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 ·...

28
한국사회 제141(2013): pp.73-100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클래식, 뮤지컬, 영화 관람에 대한 개인속성요인과 문화자본 요인을 중심으로 - 1) . , . . , . . , . (+) . , . 주제어: 문화소비, 문화자본, 여가활동, 옴니보어, 유니보어 * 이 논문은 2009년 정부재원(교육과학기술부 인문사회연구역량강화사업비)으로 한 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KRF-2009-328-B00039). 숭실대학교 정보사회학과 교수([email protected])

Upload: others

Post on 26-Dec-2019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 · 이, 그 외 취미활동, 유흥, 담배 피우기, 아무것도 안하고 쉼)

한국사회 제14집 1호(2013년): pp.73-100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클래식, 뮤지컬, 영화 관람에 대한 개인속성요인과 문화자본 요인을 중심으로 -

1)

배 영**

요 약

본 연구는 여가 활동 중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화 콘텐츠 중 클래식 공연 관람과 뮤지컬 관람, 그리고 영화관람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 후 경험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응답자들의 설문을 통해 세 가지 문화콘텐츠에 대한 문화적 위계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고, 문화 콘텐츠 이용정도 간의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가 존재한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한국사회의 전반적인문화적 취향과 소비가 유니보어 가설에 입각한 설명보다는 옴니보어 가설의 적용

이 보다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문화 콘텐츠의 소비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한 회귀분석에서는 개인 속성요인 중 여가 활용 방식에 따라 문화 콘텐츠의 소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연관성을 나타내고 있었고, 부분적인 성별 효과를 통해 여성들이 뮤지컬 관람과 영화관람에 적극적인 문화소비를 하고 있는 것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문화자본 요인의 경우 본인의 교육 정도와 부모 중 어머니의 교육정도가세 가지 문화 소비에 대해 모두 정(+)적인 방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문화자본의 효과를 보다 체계적으로 가늠해보기 위해 클래식 공연을 대상으로 세 가지 요인을 차례로 투입한 결과, 경제적 자원보다는 문화적 자원의 소유 여부가 문화 콘텐츠 소비에는 보다 유의미한 관계성을 나타내었다.

주제어: 문화소비, 문화자본, 여가활동, 옴니보어, 유니보어

* 이 논문은 2009년 정부재원(교육과학기술부 인문사회연구역량강화사업비)으로 한

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KRF-2009-328-B00039).** 숭실대학교 정보사회학과 교수([email protected])

Page 2: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 · 이, 그 외 취미활동, 유흥, 담배 피우기, 아무것도 안하고 쉼)

74 한국사회 제14집 1호(2013년)

Ⅰ. 들어가는 말

전반적인 생활 수준이 높아지면서 여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산업

사회에서의 여가는 단순히 노동을 위한 ‘쉼’의 영역이 중요시 되었던데 반해,

산업화를 통해 가능해진 경제적 여유는 여가의 영역을 보다 다차원적인 활동

의 영역으로 변화시켰다. 김복수는 현대인들은 직장은 ‘쉼 없이 노동하는 곳’

이고 직장 밖은 ‘노동 없이 쉬는 곳’으로 인식하면서 여가를 위한 시간과 공간

을 확보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왔다고 주장하며, 역사적으로 보더라도 전통사회

에서 일상생활은 노동(일)이 중심이고 노동 외 활동은 노동의 주변에 위치한

기타 활동이나 사소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인식되어 온 것을 지적하고 있다

(김복수, 2011: 186).

하지만 경제가 성장하고 이에 따라 근로시간의 단축도 자연스러운 흐름으

로 이어지면서 여가에 대한 관심의 증가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국가 정책

적인 차원에서도‘여가활용’문제는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국가경쟁력 제고에

서 중요한 화두로 등장하였다. 과거 일과 여가가 서로 상반되는 개념으로 선

택을 해야 하는 것이었다면, 이제는 우리의 행복한 삶을 영위키위한 차원에서

근로자가 일과 생활을 모두 잘해내고 있다고 느끼는 상태인 WLB(Work and

Life Balance)추구 또한 강조되고 있다(한수정ㆍ조용준, 2010: 215).

여가는 ‘개인이 노동 혹은 그 밖의 의무로부터 자유로우며, 휴식, 기분전환,

사회적 성취, 개인적 발전을 위한 목적에 활용되는 시간’으로 정의되거나, 좀

더 폭넓은 차원에서 ‘개인이 자신의 자유의지에 의해 탐닉하는 일로서 직업,

가정 및 사회적 의무를 이행한 후에 휴식을 취하거나, 즐기거나, 지식증대, 기

술향상, 지역사회봉사에의 자발적인 참여 등을 수행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Parker, 1995: 17). 또한 여가를 구성하는 활동은 매우 다양한 차원과 방식으

로 분류되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통계청의 분류체계에 기반하여 교제활동(교

제 관련 전화통화, 가족․친척과의 교제, 그 외 사람들과의 교제, 인터넷을 이

용한 교제, 성묘, 벌초등, 기타 교제 관련 행동), 대중매체 이용(신문, 잡지, 텔

Page 3: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 · 이, 그 외 취미활동, 유흥, 담배 피우기, 아무것도 안하고 쉼)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75

레비전, 비디오, 라디오, CD, 테이프 등 음악 듣기, 컴퓨터 정보이용), 관람 및

문화적 행사 참여(영화, 연극, 콘서트, 전시회, 박물관, 스포츠 경기 관람, 기타

관람 및 문화행사 참여 관련), 스포츠 및 집 밖의 레저활동(걷기, 산책, 등산,

하이킹, 체력단련을 위한 개인운동, 그 외 스포츠, 드라이브, 소풍, 관광 및 구

경, 그 외 집 밖의 레저활동), 취미 및 그 외 여가활동(독서, 컴퓨터 게임, 놀

이, 그 외 취미활동, 유흥, 담배 피우기, 아무것도 안하고 쉼) 등 5개의 범주로

나누거나(김복수, 2011), 문화소비에 있어서의 매체 및 대상과의 관계를 중심

으로 미디어 이용형, 관계중심형, 개인중심형, 소일형 등 4개의 범주로 분류하

기도 한다(권상희ㆍ홍종배, 2009).

본 연구에서는 그 중에서 ‘관람 및 문화적 행사 참여’와 관련된 문화 콘텐

츠의 소비를 중심으로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보고자 한다. 즉, 어떤

사람들이 특정한 문화 콘텐츠의 소비에 보다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

지에 대하여 기존의 논의에서 제기되어 온 개인적 속성과 문화사회학적 요인,

경제적 요인 그리고 여가구성 조건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문화 콘텐

츠 소비에 기반한 문화실천은 전통적인 방식이라고 할 수 있는 극장이나 전시

회를 통한 관람에서부터 직접 악기를 연주하거나 시를 낭송하는 영역에 이르

기까지 매우 폭넓게 존재한다. 이와 같은 문화적 실천에 대해 기존의 문화사

회학적 혹은 문화자본에 기반한 연구 속에서도 문화소비의 특성 및 문화소비

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어 왔다(장미혜, 2001;

전범수ㆍ이상길, 2004; 최샛별, 2006; 한준 외, 2007; 이호영ㆍ장미혜, 2008;

한수정ㆍ조용준, 2010). 특히 여가 영역의 확대와 여가 시간의 증가, 그리고

삶의 질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이러한 논의를 보다 풍부하게 만드는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여가에 있어서의 문화 활동 중 본 연구에서 구체적으로 주목하고자 하는

바는 뮤지컬과 클래식 공연, 그리고 영화를 포함한 직접 관람을 통한 문화 콘

텐츠의 소비 영역이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이제까지 진행되어 온 관련 주제

에 대한 논의들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문화콘텐츠 소비를 파악하기 위해 실

시했던 설문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응답자들의 인식과 행태를 분석한다. 연구

Page 4: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 · 이, 그 외 취미활동, 유흥, 담배 피우기, 아무것도 안하고 쉼)

76 한국사회 제14집 1호(2013년)

의 주요한 대상인 영화는 장르에 따라 다른 양상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일반

적으로 오랫동안 대중들이 부담없이 접할 수 있는 문화콘텐츠라는 점에서 대

표성을 갖는다1). 클래식 공연의 경우 전통적으로 고급 문화 향유의 대표적 방

식으로 인식되어 있었다는 점에서 문화자본 연구에 중요한 대상으로 논의되

어왔고, 뮤지컬은 그동안 소수의 매니아 집단에 한정되어 향유되던 것에서 벗

어나 접근 기회의 확대와 함께 다양한 레퍼토리를 중심으로 최근 급속한 성장

세에 있다2). 앞으로의 논의를 통해 이러한 세 가지 문화 콘텐츠에 대한 소비

에 어떤 요소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파악해보기 위해 우선 선행연구들

에 대해 이론적으로 검토한 후, 설문조사의 결과 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검

증해보기로 한다.

Ⅱ.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 문제

1. 여가활용과 문화소비

여가는 근대 이후에 본격적인 논의가 이루어진 영역이다. 노동과 대비되는

것으로서 여가의 개념은 이미 그리스 시대부터 정립되어 있었으나 시간적, 공

1) 이호영 등은 대중들이 부담없이 접할 수 있는 영화에 있어서도 장르나 감독에 대

한 선호를 통해 내적인 차원에서의 취향의 위계가 존재한다고 본다(이호영ㆍ장미

혜, 2008). 2) 2012년 국내 영화시장은 전체 관객수가 1억9489만2244명으로 2011년(1억5972만

명)대비 21.9% 증가했다. 극장 매출 역시 1조 4551억 원으로 17.7% 성장했다(아시아경제. “'붐비는 영화관' 지난해 극장 매출·관객 수 역대 최대.” 2013년 1월 28일자). 2013년 3월까지 이미 5500만 명의 관객이 영화관을 찾아 국민 1인당 연평

균 4회 이상 극장에서의 영화 관람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뮤지컬

또한 2012년에 전년 대비 25% 매출이 상승한 2,500억원의 시장으로 급속히 성장

했다. 여기에는 장기공연이 가능한 뮤지컬 전용극장의 개장과 한류 아이돌 스타들

의 뮤지컬 진출로 외국인 관객이 증가한 점, 그리고 수준 높은 오리지널 작품의 내

한과 기존 인기 뮤지컬의 재공연이 시장확대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한국

콘텐츠진흥원, 2013: 44).

Page 5: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 · 이, 그 외 취미활동, 유흥, 담배 피우기, 아무것도 안하고 쉼)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77

간적으로 양자가 뚜렷이 구분되어 별개의 영역으로 자리 잡은 것은 산업사회

가 성립된 이후이다. 산업사회는 일터와 가정,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을 나누

고 양자에 별도의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일부 특권계층을 넘어 여가가 널리 일

반화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했다. 이로부터 여가는 사적 영역에 속하는 것이

며 소비적 활동에 속하는 것으로 개념화되었다(한수정ㆍ조용준, 2010: 217).

이러한 차원에서 노동은 공적인 시간과 장소에서 발생하는 생산과 관련된

활동을 의미하고, 노동 이외의 나머지 활동은 가족생활 중심의 사적인 시간과

장소에서 발생하는 일들을 의미한다. 산업사회 이전에는 공적 활동으로서 노

동이 사회적으로 부각되고 나머지 사적 활동들은 기타의 사소한 활동으로 취

급되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는데, 산업사회를 기점으로 하여 노동으로부터 여가

가 점차 분화되면서 여가에 대한 관심이 사회적․학문적으로 확장되기 시작

하였다. 자본주의의 발달과 함께 민주주의 의식이 사회적으로 형성되면서 여

가는 인간이 인간답게 살 수 있는 길을 모색하는 다양한 운동과 함께 증대되

어왔다. 아울러 산업화의 진전에 따른 노동의 질적 강화와 노동시간의 단축은

노동자가 노동으로부터 벗어나 자유롭게 자기 뜻대로 이용할 수 있는 시간의

확장으로 연결되면서 여가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확대되기 시작했다.(김복수,

2011: 186)

산업화 이전의 시각에서 보면 가치나 목적의 전도처럼 느껴질 수 있겠지만,

현대사회에서 여가가 삶의 목적이 되고, 노동은 여가생활을 가능하게 해주는

수단으로 인식하는 경우도 어렵지 않게 발견된다. 여가 시간에 이루어지는

TV시청, 영화, 스포츠, 독서, 공연, 연극, 미술, 음악, 전화, 커뮤니케이션 등의

활동은 기존의 사회화 과정과 맞물려 이루어지면서 현대 사회의 문화를 구성

하는 중요한 기제로 작용한다. 이처럼 여가는 인간의 삶 속에서 문화 창조의

토양이 되며, 여가 활동 그 자체가 하나의 문화를 형성하여 전승, 발전되기도

한다(권상희ㆍ홍종배, 2009: 62).

한국 사회에서도 공적 영역에서의 노동이나 일터가 우선시 되어오던 기존

의 가치가 삶의 질에 대한 성찰과 새로운 모색을 통해 변화하고 있다. 가치의

변화는 곧 생활의 변화를 유도하는데, 문화 향유나 소비에 대한 인식과 행태

Page 6: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 · 이, 그 외 취미활동, 유흥, 담배 피우기, 아무것도 안하고 쉼)

78 한국사회 제14집 1호(2013년)

에 있어서도 과거와는 다른 양상이 보편화되고 있다. 즉, 일부 계층의 고상한

취미로 여겨져 왔던 뮤지컬이 붐을 이루고 있고, 해설이 있는 클래식 음악회

가 양산되고, 해외 유명 화가들의 회고전이 빈번하게 마련되어 관람객 몰이를

하는 등 문화소비가 빠른 속도로 대중화되고 있다(김은미ㆍ서새롬, 2011:

206).

그렇다면 여가활동이나 문화 소비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사회과학적인 접근에서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는 개인의 속성의 차원에서 먼

저 살펴보면, 성별의 기준으로 볼때 한국 여성이 남성보다 여가시간이 짧고,

특히 맞벌이 부부의 여가시간이 크게 부족하며, 경제적으로는 저소득층이 여

가활동 비용을 줄이기 위해 가정 내에서 소극적인 여가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김복수, 188). 또, 생활시간과 관련하여 주40시간 근무제 및 주5

일 수업제 도입으로 시간적 여유가 늘어나면서 일부 여유층을 중심으로 영위

되던 다양한 문화 활동이 일상화․보편화 되어 여유활동의 고급화, 다양화,

대중화 및 광역화가 빠르게 진전되었다는 분석도 있다(한수정ㆍ조용준, 223).

아울러 권상희 등은 여가시간에 이루어지는 활동은 취미, 오락등 문화적인 활

동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여가시간과 문화활동은 매우 밀접한 연계되어 있다

고 보고, 여가시간의 활동을 크게 미디어를 이용하는 여가와 현실생활공간 활

동의 여가, 그리고 소일형, 오락형, 자기계발형 여가 활동 등으로 구분한 바

있다(권상희ㆍ홍종배, 2009: 67). 이 연구의 결과 세대별 여가문화소비에 대

해 유형별 모델을 적용하여 볼 때 전반적으로 젊은 세대일수록 개인 중심의

여가문화소비활동을 활발히 행하고 있고 삶의 만족도도 높은 반면, 노년층은

관계 중심의 여가문화소비활동을 중시하나 미디어나 소일거리형 여가문화소

비를 많이 하고 삶의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권상희ㆍ홍종배, 2009:

92-94).

하지만 보다 구체적인 차원에서 문화콘텐츠나 공연을 중심으로 문화 소비

를 살펴본 연구들에서는 성, 연령, 가계 소득과 같은 인구사회학적 요인들이

특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개인들의 문화 소비를 설명하고 있지 못하다. 이호영

등(2008)의 연구에 따르면 교육 수준이 문화자본의 폭을 의미하는 영화소비

Page 7: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 · 이, 그 외 취미활동, 유흥, 담배 피우기, 아무것도 안하고 쉼)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79

에 있어서의 소비 장르 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지만(이호영ㆍ장미혜, 2008), 김남인의 연구에서는 교육 수준이 문화소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제시하고 있다(김남인, 2010). 또 김선형은 문

화자본의 요소로서 학력의 유의미성이 나타났으나 성과 연령 등의 개인적 속

성변인과 경제자본의 영향을 포함한 모델을 구성하자 학력의 유의미성은 없

어지고 연령의 영향이 증가한다고 보고한 바 있다(김선형, 2010). 또한 채지영

등은 클래식 공연의 관람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분석한 논문에서 성별이나

연령을 포함한 인구통계학적인 변인은 별다른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았던데

반해, 클래식 음악 자체에 대한 관심이나 지식, 그리고 음악관련 교육의 이수

여부 등이 관람을 촉진시키는 요소로 작용함을 제시하고 있다(채지영ㆍ윤유

경, 2011). 아울러 김은미 등은 문화소비에 대한 집단별 분석을 통해 성별로는

여성이, 그리고 연령이 높아질수록 문화소비의 다양성이 증가한다는 점을 제

시한 바 있다(김은미ㆍ서새롬, 2011).

2. 문화소비와 문화자본

문화 소비의 개인적, 사회적 맥락과 관련하여 대표적인 학자인 부르디외는

자본의 형태(The Forms of Capital)에서 기존의 경제이론의 자본 개념을 비

판하면서 세 가지 형태의 자본이 계급 재생산의 메커니즘이라 주장하였다

(Bourdieu, 1986). 세 가지 형태의 자본이란 ‘경제 자본’, ‘문화 자본’, ‘사회

자본’을 말한다. 이중에서 문화자본을 그 형태와 내용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체화된 상태(embodied state)’, ‘객체화된 상태(objectified state)’, ‘제도화된

상태(institutionalized state)’의 세 가지 형태로 세분했다.

먼저 ‘체화된 상태의 문화자본’(embodied cultural capital)은 개인의 몸에

배태된 권위와 품위, 교양의 수준을 의미한다. 내적으로 체화된 상태의 문화

자본은 성장 과정에서 가족이 제공한 문화자본과 함께 상속된 속성들에 영향

받는 것으로 부르디외가 말하는 문화적 아비투스의 의미에 가장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객관화된 상태의 문화자본’(objective cultural capital)은

Page 8: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 · 이, 그 외 취미활동, 유흥, 담배 피우기, 아무것도 안하고 쉼)

80 한국사회 제14집 1호(2013년)

그림, 도서, 음반 등의 형태로 존재하는 문화적 재화나 상품에 기반한 자본을

의미한다. 이는 특정한 문화예술 콘텐츠를 생산하는 전문예술인들과 그들의

작품들을 수집하고 감상하는 특정 구매자들이 형성하는 자본이다. 객관화된

문화자본은 문화적 재화 형태가 화폐자본에 의해 계량화될 수 있다는 것일

뿐, 그것의 가치와 평가는 동시대의 문화환경과 문화적 자원을 유통하는 방식

에 의해 주관적으로 결정된다. 즉 객관화된 문화자본의 재화의 가치는 문화적

진정성의 가치와 반드시 일치하지 않으며, 그 격차가 클수록 객관화된 문화자

본은 표상의 힘을 지배하는 권력을 통해 강력한 독점력을 행사한다(이동연,

2009: 95-97). 마지막으로 ‘제도화된 형태의 문화자본’(institutional cultural

capital)은 공식적인 교육을 통해 획득하게 되는 학위와 자격증 형태의 문화자

본을 말한다. 부르디외의 문화자본은 그의 저작들 속에서 여러 의미가 존재하

지만, 핵심적으로 담긴 의미는 “사회에서 높은 가치를 인정받는 문화적 요소

를 인지하고 또한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의 소유의 정도”라고 할 수 있다. 문화

적 취향의 축적은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전승 및 세습되면서 시간의 경과

에 따라 그 양상이 사회 계급적으로 분화될 수 있다고 보았다. 때문에 고급의

문화적 취향을 갖는다는 것은 상류층에 의해 다른 계층을 구별지을 수 있는

경계로 작용하게 되며, 특정한 취향을 갖도록 하는 아비투스를 통해 타인과의

차별화 전략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는 문화적 혹은 예술적 취향에 있어서의 위계가 사회적 위계라

고 할 수 있는 사회계층이나 계급에 상응한다고 보는 논의로 연결된다. 부르

디외는 사회 구조 속에서의 계급적 위치와 문화적 위계 사이에 구조적 동형성

이 존재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사람들은 취향을 고급취향과 저급취향으로

구분하는데 고급취향이란 통상적으로 고전적인 고급예술에 대한 취향이자 사

회적 지위가 높은 사람들의 취향을, 저급취향이란 대중들이 즐기는 문화에 대

한 취향을 의미한다. 이 때 문화적 위계는 인지적 차원에서 ‘계급 효과’로 이

해될 수 있다(이호영ㆍ장미혜, 2008: 66-67). 반면 할레(Halle, 1992)는 이러

한 논의에 의문을 제기하며 뉴욕의 상류층과 노동자 계층에 대한 경험적 자

료의 분석을 통해서 부르디외가 주장하는 상류계급과 고급문화 취향 간의

Page 9: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 · 이, 그 외 취미활동, 유흥, 담배 피우기, 아무것도 안하고 쉼)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81

배타적 상응 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피터슨과 심커스

(Perterson and Simkus, 1992)는 미국사회의 상류계급에 대한 연구를 통해 직

업적 지위와 문화적 취향 간에는 부르디외식의 상응관계가 존재하지만 다른

계급의 문화에 대해서도 개방적인 면모를 나타냄은 물론 고상하지 않은 문화

또한 폭넓게 즐기고 있다는 점에서 부르디외가 가정한 바와는 다른 양상이 전

개됨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논의를 최샛별은 다음과 같은 도식 속에서 ‘유니보어’와 ‘옴니보어’

이론으로 정리하였다(최샛별 외, 2012: 318). 즉 유니보어는 부르디외의 이론

에 기반한 것으로 지배계급인 상층계급은 정통적 취향문화를, 중간계급은 중

간적 취향문화를, 민중계급은 대중적 취향문화를 향유한다는 것이다. 즉, 각

계급들은 계급적 위치에 상응하는 상호 배타적인 문화를 향유한다는 것이다.

반면 옴니보어 가설에서는 지배계급이 모든 계급의 문화를 즐길 수 있는 역량

을 갖추고 있어 폭넓은 문화를 향유하는데 비해 하층계급일수록 상층계급의

문화를 즐길 수가 없어 향유할 수 있는 문화의 폭이 매우 좁다는 점을 주장한

다. 옴니보어론은 문화소비 행위와 계급간 상응성(상층계급의 정통문화 소비

와 하층계급의 대중문화소비)을 지적한 부르디외의 문제의식을 계승하면서도

이를 새롭게 해석하여 다양한 사회적 맥락에서 현대의 문화소비 행위와 그 속

성을 탐구하는 개념적 배경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김은미ㆍ서

새롬, 2011: 206). 최샛별은 이와 관련하여 문화자본론의 한국적 수용에 관한

기존의 논의, 즉 구조화된 계급 구조에 기반한 장기간의 사회화과정이 없었기

때문에 아직 우리 사회에는 제대로 문화자본의 정착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주장에 대해 이의를 제기한다(최샛별, 2002; 2006). 2000년대 초반부터 이미

우리 사회에서도 문화자본을 통한 계층의 공고화가 여성을 중심으로 진행되

고 있기 때문에 지위집단을 변형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한 세대 정도만 더 진

행된다면 체화된 형태의 문화자본의 역할은 한층 더 강화될 것이고, 계층의

공고화 역시 가능하다는 것이다(최샛별, 2002).

Page 10: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 · 이, 그 외 취미활동, 유흥, 담배 피우기, 아무것도 안하고 쉼)

82 한국사회 제14집 1호(2013년)

지배계급

중간계급

하위계급

정통적 취향문화

중간적 취향문화

대중적 취향문화

지배계급

중간계급

하위계급

정통적 취향문화

중간적 취향문화

대중적 취향문화

유니보어 옴니보어

출처: 최샛별 외(2012)

<그림 1> 유니보어와 옴니보어

이외에도 옴니보어 논의와 관련한 국내 연구로는 부르디외가 주장했던 사

회계층과 문화 취향의 동형성(homology) 가설이 영화 영역에서도 경험적으로

입증될 수 있는가를 살펴본 이호영 등의 연구가 있다(이호영ㆍ장미혜, 2008).

여기에서 연구자들은 한국에서 상영되었던 영화들을 기준으로 문화자본과 경

제자본의 양에 따라 응답자들의 영화 장르 및 감독에 대한 선호체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문화자본의 양이 많아질수록 영화 장르

에 대한 관용적 성향을 보이지만 고급문화 관람 경험이 많은 사람들의 경우에

는 특정 영화 장르에 대해 배타적 태도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형성 가설과 대립하는 것으로 이해되어 온 문화취향의 다양성-편협성 가설

이 오히려 동형성 가설을 보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함을 시사한다. 다시

말해, 다양성 가설이 지지된다고 해서 문화적 위계와 사회적 위계의 조응이라

는 가설이 기각되는 것으로 파악하기 보다는 사회의 문화적 위계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3. 연구문제

이제까지의 논의에 기반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통해

여가에 있어서의 문화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보고자 한다.

Page 11: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 · 이, 그 외 취미활동, 유흥, 담배 피우기, 아무것도 안하고 쉼)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83

연구문제 1. 여가 활용을 위한 문화적 소비에 성과 연령, 주거 지역, 근로시

간 등 사회인구적 속성 변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기존의 논의 속에서 문화적 소비와 관련하여 분석되었던 기본적인 개인적,

사회적 변인들을 활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속성변인들의 효과 여부와 함께 문

화자본 요인들과의 비교를 도모해본다.

연구문제 2. 여가 활용을 위한 문화 콘텐츠의 소비에 있어서 개인의 문화자

본을 구성하는 요소들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이를 통해 개인의 문화자본을 구성하는 요인들은 다양하게 존재하지만 상

속자본과 획득자본의 틀 속에서 어떤 요인들이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

치고 있는지를 파악한다.

Ⅲ.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및 특성

본 연구를 위해 2011년 8월 19일부터 9월 16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사기관

인 (주)한국리서치에 의뢰하여 진행하였다. 조사의 대상은 전국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의 남녀로서 표본의 크기는 2000명이었고, 조사방법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1:1 대면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표본의 추출은 지역별 인구

비례에 의한 비례할당 후 조사구를 이용한 다단계 층화추출법(Multi-stage

stratified sampling)을 이용했는데, 구체적인 표본추출 과정은 1단계에서 2010

년 인구주택 총조사의 결과를 이용하여 성별, 연령별, 지역별 표본 크기를 산

출한 후, 2005년 인구주택 총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한 260,000개의 표

본조사구(PSU) 중 10%에 해당하는 26,000개의 일반조사구(표본 조사구에서

Page 12: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 · 이, 그 외 취미활동, 유흥, 담배 피우기, 아무것도 안하고 쉼)

84 한국사회 제14집 1호(2013년)

<표 1>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단위 : %)

사례수(명) 비율

▣ 전 체 ▣ (2000) 100.0

성 별

남 자

여 자

(977)(1023)

48.951.2

연 령

19 - 29 세30 - 39 세40 - 49 세50 - 59 세60 세 이 상

(390)(411)(441)(350)(408)

19.520.622.117.520.4

지 역 규 모

서울/ 광 역 시

시 지 역 (동)시 지 역 (읍)

(937)(928)(135)

46.946.46.8

학 력

중 졸 이 하

고 졸

대학 재학 이상

(306)(762)(932)

15.338.146.6

월 가 구 소 득

199만원 이하

200-300만원 미만

300-400만원 미만

400-500만원 미만

500-600만원 미만

600-700만원 미만

700만원 이상

모름/무응답

(275)(280)(404)(393)(320)(127)(197)(4)

13.814.020.219.716.06.49.90.2

주 관 적 계 층 인 식

1(최하)23

4(중간)56

7(최상)

(122)(233)(351)(715)(315)(193)(71)

6.111.717.635.815.89.73.6

Page 13: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 · 이, 그 외 취미활동, 유흥, 담배 피우기, 아무것도 안하고 쉼)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85

집단시설 조사구 및 섬지역 조사구 제외)를 표본틀로 활용하였다. 이어 전국

을 16개 층으로 층화한 후 층내에서 층화집락추출 방법으로 2,500개 표본 조

사구를 1차로 추출한 다음, 2,500개 표본 조사구에서 면단위 지역을 제외 후

200개 조사구를 무작위로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각 표본조사구별로 조사대상

가구를 10가구 내외 추출하여 조사대상 가구 내에서 만 19세 이상 가구원 중

1인을 무작위로 선정, 조사하였다. 본 조사에 활용된 표본의 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최대허용오차한계는 ±2.2% 포인트이다. <표 1>은 조사 대상에 대

한 일반적 현황을 정리한 것이다.

2. 주요 변수

본 연구의 변수 구성에 있어서 먼저 종속변수는 문화콘텐츠의 소비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가장 수준 높은 문화소비라고 여겨지는 클래식 공

연, 뮤지컬, 그리고 상대적으로 대중적인 문화소비 형태인 영화관람을 대상으

로 ‘지난 1년간 얼마나 자주 해당 콘텐츠를 관람했는지’에 대한 설문에 대한

응답을 5점 척도로 측정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독립변수는 크게 두 가지 차원을 고려하여 측정한 후 분석에 활용하였다.

먼저 개인 속성요인들로는 성, 지역, 본인소득과 같은 기본적인 변수와 함께

각 개인의 특성이 나타나는 여가선호방식과 여가시간의 물리적 크기 등을 중

심으로 구성하였다. 지역의 경우 대도시지역을 기준으로 소도시 및 지역을 더

미(dummy) 처리하였다. 여가 선호 방식은 통계청에서 수행 중인 생활시간조

사에 포함되어 있는 항목들을 참고하여 여가와 관련한 32개의 활동을 제시하

고 주로 하는 활동을 선택하도록 하여 분류하였는데, 분석을 위해 크게 두 가

지 활동, 즉‘매체 및 온라인 중심활동’과 ‘관계 및 오프라인 중심활동’으로 유

형화하였다3). 아울러 여가시간은 일주일간 근무일 수와 근로시간을 측정한

3) 여가 활동의 유형을 측정하기 위해 제시된 항목은 인터넷하기, 온라인게임하기, 독서하기, 신문/잡지읽기, 영화보기, 만화보기, 라디오듣기, TV/DVD/비디오보기, 음악듣기, 음악회(클래식, 오페라)나 전시회 관람하기, 노래방가기, 콘서트(대중가요)

Page 14: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 · 이, 그 외 취미활동, 유흥, 담배 피우기, 아무것도 안하고 쉼)

86 한국사회 제14집 1호(2013년)

후 해당 값을 전체 시간에서 뺀 값을 계산하여 변수화했다.

문화자본 요인은 먼저 부르디외의 분류에 의하면 상속자본이라고 할 수 있

는 부모의 교육정도와 획득자본의 영역에 포함되는 본인의 교육정도, 그리고

문화예술관련 교육의 경험여부를 포함하였다. 교육정도는 초등학교 이하에서

대학원 이상까지 모두 9단계의 항목을 통해 조사하였고, 문화예술관련 교육은

교육 경험이 있는 응답자를 기준으로 없는 응답자를 더미 처리하여 분석에 이

용하였다. 이와 함께 경제자본이라고 할 수 있는 가구 월 평균 수입과 주관적

계층 인식에 대해서도 조사하여 다중회귀분석시 보다 다차원적인 분석이 가

능하도록 구성하였다.

Ⅳ. 분석 결과

먼저 세 가지 문화 콘텐츠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파

악하기 위해 응답자 속성별 집단에 대해 ‘다음 OOO이 얼마나 고급스럽다고

생각하시는지요?’라고 질문한 후 평균차 검증을 통해 집단간 차이가 통계적으

로 유의미한지를 파악해 보았다.

먼저 예상대로 클래식 공연 관람이 세 가지 문화콘텐츠 중에서 가장 고급

스러운 것으로 나타났다(평균=3.84). 다음으로 뮤지컬 관람이 3.60의 값을 나

타냈고 영화는 가장 낮은 3.09의 평균값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속성과 관련

하여 살펴 보면, 우선 남녀간의 성별에 따른 인식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

고 있다. 가장 확실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 것은 연령대별, 다시 말해 세대간

의 인식차이라고 할 수 있는데, 전반적으로 젊은 세대들이 해당 문화 콘텐츠

가기, 악기연주하기, 그림그리기, 사진찍기, 춤추기, 수공예하기, 카드보드게임(화투, 바둑, 장기)하기, 운동하기, 운동경기관람하기, 문화행사참가하기, PC방가기, 쇼핑하기, 여행하기, 친구만나기, 친척만나기, 전화수다하기(문자, 통화 등), 사우나

/온천/찜질방가기, 낮잠자기, 명상하기, 집안가꾸기, 아무것도 하지 않기(휴식) 등

총 32개였다.

Page 15: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 · 이, 그 외 취미활동, 유흥, 담배 피우기, 아무것도 안하고 쉼)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87

<표 2> 고급스러움에 대한 집단별 평균값

사례수(명) 클래식 공연 관람

뮤지컬 관람 영화 관람

▣ 전 체 ▣ (2000) 3.84 3.60 3.09

성 별 F .075 .873 .656

남 성

여 성

(977)(1023)

3.833.84

3.583.61

3.083.10

연 령 F 5.817*** 6.019*** 7.019***

19 - 29 세30 - 39 세40 - 49 세50 - 59 세60 세 이 상

(390)(411)(441)(350)(408)

3.973.893.833.803.70

3.673.663.633.563.45

3.183.163.123.012.98

지 역 규 모 F 3.441* 2.078 8.119***

서울/ 광 역 시

시 지 역 (동)시 지 역 (읍)

(937)(928)(135)

3.873.833.67

3.583.633.50

3.033.163.04

월 가 구 소 득 F 6.544*** 6.560*** 1.252

199만원 이하

200-300만원 미만

300-400만원 미만

400-500만원 미만

500-600만원 미만

600-700만원 미만

700만원 이상

(275)(280)(404)(393)(320)(127)(197)

3.663.723.783.873.943.974.05

3.423.493.563.683.633.763.73

3.053.043.093.153.103.173.07

주 관 적 계 층 인 식 F 2.734* 4.646*** .744

1(최하)23

4(중간)56

7(최상)

(122)(233)(351)(715)(315)(193)(71)

3.753.753.763.863.854.003.99

3.483.463.563.613.623.813.63

2.993.053.113.103.103.113.13

* p < .05. * p < .01. *** p < .001

Page 16: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 · 이, 그 외 취미활동, 유흥, 담배 피우기, 아무것도 안하고 쉼)

88 한국사회 제14집 1호(2013년)

에 대해 고급스럽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러한 차이는 통

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집단간 차이인 것을 알 수 있다. 지역규모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는 대도시 지역의 응답자들이 클래식 공연 관람에 대해 고급스럽다

고 느끼는 정도가 다른 지역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있는 반면, 영화에 대해서

는 소도시 지역의 응답자들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마지막으로 소

득 수준에 따라 평균값을 비교해 보면, 클래식 공연 관람과 뮤지컬 관람에 대

해서 소득 수준이 높을 수록 고급스럽다고 느끼는 정도가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은 주관적 계층의식을 기준으로 집단 구분을 한 경우에

도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어 세 가지 문화 콘텐츠 간의 고급스러움에 대한

위계적 구조가 응답자들의 인식을 통해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부르디외에 따르면 고급 문화로 인지되는 특정한 예술이나 문화 형태는

그것의 실질적인 성격 때문이 아니라 그것이 지배계급의 문화이고, 상징적인

분류를 통해 계급 위세를 재생산하려는 지배계급의 논리가 작용하여 지배계

급과 고급문화의 임의적인 연결이 이루어진다. 분석 결과를 통해 볼 때 젊은

연령대에서 고급 문화에 대한 분류가 보다 명확하게 나타난다는 점이 흥미로

운데, 산업화 이후 평등주의나 사회 이동이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사회로 간

주되어 온 한국사회에서 젊은 세대가 서구적인 고급 문화에 대한 전형적인

가치를 더 강하게 내면화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고, 기존의 고급 문화

에 대한 이미지나 가치의 재생산이 우리 사회에서도 강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또 소득 수준이 높고 주관적 계층 의식이 높을수록 클래식

이나 뮤지컬 등을 고급 문화로 더욱 강하게 인식한다는 것은 자신들의 계급

성과 고급성을 연결시키려는 지배계급의 ‘구별짓기’의 노력으로도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응답자들의 실제 여가 활동 중에서 문화 향유 및 취향의 양상을

문화자본론의 유니보어/옴니보어 논의 속에서 찾아볼 수 있을지를 판단하기

위해 세 가지 문화 콘텐츠 이용정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Page 17: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 · 이, 그 외 취미활동, 유흥, 담배 피우기, 아무것도 안하고 쉼)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89

<표 3> 문화컨텐츠 이용 정도에 대한 상관분석

뮤지컬 관람 영화 관람

클래식 공연 관람

Pearson 상관계수 .722*** .368***

유의확률 (양쪽) .000 .000

N 2000 2000

뮤지컬 관람

Pearson 상관계수 .454***

유의확률 (양쪽) .000

N 2000

*** p < .001

상관분석을 통해 나타난 결과는 세 가지 문화콘텐츠 간에 비교적 높은 상

관관계가 존재한다는 점이다. 즉, 클래식 공연을 많이 관람하는 응답자가 뮤

지컬이나 영화관람에 있어서도 적극적이라는 의미이다. 다만, 앞에서 살펴 본

것처럼 고급 문화로 인식되는 클래식공연 관람과 뮤지컬 관람 사이에는 .722

라는 높은 계수 값이 나타나는 반면, 클래식 공연 관람과 영화 관람 사이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368이 나타나고 있어 관계의 정도에 있어서는 차이가 존재

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세 가지 문화 콘텐츠의 소비에 대한 결과를 통해 유추해본다면, 한

국사회의 전반적인 문화적 취향과 소비가 유니보어 가설에 입각한 설명보다

는 옴니보어 가설의 적용이 보다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상층 계층고급 문

화 향유라고 할 수 있는 클래식 공연 관람을 많이 한 응답자는 영화 관람도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만일 유니보어 가설이 효과적으로 적용되

는 환경이라면 클래식 공연을 많이 관람하는 경우에는 영화관람의 빈도가 통

계적으로 부(-)적 관계를 나타내든지, 아니면 의미없는 상관관계로 나타나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다. 물론 위의 상관분석은 유니보어/옴니보어 가설에 있어

서 핵심적 변수인 계층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한계는 있지만 적

어도 유니보어 가설의 성립이 어렵다는 점은 논리적인 설명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Page 18: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 · 이, 그 외 취미활동, 유흥, 담배 피우기, 아무것도 안하고 쉼)

90 한국사회 제14집 1호(2013년)

<표 4> 세 가지 문화 컨텐츠 소비에 대한 회귀분석

클래식 공연 관람 뮤지컬 관람 영화 관람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유의확률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유의확률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유의확률

B 표준오차

베타 B 표준오차

베타 B 표준오차

베타

(상수) .266 .222 1.199 .231 .648 .234 2.774 .006 1.816 .259 7.004 .000

개인속성요인

성별 -.006 .050 -.003 -.125 .900 -.123 .052 -.062 -2.343 .019 -.239 .058 -.108 -4.107 .000

지역 -.007 .039 -.005 -.174 .862 -.016 .041 -.010 -.394 .694 .040 .046 .022 .866 .387

본인소득 .001 .000 .026 .992 .322 .000 .000 .004 .169 .866 -.001 .000 -.021 -.813 .416

여가선호(관계및오프라인 의존형)

.223 .050 .119 4.454 .000 .231 .053 .115 4.387 .000 .180 .058 .080 3.074 .002

여가시간 .005 .002 .080 2.977 .003 .002 .002 .031 1.184 .237 .001 .002 .018 .707 .479

문화자본요인

교육정도(본인) .103 .015 .216 6.837 .000 .109 .016 .214 6.895 .000 .197 .018 .345 11.205 .000

부 교육정도 .025 .017 .064 1.424 .155 .032 .018 .076 1.734 .083 .002 .020 .004 .083 .934

모 교육정도 .044 .019 .100 2.300 .022 .070 .020 .147 3.431 .001 .064 .022 .120 2.845 .005

문화예술교육경험여부

.010 .063 .005 .164 .869 .083 .066 .034 1.258 .209 -.040 .074 -.015 -.547 .584

경제자본요인

가구 월평균 수입

.029 .017 .056 1.739 .082 .076 .017 .137 4.356 .000 .079 .019 .127 4.046 .000

주관적 계층인식

.070 .019 .108 3.611 .000 .055 .020 .079 2.700 .007 -.009 .023 -.012 -.415 .678

R square .168 .206 .204

Adjusted R square .161 .199 .197

F 22.814*** 29.279*** 28.891***

*** p < .001

이번에는 보다 세밀한 차원에서 문화 콘텐츠의 소비를 살펴보기 위해 세

가지 문화 콘텐츠의 관람 정도를 종속변수로 하는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

다. 분석에 활용된 독립변수는 개인 속성 요인으로 성, 지역, 소득(본인), 여가

형태, 여가시간 등이 이용되었고, 문화자본 요인으로는 본인의 교육정도와 부

ㆍ모의 교육정도, 문화예술 관련 교육 경험의 여부 등이 고려되었다. 아울러

보다 다차원적인 분석을 위해 경제자본 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 가구 월평균

수입과 주관적 계층의식도 분석에 포함하였다.

Page 19: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 · 이, 그 외 취미활동, 유흥, 담배 피우기, 아무것도 안하고 쉼)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91

먼저 세 가지 주요 요인들을 통해 구성한 모델의 설명력은 각각 클래식 공

연의 경우 16.1%, 뮤지컬 관람은 19.9%, 마지막으로 영화 관람이 19.7%로 나

타나고 있다. 세부 요인들을 중심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개인 속성

요인들 중 여가 선호 방식, 즉 여가를 보내는데 있어서 집에서의 매체 위주의

방식보다는 관계 및 오프라인에서의 활동을 선호 할 수록 모든 문화 콘텐츠의

소비와 정(+)적인 방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남을 볼 수

있다(β는 세 가지 콘텐츠에 대해 각각 .223, .231, .180). 또한 성별 효과는 뮤

지컬 관람(β=-.123, p < .001)과 영화관람(β=-.239, p < .01)에 있어서 여성들

이 남성들에 비해 적극적인 문화소비를 하고 있는 것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

게 나타났고, 여가시간의 경우에는 뮤지컬 관람이나 영화 관람은 유의미한 관

계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클래식 공연 관람(β=.005, p < .01)만이 유의미한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거주지역의 규모나 본인의 소득과 같은 요소는 공통적

으로 문화콘텐츠 소비에 별다른 영향을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문화자본 요인을 통해 보면, 세 가지 문화 콘텐츠의 소비에 있어

서 동일한 양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본인의 교육 정도와 부모

중 어머니의 교육정도가 세 가지 문화 소비에 대해 모두 정(+)적인 방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준다. 본인의 교육정도는 클래식 공연 관람

(β=.103, p < .001), 뮤지컬 관람(β=.109, p < .001) 뿐 만 아니라 영화 관람

(β=.103, p < .001)에서, 어머니의 교육정도도 클래식 공연 관람(β=.044, p <

.05), 뮤지컬 관람(β=.070, p < .001), 그리고 영화 관람(β=.064, p < .01)에

대해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아버지의 교육정도나 체화된 형태의 문

화자본으로 볼 수 있는 문화적 소양을 측정하기 위해 설정한 문화예술 교육

경험여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성을 나타내지 않고 있다.

마지막으로 경제자본 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앞선 분석에서의 성별 요인과

마찬가지로 가구 월평균 수입은 뮤지컬 관람(β=.076, p < .001)과 영화 관람

(β=.079, p < .001)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낸 반면, 클래식

공연 관람에 있어서는 이러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아울러 개인들이 어떤

계층에 속해있는지에 대한 주관적 계층인식에 있어서는 계층인식이 상위에

Page 20: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 · 이, 그 외 취미활동, 유흥, 담배 피우기, 아무것도 안하고 쉼)

92 한국사회 제14집 1호(2013년)

있는 것으로 나타날수록 클래식 공연 관람(β=.070, p < .001)과 뮤지컬 관람

(β=.055, p < .01)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연구문제 1과 2에서 제기한 바를 부분적으로 설명해주고 있

는데, 연구 문제 1과 관련한 개인들의 사회인구적 속성에 있어서 성별에 따른

문화콘텐츠의 소비는 뮤지컬 관람과 영화 관람에 있어서는 차별적으로 나타

나고 있고, 여가 시간이 많을 수록 클래식 공연 관람 횟수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어떤 방식의 여가를 선호하는지에 대한 태도 및 인식은 세

가지 문화콘텐츠에 대해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어서 TV나 인

터넷을 이용하면서 여가를 보내는 경우보다는 타인과의 관계나 오프라인에서

의 활동에 적극적인 사람들이 세 가지 문화 콘텐츠의 소비에 대해서 보다 적

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두번째 연구문제와 관련해서도 부분적으로 문화자본

의 효과를 살펴볼 수 있다. 즉 학력이 높아질수록, 그리고 어머니의 교육수준

이 높을 수록 문화콘텐츠의 소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개인 속성

부분에서 본인의 소득이 영향을 미치지 못했던 것과 대조되는 결과로 경제적

자원보다는 문화적 자원의 소유 여부가 문화 콘텐츠 소비에는 보다 유의미한

관계성을 가지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지만 문화예술 교육을 통한 체화된 형태

의 문화자본과 아버지의 교육정도는 별다른 관계성을 공통적으로 발견할 수

없었다.

이번에는 문화자본의 효과를 보다 체계적으로 가늠해보기 위해 클래식 공

연을 대상으로 세 가지 요인을 차례로 투입하여 결과를 살펴보았다. 먼저 클

래식 공연 관람에 대해 개인속성요인들만을 가지고 구성한 모델1에서는 성별

과 지역, 그리고 본인소득이 통계적 유의미성을 나타내지 않았던데 비해 여가

선호방식(β=.357, p < .001)과 여가 시간(β=.007, p < .001)은 유의미한 관계

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개인속성요인과 함께 문화자본 요인을 투입한 모델 2의 경우, 모

델 1에 비해 우선 전체 설명력이 4.4%에서 17.2%로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

다. 다시 말해 클래식 공연 관람이라는 문화콘텐츠의 소비를 설명하는데 있어

서 문화자본 요인의 효과가 개인속성 요인보다는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고

Page 21: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 · 이, 그 외 취미활동, 유흥, 담배 피우기, 아무것도 안하고 쉼)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93

<표 5> 클래식 공연 관람에 대한 회귀분석

클래식 공연 관람

모델 1 모델 2 모델 3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유의확률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유의확률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유의확률

B 표준오차

베타 B 표준오차

베타 B 표준오차

베타

(상수) .877 .246 3.568 .000 .648 .234 2.774 .006 .266 .222 1.199 .231

개인속성요인

성별 -.061 .055 -.031 -1.113 .266 -.123 .052 -.062 -2.343 .019 -.006 .050 -.003 -.125 .900

지역 .042 .044 .027 .972 .331 -.016 .041 -.010 -.394 .694 -.007 .039 -.005 -.174 .862

본인소득 .001 .000 .033 1.174 .241 .000 .000 .004 .169 .866 .001 .000 .026 .992 .322

여가선호(관계및오프라인 의존형)

.357 .056 .177 6.412 .000 .231 .053 .115 4.387 .000 .223 .050 .119 4.454 .000

여가시간 .007 .002 .106 3.822 .000 .002 .002 .031 1.184 .237 .005 .002 .080 2.977 .003

문화자본요인

교육정도(본인) .109 .016 .214 6.895 .000 .103 .015 .216 6.837 .000

부 교육정도 .032 .018 .076 1.734 .083 .025 .017 .064 1.424 .155

모 교육정도 .070 .020 .147 3.431 .001 .044 .019 .100 2.300 .022

문화예술교육경험여부

.083 .066 .034 1.258 .209 .010 .063 .005 .164 .869

경제자본요인

가구 월평균 수입

.029 .017 .056 1.739 .082

주관적 계층인식

.070 .019 .108 3.611 .000

R square .048 .178 .168

Adjusted R square .044 .172 .161

F 12.547*** 30.075*** 22.814***

*** p < .001

있음을 알 수 있다. 문화자본 요인 중 본인의 교육 정도(β=.109, p < .001)와

어머니의 교육정도(β=.070, p < .001)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내

고 있는데, 문화자본 요인을 추가하자 개인 속성 요인의 여가시간 변수의 효

과는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경제자본 요인들을 투입한 결과,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주관적

계층의식(β=.070, p < .001)만이 클래식 공연 관람에 영향을 유의미하게 미치

Page 22: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 · 이, 그 외 취미활동, 유흥, 담배 피우기, 아무것도 안하고 쉼)

94 한국사회 제14집 1호(2013년)

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시간 변수는 경제자본 요인들의 투입시 다시 유의미

한 관계성을 보이게 된다. 하지만 모델의 설명력은 모델 2의 17.2%보다 낮은

16.1%로 나타나 문화콘텐츠의 소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설명 요인이 문화

자본 요인이라는 점을 추론할 수 있다.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여가선호 방식이

관계와 오프라인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여가시간이 많으며 본인과 어머니의

교육정도가 높고, 주관적 계층의식이 상위로 갈수록 클래식 공연 관람에 대해

서 적극적인 태도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Ⅴ. 결론 및 함의

이제까지의 분석을 통해 나타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 가

지 문화 콘텐츠를 대상으로 고급스러움의 정도를 측정한 결과 예상대로 클래

식 공연 관람이 뮤지컬 관람이나 영화 관람에 비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는

데, 이러한 인식은 남녀간의 성별에 따른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고 전반적

으로 젊은 세대들이 해당 문화 콘텐츠에 대해 고급스럽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역규모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는 대도시 지역의 응답

자들이 클래식 공연 관람을 고급스럽다고 느끼는 정도가 다른 지역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있는 반면, 영화에 대해서는 소도시 지역의 응답자들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소득 수준과 주관적 계층의식의 경우, 클래식 공연

관람과 뮤지컬 관람에 대해서 해당 수준이 높을 수록 고급스럽다고 느끼는

정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러한 결과는 세 가지 문화 콘텐츠 간

의 고급스러움에 대한 위계적 구조가 응답자들의 인식을 통해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응답자들의 문화 향유 및 취향의 양상을 문화자본론의 유니보어/

옴니보어 논의 속에서 찾아보기 위해 세 가지 문화 콘텐츠 이용정도 간의 상

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세 가지 문화콘텐츠 간에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가 존

Page 23: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 · 이, 그 외 취미활동, 유흥, 담배 피우기, 아무것도 안하고 쉼)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95

재한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즉, 클래식 공연을 많이 관람하는 응답자가

뮤지컬이나 영화관람에 있어서도 적극적이라는 의미이다. 이는 한국사회의 전

반적인 문화적 취향과 소비가 유니보어 가설에 입각한 설명보다는 옴니보어

가설의 적용이 보다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상층 계층고급 문화 향유라고

할 수 있는 클래식 공연 관람을 많이 한 응답자는 영화 관람도 많이 하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사회 계층을 활용한 분석이 이루어지지는 않았지만 만

일 유니보어 가설이 효과적으로 적용되는 환경이라면 클래식 공연을 많이 관

람하는 경우에는 영화관람의 빈도가 통계적으로 부(-)적 관계를 나타내든지,

아니면 의미없는 상관관계로 나타나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라는 점에서 적어

도 유니보어 가설의 성립이 어렵다는 점은 논리적으로 추론이 가능하다고 보

여진다.

또한 보다 세밀한 차원에서 문화 콘텐츠의 소비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한

회귀분석에서는 개인 속성 요인들 중 여가를 보내는데 있어서 집에서의 매체

위주 방식보다는 관계 및 오프라인에서의 활동을 선호 할수록 문화 콘텐츠의

소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분적인 성별 효과를 통해 여성들이 뮤지

컬 관람과 영화관람에 적극적인 문화소비를 하고 있는 것이 통계적으로 유의

미하게 나타났다. 반면 거주지역의 규모나 본인의 소득과 같은 요소는 공통적

으로 문화 콘텐츠 소비에 별다른 영향을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문화자본 요인을 통해 보면, 세 가지 문화 콘텐츠의 소비에 있어서 동일한 양

상이 나타나고 있었는데, 본인의 교육 정도와 부모 중 어머니의 교육정도가

세 가지 문화 소비에 대해 모두 정(+)적인 방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

과를 보여주었다. 반면 아버지의 교육정도나 체화된 형태의 문화자본으로 볼

수 있는 문화적 소양을 측정하기 위해 설정한 문화예술 교육 경험여부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관계성을 나타내지 않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경제자본 효과

는 가구 월평균 수입은 뮤지컬 관람과 영화 관람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낸 반면, 클래식 공연 관람에 있어서는 이러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고 주관적 계층인식이 상위에 있을수록 상대적으로 고급 문화향유인 클

래식 공연 관람과 뮤지컬 관람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24: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 · 이, 그 외 취미활동, 유흥, 담배 피우기, 아무것도 안하고 쉼)

96 한국사회 제14집 1호(2013년)

마지막으로 문화자본의 효과를 보다 체계적으로 가늠해보기 위해 클래식

공연을 대상으로 세 가지 요인을 차례로 투입한 결과, 개인속성요인들만을 가

지고 구성한 모델1에서는 여가선호방식만이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내었고, 개

인속성요인과 함께 문화자본 요인을 투입한 모델 2의 경우, 모델 1에 비해 전

체 설명력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클래식 공연 관람이라는 문화

콘텐츠의 소비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문화자본 요인의 효과가 개인속성 요인

보다는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문화자본 요인 중에

서는 본인의 교육 정도와 어머니의 교육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경제자본 요인들을 투입한 결과, 주관적 계층의

식만이 클래식 공연 관람에 영향을 유의미하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

만 모델의 설명력은 모델 2보다 낮게 나타나 문화콘텐츠의 소비에 있어서 가

장 중요한 설명 요인이 문화자본 요인이라는 점을 추론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연구문제 1과 2에서 제기한 바를 부분적으로 설명해주고 있

다. 연구 문제 1에서 제기한 사회인구적 속성과 문화 콘텐츠 소비 간의 관계

는 여가 활동 방식은 세 가지 문화 콘텐츠 모두에, 성별과 여가시간 변수에

있어서는 부분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두번째 연구문제인 문화자본의 효과 또

한 본인과 어머니의 학력 변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경

제자본의 투입을 통해서도 볼 수 있었듯이 경제적 자원보다는 문화적 자원의

소유 여부가 문화 콘텐츠 소비에는 보다 유의미한 관계성을 가지는 것으로 파

악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먼

저 문화 취향에 대한 위계를 설명하는 유니보어/옴니보어론의 실제 적용에 있

어서 우리 사회에서는 현재까지 옴니보어에 기반한 설명이 보다 현실적이라

는 점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는 사회 계층을 구성하는 주요 변수인 소득이

문화 콘텐츠 소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지 못한 측면과 함께 문화 콘텐츠 소

비의 폭과 다양성이 비교적 넓게 존재한다는 점에서 유추가 가능하다. 아울러

다양한 여가 활동 중에서 문화 콘텐츠의 소비에 있어서는 소득과 같은 경제적

요인보다 여가 활용 방식이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

Page 25: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 · 이, 그 외 취미활동, 유흥, 담배 피우기, 아무것도 안하고 쉼)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97

활용 방식에 있어서 TV나 인터넷을 통한 매체 중심적 활동은 여가 활용에 있

어서 최근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활동으로 경제성과 편의성이 가장 큰

이유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정보화 환경의 보편화로 인해 항상

접속 가능한 상태가 일상화되면서 노동과 여가의 경계가 희미해지는 것에서

도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매체를 통한 간접적 문화 체험은

직접적으로 콘텐츠를 대면했을 때보다 그 효과의 측면에서 떨어질 수 밖에 없

기 때문에 오프라인에서의 관계 중심의 여가 활동을 늘려나간다면 문화적 소

양의 증진은 물론 고립사회로 불리워지는 현대 사회에서의 개인들의 사회성

함양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여진다.

2013년 4월 24일 접수

2013년 6월 21일 수정 완료

2013년 6월 24일 게재 확정

Page 26: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 · 이, 그 외 취미활동, 유흥, 담배 피우기, 아무것도 안하고 쉼)

98 한국사회 제14집 1호(2013년)

참고문헌

권상희ㆍ홍종배. 2009. “세대별 여가문화소비유형과 삶의 만족도 연구: 여가

소비경향, 자기정체성, 대인관계, 여가소비만족도, 삶의 만족도간 관계

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46(1): 63-97.

김남인. 2010. 경제자본과 문화자본이 문화예술선호 및 소비에 미치는 영

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복수. 2011. “한국인의 여가활동과 대중매체 이용시간의 변화 : 2004년

생활시간조사 를 중심으로.” 정신문화연구 34(2): 185-218.

김선형. 2009. 한국인의 문화행사 관람 유형과 사회적 지위. 연세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은미ㆍ서새롬. 2011. “한국인의 문화 소비의 양과 폭 : 옴니보어론을 중심

으로.” 한국언론학보 55(5): 205-233.

이동연. 2009. “한국의 문화자본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문화과학 59:

4-392.

이호영ㆍ장미혜. 2008. “문화자본과 영화선호의 다양성.” 한국사회학 42(1):

62-95.

장미혜. 2001. “문화자본과 소비양식의 차이.” 한국사회학 35(3): 51-81.

전범수ㆍ이상길. 2004. “영화 장르의 사회적 소비 구조.” 한국방송학보18(3): 554-597.

최샛별. 2006. “한국 사회에 문화 자본은 존재하는가?” 문화와 사회 1:

123-158.

______. 2002. “상류계층 공고화에 있어서의 상류계층 여성과 문화자본.”

한국사회학 36(1): 113-144.

최샛별 외. 2012. 문화사회학. 살림.

한국콘텐츠진흥원. 2013. “공연.” 『월간 콘텐츠 시장동향 2013년 1월호』통

권 9호: 40-44.

한수정ㆍ조용준. 2010. “여가활동 변화에 따른 여가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Page 27: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 · 이, 그 외 취미활동, 유흥, 담배 피우기, 아무것도 안하고 쉼)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99

GRI연구논총 12(1): 213-232.

한준ㆍ한신갑ㆍ신동엽ㆍ구자숙. 2007. “한국인의 문화적 경계와 문화적 위계

구조.” 문화와 사회 2: 29-53.

Bourdieu, P. 1986. “The Forms of Capital.” pp. 241-254 in John G.

Richardson (eds.).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Westport: Greenwood Press.

Peterson, R. & Simkus, A. 1992. “How Musical Tastes Mark Occupational

Status Groups” pp. 152-186 in Michelle Lamont and Marcel

Fournier (eds.). Cultivating Differences: Symbolic Boundaries and

the Making of Inequalit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alle, D. J. 1992. “The Audience for Abstract Art: Class, Culture and

Power” pp.131-151 in Lamont, Michele and Marcel Fournier (eds.),

Cultivating Differences: Symbolic Boundaries and the Making of

Inequality. 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arker. S. 1976. The sociology of Leisure. George Allen & Unwin Ltd. 현대사회와 여가. 이연택ㆍ민창기 역(1995). 일신사.

“ ‘붐비는 영화관’ 지난해 극장 매출·관객 수 역대 최대.” 아시아경제. 2013.

1. 28.

Page 28: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 · 이, 그 외 취미활동, 유흥, 담배 피우기, 아무것도 안하고 쉼)

100 한국사회 제14집 1호(2013년)

A Study on the Factor Effects to the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 in Leisure Activities

Young BaeSoongsil University

Abstract

This paper aims to find a factor that has an effect on the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 in leisure activities. With such purposes,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survey was conducted about cultural contents.As a result. We knew that the cultural hierarchy was found among the three kinds of cultural content by survey respondents. And the relatively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cultural content use is shown through this study. This is the evidence that the univore hypothesis is more appropriate than the omnivore hypothesis for the explanation about cultural tastes and consumption in korea society. In addition, the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actors of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s was shown a significant effect by types of leisure activity. As a female was more active in musical and movie watching, the gender effect depends on it. Finally, the possesion of cultural capital had more significant relations to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s rather than the economic capital.

Key words: cultural consumption, cultural capital, leisure activity, omnivore, univore