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모니터링결과(서울시환경정책시민평가단)

30
서서서 서서서서 서서서서서 2010 서서서 서서서서 서서서서 서 서서

Upload: choi-wi-hwan

Post on 13-Jan-2015

1.047 views

Category:

Education


6 download

DESCRIPTION

 

TRANSCRIPT

Page 1: 6.모니터링결과(서울시환경정책시민평가단)

서울시 환경정책 시민평가단

2010 서울시 하천정책 모니터링 및 제언

목차

Ⅱ 서울시 생태하천 복원사업의 현황

Ⅲ 서울시 생태하천 모니터링 결과

Ⅳ 종합제언

Ⅰ 서울시 하천현황

Ⅰ 서울시 하천 현황

전농천청계천

성북천

정릉천

월곡천

면목천

묵동천

우이천

당현천

화계천

가오천

대동천

방학천

도봉천

중랑천

남산동천

중학천 흥덕동천

백운천

인수천

오리천

백운동천

불광천

녹번천

봉원천 욱천

한 강

홍제천

구기 1 천

구기천평창 1 천

평창천

평창 2 천

진관천

사당천

반포천양재천

여의천

세곡천우면천

형촌천

새원천

원지천

안골천

신원천

내곡천

탄 천

성내천

고덕천

망월천

장지천

오류천

목감천

대방천

도림천

시흥천

봉천천

안양천

역곡천

Ⅱ 생태하천 복원사업 추진현황

984005 친수하천 사업현황 대 상 20 개 하천 ( 총 연장 122 ) 기 간 04 ~ 12 사업비 3938 억원 주요시설 설치 984005 자전거도로 (82km) 984005 호안정비 (24km) 984005 유지용수 (39 만톤 일 )

추진현황 984005 완료 (2) 성내천 불광천 984005 진행 (15) 홍제천 도림천 당현천 성북천 정릉천 목감천 고덕천 반포천 묵동천 우이천 도봉천 방학천 대동천 세곡천 탄천 984005 향후 (3) 여의천 양재천 망월천

대상하천 20 개 하천 총사업비 3938 억원

연번 하천명 총 사업비 사업기간 추진사항 비고

1 불광천 40544054 0808 ~~ 09120912 조경석조경석 및 분수대설치및 분수대설치 사업완료사업완료 은평은평 마포마포 서대문서대문

2 성북천 4808748087 0808 ~~ 10121012 접근 계단설치접근 계단설치 공정 공정 5757 동대문동대문 성북성북

3 홍제천 7940679406 0404 ~~ 10121012 분수설치 분수설치 22 개소개소 산책로산책로 공정 공정 8686 마포마포 종로종로 서대문서대문

4 정릉천 4467644676 0808 ~~ 10121012 산책로산책로 여울여울 어도설치어도설치 공정 공정 6060 동대문동대문 성북성북

5 당현천 4109841098 0606 ~~ 11121112 산책로산책로 여울여울 어도 등어도 등 공정 공정 7070 노원구노원구

6 묵동천 56775677 0808 ~~ 10121012 유지관로 매설유지관로 매설 공정 공정 1515 중랑구중랑구

7 방학천 1767917679 0808 ~~ 10121012 공사 착수공사 착수 자재준비자재준비 공정 공정 55 도봉구도봉구

8 우이천 2085120851 0808 ~~ 10121012 공사 착수공사 착수 자재준비자재준비 공정 공정 55

성북성북 강북강북 노원노원 도봉도봉

9 도봉천 49504950 0808 ~~ 10121012 공사 착수공사 착수 자재준비자재준비 공정 공정 55 도봉구도봉구

10 대동천 28802880 0909 ~~ 10121012 공사 착수공사 착수 자재준비자재준비 공정 공정 55 강북구강북구

연번 하천명 총 사업비 사업기간 추진사항 비고

11 도림천 3352033520 0808 ~~ 105105 저수호안 공사 중저수호안 공사 중 공정 공정 9595

관악관악 구로구로 동작동작 영등포영등포

12 고덕천 1814018140 0808 ~~ 10121012 유지용수 공사 중유지용수 공사 중 공정 공정 1010 강동구강동구

13 반포천 30233023 0808 ~~ 10 510 5 호안공사 중호안공사 중 공정 공정 9595 서초구서초구

14 목감천 55135513 0909 ~~ 10121012 호안공사 중호안공사 중 공정 공정 3030 구로구구로구

15 세곡천 1127211272 0707 ~~ 10121012 보상 중보상 중 공사 발주 중공사 발주 중 강남구강남구

16 탄천 25002500 0909 ~~ 10121012 설계용역 마무리설계용역 마무리 공사발주 준비 중공사발주 준비 중 강남구강남구

17 성내천 2179321793 0202 ~~ 07120712 0710 0710 완료완료 송파구송파구

18 여의천 82008200 1111 ~~ 12121212 lsquo lsquo1111 년 이후 추진예정년 이후 추진예정 서초구서초구

19 양재천 1300013000 1111 ~~ 12121212 1111 년 이후 추진예정년 이후 추진예정 서초구서초구

20 망월천 75007500 1111 ~~ 12121212 lsquo lsquo1111 년 이후 추진예정년 이후 추진예정 강동구강동구

대상하천 20 개 하천 총사업비 3938 억원

Ⅲ 서울시 생태하천복원사업 모니터링 결과 - 자료조사와 설문조사

설명회 공청회 ( 시공 전 설계 단계에서 실시 ) 서대문구청 ( 홍제천 ) 노원구청

( 당현천 ) 성북구청 ( 성북천 ) 도봉구청 ( 방학천 ) 관악구청 ( 도림천 )

구청장의 동 순시 때 주민대상 설명 및 의견 수렴 서초구청 ( 반포천 )

주민조직 ( 단체 ) 의 의견 수렴 도봉구청과 lsquo아방사rsquo ( 아름다운 방학천을

사랑하는 모임 ) 노원구청과 lsquo당현천 지킴이rsquo 등

여의천 보금자리주택 예정지 ( 상류구간 ) 의 경우 주민들이 SH 공사에 하천폭을

넓혀달라 요청 ( 친수공간 확대 요구 )

지속적인 주민의견 반영 체계는 없음

1 사업 추진과정에 주민 참여 및 의견 수렴 과정

사업진행중인 하천 완공 이후 관리계획 수립 계획 ( 대부분의 구청 )

관리용역 발주 서대문구청 홍제천 관리를 위해 5 월 말에 관리용역

발주 예정 ( 반영예산 6 억원 청소 시설물 관리 경비 모니터링 )

담당공무원과 상용시설 관리원의 현장 순찰 도봉구청

주민들 또는 지역단체가 관리에 참여하는 경우는 없거나 저조

2 하천관리의 주민참여

저수로 및 하상 정비

자전거 도로 호안정비

방류수 유입 관로 설비 하수처리장 정수처리수 지하철 구간 유출

지하수 대형 빌딩 지하 유출수 일부 자연하천 유입수

친수구역 및 운동시설

인공 식재 ( 식물 종은 설계 단계에서 결정 )

3 주요 공사내용

20 개 하천 전체 사업예산 3938 억원

여러 행정구역을 통과하는 하천 사업의 경우 서울시에서 직접 사업 진행

우이천 (4 개 구 통과 통일성 있는 사업 추진 목적 )

대부분의 하천은 구청에서 사업 집행 시비 지원 + 구 예산

재정자립도에 따라 확보된 예산에 차이 지자체 부담분은 유동적

4 사업예산 및 사업추진 주체

Ⅲ 서울시 생태하천복원사업 모니터링 결과 - 현장조사

1 생태계와 식생

수변 자연식생이 발달한 모습

망월천 성내천성북천 여의천

인공식생의 모습 ndash ( 당현천 반포천 도림천 방학천 홍제천 )

자연식생을 모두 제거하고 공사중이며 인공식재 공사중이다

자연석 및 콘크리트 호안으로 생물의 접근성이 차단 된 상태

둑 안쪽을 콘크리트로 마감한 가운데 호안공에 인공식재 조성한 모습

인공식생을 조성하였으나 단조로워 곤충들이 서식하기에 부적절해 보임

2 하천의 형태 ( 호안공 제방 )

호안공을 콘크리트로 마감한 사례

( 여의천 당현천 )

사석을 쌓고 흙으로 채워 마감

( 반포천 성북천 ) 가장 흔하게 발견

나무로

호안공을

조성한 사례

도림천

여의천

콘크리트 옹벽 으로 제방을 만든 사례

인공식생 조성

자연모습의 호안공과 제방

성내천

망월천

여의천

3 인공구조물 - 수중보 징검다리 낙차공

용도를 알 수 없는 보 ( 홍제천 )징검다리 ( 반포천 도림천 )

ndash 어류의 이동이 보장되어야 함

낙차공

보행로

자전거도로

공원시설

운동시설

분수대

화단 조성

수변공원

4 둑 안쪽 부지 이용

5 저수로 하상 ( 하천바닥 시멘트 마감 )

주로 다리 도로 공사중인 곳에서 나타남

어류 및 생물의 이동을 불가능한 환경을 조성함

6 수질

수질 ( 도림천 )수질 ( 성북천 )

수질 ( 반포천 ) 생활하수의 직접 유입

물고임으로 인한 녹조현상

수질정화시설 미비

비점오염 차단시설 미흡

7 수질오염원

도로 우수 유입구 ( 당현천 )

오폐수 유입 ( 여의천 ) 철도 우수관 ( 도림천 )

도로 우수관 ( 반포천 )

Ⅳ 종합제언

1 하천생태복원 사업이후 모니터링 필요 2 하천정비계획시 주민의견 수렴과 참여 강화 3 하천정비시 생태적 측면 강화 인공구조물의 최소화

인공식재시 생태계 고려

수질오염 방제시설 강화 ( 비점오염 )

4 통합적 하천관리 필요 5 사업예정지 하천정비계획 재검토와 보완 6 근본적인 건천화 해소방안마련 빗물침투성 강화와 하수관거 정비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19
Page 2: 6.모니터링결과(서울시환경정책시민평가단)

목차

Ⅱ 서울시 생태하천 복원사업의 현황

Ⅲ 서울시 생태하천 모니터링 결과

Ⅳ 종합제언

Ⅰ 서울시 하천현황

Ⅰ 서울시 하천 현황

전농천청계천

성북천

정릉천

월곡천

면목천

묵동천

우이천

당현천

화계천

가오천

대동천

방학천

도봉천

중랑천

남산동천

중학천 흥덕동천

백운천

인수천

오리천

백운동천

불광천

녹번천

봉원천 욱천

한 강

홍제천

구기 1 천

구기천평창 1 천

평창천

평창 2 천

진관천

사당천

반포천양재천

여의천

세곡천우면천

형촌천

새원천

원지천

안골천

신원천

내곡천

탄 천

성내천

고덕천

망월천

장지천

오류천

목감천

대방천

도림천

시흥천

봉천천

안양천

역곡천

Ⅱ 생태하천 복원사업 추진현황

984005 친수하천 사업현황 대 상 20 개 하천 ( 총 연장 122 ) 기 간 04 ~ 12 사업비 3938 억원 주요시설 설치 984005 자전거도로 (82km) 984005 호안정비 (24km) 984005 유지용수 (39 만톤 일 )

추진현황 984005 완료 (2) 성내천 불광천 984005 진행 (15) 홍제천 도림천 당현천 성북천 정릉천 목감천 고덕천 반포천 묵동천 우이천 도봉천 방학천 대동천 세곡천 탄천 984005 향후 (3) 여의천 양재천 망월천

대상하천 20 개 하천 총사업비 3938 억원

연번 하천명 총 사업비 사업기간 추진사항 비고

1 불광천 40544054 0808 ~~ 09120912 조경석조경석 및 분수대설치및 분수대설치 사업완료사업완료 은평은평 마포마포 서대문서대문

2 성북천 4808748087 0808 ~~ 10121012 접근 계단설치접근 계단설치 공정 공정 5757 동대문동대문 성북성북

3 홍제천 7940679406 0404 ~~ 10121012 분수설치 분수설치 22 개소개소 산책로산책로 공정 공정 8686 마포마포 종로종로 서대문서대문

4 정릉천 4467644676 0808 ~~ 10121012 산책로산책로 여울여울 어도설치어도설치 공정 공정 6060 동대문동대문 성북성북

5 당현천 4109841098 0606 ~~ 11121112 산책로산책로 여울여울 어도 등어도 등 공정 공정 7070 노원구노원구

6 묵동천 56775677 0808 ~~ 10121012 유지관로 매설유지관로 매설 공정 공정 1515 중랑구중랑구

7 방학천 1767917679 0808 ~~ 10121012 공사 착수공사 착수 자재준비자재준비 공정 공정 55 도봉구도봉구

8 우이천 2085120851 0808 ~~ 10121012 공사 착수공사 착수 자재준비자재준비 공정 공정 55

성북성북 강북강북 노원노원 도봉도봉

9 도봉천 49504950 0808 ~~ 10121012 공사 착수공사 착수 자재준비자재준비 공정 공정 55 도봉구도봉구

10 대동천 28802880 0909 ~~ 10121012 공사 착수공사 착수 자재준비자재준비 공정 공정 55 강북구강북구

연번 하천명 총 사업비 사업기간 추진사항 비고

11 도림천 3352033520 0808 ~~ 105105 저수호안 공사 중저수호안 공사 중 공정 공정 9595

관악관악 구로구로 동작동작 영등포영등포

12 고덕천 1814018140 0808 ~~ 10121012 유지용수 공사 중유지용수 공사 중 공정 공정 1010 강동구강동구

13 반포천 30233023 0808 ~~ 10 510 5 호안공사 중호안공사 중 공정 공정 9595 서초구서초구

14 목감천 55135513 0909 ~~ 10121012 호안공사 중호안공사 중 공정 공정 3030 구로구구로구

15 세곡천 1127211272 0707 ~~ 10121012 보상 중보상 중 공사 발주 중공사 발주 중 강남구강남구

16 탄천 25002500 0909 ~~ 10121012 설계용역 마무리설계용역 마무리 공사발주 준비 중공사발주 준비 중 강남구강남구

17 성내천 2179321793 0202 ~~ 07120712 0710 0710 완료완료 송파구송파구

18 여의천 82008200 1111 ~~ 12121212 lsquo lsquo1111 년 이후 추진예정년 이후 추진예정 서초구서초구

19 양재천 1300013000 1111 ~~ 12121212 1111 년 이후 추진예정년 이후 추진예정 서초구서초구

20 망월천 75007500 1111 ~~ 12121212 lsquo lsquo1111 년 이후 추진예정년 이후 추진예정 강동구강동구

대상하천 20 개 하천 총사업비 3938 억원

Ⅲ 서울시 생태하천복원사업 모니터링 결과 - 자료조사와 설문조사

설명회 공청회 ( 시공 전 설계 단계에서 실시 ) 서대문구청 ( 홍제천 ) 노원구청

( 당현천 ) 성북구청 ( 성북천 ) 도봉구청 ( 방학천 ) 관악구청 ( 도림천 )

구청장의 동 순시 때 주민대상 설명 및 의견 수렴 서초구청 ( 반포천 )

주민조직 ( 단체 ) 의 의견 수렴 도봉구청과 lsquo아방사rsquo ( 아름다운 방학천을

사랑하는 모임 ) 노원구청과 lsquo당현천 지킴이rsquo 등

여의천 보금자리주택 예정지 ( 상류구간 ) 의 경우 주민들이 SH 공사에 하천폭을

넓혀달라 요청 ( 친수공간 확대 요구 )

지속적인 주민의견 반영 체계는 없음

1 사업 추진과정에 주민 참여 및 의견 수렴 과정

사업진행중인 하천 완공 이후 관리계획 수립 계획 ( 대부분의 구청 )

관리용역 발주 서대문구청 홍제천 관리를 위해 5 월 말에 관리용역

발주 예정 ( 반영예산 6 억원 청소 시설물 관리 경비 모니터링 )

담당공무원과 상용시설 관리원의 현장 순찰 도봉구청

주민들 또는 지역단체가 관리에 참여하는 경우는 없거나 저조

2 하천관리의 주민참여

저수로 및 하상 정비

자전거 도로 호안정비

방류수 유입 관로 설비 하수처리장 정수처리수 지하철 구간 유출

지하수 대형 빌딩 지하 유출수 일부 자연하천 유입수

친수구역 및 운동시설

인공 식재 ( 식물 종은 설계 단계에서 결정 )

3 주요 공사내용

20 개 하천 전체 사업예산 3938 억원

여러 행정구역을 통과하는 하천 사업의 경우 서울시에서 직접 사업 진행

우이천 (4 개 구 통과 통일성 있는 사업 추진 목적 )

대부분의 하천은 구청에서 사업 집행 시비 지원 + 구 예산

재정자립도에 따라 확보된 예산에 차이 지자체 부담분은 유동적

4 사업예산 및 사업추진 주체

Ⅲ 서울시 생태하천복원사업 모니터링 결과 - 현장조사

1 생태계와 식생

수변 자연식생이 발달한 모습

망월천 성내천성북천 여의천

인공식생의 모습 ndash ( 당현천 반포천 도림천 방학천 홍제천 )

자연식생을 모두 제거하고 공사중이며 인공식재 공사중이다

자연석 및 콘크리트 호안으로 생물의 접근성이 차단 된 상태

둑 안쪽을 콘크리트로 마감한 가운데 호안공에 인공식재 조성한 모습

인공식생을 조성하였으나 단조로워 곤충들이 서식하기에 부적절해 보임

2 하천의 형태 ( 호안공 제방 )

호안공을 콘크리트로 마감한 사례

( 여의천 당현천 )

사석을 쌓고 흙으로 채워 마감

( 반포천 성북천 ) 가장 흔하게 발견

나무로

호안공을

조성한 사례

도림천

여의천

콘크리트 옹벽 으로 제방을 만든 사례

인공식생 조성

자연모습의 호안공과 제방

성내천

망월천

여의천

3 인공구조물 - 수중보 징검다리 낙차공

용도를 알 수 없는 보 ( 홍제천 )징검다리 ( 반포천 도림천 )

ndash 어류의 이동이 보장되어야 함

낙차공

보행로

자전거도로

공원시설

운동시설

분수대

화단 조성

수변공원

4 둑 안쪽 부지 이용

5 저수로 하상 ( 하천바닥 시멘트 마감 )

주로 다리 도로 공사중인 곳에서 나타남

어류 및 생물의 이동을 불가능한 환경을 조성함

6 수질

수질 ( 도림천 )수질 ( 성북천 )

수질 ( 반포천 ) 생활하수의 직접 유입

물고임으로 인한 녹조현상

수질정화시설 미비

비점오염 차단시설 미흡

7 수질오염원

도로 우수 유입구 ( 당현천 )

오폐수 유입 ( 여의천 ) 철도 우수관 ( 도림천 )

도로 우수관 ( 반포천 )

Ⅳ 종합제언

1 하천생태복원 사업이후 모니터링 필요 2 하천정비계획시 주민의견 수렴과 참여 강화 3 하천정비시 생태적 측면 강화 인공구조물의 최소화

인공식재시 생태계 고려

수질오염 방제시설 강화 ( 비점오염 )

4 통합적 하천관리 필요 5 사업예정지 하천정비계획 재검토와 보완 6 근본적인 건천화 해소방안마련 빗물침투성 강화와 하수관거 정비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19
Page 3: 6.모니터링결과(서울시환경정책시민평가단)

Ⅰ 서울시 하천 현황

전농천청계천

성북천

정릉천

월곡천

면목천

묵동천

우이천

당현천

화계천

가오천

대동천

방학천

도봉천

중랑천

남산동천

중학천 흥덕동천

백운천

인수천

오리천

백운동천

불광천

녹번천

봉원천 욱천

한 강

홍제천

구기 1 천

구기천평창 1 천

평창천

평창 2 천

진관천

사당천

반포천양재천

여의천

세곡천우면천

형촌천

새원천

원지천

안골천

신원천

내곡천

탄 천

성내천

고덕천

망월천

장지천

오류천

목감천

대방천

도림천

시흥천

봉천천

안양천

역곡천

Ⅱ 생태하천 복원사업 추진현황

984005 친수하천 사업현황 대 상 20 개 하천 ( 총 연장 122 ) 기 간 04 ~ 12 사업비 3938 억원 주요시설 설치 984005 자전거도로 (82km) 984005 호안정비 (24km) 984005 유지용수 (39 만톤 일 )

추진현황 984005 완료 (2) 성내천 불광천 984005 진행 (15) 홍제천 도림천 당현천 성북천 정릉천 목감천 고덕천 반포천 묵동천 우이천 도봉천 방학천 대동천 세곡천 탄천 984005 향후 (3) 여의천 양재천 망월천

대상하천 20 개 하천 총사업비 3938 억원

연번 하천명 총 사업비 사업기간 추진사항 비고

1 불광천 40544054 0808 ~~ 09120912 조경석조경석 및 분수대설치및 분수대설치 사업완료사업완료 은평은평 마포마포 서대문서대문

2 성북천 4808748087 0808 ~~ 10121012 접근 계단설치접근 계단설치 공정 공정 5757 동대문동대문 성북성북

3 홍제천 7940679406 0404 ~~ 10121012 분수설치 분수설치 22 개소개소 산책로산책로 공정 공정 8686 마포마포 종로종로 서대문서대문

4 정릉천 4467644676 0808 ~~ 10121012 산책로산책로 여울여울 어도설치어도설치 공정 공정 6060 동대문동대문 성북성북

5 당현천 4109841098 0606 ~~ 11121112 산책로산책로 여울여울 어도 등어도 등 공정 공정 7070 노원구노원구

6 묵동천 56775677 0808 ~~ 10121012 유지관로 매설유지관로 매설 공정 공정 1515 중랑구중랑구

7 방학천 1767917679 0808 ~~ 10121012 공사 착수공사 착수 자재준비자재준비 공정 공정 55 도봉구도봉구

8 우이천 2085120851 0808 ~~ 10121012 공사 착수공사 착수 자재준비자재준비 공정 공정 55

성북성북 강북강북 노원노원 도봉도봉

9 도봉천 49504950 0808 ~~ 10121012 공사 착수공사 착수 자재준비자재준비 공정 공정 55 도봉구도봉구

10 대동천 28802880 0909 ~~ 10121012 공사 착수공사 착수 자재준비자재준비 공정 공정 55 강북구강북구

연번 하천명 총 사업비 사업기간 추진사항 비고

11 도림천 3352033520 0808 ~~ 105105 저수호안 공사 중저수호안 공사 중 공정 공정 9595

관악관악 구로구로 동작동작 영등포영등포

12 고덕천 1814018140 0808 ~~ 10121012 유지용수 공사 중유지용수 공사 중 공정 공정 1010 강동구강동구

13 반포천 30233023 0808 ~~ 10 510 5 호안공사 중호안공사 중 공정 공정 9595 서초구서초구

14 목감천 55135513 0909 ~~ 10121012 호안공사 중호안공사 중 공정 공정 3030 구로구구로구

15 세곡천 1127211272 0707 ~~ 10121012 보상 중보상 중 공사 발주 중공사 발주 중 강남구강남구

16 탄천 25002500 0909 ~~ 10121012 설계용역 마무리설계용역 마무리 공사발주 준비 중공사발주 준비 중 강남구강남구

17 성내천 2179321793 0202 ~~ 07120712 0710 0710 완료완료 송파구송파구

18 여의천 82008200 1111 ~~ 12121212 lsquo lsquo1111 년 이후 추진예정년 이후 추진예정 서초구서초구

19 양재천 1300013000 1111 ~~ 12121212 1111 년 이후 추진예정년 이후 추진예정 서초구서초구

20 망월천 75007500 1111 ~~ 12121212 lsquo lsquo1111 년 이후 추진예정년 이후 추진예정 강동구강동구

대상하천 20 개 하천 총사업비 3938 억원

Ⅲ 서울시 생태하천복원사업 모니터링 결과 - 자료조사와 설문조사

설명회 공청회 ( 시공 전 설계 단계에서 실시 ) 서대문구청 ( 홍제천 ) 노원구청

( 당현천 ) 성북구청 ( 성북천 ) 도봉구청 ( 방학천 ) 관악구청 ( 도림천 )

구청장의 동 순시 때 주민대상 설명 및 의견 수렴 서초구청 ( 반포천 )

주민조직 ( 단체 ) 의 의견 수렴 도봉구청과 lsquo아방사rsquo ( 아름다운 방학천을

사랑하는 모임 ) 노원구청과 lsquo당현천 지킴이rsquo 등

여의천 보금자리주택 예정지 ( 상류구간 ) 의 경우 주민들이 SH 공사에 하천폭을

넓혀달라 요청 ( 친수공간 확대 요구 )

지속적인 주민의견 반영 체계는 없음

1 사업 추진과정에 주민 참여 및 의견 수렴 과정

사업진행중인 하천 완공 이후 관리계획 수립 계획 ( 대부분의 구청 )

관리용역 발주 서대문구청 홍제천 관리를 위해 5 월 말에 관리용역

발주 예정 ( 반영예산 6 억원 청소 시설물 관리 경비 모니터링 )

담당공무원과 상용시설 관리원의 현장 순찰 도봉구청

주민들 또는 지역단체가 관리에 참여하는 경우는 없거나 저조

2 하천관리의 주민참여

저수로 및 하상 정비

자전거 도로 호안정비

방류수 유입 관로 설비 하수처리장 정수처리수 지하철 구간 유출

지하수 대형 빌딩 지하 유출수 일부 자연하천 유입수

친수구역 및 운동시설

인공 식재 ( 식물 종은 설계 단계에서 결정 )

3 주요 공사내용

20 개 하천 전체 사업예산 3938 억원

여러 행정구역을 통과하는 하천 사업의 경우 서울시에서 직접 사업 진행

우이천 (4 개 구 통과 통일성 있는 사업 추진 목적 )

대부분의 하천은 구청에서 사업 집행 시비 지원 + 구 예산

재정자립도에 따라 확보된 예산에 차이 지자체 부담분은 유동적

4 사업예산 및 사업추진 주체

Ⅲ 서울시 생태하천복원사업 모니터링 결과 - 현장조사

1 생태계와 식생

수변 자연식생이 발달한 모습

망월천 성내천성북천 여의천

인공식생의 모습 ndash ( 당현천 반포천 도림천 방학천 홍제천 )

자연식생을 모두 제거하고 공사중이며 인공식재 공사중이다

자연석 및 콘크리트 호안으로 생물의 접근성이 차단 된 상태

둑 안쪽을 콘크리트로 마감한 가운데 호안공에 인공식재 조성한 모습

인공식생을 조성하였으나 단조로워 곤충들이 서식하기에 부적절해 보임

2 하천의 형태 ( 호안공 제방 )

호안공을 콘크리트로 마감한 사례

( 여의천 당현천 )

사석을 쌓고 흙으로 채워 마감

( 반포천 성북천 ) 가장 흔하게 발견

나무로

호안공을

조성한 사례

도림천

여의천

콘크리트 옹벽 으로 제방을 만든 사례

인공식생 조성

자연모습의 호안공과 제방

성내천

망월천

여의천

3 인공구조물 - 수중보 징검다리 낙차공

용도를 알 수 없는 보 ( 홍제천 )징검다리 ( 반포천 도림천 )

ndash 어류의 이동이 보장되어야 함

낙차공

보행로

자전거도로

공원시설

운동시설

분수대

화단 조성

수변공원

4 둑 안쪽 부지 이용

5 저수로 하상 ( 하천바닥 시멘트 마감 )

주로 다리 도로 공사중인 곳에서 나타남

어류 및 생물의 이동을 불가능한 환경을 조성함

6 수질

수질 ( 도림천 )수질 ( 성북천 )

수질 ( 반포천 ) 생활하수의 직접 유입

물고임으로 인한 녹조현상

수질정화시설 미비

비점오염 차단시설 미흡

7 수질오염원

도로 우수 유입구 ( 당현천 )

오폐수 유입 ( 여의천 ) 철도 우수관 ( 도림천 )

도로 우수관 ( 반포천 )

Ⅳ 종합제언

1 하천생태복원 사업이후 모니터링 필요 2 하천정비계획시 주민의견 수렴과 참여 강화 3 하천정비시 생태적 측면 강화 인공구조물의 최소화

인공식재시 생태계 고려

수질오염 방제시설 강화 ( 비점오염 )

4 통합적 하천관리 필요 5 사업예정지 하천정비계획 재검토와 보완 6 근본적인 건천화 해소방안마련 빗물침투성 강화와 하수관거 정비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19
Page 4: 6.모니터링결과(서울시환경정책시민평가단)

전농천청계천

성북천

정릉천

월곡천

면목천

묵동천

우이천

당현천

화계천

가오천

대동천

방학천

도봉천

중랑천

남산동천

중학천 흥덕동천

백운천

인수천

오리천

백운동천

불광천

녹번천

봉원천 욱천

한 강

홍제천

구기 1 천

구기천평창 1 천

평창천

평창 2 천

진관천

사당천

반포천양재천

여의천

세곡천우면천

형촌천

새원천

원지천

안골천

신원천

내곡천

탄 천

성내천

고덕천

망월천

장지천

오류천

목감천

대방천

도림천

시흥천

봉천천

안양천

역곡천

Ⅱ 생태하천 복원사업 추진현황

984005 친수하천 사업현황 대 상 20 개 하천 ( 총 연장 122 ) 기 간 04 ~ 12 사업비 3938 억원 주요시설 설치 984005 자전거도로 (82km) 984005 호안정비 (24km) 984005 유지용수 (39 만톤 일 )

추진현황 984005 완료 (2) 성내천 불광천 984005 진행 (15) 홍제천 도림천 당현천 성북천 정릉천 목감천 고덕천 반포천 묵동천 우이천 도봉천 방학천 대동천 세곡천 탄천 984005 향후 (3) 여의천 양재천 망월천

대상하천 20 개 하천 총사업비 3938 억원

연번 하천명 총 사업비 사업기간 추진사항 비고

1 불광천 40544054 0808 ~~ 09120912 조경석조경석 및 분수대설치및 분수대설치 사업완료사업완료 은평은평 마포마포 서대문서대문

2 성북천 4808748087 0808 ~~ 10121012 접근 계단설치접근 계단설치 공정 공정 5757 동대문동대문 성북성북

3 홍제천 7940679406 0404 ~~ 10121012 분수설치 분수설치 22 개소개소 산책로산책로 공정 공정 8686 마포마포 종로종로 서대문서대문

4 정릉천 4467644676 0808 ~~ 10121012 산책로산책로 여울여울 어도설치어도설치 공정 공정 6060 동대문동대문 성북성북

5 당현천 4109841098 0606 ~~ 11121112 산책로산책로 여울여울 어도 등어도 등 공정 공정 7070 노원구노원구

6 묵동천 56775677 0808 ~~ 10121012 유지관로 매설유지관로 매설 공정 공정 1515 중랑구중랑구

7 방학천 1767917679 0808 ~~ 10121012 공사 착수공사 착수 자재준비자재준비 공정 공정 55 도봉구도봉구

8 우이천 2085120851 0808 ~~ 10121012 공사 착수공사 착수 자재준비자재준비 공정 공정 55

성북성북 강북강북 노원노원 도봉도봉

9 도봉천 49504950 0808 ~~ 10121012 공사 착수공사 착수 자재준비자재준비 공정 공정 55 도봉구도봉구

10 대동천 28802880 0909 ~~ 10121012 공사 착수공사 착수 자재준비자재준비 공정 공정 55 강북구강북구

연번 하천명 총 사업비 사업기간 추진사항 비고

11 도림천 3352033520 0808 ~~ 105105 저수호안 공사 중저수호안 공사 중 공정 공정 9595

관악관악 구로구로 동작동작 영등포영등포

12 고덕천 1814018140 0808 ~~ 10121012 유지용수 공사 중유지용수 공사 중 공정 공정 1010 강동구강동구

13 반포천 30233023 0808 ~~ 10 510 5 호안공사 중호안공사 중 공정 공정 9595 서초구서초구

14 목감천 55135513 0909 ~~ 10121012 호안공사 중호안공사 중 공정 공정 3030 구로구구로구

15 세곡천 1127211272 0707 ~~ 10121012 보상 중보상 중 공사 발주 중공사 발주 중 강남구강남구

16 탄천 25002500 0909 ~~ 10121012 설계용역 마무리설계용역 마무리 공사발주 준비 중공사발주 준비 중 강남구강남구

17 성내천 2179321793 0202 ~~ 07120712 0710 0710 완료완료 송파구송파구

18 여의천 82008200 1111 ~~ 12121212 lsquo lsquo1111 년 이후 추진예정년 이후 추진예정 서초구서초구

19 양재천 1300013000 1111 ~~ 12121212 1111 년 이후 추진예정년 이후 추진예정 서초구서초구

20 망월천 75007500 1111 ~~ 12121212 lsquo lsquo1111 년 이후 추진예정년 이후 추진예정 강동구강동구

대상하천 20 개 하천 총사업비 3938 억원

Ⅲ 서울시 생태하천복원사업 모니터링 결과 - 자료조사와 설문조사

설명회 공청회 ( 시공 전 설계 단계에서 실시 ) 서대문구청 ( 홍제천 ) 노원구청

( 당현천 ) 성북구청 ( 성북천 ) 도봉구청 ( 방학천 ) 관악구청 ( 도림천 )

구청장의 동 순시 때 주민대상 설명 및 의견 수렴 서초구청 ( 반포천 )

주민조직 ( 단체 ) 의 의견 수렴 도봉구청과 lsquo아방사rsquo ( 아름다운 방학천을

사랑하는 모임 ) 노원구청과 lsquo당현천 지킴이rsquo 등

여의천 보금자리주택 예정지 ( 상류구간 ) 의 경우 주민들이 SH 공사에 하천폭을

넓혀달라 요청 ( 친수공간 확대 요구 )

지속적인 주민의견 반영 체계는 없음

1 사업 추진과정에 주민 참여 및 의견 수렴 과정

사업진행중인 하천 완공 이후 관리계획 수립 계획 ( 대부분의 구청 )

관리용역 발주 서대문구청 홍제천 관리를 위해 5 월 말에 관리용역

발주 예정 ( 반영예산 6 억원 청소 시설물 관리 경비 모니터링 )

담당공무원과 상용시설 관리원의 현장 순찰 도봉구청

주민들 또는 지역단체가 관리에 참여하는 경우는 없거나 저조

2 하천관리의 주민참여

저수로 및 하상 정비

자전거 도로 호안정비

방류수 유입 관로 설비 하수처리장 정수처리수 지하철 구간 유출

지하수 대형 빌딩 지하 유출수 일부 자연하천 유입수

친수구역 및 운동시설

인공 식재 ( 식물 종은 설계 단계에서 결정 )

3 주요 공사내용

20 개 하천 전체 사업예산 3938 억원

여러 행정구역을 통과하는 하천 사업의 경우 서울시에서 직접 사업 진행

우이천 (4 개 구 통과 통일성 있는 사업 추진 목적 )

대부분의 하천은 구청에서 사업 집행 시비 지원 + 구 예산

재정자립도에 따라 확보된 예산에 차이 지자체 부담분은 유동적

4 사업예산 및 사업추진 주체

Ⅲ 서울시 생태하천복원사업 모니터링 결과 - 현장조사

1 생태계와 식생

수변 자연식생이 발달한 모습

망월천 성내천성북천 여의천

인공식생의 모습 ndash ( 당현천 반포천 도림천 방학천 홍제천 )

자연식생을 모두 제거하고 공사중이며 인공식재 공사중이다

자연석 및 콘크리트 호안으로 생물의 접근성이 차단 된 상태

둑 안쪽을 콘크리트로 마감한 가운데 호안공에 인공식재 조성한 모습

인공식생을 조성하였으나 단조로워 곤충들이 서식하기에 부적절해 보임

2 하천의 형태 ( 호안공 제방 )

호안공을 콘크리트로 마감한 사례

( 여의천 당현천 )

사석을 쌓고 흙으로 채워 마감

( 반포천 성북천 ) 가장 흔하게 발견

나무로

호안공을

조성한 사례

도림천

여의천

콘크리트 옹벽 으로 제방을 만든 사례

인공식생 조성

자연모습의 호안공과 제방

성내천

망월천

여의천

3 인공구조물 - 수중보 징검다리 낙차공

용도를 알 수 없는 보 ( 홍제천 )징검다리 ( 반포천 도림천 )

ndash 어류의 이동이 보장되어야 함

낙차공

보행로

자전거도로

공원시설

운동시설

분수대

화단 조성

수변공원

4 둑 안쪽 부지 이용

5 저수로 하상 ( 하천바닥 시멘트 마감 )

주로 다리 도로 공사중인 곳에서 나타남

어류 및 생물의 이동을 불가능한 환경을 조성함

6 수질

수질 ( 도림천 )수질 ( 성북천 )

수질 ( 반포천 ) 생활하수의 직접 유입

물고임으로 인한 녹조현상

수질정화시설 미비

비점오염 차단시설 미흡

7 수질오염원

도로 우수 유입구 ( 당현천 )

오폐수 유입 ( 여의천 ) 철도 우수관 ( 도림천 )

도로 우수관 ( 반포천 )

Ⅳ 종합제언

1 하천생태복원 사업이후 모니터링 필요 2 하천정비계획시 주민의견 수렴과 참여 강화 3 하천정비시 생태적 측면 강화 인공구조물의 최소화

인공식재시 생태계 고려

수질오염 방제시설 강화 ( 비점오염 )

4 통합적 하천관리 필요 5 사업예정지 하천정비계획 재검토와 보완 6 근본적인 건천화 해소방안마련 빗물침투성 강화와 하수관거 정비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19
Page 5: 6.모니터링결과(서울시환경정책시민평가단)

불광천

녹번천

봉원천 욱천

한 강

홍제천

구기 1 천

구기천평창 1 천

평창천

평창 2 천

진관천

사당천

반포천양재천

여의천

세곡천우면천

형촌천

새원천

원지천

안골천

신원천

내곡천

탄 천

성내천

고덕천

망월천

장지천

오류천

목감천

대방천

도림천

시흥천

봉천천

안양천

역곡천

Ⅱ 생태하천 복원사업 추진현황

984005 친수하천 사업현황 대 상 20 개 하천 ( 총 연장 122 ) 기 간 04 ~ 12 사업비 3938 억원 주요시설 설치 984005 자전거도로 (82km) 984005 호안정비 (24km) 984005 유지용수 (39 만톤 일 )

추진현황 984005 완료 (2) 성내천 불광천 984005 진행 (15) 홍제천 도림천 당현천 성북천 정릉천 목감천 고덕천 반포천 묵동천 우이천 도봉천 방학천 대동천 세곡천 탄천 984005 향후 (3) 여의천 양재천 망월천

대상하천 20 개 하천 총사업비 3938 억원

연번 하천명 총 사업비 사업기간 추진사항 비고

1 불광천 40544054 0808 ~~ 09120912 조경석조경석 및 분수대설치및 분수대설치 사업완료사업완료 은평은평 마포마포 서대문서대문

2 성북천 4808748087 0808 ~~ 10121012 접근 계단설치접근 계단설치 공정 공정 5757 동대문동대문 성북성북

3 홍제천 7940679406 0404 ~~ 10121012 분수설치 분수설치 22 개소개소 산책로산책로 공정 공정 8686 마포마포 종로종로 서대문서대문

4 정릉천 4467644676 0808 ~~ 10121012 산책로산책로 여울여울 어도설치어도설치 공정 공정 6060 동대문동대문 성북성북

5 당현천 4109841098 0606 ~~ 11121112 산책로산책로 여울여울 어도 등어도 등 공정 공정 7070 노원구노원구

6 묵동천 56775677 0808 ~~ 10121012 유지관로 매설유지관로 매설 공정 공정 1515 중랑구중랑구

7 방학천 1767917679 0808 ~~ 10121012 공사 착수공사 착수 자재준비자재준비 공정 공정 55 도봉구도봉구

8 우이천 2085120851 0808 ~~ 10121012 공사 착수공사 착수 자재준비자재준비 공정 공정 55

성북성북 강북강북 노원노원 도봉도봉

9 도봉천 49504950 0808 ~~ 10121012 공사 착수공사 착수 자재준비자재준비 공정 공정 55 도봉구도봉구

10 대동천 28802880 0909 ~~ 10121012 공사 착수공사 착수 자재준비자재준비 공정 공정 55 강북구강북구

연번 하천명 총 사업비 사업기간 추진사항 비고

11 도림천 3352033520 0808 ~~ 105105 저수호안 공사 중저수호안 공사 중 공정 공정 9595

관악관악 구로구로 동작동작 영등포영등포

12 고덕천 1814018140 0808 ~~ 10121012 유지용수 공사 중유지용수 공사 중 공정 공정 1010 강동구강동구

13 반포천 30233023 0808 ~~ 10 510 5 호안공사 중호안공사 중 공정 공정 9595 서초구서초구

14 목감천 55135513 0909 ~~ 10121012 호안공사 중호안공사 중 공정 공정 3030 구로구구로구

15 세곡천 1127211272 0707 ~~ 10121012 보상 중보상 중 공사 발주 중공사 발주 중 강남구강남구

16 탄천 25002500 0909 ~~ 10121012 설계용역 마무리설계용역 마무리 공사발주 준비 중공사발주 준비 중 강남구강남구

17 성내천 2179321793 0202 ~~ 07120712 0710 0710 완료완료 송파구송파구

18 여의천 82008200 1111 ~~ 12121212 lsquo lsquo1111 년 이후 추진예정년 이후 추진예정 서초구서초구

19 양재천 1300013000 1111 ~~ 12121212 1111 년 이후 추진예정년 이후 추진예정 서초구서초구

20 망월천 75007500 1111 ~~ 12121212 lsquo lsquo1111 년 이후 추진예정년 이후 추진예정 강동구강동구

대상하천 20 개 하천 총사업비 3938 억원

Ⅲ 서울시 생태하천복원사업 모니터링 결과 - 자료조사와 설문조사

설명회 공청회 ( 시공 전 설계 단계에서 실시 ) 서대문구청 ( 홍제천 ) 노원구청

( 당현천 ) 성북구청 ( 성북천 ) 도봉구청 ( 방학천 ) 관악구청 ( 도림천 )

구청장의 동 순시 때 주민대상 설명 및 의견 수렴 서초구청 ( 반포천 )

주민조직 ( 단체 ) 의 의견 수렴 도봉구청과 lsquo아방사rsquo ( 아름다운 방학천을

사랑하는 모임 ) 노원구청과 lsquo당현천 지킴이rsquo 등

여의천 보금자리주택 예정지 ( 상류구간 ) 의 경우 주민들이 SH 공사에 하천폭을

넓혀달라 요청 ( 친수공간 확대 요구 )

지속적인 주민의견 반영 체계는 없음

1 사업 추진과정에 주민 참여 및 의견 수렴 과정

사업진행중인 하천 완공 이후 관리계획 수립 계획 ( 대부분의 구청 )

관리용역 발주 서대문구청 홍제천 관리를 위해 5 월 말에 관리용역

발주 예정 ( 반영예산 6 억원 청소 시설물 관리 경비 모니터링 )

담당공무원과 상용시설 관리원의 현장 순찰 도봉구청

주민들 또는 지역단체가 관리에 참여하는 경우는 없거나 저조

2 하천관리의 주민참여

저수로 및 하상 정비

자전거 도로 호안정비

방류수 유입 관로 설비 하수처리장 정수처리수 지하철 구간 유출

지하수 대형 빌딩 지하 유출수 일부 자연하천 유입수

친수구역 및 운동시설

인공 식재 ( 식물 종은 설계 단계에서 결정 )

3 주요 공사내용

20 개 하천 전체 사업예산 3938 억원

여러 행정구역을 통과하는 하천 사업의 경우 서울시에서 직접 사업 진행

우이천 (4 개 구 통과 통일성 있는 사업 추진 목적 )

대부분의 하천은 구청에서 사업 집행 시비 지원 + 구 예산

재정자립도에 따라 확보된 예산에 차이 지자체 부담분은 유동적

4 사업예산 및 사업추진 주체

Ⅲ 서울시 생태하천복원사업 모니터링 결과 - 현장조사

1 생태계와 식생

수변 자연식생이 발달한 모습

망월천 성내천성북천 여의천

인공식생의 모습 ndash ( 당현천 반포천 도림천 방학천 홍제천 )

자연식생을 모두 제거하고 공사중이며 인공식재 공사중이다

자연석 및 콘크리트 호안으로 생물의 접근성이 차단 된 상태

둑 안쪽을 콘크리트로 마감한 가운데 호안공에 인공식재 조성한 모습

인공식생을 조성하였으나 단조로워 곤충들이 서식하기에 부적절해 보임

2 하천의 형태 ( 호안공 제방 )

호안공을 콘크리트로 마감한 사례

( 여의천 당현천 )

사석을 쌓고 흙으로 채워 마감

( 반포천 성북천 ) 가장 흔하게 발견

나무로

호안공을

조성한 사례

도림천

여의천

콘크리트 옹벽 으로 제방을 만든 사례

인공식생 조성

자연모습의 호안공과 제방

성내천

망월천

여의천

3 인공구조물 - 수중보 징검다리 낙차공

용도를 알 수 없는 보 ( 홍제천 )징검다리 ( 반포천 도림천 )

ndash 어류의 이동이 보장되어야 함

낙차공

보행로

자전거도로

공원시설

운동시설

분수대

화단 조성

수변공원

4 둑 안쪽 부지 이용

5 저수로 하상 ( 하천바닥 시멘트 마감 )

주로 다리 도로 공사중인 곳에서 나타남

어류 및 생물의 이동을 불가능한 환경을 조성함

6 수질

수질 ( 도림천 )수질 ( 성북천 )

수질 ( 반포천 ) 생활하수의 직접 유입

물고임으로 인한 녹조현상

수질정화시설 미비

비점오염 차단시설 미흡

7 수질오염원

도로 우수 유입구 ( 당현천 )

오폐수 유입 ( 여의천 ) 철도 우수관 ( 도림천 )

도로 우수관 ( 반포천 )

Ⅳ 종합제언

1 하천생태복원 사업이후 모니터링 필요 2 하천정비계획시 주민의견 수렴과 참여 강화 3 하천정비시 생태적 측면 강화 인공구조물의 최소화

인공식재시 생태계 고려

수질오염 방제시설 강화 ( 비점오염 )

4 통합적 하천관리 필요 5 사업예정지 하천정비계획 재검토와 보완 6 근본적인 건천화 해소방안마련 빗물침투성 강화와 하수관거 정비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19
Page 6: 6.모니터링결과(서울시환경정책시민평가단)

사당천

반포천양재천

여의천

세곡천우면천

형촌천

새원천

원지천

안골천

신원천

내곡천

탄 천

성내천

고덕천

망월천

장지천

오류천

목감천

대방천

도림천

시흥천

봉천천

안양천

역곡천

Ⅱ 생태하천 복원사업 추진현황

984005 친수하천 사업현황 대 상 20 개 하천 ( 총 연장 122 ) 기 간 04 ~ 12 사업비 3938 억원 주요시설 설치 984005 자전거도로 (82km) 984005 호안정비 (24km) 984005 유지용수 (39 만톤 일 )

추진현황 984005 완료 (2) 성내천 불광천 984005 진행 (15) 홍제천 도림천 당현천 성북천 정릉천 목감천 고덕천 반포천 묵동천 우이천 도봉천 방학천 대동천 세곡천 탄천 984005 향후 (3) 여의천 양재천 망월천

대상하천 20 개 하천 총사업비 3938 억원

연번 하천명 총 사업비 사업기간 추진사항 비고

1 불광천 40544054 0808 ~~ 09120912 조경석조경석 및 분수대설치및 분수대설치 사업완료사업완료 은평은평 마포마포 서대문서대문

2 성북천 4808748087 0808 ~~ 10121012 접근 계단설치접근 계단설치 공정 공정 5757 동대문동대문 성북성북

3 홍제천 7940679406 0404 ~~ 10121012 분수설치 분수설치 22 개소개소 산책로산책로 공정 공정 8686 마포마포 종로종로 서대문서대문

4 정릉천 4467644676 0808 ~~ 10121012 산책로산책로 여울여울 어도설치어도설치 공정 공정 6060 동대문동대문 성북성북

5 당현천 4109841098 0606 ~~ 11121112 산책로산책로 여울여울 어도 등어도 등 공정 공정 7070 노원구노원구

6 묵동천 56775677 0808 ~~ 10121012 유지관로 매설유지관로 매설 공정 공정 1515 중랑구중랑구

7 방학천 1767917679 0808 ~~ 10121012 공사 착수공사 착수 자재준비자재준비 공정 공정 55 도봉구도봉구

8 우이천 2085120851 0808 ~~ 10121012 공사 착수공사 착수 자재준비자재준비 공정 공정 55

성북성북 강북강북 노원노원 도봉도봉

9 도봉천 49504950 0808 ~~ 10121012 공사 착수공사 착수 자재준비자재준비 공정 공정 55 도봉구도봉구

10 대동천 28802880 0909 ~~ 10121012 공사 착수공사 착수 자재준비자재준비 공정 공정 55 강북구강북구

연번 하천명 총 사업비 사업기간 추진사항 비고

11 도림천 3352033520 0808 ~~ 105105 저수호안 공사 중저수호안 공사 중 공정 공정 9595

관악관악 구로구로 동작동작 영등포영등포

12 고덕천 1814018140 0808 ~~ 10121012 유지용수 공사 중유지용수 공사 중 공정 공정 1010 강동구강동구

13 반포천 30233023 0808 ~~ 10 510 5 호안공사 중호안공사 중 공정 공정 9595 서초구서초구

14 목감천 55135513 0909 ~~ 10121012 호안공사 중호안공사 중 공정 공정 3030 구로구구로구

15 세곡천 1127211272 0707 ~~ 10121012 보상 중보상 중 공사 발주 중공사 발주 중 강남구강남구

16 탄천 25002500 0909 ~~ 10121012 설계용역 마무리설계용역 마무리 공사발주 준비 중공사발주 준비 중 강남구강남구

17 성내천 2179321793 0202 ~~ 07120712 0710 0710 완료완료 송파구송파구

18 여의천 82008200 1111 ~~ 12121212 lsquo lsquo1111 년 이후 추진예정년 이후 추진예정 서초구서초구

19 양재천 1300013000 1111 ~~ 12121212 1111 년 이후 추진예정년 이후 추진예정 서초구서초구

20 망월천 75007500 1111 ~~ 12121212 lsquo lsquo1111 년 이후 추진예정년 이후 추진예정 강동구강동구

대상하천 20 개 하천 총사업비 3938 억원

Ⅲ 서울시 생태하천복원사업 모니터링 결과 - 자료조사와 설문조사

설명회 공청회 ( 시공 전 설계 단계에서 실시 ) 서대문구청 ( 홍제천 ) 노원구청

( 당현천 ) 성북구청 ( 성북천 ) 도봉구청 ( 방학천 ) 관악구청 ( 도림천 )

구청장의 동 순시 때 주민대상 설명 및 의견 수렴 서초구청 ( 반포천 )

주민조직 ( 단체 ) 의 의견 수렴 도봉구청과 lsquo아방사rsquo ( 아름다운 방학천을

사랑하는 모임 ) 노원구청과 lsquo당현천 지킴이rsquo 등

여의천 보금자리주택 예정지 ( 상류구간 ) 의 경우 주민들이 SH 공사에 하천폭을

넓혀달라 요청 ( 친수공간 확대 요구 )

지속적인 주민의견 반영 체계는 없음

1 사업 추진과정에 주민 참여 및 의견 수렴 과정

사업진행중인 하천 완공 이후 관리계획 수립 계획 ( 대부분의 구청 )

관리용역 발주 서대문구청 홍제천 관리를 위해 5 월 말에 관리용역

발주 예정 ( 반영예산 6 억원 청소 시설물 관리 경비 모니터링 )

담당공무원과 상용시설 관리원의 현장 순찰 도봉구청

주민들 또는 지역단체가 관리에 참여하는 경우는 없거나 저조

2 하천관리의 주민참여

저수로 및 하상 정비

자전거 도로 호안정비

방류수 유입 관로 설비 하수처리장 정수처리수 지하철 구간 유출

지하수 대형 빌딩 지하 유출수 일부 자연하천 유입수

친수구역 및 운동시설

인공 식재 ( 식물 종은 설계 단계에서 결정 )

3 주요 공사내용

20 개 하천 전체 사업예산 3938 억원

여러 행정구역을 통과하는 하천 사업의 경우 서울시에서 직접 사업 진행

우이천 (4 개 구 통과 통일성 있는 사업 추진 목적 )

대부분의 하천은 구청에서 사업 집행 시비 지원 + 구 예산

재정자립도에 따라 확보된 예산에 차이 지자체 부담분은 유동적

4 사업예산 및 사업추진 주체

Ⅲ 서울시 생태하천복원사업 모니터링 결과 - 현장조사

1 생태계와 식생

수변 자연식생이 발달한 모습

망월천 성내천성북천 여의천

인공식생의 모습 ndash ( 당현천 반포천 도림천 방학천 홍제천 )

자연식생을 모두 제거하고 공사중이며 인공식재 공사중이다

자연석 및 콘크리트 호안으로 생물의 접근성이 차단 된 상태

둑 안쪽을 콘크리트로 마감한 가운데 호안공에 인공식재 조성한 모습

인공식생을 조성하였으나 단조로워 곤충들이 서식하기에 부적절해 보임

2 하천의 형태 ( 호안공 제방 )

호안공을 콘크리트로 마감한 사례

( 여의천 당현천 )

사석을 쌓고 흙으로 채워 마감

( 반포천 성북천 ) 가장 흔하게 발견

나무로

호안공을

조성한 사례

도림천

여의천

콘크리트 옹벽 으로 제방을 만든 사례

인공식생 조성

자연모습의 호안공과 제방

성내천

망월천

여의천

3 인공구조물 - 수중보 징검다리 낙차공

용도를 알 수 없는 보 ( 홍제천 )징검다리 ( 반포천 도림천 )

ndash 어류의 이동이 보장되어야 함

낙차공

보행로

자전거도로

공원시설

운동시설

분수대

화단 조성

수변공원

4 둑 안쪽 부지 이용

5 저수로 하상 ( 하천바닥 시멘트 마감 )

주로 다리 도로 공사중인 곳에서 나타남

어류 및 생물의 이동을 불가능한 환경을 조성함

6 수질

수질 ( 도림천 )수질 ( 성북천 )

수질 ( 반포천 ) 생활하수의 직접 유입

물고임으로 인한 녹조현상

수질정화시설 미비

비점오염 차단시설 미흡

7 수질오염원

도로 우수 유입구 ( 당현천 )

오폐수 유입 ( 여의천 ) 철도 우수관 ( 도림천 )

도로 우수관 ( 반포천 )

Ⅳ 종합제언

1 하천생태복원 사업이후 모니터링 필요 2 하천정비계획시 주민의견 수렴과 참여 강화 3 하천정비시 생태적 측면 강화 인공구조물의 최소화

인공식재시 생태계 고려

수질오염 방제시설 강화 ( 비점오염 )

4 통합적 하천관리 필요 5 사업예정지 하천정비계획 재검토와 보완 6 근본적인 건천화 해소방안마련 빗물침투성 강화와 하수관거 정비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19
Page 7: 6.모니터링결과(서울시환경정책시민평가단)

오류천

목감천

대방천

도림천

시흥천

봉천천

안양천

역곡천

Ⅱ 생태하천 복원사업 추진현황

984005 친수하천 사업현황 대 상 20 개 하천 ( 총 연장 122 ) 기 간 04 ~ 12 사업비 3938 억원 주요시설 설치 984005 자전거도로 (82km) 984005 호안정비 (24km) 984005 유지용수 (39 만톤 일 )

추진현황 984005 완료 (2) 성내천 불광천 984005 진행 (15) 홍제천 도림천 당현천 성북천 정릉천 목감천 고덕천 반포천 묵동천 우이천 도봉천 방학천 대동천 세곡천 탄천 984005 향후 (3) 여의천 양재천 망월천

대상하천 20 개 하천 총사업비 3938 억원

연번 하천명 총 사업비 사업기간 추진사항 비고

1 불광천 40544054 0808 ~~ 09120912 조경석조경석 및 분수대설치및 분수대설치 사업완료사업완료 은평은평 마포마포 서대문서대문

2 성북천 4808748087 0808 ~~ 10121012 접근 계단설치접근 계단설치 공정 공정 5757 동대문동대문 성북성북

3 홍제천 7940679406 0404 ~~ 10121012 분수설치 분수설치 22 개소개소 산책로산책로 공정 공정 8686 마포마포 종로종로 서대문서대문

4 정릉천 4467644676 0808 ~~ 10121012 산책로산책로 여울여울 어도설치어도설치 공정 공정 6060 동대문동대문 성북성북

5 당현천 4109841098 0606 ~~ 11121112 산책로산책로 여울여울 어도 등어도 등 공정 공정 7070 노원구노원구

6 묵동천 56775677 0808 ~~ 10121012 유지관로 매설유지관로 매설 공정 공정 1515 중랑구중랑구

7 방학천 1767917679 0808 ~~ 10121012 공사 착수공사 착수 자재준비자재준비 공정 공정 55 도봉구도봉구

8 우이천 2085120851 0808 ~~ 10121012 공사 착수공사 착수 자재준비자재준비 공정 공정 55

성북성북 강북강북 노원노원 도봉도봉

9 도봉천 49504950 0808 ~~ 10121012 공사 착수공사 착수 자재준비자재준비 공정 공정 55 도봉구도봉구

10 대동천 28802880 0909 ~~ 10121012 공사 착수공사 착수 자재준비자재준비 공정 공정 55 강북구강북구

연번 하천명 총 사업비 사업기간 추진사항 비고

11 도림천 3352033520 0808 ~~ 105105 저수호안 공사 중저수호안 공사 중 공정 공정 9595

관악관악 구로구로 동작동작 영등포영등포

12 고덕천 1814018140 0808 ~~ 10121012 유지용수 공사 중유지용수 공사 중 공정 공정 1010 강동구강동구

13 반포천 30233023 0808 ~~ 10 510 5 호안공사 중호안공사 중 공정 공정 9595 서초구서초구

14 목감천 55135513 0909 ~~ 10121012 호안공사 중호안공사 중 공정 공정 3030 구로구구로구

15 세곡천 1127211272 0707 ~~ 10121012 보상 중보상 중 공사 발주 중공사 발주 중 강남구강남구

16 탄천 25002500 0909 ~~ 10121012 설계용역 마무리설계용역 마무리 공사발주 준비 중공사발주 준비 중 강남구강남구

17 성내천 2179321793 0202 ~~ 07120712 0710 0710 완료완료 송파구송파구

18 여의천 82008200 1111 ~~ 12121212 lsquo lsquo1111 년 이후 추진예정년 이후 추진예정 서초구서초구

19 양재천 1300013000 1111 ~~ 12121212 1111 년 이후 추진예정년 이후 추진예정 서초구서초구

20 망월천 75007500 1111 ~~ 12121212 lsquo lsquo1111 년 이후 추진예정년 이후 추진예정 강동구강동구

대상하천 20 개 하천 총사업비 3938 억원

Ⅲ 서울시 생태하천복원사업 모니터링 결과 - 자료조사와 설문조사

설명회 공청회 ( 시공 전 설계 단계에서 실시 ) 서대문구청 ( 홍제천 ) 노원구청

( 당현천 ) 성북구청 ( 성북천 ) 도봉구청 ( 방학천 ) 관악구청 ( 도림천 )

구청장의 동 순시 때 주민대상 설명 및 의견 수렴 서초구청 ( 반포천 )

주민조직 ( 단체 ) 의 의견 수렴 도봉구청과 lsquo아방사rsquo ( 아름다운 방학천을

사랑하는 모임 ) 노원구청과 lsquo당현천 지킴이rsquo 등

여의천 보금자리주택 예정지 ( 상류구간 ) 의 경우 주민들이 SH 공사에 하천폭을

넓혀달라 요청 ( 친수공간 확대 요구 )

지속적인 주민의견 반영 체계는 없음

1 사업 추진과정에 주민 참여 및 의견 수렴 과정

사업진행중인 하천 완공 이후 관리계획 수립 계획 ( 대부분의 구청 )

관리용역 발주 서대문구청 홍제천 관리를 위해 5 월 말에 관리용역

발주 예정 ( 반영예산 6 억원 청소 시설물 관리 경비 모니터링 )

담당공무원과 상용시설 관리원의 현장 순찰 도봉구청

주민들 또는 지역단체가 관리에 참여하는 경우는 없거나 저조

2 하천관리의 주민참여

저수로 및 하상 정비

자전거 도로 호안정비

방류수 유입 관로 설비 하수처리장 정수처리수 지하철 구간 유출

지하수 대형 빌딩 지하 유출수 일부 자연하천 유입수

친수구역 및 운동시설

인공 식재 ( 식물 종은 설계 단계에서 결정 )

3 주요 공사내용

20 개 하천 전체 사업예산 3938 억원

여러 행정구역을 통과하는 하천 사업의 경우 서울시에서 직접 사업 진행

우이천 (4 개 구 통과 통일성 있는 사업 추진 목적 )

대부분의 하천은 구청에서 사업 집행 시비 지원 + 구 예산

재정자립도에 따라 확보된 예산에 차이 지자체 부담분은 유동적

4 사업예산 및 사업추진 주체

Ⅲ 서울시 생태하천복원사업 모니터링 결과 - 현장조사

1 생태계와 식생

수변 자연식생이 발달한 모습

망월천 성내천성북천 여의천

인공식생의 모습 ndash ( 당현천 반포천 도림천 방학천 홍제천 )

자연식생을 모두 제거하고 공사중이며 인공식재 공사중이다

자연석 및 콘크리트 호안으로 생물의 접근성이 차단 된 상태

둑 안쪽을 콘크리트로 마감한 가운데 호안공에 인공식재 조성한 모습

인공식생을 조성하였으나 단조로워 곤충들이 서식하기에 부적절해 보임

2 하천의 형태 ( 호안공 제방 )

호안공을 콘크리트로 마감한 사례

( 여의천 당현천 )

사석을 쌓고 흙으로 채워 마감

( 반포천 성북천 ) 가장 흔하게 발견

나무로

호안공을

조성한 사례

도림천

여의천

콘크리트 옹벽 으로 제방을 만든 사례

인공식생 조성

자연모습의 호안공과 제방

성내천

망월천

여의천

3 인공구조물 - 수중보 징검다리 낙차공

용도를 알 수 없는 보 ( 홍제천 )징검다리 ( 반포천 도림천 )

ndash 어류의 이동이 보장되어야 함

낙차공

보행로

자전거도로

공원시설

운동시설

분수대

화단 조성

수변공원

4 둑 안쪽 부지 이용

5 저수로 하상 ( 하천바닥 시멘트 마감 )

주로 다리 도로 공사중인 곳에서 나타남

어류 및 생물의 이동을 불가능한 환경을 조성함

6 수질

수질 ( 도림천 )수질 ( 성북천 )

수질 ( 반포천 ) 생활하수의 직접 유입

물고임으로 인한 녹조현상

수질정화시설 미비

비점오염 차단시설 미흡

7 수질오염원

도로 우수 유입구 ( 당현천 )

오폐수 유입 ( 여의천 ) 철도 우수관 ( 도림천 )

도로 우수관 ( 반포천 )

Ⅳ 종합제언

1 하천생태복원 사업이후 모니터링 필요 2 하천정비계획시 주민의견 수렴과 참여 강화 3 하천정비시 생태적 측면 강화 인공구조물의 최소화

인공식재시 생태계 고려

수질오염 방제시설 강화 ( 비점오염 )

4 통합적 하천관리 필요 5 사업예정지 하천정비계획 재검토와 보완 6 근본적인 건천화 해소방안마련 빗물침투성 강화와 하수관거 정비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19
Page 8: 6.모니터링결과(서울시환경정책시민평가단)

Ⅱ 생태하천 복원사업 추진현황

984005 친수하천 사업현황 대 상 20 개 하천 ( 총 연장 122 ) 기 간 04 ~ 12 사업비 3938 억원 주요시설 설치 984005 자전거도로 (82km) 984005 호안정비 (24km) 984005 유지용수 (39 만톤 일 )

추진현황 984005 완료 (2) 성내천 불광천 984005 진행 (15) 홍제천 도림천 당현천 성북천 정릉천 목감천 고덕천 반포천 묵동천 우이천 도봉천 방학천 대동천 세곡천 탄천 984005 향후 (3) 여의천 양재천 망월천

대상하천 20 개 하천 총사업비 3938 억원

연번 하천명 총 사업비 사업기간 추진사항 비고

1 불광천 40544054 0808 ~~ 09120912 조경석조경석 및 분수대설치및 분수대설치 사업완료사업완료 은평은평 마포마포 서대문서대문

2 성북천 4808748087 0808 ~~ 10121012 접근 계단설치접근 계단설치 공정 공정 5757 동대문동대문 성북성북

3 홍제천 7940679406 0404 ~~ 10121012 분수설치 분수설치 22 개소개소 산책로산책로 공정 공정 8686 마포마포 종로종로 서대문서대문

4 정릉천 4467644676 0808 ~~ 10121012 산책로산책로 여울여울 어도설치어도설치 공정 공정 6060 동대문동대문 성북성북

5 당현천 4109841098 0606 ~~ 11121112 산책로산책로 여울여울 어도 등어도 등 공정 공정 7070 노원구노원구

6 묵동천 56775677 0808 ~~ 10121012 유지관로 매설유지관로 매설 공정 공정 1515 중랑구중랑구

7 방학천 1767917679 0808 ~~ 10121012 공사 착수공사 착수 자재준비자재준비 공정 공정 55 도봉구도봉구

8 우이천 2085120851 0808 ~~ 10121012 공사 착수공사 착수 자재준비자재준비 공정 공정 55

성북성북 강북강북 노원노원 도봉도봉

9 도봉천 49504950 0808 ~~ 10121012 공사 착수공사 착수 자재준비자재준비 공정 공정 55 도봉구도봉구

10 대동천 28802880 0909 ~~ 10121012 공사 착수공사 착수 자재준비자재준비 공정 공정 55 강북구강북구

연번 하천명 총 사업비 사업기간 추진사항 비고

11 도림천 3352033520 0808 ~~ 105105 저수호안 공사 중저수호안 공사 중 공정 공정 9595

관악관악 구로구로 동작동작 영등포영등포

12 고덕천 1814018140 0808 ~~ 10121012 유지용수 공사 중유지용수 공사 중 공정 공정 1010 강동구강동구

13 반포천 30233023 0808 ~~ 10 510 5 호안공사 중호안공사 중 공정 공정 9595 서초구서초구

14 목감천 55135513 0909 ~~ 10121012 호안공사 중호안공사 중 공정 공정 3030 구로구구로구

15 세곡천 1127211272 0707 ~~ 10121012 보상 중보상 중 공사 발주 중공사 발주 중 강남구강남구

16 탄천 25002500 0909 ~~ 10121012 설계용역 마무리설계용역 마무리 공사발주 준비 중공사발주 준비 중 강남구강남구

17 성내천 2179321793 0202 ~~ 07120712 0710 0710 완료완료 송파구송파구

18 여의천 82008200 1111 ~~ 12121212 lsquo lsquo1111 년 이후 추진예정년 이후 추진예정 서초구서초구

19 양재천 1300013000 1111 ~~ 12121212 1111 년 이후 추진예정년 이후 추진예정 서초구서초구

20 망월천 75007500 1111 ~~ 12121212 lsquo lsquo1111 년 이후 추진예정년 이후 추진예정 강동구강동구

대상하천 20 개 하천 총사업비 3938 억원

Ⅲ 서울시 생태하천복원사업 모니터링 결과 - 자료조사와 설문조사

설명회 공청회 ( 시공 전 설계 단계에서 실시 ) 서대문구청 ( 홍제천 ) 노원구청

( 당현천 ) 성북구청 ( 성북천 ) 도봉구청 ( 방학천 ) 관악구청 ( 도림천 )

구청장의 동 순시 때 주민대상 설명 및 의견 수렴 서초구청 ( 반포천 )

주민조직 ( 단체 ) 의 의견 수렴 도봉구청과 lsquo아방사rsquo ( 아름다운 방학천을

사랑하는 모임 ) 노원구청과 lsquo당현천 지킴이rsquo 등

여의천 보금자리주택 예정지 ( 상류구간 ) 의 경우 주민들이 SH 공사에 하천폭을

넓혀달라 요청 ( 친수공간 확대 요구 )

지속적인 주민의견 반영 체계는 없음

1 사업 추진과정에 주민 참여 및 의견 수렴 과정

사업진행중인 하천 완공 이후 관리계획 수립 계획 ( 대부분의 구청 )

관리용역 발주 서대문구청 홍제천 관리를 위해 5 월 말에 관리용역

발주 예정 ( 반영예산 6 억원 청소 시설물 관리 경비 모니터링 )

담당공무원과 상용시설 관리원의 현장 순찰 도봉구청

주민들 또는 지역단체가 관리에 참여하는 경우는 없거나 저조

2 하천관리의 주민참여

저수로 및 하상 정비

자전거 도로 호안정비

방류수 유입 관로 설비 하수처리장 정수처리수 지하철 구간 유출

지하수 대형 빌딩 지하 유출수 일부 자연하천 유입수

친수구역 및 운동시설

인공 식재 ( 식물 종은 설계 단계에서 결정 )

3 주요 공사내용

20 개 하천 전체 사업예산 3938 억원

여러 행정구역을 통과하는 하천 사업의 경우 서울시에서 직접 사업 진행

우이천 (4 개 구 통과 통일성 있는 사업 추진 목적 )

대부분의 하천은 구청에서 사업 집행 시비 지원 + 구 예산

재정자립도에 따라 확보된 예산에 차이 지자체 부담분은 유동적

4 사업예산 및 사업추진 주체

Ⅲ 서울시 생태하천복원사업 모니터링 결과 - 현장조사

1 생태계와 식생

수변 자연식생이 발달한 모습

망월천 성내천성북천 여의천

인공식생의 모습 ndash ( 당현천 반포천 도림천 방학천 홍제천 )

자연식생을 모두 제거하고 공사중이며 인공식재 공사중이다

자연석 및 콘크리트 호안으로 생물의 접근성이 차단 된 상태

둑 안쪽을 콘크리트로 마감한 가운데 호안공에 인공식재 조성한 모습

인공식생을 조성하였으나 단조로워 곤충들이 서식하기에 부적절해 보임

2 하천의 형태 ( 호안공 제방 )

호안공을 콘크리트로 마감한 사례

( 여의천 당현천 )

사석을 쌓고 흙으로 채워 마감

( 반포천 성북천 ) 가장 흔하게 발견

나무로

호안공을

조성한 사례

도림천

여의천

콘크리트 옹벽 으로 제방을 만든 사례

인공식생 조성

자연모습의 호안공과 제방

성내천

망월천

여의천

3 인공구조물 - 수중보 징검다리 낙차공

용도를 알 수 없는 보 ( 홍제천 )징검다리 ( 반포천 도림천 )

ndash 어류의 이동이 보장되어야 함

낙차공

보행로

자전거도로

공원시설

운동시설

분수대

화단 조성

수변공원

4 둑 안쪽 부지 이용

5 저수로 하상 ( 하천바닥 시멘트 마감 )

주로 다리 도로 공사중인 곳에서 나타남

어류 및 생물의 이동을 불가능한 환경을 조성함

6 수질

수질 ( 도림천 )수질 ( 성북천 )

수질 ( 반포천 ) 생활하수의 직접 유입

물고임으로 인한 녹조현상

수질정화시설 미비

비점오염 차단시설 미흡

7 수질오염원

도로 우수 유입구 ( 당현천 )

오폐수 유입 ( 여의천 ) 철도 우수관 ( 도림천 )

도로 우수관 ( 반포천 )

Ⅳ 종합제언

1 하천생태복원 사업이후 모니터링 필요 2 하천정비계획시 주민의견 수렴과 참여 강화 3 하천정비시 생태적 측면 강화 인공구조물의 최소화

인공식재시 생태계 고려

수질오염 방제시설 강화 ( 비점오염 )

4 통합적 하천관리 필요 5 사업예정지 하천정비계획 재검토와 보완 6 근본적인 건천화 해소방안마련 빗물침투성 강화와 하수관거 정비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19
Page 9: 6.모니터링결과(서울시환경정책시민평가단)

대상하천 20 개 하천 총사업비 3938 억원

연번 하천명 총 사업비 사업기간 추진사항 비고

1 불광천 40544054 0808 ~~ 09120912 조경석조경석 및 분수대설치및 분수대설치 사업완료사업완료 은평은평 마포마포 서대문서대문

2 성북천 4808748087 0808 ~~ 10121012 접근 계단설치접근 계단설치 공정 공정 5757 동대문동대문 성북성북

3 홍제천 7940679406 0404 ~~ 10121012 분수설치 분수설치 22 개소개소 산책로산책로 공정 공정 8686 마포마포 종로종로 서대문서대문

4 정릉천 4467644676 0808 ~~ 10121012 산책로산책로 여울여울 어도설치어도설치 공정 공정 6060 동대문동대문 성북성북

5 당현천 4109841098 0606 ~~ 11121112 산책로산책로 여울여울 어도 등어도 등 공정 공정 7070 노원구노원구

6 묵동천 56775677 0808 ~~ 10121012 유지관로 매설유지관로 매설 공정 공정 1515 중랑구중랑구

7 방학천 1767917679 0808 ~~ 10121012 공사 착수공사 착수 자재준비자재준비 공정 공정 55 도봉구도봉구

8 우이천 2085120851 0808 ~~ 10121012 공사 착수공사 착수 자재준비자재준비 공정 공정 55

성북성북 강북강북 노원노원 도봉도봉

9 도봉천 49504950 0808 ~~ 10121012 공사 착수공사 착수 자재준비자재준비 공정 공정 55 도봉구도봉구

10 대동천 28802880 0909 ~~ 10121012 공사 착수공사 착수 자재준비자재준비 공정 공정 55 강북구강북구

연번 하천명 총 사업비 사업기간 추진사항 비고

11 도림천 3352033520 0808 ~~ 105105 저수호안 공사 중저수호안 공사 중 공정 공정 9595

관악관악 구로구로 동작동작 영등포영등포

12 고덕천 1814018140 0808 ~~ 10121012 유지용수 공사 중유지용수 공사 중 공정 공정 1010 강동구강동구

13 반포천 30233023 0808 ~~ 10 510 5 호안공사 중호안공사 중 공정 공정 9595 서초구서초구

14 목감천 55135513 0909 ~~ 10121012 호안공사 중호안공사 중 공정 공정 3030 구로구구로구

15 세곡천 1127211272 0707 ~~ 10121012 보상 중보상 중 공사 발주 중공사 발주 중 강남구강남구

16 탄천 25002500 0909 ~~ 10121012 설계용역 마무리설계용역 마무리 공사발주 준비 중공사발주 준비 중 강남구강남구

17 성내천 2179321793 0202 ~~ 07120712 0710 0710 완료완료 송파구송파구

18 여의천 82008200 1111 ~~ 12121212 lsquo lsquo1111 년 이후 추진예정년 이후 추진예정 서초구서초구

19 양재천 1300013000 1111 ~~ 12121212 1111 년 이후 추진예정년 이후 추진예정 서초구서초구

20 망월천 75007500 1111 ~~ 12121212 lsquo lsquo1111 년 이후 추진예정년 이후 추진예정 강동구강동구

대상하천 20 개 하천 총사업비 3938 억원

Ⅲ 서울시 생태하천복원사업 모니터링 결과 - 자료조사와 설문조사

설명회 공청회 ( 시공 전 설계 단계에서 실시 ) 서대문구청 ( 홍제천 ) 노원구청

( 당현천 ) 성북구청 ( 성북천 ) 도봉구청 ( 방학천 ) 관악구청 ( 도림천 )

구청장의 동 순시 때 주민대상 설명 및 의견 수렴 서초구청 ( 반포천 )

주민조직 ( 단체 ) 의 의견 수렴 도봉구청과 lsquo아방사rsquo ( 아름다운 방학천을

사랑하는 모임 ) 노원구청과 lsquo당현천 지킴이rsquo 등

여의천 보금자리주택 예정지 ( 상류구간 ) 의 경우 주민들이 SH 공사에 하천폭을

넓혀달라 요청 ( 친수공간 확대 요구 )

지속적인 주민의견 반영 체계는 없음

1 사업 추진과정에 주민 참여 및 의견 수렴 과정

사업진행중인 하천 완공 이후 관리계획 수립 계획 ( 대부분의 구청 )

관리용역 발주 서대문구청 홍제천 관리를 위해 5 월 말에 관리용역

발주 예정 ( 반영예산 6 억원 청소 시설물 관리 경비 모니터링 )

담당공무원과 상용시설 관리원의 현장 순찰 도봉구청

주민들 또는 지역단체가 관리에 참여하는 경우는 없거나 저조

2 하천관리의 주민참여

저수로 및 하상 정비

자전거 도로 호안정비

방류수 유입 관로 설비 하수처리장 정수처리수 지하철 구간 유출

지하수 대형 빌딩 지하 유출수 일부 자연하천 유입수

친수구역 및 운동시설

인공 식재 ( 식물 종은 설계 단계에서 결정 )

3 주요 공사내용

20 개 하천 전체 사업예산 3938 억원

여러 행정구역을 통과하는 하천 사업의 경우 서울시에서 직접 사업 진행

우이천 (4 개 구 통과 통일성 있는 사업 추진 목적 )

대부분의 하천은 구청에서 사업 집행 시비 지원 + 구 예산

재정자립도에 따라 확보된 예산에 차이 지자체 부담분은 유동적

4 사업예산 및 사업추진 주체

Ⅲ 서울시 생태하천복원사업 모니터링 결과 - 현장조사

1 생태계와 식생

수변 자연식생이 발달한 모습

망월천 성내천성북천 여의천

인공식생의 모습 ndash ( 당현천 반포천 도림천 방학천 홍제천 )

자연식생을 모두 제거하고 공사중이며 인공식재 공사중이다

자연석 및 콘크리트 호안으로 생물의 접근성이 차단 된 상태

둑 안쪽을 콘크리트로 마감한 가운데 호안공에 인공식재 조성한 모습

인공식생을 조성하였으나 단조로워 곤충들이 서식하기에 부적절해 보임

2 하천의 형태 ( 호안공 제방 )

호안공을 콘크리트로 마감한 사례

( 여의천 당현천 )

사석을 쌓고 흙으로 채워 마감

( 반포천 성북천 ) 가장 흔하게 발견

나무로

호안공을

조성한 사례

도림천

여의천

콘크리트 옹벽 으로 제방을 만든 사례

인공식생 조성

자연모습의 호안공과 제방

성내천

망월천

여의천

3 인공구조물 - 수중보 징검다리 낙차공

용도를 알 수 없는 보 ( 홍제천 )징검다리 ( 반포천 도림천 )

ndash 어류의 이동이 보장되어야 함

낙차공

보행로

자전거도로

공원시설

운동시설

분수대

화단 조성

수변공원

4 둑 안쪽 부지 이용

5 저수로 하상 ( 하천바닥 시멘트 마감 )

주로 다리 도로 공사중인 곳에서 나타남

어류 및 생물의 이동을 불가능한 환경을 조성함

6 수질

수질 ( 도림천 )수질 ( 성북천 )

수질 ( 반포천 ) 생활하수의 직접 유입

물고임으로 인한 녹조현상

수질정화시설 미비

비점오염 차단시설 미흡

7 수질오염원

도로 우수 유입구 ( 당현천 )

오폐수 유입 ( 여의천 ) 철도 우수관 ( 도림천 )

도로 우수관 ( 반포천 )

Ⅳ 종합제언

1 하천생태복원 사업이후 모니터링 필요 2 하천정비계획시 주민의견 수렴과 참여 강화 3 하천정비시 생태적 측면 강화 인공구조물의 최소화

인공식재시 생태계 고려

수질오염 방제시설 강화 ( 비점오염 )

4 통합적 하천관리 필요 5 사업예정지 하천정비계획 재검토와 보완 6 근본적인 건천화 해소방안마련 빗물침투성 강화와 하수관거 정비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19
Page 10: 6.모니터링결과(서울시환경정책시민평가단)

연번 하천명 총 사업비 사업기간 추진사항 비고

11 도림천 3352033520 0808 ~~ 105105 저수호안 공사 중저수호안 공사 중 공정 공정 9595

관악관악 구로구로 동작동작 영등포영등포

12 고덕천 1814018140 0808 ~~ 10121012 유지용수 공사 중유지용수 공사 중 공정 공정 1010 강동구강동구

13 반포천 30233023 0808 ~~ 10 510 5 호안공사 중호안공사 중 공정 공정 9595 서초구서초구

14 목감천 55135513 0909 ~~ 10121012 호안공사 중호안공사 중 공정 공정 3030 구로구구로구

15 세곡천 1127211272 0707 ~~ 10121012 보상 중보상 중 공사 발주 중공사 발주 중 강남구강남구

16 탄천 25002500 0909 ~~ 10121012 설계용역 마무리설계용역 마무리 공사발주 준비 중공사발주 준비 중 강남구강남구

17 성내천 2179321793 0202 ~~ 07120712 0710 0710 완료완료 송파구송파구

18 여의천 82008200 1111 ~~ 12121212 lsquo lsquo1111 년 이후 추진예정년 이후 추진예정 서초구서초구

19 양재천 1300013000 1111 ~~ 12121212 1111 년 이후 추진예정년 이후 추진예정 서초구서초구

20 망월천 75007500 1111 ~~ 12121212 lsquo lsquo1111 년 이후 추진예정년 이후 추진예정 강동구강동구

대상하천 20 개 하천 총사업비 3938 억원

Ⅲ 서울시 생태하천복원사업 모니터링 결과 - 자료조사와 설문조사

설명회 공청회 ( 시공 전 설계 단계에서 실시 ) 서대문구청 ( 홍제천 ) 노원구청

( 당현천 ) 성북구청 ( 성북천 ) 도봉구청 ( 방학천 ) 관악구청 ( 도림천 )

구청장의 동 순시 때 주민대상 설명 및 의견 수렴 서초구청 ( 반포천 )

주민조직 ( 단체 ) 의 의견 수렴 도봉구청과 lsquo아방사rsquo ( 아름다운 방학천을

사랑하는 모임 ) 노원구청과 lsquo당현천 지킴이rsquo 등

여의천 보금자리주택 예정지 ( 상류구간 ) 의 경우 주민들이 SH 공사에 하천폭을

넓혀달라 요청 ( 친수공간 확대 요구 )

지속적인 주민의견 반영 체계는 없음

1 사업 추진과정에 주민 참여 및 의견 수렴 과정

사업진행중인 하천 완공 이후 관리계획 수립 계획 ( 대부분의 구청 )

관리용역 발주 서대문구청 홍제천 관리를 위해 5 월 말에 관리용역

발주 예정 ( 반영예산 6 억원 청소 시설물 관리 경비 모니터링 )

담당공무원과 상용시설 관리원의 현장 순찰 도봉구청

주민들 또는 지역단체가 관리에 참여하는 경우는 없거나 저조

2 하천관리의 주민참여

저수로 및 하상 정비

자전거 도로 호안정비

방류수 유입 관로 설비 하수처리장 정수처리수 지하철 구간 유출

지하수 대형 빌딩 지하 유출수 일부 자연하천 유입수

친수구역 및 운동시설

인공 식재 ( 식물 종은 설계 단계에서 결정 )

3 주요 공사내용

20 개 하천 전체 사업예산 3938 억원

여러 행정구역을 통과하는 하천 사업의 경우 서울시에서 직접 사업 진행

우이천 (4 개 구 통과 통일성 있는 사업 추진 목적 )

대부분의 하천은 구청에서 사업 집행 시비 지원 + 구 예산

재정자립도에 따라 확보된 예산에 차이 지자체 부담분은 유동적

4 사업예산 및 사업추진 주체

Ⅲ 서울시 생태하천복원사업 모니터링 결과 - 현장조사

1 생태계와 식생

수변 자연식생이 발달한 모습

망월천 성내천성북천 여의천

인공식생의 모습 ndash ( 당현천 반포천 도림천 방학천 홍제천 )

자연식생을 모두 제거하고 공사중이며 인공식재 공사중이다

자연석 및 콘크리트 호안으로 생물의 접근성이 차단 된 상태

둑 안쪽을 콘크리트로 마감한 가운데 호안공에 인공식재 조성한 모습

인공식생을 조성하였으나 단조로워 곤충들이 서식하기에 부적절해 보임

2 하천의 형태 ( 호안공 제방 )

호안공을 콘크리트로 마감한 사례

( 여의천 당현천 )

사석을 쌓고 흙으로 채워 마감

( 반포천 성북천 ) 가장 흔하게 발견

나무로

호안공을

조성한 사례

도림천

여의천

콘크리트 옹벽 으로 제방을 만든 사례

인공식생 조성

자연모습의 호안공과 제방

성내천

망월천

여의천

3 인공구조물 - 수중보 징검다리 낙차공

용도를 알 수 없는 보 ( 홍제천 )징검다리 ( 반포천 도림천 )

ndash 어류의 이동이 보장되어야 함

낙차공

보행로

자전거도로

공원시설

운동시설

분수대

화단 조성

수변공원

4 둑 안쪽 부지 이용

5 저수로 하상 ( 하천바닥 시멘트 마감 )

주로 다리 도로 공사중인 곳에서 나타남

어류 및 생물의 이동을 불가능한 환경을 조성함

6 수질

수질 ( 도림천 )수질 ( 성북천 )

수질 ( 반포천 ) 생활하수의 직접 유입

물고임으로 인한 녹조현상

수질정화시설 미비

비점오염 차단시설 미흡

7 수질오염원

도로 우수 유입구 ( 당현천 )

오폐수 유입 ( 여의천 ) 철도 우수관 ( 도림천 )

도로 우수관 ( 반포천 )

Ⅳ 종합제언

1 하천생태복원 사업이후 모니터링 필요 2 하천정비계획시 주민의견 수렴과 참여 강화 3 하천정비시 생태적 측면 강화 인공구조물의 최소화

인공식재시 생태계 고려

수질오염 방제시설 강화 ( 비점오염 )

4 통합적 하천관리 필요 5 사업예정지 하천정비계획 재검토와 보완 6 근본적인 건천화 해소방안마련 빗물침투성 강화와 하수관거 정비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19
Page 11: 6.모니터링결과(서울시환경정책시민평가단)

Ⅲ 서울시 생태하천복원사업 모니터링 결과 - 자료조사와 설문조사

설명회 공청회 ( 시공 전 설계 단계에서 실시 ) 서대문구청 ( 홍제천 ) 노원구청

( 당현천 ) 성북구청 ( 성북천 ) 도봉구청 ( 방학천 ) 관악구청 ( 도림천 )

구청장의 동 순시 때 주민대상 설명 및 의견 수렴 서초구청 ( 반포천 )

주민조직 ( 단체 ) 의 의견 수렴 도봉구청과 lsquo아방사rsquo ( 아름다운 방학천을

사랑하는 모임 ) 노원구청과 lsquo당현천 지킴이rsquo 등

여의천 보금자리주택 예정지 ( 상류구간 ) 의 경우 주민들이 SH 공사에 하천폭을

넓혀달라 요청 ( 친수공간 확대 요구 )

지속적인 주민의견 반영 체계는 없음

1 사업 추진과정에 주민 참여 및 의견 수렴 과정

사업진행중인 하천 완공 이후 관리계획 수립 계획 ( 대부분의 구청 )

관리용역 발주 서대문구청 홍제천 관리를 위해 5 월 말에 관리용역

발주 예정 ( 반영예산 6 억원 청소 시설물 관리 경비 모니터링 )

담당공무원과 상용시설 관리원의 현장 순찰 도봉구청

주민들 또는 지역단체가 관리에 참여하는 경우는 없거나 저조

2 하천관리의 주민참여

저수로 및 하상 정비

자전거 도로 호안정비

방류수 유입 관로 설비 하수처리장 정수처리수 지하철 구간 유출

지하수 대형 빌딩 지하 유출수 일부 자연하천 유입수

친수구역 및 운동시설

인공 식재 ( 식물 종은 설계 단계에서 결정 )

3 주요 공사내용

20 개 하천 전체 사업예산 3938 억원

여러 행정구역을 통과하는 하천 사업의 경우 서울시에서 직접 사업 진행

우이천 (4 개 구 통과 통일성 있는 사업 추진 목적 )

대부분의 하천은 구청에서 사업 집행 시비 지원 + 구 예산

재정자립도에 따라 확보된 예산에 차이 지자체 부담분은 유동적

4 사업예산 및 사업추진 주체

Ⅲ 서울시 생태하천복원사업 모니터링 결과 - 현장조사

1 생태계와 식생

수변 자연식생이 발달한 모습

망월천 성내천성북천 여의천

인공식생의 모습 ndash ( 당현천 반포천 도림천 방학천 홍제천 )

자연식생을 모두 제거하고 공사중이며 인공식재 공사중이다

자연석 및 콘크리트 호안으로 생물의 접근성이 차단 된 상태

둑 안쪽을 콘크리트로 마감한 가운데 호안공에 인공식재 조성한 모습

인공식생을 조성하였으나 단조로워 곤충들이 서식하기에 부적절해 보임

2 하천의 형태 ( 호안공 제방 )

호안공을 콘크리트로 마감한 사례

( 여의천 당현천 )

사석을 쌓고 흙으로 채워 마감

( 반포천 성북천 ) 가장 흔하게 발견

나무로

호안공을

조성한 사례

도림천

여의천

콘크리트 옹벽 으로 제방을 만든 사례

인공식생 조성

자연모습의 호안공과 제방

성내천

망월천

여의천

3 인공구조물 - 수중보 징검다리 낙차공

용도를 알 수 없는 보 ( 홍제천 )징검다리 ( 반포천 도림천 )

ndash 어류의 이동이 보장되어야 함

낙차공

보행로

자전거도로

공원시설

운동시설

분수대

화단 조성

수변공원

4 둑 안쪽 부지 이용

5 저수로 하상 ( 하천바닥 시멘트 마감 )

주로 다리 도로 공사중인 곳에서 나타남

어류 및 생물의 이동을 불가능한 환경을 조성함

6 수질

수질 ( 도림천 )수질 ( 성북천 )

수질 ( 반포천 ) 생활하수의 직접 유입

물고임으로 인한 녹조현상

수질정화시설 미비

비점오염 차단시설 미흡

7 수질오염원

도로 우수 유입구 ( 당현천 )

오폐수 유입 ( 여의천 ) 철도 우수관 ( 도림천 )

도로 우수관 ( 반포천 )

Ⅳ 종합제언

1 하천생태복원 사업이후 모니터링 필요 2 하천정비계획시 주민의견 수렴과 참여 강화 3 하천정비시 생태적 측면 강화 인공구조물의 최소화

인공식재시 생태계 고려

수질오염 방제시설 강화 ( 비점오염 )

4 통합적 하천관리 필요 5 사업예정지 하천정비계획 재검토와 보완 6 근본적인 건천화 해소방안마련 빗물침투성 강화와 하수관거 정비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19
Page 12: 6.모니터링결과(서울시환경정책시민평가단)

설명회 공청회 ( 시공 전 설계 단계에서 실시 ) 서대문구청 ( 홍제천 ) 노원구청

( 당현천 ) 성북구청 ( 성북천 ) 도봉구청 ( 방학천 ) 관악구청 ( 도림천 )

구청장의 동 순시 때 주민대상 설명 및 의견 수렴 서초구청 ( 반포천 )

주민조직 ( 단체 ) 의 의견 수렴 도봉구청과 lsquo아방사rsquo ( 아름다운 방학천을

사랑하는 모임 ) 노원구청과 lsquo당현천 지킴이rsquo 등

여의천 보금자리주택 예정지 ( 상류구간 ) 의 경우 주민들이 SH 공사에 하천폭을

넓혀달라 요청 ( 친수공간 확대 요구 )

지속적인 주민의견 반영 체계는 없음

1 사업 추진과정에 주민 참여 및 의견 수렴 과정

사업진행중인 하천 완공 이후 관리계획 수립 계획 ( 대부분의 구청 )

관리용역 발주 서대문구청 홍제천 관리를 위해 5 월 말에 관리용역

발주 예정 ( 반영예산 6 억원 청소 시설물 관리 경비 모니터링 )

담당공무원과 상용시설 관리원의 현장 순찰 도봉구청

주민들 또는 지역단체가 관리에 참여하는 경우는 없거나 저조

2 하천관리의 주민참여

저수로 및 하상 정비

자전거 도로 호안정비

방류수 유입 관로 설비 하수처리장 정수처리수 지하철 구간 유출

지하수 대형 빌딩 지하 유출수 일부 자연하천 유입수

친수구역 및 운동시설

인공 식재 ( 식물 종은 설계 단계에서 결정 )

3 주요 공사내용

20 개 하천 전체 사업예산 3938 억원

여러 행정구역을 통과하는 하천 사업의 경우 서울시에서 직접 사업 진행

우이천 (4 개 구 통과 통일성 있는 사업 추진 목적 )

대부분의 하천은 구청에서 사업 집행 시비 지원 + 구 예산

재정자립도에 따라 확보된 예산에 차이 지자체 부담분은 유동적

4 사업예산 및 사업추진 주체

Ⅲ 서울시 생태하천복원사업 모니터링 결과 - 현장조사

1 생태계와 식생

수변 자연식생이 발달한 모습

망월천 성내천성북천 여의천

인공식생의 모습 ndash ( 당현천 반포천 도림천 방학천 홍제천 )

자연식생을 모두 제거하고 공사중이며 인공식재 공사중이다

자연석 및 콘크리트 호안으로 생물의 접근성이 차단 된 상태

둑 안쪽을 콘크리트로 마감한 가운데 호안공에 인공식재 조성한 모습

인공식생을 조성하였으나 단조로워 곤충들이 서식하기에 부적절해 보임

2 하천의 형태 ( 호안공 제방 )

호안공을 콘크리트로 마감한 사례

( 여의천 당현천 )

사석을 쌓고 흙으로 채워 마감

( 반포천 성북천 ) 가장 흔하게 발견

나무로

호안공을

조성한 사례

도림천

여의천

콘크리트 옹벽 으로 제방을 만든 사례

인공식생 조성

자연모습의 호안공과 제방

성내천

망월천

여의천

3 인공구조물 - 수중보 징검다리 낙차공

용도를 알 수 없는 보 ( 홍제천 )징검다리 ( 반포천 도림천 )

ndash 어류의 이동이 보장되어야 함

낙차공

보행로

자전거도로

공원시설

운동시설

분수대

화단 조성

수변공원

4 둑 안쪽 부지 이용

5 저수로 하상 ( 하천바닥 시멘트 마감 )

주로 다리 도로 공사중인 곳에서 나타남

어류 및 생물의 이동을 불가능한 환경을 조성함

6 수질

수질 ( 도림천 )수질 ( 성북천 )

수질 ( 반포천 ) 생활하수의 직접 유입

물고임으로 인한 녹조현상

수질정화시설 미비

비점오염 차단시설 미흡

7 수질오염원

도로 우수 유입구 ( 당현천 )

오폐수 유입 ( 여의천 ) 철도 우수관 ( 도림천 )

도로 우수관 ( 반포천 )

Ⅳ 종합제언

1 하천생태복원 사업이후 모니터링 필요 2 하천정비계획시 주민의견 수렴과 참여 강화 3 하천정비시 생태적 측면 강화 인공구조물의 최소화

인공식재시 생태계 고려

수질오염 방제시설 강화 ( 비점오염 )

4 통합적 하천관리 필요 5 사업예정지 하천정비계획 재검토와 보완 6 근본적인 건천화 해소방안마련 빗물침투성 강화와 하수관거 정비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19
Page 13: 6.모니터링결과(서울시환경정책시민평가단)

사업진행중인 하천 완공 이후 관리계획 수립 계획 ( 대부분의 구청 )

관리용역 발주 서대문구청 홍제천 관리를 위해 5 월 말에 관리용역

발주 예정 ( 반영예산 6 억원 청소 시설물 관리 경비 모니터링 )

담당공무원과 상용시설 관리원의 현장 순찰 도봉구청

주민들 또는 지역단체가 관리에 참여하는 경우는 없거나 저조

2 하천관리의 주민참여

저수로 및 하상 정비

자전거 도로 호안정비

방류수 유입 관로 설비 하수처리장 정수처리수 지하철 구간 유출

지하수 대형 빌딩 지하 유출수 일부 자연하천 유입수

친수구역 및 운동시설

인공 식재 ( 식물 종은 설계 단계에서 결정 )

3 주요 공사내용

20 개 하천 전체 사업예산 3938 억원

여러 행정구역을 통과하는 하천 사업의 경우 서울시에서 직접 사업 진행

우이천 (4 개 구 통과 통일성 있는 사업 추진 목적 )

대부분의 하천은 구청에서 사업 집행 시비 지원 + 구 예산

재정자립도에 따라 확보된 예산에 차이 지자체 부담분은 유동적

4 사업예산 및 사업추진 주체

Ⅲ 서울시 생태하천복원사업 모니터링 결과 - 현장조사

1 생태계와 식생

수변 자연식생이 발달한 모습

망월천 성내천성북천 여의천

인공식생의 모습 ndash ( 당현천 반포천 도림천 방학천 홍제천 )

자연식생을 모두 제거하고 공사중이며 인공식재 공사중이다

자연석 및 콘크리트 호안으로 생물의 접근성이 차단 된 상태

둑 안쪽을 콘크리트로 마감한 가운데 호안공에 인공식재 조성한 모습

인공식생을 조성하였으나 단조로워 곤충들이 서식하기에 부적절해 보임

2 하천의 형태 ( 호안공 제방 )

호안공을 콘크리트로 마감한 사례

( 여의천 당현천 )

사석을 쌓고 흙으로 채워 마감

( 반포천 성북천 ) 가장 흔하게 발견

나무로

호안공을

조성한 사례

도림천

여의천

콘크리트 옹벽 으로 제방을 만든 사례

인공식생 조성

자연모습의 호안공과 제방

성내천

망월천

여의천

3 인공구조물 - 수중보 징검다리 낙차공

용도를 알 수 없는 보 ( 홍제천 )징검다리 ( 반포천 도림천 )

ndash 어류의 이동이 보장되어야 함

낙차공

보행로

자전거도로

공원시설

운동시설

분수대

화단 조성

수변공원

4 둑 안쪽 부지 이용

5 저수로 하상 ( 하천바닥 시멘트 마감 )

주로 다리 도로 공사중인 곳에서 나타남

어류 및 생물의 이동을 불가능한 환경을 조성함

6 수질

수질 ( 도림천 )수질 ( 성북천 )

수질 ( 반포천 ) 생활하수의 직접 유입

물고임으로 인한 녹조현상

수질정화시설 미비

비점오염 차단시설 미흡

7 수질오염원

도로 우수 유입구 ( 당현천 )

오폐수 유입 ( 여의천 ) 철도 우수관 ( 도림천 )

도로 우수관 ( 반포천 )

Ⅳ 종합제언

1 하천생태복원 사업이후 모니터링 필요 2 하천정비계획시 주민의견 수렴과 참여 강화 3 하천정비시 생태적 측면 강화 인공구조물의 최소화

인공식재시 생태계 고려

수질오염 방제시설 강화 ( 비점오염 )

4 통합적 하천관리 필요 5 사업예정지 하천정비계획 재검토와 보완 6 근본적인 건천화 해소방안마련 빗물침투성 강화와 하수관거 정비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19
Page 14: 6.모니터링결과(서울시환경정책시민평가단)

저수로 및 하상 정비

자전거 도로 호안정비

방류수 유입 관로 설비 하수처리장 정수처리수 지하철 구간 유출

지하수 대형 빌딩 지하 유출수 일부 자연하천 유입수

친수구역 및 운동시설

인공 식재 ( 식물 종은 설계 단계에서 결정 )

3 주요 공사내용

20 개 하천 전체 사업예산 3938 억원

여러 행정구역을 통과하는 하천 사업의 경우 서울시에서 직접 사업 진행

우이천 (4 개 구 통과 통일성 있는 사업 추진 목적 )

대부분의 하천은 구청에서 사업 집행 시비 지원 + 구 예산

재정자립도에 따라 확보된 예산에 차이 지자체 부담분은 유동적

4 사업예산 및 사업추진 주체

Ⅲ 서울시 생태하천복원사업 모니터링 결과 - 현장조사

1 생태계와 식생

수변 자연식생이 발달한 모습

망월천 성내천성북천 여의천

인공식생의 모습 ndash ( 당현천 반포천 도림천 방학천 홍제천 )

자연식생을 모두 제거하고 공사중이며 인공식재 공사중이다

자연석 및 콘크리트 호안으로 생물의 접근성이 차단 된 상태

둑 안쪽을 콘크리트로 마감한 가운데 호안공에 인공식재 조성한 모습

인공식생을 조성하였으나 단조로워 곤충들이 서식하기에 부적절해 보임

2 하천의 형태 ( 호안공 제방 )

호안공을 콘크리트로 마감한 사례

( 여의천 당현천 )

사석을 쌓고 흙으로 채워 마감

( 반포천 성북천 ) 가장 흔하게 발견

나무로

호안공을

조성한 사례

도림천

여의천

콘크리트 옹벽 으로 제방을 만든 사례

인공식생 조성

자연모습의 호안공과 제방

성내천

망월천

여의천

3 인공구조물 - 수중보 징검다리 낙차공

용도를 알 수 없는 보 ( 홍제천 )징검다리 ( 반포천 도림천 )

ndash 어류의 이동이 보장되어야 함

낙차공

보행로

자전거도로

공원시설

운동시설

분수대

화단 조성

수변공원

4 둑 안쪽 부지 이용

5 저수로 하상 ( 하천바닥 시멘트 마감 )

주로 다리 도로 공사중인 곳에서 나타남

어류 및 생물의 이동을 불가능한 환경을 조성함

6 수질

수질 ( 도림천 )수질 ( 성북천 )

수질 ( 반포천 ) 생활하수의 직접 유입

물고임으로 인한 녹조현상

수질정화시설 미비

비점오염 차단시설 미흡

7 수질오염원

도로 우수 유입구 ( 당현천 )

오폐수 유입 ( 여의천 ) 철도 우수관 ( 도림천 )

도로 우수관 ( 반포천 )

Ⅳ 종합제언

1 하천생태복원 사업이후 모니터링 필요 2 하천정비계획시 주민의견 수렴과 참여 강화 3 하천정비시 생태적 측면 강화 인공구조물의 최소화

인공식재시 생태계 고려

수질오염 방제시설 강화 ( 비점오염 )

4 통합적 하천관리 필요 5 사업예정지 하천정비계획 재검토와 보완 6 근본적인 건천화 해소방안마련 빗물침투성 강화와 하수관거 정비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19
Page 15: 6.모니터링결과(서울시환경정책시민평가단)

20 개 하천 전체 사업예산 3938 억원

여러 행정구역을 통과하는 하천 사업의 경우 서울시에서 직접 사업 진행

우이천 (4 개 구 통과 통일성 있는 사업 추진 목적 )

대부분의 하천은 구청에서 사업 집행 시비 지원 + 구 예산

재정자립도에 따라 확보된 예산에 차이 지자체 부담분은 유동적

4 사업예산 및 사업추진 주체

Ⅲ 서울시 생태하천복원사업 모니터링 결과 - 현장조사

1 생태계와 식생

수변 자연식생이 발달한 모습

망월천 성내천성북천 여의천

인공식생의 모습 ndash ( 당현천 반포천 도림천 방학천 홍제천 )

자연식생을 모두 제거하고 공사중이며 인공식재 공사중이다

자연석 및 콘크리트 호안으로 생물의 접근성이 차단 된 상태

둑 안쪽을 콘크리트로 마감한 가운데 호안공에 인공식재 조성한 모습

인공식생을 조성하였으나 단조로워 곤충들이 서식하기에 부적절해 보임

2 하천의 형태 ( 호안공 제방 )

호안공을 콘크리트로 마감한 사례

( 여의천 당현천 )

사석을 쌓고 흙으로 채워 마감

( 반포천 성북천 ) 가장 흔하게 발견

나무로

호안공을

조성한 사례

도림천

여의천

콘크리트 옹벽 으로 제방을 만든 사례

인공식생 조성

자연모습의 호안공과 제방

성내천

망월천

여의천

3 인공구조물 - 수중보 징검다리 낙차공

용도를 알 수 없는 보 ( 홍제천 )징검다리 ( 반포천 도림천 )

ndash 어류의 이동이 보장되어야 함

낙차공

보행로

자전거도로

공원시설

운동시설

분수대

화단 조성

수변공원

4 둑 안쪽 부지 이용

5 저수로 하상 ( 하천바닥 시멘트 마감 )

주로 다리 도로 공사중인 곳에서 나타남

어류 및 생물의 이동을 불가능한 환경을 조성함

6 수질

수질 ( 도림천 )수질 ( 성북천 )

수질 ( 반포천 ) 생활하수의 직접 유입

물고임으로 인한 녹조현상

수질정화시설 미비

비점오염 차단시설 미흡

7 수질오염원

도로 우수 유입구 ( 당현천 )

오폐수 유입 ( 여의천 ) 철도 우수관 ( 도림천 )

도로 우수관 ( 반포천 )

Ⅳ 종합제언

1 하천생태복원 사업이후 모니터링 필요 2 하천정비계획시 주민의견 수렴과 참여 강화 3 하천정비시 생태적 측면 강화 인공구조물의 최소화

인공식재시 생태계 고려

수질오염 방제시설 강화 ( 비점오염 )

4 통합적 하천관리 필요 5 사업예정지 하천정비계획 재검토와 보완 6 근본적인 건천화 해소방안마련 빗물침투성 강화와 하수관거 정비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19
Page 16: 6.모니터링결과(서울시환경정책시민평가단)

Ⅲ 서울시 생태하천복원사업 모니터링 결과 - 현장조사

1 생태계와 식생

수변 자연식생이 발달한 모습

망월천 성내천성북천 여의천

인공식생의 모습 ndash ( 당현천 반포천 도림천 방학천 홍제천 )

자연식생을 모두 제거하고 공사중이며 인공식재 공사중이다

자연석 및 콘크리트 호안으로 생물의 접근성이 차단 된 상태

둑 안쪽을 콘크리트로 마감한 가운데 호안공에 인공식재 조성한 모습

인공식생을 조성하였으나 단조로워 곤충들이 서식하기에 부적절해 보임

2 하천의 형태 ( 호안공 제방 )

호안공을 콘크리트로 마감한 사례

( 여의천 당현천 )

사석을 쌓고 흙으로 채워 마감

( 반포천 성북천 ) 가장 흔하게 발견

나무로

호안공을

조성한 사례

도림천

여의천

콘크리트 옹벽 으로 제방을 만든 사례

인공식생 조성

자연모습의 호안공과 제방

성내천

망월천

여의천

3 인공구조물 - 수중보 징검다리 낙차공

용도를 알 수 없는 보 ( 홍제천 )징검다리 ( 반포천 도림천 )

ndash 어류의 이동이 보장되어야 함

낙차공

보행로

자전거도로

공원시설

운동시설

분수대

화단 조성

수변공원

4 둑 안쪽 부지 이용

5 저수로 하상 ( 하천바닥 시멘트 마감 )

주로 다리 도로 공사중인 곳에서 나타남

어류 및 생물의 이동을 불가능한 환경을 조성함

6 수질

수질 ( 도림천 )수질 ( 성북천 )

수질 ( 반포천 ) 생활하수의 직접 유입

물고임으로 인한 녹조현상

수질정화시설 미비

비점오염 차단시설 미흡

7 수질오염원

도로 우수 유입구 ( 당현천 )

오폐수 유입 ( 여의천 ) 철도 우수관 ( 도림천 )

도로 우수관 ( 반포천 )

Ⅳ 종합제언

1 하천생태복원 사업이후 모니터링 필요 2 하천정비계획시 주민의견 수렴과 참여 강화 3 하천정비시 생태적 측면 강화 인공구조물의 최소화

인공식재시 생태계 고려

수질오염 방제시설 강화 ( 비점오염 )

4 통합적 하천관리 필요 5 사업예정지 하천정비계획 재검토와 보완 6 근본적인 건천화 해소방안마련 빗물침투성 강화와 하수관거 정비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19
Page 17: 6.모니터링결과(서울시환경정책시민평가단)

1 생태계와 식생

수변 자연식생이 발달한 모습

망월천 성내천성북천 여의천

인공식생의 모습 ndash ( 당현천 반포천 도림천 방학천 홍제천 )

자연식생을 모두 제거하고 공사중이며 인공식재 공사중이다

자연석 및 콘크리트 호안으로 생물의 접근성이 차단 된 상태

둑 안쪽을 콘크리트로 마감한 가운데 호안공에 인공식재 조성한 모습

인공식생을 조성하였으나 단조로워 곤충들이 서식하기에 부적절해 보임

2 하천의 형태 ( 호안공 제방 )

호안공을 콘크리트로 마감한 사례

( 여의천 당현천 )

사석을 쌓고 흙으로 채워 마감

( 반포천 성북천 ) 가장 흔하게 발견

나무로

호안공을

조성한 사례

도림천

여의천

콘크리트 옹벽 으로 제방을 만든 사례

인공식생 조성

자연모습의 호안공과 제방

성내천

망월천

여의천

3 인공구조물 - 수중보 징검다리 낙차공

용도를 알 수 없는 보 ( 홍제천 )징검다리 ( 반포천 도림천 )

ndash 어류의 이동이 보장되어야 함

낙차공

보행로

자전거도로

공원시설

운동시설

분수대

화단 조성

수변공원

4 둑 안쪽 부지 이용

5 저수로 하상 ( 하천바닥 시멘트 마감 )

주로 다리 도로 공사중인 곳에서 나타남

어류 및 생물의 이동을 불가능한 환경을 조성함

6 수질

수질 ( 도림천 )수질 ( 성북천 )

수질 ( 반포천 ) 생활하수의 직접 유입

물고임으로 인한 녹조현상

수질정화시설 미비

비점오염 차단시설 미흡

7 수질오염원

도로 우수 유입구 ( 당현천 )

오폐수 유입 ( 여의천 ) 철도 우수관 ( 도림천 )

도로 우수관 ( 반포천 )

Ⅳ 종합제언

1 하천생태복원 사업이후 모니터링 필요 2 하천정비계획시 주민의견 수렴과 참여 강화 3 하천정비시 생태적 측면 강화 인공구조물의 최소화

인공식재시 생태계 고려

수질오염 방제시설 강화 ( 비점오염 )

4 통합적 하천관리 필요 5 사업예정지 하천정비계획 재검토와 보완 6 근본적인 건천화 해소방안마련 빗물침투성 강화와 하수관거 정비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19
Page 18: 6.모니터링결과(서울시환경정책시민평가단)

인공식생의 모습 ndash ( 당현천 반포천 도림천 방학천 홍제천 )

자연식생을 모두 제거하고 공사중이며 인공식재 공사중이다

자연석 및 콘크리트 호안으로 생물의 접근성이 차단 된 상태

둑 안쪽을 콘크리트로 마감한 가운데 호안공에 인공식재 조성한 모습

인공식생을 조성하였으나 단조로워 곤충들이 서식하기에 부적절해 보임

2 하천의 형태 ( 호안공 제방 )

호안공을 콘크리트로 마감한 사례

( 여의천 당현천 )

사석을 쌓고 흙으로 채워 마감

( 반포천 성북천 ) 가장 흔하게 발견

나무로

호안공을

조성한 사례

도림천

여의천

콘크리트 옹벽 으로 제방을 만든 사례

인공식생 조성

자연모습의 호안공과 제방

성내천

망월천

여의천

3 인공구조물 - 수중보 징검다리 낙차공

용도를 알 수 없는 보 ( 홍제천 )징검다리 ( 반포천 도림천 )

ndash 어류의 이동이 보장되어야 함

낙차공

보행로

자전거도로

공원시설

운동시설

분수대

화단 조성

수변공원

4 둑 안쪽 부지 이용

5 저수로 하상 ( 하천바닥 시멘트 마감 )

주로 다리 도로 공사중인 곳에서 나타남

어류 및 생물의 이동을 불가능한 환경을 조성함

6 수질

수질 ( 도림천 )수질 ( 성북천 )

수질 ( 반포천 ) 생활하수의 직접 유입

물고임으로 인한 녹조현상

수질정화시설 미비

비점오염 차단시설 미흡

7 수질오염원

도로 우수 유입구 ( 당현천 )

오폐수 유입 ( 여의천 ) 철도 우수관 ( 도림천 )

도로 우수관 ( 반포천 )

Ⅳ 종합제언

1 하천생태복원 사업이후 모니터링 필요 2 하천정비계획시 주민의견 수렴과 참여 강화 3 하천정비시 생태적 측면 강화 인공구조물의 최소화

인공식재시 생태계 고려

수질오염 방제시설 강화 ( 비점오염 )

4 통합적 하천관리 필요 5 사업예정지 하천정비계획 재검토와 보완 6 근본적인 건천화 해소방안마련 빗물침투성 강화와 하수관거 정비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19
Page 19: 6.모니터링결과(서울시환경정책시민평가단)

2 하천의 형태 ( 호안공 제방 )

호안공을 콘크리트로 마감한 사례

( 여의천 당현천 )

사석을 쌓고 흙으로 채워 마감

( 반포천 성북천 ) 가장 흔하게 발견

나무로

호안공을

조성한 사례

도림천

여의천

콘크리트 옹벽 으로 제방을 만든 사례

인공식생 조성

자연모습의 호안공과 제방

성내천

망월천

여의천

3 인공구조물 - 수중보 징검다리 낙차공

용도를 알 수 없는 보 ( 홍제천 )징검다리 ( 반포천 도림천 )

ndash 어류의 이동이 보장되어야 함

낙차공

보행로

자전거도로

공원시설

운동시설

분수대

화단 조성

수변공원

4 둑 안쪽 부지 이용

5 저수로 하상 ( 하천바닥 시멘트 마감 )

주로 다리 도로 공사중인 곳에서 나타남

어류 및 생물의 이동을 불가능한 환경을 조성함

6 수질

수질 ( 도림천 )수질 ( 성북천 )

수질 ( 반포천 ) 생활하수의 직접 유입

물고임으로 인한 녹조현상

수질정화시설 미비

비점오염 차단시설 미흡

7 수질오염원

도로 우수 유입구 ( 당현천 )

오폐수 유입 ( 여의천 ) 철도 우수관 ( 도림천 )

도로 우수관 ( 반포천 )

Ⅳ 종합제언

1 하천생태복원 사업이후 모니터링 필요 2 하천정비계획시 주민의견 수렴과 참여 강화 3 하천정비시 생태적 측면 강화 인공구조물의 최소화

인공식재시 생태계 고려

수질오염 방제시설 강화 ( 비점오염 )

4 통합적 하천관리 필요 5 사업예정지 하천정비계획 재검토와 보완 6 근본적인 건천화 해소방안마련 빗물침투성 강화와 하수관거 정비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19
Page 20: 6.모니터링결과(서울시환경정책시민평가단)

나무로

호안공을

조성한 사례

도림천

여의천

콘크리트 옹벽 으로 제방을 만든 사례

인공식생 조성

자연모습의 호안공과 제방

성내천

망월천

여의천

3 인공구조물 - 수중보 징검다리 낙차공

용도를 알 수 없는 보 ( 홍제천 )징검다리 ( 반포천 도림천 )

ndash 어류의 이동이 보장되어야 함

낙차공

보행로

자전거도로

공원시설

운동시설

분수대

화단 조성

수변공원

4 둑 안쪽 부지 이용

5 저수로 하상 ( 하천바닥 시멘트 마감 )

주로 다리 도로 공사중인 곳에서 나타남

어류 및 생물의 이동을 불가능한 환경을 조성함

6 수질

수질 ( 도림천 )수질 ( 성북천 )

수질 ( 반포천 ) 생활하수의 직접 유입

물고임으로 인한 녹조현상

수질정화시설 미비

비점오염 차단시설 미흡

7 수질오염원

도로 우수 유입구 ( 당현천 )

오폐수 유입 ( 여의천 ) 철도 우수관 ( 도림천 )

도로 우수관 ( 반포천 )

Ⅳ 종합제언

1 하천생태복원 사업이후 모니터링 필요 2 하천정비계획시 주민의견 수렴과 참여 강화 3 하천정비시 생태적 측면 강화 인공구조물의 최소화

인공식재시 생태계 고려

수질오염 방제시설 강화 ( 비점오염 )

4 통합적 하천관리 필요 5 사업예정지 하천정비계획 재검토와 보완 6 근본적인 건천화 해소방안마련 빗물침투성 강화와 하수관거 정비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19
Page 21: 6.모니터링결과(서울시환경정책시민평가단)

콘크리트 옹벽 으로 제방을 만든 사례

인공식생 조성

자연모습의 호안공과 제방

성내천

망월천

여의천

3 인공구조물 - 수중보 징검다리 낙차공

용도를 알 수 없는 보 ( 홍제천 )징검다리 ( 반포천 도림천 )

ndash 어류의 이동이 보장되어야 함

낙차공

보행로

자전거도로

공원시설

운동시설

분수대

화단 조성

수변공원

4 둑 안쪽 부지 이용

5 저수로 하상 ( 하천바닥 시멘트 마감 )

주로 다리 도로 공사중인 곳에서 나타남

어류 및 생물의 이동을 불가능한 환경을 조성함

6 수질

수질 ( 도림천 )수질 ( 성북천 )

수질 ( 반포천 ) 생활하수의 직접 유입

물고임으로 인한 녹조현상

수질정화시설 미비

비점오염 차단시설 미흡

7 수질오염원

도로 우수 유입구 ( 당현천 )

오폐수 유입 ( 여의천 ) 철도 우수관 ( 도림천 )

도로 우수관 ( 반포천 )

Ⅳ 종합제언

1 하천생태복원 사업이후 모니터링 필요 2 하천정비계획시 주민의견 수렴과 참여 강화 3 하천정비시 생태적 측면 강화 인공구조물의 최소화

인공식재시 생태계 고려

수질오염 방제시설 강화 ( 비점오염 )

4 통합적 하천관리 필요 5 사업예정지 하천정비계획 재검토와 보완 6 근본적인 건천화 해소방안마련 빗물침투성 강화와 하수관거 정비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19
Page 22: 6.모니터링결과(서울시환경정책시민평가단)

자연모습의 호안공과 제방

성내천

망월천

여의천

3 인공구조물 - 수중보 징검다리 낙차공

용도를 알 수 없는 보 ( 홍제천 )징검다리 ( 반포천 도림천 )

ndash 어류의 이동이 보장되어야 함

낙차공

보행로

자전거도로

공원시설

운동시설

분수대

화단 조성

수변공원

4 둑 안쪽 부지 이용

5 저수로 하상 ( 하천바닥 시멘트 마감 )

주로 다리 도로 공사중인 곳에서 나타남

어류 및 생물의 이동을 불가능한 환경을 조성함

6 수질

수질 ( 도림천 )수질 ( 성북천 )

수질 ( 반포천 ) 생활하수의 직접 유입

물고임으로 인한 녹조현상

수질정화시설 미비

비점오염 차단시설 미흡

7 수질오염원

도로 우수 유입구 ( 당현천 )

오폐수 유입 ( 여의천 ) 철도 우수관 ( 도림천 )

도로 우수관 ( 반포천 )

Ⅳ 종합제언

1 하천생태복원 사업이후 모니터링 필요 2 하천정비계획시 주민의견 수렴과 참여 강화 3 하천정비시 생태적 측면 강화 인공구조물의 최소화

인공식재시 생태계 고려

수질오염 방제시설 강화 ( 비점오염 )

4 통합적 하천관리 필요 5 사업예정지 하천정비계획 재검토와 보완 6 근본적인 건천화 해소방안마련 빗물침투성 강화와 하수관거 정비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19
Page 23: 6.모니터링결과(서울시환경정책시민평가단)

3 인공구조물 - 수중보 징검다리 낙차공

용도를 알 수 없는 보 ( 홍제천 )징검다리 ( 반포천 도림천 )

ndash 어류의 이동이 보장되어야 함

낙차공

보행로

자전거도로

공원시설

운동시설

분수대

화단 조성

수변공원

4 둑 안쪽 부지 이용

5 저수로 하상 ( 하천바닥 시멘트 마감 )

주로 다리 도로 공사중인 곳에서 나타남

어류 및 생물의 이동을 불가능한 환경을 조성함

6 수질

수질 ( 도림천 )수질 ( 성북천 )

수질 ( 반포천 ) 생활하수의 직접 유입

물고임으로 인한 녹조현상

수질정화시설 미비

비점오염 차단시설 미흡

7 수질오염원

도로 우수 유입구 ( 당현천 )

오폐수 유입 ( 여의천 ) 철도 우수관 ( 도림천 )

도로 우수관 ( 반포천 )

Ⅳ 종합제언

1 하천생태복원 사업이후 모니터링 필요 2 하천정비계획시 주민의견 수렴과 참여 강화 3 하천정비시 생태적 측면 강화 인공구조물의 최소화

인공식재시 생태계 고려

수질오염 방제시설 강화 ( 비점오염 )

4 통합적 하천관리 필요 5 사업예정지 하천정비계획 재검토와 보완 6 근본적인 건천화 해소방안마련 빗물침투성 강화와 하수관거 정비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19
Page 24: 6.모니터링결과(서울시환경정책시민평가단)

낙차공

보행로

자전거도로

공원시설

운동시설

분수대

화단 조성

수변공원

4 둑 안쪽 부지 이용

5 저수로 하상 ( 하천바닥 시멘트 마감 )

주로 다리 도로 공사중인 곳에서 나타남

어류 및 생물의 이동을 불가능한 환경을 조성함

6 수질

수질 ( 도림천 )수질 ( 성북천 )

수질 ( 반포천 ) 생활하수의 직접 유입

물고임으로 인한 녹조현상

수질정화시설 미비

비점오염 차단시설 미흡

7 수질오염원

도로 우수 유입구 ( 당현천 )

오폐수 유입 ( 여의천 ) 철도 우수관 ( 도림천 )

도로 우수관 ( 반포천 )

Ⅳ 종합제언

1 하천생태복원 사업이후 모니터링 필요 2 하천정비계획시 주민의견 수렴과 참여 강화 3 하천정비시 생태적 측면 강화 인공구조물의 최소화

인공식재시 생태계 고려

수질오염 방제시설 강화 ( 비점오염 )

4 통합적 하천관리 필요 5 사업예정지 하천정비계획 재검토와 보완 6 근본적인 건천화 해소방안마련 빗물침투성 강화와 하수관거 정비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19
Page 25: 6.모니터링결과(서울시환경정책시민평가단)

보행로

자전거도로

공원시설

운동시설

분수대

화단 조성

수변공원

4 둑 안쪽 부지 이용

5 저수로 하상 ( 하천바닥 시멘트 마감 )

주로 다리 도로 공사중인 곳에서 나타남

어류 및 생물의 이동을 불가능한 환경을 조성함

6 수질

수질 ( 도림천 )수질 ( 성북천 )

수질 ( 반포천 ) 생활하수의 직접 유입

물고임으로 인한 녹조현상

수질정화시설 미비

비점오염 차단시설 미흡

7 수질오염원

도로 우수 유입구 ( 당현천 )

오폐수 유입 ( 여의천 ) 철도 우수관 ( 도림천 )

도로 우수관 ( 반포천 )

Ⅳ 종합제언

1 하천생태복원 사업이후 모니터링 필요 2 하천정비계획시 주민의견 수렴과 참여 강화 3 하천정비시 생태적 측면 강화 인공구조물의 최소화

인공식재시 생태계 고려

수질오염 방제시설 강화 ( 비점오염 )

4 통합적 하천관리 필요 5 사업예정지 하천정비계획 재검토와 보완 6 근본적인 건천화 해소방안마련 빗물침투성 강화와 하수관거 정비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19
Page 26: 6.모니터링결과(서울시환경정책시민평가단)

5 저수로 하상 ( 하천바닥 시멘트 마감 )

주로 다리 도로 공사중인 곳에서 나타남

어류 및 생물의 이동을 불가능한 환경을 조성함

6 수질

수질 ( 도림천 )수질 ( 성북천 )

수질 ( 반포천 ) 생활하수의 직접 유입

물고임으로 인한 녹조현상

수질정화시설 미비

비점오염 차단시설 미흡

7 수질오염원

도로 우수 유입구 ( 당현천 )

오폐수 유입 ( 여의천 ) 철도 우수관 ( 도림천 )

도로 우수관 ( 반포천 )

Ⅳ 종합제언

1 하천생태복원 사업이후 모니터링 필요 2 하천정비계획시 주민의견 수렴과 참여 강화 3 하천정비시 생태적 측면 강화 인공구조물의 최소화

인공식재시 생태계 고려

수질오염 방제시설 강화 ( 비점오염 )

4 통합적 하천관리 필요 5 사업예정지 하천정비계획 재검토와 보완 6 근본적인 건천화 해소방안마련 빗물침투성 강화와 하수관거 정비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19
Page 27: 6.모니터링결과(서울시환경정책시민평가단)

6 수질

수질 ( 도림천 )수질 ( 성북천 )

수질 ( 반포천 ) 생활하수의 직접 유입

물고임으로 인한 녹조현상

수질정화시설 미비

비점오염 차단시설 미흡

7 수질오염원

도로 우수 유입구 ( 당현천 )

오폐수 유입 ( 여의천 ) 철도 우수관 ( 도림천 )

도로 우수관 ( 반포천 )

Ⅳ 종합제언

1 하천생태복원 사업이후 모니터링 필요 2 하천정비계획시 주민의견 수렴과 참여 강화 3 하천정비시 생태적 측면 강화 인공구조물의 최소화

인공식재시 생태계 고려

수질오염 방제시설 강화 ( 비점오염 )

4 통합적 하천관리 필요 5 사업예정지 하천정비계획 재검토와 보완 6 근본적인 건천화 해소방안마련 빗물침투성 강화와 하수관거 정비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19
Page 28: 6.모니터링결과(서울시환경정책시민평가단)

7 수질오염원

도로 우수 유입구 ( 당현천 )

오폐수 유입 ( 여의천 ) 철도 우수관 ( 도림천 )

도로 우수관 ( 반포천 )

Ⅳ 종합제언

1 하천생태복원 사업이후 모니터링 필요 2 하천정비계획시 주민의견 수렴과 참여 강화 3 하천정비시 생태적 측면 강화 인공구조물의 최소화

인공식재시 생태계 고려

수질오염 방제시설 강화 ( 비점오염 )

4 통합적 하천관리 필요 5 사업예정지 하천정비계획 재검토와 보완 6 근본적인 건천화 해소방안마련 빗물침투성 강화와 하수관거 정비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19
Page 29: 6.모니터링결과(서울시환경정책시민평가단)

Ⅳ 종합제언

1 하천생태복원 사업이후 모니터링 필요 2 하천정비계획시 주민의견 수렴과 참여 강화 3 하천정비시 생태적 측면 강화 인공구조물의 최소화

인공식재시 생태계 고려

수질오염 방제시설 강화 ( 비점오염 )

4 통합적 하천관리 필요 5 사업예정지 하천정비계획 재검토와 보완 6 근본적인 건천화 해소방안마련 빗물침투성 강화와 하수관거 정비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