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정치연구소개(27 sep2009)

Post on 02-Jun-2015

1.007 Views

Category:

Education

3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DESCRIPTION

영남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AMP) 특강 일자: 2009년 9월 30일 장소: 영남대 대명동 캠퍼스

TRANSCRIPT

인터넷 2.0 과 정치 캠페인

박한우

영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미국 뉴욕주립대 박사

WCU 웹보메트릭스 연구단 사업단장

hanpark@ynu.ac.krhttp://www.hanpark.net

http://english-webometrics.yu.ac.kr

Contents

1. WCU Project

2. 웹 2.0

3.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4. 인터넷 정치 사례 (1) 인터넷 댓글 ' 지지 - 비판 ' 만 끝까지 치열 (2) 나경원 , 국회의원 싸이홈피 방명록 글 최다 (3) ' 사이버 연줄 ' 로 표심 잡아라 (4) 국회의원의 트위터 사용에 관한 분석 (5) 국회의원의 미니홈피에 관한 분석 (6) 18 대 국회의원 홈페이지에 업로드 된 이미지 분석

5. 대권 예비후보자 관련 신문기사의 네트워크 분석과 홍보전략

6. 인터넷 일반 (1) 인터넷 탄압과 디지털 경제 (2) 인터넷과 민주주의 (3) 멘탈 인프라의 중요성 (4) 전자상거래와 세금 정책

1. WCU (World Class University)

WCU 는 World Class University 의 약자로 , 핵심적 성장분야에서 학술 프로그램을 구축하고 세계적 석학을 초빙하는 정부로부터 재정적 지원을 받는 <세계수준연구중심대학 > 프로그램 입니다 .

* WCU ?

영남대학교 웹보메트릭스 사업단은 한국에서 광범위한 웹 2.0 플랫폼의 전반에 걸친 네트워크화된 정치 캠페인의 효율성을 확인 , 관찰하며 분석합니다 . 이번 프로젝트의 목표는 하이퍼링크와 웹 분야의 분석 방법을 확대하여 웹 2.0 환경에 맞추는 일입니다 .

* 웹보메트릭스 사업단

1. 웹 2.0 & 한국 정치 2. 사회과학에서의 e- 리서치

* 웹보메트릭스 사업단의 연구 분야

1. WCU (World Class University)

2. 웹 2.0 [web 2.0]

웹 1.0

인터넷상에서 정보를 모아 보여주기만 함 .

웹 2.0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를 다룰 수 있도록 ,

데이터를제공하는 플랫폼에서 정보를 쉽게 공유하고서비스 받을 수 있음 .

웹 1.0 & 웹 2.0 정의

예 : 블로그 , 위키피디아 , 페이스북 , 트위터 , 딜리셔스 등 .

■ 웹 2.0 의 특징

데이터의 소유자나 독점자가 없음 .

누구나 손쉽게 데이터를 생산하고 인터넷에서 공유할 수 있음 .

사용자 참여 중심의 인터넷 환경 .

2. 웹 2.0 [web 2.0]

3.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Social Network Service)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란 ?

온라인 인맥구축 서비스 .

1 인 미디어 , 1 인 커뮤니티 , 정보 공유 등을 포괄하는 개념

참가자가 서로에게 친구를 소개하여 , 친구관계를 넓힐 것을

목적으로 개설된 커뮤니티형 웹사이트

장점 단점

■ 소셜 네트워크의 장점과 단점

수 천 만 명의 고유한 서비스 사용자를 모을 수 있음 .

등록된 사용자로 수익을 내기가 어려움 .

예 : 싸이월드 , 트위터 , Orkut, me2DAY:

3.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Social Network Service)

4. 인터넷 정치 사례(1) 인터넷 댓글 ‘지지’ -‘ 비판’만 끝까지 치열

동아일보 [2009 년 8 월 17 일 ]

‘ 이명박 대통령의 재산 기부’ 기사 댓글을 분석했더니 ‘중도가 사라지는’ 인터넷 토론의 특징이 나타남 .

△ 재산 기부가 잘한 일이라는 댓글 ( 지지 ) : 2661 개△ 재산 기부가 정치적 ‘쇼’에 불과하다는 댓글 ( 비판 ) : 3337 개△ 지지와 비판 의견을 명시적으로 밝히지 않은 댓글 ( 중도 ) : 648개

중도 의견

시간이 지날수록급격하게 감소 .

지지와 비판 의견

처음부터 끝까지 치열하게 경합 .

■ 원인분석

자신과 비슷한 의견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고 자신만의 의견에 스스로 고무되면서 결국 극단적인 흐름을 보임 .

4. 인터넷 정치 사례(1) 인터넷 댓글 ‘지지’ -‘ 비판’만 끝까지 치열

’ 08 년 4월부터 09 년 6월까지 나경원의원 ( 한나라당 ) 의 ‘싸이월드 미니 홈페이지’ 방명록에 오른 글이 제 18 대 국회의원 가운데 가장 많음 .

원인 분석 ① 미모의 여성정치인으로서 온라인 /오프라인에서 인기가 많음 ② 누리꾼의 ‘미국산 쇠고기 수입 관련 비난 · 질책’도 있음 지난해 6월 5일 나의원이 ‘ MBC TV 100 분 토론’에서 쇠고기 수입과 관련한 태도와 발언이 이슈가 됨

전자신문 [2009 - 8 - 18]

4. 인터넷 정치 사례(2) 국회의원 싸이홈피 방명록 글

■ 조경태 의원 사례

조경태 의원의 미니 홈페이지 방명록 글 수가 08 년 5월에만 1 만 2387건이나 오른 사례가 있음 . (긍정적 반응 99%)

원인분석: 조 의원이 지난해 5월 7일 쇠고기 청문회에서 정운천 옛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에게 논리적으로 책임을 물음 .

4. 인터넷 정치 사례(2) 국회의원 싸이홈피 방명록 글

나경원의원 , 조경태의원 두 사례는 ..

사회적 이슈에 대한 정치인들의 입장이나 발언이 시민을 통해 인터넷에서 재생산되고 확대 되는 과정을 보여줌 .

정치인들의 평판과 이미지 , 잠재적인 지지율까지 좌우할 수 있음을 보여줌 .

4. 인터넷 정치 사례(2) 국회의원 싸이홈피 방명록 글

유권자의 지지가 달라질 수 있는 요소 !

1.정치인이 누구와 사이트를 연결 ( 링크 ) 했는지 .2.자신의 사이트를 어떻게 구성 ( 피처 ) 했는지 .

* 제 17 대 국회의원 중 네이버 블로그를 운영중인 126 명 선정 .* 3 번 이상 지목된 ( 이웃등록 ) 블로거 76 명 선정 .* 자신을 지목한 의원을 다시 이웃으로 지목한 47 명의 링크 구조 분석 .

결과 : 대통합민주신당 ( 구 열린우리당 ) 에 33 명 , 한나라당에 24명 , 민주노동당에 7명이 링크 ( 중복측량 ) 돼 있는 것으로 나타남 .

4. 인터넷 정치 사례(3) 사이버 연줄’ 로 票心 잡아라

한나라당 측에 비해 대통합민주신당이 더 강력한 네트워크를 구축 . → 대통합민주신당을 지지하는 계층이 상대적으로 젊어 사이버 공간 활용에 더욱 적극적이기 때문 .

4. 인터넷 정치 사례(3) 사이버 연줄’ 로 票心 잡아라

한나라당 제 17 대 대통령 후보 경선에 나섰던 이명박 후보와 박근혜 의원 중 사이버 네트워킹은 박의원쪽이 더 강했음 .

4. 인터넷 정치 사례(3) 사이버 연줄’ 로 票心 잡아라

정치인 웹피처 유형

전송형 등록형

정치인 자신이 다루는 쟁점 , 새소식 , 소속 정당이 하는 일 등 정보를 제공함 .

토론 , 포럼 , 행사참여 , 자원봉사 등으로 사이트 방문자가 자신 및 소속 정당과 교류하도록 유인함 .

4. 인터넷 정치 사례(3) 사이버 연줄’ 로 票心 잡아라

정치인 웹피처 유형

연결형 동원형

네트워크 구축의지가 강한 부류 . 방문자를 제 3 자에게 연결함 .

오프라인 토론회 , 링크 제안 , 지역별 연고자 추천하기 등 웹사이트 방문자가 대중 참여를 촉진하도록 독려함 .

4. 인터넷 정치 사례(3) 사이버 연줄’ 로 票心 잡아라

* 트위터 국회의원들의 메시지를 분석 .* API tool 을 이용하여 정치인들의 트위터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 .

국회의원의 트위터 사용

국가 트위터를 사용하는 국회의원의 수 국가별 국회의원 수한국 22 292

미국 157 538

영국 64 602

캐나다 58 314

합계 300 1746

국가별 국회의원의트위터 사용 비율

국가 트위터를 사용하는 국회의원의 수 (%)

한국 7.19%

미국 29.18%

영국 10.63%

캐나다 18.47%

4. 인터넷 정치 사례 (4) 18 대 국회의원의 트위터 사용에 관한 분석

■ Tweet 유형

(1) 사회 정치적 메시지 : 정치적 사건 , 사회 정치적 뉴스 , 현재 진행중이거나 미래의 정

책 , 정치 캠페인 , 사회적 견해 , 공공관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

(2) 개인적 메시지 : 개인적인 이야기 , 일상 생활 , 현재 감정 , 자기 노출 , 자신에

대한 자유로운 이야기를 포함하는 메시지 .

(3) 대화 메시지 : 다른 사람에게 이야기 하는 메시지 . ('@+ID' 로 나타남 .)

4. 인터넷 정치 사례 (4) 18 대 국회의원의 트위터 사용에 관한 분석

* Tweet 의 유형 * 대화 메시지

4. 인터넷 정치 사례 (4) 18 대 국회의원의 트위터 사용에 관한 분석

1. 감정 분석

* 10 명의 한국 국회의원에게 남겨진 코멘트 200개를

무작위 추출 . 총 200 개* 코멘트는 ‘긍정적 , 부정적 , 관련 없음’으로 분류 .

(1) 긍정적 메시지 : 국회의원에게 존경 , 지지 , 심리적 유대감을 나타냄 . 예의바른 단어로 정책을 제안함 .

(2) 부정적 메시지 : 적대적이거나 국회의원에 대한 비판 , 비난 , 욕설을 포함하는 코멘트 .

(3) 관련없는 메시지 : 국회의원과 관련이 없거나 정책과 관련이 없는 코멘트 . 정치에 대한 일반적인 의견이나 스팸 .

4. 인터넷 정치 사례 (5) 18 대 국회의원의 미니홈피에 관한 분석

4. 인터넷 정치 사례 (5) 18 대 국회의원의 미니홈피에 관한 분석

2. 국회의원의 방명록에 자주 올라오는 단어와 의미 분석

(1)소프트웨어 Krkwic(Korean Key Word In Context) 을 이용하여 방명록에 자주 사용된 단어들을 분석 .

(2) Ucinet 의 Netdraw 를 이용하여 단어 메트릭스를 만듦 .

(3) 노드의 크기는 단어가 얼마나 자주 사용되었는가를 나타냄 .

4. 인터넷 정치 사례 (5) 18 대 국회의원의 미니홈피에 관한 분석

< 18 대 국회의원에 대한 단어 네트워크 지도 >

4. 인터넷 정치 사례 (5) 18 대 국회의원의 미니홈피에 관한 분석

18 대 국회의원들의 홈페이지에 업로드 된 이미지들을 무표정 / 찡그린 얼굴 / 웃는 얼굴로 분류 .

■ 10 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만든 결과 그래프

4. 인터넷 정치 사례 (6) 18 대 국회의원 홈페이지에 업로드 된 이미지 분석

5. 2007 년 대권 예비후보자 관련 신문기사의 네트워크 분석과 홍보전략

■ 본 연구의 설계

박근혜 , 고건

실제 출마 가능성이 가장 높은 후보를 선정 .

조선일보 ,한겨레신문

두 신문 대비 성향이 후보들에 대한 차별화된 인식으로 반영되는지 살펴봄 .

기사의 제목 , 부제목 분석

대선 예비후보자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볼 수 있음 .

■ 5.31 지방선거 전후 조선일보 ‘ 고건’ 관련 기사 제목에 나타난 주요어

5. 대권 예비후보자 관련 신문기사의 네트워크 분석과 홍보전략

■ 한겨레신문 ‘ 고건’ 관련기사 제목에 나타난 주요어

5. 대권 예비후보자 관련 신문기사의 네트워크 분석과 홍보전략

■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의 고건 관련기사 제목에 나타난 주요어 네트워크 지도

5. 대권 예비후보자 관련 신문기사의 네트워크 분석과 홍보전략

   

지방선거 관련기사와 서울시장시절 부정적 이미지 다루는 점이 특징적

* 조선일보

고건과 여당의 신당 , 희망한국국민연대 ,

지방선거에서부정적 이미지를 주로 다룸

* 한겨레 신문

고건 , 여당 , 희망한국국민연대를

통합적으로 보면서 잠재적 역할에 관심 보임

■ 네트워크 분석

5. 대권 예비후보자 관련 신문기사의 네트워크 분석과 홍보전략

■ 조선일보 박근혜 관련기사 제목에 나타난 주요어

5. 대권 예비후보자 관련 신문기사의 네트워크 분석과 홍보전략

■ 한겨레신문 박근혜 관련기사 제목에 나타난 주요어

5. 대권 예비후보자 관련 신문기사의 네트워크 분석과 홍보전략

■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의 박근혜 관련기사 제목에 나타난 주요어 네트워크 지도

5. 대권 예비후보자 관련 신문기사의 네트워크 분석과 홍보전략

 

공통점 : 피습사건과 전당대회를 다룸

* 조선일보

대선 관련 중점 보도

* 한겨레 신문

피습사건의 파급효과 중점 보도

■ 네트워크 분석

 

5. 대권 예비후보자 관련 신문기사의 네트워크 분석과 홍보전략

6. 인터넷 일반(1) 인터넷 탄압과 디지털 경제

인터넷 강국 , 한국은 지금 ?

한국은 100 인당 초고속인터넷 가입자 10.4 명으로 세계 1 위 .

국제통신연합 (ITU) 의 2008 년 정보통신발전지수 세계 2위 .

한국은 ' 국경없는 기자회 ' 가 발표한 인터넷 자유가 위협받는 잠재적 국가 .

한국은 구글에 세계 최초로 인터넷 실명제 도입을 요구 .

인터넷을 아마추어의

공간으로 폄하하는 지식인 집단 .

인터넷 정보의 독점화와 상업화를

주도하는 경제 엘리트 집단 .

인터넷의 자유로운 접근을 가로막는

정부 . 인터넷의 독창적 정보유통 방식을

모방하여 경쟁하는 기성 언론 .

인터넷을 악용하여 공공 신뢰를 결국 무너뜨리는 스팸머 , 해커 , 충동적 시민들

인터넷을 위협하는 디지털 오적

6. 인터넷 일반 (1) 인터넷 탄압과 디지털 경제

* 크라우드소싱이란 ? 인터넷의 유휴 노동력을 모아서 산업적으로 활용 하는 것 .

예 : 기업이 해결하기 어려운 과제를 이노센티브(innocentive.com) 에 가격과 함께 올리면 , 인터넷 이용자들이 여유시간에 문제에 도전하고 대가를 받는다 .

☞ 인터넷의 잠재력과 순기능을 극대화하면서 국가발전의 동력으로 전환할 수 있는 사례 .

■ ‘ 크라우드소싱’ (Crowd-Sourcing).

6. 인터넷 일반 (1) 인터넷 탄압과 디지털 경제

■ 영국의 ‘그들에게 편지 쓰기’ (WriteToThem.com) 웹사이트 분석

2008 년도에 이 웹사이트를 통해 정치인에게 이메일을 보낸 사람들의 약 ⅔가 정치인들로부터 답장을 받음 .

* 웹사이트 이용자 가운데 45% 는 정치 무관심 계층에 가까운 사람들이었음 .

* 시민들은 이메일에 답장을 하지 않은 정치인을 다음 선거에서 지지하지 않겠다고 밝힘 .

6. 인터넷 일반 (2) 인터넷과 민주주의

■ 대구 경북의 경우

■ 영국의 ‘그들에게 편지 쓰기’ (WriteToThem.com) 웹사이트 분석

* 시사점1. 이메일을 통해서 정치인과 시민들 사이에 가깝고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 가능2. 민주주의를 획기적으로 개선 가능 .

대구의 인터넷 이용률 : 73.5% 경북의 인터넷 이용률 : 65.9%

대한민국은 인터넷 민주주의 활성화를 위한 최적의 환경 .지역 주민의 인터넷을 통한 정치 및 행정의 참여도는 저조함 .

6. 인터넷 일반 (2) 인터넷과 민주주의

■ ‘ 멘탈 인프라’ 란 ?

디지털 네트워크의 하부구조를 원활하게 작동시켜서 ' 인간적 경험 ' 을 널리 확장하는 ' 인터넷 신경 정보망 '

* 우리는 첨단 네트워크 기반을 보유하고 있지만 이를 창의적으로 활용하기에는 멘탈 인프라가 부족함

■ 멘탈 인프라가 중요한 이유 ! : 새로운 발전 기회를 포착하고 지역의 성장 동력을 활성화하기 위해

6. 인터넷 일반 (3) 멘탈 인프라의 중요성

‘ 멘탈 인프라’가 강화해야 할 다섯가지 속성

연결적 속성

통합적 속성

복합적 속성

미래적 속성

유연한 속성

6. 인터넷 일반 (3) 멘탈 인프라의 중요성

* 왜 전자상거래의 세금이 모이지 않는가 ?

: 주 (state) 와 지방 (local) 의 세금 시스템이 복잡하기 때문 .

* 인터넷의 발달로 전자상거래가 늘어나는 시점에서 그에 따른 세금 문제도 심각해지는 상황 .

* 예를 들어 , 미국에서 운영되지만 대만에 서버가 있는 사이트를 이용해서 한국에 있는 사람이 물건을 구입할 경우 세금은 누가 부담해야 하는가 ?

* 세금 문제 해결책현재 세금 시스템을 개혁 / 탈세의 기회를 줄임 / 세금의 정당한 획득

6. 인터넷 일반 (4) 전자상거래와 세금정책

Thank youThank you

for listening for listening. .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