰 값 이하일 것

(나) 0.1초 이상의 간격으로 측정 시에 속도변화율은 ±0.2㎨ 이하일 것

(4) 이론적으로 설정속도(Vset)를 초과하는 변속단수에 대하여 각각 시험을 실시하여

“(1)”부터 “(3)”까지의 기준에 적합할 것

<그림1 : 속도선도>

[별표 30의3]

최고속도제한장치의 성능기준(제110조의2 관련)

1. 제한속도고정형 최고속도제한장치

Page 63: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63 -

<그림2 : 속도변화율 선도>

나. 정속시험

(1) 자동차의 안정속도(Vstab)는 제1호의 “가”의 “(1)”의 기준에 적합할 것

(2) 각 정속시험 시 얻어진 안정속도(Vstab)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는 시속 3킬로

미터의 속도 이하일 것

(3) 이론적으로 설정속도(Vset)를 초과하는 변속단수에 대하여 각각 시험을 실시하여

“(1)” 및 “(2)”의 기준에 적합할 것

가. 경고발생 확인시험

(1) 자동차속도가 조절제한속도(Vadj)보다 시속 3킬로미터를 초과한 경우에는 경고신호

를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알릴 것

(2) 자동차속도가 조절제한속도(Vadj)보다 시속 3킬로미터를 초과하는 동안에는 지속적

주) 1. “제한속도(V)”란 가속제어장치를 빠르게 최대로 작동시킨 후 자동차가 반응을 나타

내지 않는 자동차의 최고속도를 말한다.

2. “설정속도(Vset)”란 자동차의 속도가 안정된 상태로 운행되도록 제한속도를 목표로

설정하는 자동차의 속도를 말한다.

3. “안정속도(Vstab)”란 설정속도를 지향하는 실제 평균주행속도로서 최대로 가속 후

속도가 안정된 상태에서 측정한 자동차의 평균속도를 말한다.

4. “최고속도(Vmax)”란 최고속도제한장치의 작동상태에서 가속을 시작한 후 반응곡선

의 첫 반주기에서 자동차가 도달한 가장 높은 속도를 말한다.

2. 제한속도조절형 최고속도제한장치

Page 64: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64 -

으로 경고신호를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알릴 것

나. 가속시험

(1) 자동차의 안정속도(Vstab)는 조절제한속도(Vadj)보다 시속 3킬로미터를 초과하지

않을 것

(2) 자동차가 안정속도(Vstab)에 최초로 도달한 후에는 아래 기준에 적합할 것

(가) 최고속도(Vmax)는 안정속도(Vstab)의 105퍼센트 이하일 것

(나) 0.1초 이상의 간격으로 측정 시에 속도변화율은 ±0.5㎨ 이하일 것

(3) 자동차가 안정속도(Vstab)에 최초로 도달한 후 10초 이내에 아래 기준에 적합할 것

(가) 자동차속도의 변화량은 시속 3킬로미터 이하일 것

(나) 0.1초 이상의 간격으로 측정 시에 속도변화율은 ±0.2㎨ 이하일 것

(4) 이론적으로 조절제한속도(Vadj)를 초과하는 변속단수에 대하여 각각 시험을 실시하

여 “(1)”부터 “(3)”까지의 기준에 적합할 것

가. 유압브레이크호스는 길이방향에 평행하고 분명하게 식별 가능한 폭 1.5mm이상의 줄무늬를

호스 양쪽에 표기하여야 한다. (이 표기는 아래 “나”의 표기사항이나 제작사가 표기하고자

하는 추가적인 문구에 의해 대체될 수 있음) 다만, 유압브레이크호스가 자동차에 장착될

때 꼬임을 방지할 수 있는 끝단부품과 함께 조립품으로써 제작되어 사용되는 경우는 제외

한다.

나. 유압브레이크호스(브레이크호스조립품의 일부인 경우 제외)는 아래 나열된 사항을 최소

3mm 이상의 문자․숫자 또는 기호로 표기되고, 문구 사이의 간격은 153mm이하로 표기하

여야 한다.

(1) 호스제작자를 확인할 수 있는 제작자 식별표식

(2) 숫자로 표기된 제작 년월일 또는 년월

(3) 호스의 공칭내경

(4) 일반팽창호스 또는 저팽창호스인 경우 각각 “HR” 또는 “HL” 표기

다. 유압브레이크호스조립품은 브레이크호스조립품을 둘러싼 밴드(끝단부품에 의해 이탈이 방

지될 경우에는 호스부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음)를 이용하여 최소 3mm 크기의 문

자․ 숫자 또는 기호 등으로 브레이크호스조립품 제작자를 확인할 수 있는 제작사 식별표

식을 하여야 한다. 다만, 유압브레이크호스조립품의 1개 이상의 끝단부품에 최소 1.5mm

크기로 브레이크호스조립품 제작자를 확인할 수 있는 식별표식을 하는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주) “조절제한속도(Vadj)”란 운전자가 자동차의 속도를 제한하기 위해 임의로 설정한 자동

차속도를 말한다.

[별표 30의5]

브레이크호스 등 기준(제112의2조제2호 관련)

1.유압브레이크호스조립품 및 해당부품의 표기

Page 65: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65 -

가. 공기브레이크호스(브레이크호스조립품의 일부인 경우 제외)는 아래 나열된 사항(최소 3mm

이상의 문자․숫자 또는 기호로 표기되고 문구 사이의 간격은 153mm 이하)을 표기하여야

한다.

(1) 호스제작자를 확인할 수 있는 제작자 식별표식

(2) 숫자로 표기된 제작 연월일 또는 년월.

(3) 호스의 공칭내경

(4) 형식의 지정은 아래 “(가)” 내지 “(다)”에 적합하여야 하고, A 형식은 “A”, AI 형식은

“AI”, AII 형식은 “AII”로 표기할 것

(가) A 형식 : 강화섬유 및 탄성중합체 외피

(나) AI 형식 : 철선 또는 강화섬유 및 땋은섬유 외피

(다) AII 형식 : 철선 또는 강화섬유 및 땋은섬유 또는 탄성중합체 외피

나. 공기브레이크호스 끝단부품(변형을 가하는 방식에 의해 호스에 체결된 경우 제외) 중 최소

한 1개는 아래에 나열된 사항을 최소 1.5mm높이의 문자․숫자 또는 기호로 표기하여야 한

다.

(1) 끝단부품 제작자를 확인할 수 있는 제작자 식별표식

(2) 공기식 제동장치에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A” 표기를 하여야 하며, 재사용 가능한 조립

품에 사용하기 위한 끝단부품의 경우 “AI”는 AI 형식, “AII”는 AII 형식의 호스와 함께

사용 되어야 한다.

(3) 호스의 공칭내경

다. 끝단부품이 변형을 가하는 방식에 의해 호스에 체결되어 제작된 공기브레이크호스조립품

은 브레이크호스조립품을 둘러싼 밴드(끝단부품에 의해 이탈이 방지될 경우에는 호스부에

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음)를 이용하여 최소 3mm 크기의 문자․숫자 또는 기호 등으

로 브레이크호스조립품 제작자를 확인할 수 있는 제작자 식별표식을 하여야 한다. 다만,

공기브레이크호스조립품의 1개 이상의 끝단부품에 최소 1.5mm의 크기로 브레이크호스조

립품 제작자를 확인할 수 있는 식별표식을 하는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가. 수축기준

유압브레이크호스조립품은 각 단면의 내경(호스를 포함하지 않는 끝단부품 제외)이 브레이

크호스 공칭내경의 64% 이상일 것

나. 팽창기준

유압브레이크호스조립품은 6,900kPa, 10,300kPa 및 20,000kPa의 압력에서 최대팽창이 아래

표에 규정된 값을 초과하지 않을 것

주) 1) 브레이크호스 : 브레이크 계통에서 자동차 브레이크에 힘을 작동시키기 위해 유압 또는 공기

압 등을 전달하거나 저장하기 위한 용도로 제작된 유연한 도관을 말한다

2) 끝단부품 : 브레이크호스의 끝 부분에 브레이크호스의 연결을 목적으로 제작된 부품을 말한다.

3) 브레이크호스조립품 : 브레이크 계통에 사용하기 위한 끝단부품을 갖춘 브레이크호스

2.공기브레이크호스조립품 및 해당부품의 표기

3.유압브레이크호스,유압브레이크호스조립품 및 끝단부품의 성능기준

Page 66: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66 -

유압브레이크호스 내경

팽창량 (cm3/m)

6,900kPa 10,300kPa 20,000kPa

일반팽창호스 저팽창호스 일반팽창호스 저팽창호스 일반팽창호스 저팽창호스

3.5mm 이하 2.17 1.08 2.59 1.38 4.00 2.00

4~5mm 2.82 1.81 3.35 2.36 5.50 3.00

6 mm 이상 3.41 2.69 4.27 3.84 - -

다. 파열강도기준

유압브레이크호스조립품은 27,600kPa의 수압을 가했을 때 2분 이상 파열 없이 견디고, 직경

3.5mm 이하인 호스에 대해서는 49,000kPa 이하, 직경 4mm 이상인 호스에 대해서는

34,500kPa 이하에서 파열되지 않을 것

라. 내휩성(whip)기준

유압브레이크호스조립품은 35시간 연속 내휩성시험을 실시하였을 때 파열되지 않을 것

마. 인장강도기준

유압브레이크호스조립품은 저속 인장시험시 1,446N, 고속 인장시험시 1,646N의 인장력을 가

했을 때 끝단부품으로부터 호스의 이탈이 없을 것

바. 침수 후 파열강도기준

유압브레이크호스조립품은 70시간 동안 침수시킨 후, 27,600kPa의 수압을 가했을 때 2분 이

상 파열 없이 견디고, 34,500kPa 이하에서 파열되지 않을 것

사. 침수 후 내휨성(whip)기준

유압브레이크호스조립품은 70시간 동안 침수시킨 후, 위 “라. 내휩성(whip)기준”을 만족할 것

아. 침수 후 인장강도기준

유압브레이크호스조립품은 70시간 동안 침수시킨 후, 위 마. 인장 강도기준을 만족할 것

자. 내저온성기준

유압브레이크호스는 70시간 동안 -48℃ ~ -45℃의 온도로 유지한 후 구부렸을 때 확대경

없이 육안 확인할 수 있는 균열이 없을 것

차. 제동액 적합성기준

유압브레이크호스조립품은(무기물계 또는 석유계 제동액이 사용되는 브레이크호스조립품

제외)는 “해당자동차의 제동액”을 채워 70시간동안 120℃의 온도로 유지한 후 아래 기준을

만족할 것

(1) 유압브레이크호스조립품은 각 단면의 내경(호스를 포함하지 않는 끝단부품 제외)이 브레

이크호스 공칭내경의 64% 이상일 것

(2) 27,600kPa의 수압을 2분 이상 가했을 때 파열이 없어야 하며, 그 후 34,500kPa 이하에서

파열되지 않을 것

카. 내오존성기준

(1) 유압브레이크호스는 40℃에서 70시간 동안 오존에 노출시킨 후 7-배율 확대경을 이용하

여 확인할 수 있는 균열이 없을 것

(2) 48시간 동안 동적오존시험 수행 후 확대경 없이 육안 확인할 수 있는 균열이 없을 것

타. 고온충격기준

브레이크호스조립품은 고온가압시험에서 아래 기준에 적합할 것

(1) 146℃의 온도로 150회의 가압사이클에서 누설 없이 견딜 것

(2) 27,600kPa의 내압시험에서 2분 이상 파열되지 않을 것

(3) 34,500kPa 이하의 압력에서 파열되지 않을 것

Page 67: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67 -

파. 끝단부품 내부식성기준

유압브레이크호스 끝단부품(체결 또는 표기사항을 적용하기 위해 보호피복이 제거된 경우

제외)는 염수분무에 24시간 노출시킨 후 표면에 원금속의 부식이 없을 것

가. 수축기준

공기브레이크호스조립품은 각 단면의 내경(호스를 포함하지 않는 끝단부품 제외)이 브레이

크호스 공칭내경의 66% 이상일 것

나. 내고온성기준

공기브레이크호스는 공칭내경별 규정된 반경을 갖는 시험실린더에 구부린 상태로 100℃의

온도에서 70시간 동안 유지한 후 폈을 때 확대경 없이 육안 확인할 수 있는 내․외부의 균

열, 탄자국 기타 변형 등이 없을 것

다. 내저온성기준

공기브레이크호스의 내외부 표면은 공칭내경별 규정된 반경을 갖는 시험실린더에 구부린

상태로 -40℃에서 70시간 동안 유지한 후 폈을 때 확대경 없이 육안 확인할 수 있는 내․

외부의 균열, 탄자국 또는 기타 변형 등이 없을 것

라. 내유성기준

공기브레이크호스의 내부튜브 및 외피에서 채취한 시편은 100℃에서 70시간동안 표준오일

(IRM 903)에 담근 후 체적변화율이 100%이하일 것

마. 내오존성기준

공기브레이크호스조립품은 40℃에서 70시간 동안 오존에 노출시킨 후 공칭내경별 규정된

반경을 갖는 시험실린더에 구부렸을 때 7-배율 확대경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는 균열이

없을 것

바. 길이변화기준

공기브레이크호스는 1,380kPa 공기압에서 길이 수축이 7%이하이고 팽창이 5%이하일 것

사. 점착성기준

(1) 공기브레이크호스(철선 보강된 호스 제외)는 인접층이 분리되기 전에 1.4N/mm의 인장력

에 견딜 것

(2) 철선 보강된 공기브레이크호스는 635mmHg의 진공에서 공칭내경별 규정된 반경을 갖는

시험실린더에 구부렸을 때, 시험구는 호스 전구간에서 자유롭게 굴러갈 수 있을 것

아. 굴곡강도 및 공기압누설기준

공기브레이크호스조립품은 오리피스를 통해 공급되는 압력에 의해 2분 이내에 0kPa에서

970kPa까지 증가하는 내압에 대해 견딜 것

자. 내부식성 및 파열강도기준

공기브레이크호스조립품은 염수분무에 노출된 후 6,200kPa의 정수압에서 파열되지 않을 것

차. 인장강도기준

공기브레이크호스조립품은 공칭내경이 6mm 이하인 경우에는 222N, 6mm 초과 및 12mm

이하인 경우에는 667N, 12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1,446N 인장력에 대해 끝단부품으로부

터 호스의 이탈 없이 견딜 것. 다만, 프레임과 차축 사이 또는 피견인자동차와 견인자동차

주) 무기물계 또는 석유계 제동액이 사용되는 브레이크호스조립품 : ISO 6120에 따라 제작된 브레

이크호스조립품

4.공기브레이크호스,공기브레이크호스조립품 및 끝단부품의 성능기준

Page 68: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68 -

사이에 사용하기 위해 제작된 공기브레이크호스조립품은 공칭내경이 6mm 이하인 경우에는

1,110N, 6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1,446N의 인장력에 대해 끝단부품으로부터 호스의 이탈

없이 견딜 것

카. 침수 및 인장강도기준

공기브레이크호스조립품은 70시간 동안 증류수 침수 후 위 “차. 인장강도기준”에 적합할 것

타. 내염화아연성기준

공기브레이크호스는 200시간 동안 염화아연 50% 수용액에 담근 후 외부피복에 7-배율 확

대경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는 균열이 없을 것

파. 끝단부품 내부식성기준

공기브레이크호스 끝단부품(체결 또는 표기사항을 적용하기 위해 보호피복이 제거된 경우

제외)는 염수분무에 24시간 노출시킨 후 표면에 원금속의 부식이 없을 것

Page 69: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69 -

현 행 개 정 안

제2조(정의) 이 규칙에서 사용하

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제2조(정의) -------------------

-------------------------.

1. ∼ 25의7. (생 략) 1. ∼ 25의7. (현행과 같음)

<신 설> 25의8. “제동력지원장치”란

주행 중 긴급한 제동 상황임을

감지하여 최대제동효과가 발생

토록 하거나 바퀴잠김방지식

주제동장치가 최대로 작동되도

록 지원하는 장치를 말한다.

26. ∼ 56.(생 략) 26. ∼ 56. (현행과 같음)

제9조 (최소회전반경) 자동차의

최소회전반경은 바깥쪽 앞바퀴

자국의 중심선을 따라 측정할

때에 12미터를 초과하여서는

아니된다.

제9조(최소회전반경) 자동차의 최

소회전반경은 다음 각 호의 기준

에 적합하여야 한다.

1. 바깥쪽 앞바퀴자국의 중심선

을 따라 측정 시 12미터를 초과

하지 아니할 것

2. 제1호에도 불구하고 승합자동

차는 2개의 동심원(同心圓)(1

2.5미터의 반경을 가진 외측

원형과 5.3미터의 반경을 가진

내측 원형)사이에서 360도 회

전 시 자동차의 최외측 어느 부

신ㆍ구조문대비표

Page 70: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70 -

분(너비 측정시 제외되는 부분

은 포함하지 않는다)도 2개의

동심원(同心圓)을 침범하지 아

니할 것

제11조 (원동기 및 동력전달장

치)①자동차의 원동기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

다.

1.원동기 각부의 작동에 이상

이 없어야 하며, 주시동장치

및 정지장치는 운전자의 좌석

에서 원동기를 시동 또는 정

지시킬 수 있는 구조일 것

제11조 (원동기 및 동력전달장치)

①원동기 각부의 작동에 이상이

없어야 하며, 주시동장치 및 정

지장치는 운전자의 좌석에서 원

동기를 시동 또는 정지시킬 수

있는 구조일 것

2. 승합자동차 및 화물자동차

의 원동기 최대출력은 차량총

중량 1톤당 출력이 10마력(P

S)이상일 것. 다만, 하이브리

드자동차ㆍ전기자동차ㆍ경형

자동차 및 차량총중량이 35톤

을 초과하는 자동차(연결자

동차의 차량총중량이 35톤을

초과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

다.

<삭 제>

② ∼ ③ (생 략) ② ∼ ③ (현행과 같음)

제15조(제동장치) ①자동차(피견 제15조(제동장치) ①------------

Page 71: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71 -

인자동차를 제외한다)에는 주

제동장치와 주차 중에 주로 사

용하는 제동장치(이하 “주차

제동장치”라 한다)를 갖추어

야 하며, 그 구조와 제동능력

은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

여야 한다.

-----------------------------

-----------------------------

-----------------------------

-----------------------------

-----------------------------

-----------------------------

------.

1. 주제동장치와 주차제동장치

는 각각 독립적으로 작용할

수 있어야 하며, 주제동장치

는 모든 바퀴를 동시에 제동

하는 구조일 것

1. --------------------------

----------------- 갖추어야

하며, ----------------------

-------------------------.

2.~4. (생 략) 2.~4. (현행과 같음)

5. 주제동장치의 라이닝 마모

상태를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경고장치(경고음 또

는 황색경고등을 말한다)를

설치하거나 자동차의 외부에

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구조일 것. 다만, 승용자동차

및 경형승합자동차와 차량총

중량이 3.5톤 이하인 화물자

동차 및 특수자동차는 바퀴를

탈거하여 확인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5. --------------------------

---------------------------

---------------------------

---------------------------

---------------------------

------------------. <단서 삭

제>

6.~12. (생 략) 6.~12. (현행과 같음)

Page 72: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72 -

②~③ (생 략) ②~③ (현행과 같음)

④차량총중량이 3.5톤 이하인

피견인자동차(세미트레일러형

을 제외한다)는 제2항 및 제7

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한 관성제동

구조의 주제동장치(이하 “관

성제동장치”라 한다) 또는 제

6항의 기준에 적합한 전기식

주제동장치와 주차제동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④----------------------------

-----------------------------

-----------------------------

- 다음 각 호의----------------

-----------------------------

-----------------------------

-----------------------------

-----------------------------

-----------------------------

-----------.

1.주행중에 사용하는 관성제동

장치와 주차중에 사용하는 주

차제동장치를 모두 갖출 것

2. 관성제동장치는 견인자동차

의 제동감속도에 비례하여 제

동력이 발생되는 구조일 것

3. 관성제동장치와 주차제동장

치는 각각 독립적으로 작용할

수 있어야 하며, 관성제동장

치는 모든 바퀴를 동시에 제

동할 수 있는 구조일 것

4. 연결자동차의 급제동능력이

제1항제10호의 기준에 적합

할 것

5. 연결자동차가 후진할 경우

1.~2. (현행과 같음)

3. 관성제동장치는 모든 바퀴를

동시에 제동할 수 있는 구조일

4.~7. (현행과 같음)

Page 73: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73 -

피견인자동차의 관성제동장

치는 제동기능이 작동되지 아

니하는 구조일 것

6. 연결자동차가 전진할 경우

피견인자동차의 관성제동장

치는 제동기능이 스스로 해제

되는 구조일 것

7. 주차제동장치의 제동능력

(견인자동차와 피견인자동차

를 연결한 경우와 분리한 경

우를 모두 포함한다)은 11도

30분의 경사면에서 정지상태

를 유지할 수 있을 것

8. 피견인자동차의 제동장치는

주행 중 견인자동차와의 연결

장치가 분리되는 경우 피견인

자동차를 자동적으로 정지시

키는 구조일 것. 다만, 차량

총중량이 1.5톤 이하인 피견

인자동차가 체인·와이어로

프 등 보조연결장치에 의하여

조절되고 연결봉이 지면에 닿

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그러하

지 아니하다.

<삭 제>

⑤승합자동차(경형승합자동차,

차량총중량 3.5톤 이하인 캠핑

⑤승용자동차, 승합자동차(차량총

중량 3.5톤 이하인 캠핑용트레일

Page 74: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74 -

용트레일러는 제외한다)․차량

총중량이 3.5톤을 초과하는 화

물자동차(피견인자동차를 포함

한다) 및 특수자동차는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7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다음 각호의 기준에

적합한 바퀴잠김방지식 주제동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러는 제외한다), 화물자동차(차

량총중량 3.5톤이하인 피견인자

동차를 제외한다) 및 특수자동차

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한

바퀴잠김방지식 제동장치를 설치

하여야 한다.

1.~4. (생 략) 1.~4. (현행과 같음)

⑥ ~ ⑩ (생 략) ⑥ ~ ⑩ (현행과 같음)

<신 설> ⑪승용자동차와 차량총중량 3.5

톤 이하인 승합자동차․화물자동

차(모든 피견인자동차를 제외한

다) 및 특수자동차에는 별표4의

3의 작동능력 기준에 적합한 제

동력지원장치를 설치하여야 한

다.

<신 설> ⑫자동차에 장착되어 있는 브레이

크호스는 제112조의2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제27조(좌석안전띠장치등) ①자

동차의 좌석에는 안전띠를 설

치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좌

석에는 이를 설치하지 아니할

제27조(좌석안전띠장치등) ① ---

-----------------------------

-----------------------------

-----------------------------

-----------------------------

Page 75: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75 -

수 있다.

1. (생 략)

-----.

1. (현행과 같음)

2.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령」제3조제1호의 규정에

의한 노선여객자동차운송사업

에 사용되는 자동차로서 자동

차전용도로 또는 고속국도를

운행하지 아니하는 시내버스·

농어촌버스 및 마을버스의 좌

3.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령」제3조제1호가목 및 나

목의 규정에 의한 시내버스운

송사업과 농어촌버스운송사업

에 사용되는 자동차로서 그 노

선중 일부구간을 자동차전용도

로 또는 고속국도를 운행하는

시내일반버스의 좌석

2. ---------------------------

-----------------------------

-----------------------------

-----------------------------

-----------------------------

-----------------------------

----------------------- 승객

좌석

<삭 제>

②승용자동차의 모든 좌석과 그

외의 자동차의 운전자좌석 및

운전자좌석 옆으로 나란히 되

어있는 좌석에는 3점식 안전띠

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승

용자동차 외의 자동차의 중간

좌석과 좌석의 구조상 3점식

안전띠 설치가 곤란한 좌석의

②----------------------------

-----------------------------

-----------------------------

------------ 3점식 이상의 ----

-----------------------------

-----------------------------

-------------- 3점식 이상의 --

-----------------------------

Page 76: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76 -

경우에는 2점식 안전띠를 설치

할 수 있다.

-----------------------------

----------.

③ ∼ ⑥ (생 략) ③ ∼ ⑥ (현행과 같음)

제38조(전조등) ①자동차(피견

인자동차를 제외한다)의 앞면

에는 다음 각 회의 기준에 적합

한 전조등을 좌우에 각각 1개

(4등식의 경우에는 2개를 1개

로 본다)씩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조명가변형 전조등의 경

우에는 전조등 안에 각각 1개

의 보조 등화장치를 추가로 설

치할 수 있다.

제38조(전조등) ①-------------

-----------------------------

-----------------------------

-----------------------------

-----------------------------

-----------------------------

-----------------------------

-----------------------------

-----------------------------

---------.

1.~ 4. (생 략) 1.~ 4. (현행과 같음)

5. 변환빔의 비추는 방향은 자

동차의 진행방향 또는 진행하

려는 방향과 같아야 하고, 주

행빔의 주광축의 광도를 감광

할 수 있거나 비추는 방향을

하향으로 변환할 수 있는 구

조일 것.

5.---------------------------

----------------------------

----------------------------

----------------------------

----------------------------

----------------------------

--. 다만, 주위환경을 인지하여

주행빔과 변환빔이 자동으로 전

환되는 장치를 설치한 자동차의

경우에는 다음 각 목의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신 설> 가.주위 밝기가 7,000룩스 이상

Page 77: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77 -

일 경우 자동으로 소등될 것

<신 설> 나. 자동전환장치는 수동으로

동작을 중지시킬수 있는 구

조일 것

<신 설> 다. 작동중임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설치할 것

5의2. ~ 8. (생 략) 5의2. ~ 8. (현행과 같음)

<신 설> 9. 전조등 내부에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갯수로 야간운전시 운

전자가 인지할 수 없는 거리의

도로상에 있는 장애물 및 보행

자 등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적외선투사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다만, 전조등 점․소등 조

건과 동일하게 작동되어야 한

다.

② ~ ③ (생 략) ② ~ ③ (현행과 동일)

제40조(차폭등) 자동차의 앞면

의 양쪽 또는 양옆면의 앞쪽에

는 다음 각호의 기준에 적합한

차폭등을 설치하여야 한다.

제40조(차폭등)----------------

-----------------------------

-----------------------------

--------------------------.

1.~ 3. (생 략) 1.~ 3. (현행과 같음)

<신 설> 4. 차폭등 내부에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적외선투사장치

Page 78: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78 -

를 설치할 수 있다. 다만, 적외

선 투사장치는 동일 측면의 전

조등이 점등되어 자동차가 전

방으로 진행시 작동되어야 하

고, 동일측면의 전조등 또는

차폭등이 소등된 경우 자동으

로 소등되어야 한다.

제47조(그 밖의 등화의 제한)

③-------

1. 옆면표시등을 다음 각 목의

기준에 맞게 설치하는 경우

제44조의2(옆면표시등) 길이 6미

터 이상인 자동차에는 다음 각

호에 적합한 옆면표시등을 설치

하여야 한다. 다만, 길이 6미터

미만인 자동차의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할

수 있다.

<신 설> 1. 1등당 광도는 25칸델라 이하이

어야하며, 별표5의5의 광도기준

에 적합할 것

가. 앞부분의 경우 호박색 등

화로써 양쪽에 1개씩 설치

할 것

나. 중간부분의 경우 호박색

등화일 것

2. 등광색은 앞부분과 중간부분은

호박색이어야 하며, 뒷부분은

호박색 또는 적색일 것

<신 설> 3. 등화의 발광면은 지상으로부터

25센티미터 이상 150센티미터

이하의 높이가 되게 설치할 것.

다만, 차체 구조상 불가능한 경

Page 79: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79 -

우에는 210센티미터 이내이어

야 한다.

다. 뒷부분의 경우 호박색 또

는 적색 등화로서 양쪽에 1

개씩 설치할 것

4. 자동차의 가장 앞에서 300센티

미터 이내, 후방 끝단에서 안쪽

으로 100센티미터 이내에 설치

하여야 하며, 등화의 발광면간

거리는 300센티미터 이내일 것.

<신 설> 5. 방향지시등과 연동하여 점멸하

는 구조를 갖출 수 있으며, 이

경우 뒷부분 측면표시등의 등광

색은 호박색이어야 한다.

제46조(군용화 장치) ①최대 적

재량 8톤 이상 9톤 이하의 일반

형 화물자동차에는 핀틀후크를

설치하여야 한다.

제46조(군용화 장치) 최대 적재량

8톤 이상 9톤 이하의 일반형 화

물자동차에는 핀틀후크를 장착

할 수 있도록 차대 가장 뒷부분

의 형상이 별표5의6의 기준에 적

합하여야 하며, 보강재를 설치하

여야 한다.

②제1항의 규정에 의한 핀틀후

크의 규격 및 설치등에 관한 사

항은 국토해양부장관이 따로

정한다.

제47조(그 밖의 등화의 제한)

① ~ ② (생 략)

제47조(그 밖의 등화의 제한)

① ~ ② (현행과 같음)

③ 자동차에는 제38조, 제38조

의2부터 제38조의4까지, 제39

조부터 제45조까지, 제48조,

제49조 및 제58조의 규정되지

③ ----------------------------

-----------------------------

-----------------------------

-----------------------------

Page 80: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80 -

아니한 등화나 반사기 등을 설

치하여서는 아니된다.다만, 다

음 각 호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

-----------------------------

-------.

1. 옆면표시등을 다음 각 목의

기준에 맞게 설치하는 경우

가. 앞부분의 경우 호박색 등

화로써 양쪽에 1개씩 설치

할 것

나. 중간부분의 경우 호박색

등화일 것

다. 뒷부분의 경우 호박색 또

는 적색 등화로서 양쪽에 1

개씩 설치할 것

<삭 제>

2. ~ 8.(생 략) 2. ~ 8.(현행과 같음)

제48조(등화에 대한 그 밖의 기

준)

① ~ ② (생 략)

제48조(등화에 대한 그 밖의 기준)

① ~ ② (현행과 같음)

③자동차의 등화장치에 사용하는

전구는 별표 5의5의 자동차의

등화별 전구형식 및 전력기준

에 적합하여야 한다.

③-----------------------------

------ 별표 5의7 -------------

-----------------------------

----------.

④ (생 략) ④ (현행과 같음)

제50조(후사경 등) 제50조(후사경 등)

① 자동차에는 운전자가 좌·우 ① ----------------------------

Page 81: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81 -

측 및 뒤쪽의 교통상황을 확인

할 수 있도록 적차상태에서 다

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한 후사

경을 설치하여야 한다.

-----------------------------

-----------------------------

-----------------------------

----------------.

1.(생 략) 1.(현행과 같음)

2. 자동차의 외부에는 다음 각

목의 기준에 적합한 실외후사

경을 별표 5의6과 같이 설치할

2. --------------------------

-----------------------------

- 별표 5의8 ------------------

--.

가.(생 략) 가.(현행과 같음)

나. 다음 구분에 따른 후사

경별 시계범위에 적합할

1) 실외후사경의 후방 시계

범위: 별표 5의7

2) 광각 실외후사경(실외후

사경보다 넓은 범위의

뒷면을 확인할 수 있는

실외후사경을 말한다)의

후방 시계범위: 별표 5

의8

3) 근접 실외후사경(조수석

하단 범위를 확인할 수

있는 실외후사경을 말한

다)의 후방 시계범위:

나. ------------------------

-----------------------

---.

1) ------------------------

: 별표 5의9

2) ------------------------

-----------------------

-----------------------

-----------------------

------------- : 별표 5의

10

3) ------------------------

-----------------------

-----------------------

------- : 별표 5의11

Page 82: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82 -

별표 5의9

다.~ 라.(생 략) 다.~ 라.(현행과 같음)

② (생 략) ② (현행과 같음)

제54조(속도계 및 주행거리계)

①자동차에는 다음 각 호의 기

준에 적합한 속도계 및 주행거

리계를 설치하여야 한다.

제54조(속도계 및 주행거리계) ①-

-----------------------------

-----------------------------

--------------------.

1.~ 2. (생 략) 1. ~2. (현행과 같음)

② 다음 각호의 자동차(긴급자

동차와 당해 자동차의 최고속

도가 제3항의 규정에서 정한

속도를 초과하지 아니하는 구

조의 자동차를 제외한다)에는

최고속도제한장치를 설치하여

야 한다.

② 자동차에 설치한 속도계의 속

도표시부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1. 차량총중량이 10톤 이상인

승합자동차

2. 차량총중량이 16톤 이상 또

는 최대적재량이 8톤 이상인

화물자동차 및 특수자동차

(피견인차를 연결한 경우에

는 연결한 견인자동차를 포함

한다)

3.「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

령」 제2조의 규정에 의한 고

1. 속도표시부는 운전자의 직접

시계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주·야간에 속도 값을 명확히

읽을 수 있을 것

2. 속도표시범위는 자동차의 최

고속도가 포함되도록 할 것

3. 눈금은 시속 1킬로미터·2킬

로미터·5킬로미터 또는 10킬

로미터 단위로 구분되고, 다음

각 목의 값들이 숫자로 표시될

Page 83: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83 -

압가스를 운송하기 위하여 필

요한 탱크를 설치한 화물자동

차(피견인자동차를 연결한

경우에는 이를 연결한 견인자

동차를 포함한다)

4. 저속전기자동차

것. 다만, 속도표시 값의 간격

은 균등하지 아니하여도 된다.

가. 속도표시부의 최고속도 값

이 시속 200킬로미터 이하인

경우 시속 20킬로미터 이하

간격의 속도 값

나. 속도표시부의 최고속도 값

이 시속 200킬로미터를 초과

하는 경우 시속 30킬로미터

이하 간격의 속도 값

③제2항의 규정에 의한 최고속

도제한장치는 자동차의 최고속

도가 다음 각호의 기준을 초과

하지 아니하는 구조이어야 한

다.

<삭 제>

1. 제2항제1호의 규정에 의한

자동차 : 매시 110킬로미터

2. 제2항제2호 및 제3호의 규

정에 의한 자동차 : 매시 90

킬로미터

3. 제2항제4호에 따른 저속전

기자동차: 매시 60킬로미터

④최고속도제한장치의 구조는

다음 각호의 기준에 적합하여

야 한다.

<삭 제>

1. 최고속도제한장치는 제어장

Page 84: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84 -

치·작동장치·와이어링 등

연결장치를 포함하여 봉인할

2. 자동차가 정지한 상태에서

작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신 설> 제54조의2(최고속도제한장치)①승

합자동차, 차량총중량이 3.5톤

을 초과하는 화물․특수자동차 및

저속전기자동차에는 다음 각 호

의 제한속도를 초과하지 아니하

게 하는 최고속도제한장치를 설

치하여야 한다. 다만, 피견인자

동차, 긴급자동차 및 당해 자동

차의 최고속도가 다음 각 호에서

정한 속도를 초과하지 아니하는

구조의 자동차는 제외한다.

1. 승합자동차: 매시 110킬로미

2. 차량총중량이 3.5톤을 초과하

는 화물자동차 및 특수자동차:

매시 90킬로미터

3. 저속전기자동차: 매시 60킬로

미터

②모든 자동차에는 운전자가 최고

Page 85: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85 -

속도를 설정할 수 있는 최고속도

제한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항에 따른 제한속도를

초과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③자동차의 최고속도제한장치는

별표5의12의 구조기준에 적합하

여야 한다.

<신 설> 제63조의2(원동기출력) 이륜자동

차의 전부하원동기(구동전동기

를 포함한다)출력 및 해당 회전

수에 대한 오차는 다음 각 호의

기준을 초과하지 아니하여야 한

다.

1. 최고 출력이 11킬로와트 이하

인 경우: ±10퍼센트

2. 최고 출력이 11킬로와트 초과

한 경우: ±5퍼센트

3. 그 밖의 부분출력(구동전동기

가 30분 동안 유지될 수 있는

최고출력은 제외한다)의 경우:

±4퍼센트(구동전동기의 경우

±5퍼센트)

4. 회전수 오차: ±1.5퍼센트(구

동전동기의 경우 ±2퍼센트)

5. 구동전동기가 30분 동안 유지

될 수 있는 최고출력의 경우:

Page 86: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86 -

±5퍼센트

제64조(주행장치) 제64조(주행장치)

① ․ ② (생 략) ① ․ ② (현행과 같음)

③ 사륜형 이륜자동차는 적차상

태에서 다음 각 호에 적합한 주

행 안정성능을 갖추어야 한다.

③ ----------------------------

---------------------------

---------------.

1.~ 2.(생 략) 1.~ 2.(현행과 같음)

3. 최고속도에서 가속제어장치

작용력을 제거한 상태로 진입

하여 별표 5의10의 경로를 따

라 주행 시 안쪽바퀴가 시험노

면에서부터 동시에 50밀리미터

이상 떨어지지 아니하고 경로

이탈 없이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을 것

3. ---------------------------

---------------------------

-- 별표 5의13 --------------

---------------------------

---------------------------

---------------------------

---------------------------

----.

제65조(조종장치) 제65조(조종장치)

① (생 략) ① (현행과 같음)

② 이륜자동차에 별표 5의11에서

정하고 있는 손조작식 조종장

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같은

표에서 정하는 조종장치의 식

별단어·약어 또는 식별부호

(이하 "식별표시"라 한다)를

② ------------- 별표 5의14 ----

-----------------------------

-----------------------------

-----------------------------

-----------------------------

-----------------------------

Page 87: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87 -

표시하여야 하며, 조명 및 색

상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

-------------------------.

③ 이륜자동차에 별표 5의12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장치를 설치

하는 경우에는 같은 표에서 정

하는 식별표시를 표시하여야

하며 조명 및 색상기준에 적합

하여야 한다. 다만, 이륜자동

차 장치의 자동표시기가 자동

표시기 외의 표시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해당 자동표시

기에 대하여는 그러하지 아니

하다.

③ ------------ 별표 5의15 -----

-----------------------------

-----------------------------

-----------------------------

-----------------------------

-----------------------------

-----------------------------

-----------------------------

-----------------------------

-----------------------------

-----.

제67조(제동장치)① 이륜자동차

(사륜형 이륜자동차는 제외한

다)의 제동장치와 제동능력은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여

야 한다. 다만, 최고속도가 시

속 25킬로미터 미만인 이륜자

동차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67조(제동장치)① ------------

---------------------------

---------------------------

---------------------------

---------------------------

---------------------------

-----------------------.

1.~3.(생 략) 1.~3.(현행과 같음)

4. 이륜형 이륜자동차 및 측차

를 붙인 삼륜형 이륜자동차의

경우에는 각 바퀴에서 서로 독

립적으로 작동하는 주제동장치

4. ---------------------------

---------------------------

---------------------------

---------------------------

Page 88: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88 -

를 갖추거나 앞바퀴의 1개 이

상 브레이크와 뒷바퀴의 1개

이상 브레이크가 작동하는 분

할제동장치를 갖춘 구조일 것.

다만, 측차를 붙인 삼륜형 이

륜자동차가 별표 5의13의 제동

능력 기준에 적합한 경우 측차

의 브레이크에 대하여는 그러

하지 아니하다.

---------------------------

---------------------------

---------------------------

---------------------------

---------------------------

------ 별표 5의16 ----------

---------------------------

---------------------------

-----------.

5. 삼륜형 이륜자동차의 경우에

는 주차제동장치와 다음 각 목

의 어느 하나의 제동장치로서

모든 바퀴에서 브레이크가 작

동하는 발조작식 주제동장치를

갖춘 구조일 것

가.∼나.(생 략)

5. ---------------------------

---------------------------

---------------------------

---------------------------

-----발조식(장애인용으로서

손 조작식으로 제작하여야 하

는 경우는 제외한다)---------

-----

가.∼나.(현행과 같음)

6.~11.(생 략) 6.~11.(현행과 같음)

12. 이륜자동차의 제동능력은

별표 5의13의 제동능력 기준에

적합할 것

12.-------------------------

별표 5의16 -----------------

-------

② 사륜형 이륜자동차의 제동장

치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

하여야 한다.

② ---------------------------

-----------------------------

-------.

1.(생 략) 1.(현행과 같음)

Page 89: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89 -

2.별표 5의13의 제동능력 기준

중 삼륜형 이륜자동차의 제동

능력에 해당하는 기준에 적합

할 것

2. 별표 5의16 -----------------

---------------------------

---------------------------

---------.

제69조(연료장치 및 전기장치)

① 이륜자동차의 연료장치는

운행중 진동등에 의하여 연료

가 새지 아니하여야 한다.

제69조(연료장치 및 전기장치) ①

-----------------------------

-----------------------------

---------- 하며, 연료장치 및

그 구성부품은 별표 5의17의 기

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②(생 략) ②(현행과 같음)

제70조(차체) ①이륜자동차의 차

체(타이어를 포함한다) 외형은

예리하게 각이 지거나 차체의

옆면으로 돌출되어 안전운행에

위험을 줄 우려가 있어서는 아

니 된다.

<신 설>

제70조(차체) ①----------------

-----------------------------

-------------------------외측

면으로 ----------------------

-----------------------------

---------.

②제1항에 의한 돌출물 대상과 기

계적 강성 등에 대해서는 국토해

양부장관이 별도로 정하여 고시

한다.

②(생 략) ③(현행 제2항과 같음)

제71조(승차장치 및 물품적재장

장치등) ①이륜자동차의 승차

장치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

제71조(승차장치 및 물품적재장치

등) ①-----------------------

-----------------------------

Page 90: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90 -

합하여야 한다. --------.

1. (생 략) 1. (현행과 같음)

2. 운전자의 좌석외의 좌석을

설치할 경우에는 운행중 좌석

에서 승차인의 이탈방지에 필

요한 장치 또는 발걸이 등을

설치할 것

2. ---------------------------

------------ 운행 중 승차인

의 이탈방지를 위하여 손잡이

와 발걸이를 설치하여야 하며,

손잡이는 별표 5의18의 설치기

준에 적합할 것

3. (생 략) 3. (현행과 같음)

② ~ ③ (생 략) ② ~ ③ (현행과 같음)

제75조(전조등) ①이륜자동차(측

차를 제외한다)의 앞면에는 다

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한 2개

이하의 전조등을 설치하여야

한다.

제75조(전조등) ①--------------

-----------------------------

-----------------------------

---------주행빔을 -----------

---

1. 비추는 방향은 이륜자동차

의 진행방향과 같아야 하고,

그 주광축은 하향일 것

1. 1등당 광도는 2만칸델라 이상

15만칸델라 이하이어야 하며,

별표 5의19의 광도 기준에 적

합할 것

2. 등광색은 백색일 것 2. 등광색은 백색이어야 하며,

별표 5의20의 색도 기준에 적

합할 것

3. 등화의 중심점은 공차상태

에서 지상 500밀리미터 이상

3. -------발광면은-----------

--------------------------

Page 91: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91 -

1,200밀리미터 이하일 것 1,300-----------------.

4. 1등당 광도는 주행빔은 5천

칸델라 이상 15만칸델라 이

하, 변환빔은 1천칸델라이상

1만2천5백칸델라 이하이어야

하며, 변환빔은 주행빔의 주

광축의 광도를 감광할 수 있

거나 비추는 방향을 하향으로

변환할 수 있는 구조일 것

4. 2개의 주행빔을 설치하는 경

우 주행빔간의 설치거리는 200

밀리미터 이내일 것

5. (생 략) 5. (현행과 같음)

② 제1항의 전조등은 시동과 동

시에 점등되어야 한다. 다만,

제75조의2에 따른 주간주행등

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러하

지 아니하다.

② 이륜자동차(측차를 제외한다)

의 앞면에는 다음 각 호의 기준

에 적합한 2개 이하의 변환빔을

설치하여야 한다.

<신 설> 1. 1등당 광도는 4만5천칸델라

이하이어야 하며, 별표 5의19

의 광도 기준에 적합할 것

2. 등광색은 백색이어야 하며,

별표 5의20의 색도 기준에 적

합할 것

3. 등화의 발광면은 공차상태에

서 지상 500밀리미터 이상 1,2

00밀리미터 이하일 것

Page 92: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92 -

<신 설> ③전조등은 시동과 동시에 점등되

어야 한다. 다만, 제75조의2에

따른 주간주행등을 설치하는 경

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신 설> 제75조의3(앞면안개등) 이륜자동

차에 앞면안개등을 설치하는 경

우에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

합하여야 한다.

1. 광도는 별표 5의21의 기준에

적합할 것

2. 등광색은 백색 또는 황색이어

야 하며, 별표 5의20의 색도

기준에 적합할 것

3. 등화의 발광면은 공차상태에

서 지상 25센티미터 이상이어

야 하며, 전조등보다 낮은 높

이에 설치할 것

4. 전조등과 별도로 점등 또는

소등할 수 있는 구조일 것

<신 설> 제75조의4(뒷면안개등) 이륜자동

차에 뒷면안개등을 설치하는 경

우에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

합하여야 한다.

1. 광도는 별표 5의22의 기준에

적합할 것

2. 등광색은적색이어야 하며,

Page 93: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93 -

별표 5의20의 색도 기준에 적

합할 것

3. 2개 이하로 설치할 것

4. 등화의 발광면은 공차상태에

서 지상 25센티미터 이상 100

센티미터 이하일 것

5. 제동등과 거리는 100밀리미터

이상 떨어져 있을 것

제76조(번호등) 이륜자동차의 뒷

면 중앙에는 다음 각 호의 기준

에 적합한 번호등을 설치하여

야 한다.

제76조(번호등) ----------------

-----------------------------

-----------------------------

----.

1. 제41조제1호․제2호 및 제4호

기준에 적합할 것

1. 등록번호판 위의 각 측정점별

밝기는 2 칸델라/제곱미터 이

상일 것

2. (생 략) 2. (현행과 같음)

<신 설> 3. 번호등의 바로 뒤쪽에서 광원

이 직접 보이지 아니하는 구조

일 것

4. 등광색은 백색이어야 하며,

별표 5의20의 색도 기준에 적

합할 것

제77조(후미등) 이륜자동차의 뒷

면 중앙 또는 양쪽(기타형의

경우에는 뒷면 양쪽)에 다음

제77조(후미등)-----------------

-----------------------------

-----------------------------

Page 94: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94 -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한 후미등

을 설치하여야 한다.

-----------------------------

-----------.

1. 제42조제2호 및 제4호의 기

준에 적합할 것

1. 광도는 별표 5의23의 기준에

적합할 것

2. 1등당 광도는 1칸델라이상

25칸델라이하일 것

2. 등광색은 적색이어야 하며,

별표 5의20의 색도 기준에 적

합할 것

3. 등화의 중심점은 공차상태

에서 지상 35센티미터이상일

3. 2개 이하로 설치할 것

4. 삼륜형의 경우 후미등의 등

화의 중심점은 차량중심선에

대하여 좌우 대칭일 것

4. 등화의 발광면은 공차상태에

서 지상 25센티미터 이상 150

센티미터 이하일 것

<신 설> 5. 삼륜형의 경우 후미등 등화의

발광면은 차량 중심선에 대하

여 대칭일 것

<신 설> 제77조의2(차폭등) 이륜자동차에

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한

차폭등을 앞면에 설치하여야 한

다.

1. 광도는 별표 5의24의 기준에

적합할 것

2. 등광색은 백색이어야 하며,

별표 5의20의 색도 기준에 적

합할 것

Page 95: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95 -

3. 2개 이하로 설치할 것

4. 등화의 발광면은 공차상태에

서 지상 35센티미터 이상 120

센티미터 이하일 것

제78조(제동등) 이륜자동차의 뒷

면 중앙 또는 양쪽(기타형의

경우에는 뒷면 양쪽)에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한 제동등

을 설치하여야 한다.

제78조(제동등)----------------

-----------------------------

-----------------------------

-------------------------.

1. 제43조제1항제1호․제2호․제4

호․제6호 및 제7호의 기준에

적합할 것

1. 광도는 별표 5의25의 기준에

적합할 것

2. 1등당 광도는 10칸델라이상

420칸델라이하일 것

2. 다른 등화와 겸용하는 제동등

은 제동조작을 할 경우 그 광도

가 3배 이상으로 증가할 것

3. 등화의 중심점은 공차상태

에서 지상 35센티미터이상일

3. 등광색은 적색이어야 하며,

별표 5의20의 색도기준에 적합

할 것

4. 기타형의 경우 제동등의 등

화의 중심점은 차량중심선에

대하여 좌우 대칭일 것

4. 2개 이하로 설치할 것

<신 설> 5. 등화의 발광면은 공차상태에

서 지상 25센티미터 이상 150

센티미터 이하일 것

6. 기타형 이륜자동차의 경우 제

Page 96: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96 -

동등의 등화 발광면은 차량중

심선에 대하여 좌우 대칭일 것

제79조(방향지시등) 이륜자동차

의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한

방향지시등을 설치하여야 한

다.

제79조(방향지시등)-------------

-----------------------------

------------------.

1. 앞․뒤의 양쪽에 각각 1개씩

설치하되, 차량중심선을 기

준으로 좌우가 대칭이 되도록

하고, 등화의 간격은 앞면등

화는 25센티미터이상, 뒷면

등화는 15센티미터(삼륜형의

경우에는 차체너비의 50퍼센

트)이상으로 할 것

1. 광도는 별표 5의26의 기준에

적합할 것

2. 등화의 중심점은 공차상태

에서 지상 35센티미터이상일

2. 등광색은 황색 또는 호박색이

어야 하며, 별표 5의20의 색도

기준에 적합할 것

3. 매분 60회 이상 120회이하

의 일정한 주기로 점멸하거나

광도가 증감하는 구조일 것

3. 등화의 발광면은 공차상태에

서 지상 35센티미터 이상 120

센티미터 이하일 것

4. 등광색은 황색 또는 호박색

일 것

4. 앞․뒤의 양쪽에 각각 1개씩 설

치하되, 차량중심선을 기준으

로 좌우가 대칭이 되도록 하

고, 등화의 간격은 앞면 등화

Page 97: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97 -

는 24센티미터 이상, 뒷면 등

화는 18센티미터(삼륜형의 경

우에는 차체 너비의 50퍼센트)

이상일 것

5. 1등당 광도는 30칸델라이상

750칸델라이하일 것

5. 이륜자동차의 후방 끝단에서

안쪽으로 300밀리미터 이내에

설치할 것

<신 설> 6. 매분 60회이상 120회이하의

일정한 주기로 점멸하거나 광

도가 증감하는 구조일 것

제80조(후부반사기)이륜자동차

의 뒷면 중앙 또는 양쪽(기타

형의 경우에는 뒷면 양쪽)에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한 후

부반사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제80조(후부반사기 등) -------- -

-----------------------------

-----------------------------

-----------------------------

--------------하며, 옆면의 앞

부분 또는 뒷부분에는 보조반사

기를 설치할 수 있다.

1. 반사부는 3각형외의 형으로

서 그 규격은 5제곱센티미터

이상일 것

1. 2개 이하로 설치할 것

2. 야간에 뒷쪽 100미터의 거

리에서 전조등으로 비출 경우

그 반사광을 비추는 위치에서

식별할 수 있을 것

2. 반사광은 다음 각 목의 색상

이어야 하며, 반사성능은 별표

5의27의 기준에 적합할 것

3. 반사광은 적색일 것 가. 후부반사기 : 적색

Page 98: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98 -

나. 옆면 앞부분의 보조반사기

: 호박색

다. 옆면 뒷부분의 보조반사기

: 호박색 또는 적색

4. 반사기의 중심점은 지상 25

센티미터 이상 150센티미터

이하일 것

3. 반사기의 반사면은 공차상태

에서 지상 25센티미터 이상 90

센티미터 이하일 것

제93조(범퍼) ①승용자동차(다목

적형을 제외한다)는 시험대상

자동차의 차량중량과 동일한

중량의 진자를 이용하여 시속

4.1킬로미터의 속도로 자동차

의 앞면 및 뒷면 범퍼에 각각 2

회의 충격과 시속 2.5킬로미터

의 속도로 자동차의 앞면과 뒷

면 범퍼의 각 모서리에 각각 1

회의 충격을 가한 후 시속 4.1

킬로미터의 속도로 고정벽에

정면충돌 및 뒷면충돌 시험을

할 때에 다음 각호의 기준에 적

합하여야 한다. 다만, 경형승

용자동차의 경우에는 진자를

이용한 충격시험만을 실시하

며, 이 경우 제8호의 기준은 적

용하지 아니한다.

제93조(범퍼) 승용자동차에는 별

표 11의4의 기준에 적합한 범퍼

를 설치하여야 한다.

1. 번호등을 제외한 등화장치

Page 99: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99 -

가 갈라지거나 금이 가지 아

니하여야 하며, 제38조제1항

제3호·제6호, 제39조제6호,

제42조제4호, 제43조제1항제

6호 및 제44조제2호의 규정에

의한 기준에 적합할 것. 다

만, 범퍼에 설치된 보조기능

의 등화장치를 제외한다.

2. 승강구·후드 및 트렁크가

정상적으로 개폐될 것

3. 연료 및 냉각장치의 누출현

상과 배관계통의 수축이 없어

야 하며, 밀봉상태가 양호하

고 뚜껑이 정상적으로 작동될

4. 배기장치의 가스누출현상이

나 배관계통의 수축이 없을

5. 동력전달장치·완충장치 및

제동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

될 것

6. 충돌에너지를 가스 또는 유

압을 사용하여 흡수하는 외부

보호장치가 설치된 경우에는

압축용기의 파손에 의한 가스

또는 기름의 누출이 없을 것

Page 100: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100 -

7. 진자충격시험시 시험장치의

충격부위 외의 부분에 작용하

는 하중이 905킬로그램을 초

과하지 아니할 것

8. 범퍼의 충돌 및 충격 부분과

범퍼를 차체에 장착하는데 사

용되는 조임쇠등의 부품외의

자동차의 표면 및 부품에는

시험이 끝나고 30분이 경과한

후 영구변형이 없어야 하며,

그 표면의 페인트 또는 보호

재질등이 표면에서 분리되지

아니할 것

제102조의2(보행자 보호)승용자

동차, 차량총중량 4.5톤 이하

의 승합자동차 및 화물자동차

는 다음 각 호에 적합한 구조

이어야 한다. 다만, 자동차의

앞바퀴 중심축에서 운전자 좌

석의 착석 기준점까지의 거리

가 1천밀리미터 이하인 승합

자동차 및 화물자동차는 제외

한다.

제102조의2(보행자 보호)①피견인

자동차를 제외한 다음 각 호의

자동차는 보행자 보호에 적합한

구조이어야 한다.

1. 승용자동차

2. 차량총중량 4.5톤 이하인 승

합자동차・화물자동차 및 특수

자동차. 다만, 자동차의 앞바퀴

중심축에서 운전자 좌석의 착석

기준점까지의 거리가 1천1백밀

리미터 이하인 경우에는 제외한

다.

②제1항에 따른 자동차는 다음 각

Page 101: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101 -

1. ~ 2.(생 략)

호에 기준에 적합한 구조이어야

한다.

1. ~ 2.(현행과 같음)

제106조(등화장치) 자동차(이륜

자동차를 포함한다) 등화장치

의 광도 및 조도는 다음 각 호

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제106조(등화장치)--------------

-----------------------------

-----------------------------

------------------.

1. ~ 12.(생 략) 1. ~ 12.(현행과 같음)

<신 설> 13. 옆면표시등은 별표 5의5의 기

준에 적합할 것

제110조(속도계) ① 자동차에

설치한 속도계의 속도표시부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여

야 한다.

제110조(속도계)자동차의 속도계

는 별표 30의2의 성능기준에 적

합하여야 한다.

1. 속도표시부는 운전자의 직

접시계의 범위내에 위치하

고, 주·야간에 속도값을 명

확히 읽을 수 있을 것

2. 속도표시범위는 자동차의

최고속도가 포함되도록 할 것

3. 눈금은 시속 1킬로미터·2

킬로미터·5킬로미터 또는 1

0킬로미터 단위로 구분되고,

다음 각목의 값들이 숫자로

표시될 것. 다만, 속도표시값

의 간격은 균등하지 아니하여

Page 102: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102 -

도 된다.

가. 속도표시부의 최고속도값

이 시속 200킬로미터 이하

인 경우 시속 20킬로미터

이하 간격의 속도값

나. 속도표시부의 최고속도값

이 시속 200킬로미터를 초

과하는 경우 시속 30킬로미

터 이하 간격의 속도값

②자동차에 설치한 속도계의 지

시오차는 평탄한 노면에서의

속도가 시속 25킬로미터 이상

에서 다음 계산식에 적합하여

야 한다.

O ≤ V₁-V₂≤ V₂/10 + 6(킬

로미터/시간)

V₁: 지시속도(킬로미터/시간)

V₂: 실제속도(킬로미터/시간)

제110조의2(최고속도제한장치)

자동차의 최고속도제한장치는

별표30의2의 기준에 적합하여

야 한다.

제110조의2(최고속도제한장치) 제

54조의2의 제1항 및 제2항에 따

른 최고속도제한장치는 별표30

의3의 성능기준에 ------------

--------.

제111조(원동기출력) 자동차의

전부하원동기(구동전동기를 포

제111조(원동기출력)------------

-----------------------------

Page 103: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103 -

함한다)출력은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

----------------.

1. 제11조제1항제2호의 기준에

적합할 것

1. 제11조제1항의 ------------

--------

2. (생 략) 2. (현행과 같음)

제111조의2(전자파 적합성)자동

차는 별표 30의3의 전자파 적

합성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제111조의2(전자파 적합성)------

-- 별표30의4----------------

-----------------.

<신 설> 제3장의2 부품의 안전기준

<신 설> 제112조의2(브레이크호스)자동차

에 사용되는 브레이크호스 및 장

착부품은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1. 브레이크호스 및 장착부품은

영구적으로 체결되는 구조일 것.

다만, 공기압 브레이크호스 및

장착부품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2. 브레이크호스 및 장착부품의

표기 및 성능 등은 별표30의5의

기준에 적합할 것

<신 설> 제112조의3(좌석안전띠) 자동차에

설치되는 좌석안전띠(구성부품

을 포함한다)는 다음 각 호의 기

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1. 자동차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Page 104: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104 -

좌석안전띠는 탑승자에게 상처

를 줄 수 있는 예리한 돌출부나

모서리 등이 없을 것

2. 좌석안전띠의 각부는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어야 하며, 갈라지거

나 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식 등이 없을 것

3. 좌석안전띠는 별표16의 기준에

적합할 것

<신 설> 제112조의4(등화장치) 전조등은

별표19․별표19의2․별표19의3 내

지 별표19의6․별표19의9의 기준

에 적합하여야 한다.

<신 설> 제112조의5(후부반사기 등) 반사

기 등은 별표29(1호․4호에 한함)

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신 설> 제112조의6(후부안전판) 후부안전

판은 별표13의 기준에 적합하여

야 한다.

제114조(기준적용의 특례)

①(생 략)

제114조(기준적용의 특례)

①(현행과 같음)

②최고속도가 매시 25킬로미터

미만인 자동차에 대하여는 제1

1조제1항제2호, 제13조제2항,

②----------------------------

-----------------------------

----제11조제1항제2호, 제12조

Page 105: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105 -

제15조, 제16조제1항, 제27조

제4항, 제54조제1항, 제87조

내지 제89조, 제90조, 제91조,

제96조 내지 제99조, 제101조

내지 제103조, 제104조제2항,

제105조, 제108조 내지 제111

조 및 제111조의3의 규정을 적

용하지 아니하며, 노면청소작

업차에 대하여는 제16조 및 제

22조제2호의 규정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의2, 제13조제2항, -----------

-----------------------------

------------------ 제90조, 제

90조의2, 제91조, ------------

-----------------------------

---------제108조 내지 제111조

의3--------------------------

-----------------------------

-----------------------------

-----------------------------

------.

③ ~ ⑥ (생 략) ③ ~ ⑥ (현행과 같음)

⑦국토해양부장관은 외국의 자동

차의 안전 및 성능에 관한 기준중

이 규칙에서 정한 안전기준 이상

으로 인정되는 기준을 고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고시된 외국의

기준에 의한 시험성적서를 이 규

칙의 안전기준에 의한 시험성적

서로 갈음할 수 있다.

⑦-----------------------------

-------------------------------

-------------------------------

------국가별 기준을------------

-------------------------------

-----시험성적서(어느 하나의 국

가별 기준으로만 인정)를--------

-----------------------------.

⑧ ~ ⑩ (생 략) ⑧ ~ ⑩ (현행과 같음)

⑪저속전기자동차에 대하여는

제12조의2·제15조의2·제87

조·제88조·제88조의2·제88

조의3·제89조제1항·제92조

부터 제101조까지·제102조의

⑪----------------------------

-----------------------------

-----------------------------

----제89조제1항·제90조의2·

제92조부터 제101조까지·-----

Page 106: 341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pontofocal... · - 22 - d[*. J?+wJá agJ/ r J g a J/cÇ k rJ g a J/cÇ k dis ¿ihs ¿ dis ¿ihs ¿ d ¯ t Já uihe¡hjee¡eji¶

- 106 -

2·제103조·제103조의2·제1

04조·제105조·제108조·제1

10조의2·제111조의3·제111

조의4 및 별표 7 제5호의 규정

을 적용하지 아니하며, 제48조

제3항·제51조·제106조제1

호·제109조 및 별표 7 제4

호·제6호·제8호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별표 34의 저속전기

자동차의 특례기준에 만족하는

경우 해당 기준에 적합한 것으

로 할 수 있다.

-----------------------------

-----------------------------

-----------------------------

-----------------------------

-----------------------------

-----------------------------

-----------------------------

-----------------------------

-----------------------------

-----------------------------

-----------------------------

----------.

⑫ (생 략) ⑫ (현행과 같음)

<신 설> ⑬도로관리청의 승인을 받아 제한

적으로 운행하는 트랜스포터(선

박블록 등 초 중량 구조물 운반

용을 말한다)는 제35조, 제36조,

제38조, 제40조 내지 제44조, 별

표32의2 이외의 규정은 적용하지

아니한다.

<신 설> ⑭제1항 및 제6항에 의한 특례를

인정받고자 하는 자는 관련 입증

서류를 첨부하여 성능시험대행

자에게 신청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