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cript
Page 1: 노동조합의 정치활동        :  외국의 사례

2007 년

권순미 ( 權純美 )한국노동교육원 교수

1

Page 2: 노동조합의 정치활동        :  외국의 사례

1

2

3

4

6

유럽 좌파정당의 현주소

좌파정당 성장의 유럽적 토대

유럽 좌파정당의 온건화

노조의 정치활동 유형

노조의 정치활동 사례

시사점

5

6

7

노조의 정치활동 유형이 다른 이유 ?

Page 3: 노동조합의 정치활동        :  외국의 사례
Page 4: 노동조합의 정치활동        :  외국의 사례
Page 5: 노동조합의 정치활동        :  외국의 사례

국가 집권당 집권시기 비고

스웨덴 중도우파연합( 온건 , 자유 , 기민 ,중도당 )

2006 년 ~ 좌파연합 ( 사민 , 녹색 , 좌파 ) 에서 우파연합으로(1.9% 차이 )

독일 대연정 ( 사민당제 2 당 ) 2005 년 ~ 좌파연정에서 대연정으로( 사민당 3 표 차이로 제 2당 )

프랑스 중도우파 ( 대중운동연합 ) 2007 년 ~ 2 차 결선투표에서 좌파연합( 사회 , 공산당 ) 과 6% 차이

이탈리아 좌파연합 ( 좌익민주당 ,재건공산당 등 9 개 정당 )

2006 년 ~ 우파에서 좌파로( 득표율 0.07% 차이 ), 07년 2 월 중도사퇴후 재신임

영국 중도좌파 ( 노동당 ) 1997 년 ~ 07.6.27. 블레어 사임 -> 고든 브라운 재무장관 취임

벨기에 좌우연립정부 1960 년대~

기독사회 , 사회 , 자유당등 9 개정당 정도

Page 6: 노동조합의 정치활동        :  외국의 사례
Page 7: 노동조합의 정치활동        :  외국의 사례

1. 변화의 제 1 계기 - ( 전통적 ) 노동계급은 다수가 아니다 ( 계급구성의 변화 ) - 노동자는 계급으로 투표하지 않는다 ( 사회적 계급과 정치적 계급의 차이 ) 계급정당 -> 포괄정당 (catch-all-party) 이데올로기 추구정당 -> 득표추구정당 예 > 독일사민당 1959 년 바드고데스베르크 강령

2. 변화의 제 2 계기- 동구 사회주의 몰락 -> 미국 주도의 단극체제 ( 중국경제의 시장화 )- 미국 주도의 신자유주의 세계화- 재정적자의 누적 시장친화적 정책 : 탈규제 , 민영화 , 연금개혁 , 근로복지 (welfare to work), 유연안정성

(flexicurity) 예 > 제 3 의 길 ( 영국노동당 ), 신중도 ( 독일사민당 ), 쇄신좌파 ( 프랑스사회당 )

Page 8: 노동조합의 정치활동        :  외국의 사례

영국 : 1980 년대 후반 , 자민당 (Liberal Democratic party) 의 제 3당화 .

자유당 + 사민당 . 노동당보다 경제정책 , 외교정책에서 좌파적 . 1997 년 총선 17% 득표 ( 46/659 석 ) -> 2005 년 5 월 5 일 총선 22% 득표 (62/646 석 ) Cf> 노동당 356 석 (35%), 보수당 197 석 (32%) Cf> 2001 년총선후 BBC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77% 는

기권이유로 “ 양당간 정책적 차별성이 없기 때문” 이라고 답변 .( 투표율 59.4%/ 05 년 61.3%)

네덜란드 : 사회당 (SP) 의 제 3 당화 . 94 년 첫 2 석 획득 -> 2006 년 11 월 22 일 총선에서 25/150 석 .

전통적으 로 좌파를 대표해 온 것은 노동당 (PvdA). 90 년대 이래 지속돼 온 사회보장제도 축소 , 대기업과 시장 주도의

유럽통합 , 나토와 미국이 주도한 유고전쟁 (1999 년 ) 아프가니스탄 전쟁(2001 년 ), 이라크 전쟁 (2003 년 ) 에 반대 . 우경화된 노동당에 실망한 유권자의 지지로 성장 .   

Page 9: 노동조합의 정치활동        :  외국의 사례

노조의 정치활동이란 “ 노조가 소기의 목적 달성을 위해 집단적 힘을 조직하여 자신의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일체의 행위” 를 말함 .

그 유형은 크게 세 가지 .

정치활동 유형 대표적 방식 대표적 사례

직접적영향력 행사

국가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총파업 , 시위 등

프랑스 , 한국

정당을 통한 영향력 행사

기능분담형 ( 노조 - 경제투쟁 , 정당 - 정치투쟁 )

독일 , 영국

적극개입형 스웨덴 , 일본총평(~80 년대 )

사안별 연대 미국 , 일본 (90 년대~)

사회적 합의 통한 영향력 행사

노사정 사회협약 북유럽 국가

Page 10: 노동조합의 정치활동        :  외국의 사례

1. 제도적 조건노조 정치활동에 대한 법적 허용 수준 , 노조의 공공정책결정에 대한 접근 가능성과 참여의 제도화 수준 , 정당체제의 성격

2. 이데올로기 지형냉전반공주의 ( 한국 ), 생디칼리즘 ( 프랑스 ), 점진적 개혁과 노사 자율주의 ( 영

국 )

3. 노조 조직력과 내부 통합력

4. 리더십의 성격과 인식정세판단 , 선거결과를 둘러싼 해석의 차이

Page 11: 노동조합의 정치활동        :  외국의 사례

스웨덴: 노총 (LO) 과 사민당의 조직적 연계 : 사람 , 재정 , 정책

1898 년 LO 총회 : 가맹노조는 사민당에 집단 가입해야 함 ( 강제규정 ), 금속노조는 반대 -> 1900 년 집단가입 의무규정을 권고사항으로 변경

-> 1987 년 사민당대회 : 노조의 집단가입을 개별가입으로 변경 LO 조합원의 1/3 이 사민당원 ( 사민당원 100 만명중 70% 에 해당 )

사민당 강령은 LO 와 공동으로 작성되었고 , 주요정책은 LO 의 정책팀에서 발의되어 사민당에 의해 채택되었으며 , 노사정대타협 통해 공식화 .

1938 년 살츠요바덴 (Saltsjöbaden) 협약을 필두로 한 사회적 대타협 , 렌 -마이드너 모델 (51 년 LO 총회에서 발표 , 56 년부터 전국적 실시 ) 에 의한 ‘연대임금정책 ’과 ‘적극적 노동시장정책 ’이라는 스웨덴 모델 (Swedish Model) 창출

사민당 , 좌익당 , LO 가 공동주관하는 노동교육협회 (ABF) 는 5 만여명의 강사 , 매년 전 국민의 20% 교육 ( 정치교육 , 비정치교육 각 50%). 100 만명이 ADF스터디그룹 가입 , 200 만명이 문화활동 참여 .

Page 12: 노동조합의 정치활동        :  외국의 사례

임노동자기금법은 83 년 제정되어 10 년간 시행하다 폐지 . 76 년에 제정된 노동자경영참여법은 잘 시행중 .

83 년부터 Metall 은 연대임금정책에서 이탈하여 SAF 와 독자 산별협약 체결 시작 . 금속사용자단체 (VI) 는 90 년대 초 기업별 교섭구조로 전환 시도 -> 내부이견과 95년 금속노조 파업으로 산별교섭으로 복귀 .

전국중앙교섭에서 금속노조 이탈로 LO 의 힘은 약화 . 현재 LO 는 주로 공공부문 노조나 상업부문 노조 등 내수 부문 노조들의 이익을 대변하는 조직으로 위상이 축소됨 . LO 는 전통적 복지국가 모델을 옹호하는 정치 캠페인 활동에 더 많은 힘을 쏟고 있어서 일종의 ‘準정당’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 . 현재 LO 는 좌익당과 더불어 ‘舊스웨덴 모델’을 지지하는 세력을 대변하는 핵심 조직 ( 신정완 2006).

금속노조는 07 년 초 화학 , 유리 , 고무 , 건설자재 , 섬유 , 의약품 등 제조업 노조와 통합하여 44 만명으로 조직 확대 (+5 만명 ). 제조업 전체 노동자의 70% 가 금속노조원 -> 사민당내 정치적 위상 강화

최근 노동진영의 성과는 고용안정법 통과 (07 년 1 월부터 시행 ) : 비정규직이 5 년간 일한 기간을 모두 합쳐 14 개월 되면 정규직화

최근 스웨덴은… ..

Page 13: 노동조합의 정치활동        :  외국의 사례

영국

TUC 와 노동당 간 인적 , 재정적 결속력은 매우 강함 . - 조합후원 의원 (union sponsored MPs) 은 전체 노동당 의원의 약 50%- 90 년대 중반까지 노동당원의 95%, 당 재정의 90% 이상을 노조가 담당- 블록투표제 (block voting, 1894~1995 년 ) 실시로 당대회에서 노조의 의사를 관철 가능

그러나 정책면에서 노조는 자신의 경제적 이익이 침해받지 않는 한 노동당 지도부에 모든

것을 위임하는 편 . “ 당 정치에 대한 노조의 자발적 무관심” 혹은 “정치적 태만” . 중앙집행위 (NEC) 와 전당대회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

정책결정방식 - 중장기 정책은 NEC 산하 정책소위 -> NEC 전체회의 -> 당대회 인준 절차를 밟음 - 선거강령은 NEC 와 의회위원회 ( 집권시에는 내각 , 야당시기에는 예비내각 ) 에서 마련 대부분의 의회지도자가 의회위원회 소속 . 또한 이중 많은 수가 NEC 위원 겸직 . 따라서 이들의 1 차적 관심은 선거승리 . 당대회는 생략할 때도 많고 NEC, 의회위원회의 합동위원회에서 채택된 안은 당대회에서

부결된 적 없음 . - 노조와 정당의 정책조율은 연락위원회 (Liaison Committee, NEC+ 의회노동당 , TUC)

가 담당

Page 14: 노동조합의 정치활동        :  외국의 사례

노조와의 거리두기

노조와의 거리두기는 87 년 선거를 앞둔 86년부터 시작되어 95 년 블레어의 New Labour 시기에 와서 완결

- 정책결정의 중심을 원외 (NEC, 당대회 , 지구당 ) 에서 원내로 . - 100 년 동안 유지해 오던 블록트표제를 폐지 , 1 인 1 표제 실시 . - 노조의 당대회 투표지분을 당원가입 규모에 상관 없이 70%로 제한 . - 당수 , 부당수 선출 위한 선거인단에서 노조 지분을 40%에서 1/3 로 축소 ( 나머지 1/3 은 원내노동당 , 1/3 은 지구당이 행사 ).- 당권경선 출마자는 의회노동당의 20%의 추천 ( 기존 5%) 을 통해 출마 가능 . - 여론 중시 . - 당헌 4 조 국유화조항 폐기 (95 년 )

97 년 집권 성공

Page 15: 노동조합의 정치활동        :  외국의 사례

일본1. 사회당 - 총평의 구조적 결속시기 (40 년대 말 ~90 년대 초 ) 이 시기 외형적으로 사회당 - 총평은 인적 , 재정적 , 정책적 측면에서 강한 상호

연계구조를 갖고 있었음- 사회당이 “ 5 만명의 당원으로 1천만표를 얻는 불가사의한 정당” 이 될 수 있었던 것은

총평의 적극적 지지와 결합이 있었기 때문 .- 특히 총평에서 주도권을 쥐고 있던 공공부문 ( 관공노 ) 이 사회당 당원 및 의원후보 ,

당재정 , 선거 및 일상시기 정치활동의 토대가 되었음 .- 사회당 당원의 압도적 다수가 총평 조합원이었고 ( 공공부문 대 민간부분의 비율은 3:

1), 총평출신 사회당 의원 수는 30~60% 수준 .- 선거시기마다 총평의 ‘정치활동위원회’가 선거자금을 모집하여 사회당에 전달- 총평은 사회당 전당대회에서 주요정책 결정과 당직배분에서 영향력을 발휘했으며 ,

사회당의 정보통신정책은 전기통신노조가 , 체신정책은 체신노조가 지방행정정책은 자치단체노조가 , 교육정책은 교직원노조가 담당 .

- 그러나 공공부문은 일본에서 가장 안정된 고용조건을 갖추고 있었고 , 조합원 수는 조직노동자의 10% 에 불과했음 . 게다가 일본 노조운동은 분열되어 있었고 , 좌파정당 또한 사회당 외에도 공산당 , 민사당이 존재했음 . 이 와중에 70 년대 오일쇼크를 계기로 일본 노조운동이 금속산업 대기업 노조를 중심으로 급속히 경제적 실리주의 노선으로 재편되면서 공공부문은 노조운동내 헤게모니를 상실 . 그 여파로 사회당의 지지기반도 협소화됨 .

또한 사회당 - 총평의 경직된 노선과 외교안보정책 우선의 선거전략은 탈냉전 상황에 적응하지 못하고 동반몰락의 길을 걷게 됨 .

Page 16: 노동조합의 정치활동        :  외국의 사례

2. 민주당 -렌고의 느슨한 연대시기 (90 년대 중반 ~ 현재 ) 노조운동과 정당체제 재편 - 노조운동 : 1989 년 , 총평이 민간부문중심의 렌고로 흡수통합 - 정당체제 재편 : 사회당은 86 년에 사민주의정당으로 노선 전환 , 94 년

외교군사정책에서 현실주의노선 수용 , 96 년 총선 앞두고 자민당 탈당파에 의한 신당창당 붐 등 대대적 정계개편 .

재편후 96 년 중의원선거에서는 총평계 노조들조차 지지정당 분산 : 민주당 , 신진당 , 공산당 , 심지어 자민당으로 .

렌고는 기본적으로 정당에 대해 상호독립주의 , 불개입원칙을 표방하고 있으며 특정 정당에 대한 고정적 지지관계를 갖고 있지 않음 . 대신 매년 정기대의원대회에서 정치방침 통해 지지정당을 재설정해 오고 있음 . 96 년에는 자민당을 제외한 전야당을 , 2000년부터는 민주당을 중심으로 연대 . 민주당과는 선거 전 정책협의를 통해 렌고의 제안을 선거정책 ( 매니페스토 ) 에 반영하도록 하고 있음 .

개별 정치가와의 관계는 정책실현의 관점에서 정당을 불문하고 목적과 정책 , 요구의 일치를 중심으로 사안별 연대 . 입법활동과 관련해서는 정부 내 각종 심의회에 참여하여 정책제안을 하는 한편 , 각 상임위의 족 ( 族 ) 의원을 대상으로 로비활동 집중 . 그 밖에 민주당과의 정기협의를 비롯 , 렌고조직내 의원간담회 ( 추천후보 포함 ) 를 실시해 오고 있음 .

현재는 ‘민주당을 기축으로 한 정권교체’를 최우선과제로 삼고 있으며 민주당과의 상호교류 및 정책협의 강화 , 국회대책활동 강화 , 민주당과의 공동조사 /연구활동 등을 계획하고 있음 .

또한 07 년 7 월에 실시될 참의원선거와 관련하여 노조추천후보의 비례대표 상위당선 , 후보옹립산별정치담당자회의 매월 개최 , 정치센터의 강화 , 공직선거법 연수회 개최 및 사례집 작성 , 정치교육 등을 추진해 오고 있음 .

Page 17: 노동조합의 정치활동        :  외국의 사례

정책 : 저항정당 , 반대정당에 머물러서는 안됨 . 비전과 각론에서 현실적 대안의 제시 . 경제성장의 비전과 전략 수립 없이 어떤 정당도 성공할 수 없음 . 경제성장의 관점 속에서 제 정책을 녹여내고 결합시킬 수 있어야 함 . 저소득층 , 저학력층은 왜 보수정당을 더 지지하는가 ? 왜 노동자는 지역주의의 포로가 되어 있는가 ?

조직 : 대중적 지지기반 확보를 위해서는 스웨덴의 노동교육협회와 같은 정치교육 , 스터디그룹 , 문화활동 등을 통합한 조직기제가 필요 . 프로그램개발 및 운영을 위한 인적자원 ( 강사단 , 실무진 , 자원봉사단 ) 과 역량을 결집 , 전국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 각 지역 /산별 실정에 맞는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 . 단위사업장별로 분산적인 정치활동보다는 각 단사 정치활동가들은 조합원과 그 가족들을 이 곳으로 연결시키는 역할 .

제도 : 비례대표성 강화를 위한 선거제도 개혁이 매우 중요 .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