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의방사성폐기물관리시설 -...

Post on 11-Sep-2019

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TRANSCRIPT

외국의 방사성폐기물 관리시설

방사성폐기물관리시설-

선진외국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아무문제없이 안전하게 운영해 오고있습니다

산 업 자 원 부

한국수력원자력(주)

안 내

문의 사항이나 자료가 필요할 경우 아래의 연락처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산업자원부 원자력산업과

•전 화 : 02-2110-5485

•팩 스 : 02-503-9603

□ 한국수력원자력(주) 안전기술처

•전 화 : 02-3456-2401

•팩 스 : 02-3456-2429

□ 한국수력원자력(주) 원자력환경기술원

•전 화 : 042-870-0250

•팩 스 : 042-870-0249

외국의 방사성폐기물 관리시설

차 례

Ⅰ. 주요국가의방사성폐기물관리

1. 프랑스

2. 영 국

3. 스웨덴

4. 일 본

Ⅱ. 기타국가의방사성폐기물처분시설

부록. 우리나라의방사성폐기물관리

3

4

8

1 2

1 6

2 2

2 4

본 책자는 아래의 자료를 참고하여 제작하였습니다.

1. IAEA, PRIS(Power Reactor Information System, '02.4)

2. Nucleonics Week(McGraw-Hill, '02. 2.14)

3. International Nuclear Safety Center, ANL Web site for US. DOE

FRANCE프랑스

ENGLAND영 국

SWEDEN스웨덴

JAPAN일 본

Ⅰ. 주요 국가의 방사성폐기물 관리

CONTENTS

5 7기의 원자력발전소를 운영하면서 총 발전량의 7 5 %를 원자력으로 공급하고 있는

프랑스는1 9 6 9년부터영화‘쉘브르의우산’으로잘 알려진쉘브르인근에있는라망쉬

(La Ma nch )처분시설을 2 5년간 성공적으로 운영한 뒤 1 9 9 4년에 용량포화로 운영을

종료하고, 포도 주산지인 로브( L、Aub e )에 두 번째 처분시설을 건설하여 1 9 9 2년부터

운영하고 있습니다.

지역주민이 전하는 이야기

라망쉬처분시설에바로인접하여살고있습니다.

2 0여년동안방사성폐기물처분시설이운영되어왔지만다른

사람들이걱정하는것처럼농작물과가축피해는전혀없습니다.

아믈랭씨(목장경영)

1. 프랑스

방사성폐기물관리정책

프랑스는중·저준위폐기물은천층처분하고사용후연료는원전연료로재활용하기위해

재처리를 하고 있습니다. 재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준위폐기물은 유리고화하여

라아그(La Hag ue )재처리시설 부지에 보관후 고준위 처분시설이 확보되면 그곳으로

옮겨 처분할 예정입니다.

중·저준위폐기물

● 관리정책 : 영구처분

● 처분방식 : 천층처분

● 처분시설운영

·라망쉬 (La Manche)처분시설 : 운영종료 ( 1 9 6 9 ~ 1 9 9 4 )

·로브 ( L ' A u b e )처분시설 : 운영중 ( 1 9 9 2 ~ )

사용후연료

● 관리정책 : 재처리

·재처리시설 : 라아그 (1 , 6 0 0톤/년)

고준위폐기물

● 관리정책 : 유리고화하여 재처리시설 부지내 보관후 고준위 처분부지가 확보되면 지하

400~1,000m 의암반지층에처분

● 운영목표 : 2020년

▲로브처분시설 ▲로브처분시설내부

1. 프랑스

54

외국의방사성폐기물관리시설

6

로브( L ' Au be) 처분시설

프랑스의 제2 처분시설인 로브 처분시설은 부지면적이 약 3 0만평이며, 이중 약 9만

평이 순수한 처분부지 면적입니다. 처분용량은 약 5 0 0만드럼으로 향후 5 0년간 발생

될 방사성폐기물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입니다.

시설개요

● 위 치 : 파리에서약 200Km 떨어진트로야스( Troyes) 시슐랭듀이(Soulaines) 읍

● 면 적 : 총 95ha (30만평)

·처분부지 : 30ha (9만평)

● 처분방식 : 천층처분

·저장이완료되면콘크리트또는자갈로빈 공간을채운후 콘크리트슬라브를치고흙,

모래, 아스팔트등으로복토후 잔디를심어마감

● 처분용량 : 1백만㎥ ( 5 0 0만 드럼: 200ℓ기준)

● 운영개시 : 1992년

● 단위구조물: 길이24 M×넓이2 1 M×깊이8 M의 콘크리트구조물

지역지원

프랑스는 우리나라처럼 처분시설 주변지역 지원을 위한 국가차원의 제도는 없으나

방사성폐기물관리기관인A N DR A가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계획을 수립하여 지원하고

있습니다.

로브지역의지역지원

● 지원금액 : 일시불로3 , 6 0 0만 프랑 (약 7 1억원) 지급

● 세금납부에의한지원은매년3 , 0 0 0만 프랑 (약 6 0억원)

지역개발사업사례

● 시멘트공장건설지원(처분장운영에소요되는시멘트공급)

● 공공사업지원(학교, 마을회관등)

● 지역환경보전사업(생태계조사연구, 산림복구등)

● 소득증대(지역업체공사참여, 기술자훈련, 고용확대등)

● 기타지역개발프로젝트보조

지역경제파급효과

● 지방재정증대및 지역경제의활성화

·지역건설사의건설공사참여등

● 고용창출

·로브처분시설에서근무하는인력의3 0 %를 지역출신으로고용

▲로브처분시설▲로브처분시설주변지역의포도농장 ▲라망쉬처분시설인근의목장

◀처분완료된라망쉬처분시설

7

외국의방사성폐기물관리시설

방사성폐기물관리정책

영국은 1 9 8 2년에 설립된 N I R E X사가 방사성폐기물관리사업을 담당하고 있으며, 사용

후연료는 재처리하고 고준위폐기물은 유리고화 후 심층처분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있

습니다.

중·저준위폐기물

● 관리정책 : 영구처분

● 처분방식 : 천층처분

● 처분시설운영

·드릭( D r i g g )처분시설 : 운영중 ( 1 9 5 9 ~ )

사용후연료

● 관리정책 : 재처리

·재처리시설 : THORP(Thermal Oxide Reprocessing Plant) 1 , 2 0 0톤/년

고준위폐기물

● 관리정책 : 유리고화후 심지층처분

● 운영목표 : 미정(처분부지조사중)

2. 영국

지역주민이 전하는 이야기

처분시설이우리마을에들어오면서내가보아온모든것은마

을의발전이었습니다. 이곳에서는모든것이안전합니다.

연방정부의에너지성을비롯하여이곳의관계자들이안전을

위해노력하고있기때문에우리는매우편안합니다.

크리스·게리에리씨(주민)

▲드릭처분시설내부 ▲셀라필드원자력단지

3 3기의 원자력발전소가 운영되고 있는 영국에서는 1 9 5 9년부터 중·저준위폐기물

처분시설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약 3 3만평 규모의 드릭( Drigg) 처분시설은 폐기물을

처분한 후 흙으로 덮는 단순 천층처분방식으로 운영되었으나 1 9 8 7년부터 콘크리트

구조물을 만들어 처분하는 공학적 천층처분방식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2. 영국

8 9

외국의방사성폐기물관리시설

▲드릭처분시설내부

◀드릭처분시설

드릭(Drigg) 처분시설

영국내에서발생하는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은셀라필드원자력단지에인접해있는

드릭 처분시설에서 처분되고 있습니다. 1959년부터 운영하고 있는 드릭 처분시설은

단순처분방식으로운영하다가안전성을보강하여콘크리트구조물이보강된공학적천층

처분방식으로변경하여운영하고있습니다.

시설개요

● 위 치 : 맨체스터에서서북쪽으로 2 0 0 k m떨어진 쿰부리아● 면 적 : 총 110ha (33만평)·처분부지 : 36ha (11만평)

● 처분방식 : 천층처분·최종 처분은 토양, 잡석, 모래층, 점토층 등 다중 층의 방벽으로 약 3M 높이로복토하여 처리

● 처분용량 : 700,000 ㎥ ( 3 5 0만 드럼, 200ℓ기준)● 운영개시 : 1959년● 단위구조물: 길이 1 7 8 M×넓이 4 5 M×깊이 9 M의 콘크리트 구조물

지역지원

처분시설주변지역지원을위한국가차원의제도는없으나교량건설, 전기및 수도시설,

철도시설 확충 등 시설운영에 필요한 기반시설 건설에 투자하거나 고용기회를 증진

시키는 등의방법으로 지역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관리시설입지에따른사회간접시설확충

● 교량의 보수및 신축● 수도 및 전기시설의 확충

고용증대및 환경미화차원에서처분장주변에침엽수조림사업시행

지역연락위원회설치·운영

● 지역과의 의사소통을 위하여 영국핵연료공사( BNFL), 지역보건당국, 지역 및환경보호단체의 대표로 지역연락위원회를 구성하여 정기모임과 특별 설명회등을개최

셀라필드원자력홍보관운영

● 인근지역의 국립공원과 연계한 관광코스로 선정

▲드릭처분시설주변의목장 ▲셀라필드원자력홍보관

1110

외국의방사성폐기물관리시설

환경을 중시하는 나라로 이름난 스웨덴에서는 1 1기의 원자력발전소를 운영하면서 총

발전량의 5 0 %를 원자력으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수도인 스톡홀름에서 약 160Km 떨어진 발틱해변에 위치한 포스마크( For s ma rk) 처분

시설은바다에60m 깊이의동굴을뚫어건설한세계유일의해저동굴처분시설입니다.

3. 스웨덴

방사성폐기물관리정책

스웨덴의 방사성폐기물관리는 4개 전력회사가 공동출자하여 1 9 7 2년에 설립한 S K B

사가 담당하고 있습니다. 중·저준위 폐기물은 1 9 8 8년부터 영구처분하고 있으며, 사

용후연료는 중간저장시설인 C LA B에서 중간저장 후 2 0 1 0년대 중반부터 영구처분할

계획입니다.

중·저준위폐기물

● 관리정책 : 영구처분

● 처분방식 : 동굴처분

● 처분시설운영

·포스마크( Fo rsmark) 처분시설 ( 1 9 8 8 ~ )

사용후연료

● 관리정책 : 직접처분

·현재중간저장시설인C LAB( C e n t ral Interim Storage for Spent Fuel)에서 저장중

·2 0 1 0년 중반부터지하5 0 0 m의 암반지층에처분

지역주민이 전하는 이야기

방사성폐기물처분과정을모두자동화해서면밀히감시하고있습니다.

또한근처바다에서잡아올린물고기의이상여부를조사하고있는데

아무이상이없습니다. 처분시설을신뢰하고있습니다.

칼·에이나·니베르히씨(처분장직원)

▲사용후연료중간저장시설C L A B ▲포스마크원자력시설과주변마을

3. 스웨덴

12 13

외국의방사성폐기물관리시설

▲포스마크처분시설

◀처분시설내부14

지역지원

국가적 차원의 지역지원은 없으나 원자력시설 입지에 따른 철도, 항만 등 사회간접

시설이 확충되고 고용이 증대되어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업자

인 S K B사는 전 주민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개최하고 건설현장을 공개하는 등 적극적

인 홍보를 펼쳐 지역주민들로부터 신뢰를 얻고 있습니다.

원자력시설입지에따른사회간접시설확충: 철도, 항만, 전기, 수도등

고용효과증대 (주민6 , 0 0 0명 중 1 , 0 0 0여명고용 : 2000년기준)

외부인력유입에따른지역경제활성화

● 연간약 2 5 , 0 0 0여명이시설을방문

지방재정증대

포스마크( Fo rsmark) 처분시설

1 9 8 8년부터 운영한 포스마크 처분시설은 전 국토에 걸쳐 잘 발달된 암반을 활용하여

세계적 수준의 암반굴착기술로 건설한 세계유일의 해저동굴처분 시설입니다.

시설개요

● 위 치 : 스톡홀름에서북쪽으로160km 떨어진포스마크발전소부지내의해저암반

● 처분방식 : 해저동굴처분

·저장이 완료되면 콘크리트로 폐기물 사이를 채운 뒤 벤토나이트라는 점토와 모래로

동굴을메움

● 처분용량 : 6만㎥ ( 3 0만 드럼)

● 운영개시 : 1988년

● 시설구조 : 해저 6 0m에 2개의 진입동굴( 1 . 2 K m )과 저준위폐기물처분동굴 4개, 중준위

폐기물처분사일로1개(직경 30m, 높이7 0 m )로 구성

▲포스마크처분시설주변마을 ▲포스마크처분시설이위치한발틱해의물개서식지

15

외국의방사성폐기물관리시설

세계에서 유일한 원폭 피해국이면서도 원자력 기술확보에 남다른 노력을 기울인 일

본은 5 2기의 원자력발전소가 운영중에 있으며 총 발전량의 3 6 %를 원자력발전에 의

존하고 있습니다. 현재 아오모리현에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과 우라늄

농축시설을 운영중에 있으며, 사용후연료 재처리시설을 건설하고 있습니다.

방사성폐기물관리정책

일본은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은 천층처분하고 있으며, 사용후연료는 재처리한다

는 정책을 채택하고 있는데 대부분의 사용후연료는 영국과 프랑스에 위탁하여 재처

리하고 있습니다. 재처리후에 발생하는 고준위폐기물은 유리고화 후 심층처분한다는

기본정책을 세우고 후보부지를 물색중에 있습니다.

중·저준위폐기물

● 관리정책 : 영구처분

● 처분방식 : 천층처분

● 처분시설운영

·로카쇼무라처분시설 : 운영중( 1 9 9 2 ~ )

사용후연료

● 관리정책 : 재처리

·재처리시설 : 800톤/년 (́ 0 5운영예정)

고준위폐기물

● 관리정책 : 유리고화하여3 0 ~ 5 0년 임시저장후 지하암반에영구처분

·운영목표년도 : 2030~2040년

4.일본

지역주민이 전하는 이야기

국내의전력사정을감안할때 방사성폐기물처분사업은꼭 해야한다고

생각하고있습니다. 지역발전을위해서도이 사업은필수적이라생각합

니다. 국가에서추진하고있는사업이기때문에우리는안전성에대해서

는걱정하지않습니다.

마쓰오씨(로카쇼무라주민, 어업)▲원자력홍보관 ▲고준위폐기물의유리고화

4.일본

16 17

외국의방사성폐기물관리시설

▲로카쇼무라처분시설

18 19

로카쇼무라처분시설

1 9 9 2년부터 운영한 로카쇼무라 처분시설은 1단계로 2 0만 드럼을 처분완료하고 현재

2단계로 2 0만드럼 규모의 처분시설을 운영하고 있으며 최종 처분용량은 3 0 0만 드럼

규모입니다.

시설개요

● 위 치 : 동경 북방 700km, 혼슈 최북단 아오모리현 로카쇼무라● 면 적 : 약 3 6 0만㎡ ( 1 0 9만평, 우라늄 농축공장 포함)● 처분방식 : 천층처분·약 8m 깊이로 판 암반층에 6m 높이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세우고 그 속에폐기물을쌓고시멘트를채운뒤 12m 높이로벤토나이트혼합토와흙을덮음

● 처분용량·1단계 : 4만㎥ (약 2 0만 드럼) 처분완료·2단계 : 4만㎥ (약 2 0만 드럼) 운영중 (최종 6 0만㎥/약 3 0 0만 드럼)

● 운영개시 : 1992년● 단위구조물 : 길이 3 7 M×넓이 3 6 M×깊이6 M의 콘크리트 구조물

지역지원

지원근거 : 전원3법

교부금종류

● 총 교부금액 : 423억엔

·로카쇼촌 : 192억엔 ( 4 5 . 3%)

·인접지자체 : 214억엔 ( 5 0 . 6 % )

·아오모리현 : 17억엔 ( 4 . 1 % )

교부금종류

전원입지촉진대책교부금

원자력발전시설등 주변지역교부금

원자력발전시설등 입지지역

장기발전대책교부금

전원지역산업육성지원보조금

전력이출현(電力移出縣) 등 교부금

홍보·안전등 대책교부금

공공시설및 산업진흥시설정비사업

전기요금할인, 기업유치및 산업근대화사업

기업유치, 산업근대화및 복지사업

산업육성비젼작성사업, 마케팅사업,

기술도입사업등

기업유치및 산업근대화사업

원자력에관한지식보급, 안전확보에관한

조사업무등

대상사업

▲문화교류프라자 ▲체육시설

▲진료소 ▲노인정

시설유치확정후 1 0년간의전원입지추진대책교부금 ( 8́ 8 ~́ 99)

외국의방사성폐기물관리시설

2120

● 인구구조의변화

·일본의거의모든농어촌지역이인구감소와노령화문제에직면

·로카쇼촌의 경우원자력시설의 입지가 결정된 8́ 5년 이후 인구의 심각한 감소나 노령

화가 없음. 오히려취업기회증가등으로 정·장년층( 3 5 ~ 4 5세) 인구는계속 증가하고

있는추세임

● 산업구조의변화

·1차산업중심에서2차및 3차산업중심으로변화

● 지방재정에기여

·로카쇼촌의 1 9 9 9년도 총세입액은 8 3억엔으로 총지출액 8 1억엔보다 많아 흑자를

내고 있음. 총세입액의6 0 %인 5 0억엔이촌세이며, 이중 약 8 0 %를 일본원연주식회사

에서납부하고있음

● 지역주민의소득변화

·시설입지에따른1인당주민소득은시설입지전인 7́ 0 ~́ 8 0년도에는로카쇼촌이일본

전체 평균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였으나 9́ 2년 시설 입지후에는 현(縣)보다 월등하고

일본전체평균과비슷한소득의증가추세를보임

지역경제파급효과 (입지가결정된 8́ 5년 이후1 0년 간의변화상)

인구수

세대수

1 4 0 0 0

1 2 0 0 0

1 0 0 0 0

8 0 0 0

6 0 0 0

4 0 0 0

2 0 0 0

0

3 5 0 0

3 0 0 0

2 5 0 0

2 0 0 0

1 5 0 0

1 0 0 0

5 0 0

0

1 1 , 7 4 91 1 , 3 2 1

1 1 , 1 0 4 1 1 , 0 0 31 0 , 0 7 1

1 1 , 0 6 3

2 , 4 6 1 2 , 5 2 0 2 , 8 8 1 2 , 8 7 5 2 , 9 2 13 , 9 9 7

로카쇼

아오모리

일본전체

▲로카쇼촌의세대및인구수변화

▲산업별취업자수구성비변화

▲로카쇼촌주요지방세비율

▲로카쇼촌의1인당소득추이

1 9 8 5넌도 1 9 9 5넌도

1차산업

41%

3차산업

37%

1차산업

20%

3차산업

36%

2차산업

44%

2차산업

22%

촌세(忖稅)

6 0 %국고지출금

1 6 %

기타

1 2 %

현(俔)지출금

7 %

촌채(忖債)

5 %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1970 1980 1985 1990 1993 1994

2 3 93 7 9

5 8 6

8 8 9

1 , 2 2 3

1 , 7 0 6

1 , 2 1 4

1 , 5 6 3

2 , 1 0 41 , 8 6 1

2 , 1 6 9

2 , 7 8 6

3 , 0 5 2

2 , 3 2 0

2 , 9 9 0 2 , 9 2 8

2 , 4 5 9

2 , 9 8 5

● 고용효과

·건설기간 : 총 8 , 7 0 0여명중 현(縣)주민 6 , 5 0 0여명( 7 5 % )취업

·운영기간 : 2005년까지2 , 5 0 0명~ 3 , 5 0 0여명정도고용기대

● 기타

·원자연료주기시설을방문하는견학자와관광객의증대에따른지역상품판매등으로지

역경제가활성화됨

외국의방사성폐기물관리시설

22

Ⅱ 기타 국가의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 발부츠 ( Vaalputs) 처분시설

·위 치 : 스프링북( S p r i n gb ok )시

·처분시설 면적 : 10,000 ha

·운영년도 : 1986년

□ 올키루토(Olkiluoto) 처분시설

·위 치 : 올키루토 발전소 내

·처분용량 : 8,800 ㎥ (44,000 드럼)

·운영년도 : 1992년

□ 로비사 ( Loviisa) 처분시설

·위 치 : 로비사 발전소 인근

·처분용량 : 5,500 ㎥ (27,500 드럼)

·운영년도 : 1997년

□ 카눕( Kanupp) 처분시설

·위 치 : 카눕 원자력발전소 인근

·처분용량 : 20,000 ㎥ (100,000 드럼)

·운영년도 : 1971년

□ 푸스폭스질라기 ( P u s po kszilagy) 처분시설

·위 치 : 푸스폭스질라기

·처분용량 : 20,000 ㎥ (100,000 드럼)

·운영년도 : 1977년

□ 듀코바니( D u kova ny) 처분시설

·위 치 : 듀코바니 원자력발전소 내

·처분용량 : 55,000 ㎥ (275,000 드럼)

·운영년도 : 1994년

□ 리차드 ( R i c h a rd) 처분시설

·위 치 : 리토메리스( L it omer ic e )시 인근

·처분용량 : 8,000 ㎥ (40,000 드럼)

·운영년도 : 1964년

핀란드F i n l a n d

□ 몰스레벤 ( M o rs l e ben) 처분시설

·위 치 : 몰스레벤

·처분용량 : 폐광이용으로 용량미정

·준공년도 : 1981년(구동독 시설)

□ 콘라드 ( Ko n rad) 처분시설

·위 치 : 짤쯔지터 ( S a l z g it t er )

·처분용량 : 폐광이용으로 용량미정

·준공년도 : 운영허가 신청단계

□ 반웰( Barnwell) 처분시설

·위 치 : 남캐롤라이나주의 반웰 카운티

·처분용량 : 140만 ㎥ (7,000,000 드럼)

·운영년도 : 1971년

□ 리치랜드 (Richland) 처분시설

·위 치 : 워싱턴주의 리치랜드 카운티

·처분용량 : 87만 ㎥ (4,350,000 드럼)

·운영년도 : 1965년

□ 엘 카브릴(El Cabril) 처분시설

·위 치 : 코르도바( Cu rdob a)주

·처분용량 : 50,000 ㎥ (250,000 드럼)

·운영년도 : 1992년

□ 시아라돈 (Sia Radon) 처분시설

·위 치 : 모스크바 동북 1 0 0 k m

·처분용량 : 5,000 ㎥ (25,000 드럼) /년

·운영년도 : 1957년

독일G e r m a ny

미국U·S·A

□ 간슈 (Gansu) 처분시설

·위 치 : 간슈

·처분용량 : 20,000 ㎥ (100,000 드럼)

·운영년도 : 1998년

□ 베이롱 ( Beilong) 처분시설

·위 치 : 광동성

·처분용량 : 80,000 ㎥ (400,000 드럼)

·운영년도 : 1998년

중국C h i n a

스페인S pa i n

러시아R u s s i a

남아프리카공화국South Af r i ca

파키스탄Pa k i sta n

헝가리H u n g a ry

체코C h e ko

Ⅱ 기타 국가의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외국의방사성폐기물관리시설

24 25

우리나라는 총 1 8기의 원자력발전소를 보유하고 전력의 40% 이상을 공급하는 세계

6위의 원자력 강국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방사성폐기물 관리시설을 보유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현재 원전 내의 임시저장 시설은 2 0 0 8년부터 포화가 예상되어, 원전의 정

상적인 가동을 통한 장기 전력수급 안정을 위해서는 방사성폐기물 관리시설의 적기

건설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이에 따라 현재동해안과 서해안에 각 2개소씩 총 4개지역을 방사성폐기물관리시설

후보부지로 선정하고 지질조사 및 지역협의를 거쳐 동, 서해안에 각 1개소씩 총 2개

지역을 최종부지로확정할 계획입니다.

우리나라의 방사성폐기물관리

방사성폐기물관리정책

우리나라는방사성폐기물을국가책임하에관리한다는원칙아래중·저준위폐기물은

부지여건에 따라 천층 또는 동굴처분하고 사용후연료는 관리정책이 결정될 때까지

임시 중간저장 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중·저준위폐기물관리

● 원전에서발생하는폐기물은각 원전부지내에서저장관리중

● 원전이외의곳에서발생하는폐기물은현재의시설을효과적으로활용하여저장관리중

● 처분시설이운영될경우단계적으로이송하여영구처분

사용후연료관리

● 소내저장능력을확충하여2 0 1 6년까지각 원전부지내에서관리

● 2 0 1 6년 중간저장시설이운영될경우단계적으로이송하여집중관리

● 처리·처분에대한국가정책방향이결정될때까지중간저장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처분시설가상조감도 ▲사용후연료중간저장시설가상조감도

우리나라의 방사성폐기물관리 외국의방사성폐기물관리시설

26 27

지원금지급시기

방사성폐기물관리시설건설

방사성폐기물관리시설 후보부지로 선정한 4개 지역을 대상으로 세부 지질조사 및

환경성 검토를 통해 부지적합성을 다시 한번 검증하고 지자체 및 지역주민과 충분한

협의를 거쳐정부, 사업자, 학계, 연구계, 사회단체로 구성되는「부지선정위원회」에서

동, 서 해안에 각 1개소씩 총 2개지역을 최종부지로 확정할 계획입니다.

중·저준위폐기물처분시설건설

● 확보시기 : 2008년준공목표

● 처분방식 : 부지여건에따라천층처분또는동굴처분방식선택

● 시설규모 : 1단계는1 0만 드럼규모로건설하며, 단계적으로증설

(총 8 0만 드럼규모)

사용후연료중간저장시설건설

● 확보시기 : 2016년준공목표

※ 사용후연료처리·처분정책의결정시기및 방향을고려하여2 0 0 8년까지건설착수

● 저장방식 : 부지여건, 기술개발상황등 제반사정을감안하여건설착수시까지결정

(습식저장또는건식저장)

● 시설규모 : 1단계는2 , 0 0 0톤 규모로건설하며, 추후필요시증설

(총 2 0 , 0 0 0톤 규모)

사업종류 사업내용

·소득증대사업(예:농수산물유통센터건립등)

·공공시설사업(예:마을회관건립등)

·육영사업

(예:장학금지급등)

·기본지원사업과동일

·주택용및 산업용전기요금의일부를보조

·생활안정을위해주민들에게일정금액을저리로융자

·지역내에설립되는기업에일정금액을장기저리로융자

기본지원사업

* 지역협의에 따라지원 제도개선 추진

특별지원사업

전기요금보조사업

주민복지지원사업

기업유치지원사업

9 1 4억원 중·저준위폐기물처분 시설로부터 반경5km 이내의읍·면·동

지방자치단체관할구역전체

* 시설자율유치가정금액

중·저준위폐기물처분 시설로부터 반경5km 이내의읍·면·동

1 , 6 7 2억원

2 4 2억원

1 0억원

9 1억원

합계 2 , 9 2 9억원

지원금액 지원대상지역

구분 건설기간( 5년)

기본지원사업

특별지원사업

전기요금보조사업

주민복지지원사업

기업유치지원사업

3 2 7

1 , 6 7 2

3 5

1 0

1 3

2 , 0 5 7

5 8 7

-

2 0 7

-

7 8

8 7 2

9 1 4

1 , 6 7 2

2 4 2

1 0

9 1

2 , 9 2 9

운영기간( 3 0년) 계

▲방사성폐기물관리시설가상조감도

지역지원사업(건설기간5년, 운영기간3 0년)

우리나라는 최종부지로 지정되는 지역에 대해서는 관련법에 따라 약 3 , 0 0 0억원 규모

의 지역지원금은 물론, 지역에서 희망하는 각종 국가사업을 범정부적으로 지원해 나

갈 계획입니다. 또한 지역의 관광자원 및 특화산업을 적극 개발하고 도로, 교량 등의

사회간접시설의 확충을 통해 가장 살기 좋고 소득이 높은 지역으로 발전할 수 있도

록 정부차원의 지원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지역지원사업의종류와지원금액

외국의방사성폐기물관리시설

2928

처분시설의안전성

방사성폐기물 관리시설에 대한 안전성은 이미 외국에서 수십년간 운영하면서 입증

되었지만 관리시설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지역주민들이 참여하는 환경감시

기구를 구성하여 건설과정은 물론 운영과정까지직접확인 할 수 있도록 합니다.

뿐만 아니라, 세계 어느 나라의 처분시설에도 뒤지지 않는 최고의 처분시설을 건설

하기위해 대덕연구단지에있는원자력환경기술원에서처분시설의설계·건설·운영의

전 과정에 대한 처분안전성 연구를 국가지정하에 수행하고 있습니다.

방사성폐기물처분절차

2. 되메움재로드럼과드럼사이를메움

1. 처분고내에폐기물드럼정치

3. 철근콘크리트로마감 4. 다중층복토작업 5. 잔디를심어친환경적으로처리

6. 처분완료후 지속적인환경감시

환경감시및 점검로

잔디

다중복토층

처분고

외국의방사성폐기물관리시설

방사성폐기물관리시설!

세계 최고의 시설로 건설하겠습니다

이미오래 전부터방사성폐기물처분시설을운영해오고있는세계

여러나라를보더라도지역지원및 처분장운영으로인한세금납부

등으로 지역의 발전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처분시설을

포함한 원자력 관련시설에 현지 주민들을 채용함으로써 고용증대

측면에서도 많은도움을 주고있습니다.

지금우리에게필요한것은국가경제의혈맥인전력의안정공급과

지역경제 발전이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도록 한발 더 멀리 내다

보려는 마음가짐입니다.

▲우리나라방사성폐기물관리시설가상조감도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