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장완전밀도 (full densification...

Post on 28-Ja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TRANSCRIPT

Dept. of Metallurgy and Materials Engineering1

국가지정연구실2차(본)평가

제5장 완전밀도(Full densification Process)

Dept. of Metallurgy and Materials Engineering2

국가지정연구실2차(본)평가

목표

• 제5장 완전 밀도를 위한 열간 공정

– General

– 열간 압축(Hot Pressing)

– 열간 등압 성형(Hot Isostatic Pressing)

– 열간 압출(Hot Extrusion)

– 분말 단조(Powder Forging)

Dept. of Metallurgy and Materials Engineering3

국가지정연구실2차(본)평가

분말야금

• 전통적인 분말야금(2단계)

– 상온에서 성형 및 형상화

– 소결 공정

• 분말 고온성형(단일공정)

– 단축 열간압축

– 열간등압

Dept. of Metallurgy and Materials Engineering4

국가지정연구실2차(본)평가

조밀화 공정

• 기본 개념

– 기공(pore) 존재 시• 특성 감쇄: 기계적, 열적·전기적 특성 떨어짐

• 완전 기공 제어의 어려움(분말의 최대 약점)

• 기공제거 및 형상 제어 위한 추가 공정

→ 공정 추가로 경제성 떨어짐

→ 특성과 경제성 균형 고려해야 함

Dept. of Metallurgy and Materials Engineering5

국가지정연구실2차(본)평가

• 고상소결(Solid-state sintering)– 용융점 이하에서 고상확산만으로 조밀화(앞장에서 학습함)

– 고상소결로 완전 조밀화는 용이하지 않음

• 액상소결(Liquid phase sintering) – 액상의 출현으로 고밀도/완전 조밀화 가능(앞장에서 학습함)

– 예) W-Ni-Fe, WC-Co, Co5Sm, HSS. etc

소결공정 기술

Dept. of Metallurgy and Materials Engineering6

국가지정연구실2차(본)평가

용침법(Infiltration process)

• 다공성의 고상 성형체에 액상을 침투시켜 완전 조밀화된분말제품을 얻는 공정– 액상의 고상 내 완전 wetting이 필요

– 액상의 모세관력 이용, 즉, capillary force ㅿP

where θ : contact angle

d : pore size

– 과정

Infiltration → fill pore → densification

– 용침은 액상이 다공체 고상 성형체의 한쪽 방향에서 시작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침투해가면서 이루어짐

– 큰 기공은 액상 채움이 어렵고, 폐기공(closed pore)는 액상 침투 불가능-조밀화 어려움

Dept. of Metallurgy and Materials Engineering7

국가지정연구실2차(본)평가

• 고온에서 양단 압축 성형 실시

• 성형 Die 재료– 흑연(graphite)

• 일반적으로 사용, 가격 저렴, 가공성이 좋고 고온강도 大

• 1500℃ 이상에서는 흑연 금형을 대부분 사용

• 진공이나 중성 분위기에서 사용

• 압력 제한

(몰드의 강도 : 일반 흑연 70 MPa, fiber 보강 흑연 550 MPa)

열간압축(Hot Pressing)

Dept. of Metallurgy and Materials Engineering8

국가지정연구실2차(본)평가

• WC-Co 등 초경재료 mold– 고온/고압 압축 시 사용

• 세라믹 mold– 흑연과 반응하는 분말 사용시 사용

Hot press 개략도

Dept. of Metallurgy and Materials Engineering9

국가지정연구실2차(본)평가열간성형의 장단점

• 장점a) 결정립 성장 억제 등 미세구조 제어 가능

b) diffusion bonding 등에도 응용가능

c) 소결 첨가제의 양 최소화

• 단점a) 가압 방향에 따라 소결체의 물성이 방향성을 나타냄

b) 장비가 고가이며 연속생산에 어려움 (낮은 생산성)

Dept. of Metallurgy and Materials Engineering10

국가지정연구실2차(본)평가

열간정수압성형(Hot Isostatic Pressing: HIP)

• 분말 또는 성형체에 모든 방향에서 동일압력 (정수압)을 가함

• 압력의 이방성을 최대한 억제하며 가열하여 내부 밀도가 균일한 소결체를 제조하는 방법

Dept. of Metallurgy and Materials Engineering11

국가지정연구실2차(본)평가열간정수압성형

• 장점a) 성형체 크기 제한이 없음 (챔버 내 용적에 의존)

b) 균일한 압력전달로 잔류 closed pore 및 미세균열 제거가 가능하여 -> 내부결함 최소화

c) 강도와 신뢰성 향상

d) 전 방향에 균일한 가압으로 미세구조의 방향성 발달 억제

e) 높은 성형밀도 (200-400 MPa의 높은 가압력), 최대 2000℃ 가능

f) L/D (length to diameter) ratio가 큰 성형 소결체도 쉽게 제조 가능함

g) 중간이 오목한 제품 및 복잡한 제품의 대량 생산 가능

– 공구강, 초내열합금, 알루미나, 세라믹 절삭공구 등의 제조

– 고온금속이나 세라믹과 같이 취성이 커서 냉간 성형으로는 충분한 밀도와 강도를 얻을 수 없는 분말

– 성형이 쉬운 분말이라도 기공이 없는 부품의 제조

Dept. of Metallurgy and Materials Engineering12

국가지정연구실2차(본)평가

• 단점a) 성형 시 압력이 가해지는 모든 면이 내부의 중심점을 향하기 때문에 제조 가능한 형상에 제한

b) 고온에서 금속분말의 산화

• 불활성 분위기, 장시간, 많은 경비

c) 고운 유지를 위한 다이와 펀치 재료에 제한

• 500oC : 초내열 합금, 초경합금

• 1000oC 이상 : 흑연, 산화물 등의 고온화합물

Dept. of Metallurgy and Materials Engineering13

국가지정연구실2차(본)평가

Dept. of Metallurgy and Materials Engineering14

국가지정연구실2차(본)평가분말단조(Powder Forging)

• 정의

– 분말야금 공정과 정밀단조 공정의 조합으로 이루어짐

• 공정단계

① 예비 성형품 제조 → ② 성형품 압축 → ③ 소결 → ④ 정밀단조 → ⑤기계가공

분말 단조 공정도: 분말 합성에서 최종 단조까지 공정

Dept. of Metallurgy and Materials Engineering15

국가지정연구실2차(본)평가장점과 단점

• 제품 단가 ↑

• 후 정밀가공 필요 없음

• 고밀도/고강도 제조 가능

<분말단조에 의한 커넥팅 로드 제조>

Dept. of Metallurgy and Materials Engineering16

국가지정연구실2차(본)평가

• 분말단조의 기계적 성질

– 연성 감소

– 높은 강도

– 동적인 기계적 성질은 단련제품에 비해 월등히 우수

• 불순물의 존재

– 기계적 성질에 크게 영향• 예비성형체의 산화

• 기공에 들어간 불순물

• 다이의 윤활제 등

조건 경도(HRC)

항복강도(Mpa)

연신율(%)

Forged bar stock 27 680 23

Forged powder 35 970 16

Dept. of Metallurgy and Materials Engineering17

국가지정연구실2차(본)평가

• 단조품의 특성

– 불순물의 크기와 성분

– 불순물의 수

완전밀도를 갖는 단조처리된 4340 강의충격인성에 관한 산화 개재물의 영향

Dept. of Metallurgy and Materials Engineering18

국가지정연구실2차(본)평가분말압출(Powder Extrusion)

• 금속분말을 일정한 용기 내에 canning한 후 상온 또는고온에서 일정 모양의 금형 다이에 압출하여 고밀도 판재나 봉재를 얻는 기술

• 장점a) 주조 등에 의해 제조가 곤란하거나 불가능한 재료에 적용 가능

b) 조직의 미세화 및 편석의 최소화에 의한 특성 개선

c) 기지상과 분산상 입자의 압출에 의한 복합재료 제조 가능

d) 압출온도 및 속도의 선택 범위가 넓으며 후속의 열처리를 통해특성 제어 가능

* 분말 성형 부분 참조

Dept. of Metallurgy and Materials Engineering19

국가지정연구실2차(본)평가

• 공정단계① 모합금 제조 → ② 분말제조

→ ③ 금속분말의 성형 혹은 캐닝 (Canning) → ④ 탈가스(degassing) → ⑤ 압출 (extrusion) → ⑥ 최종 가공

• 분말압출 제품의 특징a) 성형체의 밀도가 매우 높음

b) 압출방향으로 미세조직의 이방성 발생

c) 압출비에 따라 성형체 밀도가 결정

d) 압출다이의 불량 시에는 표면 결함이 발생함으로 최적의 압출설계가 요구

Dept. of Metallurgy and Materials Engineering20

국가지정연구실2차(본)평가

<분말 압출 공정도>

Dept. of Metallurgy and Materials Engineering21

국가지정연구실2차(본)평가열간압출(Hot Extrusion)

• 압출 성형법– 압출공정을 이용하여 분말로부터 직접 반제품의 금속재를 얻는

방법

– Al, Cu 분말

– 압출되는 금속분말의 종류에 따라 압출온도 결정

• 저융점 금속 – 상온 압출

• 고융점 금속 – 고온 압출

알루미늄 분말의 압출성형 예(1: 다이 지지대, 2: 다이, 3: 알루미늄 판, 4, 강재용기, 5: 강재 압력 전달 판, 6: 압축 램, 7: 출구, 8: 알루미늄 분말)

Dept. of Metallurgy and Materials Engineering22

국가지정연구실2차(본)평가열간압출(Hot Extrusion)

• 기계적 합금화법으로 제조한 Al-Nb, Al-Ti 분말을 이용한 금속기지 복합재료의 제조– 400oC 압출 성형

– 우수한 기계적 특성의 복합재료 제조

• 분위기에 민감한 금속분말– 진공 밀봉 후 압출

• 거의 완전한 밀도의 제품– 주조재나 단조재보다 편석이나 결정립 성장 방지가 가능

– 기계적 성질이 우수

Dept. of Metallurgy and Materials Engineering23

국가지정연구실2차(본)평가

• 분말사출법(분말야금법 + 사출법)혼합(금속분말 + 결합제 + 윤활제 + 고형제 + etc) 압출 성형 첨가제 연소 혹은 증발

• 경도가 커 성형하기 어려운 세라믹에 주로 이용

• 금속분말사출(MIM: Metal Injection Molding)

열간압출(Hot Extrusion)

Dept. of Metallurgy and Materials Engineering24

국가지정연구실2차(본)평가

스프레이 포밍(Spay Forming)

• 분말제조와 동시에 플라즈마 토치로 액상화하여 제품형상의 프리폼에 고밀도로 도포하여 제품을 제조

• 공정순서:분말 장입 후 플라즈마 가열

->프리폼에 액상상태로 도포

->반복도포

->최종적으로 실형상화에 의한

제품화

Dept. of Metallurgy and Materials Engineering25

국가지정연구실2차(본)평가

Spray forming의 특징• 분말용해를 위한 열전달 특성이 매우 중요함

• 미세 분말일수록 스프레이 포밍이 유리하며 최적의 크기는 40~80 ㎛

• 초 미세 분말은 자체 응집과 증발이 되므로 유리하지 않음

• 분말제조와 최종 제품화를 동시에 진행하고 대량생산 가능 (경제성확보)

• 응용 가능 제품

– 방식 특성을 갖는 분말코팅 제품이나 열차단 기능의 코팅제품에 적용가능

– 얇은 두께의 튜브제작에 적용할 수 있음

Dept. of Metallurgy and Materials Engineering26

국가지정연구실2차(본)평가

Dept. of Metallurgy and Materials Engineering27

국가지정연구실2차(본)평가

자전 고온합성 소결

• SHS (Self-propagating High Temperature Sintering)– 고 융점 무기화합물 또는 금속간화합물을 구성하는 원소 간에 화

학반응이 진행될 때 발생하는 발열반응열을 이용하여 원료상태에서 반응을 자기 전파시킴과 동시에 잉여 반응열을 조밀화에 이용하여 소결체로 제조하는 기술

– TiC 합성에 대한 자전 고온합성 소결의 개략도로서, Ti 및 C 원소의 화학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반응열로 최종 소결체가 제조되는과정을 나타냄

Dept. of Metallurgy and Materials Engineering28

국가지정연구실2차(본)평가

• 반응속도가 극히 빠르고 외부에서 에너지를 거의 가하지 않더라도고융점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탄화물, 붕화물, 질화물의 제조 등에 응용

• 반응속도의 제어가 어렵고 완전 조밀체를 얻기가 어려워 고온 가압소결 등의 공정적용이 요구

고온 자전합성법을 이용한 TiC 제조의 개략도

Dept. of Metallurgy and Materials Engineering29

국가지정연구실2차(본)평가방전플라즈마 소결(SPS)

• Spark Plasma Sintering, SPS

• SPS는 펄스전원에 의한 분말입자간 방전, 자기발열작용 및 가압력에 의한 치밀화를 이용하여 짧은 시간(수초-수분 사이) 내에 소결을완료하는 공정

• 통상적인 소결방법에 비해 소결 시간이 짧고, 소결 공정이 간단하여높은 에너지효율과 소결 중의 결정립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

• SPS 장치 구성

– 1) 고전류 인가부분

– 2) 고압 성형부분

– 3) 압축다이 및 펀치부

– 4) 전압 및 압력 조정 패널부

Dept. of Metallurgy and Materials Engineering30

국가지정연구실2차(본)평가

<SPS 장비모양>

<SPS 장비 내 챔버의 개략도>

Dept. of Metallurgy and Materials Engineering31

국가지정연구실2차(본)평가

SPS 소결의 특징

1. 분말 접촉 부에서의 오염층의 표면 청정화 작용

2. 분말/산화피막 계면에서의 용융 및 기화에 의한 목 형성

3. 목형성부에서의 전류와 발열의 집중에 의한 목성장의 촉진

4. 전계확산 효과

5. 가압에 의한 소성변형

6. 급속 승온

Dept. of Metallurgy and Materials Engineering32

국가지정연구실2차(본)평가

Dept. of Metallurgy and Materials Engineering33

국가지정연구실2차(본)평가

<SPS 소결 시 분말들 사이에서 발생하는저항 발열, 플라즈마 방전등에 의한 표면정화 효과 모식도>

Dept. of Metallurgy and Materials Engineering34

국가지정연구실2차(본)평가

SPS 소결의 응용

Dept. of Metallurgy and Materials Engineering35

국가지정연구실2차(본)평가

Q1. Full densification을 위한 신 공정을 기술하시오.

Q2. Hot press와 SPS 공정의 차이를 설명하면?

Q3. 나노분말 소결에 적합한 소결 공정은 ?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