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relation between the volume of a lesion or physical training, … · 2013-05-23 · sion or...

6
385 Copyrights © 2013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서론 사경(torticollis)이란 경부의 회전 및 굴곡 변형으로 인해 이 차적으로 목이 한쪽으로 기우는 증상이며 원인과 발생시기에 따라 선천성과 후천성으로 나뉜다. 이 중 선천성 사경은 일반적 으로 한쪽 목빗근의 병변으로 인해 목이 비대칭적으로 기울어 지는 것으로 영유아기 두경부 이상 자세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1), 빈도는 0.4%에서 1.9%까지 보고되고 있다 (2, 3). 선천성 사경은 목빗근의 섬유화로 인한 두께 증가 및 길이의 단축이 일어나 동측으로 머리가 돌아가게 되고 반대측 으로 턱이 돌아가게 되는 자세가 나타난다. 선천성 사경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학적 검사가 주로 이용되어 왔다(4). 일반 측각기를 이용한 경부 관절운동범위 측정, 목빗근의 비후 정도와 종괴 크기 측정 등의 방법을 사용 하는데, 이는 주관적이고 단편적인 검사라는 단점이 있다. 그래 서 선천성 사경을 평가하기 위한 보다 객관적인 방법으로 초음 파(ultrasound), 컴퓨터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자기 공명영상촬영(magnetic resonance imaging) 등의 영상의학검 사들이 사용되고 있다(5). 이 중 초음파가 검사기간이 짧고 방 사선 노출이 없으며 동적인 영상을 제공할 수 있어 가장 널리 쓰 이고 있다. 이전 연구들에서 선천성 근성 사경의 발생위치, 병변 가장자리의 모양, 에코발생도(echogenicity), 병변 대 근육 비 율(lesion to muscle ratio) 등의 초음파 소견을 통해 사경을 평 가하려는 노력이 있었다(6-8). 저자들은 초음파에서 선천성 사경으로 진단된 환자들을 대 상으로 목빗근의 병변 부피와 물리치료 여부가 선천성 사경의 Received December 27, 2012; Accepted March 22, 2013 Corresponding author: Dong Wook Kim, MD Department of Radiology, Busan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75 Bokji-ro, Busanjin-gu, Busan 614-735, Korea. Tel. 82-51-890-6549 Fax. 82-51-896-1085 E-mail: [email protected]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 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any correlation between the volume of a le- sion or physical training, and regression time, in congenital torticollis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7 to December 2010, 63 infants and young children underwent neck ultrasound (US), as congenital torticollis was clini- cally suspected. We statisticall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olume of a lesion or physical training and the regression time, when successful regression was defined as no visible lesion on follow-up US, or no palpation of the lesion on clini- cal follow-up. Results: Among 63 patients, 48 were sonographically diagnosed with congenital torticollis: normal delivery ( n = 39) and c-sec ( n = 9). Among them, 24 were clini- cally followed up, and 22 showed complete regression. Among 24 patients, 9 un- derwent physical training, and 7 showed complete regression after physical train- ing.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volume of a lesion and the regression time ( p = 0.011),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physi- cal training and the regression time ( p = 0.15). Conclusion: In congenital torticollis patients, the volume of a lesion was in reverse proportion to the regression time, and physical training may be unhelpful for a de- crease in regression time. Index terms Neck Torticollis Ultrasound Regression Correlation between the Volume of a Lesion or Physical Training, and Regression Time, in Congenital Torticollis Patients 선천성 사경 환자에서 목빗근 병변의 부피 또는 물리치료와 소멸 소요 시간 사이의 연관성 Seong Jin Kim, MD, Dong Wook Kim, MD Department of Radiology, Busan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Busan, Korea Original Article pISSN 1738-2637 J Korean Soc Radiol 2013;68(5):385-390 http://dx.doi.org/10.3348/jksr.2013.68.5.385

Upload: others

Post on 07-Mar-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Correlation between the Volume of a Lesion or Physical Training, … · 2013-05-23 · sion or physical training, and regression time, in congenital torticollis patients. Materials

385Copyrights © 2013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서론

사경(torticollis)이란 경부의 회전 및 굴곡 변형으로 인해 이

차적으로 목이 한쪽으로 기우는 증상이며 원인과 발생시기에

따라 선천성과 후천성으로 나뉜다. 이 중 선천성 사경은 일반적

으로 한쪽 목빗근의 병변으로 인해 목이 비대칭적으로 기울어

지는 것으로 영유아기 두경부 이상 자세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1), 빈도는 0.4%에서 1.9%까지 보고되고 있다

(2, 3). 선천성 사경은 목빗근의 섬유화로 인한 두께 증가 및

길이의 단축이 일어나 동측으로 머리가 돌아가게 되고 반대측

으로 턱이 돌아가게 되는 자세가 나타난다.

선천성 사경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학적 검사가 주로

이용되어 왔다(4). 일반 측각기를 이용한 경부 관절운동범위

측정, 목빗근의 비후 정도와 종괴 크기 측정 등의 방법을 사용

하는데, 이는 주관적이고 단편적인 검사라는 단점이 있다. 그래

서 선천성 사경을 평가하기 위한 보다 객관적인 방법으로 초음

파(ultrasound), 컴퓨터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자기

공명영상촬영(magnetic resonance imaging) 등의 영상의학검

사들이 사용되고 있다(5). 이 중 초음파가 검사기간이 짧고 방

사선 노출이 없으며 동적인 영상을 제공할 수 있어 가장 널리 쓰

이고 있다. 이전 연구들에서 선천성 근성 사경의 발생위치, 병변

가장자리의 모양, 에코발생도(echogenicity), 병변 대 근육 비

율(lesion to muscle ratio) 등의 초음파 소견을 통해 사경을 평

가하려는 노력이 있었다(6-8).

저자들은 초음파에서 선천성 사경으로 진단된 환자들을 대

상으로 목빗근의 병변 부피와 물리치료 여부가 선천성 사경의

Received December 27, 2012; Accepted March 22, 2013Corresponding author: Dong Wook Kim, MDDepartment of Radiology, Busan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75 Bokji-ro, Busanjin-gu, Busan 614-735, Korea.Tel. 82-51-890-6549 Fax. 82-51-896-1085E-mail: [email protected]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any correlation between the volume of a le-sion or physical training, and regression time, in congenital torticollis patients.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7 to December 2010, 63 infants and young children underwent neck ultrasound (US), as congenital torticollis was clini-cally suspected. We statisticall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olume of a lesion or physical training and the regression time, when successful regression was defined as no visible lesion on follow-up US, or no palpation of the lesion on clini-cal follow-up.Results: Among 63 patients, 48 were sonographically diagnosed with congenital torticollis: normal delivery (n = 39) and c-sec (n = 9). Among them, 24 were clini-cally followed up, and 22 showed complete regression. Among 24 patients, 9 un-derwent physical training, and 7 showed complete regression after physical train-ing.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volume of a lesion and the regression time (p = 0.011),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physi-cal training and the regression time (p = 0.15).Conclusion: In congenital torticollis patients, the volume of a lesion was in reverse proportion to the regression time, and physical training may be unhelpful for a de-crease in regression time.

Index termsNeckTorticollisUltrasoundRegression

Correlation between the Volume of a Lesion or Physical Training, and Regression Time, in Congenital Torticollis Patients선천성 사경 환자에서 목빗근 병변의 부피 또는 물리치료와 소멸 소요 시간 사이의 연관성 Seong Jin Kim, MD, Dong Wook Kim, MDDepartment of Radiology, Busan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Busan, Korea

Original ArticlepISSN 1738-2637J Korean Soc Radiol 2013;68(5):385-390http://dx.doi.org/10.3348/jksr.2013.68.5.385

Page 2: Correlation between the Volume of a Lesion or Physical Training, … · 2013-05-23 · sion or physical training, and regression time, in congenital torticollis patients. Materials

선천성 사경 환자에서 목빗근 병변의 부피 또는 물리치료와 소멸 소요 시간 사이의 연관성

submit.radiology.or.kr대한영상의학회지 2013;68(5):385-390386

선천성 사경의 성공적인 소멸 기준은 추적초음파에서 더 이상

병변이 관찰되지 않는 경우로 정의하였으며, 추적초음파검사가

시행되지 않은 환자의 경우에는 소아과 및 재활의학과 의사가

신체진찰을 시행하여 같은 부위에서 만져지던 덩이가 없는 경

우로 정의하였다.

선천성 사경 환자에서 목빗근의 부피와 소멸 소요 시간 간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이용하였고,

물리치료의 여부가 성공적인 소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Wilcoxon rank sum test (비모수 검정)를 이용하였다.

결과는 p값이 0.05보다 낮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간

주하였고 데이터 분석은 SPSS를 통해 이뤄졌다(version 18.0

SPSS Inc., Chicago, IL, USA).

결과

임상적으로 사경이 의심되어 초음파를 시행 받았던 63명의 환

자 중 48명이 초음파검사에서 선천성 사경으로 진단되었으며 나

머지 15명은 초음파검사에서 흉쇄유돌근의 이상소견이 관찰되

지 않았다. 선천성 사경으로 진단된 48명 중 24명만이 1년 이상

의 추적초음파검사 또는 이학적 관찰이 이루어졌다(Figs. 1, 2).

대상 환자 24명 중 남아가 17명(71%), 여아가 7명(29%)이었

다. 사경이 처음 진단된 나이는, 생후 1개월 미만이 11명, 1~2개

월이 10명, 2~3개월이 2명, 4~5개월이 1명이었으며(평균 1.1

개월), 분만형태는 자연분만이 21명(88%), 제왕절개가 3명

(12%)이었다. 사경의 위치는 오른쪽이 10명(42%), 왼쪽이 14

명(58%)이었고 양측성인 경우는 없었다. 병변의 에코발생도는

정상 목빗근의 에코와 비교하였을 때 보다 높은 에코 15명

(63%), 동일 에코 8명(33%), 보다 낮은 에코 1명(4%)으로 관

찰되었다(Table 1).

초음파에서 측정된 선천성 사경 병변의 평균 부피는 4.99 cm3

(1.55~9.4 cm3, 표준편차: 2.37 cm3)였고, 그 중 물리치료를

소실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7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임상적으로 사경이 의심되

었던 6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초음파를 시행하였다. 갑상선 초

음파는 한 명의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시행하였으며, 초음파기

기는 iU22 (Philips Medical Systems, Bothell, WA, USA)를 사

용하였고 5-12 MHz 선형 탐촉자를 사용하였다. 환자를 앙아위

(supine) 자세로 눕힌 후 목을 반대편으로 약간 회전시킨 다음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동시에 양쪽의 목빗근을 검사하였다.

선천성 사경의 진단 기준으로는 회색조(gray scale) 초음파

검사에서 미만성의 크기 증가를 보이는 목빗근 병변이, 경계가

잘 지어지고 다양한 에코발생도를 보이면서 색채 도플러(color

Doppler) 초음파 검사에서 병변 내로 소량의 혈관분포가 있는

경우로 정의하였다(9). 종괴와의 확실한 구분을 위해서 실시간

(real-time) 초음파 검사에서 병변과 목빗근이 함께 움직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임상적으로는 목빗근의 종괴가 촉진되면서

다른 외과적 원인을 찾을 수 없는 경우로, 외상의 과거력이 있

거나 분명한 외과적 원인이 의심되는 경우 등은 배제하였다.

병변의 에코발생도는 정상 목빗근의 에코발생도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정상 목빗근보다 에코발생도가 낮은

경우를 보다 낮은 에코(lower echogenicity), 비슷한 경우는 동

일 에코(isoechogenicity), 보다 높은 경우는 보다 높은 에코

(higher echogenicity)로 분류하였다.

선천성 사경의 병변 부피는 횡단면(transverse scan)과 종단

면(longitudinal scan)에서 각각 직경(diameter)을 구하여 평장

성 타원의 용적을 구하는 공식(prolate ellipse volume calcula-

tion)을 이용하여{π/ 6 × [전후직경(anteroposterior diameter)

× 횡경(transverse diameter) × 종경(longitudinal diameter)]}

부피를 계산하였다.

B C DAFig. 1. Successful regression of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in 1-month-old boy.A, B. On initial neck ultrasound, longitudinal (A) and transverse (B) images show localized enlargement of sternocleidomastoid muscle and higher echogenicity than adjacent normal sternocleidomastoid muscle.C, D. On follow-up neck ultrasound obtained 5 months after physical therapy, longitudinal (C) and transverse (D) images show normal thickness and echogenicity of sternocleidomastoid muscle.

Page 3: Correlation between the Volume of a Lesion or Physical Training, … · 2013-05-23 · sion or physical training, and regression time, in congenital torticollis patients. Materials

김성진 외

submit.radiology.or.kr 대한영상의학회지 2013;68(5):385-390 387

클수록 소멸에 걸리는 기간이 짧아졌다(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0.530, p = 0.011)(Fig. 3).

물리치료 시행 여부가 소멸 소요 시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서, 물리치료를 받지 않은 군(n = 15)에서 소멸까지 걸린 기간

은 평균 5.6개월(표준편차 2.97개월)이었고, 물리치료를 받은

군(n = 7)에서 소멸까지 걸린 기간은 평균 3.7개월(표준편차

받지 않은 군(n = 15)에서 평균 부피는 4.91 cm3(1.55~9.4

cm3, 표준편차: 2.63 cm3)였고, 물리치료를 받은 군(n = 7)에

서 평균 부피는 5.15 cm3(3.4~8.58 cm3, 표준편차: 1.87

cm3)였다. 평균 소멸기간은 5개월(범위 1~12개월, 표준편차

2.86개월)이었다. 목빗근의 부피와 소멸기간 사이에는 뚜렷한

음의 상관관계(negative correlation)가 있었으며 병변의 부피가

B C DAFig. 2. Unsuccessful regression of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in 4-month-old boy.A, B. On initial neck ultrasound, longitudinal (A) and transverse (B) images show localized enlargement of sternocleidomastoid muscle and higher echogenicity than adjacent normal sternocleidomastoid muscle.C, D. On follow-up neck ultrasound obtained 12 months after physical therapy, longitudinal (C) and transverse (D) images show slightly de-creased lesion.

Table 1. Clinical Data, Echogenicity and Volume of Lesions, Physical Training, and Regression in 24 Patients

Sex Age (Month) Delivery Type Echogenicity* Volume (cm3) Physical Training (Month)

Regression (Month)

M 0 ND Lower 8.58 1 1M 1 ND Higher 6.42 2 2F 0 ND Higher 2.65 0 3M 0 ND Higher 4.85 1 3M 1 ND Higher 9.40 0 3M 1 ND Higher 7.53 0 4M 0 ND Higher 7.87 0 4M 0 ND Higher 5.45 5 5F 2 ND Higher 8.71 0 5M 1 ND Higher 5.35 0 6M 1 ND Higher 6.61 0 6M 1 ND Higher 2.77 0 7M 1 C-sec Higher 3.40 8 8M 0 ND Higher 2.54 0 9M 0 ND Higher 1.55 0 12F 1 ND Iso 1.94 0 3M 0 C-sec Iso 3.51 3 3F 0 ND Iso 4.68 0 3M 0 ND Iso 5.62 0 3F 0 ND Iso 3.86 4 4F 1 ND Iso 4.15 0 5M 1 C-sec Iso 2.33 0 11M 4 ND Iso 8.40 12 No regressionF 2 ND Higher 4.75 24 No regression

Note.-*Comparison of echogenicity between the lesion and adjacent normal sternocleidomastoid muscle.C-sec = cesarean section delivery, F = female, M = male, ND = normal vaginal delivery

Page 4: Correlation between the Volume of a Lesion or Physical Training, … · 2013-05-23 · sion or physical training, and regression time, in congenital torticollis patients. Materials

선천성 사경 환자에서 목빗근 병변의 부피 또는 물리치료와 소멸 소요 시간 사이의 연관성

submit.radiology.or.kr대한영상의학회지 2013;68(5):385-390388

자에서 7명으로 남자에서보다 많았다. 병변의 위치는 보고자에

따라 다양하나(4, 17, 19, 20), 본 연구에서는 왼쪽에서 많이

나타났다(14/24, 58.3%). 정상 인구와 선천성 근성 사경 환자

에서의 분만방법을 비교한 연구에서 선천성 사경 환자에서 정

상 질식 분만(normal vaginal delivery)의 빈도가 가장 높기는

했으나 정상 인구에 비해서는 낮았고, 제왕절개(cesarian sec-

tion delivery), 진공흡착기 분만(vacuum extractor delivery), 겸

자분만(forceps delivery), 둔위 분만(breech delivery)의 빈도

가 정상 인구에 비해서 높게 나타난 보고가 있었다(19). 본 연구

에서는 정상 질식 분만의 비율이 더 높았으며, 3명의 제왕절개

분만이 포함되었으나 진공흡착기 분만, 겸자분만, 둔위 분만은

없었다. 이전 연구에서 초음파에서 선천성 근성 사경 병변의 정

상 목빗근과 비교하였을 때 에코발생도가 고에코를 나타내는

경우가 98~100%로 많았으나(6-8), 본 연구에서는 63%(15/

24)에서 고에코를 보였다.

선천성 사경의 발생위치, 병변 가장자리의 모양, 에코발생도,

병변 대 근육 비율 등의 초음파 소견을 통해 사경을 평가하려

는 노력이 있었으나(6-8), 병변 부피와 소멸 소요 시간 간의 상

관관계를 분석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 목빗근의 병변 부

피와 소멸 소요 시간 사이에는 뚜렷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

며, 이는 병변의 부피가 클수록 소멸에 걸리는 기간이 짧다는

의미다. 그러므로 초음파에서 병변의 부피를 측정하는 것이 병

변의 소멸 소요 시간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될 수도 있

을 것이다.

선천성 사경의 치료법은 단순관찰, 보호자 교육을 통한 가정

에서의 자세잡기(positioning)와 간단한 스트레칭 적용, 물리치

료, 수술 등이 있지만(3, 4, 14, 16), Persing 등(21)에 따르면

대부분의 선천성 근성 사경에서 소아과 의사가 부모에게 간단

한 교육(예, 잠을 잘 때 환측을 아래로 하여 자기 등)을 하고

그것을 시행하는 것만으로도 대부분의 환아는 2~3개월 안에

호전이 된다고 하며, 효과가 없는 경우에 물리치료를 받도록 권

유하고 있다. 하지만 생후 3~4개월 이후에는 아동이 깨어 있는

시간이 늘고 목을 스스로 가누게 되면서 아동의 물리적, 정서적

저항이 급격하게 증가하게 되면서 신전운동의 시행이 용이하지

않게 되므로, 선천성 사경의 효과적 치료를 위해서는 생후

3~4개월 이전의 조기발견과 조기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지나친 마사지 등은 오히려 피부 자극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수년간에 걸친 물리치료는 아동의 정서 발달 등에 상당한 부정

적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는 수술 치료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22).

본 연구에서는 물리치료 없이 소멸된 경우가 15명, 물리치료

를 받고 소멸된 경우가 7명, 물리치료를 받고도 소멸이 없었던

2.29개월)로 물리치료를 받은 경우에서 소멸기간이 1.9개월

정도 빨랐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Wil-

coxon rank sum test, p = 0.15).

고찰

선천성 사경의 원인은 자궁 내 이상위치(malposition), 분만

외상, 자궁 내 혈관장애로 인한 혈종 형성, 출생전 혹은 주산기

에 목빗근에 선택적으로 발생하는 정맥 울혈에 따른 국소적 저

산소성-허혈성 환경 및 일종의 구획증후군(compartment syn-

drome)설 등 목빗근에 손상이 오는 경우로 알려져 있으나 아직

까지 발생기전은 명확하지 않다(4, 10, 11). 선천성 사경은 크

게 세 가지군으로 나눌 수 있다(12). A) 경부 섬유종증(fibro-

matosis colli)은 영아기 가성종양(pseudotumor of infancy) 또

는 흉골유돌 가성종양(sternomastoid pseudotumor)이라고도

불리며, 목빗근이 굳은 종괴(mass)로 만져지는 경우; B) 근성

사경(muscular torticollis)은 목빗근에 임상적으로 명백한 종괴

는 없지만 근육의 긴장도가 비정상적으로 증가되어 있는 경우;

C) 체위성 사경(postural torticollis)은 목빗근에 만져지는 종괴

나 긴장도의 증가도 없으나 선천성 근성 사경의 임상 양상을 갖

는 경우로 분류한다. 선천성 사경이 진단되는 평균나이는 생후

24일~4개월로 보고되었고(13-15), 본 연구에서는 생후 1.1개

월이었다. 선천성 근성 사경은 남녀가 균등하게 발생한다는 보

고가 있는 반면(16, 17), 남자에서 3 : 2의 비율로 많이 발생한

다는 보고들이 있었다(4, 18). 본 연구에서도 남자에서 17명, 여

Fig. 3. Linear regression analysis between the volume of a muscular lesion and regression time in 24 patients.

0

2

4

6

8

10

12

14

Regr

essi

on ti

me

(mon

ths)

0.00 2.00 4.00 6.00 8.00 10.00

Volume of lesion (cm3)

y = -0.640x + 8.196

Page 5: Correlation between the Volume of a Lesion or Physical Training, … · 2013-05-23 · sion or physical training, and regression time, in congenital torticollis patients. Materials

김성진 외

submit.radiology.or.kr 대한영상의학회지 2013;68(5):385-390 389

ultrasonographic imaging of congenital muscular torticol-

lis with clinical assessment in infants. Ultrasound Med Biol

2000;26:1237-1241

9. Som P, Curtin H. Head and Neck Imaging. St. Louis: Mosby,

2011:2715-2718

10. Davids JR, Wenger DR, Mubarak SJ.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sequela of intrauterine or perinatal compart-

ment syndrome. J Pediatr Orthop 1993;13:141-147

11. Hollier L, Kim J, Grayson BH, McCarthy JG.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and the associated craniofacial chang-

es. Plast Reconstr Surg 2000;105:827-835

12. Macdonald D. Sternomastoid tumour and muscular torti-

collis. J Bone Joint Surg Br 1969;51:432-443

13. Berlin H. The differential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orticollis in children. Phys Med Rehabil Clin N Am 2000;

14:197-206

14. Wei JL, Schwartz KM, Weaver AL, Orvidas LJ. Pseudotumor

of infancy and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170 cases.

Laryngoscope 2001;111(4 Pt 1):688-695

15. Slate RK, Posnick JC, Armstrong DC, Buncic JR. Cervical

spine subluxation associated with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and craniofacial asymmetry. Plast Reconstr Surg

1993;91:1187-1195; discussion 1196-1197

16. Canale ST, Griffin DW, Hubbard CN.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A long-term follow-up. J Bone Joint Surg Am

1982;64:810-816

17. Chang PY, Tan CK, Huang YF, Sheu JC, Wang NL, Yeh ML,

et al. Torticollis: a long-term follow-up study. Zhonghua

Min Guo Xiao Er Ke Yi Xue Hui Za Zhi 1996;37:173-177

18. Cheng JC, Tang SP, Chen TM, Wong MW, Wong EM. The

clinical presentation and outcome of treatment of con-

genital muscular torticollis in infants--a study of 1,086

cases. J Pediatr Surg 2000;35:1091-1096

19. Ippolito E, Tudisco C, Massobrio M. Long-term results of

open sternocleidomastoid tenotomy for idiopathic mus-

cular torticollis. J Bone Joint Surg Am 1985;67:30-38

20. Ho BC, Lee EH, Singh K. Epidemiology, presentation and

management of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Singapore

Med J 1999;40:675-679

21. Persing J, James H, Swanson J, Kattwinkel J;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Committee on Practice and Ambu-

latory Medicine, Section on Plastic Surgery and Section on

경우가 2명이었다. 물리치료 시행 여부가 소멸 소요 시간에 영

향을 미치는 여부에 관한 분석에서는 물리치료를 받은 군에서

소멸까지 걸린 시간이 1.9개월 정도 빨랐으나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물리치료가 소

멸 소요 시간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고 볼 수 있지만,

물리치료를 받은 증례 수가 적기 때문에 충분한 수의 증례를

포함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대상환자(n =

63) 중에서 연구에 포함된 수가 적었으며(n = 24), 특히 물리

치료를 받은 군(n = 7)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둘째, 선천

성 근성 사경의 병변은 한 명의 영상의학과 전문의에 의해서만

분석되었다. 셋째, 통계학적인 기법의 한계로 소멸이 되지 않았

던 2명의 환자는 통계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결론적으로 선천성 사경 환자에서 측정 가능한 목빗근 병변

의 부피가 클수록 빠른 소멸을 보였으며, 물리치료는 병변의 소

멸기간 단축에 도움이 되지 않았다. 따라서 병변의 부피는 소멸

소요 시간을 예측해 볼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1. Ballock RT, Song KM. The prevalence of nonmuscular

causes of torticollis in children. J Pediatr Orthop 1996;16:

500-504

2. Binder H, Eng GD, Gaiser JF, Koch B.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results of conservative management with long-

term follow-up in 85 cases. Arch Phys Med Rehabil

1987;68:222-225

3. Cheng JC, Au AW. Infantile torticollis: a review of 624

cases. J Pediatr Orthop 1994;14:802-808

4. Cheng JC, Wong MW, Tang SP, Chen TM, Shum SL, Wong EM.

Clinical determinants of the outcome of manual stretching

in the treatment of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in in-

fants. A prospective study of eight hundred and twenty-

one cases. J Bone Joint Surg Am 2001;83-A:679-687

5. Haque S, Bilal Shafi BB, Kaleem M. Imaging of torticollis

in children. Radiographics 2012;32:557-571

6. Chan YL, Cheng JC, Metreweli C. Ultrasonography of con-

genital muscular torticollis. Pediatr Radiol 1992;22:356-360

7. Lin JN, Chou ML. Ultrasonographic study of the sterno-

cleidomastoid muscle in the management of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J Pediatr Surg 1997;32:1648-1651

8. Cheng JC, Metreweli C, Chen TM, Tang S. Correlation of

Page 6: Correlation between the Volume of a Lesion or Physical Training, … · 2013-05-23 · sion or physical training, and regression time, in congenital torticollis patients. Materials

선천성 사경 환자에서 목빗근 병변의 부피 또는 물리치료와 소멸 소요 시간 사이의 연관성

submit.radiology.or.kr대한영상의학회지 2013;68(5):385-390390

cal Surgery. Pediatrics 2003;112(1 Pt 1):199-202

22. Yim SY, Lee IY, Park MC, Kim JH. Differential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bnormal posture of the head and neck. J

Korean Med Assoc 2009;52:705-718

Neurological Surgery.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o-

sitional skull deformities in infants.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Committee on Practice and Ambulatory Medi-

cine, Section on Plastic Surgery and Section on Neurologi-

선천성 사경 환자에서 목빗근 병변의 부피 또는 물리치료와 소멸 소요 시간 사이의 연관성

김성진 · 김동욱

목적: 저자들은 선천성 사경 환자에서 목빗근(sternocleidomastoid muscle) 병변의 부피 또는 물리치료 여부와 성공적인

소멸의 소요 시간(regression time) 사이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7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임상적으로 사경이 의심되었던 63명의 환자에서 한 명의 영상의학과 전

문의가 경부 초음파를 시행하였으며, 실시간 초음파로 병변의 직경을 측정하였다. 병변의 성공적인 소멸은 추적 초음파에

서 병변이 보이지 않거나 추적 초음파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신체진찰에서 병변이 만져지지 않는 경우로 정의하였

다. 통계학적으로 병변의 부피 또는 물리치료 여부와 성공적인 소멸 소요 시간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63명의 환자 중에서 48명이 선천성 사경으로 최종 진단되었으며, 분만형태는 39명이 자연분만, 9명이 제왕절개였

다. 48명 중 24명에서 추적관찰이 이루어졌고, 22명에서 선천성 근성 사경 병변의 성공적인 소멸이 확인되었다. 24명 중에

서 9명이 물리치료를 시행 받았으며 7명에서 성공적인 소멸을 보였다. 병변의 부피가 클수록 성공적인 소멸에 걸리는 시간

이 짧았으며(p = 0.011), 물리치료와 소멸 소요 시간 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p = 0.15).

결론: 선천성 사경 환자에서 측정 가능한 목빗근 병변의 부피가 클수록 빠른 소멸을 보였으며, 물리치료는 병변의 소멸기

간의 단축에 도움이 되지 않았다.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영상의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