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changeon@movement]_imf baby, 이기사회의 경제를 말하다_진지홍

Post on 16-Jun-2015

389 Views

Category:

Documents

3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DESCRIPTION

2013 광주비영리미디어컨퍼런스_체인지온@무브먼트 '움직여라, 첫 번째 도미노를 !' 주최/주관: 광주시청자미디어센터, 잇다 후원 : 다음, 다음세대재단 파트너 : KBC, 광주NGO시민재단

TRANSCRIPT

IMF Baby, 이기사회의 경제를 말하다 .

진지홍

합리성 - 경제학의 기본 가정

호모 이코노미쿠스 :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이윤을 추구하고 , 최대한의 소유욕을 충족하기 위해 가장 합리적인 행동을 하는 인간으로 경제학의 기본 모델

개인의 합리적 판단으로 경제와 사회가 성장한다

합리적 선택= 이기를 바탕으로 한 경쟁

?

개인의 이기적 행동 VS 개인의 이타적 행동

죄수의 딜레마

" 우리가 저 금발 미녀를 차지하려고 쟁탈전을 벌이면 그녀의 콧대가 높아지고 , 그녀의 친구들도 우리를 매몰차게 거절할 거야 . 그런데 우리가 저 미녀를 넘보지 않는다면 ? 쟁탈전은 없고 그녀의 친구들도 기분이 상하지 않아 . 금발 미녀를 차지할 수는 없지만 우리 모두는 그녀를 포함한 친구들과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어 .“

- 영화 ‘뷰티풀 마인드’ 中

경제 성장의 두 원동력이기심을 바탕으로 한

경쟁이타심을 바탕으로 한

협력경쟁 + 협력 = 발전 , 성장

협력이 이끄는 경제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

사회적 자본 ( Social Capital)

사회 구성원들이 힘을 합쳐 공동 목표를 효율적으로 추구할 수 있게 하는 자본을 이르는 말

신뢰나 ‘호혜에 기초한 규범‘ , 사람들의 양심 등 사회적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협력을 촉진하는 자산

즉 , 사회적 자본론에서 경제를 성장시키는 원동력은 인간의 이기심이 아닌 인간의 협력이다

사회적 자본 ( Social Capital)

신뢰를 증진시켜 거래비용 감소 가치의 공유 , 정확한 정보전달 등을 통해 경제의

불확실성을 줄임 신뢰와 소통을 통해 생산성 향상 신뢰관계 구축을 통해 사회안정 및 사회적 비용 절감 세계은행 ‘ 사회적 신뢰도가 10% 상승할 때 경제성장률은 0.8% 증가’

한국의 사회적자본

사회적 자본의 증진

신경 경제학 -‘ 인간은 결코 이기적이기만 한 존재가 아니다’

인간은 선천적으로 협력이 가능한 존재다

경쟁 , 협력 –상호 보완적 관계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