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리스크관리위원회 -...

6
① 리스크관리위원회 - 구성 : 독립적인 리스크관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외이사를 위원장으로 하여 4명의 사외이사와 1명의 상임이사로 구성 - 활동 : 매월 1회의 정기위원회와 수시위원회를 통하여 각종 리스크관리 정책 및 리스크 허용수준을 설정하고 그 관리결과를 심의 ② 리스크관리협의회 - 구성 : 기획조정본부장을 위원장으로 하여 관련부서장 14명으로 구성 - 활동 : 매월 1회의 정기협의회와 수시협의회를 통하여 리스크관리위원회에서 결정한 각종 리스크관리 정책을 집행하고 리스크 허용수준을 관리 ③ 리스크관리실무협의회 - 구성 : 리스크관리팀장을 의장으로 하여 관련부서 업무담당책임자 14명으로 구성 - 활동 : 매주 1회의 정기협의회를 통하여 리스크관리위원회 및 협의회 심의사항의 실무적 검토 및 원활한 시행을 위하여 자금수급상황, 여∙수신금리 및 수수료 결정, 신상품 사전심의, 협의회에서 위임된 사항 등을 처리 ① 리스크관리 조직 및 기능 강화 - 리스크관리업무를 전담하는 리스크관리팀을 설치∙운영하고 리스크관리위원회, 협의회, 실무협의회 등 독립된 전담조직을 구축하고 있음. - 리스크 분석, 대안제시 및 실행위주의 조직운영으로 리스크관리 업무의 적용도 및 의사결정 반영도를 강화 - 리스크관리 전문인력의 확충 및 지속적 양성 ② 리스크관리 선진화 체제 구축 - 모니터링 : 개별 종합리스크 상황의 실시간 모니터링 조직의 한도준수 여부, 주요 경영지표, 경영 외부환경, 감독원 기준 변경 등에 대한 모니터링 활동 강화 - 한도관리 : 신용, 시장(금리, 가격, 환) 및 유동성리스크를 감안하여 적정자본을 배분하고 신용리스크 한도(산업별 포트폴리오, 동일인 및 동일차주 신용공여한도, 거액여신구성비 등), 시장리스크 한도(VaR한도, 투자한도, 손실한도 등), 유동성리스크한도(갭한도), 금리리스크 한도(EaR 한도, 갭한도 등)를 설정∙운용하며, 매월 관리상황을 보고 및 Feed Back - 성과평가 : 내부금리(FTP:Fund Transfer Pricing)제도 및 활동원가계산(ABC:Activity Based Costing) 도입으로 상품별, 고객별, 조직별 수익성 분석을 통한 공정한 성과평가체제 확립 ③ 리스크관리시스템 구축 및 통합 - 부문별 리스크관리시스템 구축 : 자산부채관리시스템(ALM:Asset Liability Management), 개인신용 평가시스템(CSS:Credit Scoring System), 기업여신지원시스템(CRMS:Credit Risk Management System), 종합수익관리시스템, 시장리스크관리시스템(MRM:Market Risk Management) 등 각 부문별 리스크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용하고 있음. - 통합리스크관리체제 기반조성 : 향후 부문별 리스크관리시스템 운용의 Know-how 축적, VaR(Value at Risk)을 활용한 동일 위험측정기준 마련, 측정 리스크의 유의성 확보 등 통합리스크관리를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여 기존의 신용, 시장, ALM 등 각종 시스템을 통합한 통합리스크관리시스템을 구축 하고 통합위험자본에 의한 위험자본관리 및 한도배분, 위험조정 수익관리(RAROC, RAPM) 등을 수행 하는 선진화된 리스크관리시스템을 구현할 예정임.

Upload: others

Post on 24-Feb-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①리스크관리위원회 - dgb.co.kr은행업감독업무시행세칙「시장리스크기준자기자본비율산출기준」제2장3절12(적용대상)에규정된 외환포지션

① 리스크관리위원회

- 구성 : 독립적인 리스크관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외이사를 위원장으로 하여 4명의 사외이사와

1명의 상임이사로 구성

- 활동 : 매월 1회의 정기위원회와 수시위원회를 통하여 각종 리스크관리 정책 및 리스크 허용수준을

설정하고 그 관리결과를 심의

② 리스크관리협의회

- 구성 : 기획조정본부장을 위원장으로 하여 관련부서장 14명으로 구성

- 활동 : 매월 1회의 정기협의회와 수시협의회를 통하여 리스크관리위원회에서 결정한 각종 리스크관리

정책을 집행하고 리스크 허용수준을 관리

③ 리스크관리실무협의회

- 구성 : 리스크관리팀장을 의장으로 하여 관련부서 업무담당책임자 14명으로 구성

- 활동 : 매주 1회의 정기협의회를 통하여 리스크관리위원회 및 협의회 심의사항의 실무적 검토 및 원활한

시행을 위하여 자금수급상황, 여∙수신금리 및 수수료 결정, 신상품 사전심의, 협의회에서 위임된

사항 등을 처리

① 리스크관리 조직 및 기능 강화

- 리스크관리업무를 전담하는 리스크관리팀을 설치∙운 하고 리스크관리위원회, 협의회, 실무협의회

등 독립된 전담조직을 구축하고 있음.

- 리스크 분석, 안제시 및 실행위주의 조직운 으로 리스크관리 업무의 적용도 및 의사결정 반 도를 강화

- 리스크관리 전문인력의 확충 및 지속적 양성

② 리스크관리 선진화 체제 구축

- 모니터링 : 개별 및 종합리스크 상황의 실시간 모니터링 및 조직의 한도준수 여부, 주요 경 지표,

경 외부환경, 감독원 기준 변경 등에 한 모니터링 활동 강화

- 한도관리 : 신용, 시장(금리, 가격, 환) 및 유동성리스크를 감안하여 적정자본을 배분하고 신용리스크

한도(산업별 포트폴리오, 동일인 및 동일차주 신용공여한도, 거액여신구성비 등), 시장리스크

한도(VaR한도, 투자한도, 손실한도 등), 유동성리스크한도(갭한도), 금리리스크 한도(EaR

한도, 갭한도 등)를 설정∙운용하며, 매월 관리상황을 보고 및 Feed Back

- 성과평가 : 내부금리(FTP:Fund Transfer Pricing)제도 및 활동원가계산(ABC:Activity Based Costing)

도입으로 상품별, 고객별, 조직별 수익성 분석을 통한 공정한 성과평가체제 확립

③ 리스크관리시스템 구축 및 통합

- 부문별 리스크관리시스템 구축 : 자산부채관리시스템(ALM:Asset Liability Management), 개인신용

평가시스템(CSS:Credit Scoring System), 기업여신지원시스템(CRMS:Credit Risk Management

System), 종합수익관리시스템, 시장리스크관리시스템(MRM:Market Risk Management) 등 각 부문별

리스크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용하고 있음.

- 통합리스크관리체제 기반조성 : 향후 부문별 리스크관리시스템 운용의 Know-how 축적, VaR(Value

at Risk)을 활용한 동일 위험측정기준 마련, 측정 리스크의 유의성 확보 등 통합리스크관리를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여 기존의 신용, 시장, ALM 등 각종 시스템을 통합한 통합리스크관리시스템을 구축

하고 통합위험자본에 의한 위험자본관리 및 한도배분, 위험조정 수익관리(RAROC, RAPM) 등을 수행

하는 선진화된 리스크관리시스템을 구현할 예정임.

Page 2: ①리스크관리위원회 - dgb.co.kr은행업감독업무시행세칙「시장리스크기준자기자본비율산출기준」제2장3절12(적용대상)에규정된 외환포지션

① 트레이딩 포지션의 범위

- 금융수단에 한 포지션은 트레이딩 포지션과 비트레이딩 포지션으로 구분하며 트레이딩 포지션에

포함되어야 하는지 여부는 당해 거래가 최초로 행해진 의도에 따름.

- 트레이딩 포지션이란 이자수익보다는 시장요인의 가격변동 등에 따른 단기 매매차익을 목적으로 하는

금리 및 주식 포지션, 파생상품, 외환포지션 등을 말하며, 다음에 해당하는 자산 및 부채 등을 트레이딩

포지션으로 간주함.

■ 은행업회계처리준칙에 의해 상품유가증권으로 분류된 자산

■ 매매목적의 파생상품 및 이에 한 헷지수단으로 취득하는 파생상품

■ 원본 또는 이익보전약정이 있는 시가평가 상 신탁계정의 유가증권

■ 은행업감독업무시행세칙「시장리스크기준 자기자본비율 산출기준」제2장 3절 12(적용 상)에 규정된

외환포지션

■ 기타 트레이딩 포지션 구분원칙에 부합되는 자산 및 부채

② 트레이딩 포지션의 가치평가방법

- 트레이딩 목적 포지션 및 시가평가하여야 하는 포지션의 가치평가는 관련 법규에서 규정하는 범위내

에서 즉시 청산가능한 가격으로 포지션을 매일 평가함을 원칙으로 하며 부득이한 경우 일정한 주기를

정하여 평가함.

- 상품별 시가평가방법은 다음과 같음.

■ 주식 : 관련시장의 당일종가. 다만, 평가일의 종가가 없는 경우에는 직전거래일의 종가

■ 채권 : 관련시장의 종가, 또는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시세정보공표기관에서 발표하는 해당 채권의

직전 최근 거래일의 종가로 하되, 시장가격을 구할 수 없는 경우 평가 상 채권의 미래현금

흐름을 무이표채수익률곡선의 해당기간별 이자율로 할인하여 산정함.

- 가격결정모형을 이용하여 시가평가를 실시하는 경우 보수적인 관점을 적용하고 모형사용에 한 내부

적인 승인 및 변경절차를 마련하며 주기적으로 모형, 가정사항 등의 적정성을 점검하여야 함.

- 트레이딩 목적 포지션의 보유부서별로 시가평가위원회를 구성하여 상기에서 정한 방법 및 일반적인

평가방법이 아닌 다른 방법을 적용하거나 신상품에 한 평가방법의 결정, 상품별 평가방법의 적정성

검토 등 시가평가와 관련된 주요사항을 결정함.

Top-Down 방식으로 매매목적의 자산(Trading계정)에 하여 위험자본을 배분하고 이 자본을

근거로 리스크 허용한도(VaR), 투자한도, 손실한도를 설정하여 운용하고 있음.

① 위험자본 배분

- 전분기말 기본 자기자본의 1/3 수준을 위험자산에 배분

(자기자본 배분 상 위험자산 : 신용∙시장∙유동성∙가격∙운 리스크)

- 리스크의 계량화 및 통합으로 각 리스크별 위험자산에 해 자기자본을 배분

(상업은행으로서 리스크의 부분은 신용리스크에 의해 발생되므로 위험자산에 배분한 자기자본의

90%를 신용∙유동성∙운 리스크 부문에, 10%를 시장리스크 부문에 배분)

- 시장리스크를 구성하는 리스크에 해 자기자본을 배분

(주식, 채권, 외환 및 금리리스크에 한 위험자본의 배분은 각 위험의 Risk Factor간 상관관계를 고

려하여 위험자본을 배분하되, 금리리스크의 경우 주요 Risk Factor가 금리갭이므로 상관관계를 반

하지 않음.)

Page 3: ①리스크관리위원회 - dgb.co.kr은행업감독업무시행세칙「시장리스크기준자기자본비율산출기준」제2장3절12(적용대상)에규정된 외환포지션

② 시장리스크 허용한도 설정절차

- 리스크 허용한도(VaR)의 설정 : 시장리스크(상품채권, 상품주식, 파생상품, 외환, 금리리스크 등)에

배분된 위험자본을 리스크 허용한도(VaR)로 전환

(BIS에서 VaR값의 3~4배의 자기자본을 요구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배분된 위험자본의 1/3 범위내

에서 각 부문별 위험간 상관관계를 고려한 VaR한도를 설정)

- 투자한도의 설정 : 리스크 허용한도(VaR)를 투자한도로 전환하여 설정

■ 채권 : 리스크 허용한도(VaR) / [M.Duration ×금리변동성 ×신뢰수준(95%) ×SQRT(보유기간10일)]

■ 주식 : 리스크 허용한도(VaR) / [주가지수변동성 ×신뢰수준(95%) ×SQRT(보유기간10일)]

- 손실한도의 설정 : 연간∙월간 손실한도, Loss-cut한도로 구분하여 운용

■ 연간 손실한도 : 위험자본금액을 연간 손실한도로 관리

■ 월간 손실한도 : 연간 손실한도를 12개월 보유기간으로 환산한 금액을 기준으로 설정

[연간 손실한도 / SQRT(12)]

■ Loss-cut한도 : 유가증권업무지침에 의해 상품채권, 상품주식중 장부가 비 전일종가가 일정비율

이상 하락한 종목

출, 유가증권, 자금거래 및 파생상품 등의 거래시 거래상 방의 채무 또는 계약 불이행에 따른

손실위험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제반 활동을 신용리스크관리라 함.

① 리스크 허용한도의 설정∙관리

- 특정업종에 한 여신편중을 예방하기 위해 업종별 경기동향 및 전망, 최근 3년간 연체비율∙수익률∙

예상부실율 등을 반 한 산업별 목표 포트폴리오를 설정하여 관리

- 동일인 및 동일차주(계열)에 한 여신편중 예방을 위해 신용공여한도를 설정하여 관리

- 여신의 동일인 집중을 방지하기 위해 거액여신(상위 60개 거래처)의 점유비 한도를 설정하여 관리

- 월별 리스크 허용수준의 점검, 주기적 신용조사, Credit Review, 여신실명제, 심사ㆍ신용조사기법의

고도화 등을 통하여 부실여신을 사전예방

- 신용리스크 위기 단계별 처방안(Contingency Plan)을 수립하여 시행

② 신용리스크 관리조직

- 리스크관리위원회 등 리스크관리 전담조직 : 신용공여 집중으로 인한 은행의 잠재적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각종 신용공여 분산에 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매월 점검 및 관리

- 심사역협의회, 부서장 여신협의회, 여신협의회 운 : 여신 합의제를 시행하여 여신 결정의 합리성과

투명성을 확보(전문가 집단에 의한 여신결정)

- Credit Review팀 운 : 여신에 한 주기적 신용상태 점검 등 업부문에 한 견제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Credit Review팀을 운

- 여신관리팀 운 : 부실여신으로 인한 은행 손실의 최소화를 위해 문제여신을 전담하는 여신관리팀을 운

- 여신조직 부문에서는 지역별로 10개 기업금융센타를 설치하여 전문화된 심사역(RM) 및 기업금융을

전담하는 SRM(Senior Relationship Manager)에 의한 체계적인 여신심사와 사후관리를 통해 신용

리스크 관리기능을 강화

Page 4: ①리스크관리위원회 - dgb.co.kr은행업감독업무시행세칙「시장리스크기준자기자본비율산출기준」제2장3절12(적용대상)에규정된 외환포지션

③ 신용리스크관리시스템 구축상황

- 개인신용평가시스템(CSS:Credit Scoring System) : 가계여신에 한 합리적 의사결정을 통한 리스크

관리 및 효율적인 마케팅을 위하여 2000년 4월부터 도입 시행중임.

- 기업여신지원시스템(CRMS:Credit Risk Management System) : 기업여신의 실행, 사후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기업여신에 한 합리적 의사결정을 통한 리스크관리 및 효율적인 마케팅을 위하여

2001년 6월부터 도입 시행중임.

시장환경(금리, 주가, 환율 등)의 변동으로 인하여 이자수익 또는 투자자산 가치의 감소를 초래

하는 리스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제반 활동을 시장리스크관리라 함.

① 관리 상 및 측정∙평가∙관리방법

- 관리 상 : 트레이딩 목적자산

- 측정 및 평가방법 : 2001년말 시장리스크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트레이딩목적 자산의 시장위험을 일일

기준으로 측정∙평가하고 있으며 트레이딩 목적자산의 Parametric VaR, Historical VaR, Monte Carlo

VaR 측정, Stress Test, Back Test 등을 수행하고 있음.

- 관리방법 : 2001년 12월말 현재 트레이딩목적자산에 하여 VaR한도, 투자한도, 손실한도 등을 설정∙

운용하고 있으며 각각의 한도는 우리은행 자기자본 등을 고려하여 설정하고 있음.

■ 금리리스크 : 자산, 부채의 금리만기 불일치 및 시장금리의 변동성으로 인해 발생하게 될 순이자이익의

변동가능한도(EaR:Earning at Risk), 자산과 부채의 금리만기 차이인 금리갭 한도 및 조달과 운용

부문에 한 일정수준의 금리스프레드 목표를 설정하여 그 결과를 매월 관리

■ 가격변동리스크 : 상품채권, 상품주식 및 주식관련 파생금융상품 등에 해 VaR에 의한 리스크 허용

한도 및 투자한도, 손실한도, Loss-Cut한도 등을 설정하여 매월 관리

■ 환리스크 : 투기거래 목적의 외환포지션, 외화상품채권, 외환관련 파생상품 등에 해 VaR에 의한

리스크 허용한도 및 투자한도, 손실한도, 은행 전체 및 딜러별 포지션 보유한도 등을 설정하여 매월

관리

■ 시장리스크 위기 단계별 처방안(Contingency Plan)을 수립하여 시행

② 시장리스크관리시스템 구축상황

- 유가증권관리시스템(Travis) : 유가증권 투자관리, 투자 및 손실한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2000년 5월 도입하여 시가평가 및 손절매(Loss-Cut)한도관리 등을 시행하고 있음.

- 시장리스크관리시스템(MRM) : 유가증권, 파생상품, F/X등에 해 VaR(Value at Risk)에 의한 다양한

위험분석, 한도관리 및 성과평가 등을 수행하기 위해 2001년말 시스템 구축을 완료하 음.

Page 5: ①리스크관리위원회 - dgb.co.kr은행업감독업무시행세칙「시장리스크기준자기자본비율산출기준」제2장3절12(적용대상)에규정된 외환포지션

① 트레이딩부문 포지션 잔액(단위 : 억원)

채 권

주 식

파 생 상 품

환 포 지 션

기 타

합 계

종 류계신탁계정은행계정계신탁계정은행계정

2000년 12월말 2001년 12월말

주 1) 외환 및 파생상품은 고객관련 외환거래 이외 순수 트레이딩 목적의 보유자산은 없음. 2) 신탁계정은 원본 또는 이익보전 계약이 있는 신탁계정으로 1997.4.30일 이후 설정분임.

(은행업감독업무시행세칙 부칙 제3조)

383

6

389

87

87

470

6

476

295

71

366

2,571

19

2,590

2,866

90

2,956

② 2001년 및 2002년 트레이딩부문 한도(단위 : 억원)

상 품 채 권

상 품 주 식

상 품 채 권

상 품 주 식

2001년

2002년

구 분년 간월 간

손 실 한 도투자한도VaR한도

주) VaR은 신뢰수준 95%, 보유기간 10일 기준임.

32

15

23

27

3,000

100

3,000

200

27

12

20

23

95

40

70

80

- 2001년말 시장리스크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2002년부터 동 시스템을 운용하고 있음.

- 시장리스크관리시스템은 트레이딩 목적자산에 하여 일일기준의 VaR, Stress Test, Back Test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2002년 이후 우리은행은 동 시스템에 의하여 시장리스크를 관리할 예정임.

- 우리 은행은 파생상품에 한 트레이딩 목적자산이 없고 단기적으로 트레이딩목적 파생상품을 보유

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며 헷지목적 파생상품을 운용할 예정임.

- 우리 은행이 구축한 시장리스크관리시스템은 실제손익과 가상손익에 의한 Back Test를 시행할 수 있음.

- 2002.1.1 이후 VaR과 손익현황에 한 자료을 축적하고 있으며 2002년말 250일 기준에 의한 Back

Test를 수행할 예정임.

Page 6: ①리스크관리위원회 - dgb.co.kr은행업감독업무시행세칙「시장리스크기준자기자본비율산출기준」제2장3절12(적용대상)에규정된 외환포지션

자금상황의 예기치 못한 변화로 발생하게 될 지급불능리스크, 비정상적인 보유자산의 처분이나

자금차입을 하게 될 리스크, 투자기회의 상실리스크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제반 활동을

유동성리스크관리라 함.

① 리스크 허용한도의 설정∙관리

- 감독기관의 유동성비율, 자산과 부채의 만기차이인 기간별 갭한도를 설정하고 그 관리결과를 매월 리스크

관리위원회 및 협의회에 보고

- 조달기간을 고려한 투자를 원칙으로 하여 유동성리스크 사전 예방

- 유동성 부족에 비하기 위한 충분한 유동성자산 보유 및 유동성위기 단계별 처방안(Contingency

Plan)을 수립하여 시행

② 유동성리스크관리시스템 구축상황

- 1996년부터 자산부채관리시스템(ALM)을 구축하여 금리 및 유동성리스크관리를 수행하여 왔으며 최근

급격한 금융위험의 증가와 데이터 처리 및 결과의 신속성을 위해 2002년중 시스템을 재구축할 예정임.

- 정기예금

① 원화 자산, 부채의 잔존기간별 잔액

② 외화 자산, 부채의 잔존기간별 잔액

(단위 : 억원)

정 기 예 금

합 계3년 초과3년 이내2년 이내1년 이내구 분

34,602 1,096 240 27 35,965

- 원화 출금 (단위 : 억원)

원화 출금

합 계3년 초과3년 이내2년 이내1년 이내구 분

44,597 3,867 7,403 7,622 63,489

외화부채

외화자산

계3년 초과3년 이내1년 이내6개월 이내90일 이내30일 이내7일 이내기 간 별

55

21

49

46

25

79

90

39

25

11

53

34

9

23

306

253

- 원화유가증권 (단위 : 억원)

(단위 : 백만불)

국 ∙ 공 채

사 채

기 타

합 계

합 계3년 초과3년 이내2년 이내1년 이내구 분

3,441

2,782

8,294

14,517

3,643

1,302

680

5,625

3,373

3,067

756

7,196

11,093

1,797

20

12,910

21,550

8,948

9,750

40,248

주) 당좌 출 등 한도에 하여 약정기간을 정하고 특정기간(1개월 등)안에 회전 취급하는 출금은 한도약정기간에불구하고 1년이내로 분류함.

주 1) 국∙공채란 통화안정증권, 정부보증채, 재정증권국채, 지방채를 말함.2) 유가증권의 만료기간을 특정할 수 없는 주식 및 투자유가증권(출자금 포함) 등은 제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