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ing indices for smartphone usage: smartphone …web.yonsei.ac.kr/bkgsi/paper/스마트폰...

18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12, No.3 / December 2013 87 스마트폰 활용에 관한 측정지표 개발 연구 Developing Indices for Smartphone Usage: Smartphone Technology Quotient 최윤정·윤혜정·이중정 Choi, Yoonjung·Yun, Haejung·Lee, Choong Cheang Abstract 본격적인 모바일 시대로 접어들면서, 단순히 스마트폰 기기의 소유 여부가 아닌 개인의 활용 정도에 따라 새로운 정보격차가 야기되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을 얼마나 활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개인별 스마트폰 활용 수준에 대한 객관적인 측정지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연구에서는 개인정보화지표를 기반 으로 스마트폰 활용지수를 STQ(Smartphone Technology Quotient)정의하고, 이를 다시 인식지수, 접근지수, 용지수와 역량지수로 구성하여 지표를 개발하였다. 지수의 하위 측정항목은 스마트폰의 특성을 반영한 , 기기, 애플리케이션으로 구분하였으며, 최종 STQ측정항목에서 도출된 비가중 평균값으로 계산하였 . STQ통계적 타당성과 신뢰도 검증을 거쳐 영역의 40측정항목으로 확정되었다. 부가적으로 STQ분석 사례를 제시하고자, 계산된 STQ따른 기술통계분석과 상관관계분석 등의 다양한 통계분석을 통하여 분석대상 고객의 스마트폰 활용 수준과 시사점을 다각도에서 제공하였다. 연구의 결과인 STQ스마트폰 생태계에 포함된 이통사업자, 단말제조사, 애플리케이션 개발업체 등이 고객을 세분화하고 목표고 객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 조사 지표로 활용할 있을 것이며, 향후 스마트폰의 질적 활용가치를 높여 국내 모바일 디바이드 해소에도 기여할 있을 것이다. 주제어: 스마트폰, 스마트폰 측정지표, 스마트폰 활용수준, 개인정보화지표, STQ Nowadays, mobile information gap may come from how well people make use of smartphones, not from the ownership of devices. Therefore, we discovered a need for the objective method to measure individual’s smartphone usage. This research attempted to develop the multi-dimenstional indices to measure the level of smartphone utilization. Based on Personalized In- formation Indices, the researcher defined STQ as Smartphone Technology Quotient, in terms of recognition, access, usage and capacity. STQ was calculated from unweighted means of each of the four dimensions. Through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s, four dimensions of 40 measurment items were finally confirmed. Additionally, various statistical analyses using the generated STQ were conducted. From this study, we seek to make a contribution not only by clarifying the concept of STQ but also by developing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concept properly. We expect to eliminate mobile divide and enhance the qualitative utilization of smartphone based on our research findings. Keywords: Smartphone, Smartphone Usage, Smartphone Technology Quotient, Personalized Informa- tion Indices, STQ 최윤정: KT 경제경영연구소, 책임연구원 윤혜정: Kogod School of Business, American University, Post-Doctoral Researcher 이중정: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교수, 교신저자 December 2013 / Vol. 12, No. 3 (pp.87-104)

Upload: phungcong

Post on 19-Jul-2018

219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12, No.3 / December 2013 87

스마트폰 활용에 관한 측정지표 개발 연구 Developing Indices for Smartphone Usage: Smartphone Technology Quotient

최윤정·윤혜정·이중정 Choi, Yoonjung·Yun, Haejung·Lee, Choong Cheang

Abstract

본격적인 모바일 시대로 접어들면서, 단순히 스마트폰 기기의 소유 여부가 아닌 개인의 활용 정도에 따라 새로운 정보격차가 야기되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을 얼마나 잘 활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개인별 스마트폰 활용 수준에 대한 객관적인 측정지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인정보화지표를 기반

으로 스마트폰 활용지수를 STQ(Smartphone Technology Quotient)로 정의하고, 이를 다시 인식지수, 접근지수, 사용지수와 역량지수로 구성하여 지표를 개발하였다. 각 지수의 하위 측정항목은 스마트폰의 특성을 반영한 통신, 기기, 애플리케이션으로 구분하였으며, 최종 STQ는 각 측정항목에서 도출된 비가중 평균값으로 계산하였

다. STQ는 통계적 타당성과 신뢰도 검증을 거쳐 네 개 영역의 총 40개 측정항목으로 확정되었다. 부가적으로 STQ의 분석 사례를 제시하고자, 계산된 STQ에 따른 기술통계분석과 상관관계분석 등의 다양한 통계분석을 통하여 분석대상 고객의 스마트폰 활용 수준과 시사점을 다각도에서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인 STQ는 스마트폰 생태계에 포함된 이통사업자, 단말제조사, 애플리케이션 개발업체 등이 고객을 세분화하고 목표고

객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 조사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스마트폰의 질적 활용가치를 높여 국내 모바일 디바이드 해소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스마트폰, 스마트폰 측정지표, 스마트폰 활용수준, 개인정보화지표, STQ

Nowadays, mobile information gap may come from how well people make use of smartphones, not from the ownership of devices. Therefore, we discovered a need for the objective method to measure individual’s smartphone usage. This research attempted to develop the multi-dimenstional indices to measure the level of smartphone utilization. Based on Personalized In-formation Indices, the researcher defined STQ as Smartphone Technology Quotient, in terms of recognition, access, usage and capacity. STQ was calculated from unweighted means of each of the four dimensions. Through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s, four dimensions of 40 measurment items were finally confirmed. Additionally, various statistical analyses using the generated STQ were conducted. From this study, we seek to make a contribution not only by clarifying the concept of STQ but also by developing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concept properly. We expect to eliminate mobile divide and enhance the qualitative utilization of smartphone based on our research findings.

Keywords: Smartphone, Smartphone Usage, Smartphone Technology Quotient, Personalized Informa-tion Indices, STQ

최윤정: KT 경제경영연구소, 책임연구원 윤혜정: Kogod School of Business, American University, Post-Doctoral Researcher 이중정: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교수, 교신저자

December 2013 / Vol. 12, No. 3 (pp.87-104)

스마트폰 활용에 관한 측정지표 개발 연구

88 December 2013 / Vol.12, No.3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1. 서론

2012년 8월 국내 스마트폰 가입자수가 3천만 명을 돌파했다. 이는 국민 10명중 6명이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수치로 스마트폰 2천만 시대가 열린지 불과 10개월 만에 달성한 기록이다[7]. 지난 2009년 11월 국내 아이폰 도입을 계기로 스마트폰이 급속히 확산되면서 스마트 혁명(Smart Revolution)이라 불릴 만큼 일상 생활을 포함한 사회, 경제, 문화 전반에 걸쳐 많은 부분이 새롭게 변하고 있다[24]. 그러나 외관상 화려한 스마트 세상의 도래와 장미빛 전망에

도 불구하고, 객관적으로 스마트폰의 실질적인 활용

을 통해 우리 생활이 어느 정도 편리해졌으며 얼마

나 유익해졌는지에 대한 명확한 근거 제시는 부족한 실정이다[22]. 국내 스마트화의 진행이 단순한 스마

트폰의 양적 확산에서 스마트폰 활용에 대한 질적 성숙단계로 넘어가고 있는 현 상황도 스마트폰 활용

수준 측정에 대한 요구를 증가시키고 있다[25].

국내의 스마트폰 관련사업자(기기, 애플리케이션, 통신서비스)와 정책기관에는 보다 심층적이고 다면

적인 스마트폰 활용에 관한 분석이 지속적으로 필요

하며, 또한 활용도를 판단하기 위한 검증된 측정지

표와 측정방법이 시급한 상황이다.

그러나 현재 국내 IT기기에 대한 정보화 수준을 기기 보급 대수 등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기존 정보

화지수[16][20][21]에는 스마트폰과 관련된 사항이 내포되지 않았기에 스마트폰에 특화된 새로운 지표 도입이 필요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정보

화 지수에 스마트폰과 관련된 정보를 하나의 하부요

인으로 포함시키기에는 국내 스마트화가 너무 광범

위하고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적절치 않다

고 보여진다[16][20][21]. 더욱이 기존 정보화 지수는 단순 기기공급 대수의 증가로 평가하고 있기에 스마

트폰 활용지수로 활용하는 데 어려움이 존재한다

[20][21]. 스마트폰은 기존 IT 기기와 달리 그 자체로 효용성을 가지는 휴대기기로 응용프로그램인 애플

케이션과 모바일 인터넷에 실시간 접근이 가능하기

에 기기 자체가 가지는 효용의 가치가 여타 IT기기

와 차별화 된다[22]. 그러므로 스마트폰에 특화되어 국내 스마트화 진행 정도를 활용의 다각적인 측면에

서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스마트폰 활용지수가 필요한 상황이다.

스마트폰 활용지수의 측정을 통해 스마트폰 생태

계에 속해 있는 이통사업자, 단말제조사, 애플리케이

션 개발자 등은 시장 현황 파악, 고객 세분화 및 마

케팅 전략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더 나아

가 정부 정책적으로 모바일 디바이드 해소 및 스마

트 정책 수립의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시계열적인 분석을 통해 기업의 전략이나 정부 정책

의 성과지표로 활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실제 스마트폰 활용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도출하고, 그 타당성과 신뢰도를 정량적/정성적으로 검증하여 스마트폰 활용지표를 도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목표

를 설정한다.

첫째, 스마트폰 활용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개념적 프레임워크와 하부변수 및 측정문항을 정의 및 개발

하고, 산출지표에 대한 통계적 타당성/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여, 즉시 현장적용이 가능한 측정변수와 측정

항목을 제안한다.

둘째, 도출된 측정지표 체계를 이용하여 활용사례

를 제시함으로써 개발된 측정지표를 이용한 스마트

폰 사용자 분석과 시사점 도출의 사례를 보여 준다.

2. 이론적 배경

2.1 스마트폰

2.1.1 스마트폰 활용 행태

기존 피처폰과 스마트폰에서 사람들의 사용행태

가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면, 스마트폰에서는 주로 인터넷 검색, 이메일, 게임, SNS 등 19개 서비스를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23]. 또한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서 이용자들의 주 이용서비스도 다르게 나타나는데, 3G망에서는 인터넷 검색, 지도 등 위치

기반서비스와 이메일 서비스를 주로 활용하는 반면 WiFi 상태에서는 동영상, 앱스토어, 게임 등의 서비

스를 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하면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애플리케이션이다. 애플리

케이션을 통해 피처폰보다 훨씬 쉽고 다양하고 편리

하게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활용할 수 있는 계기가 된 것이다[9].

2012년 8월 DMC미디어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주 사용 생활편의 기능은 인터넷

을 통한 정보검색이 94.7%로 가장 높았고 지도 관련 서비스가 59%, 알람·시계 기능이 54.2%로 뒤를 이었다. 스마트폰을 활용한 엔터테인먼트 기능으로

는 카메라(75.6%), 음악(75%), 동영상∙영화(51.1%) 순

최윤정, 윤혜정, 이중정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12, No.3 / December 2013 89

으로 나타나 스마트폰이 엔터테인먼트 관련 디바이

스를 통합하여 그 기능들을 대체하고 있음을 나타냈

다.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하루 평균 30분~1시간 미만으로 데이터를 사용하는 응답자가 25.6%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1시간~2시간 미만 사용자가 19.1%, 10분~30분 미만 사용자가 12.6% 순으로 나타

났다. 연령별로는 30대와 40대에 비해 20대에서 데이터를 장시간 이용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데이터 주 사용서비스에 있어 SNS와 인스턴트 메시지 기능은 관계성을 중요시하는 여성이 더 많이 사용하

는 반면, 남성은 이메일, 지도서비스, 생활정보 서비

스를 주로 사용하여 편의성을 더욱 중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23].

2.1.2 스마트폰 이용격차 현황

스마트폰이 사회 전반에 급속하게 퍼지고 일상생

활에서 생활 필수품이 되면서 스마트폰을 통한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의 정보격차가 확대되고 있다. 스마

트폰의 정보격차 문제는 이용자와 비이용자간 격차

보다 이용자 간의 질적 활용 격차로 나타난다. 한국

인터넷진흥원(2011)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 5월까지 20~30대 이용자가 77.1%로 젊은 층에 편향되

어 있었지만, 저가 스마트폰의 보급과 함께 대중화

를 이루면서 중장년층의 비율이 평준화됨을 볼 수 있다[15].

2010년 취약계층의 스마트폰 이용률은 1.3%로 전체 국민의 평균 15.6%에 비해 14.3%나 낮은 수준으

로 나타났다[15]. 취약계층의 스마트폰 이용률이 매우 낮은 상황으로 볼 때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일반

인과 취약계층간의 모바일 격차는 더욱 심화될 것으

로 보인다.

취약계층의 스마트폰 비이용의 주된 이유로는 ‘스마트폰 이용용도 모름’과 ‘이용비용의 부담’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스마트폰의 효용성에 매력을 느끼지 못하는 장애인, 장노년층, 농어민 집단이 이에 속한다. 또한 스마트폰을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스마트폰 비이용자의 31.1%가 사회적 낙오감을 느

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5].

정보사회에서 정보격차의 확대 가능성은 우선 인터넷으로 대변되는 디지털 매체의 특성에서 그 원인

을 찾을 수 있다. 라디오, TV, 전화 등의 전통적인 매체는 크기, 가격, 질 등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제공

하는 서비스의 질은 동일하다. 그러나 새로운 디지

털 매체로 등장한 모바일 기기는 끊임없이 진화하는 매체이므로 활용 정도에 의한 계층화는 불가피한 것

으로 보인다[11].

아무리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정보통신기기가 개발된다고 하더라도 새로운 정보통신기기와 서비스

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의 이용능력이 요구

된다. 따라서 학력 수준이 낮거나 정보통신 관련 교육기회를 얻지 못한 노인, 비취업자 등은 정보접근

의 사각지대가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신체적 불편 때문에 정보통신기기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집단 역시 이들의 접근성을 배려하는 기기와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다면 정보취약집단으로 남을 수밖에 없다[11].

더욱이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개인 모바일 기기의 보급 확산 및 디지털 컨버전스 고도

화에 따라 PC 기반 유선 인터넷 환경에서 모바일 기반 스마트 정보환경으로 급격히 변하고 있다[22]. 이제 모바일 기기가 정보 습득의 중요한 수단으로 등장하면서 스마트 기기를 잘 활용하는 사람과 그렇

지 못한 사람 간의 차이인 ‘모바일 격차(Mobile Di-vide)’의 발생도 심화되고 있다[21][22]. 따라서 과거

에는 PC와 유선인터넷 기반으로 정보 격차가 나타

났다면, 스마트폰 보급이 확산되면서 스마트기기와 모바일 인터넷 환경에서의 격차로 무게중심이 이동

하고 있는 것이다[4][11][22].

이를 반증하듯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12년도 정보격차 지수 및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최근 PC기반 정보격차는 개선되고 있으나, 모바일에서는 오히려 격차가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1].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가 중요해진 이유는 생활

필수품으로서 개인 삶의 효율성과 생산성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바일 기기를 능숙하게 다룰 수 있느냐 또는 없느냐의 문제는 삶의 질 개선과 선택의 기회를 넓히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과거 PC 시대에 없던 ‘신 디지털 격차 현상’이라 할 수 있다[21].

2.2 정보화지수 선행연구

2.2.1 정보화지수

정보화 지수는 정보화 수준의 현실과 미래의 진전 정도 및 변화 속도를 측정하여 체계적이고 함축적인 지수로 나타낸 것으로, 정보화의 수준을 객관적으로 비교 분석하고 파악할 수 있게 해 준다[21]. 정보화

를 측정하는 지표들은 한 국가의 정보화와 관련된 여러 수준을 효율적으로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게 해주며, 정보화로 인한 사회현상의 변화를 다양한

스마트폰 활용에 관한 측정지표 개발 연구

90 December 2013 / Vol.12, No.3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측면에서 파악하여 이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이다[18]. 즉, 정보화가 정보와 관련된 사회의 변화를 의미한다면, 지표는 정보화와 관련된 현재의 상황 및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일 뿐 아니라, 미래에 대한 예측을 가능하게 하여 이에 대한 대책

과 정책을 수립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체계적인 도구로 볼 수 있다[17]. 다시 말해 지수를 구성하는 지표(Indicators)는 변화를 측정하는

데 도움을 주는 변수라 할 수 있으며, 시스템의 조건과 변화에 대한 간결하고 포괄적이며, 균형 있는 판단을 제공하는 규범적인 공공통계라 할 수 있다

[19]. 또한 지표는 어떠한 사회적 현상을 계량적이고 수치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일컫는 것으로 특정한 사회현상에 대한 대표성(Representativeness) 확보, 국가간, 지역간, 조직간 비교 및 정책적인 의미를 도출

하기 위하여, 또는 지표의 생성을 통해 계량분석을 통한 추후적인 연구의 기초자료(Raw Data)로 이용하

기 위해 만들어진다[17].

2.2.2 정보격차 및 정보격차지수

정보격차의 개념은 2000년대 초까지 접근성 위주

로 논의되다가[26], 2000년대 중반 이후 생산적 활용

에서의 격차 측면으로 논의가 확대되었다[28][29]. 정보접근성 그 자체만으로는 별다른 가치를 창출하

지 못하기 때문이다. Bridges.org(2001)에서는 ICT 관련 격차를 ICT 접근(Access), ICT 사용(Usage), 그리

고 ICT 응용(Applications)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바 있다[27].

정보격차, 즉 생산적 정보 활용 측면에서의 격차

가 사회적 불평등을 야기하는 주된 이유는 이것이 사회적 구분과 배제를 만들어 내기 때문이다[2].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고 또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지 못한 사람은 경제, 정치, 문화, 사회

적 네트워크 및 커뮤니티 등 여러 다양한 분야에서

의 참여도가 낮아질 수밖에 없어[32], 그만큼 삶의 영역에서 불이익과 불편함을 겪는다[30].

2004년부터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산출하기 시

작한 정보격차지수(DDI, Digital Divide Index)는 일반

국민과 4대 취약계층(장애인, 기초생활수급층, 농어

민, 장노년층) 간의 정보격차 수준을 측정하는 지표

를 의미한다[17]. 특히 질적, 양적 부문의 정보격차 수준을 종합적으로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는 지수로, 효과적인 정보격차 해소 정책 수립 및 성과평가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주요 목적이 있다

[20][21].

정보격차지수(DDI, Digital Divide Index)는 접근, 역량, 활용 부문별 격차 수준 및 특성을 종합적으로 측정, 분석할 수 있는 다차원적 개념의 계량지표로

서 2단계를 거쳐 추정된다[2]. 1단계에서는 <표 1>에 요약되어 있는 바와 같은 주요 항목들을 설문조사를 통해 계산하고, 2단계에서는 가중평균을 이용하여 접근지수, 역량지수, 활용지수를 계산한다[2]. 컴퓨터와 인터넷에 대한 접근성, 사용역량, 활용정도를 종합한 것으로 일반국민 수준을 기준인 100으로 한다. 따라

서 정보격차 지수는 0~100(점) 범위의 값을 가지며, 100(점)에 가까울수록 격차가 큰 것을 뜻한다

[11][16][17]. 각 부문별 격차지수의 개념은 다음 <표 1>과 같다[20][21].

표 1. 정보격차 지수 측정 개념

종류 측정 개념

종합격차 지수 접근·역량·활용 부문을 종합한 정보화 수준의

격차 측정

접근격차 지수

컴퓨터·인터넷 등 정보통신 인프라 접근 수준의

격차 측정 (정보통신기기 보유정도, 주 이용장소

의 PC 기종 및 인터넷 접속속도, 필요시 컴퓨터

·인터넷 접근 가능 정도)

역량격차 지수 컴퓨터 및 인터넷 사용능력 수준의 격차 측정

양적 활용격차

지수

컴퓨터·인터넷의 양적 사용수준의 격차 측정

(컴퓨터·인터넷 이용률 및 시간)

질적 활용격차

지수

컴퓨터·인터넷 사용의 질로서 질적 사용 수준의

격차 측정 (업무·학업·가사·여가·사회활동·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 형성 등 일상생활 부문별

도움정도, 세부 권장 용도별 이용정도)

일반 국민의 종합 및 부문별 지수 원점수(정보화수준 측정 원점수)

를 100으로 할때의 일반국민과 취약계층간 지수 원점수 차이로

종합 및 부문별 최종 격차지수 산출

- 정보격차 지수 산출식

= {1-(취약계층별 지수 원점수/일반국민 지수 원점수)} x 100

정보격차지수는 접근격차 지수 가중치 30%, 역량

격차 지수 가중치 20%, 활용격차 지수 가중치 50%를 합산하여 산출하며, 지수별 세부 구성항목의 가중치 합도 1이 되도록 하여 가중치를 각기 부여하여 계산한다. 지수 구성체계는 아래 <그림 1>과 같다

[20][21].

최윤정, 윤혜정, 이중정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12, No.3 / December 2013 91

그림 1. 지수 구성체계

2.3 개념적 프레임워크

스마트폰을 보유한 개인이 얼마나 스마트폰을 잘 활용하고 있는지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활용 정도에 대한 객관적인 측정 지표가 필요한 시점

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에 특화된 스마

트폰 활용지수를 체계적으로 구성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개인별 스마트폰 활용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를 스마트폰 활용지수(Smartphone Technology Quotient: STQ)로 정의하고, 스마트폰 활용지수를 구성하는 하부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기존에 연구된 스마트폰 이용행태, 정보화, 정보격차 및 개인정보화 지표 체계 등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1][2][4] [8][9][11][14][23].

최근 정보격차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격차’보다

는 ‘불평등’ 개념을 사용하고 있는데, 정보격차나 불평등 측정 대상으로 개별 국민의 정보화 중요성에 대한 인식, 컴퓨터나 통신에 대한 접근성, 정보시스

템의 활용 수준을 의미하는 개인정보화지표(PII: Personalized Information Indices)로 상정하고 있다[8][12] [14].

이에 기존 정보격차 지수에서 포함되지 않았던 인식지수는 스마트폰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 스마트폰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지수라 판단, 정보격

차와 정보불평등 측정을 위한 개인정보화지표(PII)의 구성 체계를 활용하여, 아래와 같은 스마트폰 활용

지수에 대한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그림 2>참조).

그림 2. 본 연구의 개념적 프레임워크

3. 연구모형 및 지수의 조작적 정의

3.1 연구모형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활용지수 측정을 위한 지표로 개인정보화지표(Personalized Information Indic-es)를 구성하는 인식지수(Personal Recognignition Index: PRI), 접근지수(Personal Access Index: PAI), 사용지수

(Personal Usage Index: PUI) 그리고 역량지수(Personal Capacity Index: PCI)를 토대로 총 4개의 하부지표를 제시했다. 또한 각 지표별 하부요인으로 통신 인프

라, 모바일 OS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디바이스, 스마

트폰의 응용프로그램을 대표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고려하였다. 따라서 스마트폰 활용지수(STQ)는 다음

과 같이 정의된다.

스마트폰 활용지수(STQ) = (인식지수, 접근지수, 사용지수, 역량지수)

인식지수(SRI) = F(통신 중요성, 기기 중요성, 애플

리케이션 중요성)

접근지수(SAI) = F(통신 접근성, 기기 접근성, 애플

리케이션 접근성)

사용지수(SUI) = F(통신 사용시간, 기기 사용시간, 애플리케이션 사용시간)

역량지수(SCI) = F(통신 활용능력, 기기 활용능력, 애플리케이션 활용능력)

인식지수(SRI)는 개인이 스마트폰에 대해 얼마나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지수이다. 이 지수는 개인이 보유한 스마트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수준을 지수로 산정한다. 인식지수는 세부적으로 통신에 대한 중요성, 스마트폰 기기에 대한 중요성, 응용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중요성으로 구성된다.

접근지수(SAI)는 스마트폰에 대한 접근성을 의미

한다. 세부적으로는 통신에 대한 접근성, 기기에 대한 접근성,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접근성으로 구성되

며, 통신에 대한 접근성은 3G/4G, WiFi 등으로 나누

어 측정된다.

스마트폰 활용에 관한 측정지표 개발 연구

92 December 2013 / Vol.12, No.3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사용지수(SUI)는 스마트폰을 실제 사용하는 시간

을 측정하기 위한 항목으로, 이는 통신 사용시간을 뜻하는 모바일 인터넷 접속시간, 포괄적인 스마트폰 기기 사용시간, 애플리케이션 사용시간으로 구성한

다. 각각의 사용시간은 일 평균 사용시간으로 측정

한다. 또한 정량적 지표를 보완하고자 일생생활, 인터넷 비즈니스 및 여가생활에 스마트폰을 활용하는 정도를 추가적으로 측정한다.

역량지수(SCI)는 스마트폰 활용능력을 의미하며, 스마트폰을 얼마나 잘 알고 있으며, 스마트폰을 얼마나 잘 사용하는지에 대한 지수이다. 역량지수 역시 통신 활용능력, 기기 활용능력, 애플리케이션 활용능력으로 구성된다.

대부분의 정보화 관련 조사들이 각각 구성지표들

간에 전문가 의견 조사(델파이 조사방법)를 통해 가중치를 부여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각 항목에 대한 가중치는 시대적, 기술적 상황에 따라 달라지며, 나아가 아직까지 어느 것이 더 중요한가에 대한 명확한 가중치 측정방법이 없다’는 유지열(2002)의 주장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지 않고 모든 변수가 동일한 가중치를 가진다는 가정 하에 분석하였다[11].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폰 측정지수를 구성하는 인식, 접근, 사용, 역량지수를 스마트폰의 특성을 대표

하는 하위 측정지표로 통신, 기기, 애플리케이션이라

는 세가지 관점에서 측정하고, 다음과 같은 STQ 산출 체계를 연구모형으로 제시한다(<그림 3>참조).

그림 3. 연구모형 (STQ 산출 체계)

3.2 지수의 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스마트폰 활용에 관한 측정을 위한 기초 지표인 스마트폰 활용 지수(STQ)의 정의와 체계를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STQ 도출을 위한 하부 요인인 인식지수, 접근지수, 사용지수 및 역량지수는 다음의 <표 2>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표 2. 지수의 조작적 정의

지수(측정항목 수) 조작적 정의

STQ

인식

지수

통신중요성(3) 기기중요성(3) 앱 중요성(3)

사용자의 스마트폰 중요

성에 대한 인식수준을 나타내는 지수

접근

지수

통신접근성(4) 기기접근성(3) 앱 접근성(3)

사용자의 기기, 무선 인터넷, 앱에 대한 접근 수준을 나타내는 지수

사용

지수

통신,기기,앱 사용시간

(3) 일상생활 이용정도(4) 인터넷 비즈니스 이용

정도(3) 여가생활 이용정도(5)

스마트폰을 얼마나 사용

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수

역량

지수

통신 활용능력 및 지식

정도(3) 기기 활용능력 및 지식

정도(7) 앱 활용능력 및 지식정

도(4)

스마트폰을 얼마나 활용

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

에 대해 어느 정도의 지식을 보유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수

3.2.1 인식지수

정보화 인식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는 각 조사마

다 조금씩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정보화 및 정보사회

에 대한 인식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

트폰에 대한 중요성 인식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로 스마트폰 기기 자체에 대한 중요성 인식을 포함하여 모바일 인터넷에 접속 가능하게 해 주는 통신 네트

워크에 대한 중요성 인식과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에 대한 중요성 인식을 측정하고자 한다. 실질적인 척도 구성은 한국형 디지털역량지수(KDQ)의 정보화 인식 부분[16]을 이용하였다. 이 척도는 9개 문항으

로 구성되어 있으며, 응답지는 7점 척도이며, “① 전혀 동의 안함~④ 보통~⑦ 매우 동의함”으로 구성되

어 있다. 따라서 인식지수에 관한 총 점수는 0점에

서 63점 사이에 분포되어 있다. 구체적인 문항 구성

은 다음의 <표 3>과 같다.

표 3. 인식지수의 측정항목

인식지수 측정항목

기기중요성

스마트폰은 나에게 매우 유익한 도구이다 스마트폰을 보유하는 것은 나에게 매우 중요하

다 스마트폰은 내 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생활필수

품으로 자리잡았다

통신중요성

실시간 모바일 인터넷에 접속 가능하게 해 주는 무선 네트워크는 스마트폰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을 때만 스마트폰

은 본연의 기능을 다 할 수 있다 데이터 접속을 위한 3G 네트워크와 WiFi, LTE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평균)

주관식문항

객관식문항

(평균)(평균)(평균)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평균)

최윤정, 윤혜정, 이중정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12, No.3 / December 2013 93

등 통신 네트워크의 다양성은 스마트폰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앱 중요성

스마트폰에 있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은 핵심 서비스로 매우 중요하다

알람, 버스정보, SNS 등 일상생활에서 매일 활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은 내게 매우 중요하다

새롭게 출시되는 애플리케이션 설치 및 업데이

트는 내게 매우 중요하다

표 4. 접근지수의 측정항목

접근지수 측정항목

기기접근성

원하면 언제 어디서나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다

스마트폰을 24시간 사용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스마트폰에 알림 메시지가 없더라도 수시로 확인

하는 편이다

통신접근성

스마트폰을 통해 3G/4G 네트워크에 항상 접근할 수 있다

스마트폰으로 접속한 3G/4G 네트워크는 접속 안정성이 보장된다

스마트폰으로 WiFi(무선인터넷)에 항상 접근할 수 있다

스마트폰으로 접속한 WiFi는 접속 안정성이 보장

된다

앱 접근성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를 위해 앱스토어에 항상 접근할 수 있다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에 항상 접근할 수 있다 내게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찾아 쉽게 다운로드 할 수 있다

3.2.2 접근지수

기존 정보화 지수에서는 단순히 컴퓨터 소유여부 정도를 접근 지수로 산출하였다. 하지만 이 같은 방법은 컴퓨터 보급률이 높은 상태에서는 변별력이 없다. 스마트폰 접근지수 역시 스마트폰 기기에 대한 소유 여부가 기본 전제가 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는 기기와 관련된 필수 기능을 숙지하고 있으며, 해당 서비스에 즉각 접근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질문과 무선 인터넷 접속방식,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접근성으로 지표를 구성하였다

스마트폰의 기기 접근성은 언제 어디서나 스마트

폰을 사용할 수 있고, 수시로 확인하는가에 대한 응답, 통신 네트워크 접근성에 대한 응답은 “① 3G/4G 네트워크 접근성 ② 3G/4G 네트워크 접속 안정성 ③ WiFi 접근성 ④ WiFi 접속 안정성”으로 구성되며, 애플리케이션 접근성에 대한 응답은 “① 앱스토어 접근성 ② 애플리케이션 접근성”으로 구성된다. 접근성에 대한 문항은 총 10개로 각각 7점 척도로 구분되며, “① 전혀 그렇지 않다 ④ 보통이다 ⑦ 매우 그렇다”로 응답하게 한다. 따라서 총 점수는 0점에

서 70점 사이에 분포하도록 한다. 구체적인 문항 구성은 다음의 <표 4>와 같다.

3.2.3 사용지수

기존 정보화 지표 조사에서는 단순히 컴퓨터와 인터넷의 이용시간만을 중요한 지표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사 형태는 컴퓨터와 인터넷 사용자들의 이용행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기에는 부족하다. 때문에 스마트폰 사용지수에 대한 조사는 음성통화, 문자메시지 등 순수 전화기능을 포함한 무선인터넷, 앱, 스마트폰 고유 기능(카메라, 음악 청취 등)을 사용하는 일평균 스마트폰 기기 사용시간, 모바일 인터넷 이용시간, 그리고 애플리케이션을 실제 사용하는 시간으로 나누어 파악하고자 한다. 스마트폰 기기, 통신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이용시간 측정에서는 기존 개인정보화 연구조사 결과를 참조

하여 일평균 사용시간만을 측정하고자 한다. 사용시

간 측정 문항은 일상생활에의 이용정도, 인터넷 쇼핑, 뱅킹, 예매 등 인터넷 비즈니스에의 이용정도와 여가생활에의 이용정도로 구분하여 측정하며, 전혀 이용을 하지 않는 경우는 0점으로, 매우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정도를 7점으로 하여 단계별로 구성하였다. 구체적인 문항은 <표 5>와 같다.

표 5. 사용지수의 측정항목

사용지수 측정항목

기기, 통신, 앱 사용시간

하루에 스마트폰의 음성통화, 문자메시지를 포함 무선인터넷, 앱, 기타 기능(카메라, 음악)등을 모두 사용하는 시간은 평균적으로 어느 정도 되십니까?

하루에 스마트폰으로 무선인터넷을 사용하는 시간은 평균 어느 정도입니까?

하루에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시간은 평균 어느 정도입니까?

일상생활 이용정도

맛집, 주변 음식점 등을 검색할 때 스마트폰을 얼마나 활용하십니까?

교통정보(지도)를 수집할 때 스마트폰을 얼마

나 활용하십니까? 날씨 정보를 알아보기 위해 스마트폰을 얼마나 활용하십니까?

평소 개인업무(다이어리, 워드, 엑셀, 파워포인

트, 사전)를 위해 스마트폰을 얼마나 활용하십

니까?

인터넷 비즈니스 이용정도

스마트폰으로 인터넷 쇼핑을 얼마나 이용하고 계십니까?

스마트폰으로 인터넷 뱅킹을 얼마나 이용하고 계십니까?

스마트폰으로 공연티켓 등의 티켓 예매 이용 정도를 표시해 주십시오

여가생활 스마트폰으로 음악 감상의 이용 정도를 표시해

스마트폰 활용에 관한 측정지표 개발 연구

94 December 2013 / Vol.12, No.3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이용정도 주십시오 스마트폰으로 동영상 등의 이용 정도를 표시해 주십시오

스마트폰으로 인터넷 기사, 웹툰 등 이용 정도

를 표시해 주십시오 평소 개인 홈피(페이스북, 트위터, 블로그) 등의 이용 정도를 표시해 주십시오

평소 스마트폰을 통해 메신저, 채팅서비스 등 데이터 커뮤니케이션 이용 정도를 표시해 주십

시오

3.2.4 역량지수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역량지수를 중요한 지표

로 스마트폰 기기 자체에 대한 활용 능력, 스마트폰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활용 능력, 스마트폰 애플리

케이션에 대한 활용 능력으로 구분하여 측정하고자 한다. 응답은 스마트폰에 대해 전혀 모르는 단계부

터 잘 알고 있으며 능숙하게 활용할 수 있는 단계로 구성하였다. 스마트폰 기기 자체에 대한 하드웨어 활용 능력과 지식 정도를 4개 항목으로 측정하고 스마트폰을 구성하는 통신 인프라와 애플리케이션 등 소프트웨어 측면의 사용 능력과 지식 정도를 구분하

여 측정한다.

특히 역량지수는 개인의 주관적인 평가와 인식에 대한 문항과 실제 스마트폰의 활용능력 및 지식정도

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문항으로 나누어 구성

하였다. 구체적인 문항은 <표 6> 및 <표 7>과 같다.

표 6. 역량지수의 주관적 측정항목

역량지수 측정항목

기기 활용능력

스마트폰의 화면 조작법(터치실행, 화면 방향전환 등)에 대해 잘 알고 있다

내가 보유한 스마트폰의 사양에 대해 잘 알고 있다 스마트폰에서도 일반 휴대전화(통화, 문자메시지) 기능을 잘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폰 고화질 카메라(사진, 동영상) 기능을 잘 활용할 수 있다

개인업무(다이어리, 워드, 엑셀, 파워포인트, 사전) 등의 서비스를 능숙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인터넷 정보검색 기능(인터넷 이용, 이메일 이용 등)을 잘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폰에서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등 소셜미

디어 서비스를 잘 활용 할 수 있다

통신 활용능력

WiFi 설정에서 켜고 끄기 등 네트워크 설정을 잘 조작할 수 있다

불필요한 데이터 요금 부과를 원치 않을 경우, 데이

터 네트워크 접속차단 설정할 수 있다 3G, WiFi, LTE 등 네트워크 접속 설정을 상황에 따라 맞게 조작할 수 있으며, 최선의 네트워크 접속방식

을 선택할 수 있다

앱 활용능력

게임 등 오락, 엔터테인먼트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잘 활용하고 있다

버스정보, 맛집 등 생활 정보 유틸리티 관련 애플리

케이션을 잘 활용하고 있다 스마트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명칭과 특징을 잘 알고 있다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법(작동법)을 잘 이해하

고 있다

표 7. 역량지수의 객관적 측정항목

역량지수 측정항목

기기 지식정도

인터넷 검색, 영상정보 송수신 등의 기능을 갖춘 ICT 기기로 PC와 맞먹는 인터넷 환경을 경험할 수 있어 휴대용 PC를 대체하는 개념으로 부상한 것은 무엇인가? ① 넷북(Netbook) 피쳐폰(Feature Phone) ③ 스마트폰(Smartphone) ④ PMP(Personal Media

Player) 자신이 보유한 스마트폰 운영체계를 선택해 주십시

오. ① iOS ② 안드로이드 ③ 윈도우모바일 ④ 림 ⑤ 심비안 ⑥ 삼성 바다OS

스마트폰에 기본적으로 있는 버튼을 모두 체크하시

오. ① 홈 버튼 ② 음량조절 버튼 ③ 전원 버튼 ④ 검색 버튼

통신 지식정도

스마트폰을 통한 인터넷 접속 방법이 아닌 것을 고르시오. ① 이동통신망(3G) ② WiFi ③ LTE ④ Wibro ⑤ NFC

이동통신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네트워크를 의미하

는 것으로, 데이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인터넷을 사용할 경우, 요금이 부과될 수 있다. 아래 보기 중 데이터 네트워크를 모두 고르시오. ① VPN ② RFID ③ 3G ④ LTE

스마트폰을 무선 모뎀으로 활용하여 PC와 같은 외부기기가 인터넷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을 무엇이

라 하는가? ① 블루투스 ② 테더링 ③ 데이터로밍 ④ VPN

앱 지식정도

보유한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명칭은 무엇인가? ① 앱스토어 ② 구글 플레이 ③ 블랙베리 앱 월드 ④ 올레마켓 ⑤ U+앱마켓 ⑥ 삼성앱스 ⑦ LG 스마트월드 ⑧ N스토어 ⑨ 기타

스마트폰 운영체제나 가입한 이동통신사가 다르더

라도 동일한 앱을 설치할 수 있다면 동일한 앱을 이용할 수 있다. ① O ② X

국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대표하는 카카오톡

과 같은 서비스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② 모바일 채팅 서비스 ③ 모바일 인스턴트메신저 서비스 ④ 무료 채팅 서비스

최윤정, 윤혜정, 이중정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12, No.3 / December 2013 95

4. 연구 방법론

4.1 설문항목 개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 도구는 기존 문헌을 통하여 제시된 설문 척도와 문헌 연구를 통하여 새롭

게 개발된 설문 척도를 포함하고 있다. 객관식 문항

을 제외한 모든 변수들은 Likert 7점 척도를 이용하

여 설문 문항을 측정하였다. 정보통신 분야의 전문

가로 패널을 구성한 후 사전테스트(Pre-test)를 시행

하여, 내용타당성을 확보하였다.

4.2 자료 수집과 표본 특성

본 연구에서는 현재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12년 11월 22일부터 11월 25일까지 전문조사업체를 통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총 200명이 응답하

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폰 활용에 대한 측정

지표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설문 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을 살펴보면, 남성이 50%, 여성이 50%로 남녀 성비가 균등하게 분포되었으며, 설문항목의 응답 난이도를 고려하여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10대부터 40대 이용자를 대상

으로 응답자를 구성하였다. 응답자의 연령대 및 학력, 직업, 월평균 소득 등의 분포는 다음의 <표 8>과 같다.

5. 연구결과 및 분석

5.1 STQ 지수의 통계적 검증

5.1.1 STQ 지수 산출

앞서 설명한 <그림 3>과 같이 인식지수는 스마트

폰을 사용 가능케 하는 통신중요성, 기기중요성, 애플리케이션 중요성에 대한 개인의 인식수준을 나타

낸 것이다. 여기에 하부항목으로 통신중요성을 측정

하는 3개 측정항목의 평균을 구하고, 기기중요성의 3개 측정항목에 대한 평균을 계산하였으며, 애플리

케이션 중요성을 측정하는 3개 항목에 대한 평균을 계산한 후 종합 평균을 도출하였다. 접근지수도 통신접근성, 기기접근성, 애플리케이션 접근성에 대한 각 하부 항목에 대한 비가중 평균을 구하였으며, 사용지수 역시 개인의 일상생활 이용정도, 모바일 뱅킹, 모바일 쇼핑, 모바일 예매 등 인터넷 비즈니스에

의 이용정도 및 여가생활에의 이용정도에 대한 하부

항목의 평균을 구한 후 종합 평균으로 계산하였다. 마지막으로 역량지수는 스마트폰의 활용능력과 지

식정도에 대해 측정한 것으로 개인의 주관적인 평가

와 실제 객관식 문항 테스트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주관적 평가에 대한 항목은 통신, 기기, 애플리케이

션에 대한 활용능력과 지식정도에 대한 평가로 구성

했으며, 세부적인 하부항목에 대한 비가중 평균을 구한 후 종합 평균지수를 도출하였다. 또한 통신과 기기 및 애플리케이션 활용능력 및 지식정도에 관한 객관식 테스트 문항은 총 9개로 구성되어 90점 만점

으로 점수화 하였다.

표 8.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구 분 빈도(명) 비율(%)

성별 남자 100 50 여자 100 50

연령대

10 대 25

25

20 대 25 25 30 대 25 25 40 대 25 25

월소득

100 만원미만 16 8 100 만원~200 만원 미만 32 16 200 만원~300 만원 미만 35 17.5 300 만원~400 만원 미만 19 9.5 400 만원~500 만원 미만 17 8.5 500 만원~600 만원 미만 14 7

600 만원 이상 3 1.5 소득없음 64 32

직업

자영업 1 0.5 판매/서비스직 7 3.5 생산기술직 5 2.5 일반 사무직 62 31

관리직 3 1.5 전문직 14 7 학생 83 41.5

전업주부 23 11.5 기타/무직 2 1

5.1.2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본 연구에서는 STQ 지수로 측정하고자 한 설문

항목들에 관한 신뢰성 및 타당성 검정하고자 SPSS를 활용한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STQ를 구성하는 인식지수, 접근지

수, 사용지수 및 역량지수에 대한 설문항목에 대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용지수를 제외한 인식지

수와 접근지수 및 역량지수의 일부 항목들이 해당

스마트폰 활용에 관한 측정지표 개발 연구

96 December 2013 / Vol.12, No.3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요인에 적재되지 않았다. 하지만, Eigen Value가 1에 근접한 수치로 나타나 고정된 요인수로 추출할 요인

을 3으로 설정하여 요인분석을 재시행하였다. 그 결과, 통신 중요성, 기기 중요성, 앱 중요성에 관한 설문항목들은 인식지수를 측정하는 항목들로 타당성

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접근지수는 통신 접근성에 대한 한 개 측정항목의 요인값이 적

재되지 않아 삭제되었으며, 역량지수는 기기 활용역

량에 대한 4개 측정항목이 다른 지수에도 중복으로 적재되어 삭제되었다. 측정항목의 신뢰도 분석을 위해 크론바하 알파값을 분석한 결과 모두 0.7 이상으

로 나타나 지수를 구성하는 측정항목들의 신뢰성이 검증되었다. 타당성 및 신뢰도 분석 결과는 다음의 <표 9>와 같다.

표 9. 측정항목의 신뢰도 및 타당성 분석

요인 측정항목 요인 적재치 Cronbach's α

인식지수

기기중요성 2 .867 .889 기기중요성 3 .833

기기중요성 1 .771 앱 중요성 1 .829

.824 앱 중요성 2 .779 앱 중요성 3 .775 통신중요성 2 .792

.779 통신중요성 1 .774 통신중요성 3 .770

접근지수

앱 접근성 1 .869 .921 앱 접근성 2 .866

앱 접근성 3 .860 기기접근성 3 .835

.823 기기접근성 2 .812 기기접근성 1 .706 통신접근성 4 .878

.814 통신접근성 3 .833 통신접근성 2 .756

사용지수

여가이용정도 1 .805

.785 여가이용정도 2 .748 여가이용정도 3 .712 여가이용정도 5 .690 여가이용정도 4 .597 일상이용정도 3 .786

.741 일상이용정도 4 .704 일상이용정도 1 .703 일상이용정도 2 .640 인터넷비지니스 3 .844

.743 인터넷비지니스 2 .762 인터넷비지니스 1 .760

역량지수

통신활용역량 1 .826 .901 통신활용역량 2 .801

통신활용역량 3 .774 앱 활용역량 2 .769

.888 앱 활용역량 3 .758 앱 활용역량 4 .755 앱 활용역량 1 .746 기기활용역량 5 .723

.733 기기활용역량 2 .665 기기활용역량 7 .570

최윤정, 윤혜정, 이중정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12, No.3 / December 2013 97

5.2 STQ 지수 활용 사례

STQ 지수 산출방법을 토대로 인식지수와 접근지

수, 사용지수 및 역량지수의 평균값을 도출, STQ의 평균값을 계산해 본 결과 Likert 7점 척도 만점에 5.142점으로 나타났다. 특히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역량지수가 5.545점으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사용

지수는 4.584점으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인터넷 뱅킹, 인터넷 쇼핑 및 인터넷 예매 등 인터넷 비즈

니스의 이용 정도가 3.613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특히 스마트폰 사용자는 일상생활이나 인터넷 비즈

니스보다 여가 생활에 스마트폰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가 생활에의 스마트폰 사용지수

는 5.281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그림 4> 및 <표 10> 참조).

그림 4. STQ 지수별 평균값

표 10. 하부 측정항목별 지수 평균값

구분 측정 문항수

기준 점수

평균 점수

표준 편차

인식지수

통신중요성 3 7 5.658 0.991 기기중요성 3 7 5.378 1.093 앱 중요성 3 7 5.057 1.133

평균 9

5.364 0.901

접근지수

통신접근성 3 7 4.547 1.207

기기접근성 3 7 5.367 1.090

앱 접근성 3 7 5.313 1.058 평균 9 5.076 0.891

사용지수 스마트폰 사용시간 1

288 분 -

무선인터넷 1 117 분 -

사용시간 앱

사용시간 1 107 분 -

일상생활 이용정도 4 7 4.859 1.119

인터넷 비즈니스 3 7 3.613 1.597

여가생활 이용정도 5 7 5.281 1.107

평균 12 4.584 0.991

역량지수

통신 활용역량 3 7 5.885 1.200

기기 활용역량 3 7 5.323 1.109

앱 활용역량 4 7 5.426 1.175

주관적 역량지수 총점

10

5.549 1.027

통신 지식테스트 3 30 21.7 -

기기 지식테스트 3 30 25.25 -

앱 지식테스트 3 30 19.3 -

객관적 역량지수 총점

9

66.25 -

STQ 평균(사용시간과 객관식 문항 제외) 5.142 0.771

<표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지수는 실제 사용시간과 이용정도에 대한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각 사용시간과 이용정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스마트폰 사용시간에서는 무선인터넷 사용시간과 애플리케이션 사용시간과의 상관계수가 0.6 이상으

로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무선인터넷 사용시간과 여가생활 이용 정도와의 상관계수는 0.272로 다른 변수들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상관관계는 낮은 수준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유의확

률은 0.00으로 유의수준 0.05에서 볼 때 두 변수간 상호 관련성은 미약하나마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스마트폰 이용시간이 길고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절대적인 사용시간이 길다고 해서 다양한 영역에

서 질적으로 잘 활용하고 있다고 할 수는 없다.

5.3645.076

4.584

5.5455.142

0.901 0.891 0.991 1.027 0.771

인식지수 접근지수 사용지수 역량지수 STQ

평균 표준편차

스마트폰 활용에 관한 측정지표 개발 연구

98 December 2013 / Vol.12, No.3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표 11. 사용시간과 이용정도 간 상관관계

무선시간 앱시간 기기시간 일상정도 eBiz 정도 여가정도

무선시간 상관계수 1.00

앱시간 상관계수 0.34 1.00

기기시간 상관계수 0.69 0.67 1.00

일상정도 상관계수 0.16 0.09 0.12 1.00

eBiz 정도 상관계수 0.19 0.06 0.14 0.42 1.00

여가정도 상관계수 0.27 0.20 0.17 0.43 0.35 1.00

역량지수는 주관적인 평가문항과 객관식 테스트 문항을 동시에 측정하였다. 통신, 기기, 애플리케이

션에 대한 활용역량 및 지식 정도에 대한 Likert 7점 척도를 표준화 변수로 변환하고, 통신, 기기, 애플리

케이션에 관한 9개 객관식 평가문항을 90점 만점으

로 계산하여 표준화 변수화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폰 역량지수에 관한 주관적 평가와 객관식 평가에 대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관적 역량지수

와 객관식 역량 총점의 관계에서 두 변수간의 상관

계수는 0.443이며, 유의확률값이 0.00으로 두 변수는 유의한 상호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1) 성별 및 연령대별 분석

남성보다는 여성의 STQ 점수가 다소 높게 나타

났으며, 10대의 STQ 점수가 타 연령대보다 높게 나타났다. 20대보다 30대의 STQ가 0.06점 높게 나타

났으며, 40대의 STQ가 4.95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

다(<그림 5>참조).

그림 5. 성별 STQ 및 연령대별 STQ 그림 분리

2) 스마트폰 운영체제, 통신사, 제조사별 분석

아이폰을 사용하는 iOS 사용자가 안드로이드 사용자보다 STQ가 0.28점 이상 높았으며, 이통사별로

는 KT 스마트폰 사용자의 STQ가 SKT와 LGU+ 사용자보다 0.15점 이상 높게 나타났다. 제조사별 STQ는 아이폰 사용자가 5.342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

으며, LG가 뒤를 이었으며, 삼성전자 스마트폰 사용

자의 STQ가 5.09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그림 6>참조).

스마트폰 운영체제인 iOS를 사용한다고 응답한 스마트폰 사용자의 STQ와 애플 아이폰을 사용한다

고 응답한 사용자의 STQ 편차는 스마트폰 운영체계

에 대한 이해 부족과 개별 사용자의 응답 오류에서 비롯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6. 운영체제, 통신사 및 제조사별 STQ

3) 직업 및 소득수준별 분석

직업별로는 무직을 제외한 전업 주부의 STQ 점수가 가장 낮았으며, 소득별로는 100만 원 미만부터 300만 원 미만 소득층의 STQ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특히 전업주부의 경우, 스마트폰 사용지수가 4.17로 인식지수, 접근지수, 역량지수에 비해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이 중 인터넷 비즈니스에의 이용정도가 2.82로 가장 낮은 것으로 측정되었다(<그림 7>, <그림 8>참조).

그림 7. 직업별 STQ

남성 여성

5.1808

5.1038

5.291

5.1335.192

4.953

10대 20대 30대 40대

5.398

5.118 5.062

5.264

5.1155.090

5.207

5.342

5.105 5.119

5.043

5.462

5.224

5.021

판매서비스직 생산기술직 일반사무직 전문직 학생 전업주부

최윤정, 윤혜정, 이중정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12, No.3 / December 2013 99

그림 8. 소득수준별 STQ

4) 스마트폰 이용기간 및 이용요금별 분석

이용기간별 STQ를 살펴보면 이용기간이 길면 길수록 STQ 지수도 높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였다. 특히 스마트폰 출시와 동시에 이용하기 시작한 스마트

폰 초기 사용자의 경우 STQ는 5.39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스마트폰 이용요금별 STQ는 매월 단말기 할부금, 소액 결제금액, 애플리케이션 구입비 등을 제외하고 월평균 5만 원 미만 사용자에 비해 매월 5만 원 이상 이용금액을 내는 사용자의 STQ가 월등

히 높게 나타났다(<그림 9>, <그림 10>참조).

그림 9. 이용기간별 STQ

그림 10. 이용요금별 STQ

5.3 STQ 지수 사례 분석

본 연구에서 개발된 스마트폰 활용에 관한 측정

지표를 통해 스마트폰 활용에 관한 개인별 STQ 지수를 객관적으로 분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TQ 지수 중 역량지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

으며, 그 중에서도 WiFi, 3G 등 통신 네트워크 접속 설정 등의 통신 활용역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사용지수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스마트폰 활용 영역을 일상생활 이용정도와 인터넷 뱅킹, 인터넷 쇼핑, 인터넷 예매 등 인터넷 비즈니스 이용정도, 여가생활 이용정도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는데, 특히 인터넷 비즈니스에의 이용정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아직은 스마트폰을 통해 인터넷 쇼핑을 즐기거나 인터넷 뱅킹 등 금융거래를 하고 공연예매 등 인터넷 예매를 활발하게 사용하지는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스마트폰에서의 개인정보 유출이나 해킹 등의 우려와 분실시 개인정보 노출 등의 위험에 따른 것으로 보여진다.

둘째, STQ 지수는 여성이 5.18점으로 남성 5.10점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대별로는 10대의 STQ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제조사별로는 아이폰을 사용하는 스마트폰 사용자의 STQ가 LG나 삼성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통신사 중에서는 KT 스마트

폰 사용자의 STQ가 가장 높게 나왔다. 특징적인 것은 LTE 사용자가 3G 사용자 대비 STQ가 0.2점 이상 높은 5.288점으로 나타났다. 직업군별로 보면 일반 사무직군보다는 전문직의 STQ 지수가 5.462점으

로 가장 높게 나왔으며, 스마트폰 이용기간이 길수

록, 월평균 5만 원 이상 이용요금을 내는 사용자의 STQ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폰 사용지수에 관한 양적인 측정을 위해 개별 사용자의 스마트폰 사용시간, 무선인터넷 사용시간, 애플리케이션 사용시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응답자들의 일 평균 스마트폰 사용시간은 무선

인터넷 사용시간과 애플리케이션 사용시간을 더한 값보다 64분 정도 많은 4시간 48분으로 응답되었으

나, 스마트폰을 오래 사용한다고 해서 다양한 영역

에서 질적으로 잘 활용하고 있다고 할 수 없다. 그 중 무선인터넷 사용시간과 여가 이용정도 간 상관계

수가 0.272로 나타나 가장 유의한 상호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절대적인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STQ에서 두 변수간의 상관계수가 0.241이며, 유의확

률값이 0.00으로 두 변수간에는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많은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무선인터넷 기능을 활용해서 여가시간을 보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스마트폰 활용역량과

5.0785.096

5.065

5.252

5.143 5.156

5.221

5.185

100만원미만 200만원미만 300만원미만 400만원미만 500만원미만 600만원미만 600만원이상 개인소득없음

스마트폰 활용에 관한 측정지표 개발 연구

100 December 2013 / Vol.12, No.3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지식정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해 보기 위해 객관식 테스트 문항에 대해 조사해 본 결과, 응답자들의 주관

적 활용역량과 객관식 역량 점수간 상관계수가 0.443으로 나타났으며, 유의확률값 0.00으로 두 변수

는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주관적으로 스마트폰을 잘 활용할 수 있다고 응답한 사용자들의 경우, 객관식 측정문항에 대한 점수도 높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정보화 시대에 나타났던 계층간 단절

을 뜻하는 모바일 디바이드의 부작용이 스마트 시대

에도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보여진다. 소득별로는 고소득층의 STQ가 저소득층에 비해 높은 편이며, 직업군별로는 전문직의 STQ가 일반 사무직이나 판매, 서비스직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다만 학력별로

는 고등학교 재학 이상 사용자들의 STQ가 대학교 재학 및 졸업생 그룹의 STQ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중졸 이하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STQ가 낮게 나타났

다. 즉, 소득별, 직업별, 학력별 스마트 활용지수가 다르게 나타나 현재로서는 모바일 디바이드가 고착

화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겠다. 더 나아

가 기존 모바일 정보격차 연구에서는 모바일 역량지

수의 측정항목으로 기기 운용능력을 기기 환경설정 및 파일 전송, 업로드 등에 한정했다면, 본 연구에서

는 스마트폰 특성에 부합하는 통신, 기기, 애플리케

이션 세가지 측면으로 세분화하고, 주관적인 활용역

량과 객관적 활용역량을 동시에 측정해 봄으로써 지수의 신뢰성 및 구체성을 높일 수 있었다.

6. 결론

6.1 연구의 학술적 의의

스마트폰에 대한 높은 관심과 영향력에도 불구하

고 스마트폰에 대한 학문적 접근은 스마트폰 수용요

인[1][5]과 스마트폰 유용성[6], 이용행태[9] 등 스마

트폰의 이용의도와 지속사용 등에 대한 연구가 대부

분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폰 활용지수(STQ)의 하부

요인을 인식, 접근, 사용 및 역량지수로 구성하였으

며, 각 요인별로 통신, 기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개별적인 측정항목들을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스마

트폰 사용자의 개인별 스마트폰 활용지수를 이론적

으로 제시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할 수 있었다. 스마트 혁명 시대로 접어드는 현 시점에서 개인의 스마트폰 활용 수준을 정확히 측정하고자 하는 시도

는 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또한 STQ 지수 산출을 통해 국내 스마트폰 활용 현황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이 가능해질 것이며, 인식지수, 접근지수, 사용지수 및 역량지수별 사용자 특성을 파악해 보는 것은 스마트폰을 둘러싼 제조사, 통신사, IT업체 및 앱 개발업체 등에 주는 의미가 클 것이다. 더욱이 개인별 스마트폰 활용지수와 스마트

폰을 사용하면서 결과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등 다른 종속변수와의 인과관계 분석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더 나아가 기존 스마트폰 관련 학술논문 및 학위

논문에서 연구되었던 스마트폰 사용자 만족도, 스마

트폰 중독 및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특성 등 다양한 연구들과의 인과관계 분석도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STQ 지수가 높은 사람은 스마트폰 사용 만족

도가 높을 것이다’, ‘STQ 지수가 높은 사용자 중 특히 사용지수가 높은 사람일수록 스마트폰 중독에 빠질 위험이 클 것이다’ 또는 ‘애플리케이션 활용역량

이 높은 사람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잠재적인 충성

고객일 가능성이 높다’ 등의 다양한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추가적인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보여진다.

더욱이 스마트폰에 특화된 STQ 개발과 연계하여 향후 스마트패드 등 스마트 기기에 특화된 측정모델 개발도 가능해 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를 통해 스마

트폰 활용지수와 스마트기기 활용지수 간 편차도 측정해 볼 수 있을 것이며, 스마트폰과 스마트 기기의 객관적인 활용 현황을 비교하는 추가적인 연구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6.2 연구의 실무적 의의

우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스마트폰 생태계에 속해 있는 이통사업자, 단말제조사,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등 ICT 관련 업계에서 고객을 세분화하고 타겟 마케팅 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STQ의 하부요인으로 구분된 인식지수, 접근지수, 사용지수 및 역량지수에 따른 고객 세분

화를 통해 고객의 스마트폰 활용수준에 대한 이해도

를 높일 수 있으며, 고객 세그먼트별 특징도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대리점을 포함한 이통사업자는 STQ를 고객관계관리의 기초자

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고객의 STQ 분석을 통해 사용지수 및 역량지수가 낮은 고객에게

는 저가형 요금제 및 Low-end 단말을 추천해 줄 수 있으며, 역량지수가 낮은 고객에게는 스마트폰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AS 방안도 일반 사용자와 달리 가져갈 수 있을 것이다.

최윤정, 윤혜정, 이중정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12, No.3 / December 2013 101

스마트폰 단말 제조사에게는 기기와 관련된 인식

지수, 접근지수, 사용지수 및 역량지수가 중요 자료

로 활용될 것이다. 기기 중요성에 대한 인식지수가 높고 기기 활용역량이 높은 고객 대상으로는 새로운 스마트폰 단말 출시시 최우선 마케팅 대상으로 선정

하는 등 신제품 출시 마케팅에도 적절히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애플리케이션 개발업체의 경우, STQ의 하위 측정

항목으로 들어가 있는 앱에 대한 중요성 인식수준, 앱에 대한 접근수준, 앱 이용정도, 앱 활용능력이 높은 고객을 자사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잠재 충성고객

으로 분류할 수 있을 것이다. 앱 측정항목에 있어 STQ 지수가 높은 사용자를 대상으로 신규 애플리케

이션 개발 및 업데이트를 진행시킬 수 있으며, 이들

의 실제 활용에 관한 객관적인 현황 자료가 신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데 있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국가적으로는 스마트폰의 양적 확산만

이 아닌 질적 활용도 제고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드 해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역량지수

가 낮은 사용자를 대상으로 스마트폰 활용에 관한 사용자 교육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스마트폰 활용 격차가 가져오는 효용성 편차를 최대

한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정책적으로는 향후 스마트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

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스마트 워킹, 모바일 뱅킹, 모바일 쇼핑 등 경제활동 분야의 이용 촉진 등을 통해 스마트 서비스 확산을 위한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6.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첫째, 자료 수집에 있어서 10대부터 40대 응답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기에, 본 연구의 결과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50대 이상 중장년층의 스마트폰 활용 수준

을 파악하기에 다소 무리가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 항목들에 통신 관련 전문용어 및 객관식 테스트 문항들이 포함되어 있기에, 문제

를 정확히 이해하고 응답하기 어려울 수 있는 중장

년층에게 그대로 적용하여 사용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50대 이상 중장년층의 스마트폰 활용 수준을 측정하는 측정지표

를 중장년층에 맞춰 개발하는 부분도 고려해 봐야 할 것이다.

둘째, 응답자의 거주지가 서울 및 경기도권으로

제한되어 지방에 거주하는 스마트폰 사용자와의 STQ 비교가 어려웠다. 특히 광역시도 외 통신 인프

라가 열악한 산간지역의 스마트폰 사용자에게는 WiFi 등 네트워크 접근성이 현저히 낮게 나올 것으

로 예상된다. 이처럼 거주지에 따른 STQ 편차를 분석함으로써 지역별 STQ가 모바일 디바이드에 미치

는 영향 등 추가적인 분석도 가능할 것이다.

셋째, 스마트폰 활용에 관한 측정지표의 2차 요인

변수로 사용된 인식, 접근, 사용 및 역량지수를 비가

중 평균으로 7점 척도로 측정하여 점수화하였다. 그러나 향후 스마트폰이 다양한 분야로 확산되고 개인

별 스마트폰 활용 편차가 커지게 된다면 각 지수별 가중치를 산정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전문가 서베이 등 델파이 기법을 통해 해당 항목별 전문가가 부여한 가중치를 가중 평균하는 방식 등의 방법을 채택하여 측정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수개발을 위해서는 탐색적 요인분

석 후에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통해 타당성과 신뢰도를 재검증하고, 교차 타당

화(Cross-Validation) 과정을 거치는 것이 일반적이나

[33], 본 연구에서는 초기 항목 개발과정에서의 패널 평가와 탐색적 요인분석만을 수행하였다. 향후 연구

에서는 다른 성격의 표본을 이용한 교차 타당화와 관련 변수와의 관계 분석을 통한 법칙타당성

(Nomological Validity)을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

위와 같은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현재

까지 없었던 스마트폰에 특화된 활용지수, 개인의 스마트폰 활용에 관한 정보화 지수를 계산하는데 필요한 체계적인 측정방법을 개발해 보았다는 점에서 스마트폰 정보화에 대한 초기 연구로써 중요한 의의

를 가진다. STQ 지수 산출을 통해 국내 스마트폰 활용 현황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이 가능하고, 더 나아

가 스마트폰 사용자의 계층별 STQ 지수 특징을 비교 분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더불어 스마트

폰에 특화된 STQ 개발과 연계하여 향후 스마트 기기 측정모델 개발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이를 통해 스마트폰 및 스마트 기기의 양적 확산만이 아닌 질적 활용가치 제고를 통해 국내 모바일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관련 정책 수립 등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1] 김수현, 이상훈, 황현석, 2012. “스마트폰 수용에 대한 연구: 사용자 특성을 중심으로”, Entrue

스마트폰 활용에 관한 측정지표 개발 연구

102 December 2013 / Vol.12, No.3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11, No.3, pp.147-159.

[2] 김은정, 이재웅, 양희인, 2008. “우리나라 정보격

차실태와 정책적 함의: 2007년도 정보격차 실태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제11권 3호 pp.75-101.

[3] 민영, 2011. “인터넷 이용과 정보격차: 접근, 활용, 참여를 중심으로”, 서울대 언론정보연구소, 제48권 1호 pp.150-187.

[4] 박웅기, 2009. “인터넷 자기효능감과 인터넷 정보격차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3권 2호, pp.395-417.

[5] 배재권, 정화민, 2008. “스마트폰의 기능적 속성

이 채택 결정요인에 미치는 영향”, 국제 e비지

니스학회, e비지니스 연구, 제9권 4호, pp.337-361.

[6] 손영준, 김옥태, 2011. “스마트폰 이용자의 이용

경험, 구입동기가 스마트폰 유용성, 용이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5권 5호, pp.286-311.

[7] 연합뉴스, 2012.8.21, “너도 나도 스마트폰, 가입

자 3천만명 돌파”.

[8] 유지열, 2002. “우리나라의 정보격차에 관한 지수(Index) 접근 연구”, 한국사회학, 제36집 1호, pp.209-220.

[9] 이재형, 2010. “스마트폰 이용행태 및 소비자 트렌드”, 한국마케팅연구원, 제44권 제11호 통권

502호, pp.27-31.

[10] 장진철, 성우철, 이문용, 2013. “스마트폰 지속사

용의도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사용자 경험 중심으로”,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 12, No.1, pp.7-18.

[11] 조정문, 2001. “정보격차에 대한 이해 및 해소 정책”, 정보과학회지, 제19권 제9호, pp.26-36.

[12] 최홍석 외, 1999. “정보불평등 측정을 위한 지표

개발 및 대응방안 연구”, 정보통신부, pp.33-51.

[13] 최홍석, 2003. “정보격차 지수 산출체계에 관한 공동연구”, 한국정보문화진흥원.

[14] 최홍석, 구상회, 이정준, 2003. “정보불평등 측정

지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7권 제3호, pp.150-177.

[15] 한국인터넷진흥원, 2011. 2011년 인터넷이용실태

조사 요약보고서.

[16]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4. 2004 정보격차 지수

조사, 조사보고서 04-05.

[17]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5. 2005 정보격차 지수

조사, 조사보고서 04-05.

[18] 한국정보보호진흥원, 2005. 국가 정보보호수준 평가지수 모델개발 및 활용에 관한 연구.

[19] 한국정보보호진흥원, 2007. 개인정보보호지수 모델개발 및 활용에 관한 연구.

[20]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 2011 정보격차 지수 및 실태조사 요약보고서, pp.16-25.

[21] 한국정보화진흥원, 2013. 2012 정보격차 지수 및 실태조사.

[22] 현대경제연구원, 2011. “스마트 세상, 우리는 과연 얼마나 스마트해졌나? 스마트 지수 점수 및 특징”, 통권 제497호, pp.1-16.

[23] DMC미디어 브랜드마케팅팀, 2012. “스마트폰 이용형태 및 모바일 광고 인식조사”. pp.1-39.

[24] KT 경제경영연구소, 2012. “스마트혁명, 세상을 바꾸다”, 디지에코 IT전략보고서, pp.1-20.

[25] K모바일, 2013. “감동 줄어든 스마트폰 서비스 혁신, 정체일까? 더 큰 변화의 전조일까?”, LGERI 리포트, LG Business Insight, pp.2-12.

[26] Attewell, P., 2001. “The first and second digital di-vide”, Sociology of Education, Vol.28, No.21, pp. 252-259.

[27] Bridges. org., 2001. “Spanning the digital divide: understanding and tackling the issues.” (http://www.bridges.org/spanning/chpt2.html)

[28] DiMaggio, P. E., Hargittai, C. Celeste and S. Shafer., 2001. “From Unequal Access to Differentiated Use: A Literature Review and Agenda for Research on Digital Inequality”.

[29] Fairlie, R. W., 2005. “Are we really a nation online? Ethnic and racial disparities in access to technology and their consequences”.

[30] Hoffman, D., Novak, T.P. and A. E. Schlosser., 1999. “The Evolution of the Digital Divide: How Gapsin Internet Access May Impact Electronic Commerce”,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31] Jürgen Kai-Uwe Brock, Yu (Josephine) Zhou, 2005. “Organizational use of the internet: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Internet Research, Vol.15, Is-sue.1, pp.67-87.

최윤정, 윤혜정, 이중정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12, No.3 / December 2013 103

[32] J.A.G.M van Dijk., 2006. “Digital divide research, achievements and shortcomings”, Poetics. Vol.34, pp.221-235.

[33] Smith, H. J., Milberg, S. and Burke, S., 1996. “Infor-mation Privacy, Measuring Individuals’ Concerns about Organizational Practices”, MIS Quarterly, pp.167-195.

스마트폰 활용에 관한 측정지표 개발 연구

104 December 2013 / Vol.12, No.3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저자소개

최윤정

(Choi, Yoonjung)

윤혜정

(Yun, Haejung)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으

며, 현재 KT 경제경영연구소에 책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기업전략, 경영혁신사례 벤치마킹, IT 융합전

략 등 다수의 컨설팅 프로젝트에 참여하였다. 주요 관심연구 분야는 스마트 디바이스,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 비즈니스 등이다. 현재는 IT융합서비스 관련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중이다.

E-mail: [email protected]

Tel: +82-31-727-2693

이화여대를 졸업한 후,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학위와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에서 정보

시스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미국 American University의 Kogod School of Business에서 Post-doctoral Researcher로 재직중이다.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Communications of the AIS 등의 국제 학술지 및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경영정보학연구),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등의 국내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한 바 있으며, 관심

연구 분야는 개인정보보호, 모바일 비즈니스, IT Usage and IT Service Management 등이다.

E-mail: [email protected]

Tel: 070-7943-3653

이중정

(Lee, Choong Cheang)

University of South Carolina에서 MIS를 전공하여 박사학

위를 취득하였다. 이후 미국 Salisbury에 있는 메릴랜

드 주립대학교의 교수로 재직한 바 있으며, 현재 연세

대학교 정보대학원의 교수로 재직중이다. MIS Quarterly,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Decision Sciences, Communications of ACM 등의 주요 국제 학술

지 및 APJIS(경영정보학연구) 등의 국내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한 바 있다. 주요 관심연구 분야는 IT Performance, IT Evaluation Measurement, Information Orientation 등이다.

E-mail: [email protected] Tel: +82-2-2123-4186

◇ 이 논문은 2013년 10월 24일에 접수하여 2013년 11월 14일 1차 수정을 거쳐 2013년 11월 27일에 게재확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