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설계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gachon/kimjaecheol/... · 2016-09-09 · 25...

Post on 12-Feb-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TRANSCRIPT

1

2

도시설계 = 사람을 위한 장소를 만드는 일?

3

도시설계의 이해

• Haussmann's renovation of Paris (1853 ~ 1870)

Civic Design

4

도시설계의 이해

• Haussmann's renovation of Paris (1853 ~ 1870)

– Baron Haussmann & Napoleon III

Civic Design

5

도시설계의 이해

• Haussmann's renovation of Paris (1853 ~ 1870)

– Narrow and dirty streets

Civic Design

6

도시설계의 이해

• Haussmann's renovation of Paris (1853 ~ 1870)

– Narrow and dirty streets

Civic Design

7

도시설계의 이해

• Haussmann's renovation of Paris (1853 ~ 1870)

– Narrow and dirty streets

Civic Design

8

도시설계의 이해

• Haussmann's renovation of Paris (1853 ~ 1870)

– Narrow and dirty streets

Civic Design

9

도시설계의 이해

• Haussmann's renovation of Paris (1853 ~ 1870)

– Armed uprisings in Paris between 1830 and 1848,

with barricades built in the narrow streets.

Civic Design

10

도시설계의 이해

Civic Design

• Haussmann's renovation of Paris (1853 ~ 1870)

11

도시설계의 이해

Civic Design

• Haussmann's renovation of Paris (1853 ~ 1870)

12

도시설계의 이해

Civic Design

• Haussmann's renovation of Paris (1853 ~ 1870)

13

도시설계의 이해

• World Columbian Exhibition (1894)

– Daniel Burnham &

Frederick Law Olmsted

"Make no little plans. They have no magic to

stir men's blood and probably will not

themselves be realized."

Civic Design

14

도시설계의 이해

Civic Design

• World Columbian Exhibition (1894)

15

도시설계의 이해

Civic Design

• World Columbian Exhibition (1894)

16

도시설계의 이해

Civic Design

• World Columbian Exhibition (1894)

17

도시설계의 이해

Civic Design

• City Beautiful Movement (1890s ~ 1910s)

– McMillan Plan (1901)

18

도시설계의 이해

Civic Design

• City Beautiful Movement (1890s ~ 1910s)

– McMillan Plan (1901)

19

도시설계의 이해

Civic Design

• City Beautiful Movement (1890s ~ 1910s)

– Plan of Chicago (1909)

20

도시설계의 이해

• City Beautiful Movement (1890s ~ 1910s)

– Plan of Chicago (1909)

Civic Design

21

도시설계의 이해

• Modernism

– Le Corbusier

– CIAM (Congrès International d'Architecture Moderne,1928 ~ 1959)

– Athens Charter (1931)

Urban Design

Oscar Niemeyer, Brasilia

22

도시설계의 이해

• Modernism

– Le Corbusier

– CIAM (Congrès International d'Architecture Moderne,1928 ~ 1959)

– Athens Charter (1931)

Urban Design

Minoru Yamasaki, Pruitt-Igoe

23

도시설계의 이해

• Questioning Modernism

– Jane Jacobs

– Team 10 (1953 ~1981)

– Kevin Lynch

– Donald Appleyard

– Christopher Alexander

– William H. Whyte

– Oscar Newman

– Jan Gehl

Urban Design

24

도시설계의 이해

• “창 밖으로 보이는 모든 것이 도시설계다”

• 중요한 것은 영역의 핵심과 중심을 분명히 하는 것

• Gosling & Maitland, 건축과 도시계획 사이의 “공유영역”

• Rob Cowan, “정책을 해석하고, 지역경제와 부동산시장을 평가하며, 토지이용∙생

태조건∙경관∙지형조건∙사회적 요인 ∙역사 ∙고고학 ∙도시형태와 교통 등 다양한 관

점에서 대지와 지역을 감정하고, 시민참여 과정을 관리 및 촉진하고, 설계원칙을

만들고 예시하며, 개발과정의 프로그램을 짜는 데 가장 적합한 분야”

영역 또는 분야 관점에서의 정의들

25

도시설계의 이해

• Reyner Banham, “1,300,000m2의 도시상황”

• Kevin Lynch, “다양한 규모의 공간을 대상으로 폭넓은 관심사를 다루는 분야 …

지역 접근성에 대한 종합적 연구, 신도시나 지역공원의 체계 설정, 근린지구의 가

로환경 보호, 공공광장의 재활성화, 개발사업에 대한 관리지침 작성, 도시축제를

위한 계획 수립 등”

• Francis Tibbalds, “크고 작은 공간들이 수직적으로 결합한 통일체로서의 공간”

• Christopher Alexander, A Pattern Language: from interior design to the whole

city scale plan

규모 관점에서의 정의들

26

도시설계의 이해

도시설계 패러다임의 흐름

• 시각예술 Paradigm

– Camilo Sitte, “City Planning According to Artistic Principles (1889)”

27

도시설계의 이해

도시설계 패러다임의 흐름

• 시각예술 Paradigm

– Raymond Uniwin, “Town Planning in Practice (1909)”

28

도시설계의 이해

도시설계 패러다임의 흐름

• 시각예술 Paradigm

– Gordon Cullen, “Townscape (1961)”

29

도시설계의 이해

도시설계 패러다임의 흐름

• 사회적 활용성 Paradigm

– Kevin Lynch, “The Image of the City (1960)”

– Jane Jacobs,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1961)”

– Christopher Alexander, “A Pattern Language (1977)”

– William H. Whyte, “The Social Life of Small Urban Spaces (1980)”

– Jan Gehl, “Life between Buildings (1987)”

30

도시설계의 이해

도시설계 패러다임의 흐름

• 장소만들기 Paradigm

– New Urbanism

– PPS (Projects for Public Spaces)

31

도시설계 정의에 대한 문제제기 - Ali Madanipour (1996) -

1. 도시설계는 특정 규모나 차원의 대상만을 다루어야 하는가?

2. 도시설계는 오로지 도시환경의 시각적 속성에만 초점을 둘 것인가? 아니면 도시

공간의 구성과 관리문제까지 폭넓게 다룰 것인가?

3. 도시설계는 단순히 공간 배치를 변화시키는 일인가, 아니면 공간과 인간사회에

깊숙이 뿌리내린 사회문화적 관계까지 다루어야 하는 일인가?

4. 도시설계는 결과물, 즉 도시환경에 초점을 두어야 하는가, 혹은 결과물의 생산과

정까지 다뤄야 하는가?

5. 도시설계는 건축의 영역에 속하는가, 아니면 도시계획 혹은 조경의 영역에 속하

는가?

6. 도시설계는 공공부문의 일인가, 민간부문의 일인가?

7. 도시설계는 객관적이고 논리적인 과정(과학)으로 보아야 하는가, 아니면 주관적

인 감성표현의 과정(예술)으로 보아야 하는가?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