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ectricity accident cases by kosha (전기 재해 사례)

Post on 27-Jun-2015

884 Views

Category:

Education

5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DESCRIPTION

Electricity accident cases by kosha전기 재해 사례

TRANSCRIPT

건물 지붕위 용수관 교체시 배전선로에 접촉되어 감전

재 해 개 요

건물지붕위에 설치된 공업용수관이 동파되어 이를 교체하려던 피재자가

용수관의 보온피복으로 쓰이는 발포 폴리에틸렌 보온재를 취급하다가

인근에 설치된 변압기의 배전선로(22.9kV)에 접촉되어 감전 사망함

재 해 사 진

재 해 자 가 쓰러진 위치

2 . 7m

2.2m

<사진 : 사고발생장소와 배전 선로와의 이격 거리>

<사진 : 접촉된 배전선로 및 직접 접촉된 보온재>

피재자가 쓰러진 위치

접촉된 보온재보온재가 접촉된 배전선로(22.9Kv)

재해발생 상황

ㅇ 작업현장 상황

피재자는 특고압(22.9kV)의 배전선로가 있는 주상변압기와 가까운 건물

지붕위에서 동파된 용수관을 교체하기 위하여 새로운 P.E 용수관의 끝부

분부터 폴리에틸렌 보온재를 끼우는 등의 작업을 하는 중이었음

재해발생 원인

ㅇ 특고압(22.9kV) 충전선로에 접촉되어 감전

- 재해자가 동파된 용수관(PE관)을 교체하기 위해 지붕위에서 PE관에

보온재를 끼우거나 PE관을 당기는 작업을 하던 중 인접한 특고압 배전

선로( 22.9㎸)에 손으로 잡고 있던 보온재가 접촉되고, 보온재 표면에 피

복된 Al시트와 인체사이에 통전경로가 형성되어 재해자가 감전됨

ㅇ 특고압활선 근접작업중 충전전로에 방책 및 절연방호구 미설치

- 특고압 활선에 근접하는 장소에서 시설물의 수리 등 작업을 할 때 당

해 충전전로에 감전방지용 방책이나 절연용 방호구를 미설치한 상태에

서 작업하다가 충전전로에 피재자가 손으로 잡고 있던 도전성 물체가

접촉되어 감전됨

동종재해예방대책

ㅇ 시설물 건설등의 작업시의 감전방지 조치 실시- 특고압(22.9㎸) 배전선로에 근접하여 PE관을 교체하는 작업을 하는 때

에는 접촉에 의한 감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전작업을 하거나 부득이

정전하여 작업을 하지 못하여 근로자가 충전전로에 신체등이 접촉하거

나 접근함으로 인하여 감전의 위험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때에는 감전

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방책을 설치하여야 함

- 또한, 접촉되어 감전될 위험이 있는 당해 충전전로에 절연용 방호구를

설치하여야 하며, 방책이나 절연방호구의 설치가 현저히 곤란한 때에는

감시인을 두고 작업을 감시하도록 하여야 함

ㅇ 지붕위를 통과하는 용수관의 이설 및 경고표지 부착

- 방책이나 절연용 방호구가 미설치된 특별고압 충전전로에 가까운 지붕

위에 설치된 용수관을 이설하고, 관계근로자외의 자의 출입이 금지되는

변압기의 변대에는 감전위험 표시 등으로 방호하여야 함.

고압변압기전기판넬청소작업중충접부접촉하여감전

재 해 개 요

❍❍조선(주) 선각공장 변전실에서 재해자가 고압변압기 전기판넬

내부 먼지 제거 청소작업 중 6,600V 충전부에 접촉하여 감전사망

한 사고임.

현 장 사 진

재해발생원인

○ 고압전기설비 점검 및 청소작업시 정전 미실시

- 고압변압기 설비 내부 이물질, 먼지 제거 등 점검 및 청소작업

시 정전작업이 가능한 경우이나 고압변압기 주전원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점검 및 청소 등을 실시함.

○ 보호구 미착용

- 고압활선근접작업을 함에 있어 절연모, 절연장갑, 절연화, 난연 작

업복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로 고압충전부 주변의 먼지를 제거함.

재해예방대책

○ 고압전기설비 점검 및 청소작업시 정전작업 조치

- 고압전기설비의 점검 및 청소작업시 주전원을 차단하고 점검정

비 수리중(통전금지) 표지를 부착하는 등 정전작업 조치를 하여

야 함.

○ 보호구 착용

- 고압활선에 근접하여 점검 및 청소작업시 정전작업이 곤란할 경

우 절연모, 절연장갑, 절연화, 난연 작업복을 착용하여야 함.

비상발전기 예방정비 작업도중 6.6(KV)고압 활선 충전부에 신체접촉 감전

재 해 개 요

2011년 3월 09일(수요일) 11:48분경 인천광역시 ○○소재 ○○발전소』

내에서 비상발전기 A/S 예방점검을 하던『○○(주)』소속 재해자가

750KW 규격-이동식 발전기의 케이블 단자를 점검하던 중 6.6(KV)고압

활선충전부에 인체가 접촉 되어 감전 사망하였음.

현 장 사 진

감 전재 해지 점

간격(53cm)

사진3: 발전기내부 사고가해물-P.T(계기용 변성기:2조), 진공차

단기(VCB)모습

재해발생 과정

발전기 운전 중 진동으로 인해 내부에서 소손이 발생되어 정전이 유발 되는 문제점이 제기되어

이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예방 정비작업을 하기 위해 발전기 전 전면 판넬 문을 연 후 내부

상단에 위치한 사고 가해물 P.T 가 고압활선 상태로 통전 중임을 깜빡 잊고 P.T 에

왼손을 넣는 실수를 범하여 감전 사망함.

재해발생 원인

● 고압활선 근접작업시 근로자에 대한 감전예방 절연용 보호구 미지급/미착용

- 고압의 충전전로에서 감전의 우려가 있는 때에는 당해 충전 전로에 절연용

방호구 설치 또는 이것이 용이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근로자에게 고무절연장

갑/안전모/고무절연 장화 등 절연보호구를 착용시켰어야 하나 이를 미준수 했음.

● 작업장소에 대한 감전방지를 제반 안전작업 지휘소홀

- 충전전로 부근에서 점검․수리 작업시 신체가 접촉/감전의 위험이 우려되는 경우에는

『발전기의 전면 문을 잠근후 열쇠 별도관리/고압수전중-경고 표지 부착/감전위험

을 방지하는 방책설치/작업장소에 대한 정전조치 및 작업감시자 배치를 통한

안전작업에 지휘를 소홀히 하였음.

동종재해예방대책

● 고압활선 근접작업시 근로자에 대한 감전예방 절연용 보호구 지급/착용 준수

- 고압의 충전전로에 근접하는 장소에 감전의 우려가 있는 때에는 당해 충전전

로에 절연용 방호구 설치 또는 이것이 용이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근로자에

게 고무 절연장갑/안전모/고무 절연장화 등 절연용보호구를 착용시킨 후 작

업에 임하도록 함.

● 작업장소에 대한 감전방지를 위한 안전조치 및 안전작업수행 지휘철저

- 충전전로에 부근에서 점검․수리 등의 작업을 함에 있어 충전전로에 접촉/감전 위

험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때에는 다음과 같은 안전조치를 취함.

* 발전기의 전면 판넬문(재해장소)을 잠근 후 열쇠 별도관리

* 활선지점에는『전기위험(고압수전중)』경고표지 부착

* 감전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방책 설치 및 정전조치를 선행 한 후 작업시행.

- 기타 상기의 사항이 용이하지 않을시는 작업감시자 배치를 통한 제반 안전

작업수행에 철저한 지휘를 기하도록 함.

섬유염색작업중누전된염색기에접촉하여감전

재 해 개 요

○○섬유염색 가공공장에서 소속 외국인 재해자가 염색기 내부에 염색중인 원단

롤의 오염방지 비닐씌우기 작업을 지시받고 작업하던 중 쓰러져있는 것을 목격

자가 발견하여 119에 신고 병원으로 후송하였으나 사망한 재해임

현 장 사 진

<재해자가 발견된 염색기 전면부>

<대차 원단선적용 유압롤링기>

재해발생원인

○ 금속제 외함에 대한 접지 미실시

- 물기 또는 습기가 있는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유압롤링기, 염색기 등 전기기계․기구에는 전기모터의 절연파괴, 충전부와 금속제 외함의 단락 등 누전에 의한 감전

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금속제 외함에 대하여 확실하게 접지를 하여야 하나 이를

미실시 함.

○ 누전차단기에 의한 감전방지조치 미실시

- 원단 염색공정 등 습윤장소에서 사용하는 이동용 전기기계·기구에 대하여

누전에 의한 감전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감전방지용 누전차단기를 설치하여

야 하나 일반 배선용차단기를 사용함.

재해예방대책

○ 금속제 외함에 대한 접지 실시

- 물기 또는 습기가 있는 장소에서 사용하는 유압롤링기, 염색기 등 전기기계․기구

에는 전기모터의 절연파괴, 충전부와 금속제 외함의 단락 등 누전에 의한 감전재

해를 예방하기 위해 금속제 외함에 대하여 확실하게 접지를 하고, 설치된 접지에

대해 상시 적정상태 유지여부를 점검하고 이상을 발견한 때에는 즉시 보수하거나

재설치 하여야 함.

○ 누전차단기에 의한 감전방지조치 실시

- 습윤장소에서 사용하는 이동용 전기기계․기구에 대하여 누전에 의한 감전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전로의 정격에 적합하고 감도가 양호하며 확실하게

작동하는 감전방지용 누전차단기를 설치.

에어건청소작업중누전된사출성형기에접촉하여감전

재 해 개 요

○○산업 공장내에서 피재자가 사출성형기의 금형을 탈착하기 위

하여 에어건으로 청소작업 중 누전된 사출성형기에 접촉, 감전되어

사망한 재해임.

현 장 사 진

사출성형기

누전발생

통전경로

재해발생원인

○ 사출성형기 접지 미실시 - 누전에 의한 감전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금속제 외함을

갖는 모든 전기기계․기구에는 접지를 실시하여야 하나 접지를

실시하지 않음

○ 사출성형기 안전검사 미실시

- 유해하거나 위험한 기계․기구․설비로 지정된 사출성형기는 안전

검사를 받아 기계의 안전에 관한 성능을 인증받아야 하나 안전

검사를 미실시

○ 전원 미 차단상태에서 정비 등의 작업 실시

- 정비 등의 작업 시에는 전원을 차단하여 안전한 상태에서 작업

을 실시하여야 하나 전원 미 차단상태에서 정비 등의 작업 실시

재해예방대책

○ 전기기계․기구(사출성형기등) 접지 실시 - 전기기계기구의 금속제 외함에는 누전에 의한 감전을 방지하기

위한 접지를 실시하여야 하며, 주기적으로 접지선의 탈락 유

무, 접지저항측정 등을 확인하여 관리 하여야 함

○ 사출성형기 안전검사 실시

- 사출성형기는 의무안전인증대상기계·기구로서 최초 설치하여

3년 경과 후 매2년마다 안전검사를 받아야 함

○ 정비 등의 작업 시 전원차단 실시

- 정비 등의 작업 시에는 근로자의 위험을 사전에 제거하기 위

해 해당 기계․기구의 운전을 정지하는 조치(전원차단 등)를

실시하여야 함

철주운반중특고압전선에접촉하여감전

재 해 개 요

(주)○○이 소유한 야적창고에서 피재자와 동료 작업자가 카고크레인을 이용하여 철주를 운반하던 중 창고 상부에 위치한 특고압 전선에 카고크레인 붐대 끝단의 케이지가 접촉되는 순간, 지면에서 카고크레인을 조작하던 피재자가 감전되어 사망한 재해임.

현 장 사 진

재해발생원인

o 특고압 가공전선 인근에서의 작업시 감전방지조치 미흡

- 창고 상부에 특고압 가공전선이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카고

크레인을 사용, 도전성이 높은 철주 등을 운반하여 붐대 및 철제

운반물 등의 가공전선 접촉으로 인해 작업자의 감전 위험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안전조치 없이 동 작업이 수행됨

재해예방대책

o 충전전로 인근에서의 작업시 감전방지조치 철저

- 가공전선 또는 전기기계․기구의 충전전로에 접근하는 장소에서

시설물의 건설․해체․점검․수리 및 도장 등의 작업 및 이동식

크레인 등을 사용하는 작업을 함에 있어서 해당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신체 등이 해당 충전전로에 접촉하는 등 감전 위험의

우려가 있는 때에는 ①해당 충전전로의 이설 ②감전위험을 방지

하기 위한 방책 설치 ③해당 충전전로에 절연용 방호구 설치 ④

별도의 감시인을 두고 감시 등 적절한 안전조치를 취한 후 작업

을 수행하도록 함

탈수를마친섬유를정리하던중금속프레임에접촉감전

재 해 개 요

○○섬유에서 피재자가 원심기에서 탈수를 마친 섬유를 원단정리기

로 보내기 위해 원단정리기가 설치된 금속 프레임을 접촉하는 순간

감전되어 병원으로 이송되었으나 사망.

현 장 사 진

통전경로

재해발생원인

○ 습윤한 장소에서 사용하는 전기기계․기구에 누전차단기능이

없는 배선용차단기 설치 사용

- 수세(세탁)공정을 거친 원단을 원심기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다량의 습

기(물방울)가 원심기 모터등에 침투할 위험성이 있는 매우 습윤한

장소임에도 불구하고 누전차단기능이 없는 배선용차단기 설치 사용

○ 원심기 안전검사 미실시

- 유해하거나 위험한 기계․기구․설비로 지정된 원심기는 안전검사

를 받아 기계의 안전에 관한 성능을 인증받아야 하나 안전검사

를 미실시

재해예방대책

○ 습윤한 장소에서 사용하는 전기기계․기구에는 누전차단기 설

치 사용

- 습윤한 장소에서 사용하는 전기기계․기구 전단에는 모터특성을

고려하여 누전차단기능이 있는 누전차단기 설치 사용

※ 일반적으로 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정격감도전류:30㎃, 동작

시간:0.03sec)를 사용할 경우 모터 시동시 차단기가 작동될

우려가 있으므로 정격감도전류 및 동작시간을 조정 할 수

있는 누전차단기로 설치할 것을 권장함

○ 원심기 안전검사 실시

- 원심기는 설치후 3년이 경과한 시점에서 매2년마다 안전검사를

받아야 함

휴대용연삭기에전원투입중감전사망

재 해 개 요

(주)○○ 사업장내에서 재해자가 일반작업용 리프트 설치를 위해

휴대용 연삭기(Hand Grinder)로 리프트 골조 절단 및 사상작업을

하고자 휴대용 연삭기(Hand Grinder)에 전원을 투입하던 중 감전

되어 병원으로 후송․사망한 재해임

현 장 사 진

<휴대용연삭기 전원연결 콘센트(하부) 및 배선용차단기(상부)>

<휴대용연삭기 전원 연결 배선용차단기>

재해발생원인

○ 휴대용 전동기계․기구 외함접지 미실시

휴대용 전동기계․기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금속제 외함에 접지

를 실시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외함접지를 실시하지 않은 상태

에서 휴대용 연삭기를 맨손으로 잡고 작업 중 누전에 의해 감전

되어 사망함

○ 누전차단기 미설치

대지전압이 150V를 초과하는 휴대형 전기기계․기구에는 누전차

단기를 접속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대지전압이 220V인 휴대

용연삭기에 누전차단기를 접속하지 않고 배선용 차단기에서 전

원을 인출하여 사용 중 누전에 의해 감전됨

재해예방대책

○ 휴대용 전동기계․기구의 노출된 비충전 금속체 접지 실시

- 휴대용 연삭기 등의 전동기계․기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감전

방지를 위하여 해당 기계․기구의 금속제 외함에 접지를 실시하

여야 함(이중절연구조 또는 동등 이상의 경우 예외)

※ 접지선 접속순서 : 전동기계․기구->꽂음접속기(접지형)->

분전반->대지

○ 감전방지용 누전차단기 설치

- 대지전압이 150V를 초과하는 휴대형 전기기계․기구의 전원

측에는 감전방지용 누전차단기(정격감도전류 : 30 mA이하,

동작시간 : 0.03초 이내)를 설치하여야 함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