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common criteria)와정보보호시스템...

Post on 08-Oct-2020

5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TRANSCRIPT

KRnet 20011

CC(Common Criteria)와 정보보호시스템평가

2001. 6. .

이 경 구kglee@kisa.or.kr

한국정보보호센터

KRnet 20012

목 차

1. 정보보호시스템 평가·인증제도

2. 국내외 평가 · 인증제도 비교

3. 국제공통평가기준(CC: Common Criteria)

4. 국외 CC 활용 동향

5. CC 수용 효과

KRnet 20013

평가 · 인증제도란 ?

정보보호시스템을 일반 사용자가 신뢰하며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품의 신뢰성을 보증하기 위한 법·제도

목적

정보보호시스템에 구현된 보안기능의 신뢰도 검증

평가·인증 원칙

Appropriateness

Impartiality

Repeatability

Soundness of Results

1. 정보보호시스템 평가·인증제도

KRnet 20014

평가 · 인증의 필요성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정보시스템 사용 증가

인터넷 등 정보통신망에 대한 취약성 및 위험 가중

체계적인 총체적 정보보호 대책 필수

평가·인증된 정보보호 제품 사용을 통하여 정보통신망

안전운영, 국가사회 보호

- 정보유출, 파괴, 위변조 등의

컴퓨터 범죄 및 해킹 급증

- 바이러스 감염, 서비스 방해,

불건전 정보 유통 등 정보화

역기능 확산

KRnet 20015

평가 · 인증의 위치

Policy 개발

책임 및 임무정의

정보보호시스템 구현

정보망구축안전 운영

교육 훈련

보안 감리

프레임워크설계

평가 · 인증

KRnet 20016

TCSEC : Trusted Computer System Evaluation CriteriaTNI : Trusted Network Interpretation of TCSECTDI : Trusted DBMS Interpretation of TCSECCSSI : Computer Security Subsystem Interpretation

CSSI

TNIo 미국국가 년도 ’83 ’85 ’90 ’95 ’00

TCSEC TCSECDoD 표준 TDI

ITSEC1.0

ITSEC1.2

o 국제

o 캐나다

o 유럽

o 한국

FC

CTCPEC1.0

CTCPEC3.0e

CC1.0

침입차단시스템기준

침입탐지시스템기준

영국, 독일프랑스기준

CC2.0

FC : Federal Criteria ITSEC : Information Technology Security Evaluation CriteriaCTCPEC : Canadian Trusted Computer Product Evaluation CriteriaCC : Common Criteria

CC2.1

2. 국내·외 평가·인증제도 비교국내외 평가기준 개발 현황

KRnet 20017

CSE CESG, DTI BSI

CSECESG(국가용)5개의 CLEF(민간)

‘90 ‘85

BSI(국가용)7개의 ITSEF KISA

‘85

권고 권고권고권고

CTCPEC(T0 - T7)

ITSEC(E0 - E6)

ITSEC(E0 - E6)

침입차단(탐지)시스템 평가기준

(K0 - K7)

ITSEM ITSEM정보보호스템평가인증지침TPEP

인증기관

평가기준(등급)

평가의강제여부

평가제도시행년도

평가지침서

평가대상

평가기관

미국 캐나다 영국 독일 한국

NIAP(NSA,NIST)

5개의민간평가기관

‘83

권고

TCSEC(D - A1)

TPEP,TTAP

정보보호시스템 정보보호시스템 정보보호시스템 정보보호시스템침입차단(탐지)

시스템

‘98

국가정보원

국가별 평가인증제도 비교

KRnet 20018

3. 국제공통평가기준(CC: Common Criteria)

- 평가결과 및 시간절약- 평가비용의 절감에 따른 제품가격의 인하- 평가가 신속해짐에 따라 새로운 제품개발의 가속화

평가결과의 국제적인 상호인정

국제적인 평가기준의 필요성 증가- 국가별로 상이한 평가기준

- 수 • 출입상에서 문제 발생

CC 개발 목적

KRnet 20019

기존 평가기준의 조화(harmonisation)를 통한 평가결과의 상호인정

(Mutual Recognition) 골격 제시

평가기준의 향후 발전 방향 정립 및 기술적인 평가의 차이를 해결

보안요구사항의 유연성 부여

※ CC 개발 주체 및 연혁

- 참가국가 : 6개국(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캐나다, 네덜란드)

- 1993 : 개발 합의

- 1996 : 버전 1.0 개발

- 1998 : 버전 2.0 개발

CC 개발 철학

KRnet 200110

국제공통평가기준 개발 방향

CCV1.0TCSECFC

(USA)

CTCPEC(Canada)

ITSEC(Europe)

AlignmentActivity

CCV2.1

KRnet 200111

CC Part 3

* Assurance Classes

* Assurance Components

CC Part 2Functional Requirements

* Functional Classes* Functional Families* Functional Components

* Detailed Requirements* Functional Packages

CC Part 1Introduction and Model

* Assurance Families

* Detailed Requirements

* Eval. Assur. Levels

Assurance Requirements

CC Part 1

CC Part 2

Introduction and Model

* General Concepts and Principles IT Evaluation

국제공통평가기준의 기본 구조

KRnet 200112

보안기능요구사항(Functional Requirement)

FTP Trusted Path 사용자와 TSF간 혹은 TSF간의 안전한 통신채널을 확보

FAU

FCO

FDP

FIA

FPR

FPT

FRU

FTA

Class

Security Audit

영 문 설 명

보안활동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 기록, 저장, 분석

설 명

Communication(Non-Repudiation)

User Data Protection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Privacy(Anonymity, etc)

Protection of Trusted Security Functions

Resource Utilisation

TOE Access

데이터를 교환하는 주체의 신원을 감지

사용자 데이터의 보호

사용자 식별 및 인증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에 의한 개인의 신원 및정보의 도용방지

TSF 데이터의 보호 및 관리

TOE의 가용 자원을 확보

TOE에 대한 사용자 세션의 보호

FCS Cryptographic Support 암호 운용 및 키관리

FMT Security Management TSF 데이터, 보안속성, 보안기능의 관리

KRnet 200113

보안기능 Component 구성요소

Family k ComponentComponent

Component

· · ·

Class b

Family j ComponentComponent

Component· · ·

Class a

Family i ComponentComponent

Component· · ·

CC 목록

기능 및 보증요구사항으로 구성된재사용 가능한 집합PP/ST 요소로선택 가능

Packages

PP 기초자료PP

ST 기초자료ST

추가 요구사항(CC에 없는)

KRnet 200114

보증요구사항(Assurance Requirement)

형상관리- 형상관리 자동화, 형상관리 기능, 형상관리 범위

배달절차 및 운영- 배달절차, 설치, 시스템 생성 및 시동

개발- 기능명세, 기본설계, 구현, 내부구조, 상세설계, 일치성

설명서- 사용자 설명서, 관리자 설명서

생성주기 모델- 개발환경 보안, 결함 정정, 생명주기 모델, 개발도구

시험- 시험의 완전성, 시험의 단위, 보안 기능 시험, 독립시험

취약성 분석- 비밀채널 분석, 오용분석, 보안기능 강도, 취약성 분석

보호프로파일 평가 보안목표명세서 평가 보증등급 유지

KRnet 200115

평가보증등급(EALs)

o Packages of assurance componentso Intended to balance the level of assurance obtained

with cost and feasibilityo Loosely based on assurance levels in the source criteria

■ EAL-1 기능시험

■ EAL-2 구조시험

■ EAL-3 방법론적 시험과 점검

■ EAL-4 방법론적 설계시험 및 검토

■ EAL-5 준정형적 설계 및 시험

■ EAL-6 준정형적 검증된 설계 및 시험

■ EAL-7 정형적 검증

KRnet 200116

보호프로파일(PP:Protection Profile) 및 보안목표명세서(ST:Security Target)

보호프로파일

사용자 및 개발자의 요구사항 정의

기능 구현 기술에 독립적임

제품 개발의 기본 문서로 사용

보안목표명세서

개발자가 작성

제품 평가를 위한 상세 기능 정의

구현 기술에 의존적임

KRnet 200117

TOE

보호프로파일사용자의수요 보안목표명세서

EAL7

EAL1

기능요구사항

보증요구사항

제출물

개발자

((

평가의뢰인

평가자

국제공통평가기준 기반 평가

KRnet 200118

4. 국외 CC 활용 동향

• 선진각국의정책변환- CC 기반의평가수용

※ 선진 각국은 자국의 전통적인 평가기준과(ITSEC, TCSEC등)

병행하여 활용

• 평가인증제도를 운영하는 선진국들을 중심으로평가결과에 대한 상호인정협정(Mutual Recognition) 확대

KRnet 200119

1. 상호인정협정의목적 MRA(Mutual Recognition Arrangement) 가입 국가간

정보보호제품 평가인증서 상호인정

국가간 정보보호제품 수출입시의 중복 평가에 소요되는 시간, 인력 및

노력 감소

단일 평가기준 사용을 통한 평가 신뢰성 강화

※ 공정성, 객관성, 반복성 및 재생성 평가 원칙 반영

2. 기본원칙 CC와 CEM을 이용한 평가 결과 인정

EAL1 ~ EAL4 제품에 대한 평가 결과 인정

기본원칙

CC 기반의 상호인정

KRnet 200120

1998. 10. 독일, 미국, 영국, 캐나다, 프랑스 등 5개국 가입

(CCMRA: CC 기반의 Mutual Recognition Arrangement)1999. 10. 호주, 뉴질랜드 등 2개국 추가 가입

2000. 5. CCMRA에서 CCRA(CC기반의 Recognition Arrangement)로 명칭 변경

※ ITSEC 기반의 유럽 MRA(SOG-IS 상호인정 조약)를 합병

2000. 5. 제 1차 ICCC 개최(13개국 가입)※ 2000. 10월 이스라엘 가입

2000. 7. 제 2차 ICCC 개최 예정

CC 상호인정협정(Mutual Recognition) 연혁

KRnet 200121

• 협정의목적(Purpose of the Arrangement)– 정보보호제품과보호프로파일(PP)에대한일관성있는평가수행으로제품및 PP의보안성및신뢰성향상

– IT제품과 PP의가용성향상– 평가의중복성방지– 평가및인증과정의효율성향상

• 협정의정신(Spirit of the Arrangement)– 참가 주체들간의 기술적 판단과 능력을 상호 이해하고

신뢰하며, 공개적인 논의와 토론을 통하여 일관성을유지함

CCRA 분석

KRnet 200122

• 회원제(Membership) 규정신설인증서사용국가(CCP)와인증서발급국가(CAP)로이원화

• 인정범위(Scope)규정추가인정범위확장(Extension)시협정참가국의동의필요

• 정보공유(Sharing of Information)의강화각참가국간정보공유의의무화

• 존속기간(Duration)조항의삭제협상개시 3년경과후재검토규정삭제

CCMRA(98. 10) vs. CCRA(2000. 5) 비교

KRnet 200123

단일평가기준으로 다양한 정보보호제품 평가

평가기준 유연성 부여

제품 유형 및 기술추세에 적합한 PP 개발

정보보호시스템 평가기준의 범용성 확보

국제표준 수용

전세계적으로 공개 등록된 PP 활용

5. CC 수용 효과

KRnet 200124

국내 정보보호제품 평가기준으로서의 CC 수용 선언

국내 정보보호업체 및 사용자의 PP/ST 개발 능력 함양

PP/ST 개발 기술 확보

정보보호업체 및 사용자를 위한 CC 및 PP 개발 관련 교육

CC 수용 시 전제조건

CC 수용 추진방안

정보보호제품 평가인증 관련 법, 제도 개정

CC 및 PP 개발 교육 프로그램 운영

KRnet 200125

결론 및 추진방향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