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 윤정현 바이러스성간염

8
감염방지 바이러스성 간염

Upload: dlawogud

Post on 08-Jul-2015

224 views

Category:

Health & Medicine


1 download

TRANSCRIPT

감염방지바이러스성 간염

간염이란

• 간세포 조직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을 의미하며, 중요한 원인 중 하나가 바이러스에의한 감염

• 한국인에서 가장 흔한 감염은 B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B virus : HBV)가 원인이되는 B형 간염이며 C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C virus : HCV)로 인한 C형 간염또한 발견됩니다.

국내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는

• 우리나라 사람 100명 중 4명은 B형 간염바이러스에 감염

• 우리나라 성인 100명 중 1명은 C형 간염바이러스에 감염

• 임산부 100명 중 3명은 B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고, 9세 이하 소아의 B형 간염 감염 중 38%는 모자간 수직 감염

간염 바이러스는 어떻게 감염되나

• B형 간염 바이러스의 경우 모자간 수직 감염이, C형 간염 바이러스의 경우는 수혈이 가장 중요한 감염경로

• 간염 바이러스는 혈액이나 체액을 통해 전파되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경우를 주의해야 합니다.

-감염된 어머니의 혈액 속에 있는 바이러스가 출산 혹은 출산 직후 자녀를 감염(모자간 수직 감염)

-오염된 혈액제제를 수혈 받거나 혈액 투석 받을 때-오염된 날카로운 기구, 바늘, 칼에 의한 시술(문신, 귀걸이, 피어싱 등)

-오염된 주사기 공동 사용-감염된 환자와 면도기, 칫솔 등의 공동 사용-감염된 배우자와의 성관계

바이러스성 간염 위험이 높은 사람(고위험군)은

•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임산부에게서 태어난 신생아 및 영아

• 혈액제제를 자주 받는 환자• 혈액투석을 받아야 하는 환자• 타인의 혈액 및 체액과 자주 접촉하는 의료기관 종사자

• 주사기를 공동 사용하는 약물 중독자•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의 배우자 및 가족(B형간염 바이러스)

• 수용시설의 수용자 및 근무자(B형 간염 바이러스) • 성 파트너 수가 많은 성접촉자, 동성연애자

진료인력에 대한 HBV, HCV 감염위험

• 감염된 혈액이나 혈액에 오염된 타액에 점막이나혈관이 노출되었을 때에는 감염될 수 있다.

• 눈, 입 또는 피부의 상처에 혈액오염물이 튀어도감염될 수 있다.

• HIV는 300명이 노출되어야 1명이 감염되는데 비해 HBV에 300명이 비경구적으로 노출되면 100명이 감염.

• HIV에 노출된 사람 100명중 1명이 죽는데 비해HBV는 2명이 죽는다

• HCV에 감염된 혈액의 비경구적 노출의 감염률은다소 낮아서 HBV와 HIV의 중간정도

B형 간염을 방지하기 위한 정보

• HBV는 비교적 안정한 친수성 DNA바이러스이며 건조한 표면 장비나 옷에서도 7일이상 견딜 수 있다.

• 감염된 혈액 1ml에 10억 마리의 HBV가발견된다.

• TB나 친수성 바이러스를 불활성 시킬 수있는 살균제는 HBV에도 효과가 있다.

• 모든 종류의 멸균법이 바이러스를 파괴

• 백신 쉽게 구할 수 있고 HB에 노출된 진료인력의 치사율은 0에 접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