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76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 ( Legal Code) 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Upload: others

Post on 24-Sep-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저 시-비 리- 경 지 2.0 한민

는 아래 조건 르는 경 에 한하여 게

l 저 물 복제, 포, 전송, 전시, 공연 송할 수 습니다.

다 과 같 조건 라야 합니다:

l 하는, 저 물 나 포 경 , 저 물에 적 된 허락조건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 터 허가를 면 러한 조건들 적 되지 않습니다.

저 에 른 리는 내 에 하여 향 지 않습니다.

것 허락규약(Legal Code) 해하 쉽게 약한 것 니다.

Disclaimer

저 시. 하는 원저 를 시하여야 합니다.

비 리. 하는 저 물 리 목적 할 수 없습니다.

경 지. 하는 저 물 개 , 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Page 2: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Page 3: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Page 4: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Page 5: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감사

이 논 이 지 부족한 를 심한 지도 격 이끌어 주신 이상

님께 진심 감사를 드립니다. 한 신 에도 많 심과

조언 논 심하게 보 해주신 님과 허종 님께도 이 감사

드립니다. 그리고 구강악안면외과 과 동안 뜻한 말씀과 가르침

보살펴주신 식 님, 차인 님, 강 님, 님,

님, 남웅 님, 동 님께도 감사 말씀 드립니다.

3 동안 생 함께한 든든한 동 민규, 여 , 이용 , 임 , 국

후 님들, 그리고 늘 에 우 원해주는 리 구들에게도 감사 마

합니다.

삶 이끌어주시는 하느님 에 감사드리며, 아낌없는 사랑 지

주시는 아버지 어 니, 장인어른과 장모님, 동생 에게도 감사 말 합니다.

마지막 사랑하는 아내 과 귀여운 아들 우에게도 항상 고맙고 사랑한다는

말 하고 싶습니다.

2015 12월

조 훈

Page 6: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i

차 ····································································································ⅰ

그림 차 ····························································································ⅲ

차 ·······························································································ⅴ

국 요약 ······························································································ⅶ

Ⅰ. ······························································································ 1

Ⅱ. 연구 상 법·············································································· 4

1. 연구 상····················································································· 4

2. 법····················································································· 4

3. CT 3차원 입체 상모델 작········································· 5

4. 3차원 입체 상모델 분리(segmentation) 첩(superimposition)

································································································· 6

5. 평면 ·········································································12

6. 근심골편 이동양상에 한 평가··························15

7. 하악지 골개조 양상에 한 평가 ··················································16

8. 법 차(method error) 평가·················································18

9. 통계 분 법········································································19

Ⅲ. 연구결과·························································································20

1. 법 차 평가········································································20

2. 하악지 골개조 양상··································································21

1) 하악각 ···················································································21

Page 7: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ii

2) 하악후연 ················································································22

3) 골편간 첩 부 ····································································25

4) S상 ················································································29

5) 하악 과 ···············································································32

3. 근심골편 이동양상 ···································································33

1) 근심골편 이동양상·····················································33

2) 근심골편 이동양상·····················································36

3) 하악지 부 별 골개조 과 근심골편 이동양상과 연

···························································································37

Ⅳ. 고 찰 ·····························································································45

Ⅴ. 결 ·····························································································55

참고 헌 ······························································································57

요약 ······························································································62

Page 8: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iii

그림 차

Figure 1. Superimposition process of skull models ································ 7

Figure 2. Segmentation process of mandible model ······························· 8

Figure 3. Superimposition process of proximal & distal segment of Imm

mandible model····································································10

Figure 4. Final superimposition models for evaluation ··························11

Figure 5. Reference points used to construct the reference planes ·······14

Figure 6. Difference assessment of reference points and angles of

proximal segment between each period ································16

Figure 7. Evaluation of bone remodeling pattern between Imm model and

1yr model············································································17

Figure 8. Accuracy assessment of superimposition ······························18

Figure 9. Bone remodeling pattern on angle area··································21

Page 9: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iv

Figure 10. Bone remodeling pattern on posterior border area (lateral

aspect) ··············································································23

Figure 11. Bone remodeling pattern on posterior border area (medial

aspect) ··············································································24

Figure 12. Bone remodeling pattern on segmental overlapping region ···26

Figure 13. Difference between buccal and lingual side when segments are

not contacted by cortical surface ········································28

Figure 14. Coronal view of segmental overlapping region of 1yr model ·29

Figure 15. Bone remodeling pattern on sigmoid notch area (sagittal view)

·························································································30

Figure 16. Bone remodeling pattern on sigmoid notch area (axial view)

·························································································31

Figure 17. Bone remodeling pattern on condylar head area ·················32

Figure 18. Difference of OST-l (Y) coordinate value at Imm-Pre period

·························································································40

Figure 19. Healing pattern between segments not contacted by cortical

surface ··············································································46

Page 10: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v

Table 1. Measurement of superimposition accuracy ·····························20

Table 2. Bone remodeling pattern on mandibular angle area··················22

Table 3. Bone remodeling pattern on posterior border area (lateral

aspect) ·················································································23

Table 4. Bone remodeling pattern on posterior border area (medial

aspect) ·················································································24

Table 5. Bone remodeling pattern on segmental overlapping region ······26

Table 6. Bone remodeling pattern by segmental overlapping pattern ·····27

Table 7. Bone remodeling pattern on sigmoid notch area (sagittal view)

·························································································30

Table 8. Bone remodeling pattern on sigmoid notch area (axial view) ···31

Table 9. Bone remodeling pattern on condylar head area······················32

Table 10. Changes of reference points on proximal segment ················35

Page 11: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vi

Table 11. Changes of proximal segment axis according to each plane ···37

Table 12. Grouping of ramus remodeling pattern on each site···············38

Table 13. Changes of OST-l point according to each group of angle ·····39

Table 14. Changes of CON~OST-l line according to each group of

posterior border (lateral aspect) ·········································41

Table 15. Changes of CON~OST-l line according to each group of

posterior border (medial aspect) ·········································41

Table 16. Changes of OST-u point according to each group of sigmoid

notch (sagittal view) ···························································42

Table 17. Changes of OST-u point according to each group of sigmoid

notch (axial view)·······························································43

Table 18. Changes of CON point according to each group of condylar

head ···················································································44

Page 12: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vii

국문 요약

구내 하악지 수직 골 단술 후 하악지의 3차원

태 변 및 골개조 패 에 한 분

구내 하악지 직 골 단 (Intraoral vertical ramus osteotomy, IVRO) 후

단 골 편들 간 고 없이 근심골편 변 가 허용 는 특징 인 경에

골 가 진행 다. 본 연구에 는 근심 원심골편 직후 3차원 입체

상모델 분리(segmentation) 작하여 1 경과시 동일부 상모델에 각각

첩(superimposition) 하 고, 이들 차이를 통해 후 하악지 골개조 양상

근심골편 이동에 해 분 하고자 하 다.

30명 자, 60개 하악지 양상 찰하 며, IVRO 1 후 모

양 한 골 합 상태가 찰 었 며, 이는 골 편간 양상과는 이 없었다.

직후 근심골편 원심골편 후 이동에 라 외 후 회 하 며,

동시에 하악 과 는 하 변 하 다. 1 후 근심골편 는

직후 변 향 움직여 상 계를 보 나, 한 원래

회귀 지는 않았다. 5개 부 구분하여 찰 하악지는 부 별

특징 인 골개조 나타냈다. 하악각, 하악 후연 외 , 골 첩 부 는 골

양상이 드러 며, 하악 후연 내 , S상 하악과 는 골침착 양상이

우 하 다. 이 하악각, 하악 후연 내 면, 하악 과 특징 인 변 를 보인

경우 변 가 없는 경우를 하 근심골편 변 한

보 다.

Page 13: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viii

이상 결과를 종합하 IVRO 시행 후 근심골편 종 인 는

직후 이동량과 연 이 높 인하 고, 골개조 과 에 나타나는 인

양상 악할 있었다. 앞 하악지 종 인 태변 에 여하는 주변

요인에 한 추가 인 평가를 통해 하악지 종 태에 한 보다 한

이 가능할 것 생각 다.

핵심 는 말 : 하악지 직 골 단 , 첩, 골개조, 근심골편, 하악지

Page 14: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1 -

구내 하악지 수직 골 단술 후 하악지의 3차원

태 변 및 골개조 패 에 한 분

< 지도 이 상 >

연 학 학원 학과

조 훈

Ⅰ.

구내 하악지 직 골 단 (Intraoral Vertical Ramus Osteotomy, IVRO)

하악골 S상 (sigmoid notch)에 부 하악각(angle) 하연 지 직

골 단하고 단 원심골편 후 시 근심골편과 첩시킴 써 하악골

이동하는 악 법이다. 이는 하악지 시상분할 골 단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SSRO)과 함께 하악골 돌증 안면 칭 자에 있어

시행 는 가장 인 악 식 하나 사용 고 있다(Park, 2009).

IVRO는 SSRO에 해 식이 간단하고, 낮 신경 손상 가능 , 장애 감소

등 여러 장 지닌다(Ghali and Sikes, 2000).

그러나 IVRO는 다른 통상 인 골 에 해 특징 인 경에 골 가

진행 어 이 식에 익 하지 못한 외과 들에게는 식 택 망 이게 하는

Page 15: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2 -

주요인이 고 있다. 후 근심골편이 원심골편 외 에 하여 골편들간

고 없이 피질골간 직 인 상태에 골 가 이루어지며, 이 과 에

근심골편 변 가 허용 인해 골 편들간 계도 변하게 다.

이러한 골 과 에 해 여러 가지 연구들이 진행 어 나 이 연구들

부분 동 실험 통한 조직학 소견(Bell and Kennedy, 1976; Lee and Park,

1997; Reitzik, 1983)이나, 2차원 인 사 사진 이용한 연구가

부분이었다(Chung et al., 2003; Nihara et al., 2013; Pan et al., 2013; Park, 1997;

Rhee and Park, 1996; Shepherd, 1980; 안, 2012). 한 후 골 편들간

부 뿐 아니라 주변 구조 들과 새 운 과 에 생하는 하악골

범 한 골개조 상과 태변 인하여 특히 하악 과 하악각 S상

일부를 포함하는 근심골편 변 를 히 악하 어 웠 며, 라

골개조 상태에 이에 한 변 경향 분 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3차원 산 단 (3-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입체 상

도입 존 2차원 상에 한 연구에 해 보다 한 구조, 태

재 가 가능해 며, 개악안면 역 진단 평가에 있어 이

이루어 다(Baik and Kim, 2010; Cevidanes et al., 2011; Kwon et al., 2006).

IVRO 3차원 분 한 이미 여러 연구가 행 어 양 한 골

양상에 한 평가는 이루어 지만(Arimoto et al., 2013; Oh, 2015), 앞 지 한

골개조 골 편들 간 계를 하거나 하지 못하 고 골개조 어

변 종 인 상태에 해 만 상 인 만이 이루어 다(Katsumata et al.,

2006; Ohba et al., 2014; Ueki et al., 2009).

Page 16: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3 -

IVRO는 후 고 지 않 상태에 골편들간 상 인 계 변 를

특징 하 에 이에 한 고 가 드시 필요하다. 라 본 연구에 는 3차원

산 단 상 이용하여 IVRO 시행 후 분리 는 골 편들 입체

상모델 각각 분리(segmentation) 작하 다. 입체 상모델 면

하여 골개조 후 상모델에 각각 첩(superimposition)함 써 새 운 에

골편 변 를 평가하고 한 골개조 태에 해 분 하고자 하 다. 동시에

인한 근심골편 이동양상 분 하고 그에 른 주변 해부학

구조 과 계 변 골 양상에 해 도 평가하 다. 이를 통하여 IVRO

시행 후 하악지 각 부 골개조 이해하고, 근심골편 하악지

태 변 를 인하는 것이 본 연구 목 이다. 이 연구 결과는 앞 시행

IVRO 후 골개조 이나 태 가능하게 해 자료가

있 것이다.

Page 17: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4 -

Ⅱ. 연구 상 법

1. 연구 상

2013 6월부 2014 10월 지 ○○ 과 학병원 구강악안면외과에 동일한

자에 해 상, 하악골 악 남자 19명, 여자 11명, 30명

(18~38 , 평균 : 21.3 ) 상 하 다. 모든 피험자들 , 직후

2일째 후 10~19개월 (평균, 12.2개월)이 었 개 안면골 산

단 (computerized tomography, CT) 동일한 법(protocol) 하 다.

(아래 항목 3에 명)

2. 법

모든 피험자들 양 IVRO를 사용하여 하악 후 이동시 며, 피험자 한 명

외한 피험자 29명 상악골 LeFort I 골 단 이 동 었고 상악골 속

고 (miniplate) 이용하여 고 (rigid fixation) 었다. 이 8명 피험자에 는

훼돌 단 (coronoidotomy) 함께 시행하 고, 이 경우 골편 고

강 (wiring) 이용해 원심골편에 시행하 골편 생리 움직임(physiological

movement)이 허용 도 하 다.

Page 18: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5 -

체 피험자 12명에 는 이부 이 동시에 시행 었다. 모든 피험자에게

후 7일간 악간 고 후 6주간 주간 악골-안면 근 리 운동 료 야간

악간 고 복 시행하 다.

3. CT 3차원 입체 상모델 작

모든 상자들에 한 CT ○○ 학 ○○병원에 High-speed

Advantage 산 단 (GE Medical System, Milwaukee, U.S.A.)를

사용하 다. 조건 high-resolution bone algorithm, field of view 24.1cm,

120mA, 100kV, scanning time 1 sec., thickness 0.6mm 다. 부 는

부 부 하악골 하연과 이부 연조직이 히 포함 도 하 며,

reconstruction matrix는 512*512 pixel, pixel 크 는 0.48mm이었다. 단면

상 보는 digital imaging communication in medicine(DICOM) 일

식 장하고 3차원 입체 료 상 프 그램인 Mimics 10.0 (Materialise n.v.,

Leuven, Belgium) 사용하여 개골 3차원 입체 상모델 작하 다.

Page 19: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6 -

4. 3차원 입체 상모델 분리(segmentation) 첩(superimposition)

1) , 직후 1 후 3차원 개 입체 상모델 첩

에 작 , 직후 1 후 3차원 개 입체 상모델

Rapidform 2006 (INUS Technology, Seoul, Korea) 프 그램 이용하여 개골

면 하여 첩하 다. 이 사용 (reference

point) 개골 양 상안 공(supraorbital foramen, SO) 양 골

안면공(zygomaticofacial foramen, ZFF)과 후 시 (lamda point, λ) 후

(protuberance of occipital bone, PTO)를 택하 다(Fig 1.).

Page 20: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7 -

Fig 1. Superimposition process of skull models.

A) Pre skull model, B) Imm skull model, C) 1yr skull model, D)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 C) (Pre : pre-operative, Imm :

Immediate post-operative, 1yr : post-operative 1 year)

Page 21: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8 -

2) 3차원 개 입체 상모델에 하악골 분리 직후 하악골 입체

상모델에 골편간 분리

Mimics 프 그램 이용하여 앞 첩 개 입체 상모델에 각각

하악골 분리하 다. 그리고 직후 하악골 입체 상모델 마찬가지 법

개 근심골편과 하나 원심골편 분리하 다(Fig 2.).

Fig 2. Segmentation process of mandible model.

A) Imm mandible model segmented from skull model, B) Segmented Imm

mandible model to two proximal segments(white) and distal segment(blue)

Page 22: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9 -

3) 분리 직후 하악골 골편 , 1 후 하악골 첩

분리 직후 하악골 골편 원심골편 Rapidform 프 그램 이용하여

1 후 하악골에 첩하 며, 개 근심골편 , 1 후

하악골에 각각 첩하 다. 첩시 각 골편 면 탕

첩하 며, 원심골편 하악골 양 이공(mental foramen, MF)

양 하 조 (infra-alveolar fossa, IAF) 택하 며, 근심골편 첩시

하악과 외 (most lateral point of condyle, CON-l), 내 (most medial

point of condyle, CON-m), 후 (most posterior point of condyle, CON-p),

하악지 후연 후 (most posterior point of posterior border of ramus, GON-

p) 하 다(Fig 3.).

Page 23: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10 -

Fig 3. Superimposition process of proximal & distal segment of Imm mandible

model .

A) Segmented Imm model, B) Superimposition of distal segment to 1yr

mandible model, C) Superimposition of proximal segments to Pre mandible

model, D) Superimposition of proximal segments to 1yr mandible model.

Page 24: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11 -

4) 첩 3차원 입체 상모델 재구

개골 첩 , 직후 1 후 3차원 개 입체

상모델에 각각 시킨 직후 하악골 근심골편 3차원 입체 상모델

재구 하여 , 직후, 1 후 근심골편 이동양상 평가하고자

하 다(Fig 4. A). 그리고 1 후 하악골 입체 상모델과 이에 각각 첩

직후 근심골편과 원심골편 입체 상모델 를 통하여 하악지 직골

단 후 하악지 골개조 양상에 해 분 하 다(Fig 4. B).

Fig 4. Final superimposition models for evaluation .

A) Superimposition models of proximal segment at each periods(yellow ; Pre

model, blue ; Imm model, green ; 1yr model) for evaluation of movement of

proximal segment, B) Superimposition models of 1yr mandible(green) with Imm

proximal segments(white) & distal segment(blue) for evaluation of remodeling

pattern of ramus

Page 25: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12 -

5. 평면

시상 평면(midsagittal reference plane, MSP) falx cerebri(FxCe),

foramen cecum(FC), center of foramen magnum(CFM) 지나는 평면 (Kim et al.,

2014) 하 며 평 평면(horizontal reference plane) 시상

평면에 직이면 좌 우 안구 심(eye ball center, EC),

시신경 (optic canal, Oc) 간 (midpoint) 지나는 안 평면(orbital

plane)(Kang et al., 2012) 하 다. 상 평면(coronal reference

plane) 시상 평면과 평 평면에 직이면 CFM 지나는 평면

하 다. 이에 라 X축 , Y축 후 , Z축 상하 지칭하는 것

결 하 고, 이 X축에 좌 , Y축에 , Z축에 하 에 할 경우 양

값 갖는 것 하 다. 각 과 평면 는 아래 리 그림과

같다(Fig 5.).

가. FxCe(falx cerebri) : the point of falx cerebri near Bregma on the coronal

section

나. FC(foramen cecum) : the most anterior & superior point of foramen cecum

다. CFM(center of foramen magnum) : the midpoint of foramen magnum at the

level of basion

라. EC(eye ball center) : the center point of eye ball in sagittal, axial and

coronal plane

Page 26: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13 -

마. midpoint EC : the midpoint of right and left EC point

. Oc(optic canal) : the most superior point of optic canal, both side

사. midpoint Oc : the midpoint of right and left Oc point

아. Midsagittal plane(MSP) : the plane constructed by three points of FxCe, FC,

CFM

자. Orbital plane : the plane normal to MSP and through 2 points of midpoint Oc

& midpoint EC

차. Frontal plane : the plane normal to MSP, Frontal plane and through a point of

CFM

카. zero point : the point as intersection of frontal plane with orbital and

midsagittal plane

Page 27: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14 -

Fig 5. Reference points used to construct the reference planes

A, B, C) Three reference points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midsagittal plane

D, E) Two reference points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orbital plane. ‘R’

and ‘L’ were used for distinction of bilateral landmarks.

F) Constructed reference planes and three-dimensional coordinate system to

denote X, Y, Z axis

Page 28: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15 -

6. 근심골편 이동양상에 한 평가

근심골편 변 를 하 하여 아래 같이 하 며, 이들

변 량 X, Y, Z 좌 축에 라 각각 분 하 다. (Fig 6.-A)

가. CON-l : the most lateral point of the condyle

나. CON-m : the most medial point of the condyle

다. CON(condyle) : midpoint of the CON-l and CON-m

라. OST-l : the lowermost point of osteotomy line

마. OST-u : the upper most point of osteotomy line

근심골편 , 직후, 1 후 이동양상 평평면, 시상평면,

상평면 에 평가하 하여, CON과 OST-l 연결하는 각각

시상평면, 상평면에 하여 각 평면상에 과 직후, 직후

1 후 이 이루는 각도 차이를 하 며, 평평면에 는 CON-l과

CON-m 연결하는 평평면에 하여 과 직후, 직후

1 후 이 이루는 각도 차이를 하 다. 각도 변 량 시

시상평면에 시계 향 회 할 경우, 상평면에 시계 향 회 할

경우, 평평면에 시계 향 회 할 경우 양 값 갖는 것

하 다(Fig 6.-B, C, D).

Page 29: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16 -

Fig 6. Difference assessment of reference points and angles of proximal segment

between each period.

A) Reference points representing proximal segement, B) Sagittal plane view, C)

Coronal plane view, D) Axial plane view

7. 하악지 골개조 양상에 한 평가

1 후 하악골과 1 후 하악골에 각각 첩시킨 원심골편과 양

근심골편 첩양상 SimPlant Pro 14.0 (Materialise Dental n.v., Leuven,

Belgium)에 하 며, 이를 각각 부 구분하여, 골개조 양상에 하여

평가하 다(Fig 7.).

Page 30: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17 -

가. 하악각(Mandibular angle)

나. 하악 후연(Posterior border of mandible)

다. 골편간 첩 부 (Segmental overlapping region)

라. S상 (Sigmoid notch)

마. 하악 과 (Condylar head)

Fig 7. Evaluation of bone remodeling pattern between Imm model(blue & white)

and 1yr model(green)

A) Buccal view, B) Lingual view

Page 31: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18 -

8. 법 차(method error) 평가

첩 평가하 하여, 임 택한 5명 피험자 직후 개골,

하악골 근심골편 원심골편 입체 상모델 에 시한 동일 법

1 후 입체 상모델에 각각 재 첩하여 법 차를 평가하 다. 존에

첩 3차원 입체 상모델과 재 첩 동일한 3차원 입체 상모델 Rapidform

프 그램 이용하여 입체 상모델 면 간 평균 거리를 하 다(Fig 8.).

Fig 8. Accuracy assessment of superimposition.

A)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wo models and showing average

distance(mm) by Rapidform software

Page 32: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19 -

9. 통계 분 법

골개조 양상 평가 시 골편간 첩 양상과 첩 부 골개조 과 연

검증하 해 Fisher 한 검증 시행하 다. 근심골편 이동양상 평가 시

좌 변 각도변 에 있어 시 별 변 량 간 한 차이를

검 하 해 본 t 검 시행하 며, 변 량 간 상 Pearson 상

계 분 법 회귀 분 시행하여 평가하 다. 한 하악지 부 별

골개조 에 라 군 하 며, 주변 변 량에 하여

군간 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 하 하여 Kruskal-Wallis test Mann-

Whitney test를 이용하 다. 통계 처리에는 PASW(Predictive Analytics SoftWare)

18.0 version (SPSS Inc, Chicago, IL, U.S.A.) 프 그램 사용하 며, p value가

0.05 이하일 경우 통계 하다고 하 다.

Page 33: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20 -

Ⅲ. 연 구 결 과

1. 법 차 평가

첩 평가한 결과, 동일한 개 3차원 입체 상모델 간 평균

거리는 개골에 0.11 ± 0.09mm, 하악골 근심골편에 0.15 ± 0.12mm,

원심골편에 0.10 ± 0.04mm 를 나타냈다(Table 1.).

Table 1. Measurement of superimposition accuracy.

skull proximal segment distal segment

average distance

(mm)0.11±0.09 0.15±0.12 0.10±0.04

Page 34: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21 -

2. 하악지 골 개조 양상

1) 하악각

골변 량 2mm를 상모델 인 구분하 며, 그 결과 22개

(36.67%) 근심골편과 11개(18.33%) 원심골편에 골 가 찰 었고,

29개(48.33%)에 해당하 다. 16개(26.67%) 경우에 는 하악각 골침착 소견

보 며, 20개(33.33%)에 는 큰 변 양상 보이지 않았다. (Fig 9., Table 2.).

Fig 9. Bone remodeling pattern on angle area.

A, B, C) Imm, 1yr, Imm/1yr model of angle, D, E, F) Color diagram showing

bone resorption(pink) and apposition(blue) more than 2mm.

Page 35: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22 -

Table 2. Bone remodeling pattern on mandibular angle area.

mandibular angle area N (%)

bone resorption (>2mm) 29 (48.33%)

- on proximal segment 22 (36.67%)

- on distal segment 11 (18.33%)

bone apposition (>2mm) 16 (26.67%)

non specific 20 (33.33%)

2) 하악 후연

외 면에 2mm 골변 양상 찰하 며, 48개(80%)에

골 소견이 찰 었다. 27개(45%) 근심골편, 24개(40%) 원심골편에

골 소견 보 며, 근, 원심골편 소견 동시에 보인 경우는

3개(5%) 다(Fig 10., Table 3.).

하악 후연에 는 내 면 특징 인 골침착 양상이 찰 었 며, 그 태는

각각 bony spicule 태 bony ridge 태 구분할 있었다.

53개(88.33%) 하악 후연 내 면에 골침착이 찰 었 며, bony spicule과

bony ridge는 모 38개(63.33%) 경우에 찰 었다. 이 23개

(38.33%)에 는 bony spicule과 bony ridge가 동시에 나타났다(Fig 11., Table 4.).

Page 36: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23 -

Fig 10. Bone remodeling pattern on posterior border area (lateral aspect).

A, B, C) Imm, 1yr, Imm/1yr model of posterior border, D, E, F) Color diagram

showing bone resorption(pink) more than 2mm.

Table 3. Bone remodeling pattern on posterior border area (lateral aspect).

posterior border area (lateral aspect) N (%)

bone resorption (>2mm) 48 (80.00%)

- on proximal segment 27 (45.00%)

- on distal segment 24 (40.00%)

non specific 12(20.00%)

Page 37: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24 -

Fig 11. Bone remodeling pattern on posterior border area (medial aspect).

A, B, C) Showing bony ridge and spicule formation on Imm, 1yr, Imm/1yr model

of posterior border, D, E, F) Color diagram showing bony spicule connected

with bony ridge(blue).

Table 4. Bone remodeling pattern on posterior border area (medial aspect).

posterior border area (medial aspect) N (%)

bone apposition 53 (88.33%)

- bony spicule formation 38 (63.33%)

- bony ridge formation 38 (63.33%)

non specific 7 (11.67%)

Page 38: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25 -

3) 골편간 첩 부

골편간 첩 부 는 부분 과 에 각각 근심골편과 원심골편 골

양상 찰 었다. 60개 경우 에 는 49개(81.67%), 에 는

46개(86.67%) 경우에 골 가 나타났다(Fig 12., Table 5.).

골편간 첩 양상 부분(49개, 81.67%) 근심골편과 원심골편이 각각 과

에 하여 피질골 간 한 상태 었 며, 이 경우 에 는

49개(100%) 모 에 근심골편 골 가 찰 었 며, 에 는

46개(93.88%)에 원심골편 골 가 찰 었다. 근심골편과 원심골편이 직

피질골끼리 지 않고 나란히 한 11개(18.33%) 경우, 에 는

11개(100%) 모 에 골 양상 없이 smoothening 며 골 었 며,

에 는 골 가 6개(54.55%) 경우에 한하여 나타났다. 골편간 첩 양상과

이 같 골개조 (p<0.001)과 (p=0.004) 모 에 할만한

연 보 다(Table 6.). 경우 골편간 양상과는 하게 하악 후연

내 부 골침착 양상이 연장 며 골편간 첩 부 하 에 골이 침착 는

소견 보 다(Fig 13.).

Page 39: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26 -

Fig 12. Bone remodeling pattern on segmental overlapping region.

Showing typical pattern of bone resorption(pink) on buccal(A, B, C) and

lingual(D, E, F) aspect of Imm, 1yr, Imm/1yr model of overlapping region

Table 5. Bone remodeling pattern on segmental overlapping region.

segmental overlapping region

N (%)

buccal lingual

bone resorption 49 (81.67%) 52 (86.67%)

no bone resorption 11 (18.33%) 8 (13.33%)

Page 40: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27 -

Table 6. Bone remodeling pattern by segmental overlapping pattern.

segmental overlapping patternbone

resorption

no bone

resorptiontotal p†

buccal 49(81.67%) 11(18.33%) 60(100%) <0.001***

cortex to cortex contact 49(100%) 0(0%) 49(81.67%)

no cortical surface contact 0(0%) 11(100%) 11(18.33%)

lingual 52(86.67%) 8(13.33%) 60(100%) 0.004**

cortex to cortex contact 46(93.88%) 3(6.12%) 49(81.67%)

no cortical surface contact 6(54.55%) 5(45.45%) 11(18.33%)

p† : p-value of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 : p<0.05, ** : p<0.01, *** : p<0.001

Page 41: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28 -

Fig 13. Difference between buccal and lingual side when segments are not

contacted by cortical surface.

A, B, C) No bone resorption or apposition is observed on buccal side,

D, E, F) Bone apposition(blue) occurs on inferior part of lingual side

한 1 후 CT 상 상평면에 찰 시, 모든 경우 골편간 첩

부 에 특징 근심골편 내 피질골과 원심골편 외 피질골이 히

지 않고, 일부 남아있 인하 며, 이는 1 후 입체 상모델에

각각 첩 직후 근심골편과 원심골편 입체 상모델 외 과 일 하여

첩 인할 있었다(Fig 14.).

A) B)

Page 42: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29 -

Fig 14. Coronal view of segmental overlapping region of 1yr model.

A) Showing cortical bone healing state between two segments, B) Showing

contour of proximal(yellow) and distal segment(blue) of imm superimposition

model consistent with 1yr model

4) S상

시상면에 S상 에 한 변 양상 찰해 보면, 51개(85%)에

S상 부 골침착이, 2개(3.33%)에 는 골 가 찰 었다. 골침착 소견

일부에 는 특이한 양상 골 태를 보 며, 구체 hole defect,

depression defect, bony spicule 있는 소견이 각각 15개(25%),

9개(15%), 10개(16.67%) 찰 었다(Fig 15., Table 7.).

평면에 찰 시 S상 부 에 근심골편과 원심골편 골편 사이

bridging 하 며, 4개(6.67%)에 는 근심골편 라, 18개(30%)에 는

원심골편 라, 38개(63.33%)에 는 골편 간 에 bridging 며

었다(Fig 16., Table 8.).

Page 43: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30 -

Fig 15. Bone remodeling pattern on sigmoid notch area (sagittal view).

A, B, C) Imm, 1yr, Imm/1yr model showing bone apposition(blue) on proximal

segment, D, E, F) 1yr models showing hole defect, depression defect, and bony

spicule formation

Table 7. Bone remodeling pattern on sigmoid notch area (sagittal view).

sigmoid notch area (sagittal view) N (%)

bone apposition 51 (85.00%)

- hole defect formation 15 (25.00%)

- depression defect formation 9 (15.00%)

- bony spicule formation 10 (16.67%)

bone resorption 2 (3.33%)

non specific 7 (11.67%)

Page 44: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31 -

Fig 16. Bone remodeling pattern on sigmoid notch area (axial view).

A, B, C) Bony bridging occurs according to proximal segment, distal segment

and intermediate level

Table 8. Bone remodeling pattern on sigmoid notch area (axial view).

sigmoid notch area (axial view) N (%)

proximal segment level 4 (6.67%)

distal segment level 18 (30.00%)

intermediate level 38 (63.33%)

Page 45: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32 -

5) 하악 과

다른 부 에 마찬가지 2mm 골변 양상 찰하 며,

5개(8.33%) 경우에 만 하악 과 부에 골침착이 찰 었다. 이 3개(5%)

경우 과 상부에 골침착 보 고, 과 내 후 부 에 는 각각

1개(1.67%)에 2mm이상 골침착 양상이 찰 었다. 5개 골침착 경우를

외한 나 지 55개(91.67%)에 는 2mm 이하 골변 양상 보이며 었다

(Fig 17., Table 9.).

Fig 17. Bone remodeling pattern on condylar head area.

A, B, C) Imm, Imm/1yr model and color diagram showing bony apposition(blue)

more than 2mm

Table 9. Bone remodeling pattern on condylar head area.

condylar head area N (%)

bone apposition (>2mm) 5 (8.33%)

non specific 55 (91.67%)

Page 46: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33 -

3. 근심골편 이동양상

1) 근심골편 이동양상

(1) 하악 과 (CON)

직후 내 0.69±1.19mm, 1.36±1.54mm, 하

2.61±1.35mm 이동하 며, 1 후에는 직후 하여 외

0.27±0.57mm, 후 0.75±0.91mm, 상 2.17±1.02mm 이동하 다.

이동량 사이에는 내외 할만한 상 계가 없었지만(p=0.831), 후

직 인 변 에 는 통계 할 만한 상 계가 인 었 며, 직

변 에 높 상 계를 가 다(Y축 : R2 = 0.229, p<0.001, Z축 : R2 = 0.433,

p<0.001).

(2) 골 단 하 (OST-l)

직후 외 4.61±3.70mm, 후 6.29±3.71mm, 하

2.05±1.73mm 이동하 며, 1 후에는 직후 하여 내

1.11±1.79mm, 4.26±3.96mm, 상 1.83±1.55mm 이동하 다.

이동량 사이에는 X, Y, Z축에 모 통계 할 만한 상 계가

인 었 며, 상하 , 내외 , 후 인 변 높 상 계를

Page 47: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34 -

가 다(X축 : R2 = 0.295, p<0.001, Y축 : R2 = 0.167, p=0.001, Z축 : R2 = 0.396,

p<0.001).

(3) 골 단 상 (OST-u)

직후 외 3.44±2.34mm, 후 1.27±1.76mm, 하

4.62±1.64mm 이동하 며, 1 후에는 직후 하여 내

1.10±1.14mm, 1.03±1.69mm, 상 3.51±1.58mm 이동하 다.

이동량 사이에는 X, Y, Z축에 모 통계 할 만한 낮

상 계가 인 었 며, 후 , 내외 , 상하 인 변 높

상 계를 가 다(X축 : R2 = 0.172, p=0.001, Y축 : R2 = 0.264, p<0.001, Z축 :

R2 = 0.153, p=0.002).

Page 48: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35 -

Table 10. Changes of reference points on proximal segment.

reference

pointcoordinate Imm-Pre 1yr-mm p† correlation

coefficientβ

CON

X -0.69±1.19 0.27±0.57 <0.001***0.001

Y 1.36±1.54 -0.75±0.91 <0.001*** 0.229***-0.281

Z 2.61±1.35 -2.17±1.02 <0.001*** 0.433***-0.496

OST-l

X 4.61±3.70 -1.11±1.79 <0.001*** 0.295***-0.263

Y -6.29±3.71 4.26±3.96 <0.001*** 0.167**

-0.436

Z 2.05±1.73 -1.83±1.55 <0.001***0.396

***-0.564

OST-u

X 3.44±2.34 -1.10±1.14 <0.001*** 0.172**-0.202

Y -1.27±1.76 1.03±1.69 <0.001*** 0.264***

-0.493

Z 4.62±1.64 -3.51±1.58 <0.001*** 0.153**

-0.376

p† : p-value of paired t-test

* : p<0.05, ** : p<0.01, *** : p<0.001

Page 49: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36 -

2) 근심골편 이동양상

(1) 시상평면에 평가

시상평면 에 CON과 OST-l 연결한 직후 시계 향

8.33±4.39。 회 이동하 며, 1 후에는 직후 하여 시계

향 5.59±4.21。 회 하 다. 이동량 사이에는 통계 할 만한

낮 상 계가 인 었다(R2 = 0.161, p=0.001)

(2) 상평면에 평가

상평면 에 CON과 OST-l 연결한 직후 시계 향

5.95±3.87。 회 하 며, 1 후에는 직후 하여 시계 향

1.51±2.05。 회 이동하 다. 이동량 사이에는 통계 할 만한

낮 상 계가 인 었다(R2 = 0.300, p<0.001)

(3) 평평면에 평가

평평면 에 CON-l과 CON-m 연결한 직후 시계 향

10.58±6.73。 회 하 며, 1 후에는 직후 하여 시계

향 3.87±4.03。 회 이동하 다. 이동량 사이에는 통계 할 만한

낮 상 계가 인 었다(R2 = 0.368, p<0.001)

Page 50: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37 -

Table 11. Changes of proximal segment axis according to each plane.

axis view Imm-Pre 1yr-Imm p† correlation

coefficientβ

CON~OST-l

sagittal 8.33±4.39 -5.59±4.21 0.001** 0.161** -0.385

coronal 5.95±3.87 -1.51±2.05 <0.001*** 0.300*** -0.290

CON-l~CON-m axial 10.58±6.73 -3.87±4.03 <0.001*** 0.368*** -0.363

p† : p-value of paired t-test

* : p<0.05, ** : p<0.01, *** : p<0.001

3) 하악지 부 별 골개조 과 근심 골편 이동양상과 연

하악지 부 별 골개조 에 라 군 분 하 며(Table 12.), 각각

부 에 인 한 근심골편 하여 그 변 량과 군 간

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 하 다. 하악지 부 에 라 검 한 근심골편

다 과 같았다.

가. 하악각 ; OST-l

나. 하악 후연 ; CON과 OST-l 연결한

다. S상 ; OST-u

라. 하악 과 ; CON

Page 51: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38 -

Table 12. Grouping of ramus remodeling pattern on each site.

definition N

angle bone resorption (>2mm) 24

bone apposition (>2mm) 11

bone resorption+apposition (>2mm) 5

non specific 20

posterior border

(lateral aspect) bone resorption (>2mm) 48

non specific 12

(medial aspect) bone apposition (bony spicule+ridge) 53

non specific 7

sigmoid notch

(sagittal view) bone apposition 51

bone resorption 2

non specific 7

(axial view) proximal segment level 4

distal segment level 18

intermediate level 38

condylar head bone apposition (>2mm) 5

non specific 55

Page 52: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39 -

(1) 하악각

하악각 부 에 가장 인 한 근심골편 OST-l 이동양상 분 개 군에

라 분 하 다(Table 13.). 내외 이나 직 인 변 에 는 군 간에 통계

할만한 차이가 없었 나, 후 인 변 에 는 직후 이동량에 각 군에

한 다 결과 골 군과 골침착군 사이에 통계 한

차이(p=0.002)를 보 다(Figure 18.).

Table 13. Changes of OST-l point according to each group of angle.

reference

point

coordinate

/period

bone

resorption

bone

appositionresorption+

apposition

non

specificp†

OST-l

X

Imm-Pre 4.52±3.58 5.66±2.49 2.59±6.05 4.65±3.79 0.753

1yr-Imm -1.46±1.75 -1.18±1.85 -0.04±1.85 -0.92±1.80 0.473

Y

Imm-Pre -7.24±3.78 -3.23±3.22 -6.50±4.09 -6.77±3.10 0.023*

1yr-Imm 5.23±4.49 4.78±4.19 4.50±3.01 2.76±3.05 0.240

Z

Imm-Pre 2.19±1.88 2.14±1.21 1.57±1.91 1.96±1.82 0.940

1yr-Imm -1.60±1.81 -2.28±1.14 -1.41±1.64 -1.97±1.40 0.501

p† : p-value of Kruskal-Wallis test

* : p<0.05, ** : p<0.01, *** : p<0.001

Page 53: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40 -

Fig 18. Difference of OST-l (Y) coordinate value at Imm-Pre period .

Post-hoc test done by Bonferroni’s method (* : p<0.0083)

(2) 하악 후연

하악 후연 가장 할 있는 CON 과 OST-l 연결한 이동양상

후연 외 면과 내 면 분 에 라 분 하 다(Table 14., Table 15.). 후연

외 면에 른 분 에 는 통계 할만한 차이가 없었 나, 내 면 골침착

양상 상면에 찰 시 직후 이동량에 통계 한 차이(p=0.028)를

보 며, 골침착군에 특이군에 해 직후 큰 이동량 나타냈다.

Page 54: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41 -

Table 14. Changes of CON~OST-l line according to each group of posterior

border(lateral aspect).

axis view period bone resorption non specific p†

CON~

OST-l

sagittal

Imm-Pre 8.68±4.50 6.94±3.81 0.174

1yr-Imm -5.86±4.53 -4.48±2.39 0.618

coronal

Imm-Pre 5.91±3.89 6.08±3.96 0.948

1yr-Imm -1.72±1.88 -0.70±2.56 0.219

p† : p-value of Mann-Whitney test

* : p<0.05, ** : p<0.01, *** : p<0.001

Table 15. Changes of CON~OST-l line according to each group of posterior

border(medial aspect).

axis view period bone apposition non specific p†

CON~

OST-l

sagittal

Imm-Pre 8.43±4.42 7.58±4.41 0.557

1yr-Imm -5.58±4.01 -5.66±5.96 0.735

coronal

Imm-Pre 6.39±3.52 2.56±4.94 0.028*

1yr-Imm -1.69±1.90 -0.20±2.80 0.137

p† : p-value of Mann-Whitney test

* : p<0.05, ** : p<0.01, *** : p<0.001

Page 55: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42 -

(3) S상

S상 부 를 하는 근심골편 OST-u 시 별 변 량 시상면과

평면 에 른 분 나 어 계 하 다(Table 16., Table 17.). 그러나

각각 분 에 모 군 간에 통계 할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able 16. Changes of OST-u point according to each group of sigmoid

notch(sagittal view).

reference

point

coordinate

/period

bone

apposition

bone

resorptionnon specific p†

OST-u

X

Imm-Pre 3.32±2.15 3.74±2.48 4.30±3.69 0.740

1yr-Imm -1.04±1.11 -2.50±0.56 -1.14±1.33 0.163

Y

Imm-Pre -1.27±1.84 0.34±0.54 -1.68±0.94 0.173

1yr-Imm 0.95±1.72 0.17±0.93 1.79±1.53 0.290

Z

Imm-Pre 4.55±1.71 5.64±1.09 4.86±1.20 0.394

1yr-Imm -3.33±1.47 -5.85±0.72 -4.20±1.94 0.072

p† : p-value of Kruskal-Wallis test

* : p<0.05, ** : p<0.01, *** : p<0.001

Page 56: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43 -

Table 17. Changes of OST-u point according to each group of sigmoid

notch(axial view).

reference

point

coordinate

/period

proximal

segment level

distal

segment level

intermediate

levelp†

OST-u

X

Imm-Pre 2.13±1.70 4.41±2.26 3.13±2.33 0.072

1yr-Imm -0.94±0.94 -1.40±1.52 -0.97±0.93 0.305

Y

Imm-Pre -0.26±0.73 -1.35±1.84 -1.34±1.79 0.432

1yr-Imm 0.39±1.60 1.19±1.57 1.01±1.77 0.795

Z

Imm-Pre 4.31±0.76 4.93±1.61 4.51±1.73 0.587

1yr-Imm -4.22±0.90 -3.89±2.27 -3.26±1.16 0.359

p† : p-value of Kruskal-Wallis test

* : p<0.05, ** : p<0.01, *** : p<0.001

(4) 하악 과

하악 과 외 면과 내 면 인 CON 이동양상 앞 분 개

군 나 어 계 하 다(Table 18.). 내외 인 변 에 는 직후 이동량

1 후 직후 한 이동량에 모 통계 한 차이(p=0.042,

p=0.010)를 보 며, 후 인 변 에 는 직후 이동량에 한

차이(p=0.039)를 나타냈다. 면, 상하 인 변 에 는 군간에 통계

할만한 차이가 없었다.

Page 57: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44 -

Table 18. Changes of CON point according to each group of condylar head.

reference

point

coordinate

/period bone apposition non specific p†

CON

X

Imm-Pre -1.27±0.46 -0.64±1.23 0.042*

1yr-Imm -0.37±0.54 0.33±0.54 0.010*

Y

Imm-Pre 2.98±1.93 1.21±1.43 0.039*

1yr-Imm -0.60±1.28 -0.76±0.88 0.621

Z

Imm-Pre 3.31±1.65 2.54±1.32 0.161

1yr-Imm -1.45±0.63 -2.24±1.03 0.072

p† : p-value of Mann-Whitney test

* : p<0.05, ** : p<0.01, *** : p<0.001

Page 58: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45 -

Ⅳ. 고 찰

IVRO 시행 후 피질골간 상태에 진행 는 골 과 과 하여 과거에는

양 한 골 합 해 골 편간 견고한 고 (rigid fixation)과 피질골

거 (decortication) 필요 (Reitzik, 1983) 골막 리 소 (Bell and

Kennedy, 1976) 등이 주장 도 하 지만, 근심골편 범 한 골막

리, 골 편들간 고 후 하악 조 운동 통한 공 인 골 에

해 많 실험 , 임상 결과들이 시 어 다(Lee and Park, 1997; Park, 1997;

Rhee and Park, 1996). 라 IVRO는 골편들간에 특별한 고 식 없이 2주내

리 료를 통해 우 한 결과 후 안 보이며, 신경 손상

가능 감소 증상 등 장 가지는 시 자리잡아 다.

존 진단 장 용 평면 사 사진 이 간단하고 사

피폭량이 상 장 이 있 나, 3차원 구조 2차원 하

에 상 축소 등 곡이 가능하며, 구조 간 첩 인한 한계를

지닌다(Van Elslande et al., 2008). 산 단 보 이러한 2차원

상 한계를 벗어나 골 내부에 이루어지는 골 양상에 해 도 평가가

가능해 다. 조직학 인 는 한 골 합 양상과는 차이가 있지만

일 한 단면 상에 지 역 하운스필드 값(Hounsfield unit) 변 를

(Arimoto et al., 2013; Ueki et al., 2015)하거나 골 편간 간극 거리, 각도

등 하여 (Hasegawa et al., 2011; Ueki et al., 2009; Ueki et al.,

2014)하는 등 내부에 하나 골 태 는 양상 직 인할 있다.

Page 59: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46 -

하지만 산 단 시 시 마다 는 단면 벽하게 재 하

어 고 IVRO 경우처럼 골 편 이동이 동 경우 같 단면 한다는

보장 얻 힘들다.

본 연구에 는 이들 연구들처럼 시 별 단 상 하지 못해 시 별

골 양상 변 골 합 속도에 한 단 어 지만 종

태 골 합 상태를 단면 상에 인할 있었다. 특히 피질골간 직 인

이 이루어지는 골 첩 부 에 는 부 피질골이 직후에 해

미 하 는 하나 주변 망상골에 해 는 분명히 구분 는 사 과 가진

상태 그 남 고 있었다(Fig14.). 피질골간 이 이루어지지 않고 양

골 편이 나란히 한 경우에도 모 양 한 골 양상 인하 며,

면에 는 존 피질골 새 운 피질골이 며 는 양상

보 다(Fig 19.). 이는 하악 후연 내 면 골침착이 연장 것 (Fig 13.) 이

인해 안 인 골 합이 이루어질 것 생각 다.

Fig 19. Healing pattern between segments not contacted by cortical surface.

A, B) Showing newly formed lingual cortex

Page 60: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47 -

단 한 3차원 단 에 나아가 자료를 이용한 3차원 입체 상

프 그램 용 보다 한 상 부 인 분 이 가능해 다(Baik

and Kim, 2010; de Paula et al., 2013; Kwon et al., 2006). 3차원 상 프 그램

이용하게 면 원하는 부분 입체 상모델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분리 입체 상모델 개별 인 분 이 가능해지며, 다른 체 상 인

도 보다 하게 이루어질 있다. IVRO는 시행 후 골 편들이 첩 어

있는 상태이 는 하나 SSRO 는 달리 해면골이 면에 노출 지 않고

골 편들간 고 이 어 있지 않 며, 내외 피질골 히 포함하고 있어

골편들간 첩 부 에 각각 골편들 입체 상모델 분리 작하

쉬운 여건이다. 라 본 연구에 는 직후 한 단 상 이용하여

직후 상태 각 골편들 각각 3차원 입체 상모델 분리 작하 다. 이를 통해

후 변 하는 골 편들간 상 인 변 , 그리고 하악과 를 포함하는

근심골편 인 변 에 한 평가가 가능해 다.

하지만 이를 해 는 후 골개조 하악골에 근심골편 히 시키는

작업이 필요했 며, 이를 해 입체 상모델 첩 법 사용하 다. 일

첩 법 크게 강체 첩(rigid registration)과 강체 첩(non-rigid registration)

가지 구분할 있다. 강체 첩 강체 첩 이동(translation),

회 (rotation)뿐 아니라 크 조 (scale) 태 변 (affine)이 가능한 법이지만

용과 량 과 이 르게 어 임상 리 이용 지 못하고 있 며, 본

연구 같이 종 인 변 찰 경우 강체 첩 법도 용하게

사용 다(Cevidanes et al., 2011). 강체 첩 법도 입체 상모델 면에 한

Page 61: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48 -

첩(surface based registration)(Baik and Kim, 2010; Hajeer et al., 2004) 그리고

단 상 보 본 단 인 voxel에 한 첩(voxel based

registration)(Cevidanes et al., 2005; Lee et al., 2012; Oh et al., 2013) 가지

법 리 용 고 있 며, 첩 도에 있어 한 차이는 없다고 보고 고

있다(Almukhtar et al., 2014). 본 연구에 는 존 첩과는 다르게 인해

변하지 않는 고 상모델 없이, 골개조 어 변 상모델에 직

첩하는 과 이 시행 었다. 라 , 이 만한 심 입체

상모델 우 시키는 첩 시행한 뒤, 면 사이 거리를 소 하는

복 알고리즘(Iterative Closest Point(ICP) algorithm) 이용하는 첩 시행하 다.

첩 평가하 해 동일 개체에 하여 재 첩 시행하 며,

재 첩 상모델과 존 첩 상모델 간 면 평균 거리를 하 다. 분

결과 개골 첩에 는 평균 0.11±0.09mm, 근심골편 첩에 는 평균

0.15±0.12mm, 원심골편 첩에 는 평균 0.10±0.04mm 높 도를

보 며, 골개조 면이 부분 차지하는 근심골편에 도 다른 입체 상모델에

해 높았지만 낮 면 차이를 나타내어 첩 간 나마

평가하 다. 한 1 후 상모델에 각각 첩 근심골편과 원심골편

곽 이용하여 1 후 산 단 각각 개별 단면 상에 그

추가 인하 다. 각각 첩 골 편들 입체 상모델 곽

인한 결과 망상골 내에 잔존하 존 피질골에 해당하는 사 불 과 이

곽 안에 부분 포함 었 며, 이를 통해 첩 도를 재 인하고 동시에 해당

부 골 양상 인할 있었다(Fig 14.).

Page 62: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49 -

이상 첩 과 통해 그리고 1 후 에 첩 근심골편

그리고 직후 원래 근심골편, 3개 다른 에 존재하는 같

근심골편에 한 가 가능해 다. 근심골편 이동양상 한 과

연결한 각 평면에 하여 그 변 량 분 함

이루어 다. CON 직후 내 , 하 , OST-l 외 , 후하 ,

OST-u 외 , 후하 이동하 며, OST-l 후 이동량이 평균

6.29mm 가장 크게 나타났다. CON 구체 내 평균 0.69mm,

평균 1.36mm, 하 평균 2.61mm 이동하 며, 1 후 회복하여

원래 에 해 내 평균 0.42mm, 평균 0.61mm, 하 평균

0.44mm 변 자리 하 다. 이는 Bell and Yamaguchi (1991) 연구에

나타난 후 하악과 하 2.6mm, 1.7mm 이동양상과 원래

회복한다는 결과 사한 것 , 이 연구(Jung et al., 2009; Ueki et al.,

2007)에 진 것처럼 이러한 하악과 변 는 원 개

장애 감소에 여하는 것 해 할 있다.

CON~OST-l 직후 시상면 시계 향 , 상면

시계 향 , CON-l~CON-m 평면 시계 향 각각

회 하 며, 이 같 변 는 원심골편 후 이동에 른 근심골편 자연스러운

변 를 나타내 다. 이후 직후에 1 후 변 는 직후 변

향 나타났 며, CON 내외 변 를 외하고는 직후

변 량과 1 후 변 량이 할만한 상 계를 보 다. 이는 직후

변 었 근심골편이 골 과 에 원래 회복하 는 경향 보이나

Page 63: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50 -

히 원래 회복 지 못한 상태에 골개조 상이 진행 는 것

해 할 있다. OST-l 후 변 , OST-u 내외 변 , CON~OST-

l 시상면에 변 는 다소 낮 상 계를 나타냈 며, 상 계가

높았 CON 과 OST-l 직 좌 값 직후 이들 평균 이동량인

2.61mm, 2.05mm에 해 83.14%, 89.27% 각각 회복하여 원래 에

각각 평균 0.44mm, 0.22mm 하 종 이동하 다.

1 후 입체 상모델에 직후 근심골편과 원심골편 각각 첩함 써

골개조가 일어난 종 인 골편 시킬 있었 며, 이들 골편과

1 후 하악골 입체 상모델 부 별 함 써 인 골개조 태를

악할 있었다. 하악각 부 는 골 양상이 에 가 운 29개(48.33%)

가장 많이 나타났 며, 특 할만한 골 나 골침착 소견 보이지 않 경우도

20개(33.33%) 히 골 소견 보인 경우(16개, 26.67%)보다 많았다.

골 골침착이 동시에 나타난 4개(6.67%) 경우를 한 군 분 하고,

골 군, 골침착군, 특이군 등 4개 군 나 어 하악각 부 에 인 한

OST-l 변 량 분 한 결과 직후 골 군과 골침착군 후 인

변 량에 할만한 차이를 보 다. 골 군 평균 7.24mm 후 ,

골침착군 평균 3.23mm 후 이동하여 군 사이 차이는 평균

4.01mm 큰 차이를 보 다. 하악각 후연 골변 는 뒤에 할 하악

후연 골변 에 포함시 에 본 연구에 찰한 하악각 부 골개조

양상 하악각 하연 외 면에 었고 라 이러한 근심골편

후 인 이동량이 직 하악각 부 골개조에 여했다고 보 는 어 다.

Page 64: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51 -

다만 변 양 인해 후 종 인 하악각 하는 근심골편

차이가 주변 해부학 구조, 특히 하악각에 작용하는 근 내 익돌근 에

향 미쳤 것 사료 다(Cruz et al., 2009; Rodrigues et al., 2009).

하악 후연 부 는 외 면에 찰하 80%(48개) 경우에

골 는 소견 보 며, 특 할만한 골침착 양상 찰 지 않았다. 이를

하악 후연 외 면 골 군과 특이군 간 CON~OST-l 변 량

계 하 며 군들간 할만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하악 후연 내 면에 는

외 면과 인 골침착 양상이 88.33%(53개)에 찰 었 며, 이는

bony spicule이나 bony ridge 특이한 골 양상 나타내었고 후연 내 면

새롭게 하 다. 이는 앞 지 한 골편간 첩 부 면 지

범 이어 골 편들간 골 합에도 여하 다. 골침착군과 특이군 간에는

CON~OST-l 이 상면 에 직후 3.83。 한 차이를 보 다.

bony spicule이나 bony ridge 태 골침착 해당 부 내 익돌근 시 과

연 하여 생하는 것 보이며, 이는 근심골편 내외 회 변 량과 하여

근 신장이나 재 이 높 것이라 생각 다(Cruz et al., 2009).

골편간 첩 부 는 근심골편이 원심골편 외 에 하여 피질골 피질골

이 이루어진 경우(49개), 모든 경우(100%)에 골 가 찰 었 며,

에 는 93.88%(46개)에 골 가 찰 었다. 이들 계는 IVRO 시

본 도하고자 하는 계이며, 이 계에 한 근심골편과

한 원심골편 자연스럽게 어 원래에 해 외 회

근심골편 인한 골 면 불규 해소시 다. 이러한 인

Page 65: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52 -

소견 근심골편과 원심골편 첩 양상과 할만한 연 보 다. 원심골편

후 이동량 부족 인해 근심골편이 원심골편 외 에 하지 못하고, 후 에

나란히 한 경우 앞 지 한 불 한 골 합 없이 양 한 골 양상이

찰 다. 근심골편 외 회 도 일어나지 않 에 첩부 에 인

골 소견 보이지 않 며, 신 부 는 하악 후연 골침착 양상이

연장 어 나타나며 이는 안 인 골 합에 여할 것 보인다.

S상 부 는 시상면에 찰시 85%(51개), 부분 경우에 골침착

보 며, 이들 일부는 골침착 과 에 hole defect, depression defect, bony

spicule 등 특징 인 골결손부를 하 다. 이는 이 부 골 이 골편들간

첩 하 에 부 침착 다 보다 히 직 골 단 후 상 이동

원심골편 훼돌 해당 부 신장 골막 부 골 이 이루어진다고

해 할 있다. 소 경우에 골 (3.33%, 2개) 특이 인 변 (11.67%,

7개) 양상 보 고, 이들과 골침착군 각각 3개 군 나 어 OST-u 변

양상 분 하 할만한 차이는 찰 지 않았다. 평면에 찰시 각

골편 떨어진 에 bridging 는 태 자연스럽게 었 며,

이상(63.33%, 38개) 각 편 간 에 새 운 S상 하 며,

30%(18개)에 는 원심골편 에 맞추어, 6.67%(4개)에 는 근심골편 에

맞추어 bridging 었다. 이 태 bridging도 OST-u 변 량 간에는 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라 골침착시 추했 것처럼 근심골편 변 보다는

인 한 원심골편 특히 훼돌 변 , 그리고 훼돌 에 부착 근 변

연 이 높 것 추 다(Galiè et al., 2010; Gomes et al., 2012).

Page 66: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53 -

하악 과 부 골변 는 2mm 과 변 를 찰하 며, 5개(8.33%)

경우에 만 골침착이 찰 었고, 나 지 다 (91.67%, 55개)에 는 2mm를 지

않는 변 가 찰 었다. 이를 골침착군과 특이군 분 하여 이동양상 분 한

결과 내외 이나 후 인 면에 군간에 할만한 차이를 보 다.

골침착군에 내 , 후 큰 이동량 나타냈 며, 군 좌 값 차이는

내 평균 0.63mm , 후 평균 1.77mm 차이를 보 다. 골침착군 5개

에 골이 생 부 는 과 상부가 3개, 과 후 이 1개, 과 내 이 1개

미한 차이를 보인 과 이동 양상과 같 경향이었 며, 가장 많 변 를

보인 상 변 는 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과 골개조가

태나 를 회복하는 것이 아닐 있 나타낸다고 볼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각 골편들간 분리 첩 시행하 고, 근심골편 한

평가 동일한 객체에 를 통해 보다 하고 객 인 연구가

이루어 다. 하지만 직후 1 후 종 인 하악지를 하

나타난 태 변 에 해 골편 이동과 골개조 여도에 한 차이를 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 며, 다만 본 연구에 는 하악지 부 별 골개조 태를

분 하여 이동양상 미한 차이를 보는데 그쳤다. 한 본 연구에 구분한

하악지 부 별 골개조 양상 본 연구 편 를 해 임 구분한 것 실

연속 거나 부 별 향 는 골개조 양상에 해 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 생각 다. 향후 이에 한 평가를 해 골변 양상 단 히 도식 인

면이나 존 2차원 법 에 근거하여 평가하 보다는 3차원 인 입장에

량 평가하 한 법이 구체 어야 할 것 생각 며, 골편 변

Page 67: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54 -

외에 근 재부착, 리 료, 새 운 결과 인 근골격

등 주변 요인에 한 추가 인 평가도 필요할 것 사료 다. 이를 통해

후 하악지 종 골 태에 해 보다 히 하고, 에

조 가능한 요인에 한 고 가 다면 나 료 결과를 도모할 있

것 한다.

Page 68: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55 -

Ⅴ. 결

본 연구는 IVRO 시행 후 생하는 태 , 변 에 한 평가에 앞 골편

간 변 를 하 해 직후 3차원 입체 상모델 골편별 분리

작하 며, 이를 1 후 입체 상모델에 각각 첩하여 후 나타나는

골개조 양상 근심골편 이동에 해 보다 한 분 시행하여, 다 과 같

결과를 얻 있었다.

1. IVRO 1 후 찰한 60개 하악지에 모 양 한 골 합이

이루어 며, 이는 골 편간 양상과 하 다.

2. 근심골편 직후 변 는 원심골편 후 이동에 른 외 후 회

이동과 하악 과 하 변 를 동 하 다. 1 후 변 는 이러한

직후 변 상 계를 보 며, 히 원래 상태 회복 지는

못하 다.

3. 하악지 부 별 인 골개조 태를 찰할 있었다. 하악각, 하악

후연 외 , 골 첩 부 는 골 양상이, 하악 후연 내 , S상

하악과 는 골침착 양상이 드러지게 나타났 며, 특히 하악각, 하악 후연

내 면, 하악 과 특징 인 변 는 변 가 없는 군과 하

근심골편 변 에 있어 한 차이를 보 다.

이상 결과를 종합하 IVRO 시행 후 근심골편 종 인 는

직후 이동량과 연 이 높 인하 고, 골개조 과 에 나타나는 인

Page 69: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56 -

양상 악할 있었다. 추후 골개조에 여하는 주변 요인에 한 추가 인

평가를 통해 하악지 종 태에 한 보다 한 이 가능할 것

생각 다.

Page 70: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57 -

참 고 헌

Almukhtar A, Ju X, Khambay B, McDonald J, Ayoub A. Comparison of the

accuracy of voxel based registration and surface based registration for

3D assessment of surgical change following orthognathic surgery. PLoS

One. 2014;9(4):e93402.

Arimoto S, Hasegawa T, Kaneko K, Tateishi C, Furudoi S, Shibuya Y, et al.

Observation of osseous healing after intraoral vertical ramus osteotomy:

focus on computed tomography values. J Oral Maxillofac Surg.

2013;71(9):1602 e1- e10.

Baik HS, Kim SY. Facial soft-tissue changes in skeletal Class III orthognathic

surgery patients analyzed with 3-dimensional laser scanning.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10;138(2):167-78.

Bell WH, Kennedy JW, III. Biological basis for vertical ramus osteotomies-a

study of bone healing and revascularization in adult rhesus monkeys. J

Oral Surg. 1976;34(3):215-24.

Bell WH, Yamaguchi Y. Condyle position and mobility before and after intraoral

vertical ramus osteotomies and neuromuscular rehabilitation.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orthodontics and orthognathic surgery.

1991;6(2):97-104.

Cevidanes LH, Bailey LJ, Tucker GR, Jr., Styner MA, Mol A, Phillips CL, et al.

Superimposition of 3D cone-beam CT models of orthognathic surgery

patients. Dentomaxillofac Radiol. 2005;34(6):369-75.

Cevidanes LH, Oliveira AE, Grauer D, Styner M, Proffit WR. Clinical application

of 3D imaging for assessment of treatment outcomes. Semin Orthod.

2011;17(1):72-80.

Chung JH, Park HS, Hwang CJ. Morphologic and positional change of the

Page 71: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58 -

proximal segments after intraoral vertical ramus osteotomy of the

mandibular prognathism on submentovertex cephalogram. J Korean

Assoc Oral Maxillofac Surg. 2003;29:26-34.

Cruz DZ, Rodrigues L, Luz JG. Effects of detachment and repositioning of the

medial pterygoid muscle on the growth of the maxilla and mandible of

young rats. Acta Cirúrgica Brasileira. 2009;24(2):93-7.

de Paula LK, Ruellas AC, Paniagua B, Styner M, Turvey T, Zhu H, et al. One-

year assessment of surgical outcomes in Class III patients using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Int J Oral Maxillofac Surg.

2013;42(6):780-9.

Galiè M, Consorti G, Tieghi R, Denes SA, Fainardi E, Schmid JL, et al. Early

surgical treatment in unilateral coronoid hyperplasia and facial

asymmetry. The Journal of craniofacial surgery. 2010;21(1):129-33.

Ghali GE, Sikes JW, Jr. Intraoral vertical ramus osteotomy as the preferred

treatment for mandibular prognathism. J Oral Maxillofac Surg.

2000;58(3):313-5.

Gomes FE, Moraes RB, Luz JG. Effects of temporal muscle detachment and

coronoidotomy on facial growth in young rats. Brazilian oral research.

2012;26(4):348-54.

Hajeer MY, Ayoub AF, Millett DT. Three-dimensional assessment of facial

soft-tissue asymmetry before and after orthognathic surgery. Br J Oral

Maxillofac Surg. 2004;42(5):396-404.

Hasegawa T, Tateishi C, Uchida R, Nishi C, Furudoi S, Shibuya Y, et al. Osseous

healing after a sagittal splitting ramus osteotomy. Int J Oral Maxillofac

Surg. 2011;40(5):475-82.

Jung HD, Jung YS, Park HS. The chronologic prevalence of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associated with bilateral intraoral vertical ramus

osteotomy. J Oral Maxillofac Surg. 2009;67(4):797-803.

Page 72: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59 -

Kang YH, Kim BC, Park KR, Yon JY, Kim HJ, Tak HJ, et al. Visual pathway-

related horizontal reference plane for three-dimensional craniofacial

analysis. Orthod Craniofac Res. 2012;15(4):245-54.

Katsumata A, Nojiri M, Fujishita M, Ariji Y, Ariji E, Langlais RP. Condylar head

remodeling following mandibular setback osteotomy for prognathism: a

comparative study of different imaging modalitie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6;101(4):505-14.

Kim HJ, Kim BC, Kim JG, Zhengguo P, Kang SH, Lee SH.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the midsagittal reference plane based on the skull base

symmetry for three-dimensional cephalometric craniofacial analysis. J

Craniofac Surg. 2014;25(2):338-42.

Kwon TG, Park HS, Ryoo HM, Lee SH. A comparison of craniofacial morphology

in patients with and without facial asymmetry--a three-dimensional

analysis with computed tomography. Int J Oral Maxillofac Surg.

2006;35(1):43-8.

Lee JH, Kim MJ, Kim SM, Kwon OH, Kim YK. The 3D CT superimposition

method using image fusion based on the maximum mutual information

algorithm for the assess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treatment

result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2012;114(2):167-

74.

Lee SH, Park HS. Bone healing process in early mobilization after vertical ramus

osteotomy of the mandible in adult dogs. J Korean Assoc Oral Maxillofac

Surg. 1997;23(3):434-457.

Nihara J, Takeyama M, Takayama Y, Mutoh Y, Saito I. Postoperative changes in

mandibular prognathism surgically treated by intraoral vertical ramus

osteotomy. Int J Oral Maxillofac Surg. 2013;42(1):62-70.

Oh KM, Seo SK, Park JE, Sim HS, Cevidanes LH, Kim YJ, et al. Post-operative

soft tissue changes in patients with mandibular prognathism after

Page 73: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60 -

bimaxillary surgery. J Craniomaxillofac Surg. 2013;41(3):204-11.

Oh MS. Healing pattern after vertical ramus osteotomy by time intervals on

micro-computed tomography. 연 학 학원. 2015.

Ohba S, Nakao N, Awara K, Tobita T, Minamizato T, Kawasaki T, et al. The

three-dimensional assessment of dynamic changes of the proximal

segments after intraoral vertical ramus osteotomy. Cranio.

2014:2151090314Y0000000023.

Pan JH, Lee JJ, Lin HY, Chen YJ, Jane Yao CC, Kok SH. Transverse and sagittal

angulations of proximal segment after sagittal split and vertical ramus

osteotomies and their influence on the stability of distal segment. J

Formos Med Assoc. 2013;112(5):244-52.

Park HS. A clinical study on prognosis of intraoral vertical ramus osteotomy for

mandibular setback in the mandibular prognathism. J Korean Assoc Oral

Maxillofac Surg. 1997;23(4):561-80.

Park HS. Transoral vertical ramus osteotomy. In Fonseca RJ, Marciani RD,

Turvey TA, editors :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2nd edition, St.Louis,

Saunders. 2009 :119-136.

Reitzik M. Cotrex-to-cortex healing after mandibular osteotomy. J Oral

Maxillofac Surg. 1983;41:658-63.

Rhee BI, Park HS. On long-term remodeling of osteotomized segments after

intraoral vertical ramus osteotomy in mandibular prognathism. J Korean

Assoc Oral Maxillofac Surg. 1996;22(1):70-85.

Rodrigues L, Traina AA, Nakamai LF, Luz JG. Effects of the unilateral removal

and dissection of the masseter muscle on the facial growth of young rats.

Brazilian oral research. 2009;23(1):89-95.

Shepherd JP. Changes in the mandibular ramus following osteotomy - a long-

term review. Br J Oral Surg. 1980;18:189-201.

Ueki K, Hashiba Y, Marukawa K, Nakagawa K, Alam S, Okabe K, et al. The

Page 74: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61 -

effects of changing position and angle of the proximal segment after

intraoral vertical ramus osteotomy. Int J Oral Maxillofac Surg.

2009;38(10):1041-7.

Ueki K, Hashiba Y, Marukawa K, Okabe K, Nakagawa K, Alam S, et al.

Evaluation of bone formation after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with

bent plate fixation using computed tomography. J Oral Maxillofac Surg.

2009;67(5):1062-8.

Ueki K, Marukawa K, Moroi A, Sotobori M, Ishihara Y, Iguchi R, et al. Evaluation

of overlapped cortical bone area after modified plate fixation with bent

plate in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J Craniomaxillofac Surg.

2014;42(5):e210-6.

Ueki K, Marukawa K, Shimada M, Yoshida K, Hashiba Y, Shimizu C, et al.

Condylar and disc positions after intraoral vertical ramus osteotomy with

and without a Le Fort I osteotomy. Int J Oral Maxillofac Surg.

2007;36(3):207-13.

Ueki K, Moroi A, Iguchi R, Kosaka A, Ikawa H, Yoshizawa K. Changes in the

computed tomography (pixel) value of mandibular ramus bone and

fixation screws after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Int J Oral Maxillofac

Surg. 2015.

Van Elslande DC, Russett SJ, Major PW, Flores-Mir C. Mandibular asymmetry

diagnosis with panoramic imaging.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8;134(2):183-92.

안재민. 구내 하악골 상행지 직 골 단 시행 후 상행지 골 개조 양상에 한

후향 연구. 연 학 학원. 2012.

Page 75: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62 -

Abstract

3-Dimensional change and bone remodeling pattern of ramus

after intraoral vertical ramus osteotomy

Hoon Cho

Department of Dental scienc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Sang-Hwy Lee, D.D.S., M.S.D., Ph.D.)

Bone healing of intraoral vertical ramus osteotomy (IVRO) occurs in a

distinctive environment with no rigid fixation between bone segments, so it

accompanies the movement of proximal segment. In this study, we performed

segmentation of immediate postoperative 3D model into each bone segments and

superimposition process was done separately by registration of each 3D models of

bone segment to postoperative 1 year 3D model. With this effort, we purposed to

analyze the remodeling pattern of ramus and the exact movement of proximal

segment precisely.

30 patients who underwent bilateral IVRO were analyzed, and totally 60

rami were emerged with favorable healing state regardless of contact condition

between two segments. In immediate postoperative phase, the proximal segment

Page 76: Disclaimer - Yonsei University · Superimposition of skull models from A), B),& C)(Pre: pre-operative, Imm: Immediate post-operative, 1yr: post-operative 1 year)-8 - 2)3 차원두개입체영상모델에서의하악골분리및수술직후하악골입체

- 63 -

moved into lateral and posterior rotation as a result of posterior movement of

distal segment, and displacement of condyle occurred simultaneously in anterior

and inferior direction. Following movement of proximal segment through

postoperative 1 year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immediate postoperative

change, and proximal segment was not fully recovered to preoperative state. The

ramus was sorted to five regions, and it was revealed with typical pattern on each

site. It appears with bone resorption tendency at mandibular angle, lateral aspect

of posterior border and segmental overlapping region, while medial aspect of

posterior border, sigmoid notch and condylar head showed bone apposition

tendency. In case of typical pattern of mandibular angle, medial side of posterior

border and condylar head, it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amount of movements

of proximal segment compared to others.

As a result of above, we could intuitionally understand the remodeling

pattern of ramus and the final position of proximal segment which was affected by

initial movement after surgery. Additional studies are needed to find out the

contributing factors of morphologic change in ramal remodeling, so we can easily

predict the final structure of ramus after IVRO.

Key words : vertical ramus osteotomy, superimposition, bone remodeling, proximal segment,

ram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