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 경기도농업기술원nongup.gg.go.kr/wp-content/uploads/sites/2/2013/08/... ·...

17
198 ┃ 2012년도 시험연구보고서 과제구분 농업기술경영공동연구 수행시기 전반기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 연구분야 수행 기간 연구실 책임자 FTA 대응 경기농업 발전전략 수립 경영정보 ‘12~’13 농업기술원 작물개발과 이진홍 경기농업 복합산업화 연구 경영정보 ’12 농업기술원 작물개발과 이진홍 색인용어 지역특화품목, 지역성장율시차분석, 복합화지원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assess the economic growth potentiality of agricultural specialization item by the location quotient and regional growth rate differential analysis. the data for the study is based on the secondary data, which is the cultivated area data and agricultural output data in the Minister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the result shows that total growth rate differential(TGD) is a positive effect in the long-term, thus, soybeans and sweet potatoes are classified as agricultural products with growth potential. By having a positive effect in TGD like this, this is because areas of agricultural specialization item has platform of knowledge-based system and innovation systems in the market, there are also a convergence of agriculture, culture and tourism sector, rural amenity resources. By use of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would be contributed to setting up Community-led model in its early stages and a consumer driven model Key words : location quotient, regional growth rate differential analysis, supporting model 1. 연구목표 최근 농어촌지역은 농업소득의 감소, 농가의 고령화, 다양한 소득원 증대, 농어촌 자원의 가치에 대한 인식 증대 등으로 지역 산업적 발전수요에 대한 당면과제가 부각되고 있다. 교통, 통신의 발달로 생활권이 광역화됨에 따라 지역발전정책에 대한 수요증가와 농업의 고부가가치화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나타나고 있다. 국내외 환경 변화에 따라 농어업 농어촌은 전통적인 생산공간에서 국가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만들어 내는 내생적 발전과 농어촌주민의 소득, 일자리 창출 공간으로 전환되고 있다.

Upload: others

Post on 26-Sep-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ABSTRACT - 경기도농업기술원nongup.gg.go.kr/wp-content/uploads/sites/2/2013/08/... · analysis. the data for the study is based on the secondary data, which is the ... item

198 ┃ 2012년도 시험연구보고서

과제구분 농업기술경 공동연구 수행시기 반기

연구과제 세부과제 연구분야수행기간 연구실 책임자

FTA 응 경기농업 발 략 수립 경 정보 ‘12~’13농업기술원

작물개발과이진홍

경기농업 복합산업화 연구 경 정보 ’12농업기술원

작물개발과이진홍

색인용어 지역특화품목, 지역성장율시차분석, 복합화지원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assess the economic growth potentiality of agricultural

specialization item by the location quotient and regional growth rate differential

analysis. the data for the study is based on the secondary data, which is the

cultivated area data and agricultural output data in the Minister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the result shows that total growth rate

differential(TGD) is a positive effect in the long-term, thus, soybeans and sweet

potatoes are classified as agricultural products with growth potential. By having a

positive effect in TGD like this, this is because areas of agricultural specialization

item has platform of knowledge-based system and innovation systems in the

market, there are also a convergence of agriculture, culture and tourism sector,

rural amenity resources. By use of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would be

contributed to setting up Community-led model in its early stages and a

consumer driven model

Key words : location quotient, regional growth rate differential analysis, supporting model

1. 연구목표

최근 농어 지역은 농업소득의 감소, 농가의 고령화, 다양한 소득원 증 , 농어

자원의 가치에 한 인식 증 등으로 지역 산업 발 수요에 한 당면과제가

부각되고 있다. 교통, 통신의 발달로 생활권이 역화됨에 따라 지역발 정책에 한

수요증가와 농업의 고부가가치화에 한 새로운 근이 나타나고 있다. 국내외 환경

변화에 따라 농어업 농어 은 통 인 생산공간에서 국가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만들어 내는 내생 발 과 농어 주민의 소득, 일자리 창출 공간으로 환되고 있다.

Page 2: ABSTRACT - 경기도농업기술원nongup.gg.go.kr/wp-content/uploads/sites/2/2013/08/... · analysis. the data for the study is based on the secondary data, which is the ... item

Ⅰ. 작물연구 ┃ 199

이러한 배경에서 농어업 농어 정책을 지역특화 산업 근방식으로 채택하고 있다.

표 으로 농림수산식품부의 지역산업육성사업으로는 신활력지역지원사업과 향토

산업육성사업, 지역 략식품산업육성사업, 농어 자원복합산업화지원사업, 일반농산어

개발사업, 농어 휴양자원개발사업, 지역특화품목육성사업, 지리 표시제, 농공단지1),

지역농업특성화사업(농진청) 등이 있다. 지식경제부, 기청, 문화체육 부 등 타부처

에서는 기청의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과 지식경제부의 지역연고산업육성사업, 지자체

연구소육성사업, 지역특화발 특구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외에도 문화체육 부

의 문화 축제사업 등 지역산업육성과 련된 연계사업 지원이 다수이다2).

이들 사업과 규정은 지역산업3), 지역특화산업4), 지역농업산업화(특성화)의 에서

재분류할 필요성이 있다. 지역특화산업 에 속하는 사업은 농림수산식품부와

지식경제부, 소기업청, 문화체육 부사업 부분이 이에 속한다(이동필외, 2008;

이동필외, 2008; 이태호외, 2009)5). 반면에 지역농업 산업화 는 특성화 6)에

속하는 사업은 지역내 1차산업으로서 농업생산력 확 와 2차산업(가공), 3차산업

(서비스)를 포함한 복합산업으로의 확장의 의미를 지닌다(장민기외, 2007, 권 섭․장우환, 2012).

표 인 사업은 지리 표시제, 지역특화품목육성사업7), 지역농업클러스터, 지역특화

발 특구계획, 지역농업특성화사업 등으로, 재 소수에 지나지 않는다.8) 이와 같은

지역특화 산업 에서의 농림수산식품분야 사업은 지역 농어 산업 신지원

정책과 깊은 련성이 있으며, 이와 연계성이 강화된 지역산업 성장모델로 확 되고

있다. 하지만 지역농업 고유의 산업 특화 효과 발휘에 한계 으로 나타나고 있다.

앞으로 지역농업클러스터, 지역특화품목육성사업, 지리 표시제 사업 등과 연계된

지역특화품목 육성 략이 수립될 필요가 있다. 표 으로 계약재배 확 , 우량종자

개발 보 , 생력화 기술 이 활성화 그리고 신뢰 자본 축 을 한 사업화

1) 농공단지는 농어민 소득증 지역경제 활성화를 해‘83년부터 국비 지원(단지조성비)을 통해 조성되어 왔으며, 그간 농어 경제 성장 고용

창출에도 크게 기여하 다. 앞으로는 클러스터 사업에 농공단지의 참여도를 제고하고, 국가․ 일반산단 등 체 산업단지와의 유기 연계를 보다 강

화시켜 지역특화단지의 차별화된 지원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농림수산식품부보도자료)

2) 이러한 지역산업육성사업과 련된 법규정은 「농업농 식품산업기본법」,「국가균형발 특별법」,「농림어업인삶의향상 농산어 지역개발 진에 한법률」,「지역특화발 특구규제특례법」,「농어 정비법」등이 있다.

3) 지역산업과 지역특화산업은 유사한 의미로 이용되며 산업이 입지하고 있는 공간에 을 두고 있다(한국농업경제학회, 2009)

4) 지역특화산업의 범 를 시군당 한 두 개의 표 인 품목을 특화산업으로 하여 1시군 1특화산업으로 선택과 집 의 원리에

따라 지역의 특성을 살린 고유한 산업이라고 하고 있다(이동필외 2008).

5) 지역특화산업이란 지역의 고유한 부존자원을 활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산업으로 지연산업, 향토산업 등과 유사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지역에 기반을 둔 산업체로 지역의 부존자원과 인력 기술수 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게 특징 이다. 여기서

지역의 부존자원이란 주로 특정지역에 집단 으로 존재하고 타지역자원과 차별성을 가지며 지역의 생활 속에 토착계승되어 온 생

활양식과 이를 구성하는 자연자원, 재화, 기술, 통문화 등을 포함하고 있다(이동필, 2008). 안동환외(2007)와 국각균형발 원회

(2004)는 각 지역의 자연자원, 역사, 문화자원, 축 된 기술 숙련 등 지역 특화자원을 활용하는 산업에 의미를 두고 있다

6) 지역농업 특성화 품목은 지역내외의 자원을 최 한 활용하여 지역특성을 살림으로써 독자성, 차별성, 경쟁력을 갖춘 품목이거나 이와

같은 특징이 작더라도 지역 내의 농업품목 에서 지역자원에 한 의존성이 크거나 지역기술, 지역자본에 한 의존성이 높아 지역개발

지역활성화에 한 효과가 큰 품목을 의미함(권 섭․ 장우환, 2012)

7) 농 지역에 고유한 특화품목을 집 육성하여 노가소득 증 하는 것을 목 으로 1997년부터 추진하고 있으며, 이는 지역에 고유한 농수축산물을 신기술,

신지식, 신유통 등을 활용하여 타 지역과 차별화된 지역의 랜드를 개발하는 것을 의미함(이동필외, 2008)

8) 지역특화발 특구규제특례법에는 특화사업의 정의를 지역특화발 특구계획에 따라 지역의 특성과 여건을 활용하여 추진하는 사

업을 말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그 계획에 승인된 모든사업은 어떤 산업에 속하든 상 이 없다

Page 3: ABSTRACT - 경기도농업기술원nongup.gg.go.kr/wp-content/uploads/sites/2/2013/08/... · analysis. the data for the study is based on the secondary data, which is the ... item

200 ┃ 2012년도 시험연구보고서

비과정 도입이 무엇보다도 요하다. 이러한 에서 국가 주도의 2차․3차 심

의 가이드라인보다 지역의 여건에 맞는 특화품목 산업화 모델 도입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지역특화품목 육성에 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먼 농어 산업정책

추진체계 개편을 앞두고 통합된 지역특화산업육성법 제정의 필요성에 한 연구가

다수이다(이동필외, 2008 ; 이동필외, 2008, 이태호외; 2009).이러한 정책방향을 뒷받침

하는 지역특화분석에 한 연구는 기엔 특화계수분석법을 이용하여 지역농업의

특화도를 평가한 연구가 부분이었다(강 순외, 1984 ; 김충실,1989; 김충실, 1991 ;

송문갑, 1990; 김병택․정정석,1990). 2000년 부터 특화도 제시에 머물지 않고 다

모형을 이용한 분석도 진행되고 있다. 표 으로 이성우외(2003)는 다 모형을 이용

한 농산물 매 액으로 측정한 자치단체별 농산물 특화산업 분석을 하 고, 김갑성

외(1996)는 지역간 투입-산출기법을 이용한 지역특화산업 분석을 하 다. 한 김충실․

이 근(2010)은 구·경북 지역농업의 특화분석을 해 특화계수분석법과 인자분석을

병행하여 사용하 다. 한 권 섭․장우환(2010)과 김태완(2012)은 AHP모형을 이용

하여 지역농업 특성화분석을 하 다. 그러나 이와 같은 분석방법은 지역특화산업의

성장요인을 지수화하여 국산업화효과와 지역효과를 나 어 략변화요인을 추출

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해 연구 기에는 부분 특화계수

분석법과 변화할당분석법을 병행하여 성장의 격차 원인을 찾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송문갑․서종석, 1990; 서종석․김 용, 1990; 김군수, 1995). 최근에는 지역성장율

시차분석을 이용한 지역의 잠재성장가능성 연구가 늘어나고 있다(최재선, 1986 ; 김철욱․

김태완, 2011; 김철욱․김태완, 2012).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특화품목 성장의 핵심

요인 탐색 략변화 요인을 분석하기 해 국재배작목 특화도가 높거나,

1차 농산물 육성, 가공산업 활성화, 3차산업 효과 등 3가지 에서 지역농업

특성화( 는 산업화)가 차별화된 사례지역과 작목(여주고구마, 해남고구마, 주 콩,

인제 콩)을 선정하여 지역성장율 시차분석을 실시하 다. 다음으로 지역농업 특성화

는 산업화를 진시킨 요인을 정성 으로 분석하여 이에 따른 지원방안 모델을

제시하 다.

2. 재료 방법

본 연구에서는 지여특화품목의 성장잠재력 부가가치 변화요인을 분석하므로서

지역농업의 복합화 지원모델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해 국재배작목 특화도

가 높거나, 1차 농산물 육성, 가공산업 활성화, 3차산업 효과 등 3가지 에서

지역농업 특성화( 는 산업화)가 차별화된 사례지역과 작목을 상으로 2012년 8월

부터 10월까지 지역 문가 워크 을 개최하 다. 주요 조사 상은 여주고구마, 해남

고구마, 주 콩, 인제 콩 련 사업단으로 한정하 다. 이들 특화지역의 성장 핵심

Page 4: ABSTRACT - 경기도농업기술원nongup.gg.go.kr/wp-content/uploads/sites/2/2013/08/... · analysis. the data for the study is based on the secondary data, which is the ... item

Ⅰ. 작물연구 ┃ 201

요인을 조사 분석하고자 조사집단을 지역사업단 계 4명, 학교수 1명, 장컨설

문가 2명, 연구기 2명 등 총 9명으로 선정하여 집 토론회를 가졌다. 다음으로

농림수산식품부, 시군통계연보, 지역 내부자료를 수집하여 지역성장율시차 모델의

설명변수 자료(생산액)를 조사하 다. 수집된 자료는 Excel 2007 로그램을 이용해

총시차분석을 실시하 다.

3. 결과 고찰

가. 주요지역 고구마, 콩의 특화 황 실태

1) 특화작목 선정 배경

최근 국민건강 증진을 해 웰빙식품에 한 심이 부각되면서 단백질 공 원인

콩과 알카리식품인 고구마를 심으로 꾸 한 시장확 가 이루어지고 있다. 2010년

재 고구마 재배면 은 19,200ha로 2000년 비 각각 18.8%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에 콩은 2000년 86,176ha에서 2005년 105,421ha로 면 이 확 되었지만 최근에

와서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9) 한 최근 기상이변으로 인해 고구마는 년차별

생산변동성이 높은 편이며, 콩 생산량은 2006년까지 꾸 히 증가하다가 최근에 와서

는 감소추세에 놓여 있다.10)

그림 1. 국 주요작목 재배면

주 : 통계청 홈페이지(http://kosis.kr/)자료를 이용하여 재작성

이와 같이 국내 생산구조에서 오는 한계 도 있지만 본격 인 FTA 향으로 부분

의 농산물이 장기 으로 부정 인 향을 받을 것으로 상된다. 반면에 콩과 고구마는

유무형의 시장보호기능과 시장소비구조의 변화로 지역특화 품목으로 부각될 망이다 11).

9) 이는 2002년 논콩 차등수매제 실시로 인해 일시 으로 증가하는 상을 보 으며 2005~2007년 연차 하향

조정을 통해 2007년부터는 논콩과 밭콩의 수매가격이 동일하게 용되면서 2006년 이후 감소세로 환되었

기 때문이다(한국농 경제연구원, 2013)

10) 2010년 재 한국의 콩 자 율은 두류 8.7%, 사료용 제외 31.7%임(고종민외, 2011)

Page 5: ABSTRACT - 경기도농업기술원nongup.gg.go.kr/wp-content/uploads/sites/2/2013/08/... · analysis. the data for the study is based on the secondary data, which is the ... item

202 ┃ 2012년도 시험연구보고서

특히 콩과 고구마 수요는 건강 트랜드와 품질 그리고 안 성 측면에서 소비자 구매

패턴이 변화되면서 품질 가격 심에서 가치 심 소비로 환될 망이다(한국농

경제연구원, 2011 ; 한국농 경제연구원, 2013). 이와 같은 콩과 고구마의 생산소비구조

의 여건 속에서 국 으로 콩 생산은 경상북도를 심으로 라남도, 충청북도가 큰

비 을 차지하고 있다. 이 가운데 경기도와 강원도는 생산비 이 각각 8.2%, 8.3%로 낮

지만 단보당 수량이 국 최고로 높고 고차산업화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에서 새로운

지역으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경기도 주와 강원도 인제지역이 콩 특화산업 집 도가

높아지고 있다. 다음으로 고구마 생산은 라남도를 심으로 라북도, 경기도가 가장

큰 큰 비 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남 해남과 경기 여주 지역은 고구마 주산지로서

시장가격 형성에 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에서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표 1. 2012년 시도별 콩과 고구마의 재배면 분포.

시도별콩 고구마

재배면 (ha) 비 (%) 재배면 (ha) 비 (%)

계 80,842 100.0 22,997 100.0

경기도 6,665 8.2 3,593 15.6

강원도 6,715 8.3 491 2.1

충청북도 11,358 14.0 1,685 7.3

충청남도 7,840 9.7 3,394 14.8

라북도 6,756 8.4 4,097 17.8

라남도 14,039 17.4 4,626 20.1

경상북도 14,288 17.7 2,093 9.1

경상남도 5,913 7.3 1,447 6.3

제주도 6,045 7.5 113 0.5

특 역시 1,223 1.5 1,458 6.3

자료 : 통계청 홈페이지(http://kosis.kr/)

이에 본연구에서는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콩 산업화 지역과 유통시장에 큰 향을

미치고 있는 고구마 산업화 지역을 상으로 지역특화농업의 부가가치 특성을 악

하고자 하 다.

2) 지역 특화품목 황

지역별 작목별 재배면 농업생산액을 다음 <표 2>와 같이 살펴보았다. 먼 콩

주산지의 경우, 경기도 주지역에서는 재배면 이 꾸 히 상승하여 2000년 466ha에서

2010년 718ha로 증가하고 있다. 강원도 인제지역에서는 재배면 이 2005년까지 550ha로

하락하다가 그 이후부터 꾸 히 상승하여 2010년 재 650ha로 증가추세에 놓여있다. 지역

11) 수입 GMO콩에 한 우려와 생고구마의 식물검역 계 수입 지조치로 인해 국내시장 보호가 가능함(정미

남외, 2012)

Page 6: ABSTRACT - 경기도농업기술원nongup.gg.go.kr/wp-content/uploads/sites/2/2013/08/... · analysis. the data for the study is based on the secondary data, which is the ... item

Ⅰ. 작물연구 ┃ 203

별 품목생산액은 경기도 주가 인제보다 더 많은 생산액을 나타냈고, 2000년 인제, 2005년

주, 2010년 재 주 지역 순으로 생산액 증감이 나타나고 있다. 다음으로 고구마 주산지

의 경우, 경기도 여주지역에서는 재배면 이 2005년까지 954ha로 하락하다가 그 이후부터

꾸 히 상승하여 2010년 재 1,715ha로 증가추세에 놓여 있다. 라남도 해남지역에서는

재배면 이 꾸 히 상승하여 2000년 901.4ha에서 2010년 1,570ha로 증가하고 있다. 지역별

품목생산액은 경기도 여주가 라남도 해남지역보다 더 많은 생산액을 나타냈고, 2000년

여주, 2005년 해남, 2010년 재 여주 지역 순으로 생산액 증감이 나타나고 있다.

표 2. 지역별 주요작목의 생산 황 (단 : ha, 10억원)

구분재배면 농업생산액(경상가격기 )

2000년 2005년 2010년 2000년 2005년 2010년

콩 주 466.0 734.0 718.0 1.5 3.3 4.8

인제 616.0 550.0 650.0 2.0 2.5 4.3

고구마여주 1,434.3 954.0 1,715.0 11.6 8.5 27.2

해남 901.4 1,143.4 1,570.0 7.3 10.2 24.9

주 : 시군별 통계연보에 의해 지역별 품목생산액은 품목 국생산액 비 시군작목의 생산비

(시군재배면 / 국재배면 )에 의해 산출하 음

지역별 주요작목의 부가가치액을 다음 <표 3>과 같이 살펴보면, 콩에선 주가 인제

보다 높았으며, 고구마에선 여주가 해남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역에서 생산하고 있는

작목의 생산액 변화와 함께 지역별 부가가치액도 비슷한 추세를 보이고 있다. 콩산업

내외부 여건변화로 2000년 인제, 2005년 주, 2010년 재 주 지역 순으로 부가가치액

증감이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고구마 산업 내외부 여건 변화로 2000년 여주, 2005년

해남, 2010년 재 여주 지역 순으로 부가가치액 증감이 나타나고 있다.

표 3. 지역별 주요작목의 부가가치 황 (단 : 10억원)

구 분농업생산액(경상가격기 ) 부가가치액(경상가격기 )

2000년 2005년 2010년 2000년 2005년 2010년

콩주 1.5 3.3 4.8 1.2 2.7 4.3

인제 2.0 2.5 4.3 1.6 2.0 3.9

고구마여주 11.6 8.5 27.2 7.9 6.5 20.3

해남 7.3 10.2 24.9 5.8 8.4 19.0

주 : 콩은 국 평균 부가가치율을 용. 고구마는 지역별 소득자료에 의해 산정하여 산출하 음.

이와 같이 지역별 부가가치액이 증가 추세에 놓여 있다는 은 국성장률보다 그

만큼 더 성장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이는 국 인 성장의 향으로 성장

하는 측면도 있지만 지역 콩산업과 고구마산업의 경쟁력 요인이 지역농업의 구조

Page 7: ABSTRACT - 경기도농업기술원nongup.gg.go.kr/wp-content/uploads/sites/2/2013/08/... · analysis. the data for the study is based on the secondary data, which is the ... item

204 ┃ 2012년도 시험연구보고서

유리함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성으로 주콩, 인제콩, 해남고구마의

성장률은 다음 <그림 2>와 같이 국의 작목성장율보다 부분 높았으며, 여주고구

마는 국고구마 성장률과 비슷한 경향을 보 다.

그림 2. 주요작목 성장률 황 (2000~2010년)

이들 지역에서 생산 유통되고 있는 작목 가운데 생산집 도가 상 으로 높은 콩

과 고구마의 특화도는 지역 작목의 도입과 활성화, 확산의 정도를 나타내는 요한

지표로 볼 수 있다. 즉 성장과 쇠퇴의 과정 속에서 집 도가 높은 작목의 육성과

련된 객 인 의사결정 도구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집 도를 생산액기 으로

특화계수를 분석 한 결과, 다음 <표 4>와 같이 나타났다.12)

표 4. 농업생산액을 기 으로 한 특화계수 변화 추이

년도

지역작목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평 균

특화도

콩주 0.697 1.037 1.007 0.979 0.763 0.913 1.108 1.217 1.106 1.401 1.408 1.058

인제 2.842 3.025 3.264 3.300 2.502 2.090 2.806 2.777 2.900 3.663 3.558 2.975

고구마여주 9.761 9.255 7.018 7.578 6.399 6.086 6.641 6.495 8.206 8.701 9.324 7.769

해남 2.735 2.157 2.108 2.386 3.163 3.182 4.694 3.734 5.058 3.374 4.026 3.329

이와 같은 특화계수(LQ) 분석결과에 따르면, 먼 콩산업은 지역 주산작목에서

특화지역 핵심작목으로 성장하고 있다. 경기도 주 콩의 경우, 2005년까지 0.913으로

하락하다가 그 이후부터 꾸 히 상승하여 2010년 재 1.408로 증가하여 지역 주산작목

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에 반해 인제 콩은 2000년 2.842에서 2005년 2.09로 비교 진

12) 이 특화계수는 특화도를 악하는 데 있어서 객 인 결과를 보여 다는 측면에서 일반 으로 많이 사용

되고 있다(김철욱·김태환, 2011). 여기서 LQ>1이면 국에 비해 특화되어 있음을 나타내며, LQ<1이면 비특

화작목으로, LQ=1이면 국평균수 을 의미한다. 한 2보다 크면 특화지역의 핵심작목, 1과 2사이면 주산

작목이라고 한다(김병택·정정석, 1990).

Page 8: ABSTRACT - 경기도농업기술원nongup.gg.go.kr/wp-content/uploads/sites/2/2013/08/... · analysis. the data for the study is based on the secondary data, which is the ... item

Ⅰ. 작물연구 ┃ 205

으로 감소하다가 그 이후부터 빠르게 증가하여 2010년 재 3.558로 특화지역의

핵심작목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는 인제지역이 주지역보다 활성화기간이 1년 단축

되면서 나타난 효과 때문이다13).

다음으로, 주산지 고구마 산업은 시장소비구조의 환으로 특화지역 핵심작목으로

성장하고 있다. 경기도 여주 고구마의 경우, 2005년까지 6.086으로 하락하다가 그 이후

부터 꾸 히 상승하여 2010년 재 9.324로 증가하여 특화지역의 핵심작목으로 성장

하고 있다. 이에 반해 해남 고구마는 2000년 2.735에서 2005년 3.182로 비교 진

으로 증가하다가 그 이후부터 빠르게 증가하여 2010년 재 4.026으로 특화지역의

핵심작목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는 여주지역이 해남지역보다 활성화기간이 1년 단축

되었지만 확산단계에서는 해남지역이 여주지역보다 2년 빠르게 나타났기 때문이다14).

그림 3. 콩산업화 단계별 변화추이 그림 4. 고구마 산업화 단계별 변화추이

나. 분석방법

지역이 보유하고 있는 활용 가능한 부존자원을 생산 활동에 투입함으로서 나타나는

경제 효과를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은 크게 특화계수분석법(LQ)과 변화할당분석

(shift share analysis; 이하 SSA) 그리고 지역성장율시차분석(regional growth rate

differential analysis ; 이하 RGRDA) 등 3가지가 있다. 이 3가지 분석법은 지속 인

경제활동으로 유발될 수 있는 성장요인과 잠재력을 분석하기 한 방법론으로 활용

되고 있다. 이 가운데 특화계수분석법은 객 인 결과를 보여 다는 측면에서 일반

13) 인제지역은 ‘00년에서 ’06년까지 약 7년 동안 도입단계를 거쳐 ‘07년에서 ’08년까지 약 2년 내에 활성화단계로 어들었고,

그 이후부터 산업화가 확산되면서 지역의 특화산업으로 자리잡게 되었다.이와는 다른 과정을 거친 주지역은 ‘00년에서 ’05년

까지 신속하게 산업화를 이루었지만 콩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한 활성화 기간(‘06년~’08년, 3년)이 길어짐에 따라 산업화 확

산도 늦어지는 결과를 낳았다.

14) 여주지역은 ‘00년에서 ’05년까지 약 6년동안 도입단계를 거쳐 ‘06년에서 ’08년까지 약 3년 내에 활성화단계로 어들었다.

그 이후부터 산업화가 확산되면서 지역의 핵심 특화산업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와는 다른 과정을 거친 해남지역은 ‘00년에서

’02년까지 신속하게 산업화 토 를 만들고, 고구마 고부가가치화를 해 4년 기간(‘03년~’06년)에 걸쳐 도달하 으며 이를 토 로

시장확 도 이루어지는 결과를 낳았다.

Page 9: ABSTRACT - 경기도농업기술원nongup.gg.go.kr/wp-content/uploads/sites/2/2013/08/... · analysis. the data for the study is based on the secondary data, which is the ... item

206 ┃ 2012년도 시험연구보고서

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산업의 성장요인을 분석하기에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반면에 변화할당분석(SSA)은 산업의 성장효과와 지역성장변화효과를 측정할 수 있다는

에서 유용하다. 여기서 산업구조효과는 국가 체의 성장이 지역에 이되거나

련 산업의 혼합에 의해 변화된 정도를 나타내며, 지역성장변화효과는 지역할당

효과로서 지역 자체 으로 내부의 성장 변화정도를 의미한다(김군수외, 1995;

박추환, 2012). 이와 같은 변화할당분석 모형은 다음과 같은 계식 (식 1)로 표 할 수

있다.

R = N + M + S (식 1)

여기서 R, N, M, S는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정의할 수 있다. R은 지역성장의 총효과,

N은 국가성장할당효과, M은 산업혼합효과, S는 지역성장 이변화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계를 농업생산액으로 다시 표 하면 다음 (식 2)와 같다.

(식 2)

여기서 는 작목의 지역농업생산액, 는 작목의 국농업생산액, 는 국농업

총생산액, 은 기 년도, 는 비교년도를 의미한다. 앞서 언 한 바와 같이 (식2)

를 (식1)에 입하면,

가 성립할 수 있다. 즉 기 년도 작목의 지역농업 생

산액 비 비교년도 작목의 지역농업생산액이 결국 지역성장의 총효과이다. 그러나

지역성장의 단편 효과만 보여 수 있다는 에서 확장성에 한계가 있다. 이에

Creamer(1942)가 개발한 변화할당분석모형을 확장하여 특정지역의 특정산업이 지역

의 경제성장율에 기여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로서 Henderson(1962)의 지역성장율

시차분석(regional growth rate differential analysis)을 활용하여 산업별 성장 기여수치인

총시차를 도출하 다(김철욱․김태완, 2012; 김철욱․김태완, 2011). 이는 각산업부문별

성장률에 그 산업부문의 구성비를 가 시킴으로서 구해지는 지역의 산업의 실질

성장율(RG)과 국의 산업의 실질성장율(NG)과의 차이를 나타낸다.

Page 10: ABSTRACT - 경기도농업기술원nongup.gg.go.kr/wp-content/uploads/sites/2/2013/08/... · analysis. the data for the study is based on the secondary data, which is the ... item

Ⅰ. 작물연구 ┃ 207

앞에서 언 한 바는 가 요인(WP)과 경쟁력요인(RP)의 합으로 나 어 볼 수 있다

(김철욱·김태환, 2011; 김철욱·김태환, 2012; 박추환, 2012)

지역성장률시차(TGD) = 가 요인(WP) + 경쟁력요인(RP) (식 3)

(식 4)

× (식 5)

×

(식 6)

여기서, 는 기 년도 지역 작목의 농업생산액, 는 비교년도 지역

작목의 농업생산액, 는 기 년도 지역 농업총생산액, 는 기 년도

국 작목의 농업생산액, 는 비교년도 국 작목의 농업생산액, 는

기 년도 농업총생산액을 의미한다. 이러한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콩과 고구마 주산지

시군 지역농업의 잠재 성장력을 분석하고자 하 다. 분석은 지역성장률시차(TGD),

가 요인(WP), 경쟁력요인(RP)의 부호에 기 하여 성장작목(+, +, +), 경쟁 우 작목

(+, -, +), 성장잠재작목(+, +, -), 정체작목(-, +/-, +/-), 사양작목(-, -, -)으로 구분

하 다.15)

다. 실증분석결과

지역특화품목의 생산액을 기 으로 지역성장률시차를 다음 <표 5>와 같이 분석

하 다. 이 게 추정된 2000~2005년 기간 단기 총시차는 남 해남 고구마가

0.0037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경기 주 콩 0.0012, 강원 인제 콩 –0.0004, 경기

여주 고구마 –0.0114 순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국농업의 성장으로 지역의 품목도

함께 성장하고 있는 품목은 해남 고구마이며, 다음으로 국농업 성장보다 지역농업

의 성장이 타지역보다 성장을 유도하는 품목은 경기 주 콩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인제 콩과 여주 고구마는 총시차가 부(負)로 나타나 단기 잠재 성장율이 낮아지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서 언 한 바와 같이 ‘인제 콩’과 ‘여주 고구마’의 지역특화도가

2005년까지 격하게 하락하 으며, 단기 으로 지역내부의 공 주도형 성장에서 오는

한계 때문이다.

15) 가 요인이 “+”인 품목은 국농업의 성장으로 지역의 품목도 함께 성장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여, 경쟁력요인이 “+”인 품목은 지역농업의 성장

이 타지역보다 성장잠재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최재선, 1986;서윤정외, 2012).

Page 11: ABSTRACT - 경기도농업기술원nongup.gg.go.kr/wp-content/uploads/sites/2/2013/08/... · analysis. the data for the study is based on the secondary data, which is the ... item

208 ┃ 2012년도 시험연구보고서

구분총시차 변화효과(B-A,%)

가 요인(WP) 경쟁력요인(RP) 총시차(TGD)

콩주 0.00 0.59 0.59

인제 -0.02 2.31 2.29

고구마여주 4.17 1.80 5.96

해남 0.82 0.96 1.79

표 5. 지역특화품목 생산액의 성장률 단기시차

구분2000~2005년 단기성장율 2000~2005년 총시차(단기시차분석, A) 성장

망 국 성장율

지 역 성장율

가 요인(WP)

경쟁력요인(RP)

총시차(TGD)

 콩주 0.676 1.158 -0.0018 0.0030 0.0012 경쟁작목

인제 0.676 0.224 0.0111 -0.0115 -0.0004 정체작목

고구마여주 0.168 -0.270 0.0060 -0.0174 -0.0114 정체작목

해남 0.168 0.392 0.0012 0.0025 0.0037 성장작목

다음으로 2000년~2010년 기간 장기총시차는 여주 고구마가 0.0482로 가장 높았

으며, 다음으로 강원 인제 콩 0.0225, 해남 고구마 0.0216, 주 콩 0.0071 순으로 나

타났다. 총시차가 정(+)으로 가 요인과 경쟁요인 지수 모두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지역작목이 성장하게 된 배경은 시장주도형 성장 방식으로 환하 기 때문이다.

표 6. 지역특화품목 생산액의 성장률 장기시차

구분2000~2010년 장기 성장율 2000~2010년 총시차( 장기, B)

성장망국 성장율 지역성장율 가 요인

(WP)경쟁력요인(RP)

총시차(TGD)

 콩주 0.666 2.097 -0.0018 0.0089 0.0071 경쟁작목

인제 0.666 1.121 0.0110 0.0116 0.0225 성장작목

고구마여주 1.332 1.345 0.0477 0.0005 0.0482 성장작목

해남 1.332 2.416 0.0094 0.0121 0.0216 성장작목

이 게 추정된 지역특화 품목의 총시차가 단기 부(-)에서 장기 정(+)으로 환됨에

따라 시차변화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여주 고구마가 5.96%로 가장 폭이

컸으며 다음으로 인제콩 2.29%, 해남 고구마 1.79%, 주 콩 0.59% 순으로 나타났다.

표 7. 총시차 변화효과

지 까지 특화도 변화추세에 따른 총시차 변화추이를 살펴보았다. 즉 2005년을 기 으로

작목의 문화 상 집 도가 빠르게 상승하면서 이에 따른 성장률 총시차도 효과

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지역특화 품목의 부가가치도 가 요인과 경쟁력

요인의 작용에 따라 증가가 상된다. 향후 4개 지역 2개 특화품목을 심으로 장기

인 잠재성장력을 보일 것으로 보이며, 부가가치액도 인제 콩 98백만원, 주 콩 34백

만원, 여주 고구마 13억원, 해남 고구마 5억3천만원 만큼 증가가 상된다.

Page 12: ABSTRACT - 경기도농업기술원nongup.gg.go.kr/wp-content/uploads/sites/2/2013/08/... · analysis. the data for the study is based on the secondary data, which is the ... item

Ⅰ. 작물연구 ┃ 209

구분2005년

생산액

년평균 단기 부가가치 변화액

2010년

생산액

년평균 장기 부가가치 변화액

가요인(WP)

경쟁력요인(RP)

총시차(TGD)

가요인(WP)

경쟁력요인(RP)

총시차(TGD)

콩주 3.34 -0.006 0.010 0.004 4.79 -0.009 0.043 0.034

인제 2.50 0.028 -0.029 -0.001 4.33 0.048 0.050 0.098

고구마여주 8.47 0.051 -0.148 -0.097 27.20 1.296 0.014 1.311

해남 10.15 0.012 0.025 0.038 24.90 0.235 0.302 0.537

표 8. 년평균 부가가치변화액 망 (단 : 10억원)

라. 부가가치 증진에 미친 요인탐색

이상의 분석을 바탕으로 부가가치 증진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주요

주산지 작목에서 나타나는 ‘산업복합화’ 략변화체계를 살펴보면 다음 <그림 5>와

<그림 6>과 같다. 먼 고구마 주산지의 특징을 살펴보면 여주지역은 고구마농가

부분이 10~30만평 재배하는 규모농가로서 가락동도매시장으로 개별출하하고,

등외품(10%)은 kg당 7~8천원으로 매(약 7,000톤)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2005년

까지 특화도가 하향하 지만 2006년이후부터 산업화 효과가 상승하면서 고구마 도매

시장을 주도하는 지역으로 변모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는 고구마 연구회를

심으로 농업기술센터, 가공업체 등이 력네트워크를 만들어 지식공유와 학습체계

를 만들고 유 자원포, 병해충기술, 비닐피복기술, 삽식 수확기술 표 화, 분

생산기술 자동화시설 등 생력화기술을 확보함으로서 생산비를 인하시키는 효과를

가져와 시장경쟁력을 갖추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지역작목을 특화시키기 해

지식공유와 학습체계를 만들고 이를 랫폼으로 활용하며 시장에 응하는 공 자

주도형 성장방식 사례라 할 수 있다.

한편 해남지역에서는 1997년 APC사업 고구마 연 생산유통체계 구축을 해

2000년부터 산업화를 추진하 으며, 실질 으로 2003년부터 그 효과가 나타나 해남

고구마 랜드 인지도가 상승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는 고구마생산자, 가공업체,

유통업체, 해남군, 농업기술센터 등이 참여하는 해남고구마생산자 의회를 심으로

이 유통, 화산농 , 참다래유통사업단과 유통 로를 공유하면서 유통기반을 구축하

기 때문이다. 특히 회 자회사인 해남 고구마 주식회사를 심으로 가공품 B to

B 사업 확 냉동가공품 수출시장 진출로 지역 특화품목산업을 복합화한 것이

기반이 되었다. 즉 생산자 의회와 주식회사를 랫폼으로 하여 유통사업을 개 한

시장주도형 성장방식 사례라 할 수 있다.

Page 13: ABSTRACT - 경기도농업기술원nongup.gg.go.kr/wp-content/uploads/sites/2/2013/08/... · analysis. the data for the study is based on the secondary data, which is the ... item

210 ┃ 2012년도 시험연구보고서

그림 5. 고구마 생산․가공․유통 단계별 계형성 략변화 요인

<여주 고구마> <해남 고구마>

다음으로 콩 주산지의 특징을 살펴보면 주지역은 1997년 주장단콩 축제를 통해

콩 재배면 확 소비 진을 이루며 산업화 효과가 2006년부터 나타났으며 특히

농업과 문화가 융복합화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농업기술센터,

콩연구회, 농 등 유통사업단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 주 장단콩’을 공동 랜드화

하고 지리 표시제를 도입함으로서 콩축제 융복합효과가 나타났기 때문이다. 특히

생산기반 구축(신품종보 , 생력기계화기술)과 유통기반구축 ( 온 장시설 공동운 , 소포

장기술 등) 그리고 작목반 공동선별 공동출하, 공동정산 등 공선출하 매취사업

이 큰 향을 주었다. 한편 인제지역에서는 1995년부터 콩 등 잡곡유통사업으로 특

화하면서 모두부 생산유통 체계를 갖추고 2005년부터 산업화하기 시작하여 실질 으로

2006~2007년부터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농업과 어메니티자원(자연 이미지, 문화이

미지)이 융복합화하면서 콩, 유기농 콩, 두부류 가공품에 한 인제군 공동 랜드

‘하늘내린’과 기린농 공동 랜드 ‘내린천’에 한 소비자 랜드 인지도가 상승하

기 때문이다. 특히 생산기반과 가공유통기반이 요한 역할을 담당하 다16).

그림 6. 콩 생산․가공․유통 단계별 계형성 략변화 요인

< 주 콩> <인제 콩>

주 : 콩산업화는 2개지역 모두 확산단계로 진입 발 . 주콩은 축제를 통한 랜드화로, 인제 콩은 가공사업을 통한 랜드화

로 특화시킨 사례로 고부가치화하고 있음

16) 생산기반에서는 계약재배와 가공사업 연계 력체계 구축, 인제콩 농조합법인 계약재배에 의해 콩 물량 품질, 출하조 , 공동 매 진(생산량의 80%)이 향을 주었으며, 가공기반에서는 내린천두부 한국 통식품품질인증, 두부 HACCP 인증 리(2008년)이, 유통부문에서는 지리 표시 등록 리(2011), 두부 제품 차이즈 사업 개, 인제콩 직 장 운 내린천두부․ 콩 한마당축제(2010~) 등이 큰 향을 주었다

Page 14: ABSTRACT - 경기도농업기술원nongup.gg.go.kr/wp-content/uploads/sites/2/2013/08/... · analysis. the data for the study is based on the secondary data, which is the ... item

Ⅰ. 작물연구 ┃ 211

[ 재] [개선]

마. 지역특화품목 복합화 지원

일반 으로 농업의 복합산업화는 지역내 1차산업으로서 농업생산력의 확 와 2차산

업(가공), 3차산업(서비스)을 포함하는 복합산업으로의 확장을 의미한다. 이를 진시

키는 역할을 지역 신체계(RIS)가 하고 있다(장민기외, 2007). 이러한 에서 특화

품목의 산업화 략은 지역특화품목(1차산업)이 생산․가공․유통 단계별 계형성

에 있어서 주도 역할을 수행하고 략변화에 있어서 핵심요인이 되도록 설계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논의를 근거로 지역의 특성을 살린 고유한 특화품목 육성모델

을 제시할 있다. 앙정부에서 지 까지 지역에 구축한 특화산업체계는 농림수산식

품부사업의 농어 특산단지(1967), 통식품육성사업(1993), 지역특화품목육성사업

(1999), 지리 표시제도(1999), 지역농업클러스터(2004), 신활력사업(2005), 향토산업

(2005)와 기청의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1998) 그리고 지경부의 (지역연고산업진흥

사업(2004), 지역특화발 특구지정(2005) 등이 있다. 이들 략사업체계는 경제

산업조직화의 과 사업종료후의 지속가능성에 해 논의되어 왔던 게 사실이다.

이를 지역 경제 특화농업 으로 환하여 사업 기단계부터 단계별 근 략

이 필요하다. 공 자 주도형 성장방식의 에서는 생산기반조성, 신뢰 자본 구축이,

소비주도형 에서는 6차산업 비즈니스 모델의 정립이 필요하다.

우선 공 자 주도형 모델에 있어선 1)지역농업 특화도 증 를 한 특화품목 수매제,

우량종자 개발 보 , 생력화기술체계 구축. 그리고 2) 행정, 농업기술센터, 생산자

단체, 가공유통업체의 지식공유 학습체계의 구축을 통해 신뢰 자본축 이 필요

하다. 이때 생산자와 시장과의 계는 가격순응 는 상 계라는 에서

한계가 있다.

그림 7. 지역특화품목의 6차산업 비즈니스 모델

반면에 소비 주도형 모델에서 있어선 1) 특화품목을 지역의 특성을 살린 표작목

으로 육성할 수 있는 지리 표시제와 공동 랜드도입으로 인지도 확산, 2) 비즈니스

Page 15: ABSTRACT - 경기도농업기술원nongup.gg.go.kr/wp-content/uploads/sites/2/2013/08/... · analysis. the data for the study is based on the secondary data, which is the ... item

212 ┃ 2012년도 시험연구보고서

효율화를 한 공동투자법인 설립, 3) 련참여자의 력 계 고도화 등이 필요하다.

이때 생산자와 시장과의 계는 가격주도 계로의 변화가 가능하며, 통자원문화에

한 스토리텔링 상품화가 특화 문단지 육성에 요한 기능을 할 것이다.

표 9. 지역특화품목 복합화 지원

구 분공 자 주도형 모델 공 자 주도형 모델

소비 주도형 모델(확산단계)(도입단계) (활성화단계)

사업체계진 화

시군행정조직 는 농업기술센터 주도의 생산유통사업 개 - 농산물 축제 홍보 개

생산자 의회, 농조합법인,유통사업단 결성 - 공동 랜드, 지리 표시 품 생산지원

- 랜드 지리 표시 조직체 육성- 공동투자법인 설립

문제인식 의견공유

수매제도 품목 확우량종자 개발 보생력화기술 보

- 연 생산공 기반구축- 계약재배 일부참여

- 공동품질 리 참여- 계약재배 확- 랜드 인지도 확산 참여

력네트워크구축

행정, 기술센터, 생산자단체네트워크 심

유통업체,가공업체, 생산자 네트워크 형성- 행정 서 농업기술센터 간지원

생산자 회 심 가공업체, 문음식 , 유통업체, 서비스 력시스템 구축

력주체간역할

① 행정 농업기술센터 - 사업기획 개발 - 생산자단체 행재정 지원 - 가공품 개발, 종자 보② 생산자단체 : 농산물 재배 개발 출하③ 상공인 력체계 구축

① 생산자 의회 - 생산물 직 사업 - 축제참여 홍보 - 매취사업, 공선 출하회 조직② 가공업체 - 지역농산 가공품개발③ 행정 농업기술센터 - 랜드 지리 표시품 리지원

①공동투자법인,회사- 신사업 기획 추진- 랜드, 지리 표시품 생산자 조직화- 유통 수출 로 개척② 생산자단체와 유통, 가공업체 계약재배 규범화③ 축제, 차이즈, 직 장 사업 개

련사업의연계

지역특화품목 생산유통사업-가공품개발지원사업-지역농업클러스터사업,향토산업 등

- 랜드 명품화 사업 - 통자원문화 사업 추진

산업간 연계 농업 농업과 가공산업 연계- 농업, 가공산업, 유통업, 서비스업 력체계 구축

소비시장 변화 응

가격순응 가격 상- 소비자 정기조사- 가격주도

이와 같은 지원모델을 도입하기 해선 생산부터 가공유통단계별 계형성 략

변화가 필요하다. 도입단계에서는 주도 생산기반 구축이 필요하며 활성화단계에서

는 신뢰 자본 구축을 한 랫폼 구축을 통해 생산자 의회, 가공업체, 유통업체

력시스템구축(계약재배 정착, 클러스터화, 사업다각화) 농업기술센터 간지원

이 요구된다. 확산단계에서는 공동투자법인을 심으로 지역특화품목 복합화 단지

육성이 필요하다. 이를 해서는 공동 랜드 지리 표시 조직화, 신시장개척(축제,

차이즈), 유통 수출 로개척 등 신시장 개척과정이 도입되어야 한다.

4. 요 본연구는 지역특화품목의 잠재성장력과 부가가치 증진효과를 분석하여 지역농업

특성화( 는 산업화)의 진요인을 탐색하고 지원모델을 제시하는 데 연구목 이 있다.

이를 해 차별화된 지역과 작목을 지역특화품목으로 선정하여 특화도 변화추세와

지역성장율시차분석을 하 다. 여기서 나타난 총시차를 경쟁력요인과 가 요인으로

나 어 각각 효과와 핵심요인을 탐색하 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Page 16: ABSTRACT - 경기도농업기술원nongup.gg.go.kr/wp-content/uploads/sites/2/2013/08/... · analysis. the data for the study is based on the secondary data, which is the ... item

Ⅰ. 작물연구 ┃ 213

가. 지역특화도는 시장소비구조의 변화로 완만한 상승곡선을 그리며 커지고 있다.

주와 인제 지역의 콩은 지역특화도가 2005년까지 하락하다가 그 이후 상승하면서

특화지역 핵심작목으로 성장하고 있다. 한 여주와 해남지역의 고구마도 특화지역

핵심작목으로 성장하고 있다. 여주지역은 2005년까지 특화도가 하락하다가 그 이후

상승하고 있으며, 해남지역은 비교 완만한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나. 콩( 주, 인제)과 고구마(여주, 해남)의 생산액을 기 으로 지역성장율시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단기효과는 공 주도형 성장에서 오는 한계로 인해 인제콩, 여주고구마에

서 (-)로 나타났지만 장기효과는 시장주도형 성장방식으로 환되면서 4개 지역 2개

작목 모두 (+)로 나타났다. 즉 국농업의 성장과 지역 품목의 성장이 동시에 일어

나는 것으로 측되었다.

다. 이와 같이 총효과가 정 으로 나타난 요인을 탐색한 결과, 고구마 특화지역은 지식

공유와 학습체계가 시장 응에 유용하게 작용하 으며, 동시에 생산자 의회와 주식

회사 랫폼이 시장성장을 주도하 기 때문이다. 한 콩 특화지역은 농업과

문화, 어메니티 자원이 융합되어 생산유통사업이 활성화되었기 때문이다.

라. 마지막으로 지 까지 논의된 결과를 토 로 지역특화품목의 산업화( 는 특성화)

를 진시키기 한 지원모델을 제시하 다. 기단계에서는 공 자 주도형 모델이

유용하며 확산단계에서는 소비 주도형 모델이 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5. 인용문헌

강 순외, 1984, “주요 생산조정 지향작목의 지역특화에 한 연구”, 연구보고 76, 한국농 경제연구원

강 형․유승우, 1985, “주요 생산조정지향작목의 특화지역이동추이에 한 고찰”, 한국농 경제연구원

김갑성․홍순용, 1996, “지역간 투입-산출기법을 이용한 지역특화산업 분석”, 「지역연구」12(1):1-15.

김군수, 1995,「경기도 31개 시군의 성장잠재력 분석」, 경기개발연구원

김철욱․김태완, 2012, “지역농산물의 성장유망작목의 선정을 한 연구”, 농업생명과학연구 46(1)

김철욱․김태완, 2011, “산청지역 농작물의 성장잠재력 분석”, 농업경 정책연구 38(4), 한국농업정책학회․한국축산경 학회

김충실․이 근, 2010, “ 구·경북 지역농업의 특화분석” ,농 경제 33(1), 한국농 경제연구원

김충실, 1991,「농산물 무역개방에 응한 마을단 특화작목의 개발(Ⅰ)」, 한국농 경제연구원

김충실, 1989, 「지역농업구조의 특성과 발 략 : 경북지역 농업사례」, 한국농 경제연구원

김병택․정정석, 1990, 「지역농업구조의 특성과 발 략 : 9)경남 지역농업 사례」, 한국농 경제연구원

김태완, 2012, “AHP 용에 의한 함양지역 품목별 특성화 유형의 선정”, 농업경제연구 53(2), 한국농업경제학회

고종민외, 2011,「콩의 성시 」, RDA Interrobang 35호, 농 진흥청

권 섭․장우환, 2010, “ 구경북 시군별 지역농업 특성화 품목도출에 한 연구”, 농 계획 16(3)

박추환 , 2012, 신지역경제 이론 분석, 진샘미디어

정미남외, 2012, 「한국농업의 희망을 캐는 고구마」, RDA Interrobang 92호, 농 진흥청

서윤정․이진홍, 2012, “지역특화농업의 실태와 산업화 략:A와 B지역의 오미자 특화사례를

심으로”, 농 연구 19(2), 한국농 학회

Page 17: ABSTRACT - 경기도농업기술원nongup.gg.go.kr/wp-content/uploads/sites/2/2013/08/... · analysis. the data for the study is based on the secondary data, which is the ... item

214 ┃ 2012년도 시험연구보고서

서종석․김 용, 1990, “한국의 지역간 소득격차에 한 연구”, 경제학연구, 한국경제학회

송문갑․서종석, 1990, “지역농업의 성장과 그 격차에 한 연구-호남권, 부권, 동남권을 심

으로-”, 사회과학연구 제1권, 남 학교 사회과학연구소

한국농 경제연구원, 2013, ‘ 콩 수 동향 망’, 「농업 망 2013」

안동환외, 2007,「지역연고산업의 황과 발 방안」, 서울 학교산학 력단,

이동필, 2008,「농어 정주여건 개선과 산업활성화 방안 워크 」, 농어업농어 특별 책 원회․한국농 경제연구원

이성우외, 2003, “경기지역 농산물의 지역별 특화산업 연구”, 농 경제 26(2), 한국농 경제연구원

이태호외, 2009, 「농어 산업 육성을 한 농어 경제 활성화 정책방향 연구」, 농림수산식품부․한국농업경제학회

장민기외, 2007,「지역농업클러스터 활성화를 한 본 사업 추진방안 연구」, 지역농업네트워크

인우외, 2010, “ 소기업 육성정책의 농어 산업분야 용방안”, 연구자료 D295, 한국농 경제연구원

최재선, 1986, “ 부권 지역성장율 시차분석을 통한 산업기반의 확충방안”, 국토계획, 21(1) : 49-76, 한국토계획학회

최재선, 1986, “ 부권 지역성장률 시차분석을 한 산업기반 확충의 방향”, 국토계획 21(1) :

1049- 1076, 한국토도시계획학회

한국농 경제연구원, 2011,「2010 식품수 표」

Creamer, D. B., 1942, Shifts of Manufacturing Industries, National Resources Planning

Board, Industrial Location and National Resources, Washington, DC.

Henderson, J. M., 1962, Foci for regional growth analysis : An international trade and

income model, mimeograph, Upper Midwest Study, Minneapolis, Minnesota.

6. 연구결과 활용제목

○ 지역특화농업 신단지 조성건의(정책건의)

○ 경기도 농어업 농어 장기 발 방안 (정책건의)

7. 연구원 편성

세부과제 구분 소속 직 성명 수행업무참여년도

‘12

경기농업 복합

산업화 연구

책임자농업기술원

작물개발과농업연구사 이진홍 세부과제총 ○

공동연구자

정앤서컨설

경기개발연구원

농업연구

연구 원

조 래

박인태

서윤정

이수행

결과검토

시험수행자문

시험공동수행

연구자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