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k an expert · 2019-01-15 · 14. dervis e, tuncer e. long-term evaluations of temporomandibular...

8
59 대한치과교정학회 임상저널 Ask an Expert 중앙대학교병원 치과 교정과 임상조교수 서울시 동작구 흑석로 102 중앙대학교병원 치과(Tel. 02-6299-2875) E mail : [email protected] Dr. 최 원 철 골격간 폭경의 차이를 포함한 안면 골격의 비대 칭이 동반되는 심한 골격성 개방교합에 대해서는 악교정 수술(주로 양악수술)필요로 하게 됩니다. 악교정 수술 수술교정치료 가지 고려해 사항들이 있으며 여러 복합적인 문제들이 모두 타나는 경우를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정리해 있습니다. [교합 평면] 정상교합이란 정적이고 동적인 상황에서의 - 치아들의 정상적인 위치 관계이지만 크게는 상악-하악 교합평면들간의 정상 관계를 의미합니 . 골격성 개방교합의 경우 대개 시상면의 상악 하악 교합평면을 보면 견치 또는 소구치를 기점 으로 하여 전치부와 구치부 교합평면이 이중(two plane)으로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안면 골격의 대칭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아서 관상면에서 보면 -대구치부 교합평면 간에도 높이와 기울기 이가 있음을 발견하게 됩니다. 이러한 경우 상악 합평면을 기준으로 전치부와 -대구치부 교합 평면이 삼중(three plane)이라 있습니다(그림 1). 때의 하악 교합평면은 상악 교합평면과 비슷 양상일 있지만 전치부외에 구치부에서도 Q A 성인 골격성 개방교합 환자의 수술 교정을 진행하 는 경우, 증례에 따라 수술 계획이 달라지는데 이 러한 계획 설정 시 무엇을 고려해야 할까요? 사춘기 성장이 완료된 성인에서 나타나는 골격성 개방교합은 치료 방법의 선택, 치료 효과 치료 결과의 장기적인 안정성을 고려해볼 교정치료 상당한 어려움을 겪게 있는 부정교합들 하나입니다. 1 골격성 개방교합의 골격적인 특징으로는 시상면 (sagittal plane)에서 상악 구개골 후방부의 하방 , 짧은 하악지, 하악 평면각의 증가, 전안면고경 증가 후안면고경의 감소 등이 있으며, 관상면 (frontal or coronal plane)수평면(horizontal plane) 에서 -하악 골격간 폭경의 차이를 포함한 안면 격의 비대칭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정도에 따라 치료 계획 수립에서 신중한 선택이 필요합니다. 골격 부조화의 정도가 심하지 않고 주로 시상면 에서의 개방교합 문제가 중등도 이하로 있는 경우 에는 교정용 미니 임플란트를 이용한 대구치부 하를 통해 효과를 거둘 있습니다. 2 하지만 -

Upload: others

Post on 16-Feb-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Ask an Expert · 2019-01-15 · 14. Dervis E, Tuncer E. Long-term evaluation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patients undergoing orthognathic surgery compared with a control group

59대한치과교정학회 임상저널

Ask an Expert

중앙대학교병원 치과 교정과

임상조교수

서울시 동작구 흑석로 102 중앙대학교병원 치과(Tel. 02-6299-2875)

E mail : [email protected]

Dr. 최 원 철

악 골격간 폭경의 차이를 포함한 안면 골격의 비대

칭이 동반되는 심한 골격성 개방교합에 대해서는

악교정 수술(주로 양악수술)을 필요로 하게 됩니다.

악교정 수술 및 수술교정치료 시 몇 가지 고려해 볼

사항들이 있으며 여러 복합적인 문제들이 모두 나

타나는 경우를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

있습니다.

[교합 평면]

정상교합이란 정적이고 동적인 상황에서의 상-

하 각 치아들의 정상적인 위치 관계이지만 크게는

상악-하악 교합평면들간의 정상 관계를 의미합니

다. 골격성 개방교합의 경우 대개 시상면의 상악 혹

은 하악 교합평면을 보면 견치 또는 소구치를 기점

으로 하여 전치부와 구치부 교합평면이 이중(two

plane)으로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안면 골격의 비

대칭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아서 관상면에서 보면

좌-우 대구치부 교합평면 간에도 높이와 기울기 차

이가 있음을 발견하게 됩니다. 이러한 경우 상악 교

합평면을 기준으로 전치부와 좌-우 대구치부 교합

평면이 삼중(three plane)이라 할 수 있습니다(그림

1). 이 때의 하악 교합평면은 상악 교합평면과 비슷

한 양상일 수 있지만 전치부외에 구치부에서도 개

QA

성인 골격성 개방교합 환자의 수술 교정을 진행하

는 경우, 증례에 따라 수술 계획이 달라지는데 이

러한 계획 설정 시 무엇을 고려해야 할까요?

사춘기 성장이 완료된 성인에서 나타나는 골격성

개방교합은 치료 방법의 선택, 치료 효과 및 치료

결과의 장기적인 안정성을 고려해볼 때 교정치료

시 상당한 어려움을 겪게 될 수 있는 부정교합들 중

의 하나입니다.1

골격성 개방교합의 골격적인 특징으로는 시상면

(sagittal plane)에서 상악 구개골 후방부의 하방 회

전, 짧은 하악지, 하악 평면각의 증가, 전안면고경

의 증가 및 후안면고경의 감소 등이 있으며, 관상면

(frontal or coronal plane)과 수평면(horizontal plane)

에서 상-하악 골격간 폭경의 차이를 포함한 안면 골

격의 비대칭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그 정도에 따라

치료 계획 수립에서 신중한 선택이 필요합니다.

골격 부조화의 정도가 심하지 않고 주로 시상면

에서의 개방교합 문제가 중등도 이하로 있는 경우

에는 교정용 미니 임플란트를 이용한 대구치부 압

하를 통해 효과를 거둘 수 있습니다.2 하지만 상-하

Page 2: Ask an Expert · 2019-01-15 · 14. Dervis E, Tuncer E. Long-term evaluation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patients undergoing orthognathic surgery compared with a control group

Ask an Expert60

그림 2. 미니스크류를 이용하여 상악 이중 교합평면을 레벨링하고 수술하는 경우(초진)

방교합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이중(two plane)이거

나 다른 양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개방교합 정도가 4~5mm 이하인 경우에는 미

니 임플란트를 사용하여 교합 평면들을 레벨링하

고 교정치료만으로 교합 개선을 도모할 수 있지만,

5~6mm 이상의 개방교합인 경우에는 미니 임플란

트 등을 이용하여 교합 평면들을 레벨링하고 악교

정수술까지 진행해야만 개방교합의 문제를 온전

히 개선할 수 있습니다(그림 2). 더구나 교합평면들

이 삼중(three plane)이고 전치부와 구치부간의 높

이 차이가 큰 경우에는 적어도 좌-우 구치부 교합

평면들을 레벨링하고 전방부 치조분절골 절단술

(anterior segmental osteotomy)을 동반한 양악수술

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수술 시기가 제한적인 환자

들의 상황을 고려하여 이마저 진행하기 어려운 경

우에는 상악에서 삼분할 치조분절골 절단술(three

piece segmental osteotomy)을 동반한 양악수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그림 3). 상악에서의 분절골 절

단술은 골격의 삼차원적인 부조화가 있는 경우 수

직적인 안정성에 대해 분절골 절단술이 없는 양악

수술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더 안정적인 것으로 알

려져 있습니다.3, 4, 5, 6

그림 1. 안면골격 비대칭을 동반한 개방교합 환자의 상악 삼중 교합평면(three occlusal plane)

성인 골격성 개방교합 환자의 수술 교정을 진행하는 경우, 증례에 따라 수술 계획이 달라지는데 이러한 계획 설정 시 무엇을 고려해야 할까요?

Page 3: Ask an Expert · 2019-01-15 · 14. Dervis E, Tuncer E. Long-term evaluation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patients undergoing orthognathic surgery compared with a control group

61

[상-하악 기저골 폭경의 차이]

2급 혹은 3급 골격 부조화와 함께 개방교합이 있

을 때 상악 기저골 폭경이 하악에 비해 상대적으

로 협소한 경우가 많으며(그림 4) 이 경우에는 상

기 삼분할 치조분절골 절단술(three piece segmental

osteotomy)을 이용하면 폭경 부조화를 개선하면서

동시에 개방교합 문제를 안정적으로 개선할 수 있

습니다(그림 3). 또는 수술 전 교정치료 기간에 수

술을 동반한 급속구개 확장(surgically-assisted rapid

palatal expansion)을 미리 시행한 이후 양악수술을

진행하면서 전방부 치조분절골 절단술을 통해 개

방교합을 개선할 수도 있습니다.

그림 2. 계속(수술 직전과 수술 직후)

그림 2. 계속(유지 기간)

대한치과교정학회 임상저널

최 원 철

Page 4: Ask an Expert · 2019-01-15 · 14. Dervis E, Tuncer E. Long-term evaluation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patients undergoing orthognathic surgery compared with a control group

Ask an Expert62

그림 3. 상악에서 삼분할 치조분절골 절단술(three piece segmental osteotomy)을 동반한 양악수술로 개방교합을 개선하는 경우(초진)

그림 3. 계속(유지 기간)

그림 3. 계속(수술 직후)

성인 골격성 개방교합 환자의 수술 교정을 진행하는 경우, 증례에 따라 수술 계획이 달라지는데 이러한 계획 설정 시 무엇을 고려해야 할까요?

Page 5: Ask an Expert · 2019-01-15 · 14. Dervis E, Tuncer E. Long-term evaluation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patients undergoing orthognathic surgery compared with a control group

63

최 원 철

그림 4. 골격성 2급 혹은 3급 개방교합에서 상악 기저골 폭경과 치열궁 폭경이 하악에 비해 상대적으로 협소한 경우

상악 기저골 폭경을 조절하는 분절골 수술 방법

은 그 안정성이 여러 임상 연구들을 통해 검증되어

져 왔습니다. 7, 8, 9, 10

[양악수술 시 상악 회전량이 과도할 지의 여부]

초진 STO 시 양악수술 과정에서 상악 후방의 상

방이동이 후비극 기준으로 7~8 mm 이상 과도할 것

으로 예상되는 경우에는 수술 이후 상악골의 수직

적인 재발로 인한 개방교합의 재발율을 낮추고 안

정성을 높이기 위해 상악 소구치 및 대구치 부위의

함입을 통해 미리 개방교합 정도를 줄여줌으로써

수술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할 수 있습니다(그림

5).

개방교합을 개선하기 위해 양악수술 시 상악골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식은 안정적이지만,11, 12,

13 후비극 부위가 7~8 mm 이상 상방이동 하게 되면

해부학적으로 그 주위에 근접한 외측-내측 익상판

(pterygoid plate), 하비갑개(inferior nasal concha)와

비중격 및 주위 반흔 연조직들로 인해 수술 이후 수

직적인 안정성이 감소될 수 있겠습니다. 따라서 가

능하다면 수술량을 줄일 수 있도록 수술 전 교정치

료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림 5. 양악수술 시 상악의 이동량을 줄여서 수술 후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미니스크류로 상악 소구치 및 대구치의 함입을 시행한 경우(초진)

대한치과교정학회 임상저널

Page 6: Ask an Expert · 2019-01-15 · 14. Dervis E, Tuncer E. Long-term evaluation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patients undergoing orthognathic surgery compared with a control group

64 Ask an Expert

성인 골격성 개방교합 환자의 수술 교정을 진행하는 경우, 증례에 따라 수술 계획이 달라지는데 이러한 계획 설정 시 무엇을 고려해야 할까요?

[악관절 상태 및 증상]

양측 혹은 편측 하악과두의 리모델링으로 인해

크기의 축소 및 임상적인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그

림 6) 구강내과 검사와 치료가 선행된 이후 수술 전

교정치료와 수술을 진행할 때 하악과두에 가해지

는 부하(load)가 최소화되는 방향으로 진행해야 합

니다. 이를 위해 상악에서 삼중 교합평면을 보이는

개방교합의 경우 무리하게 교합평면들의 레벨링을

진행하기 보다는 각 분절별로 3~4개 치아들만의 레

벨링을 시행하고 삼분할 치조분절골 절단술(three

piece segmental osteotomy)을 동반한 양악수술을

진행한다면 골격 부조화 개선으로 인해 악관절의

그림 5. 계속(수술 직전과 수술 직후)

그림 5. 계속(유지 기간)

Page 7: Ask an Expert · 2019-01-15 · 14. Dervis E, Tuncer E. Long-term evaluation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patients undergoing orthognathic surgery compared with a control group

대한치과교정학회 임상저널 65

최 원 철

증상 발현 가능성을 최소화 할 수 있음을 경험하게

됩니다.

악교정 수술을 동반한 교정치료로 인해 악관절

증상을 개선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지

만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보고들이 있어 왔습니

다.14, 15, 16

위의 네 가지 사항 모두를 고려하였을 때 각각의

정도에 따라 수술 계획은 좀 더 단순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수술 전 교정치료 시 decompensation 의

범위와 정도도 달라 질 수 있겠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개방교합의 장기적인 재발 가능

성을 염두에 두고 교정진단 시부터 안정적인 치아이

동과 수술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참고문헌

1. Sarver DM, Weissman SM. Nonsurgical treatment of open bite in nongrowing patient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5;108:651-659.

2. Park HS, Kwon OW, Sung JH. Nonextraction treatment of an open bite with microscrew implant anchorage.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6;130:391-402.

3. Arpornmaeklong P, Heggie AA, Shand JM. A Comparison of the Stability of Single-Piece and Segmental Le Fort I

Maxillary Advancements. J Craniofac Surg 2003;14:3-9.4. Kretschmer WB, Baciut G, Baciut M, Zoder W, Wangerin

K. Stability of Le Fort I Osteotomy in Bimaxillary Osteotomies: Single-Piece Versus 3-Piece Maxilla. J Oral Maxillofac Surg 2010;68:372-380.

5. Ho MW, Boyle MA, Cooper JC, Dodd MD, Richardson D. Surgical complications of segmental Le Fort I osteotomy. Br J Oral Maxillofac Surg 2011;49:562-566.

6. Turvey TA, Philips C, Zaytoun HS, et al. Simultaneous superior repositioning of the maxilla and mandibular advancement. Am J Orthod Dentofac Orthop 1988;94:372-383.

7. Kretschmer WB, Baciut G, Baciut M, Zoder W, Wangerin K. Transverse stability of 3-piece Le Fort I Osteotomies. J Oral Maxillofac Surg 2011;69:861-869.

8. Rosen HM. Segmental osteotomies of the maxilla. Clin Plast Surg 1989 16:785-794.

9. Bailey LT, White RP, Profit WR, et al. Segmental LeFort I osteotomy for management of transverse maxillary deficiency. J Oral Maxillofac Surg 1997;55:728-731.

10. Marchetti C, Pironi M, Bianchi A, et al. Surgically assisted rapid palatal expansion vs. segmental LeFort I osteotomy: Transverse stability over a 2-year period. J Craniomaxillofac Surg 2009;37:74-78.

11. Proffit WR, Phillips C, Turvey TA. Stability following superior repositioning of the maxilla by LeFort I osteotomy.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87;92:151-161.

12. Moldez MA, Sugawara J, Umemori M, et al. Long-term dentofacial stability after bimaxillary surgery in skeletal class III open bite patients. Int J Adult Orthodon Orthognath Surg 2000;15:309-319.

그림 6. 그림 3의 환자 파노라마에서 좌측 악관절 과두의 흡수 소견이 관찰되고 임상적으로는 좌측 악관절 잡음과 통증이 있었음.

Page 8: Ask an Expert · 2019-01-15 · 14. Dervis E, Tuncer E. Long-term evaluation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patients undergoing orthognathic surgery compared with a control group

66 Ask an Expert

성인 골격성 개방교합 환자의 수술 교정을 진행하는 경우, 증례에 따라 수술 계획이 달라지는데 이러한 계획 설정 시 무엇을 고려해야 할까요?

13. Bang SM, Kwon YD, Kim SJ, Lee BS,Choi BJ, Ohe JY, Suh JH. Postoperative stability of 2-jaw surgery with clockwise rotation of the occlusal plane. J Craniofac Surg 2012;23:486-490.

14. Dervis E, Tuncer E. Long-term evaluat ion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patients undergoing orthognathic surgery compared with a control group.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2;94:554-560.

15. Al-Riyami S, Cunningham SJ, Moles DR. Orthognathic treatment and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Part 2. Signs and symptoms and meta-analyse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9;136:626.e1-626.e16.

16. Abrahamsson C, Henrikson T, Nilner M, Sunzel B, Bondemark L, Ekberg EC. TMD before and after correction of dentofacial deformities by orthodontic and orthognathic treatment. Int J Oral Maxillofac Surg 2013;42:752–7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