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50
4 대대 대대대 대대대 대대대 대대 2010 년 2 년 24 년 대대대 대대대대대 대대대대대 [IV-1]

Upload: choi-wi-hwan

Post on 13-Jan-2015

1.357 views

Category:

Documents


3 download

DESCRIPTION

4대강사업의 생태적 문제점을 설명한 자료입니다. 4대강에 댐을 16개나 설치하여 물을 가두는 것이 친환경이고 강을 살리는 거라고 뻥을 칩니다. 4대강을 그냥 그대로 흐르게 두어야 정말로 강을 살리는 것입니다.

TRANSCRIPT

Page 1: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4 대강 사업의 생태적 문제점 분석

2010 년 2 월 24 일

정민걸

공주대학교 환경교육과

[IV-1]

Page 2: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4 대강 사업 후의 모습

멸종위기종 대책의 문제점

보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발표 순서발표 순서발표 순서발표 순서

우리나라 강의 특징

[IV-2]

Page 3: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11

우리나라 강의 특징

하천의 정의

22 우리나라 강의 참모습

33 생물의 터전인 백사장

44 문화와 역사가 있는 강

[IV-3]

Page 4: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1. 하천의 정의 II

하천의 정의 하천 : 연중 대부분 지표수가 흐르는 크고 작은 물줄기를 말하며 , 큰 물이

흐르는 강과 작은 물이 흐르는 내를 포함한다 .

하천의 물리적 주요 구성요소

물의 흐름과 유속의 다양함

여울과 소

상류에서 하류까지 종적 변화 : 수심 , 수량 , 수온

하상의 다양함 : 암반 , 자갈 , 모래

계절적 변화 : 풍수기 , 갈수기

침식과 퇴적 ( 범람 )

우리나라 하천은 경사가 급하여 자연정화 능력이 크다 .

하천 복원은 하천의 주요 구성 요소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 .

[IV-4]

Page 5: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2. 우리나라 강의 참모습 II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 ..뜰에는 반짝이는 금모래 빛뜰에는 반짝이는 금모래 빛뒷문 밖에는 갈잎의 노래뒷문 밖에는 갈잎의 노래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 ..

김소월김소월

[IV-5]

Page 6: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3. 생물의 터전인 백사장 II

물가의 백사장은 동물의 휴식처이며물가의 백사장은 동물의 휴식처이며또한또한 , , 먹이를 얻는 곳이다먹이를 얻는 곳이다 . .

[IV-6]

Page 7: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3. 생물의 터전인 백사장 II

물새도 내려 앉아물새도 내려 앉아종종 걸음으로종종 걸음으로뛰놀며뛰놀며물가에서물가에서먹이를 먹는다먹이를 먹는다 ..

[IV-7]

Page 8: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3. 생물의 터전인 백사장 II

하루의 노고를 잊고 마감하기 위해하루의 노고를 잊고 마감하기 위해보금자리로 이동하는 통로이기도 하보금자리로 이동하는 통로이기도 하

다다 ..

[IV-8]

Page 9: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4. 문화와 역사가 있는 하천 II

물가에는 갈수기에 작은 연못이 남겨져물가에는 갈수기에 작은 연못이 남겨져일시적으로 고인 물에 적응하여 사는일시적으로 고인 물에 적응하여 사는생물들이 살며생물들이 살며 ,,겨울에 얼어붙은 연못은 동심을겨울에 얼어붙은 연못은 동심을달래주며 추억을 만드는 문화가 있다달래주며 추억을 만드는 문화가 있다 ..

[IV-9]

Page 10: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4. 문화와 역사가 있는 하천 II

강과 우리의 삶은 함께 흐른다강과 우리의 삶은 함께 흐른다 ..

[IV-10]

Page 11: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4. 문화와 역사가 있는 하천 II

[IV-11]

Page 12: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11

인공 호수 조성 사업인 4 대강 사업

우리나라 젖줄을 끊는 4 대강 사업

22 남한호 조성 계획

33 보의 제원과 환경 변화

[IV-12]

Page 13: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1. 우리나라 젖줄을 끊는 4 대강 사업 IIII

산과 물과 백사장이 잘 어우러져 우리 삶과 산과 물과 백사장이 잘 어우러져 우리 삶과 문화의문화의

중심이 되어 온 하천생태계의 허리를 짤라중심이 되어 온 하천생태계의 허리를 짤라국토의 핏줄을 막는 보를 만들고 있다국토의 핏줄을 막는 보를 만들고 있다 ..

[IV-13]

Page 14: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1. 우리나라 젖줄을 끊는 4 대강 사업 IIII

동물의 놀이터이며 먹이를 얻는 삶의 터전인동물의 놀이터이며 먹이를 얻는 삶의 터전인백사장을 수장하기 위해 보 공사가 시작되었다백사장을 수장하기 위해 보 공사가 시작되었다 ..

[IV-14]

Page 15: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1. 우리나라 젖줄을 끊는 4 대강 사업 IIII

강은 모래와 물의 춤 놀이판 이어야 한강은 모래와 물의 춤 놀이판 이어야 한다다 ..

[IV-15]

Page 16: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2. 남한호 조성 계획 IIII

<4 대강 마스터 플랜에서>

4 대강 사업은 하천 살리기가 아니라 하천 없애기이다 .보로 물의 흐름을 막고 퇴적토를 준설하고 암반을 발파하여 계단식 저수지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제 2 조 13 항에 의하면 보로 하천의 흐름을 막아 저수하는 곳은 호소이다 .)

[IV-16]

Page 17: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3. 보의 제원과 환경 변화 IIII

남한강에 건설될 보의 제원남한강에 건설될 보의 제원

여주보 이포보 강천보

수문 35m(B)X2m(H)X11ea; 36X3X1

45X3X6 45X3X7

월류언 높이 EL=31m(11); 30(1) 25 35

관리수위 EL=33m 28 38

ㆍ 관리수위 아래 보 상부의 2-3m 만 수문

ㆍ 하상에서 3-5m 의 최저 수위를 하부 월류언으로 막아 유지

ㆍ 따라서 하부 3-5m 의 물은 흐르지 않고 정체

ㆍ 미세 입자의 침전으로 하상은 뻘로 변화

ㆍ 모래 , 자갈 바닥 소실과 여울 미형성

남한호 : 하천의 특징 소멸남한호 : 하천의 특징 소멸

( 하천공사 시행 계획 고시 )

[IV-17]

Page 18: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11

멸종위기종 대책의 문제점

남한강의 멸종위기종

22 단양쑥부쟁이 군락지 훼손과 비현실적 대책

33 획일적인 식생 가이드 : 지역적 특성과 문화 상실

44 꾸구리의 불확실한 운명

55 생물의 상호작용과 생물다양성의 중요성

66 생태계 복원을 위한 생태학적 접근

[IV-18]

Page 19: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1. 남한강의 멸종위기종 IIIIII

[IV-19]

Page 20: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2. 단양쑥부쟁이 군락지 훼손과 비현실적 대책 IIIIII

단양쑥부쟁이 (Aster altsicus var. uchiyamae Kitamura)

•멸종 위기 야생동 · 식물Ⅱ급•1902 년 우치야마 수안보에서 최초 발견•1937 년 기타무라 우리나라 특산 변종 확인

•1978-1985 년 충주댐 건설로 멸종 추정•2005 년 국립수목원 여주군 강촌리 남한강 바위늪구비 습지에서 군락지 재발견

•2010 년 4 대강 사업으로 멸종 위기에 처함

[IV-20]

Page 21: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2. 단양쑥부쟁이 군락지 훼손과 비현실적 대책 IIIIII

세계 유일의 단양쑥부쟁이 군락지인 바위늪구비 훼손 현황세계 유일의 단양쑥부쟁이 군락지인 바위늪구비 훼손 현황

[IV-21]

Page 22: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2. 단양쑥부쟁이 군락지 훼손과 비현실적 대책 IIIIII

단양쑥부쟁이가 분포하는 흥원창 앞의 습지를 들어내려 한다 .

[IV-22]

Page 23: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2. 단양쑥부쟁이 군락지 훼손과 비현실적 대책 IIIIII

바위늪구비의 식생을 마구잡이로 걷어낸 후 쌓아 바위늪구비의 식생을 마구잡이로 걷어낸 후 쌓아 논논

식물 잔재 더미는 팔당 상수원 상류의 오염원으로식물 잔재 더미는 팔당 상수원 상류의 오염원으로방치되어 있다방치되어 있다 ..

[IV-23]

Page 24: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2. 단양쑥부쟁이 군락지 훼손과 비현실적 대책 IIIIII

단양쑥부쟁이 분포 조사 없이 훼손된 후 남겨진 곳에 쳐진 금줄단양쑥부쟁이 분포 조사 없이 훼손된 후 남겨진 곳에 쳐진 금줄

[IV-24]

Page 25: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2. 단양쑥부쟁이 군락지 훼손과 비현실적 대책 IIIIII

단양쑥부쟁이 없는 보존 지역 설정단양쑥부쟁이 없는 보존 지역 설정

[IV-25]

Page 26: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2. 단양쑥부쟁이 군락지 훼손과 비현실적 대책 IIIIII

자갈이 많은 비탈 경사면에 단양쑥부쟁이가 군락을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 보존 지역으로 설정되지 않았다 .

[IV-26]

Page 27: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2. 단양쑥부쟁이 군락지 훼손과 비현실적 대책 IIIIII

대부분 단양쑥부쟁이가 없지만 보존 지역으로 설정된 곳의 비탈진 끝자락에 단양쑥부쟁이가 그나마 있었다 .

[IV-27]

Page 28: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2. 단양쑥부쟁이 군락지 훼손과 비현실적 대책 IIIIII

• 단양쑥부쟁이는 주기적인 늪구비 범람 등으로 표토가 유실되어 새로 나타나는 서식지가 있어야 한다 .

• 단양쑥부쟁이는 초집단 ( 超集團 , metapopulation; 통합집단 ) 의 형태로 종을 유지한다 .

[IV-28]

Page 29: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2. 단양쑥부쟁이 군락지 훼손과 비현실적 대책 IIIIII

• 종이 연속된 공간이 아니라 격리된 여러 소공간에서 생존하며 , 각각의 소집단은 쉽게 멸종하지만 이주가 활발해서 새로운 곳에 소집단이 생긴다 .

• 이렇게 살아 움직이는 소집단들의 역동적인 총체가 초집단이다 .

• 이런 종은 활발한 이주 ( 수류와 변동 ) 이 필수적이며 새로 정착할 수 있는 공간 ( 범람과 토양 침식 ) 이 계속 공급되어야 한다 .

[IV-29]

Page 30: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2. 단양쑥부쟁이 군락지 훼손과 비현실적 대책 II

단양쑥부쟁이 대체 이식의 성공 조건

1. 서식지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파악해야 한다 .

2. 물리화학적 특성에 부합하는 대체서식지 후보를 다수 선정해야 한다 . (홍수의 영향을 받고 토양과 기온 , 습도 등이 단양쑥부쟁이에 맞을 것으로 판단되는 대체서식지 후보 )

3. 이식 후에 일정 기간 관찰하여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지 판단해야 한다 . (2 년생의 2 년 차에 종자가 만들어지므로 최소 3-4 세대에 걸쳐 안정적으로 군락이 유지될 것인지 판단해야 한다 .)

4. 이식이 성공한 후에 원 서식지를 훼손해야만 종은 멸종하지 않는다 .

** 이런 과정이 없이 먼저 단양쑥부쟁이 서식지를 훼손하는 행위는 야생동식물보호법에 의한 처벌 대상이다 . ( 제 68 조 . 3 년 이하의 징역 또는 2 천만 원 이하의 벌금 )

** 비록 공익을 위해 서식지를 훼손하는 것이 불가피하더라도 이식하여 멸종을 방지할 의무를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 제 14 조 예외 규정 )

IIIIII

[IV-30]

Page 31: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그랜드 캐년 하천 살리기 : 인공 범람 II

백사장이 만들어지면서 하천변 식생이 살아나다 .

Collier 등 (1977) Scientific American 276:82-89.

IIIIII

[IV-31]

Page 32: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3. 획일적인 식생 가이드 IIIIII

• 4 대강 사업은 모든 4 대강의 호반식생을 동일하게 개조하려 한다 .

• 농촌진흥청에서 2009 년 12 월 발행한 4 대강 식생복원 가이드는 우리나라 자생식물 멸종을 촉진한다 .

[IV-32]

Page 33: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4. 꾸구리의 불확실한 운명 IIIIII

• 꾸구리 (Gobiobotia macrocephalus)• 멸종 위기 야생동 · 식물Ⅱ급• 한반도 고유종• 자갈 바닥의 여울에 서식

• 보 건설 등으로 정수 ( 머무는 물 ) 가 되어 서식 공간 축소• 남한강 공사 구간인 남한강 본류는 여러 지천의 연결

통로이자 꾸구리의 공급원이다 . 초집단 여부 연구가 필요하다 .

• 따라서 남한강 사업으로 본류가 저수지가 되면 각 지천의 꾸구리들이 서로 격리되어 쉽게 멸종할 수 있다 .

• 꾸구리의 멸종 위기는 서식 가능한 여울이 있는 자갈 바닥이 없어지면서 생기는 문제이다 .

• 그러므로 인공 증식은 해결 책이 아니다 .• 남한강 사업은 방류할 공간을 사라지게 하기 때문이다 .[IV-33]

Page 34: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멸종의 인위적인 원인 IIIIII

[IV-34]

Page 35: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환경 조건과 종의 분포 IIIIII

• 모든 생물은 자신에게 적합한 환경에서만 살 수 있다 .

• 4 대강 사업은 호수에서 살 수 없는 하천의 생물들을 멸종하게 할 것이다 .

[IV-35]

Page 36: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5. 생물의 상호작용과 생물다양성의 중요성 IIIIII

실제 생물 집단의 동태실제 생물 집단의 동태

• 어느 종도 매년 동일한 개체수를 유지하지 못한다 .

• 집단의 장기간 동태 양상을 알아야 멸종을 방지할 수 있다 .

[IV-36]

Page 37: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5. 생물의 상호작용과 생물다양성의 중요성 IIIIII

• 먹이 관계를 중심으로 경쟁 , 기생 , 공생 , 협력 등 많은 종 사이의 상호작용이 한 종의 운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

• 또한 생물과 무생물의 상호작용도 중요한 요소이다 .

환경영향평가는 이런 상호작용을 고려하지 않고 막연히 다른 곳으로 회피한다고 기대하였고 , 동물의 서식 분포 , 활동 영역과 총 개체 수 등에 대한 조사가 결여되었다 .

[IV-37]

Page 38: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5. 생물의 상호작용과 생물다양성의 중요성 IIIIII

• 생물은 사람에게 중요한 자원이다 .

• 식량 , 의약품 , 의복 , 쉼터 , 자연의 치유 등

사람도 생태계의 일원이다 .사람도 생태계의 일원이다 .

[IV-38]

Page 39: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선과 악이 없이 공존하는 자연 IIIIII

[IV-39]

Page 40: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6. 생태계 복원을 위한 생태적 접근 IIIIII

극상에 대한 이해가 결여된 환경영향평가• 극상이란 주어진 자연 환경

조건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식생을 말한다 .

• 환경영향평가서 표의 예시는 온대낙엽수림의 경우이다 . 즉 , 삼림의 경우를 예로 제시한 것뿐이다 .

• 4 대강은 삼림이 아니라 하천이므로 하천에 맞는 극상을 보존해야 한다 . ( 바위늪구비 습지 , 하천변 버드나무 등 )

• 강을 삼림으로 개조하는 사업이 아닌 한 무지한 환경영향평가이다 .

[IV-40]

Page 41: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6. 생태계 복원을 위한 생태적 접근

환경조건에 따른 극상환경조건에 따른 극상

IIIIII

[IV-41]

Page 42: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6. 생태계 복원을 위한 생태적 접근 IIIIII

[IV-42]

Page 43: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6. 생태계 복원을 위한 생태적 접근공사 구간별로 쪼개진 환경영향평가는 무의미하다 .공사 구간별로 쪼개진 환경영향평가는 무의미하다 .

IIIIII

전체를 무시한 부분의 평가는 사실을 왜곡한다 .

• 1 공사 구간의 생태계는 그 구간에만 국한하여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남한강 전체 속에서 영향을 받는다 .

• One-dimensional humans live in a line.

• Two-dimensional humans live in a plane.

• Three-dimensional humans live in a space.

• Four-dimensional humans live in a temporal space.

• Five-dimensional humans live with insight in a temporal space.

• Zero-dimensional humans live in a point. 4 대강 사업

[IV-43]

Page 44: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22

보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보가 수서동물에 미치는 영향

33 보가 식생에 미치는 영향

11 하천의 상하류 특성

IVIV

44 호수의 인공습지 관리 문제점

55 샛강의 문제점

[IV-44]

Page 45: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1. 하천의 상하류 특성

거의 동일한 수심의 동일한 호수들의 계단으로 바뀌는 데에 따른 영향을

전혀 평가 하지 않았다 .

신현선 , 박승철 , 김재구 , 김숙정 , 박정호 , 최재석 , 최준길 (200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

259-266.

IVIV

하천은 상하류에 따라 다른 생물상하천은 상하류에 따라 다른 생물상

[IV-45]

Page 46: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2. 보가 수서동물에 미치는 영향 IVIV

보 건설 후에 무척추동물상 변화에 따른 수질 평가 .

이도형 , 이기환 , 이헌호 , 마호섭 , 배관호 , 김종현 (200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3(4): 353-364.

보 건설 후에 저서성 어류의 감소와 부유성 어류의 증가강형식 , 임동균 , 정상화 , 김규호 (2008) 한국수자원학회지 41(9): 47-61.김익수 , 양현 (2001) 한국생태학회지 24(1): 45-50.서진원 , 김희성 (2009) Korean J. Limnology 42(2): 260-269.송호복 , 권오길 , 전상호 , 김휘종 , 조규송 (1995) 한국육수학회지 28(2): 225-232.최재석 , 이광열 , 장영수 , 고명훈 , 권오길 , 김범철 (2003) 한국어류학회지 15(2): 95-104.최재석 , 장영수 , 이광열 , 김진국 , 권오길 (2004)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2(1): 111-119.최재석 , 박승철 , 장영수 , 이광열 , 최준길 (200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4): 391-399.최준길 , 최재석 , 신현선 , 박승철 (2005) 한국육수학회지 38(2): 188-195.최지웅 , 안광국 (2008) Korean J. Limnology 41(3): 301-310.An, Kwong-Guk, Jai-Ku Kim(2007) Korean J. Limnology 40(4): 495-502.Choi, Li-Woong, Kwang-Guk An(2007) Korean J. Limnology 40(4): 546-552.

[IV-46]

Page 47: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3. 보가 식생에 미치는 영향 IVIV

보 건설에 따른 하천 주위의 지하수 상승 때문에 토양의 수분 함수량이 증가하여 식물의 생존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수류의 성질이 변하여 식물의 분산과 정착에 영향을 준다 .

우효섭 (2009) 한국수자원학회지 42(8): 37-45.

[IV-47]

Page 48: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4. 호수의 인공습지 관리 문제점 IVIV

습지식물은 영양염류를 흡수하지만 그 자체가 배출원이기도 하다 .우리나라 강의 경우 하류로 흘러내려 가는 속도가 빨라서 문제가 없다 .하지만 보 건설로 호수로 바뀌면 영양염류 오염원이 되기 때문에가을에는 사체를 제거해야 한다 .- 유기농의 경우는 식용으로 수확하기 때문에 오히려 문제가 없다 .

황길순 , 김범철 , 김호섭 , 전만식 (2000) Korean. J. Limnoll. 33(3): 295-303.노희명 , 최우정 , 이은주 , 윤석인 , 최영대 (200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5(3): 219-224.

[IV-48]

Page 49: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5. 샛강의 문제점 IVIV

• 보와 보 사이의 수위 차이가 거의 없기 때문에 물이 흐르는 속도가 매우 낮아 설령 낙차공이 있더라도 여울 , 특히 급여울이 생길 수 없다 .

• 홍수가 있을 때 샛강위로 범람하면서 퇴적되는 양 때문에 샛강은 년 중 여러 차례 새로 정비될 필요성이 있다 .

수위 차가 적고 흐름이 완만한 하천 바닥에 굴곡을 만든다고 급여울이 생길 수 있을까 ?

[IV-49]

Page 50: 4대강사업의생태적문제점(정민걸)2003

[IV-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