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기준법

6
근근근근근 내내 내내 내내 내내 내내내 근근 근근근근 근근근근 근근근근근 근근근 근 7 근근 2 < 근근 > 1. 근근 - 근 근근 근근 근근근 근근 1 근근 근근 근근근 근근근근근 근근근근 근근 근근근근근 근근근 . 2. 근근 (1) 근 근근근 근근 근근 근근 근근 근근근근 근근근 근근 근근근 근근 근 근근 근근 근근 근근근근 근근근근 근근 근근근근 근근근근근 근근근 근 ( 근 ) 근근 근근근 근근 근근근근근 근 근 근근 근근근 근근근 근근 ( 근근 ) 근 2 근근 1 근근근근근 근근 근근근근 근근근 근 . (2) 근 근근근 근근 근근 근근 근근 근근근근 근근근 근근 근근근 근근 근 근근 근근 근근 근근근근 근근근근 근근근근 근근근근근 근근근 근근근 근근근 근근 근근근근근 근 근 근근 근근근 근근근 근근근 2 근근 1 근근근 근근 근근근근 근근 근근근 근 . 7 근 1

Upload: saoirse-plunkett

Post on 03-Jan-2016

66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DESCRIPTION

근로기준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일 • 가정양립지원에관한법률. 산업재해 및 고용보험 관련. 산업재해 및 고용보험 관련. 기타 법률.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TRANSCRIPT

Page 1: 근로기준법

근로기준법

내용 법령 종전 변경 시행일

상시 근로자수 산정방법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 7 조의 2

< 신설 > 1. 원칙 - 법 적용 사유 발생일 이전 1 개월 동안 사용한 근로자수를 기준으로 상시 근로자수를 산정함 .2. 예외(1) 위 원칙에 따라 해당 사업 또는 사업장의 근로자 수를 산정한 결과 법 적용 사업 또는 사업장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도 산정기간에 속하는 일( 日 ) 별로 근로자 수를 파악하였을 때 법 적용 기준에 미달한 일수 ( 日數 ) 가 2 분의 1 미만이라면 법이 적용되는 것으로 봄 .(2) 위 원칙에 따라 해당 사업 또는 사업장의 근로자 수를 산정한 결과 법 적용 사업 또는 사업장에 해당하는 경우에도 산정기간에 속하는 일별로 근로자 수를 파악하였을 때 법 적용 기준에 미달한 일수가 2 분의 1 이라면 법이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봄 .

7 월 1일

Page 2: 근로기준법

근로기준법

내용 법령 종전 변경 시행일

건설공사등의 주 40시간제 도입에 있어서의 근로자수 산정

근로기준법 시행령 부칙 < 제 20873호 , 2008.6.25> 제 2 조

< 신설 > 건설공사등의 주 40 시간제 도입에 있어서의 근로자수는총 공사 계약금액에 해당 연도 노무비율 을 곱한 값을 해당 연도의 건설업 월 평균임금에 조업월수 를 곱한 값으로 나누어 산정함 .

7 월 1일

산전후휴가 종료 후 직무복귀시의 근로조건 보호

근로기준법 제 74 조 제 5 항

< 신설 > 휴가 전과 동일한 업무 또는 동등한 수준의 임금을 지급하는 직무에 복귀시켜야 함 .

7 월 1일

태아검진시간의 허용 및 임금삭감 금지

근로기준법 제 74조의 2

< 신설 > 1. 임신한 여성근로자가「모자보건법」 제 10 조에 따른 임산부 정기건강진단을 받는데 필요한 시간을 청구하는 경우 이를 허용하여야 함 . 2. 상기 건강진단시간을 이유로 임금 삭감 금지 .

7 월 1일

취업규칙 기재사항 추가

근로기준법 제 93 조 제 9 호의 2

< 신설 > 근로자의 성별 · 연령 또는 신체적 조건 등의 특성에 따른 사업장 환경의 개선에 관한 사항도 취업규칙에 의무적으로 기재하여야 함 .

7 월 1일

Page 3: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일 • 가정양립지원에관한법률

내용 법령 종전 변경 시행일

배우자 출산휴가제도

남녀고용평등과 일 ·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제 18조의 2

< 신설 > 배우자 출산을 이유로 휴가청구시 3일의 휴가 부여함 .

6 월 22 일

육아휴직 대상확대 및 분할사용

남녀고용평등과 일 ·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제 19조의 3

1. 만 1 세미만의 영유아에 대해서만 신청가능 .2. 육아휴직 분할사용 불가 .

1. 만 3 세미만까지 대상으로 확대 .2. 육아휴직 1 회 분할사용 가능 .

6 월 22 일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남녀고용평등과 일 ·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제 19조의 2

< 신설 > 1. 전일제 육아휴직 대상 근로자가 단축근무 신청시 이를 허용할 수 있음 . 2. 단축 후 근로시간은 15~30시간의 범위에서 협의하여 정함 .3. 사업주가 단축근무를 불허시에는 이를 서면으로 통지하여야 함 .

6 월 22 일

고객 등에 의한 성희롱 방지

남녀고용평등과 일 ·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제 14조의 2

직장내의 근로관계에 대해서만 사업주가 조치를 취하도록 규정 .

고객 등 업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자가 성희롱시 적정 조치 강구의무 부과 .

6 월 22 일

가족 돌봄 등의 지원

남녀고용평등과 일 ·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제 22조의 2

< 신설 > 가족을 돌볼 필요가 있는 경우에 사업주는 다음의 조치를 하도록 노력하여야 함 .1. 가족 간호를 위한 휴직2. 근로시간 조정3. 그 밖에 사업장 사정에 맞는 지원조치

6 월 22 일

Page 4: 근로기준법

산업재해 및 고용보험 관련

내용 법령 종전 변경 시행일

특수고용형태종사자에 대한 산재보험 적용

산업재해보상보험법제 125 조

< 신설 > 일정한 요건을 충족하는 특수고용형태 종사자에 대해 산재보험 적용함 .

7 월 1일

종합전문요양기관 당연지정제 도입

산업재해보상보험법제 43 조 제 1 항 제2 호

< 신설 > 국민건강보험법상 종합전문요양기관을 산재보험의료기관으로 당연 지정 .

7 월 1일

보험급여지급률의 산정기준일 변경

고용보험및산업재해보상보험의보험료징수등에관한법률 제14 조 제 3 항

9 월 30 일을 기준으로 결정 .

산재보험료율 결정을 위한 보험급여지급률의 산정기준일을 매년 6 월 30 일으로 변경함 .

7 월 1일

평균임금증감 특례제도의 변경

산업재해보상보험법 부칙 < 제 8694호 , 2007.12.14> 제 2 조

보험급여를 산정하는 경우 해당 근로자의 연령이 60세에 도달한 이후에는 소비자물가변동률에 따라 평균임금을 증감 .

2013 년 이후에는 다음의 구분에 따른 연령에 도달한 이후에 소비자물가변동률에 따라 평균임금을 증감 .1. 2013 년부터 2017 년까지 : 61세2. 2018 년부터 2022 년까지 : 62세 3. 2023 년부터 2027 년까지 : 63세 4. 2028 년부터 2032 년까지 : 64세 5. 2033 년 이후 : 65 세

7 월 1일

Page 5: 근로기준법

내용 법령 종전 변경 시행일

직업재활급여 신설 산업재해보상보험법제 72 조

< 신설 > 다음의 급여가 신설됨 .1. 장해급여를 받은 자 ( 이하 "장해급여자 " 라 한다 ) 중 취업을 위하여 직업훈련이 필요한 자 ( 이하 " 훈련대상자 " 라 한다 ) 에 대하여 실시하는 직업훈련에 드는 비용 및 직업훈련수당2. 업무상의 재해가 발생할 당시의 사업장에 복귀한 장해급여자에 대하여 사업주가 고용을 유지하거나 직장적응훈련 또는 재활운동을 실시하는 경우에 각각 지급하는 직장복귀지원금 , 직장적응훈련비 및 재활운동비

7 월 1일

산업재해 및 고용보험 관련

Page 6: 근로기준법

기타 법률

내용 법령 종전 변경 시행일

비정규직 차별시정제도 확대 시행

기간제및단시간근로자보호등에관한법률 부칙 < 제 8074호 , 2006.12.21> 제 1 항 제 3 호

상시 300 인 이상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 또는 사업장에 대하여 2007 년 7 월 1 일자로 적용되었음 .

상시 100 인 이상 300 인 미만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 또는 사업장에 대하여 2008 년 7 월 1일자로 적용도됨 .

7 월 1일

택시운전기사의 최저임금

최저임금법 제 6 조 제 5 항

< 신설 >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제 3 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 3 조제 2호다목에 따른 일반택시운송사업에서 운전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최저임금에 산입되는 임금의 범위는 생산고에 따른 임금을 제외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임금으로 함 .

3 월 21 일

필수유지업무와 대체근로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 제 42 의3 내지 42 의 6, 제 43 조 제 3,4 항

< 신설 > 필수공익사업의 쟁의행위에 있어 필수유지업무 수행의무 부과 및 대체근로 허용(2008.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