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 네트워크 기술 (ieee 802.11)

Post on 21-Jan-2016

158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크 기술 (IEEE 802.11). 20051495 문 홍 태 20051488 노 현 종 20081416 김 강 훈. 목 차. 802.11n 표준화 동향. IEEE 802.11 보안. IEEE 802.11 개요. 8. 5. 1. MI-MO / OFDM 기술. Infrastructure 네트워킹. IEEE802.11 LAN 구조. 9. 2. 6. 주요기술 및 표준화 현황. Ad-Hoc 네트워킹. IEEE802.11n 특징. 7. 3.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TRANSCRIPT

LOGO

무선 네트워크 기술(IEEE 802.11)

20051495 문 홍 태20051488 노 현 종20081416 김 강 훈

LOGO목 차

www.templete4u.co.kr

LOGO

1 IEEE 802.11 개요

2 Infrastructure 네트워킹

3 Ad-Hoc 네트워킹

4 IEEE802.11 LAN 표준

5 IEEE 802.11 보안

6 IEEE802.11 LAN 구조

7 IEEE802.11n 특징

8 802.11n 표준화 동향

9 MI-MO / OFDM 기술

주요기술 및 표준화 현황10

LOGOIEEE 802.11 개요

 IEEE 802.11 은 현재 주로 쓰이는 유선 LAN 형태인 Ethernet 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고안된 기술로 , Ethernet 네트워크의 말단에 위치해 필요 없는 배선 작업과 유지관리 비용을 최소화 하기 위해 널리 쓰이고 있다 .

좁은 지역을 위한 컴퓨터 무선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기술로 IEEE802 의 11 번째 워킹 그룹에서 개발된 표준 기술이다 .

LOGOIEEE 802.11 개요

802.11 은 방식에 따라 인프라 방식과 애드혹방식으로 나뉜다 . 일반적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AP 를 이용하여 서버 - 클라이언트 통신을 하는 것이 인프라 방식이고 , AP 없이 통신하는 방식은 애드혹 (Ad-Hoc) 방식이라고 한다 . KT 의 넷스팟 을 이용하거나 가정에서 무선공유기를 사용하는 방식이 인프라 방식이다 .

LOGOInfrastructure 네트워킹

사무실 내에서 기존의 유선 LAN 을 사용하는 것과 비슷하게 사용하기 위한 구성으로 기존의 Ethernet 에 유무선 접속 중계 장치인 액세스 포인트를 연결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을 말한다 .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유선 네트워크망 (Ethernet) 과의 접속

- 일반적으로 유선 랜과 동일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동 중에도 사용이 가능

- 로밍 기능 지원

LOGOAd-Hoc 네트워킹

애드혹 모드는 무선 LAN 을 장착한 단말기만으로 구성하는 방법으로

외부 네트워크와는 연결되지 않는다 . 애드혹 모드는 무선 LAN 간에만 통신이 이루어지므로 주로 소규모 사무실이나 개인적으로 소규모 네트워크를 구성할 때 사용한다 .

- 외부 네트워크 ( 인터넷망 등 ) 에

연결할 필요가 없는 소규모 LAN,

건설현장 등에 유리함

무선 LAN 단말에 의한 Peer-to-Peer 통신

LOGOIEEE802.11 LAN 표준

IEEE802 LAN/MAN Standards Committee(SC) 는 컴퓨터 네트워크인 LAN 및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의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모델 하위 2 층 ( 물리층 및 데이터링크층 ) 을 다루는 미국의 표준화 단체이다 .

LOGOIEEE 802.11 보안

IEEE 802.11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장비들은 암호화되지 않은 상태로 통신할 수도 있고 64 비트 , 128 비트의 WEP 암호화를 사용해 보안성을 높일 수도 있다 . 하지만 WEP 자체의 구조적 취약점 때문에 WEP 로 암호화된 데이터는 쉽게 해독될 수 있어서 현재 잘 쓰이지 않는다 . 지금은 발전된 형태의 WPA, IEEE802.11i(WPA2), IEEE 802.1x 등의 보안책을 사용한다 .

LOGOIEEE 802.11 LAN 구조

STA(Station) - 802.11 MAC 과 PHY 인터페이스를 가진 장치 (device)

ESS(Extended Service Set ) – 연결된 BSS 들의 집합

DS(Distribution System) – 연결된 BSS 의 집합

AP(Access Point) – 스테이션의 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DS 에 접속 기능을 제공하는 체제

BSS(Basic Service set) – 스테이션으로 이루어진 구성

IEEE 802.11 무선 LAN 의 네트워크 구조

LOGOIEEE802.11n 특징

IEEE 802.11n 은 기존의 무선 LAN 의 20MHz 대역 대역폭을 확장하여 40MHz 대역폭을 이용할 수 있도록 optional mode 로 채택하고 있다 . 특히 , 2.4GHz 대역에서는 20MHz 대역폭으로 상호 간섭 없는 채널을 3 개만 가질 수 있는데 , 40MHz 대역폭을 사용 할 경우 한 채널 만 사용이 가능함으로 사용자의 요구를 고려한 효율적 망 관리가 필요 할 것이다 .

40MHz 대역폭 사용으로 전송률은 높일 수 있으나

채널의 수가 적어지는 Trade Off 를 가지게 된다

IEEE 802.11a/b/g/n 특징 비교

LOGOIEE 802.11/b,a

IEEE 802.11b

이 규격은 주파수 면허를 받을 필요가 없는 2.4GHz 대를 이용하여 최대 전송속도 11Mbps 를 낼수 있다 . IEEE802.11b 대응 제품은 기기가 저가격화하여 급속히 보급되고 있다 . IEEE802.b 보다 전송속도가 빠른 IEEE802.11a 라는 규격과 , IEEE802.11g 라는 2 가지 규격이 주목을 모으고 있다 .

IEEE 802.11a

IEEE802.11b 와는 달리 5GHz 대의 주파수대를 이용하여 최대 통신속도 54Mbps 를 내는 것이 특징이다 .5GHz 대를 이용하기 때문에 IEEE802.11b 와의 호환성은 없으나 , 이 대역은 무선랜을 위한 전용대역이기 때문에 2.4GHz 대처럼 다른 기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이점이 있다 .

통신속도가 비교적 늦고 , 타기기와의 전파간섭 문제와 시큐리티 면에서 문제가 표출되고 있다 .

이 5GHz 대의 주파수대는 통신위성이 지상과 교신할 때 이용하는 대역이기도 하기 때문에 국가에 따라서는 옥외이용이 금지되어 있다 . 국내에서도 전파법에 의해 이용이 규제되고 있다 .

LOGOIEE 802.11/g, n

IEEE 802.11g

한편 , IEEE802.11g 규격은 IEEE802.11b 와 같은 2GHz 의 주파수대를 이용하여 고속통신을실현하려는 것이다 . IEEE802.11g 는 표준 최대전송속도 24Mbps, 옵션으로 54Mbps까지고속통신에 대응한다 . 또한 , IEEE802.11b 에 대해 상위호환성을 갖고있어 , 기존의 EEE802.11b 대응기기와도 통신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 이 때문의 기존 무선랜 환경에서의 이행이 용이하다 .

IEEE 802.11n

802.11n 은 상용화된 전송규격이다 . 2.4Ghz 대역과 5Ghz 대역을 사용하며 최고 300Mbps

까지의 속도를 지원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경우 기술규격 내 주파수점유대역폭의 문제(2 개의 채널점유 ) 로 135~144Mbps 로 속도가 제한되었으나 전파연구소의 기술기준고시로 300Mbps 까지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

LOGO802.11n 표준화 동향

04.1 월 802.11n 을 위한 표준화 논의를 처음 시작한 이래로 표준화

활동은 TGnSync, WWiSE, MITMOT 에 의해서 주도

위 기술제안 그룹은 자신들의 규격을 표준화하기 위해 대립하다가 , 05.6 월 샌프란시스코 회의에서 서로 절충하여 하나의 표준안을 도출하기로 결정

06.1 월 IEEE 802.11n Task Group 은 위 세 기술제안 그룹의 절충안

과 EWC 의 제출안을 기초로 한 802.11n 초안 (Draft 1.0) 을 도출

07.1 월 Draft 1.10 이 승인되었으며 , 기존의 초안에 기초한 Draft

2.0 을 만들기로 결정 ( 런던회의 )

LOGOMI-MO 기술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무선통신의 용량을 높이기 위한 스마트 안테나 기술 기지국과 단말기에 여러 안테나를 사용하여 , 사용된 안테나 수에 비례하여 용량을 높이는 기술 ( 기지국은 송신단 , 단말기는 수신단을 의미 )

LOGO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무선 등에 이용되는 디지털 변조방식 중의 하나 직교성을 이용하여 주파수축 상에서의 오버랩을 허용 협소한 주파수 범위를 효율적으로 이용한 광대역 전송을 실현하고 있으며 , 주파수의 이용 효율도 높임

LOGO주요기술 및 표준화 현황

LOGO

Thank you!

LOGO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