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50
2011교원능력개발평가 설문조사 결과 한국교육개발원 교원정책연구실장 1

Upload: hyung-joon-jun

Post on 27-Mar-2016

224 views

Category:

Documents


4 download

DESCRIPTION

한국교육개발원(KEDI)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및 설문조사 결과

TRANSCRIPT

Page 1: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및 설문조사 결과

김 갑 성

한국교육개발원 교원정책연구실장

1

Page 2: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I.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시행 일반

II.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시행 결과

III.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관련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IV. 교사 기초통계에 따른 결과 분석

V.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성과

2

Page 3: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Copyright © KEDI 2010

3

Ⅰ.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시행 일반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실시 현황

전국 10,617개교(93.24%) 평가 실시(2011.12.9 현재)

전체학교 실시학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특수학교

11,387 10,617 5,788 2,985 2,157 137

• NEIS 연계 온라인평가시스템에서 산출한 학교 수(분교도 1교로 산정) • 전북교육청 관할 학교 제외(770교 중 초 420교, 중 206교, 고 132교, 특 10교)

Page 4: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Copyright © KEDI 2010

4

Ⅰ.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시행 일반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참여 현황 - 교원

전국 교원의 89.89% 참여 (2010년 대비 1.15% ↑)

학교급 전체 교원 참여 교원 참여율(%) 비고

초등학교 156,794 147,470 94.05

중학교 99,716 88,330 88.58

고등학교 119,465 101,844 85.25

특수학교 6,421 6,081 94.70

계 382,396 343,725 89.89

• 전북교육청 교원수(초 7,894명, 중 5,277명, 고 5,912명, 특 293명] • 전북교육청 참여율(교장 39.49%, 교감 49.19%, 교사 86.19%]

Page 5: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Copyright © KEDI 2010

5

Ⅰ.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시행 일반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참여 현황 - 학생

전국 학생의 78.90% 참여 (2010년 대비 1.21% ↓)

학교급 참여 대상자 참여자 비율(%) 비고

초등학교 1,649,393 1,406,238 85.26

중학교 1,823,059 1,441,319 79.06

고등학교 1,838,364 1,343,272 73.07

특수학교 1,336 719 53.82

계 5,312,152 4,191,548 78.90

•전북교육청 참여율(학생 21,914명 중 130,372명 60.66%]

Page 6: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Copyright © KEDI 2010

6

Ⅰ.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시행 일반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참여 현황 - 학부모

전국 학부모의 45.59% 참여 (2010년 대비 8.65% ↓)

학교급 참여 대상자 참여자 비율(%) 비고

초등학교 2,993,760 1,626,319 54.32

중학교 1,825,039 802,326 43.96

고등학교 1,840,034 605,903 32.93

특수학교 21,458 11,217 52.27

계 6,680,291 3,045,765 45.59

•전북교육청 참여율(학부모 268,833명 중 47,112명 17.52%)

Page 7: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I.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시행 일반

II.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시행 결과

III.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관련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IV. 교사 기초통계에 따른 결과 분석

V.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성과

7

Page 8: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8

Ⅱ.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시행 결과

1. 일반교사에 대한 평가 결과

평가 주체 및 요소별 평가 결과(일반교사)

Page 9: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9

학교급별 평가 결과(일반교사)

Ⅱ.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시행 결과

Page 10: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10

평가요소에 따른 일반교사의 동료교원평가 결과에 대한 학교급별 비교

주. 특수학교의 동료교원평가 결과는 일반학교 특수교사 결과에 포함됨

Ⅱ.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시행 결과

Page 11: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11

평가요소에 따른 일반교사의 학생만족도조사 결과 학교급별 비교

Ⅱ.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시행 결과

Page 12: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12

평가요소에 따른 일반교사의 학부모만족도조사 결과 학교급별 비교

Ⅱ.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시행 결과

Page 13: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13

평가 주체 및 요소별 평가 결과(특수교사)

2. 특수교사 및 비교과교사에 대한 평가 결과

Ⅱ.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시행 결과

Page 14: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14

Ⅱ.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시행 결과

평가 주체 및 요소별 평가 결과(보건교사)

Page 15: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15

Ⅱ.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시행 결과

평가 주체 및 요소별 평가 결과(영양교사)

Page 16: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16

Ⅱ.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시행 결과

평가 주체 및 요소별 평가 결과(사서교사)

Page 17: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17

Ⅱ.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시행 결과

평가 주체 및 요소별 평가 결과(전문상담교사)

Page 18: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18

평가 주체 및 요소별 평가 결과(교장)

3. 교장 및 교감에 대한 평가 결과

평가 주체 및 요소별 평가 결과(교감)

Ⅱ.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시행 결과

Page 19: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19

학교급별 평가 결과(교장)

Ⅱ.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시행 결과

학교급별 평가 결과(교감)

Page 20: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20

Ⅱ.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시행 결과

평가요소에 따른 교장의 동료교원평가 결과에 대한 학교급별 비교

Page 21: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21

평가요소에 따른 교장의 학부모만족도조사 결과에 대한 학교급별 비교

Ⅱ.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시행 결과

Page 22: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22

Ⅱ.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시행 결과

평가요소에 따른 교감의 동료교원평가 결과에 대한 학교급별 비교

Page 23: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23

Ⅱ.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시행 결과

평가요소에 따른 교감의 학부모만족도조사 결과에 대한 학교급별 비교

Page 24: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I.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시행 일반

II.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시행 결과

III.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관련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IV. 교사 기초통계에 따른 결과 분석

V.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성과

24

Page 25: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25

분석 자료 일반 현황

구분 2010년 LEPRI 2011년 KEDI

조사 주제 2010년도 교원능력개발평가

운영 효과 및 개선방향 2011년도 교원능력개발평가

운영 및 개선방향

조사 대상 교사․학생․학부모 교사․학생․학부모

조사 시․도 전국 16개 시․도교육청 전국 15개 시․도교육청 (전라북도교육청 제외)

시행 일시 2010년 11월 5일 ~ 11월 11일 2011년 12월 8일 ~ 12월 14일

시행 방법 온라인 조사(대전은 종이설문) 온라인 조사

응답 인원

교원 18,654 8,605

학생 29,640 10,292

학부모 23,592 7,388

표집 대비 응답률 - 45.14%(전북 제외 47.97%)

Ⅳ.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성과

1. 온라인 설문조사 시행 일반

Page 26: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26

시․도별 온라인 설문조사 응답자 수

Ⅲ.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관련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Page 27: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27

효과성 관련 설문문항별 평균 점수(교사)

Ⅲ.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관련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Page 28: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28

객관적 성찰에 도움이 되는 교원능력개발평가 결과(교사)

Ⅲ.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관련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Page 29: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29

개선 사항 관련 문항 교사 평균 점수

Ⅲ.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관련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Page 30: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30

교원능력개발평가 시행 효과에 대한 학생 응답 평균

Ⅲ.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관련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Page 31: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31

학생만족도조사 실시 장소

Ⅲ.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관련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Page 32: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32

교원능력개발평가 시행 효과에 대한 학부모 응답 평균

Ⅲ.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관련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Page 33: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I.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시행 일반

II.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시행 결과

III.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관련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IV. 교사 기초통계에 따른 결과 분석

V.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성과

33

Page 34: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Copyright © KEDI 2010

34

Ⅴ.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성과

1. 교원능력개발평가 결과 비교

일반교사의 영역별 결과 비교(동료교원평가)

2010년 대비 0.08 ↑

Page 35: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35

Ⅴ.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성과

2010년 대비 0.09 ↑

교장의 지표별 결과 비교(동료교원평가)

Page 36: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36

Ⅴ.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성과

2010년 대비 0.10↑

교감의 지표별 결과 비교(동료교원평가)

Page 37: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37

Ⅴ.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성과

2010년 대비 0.08 ↑

일반교사의 영역별 결과 비교(학생만족도조사)

Page 38: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38

Ⅴ.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성과

2010년 대비 0.03↑

일반교사의 영역별 결과 비교(학부모만족도조사)

Page 39: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39

Ⅴ.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성과

2010년 대비 0.19 ↓

교장의 지표별 결과 비교(학부모만족도조사)

Page 40: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40

Ⅴ.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성과

2010년 대비 0.25↓

교감의 지표별 결과 비교(학부모만족도조사)

Page 41: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41

특수교사 및 비교과교사의 평가 결과(동료교원평가)

주. 사서교사의 경우 지표가 상이하여 제시하지 않음

Ⅴ.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성과

Page 42: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42

특수교사 및 비교과교사의 만족도조사 결과(학생만족도조사)

주. 사서교사의 경우 지표가 상이하여 제시하지 않음

Ⅴ.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성과

Page 43: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43

특수교사 및 비교과교사의 만족도조사 결과(학부모만족도조사)

주. 사서교사의 경우 지표가 상이하여 제시하지 않음

Ⅴ.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성과

Page 44: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44

교원능력개발평가 시행 효과 관련 결과 비교(교원)

주) ‘수업 준비 도움’ 및 ‘수업 실시 도움’ 결과에서 2010년은 ‘수업 준비 및 수업 실시 도움’의 1개의 문항으로 조사되었으나, 2011년에는 2개의 문항으로 나누어 조사됨

Ⅴ.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성과

2. 설문조사 결과 비교

Page 45: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45

자기성찰에 가장 큰 도움을 준 평가자 또는 평가 비교(교원)

2010년도 2011년도

주) 2010년도 조사에서는 문항 중 ‘없다’라는 항목이 없었기 때문에 2011년도 결과에서 나타난 비율과 직접 비교하는 것이 불가능함

Ⅴ.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성과

Page 46: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46

교원능력개발평가 모형 개선 관련 결과 비교(교원)

Ⅴ.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성과

주) ‘우수 교원 학습연구년 확대’ 및 ‘결과 저조 교원 능력향상연수 강화’ 결과에서 2010년은 ‘우수 교원 학습연구년 확대 및 결과 저조 교원 능력향상연수 강화’의 1문항으로 조사되었으나, 2011년에는 2개의 문항으로 나누어 조사됨

Page 47: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47

교원능력개발평가 운영에 관한 결과 비교(학생)

주) ‘수업 흥미 향상’ 및 ‘수업 태도 개선’ 결과에서 2010년은 ‘학생의 수업 흥미 향상 및 수업 태도 개선’의 1문항으로 조사되었으나, 2011년에는 2개의 문항으로 나누어 조사됨

Ⅴ.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성과

Page 48: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48

교원능력개발평가 운영에 관한 결과 비교(학부모)

주) ‘문항수의 적절성’ 관련하여, 2010년에는 ‘만족도조사의 문항수는 적절하다’로, 2011년에는 ‘만족도조사의 문항수는 5개 정도가 적절하다’로 조사되었음

Ⅴ.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성과

Page 49: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49

교원능력개발평가 운영에 관한 결과 비교(학부모)

주) ‘문항수의 적절성’ 관련하여, 2010년에는 ‘만족도조사의 문항수는 적절하다’로, 2011년에는 ‘만족도조사의 문항수는 5개 정도가 적절하다’로 조사되었음

Ⅴ.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성과

Page 50: 77회 수요포럼 관련자료2

감사합니다.

Copyright © KEDI 2005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