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klm$%&'klfnokl m 3 pqr - korea development institute · 2014. 12. 30. · -...

14
A*STAR - , - A*STAR - -

Upload: others

Post on 21-Mar-2021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7 KLM$%&'KLFNOKL M 3 PQR - Korea Development Institute · 2014. 12. 30. · - Pro-Enterprise Ranking Survey, PEP Portal, PEP E-Bulletin, Smart Regulation Checklist, Online PEP Suggestion

한 국 개 발 연 구 원

<첨부 2>

회의비 내역서 및 증빙서

과제명 의료산업의 효율적 산업구조와 혁신성 제고에 관한 연구

과제책임자 김정욱 연구위원 사용자 김정욱 연구위원

집행목적 간담회 식비 일자·요일·시간 2014년 10월 22일 20시 ~ 23시

거래처(지역) Brewerkz-Riverside(싱가포르) 사용금액 싱가포르달러 282.50

인원수 김정욱 연구위원, 위서연 연구원 (이상 KDI)

홍석철 교수 (서강대학교), 정완교 교수 (한림대학교), 성기택 부사장 (디엠피 종합건축사무소)5명

회 의 록 (주요 핵심내용 성실히 작성)

회의주제 A*STAR 방문 및 면담 사전회의 회의장소 Brewerkz-Riverside(싱가포르)

□ A*STAR 면담내용 사전회의

- 기관 현황과 싱가포르 의료산업의 현황 및 투자 현황, 성과에 대한 지표 논의

- A*STAR 외 의료 연구개발 및 투자와 관련된 기관 논의

- 싱가포르 기초과학분야 및 의료분야 연구개발의 성과가 어떤 방향으로 나타나고 있는지 질문하고 그에 대한 자료 요청

- 한국과 싱가포르의 의료산업 활성화 및 의료 연구개발 투자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논의할 예정

<영수증 부착란>

Page 2: 7 KLM$%&'KLFNOKL M 3 PQR - Korea Development Institute · 2014. 12. 30. · - Pro-Enterprise Ranking Survey, PEP Portal, PEP E-Bulletin, Smart Regulation Checklist, Online PEP Suggestion

한 국 개 발 연 구 원

<첨부 2>

회의비 내역서 및 증빙서

과제명 의료산업의 효율적 산업구조와 혁신성 제고에 관한 연구

과제책임자 김정욱 연구위원 사용자 김정욱 연구위원

집행목적 간담회 식비 일자·요일·시간 2014년 10월 23일 08시 ~ 09시

거래처(지역) Peninsula Excelsior호텔(싱가포르) 사용금액 싱가포르달러 131.82

인원수 김정욱 연구위원, 위서연 연구원 (이상 KDI)

홍석철 교수 (서강대학교), 정완교 교수 (한림대학교), 성기택 부사장 (디엠피 종합건축사무소)5명

회 의 록 (주요 핵심내용 성실히 작성)

회의주제 조식간담회 (사전질의내용 회의) 회의장소 Peninsula Excelsior호텔(싱가포르)

□ 사전 질의내용에 대한 회의

1. Biomedical Sciences Research is the key research field that the A-STAR has focused on. What is the background and motivation

of selecting Biomedical Sciences Research as national research focus? (성장 원동력)

2. What kinds of policies (programs and supporting tools) have the A-STAR used to promote the “innovation” in biomedical sciences

research since BSR initiate was launched? Which policy has been the most effective in promoting the biomedical research? (정책

과의 연관성)

3. How has the A-STAR connected biomedical “research” sector with biomedical “industry” sector? What factors are important for

satisfying the intention of both research and industry sectors? (기초연구와 산업 성과와의 연계) 외 싱가포르 의료산업 전반에

대한 질의내용이 포함되어 있음.

- 이에 대한 답변과 보고서에 반영될 부분을 어떻게 활용할지 논의함.

<영수증 부착란>

Page 3: 7 KLM$%&'KLFNOKL M 3 PQR - Korea Development Institute · 2014. 12. 30. · - Pro-Enterprise Ranking Survey, PEP Portal, PEP E-Bulletin, Smart Regulation Checklist, Online PEP Suggestion

- 1 -

[그림 1] 싱가포르 R&D 구조 (Framework)

싱가포르 과학기술청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A*STAR)

회의록

일시: 2014년 10월 23일

장소: 싱가포르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회의실

참석자: Ms Crispina TAY (Assistant Head, Biomedical Research Council, A*STAR)

김정욱 연구위원, 위서연 연구원 (이상 KDI)

홍석철 교수 (서강대학교), 정완교 교수 (한림대학교), 성기택 부사장 (DMP건축사무소)

1. 싱가포르의 R&D 부처의 현황

□ 바이오메디컬(Biomedical Sciences, BMS)산업은 1990년부터 제조업의 4개 분야 중 하나로 지목

되어 집중지원을 시작함.

○ 싱가포르는 50년의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어 초반에는 노동집약적인 산업에 치중하였고

빠른 속도로 발전하여 기술집약적, 자본집약적 산업으로 옮겨가며 발전하였음. 1990년대에

들어 정부는 기술(technology)집약적인 산업, 제조업 등에 집중하기 시작하였고 2000년대에

는 지식, 혁신산업을 집중적으로 지원하기 시작함.

□ R&D 유관기관이 수직, 수평적 구조로 연계되어 교육, 산업, 의료 및 국민건강에 대한 연구와

투자를 하고 있음 - [그림1] 참조

Page 4: 7 KLM$%&'KLFNOKL M 3 PQR - Korea Development Institute · 2014. 12. 30. · - Pro-Enterprise Ranking Survey, PEP Portal, PEP E-Bulletin, Smart Regulation Checklist, Online PEP Suggestion

- 2 -

[그림 2] A*STAR의 구조

[그림 3] BMRC와 SERC의 세부 구조

○ A*STAR는 연구, 혁신, 기업 의회(Research, Innovation & Enterprise Council - 일종의 독립

기구)가 관장하는 부처인 무역·산업부(MTI, Ministry of Trade & Industry) 산하 기관임.

- A*STAR 이외에 EDB, Spring Singapore 등의 기관이 있어 싱가포르 자국 내의 기업 활동

을 지원하는 역할 등을 수행함.

- A*STAR 산하에는 연구를 담당하는 대학, 병원, 연구기관 등이 속해있음.

- 별개의 기구로 장기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National Research Foundation이 있음.

2. A*STAR와 바이오폴리스의 구조 및 현황

□ A*STAR는 바이오메디컬(BMS)과 기술을 중심으로 혁신경제를 이끄는 연구부서들로 이루어져

있음. - [그림2, 3] 참조

○ 전체적으로 5개의 부서로 나누어져 있음. BMS를 담당하는 부서에는 10개의 연구실이 속

해있고, 과학·기술 부서에는 8개의 연구실이 속해있으며 중첩되는 연구를 진행하는 공동연

구부서가 있음. 5,100명의 직원 중 60여 개국에서 온 4,100여 명이 연구원, 엔지니어, 기술

자 등이 포함되어 있고 그 중 절반이 박사학위 이상 소지자임.

○ 연구 분야 중 기초 과학 연구가 큰 비중을 차지함.

□ 바이오폴리스(Biopolis)의 기본 현황과 단계별 설립 시설

○ 4,000,000 평방미터, 38개 이상의 바이오메디컬 기업, 10개의 연구기관, 2,500명 이상의 연

구원, 60개국 배경의 규모를 가지고 있음.

Page 5: 7 KLM$%&'KLFNOKL M 3 PQR - Korea Development Institute · 2014. 12. 30. · - Pro-Enterprise Ranking Survey, PEP Portal, PEP E-Bulletin, Smart Regulation Checklist, Online PEP Suggestion

- 3 -

○ 현재까지 4단계로 각 기관을 설립하였고 네 번째 단계에서는 P&G 혁신센터 및 사기업이

입주하고 있음. (MERCK, Lonza group, Roche, GSK, Pfizer, Baxter 등)

- 2003년부터 기업들이 입주하였으며, 상당부분의 시설은 제조업과 관련되어 있고 일부는

R&D와 관련된 시설임.

□ 바이오메디컬산업과 바이오폴리스의 연혁

○ 2000년부터 시작된 바이오메디컬산업의 투자(S&T 2005, 2010, RIE 2015 등)는 5년을 주기

로 그 주요 목표를 재설정하였음.

- 2001~2005년, S&T 2005: 기초 연구 역량을 키우기 위한 인력 고용 및 투자

* S&T 2005의 전문가들을 통해 집중적으로 투자할 분야를 선별하여 향후 계획을 설정함

- 2006~2010년, S&T 2010: 임상 연구 발전을 위해 신경정신과, 안과, 전염성 질병(말라리아, 댕기 등), 내과적 질병(metabolic disease), 암에 대한 집중 투자

* 싱가포르가 열대지방이므로 전염성 질병에 대한 연구 수요가 증가하였고, 당뇨 등의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내과적 질환에 대한 연구에 투자함.

- 2011~2015년, RIE 2015: 건강·복지에 대한 연구 (기초과학의 응용)

○ 한국인 연구자들도 기술분야에 포함되어 있음.

○ Dr. Phillip(현 Chairman of Spring Singapore)이 바이오폴리스 초반에 영향력과 통솔력 있는

리더로서 다양한 분야의 최고 전문가들을 설득, 고용하는 데 노력하였기에 전문가 풀(pool)을 갖추는 것이 가능했음.

○ 또한 2003년 즈음, 미국의 NIH 기금의 상황이 좋지 않았기에 싱가포르로 각국의 전문가를

섭외하기 수월했던 것으로 보임.

3. R&D와 바이오메디컬산업 투자의 성과

□ 국가 R&D 지출 현황 - [그림4] 참조

○ 싱가포르의 경우 전체 R&D 예산의 23%인 30억US달러가 바이오메디컬 및 건강을 위한

연구에 투입되고 한국의 경우 전체의 8%인 10억US달러가 투입됨.

○ 연구에 대한 정부의 투자정도를 그림으로 표현하면 [그림5]에 나타나는바와 같음.

○ 싱가포르는 2011년 기준 국가 혁신지표에서 스위스, 스웨덴 다음으로 3위를 차지하였고

Academic Summit 혁신지표에서는 한국이 1위, 싱가포르가 2위를 차지함.

○ 싱가포르는 특히 노벨상 수상자를 비롯한 저명한 학계의 연구자들이 싱가포르의 기관에서

연구를 지속할 수 있도록 다각도의 노력을 통해 국가적 다양성을 확보함은 물론, 높은 수

준의 연구를 지원하고 있음.

○ 글로벌 혁신 지표(2011)에서 싱가포르는 3위로 59.64점을 기록, 세계 학술정상혁신 지표에

서는 한국이 1위로 US$97,900, 싱가포르가 2위로 US$84,500를 기록함. (연구자당 가치)

Page 6: 7 KLM$%&'KLFNOKL M 3 PQR - Korea Development Institute · 2014. 12. 30. · - Pro-Enterprise Ranking Survey, PEP Portal, PEP E-Bulletin, Smart Regulation Checklist, Online PEP Suggestion

- 4 -

[그림 4] 싱가포르 R&D 지출 현황

[그림 5] GDP대비 R&D비중과 인구당 과학자·기술자 비중

주: 원의 크기는 연간 R&D의 상대적인 규모를 나타냄

□ 바이오메디컬산업의 발전

○ 2000년 바이오메디컬산업에 투자를 시작하였고, 2003년 바이오폴리스(Biopolis)를 설립

○ 2012년 기준으로 BMS 제조업 산출량은 229억US달러(24.2조원)이고 부가가치는 119억US달러(12.6조원), GDP 대비 5.25%를 차지함.

Page 7: 7 KLM$%&'KLFNOKL M 3 PQR - Korea Development Institute · 2014. 12. 30. · - Pro-Enterprise Ranking Survey, PEP Portal, PEP E-Bulletin, Smart Regulation Checklist, Online PEP Suggestion

- 5 -

[그림 6] 싱가포르의 바이오메디컬산업의 성과

□ 싱가포르 전체 경제에서 바이오메디컬산업의 비중

○ 전체 산출량 대비 10%를 차지하는 데 비해 전체 부가가치의 26%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

하고 있음.

□ 그 외 의견

○ 혁신에 대한 정의: Things that you do not require resource but people to come up with something based on knowledge.

○ 생후부터 유아의 건강상태를 트래킹하여 모체의 유전, 영양 상태가 어떻게 발현되는지 등

을 연구하여 비만, 고령화로 인해 빈도가 높아진 심질환과 암 등에 대한 해결책을 찾기 위

한 프로젝트를 진행함. 신진대사 질병, 전염성 질병 등 위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 이러한

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P&G 등의 기업이 관심을 가지고 있고 싱가포르의 지리적 특성

상 다양한 인종의 샘플 선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음.

○ 싱가포르에서는 모든 근로자가 의무적으로 적립하는 중앙 펀드가 있음. 세대주가 펀드에

납입하는 경우 가족들의 의료보험(MediSave), 주택자금에 지원을 받을 수 있음. 심각한 병

을 지원하기에는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정부에서는 개인 보험을 추가로 드는 것을 권함.

- 자녀의 학업을 위해서는 자금을 빌리기 때문에 교육까지 커버한다고 보지 않음.

○ 의료행위에 대한 가격은 사립병원이 국립병원(연구병원)의 10배 정도 되나 보통 심각한

질병(암 등)의 경우 사립병원으로 가는 경우가 많음.

Page 8: 7 KLM$%&'KLFNOKL M 3 PQR - Korea Development Institute · 2014. 12. 30. · - Pro-Enterprise Ranking Survey, PEP Portal, PEP E-Bulletin, Smart Regulation Checklist, Online PEP Suggestion

- 6 -

4. 질의응답

□ (홍석철) 싱가포르에서 바이오메디컬산업에 투자하는 목표는 무엇인지? 산업의 발전을 목표로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직접적인 목적인지, 간접적으로 연구 활동을 지원하는 것인지?

○ MTI의 전체 예산의 45%가 A*STAR에 할당되어 있어 상당부분이 연구를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볼 수 있음.

- 18개의 연구실이 있는데 각각의 예산이 있음. 연구 프로포절을 제안하고 그에 맞는 예산

을 할당받음. 그러나 전체 요구하는 예산을 모두 지원하는 것은 아니며 10~20%는 외부

기업들로부터 지원받도록 하고 있음.

- A*STAR와 연계하여 연구를 진행하는 대학에는 지원을 하고 기업에는 지원하지 않음.

□ (정완교) R&D에 대한 성과는 오랜 기간이 지나 나타날 뿐만 아니라 성과에 대한 기준이 명확

하지 않아 측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 산출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 특히 바이오메디컬산업의 R&D 결과는 성과가 나타나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며 실제로

이에 대한 성과가 큰 것으로 보고 있지는 않음.

□ (홍석철) 대기업들이 싱가포르에 집중하여 연구에 참여하는 유인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 지리, 언어·인종에 있어 각 기업들이 연구 결과에 대한 테스트를 하기에 좋은 환경이며 아

시아의 다수 국가에 진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됨.

□ (홍석철) 규제와 연관이 있는 것은 아닌지? 예를 들어 한국에서는 화장품 회사들이 임상 테스

트를 하고자 할 때, 각종 규제 때문에 어려움이 있다는 인식이 있음. 싱가포르의 임상 테스트

에 대한 규제는 어느 수준인지?

○ 주변 국가들에 비해 규제제도가 잘 발달된 편은 아니나, 최근 제약회사(Pharmaceutical)에있어서 규제 수준이 높아졌음. 현 수준이 기업에 어느 정도의 제약을 주는지는 확인하기

어렵지만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기업활동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음.

□ (홍석철) 사기업과 A*STAR는 협력을 하는지?

○ 연구 활동에 있어 협력을 하고 있음. 기업 입장에서는 연구 인력과 대형의 시설 및 장비를

고용하거나 구입하는 것이 부담되기 때문에 A*STAR에 일정 사용료나 인건비를 지급하고

프로젝트를 요청하는 형태임.

○ 그러나 공간을 대여하는 비용이 굉장히 높기 때문에 확실한 연구 목표가 있는 경우에만

협동 프로젝트를 진행함.

□ (정완교) 혁신을 측정하는 방법은 새로운 약 혹은 의료기기의 개발이나 특허 및 논문의 수로

하는데 싱가포르의 경우 혁신에 대한 성과 자료가 있는지? 지금까지의 활동에 대한 평가와 산

업의 부가가치에 있어 미래에 기대하는 바가 있다면 어떤 것인지?

○ 명시적인 자료는 없으나 기반(fundamental)을 다지고 아시아 국가들과 협력해야 한다는 논

의가 있음. 기초과학에 대한 투자와 경제적인 성과를 연결 짓기가 어려운 측면이 있으나, 지금까지의 방식에서의 시행착오를 교훈삼아야 한다는 연구자들의 주장이 있음.

Page 9: 7 KLM$%&'KLFNOKL M 3 PQR - Korea Development Institute · 2014. 12. 30. · - Pro-Enterprise Ranking Survey, PEP Portal, PEP E-Bulletin, Smart Regulation Checklist, Online PEP Suggestion

- 7 -

□ (김정욱) 성과 측정한 것이 있는지?

○ 지난 10년 동안 성과가 없는 경우 연구소를 닫은 적도 있음. 이런 경우 대부분 소규모의

연구소가 많고 일반적으로 해당 분야에 적절한 연구 인력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음. 소수의 케이스 스터디들이 있음.

□ (김정욱) 특허의 소속은 어떻게 되는지?

○ A*STAR에서 개발된 경우 A*STAR 소속이고 외부 기업에서 특허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라이선싱을 통해 이용할 수 있음.

Page 10: 7 KLM$%&'KLFNOKL M 3 PQR - Korea Development Institute · 2014. 12. 30. · - Pro-Enterprise Ranking Survey, PEP Portal, PEP E-Bulletin, Smart Regulation Checklist, Online PEP Suggestion

한 국 개 발 연 구 원

<첨부 2>

회의비 내역서 및 증빙서

과제명 의료산업의 효율적 산업구조와 혁신성 제고에 관한 연구

과제책임자 김정욱 연구위원 사용자 김정욱 연구위원

집행목적 간담회 식비 일자·요일·시간 2014년 10월 23일 18시 ~ 20시

거래처(지역) RED HOUSE(싱가포르) 사용금액 싱가포르달러 403.70

인원수 김정욱 연구위원, 위서연 연구원 (이상 KDI)

홍석철 교수 (서강대학교), 정완교 교수 (한림대학교), 성기택 부사장 (디엠피 종합건축사무소)5명

회 의 록 (주요 핵심내용 성실히 작성)

회의주제 A*STAR와 바이오폴리스 면담 및 견학 회의장소 KHIDI, RED HOUSE

□ 싱가포르 과학기술청 A*STAR 방문 및 면담 (면담 회의록 별첨)

- 싱가포르의 R&D 부처의 현황

- A*STAR와 바이오폴리스의 구조 및 현황

- R&D와 바이오메디컬산업 투자의 성과

- 그 외 싱가포르의 의료 및 기초과학분야 정책과 국내 연구개발 현황과의 비교 논의

□ 바이오폴리스(BioPolis) 단지 견학

<영수증 부착란>

Page 11: 7 KLM$%&'KLFNOKL M 3 PQR - Korea Development Institute · 2014. 12. 30. · - Pro-Enterprise Ranking Survey, PEP Portal, PEP E-Bulletin, Smart Regulation Checklist, Online PEP Suggestion

한 국 개 발 연 구 원

<첨부 2>

회의비 내역서 및 증빙서

과제명 의료산업의 효율적 산업구조와 혁신성 제고에 관한 연구

과제책임자 김정욱 연구위원 사용자 김정욱 연구위원

집행목적 간담회 식비 일자·요일·시간 2014년 10월 24일 08시 ~ 09시

거래처(지역) Peninsula Excelsior호텔(싱가포르) 사용금액 싱가포르달러 105.46

인원수 김정욱 연구위원, 위서연 연구원 (이상 KDI)

홍석철 교수 (서강대학교), 정완교 교수 (한림대학교), 성기택 부사장 (디엠피 종합건축사무소)5명

회 의 록 (주요 핵심내용 성실히 작성)

회의주제 조식간담회 (PEP 사전질의내용 회의) 회의장소 Peninsula Excelsior호텔(싱가포르)

□ 국내의 규제개혁 배경과 성과에 대한 통계 및 자료 공유함.

□ 규제개혁에 대한 싱가포르 당국의 절차와 관점, 규제개선 건의 통로에 대한 질의서를 보냄.

- 영국의 사례와 이를 적용한 연구, 국내 사례 등을 정리해야 함께 소개해야 함.

- OECD 협동 과제와 관련하여 추후 업무 협의를 도모해야 함.

<영수증 부착란>

Page 12: 7 KLM$%&'KLFNOKL M 3 PQR - Korea Development Institute · 2014. 12. 30. · - Pro-Enterprise Ranking Survey, PEP Portal, PEP E-Bulletin, Smart Regulation Checklist, Online PEP Suggestion

싱가포르 Pro-Enterprise Panel 면담 회의록

일시: 2014년 10월 24일

장소: 싱가포르 Ministry of Manpower Building

참석자: Christopher LIN, Stephanie Kam (Senior Assistant Director (Research & Enterprise

Division), PEP Secretariat, Ministry of Trade & Industry)

김정욱 연구위원, 위서연 연구원 (이상 KDI)

1. 회의 내용

□ PEP의 구성

○ Civil Service 정부부서의 최고책임자에 의해 운영되며 주로 기업경영인들이 협조함.

- 주요 기업들의 CEO와 OCBC 은행 관계자, 중소기업인 등 각 분야의 이해관계자들이 모

여 다양한 시각의 의견을 개진함.

○ 선임공무원과 PEP 사무국(secretariat)이 정기적인 회의를 운영함.

○ PEP의 회의는 다음과 같이 개최됨.

- PEP 최고책임자(Chairman)에 의해, 불가피한 경우 부책임자(deputy)에 의해 개최됨.

- 결정은 만장일치로 이뤄져야 함. 불가능한 경우 최고책임자의 권한에 따름.

- 재무부에서 분기마다 한 번씩 개최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사무국에 의해 결정됨. 모든 구성원이 참여 가능한 일정으로 조율함.

- 안건 제시 및 지원, 관련 정보 수집 등 세부 작업은 사무국이 수행함.

□ PEP의 역할

○ 기업 친화적인 환경을 위한 규제 개선

○ 불필요한 규제(red tape) 개선 요구

○ First Mover Framework 도모

○ PEP 구성원들은 다음의 책임을 가짐.

- 정기적으로 개최되는 공공/기업부문의 협의 회의에 성실히 참여해야 함.

- 기업친화적인 이슈에 대해 토론해야 하며 필요하다면 사무국으로 하여금 심층연구를 제

안해야 함.

- 현 정부의 기업친화적 활동에 대한 객관적인 시각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함.

- 기업친화 문제와 관련된 피드백과 제안들을 표면화할 수 있어야 함.

- PEP의 패널로써 관련 활동을 지지해야 함.

Page 13: 7 KLM$%&'KLFNOKL M 3 PQR - Korea Development Institute · 2014. 12. 30. · - Pro-Enterprise Ranking Survey, PEP Portal, PEP E-Bulletin, Smart Regulation Checklist, Online PEP Suggestion

□ 기업친화적인 환경 지원

○ 기업인 커뮤니티의 참여를 도모하고 Smarter Regulation을 지향함.

○ 다음의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규제개선의 노력을 기울임.

- Pro-Enterprise Ranking Survey, PEP Portal, PEP E-Bulletin, Smart Regulation Checklist, Online PEP Suggestion Form, First Mover Framework, PEP Facebook, STENT Activists/QSMs, PEP Roadshows, Engagements with Trade Associations & SME Centres, Agencies' DEEP Dives

- Pro-Enterprise Ranking Survey는 2004년에 설계되어 규제기관들의 기업고객(customer)에 대

한 조사를 실시함. 이는 규제 기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플랫폼의 모니터링과 기업의

방향성에 대한 벤치마크 제시, 각 기관의 규제 개선에 주요한 분야를 인식하는 목적을 두

고 있음.

○ 불필요한 규제 폐지(Cut Red Tape)에 있어서는 기업으로부터 규제에 대한 피드백을 받아

패널과 해당 부처, PEP 사무국이 검토하여 활발한 토론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여 다시 기업

에 전달하는 경로를 가지고 있음.

- 2000년 설립 이후 총 1,839건의 제안을 받아들였고 그 중 55.2%(1,015건)가 수용, 44.5%가

거절되었고 나머지는 현재 검토중임.

○ First Mover Framework은 기업인들에게 공공 자원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혁신적인 사업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프레임워크인데 PEP의 도움을 받아 공공 부처가 어떤 아이디어가 강

점이 있는지를 결정하게 됨. 배분과 가격 경쟁력이 있음.

□ 공공서비스 측면과 기업 측면의 이점

○ 공공서비스 측면

- 기업친화적 규제에 대해 고취된(imbued) 문화 정착 및 소비자 중심의 방향성 제시

- 공무원들이 위험관리(risk management)를 강조하고 바람직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도록 하

는 가치관 환기

- 규제에 있어서 서로 다른 부처들 간의 긴밀한 협의 활성화

○ 기업 측면

- 순응비용 감소 - 정부의 비용, 처리시간 단축과 투명한 규제 제시

- 정부의 자산을 혁신적인 아이디어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확신

- 직접 피드백을 제시할 수 있는 플랫폼 마련

- 규제에 대한 평가에 직접 참여가능

Page 14: 7 KLM$%&'KLFNOKL M 3 PQR - Korea Development Institute · 2014. 12. 30. · - Pro-Enterprise Ranking Survey, PEP Portal, PEP E-Bulletin, Smart Regulation Checklist, Online PEP Suggestion

한 국 개 발 연 구 원

<첨부 2>

회의비 내역서 및 증빙서

과제명 의료산업의 효율적 산업구조와 혁신성 제고에 관한 연구

과제책임자 김정욱 연구위원 사용자 김정욱 연구위원

집행목적 간담회 식비 일자·요일·시간 2014년 10월 24일 12시 ~ 13시

거래처(지역) SUANTHAI (싱가포르) 사용금액 싱가포르달러 195.25

인원수 김정욱 연구위원, 위서연 연구원 (이상 KDI)

홍석철 교수 (서강대학교), 정완교 교수 (한림대학교), 성기택 부사장 (디엠피 종합건축사무소)5명

회 의 록 (주요 핵심내용 성실히 작성)

회의주제 PEP 면담 (규제개혁 기업패널) 회의장소 MMP 빌딩/SUANTHAI (싱가포르)

□ PEP의 구성

○ Civil Service 정부부서의 최고책임자에 의해 운영되며 주로 기업경영인들이 협조함.

- 주요 기업들의 CEO와 OCBC 은행 관계자, 중소기업인 등 각 분야의 이해관계자들이 모여 다양한 시각의 의견을 개진

함.

○ 선임공무원과 PEP 사무국(secretariat)이 정기적인 회의를 운영함.

□ PEP의 역할

○ 기업 친화적인 환경을 위한 규제 개선, ○ 불필요한 규제(red tape) 개선 요구, ○ First Mover Framework 도모

□ 공공서비스 측면과 기업 측면의 이점

○ 공공서비스 측면

- 기업친화적 규제에 대해 고취된(imbued) 문화 정착 및 소비자 중심의 방향성 제시

- 공무원들이 위험관리(risk management)를 강조하고 바람직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도록 하는 가치관 환기

- 규제에 있어서 서로 다른 부처들 간의 긴밀한 협의 활성화

○ 기업 측면

- 순응비용 감소 - 정부의 비용, 처리시간 단축과 투명한 규제 제시

- 정부의 자산을 혁신적인 아이디어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확신

- 직접 피드백을 제시할 수 있는 플랫폼 마련

- 규제에 대한 평가에 직접 참여가능

<영수증 부착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