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사증후군 극복의 핵심전략 관리 어떻게 할...

Post on 11-Ju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TRANSCRIPT

대사증후군 극복의 핵심전략: 체중 관리 어떻게 할 것인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조 영 민

가벼워지기

와이드 스크린 TV 가 필요한 이유

진화

지방간

비만의 합병증

수면무호흡 호흡기질환 뇌졸중

심장병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암 유방, 대장, 췌장, 전립선

담낭질환

불임

관절염

통풍

비만도의 측정: 체질량지수

0.6

1.0

1.4

1.8

2.2

2.6

3.0

비만도와 심혈관질환에 의한 사망률 상대적

사망률

체질량지수

<18.5

Calle et al. N Engl J Med 1999;341:1097.

18.5 –

20.4

20.5 –

21.9

22.0 –

23.4

23.5 –

24.9

25.0 –

26.4

26.5 –

27.9

28.0 –

29.9

30.0 –

31.9

32.0 –

34.9

35.0 –

39.9

>40.0

정상 과체중 비만

0

25

50

75

100

비만도에 따른 제2형 당뇨병의 위험도

Chan J et al. Diabetes Care 1994;17:961. Colditz G et al. Ann Intern Med 1995;122:481.

연령보정

위험도

체질량지수 (kg/m2)

<22 <23 23 -

23.9

24 -

24.9

25 -

26.9

27 -

28.9

29 -

30.9

31 -

32.9

33 -

34.9

35+

1.0 2.9 1.0

4.3 1.0

5.0 1.5

8.1 2.2

15.8

4.4

27.6

40.3

54.0

93.2

6.7 11.6

21.3

42.1

체중 감량의 효과 ~5% 감량

5%-10% 감량

당화혈색소

혈압

콜레스테롤

HDL 콜레테롤

중성지방

1. Wing RR et al. Arch Intern Med. 1987;147:1749-1753. 2. Mertens IL, Van Gaal LF. Obes Res. 2000;8:270-278. 3. Blackburn G. Obes Res. 1995;3 (Suppl 2):211S-216S. 4. Ditschunheit HH et al. Eur J Clin Nutr. 2002;56:264-270.

1

2

3

3

1

2

3

3

4

0

10

20

30

40

당뇨병 전단계인 사람에서 중등도 체중 감량의 효과 6%체중감량이 당뇨병 발병을 58% 줄임

Diabetes Prevention Program Research Group. N Eng J Med 2002;346:393. Copyright © 2002. Massachusetts Med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

당뇨병

누적

발생률

(%

)

0 년

0.5 1.0 1.5 2.0 2.5 3.0 3.5 4.0

대조군

생활습관교정

어떻게 살을 뺄 것인가?

비만 치료의 법칙

지방조직

에너지 섭취

에너지 소비

비만은 오랜 시간에 걸친 “양의 에너지 불균형”의 결과

지방 축적

비만치료방법의 선택

식이요법 운동요법

생활습관교정

약물

수술

위밴드술 위소매절제술

위우회술 담췌우회술

체중감량식

• 영양소 조성보다는 칼로리를 줄이는 것이 더욱 중요

• 규칙적 식사, 균형 잡힌 식단

• 피하거나 대체할 것을 찾도록

• 어떤 다이어트 방법을 시도해도 초반에는 살이 빠짐

• 장기적으로 지속할 수 있는 다이어트 방법을 선택해야

• 운동을 병행해야 효과가 극대화됨

• 습관 들이기까지는 식사일기를 쓰는 것이 매우 중요

-35-30-25-20-15-10

-505

10

기록을 잘 할 수록 체중이 잘 빠진다.

1

Baker and Kirschenbaum. Behav Ther 1993;24:377.

Self-Monitoring Index Quartiles 2 3 4

P = 0.01 for weight change among quartiles

제발 좀 움직입시다!

©2006.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All Rights Reserved.

비만인에게 운동이 가져다 주는 이득

체지방 감량

근육량 증가

감량된 체중 유지

심폐지구력 증가

정신 건강에 도움

행복해서 뛰는 것이 아닙니다. 뛰어서 행복한 것입니다.

어떻게 하면 움직이게 만들까?

만보계 (만보기)가 신체활동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가?

만보계를 차면 2500보 더 걷는다!

JAMA. 2007;298(19):2296-2304

단, 목표를 설정하고 기록을 해야!

체중 감량 및 혈압 감소가 확인됨

-16-14-12-10

-8-6-4-20

감량된 체중 유지에는 운동이 필수!

Jakicic et al. JAMA 1999;282:1554.

체중

변화

(kg)

시간 (개월) 0 6 12 18

*P<0.05

<150 분/주

>150 분/주

>200 분/주

170

180

190

200

210

220

230

운동할 시간이 없다면 짧게 여러 번!

길게 한번 = one 40-min session. 짧게 여러번= four 10-min sessions.

활동량

(min

/wk)

길게 한번

짧게 여러번

길게 한번

짧게 여러번

10

8

6

4

2

0

체중

감량

(kg)

P=0.08 P=0.07

Jakicic et al. J Obes Relat Metab Disord 1995;19:893.

-10

-8

-6

-4

-2

0

운동할 시간 없다면 생활 속에서 활동 증가! 체중

변화

(kg)

시간 (개월)

식이요법+ 운동 프로그램 식이요법+ 활동량 증가

P=0.06

Andersen et al. JAMA 1999;281:335.

0 8 36 52 68 16 28 44 60

치료기 유지기

-14-12

-10

-8

-6

-4

-2

0

헬스장 갈 여건 안 되면 집에서라도 운동! 체중

변화

(kg)

시간 (개월) 0 3 6 9

Perri et al. J Consult Clin Psychol 1997;65:278.

12 15

단체 운동 집에서 운동

*P<0.05

스트레스를 이기자

반 잔의 물

자극에 대한 반응/태도가 모든 것을 결정한다.

자극 행동

역기능적 자동사고

기능적 자동사고

합리화

개입

나는 살만 빼면 OOO 할 수 있어!

일탈

재발

일탈 vs. 재발

Adolfsson B and Arnold MS. Behavioral Approaches to Treating Obesity (2006)

좋은 습관

나쁜 습관

노력하면 누구나 살을 뺄 수 있다.

현실적 목표를 가지자 (5-10%감량 및 유지). 생활습관 모니터링 (식사운동일지) 칼로리를 줄이자 (500-1000칼로리) 규칙적 운동 (언제, 어디서, 어떤 운동이건) 이틀 연속 운동을 쉬지 말자.

Klem et al. Am J Clin Nutr 1997;66:239. McGuire et al.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1998;22:572.

핵심습관??? 운동!!!

건강한 인생을 위한 뱃살 빼기 프로젝트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조 영 민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