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claimer - seoul national...

127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 ( Legal Code) 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Upload: others

Post on 18-Mar-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저 시-비 리- 경 지 2.0 한민

는 아래 조건 르는 경 에 한하여 게

l 저 물 복제, 포, 전송, 전시, 공연 송할 수 습니다.

다 과 같 조건 라야 합니다:

l 하는, 저 물 나 포 경 , 저 물에 적 된 허락조건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 터 허가를 면 러한 조건들 적 되지 않습니다.

저 에 른 리는 내 에 하여 향 지 않습니다.

것 허락규약(Legal Code) 해하 쉽게 약한 것 니다.

Disclaimer

저 시. 하는 원저 를 시하여야 합니다.

비 리. 하는 저 물 리 목적 할 수 없습니다.

경 지. 하는 저 물 개 , 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Page 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학 사 학

울산 강동 갈 해빈

단 변 퇴 상

2013 2월

울 학 학원

사 과 지리 공

한 민

Page 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ii-

울산 강동 갈 해빈

단 변 퇴 상

지도 수 욱

학 사 학 출함

2013 2월

울 학 학원

사 과 지리 공

한 민

한민 사 학 함

2013 2월

원 장 병 ( )

원장 욱 ( )

원 연 ( )

Page 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i-

근 후 변 에 해 변 는 해 지역에 큰 향

미 고 , 에 해 지 과 변 에 한

요 고 다. 해 퇴 지 해 변 에 민감하게 하

에, 우 해하는 것 필 , 특 퇴

에 한 연 가 요한 상 다.

갈 해 해 변 한 향 모니 링 할 는

상 에도 에 한 연 는 많 한 상 , 본 연

에 는 러한 경 탕 울산 강동 해 연 지역 하

여 갈 해 해하 한 연 행하 다.

단 변 하 해 해 내 6개축 , 2011 8

월・2012 4월・6월・8월・10월에 량 실시하 고, 퇴 상

해 2011 8월 2012 4월에 6개축 주요 지 에

해 시료 채취하여 태 도 행하 다. 한 갈

동 직 하고 추 (tracer) 연 시도하 다.

강동 갈 해 단 변 통해 한 결과 는 갈 동

에 가장 큰 향 미 는 것 겨울철 강하고 지 랑 에

지 , 한 주 동 향 쪽에 남쪽 하 다.

한 각각 태 가진 에 지에 갈 해 달 질

뿐만 니 한 태 내에 도 지 다양한 양상 보 는 것

하 다.

다 , 강동 갈 해 퇴 상 통한 결과 는 평시

랑 에 지 향 beach face에 는 갈 많 퇴

고, 범(berm) 어 랑 에 지가 산 립질 갈

퇴 는 , 강한 에 지 랑 향 미 에는 도가

큰 납작한 태 갈 하여 단 상 에 Large Disc Zone

Page 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ii-

는 등 단 내에 뚜 한 퇴 상 하

다.

단 변 퇴 상 통해 갈 동에 한 해 높

것 탕 강동 갈 해 리 보 시하 ,

공 남 다 차단하지 말고 갈 동할 도

해 하 , 보 하여 새 운 해 보 법 고민해

할 것 단 다. 그리고 갈 양에 한 지 모니 링

갈 해 피 변 하게 찰하여 변 양상 하

는 것 필요하다.

주요어 : 갈 해빈, 강동 해빈, 단 변 , 갈 태, 퇴 상

학 : 2009-23409

Page 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iii-

<목 차>

Ⅰ. ········································································· 1

1. 연 경 연 목 ·················································· 1

2. 행 연 ············································································ 4

Ⅱ. 연 지역 ································································ 9

1. 연 지역 개 ·································································· 9

2. 강동 해빈 지질 경 ···················································· 11

3. 강동 해빈 후 경 ···················································· 13

4. 강동 해빈 경 ···················································· 20

Ⅲ. 연 법 ································································ 22

1. 단 량 ············································································ 22

2. 태・ 도 퇴 상 ··································· 25

3. 추 연 ········································································ 34

Ⅳ. 연 결과 ································································ 37

1. 단 량 결과 ·································································· 37

2. 태・ 도 퇴 상 ··································· 43

3. 추 용한 동 경 추 ··································· 94

Page 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iv-

Ⅴ. 토 ········································································· 97

1. 강동 갈 해빈 시 별 단 변 ····························· 97

2. 강동 갈 해빈 퇴 상 ················································ 102

3. 강동 갈 해빈 리 보 안 ··························· 106

Ⅵ. 결 ········································································· 108

참고 헌 ········································································· 110

Abstract ········································································ 114

Page 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v-

< 목 차>

[Table 1] Typhoon influenced Gang-dong beach (2012) ·········································· 15

[Table 2] Ulsan Maximum tidal level (2011) ································································· 17

[Table 3] Jeongja(949) AWS observation data (2010) ················································· 19

[Table 4]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beach face gravel in B-profile ········ 44

[Table 5] Shape classification of beach face gravel in B-profile by Sneed and Folk’s ·· 45

[Table 6]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1st berm gravel in B-profile ············ 47

[Table 7] Shape classification of 1st berm gravel in B-profile by Sneed and Folk’s ···· 48

[Table 8]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2nd face gravel in B-profile ············· 50

[Table 9] Shape classification of 2nd face gravel in B-profile by Sneed and Folk’s ······ 51

[Table 10]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beach face gravel in C-profile ······ 53

[Table 11] Shape classification of beach face gravel in C-profile by Sneed and Folk’s ··· 54

[Table 12]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berm gravel in C-profile ················· 56

[Table 13] Shape classification of berm gravel in C-profile by Sneed and Folk’s ·········· 57

[Table 14]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beach face gravel in D-profile ······ 59

[Table 15] Shape classification of beach face gravel in D-profile by Sneed and Folk’s ··· 60

[Table 16]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1st berm gravel in D-profile ·········· 62

[Table 17] Shape classification of 1st berm gravel in D-profile by Sneed and Folk’s ··· 63

[Table 18]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2nd face gravel in D-profile ·········· 65

[Table 19] Shape classification of 2nd face gravel in D-profile by Sneed and Folk’s ···· 66

[Table 20]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2nd berm gravel in D-profile ········ 68

[Table 21] Shape classification of 2nd berm gravel in D-profile by Sneed and Folk’s ·· 69

[Table 22]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beach face gravel in F-profile ···· 71

[Table 23] Shape classification of beach face gravel in F-profile by Sneed and Folk’s ·· 72

[Table 24]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1st berm gravel in F-profile ·········· 74

[Table 25] Shape classification of 1st berm gravel in F-profile by Sneed and Folk’s ···· 75

[Table 26]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2nd berm gravel in F-profile ········· 77

[Table 27] Shape classification of 2nd berm gravel in F-profile by Sneed and Folk’s ·· 78

[Table 28] Granulometric analysis of A-profile ··························································· 82

[Table 29] Granulometric analysis of B-profile ··························································· 84

[Table 30] Granulometric analysis of C-profile ··························································· 86

[Table 31] Granulometric analysis of D-profile ··························································· 88

[Table 32] Granulometric analysis of E-profile ··························································· 90

[Table 33] Granulometric analysis of F-profile ··························································· 92

Page 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vi-

<그 림 목 차>

[Figure 1] Research Procedure ·························································································· 3

[Figure 2] Map of Gang-dong beach ··············································································· 9

[Figure 3] Landscape of Gang-dong beach ·································································· 10

[Figure 4] Map of Shinmyeongcheon (scale 1:20,000) ·············································· 10

[Figure 5] Geological map of Gang-dong beach ························································· 12

[Figure 6] Typhoon tracking map influenced Gang-dong beach (2012) ············ 14

[Figure 7] Jeongja(949) AWS rainfall (2010) ·································································· 18

[Figure 8] Jeongja(949) AWS wind direction percent (2010) ··································· 20

[Figure 9] Total station (TOPCON, GTS-702) and prism ········································· 23

[Figure 10] A bench mark in Ulsan education training center ···························· 23

[Figure 11] Map of survey profile for Gang-dong beach ········································ 24

[Figure 12] sample collecting point of A-profile ························································ 26

[Figure 13] sample collecting point of B-profile ························································· 27

[Figure 14] sample collecting point of C-profile ························································ 27

[Figure 15] sample collecting point of D-profile ························································ 28

[Figure 16] sample collecting point of E-profile ························································· 28

[Figure 17] sample collecting point of F-profile ························································· 29

[Figure 18] Shape classification of gravel (1) ······························································ 30

[Figure 19] Shape classification of gravel (2) ······························································ 31

[Figure 20] Periodic change of A-profile ······································································· 37

[Figure 21] Periodic change of B-profile ······································································· 38

[Figure 22] Periodic change of C-profile ······································································· 39

[Figure 23] Periodic change of D-profile ······································································· 40

[Figure 24] Periodic change of E-profile ······································································· 41

[Figure 25] Periodic change of F-profile ······································································· 42

[Figure 26]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beach face gravel in B-profile ···· 44

[Figure 27] Shape classification of beach face gravel in B-profile by Sneed and Folk’s ··· 45

[Figure 28]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1st berm gravel in B-profile ········ 47

[Figure 29] Shape classification of 1st berm gravel in B-profile by Sneed and Folk’s ·· 48

[Figure 30]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2nd face gravel in B-profile ········· 50

[Figure 31] Shape classification of 2nd face gravel in B-profile by Sneed and Folk’s ·· 51

[Figure 32]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beach face gravel in C-profile ···· 53

[Figure 33] Shape classification of beach face gravel in C-profile by Sneed and Folk’s ··· 54

Page 1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vii-

[Figure 34]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berm gravel in C-profile ················ 56

[Figure 35] Shape classification of berm gravel in C-profile by Sneed and Folk’s ········ 57

[Figure 36]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beach face gravel in D-profile ···· 59

[Figure 37] Shape classification of beach face gravel in D-profile by Sneed and Folk’s ·· 60

[Figure 38]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1st berm gravel in D-profile ········ 62

[Figure 39] Shape classification of 1st berm gravel in D-profile by Sneed and Folk’s ··· 63

[Figure 40]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2nd face gravel in D-profile ········ 65

[Figure 41] Shape classification of 2nd face gravel in D-profile by Sneed and Folk’s ·· 66

[Figure 42]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2nd berm gravel in D-profile ······ 68

[Figure 43] Shape classification of 2nd berm gravel in D-profile by Sneed and Folk’s ··· 69

[Figure 44]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beach face gravel in F-profile ···· 71

[Figure 45] Shape classification of beach face gravel in F-profile by Sneed and Folk’s ··· 72

[Figure 46]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1st berm gravel in F-profile ········ 74

[Figure 47] Shape classification of 1st berm gravel in F-profile by Sneed and Folk’s ·· 75

[Figure 48]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2nd berm gravel in F-profile ······· 77

[Figure 49] Shape classification of 2nd berm gravel in F-profile by Sneed and Folk’s ·· 78

[Figure 50] Flatness index of Gang-dong beach ························································ 80

[Figure 51] Krumbein sphericity of Gang-dong beach ············································· 81

[Figure 52] Mean size of sediment paricles along A-profile (unit : Φ) ············· 82

[Figure 53] Sorting, Skewness, Kurtosis of sediment particles along A-profile (unit : Φ) ·· 83

[Figure 54] Mean size of sediment paricles along B-profile (unit : Φ) ·············· 84

[Figure 55] Sorting, Skewness, Kurtosis of sediment particles along B-profile (unit : Φ) ·· 85

[Figure 56] Mean size of sediment paricles along C-profile (unit : Φ) ············· 86

[Figure 57] Sorting, Skewness, Kurtosis of sediment particles along C-profile (unit : Φ) ·· 87

[Figure 58] Grain size distriution of C-profile beach face ····································· 87

[Figure 59] Mean size of sediment paricles along D-profile (unit : Φ) ············· 89

[Figure 60] Sorting, Skewness, Kurtosis of sediment particles along D-profile (unit : Φ) ·· 89

[Figure 61] Mean size of sediment paricles along E-profile (unit : Φ) ············· 90

[Figure 62] Sorting, Skewness, Kurtosis of sediment particles along E-profile (unit : Φ) ·· 91

[Figure 63] Mean size of sediment paricles along F-profile (unit : Φ) ············· 92

[Figure 64] Sorting, Skewness, Kurtosis of sediment particles along F-profile (unit : Φ) ·· 93

[Figure 65] Movement of tracer in D-profile ······························································· 94

[Figure 66] Tracer found from the field ········································································ 95

[Figure 67] Profile change during the winter (north and south) ························· 98

[Figure 68] Profile change by typhoon (north and south) ····································· 100

[Figure 69] Zingg / Sneed and Folk shape classification of D-profile ·············· 103

Page 1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viii-

[Figure 70] Zingg / Sneed and Folk shape classification of B-profile ·············· 103

[Figure 71] Zingg / Sneed and Folk shape classification of F-profile ·············· 104

Page 1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1-

Ⅰ.

1. 연 경 연 목

해 (海濱, beach) 지 다 경계 루고 는 해 퇴 지

, 질에 사 (沙濱, sand beach), 역 (礫濱, gravel

beach, 하 갈 해 용어 통 ) 등 다. 러한 해

・해양 뿐만 니 ・생 ・ 간 등 다양한 경

요 들 향 미 상 작용 하 에, 탕 하여 주

변에 퇴 공 과 만 태, 연 등 다양한 프

스 거쳐 달하는 복잡한 지 다.

해 지역 과거 간 동 심지 용 어 , 주택

나 산업시 , 근에는 시 지도 집 해 는 곳 에

에 한 요 계 해 강 어 다. 특 근 후 변 에

해 상승 하여 해 지역에 한 심 욱 높 지고 다

(IPCC, 2007). 한 해 1m 상승 50~100m 도 해 후퇴

가 다는 Bruun Rule 모 (Bruun, 1962)에 하 , 해 식 지 에

해 해 퇴 지 해 상승 향 욱 크게 에 해

퇴 지 에 한 해 높 한 요 고 는 상 다.

해 에 도 특 질 모래 루어진 사 경우, 많

연 가 루어 다. 모래 경우 그 가 원 에 가 운 단 한

태 가지고 , 게 동 퇴 에 연 상 실

험 사 등 연 동 행하 다는 장 가지고 다. 한

원 간 동과도 한 에 연 들

심 었다. , 갈 해 경우 사 과 어 주요한 해

퇴 지 에도 하고, 태 크 가 복잡하고 동 양상 에

향 미 는 역학 등 연 에 어 움 어 요 에 해 는 많

연 가 루어지지는 다.

Page 1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2-

그 지만 갈 해 에 한 학 가 가 시 것 니어 꾸

연 결과들 축 고 , 연 과가 욱 는

도 하다.

우리나 해 곳곳에 도 갈 해 많 찰 다. 주 해식

해식 사 에 포 태 규모 갈 해 나타나는 경우

가 많지만, 도 능동 갈마당 나 거 도 학동 갈해 , 도

도리, 보 도 송리, 경주에 울산에 는 해 곳곳에 큰 규모

갈 해 포하고 다. 러한 갈 해 사 과 마찬가지 경

답고 해 욕장 등 원 가 가 높 간 생 과

크다. 한 근 후 변 한 해 변동에 많 향

다는 에 퇴 경 변 추 해 보는 것에 큰

미가 다고 할 다.

본 연 에 는 갈 해 단 변 퇴 상 하고

다 과 같 연 목 가지고 [그림 1]과 같 차 연 행하

다.

첫째, 갈 해 해 직 향 주요 지 에 한 단 량

실시하여, 계 별 갈 해 단 변 찰하고, 통하여

갈 해 변 과 갈 동 양상, 식과 복 과 규

한다.

째, 갈 해 단 내에 갈 태별, 도별 한

다. 통하여 갈 해 에 작용하는 에 지 에 갈 태

도에 동 양상 다.

째, 갈 해 에 추 (tracer) 한다. 통하여 갈

동 과 향 규 한다.

째, 러한 갈 해 특 합하여 갈 해 리 보

에 해 한다.

Page 1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3-

[Figure 1] Research Procedure

Page 1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4-

2. 행 연

갈 갈 해 과 연 가 그리 많지는 , 내에 많

개 없다. 행 연 에 는 본 연 에 용 갈 태 과

갈 동 역학, 갈 추 에 해 연 한 들 개하고, 우리나

에 행 연 들 시하 , 각 연 들 미 한계 들 언

하고 하 다.

1) 갈 태 연

갈 해 에 한 연 에는 갈 해 해 연

갈 해 질 갈 태 도 연 가 많

루어 다. Zingg(1935)는 갈 에 하여 장경・ 경・단경

가지고 가지 태 하 는 , flach(=flat, disc), kugelig(=

equant, spherical), flachstengelig(=blade), stengelig(=spiky, rod,

prolate) 태 한 것 다. 는 갈 태 에 어 가장

가 는 , 재 지도 리 용 고 다.

후 Sneed Folk(1958) 연 에 Zingg 가지 태

하여, 삼각 태 도 에 10가지 갈 태 시도하 다.

Compact, Platy, Elongated 축과 갈 장경・ 경・단경 심

하여, C(Compact), CP(Compact-Platy), CB(Compact-Bladed),

CE(Compact-Elongated), P(Platy), B(Bladed), E(Elongated), VP(Very

Platy), VB(Very Bladed), VE(Very Elongated) 한 것 다. 연

는 Zingg 연 에 하여 갈 태 하 다는 장 도 지

만, 지나 하여 갈 태 복잡해지는 단

도 다. 하지만 갈 태 에 가지 태만 는 모 한 태

갈도 해 낼 다는 에 미가 다고 할 다.

Page 1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5-

2) 갈 동 역학에 한 연

갈 태 도 하여 갈 공 , 동 퇴 과

에 역학에 한 연 가 시도 었다. Landon(1930) 사

벽에 공 각진 갈 식 동 어 갈 변하고, 결

에는 평평한 태 갈 하 다. 한 랑에 해 게 운

는 평평한 태 갈 해 에 드러나게 고, 근

태 갈 연 나 해 평평한 갈 에 게

실험 통해 하 다.

Bluck(1967) 갈 크 태에 택 어나게

, 에 갈 해 퇴 상 상 포

하 다. 탕 체 퇴 상 모 립하 는 ,

량한 갈 태 에 해 해 동 고, 후에 랑 지

작용 해 차 4개 상 루어진다고 하 다. 갈 해

다에 가 운 쪽 outer frame zone, infill zone, imbricate

zone, large disc zone , 각 역에는 특징 크

태 갈 특 루 퇴 하 다. Bluck 연 는

갈 해 퇴 상에 한 거 한 연 , 후 연 들에 큰

향 미 연 에 요한 가 지니 , 시한 모 상당

많 지역 갈 해 에 용 다는 에 우 하다고 할

다.

Orford(1975) 연 에 는 disc 태 갈 sphere 태 갈에

해 하 에 랑에 해 beach 상 동 는 ,

sphere나 roll 태 갈 에 해 beach 하 동 다고 보

다. 검증하 해 시료 과 해 단 변 등 실험

행하 고, 통해 Bluck 모 검증하고 보 하 다.

Williams Caldwell(1988) 갈 해 연 웨

Glamorgan Heritage Coast에 찰 는 갈 해 과 통해,

Page 1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6-

연 차 하고 원 규 해보고 하 다.

해 단 갈 도 실시하 , 연 들과는

다 결과 도출하 다. 에 한 근거 갈 원 특 에

해 갈 태가 결 고, 것 갈 해 단 퇴 상 태 차

에도 향 미 다고 하 다. 연 는 다 모습 보 는 갈

해 에 해 그 원 하고 하여 차 냈다는 에

미 는 연 고 할 다.

Jennings Shulmeister(2002) 연 에 는 갈 해 다양한

에 해 해 경사 등 한 가지고 하고 하 다. 질

랜드 여러 갈 해 에 해 pure gravel beach, mixed sand and

gravel beach, composite gravel beach 가지 태 시도

하 고, 각각 원 에 해 추 해보 다. 게 할 는

가지고 시도하 고 러한 실 도 게

해할 다는 에 미가 지만, 실 갈 해 에 는 러한

가지 복합 찰 는 경우가 에 큰 규모 갈 해 에

는 하여 근할 필요가 다.

Buscombe Masselink(2006) 연 에 는 해 퇴 크 에 향

주는 것 랑 등 체 역학과 퇴 운 , 태상

변 는 가지 요 고 , 상 작용 갈과 모래 등

해 퇴 질 다고 하 다.

Alegria-Arzaburu Masselink(2010) 연 에 는 Slapton

Sands 지역 갈 해 3 간 찰하여 폭 에 한 갈 해 변

에 해 해보고 하 고, 해 단 내에 식과 퇴 차 가

생하는 지 들 하 다. 한 폭 주 향에 갈 해 에

미 는 향 다 하 다. 하 한 법 Argus

video-system 용하는 등 갈 역학 하 한 다양한 시도

들 루어진 연 고 할 다.

3) 갈 추 연

Page 1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7-

갈 해 에 한 연 에 갈 동 양상에 한 연 도 많 루

어 , 갈에 한 추 연 도 행 었다.

Caldwell(1983) 연 에 는 갈 동 하 해 Marine

Paint 용하 다. 갈 해 swash ridge에 하여 변

찰하 는 , 각 추 샘플 가 상당 지워 용하

어 웠다는 한계 지 하 다. 하지만 갈 추 용 는 에

근 시도하 다는 과 갈 지 에 한 가 루어진

에 미가 다고 할 다.

페 트 심 추 연 한계 신 도 하여 해결

하고 하는 연 가 많 진행 고 는 , Allan et

al.(2006) 연 에 같 RFID 리 PIT tag 용한 연 들

다. 갈 하나하나에 직 보 하여 지 에 후 추후

추 하여 미 Oregon 해 갈 동 추 하 다. 에도

Dickson et al.(2011)과 Miller et al.(2011) 연 에 도 추 택

하고 에 tag 삽 하여 각각 보 한 후 연 지역에 하

여 동 하는 연 진행하 다. RFID 에도 갈 추

연 다양한 법들 시도 고 는 추 다. 본 연 에 참고한 추

행연 는 연 법 추 에 다루었다.

4) 내 갈 해빈 연

내 갈 해 에 한 연 는 (2012) 연 에 지 하 다

시피 매우 한 실 다. 우 나 창과 원(1987) 도 갈

해 공 처에 한 진행하여, 주변 규 단 리에

공 각 들 천해 경 하에 계 복 운동 원마도가

높 갈 퇴 어 는 것 단하 다. 하지만

에 그쳤고, 실한 근거가 뒷 지 운 다.

그리고 해양학 에 갈 해 에 해 연 한 학 었

Page 1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8-

는 , 용(1992) 연 에 는 경주 에 나타나는 갈 해 퇴

상과 갈 특 심 연 진행하 고, 고 (1993) 연 에

는 남 도에 나타나는 갈 해 과 남극 킹죠지 갈 해 에

해 용 연 사한 연 행하 다. 연 들 우리나 에

갈 해 나타나는 곳에 해 갈 해 퇴 상에

한 본 연 행하 다는 에 미가 다.

지 학 에 사실상 거 한 갈 해 연 는

과 경(2004)에 해 루어 는 , 거 도 갈 해 에 하여 해

단 변 에 한 모니 링 7개월간 실시하 다. 갈 해 계 별

변 찰하여 태 과 같 강한 랑에 한 갈 해 변 역동

냈다는 에 는 미가 지만, 갈 태에 퇴 특

동 양상에 한 고민 하다는 에 는 움 다.

러한 행 연 들 통해 한계 단한 것 갈 해 갈

동 단 변 합 고 하지 다는 다. 갈 해

해하 해 는 갈 해 질 갈뿐만 니 변

과 도 함께 해 할 필요가 다. 본 연 에 는 연

들 한계 보 하고 갈 체에 한 해 함께 해 변 과

도 살펴보고 하 다.

Page 2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9-

Ⅱ. 연 지역

1. 연 지역 개

[Figure 2] Map of Gang-dong beach (1:5,000 scale map)

강동 해 [그림 2, 3]과 같 울산 역시 강동동(신 동, 산하

동) 에 펼쳐 는 갈 해 다. 특 본 연 행한 핵심 연

지역 해 욕장 쪽 (花巖) 고 리는 주상 리

쪽 1.2㎞, 폭 20~60m 갈 해 다. 지역 특징

는 [그림 4] 같 해 통하여 신 천 고 ,

해 후 주거지 공 시 , 가 건 어 다는 들

Page 2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10-

다.

[Figure 3] Landscape of Gang-dong beach (필자 촬영)

[Figure 4] Map of Shinmyeongcheon (scale 1:20,000)

(Source : K-water K-river data revise)

Page 2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11-

Alegria-Arzaburu Masselink(2010) 연 에 갈 해

달 건에 지역 퇴 공 해주는 강 는 경우

시하 는 , 강동 해 본 연 지역 하는 신 천 경우

과 7~8㎞ 에 경사(해 고도 편차 370~420m, 경사도 3°

≒ 5% 상) 루는 하천 상 갈 퇴 갈 해

공 는 리한 경 고 할 다.

Jennings Shulmeister(2002) 연 강동 해 해

보 , 쪽 해 태 경우 beach에는 갈 여 나

하 는 모래 퇴 는 것 보 composite gravel beach

태 보 다. 남쪽 해 여러 단 berm 찰 는 갈 만

루어진 pure gravel beach 태 보 다. 그리고 신 천 남쪽

간에 는 beach 내에 갈과 모래가 어 여 는 태

찰 , mixed sand and gravel beach 태 보 다. , pure

gravel beach나 mixed sand and gravel beach, composite

gravel beach 하나 태 특 하 에는 리가 , 다시 말하

강동 해 는 규모 해 내에 도 지 는 다양한

작용 는 것 추 해 볼 다.

2. 강동 해빈 지질 경

강동 해 지질 [그림 5] 같 생 신생

3 퇴 계열 들 복잡하게 하고 다. 강동 해

하는 신 천과 천도 다양한 루어진 곳

통하고 다. 지역 지질 특징 하나는 해 가 가 에 신생

3 에 출 산 나타나는 , 는 강동 해 에 볼

는 강동 주상 리 는 에 미가 다고 할

다.

Page 2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12-

[Figure 5] Geological map of Gang-dong beach

(Source :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data revise)

강동 해 갈 하고 는 는 강 과 산 , 퇴

에 도 역 계열 많 , 는 주변 에 갈 공

루어 것 추 해 볼 는 근거 다. 본 연 에 는 연 지역

하고 는 특 보는 것 갈 해 퇴

공 처 계 보 , 추후 신 천 상 나 주변 공

지 갈 추 하여 동 과 해본다 갈 공

처 과 에 해 할 것 다.

지질도에 울산 고 나타나는 신 천 상 진동

고 리는 퇴 , 색 나 색 주 루어 지

만 간에 실트 ・사 ・역 등 재하는 태 보 고 , 리

Page 2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13-

달 양 한 상태 리상 잘 리 는 특징 보 고 다(과

학 , 1998). 울산 경우 식 게 어나는 특징 보 고

에 여 생 는 퇴 강동 해 갈 공 원 고

단할 다. 한 신생 3 퇴 어 신 천 하

에 나타나는 , 산 상 에 역 심 퇴 어 는

지 다(과학 , 1998). 지질도에 볼 는 역 어

고 할 는 , 역 식 경우 하고 는 역,

갈 하천 공 어 하 동 다.

처럼 강동 해 후지 지질 가 갈 게 생산할 는

경 고, 신 천 는 하천 운 하여 해 공 하 에

갈 해 달할 었다고 볼 다. 갈 생 한 후지

격 고 하여 강동 해 하는 갈 는 후

산지에 공 었다고 추 할 것 다.

3. 강동 해빈 후 경

갈 퇴 랑에 향 미 는 경우 하고는 모래

그보다 작 립질 퇴 과는 다 게 향 거 지

는다. 들어 해 사 경우 사 모래가 에 날

지만, 갈 경우 강 도 갈 체 직 동시키는

경우는 거 없다. 마찬가지 강우(降雨)도 모래나 실트, 토 등 동

퇴 에는 크게 여하지만, 갈에 미 는 향 미미하다. 특 갈

미 매우 높 에 지 에 내리는 강우 강도가 강하

도 갈 사 스 들고 갈 동에는 큰 향 미 지 못

한다.

본 연 에 는 강동 해 갈 동에 큰 향 미 것

상 는 랑과 주요 상 경들에 해 살펴보 다.

후 체 후 경 해할 는 요 강 에 해

Page 2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14-

강동 해 에 가 운 (949) AWS 상청 공 료 탕

리 해보 다.

1) 태

[Figure 6] Typhoon tracking map influenced Gang-dong beach

(2012)

(Source :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data revise)

Page 2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15-

큰 랑 에 지 키는 상 상 태 고 할

다. 우리나 는 해마다 태 향 , 평 3.1개

도 태 실 향 미 다( 상청 페 지). 본 연 에 는 2012

료 탕 리하여 보 , 그 결과는 [그림 6] [ 1]과

같다. 여러 태 우리나 에 향 미쳤지만, 실 본 연 지역 울

산 강동 해 동해 에 향 미 태 3개 볼 벤,

, 산 다.

태*

(㎧)경 간(2012 )

1볼 벤

(BOLAVEN, 15 )40

남 해

→ 해

8월 28

~ 29

2(TEMBIN, 14 )

20남해→고 →

동시→동해

8월 30

~ 31

3산

(SANBA, 16 )38

남해→남해 →

삼척시→동해

9월 17

~ 18

* 태 연 지역에 향 미쳤 당시 .

(출처 : 상청 료 편집)

[Table 1] Typhoon influenced Gang-dong beach (2012)

2012 7월에 생한 7 태 지 포함하여 개 태

한 도 상 하여 향 미 해 , 8~9월 사 에 개 태

연달 한 도에 상 하 에 특 태 향 많 해

고 할 다. 각각 태 에 해 울산 강동 해 에 향 미 시

심 해 보 다.

향 미 태 15 태 볼 벤 남 해에 해

상하 해도 상 후 하 다. 태 강도는 매우 강 하여

강동 해 에 향 미 는 시 에 는 심 40㎧에 달했다.

하지만 태 심 강동 해 과는 거리가 어 감 하여 태

Page 2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16-

향 단해 한다.

그리고 곧 어 만 상 했 14 태 다시

상하 향 미쳤는 , 남도 고 상 하여 내

거쳐 동해 나가 울산 강동 해 근 지역 태

지나갔다. 하지만 볼 벤 도 가지고 지는 , 실 향

미 20㎧ 도 다. 다만 태 매우 가 지나가

큰 향 미쳤 것 단 다.

후 16 태 산 가 과 사한 경 한 도 통과하

는 , 그 강도는 욱 강 하 다. 특 심 38㎧에 달해, 강동

해 근 거리에 강 한 향 미쳤 것 단 다.

러한 태 향 다에 는 강 주 보 경보 랑주 보

경보 나타나게 , 실 태 들 향 미 동해 모

러한 특보들 효 었다. 특 랑 경보가 효 었 경우 랑

고가 5m 상 에, 에 지는 매우 클 것 다. 2012

8월~9월 사 에 처럼 높 에 지 랑 차 향 미쳤

에 상당한 지 변 할 었 것 고, 강동 해 갈

해 에도 큰 향 미쳤 것 고 추 할 다.

2)

태 에 어 랑 에 지에 향 미 는 요 차(潮差, tidal

range) 들 다. [ 2] 보 울산 강동 해 주변 차는 략

십 ㎝ 하 보 , 가장 차가 심한 경우에도 1m가 채 지 는

다. 하지만 본 지역 강한 랑 주 향 미 는 곳 에, 뒤

에 시한 량 결과 해보 사실상 갈 해 체가 랑에

해 향 고 는 지역 고 할 다. , 3~4m 도 고 가

진 해 에 1m 차 2~3m 도 고 랑 결합 체

랑에 한 퇴 동 재퇴 어날 는 충 한 경

고, 실 갈 해 berm 달 보 러한 증거 게 찾

Page 2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17-

볼 다.

(단 : ㎝)

월 Highest Lowest 편차 월 Highest Lowest 편차

1 55 -15 70 7 71 2 73

2 53 -26 79 8 71 9 80

3 53 -22 75 9 77 8 85

4 64 -22 86 10 65 -8 73

5 58 -9 67 11 60 -10 70

6 59 -1 60 12 53 -9 62

Extreme

HighestDate

9월 4Height

77

Lowest 2월 21 -26

(출처 : 립해양 사원 료 편집)

[Table 2] Ulsan Maximum tidal level (2011)

3) 강수

[그림 7] 보 강 량 경우 2010 1,123㎜, 하계 집

보 다. 우리나 남동해 강 보 , 크게 특징

없다. 그리고 AWS 료 특 상 경우 한

루어지 어 워 겨울철 강 량 신뢰할 없 에, 하

고 단하 다.

강 는 갈 동에는 큰 향 미 지 못하 ,

다만 강동 해 하는 신 천 갈 동에는 향 미쳤

것 단 다. 하지만 본 연 에 신 천 갈 동에 해 는

다루지 므 추후 연 에 맡 도 한다.

Page 2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18-

[Figure 7] Jeongja(949) AWS rainfall (2010)

(Source :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data revise)

4)

다 에 해 살펴보 다. 특 큰 랑 킬 는

강한 과 향에 해 집 살펴보 다. 갈 해 경

우 사 에 해 랑 에 지가 강하게 미 는 경 고 여겨지

에 해 과 직 근해 랑 에 지도 에 맞춰 해 에

강한 향 미 다. 연 지역 강동 해 경우 [ 3]과

[그림 8]에 할 듯 간 향 해 후에 어

는 계열 높고, 향별 통해 도 연 내내

계열 많 다는 것 할 다. , 강동 해 해

후에 어 는 계열 주도 경 해 랑

향과는 에 어 실 랑 에 지 생시키는 에는 큰 역할

하지 못함 다.

Page 3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19-

월 강 량(㎜) 평균 (m/s) 간 (m/s) 간 향

1월 16.5 3.5 15.5 SW

2월 112.5 3.6 16.7 NE

3월 108.5 4.2 17.7 W

4월 102.5 3.7 15.1 SW

5월 138.5 3.2 14.1 SW

6월 47.0 2.5 10.0 NE

7월 211.5 2.5 11.2 WSW

8월 92.0 2.1 13.2 SSE

9월 191.5 3.2 16.5 NNE

10월 55.0 3.6 13.8 NE

11월 12.5 3.2 15.8 WSW

12월 35.0 3.4 16.4 WSW

(출처 : 상청 료 편집)

[Table 3] Jeongja(949) AWS observation data (2010)

Page 3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20-

0

51015

20253035

N

NNE

NE

ENE

E

ESE

SE

SSE

S

SSW

SW

WSW

W

WNW

NW

NNW

연평균

봄(3~5월)

여름(6월~8월)

가을(9월~11월)

겨울(12월~2월)

단위: %

[Figure 8] Jeongja(949) AWS wind direction percent (2010)

(Source :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data revise)

4. 강동 해빈 경

강동 해 행 역상 울산 역시 , 행 동 는 강동동, 법

동 는 신 동과 산하동에 하고 다. 강동동 는 2012 3

월 31 재 4,652 (울산 역시 청 페 지) 역시 내 동

뿐만 니 주변 지역 에 해 도 가 편에 한

다. 산업도 어업 1차 산업에 사하는 큰 지역 도시에

해 지만 실 는 어 마 에 가 운 곳 다. 하지만 본 연 지역

강동 해 과 그 남쪽 해 욕장 지 가 많 여 철

에는 많 객들 하 도 한다.

강동 해 지역 주민1)과 에 강동 해 에 한 보 많

들 었는 , 지역 1960~70 에만 하 도 지 보다 갈

Page 3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21-

훨 많 , 특 모양 갈 모 본에 출하 도 하

다고 한다. 근에는 갈 양 매우 많 어든 편 , 에 한 주

민들 우 도 상당한 것 보 다.

그리고 강동 해 후지 는 마 과 시 ( 식 등)

지해 다. 지역 주민과 에 실 랑 심한 날에는

어 닷 내 지 해 들어 후 산지 피하는 경우

도 많다고 한다. , 다 향 미 는 해 가 지 간에 한

개 어난 곳 에, 욱 갈 해 격 변 등에 민감

할 에 없는 지역 다.

처럼 강동 해 갈 해 지역 주민 생 과 사 , 경

하게 어 , 갈 해 에 한 해 심 높

지역 고 할 다. 갈 해 해하 한 본 연 는

요한 시도 고 할 다.

1)백진환(화암수산 표,울산동부소방서 수난특별구조 장)

Page 3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22-

Ⅲ. 연 법

어떠한 지 해하 해 는 지 태(form), 질

(material), 과 (process) 3요 들 간 상 계

하는 것 필 다( 욱, 1989). 본 연 에 도 갈

해 해하 해 러한 틀 용하 다. 우 지 태

해하 한 단 량 실시하 고, 질 해하 한 시료 채

취 도・ 태 실시하 다. 한 갈 동 양상 하

하여 추 하고, 단 량과 퇴 상 연 지어 추 하고

하 다. 마지막 러한 태 질, 과 합

해하여 갈 해 는 지 해하고 하 다.

1. 단 량

갈 해 특 변 해하 한 연 법 우 단

량 실시하 다. , 경(2004) 연 에 도 갈 해 에 한 단

량 실시하 는 , 본 연 에 도 사한 태 단 량

실시하 다. 다만 단 변 하게 찰하 해 토탈스

용하 다. 토탈스 TOPCON사 ‘GTS-702’([그림 9]) 사용하

는 , 용하여 지 간 거리, 고도 변 등 할 는

장 프리즘 용할 2,500m 지 할 다. 도는

±2㎜ 도 , 실 단 는 0.1㎜ 지 시 는 매우

한 장 다.

Page 3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23-

[Figure 9] Total station (TOPCON, GTS-702) and prism

[Figure 10] A bench mark in Ulsan Education Training Center

Page 3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24-

[Figure 11] Map of survey profile for Gang-dong beach

Page 3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25-

강동 해 답사 통해 갈 해 특 변할 는 주요

축 하 다. 그 는 강동 해 체 변 추 할

도 다양한 하는가 갈 해 내에 퇴

특 과 지 별 차 모 할 는가, 신 천 향 해볼

는가 고 하 다. 게 5개 축과 2012 4월 답사 시

뚜 한 단 변 보 A축과 B축 사 에 새 한 축 추가하여,

2011 8월, 2012 4월, 2012 6월, 2012 8월, 2012 10월에 갈

해 량 실시하 다. 특 2012 8월 경우에는 태 향

하 해 2012 15 태 볼 벤과 14 태 향 미

는 간에 단 량 실시하 다. 한 량 축들 고도

차 해 변 값 하 하여 [그림 10] 강동 해

후에 는 울산 원에 (B2-15-03-08-11, 높 8m)

고도 값 하 다.

그리고 단 량시에 간격에 해 연 ( , 경, 2004)에

는 거리당 높 변 하 지만, 본 연 에 는 여러 단

berm 달 모습과 경사 변 잘 하고 거리 상 없 경사 변

가 어나는 곳마다 고도 하 다.

2. 태・ 도 퇴 상

1) 시료 채취

갈 해 퇴 특 하 하여, 강동 해 에 갈 시료

집하고 주요 들 하여 도 실시하 다. 특

본 연 에 하고 하는 갈 태별, 도별 퇴 상태

보고 태 , 주요 도 특 들 심 갈에 한 도

실시하 다.

우 갈 시료 채취 법 는 Wolman(1954) 연 에 시한

Page 3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26-

시료 채취법 참고하 지만, 용 는 heel to toe 법 나

sampling frame 법 연 에 한 택 가 생(Bunte

Abt, 2001)하 에 Bunte Abt(2001) 한 Areal sampling

법 본 연 에 할 것 단하여 용하 다. 해 퇴

는 고 하여 Williams Caldwell(1988) 연 에 시한 해

단 에 시료 채취 법 함께 용하 다. 2011 8월 25 답사

시에 A~E축에 해 시료 채취 실시하 고, 2012 4월 7 답사시에 F

축에 해 추가 시료 채취 실시하 다. 시료 채취 지 각 단

에 berm 심 beach face 여러 단 berm crest 상하 에

갈 채취하 다([그림 12, 13, 14, 15, 16, 17] 참 ). 여러 단

berm에 해 연 에 는 storm berm tidal berm과 같 지

달에 향 미 작용과 한 붙 는 , 본 연 에 는

berm 각각 실한 지지 에 다에 가

한 2nd face・berm, 3rd face・berm과 같 하 다.

그리고 갈 채취한 지 에 해 GPS(Garmin사 ‘60CSx’)

하 다. 하지만 GPS 장 특 상 차가 생하 에 참고 료

만 용하 다.

[Figure 12] Sample collecting point of A-profile

Page 3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27-

[Figure 13] Sample collecting point of B-profile

[Figure 14] Sample collecting point of C-profile

Page 3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28-

[Figure 15] Sample collecting point of D-profile

[Figure 16] Sample collecting point of E-profile

Page 4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29-

[Figure 17] Sample collecting point of F-profile

2) 갈

게 채취한 갈 시료에 해 Krumbein(1941)과 Yuzyk

Winkler(1991)(Bunte Abt, 2001, p14-15. 재 용) 연

하 , 캘리 용, 갈 장경, 경, 단경 하

다. 갈 다 퇴 에 하여 크 체가 크 에

단 는 ㎜ 하 , 장경 L(Longest), 경

I(Intermediate), 단경 S(Shortest) 하여 리하 다.

3) 갈 태

갈 시료 채취 통해 주요 도 특 들 심 한 태

도 실시하 다. 우 갈 태 하여 갈

태에 한 시도한 연 심 하여 사 진행하 다.

Page 4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30-

[Figure 18] Shape classification of gravel (1)

(Source : Zingg, 1935, Fig. 7 revise)

[그림 18]과 같 Zingg(1935)는 갈 에 하여, 장경・ 경・단

경 가지고 가지 태 하 는 , 장경 a, 경 b,

단경 c 하여 b/a c/b가 2/3가 는 연결하여 flach(=flat,

disc), kugelig(= equant, spherical), flachstengelig(blade),

stengelig(=spiky, rod, prolate) 태 한 것 다. 는 갈 태

에 어 가장 가 는 , 재 지도 리 용 고

다.

에도 갈 태 리 용 는 법 는 Sneed

Folk(1958) 들 , Zingg(1935) 연 에 시한 갈

태 단 함 지 하고 욱 한 10가지 태 시

도하 다. 행 연 에 도 시하 듯 C(Compact),

CP(Compact-Platy), CB(Compact-Bladed), CE(Compact-Elongated),

P(Platy), B(Bladed), E(Elongated), VP(Very Platy), VB(Very Bladed),

VE(Very Elongated) 한 것 다.

Page 4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31-

[Figure 19] Shape classification of gravel (2)

(Source : Graham Midgley(2000), Fig. 3)

러한 Sneed Folk 갈 추후 여러 연 들

보 하 다. 연 가 Graham Midgley(2000) 연 ,

Sneed Folk 에 triangular diagram 재 그래프 프

트웨어 어 운 과 추후 연 결과들 개 하여,

Microsoft Office Excel 프 그램에 하여 그래프 그

리고 갈 태에 할 는 Spreadsheet 공하고 다

([그림 19] 참 ).

본 연 에 는 갈 시료에 한 태 Zingg(1935)

과 Sneed Folk(1958) 연 한 Graham

Midgley(2000) 모 행하 고, 모 취합하여 갈

해 단 상에 갈 태 특 에 해 해 하 다. 한 러한

해 과 통해 Zingg(1935) 과 Sneed Folk(1958)

장단 차 하 다.

Page 4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32-

러한 갈 태 -4Φ 보다 큰 갈 시료에 해 만 실시하

다. 그 는 -4Φ 보다 작 갈 경우는 도 체 어 움과

함께, 모래 크 에 가 워질 태상 에 가 워지고 동 양상

도 모래 그것과 사할 것 단했 다. 한 갈 도에

태 에 포함시키는 우는 것 체가 것

에 연 들에 도 각 연 지역 특 목 에 맞게 하고

, 본 연 에 도 체 갈 도 하고 연 목 에

추어 타당하다고 단 하 에 큰 리는 없는 것

생각한다.

그리고 갈 태 에 특 지 에 갈 시료 개나

해 그 지 할 는지에 한 고 도 하 다. 연 들에

갈 시료 가 개 상 어 그 지 할 다는

견해는 없고, Williams Caldwell(1988) 연 에 는 30개 상 시료

개 충 그 지 한다고 단하 다. , 갈 시료 개 도

결 연 지역 특 목 에 맞게 하여 할 것 단 ,

본 연 에 는 30개 상 -4Φ 보다 큰 갈 보 각 단 주요

지 들에 해 갈 태 시도하게 었다.

한 갈 태 에 갈 태 크게 납작한 태(Disc +

Blade) 하나 그룹 고, Spherical과 Rod 태 합쳐 하나

그룹 고 하 다. 는 갈 태에 동 양상 그룹

간에 차 가 생할 것 상 다. , 납작한 태는 주

강한 랑에 해 어 동할 것 상 고, Spherical

Rod 태 갈 게 에 평상시 랑에도 게

동 것 상 다.

4) 갈 태 지수

다 갈 도 특 할 는 주요 지 들 하여 보

다. Wentworth(1922)가 시한 Flatness index Krumbein(1941)

Page 4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33-

시한 Krumbein sphericity 하여, 갈 퇴 상 태

뿐만 니 도 시하고 하 다.

Flatness index : (L+I)/S

Krumbein sphericity : (SI/L2)1/3

L : 장경, I : 경, S : 단경

Flatness index는 말 그 갈 평평한 도 나타내는 지 ,

통해 갈 편평도 할 다. , Krumbein sphericity

는 도 할 다. 갈 상 태 특 나타내

주는 지 함 갈 태에 재 해볼

, 갈 태 변 퇴 상 함에 다 지역

과 도 가능하다고 할 다.

5) 갈 도

그리고 태 에 어 갈에 해 도 실시하 다. 간

0.5Φ 별 하 고, 각 간 계산 게 가지고 하 다.

-4Φ 하 퇴 에 해 는 체 실시하여 -4.0Φ, -3.5Φ, -3.0Φ,

-2.5Φ, -2.0Φ, -1.5Φ, -1.0Φ, -0.5Φ, 0.0Φ, 0.5Φ, 1.0Φ 체에 남

는 퇴 에 해 0.001g 지 할 는 울 게

하 다. 그리고 –4Φ 상 갈에 해 는 경에 해 –4.5Φ, –5.0

Φ, -5.5Φ, -6.0Φ 하 고, 각각 갈에 해 마찬가

지 울 게 하고 같 간에 포함 갈 게 합

하 다.

한 게 가지고 상 공 는 GRADISTAT(Version 8.0,

Blott Pye, 2001) 는 Excel Spreadsheet 용하여 도 실

Page 4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34-

시하 다. GRADISTAT는 도 용하는 여러 에 용 고

, 도에 한 다양한 보 공해주 에 용가 가 높다.

한 도 연 들 많 하고 어, 연 연 목

나 필요에 해 필요한 료 택하여 용할 도 다. 본 연 에

는 GRADISTAT 용하여 각 단 별 갈 평균과 , 도 첨

도 하여 도 변 하고 하 다.

3. 추 연

갈 동 양상에 한 심 여러 연 가 시도 었는 ,

연 추 용하여 직 갈 동 찰하는 연 들

많 시도 었다.

1) 추 연 고찰

추 에 한 법 여러 가지 법들 시도 었는 , 가장

법 페 트 용한 법 다. Dickson et al.(2011)에 도 언

한 것처럼 갈 동 연 들에 많 시도가 가장 통 고

보편 법 다. 페 트 법 가장 큰 장 는 값 싸다는 것

, 페 트 법 단 고 할 도 지만 갈에 페 트가 벗

겨지 갈 식 해 볼 다는 도 장 고 할

다. 다만 페 트 법 용할 경우 갈 지하 매 었 경우나 페

트가 많 벗겨질 경우 다시 찾 낼 없다는 단 ,

러한 연 도 상당 낮 편 고 할 다. 한 출 지

착지만 에 갈 연 동 양상 할

없다는 단 다.

러한 한계 극복해보고 다양한 에 리 용 고 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용한 법 다. RFID

Page 4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35-

용한 연 는 Allan et al.(2006), Dickson et al.(2011), Miller et

al.(2011) 등 다. RFID 법 경우 갈에 직 RFID tag

심어 갈에 한 한 보(시료 , 출 지 보 등) 해

다는 과 리 (Reader) 용하 매 어 는 갈도 추 할

다는 장 가지고 어 , 추후 견 갈에 해 한 보

다는 과 높 다는 에 페 트 법

많 시도 고 다. 다만 페 트 법에 하여 용 싸 , 페

트 법 가장 큰 단 출 지 착지만 할 는

마찬가지 는 에 한계 다.

그리고 법들 한계 해결하고 여러 법들 시도 고

다. 우 법들 갈 동 과 추 할 없는 한계 가

지고 는 , 개 하고 GPS 용한 법 시도 고 다. GPS

신 장 갈에 직 심어 갈 동 과 직 하고 하

다. GPS 용한 법 경우 용 가장 싸고, 갈 해 에 잠

거나 GPS 심 닥 향해 경우 신 신 한

다는 에 직 지 한계 보 고 나, 갈 직 동 양상

할 다는 에 는 장 가진다고 할 다. 에도 리

튬과 같 원 용한 법(Li Boufadel, 2011)과 같 새 운

도 고 다.

2) 본 연 에 용

본 연 에 는 법들 페 트 법 통해 갈 동 양상

추 해보고 하 다. 한계 가지고 지만 연 에 도

가장 많 쓰 법 고 가격도 하 에 택 하 , 한계

보 하 한 시도 하 다. 페 트 법 경우에도 어떠한

페 트 용하 냐에 다양한 시도 할 다. 주 용

페 트나 도 공사용 페 트가 강도가 뛰어나 에 연 에

많 용 었다. 하지만 본 연 에 는 시 에 게 할 고

Page 4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36-

가격도 한 에나 페 트 용하 다. 에나 페 트 장

다양한 색 매하고 에 추 하는 과 에 갈에

해 연 목 에 합하게 보들 하고 그룹 할 다양한 색

갈 시도할 다. 통해 추후 동 추

할 갈에 한 보가 어 는 RFID 법처럼 다양한 보

얻어낼 는 없 도 연 목 과 보들 할 게

다. 근에는 페 트 못지 게 강도가 강한 경 페 트도

나 고 지만 색상 체가 다양하지 못하고 하지 직 지는

에나 페 트에 해 는 용도가 낮다고 단하 다. 다만 러한 에나

페 트 한 갈 경우 미 상 보 에 지 사 들에 해

거 가능 다는 단 다. 해 하 한 법

페 트 용하는 고 하 나, 용 싸고

다는 에 간에 시료 찾 하는 등 어 움 어

본 연 에 는 사용하지 다.

지에 채취한 시료 용하여 추 용하는 것 상

에 갈 태 도 해 채취한 D축 갈 시료 용하

다. 갈 단 상 에 갈 동 경향 보 해 beach

face 71개는 색, 1st berm 52개는 색, 2nd face 67개는 청

색, 2nd berm 68개는 색 도색하여 GPS(Garmin사 60CSx)에

해 놓 원래 시료가 지 에 다시 하 다. 시 는 볼

벤과 , 태 향 갈 동 할 것 단 는

2012 8월 30 었고, 시 는 태 향 난 2012 10월 4

답사 다.

Page 4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37-

Ⅳ. 연 결과

1. 단 량 결과

울산 강동 해 단 량 통해 울산 강동 해 시 별 단 변

하 다. 특 ~가 간 동 에는 2개월 주 량 결과

하여 태 등 향 갈 해 에 어떠한 향 미 는지 할

었고, 2011 8월~2012 4월 사 간격 하지만 겨울철

단 변 추 해볼 었다.

[Figure 20] Periodic change of A-profile

연 법에 시한 량 축에 한 지도에 가장 남쪽에 한 A축

에 한 량 결과 합해보 다 과 같다.

A축 경우 [그림 20] 보 , 2011 8월 후 질 동

어나 2012 4월에는 상당 껍게 갈 퇴 었다. 후 6월에는

Page 4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38-

해 5m 가량 후퇴하 갈 가 식 었다. 그리고 8월에

는 태 향 2011 후 갈들 많 식 었

해 도 5m 상 후퇴하 다. 그리고 10월에는 8월에 해

해 2~3m 가량 후퇴하 나, 퇴 양 체는 후에 게

크게 변 하지는 다.

A축 단 변 에 가장 주목할 2011 8월~2012 4월 사

퇴 증가 다. 7~30m 범 에 꺼운 1m 가량 나

갈 다. 그리고 태 향에 해 갈 해 단 변 하는

것도 요하 , A축에 는 태 해 해 후퇴하고 갈 식

, 갈 해 에 후 동 는 것 단 다.

[Figure 21] Periodic change of B-profile

다 A축과 주상 리 사 에 고 한 B축에

해 살펴보 다.

[그림 21] 보 , B축 경우도 A축과 마찬가지 2011 8월 후

많 양 퇴 어났다. 상당 껍게 갈 퇴 었 , 2012

Page 5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39-

4월~10월 지는 퇴 양 체는 큰 변 가 없 단 변 가

어났다. 4월~6월 사 변 는 그리 크지 고, 태 에 해 향

8월에는 해 식 해 경사가 해 다. 후

10월에는 해진 경사 하여 갈 동하 해 다쪽

진하 다.

B축도 A축과 마찬가지 2011 후 후 상당 많 양 갈

퇴 었다는 주목할 , 특 많 양 2m가

에 A축에 해 욱 많 양 갈 집 퇴 었다

고 단 다. 그리고 태 에 한 향도 마찬가지 요한 , A축에

해 는 변 가 크지 고 해 단 경사 랑 에 지 향에 맞춰

나가는 것 보 다.

[Figure 22] Periodic change of C-profile

C축 신 천 남쪽에 모래 심 퇴 여 는 지역에 해

량 실시한 곳 , 해 에는 갈 여 나 그 후

는 모래가 퇴 어 다.

Page 5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40-

[그림 22] 보 C축 경우 실 단 변 는 그리 크지 다.

2011 8월에 재하 갈 언 식 었고, 2012 8월에 해 단

간에 갈 루어진 berm 시 었 것 에는

체 단 어 다. 는 A, B축 퇴 심 변 나 추

후 살펴보게 D, E축 식 심 변 는 다 , 모래 심

퇴 포 고 하 갈 식 퇴 잘 루어지지 고

는 고 단할 다.

[Figure 23] Periodic change of D-profile

신 천 에 한 첫 째 축 D축 강동 해 쪽 단 변

보 해 한 축 , 공공 장실 에 해 다.

[그림 23] 보 D축 경우 2011 8월 후 2012 4월 지 해

20m 상 후퇴하 , 직 도 많 곳 1.5m 상 갈

식 었다. 하지만 후 2012 6월 지 상당한 양 갈 퇴

어 식 었 갈 해 많 복 었다. 그리고 8월 태 에 해

는 다시 갈 해 후퇴하 나, 10월에는 갈 해

Page 5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41-

다쪽 진하는 변 보 다.

D축에 가장 주목할 A, B축과는 다 게 2011 8월 후에

갈 퇴 것 니 많 양 식 었다는 것 다. 는 강동 해

남쪽과 쪽 갈 퇴 변 가 동 하지 , 다 프 스

에 해 변 한다고 볼 다. 그리고 태 향에 도 특 한

할 는 , 8월에는 갈 해 후퇴하 식 나, 10

월에는 갈 퇴 고 해 도 진하는 모습 보 다는 다.

, 태 향에 해 갈 퇴 식 매 달 질 다는

할 었다.

[Figure 24] Periodic change of E-profile

다 강동 해 가장 쪽에 한 E축에 해 살펴보 다.

[그림 24] 보 D축과 마찬가지 E축에 도 2011 8월 후에 상

당한 양 갈 식 었다. 해 경우는 15m 상 후퇴하 고,

직 도 1m 가 식 었다. 하지만 2012 4월 후 는 갈

해 진하고, 퇴 양도 증가하여 2011 8월 지 복 는

Page 5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42-

모습 보 다. 그리고 8월에는 태 향 해 갈 해

심 갈 언 었고, 10월에는 갈 해 욱 진하여

거 10m 범 꺼운 갈 언 해 에 달하 다.

E축에 주목할 D축과 마찬가지 2011 8월 후에 많

식 다는 다. 는 강동 해 쪽 해 사한 프 스에

해 변 하 , 는 남쪽 해 과는 다 다는 다. 그리고 러한 식

2개월 만에 복 도 특징 다. 그리고 태 향에 도

식 닌 퇴 루어진 도 상당 미 운 결과 , 특

10월 퇴 증가는 D축과 사한 과 거 것 단 에 욱

요하다고 할 다.

[Figure 25] Periodic change of F-profile

마지막 2012 4월 했 가장 껍게 갈 퇴

A축과 B축 사 주상 리 쪽 축 F축

하고 추가 량 실시한 결과 살펴보 다.

[그림 25] 보 F축 A축 나 B축과 마찬가지 2011 8월 후에

Page 5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43-

상당한 양 갈 퇴 었 , 후 단 변 는 크지 다. 2012

4월~6월 지는 큰 변 가 없었 , 8월에는 태 향 후

경사 만해지고 해 다쪽 진하 다. 10월에는 태

향 해 갈 해 후퇴하 고, 단 변 찰한 에

는 가장 큰 식 다.

F축 통해 주목할 B축과 사한 단 퇴 변 보

는 에 후 해 모습 보 고 다

는 다. 그리고 태 에 해 갈 퇴 거나 식 는 상 모

습 보 는 에 도 요한 변 찰하 다고 할 다.

6개 축 단 변 시 별 찰하 다양한 변 과

할 었고, 에 한 한 해 토 에 다루었다.

2. 태・ 도 퇴 상

1) 단 각 지 별 갈 태 결과

울산 강동 해 갈 해 특 하고 갈 시료에 한

도 실시하여 탕 퇴 상 하 다. 갈

태 특 에 해 하 는 , Zingg(1935) 갈 태 과

Sneed Folk(1958) 갈 태 모 실시하 다.

가장 남쪽 A축 갈 태 해 한 -4Φ

보다 큰 갈 시료 가 3단 berm에 가 미하게 사용할

도 고, 그 beach face, 1st berm, 2nd face에 시료

가 각각 2개, 14개 8개 에 지 A축에 한 갈 태

실시하지 다.

Page 5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44-

[Figure 26]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beach face gravel in B-profile

 Zingg classes Count Percent

Disc 50 49.50

Blade 9 8.91

Spherical 29 28.71

Rod 13 12.87

[Table 4]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beach face gravel in B-profile

Page 5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45-

[Figure 27] Shape classification of beach face gravel in B-profile by Sneed and Folk’s

 Sneed & Folk classes Count PercentCompact 4 4.04

Compact-Platy 9 9.09

Compact-Bladed 16 16.16Compact-Elongate 11 11.11

Platy 13 13.13Bladed 27 27.27

Elongate 6 6.06

Very-Platy 4 4.04Very-Bladed 9 9.09

Very-Elongate 0 0.00

[Table 5] Shape classification of beach face gravel in B-profile by Sneed and Folk’s

Page 5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46-

B축 beach face에 101개, 1st berm에 66개, 2nd face에 78

개 미한 시료 보할 어 에 해 Zingg Sneed

Folk 시도하 고, 그 결과는 다 과 같다.

[그림 26]과 [ 4] 통해 B축 beach face 갈 태 살펴보 ,

Zingg 통해 는 Disc 태 갈 50% 가 차지하고

, Spherical한 태 갈도 30% 가 차지하고 다. 체

납작한 태 갈 60%, 그 갈 40% 도

나타나고 다.

다 [그림 27]과 [ 5] Sneed Folk 법 는

Compact(Zingg Spherical) 사 Compact 태 갈

40% 도 보 고, Platy(Zingg Disc) 태 갈

17%, Bladed 태 갈 36%, Elongate(Zingg Rod) 태

갈 6% 도 보 고 다.

법 동 한 하는 것 니

하는 리가 지만, B축 beach face에 나타난 갈 태

에 차 할 다. 우 Sneed Folk 법 Zingg

법에 해 Spherical 갈 40% 30% 높게 나 고

다. 그리고 Zingg 법에 는 50%에 가 울 도 그 가장 높

Disc 태 갈 Sneed Folk 법에 는 과 17%에 과하

고 Blade 갈 높 것 보 납작한 태 갈

에 큰 차 가 생함 다.

Page 5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47-

[Figure 28]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1st berm gravel in B-profile

 Zingg classes Count Percent

Disc 38 57.58

Blade 6 9.09

Spherical 14 21.21

Rod 8 12.12

[Table 6]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1st berm gravel in B-profile

Page 5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48-

[Figure 29] Shape classification of 1st berm gravel in B-profile by Sneed and Folk’s

 Sneed & Folk classes Count PercentCompact 2 3.13

Compact-Platy 1 1.56

Compact-Bladed 6 9.38Compact-Elongate 9 14.06

Platy 12 18.75Bladed 12 18.75

Elongate 3 4.69

Very-Platy 9 14.06Very-Bladed 9 14.06

Very-Elongate 1 1.56

[Table 7] Shape classification of 1st berm gravel in B-profile by Sneed and Folk’s

Page 6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49-

B축 1st berm [그림 28]과 [ 6] Zingg 법 Disc 태

갈 57% 상 차지하고 , Spherical한 태

갈 21% 도 차지하고 다. 그리고 Blade Rod 태 갈

각각 10% 내 도 차지하고 다. 체 납작한 태

갈 66%, 그 갈 33% 도 보 고 다.

[그림 29]과 [ 7] 해보 Sneed Folk 는

Compact 사 Compact 태 갈 28% 도 보

고, Platy Bladed 태 갈 33% , Elongate 태 갈

6% 도 보 고 다.

Beach face 해보 , Zingg 과 Sneed Folk

모 에 Spherical 갈 태 어들고 납작한 태

갈 높 할 다. 갈 beach face에 berm

동하 해 상 것보다 큰 랑 에 지 한다는

과 연결시 생각해보 , 강한 랑 에 지가 미 납작한 태 갈

게 후 동 다고 추 해 볼 다.

Page 6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50-

[Figure 30]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2nd face gravel in B-profile

 Zingg classes Count Percent

Disc 53 67.95

Blade 12 15.38

Spherical 7 8.97

Rod 6 7.69

[Table 8]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2nd face gravel in B-profile

Page 6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51-

[Figure 31] Shape classification of 2nd face gravel in B-profile by Sneed and Folk’s

 Sneed & Folk classes Count PercentCompact 0 0.00

Compact-Platy 4 5.19

Compact-Bladed 4 5.19Compact-Elongate 4 5.19

Platy 17 22.08Bladed 15 19.48

Elongate 3 3.90

Very-Platy 9 11.69Very-Bladed 17 22.08

Very-Elongate 4 5.19

[Table 9] Shape classification of 2nd face gravel in B-profile by Sneed and Folk’s

Page 6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52-

B축 beach face 후 첫 째 berm 어 해 는 째

경사 에 해 2nd face 하 다. 지 갈 태는 Zingg

는 [그림 30], [ 8]과 같 Disc 태 갈 68%,

Blade 태는 15% 거 갈 납작한 태 가지고

다. Spherical한 태 갈 9% 도 차지하고 , 납작한

태 하 Rod 태 갈 합쳐도 채 20%가 지 못한다.

[그림 31]과 [ 9] Sneed Folk 법 는 Compact 사

Compact 태 갈 15% 도 보 고, Platy 태

갈 34%, Bladed 태 갈 43%, Elongate 태 갈

9% 도 보 고 다. , 납작한 태 갈 77%

차지하고 다.

태 에 모 B축 (beach face 1st berm)에

해 납작한 태 갈 높 지고, Spherical Rod 갈

감 하 하 다.

B축 단 변 에 갈 태 변 리해보 , beach face에

그 후 갈 갈 차 납작한 태 변 한다고 할

, 단 에 갈 태별 생한다고 볼 다.

Page 6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53-

[Figure 32]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beach face gravel in C-profile

 Zingg classes Count Percent

Disc 34 52.31

Blade 12 18.46

Spherical 13 20.00

Rod 6 9.23

[Table 10]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beach face gravel in C-profile

Page 6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54-

[Figure 33] Shape classification of beach face gravel in C-profile by Sneed and Folk’s

 Sneed & Folk classes Count Percent

Compact 1 1.59Compact-Platy 6 9.52

Compact-Bladed 5 7.94Compact-Elongate 5 7.94

Platy 12 19.05Bladed 22 34.92

Elongate 4 6.35

Very-Platy 2 3.17Very-Bladed 5 7.94

Very-Elongate 1 1.59

[Table 11] Shape classification of beach face gravel in C-profile by Sneed and Folk’s

Page 6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55-

다 C축 경우 beach face berm에 갈 퇴 찰

고 그 후 는 모래 퇴 에, beach face에 65개,

berm에 79개 시료 하 다.

C축 beach face 갈 태 [그림 32], [ 10]과 같 Zingg

통해 살펴보 , Disc 태 갈 52% 차지하고

고 Blade 태 갈 18% 보 다. Spherical한 태

갈 20% 차지하고 , Rod 태 갈 9% 도

보 다. 체 납작한 태 갈 70%, 그

갈 30% 도 나타나고 다.

[그림 33], [ 11] Sneed Folk 법 는 Compact 사

Compact 태 갈 27% 도 보 고, Platy 태

갈 22%, Bladed 태 갈 43%, Elongate 태 갈

8% 도 보 고 다. , 납작한 태 갈

65%, 그 태 갈 35% 도 나타나고 다.

C축 beach face 갈 태별 B축 beach face

차 는 나, 사한 경향 나타내고 다. 한 Zingg 과

Sneed Folk 에 생한 Disc 태 Blade 태 차

도 사하게 나타나고 다.

Page 6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56-

[Figure 34]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berm gravel in C-profile

 Zingg classes Count Percent

Disc 37 46.84

Blade 14 17.72

Spherical 16 20.25

Rod 12 15.19

[Table 12]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berm gravel in C-profile

Page 6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57-

[Figure 35] Shape classification of berm gravel in C-profile by Sneed and Folk’s

 Sneed & Folk classes Count PercentCompact 5 6.33

Compact-Platy 4 5.06

Compact-Bladed 5 6.33Compact-Elongate 4 5.06

Platy 15 18.99Bladed 29 36.71

Elongate 8 10.13

Very-Platy 2 2.53Very-Bladed 5 6.33

Very-Elongate 2 2.53

[Table 13] Shape classification of berm gravel in C-profile by Sneed and Folk’s

Page 6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58-

C축 berm 갈 태 살펴보 , [그림 34], [ 12] 같

Zingg 에 Disc 태 갈 47% 차지하 Blade

태 갈 18% 차지하고 다. 그리고 Spherical한

태 갈 20% 차지하고 , Rod 태 갈 15%

도 보 다. 체 납작한 태 갈 65%, 그

갈 35% 도 나타내고 다.

Sneed Folk 는 [그림 35] [ 13] 보 Compact

사 Compact 태 갈 23% 도 보 고, Platy 태

갈 23%, Bladed 태 갈 43%, Elongate 태

갈 13% 도 보 고 다. 리해보 납작한 태 갈

66%, 그 태 갈 34% 도 나타나고 다.

C축 단 별 갈 태 변 에 해 리해보 다. C축 갈

태 변 는 Zingg 법 했 연 (Bluck, 1967;

Orford, 1975; 용; 1992; 고 ; 1993)나 B축에 나타나는 결과

는 상 모습 보 고 다. , 갈 태가 후 갈 납작한

태가 증가하는 모습 보 지 고 Spherical Rod 갈

높 지는 모습 보 고 다. , Sneed Folk 법

통해 는 beach face나 berm 갈 태 변 가 거 없 할

었다.

Page 7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59-

[Figure 36]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beach face gravel in D-profile

 Zingg classes Count Percent

Disc 31 43.66

Blade 8 11.27

Spherical 22 30.99

Rod 10 14.08

[Table 14]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beach face gravel in D-profile

Page 7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60-

[Figure 37] Shape classification of beach face gravel in D-profile by Sneed and Folk’s

 Sneed & Folk classes Count PercentCompact 4 5.97

Compact-Platy 7 10.45

Compact-Bladed 11 16.42Compact-Elongate 3 4.48

Platy 8 11.94Bladed 21 31.34

Elongate 7 10.45

Very-Platy 3 4.48Very-Bladed 2 2.99

Very-Elongate 1 1.49

[Table 15] Shape classification of beach face gravel in D-profile by Sneed and Folk’s

Page 7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61-

다 D축에 해 단 별 갈 태 변 살펴보 다. D

축 경우 축과 다 게 단 내 갈 시료 득 지 에 모

충 하게 미한 시료 얻 어 체 갈 태 변

찰할 었다. beach face에 71개, 1st berm에 53개, 2nd face

에 67개, 2nd berm 68개 시료에 해 갈 태 실시하 다.

D축 beach face 갈 태 Zingg 법 경우 [그림

36]과 [ 14]처럼 Disc 태 갈 44%, Blade 태 갈

11% 차지한다. 그리고 Spherical 태 갈 31%

차지하고 , Rod 태 갈 14% 도 보

다. 체 납작한 태 갈 55%, Spherical Rod

갈 45% 도 나타내고 다.

Sneed Folk 는 [그림 37]과 [ 15] 통해 살펴보

Compact 사 Compact 태 갈 38% 도 나타

내고, Platy 태 갈 17%, Bladed 태 갈 34%,

Elongate 태 갈 12% 도 보 고 다. 재

리하 납작한 태 갈 50%, 그 Spherical Rod

갈 50% 도 슷하게 나타나고 다.

D축 beach face는 다 축 beach face 해보 상

Spherical Rod 갈 높 할 다.

Page 7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62-

[Figure 38]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1st berm gravel in D-profile

 Zingg classes Count Percent

Disc 30 56.60

Blade 6 11.32

Spherical 11 20.75

Rod 6 11.32

[Table 16]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1st berm gravel in D-profile

Page 7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63-

[Figure 39] Shape classification of 1st berm gravel in D-profile by Sneed and Folk’s

 Sneed & Folk classes Count PercentCompact 1 1.96

Compact-Platy 2 3.92

Compact-Bladed 9 17.65 Compact-Elongate 1 1.96

Platy 9 17.65 Bladed 21 41.18

Elongate 7 13.73

Very-Platy 0 0.00 Very-Bladed 1 1.96

Very-Elongate 0 0.00

[Table 17] Shape classification of 1st berm gravel in D-profile by Sneed and Folk’s

Page 7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64-

D축 1st berm에 한 Zingg 갈 태 경우 [그림 38]과

[ 16] 살펴보 , Disc 태 갈 57% 차지하고,

Blade 태 갈 11% 차지한다. Spherical 태 갈

21% 차지하 , Rod 태 갈 11% 도

보 다. 그룹 리하여 보 납작한 태 갈 68%,

Spherical Rod 갈 32% 도 나타낸다.

[그림 39] [ 17] Sneed Folk 법 통해 살펴보

Compact 사 Compact 태 갈 26% 도 나타

내고, Platy 태 갈 18% 보 다. 그리고 Bladed 태

갈 43%, Elongate 태 갈 14% 도 보

고 다. 재 리하 납작한 태 갈 61%, Spherical

Rod 태 갈 39% 도 나타나고 다.

1st berm 결과 beach face 갈 태 과 해보 상당

한 차 보 고 다. 특 Disc Blade 태, 납작한 태

갈 증가하 다. 통해 beach face 는 다 퇴 동 작

용 것 상할 다.

Page 7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65-

[Figure 40]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2nd face gravel in D-profile

 Zingg classes Count Percent

Disc 40 59.70

Blade 7 10.45

Spherical 13 19.40

Rod 7 10.45

[Table 18]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2nd face gravel in D-profile

Page 7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66-

[Figure 41] Shape classification of 2nd face gravel in D-profile by Sneed and Folk’s

 Sneed & Folk classes Count PercentCompact 0 0.00

Compact-Platy 2 3.03

Compact-Bladed 10 15.15Compact-Elongate 4 6.06

Platy 17 25.76Bladed 20 30.30

Elongate 3 4.55

Very-Platy 4 6.06Very-Bladed 6 9.09

Very-Elongate 0 0.00

[Table 19] Shape classification of 2nd face gravel in D-profile by Sneed and Folk’s

Page 7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67-

D축 2nd face에 한 Zingg 갈 태 [그림 40] [

18] 통해 살펴보 Disc 태 갈 60% 차지하고,

Blade 태 갈 10% 차지한다. 그리고 Spherical 태

갈 20% 차지하 , Rod 태 갈 10% 도

차지한다. 리하 납작한 태 갈 70%,

Spherical Rod 갈 30% 도 나타낸다.

[그림 41] [ 19] Sneed Folk 법 해보 Compact

사 Compact 태 갈 24%, Platy 태 갈 32%

보 다. Bladed 태 갈 39%, Elongate 태 갈

5% 도 보 다. 리하 납작한 태 갈

71%, Spherical Rod 태 갈 29% 도 나타나고

다.

D축 해 보 beach face 1st berm에 해

납작한 태 갈 높 할 다.

Page 7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68-

[Figure 42]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2nd berm gravel in D-profile

 Zingg classes Count Percent

Disc 40 58.82

Blade 14 20.59

Spherical 9 13.24

Rod 5 7.35

[Table 20]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2nd berm gravel in D-profile

Page 8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69-

[Figure 43] Shape classification of 2nd berm gravel in D-profile by Sneed and Folk’s

 Sneed & Folk classes Count PercentCompact 0 0.00

Compact-Platy 3 4.62

Compact-Bladed 2 3.08Compact-Elongate 7 10.77

Platy 12 18.46Bladed 19 29.23

Elongate 2 3.08

Very-Platy 6 9.23Very-Bladed 13 20.00

Very-Elongate 1 1.54

[Table 21] Shape classification of 2nd berm gravel in D-profile by Sneed and Folk’s

Page 8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70-

D축 마지막 지 2nd berm에 한 Zingg 갈 태

[그림 42] [ 20] 통해 살펴보 Disc 태 갈 59%

차지하고, Blade 태 갈 21% 차지한다. 그리고

Spherical 태 갈 13% 차지하 , Rod 태 갈

7% 도 차지한다. 리하 납작한 태 갈

80%, Spherical Rod 갈 20% 도 나타낸다.

Sneed Folk 해보 [그림 43]과 [ 21]에

할 듯 Compact 사 Compact 태 갈 18%,

Platy 태 갈 28% 보 , Bladed 태 갈

49%, Elongate 태 갈 5% 도 보 다. 리하

납작한 태 갈 77%, Spherical Rod 태 갈

23% 도 나타나고 다.

D축 시료 채취 지 가장 다에 2nd berm에 납작한 태

갈 Zingg Sneed Folk 법 모 에 80% 내 높

차지하고 다. 는 연 (Bluck, 1967)에 컬어지는 Large

Disc Zone 재 시 주는 것 고 할 다.

D축 갈 태 결과 합해보 , beach face에 1st berm,

2nd face에 2nd berm 다에 어질 법에 차 는

지만 납작한 태 갈 증가하 연 들에 시

사하게 갈 태별 루어지고 할 다.

Page 8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71-

[Figure 44]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beach face gravel in F-profile

 Zingg classes Count Percent

Disc 25 42.37

Blade 7 11.86

Spherical 20 33.90

Rod 7 11.86

[Table 22]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beach face gravel in F-profile

Page 8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72-

[Figure 45] Shape classification of beach face gravel in F-profile by Sneed and Folk’s

 Sneed & Folk classes Count PercentCompact 1 1.72

Compact-Platy 3 5.17

Compact-Bladed 13 22.41Compact-Elongate 4 6.90

Platy 11 18.97Bladed 15 25.86

Elongate 6 10.34

Very-Platy 3 5.17Very-Bladed 2 3.45

Very-Elongate 0 0.00

[Table 23] Shape classification of beach face gravel in F-profile by Sneed and Folk’s

Page 8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73-

갈 태 마지막 축 A축과 B축 사 F축에 해 갈

태 변 하 다. F축 경우에 beach face 1st berm, 2nd

berm에 해 실시하 고, 2nd face 생략한 것 경사가

하 에 퇴 동 하게 어나는 곳 단하

다. 갈 시료 는 beach face는 59개, 1st berm 34개,

2nd berm 38개 다.

F축 beach face 갈 태 Zingg 법 경우 [그림

44] [ 22]에 Disc 태 갈 42%, Blade 태 갈

12% 차지한다. 그리고 Spherical 태 갈 34%

차지하고 , Rod 태 갈 12% 도 보

다. 체 납작한 태 갈 54%, Spherical Rod

갈 46% 도 나타내고 다.

Sneed Folk [그림 45] [ 23]에 해보 ,

Compact 사 Compact 태 갈 36% 도 나타

내고, Platy 태 갈 24%, Bladed 태 갈 30%,

Elongate 태 갈 10% 도 보 고 다. 재

리하 납작한 태 갈 54%, 그 Spherical Rod 태

갈 46% 도 슷하게 나타나고 다.

특징 D축 beach face 해 보 , Zingg

법과 그 상당 사한 , Sneed Folk 는 그

다 다는 것 다. 통해 법 사 에 큰 차 가

할 고, 태 어떠한 것 하 냐에 연 결과에 도

차 가 생할 미한다고 할 다.

Page 8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74-

[Figure 46]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1st berm gravel in F-profile

 Zingg classes Count Percent

Disc 10 29.41

Blade 8 23.53

Spherical 8 23.53

Rod 8 23.53

[Table 24]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1st berm gravel in F-profile

Page 8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75-

[Figure 47] Shape classification of 1st berm gravel in F-profile by Sneed and Folk’s

 Sneed & Folk classes Count PercentCompact 0 0.00

Compact-Platy 3 8.82

Compact-Bladed 7 20.59Compact-Elongate 2 5.88

Platy 4 11.76Bladed 6 17.65

Elongate 8 23.53

Very-Platy 1 2.94Very-Bladed 3 8.82

Very-Elongate 0 0.00

[Table 25] Shape classification of 1st berm gravel in F-profile by Sneed and Folk’s

Page 8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76-

F축 1st berm에 한 Zingg 갈 태 경우 [그림 46]

[ 24]에 할 듯 Disc 태 갈 29% 차

지하고, Blade, Spherical, Rod 태 갈 각각 24% 차

지하고 다. 그룹 리하여 보 납작한 태 갈 53%,

Spherical Rod 갈 47% 도 나타낸다.

[그림 47] [ 25] 통해 Sneed Folk 살펴보

Compact 사 Compact 태 갈 35% 도 나타

내고, Platy 태 갈 15% 보 다. 그리고 Bladed 태

갈 27%, Elongate 태 갈 24% 도 보

고 다. 재 리하 납작한 태 갈 41%, Spherical

Rod 태 갈 59% 도 나타나고 다.

F축 1st berm 특징 B축 나 D축 연 결과 는 다 게 beach

face에 해 1st berm 납작한 갈 태 낮고, 특 Rod

상당 높다는 것 다. 는 1st berm 폭 고 후에

경사 갈 퇴 어 후에 게 러 는 Spherical

Rod 태 갈 재퇴 것 단 다.

Page 8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77-

[Figure 48]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2nd berm gravel in F-profile

 Zingg classes Count Percent

Disc 22 59.46

Blade 4 10.81

Spherical 5 13.51

Rod 6 16.22

[Table 26] Zingg’s Shape classification of 2nd berm gravel in F-profile

Page 8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78-

[Figure 49] Shape classification of 2nd berm gravel in F-profile by Sneed and Folk’s

 Sneed & Folk classes Count PercentCompact 0 0.00

Compact-Platy 4 10.53

Compact-Bladed 2 5.26Compact-Elongate 4 10.53

Platy 3 7.89Bladed 15 39.47

Elongate 2 5.26

Very-Platy 3 7.89Very-Bladed 4 10.53

Very-Elongate 1 2.63

[Table 27] Shape classification of 2nd berm gravel in F-profile by Sneed and Folk’s

Page 9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79-

마지막 F축 경사 2nd berm에 한 Zingg 갈 태

[그림 48] [ 26] 통해 살펴보 Disc 태 갈

59% 차지하고, Blade 태 갈 11% 차지한

다. 그리고 Spherical 태 갈 14% 차지하 , Rod

태 갈 16% 도 차지한다. 리하 납작한 태

갈 70%, Spherical Rod 갈 30% 도

나타낸다.

[그림 49] [ 27] Sneed Folk 법 해보

Compact 사 Compact 태 갈 26%, Platy 태 갈

16% 보 , Bladed 태 갈 50%, Elongate

태 갈 8% 도 보 다. 리하 납작한 태

갈 66%, Spherical Rod 태 갈 34% 도

나타나고 다.

F축 2nd berm 다시 납작한 갈 높 지는 모습 보

, beach face 보다 높 나타내고 다. 통해 1st berm

과 경사 사 향에 벗어나 , 경사 어 는

도 상당 랑 에 지 향 것 추 해볼

다.

F축 갈 태 결과 합해보 beach face에 2nd berm

갈 납작한 태 갈 높 지지만, 단 내 경사

하여 1st berm과 경사 사 에 갈 동 하게 생

하여 갈 재퇴 는 과 진행 고 다고 추 해 볼 다.

2) 단 별 갈 태 지수 결과

갈 장경, 경, 단경 직 하여 직 갈 태

하 지만, 추가 갈 태 지 들 해 보 다.

시료 가 충 보 어 갈 태 직 행한 B, C, D,

Page 9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80-

F축 갈에 해 Wentworth(1922)가 시한 Flatness index

Krumbein(1941) 시한 Krumbein sphericity 하 다.

갈 태 과 동 하게 beach face, 1st berm, 2nd face, 2nd

berm 하여 각 지 별 갈 시료 각각 Flatness index

Krumbein sphericity 하고, 지 별 평균 내었다.

[Figure 50] Flatness index of Gang-dong beach

[그림 50] Flatness index 보 , C축 한 나 지 축에

beach face에 후 갈 값 증가하 다. Flatness index가 장경

과 경 합 단경 나 것 에 Disc Blade 태 갈

많 그 값 커지게 다. 울산 강동 갈 해 에 체

beach face에 후 갈 납작한 갈 많 진다고 할

, 는 갈 태별 과 하는 결과 고 할 다.

Flatness index는 갈 태 잘 하는 지 고 단할

다. 그리고 F축 경우 갈 태 에 는 beach face에 해 1st

berm에 납작한 태 갈 낮 지만, Flatness index에 는

beach face보다 가 높다는 특징 다.

Page 9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81-

[Figure 51] Krumbein sphericity of Gang-dong beach

다 [그림 51] Krumbein sphericity 값 살펴보 , 모든 축에

beach face에 후 갈 값 낮 지는 모습 보 다.

Flatness index 는 다 게 Krumbein sphericity는 말 그 도

나타내는 지 에, 탕 결과 해 하 울산 강동

갈 해 후 갈 Spherical 에 가 운 갈 어진다고 할

다. 는 갈 태 과 하는 결과 , Flatness 마찬가지

Krumbein sphericity가 갈 태 잘 해주는 지 고 할

다.

그리고 C축 F축 경우 다 축 연 결과들과는 다 게

1st berm에 beach face에 해 납작한 태 낮 다. 하지

만 그 감 원 Rod 태 갈 증가에 해 고,

Spherical한 갈 계 해 감 하 다. Krumbein sphericity

는 납작한 갈 낮 지는 것과는 별개 Spherical 태 갈

감 에 맞추어 그 값 낮 지 에, Spherical한 갈

잘 해주는 지 고 할 다.

3) 단 각 지 별 갈 도 결과

갈 퇴 상 마지막 법 크 별 도 실시하

Page 9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82-

다. 연 법에 시한 갈 0.5Φ 간별 게에 하여

GRADSTAT 프 그램 용하여 도 실시하 다.

(unit : Φ)

A-profilebeachface

1stberm

2ndface

2ndberm

3rdface

3rdberm

4thface

4thberm

distribution Unimodal Unimodal Trimodal Bimodal Unimodal Bimodal Unimodal Unimodal

sedimentVery Fine

Gravel

Medium Gravel

Fine Gravel

Medium Gravel

Fine Gravel

Coarse Gravel

Very Coarse Gravel

Very Coarse Gravel

mean -1.976 -3.370 -2.561 -2.629 -2.951 -4.184 -4.876 -5.282

sorting 0.780 0.493 1.002 0.909 0.784 0.569 0.704 0.491

skewness -0.737 0.420 0.036 0.353 -0.834 -0.151 0.772 1.007

kurtosis 4.359 3.295 2.823 2.481 3.870 2.067 2.833 3.765

[Table 28] Granulometric analysis of A-profile

[Figure 52] Mean size of sediment particles along A-profile (unit : Φ)

Page 9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83-

[Figure 53] Sorting, Skewness, Kurtosis of sediment particles

along A-profile (unit : Φ)

[ 28], [그림 52, 53] 통해 A축 도 결과 살펴보 very

fine gravel very coarse gravel 다양한 도 갈 나타나 ,

체 도 평균 –3.479Φ medium gravel 도 다. 도 평균

통해 각 지 별 해보 , beach face에 1st berm 가

도가 증가하다가 해 단 간에 낮 진다. 후 후 갈 증

가하는 모습 보 다. 체 양 하고, 특 1st berm과

4th berm에 매우 양 한 모습 보 다.

Bluck(1967) 연 에 갈 해 단 에 도 모식 한 것과

A축 도 포는 사한 모습 보 다. beach face 1st berm에

고 크 도 간 도 갈 퇴 모습 보 고

에 는 작 갈 퇴 나타나 , 그 후 가 도가

큰 Disc 태 갈 많 지는 모습 A축에 도 사하게 나타난다.

러한 갈 도 변 가 나타나는 원 는 beach face 1st

berm에 는 랑에 지 경에 퇴 것 고,

립질 퇴 어난 것 berm 어가는 랑 경우 에 지 고

운 해 볼 다. 그리고 그 후 립 퇴

태 과 같 고 에 지 경에 퇴 것 단할 다.

그리고 2nd face는 trimodal 도 포 보여, 다양한 작용 통해

퇴 어났 것 단 다.

Page 9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84-

(unit : Φ)

B-profilebeachface

1stberm

2ndface

2ndberm

3rdface

3rdberm

4thface

4thberm

distribution Unimodal Unimodal Bimodal Unimodal Unimodal Unimodal Unimodal Unimodal

sedimentCoarse Gravel

Coarse Gravel

Coarse Gravel

Medium Gravel

Fine Gravel

Fine Gravel

Medium Gravel

Medium Gravel

mean -4.577 -4.714 -4.396 -3.446 -2.637 -2.378 -3.599 -3.784

sorting 0.372 0.546 0.631 0.562 0.406 0.537 0.487 0.430

skewness 0.230 1.037 -0.021 -0.678 -0.769 -1.130 -1.487 -1.161

kurtosis 2.851 3.413 2.440 4.138 4.555 4.413 6.055 5.219

[Table 29] Granulometric analysis of B-profile

[Figure 54] Mean size of sediment particles along B-profile (unit : Φ)

Page 9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85-

[Figure 55] Sorting, Skewness, Kurtosis of sediment particles

along B-profile (unit : Φ)

[ 29], [그림 54, 55] 통해 B축 도 결과 살펴보 ,

fine gravel 하 체 medium~coarse gravel

도 보 , 도 평균 –3.692Φ 다. 각 지 별 도 평균 변

살펴보 , beach face 하여 해 크 가 크고,

에 는 작 다가 그 후 갈 증가하는 모습 보 다.

체 매우 양 한 편 , 도는 해 에 후 갈

립질에 립질 우 는 모습 보 다. 첨도도 도 사한 경향

보 는 , 해 에 후 갈 첨 강 는 모습 보 다.

B축 경우 도가 큰 갈 해 에 집 해 는 것 보 ,

랑 에 지가 해 에만 집 것 볼 다. 한 2nd

face에 bimodal한 도 포 보 는 것 보 , 2nd face 에

후 갈 퇴 에 여하는 작용 달 지는 것

단 다.

Page 9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86-

(unit : Φ)

C-profile beach face 1st berm lower sand upper sand

distribution Bimodal Unimodal Bimodal Unimodal

sedimentSandy Coarse

ravelCoarse Gravel

Slightly Very Fine Gravelly Medium Sand

Slightly Very Fine Gravelly Coarse Sand

mean -3.253 -4.758 0.578 0.569

sorting 1.898 0.420 0.776 0.673

skewness 0.658 0.515 0.109 0.393

kurtosis 1.690 2.634 2.073 2.759

[Table 30] Granulometric analysis of C-profile

[Figure 56] Mean size of sediment particles along C-profile (unit : Φ)

Page 9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87-

[Figure 57] Sorting, Skewness, Kurtosis of sediment particles

along C-profile (unit : Φ)

[Figure 58] Grain size distriution of C-profile beach face

다 [ 30], [그림 56, 57] 통해 C축 도 결과 살펴

보 , beach face 1st berm에는 갈 심 퇴 , 그 후

Page 9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88-

에는 모래 심 퇴 연 고 다. 는 Coarse gravel

심 퇴 , 후 는 medium~coarse sand 심 퇴 루고

다. 단 내에 퇴 크 변 가 상당하 에 도 체 평

균값 큰 미가 없 것 단 다.

C축에 가장 특징 도 특 보 는 지 beach face 다.

매우 량하 , 도는 립질 쪽 많 우쳐 다. 그리고 첨

도는 첨 도가 낮 편 다. 그리고 [그림 58]에 볼 듯

bimodal한 도 포가 뚜 나타난다. 퇴 학에 bimodal한 도

포 보 다 퇴 작용 것 추 하는 , C축

러한 모습 가장 잘 보여주고 다고 할 다. 본 연 에 는 갈

모래 도별 운 퇴 작용 키는 요 에 해 는 직

해보지는 에 갈 모래가 각각 어떠한 요 에 해 퇴

었다고 추 할 는 없다. 다만 C축 beach face 다

작용 고 는 지 고 할 다.

(unit : Φ)

D-profile beach face 1st berm 2nd face 2nd berm

distribution Unimodal Bimodal Unimodal Unimodal

sediment Medium Gravel Coarse Gravel Coarse Gravel Coarse Gravel

mean -4.073 -4.416 -4.617 -4.681

sorting 0.421 0.736 0.638 0.563

skewness -0.736 0.033 -0.144 -0.412

kurtosis 3.983 2.381 2.398 2.206

[Table 31] Granulometric analysis of D-profile

Page 10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89-

[Figure 59] Mean size of sediment particles along D-profile (unit : Φ)

[Figure 60] Sorting, Skewness, Kurtosis of sediment particles

along D-profile (unit : Φ)

[ 31], [그림 59, 60] 통해 D축 도 결과 살펴보 ,

beach face에 2nd berm 가 medium gravel에 coarse

gravel 증가하 , 도 평균 –4.447Φ coarse gravel 심

크 가지고 다. 체 매우 양 한 편 , 도는 체

립질 쪽 우 모습 보 다. 첨도는 체 첨

도가 높지 다.

D축 다 축에 해 도 포 태나 경향 거나

한 모습 보 고 다. 다만 1st berm에 도 포가 bimodal한

모습 보 고 는 , 통해 beach face 사한 퇴 작용과 2nd

Page 10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90-

face에 에 한 재 동 작용 첩 것 단해 볼 다.

(unit : Φ)

E-profile beach face 1st berm 2nd face 2nd berm

distribution Unimodal Unimodal Bimodal Unimodal

sedimentVery Fine

GravelFine Gravel

Very Coarse Gravel

Coarse Gravel

mean -2.070 -3.012 -5.141 -4.919

sorting 0.386 0.477 0.476 0.453

skewness -1.184 -0.905 0.016 0.012

kurtosis 4.600 3.396 1.722 2.805

[Table 32] Granulometric analysis of E-profile

[Figure 61] Mean size of sediment particles along E-profile (unit : Φ)

Page 10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91-

[Figure 62] Sorting, Skewness, Kurtosis of sediment particles

along E-profile (unit : Φ)

[ 32], [그림 61, 62] 통해 E축 도 결과 살펴보 , 해

very fine gravel에 후 갈 coarse gravel 변 하는

모습 보 , 체 도 평균 –3.785Φ 다. 체 매우

양 하 , 도는 립질 쪽 우 경향 보 다. 첨도는 체

첨하지만 beach face에 첨 도가 낮다.

E축 도 변 경향 D축과 사하게 해 에 후

갈 증가하는 모습 보 지만, very fine gravel에 very coarse

gravel 그 변 가 매우 큰 것 특징 다. 통해 해

그 후 퇴 키는 작용 달 것 추 해 볼 ,

후 갈 강한 에 지가 미 것 단 다.

Page 10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92-

(unit : Φ)

F-profile beach face 1st berm 2nd berm 3rd berm

distribution Unimodal Unimodal Unimodal Unimodal

sediment Coarse GravelVery Coarse

GravelVery Coarse

GravelMedium Gravel

mean -4.859 -5.422 -5.554 -3.569

sorting 0.579 0.486 0.477 0.377

skewness 0.372 0.130 0.375 -0.640

kurtosis 2.404 2.005 2.392 4.429

[Table 33] Granulometric analysis of F-profile

[Figure 63] Mean size of sediment particles along F-profile (unit : Φ)

Page 10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93-

[Figure 64] Sorting, Skewness, Kurtosis of sediment particles

along F-profile (unit : Φ)

마지막 [ 33], [그림 63, 64] 통해 F축에 해 살펴보 는 ,

다 지 과 시료 채취 시 가 다 에 상 간 하 에는

리가 다. 다만 2011 8월과 2012 4월 사 퇴 량 많 증가하

에 해하는 차원에 근해보고 하 다.

beach face에 2nd berm 지 coarse very coarse gravel

도가 증가하지만, 3rd berm에 는 medium gravel 작 진다.

도 평균 –4.851Φ 다. 체 매우 양 한 편 고, 도는

립질 쪽 우쳐 다. 첨도는 체 첨하는 편 다.

F축 특징 해 에 후 가 도가 증가하다가 격

감 한다는 다. F축과 가 는 B축과 연결시 생각해보 ,

B축과 사한 도 갈 퇴 어 다가 2011 8월~2012 4월 사

에 –5Φ 후 coarse gravel 해 에 집 퇴 것

단해 볼 다.

퇴 상 해 주요 단 갈 태 변

지 , 갈 도 행하 , 에 한 합

는 추후 토 에 진행한다.

Page 10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94-

3. 추 용한 동 경 추

[Figure 65] Movement of tracer in D-profile

2012 8월 30 에 D축 단 별 지 에 갈 258개 하 다.

beach face 71개는 색, 1st berm 52개는 색, 2nd face 67개

는 청색, 2nd berm 68개는 색 도색하여, 원래 시료가 놓여

지 에 다시 하 다. 후 2012 10월 4 답사시 한 추

추 하 다. 하지만 한 추 는 4개 고작 1.5%에 과하

다. 통해 어떠한 결 내리는 것 리 고 할 고,

다만 본 연 에 는 한 추 하는 도 시하고

Page 10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95-

한다.

[Figure 66] Tracer found from the field

추 는 1st berm에 한 2개 2nd berm에 한 2개

4개 다([그림 66] 참 ). 들 [그림 65]에 볼 는 것처럼 모

원래 한 지 D축에 남쪽 동하 다. 갈 략 남쪽

동하는 것 보 지 에 해 내에 동하는 양

식 다 것 단 다. , 1st berm 갈 swash backwash

복 남쪽 동하는 것 보 고, 2nd berm 갈 큰

랑에 해 다쪽 동하여 운 는 것 보 다. 하지만 과

4개 갈 가지고 단하 에는 리가 , 추 법 보 하

여 재시도 할 필요가 다.

추 연 통해 낮 원 할 었다. 우

갈 퇴 는 곳 1m 상 고, 식 는 곳 1m 상

Page 10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96-

여나가는 상 에 추 하 도 매몰 는 경우나 다

동 경우는 추 거 가능하 다. 체가 극 떨어

지게 다. 한 Caldwell(1983) 연 에 용 페 트 용하 어

도 도색 벗겨지는 것 한 것처럼 본 연 에 도 갈 동 과

에 퇴 간에 마식 계 해 생하여 에나 페 트가 많 벗겨지

에 추 고 어 웠고, 역시 떨어 리는 원

다. 극복하 해 추후 높 는 고 하여

새 게 갈 추 하는 것 추후에 시도해 볼

다.

추후 추 연 에 고 해 볼 사항 , 갈 매 도

할 는 RFID 법 한 여러 법들 시도해 볼 필요가 다.

Allan et al.(2006) 연 에 RFID tag 용하 , 20 간

에 beach face 상 갈 100%, 하 갈도 70% 높

보 고 에 용하 합할 것 단 다. 그리고 페

트 법 용하고 하 짧 간 동 변 보는 것 직할

것 단 , 갈 마식 생하는 용하여

동 과 에 갈 마식 얼마나 어나는지 하는 것 큰

미가 것 보 다. 본 연 에 는 추 에 한 는 것

리하고 하 , 추후 연 통해 보 하도 하겠다.

Page 10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97-

Ⅴ. 토

1. 강동 갈 해빈 시 별 단 변

울산 강동 갈 해 시 별 단 변 2011 8월 25 , 2012

4월 7 , 6월 28 , 8월 30 , 10월 4 5 에 걸쳐 추 하 다. 시

별 단 변 가 계 해 어났지만, 가장 큰 폭 변 보여주

는 것 2011 8월 25 ~2012 4월 7 사 다. 시 차 는

8개월 에 당연 변 가 크다고 할 도 다. 하지만 4월 7

~10월 4 간 간도 6개월 도에 태 여러 향 미쳤

에도 하고 변 양 상 크지 , beach face 그

후 변 도에 한 어 다. 탕 추해보 ,

갈 해 단 ~가 시 변 보다 겨울 변 가 욱 클 것

고 상할 다.

갈 해 단 변 가 많 어났다는 것 그 질 갈

동 했다는 것 미한다. 강동 갈 해 경우 겨울에 그 움직

한 것 보 갈 동에 가장 큰 향 미 는 것 겨울

철 경에 랑 에 지 고 단해 볼 다. 우리나 겨울철

후 특징 시베리 고 향 강한 지 다는

것 , 는 랑에 어 고 에 지 랑 해 에 계 향

미 게 다. 결 , 강동 갈 해빈 갈 동에 가장 큰 향 미

는 것 겨울철 강하고 지 랑 에 지 고 할 , 태

과 같 고 에 지 시 상 는 변 도에 한 다

고 할 다. 다만 연 간 동 겨울철 간 단 변

루어지지 보 하여 그 근거 보강할 필요 다.

Page 10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98-

[Figure 67] Profile change during the winter (north and south)

(Blue: 2011.08.25 / Red : 2012.04.07)

Page 11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99-

내용과 연결 지어 추가 해볼 는 사항 갈 해

단 변 탕 한 갈 해 평 공간에 식 퇴 변

고 할 다. 강동 갈 해 단 변 가 크게 생한 단

~남 한 것 [그림 67] 다. 통해 할 는 사항

해 쪽에 한 단 2011 8월~2012 4월 사 에 많 양

식 , 남쪽에 한 단 많 양 퇴 루어

다는 다. , 강동 갈 해 쪽에 는 겨울철에 많 양

갈 식 었고, 남쪽에 는 많 양 갈 퇴 었 하 다.

탕 해 내에 갈 동 양상 추 해보 , 쪽

갈 연 swash 등 하여 남쪽 동하 것

상해볼 다. 는 지역 주민2) 뷰 통해 도 한 내용 ,

통해 쪽에 남쪽 연 , 그 통

해 갈 움직 는 것 볼 었다고 하 다. 본 연 에 는

증하고 추 하여 동 하고 하 나, 극

하여 할 는 없었고, 다만 추 가 남쪽

동하여 견 었 에 추후 재시도 해 볼 여지 하 다. 결 ,

겨울철에 강동 갈 해빈 쪽에 는 식 , 남쪽에 는 퇴 것

탕 갈 쪽에 남쪽 동하 것 추 해 볼

었고, 에 한 연 는 추가 진행 어 할 것 다.

2)백진환(화암수산 표,울산동부소방서 수난특별구조 장)

Page 11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100-

[Figure 68] Profile change by typhoon (north and south)

(Green : 2012.06.28 / Purple : 08.30 / sky-blue : 10.04)

Page 11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101-

마지막 강동 갈 해 단 변 에 해 볼 는 주요 사

항 태 에 한 갈 해 다. 2012 8~9월 사 에 3개

태 한 도에 향 미쳤 , 들 태 강동 갈 해 에도 큰

향 미쳤다. [그림 68] 태 향에 갈 해 주요 단 에

하고 한 것 , 2012 6월 28 태 향 없었

시 , 8월 30 태 볼 벤과 향 미 시 , 10월 4

태 산 가 향 미 시 고 할 다. 해보 , 태

볼 벤과 향 미쳤 , 가장 쪽 E축에 는 beach face

그 후 단 태 향 단 었고, 간 퇴 도 어

났다. 그 남쪽 D축과 강동 해 남쪽에 한 B축에 는 해

단 단 경향 하나, 간 식 생한 것 단

다. 다 태 산 가 향 미 고 난 후에는 E축과 D축 한

갈 해 쪽에 는 상당한 양 갈 퇴 었고, 남쪽 B

축 경우에도 beach face 께가 증가한 모습 할

다.

, 볼 벤과 향 체 식 어났지만 가장 쪽

에 는 퇴 어났 , 산 에 해 는 체 퇴 어났지

만 가장 남쪽 A축에 식 어났다. 통해 할 는 태

에 한 갈 해 상당 지 는 다. , 갈 해

내에 도 해 지 복 나 랑 근 향 등 다양한 요 들

결 어 태 에 한 랑 에 지가 다 게 향 미 것 고,

지 도 다양한 해 볼 다. 본 연 에

한 태 에 다양한 에 한 추가 연 가 필요한 근거가

다고 할 다. 에 태 향에 한 갈 해 에 해

연 한 , 경(2004) 태 에 해 거 도 학동 갈 해 식

었다고 하 는 , 본 연 결과 통해 태 향 하게 단할

는 니 고 할 다. 결 , 태 에 한 갈 해빈 태

에 달 질 뿐만 아니 한 태 내에 도 지 다양한 양상

Page 11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102-

보 , 특 한 어날 것 고 한 할 수 없다고 할 다.

강동 갈 해 단 변 주 찰하고 탕

갈 동 요 , 공간 퇴 과 식 변 , 태 에 한 등 살

펴보 다. 통해 갈 해 변 에 한 해 높 지만, 한계

도 재한다.

우 가장 큰 한계 갈 단 량에 겨울철 시 가

고 할 다. 본 연 행한 주 간 2012 ~가 시

에 겨울철 보하지 못하 , 추후 겨울철 단 변

도 하여 보 할 다.

한 추 시도하여 갈 동 과 도 추 해보고 하

나, 태 등 갈 동하 매 어 찾 가 어 웠고, 찾

추 도 도색 상당 벗겨지 어 운 등 한계 출하

다. 추 에 한 추가 연 통해 재 동 과

과 진행할 다.

러한 한계 하여 결 에 해 는 과학 근거가 할

여지가 므 , 보 하는 연 추가 행하도 하겠다.

2. 강동 갈 해빈 퇴 상

강동 갈 해 단 지 별 태 나타낸 그래프 [그림 69,

70, 71] 살펴보 , Zingg Sneed Folk 태 법 모 에

체 beach face에 후 갈 Spherical한 태 갈

감 하고, Disc나 Blade 납작한 태 갈 높 지고 다.

차 는 재하 도 남쪽과 쪽 해 모 체

경향 사하게 나타나고 다. 는 갈 태 지시해주는

Flatness index나 Krumbein sphericity에 도 마찬가지 는 내

용 다. 러한 원 는 Spherical Rod 태 갈

Page 11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103-

게 에 작 랑 에 지 도 게 동할 고 특

향 게 재 동 어, beach face 같 에 많

퇴 것 단 다. 한 Disc나 Blade 태 갈 평 랑

에 지 는 게 동 지 지만, 큰 에 지 에는 게

하여 후 동 고 추 할 다.

[Figure 69] Zingg / Sneed and Folk shape classification of

D-profile

[Figure 70] Zingg / Sneed and Folk shape classification of

B-profile

Page 11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104-

[Figure 71] Zingg / Sneed and Folk shape classification of

F-profile

그리고 단 지 별 갈 도 변 보 , 연 결과에 시

체 beach face에 어질 갈 도가 증가하 는 하

지만, 여러 단 간에 립질 퇴 간 재하고 다. 는

랑 에 지가 berm 에 지 게 립질 퇴 만

berm 후 동할 었 단 다.

강동 갈 해 갈 태 도 결과 합해보 , 갈

태는 후 갈 에 납작한 태 증가하고, 도는

beach face에 후 갈 증가하나 단 간에 립질 퇴 간

재함 할 다. 결 , 강동 갈 해빈 평시 랑 에 지

향 beach face에 는 갈 비 높고, berm 어

랑 에 지가 산 립질 갈 퇴 , 큰 에 지 랑

미 에는 큰 도 납작한 태 갈 하여 단 상 에 퇴

어 Large Disc Zone 는 등 뚜 한 퇴 상 보 다.

는 Bluck(1967) 시한 갈 해 상 퇴 상과 사한 결과

, 강동 갈 해빈 랑 에 지에 해 갈 태별 도별

잘 어나고 다고 할 다.

Page 11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105-

갈 태 시도할 , Zingg Sneed Folk 갈 태

법 모 용해 보 , 에 한 차 과 장단 해

보고 하 다. Sneed Folk 법에 10가지 크게는

Platy(Zingg Disc), Blade, Compact(Zingg Spherical),

Elongate(Zingg Rod) 할 다. Zingg

과 해보 , Spherical Rod 태 차 는 그리 크지

에 Disc Blade 차 는 매우 크다. Zingg 태

에 는 Sneed Folk 에 해 Disc 태 Blade

에 해 높게 나타난다. Zingg 태 법 I/L, S/I 게

하지만, Sneed Folk 법 S/L, (L-I)/(L-S), (S2/LI)1/3

하 에 단 가 가능하 , 본 연 에 차 생하는

원 에 해 는 추후 연 주 미루고 한다. 다만 본 연 에

태 시도하 한 Zingg Sneed Folk 차

Spherical Rod 비 차 는 크지 않 에, Disc Blade

비 차 가 크게 나타났고, Zingg 법에 Disc 태 많

Sneed Folk 법에 Blade 태 다는 다. 다만 러

한 차 납작한 갈 태 차 크게 생시키지는 , 퇴

상 연 결 도출에는 큰 향 미 지 는다.

각각 태 법 장단 , Zingg 태 장경・

경・단경 가지고 게 할 다는 과, 가지 태

통해 단 하 다는 장 다. 하지만 러한 단 한 갈

태 충 하지 못한다는 해, 보 하고 Sneed

Folk 태 법 시 었 , 장경・ 경・단경 복잡

하게 처리하여 10가지 다양한 갈 태 시도하여 다양한 갈

태 모습 하 다는 장 다. 하지만 러한 복잡함

갈 태 하는 가 에 단 도 다는

에 태 우열 가릴 는 없다. 결 , 연 목 연

상 에 맞춰 한 태 용하여야 한다.

Page 11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106-

3. 강동 갈 해빈 리 보 안

강동 갈 해 단 변 퇴 상 통해 갈 동 양상

추 하 고 탕 강동 갈 해 , 나 가 갈 해 리

보 에 해 시해보고 하 다.

강동 갈 해 겨울철에 큰 변 가 었 뿐만 니 태 에 해

도 변 겪고 다. 한 쪽 단 변 해보 겨울에는

식 었 나 4~6월에 걸쳐 상당 복 는 모습 보 다. 한

B축에 는 계 퇴 축 찰 는 등 갈 해 내에 갈

식 동, 퇴 매우 어나고 다. 한 러한 변

과 에 도 랑 에 지 향에 맞추어 beach face, berm, 그 후

가 태 도 생하는 등 체 매우 역동

변 과 보 고 는 지 고 할 다. 본 연 통해 는 강

동 갈 해 역동 에 해 하고 해할 었지만, 갈

동 역학과 랑 에 지 강도 등 직 지 해도 높 해

보 해 할 연 들 많다. 여 에 는 본 연 통해 해한

갈 해 경 탕 리 보 에 해 하고 한다.

강동 갈 해 갈 쪽에 남쪽 동하는 것

단 , 는 경주에 울산 어지는 갈 해 연 체 한

고 여겨지 에, 쪽에 공 는 갈 운 에 해 는 요

거할 필요가 다. , 같 공 쪽 다

차단해 는 안 , 남쪽도 마찬가지 갈 빠 나갈 수 도 차단

하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태 에 해 건 식 거나 퇴 는 것 니

에, 태 향 고 난 후 변 계 해 하는 작업 필요

할 것 다. , 갈 해빈 변 양상 하 해 지 모니

링 갈 피 변 하게 찰하는 것 필요하다.

Page 11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107-

재 간 동에 한 해 후 토지 용 갈 공 처가

후 지역 니 에 갈 퇴 지에는 큰 향 미 지 는

것 보 다. 다만 재 후지 보 해 남 게

해 쇄 상 생할 것 우 다. 한 큰 랑

미 에는 닷 범 하는 등 미 그 역할 한

에 안 보 하여 갈 동 해하지 않고 랑에 지

충 역할 할 수 는 새 운 해안 보 법 고민해야 할 것

단 다.

Page 11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108-

Ⅵ. 결

후 변 에 해 변 는 해 지역에 큰 향 미 고

, 특 해 퇴 지 경우 그 변 가 상당하게 생하고 다.

해 변 에 해 지 변 에 한 필요한 상

다.

해 퇴 지 해 변 에 하 해

는 재 해 퇴 지 해하는 것 필 , 특 퇴

하는 것 우 과 고 할 다. 하지만 주요

해 퇴 하나 갈에 한 연 는 많 루어지지 고 다.

본 연 에 는 러한 경 탕 울산 강동 해 연 지역

하여, 단 량 통한 갈 해 시 별 변 갈 퇴

태 도 통한 퇴 상 탕 갈 해 해하

한 연 행하 다.

단 변 하 해 강동 갈 해 내 6개축 하여

2011 8월・2012 4월・6월・8월・10월에 량 실시하 다. 그

리고 퇴 상 해 2011 8월 2012 4월에 6개축 주요

지 에 해 시료 채취하여 태 도 행하 다. 갈 직

동 추 해보고 추 연 도 시도하 지만, 는

했다.

강동 갈 해 단 변 통해 한 결과는 다 과 같다.

첫째, 겨울철 단 변 량 가장 큰 것 통해, 갈 동에 가장

큰 향 미 는 것 겨울철 강하고 지 랑 에 지

하 다.

째, 겨울철 해 쪽에 식과 남쪽에 퇴 탕 ,

갈 쪽에 남쪽 동하 것 추 할 다.

째, 태 향 한 결과, 태 에 한 갈 해

태 에 달 질 뿐만 니 한 태 내에 도 지 다양

한 양상 보 는 것 하 다.

Page 12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109-

다 , 강동 갈 해 퇴 상 통한 결과는 다 과 같다.

첫째, 평시 랑 에 지 향 beach face에 는 갈

많 퇴 고, berm 어 랑 에 지가 산 립질 갈

퇴 는 , 큰 에 지 랑 미 에는 큰 도 납작한 태

갈 하여 단 상 에 퇴 어 Large Disc Zone 는 등

단 내에 뚜 한 퇴 상 하 다.

째, 갈 태 에 용한 Zingg Sneed Folk 해

본 결과 Spherical Rod 차 는 크지 에, Disc

Blade 차 가 크게 나타났고, Sneed Folk 법에 높

Disc 태가 Blade 태 다는 것 하 다.

단 변 퇴 상 통해 강동 갈 해 갈 동에 한

해 높 고 하 , 탕 한 갈 해 리 책 시

하 다 과 같다.

첫째, 공 쪽 다 차단해 는 , 남쪽도 마찬가

지 갈 나갈 도 차단하지 말 한다.

째, 갈 양에 한 지 모니 링 갈 해 피 변

하게 찰하여 변 양상 하는 것 필요하다.

째, 보 하여 새 운 해 보 법 고민해 할 것

단 다.

Page 12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110-

참 고 헌

고 , 1993, 남 도 도리 남극 킹죠지 갈 해 에 한

퇴 학 연 , 울 학 학원 학 사학 .

과학 , 1998, 1:250,000 산 지질도폭 , 과학 .

, 2012, 한 지 학 연 –해 지 -, 한 지 학 지,

19(1), 1-15.

욱, 1989, Functional geomorphology 연 법 , 지리 집,

22, 15-27.

나 창, 원, 1987, 도에 포하는 잔 갈( 돌) 에

하여, 한 지 과학 지, 8(2), 189-190.

용, 1992, 경상 도 경주 나 리 해 갈 해 에 퇴 작

용, 울 학 학원 학 사학 .

. 경, 2004, 거 도 학동 갈해 변 그 원 에 한 연

: 해 단 모니 링 통해, 한 지역지리학 지, 10(1),

177-191.

Alegria-Arzaburu, A. R., Masselink, G., 2010, Storm response and

beach rotation on a gravel beach, Slapton Sands, U.K.,

Marine Geology, 278, 77-99.

Allan, J. C., Hart, R., Vincent Tranquili, J., 2006, The use of

Passive Integrated Transponder(PIT) tags to trace cobble

transport in a mixed sand-and-gravel beach on the

high-energy Oregon coast, USA, Marine Geology, 232,

63-86.

Blott, S. J., Pye, K., 2001, GRADISTAT: a grain size distribution

and statistics package for the analysis of unconsolidated

sediments. Earth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26,

1237-1248.

Page 12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111-

Bluck, B. J., 1967, Sedimentation of beach gravels: examples from

South Wales,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37(1),

128-156.

Bruun, P., 1962, Sea level rise as a cause of shore erosion,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proceedings: Journal of

Waterways and Harbors Division, 88, 117-130.

Bunte K., Abt S. R., 2001, Sampling surface and subsurface

particle-size distributions in wadable gravel-and cobble-bed

streams for analyses in sediment transport, hydraulics, and

streambed monitoring, Gen. Tech. Rep. RMRS-GTR-74. Fort

Collins, CO: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Rocky Mountain Research Station.

Buscombe D., Masselink, G., 2006, Concepts in gravel beach

dynamics, Earth-Science Reviews, 79, 33-52.

Caldwell, N. E., 1983, Using tracers to assess size and shape

sorting processes on a pebble beach, Proceedings of the

Geologists’ Association, 94, 86-90.

Dickson, M. E., Kench, P. S., Kantor, M. S., 2011, Longshore

transport of cobbles on a mixed sand and gravel beach,

southern Hawke Bay, New Zealand, Marine Geology, 287,

31-42.

Graham, D. J., Midgley, N. G., 2000, Graphical representation of

particle shape using triangular diagrams: An excel

spreadsheet method, Earth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25, 1473-1477.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Solomon, S., D. Qin, M. Manning, Z. Chen, M. Marquis,

Page 12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112-

K.B. Averyt, M. Tignor and H.L. Miller(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ted Kingdom and New

York, NY, USA.

Jennings, R., Shulmeister, J., 2002, A field based classification

scheme for gravel beaches, Marine Geology, 186, 211-228.

Krumbein, W. C., 1941, Measurement and geological significance

of shape and roundness of sedimentary particles,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11(2), 64-72.

Landon, R. E., 1930, An analysis of beach pebble abrasion and

transportation, Journal of Geology, 38, 437-446.

Li, H., Boufadel, M. C., 2011, A tracer study in an Alaskan gravel

beach and its implications on the persistence of the Exxon

Valdez oil, Marine Pollution Bulletin, 62(6), 1261-1269.

Miller, I. M., Warrick, J. A., Morgan, C., 2011, Observations of

coarse sediment movements on the mixed beach of the

Elwha Delta, Washington, Marine Geology, 282, 201-214.

Orford, J. D., 1975, Discrimination of particle zonation on a

pebble beach, Sedimentology, 22, 441-463.

Orford, J. D., Forbes, D. L., Jennings, S.C., 2002, Organisational

controls, typologies and time scales of paraglacial

gravel-dominated coastal systems, Geomorphology, 48,

51-85.

Sneed, E. D., Folk, R. L., 1958, Pebbles in the Lower Colorado

River, Texas: A study in particle morphogenesis, Journal of

Geology, 66, 114-150.

Wentworth, C. K., 1922, A field study of the shapes of river

pebbles, U.S. Geological Survey Bulletin 730-C, 103-114.

Williams, A. T., Caldwell, N. E., 1988, Particle size and shape in

pebble-beach sedimentation, Marine Geology, 82, 199-215.

Page 12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113-

Wolman, M. G., 1954, A method of sampling coarse river-bed

material, Transactions, American Geophysical Union, 35(6),

951-956.

Yuzyk, T. R., Winkler, T., 1991, Procedures for bed-material

sampling, Lesson Package No. 8, Environment Canada,

Water Resources Branch, Sediment Survey Section, Ottawa,

Canada, 100pp.

Zingg, T., 1935, Beitrag zur Schotteranalyse: Schweiz, Min. u. Pet.

Mit., 15, 39-140.

립해양 사원 (http://www.khoa.go.kr)

상청 (http://www.kma.go.kr)

울산 역시 청 페 지 (http://www.bukgu.ulsan.kr)

한 지질 원연 원 지질주 도 스 (http://gmap.kigam.re.kr)

한 하천 보시스 (http://river.kwater.or.kr/garam)

Page 12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114-

Abstract

Profile Change and Sedimentary

facies of Ulsan Gang-dong

Gravel beach in South Korea

Han Min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re is a growing necessity to predict response and change of

coastal landform, since sea level change in consequence of global

climate change can affect changes of geomorphic feature in

coastal area. Understanding the fact that coastal deposit

landform sensitively responds to sea level change is necessary.

Accordingly, researching response of sediment to sea level

change is one of the important research topics amongst coastal

geomorphologists.

Given the lack of studies regarding to gravel beach, this study

especially focuses on gravel, which is the one of the main

components of beach, and gravel beach itself to give more

insights to studies on beach. The research site for this study is

Page 12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115-

Ulsan Gang-dong beach in South Korea.

To verify profile change, six profiles were selected and

measured five times; August, 2011, April, June, August, and

October, 2012. And to verify sedimentary facies, gravel samples

were collected in several main points in the each profile in

August, 2011 and April, 2012, and their shape and size were

analyzed in the physical geography laboratory in SNU. A gravel

movement was also tried to be investigate by scattering colored

tracer, however, this attempt did not discover meaningful results,

because of low tracer-return rates.

As a result of the case study of Gang-dong gravel beach

profile change, strong and continuous wave energy in the winter

is unveiled as the most influential process to move gravel, and

the main direction of gravel movement is from north to south. In

addition to these results, this study figures out that the gravel

beach was differently respond to different typhoons hit the coast,

and the six profiles showed different reaction even under the

influence of the same typhoon.

According to Gang-dong gravel beach sedimentary facies,

spherical shape gravel deposits in beach face under the influence

of normal wave energy, whereas small sized gravel deposits

beyond berm, because of dissipating wave energy when the wave

crosses berm. Large sized and flat shape gravel deposits farther

than small ones in the profiles and it constitutes so-called ‘large

disc zone’, because it can float and move into inner beach when

strong wave comes. Consequently, Gang-dong gravel beach

represents significant sorting sedimentary facies.

Upon reviewing this research result, I would like to suggest

coastal management and gravel beach preservation methods.

Page 12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670/1/000000009064.pdf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116-

First, constructing artificial structures, which can interrupt

southward gravel movement, are highly not recommended.

Second, redeeming existed coastal levee and considering

alternative coastal protect methods are necessary. Lastly,

monitoring gravel volume change both continuously and

accurately to verify and predict gravel beach change aspect is

strongly suggested.

keywords : Gravel Beach, Gang-dong beach, Profile change,

Gravel Shape, Sedimentary Facies

Student Number : 2009-23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