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 hyang

7
eHyang Project 농농농농 농농농농 농농 농농

Upload: eduaction21

Post on 26-Jul-2015

280 views

Category:

Education


7 download

TRANSCRIPT

eHyang Project

농촌학생 영어교육 혁신 사업

문제 1 : 도시 농촌의 교육 격차

면소재지 이하의 마을에 학생이 거의 없음 .학교마저 폐교의 위기에 놓인 상태사교육 서비스 마저 서비스 불가능

영어교육은 접촉빈도에 따라 능력이 판가름농산어촌아이들은 노출빈도에서 도시의 아이들과 판이한 격차환경여하에 따라 개인에게 돌아가는 과실이 커질 수 있음 .

어떻게 하면 이러한 교육기회의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을까요 ? 

문제 2 : 정보화 마을의 화상상봉 시스템

전국 362 개 마을에 정보화 마을 에 다문화가정을 위한 화상상봉 시스템 설치 : 상대국의 사정으로 효용성 떨어짐

마을 관리자간의 긴회의 용도로 간혹 사용국내 이주여성끼리의 만남 등에 활용

이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방법은 없을까요 ? 

문제 3 : 결혼 이주민의 일자리 문제

이주민들의 일자리는 한국사회에 당당한 주체로 적응 하기위해 필수적인 과제

언어소통의 한계 또는 문화적인 한계 , 교육수준의 한계 등의 중첩된 문제로 일자리를 정상적으로 마련하기 어려움

과연 이분들이 할 수 있으면서도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일은 없을까요 ?  

문제 1 문제 2 문제 3 새로운 가치

영어가 가능한 결혼 이주여성이

효용성이 떨어지는 화상상봉 시스템을 활용하여

농산어촌의 아이들에게 영어를 가르치면 ? 

각각이 분산되어 있을 때는 문제덩어리인 것들이 그것들의 각 요소를 결합하고 프로그램과 기획이라는 자원을 투입하여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일이 만들어짐 . 

사회 혁신 모델중의 하나라는 확신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

프로세스

- 부여 석성 버섯 마을의 아이들과 학습 시작- 충남도의 마을 을 1 순위로 실행- 충남도와 관련된 지원 예산과의 매칭 노력

- 수업의 안정적 시스템과 예산확보모델이 명확해진 후에 다른 지역으로 확산

- 영어 수업시스템이 확고해지면 그 이후는 수학 , 사고력   ( 독서논술 ) 등의 프로그램 진행

- 도단위의 캠프 또는 교류 프로그램 운영

과 제

- 안정적인 일자리 유지를 위한 지원예 산과 매칭   : 마을 , 협회 , 자치단체 , EduAction21 , 관련된 개인 모두의 과제

- 영어강사가 될만한 이주여성을 지역내에서 발굴하는 것

- 도 단위 사업을 관장해갈 사업 주체 확보

- 영어도서관 ( 순회라도 ) 설치하는 것

- 온라인 학습프로그램을 도입하는 것

- 현장의 아이들은 어떻게 누가 관리할 것인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