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충전부탄캔소개자료_(주)우성플러스

36
재충전 부탄캔 사업 제안서 ()우성플러스

Upload: goodfunding

Post on 14-Jul-2015

2.029 views

Category:

Documents


6 download

TRANSCRIPT

Page 1: 재충전부탄캔소개자료_(주)우성플러스

재충전 부탄캔 사업 제안서

(주)우성플러스

Page 2: 재충전부탄캔소개자료_(주)우성플러스

목 차

개요

재충전 부탄캔이란?

외부환경분석

시장분석

경쟁사분석

내부전략분석

STRATEGY MAP

고객가치 및 프로세스 분석

수익분석

판매망 구축 방안

대리점 운영 극대화 방안

전략 및 과제

SWOT 분석

추진과제

별첨

1.산업자원부 보도자료

2.재충전용기 변경법안

3.재충전용기 검사기준

4.총판/대리점 준비사항

5.추정수익표

Page 3: 재충전부탄캔소개자료_(주)우성플러스

대표 인사말

안녕하십니까 친환경 아이템 재충전 부탄가스 캔을 생산, 보급 하는 우성 플러스의 대표 손주호입니다. 당사는 국내최초, 국외 최초로 충전용 부탄 가스 밸브 개발을 시작으로 전 세계 1조원 이 넘는 일회용 부탄가스 시장을 겨냥해 시대적 흐름인 충전 용기로의 교체를 위해 한 발 한발 나아가고 있습니다 당사만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안전 하고 친환경적인 충전용 부탄가스가 전 세계 시장의 선두주자로 자리 매김 할 때까지 당사의 모든 임직원과 힘을 합쳐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을 약속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Page 4: 재충전부탄캔소개자료_(주)우성플러스

사업배경

Page 5: 재충전부탄캔소개자료_(주)우성플러스

사업 목표

현재 전 세계는 지구온난화와 자원 고갈 등 심각한 문제점들을 안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각국의 노력은 참으로 눈물겨운 현실이다. 당사에서는 그런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 방안의 일환으로 전 세계 최초로 재충전용 부탄 캔을 제조 할 수 있는 특허를 완료 하였고 국내 및 해외 시장까지 겨냥하여 현재 사용 하고 있는 일회용 부탄 캔 시장을 전량 재충전용 부탄 캔으로 대체 하여 지구상의 자원 낭비와 환경문제 등을 해결 하는데 일익을 담당 하고자 한다.

Page 6: 재충전부탄캔소개자료_(주)우성플러스

부탄가스의 수요

1회용

재활용

1 회용 348,502,716 96.5%

재활용 12,482,696 3.5%

TOTAL : 360,985,412

(단위/개)

부탄가스의 수요 시장 분석과 같이 음식점에서 1회용 부탄 캔의 많은 량을 소비하고 있습니다.

업소용

가정용

TOTAL : 348,502,716

업소용 238,375,858 68.4%

가정용 110,126,858 31.6%

2004~2005년 통계 자료

(단위/개)

Page 7: 재충전부탄캔소개자료_(주)우성플러스

‘98. 7. 3 : 관련업체로부터 산자부에 재충전용 부탄용기 관련기준 제정건의

‘99. 8. 17 : 특례기준 제정 및 고시(산업자원부고시 제1999-92호)

‘99. 9. 15 : 용접용기생산 개시

2000. 3. : 재충전된 용접용기 유통 개시

2001. 8. : 이동식부탄연소기용 용접용기기준 제정

‘99. 8. 17 ~ 2001. 8. 31 시범사업기간

2001 ~ 현재 : 재충전 부탄캔 유통 중이나 비활성화

재충전 부탄캔이란? 개 요

추진 개요

일회용 부탄캔의 접합식용 밸브의 사용

충전시 밸브 내구성 결여 : 잦은 교체로 비용 발생

노후 밸브로 가스 누출 등의 안전문제 대두 : 2002 / 2005년 밸브 안전기준 변경

타 재충전 부탄캔 제조사 밸브 문제점 해결 불가능

문 제 점

Page 8: 재충전부탄캔소개자료_(주)우성플러스

자사 나사식 밸브

특허기반의 핵심 기술 : 나사식 밸브”

타사 1회용 밸브

내구성 : 13mpa(13kg) 내구성 : 45mpa (45 kg)

교체시기 : 2년 1회 교체시기 : 2년1회

교체방법 : 밸브뭉치 교체 교체방법 : 밸브만교체

재충전 캔 용기

재충전캔의 요구 내구성 : 2.6mpa(26kg)

1회용 용기

재질 : 주석,동합금 재질 : 스테인레스

두 께 : 0.23 mm

두 께 : 0.6 mm

접합방식 : 접합식 접합방식 : 용접식

자사 제품 타사 제품

재충전 부탄캔이란? 개 요

문 제 점 해 결

특허기술을 기반으로 기존 재충전 부탄캔의 밸브 문제점을 해결

현재의 일회용 부탄캔을 대체할 차세대 휴대용 연료

녹색 성장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부합되는 친환경적 아이템

시 사 점

Page 9: 재충전부탄캔소개자료_(주)우성플러스

재충전 부탄캔이란? 개 요

재충전 부탄캔의 우수성

편 의 성

효 율 성

경 제 성 저렴한 가격

(재활용하므로 캔당 제조비용 부담 없음)

계절에 맞는 가스 조합

(가스 배합 비율 조절로 잔량이 없음)

배송 / 회수가 동시에 이루어져 사용이 편리

(구매나 처리의 불편함이 없음)

안 전 성 0,6mm 스텐 용접으로 폭발 위험성 없음

(일회용-0,23mm주석,동합금 사용)

Page 10: 재충전부탄캔소개자료_(주)우성플러스

재산권 및 기술 현황

재산권 현황

재충전용 부탄캔 마니타 특허권

재충전용 부탄캔 마니타 제조 및 충전, 유통 사업권

재충전용 부탄캔 마니타 해외 사업권

보유기술현황

충전식 부탄가스 용기용 밸브 (특허0438998)

충전용 가스 용기의 제조 방법 (특허 0489971)

충전용 부탄캔 마니타 상표 등록

Page 11: 재충전부탄캔소개자료_(주)우성플러스

시 장 분 석 외부환경분석

시 사 점

•무한한 잠재시장

•친환경 사업

•수요자의 요구 만족

(경제성/효율성/편의성)

•경쟁우위 확보

(특허/가격경쟁력)

정 책 방 향

• 녹색성장 정책실시

• 친환경 사업의 육성

• 자원절약의 요구 대두

수 요 자

• 국내 요식업 종사자

• 국내 일반 가정

• 해외 가스산업 종사자

경 쟁 자

• 기존 일회용 부탄캔 공급자

• 해외 일회용 부탄캔 공급자

• 국내 재충전용 부탄캔 공급자

전체 시장 규모

• 국내 연간 3억~4억 캔 규모

• 중국 / 동남아 / 브라질 등

거대한 해외시장

• 규모 - 향후 약1조 시장

별첨1 산업자원부 고시자료 참조

식생활이 비슷한 국가들을 위주로

해외시장에서 지속적인 수요증가

고 객 NEEDS

• 저렴한 가격

• 높은 효율

• 편리한 사용

Page 12: 재충전부탄캔소개자료_(주)우성플러스

구분 당 사 ㈜ 이 코 대 성 산 업 KMC

제 품 명 마니타 이코 - -

밸 브 충전용 나사식 밸브 일회용 밸브 일회용 밸브 일회용 밸브

사업여부 ○ X ○ △

사업 개요 및

현재 상황

2004년 충전용 밸브,

용기, 제조방법에 대한

발명 특허 완료

제품에 대한 우수성에

대해 확실한 성과를 보

이고 있으나 수요 대비

공급이 부족한 상황

대량 생산 설비 확보 및

제품 생산시 부탄캔 시

장에서 폭발적인 수요

예상

1999년 설립 2000년에

각종 환경에 관련된 표

창 및 각종 언론에 소개

되기도 함.

대리점 68개소를 개점

시키며 출발 하였으나

사업의 미숙(소비자 신

뢰 구축 저하 및 영업,

배송 등의 부실) 및 일

회용 밸브 사용으로 인

한 가스 누출 등의 기술

적 문제로 인해 2007년

초 사업을 포기

- 바셀테크에서 인수

하였으나 영업 미숙으

로 현 답보 상태임

2002년 설립된 ㈜코머

스로부터 특허권을 넘

겨 받아 재충전 부탄가

스 사업을 진행하던 중

일회용 밸브와 용기 불

량을 인지하여 2010년

7월 충전캔 사업을 중

지 하고 일회용 캔 생산

준비중임

2006년도부터 준비를

시작한 KMC는 재충전

용기의 두께를 줄여 제

품을 출시하였으나 기

존 업체와 동일한 일회

용 밸브를 사용하여 가

스 누출에 의한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여 이미

1차 리콜 명령을 받은

바 있으며 현재 아이비

티에서 인수 하였으나

현재까지 생산 보류중.

경 쟁 사 분 석 외부환경분석

Page 13: 재충전부탄캔소개자료_(주)우성플러스

STRATEGY MAP 내부전략분석

CORE COMPETENCE - 어떤 자질을 갖추어야 하는가?

CORE PROCESS - 무엇을 잘해야 하는가?

CUSTOMER VALUE - 고객에게 어떤 가치를 주어야 하는가?

VISION - 우리의 목표는 무엇인가?

차별화된 물류네트워크 특허기술기반의

제조역량

정확하고 빠른 배송 약속된 품질제공

저렴한 가격 사용편의성 높은 효율

재충전부탄가스 사용확대

환경보호, 자원절약 및 고객가치 증대

핵심역량

핵심프로세스

고객가치

달성목표

MISSION “고객 및 사회적 가치의 증대”

• 매출액 1,500억 달성 • 캔 1,000만 캔보급

Page 14: 재충전부탄캔소개자료_(주)우성플러스

고객가치 및 프로세스분석

소 비 자

일회용 충전캔

※캔 제조비 만큼의 가격경쟁력

대 리 점 타 유통

(음료/과자) 충전캔 대리점

비 고

제 품 수 20~40 가지 단일품 용이한 유통관리

마진(개당) 10~50원 200원 ~ 300원

반 품 율 3~10% -

경 쟁 사 5~7개 경쟁사 - 일회용 밸브사용

제품은 장기적으로 시장에서 퇴출됨

유 지 비 많은 인력/물류비 최소운영가능

자금흐름 50~100% 외상거래

전액 현금 미수금으로 인한

손실 없음

가격경쟁 경쟁사간 덤핑 본사 지정가격 유지(계약사항)

300 가스비

단위:원

300 가스비

300

공캔제조비

300~400 유통마진

500~550 유통마진

소비자이익

소비자가 (VAT포함)

900~1000

소비자가 (VAT포함)

800~850

재충전 부탄캔 : 캔 제조비용이 제품원가에 들어가지 않아 저렴함 저렴한 가격

내부전략분석

소비자(외부고객)에게는 저렴한 가격

대리점(내부고객)에게는 높은 마진 높은 마진

Page 15: 재충전부탄캔소개자료_(주)우성플러스

ONE CYCLE 물류 : 거점물류(총판)를 통한 차별화된 물류네트워크

대리점A

대리점D

대리점 F

대리점 E

대리점B

대리점C

지역

총판

본사 충전소

본사 충전소

총 판

대리점

소비자

배송회수가 한번에!

충전하러 오가는 시간절약

더 많은 고객확보가능

매출확대 및 이익창출

구매시간 단축

재고저장공간 필요 없음

(타 용도로 사용가능)

빈용기 처리 불필요

내외부고객 동시만족

< 거 점 물 류 >

고객가치 및 프로세스분석

정확하고 빠른 배송

사용편의성

내부전략분석

Page 16: 재충전부탄캔소개자료_(주)우성플러스

계절별 맞춤배합 : 충전과 판매시기가 거의 같으므로 맞춤배합 가능

부탄캔을 잔량없이 사용하려면 부탄과 배합하는 프로판 비율이 다음과 같아야 함.

- 여름 : 프로판 5% 내외 배합 - 겨울 : 프로판 25% 내외 배합

구 분 일회용 부탄캔 재충전 부탄캔

생산/판매 대량생산 / 재고판매 충전 / 판매가 같은 시기에 발생

특 징

• 제조시기와 판매시기가 다름

• 장기재고물량의 경우에는 잔량이

발생할 수 있음

• 판매시기에 적합한 비율로 제조

• 상대적으로 잔량이 남을 확률적음

• 사용자에게 최상의 효율성 제공

가능(약 10% ~ 20% 효율증대)

< 특허기반의 안정된 품질 >

효율성과 안전성을 담보하는 약속된 품질제공

고객가치 및 프로세스분석

약속된 품질제공

높은 효율

내부전략분석

Page 17: 재충전부탄캔소개자료_(주)우성플러스

수 익 분 석

재충전부탄가스 사용확대

• 매출액 2,000억 달성

환경보호, 자원절약 및 고객가치 증대

• 캔 1,000만 캔 보급

충 전 수 익(1캔당)

위탁충전 직영충전

납품가 650원 기준

400 가스비

단위:원

150~300 대리점마진

30~50 총판마진

100

본사마진

300 가스비

150

대리점마진

30~50 총판마진

200

본사마진

제 조 수 익(1캔당)

위탁제조 직영제조

납품가 5,000원 기준

4,500 제조원가

단위:원

500

본사수익

3,000 제조원가

2,000 본사수익

가 맹 수 익

총판 대리점

위탁제조 기준

3천만원

10,000캔 제조원가

3천만원

10,000캔 제조원가

7천만원 본사수익

3천만원 본사수익

1억원 가맹비

6천만원 가맹비

내부전략분석

Page 18: 재충전부탄캔소개자료_(주)우성플러스

◆ 지속적인 홍보 - 미디어 광고 및 온라인 홍보 - 환경단체를 통한 광고(일회용 금지 및 친환경적인 제품) - 지역총판 및 대리점개설 - 해외시장 개척 ◆ 지역총판 ◆ 대리점

구 분 지역 총판 수 제품 판매 대금 비 고

지역총판 23개 1억원 10,000캔 공급

구 분 대리점 수 제품 판매 대금 비 고

대리점 125개 6천만원 10,000캔 공급

㈜우성플러스

판매망 구축 방안 내부전략분석

Page 19: 재충전부탄캔소개자료_(주)우성플러스

대리점 운영 극대화 방안

1. 정확한 수요조사 및 계획 수립 1) 대리점별 정확한 부탄가스 수요(대상업소) 파악 및 업소 별 사용량 등 철저한 조사 분석 실시 2) 대리점 인원 및 공급량 대비 - 일일 방문 업소 수 및 방문 일자 선정 3) 일일 목표 공급량 대비 업소 수 비율 및 영업 인원 확충 등 4) 최소 월 10회전에 필요한 정확한 영업 계획 수립

2. 본사 수익 모델 제공 초도 물량 1만 캔으로 당사 직영 영업팀을 활용해 당사에서 지정한 지역 내에서 월 10회전 이상 공급 할 수 있는 수익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각 지역별 대리점 및 총판 점주 등에게 실무 교육 실시

3. 지속적인 총판,대리점주,배달 및 영업사원에게 영업에 대한 전반적인 교육 실시

4. 주간 별, 월별 영업성과 및 분석 – 총판과 연대한 지속적인 지원 및 영업교육실시

5. 본사의 지속적인 광고 및 홍보 제공 1) 일간지 등에 제품 및 본사 이미지 광고 – 월 1회 2) 연예인 활용 제품광고 및 이미지 광고 3) 방송사,유명 프로그램 등에 협찬 등 제공 – ex)사랑의 리케스트 등에 후원자 등록 및 협찬 제공 4) 뉴스 및 기사 제공 등의 지속적인 홍보 실시

6. 총판, 대리점등 월간 우수 영업점에 대한 포상 제도 등으로 영업 의욕 고취

7. 본사 광고에 의한 콜 센터 운영 – 문의 전화에 대한 영업점 지원 등으로 소속감 및 의욕 고취

8. 대리점, 총판 등 담당 지역 내 식당 대상으로 구체적인 전단 제공 (현재까지 충전용기에 의한 광고는 대부분 환경 제품이라는 이미지 광고 수준이었음 – 정확하게

일회용 부탄 캔과의 가격,사용시간 명시,안전성 등 제품의 우수성을 도표화하여 사용자들에게 실질적인 구매 의욕 고취로 실질적인 매출 증대 도모

내부전략분석

Page 20: 재충전부탄캔소개자료_(주)우성플러스

SWOT 분석 전략 및 과제

부 문 환경 변화 자사 능력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정책 및 국제환경

• 녹색성장

• 친환경정책

• 자원절감요구

• 유가/원자재가 상승 • 가격상승 흡수여력

보유(자체 충전시)

외 부 고 객 (소 비 자)

• 불황에 따른 경제

적 제품요구

• 편리성과 안전성

요구

• 낮은 재충전 부탄캔

인지도

• 밸브 불량에 의한

화재 및 가스 누출

우려

• 경제적/편의적 제품

제공 가능

• 부족한 물량

• 접근성 결여

(판매망 미 구축)

내 부 고 객 (대 리 점)

• 경제적 이익추구

• 배송편의도모

• 신규 아이템 모색

• 높은 유통마진

• 차별화된

물류네트워크

• 제조기반 미비로

대규모 물량지원

불가능

경 쟁 업 자

• 경쟁사 기술부족

(재충전 밸브기술)

• 가격경쟁력 부족

(일회용 부탄캔)

• 도시가스의 확대

• 기타 전열기구 사용

확대

• 재충전 밸브 기술

확보 가격 경쟁력

확보

• 대규모 판매망

미구축

• 대량생산설비

미구축

기 업 운 영

• 재충전 부탄캔 운영

노하우 축적

• 희망 대리점 및

소비자 다수 보유

• 위탁생산 (적은 생산량)

• 위탁충전

Page 21: 재충전부탄캔소개자료_(주)우성플러스

추 진 과 제

Strength

•내외부 고객을 위한 경쟁력 (저가격 / 편리성 / 높은 유통마진)

•차별화된 물류 프로세스

•재충전 밸브기술 확보

•운영 노하우 보유

•희망 대리점 및 고객 다수 보유

Weakness

•대규모 제조기반 미비로 물량지원 어려움

•부족한 판매 네트워크(대리점 / 총판)

•자체 충전소 미비

Opportunity

•녹색 성장 / 친환경 요구 대두

•불황에 따른 경제적 제품 요구

•매력적인 신규아이템 희망자 증가

•경쟁사 기술 및 가격경쟁력 부족

현재 당사는 Weakness의 해결 없이 타 전략의 선택이 불가능.

따라서 다음의 추진과제 도출

Threat

•유가 / 원자재 가격의 변화 심함

•낮은 재충전 부탄캔의 인지도

•대체제(도시가스/전열조리기구) 증가

一. 대량생산시설 확보

二. 판매 네트워크 구축

三. 자체 충전시설 확보

전략 및 과제

Page 22: 재충전부탄캔소개자료_(주)우성플러스

● 일 본 : 연간 약 1억 4천만 캔

● 베트남 : 연간 약 1억 2천만 캔

● 대 만 : 연간 약 5천만 캔 등,,,

세계 부탄가스 시장 규모는 약 4억 5천만 캔으로 추정 일본, 중국, 대만, 미국 등 외 전세계 약 100개국에서 사용 중이며 환경문제의 심각성을 고려해보면 향후 재충전용 부탄 캔 사용량이 증가 할 수 밖에 없는 현실이다

● 중 국 : 요식 문화가 우리나라와 비슷하나 부탄가스의 인지도가 아직 낮은 상태이며 향후 성장

잠재력이 높고 아직까지 현지 부탄가스 생산 업체가 전무한 상황

도시가스

LPG

부탄가스

석유,석탄

기타연료

910만 캔 ( 91억 시장)

도시가스

LPG

부탄가스

석유,석탄

기타연료

120만 캔 ( 12억 시장)

중국 2004년 부탄 캔 수요량 중국 2007년 부탄 캔 수요량

해외 시장의 동향

Page 23: 재충전부탄캔소개자료_(주)우성플러스

단위: 억원 캔 판매 수익 캔 충전 수익

해외 판매 계획

이란 한국

부탄캔 사용 가격 캔당 1,200원 ~ 1,300원 캔당 750원 ~ 1,500원

220g 충전시 가스 가격 30원 300원

원가 대비 수익율 4,000% 300%

Ex)

현재 전 세계적으로 일회용 사용 가격은 한국이 가장 낮은 수준이며 상대적으로 가스 원가가 높아 실 수익성은 해외 시장이 클 것으로 사료됨

Page 24: 재충전부탄캔소개자료_(주)우성플러스

1단계 아프리카 1개국 수출 개시(모잠비크 맞춤형)

2단계

수출 재충전 사업 참여 및 주변국 마케팅 개시 5단계

재충전 캠핑 캔 및 의료용, 산업용 캔 제조

6단계 이익의 일부 현지 국가에 투자(현지사업 확대)

7단계 친환경 이미지 및 해외성공 기업으로 국내사업 확장

4단계

다양한 캔 및 고부가 수익제품(트랜스퍼) 개발

8단계 다양한 현지사업 및 적정한 국내 사업 개시

2012년 중반기

2012년 하반기

2013년 하반기

2014년 하반기

2014년

2013년 전반기

2014년

3단계 수출확대 및 국내시장 유통망 구축

2013년 전반기

제품생산 및 개발 계획 l

Page 25: 재충전부탄캔소개자료_(주)우성플러스

생산 및 개발(예정)제품 개발기간 개발방법 비 고

①수출 및 국내 겸용 캔(소형-0.4T)

개발 또는 ②국내전용(0.4T) 및 수출전용 캔

개발(0.5~0.6T, 저가)

2012. 06. 01~ 2013. 03. 31

독자개발

-품질 Upgrade -시장 선호 제품 개발 -1회용과 경쟁 가능

-국내외용 별도 개발 시 상금형만 별도 개발

레저용 재충전 캔 개발

2012. 06. 01~ 2012. 09. 31

공동개발

-국내 레저산업 고급화

-레저인구의 급격한 증가 -1회용과 차별 고급화 추구 -온라인 동호회 공동 판매

범용성 기계식 트렌스퍼 개발 (수익모델 다양화)

(신제품 개발 시 적용)

2012. 11. 01- 2013. 03. 31

독자개발

-세계 최초

-특허 2건 등록, 1건 출원 -세계 기계박람회 출품

-

단위 : 천원

산업용 및 의료 장비용 캔 개발 (주문개발)

필요 시 독자 또는 공동개발

-각 분야의 가스제품 사 용 폭발적인 증가 예상

-시장 예의 주시

제품생산 및 개발 계획 ll

①기존 캔 제조라인 가동 ②필요 시 용접라인 증설

2012. 3. 01~

기존 제조라인 이용하여 즉시 생산

-50,000~100,000개/월

Page 26: 재충전부탄캔소개자료_(주)우성플러스

국내 시장

현 황 및 계 획 내 용 세 부 내 용

영업 ①타사의 시행착오 및 경험을 바탕으로 현 시장에 대한 치밀한 분석 및 철저

한 사전 준비 ②다양한 제품의 개발과 유통의 차별화, 수출이미지를 통한 시장 장악

유통망 구축

①시장 개척 후 유통점 모집 및 개설(총판 10개, 대리점 200개 개설 목표)

②타사와의 차별화 및 수익 극대화를 통한 유통점 충성도 집약

제품개발

제조 ①기존제조라인을 기본으로 수출 전용 캔, 레저용 캔 제조라인 증설

②기타 제품은 기존라인 최대 활용 후 필요에 따라 증설

①기존제품의 업그레이드

②소비자 선호제품 및 시장 요구제품 맞춤형 개발 ③레저용 재충전 캔

⑤기타 캔-다양한 분야의 가스제품 사용증가에 따른 적극적인 선제 대응(적극적인 시장분석 및 공격)

MARKETING

①제품의 다양화와 4~5종의 고부가 식자재 제공을 통한 시장 장악 ②온라인과 오프라인 결합으로 소비층 확산 및 다양한 사업 연계

③확실한 친환경 이미지 구축으로 회사 및 브랜드 이미지 업그레이드

충전 ①기존충전소(괴산군 연풍면 소재) 활용

②타사 제품 동시충전을 통한 win-win전략

Page 27: 재충전부탄캔소개자료_(주)우성플러스

현 황 및 계 획 세 부 내 용

계약 및 수출

①아프리카 계약완료 -2012년부터 향후 3~4년간 총 400만개 이상의 캔, 60만개 이상의 렌지,

부수장비 및 설비 수출 ②주변국 마케팅을 통한 지속적인 수출 가능 ③현지 사업의 지분참야를 통한 수익 극대화

수출 시장 ①아프리카 ②남아메리카 ③서남아시아 ④동남아시아

제조

①수출전용 캔(저가) 또는 국내.수출 겸용 캔 개발 및 제조라인 증설

②부대장비 및 설비 직접 제조로 수익 극대화

MARKETING “별도사업계획서” 참조

고부가 수익모델 수출 “별도사업계획서” 참조

해외 시장

Page 28: 재충전부탄캔소개자료_(주)우성플러스

고압가스 안전 관리기준 통합고시 (제12장 용기 제조.검사기준)

※ 충전 식 부탄 캔 용기 검사 기준이 2007년 새롭게 변경 되었습니다.

(수정 법안)

19-8조(정밀검사)

① 정밀검사는 통상적인 제조조건하에서 제조되고 합격표시를 제외한 모든 표시사항을 표시한 용접용기의 시료에 대하여 실시한다.

② 정밀검사의 항목, 방법 및 기준은 다음 각 호와 같다.

3. 노즐 부 탈 부착 반복시험

가. 10개의 용접용기(노즐 부를 교체하는 구조의 용기에 한한다)에 대해 노즐 부를 25회 반복 탈 부착 한 후 구조, 외관검사를 실시 하고, 부탄가스를 충전하여 55±2℃의 물속에 110초 이상 담그고 가스의 누출 여부를 확인한다.

나. 용접용기의 치수가 기준에 적합하고, 사용상 지장이 있는 변형과 누설이 없어야 한다.

제 19 절 이동식부탄연소기용 용접용기

타사 검사 부분 마니타 검사 부분

접합 식 나사 식

19-12조(용접용기의 내용 연한 등)

① 용접용기에는 2년마다 새로운 캔 밸브로 교체하여야 한다. 다만, 캔 밸브 중 노즐부만 교체되는 구조는 2년마다 새로운 노즐 부로 교체할 수 있다.

② 용접용기를 파기하여야 하는 조건은 다음 각호와 같다.

1. 제조 후 10년이 경과한 용접용기

2. 용기의 상태가 4급에 해당되는 찍힌 흠(긁힌 흠), 부식, 우그러짐 및 화염(전기불꽃)에 의한 흠이 있는 경우

2. 재충전 용기 변경법안 별첨

Page 29: 재충전부탄캔소개자료_(주)우성플러스

◆정밀 및 제품 검사 ①이 충전 벨브 스트로크 반복실험 : 부탐가스가 충전되 10개의 재충전용 부탄가스 용접용기에 대해 벨브 스트로크를 1,000회 반복 작동한 후 구조, 치수, 외관검사를 실시하고 부탄가스를 충전하여 66±2도C의 물속에 110초 이상 담그고 가스의 누출여부를 확인하며 위와 같은 실험을 반복하면서 변형 및 누출여부를 확인한다. ②벨브 스트로크 반복시험 : 부탄가스가 충전되 10개의 용접용기에 대해 벨브 스트로크를 30,000회 반복 작동한 후 구조, 치수 ,외관검사를 실시하고 부탄가스를 충전하여55±2도 C의 물속에 110초 이상 담그고 가스의 누출여부를 확인하며 용기의 치수가 기준에 적합하고 사용상 지장이 있는 변형과 누출이 없어야 한다. ③고압 가압 시험 : 벨브가 부착된 5개의 재충전용 부탄가스 용접용기에 압력공급이 가능하도록 용기 몸통부에 별도의 벨브를 용접하여 접속하고 수압을 서서히 가압하여 압력상승에 따른 용접용기의 변형 및 과열여부를 확인 하며 2.MPa의 수압을 가할 때 사용상 지장이 있는 변형이 없어야 한다. ④벨브 유량 검사 : 부탄가스가 충전되 10개의 용접용기에 대해 벨브 스트로크를 1,000회 반복 작동한 후 시험 장치에 접속하여 벨브스텝을 1.5mm 압입한 상태에서 용접용기의 상류측에 공기를 0.2MPa 압력으로 가압하면서 벨브유량을 측정하며 위와 같은 실험을 20회 반복하면서 벨브 유량을 측정한다.(1차압 0.2MPa에서 벨브유량은 8L/min 이어야 한다) ⑤연소기 호환 시험 : 부탄가스가 충전되 10개의 재충전용 부탄가스 용접용기를 연소기에 설치하고 반복 탈착을 20,000회 실시한 후 용기의 구조, 치수, 외관검사를 실시하고 부탄가스를 충전하여 55±2도C의 물속에 100초이상 담그고 가스의 누출여부와 용접용기의 치수가 기준에 적합하고 사용상 지장이 있는 변형과 누출이 없어야 한다. ⑥내가스성 시험 : 재 충전용 부탄가스 용접용기에 사용되는 고무 및 합성수지 부품등을 20개 채취하여 시료 10개를 온도 -10도C의 부탄 95%이상의 액화석유 가스중에 방치한 후 꺼낸 경우와 다른 시료 10개를 온도 40도C이상의 부탄 95%이상의 액화석유 가스중에 24시간 이상 방치한 후 꺼낸 경우 각각의 시료에 대해 질량 변화율 산식에 의거하여 질량변화율이 10%이하이고 사용상 지장이 있는 변형 및 변화가 없어야 한다 ⑦기밀 시험 : 0.7MPa 이상의 압력을 가할 때 누출이 없어야 한다 ⑧치수 검사 : 재충전용 부탄가스 용접용기 노즐부의 압축치수는 스템의 통상 상태에서 눌린 상태까지의 치수가 1.7mm 이상이며 초기 압력치수는 스템을 서서히 눌러 기포가 단속적으로 발생할 때의 치수가 1.5mm 이하 이어야 한다. ⑨반복 사용 시험 : 켄 벨브의 반복 사용 시험은 1mm 이상의 전압축미만의 범위내에서 스템의 누르는 조작을 초당 1회의 속도로 반복한 후 기밀 시험 및 스템의 스프링 강도에 이상이 없어야 한다. (스프링 강도는 스템을 1.5mm) 누른 상태에서 스템 선단에 걸리는 하중을 5회 측정한 후 평균값이 0.08MPa이상 0.2MPa이하 이어야 한다.

◆합격표시 ①검사에 합격한 용접용기에 대하여는 용기 몸통부에 "검"자 각인을 하여야 한다. 각인이 곤란한 경우에는 "검"자를 표시할 수 있다.

3. 재충전 용기 검사기준 별첨

Page 30: 재충전부탄캔소개자료_(주)우성플러스

1. 사업장 겸 창고

2. 사업자 등록증

3. 차량 : 총판 2.5톤(1~2대) 2.5톤 탑차1대

대리점 1톤(1~2대) , 오토바이(1대)

4. 배달사원 : 1~2명

5. 전단

6. 설문지

7. 조끼

8. 차량용 스티커

9. 샘플 (데몬set)

10. 회계프로그램

(본사지원)

(본사지원)

(본사지원)

(본사지원)

(본사지원)

(본사지원)

4. 총판/대리점 준비사항 별첨

Page 31: 재충전부탄캔소개자료_(주)우성플러스

이동식부탄연소기용 부탄캔 재충전시대

◦ 산업자원부(www.mocie.go.kr)는 일회 사용후 대부분 일반 쓰레기와 함께 매립되거나, 야외에 버려지는 일회용 부탄캔으로 인한 자원낭비와 환경폐해 및 사고위험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빈 부탄캔을 재충전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재충전용 부탄캔을 제조할 수 있도록 관련 고시(告示)를 개정 9. 6일부터 시행에 들어간다.

ㅇ 산업자원부가 집계한 자료에 의하면, 매년 전국적으로 약 3억5천만개의 일회용 부탄캔이 사용되고 이 중 약 70%인 2억4천5백만개는 요식업소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재충전용 부탄캔』으로 전량 대체할 경우 매년 약 355억원의 자원절감효과와 10,500톤의 고철이 무단폐기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ㅇ 한편, 재충전용 부탄캔은 시범사업 기간동안 약 133만개가 요식업소 등에서 사용되어 좋은 반응을 얻은 바 있다. 산업자원부는 금번 고시에 지난 2년간 시범사업을 통해 요식업소 등에 공급․사용되어 온 재충전용 부탄캔에 대해 안전성평가 및 시험 등을 거쳐 일부 안전검사를 추가하고, 사용연한은 10년으로 하되 2년마다 일부

부품을 교체하도록 하는 등의 세부기준을 마련하였다.

• <참고>

• 1. 추진경과

• o ‘98. 7. 3 : 관련업체로부터 산자부에 재충전용 부탄용기 관련기준 제정건의

• o ‘99. 8. 17 : 특례기준 제정․고시(산업자원부고시 제1999-92호)

• ※ 시범사업기간 : ‘99. 8. 17 ~ 2001. 8. 31

• o ‘99. 9. 15 : 용접용기생산 개시

• o 2000. 1.24 - 2.12 : 용접용기 신규 캔밸브 안전성 시험 실시(연구개발실)

• - 부탄가스이충전반복시험, 밸브스트로크반복시험, 고압가압시험등

• o 2000. 3. : 재충전된 용접용기 유통 개시

• o 2001. 8. : 이동식부탄연소기용 용접용기기준 제정

• 2. 재충전용 부탄캔 개발기간 및 비용

본 자료는 2001년 9월 6

일(목) 부터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보도 자료 (산업자원부 공보관실)

담당과 에너지안전과

담당자 장 순호 과 장 정 규훈 서기관

전화번호 500-238552382

하이텔․천리안 : go epic. 나우누리 : go mocie. 인터넷 : www.mocie.go.kr

◦개발기간 : ‘997. 3 ~’ 99. 3 (2년간) )

◦개발비용 : 10 억원((제조설비 설치비 별도) )

◦개발방법 : 산,연 합작개발(산자부 산하 산업기술 시험원) )

◦도입기술 : 0.6mm의 얇은 STS 판재를 용접가공하는 특수 자동용접기 및 취부기를 개발하여 상하부 경판 용접에 적용했으며. 용기본체의 진원도 및 용접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확관기를 자체 개발하여 용기제조에 적용.

산자부 보도자료

Page 32: 재충전부탄캔소개자료_(주)우성플러스

3. 산출근거

ㅇ 1년에 약 3억5천만개가 생산․보급되고 있는 일회용 접합용기중 약 70%인 2억4천5백만개(1일 68만개 = 2억4천5백만 ÷ 360)

가 요식업소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 용접용기 1일 최대충전개수 68만개, 충전사이클 한달로 가정할 때 2천4십만개(68만개 × 30일)의 용접용기만 있으면 접합용

기 전량을 대체할 수 있음.

ㅇ 야외용, 레저용으로 무단폐기되는 일회용용기 수량은 전체용기의 약 30%인 1억5백만개인 것으로 산정

- 이를 고철로서 환산하면 100g(용기무게) × 1억5백만개 = 10,500톤 가량됨.

ㅇ 요식업소에서 사용하는 재충전용으로 대체할 경우 년간 355억

원정도의 자원절감 효과

※ 661억원-306억원 = 355억원

제조원가

270270 원 01,500 원 비 고

요식업소공급수량

약 2억4천5백만개

-

o 년간 약 2억4천5백만개씩 소비되고 있는 1회용접합용기를 대체할 수 있는 용접용기의 수량은 약 2천4십만개정도임

자원낭비액

(10년)

약 661억원 (270원×2억4천5

백만개)

약 306억원 (1,500원×2천4

십만개)

o 약 355억원의 자원절감효과 발생

4. 일회용부탄캐과 재충전용부탄캔 비교 구 분 일회용부탄캔 재충전용부탄캔 비 고

제조방식 접합 용접 강도면에서 2배정도 안정성이 높음.※ 내압력비교- 일회용 접합용기의 가압시험압력 : 1.3MPa- 이동식부탄연소기용 접합용기의 가압시험압력 : 2.6MPa

재료 함석강판(주석․동합금) 스테인레스강(STS)

부식도 높음 거의없음(내식성재료)

두께 약 0.23mm 약 0.6mm

내용적 520520㎖ 520㎖

가스중량 22220g 0g 220220g g

용기중량 10100g0g 21210g 0g

소비자 가격

600~800원 450~500원

재충전용기의 소비자가격이 일회용용기보다 싼 이유는 일회용용기의 경우에는 가스가격에 용기가격이 포함되나, 재충전용기의 경우에는 가스가격에 용기가격이 포함되지 않기 때문.

생산량 년간 약 3억5천만개 현재까지 약 133만개

요식업소 사용량

년간 약 2억4천5백만개(생산량의 약 70%)

약 133만개

일회용부탄캔을 대체할 재충전용부탄캔의 수량은 약 204만개정도면 되고, 약 355억원의 자원절감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

무단투기 수량

년간 약 1억5백만개(생산량의 약 30%, 야

외용, 레저용) 없음

일회용부탄캔을 재충전용부탄캔으로 대체할 경우 매년 10,500톤의 고철이 무단폐기되는 것을 막을 수 있음..

사용연한 일회성 10년

Page 33: 재충전부탄캔소개자료_(주)우성플러스

특허증

Page 34: 재충전부탄캔소개자료_(주)우성플러스

제조 공정

Page 35: 재충전부탄캔소개자료_(주)우성플러스

충전장

Page 36: 재충전부탄캔소개자료_(주)우성플러스

창업설명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